KR920007637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637B1
KR920007637B1 KR1019890016374A KR890016374A KR920007637B1 KR 920007637 B1 KR920007637 B1 KR 920007637B1 KR 1019890016374 A KR1019890016374 A KR 1019890016374A KR 890016374 A KR890016374 A KR 890016374A KR 920007637 B1 KR920007637 B1 KR 920007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oods
coin
cylindrical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414A (ko
Inventor
마사또 다고
구니아끼 안보
미노루 데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84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5750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0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계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상품반송장치 및 자세 변경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의 단면도.
제3도 내지 제6도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
제7도 및 제8도는 전술한 제1실시예인 자동판매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
제9도는 전술한 제1실시예인 자동판매기의 가동풀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계되는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전술한 제2실시예인 자동판매기의 단면도.
제12도는 전술한 제2실시예인 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자세변경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3도는 전술한 제2실시예인 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상품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는 전술한 제2실시예인 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문개폐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5도는 전술한 제2실시예인 자동판매기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6a도 내지 제16c도는 전술한 제2실시예인 자동판매기의 동작을 설명하기위한 일련의 플로우차트.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와 관계되는 자동판매기의 단면도.
제18도는 전술한 제3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상품반송장치 및 자세변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전술한 제3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상품 반송장치 및 자세변경장치의 동작으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20도는 전술한 제3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품수납 및 상품이 상품 배출구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와 관계되는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2도는 전술한 제4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자세변경장치 및 코인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3도는 전술한 제4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의 단면도.
제24도는 전술한 제4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코인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5도 및 제26도는 전술한 제4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코인반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2 : 상품수납실
14 : 상품반출장치 16 : 슈트
18 : 상품 20 : 반출구
22 : 단열문짝 24 : 상품반송장치
26 : 구동축 무단반송벨트 28 : 모터
30 : 종동축 무단 반송벨트 32 : 상품배출구
34 : 자세변경장치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계되며 특히 상품배출구를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그 윗쪽에서 상품을 낙하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품수납실이 상품배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자동판매기에서는 상품수납실에서 상품배출구와의 고저차에 의해 반출된 상품이 자연스럽게 낙하 또는 굴러 상품배출구에 유도된다.
전술한 상품수납실의 상하방향의 치수는 상품을 될수 있는 한 많이 수납하기 위해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하방향의 치수는 큰 상품수납실을 높은 위치에 설정하면 자동판매기의 높이방향의 치수가 증대하여 상품수납실내로의 상품의 보충작업이 곤란해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상품배출구는 비교적 낮은 위치에 설정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구매자 특히 어른이 상품배출구에서 상품을 끄집어 낼 때에는 허리를 구부려야 하므로 매우 끄집어 내기 어렵게 되어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일본특개소63-20189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듯이 상품수납실에서 반추된 상품을 슈트로 굴러 떨어뜨려 상품수납실에 적재시키고 이 상품수납실을 올리고 내려 상품의 반송을 향하는 소위 엘리베이터 방식의 반송장치를 사용해 상품배출구 까지 반송하도록 한 자동판매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동판매기의 높이방향의 치수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할 필요없이 상품수납량의 대용량화를 꾀하는 동시에 상품배출구를 높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어 구매자는 허리를 구부리는 일없이 상품을 끄집어 낼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자동판매기에서는 상품수납실내의 상품은 가로로 이동한 상태 즉 넘어져 구르는 자세로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상품배출구에 배출될 때에도 상품은 가로로 구르는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같이 상품배출구가 높은 위치에 있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특히 상품이 깡통음료와 같이 원통형인 경우 상품을 끄집어내기 위해 구입자는 팔을 비틀어 상품을 잡지 않으면 안되어 팔꿈치에 필요없는 부담만 가중된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상품배출구에 배출될 때에도 상품은 가로로 구르는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같이 상품배출구가 높은 위치에 있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특히 상품이 깡통음료와 같이 원통형인 경우 상품을 꺼집어내기 위해 구입자는 팔을 비틀어 상품을 잡지않으면 안되어 팔꿈치에 필요없이 부담만 가중된다.
그리고 인간의 손은 특히 원통형의 물체인 경우에는 가로로 넘어진 상태에 있는 것을 쥐는 것 보다는 직립된 상태 즉 기립자세의 것을 쥐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넘어진 자세의 원통형 물체를 쥐려해도 쥐지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상품배출구내의 그같은 넘어진 자세의 상품은 쥐기어려워 끄집어내기 힘들다.
이같이 단순히 상품배출구를 높은 위치에 설치함만으로는 충분한 서비스를 구입자에 제공할 수 없어 자동판매기 자체의 서비스성이 있다.
즉 종래의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상품을 끄집어내기 쉽다고 하는 구입자에 대한 서어비스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 디자인상으로 봐도 특히 원통형의 깡통음료등의 상품인 경우에는 넘어진 자세로 있는 것보다도 기립자세로 있는 것이 적절하다.
왜냐하면 이같은 깡통음료를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서 깡통이 기립상태로 상품견본으로 전시되어 있듯이 특히 깡통음료의 용기에 있어서는 상품명이나 로고등이 기립상태로 읽을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는 것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상품배출구에 상품을 기립한 상태로 반송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상품수납실내에 처음부터 상품을 기립한 상태로 수납해서 상품을 그대로의 자세로 반송, 반출하는 것이 먼저 생각된다.
그러나 이같은 방법은 상품수납실의 높이방향의 치수 증대를 초래할 뿐 아니라 상품의 수납작업이 곤란해져 매우 실용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교적 높은 위치로 설정된 상품배출구에 상품을 반송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품수납실내에 깡통음료와 같은 원통형 상품을 넘어져 구르는 자세로 수납하면서도 상품 배출구에 상품을 기립자세로 반송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양태를 따라 특허청구범위중 제1항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양태를 따라 특허청구범위중 제11항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의 양태를 따라 특허청구범위중 제15항이 제공된다.
이하동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제1의 실시예와 관계되는 자동판매기의 주요부를 투시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2도는 단면도이다.
이들 제1, 제2도에 있어서 자동판매기의 본체(10)내에는 여러개의 상품(예를 들면 깡통음료등)을 쌓아 수납하는 상품수납실(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상품수납실(12)의 아랫쪽에는 구입자가 선택한 상품을 한 개씩 최하부에서 낙하시켜 반출하는 상품반출장치(14)가 배치되어 있다.
