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140B1 - 차량의 혼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혼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140B1
KR102264140B1 KR1020197029223A KR20197029223A KR102264140B1 KR 102264140 B1 KR102264140 B1 KR 102264140B1 KR 1020197029223 A KR1020197029223 A KR 1020197029223A KR 20197029223 A KR20197029223 A KR 20197029223A KR 102264140 B1 KR102264140 B1 KR 102264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rest position
control device
control uni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5418A (ko
Inventor
로랑 그로로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90125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24Transmission element
    • H01H2221/03Stoppers for on or off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 스티어링 휠에 매립된 차량 혼 제어 장치로서, 베이스부(10); 휴지 위치와 눌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어부(20); 제어부(20)을 휴지 위치로 뒤로 밀기 위한 탄성 복귀 수단(31), - 위치설정 수단(41); 제어부(20)에 매립된 제2 접촉 단자(51; 151; 251a, 251b; 21, 452), 및 베이스부(10)에 고정된 제1 접촉 단자(52; 152; 252; 44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며, 위치설정 수단(41)은, 제어부(20)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해, 제어부(20)을 휴지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배열된 초기 접촉 단자(52; 152; 252; 4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혼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모터 차량 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혼으로도 알려진 혼 제어 장치에 대해서 종래 기술에서 논의된다. 예를 들어, 문헌 US6119545는 사용자가 제어부를 누를 때 상태를 변화시키는 스위치와 함께, 스티어링 휠 안전 모듈에 통합된 제어 장치를 기술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특히, 긴 제어 스트로크뿐만 아니라, 제어 장치의 가동부들을 안내, 정지, 즉 위치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요구하는 단점을 제시한다. 이는 또한 가동부들을 휴지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복귀 수단을 요구하며, 긴 스트로크 및 진동으로 인해, 매끄러운 제어를 획득하면서 진동을 제한하기에 적절한 견고함을 수용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앞서 언급된 종래 기술에 대한 전술한 문헌들의 단점들을 해결하는 것, 그리고 특히, 다른 무엇보다도 먼저, 신속한 제어 감지를 디스플레이하면서 단순한 아키텍처를 제시하는 혼 제어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초기 양태는 차량 스티어링 휠에 매립되거나 매립되도록 배열된 차량 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 베이스부,
- 휴지 위치와 눌린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어부,
- 제어부를 눌린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뒤로 밀도록 배열된 탄성 복귀 수단,
- 휴지 위치를 제어부에 부과하도록 배열된 위치설정 수단,
- 제어부에 매립된 제2 접촉 단자, 및 베이스부에 고정된 제1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며,
위치설정 수단은, 제어부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해, 제어부를 휴지 상태에 위치시키도록 배열되는 제1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스위치가 위치설정 수단에 부분적으로 통합되기 때문에, 단순한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동일한 부품들 상의 그러한 기능들의 축적은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더욱이, 스위치는 제어부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폐쇄된다. 이는 장치가 스위치의 개방을 검출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스위치는 제어부가 이동하기 시작하자마자 켜져서, 신속한 제어 감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또한 명령 스트로크 및 고정부와 가동부 사이에서 보이는 간극을 제한하는 것을 돕는다.
베이스부가 스티어링 휠에 부착되도록 배열됨에 따라, 이러한 부분은 기준 부품 또는 심지어 "정적" 부품인 것으로 고려할 수 있어서, 제1 접촉 단자는 기준 접촉 단자 또는 정적 접촉 단자로 불릴 수 있으며 이는 그것이 베이스부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2 접촉 단자는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어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2 접촉 단자는 이동가능한 접촉 단자로 지칭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위치설정 수단은 복귀 수단에 의해 휴지 위치로 복귀될 때 제어부에 대한 기계적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제1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정지 수단이다. 그러한 정지 수단은 휴지 위치에서의 제어부의 반복가능한 위치설정을 보장한다.
다시 말하면,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스티어링 휠에 매립되거나 매립되도록 배열된 차량 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 베이스부,
- 휴지 위치와 눌린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어부,
- 제어부를 눌린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뒤로 밀도록 배열된 탄성 복귀 수단,
- 휴지 위치를 제어부에 부과하도록 배열된 정지 수단,
- 제어부에 매립된 제2 접촉 단자, 및 베이스부에 고정된 제1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며,
정지 수단은, 제어부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해, 휴지 위치에서 제어부와 기계적으로 맞닿게 되도록 배열된 제1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는, 정지 수단은 제어부의 안내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제2 접촉 단자는 제어부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제1 접촉 단자와 기계적으로 맞닿게 된다.