상품반출장치(14)의 아랫쪽에는 배출된 상품(18)을 받아 본체(1)의 전면부 아랫쪽으로 굴러 떨어뜨려 안내하는 안내장치로써 슈트(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슈트(16)의 출구인 상품반출구(20)에는 단열 문짝(22)이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10)내의 전면부에는 상품반송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품반송장치(24)는 구동측 무단반송밸트(26), 이 구동측 무단반송벨트(26)를 구동하는 모터(28), 종동측 무단반송벨트(30), 그리고 이들의 구동측 및 종동측 무단 반송벨트(26),(30)를 안내하는 여러개(도면의 예로는 8개)의 풀리를 주체로 해서 구성되어 상품(18)을 상품배출구(32)까지 반송한다.
구동측무단반송벨트(26)는 상품수납실(12)에서 상품반출장치(14), 슈트(16), 반출구(20)를 지나 문짝(22)을 밀어서 열고 유도되어온 상품(18)을 받아들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측무단반송벨트(26)는 상품(18)을 받아들이는 부분은 수평부, 그 윗 부분은 수직부로 되어 있다.
종동측무단반송벨트(30)의 종동측무단반송벨트(26)의 수직부와 압접하는 부분은 수직부로 되어있고 그 위의 상품배출구(32)에 이르는 부분은 수평부로 되어 있다.
종동측무단반송벨트(30)는 수직부가 구동측무단반송벨트(26)의 수직부로 압잡됨으로써 종동된다.
즉 구동측무단반송벨트(26)상의 상품(18)은 반송용 모터(28)의 회전에 의해 먼저 구동측무단반송벨트(26)에 의해 제1도에서처럼 오른쪽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어서 구동측 및 종동측 무단반송벨트(26)(30)의 수직부 사이에 끼워져서 윗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뒤 종동측무단반송벨트(30)의 수평부사에 실려 상품배출구(32)까지 넘어져서 구르는 자세로 반송된다.
여기에서 종동측무단반송벨트(30)의 종단 및 상품배출구(32)는 자세변경장치(3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상품배출구(32)는 상품(18)의 길이방향의 길이 보다도 짧은 폭을 가지며 윗쪽이 개구되어 있다.
종동측의 무단반송벨트(30)의 말단은 상품배출구(32)의 개구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상품배출구(32)의 개구윗쪽에는 규제판(3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판(36)은 종동측무단반송벨트(30)에 의해 반송되어온 넘어져서 움직이는 상태의 상품(18)의 앞단을 그 내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함으로써 상품(18)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로써 상품(18)은 상품배출구(32)의 개구에서 그속에 기립한 상태로 낙하투입된다.
그리고 상품(18)의 기립 자세라는 것은 예를들면 깡통음료 등과 같이 위와 아래가 있는 상품에 있어서 위아래가 역전된 자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또 제3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해서 이제1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구입자가 자동판매기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된 코인투입구(38)에서 코인을 투입한 뒤 본체(10)전면에 설치된 상품선별 스위치(40)를 누르면 그 선택된 상품이 상품수납실(12)의 최하부에서 상품반출장치(14)에 의해 반출된다.
이 반출된 상품(18)은 슈트(16)위에 반송구(20)를 향해 굴러떨어지고 그리고 문짝(22)을 밀어열어서 제3도에서 처럼 구동측무단반송벨트(26)의 수평부상에 낙하한다.
구동측무단반송벨트(26)의 수평부상의 상품(18)은 반송방향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넘어진 상태 즉 넘어져서 움직이는 자세에 있다.
상품(18)은 구동측무단반송벨트(26)가 반송용모터(28)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오른쪽방향으로 반송된다.
그 뒤 구동측 및 종동측무단반송벨트(26)(30)의 수직부 사이에 끼워진다.
그리고 제4도에서처럼 이들 수직부에 끼워져 윗방향으로 반송된다.
이렇게 해서 윗방향으로 반송된 상품(18)은 양무단반송벨트(26)(30)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벗어나 종동측무단반송벨트(30)의 수위부상에 놓여져 제5도에서 처럼 아랫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종동측무단반송벨트(30)상을 반송될때의 상품(18)은 반송방향을 향해 가로로 구르는 상태 즉 굴러움직이는 자세로 있다.
종동측무단반송벨트(30)의 말단위치에는 자세변경장치(3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벨트(30)상에 태워져 반송된 상품(18)은 전술과 같이해서 제6도에서처럼 상품배출구(32)내에 기립자세로 투입된다.
따라서 매입자는 상품배출구(32)내의 상품(18)을 손을 비티는 일없이 용이하게 꺼집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상품배출구(32)의 입구에 플래퍼(flapper)(42)를 설치해 벨트(30)측에 손을 넣지않도록 해도 좋다.
또 종동무단반송벨트(30)를 안내하는 풀리중 제7도에서처럼 구동측 및 종동측무단반송벨트(26)(30)사이에 상품(18)을 끼우기 시작하는 측의 풀리(42)(44)와 제8도에서처럼 끼움이 해제되는 측의 풀리(46)는 모두 가동풀리이어야 한다.
이 때문에 제9도에서처럼 가동풀리(42)(44)(46)는 각각 스프링(48)(50)(52)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리고 상품(18)이 통과할때에는 이들 가동풀리(42)(44)(46)는 각각 상품(18)에 눌러 가이드판(60)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트(54)(56)(58)를 따라 스프링(48)(50)(52)에 대항해 회전한다.
스프링(48)은 상품(18)을 꽉눌러 가동풀리(44)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반송하는 힘을 갖는다.
또 스프링(50)(52)은 상품(18)을 윗방향으로 반송할 때 상품(18)을 떨어뜨리지 않을 정도의 힘을 갖는다.
따라서 스프링력은 스프링(48)이 가장 강하다. 스프링(50)(52)의 양자의 힘은 거의 같다.
이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에 의하면 상품수납실(12)에서 굴러 움직이는 자세로 반출된 상품(18)을 상품반송장치(24)에 의해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설치된 상품배출구(32)로 반송함과 동시에 자세변경장치(34)에 의해 가립자세로 상품배출구(32)내로 상품(18)을 투입하도록 했으므로 구입자는 상품(18)을 꺼질어내는데 허리를 구부릴 필요도 손을 비틀 필요도 없이 상품(18)을 꺼집어내는 것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또 상품배출구(32)내의 상품(18)이 기립자세로 있으므로써 시각적으로도 적절해진다.
게다가 상품수납실(12)내에서는 상품(18)은 종래대로 굴러움직이는 자세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자동판매기의 높이방향의 치수가 필요이상으로 증대하거나 상품(18)의 보충작업이 곤란해지는 일은 없다.
또 여러개의 상품을 연속적으로 구입하는 경우 구동측 무단반송벨트(26)의 수평부상에 선택된 상품(18)을 차례로 낙하시켜 상품 배출구(32)까지 연속적으로 반송함으로써 선택된 상품을 모두 꺼집어낼때까지의 소요시간이 단축된다.
이 경우 상품배출구(32)에 반송된 상품이 구입자에 의해 꺼집어내어질때까지 종동측무단반송벨트(30)의 수평부상까지 다음의 상품을 반송해서 대기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음의 상품을 상품배출구(32)에 반송할때까지의 대기시간이 가일층 짧아짐과 동시에 대기중의 상품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력도 불필요해진다.
그런데 이 제1실시예에서는 상품배출구(32)의 입구에 플래머(42)를 설치해 벨트(30)측에 손이 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반송경로에 이물이 투입될 위험이나 구입자에 위해를 가할 위험을 피하고 있다.
그러나 간단히 플래퍼(42)를 설치할뿐만 아니라 더욱 확실하게 상품배출구(32)를 통해 반송결로내에 손이나 이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제10도 내지 제16도는 이같은 수단을 강구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제10도 및 제11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판매기의 왼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제12도는 상품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3도는 상품반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는 문의 개폐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부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이 제2의 실시예에서는 자세변경장치(62)가 상품반출장치(14)와 상품반송장치(6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세변경장치(62)는 상품반출장치(14)로 반출된 상품(18)을 기립상태로 낙하시킨다.
그리고 제2실시예의 자동판매기는 상품배출구(32)에 상품배출구분(66)이 설치되며 그리고 그 문(66)을 자동개폐하는 문개폐기구(68)가 설치되어 있다.
자세변경장치(62)는 제12도에 상세히 나타내듯이 상품반출장치(14)의 바로밑에 상품의 길이방향의 한단측에 설치된 샤프트(72)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로써 플래퍼(70)를 갖고 있다.
이 플래퍼(70)는 탄성 부재로써 스프링(74)으로 윗쪽으로 힘이 가해져 있으며 이로써 늘 대략 수평상태로 유지된다.
플래머(70)의 선단의 회전궤적부근에는 그 회전 궤적을 따른 형상을 갖는 가이드판(7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퍼(70)는 탄상으로 형성되며 통기를 위해 많은 구멍을 갖고 있다.
자세변경장치(62)의 아랫쪽에는 기립상태로 낙하해온 상품(18)을 받아 기립상태로 아랫쪽의 상품수납부(80)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로써 기립투입슈트(7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립투입슈트(78)는 대략 반원통형을 이루며 통기를 위해 많은 구멍을 갖고 있다. 기립투입슈트(78)에 의해 투입된 상품(18)을 받아 들이는 상품수납부(80)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모양을 이루며 전면부에는 아랫 방향으로 습동개방이 가능한 상품 수납문(82)을 갖고 있다.
이문(82)은 보통때에는 스프링(84)의 힘에 의해 닫혀있다. 이 상품수납부(80) 내에는 상품(18)이 투입된 것을 검출하는 상품수납상품검출기(8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기(86)는 예를들면 상품(18)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검출함으로써 상품(18)의 유무를 검출한다.
전술한 상품수납부(80)는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품반송장치(64)에 의해 상품배출구(32)까지 반송된다.
즉, 이 상품반송장치(64)는 상품(18)을 상품수납부(80)와 함께 본체(10)의 전면부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상품배출구(32)로 반송하고 그리고 반송후에 상품수납부(80)를 본래의 위치까지 하강시키는 것이다.
이 상품반송장치(64)는 제13도에서처럼 구동원으로 모터(88)와 한쌍의 스크류축(90),(92), 모터(88)의 회전을 스크류축(90)(92)에 전달하고 양축(90)(92)을 동기해서 회전시키는 동기밸트(94)와 상품수납부(80)에 부착된 한쌍의 스크류베어링(96)(98)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품배출구(32)의 바닥부에는 사용품 수납부(80)의 문(82)를 개방시키는 스토퍼(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배출구(32)의 전면부에는 상품배출구문(6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품배출구문(66)은 제14도에서 나타내는 문개폐기구(68)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된다.
즉 문개폐기구(68)에서는 상품배출구문(66)의 상단부가 주동로울러(104) 및 종동로울러(106)에 수평으로 감긴 무단와이어(102)에 지지되어 있다. 주동로울러(104)는 톱니바퀴(110)를 통해 문개폐 용모터(108)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모터(108)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어 주행함으로써 문(66)을 좌우로 이동시켜 개폐시킨다. 와이어(102)의 주동로울러(104)측 및 종동로울러(106)측 부근에는 상품배출구문폐정지장치(112) 및 상품 배출구문 개정지장치(11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품배출구(32)에는 사용품 배출구용 상품검출기(1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출기(116)는 예를들면 상품(18)에 빛을 조사하고 그리고 그 투과광을 검출함으로써 상품 배출구(32)내의 상품(18)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품수납부(80)의 상사점 및 하사점의 위치에 상사점도달검출기(118) 및 하사점도달검출기(12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5도는 제2실시예의 자동판매기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시스템은 분산제어방식에 의한 것으로 크게는 주제어박스(122)와, 이미 알려진 코인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경화장치(124)와, 단말제어부(126)와, 본 발명의 특징부인 상품반송장치(64) 및 문개폐장치(68)의 제어를 하는 반송장치 구동단말(128)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주제어박스(122), 경화장치(124), 단말제어부(126) 및 반송장치구동단말(128)은 시리얼데이터라인(13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주제어박스(122)에는 주제어부(CPU)(132)와 집계 조작패널(정보표시용 액정디스플레이 및 키이조작부)(134)가 내장되어있다. 단말제어부(126)는 릴레이 구동부(136)와 본체(10) 전면부에 설치된 각종의 판매용 스위치램프(138)의 제어를 행한다. 릴레이 구동부(136)는 벤드기구나 형광등의 구동, 콤프레서, 히터, 및 팬모터등을 제어하는 냉온제어부(140)의 구동, 토털 카운터(142)이 구동을 행한다. 토털 카운터(142)는 판매기구를 카운트한다.
금액표시부(144)는 주제어부(132)에 의해 제어되어 투입금액이나 잔액등의 표시를 한다.