유리하게는, 위치설정 수단은 안내 수단이며,
- 제1 접촉 단자 또는 제2 접촉 단자로부터의 하나는 슬라이딩 바를 형성하거나 그의 일부이고
- 제1 접촉 단자 또는 제2 접촉 단자로부터의 다른 하나는 슬라이드를 형성하거나 그의 일부여서,
복귀 수단에 의해 휴지 위치로 되돌려진 제어부를 안내하도록 한다.
유리하게는:
- 슬라이딩 바는 전기를 전도하는 부분, 및 전기적 절연성인 부분을 포함하고,
- 슬라이드는 슬라이딩 바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암형부에 의해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전기를 전도하는 전술한 부분은 제어부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와 접촉하는, 로드의 극단에서의 일부분이다.
유리하게는, 정지 수단은 전기를 전도하고 전기 회로의 일부인, 제1 접촉 단자, 또는 제2 접촉 단자를 형성하는 로드를 포함한다. 로드 자체는, 제1 접촉 단자의 접촉 표면과 마찬가지로, 전기 회로의 일부이다. 유리하게는, 로드는 숄더형이고(shouldered), 그리고/또는 숄더 스크류이고, 로드의 숄더는 기계적 정지부를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베이스부는 전기를 전도하는 재료이고 전기 회로의 일부이다. 베이스부를 전기 회로로 통합하는 것은 케이블링을 단순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유리하게는, 로드는 베이스부에 부착된다.
유리하게는, 베이스부는 차량의 대부분으로부터 절연되거나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정지 수단은 전기를 전도하는 숄더 로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초기 접촉 단자는 숄더 로드에 부착되고, 장치는 로드와 제1 접촉 단자 사이에 배열된 전기 절연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절연 수단은 절연 와셔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초기 접촉 단자는 절연 와셔에 부착된 금속 와셔이다.
유리하게는, 절연 수단은 절연 와셔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제1 접촉 단자 또는 제2 접촉 단자 중 하나는 절연 와셔 상에 형성된 2개의 전기 트랙들을 포함하고, 제1 접촉 단자 또는 제2 접촉 단자 중 다른 하나는 제어부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전기 트랙들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제어부의 전도부이다.
유리하게는 위치설정 수단은 전기적 절연성인 절연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접촉 단자 또는 제2 접촉 단자 중 하나는 절연부 상에 형성된 금속 부분이고, 제1 접촉 단자 또는 제2 접촉 단자 중 다른 하나는 제어부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금속 부분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전도부이다.
유리하게는, 절연 수단은 절연 와셔로 이루어지고, 제1 접촉 단자는 절연 와셔에 부착된 금속 와셔이다.
유리하게는 위치설정 수단은 전기적 절연성인 절연부를 포함하고, 제1 접촉 단자 또는 제2 접촉 단자 중 하나는 절연부 상에 형성된 2개의 전기 트랙들을 포함하고, 제1 접촉 단자 또는 제2 접촉 단자 중 다른 하나는 제어부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전기 트랙들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전도부이다.
유리하게는, 전기 회로는 제어부가 휴지 위치를 떠날 때 스위치의 개방을 검출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 유닛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제어 장치는 제1 접촉 단자 및 제2 접촉 단자를 각각 갖는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위치설정 수단은 복수의 위치설정 유닛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위치설정 유닛은 제1 접촉 단자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제어 장치는 복수의 전기 회로들을 포함하며, 각각은 전술된 스위치들 중 하나 및 스위치의 개방을 검출하도록 배열된 전자장치 유닛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제어부는 전기를 전도하는 몰디드-온(molded-on) 부품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전기 회로의 일부일 수 있고, 오버몰딩은 제어부와 위치설정 수단 사이의 양호한 인터페이스를 보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휴지 위치와 눌린 위치 사이의 제어부의 스트로크는 1 mm 미만이다.
유리하게는, 탄성 수단은 20N 초과의 복귀력을 가하도록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베이스부는 스티어링 휠의 프레임이다.
유리하게는, 제어부는 안전 모듈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지지부이다. 따라서, 위치설정 요소들은 또한 그의 트리거링 동안 안전 모듈의 유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구성요소들의 수가 감소되게 하고 디바이스를 더 콤팩트하게 만든다.