반송장치 구동단말(128)은 상품수납상품검출기(86), 상품배출구용 상품검출기(116), 상품배출구문개정지검출기(146), 상품배출구문 폐정지검출기(148), 상사점도달검출기(118), 하사점도달검출기(120)의 각 검출결과를 기초로 반송용 모터(88)를 구동하는 반송용 모터 구동회로(150) 및 문개폐용 모터(108)를 구동하는 문개폐용 모터구동회로(152)의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상품배출구문개정지검출기(146) 및 상품배출구문폐정지 검출기(148)는 예를들면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되며 제14도에 있어서의 상품배출구문개정지장치(114) 및 상품배출구문폐정지장치(112)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또 상품 배출구용 상품검출기(116)는 상품수납상품검출기(86)로 겸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2의 실시예의 자동판매기의 동작을 제16a도 내지 제16c도에 나타내는 풀로우챠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구입자에 의해 코인투입구(38)에 금전(코인)이 투입되고 이어서 상품선택스위치(40)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스위치 S1, S2)선택된 상품(18)이 상품수납실(12)에서 상품반송장치(14)에 의해 반출된다(스텝 S3).
이 경우 상품반출장치(14)의 바로밑 플래퍼(70)가 제12도에서처럼 반출된 상품(18)의 자체중량에 의해 샤프트(72)를 지점으로 해서 스프링(74)에 대향해 회전하므로 상품(18)은 가이드판(76)을 따라 기립상태로 되어 낙하한다. 상품(18)의 반출이 끝나면 플래퍼(70)는 스프링(74)에 의해 본래의 수평상태로 돌아간다.
그리고 플래퍼(70)에는 통기공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플래퍼(70)가 닫힌 상태라도 상품수납실(12)내의 상품의 가열, 냉각이 가능하다.
이렇게해서 자세변경장치(62)에 의해 기립자세로 기립투입슈트(78)상에 낙하된 상품(18)은 그 슈트(78)상에 굴러 떨어진 뒤 문(22)을 밀어서 열어 상품수납부(80)내에 기립한 자세로 투입된다.
이렇게 해서 상품수납실(80)내에 상품(18)이 투입되면 이것이 상품수납상품검출기(86)에 의해 검출된다(스텝 S4).
이 검출을 기초로 반송장치 구동단말(128)은 반송용모터 구동회로(150)를 제어해서 반송용모터(88)를 구동함으로써 상품수납부(80)가 상승된다(스텝 S5).
즉 반송용모터(88)의 구동에 의해 동기벨트(94)를 통해 스크류축(90)(92)이 회전함으로써 스크류 베어링(96)(98)이 스크류축(90)(92)을 따라 상승하며 스크류베어링(96)(98)이 부착된 상품수납부(80)도 상승한다.
그리고 상품수납부(80)가 상품배출구(32)까지 도달하면 먼저 상품수납문(82)이 스토퍼(100)에 닿아서 멈춘다.
그러나 사용품수납부(80)의 본체는 스프링(84)의 스프링력에 의해 다시 상승해 상품(18)이 상품배출구에 나온다.
이 경우 상품수납부문(82)은 스프링(84)에 의해 상품수납부(80)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아랫쪽으로 낙하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상품수납부(80)가 상사점도달검출기(118)에 의해 상사점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면(스텝 S6), 반송장치구동단말(128)은 반송용모터구동회로(150)를 제어해서 반송용모터(88)의 구동을 정지해 상품수납부(80)를 정지한다(스텝 S7).
여기에서 상품배출구용 상품검출기(116)에 의해 상품배출구(32)내의 상품(18)의 존재가 검출되면(스텝 S8), 반송장치구동단말(128)은 문개폐용모터구동회로(152)를 제어해서 문개폐용모터(108)을 구동함으로써 상품배출구문(66)을 개방한다(스텝 S9).
그리고 문개정지검출기(146)에 의해 상품배출구문(66)이 개동작을 정지해야할 위치까지 개방된 것이 검출되면(스텝 S10). 반송장치구동단말(128)은 문개폐용 모터구동회로(152)를 제어해서 문개폐용모터(108)를 정지함으로써 상품 배출구문(66)의 개동작을 정지한다(스텝 S11).
다음에 구입자에 의해 상품배출구(32)에서 상품(18)이 나오면 상품배출구용상품검출기(116)에 의해 상품 배출구(32)내의 상품(18)이 없어진 것이 검출된다(스텝 S12). 이 검출에 따라 반송장치 구동단말(128)은, 문개폐용 모터 구동회로(152)를 제어하여 문개폐용 모터(108)를 역전구동하므로서 상품 배출구문(66)을 OFF한다(스텝 S13).
그리고, 문폐쇄정지검출기(148)에 의해 상품배출구문(66)이 폐쇄 동작시에 정지해야할 위치까지 OFF된 것이 검출되면(스텝 S14), 반송장치구동단말(128)은 문개폐용 모터구동회로(152)를 제어하여 문개폐용 모터(108)를 정지하므로서 상품배출구문(66)의 폐쇄동작을 정지한다(스텝 S15).
이어서, 반송장치구동단말(128)은, 반송용 모터구동회로(150)를 제어하여 반송용모터(88)를 역회전하므로서 상품수납부(80)을 하강시킨다.
즉, 반송용 모터(88)의 역회전으로 동기벨트(94)를 끼워서 스크류측(90),(92)이 역회전하므로서 스크류베어링(96),(98)이 스크류축(90),(92)에 따라 하강하고, 스크류 베어링(96),(98)이 부착된 상품수납부(80)도 하강한다.
이 도중에 상품수납부(80)는 스토퍼(100)에 닿아서 정지되어 있는 상품수납문(82)을 스프링(84)의 가세로 흡착한다.
그리고, 상품수납부(80)가 하사점 도달 검출기(12)에 (120)에 의해 하사점에 도달된 것이 검출되면(스텝 S17), 반송장치 구동단말(128)은, 반송용모터 구동회로(150)를 제어하여 반송용 모터(88)의 역전구동을 정지하고, 이에따라 상품수납부(80)를 정지한다(스텝 S18).
이와 같이하여 초기 위치에서 정지된 상품수납부(80)는 다음의 상품투입에 대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수납실(12)에서 진동자세로 반출된 상품(18)을 자세변경장치(62)에 의해 기립자세로 변환되고, 상품반송장치(64)에 의해 그 상품(18)을 기립자세인채 상품배출구(32)에 반송하도록 하였으므로,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입자는 상품(18)을 반출하는데 허리를 굽힐 필요도 손을 비틀 필요도 없이 상품(18)의 배출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품배출구(32)내의 상품(18)이 기립자에 있으므로서 시각적으로도 바람직한 것이 된다. 또한, 상품수납실(12)내에서는 상품(18)은 종래대로 전동자세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자동판매기의 높이방향의 치수가 필요이상으로 증대되거나 상품(18)의 보충작업이 곤란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이 제2의 실시예에서는 상품 배출구(32)에 자동개폐되는 문(6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잘못으로 상품 배출구(32)를 통하여 반송장치(64) 내부에 이물질이 투입될 우려가 없으며, 또한 반송장치(64)의 동작중에 구매자가 상품배출구(32)에서 손을 삽입하여 상처를 입는등의 위험성이 회피되어 신뢰성 및 안정성이 뛰어난 자동판매기로 할 수 있다.