유리하게는, 제어부는 안전 모듈 덮개(lid) 또는 후드이다.
유리하게는, 장치는, 진동을 흡수하고/하거나 조립체를 위한 간극을 얻기 위해, 제어부와 안내 부품 사이에 배열된 감쇠 수단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감쇠 수단은 (예를 들어, 제어부의) 오버몰딩과 안내 부싱(guide bushing) 사이에 삽입된 사일런트 블록(silent block)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스티어링 휠은 제어부 상에 장착된 안전 모듈을 포함한다. 조립체는 견고해야 하며, (수백 그램을 초과하는 중량의) 그러한 조립체를 올바르게 안내하는 위치설정 수단과 함께, 안전 모듈의 중량을 견뎌야 한다. 또한, 사용 중에, 제어부 및 위치설정 수단은 또한 에어백의 신속한 방출에 의해 부과되는 극심한 제약을 견뎌야 한다. 특히, 제어부는 0.5 mm 내지 2 mm를 포함하는 두께를 갖는 금속 플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휠을 포함하는 모터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 도면에 의해 도시된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들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알게 될 것이다.
- 도 1은 휴지 위치에 있는 혼 제어 장치의 초기 실시예를 나타낸다.
- 도 2는 눌린 위치에 있는 도 1로부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 도 3은 휴지 위치에 있는 혼 제어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 도 4는 눌린 위치에 있는 도 3으로부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 도 5는 휴지 위치에 있는 혼 제어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 도 6은 눌린 위치에 있는 도 5로부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 도 7은 도 5로부터의 제어 장치의 상세를 나타낸다.
- 도 8은 도 1로부터의 제어 장치의 상세를 나타낸다.
- 도 9는 도 1의 제어 장치의 구성요소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 도 10은 휴지 위치에 있는 혼 제어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 도 11은 눌린 위치에 있는 도 8로부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상에 장착된 혼 제어 장치를 나타내며, 본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스티어링 휠의 프레임(10),
- 프레임(10)에 부착되는, 숄더 스크류(41),
- 숄더 스크류의 원통부에 의해 안내되는, 오버몰딩(22)을 갖는 플레이트(21)를 포함하는 패널(20),
- 오버몰딩(22)의 후크들(24)에 의해 유지될 때 패널(20)에 매립되는, 와셔(51),
- 복귀 수단을 형성하고, 숄더 스크류(41)의 숄더링에 대항하여 패널(20)로부터 와셔(51)를 뒤로 밀기 위한 지지체로서 프레임(10)을 사용하는 스프링(31).
따라서, 플레이트(20)는 스프링(31)에 의해 도 1로부터 상향으로 밀리고, 따라서 그것은 휴지 위치에 있고, 플레이트(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 스크류(41)를 따라 활주하여 눌린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20)은 사용자가 혼을 울리고자 할 때 사용자에 의해 도 1의 휴지 위치로부터 도 2의 눌린 위치로 밀어내질 수 있는 제어부를 형성한다. 접점(23)은 프레임(10) 상에서 자체를 지지하는 스트로크의 단부에서의 스토퍼를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와셔(51)와 함께 숄더 스크류(41)는 패널(20)을 휴지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 및 특히 정지 수단을 형성하는데, 이는 그것이 스프링(31)에 의해 거기서 뒤로 밀리기 때문이다.
전형적으로, 패널(20)은 매립된 안전 모듈(에어백)을 갖고, 사용자는 혼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후자를 누른다. 따라서, 안전 모듈은 패널(20)에 매립되고, 스티어링 휠의 프레임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그러나, 제어부는 다른 실시예에서 단지 안전 모듈의 덮개 또는 후드일 수 있다.
패널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2 접촉 단자를 형성하는 와셔(51), 및 숄더 스크류(41)의 숄더의 표면(52) - 이는 이어서 제1 접촉 단자를 형성함 - 을 갖는 전기 스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어서, 전기 회로는 다음에 의해 형성된다:
- 프레임(10),
- 숄더 스크류(41),
- 초기 접촉 단자(표면(52)),
- 제2 접촉 단자(와셔(51)),
- 한편으로는 프레임(10)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와셔(51)에 연결되고, 전기 회로의 개방, 즉 와셔(51)가 표면(52)과 더 이상 물리적으로 그리고/또는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순간을 검출하도록 배열된, 전자장치 유닛(53).
다시 말하면, 제1 접촉 단자(표면(52))는 슬라이딩 바(숄더 스크류(41))의 일부이고, 제2 접촉 단자(와셔(51))는 슬라이드(오버몰딩(22))의 일부이다. 그러나, 반대의 구성이 예상될 수 있는데, 즉, 제1 접촉 단자가 슬라이드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는 제2 접촉 단자를 둘러싸고 그에 대해 활주할 수 있고, 제2 접촉 단자는 이어서 슬라이딩 바의 일부가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어 검출은 패널(10)이 이동되는 순간에 발생하며, 이는 매우 신속한 검출을 달성하고, 이것은 매우 낮은 값들, 즉 1 mm 미만에서 패널의 스트로크(도 1 상의 간극 "j"로 도시됨)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진동을 제한하기 위해 스프링(31)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스트로크가 작기 때문이고(따라서 탄성 노력은 이러한 작은 스트로크와 함께 약간 증가함), 심지어 혼을 울리기 위해 스트로크의 단부에서 스토퍼에 도달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특히, 1 mm 이하, 우선적으로 0.5 mm 이하, 그리고, 심지어 0.3 mm 이하의 스트로크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가동 트림부들의 레벨에서, 종래 기술에서 보여지는 것보다 스티어링 휠의 정적 트림부들과의 간극은 더 작을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약 4 mm의 간극이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간극이 2 mm 미만인 값들로 감소되게 하며, 이는 고객에 의해 인지되는 품질을 향상시킨다.
대안적으로, 가동 트림부와 정적 트림부 사이에 간극 "j"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여러 숄더 스크류들(41)(전형적으로 3개)은, 각각의 단자 유닛의 레벨에서 스위치를 형성하는 옵션과 함께, 여러 위치설정 유닛들 또는 단자 유닛들을 형성하기 위해, 플레이트(20)를 안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스위치들은 단일 전자장치 유닛(53)을 갖는 동일한 전기 회로로부터 병렬로, 또는 직렬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단자 유닛의 각각의 스위치에 대한 전기 회로는 여러 혼 활성화 옵션들을 제공하도록 전자장치 유닛(53)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켜지거나, 적어도 2개의 스위치들이 켜지거나, 모든 스위치들이 켜지자 마자.
이러한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수단이 위에서 볼 때 X 및 Y에서의 2개의 병진이동들을 차단하는 숄더 스크류(41)의 로드, 및 Z(축 숄더 스크류(41))에서의 자유도를 차단하는 표면(52)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회전의 자유도를 차단하는 오버몰딩(22)을 포함한다. 도 1 또는 도 2와 관련하여, 위치설정 수단이 또한, 예를 들어, 위에서 볼 때 숄더 스크류(41)의 축, 또는 축(Z)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인덱스 또는 다른 슬라이딩 바/슬라이드 서브세트를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단지 전기 회로의 관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미 설명된 특징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경우에, 전기 회로는 다음에 의해 형성된다:
- 패널(20)에 매립되고 제2 접촉 단자를 형성하는 와셔(151),
- 숄더 스크류(41)에 고정되고, 제1 접촉 단자를 형성하는 와셔(152),
- 한편으로는 와셔(151)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와셔(152)에 연결된 전자장치 유닛(53).
본 경우에, 보호부(154) 형태의 절연 수단이 숄더 스크류(41)의 헤드와 와셔(152) 사이에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전기 회로는 숄더 스크류(41)도 포함하지 않고 프레임(10)도 포함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위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제1 접촉 단자 및 제2 접촉 단자는 정지 수단을 형성하고, 패널(20)이 휴지 위치(도 3)로 복귀하자마자 기계적으로 맞닿게 되어 전기 회로를 폐쇄한다. 패널이 눌린 위치(도 4)로 들어가는 것으로 이동되자마자 접촉은 끊어진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3 실시예는 단지 전기 회로의 관점에서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미 설명된 특징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경우에, 전기 회로는 다음에 의해 형성된다:
- 패널(20)에 매립된 절연 와셔(255) 상에 형성되고, 제2 접촉 단자를 형성하는 2개의 트랙들(251a, 251b),
- 숄더 스크류(41)에 고정되고, 제1 접촉 단자를 형성하는 와셔(252),
- 한편으로는 트랙(251a)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트랙(251b)에 연결된 전자장치 유닛(53).