물론, 이 제2의 실시예와 같은 상품 배출구문 및 문개폐장치를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제17도 내지 2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로서 재차 별도의 구성인 상품 반송장치 및 자세 변경장치를 가진 자동판매기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17도는 그 자동판매기의 단면도.
제18도는 상품반송장치 및 자세변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상품수납부 및 상품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도, 제20도는 상품 배출구부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앞의 도면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어있다.
즉, 상품 수납실(12)에서 상품반출장치(14)에 의해 반출된 상품(18)은, 슈트(16)를 통하여 재차문(22)을 거쳐서 상품 수납부(154)에 투입된다. 이 상품수납부(154)에는, 상품(18)을 유지하는 상품유지문(156)이 부착되어 있다. 이 상품 유지문(156)은 제17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상품수납부(154)에 대하여 그림의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습동가능하게 되어있다.
이 상품 유지문(156)은, 통상은 스프링(158)에 의해 가세되어 상품 수납부(154)와 함께 박스형을 이루고 있다.
이에따라, 투입된 상품(18)을 유지하여 낙하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품반송장치(160)는 상품(18)을 상품 수납부(154)와 함께 본체(10)의 전면부의 소정의 높이위치에 설치된 상품 배출구(32)까지 반송하고, 또한 반송후에 상품수납부(154)를 본래의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이 상품 반송장치(160)는, 구동원인 모터(162), 모터(162)의 구동을 전달하는 벨트(164), 벨트(164)에 의해 전달된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축(166), 이것에 맞물리는 스크류 수납축(168) 및 스크류 베어링(168)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 샤프트(17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품 수납부(154)는, 스크류 베어링(168)에 샤프트(172)를 끼워져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있다.
한편, 슈트(16)의 출구부와 상품 배출구(32) 사이의 반송로내에 상품 수납부(154)내의 상품(18)의 전동자세를 기립자세로 변경하는 자세 변경장치(1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세변경장치(174)는 상품수납부(154)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가이드바(176)를 포함한다.
즉, 상품수납부(154)는, 반송동작과 함께 샤프트(172)를 중심으로 가이드바(176)으로 규제되어 회동한다.
또한, 상품배출구(32)에는 상품수납부(154)내의 상품(18)이 상품배출구(32)에 도달했을 때 상품유지문(156)이 상품배출구(32)내에 돌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이 제3의 실시예의 자동판매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구입자가 코인투입구(38)에서 소정의 금액의 코인을 투입하여 상품선택스위치(40)를 누르면, 선택된 상품(18)이 상품수납실(12)에서 상품반출장치(14)에 의해 슈트(16)위에 반출되고, 슈트(16)위를 전동자세인 채로 낙하한 뒤 문(22)을 눌러서 폐쇄하여 상품수납부(154)내로 들어간다.
상품수납부(154)내에 들어간 상품(18)은, 도면 17도 및 19a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품유지문(156)에 의해 유지된다.
이리하여 상품수납부(154)내에 상품(18)이 투입되면, 이것이 도시하지 않은 상품수납부 상품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이 검출에 의거하여 도시하지 않은 반송장치 구동단말에서의 제어에 의해 모터(162)가 구동되고, 모터(162)의 회전이 벨트(164)을 통하여 스크류축(166)에 전달된다.
스크류 베어링(168)은, 가이드 샤프트(170)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스크류축(166)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크류 베어링(168)이 윗쪽방향으로 이동하면 샤프트(172)를 통하여 스크류 베어링(168)과 연결되어 있는 상품수납부(154)도 윗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상품수납부(154)는 윗쪽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바(176)에 의해 일단쪽이 규제되므로, 샤프트(172)를 중심으로 도면 19b에 나타낸 것처럼 회전한다.
이렇게 해서 상품수납부(154)가 90°회전에서 기립상태가 될 때까지 방향전환하면 상품수납부(154)의 상품지지문(156)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품(18)도 넘어져서 구르는 자세에서 90° 회전해서 기립자세가 된다.
상품배출구수납부(154)는 90°회전하면 그 이상은 회전하지 않고 기립상태로 가이드바(176)를 따라 상승해 이윽고 상품배출구(32)까지 반송된다.
이 상품수납부(154)의 상승과정에서 상품지지문(156)은 스토퍼(100)에 의해 도중에 정지되어 상품수납부(154)만이 스프링(158)의 가세력에 의해 상승을 계속한다.
그리고 상품(18)이 제19도에서처럼 상품배출구(32)에 기립자세로 투입된다.
이때 스토퍼(100)에 의해 도중에서 멈춘 상품지지문(156)은 스프링(158)에 의해 상품수납부(154)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그 위치에서 낙하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구입자에 의해 상품배출구(32)에서 상품(18)이 나오면 상품배출구(32)내의 상품의 유무를 검출하는 도시가 안된 상품배출구용 상품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반송장치 구동단말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모터(162)가 역전구동되며 이로써 스크류 베어링(168)과 함께 상품수납부(154)가 하강해서 초기의 위치로 돌아간다.
이때 상품수납부(154)는 90°반전해서 엎어져서 구르는 상태로 되돌아와 상품수납부(154)로 다음의 상품투입을 준비한다.
물론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2의 실시예와 같은 상품배출구문 및 문개폐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품수납실(12)에서 넘어져서 구르는 자세로 반출된 상품(18)을 상품반송장치(160)로 상품배출구(32)로 반송하는 도중에 자세변경장치(174)로 상품수납부(154)와 함께 방향 전환시켜 기립 자세로 전환해서 상품배출구(32)로 반송하도록 했으므로 전술한 제1및 제2의 실시예와 똑같이 구입자는 상품(18)을 꺼집어 내는데에 허리를 구부릴 필요도 손을 비틀 필요도 없이 상품(18)을 꺼집어내는 것을 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품배출구(32)내의 상품이 기립자세로 있음으로써 시각적으로 적절하다.
게다가 상품수납실(12)내에서는 상품(18)은 종래대로 넘어져서 구르는 자세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자동판매기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필요이상으로 증대되거나 상품(18)의 보충작업이 곤란해지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제1내지 제3의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자동판매기의 높이방향의 치수를 필요이상으로 크게 할 것도 없이 상품수납량의 대용량화를 꾀함과 동시에 상품배출구를 높은 위치에서 설정할 수 있어, 구입자는 허리를 구부리거나 손을 비틀지 않고 상품을 꺼집어 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의 자동판매기에서는 코인투입구(38)는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코인의 투입은 용이하지만 거스름돈등 코인반환구는 거스름돈이 코인메커니즘에서 낙하해서 코인반환구로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코인반환구는 코인투입구(38)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전술과 같이 해서 모처럼 상품을 꺼집어내기 위해 허리를 구부리지 않아도 좋도록 했음에도 불구하고 거스름돈을 끄집어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구부려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품배출구(32)만을 높은 위치에 설정할 뿐 아니라 코인반환구도 높은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당초 목적으로 하는 점에 있어서의 서비스성 향상을 더욱 기할 수 있다. 제21도 내지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로 별도의 자세변경장치와 함께 높은 위치에 설정된 코인반환구 및 그 코인반환구로 코인을 반송하는 코인반송장치를 구비한 자동판매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21도는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2도는 자세변경장치 및 코인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3도는 자동판매기의 단면도, 제24도는 코인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 앞의 다른 도면과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즉 본체(10)의 전면부에는 상품반송장치(17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품반송장치(1789)에 있어서는 상품수납실(12)에서 상품반출장치(14), 슈트(16), 상품반출구(20)를 통해 문(22)을 열어 유도되어온 상품(18)을 받아들이도록 무단반송벨트(18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무단반송벨트(180)는 반송용 모터(182)에 의해 구동되어 상품(18)을 자세변경장치(184)로 넘어 뜨려 구르는 자세로 반송한다.
이 자세변경장치(184)는 무단반송벨트(180)의 반송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정된, 상품(18)을 받아들이는 상품수납부(186)를 포함한다.
즉 이 자세변경장치(184)는 무단반송벨트(180)의 종단과 상품수납부(186)를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종동측벨트(30)과 상품배출구(32)와의 관계와 똑같이 배치함으로써 넘어져서 구르는 자세로 반송되어온 상품(18)을 그 반송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상품수납부(186)의 바닥면으로 낙하시켜 기립시킨다.
상품수납부(186)은 모터(188) 로 체인(190)을 구동함으로서 가이드레일(192)을 따라 상하이동된다.
이렇게 해서 기립자세로 상품(18)이 투입된 상품수납부(186)는 소정높이의 위치에 설정된 상품배출구(32)까지 이동함으로써 상품(18)이 상품배출구(32)에 반송되며 또 반송후에 상품수납부(186)가 본래의 위치까지 하강된다.
이 경우 상품수납부(186)의 상하이동은 전술한 제2의 실시예처럼 스크류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체(10)의 전면부에는 상품전시부(194)와 상품선택스위치(40)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코인을 투입하는 코인투입구(38)와, 코인투입구(38)에서 투입된 코인을 선별해서 수납하며 또 거스름돈을 선별해서 반환하는 코인변환장치인 이미 알려진 코인메커니즘(196)과, 코인반송장치(198)과, 코인반송장치(198)로 반송되어온 거스름돈 등의 코인을 반환하는 코인반환구(2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코인투입구(38) 및 코인반환구(200)는 상품배출구(32)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거스름돈(202)을 코인반환구(200)까지 반송하는 코인반송장치(198)가 필요하다.
이 코인반송장치(198)는 상품구입을 위해 구입자가 코인투입구(38)에서 투입된 코인을 선별해서 수납하여 또 거스름돈을 선택해서 반환하는 코인메커니즘(196)에서 낙하된 거스름돈(202)을 받도록 배치된 제1의 무단반송벨트(204)와 이 제1의 무단반송벨트(204)를 구동하는 반송용 모터(206)와, 제2의 무단반송벨트(208), 그리고 이들 제1및 제2의 무단반송벨트(204)(208)를 안내하는 다수개의 로울러(210)(도면의 예로는 14개)를 주체로 구성된다.
즉 제1의 무단반송벨트(204)는 반송용 모터(206)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측벨트로 제24도에서처럼 거스름돈(202)을 받아 들이는 수평부, 그 앞의 수직부 그리고 그 앞의 경사부로 되어 있다.
제2의 무단반송벨트(208)는 제1의 무단반송벨트(204)의 수직부 및 경사부와 누름접촉하는 부분이 수직부 및 경사부로 되어 있으며 그 앞은 코인반환구(200)에 이른다.
제2의 무단반송벨트(208)의 수직부 및 경사부가 제1의 무단반송벨트(204)의 수직부 및 경사부와 누름접촉됨으로써 제2의 무단반송벨트(208)는 종동측벨트로써 작동한다.
즉 제1의 무단반송벨트(204)상의 거스름돈(202)은 반송용 모터(206)의 회전에 의해 우선 제1의 무단반송벨트(204)에 의해 제24도에서 오른쪽방향으로 반송된다.
다음에 제1및 제2의 무단반송벨트(204)(208)의 수직부 사이에 끼워져 윗쪽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양벨트(204)(208)의 경사부 사이에 끼워져 코인반환구(200)까지 반송된다.
여기에서 제2의 무단반송벨트(208)의 종단은 코인반환구(200)의 윗쪽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거스름돈(202)은 전술한 종단에서 코인반환구(200)내로 투입된다.
다음에 제24도 내지 제26도를 참조해서 제4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구입자가 코인투입구(38)에서 코인을 투입한 뒤 상품선택스위치(40)를 누른다.
그러면 선택된 상품(18)이 상품수납실(12)의 최하부에서 상품반출장치(14)에 의해 반출되어 슈트(16)상을 상품반출구(20)로 굴러 떨어뜨려서 문(22)을 열어 무단반송벨트(180)의 수평부상에 낙하한다.
무단반송벨트(180)의 수평부상의 상품(18)은 반송방향으로 가로로 구르는 상태 즉 넘어져 구르는 상태에 있으며 무단반송벨트(180)가 반송용 모터(182)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오른쪽 방향으로 반송된 뒤, 자세변경장치(184)에 의해 기립자세로 변경되며 이 기립상태로 상품수납부(186)에 투입된다.
상품수납부(186)에 상품(18)이 들어오면 상품수납부(186)는 가이드레일(192)을 따라 상품배출구(32)까지 반송된다.
또 상품선택스위치(40)가 눌러져 거스름돈이 나와야 할 때는 제24도에서처럼 코인메커니즘(196)에서 코인반송장치(198)의 제1의 무단반송벨트(204)의 수평부상에 거스름돈(202)이 낙하한다.