본 경우에, 보호부(154) 형태의 절연 수단이 한편으로는 숄더 스크류(41)의 헤드와 와셔(252) 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2개의 접촉 트랙들(251a, 251b) 사이에 삽입된다(이는 절연 와셔(255)이다). 결과적으로, 전기 회로는 숄더 스크류(41)도 포함하지 않고 프레임(10)도 포함하지 않는다. 위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접촉 단자 및 제2 접촉 단자는 정지 수단을 형성하고, 패널(20)이 휴지 위치(도 5)로 복귀하자마자 기계적으로 맞닿게 되어 전기 회로를 폐쇄한다. 패널(20)이 눌린 위치(도 6)로 들어가는 것으로 이동되자마자 접촉은 끊어진다. 특히, 와셔(252)는, 전류를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전도하기 위해, 트랙들(251a, 251b)과 동시에 접촉한다. 이러한 구현예는 케이블링이 단일 부품, 패널(20)에 의해서만 지지되기 때문에 전자장치 유닛과의 접속 케이블링을 단순화시킨다.
전형적으로, 혼에는 강한 전류(4 amp 초과)가 공급되는 반면, 제어 장치의 전기 회로에는 제1 접촉 단자와 제2 접촉 단자 사이의 전기 아크의 임의의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약한 전류(1 amp 미만)가 공급된다.
도 7은 절연 와셔(255)의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며, 이는 절연 와셔(255)에 인쇄, 인그레이빙 또는 접합될 수 있는 2개의 트랙들(251a, 251b)을 갖는다.
도 8은 도 1의 제어 장치의 분해도를 나타내며, 이는 총 3개의 위치설정 유닛들(본 명세서에서 정지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은 숄더 스크류(41), 와셔(51) 및 스프링(31)을 포함하여, 패널(20)을 프레임(10)과 맞닿는 상태로 안내하고 배치하고 위치시킨다.
도 9는 전기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와셔(51), 및 패널(20)에 부착될 2개의 클립들의 도면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8로부터의 장치는 제1 접촉 단자(숄더 스크류(41)) 및 제2 접촉 단자(와셔(51))를 각각 갖는 3개의 안내 유닛들을 포함하여, 3개의 상이한 스위치들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경우에서, 숄더 스크류(41)는 단지 정지 수단을 형성한다. 숄더 스크류(41)와 패널(20)의 오버몰딩(22) 사이에 간극이 관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숄더 위치설정 스크류(441)는 그의 원통부 주위에 절연 튜브(453)를 포함하고, 따라서 패널(20)의 원통 보어(452)와 협력하여 안내 수단인 위치설정 수단을 형성하는 원통형 위치설정 접점을 형성한다. 사실상, 이 실시예에서, 스크루(441), 절연 튜브(453) 및 플레이트(21)의 원통 보어(452)는 협력하여 패널(20)의 2 자유도(위에서 볼 때, 2개의 병진이동들 X-Y)를 차단하고, 숄더 스크류(41)는 그것의 측면에서 어느 정도의 자유도(그것의 축을 따른 병진이동)를 차단하여, 오버몰딩(22)과 숄더 스크류(41)의 로드 사이의 간극을 보게 된다.
본 경우에, 전기 회로는 다음에 의해 형성된다:
- 원통 보어(452)와 함께 제2 접촉 단자를 형성하는 플레이트(21),
- 제1 접촉 단자를 형성하는 그의 원통형 측방향 표면의 레벨에서의 위치설정 접점의 극단부(위치설정 숄더 스크류(441)의 헤드),
- 한편으로는 플레이트(21)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위치설정 숄더 스크류(441)에 연결된 전자장치 유닛(53). 다시 말하면, 위치설정 수단은 제1 접촉 단자(스크류(441)의 헤드) 및 제2 접촉 단자(플레이트(21)의 원통 보어(452))를 포함한다. 위치설정 수단은 또한 절연 튜브(453)를 포함한다.