제1의 무단반송벨트(204)의 수평부상의 거스름돈(202)은 제1의 무단반송벨트(204)가 반송용 모터(206)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의 무단반송벨트(208)방향으로 반송된다.
그 뒤 거스름돈(202)은 제25도에서처럼 제1및 제2의 무단반송벨트(204)(208)의 수직부 사이에 끼워져 윗쪽으로 반송된다.
이렇게 해서 윗쪽으로 반송된 거스름돈(202)은 제26도에서 처럼 양쪽의 무단반송벨트(204)(208)의 경사부 사이에 끼워져 코인반환구(200) 방향으로 반송된다.
제2의 무단반송벨트(208)의 종단은 코인반환구(200)의 윗쪽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2의 무단반송벨트(208)에 놓여 반송된 거스름돈(202)은 전술한 종단에서 코인반환구(200)내에 투입된다.
그리고 코인반환구(202)로 거스름(202)을 반송한 뒤, 반송용 모터(206)는 소정시간뒤에 정지한다.
또 상품(18)이 상품배출구(32)에서 꺼집어내어지면 상품수납부(186)는 하강해서 본래의 위치로 돌아가 대기상태가 된다.
따라서 구입자는 코인반환구(200)내의 거스름돈(202)을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용이하게 꺼집어낼 수 있다.
또 전술한 제1내지 제3의 실시예와 같이 상품배출구(32)내의 상품도 똑같이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또 손을 비트는 일없이 용이하게 꺼집어낼 수 잇다.
그리고 코인투입구(38)와 상품배출구(32), 코인반환구(200)가 비교적 높은 위치와 인접해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상품구매를 위한 일련의 동작이 극히 용이해진다.
또 디자인상으로도 적절한 것이 된다.
그리고 제4의 실시예인 자동판매기에도 전술한 제2의 실시예에서처럼 상품배출구(32)에 문 및 문개폐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제4의 실시예로 설명한 코인반송장치(198)를 전술한 제1내지 제3의 실시예의 자동판매기에 적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9)

  1. 본체내에 수납된 원통형상품을 구입자의 코인투입 및 상품선택에 따라 전술한 본체전면에 설치된 상품배출구에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여러개의 원통형 상품을 넘어져 구르는 자세로 낙하수납하는 수납실(12)과, 전술한 상품의 선택에 따라 수납실에서 반출된 원통형 상품을 유도하는 경사면을 갖는 반출통로(16)와, 이 반출통로에서 굴러 나온 원통형 상품을 받아 윗쪽으로 들어 올리는 들어올림장치와, 이 들어올림장치로 들어올려진 원통형 상품을 꺼집어 내기위해 전술한 본체전면의 상방위치에 설치된 상품배출구(32)와, 전술한 수납실에서 상품배출구에 이르는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원통형 상품의 넘어져 구르는 자세를 기립 자세로 변환시키는 자세변경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자세변경장치는 들어올림장치와 상품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3. 제2항에 있어서, 전술한 상품배출구(32)는 넘어져 구르는 상태의 원통형 상품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은 폭을 가지는 상방이 개구되어 있으며 그리고 전술한 자세변경장치는 종단위치가 전술한 상품배출구의 개구에 인접하는, 전술한 밀어올림장치에 의해 밀어 올려진 원통형 상품을 넘어져 구르는 자세로 반송하는 제1의 무단반송벨트(30)와, 상품배출구의 개구상방에 설치되며 전술한 제1의 무단반송벨트에 의해 반송되어온 넘어져 구르는 상태의 원통형 상품의 선단의 움직임을, 상품이 당접됨으로써 규제되어 전술한 개구에서 상품배출구로 기립한 상태로 원통형 상품을 낙하투입하는 규제판(3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4.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들어올림장치는 원통형 상품을 넘어져 구르는 상태로 반송하는 수평부 및 하방으로 뻗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제1의 무단반송벨트(30)와, 전술한 반출통로에서 원통형 상품을 받아 넘어져 구르는 상태로 반송하는 수평부 및 제1의 무단반송벨트의 수직부와 눌려져 접촉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제2의 무단반송벨트(26)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의 무단반송벨트의 수평부상에 반송된 원통형 상품은 전술한 제1의 무단반송벨트의 수직부와 제2의 무단반송벨트의 수직부에 끼워져서 지지되어 상방으로 반송되며 제2의 무단반송벨트의 수직부의 종단위치에 제1의 무단반송벨트의 수평부상에 넘어져 구르는 상태로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5.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자세변경장치는 전술한 수납실과 반출통로와의 사이에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6. 제5항에 있어서, 전술한 자세변경장치는 전술한 수납실내의 원통형 상품을 수납실하부에서 반출하는 상품반출장치와, 이 상품반출장치에 의해 반출된 원통형 상품을 기립상태로 낙하시키는 낙하장치를 가지며 전술한 반출통로는 낙하장치에 의해 낙하된 원통형 상품을 기립상태로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7. 제6항에 있어서, 전술한 낙하장치는 상품반출장치의 바로 밑에 원통형 상품의 길이방향의 하단부의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를 보통때는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탄성부재를 가지고있으며 전술한 회전부재는 상품반출장치에 의해 반출된 원통형 상품의 자체중량에 의해 탄성부재에 대항해 회전하여 원통형 상품을 기립상태로 안내장치에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8. 제7항에 있어서, 전술한 안내장치는 전술한 낙하장치의 아랫쪽에서 더욱 하방의 전술한 들어올림장치로 뻗는 대략 반원통형의 경사통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9. 제8항에 있어서, 전술한 들어올림장치는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술한 경사통로에 의해 안내된 원통형 상품을 기립상태로 받는 상품수납구와, 이 상품수납구를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켜 전술한 상품수납부내의 원통형 상품을 전술한 상품배출구로 반송하는 상품반송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품수납부는 상부가 개구되어 전면부가 하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문으로 되어 있는 상자체와, 전술한 문을 상자체의 상방으로 늘 가세하는 가세장치를 가지며 전술한 상품반송장치는 전술한 상자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전술한 상품배출구의 아래에 전술한 본체에서 내부로 돌출해서 설치된 스토퍼를 가지며 전술한 승강장치에 의해 전술한 상자체가 상승되는 도중에 전술한 문을 스토퍼에 당접시켜 문만을 당접시킴으로써 전술한 상자체의 전면을 해방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상자체가 상품배출구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11. 