패널(20)이 휴지 위치에 있을 때(도 10), 제1 접촉 단자 및 제2 접촉 단자는 전기 접촉되어 전기 회로를 폐쇄한다. 패널(20)이 눌린 위치(도 11)로 들어가는 것으로 이동되자마자 접촉은 끊어진다. 결과적으로, 전자장치 유닛(53)은 전기 회로의 개방을 검출하고, 혼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변형 및/또는 개선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5)

  1. 차량 스티어링 휠에 매립되도록 배열된 차량 혼 제어 장치로서,
    - 베이스부(10),
    - 휴지 위치와 눌린 위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10)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어부(20),
    - 상기 제어부(20)을 상기 눌린 위치로부터 상기 휴지 위치로 뒤로 밀도록 배열된 탄성 복귀 수단(31),
    - 상기 휴지 위치를 상기 제어부(20)에 부과하도록 배열된 위치설정 수단(41),
    - 상기 제어부(20)에 매립된 제2 접촉 단자(51; 151; 251a, 251b; 21, 452), 및 상기 베이스부(10)에 고정된 제1 접촉 단자(52; 152; 252; 44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설정 수단(41)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20)을 상기 휴지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배열되는 상기 제1 접촉 단자(52; 152; 252; 4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혼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41)은, 상기 복귀 수단에 의해 상기 휴지 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제어부(20)에 대한 기계적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제1 접촉 단자(52; 152; 252)를 포함하는 정지 수단인, 차량 혼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41)은 안내 수단이며,
    - 상기 제1 접촉 단자(52; 152; 252; 441)로부터의 또는 상기 제2 접촉 단자(51; 151; 251a, 251b; 21, 452)로부터의 하나는 슬라이딩 바의 일부이고,
    - 상기 제1 접촉 단자(52; 152; 252; 441) 또는 제2 접촉 단자(51; 151; 251a, 251b; 21, 452)로부터의 다른 하나는 슬라이드의 일부여서,
    상기 복귀 수단에 의해 상기 휴지 위치로 되돌려진 상기 제어부(20)을 안내하기 위한, 차량 혼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 상기 슬라이딩 바는 전기를 전도하는 단자 부분, 및 전기적 절연 부분(453)을 포함하고,
    -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슬라이딩 바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암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 혼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41)은 전기를 전도하고 상기 전기 회로의 일부인, 상기 제1 접촉 단자(52)를 형성하는 로드(rod)를 포함하는, 차량 혼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숄더형인(shouldered), 차량 혼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는 전기를 전도하는 재료이고 상기 전기 회로의 일부인, 차량 혼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는 차량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열되는, 차량 혼 제어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41)은 전기적 절연성인 절연부(15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단자(152) 또는 상기 제2 접촉 단자(151) 중 하나는 상기 절연부(154) 상에 형성된 금속 부분이고, 상기 제1 접촉 단자(152) 또는 제2 접촉 단자(151)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금속 부분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전도부인, 차량 혼 제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41)은 전기적 절연성인 절연부(255)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단자(252) 또는 상기 제2 접촉 단자(251a, 251b) 중 하나는 상기 절연부(255) 상에 형성된 2개의 전기 트랙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단자(252) 또는 상기 제2 접촉 단자(251a, 251b)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2개의 전기 트랙들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전도부인, 차량 혼 제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혼 제어 장치는 제1 접촉 단자(52; 152; 252; 441) 및 제2 접촉 단자(51; 151; 251a, 251b; 21, 452)를 각각 갖는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수단(41)은 복수의 위치설정 유닛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제1 접촉 단자들(52; 152; 252; 441) 중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혼 제어 장치.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위치와 상기 눌린 위치 사이의 상기 제어부(20)의 스트로크는 1 mm 미만인, 차량 혼 제어 장치.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귀 수단(31)은 20N 초과의 복귀력을 가하도록 배열되는, 차량 혼 제어 장치.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혼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15. 제14항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휠을 포함하는 모터 차량.