본체내에 수납된 원통형 상품을, 구입자의 코인투입 및 상품의 선택에 따라 전술한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상품배출구에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여러개의 원통형 상품을 넘어져 구르는 자세로 낙하수납하는 수납실(12)과, 전술한 상품의 선택에 따라 수납실에서 반출된 원통형 상품을 유도하는 경사면을 갖는 반출통로(78)와, 이 반출통로에서 굴러 나온 원통형 상품을 받아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들어올림장치와, 이 들어올림장치로 들어 올린 원통형 상품을 꺼집어내기 위해 본체전면의 상방위치에 설치된 전술한 상품배출구(32)와, 수납실에서 상품배출구에 이르는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원통형 상품의 넘어져 구르는 자세를 기립자세로 변환시키는 자세변경장치(62)와 상품배출구의 전면에 설치된 상품배출구문(66)과 상품배출구내의 원통형 상품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장치(86)와, 이 검출장치에 의해 원통형 상품의 존재가 검출될때에 전술한 상품배출구의 문을 여는 문개방 장치와 이 문개방 장치에 의해 상품배출구문이 열린 뒤 전술한 검출장치로 원통형 상품의 존재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 상품배출구문을 닫는 문폐쇄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전술한 문 개방장치 및 문 폐쇄장치는 상품배출구문을 개폐하는 구동장치와 전술한 검출장치에 의해 원통형 상품의 존재가 검출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와 이 판단장치의 결과에 따라 전술한 구동장치를 구동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전술한 들어올림장치는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술한 경사통로에 의해 안내된 원통형 상품을 기립상태로 받는 상품수납부와, 이 상품수납부를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켜 상품수납부내의 원통형 상품을 상품배출구로 반송하는 상품반송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판매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품수납부내에 원통형 상품이 들어간 것을 검출하는 상품수납검출장치와 이 상품수납검출장치에 의해 원통형 상품이 상품수납부내에 들어간 것을 검출할 때 전술한 상품반송장치에 의해 전술한 상품수납부를 상승시키는 상승억제장치와 문폐쇄장치에 의해 전술한 상품배출구문이 닫혔을 때 전술한 상품반송장치에 의해 전술한 상품수납부를 상승시켜 전술한 상품수납부를 초기위치로 설정하는 하강제어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15. 본체내에 수납된 원통형 상품을 구입자의 코인투입 및 상품선택에 따라 전술한 본체전면에 설치된 상품배출구에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여러개의 원통형 상품을 넘어져 구르는 자세로 낙하수납하는 수납실(12)과, 전술한 상품의 선택에 따라 수납실에서 반출된 원통형 상품을 유도하는 경사면을 갖는 반출통로(16)와 이 반출통로에서 굴러 나온 원통형 상품을 받아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들어올림장치와, 이 들어올림장치에 의해 들어 올려진 원통형 상품을 꺼집어내기 위해 전술한 본체전면의 상방위치에 설치된 상품배출구(32)와, 전술한 수납실에서 전술한 상품배출구에 이르는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원통형 상품의 넘어져 구르는 자세를 기립자세로 변환하는 자세 변경장치(174)와, 전술한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코인을 투입하는 상품배출구에 인접해 설치된 코인투입구(38)와, 구입후 거스름돈등의 코인을 반환하기 위해 상품배출구 및 코인투입구에 인접해서 설치된 코인반환구(2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16. 제15항에 있어서, 또 전술한 코인투입구에서 투입된 코인을 선별해 수납하고 거스름돈등 반환해야 할 코인을 반환하는 코인반환장치(196)와, 이 코인반환장치에 의해 반환된 코인을 전술한 코인반환구까지 반송하는 코인반송장치(19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전술한 코인반환장치는 전술한 코인투입구에서 투입된 코인을 선별해서 수납하고, 그 하부에서 반환해야할 코인을 낙하시키기 위해 코인투입구의 하방에 설치된 코인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전술한 코인반송장치는 전술한 코인메커니즘에서 낙하된 반환해야할 코인을 받아 그것을 상방에 설치된 코인반환구로 반송하는 코인들어올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전술한 코인반환구는 상방이 개구되어 있으며 또 전술한 코인들어올림장치는 코인메커니즘에서 낙하한 반환해야할 코인을 받는 제1의 무단반송벨트(204)와, 이 제1의 무단반송벨트에 눌려져 접촉되어 제1의 무단반송벨트와의 사이에 코인을 끼워 상방으로 반송하는 제2의 무단반송벨트(208)를 가지며 전술한 제1, 제2의 무단반송벨트의 종단위치가 코인반환구의 개구와 인접되어 끼워져 반송되어온 코인이 종단위치에서 코인반환구내에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1의 무단반송벨트는 전술한 코인메커니즘에서 낙하된 반환해야할 코인을 받아 들이는 수평부와, 상방으로 뻗는 수직부와, 전술한 코인반환구의 개구를 향해 비스듬히 상방으로 뻗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전술한 제2의 무단반송벨트는 제1의 무단반송벨트의 수직부와 눌려져 접촉하는 수직부와, 전술한 제1의 무단반송벨트의 경사부와 눌려져 접촉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1019890016374A 1988-11-10 1989-11-10 자동판매기 KR920007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284776 1988-11-10
JP88-284773 1988-11-10
JP63-284773 1988-11-10
JP28477388 1988-11-10
JP63284776A JP2557504B2 (ja) 1988-11-10 1988-11-10 自動販売機
JP63-284776 1988-11-10
JP63-318237 1988-12-16
JP31823788 1988-12-16
JP88-318237 1988-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414A KR900008414A (ko) 1990-06-04
KR920007637B1 true KR920007637B1 (ko) 1992-09-09

Family

ID=2733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374A KR920007637B1 (ko) 1988-11-10 1989-11-10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7025B2 (ja) * 2014-11-07 2019-01-09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414A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9329A (en) Dispensing apparatus
US7591397B2 (en) Automatic dispensing machine for voluminous and/or heavy products and/or products sold in packs
JP2002508553A (ja) 販売機
MXPA01009796A (es) Maquina vendedora que reduce al minimo la agitacion de los productos.
MXPA02010934A (es) Maquina expendedora de frente transparente.
US3039583A (en) Refrigeration and dispensing of containers of matter and issuing a refund for empty containers
US4440071A (en) Conveyor system for skewered foods
KR920007637B1 (ko) 자동판매기
KR100374758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US4214654A (en) Coin transfer means for vendors
JPH03206591A (ja) 自動販売機
JP2557504B2 (ja) 自動販売機
JP496165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H03116397A (ja) 自動販売機
JPH1133911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装置
KR101898390B1 (ko) 자동 판매기
JPH0716281U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H0930585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KR950000098Y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JP2815550B2 (ja) 搬送装置
KR100699034B1 (ko) 무인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걸림 제거장치 및 방법
JP200235856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015526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JP331810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H02129787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