KR1020197029223A 2017-03-14 2018-03-12 차량의 혼 제어 장치 KR102264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2051A FR3063942B1 (fr) 2017-03-14 2017-03-14 Dispositif de commande d’avertisseur sonore de vehicule
FR1752051 2017-03-14
PCT/EP2018/056085 WO2018166974A1 (fr) 2017-03-14 2018-03-12 Dispositif de commande d'avertisseur sonore de vehic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418A KR20190125418A (ko) 2019-11-06
KR102264140B1 true KR102264140B1 (ko) 2021-06-11

Family

ID=5938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223A KR102264140B1 (ko) 2017-03-14 2018-03-12 차량의 혼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20554B2 (ko)
EP (1) EP3595930A1 (ko)
JP (1) JP6933723B2 (ko)
KR (1) KR102264140B1 (ko)
CN (1) CN110382298B (ko)
FR (1) FR3063942B1 (ko)
WO (1) WO2018166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6005546T5 (de) 2015-12-04 2018-08-23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Kraftabtastendes Warnhornsystem
FR3085909B1 (fr) * 2018-09-13 2021-05-28 Autoliv Dev Volant de vehicul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commande d'avertisseur sonore
US11498481B2 (en) 2019-04-03 2022-11-15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Minimum travel horn system
FR3095618B1 (fr) 2019-05-03 2021-04-02 Autoliv Dev Dispositif de commande d’avertisseur sonore de véhicule
US11518334B2 (en) 2019-06-24 2022-12-06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e-fixing an airbag module during installation
FR3102115B1 (fr) 2019-10-18 2022-09-16 Autoliv Dev Dispositif d'avertisseur sonore de volant de véhicu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811A (ja) 2003-06-30 2005-02-10 Takata Corp ホーンスイッチ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6331915A (ja) 2005-05-27 2006-12-07 Piolax Inc ホーンスイッチ装置
JP2008146980A (ja) * 2006-12-08 2008-06-26 Tokai Rika Co Ltd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DE102006016160A1 (de) 2006-04-06 2008-07-31 Marquardt Gmbh Lenkrad mit Schalter
WO2012067131A1 (ja) 2010-11-19 2012-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435U (ja) * 1984-04-28 1985-11-20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常閉接点付ラバ−スイツチ
JPS62160428U (ko) * 1986-03-31 1987-10-12
US6119545A (en) 1996-12-24 2000-09-19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horn switch
JP2007035609A (ja) * 2004-12-10 2007-02-08 Takata Corp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6228700A (ja) * 2004-12-17 2006-08-31 Tkj Kk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101121408A (zh) * 2007-07-31 2008-02-13 张兔生 无人驾驶有轨电轿车及系统设计方案的发明
AU2014277738B2 (en) * 2013-12-19 2020-04-30 The Raymond Corporation Integrated touch screen display with multi-mode functionality
CN104465174B (zh) * 2014-12-09 2017-04-12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安全的喇叭开关
DE102015206367A1 (de) * 2015-04-09 2016-10-13 Takata AG Lenkradbaugruppe für ein Lenkrad eines Kraftfahrzeug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811A (ja) 2003-06-30 2005-02-10 Takata Corp ホーンスイッチ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6331915A (ja) 2005-05-27 2006-12-07 Piolax Inc ホーンスイッチ装置
DE102006016160A1 (de) 2006-04-06 2008-07-31 Marquardt Gmbh Lenkrad mit Schalter
JP2008146980A (ja) * 2006-12-08 2008-06-26 Tokai Rika Co Ltd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WO2012067131A1 (ja) 2010-11-19 2012-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6974A1 (fr) 2018-09-20
FR3063942B1 (fr) 2021-12-10
FR3063942A1 (fr) 2018-09-21
KR20190125418A (ko) 2019-11-06
CN110382298A (zh) 2019-10-25
CN110382298B (zh) 2023-01-31
JP2020537282A (ja) 2020-12-17
US11420554B2 (en) 2022-08-23
US20210347299A1 (en) 2021-11-11
JP6933723B2 (ja) 2021-09-08
EP3595930A1 (fr)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140B1 (ko) 차량의 혼 제어 장치
US11548439B2 (en) Vehicle horn control system
US10254839B2 (en) Impact feedback operation device
US20150041294A1 (en) Multi-instruction switch for enhancing electrical insulation
JP7181383B2 (ja) ホーン制御装置を備える車両用ハンドル、かかるハンドルを有する車両、かかるハンドルの組み立て方法
AU2006238386A1 (en) Signaling pen
KR20190053274A (ko)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US9698775B2 (en) Operating device for an electrical apparatus, in particular for a vehicle component
US8987623B2 (en) Slide switch for use in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3201131A (ja) 電流のためのホイルスイッチ
KR101300200B1 (ko)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US11833962B2 (en) Vehicle horn operating device
JP5228900B2 (ja) 車両用スイッチ
US10636588B2 (en) Shift operating element
US10493942B2 (en) Device for operating horn of vehicle
KR102224396B1 (ko) 스위치
CN107644751B (zh) 操作单元的组装结构
KR102314926B1 (ko)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JP2014107256A (ja) スイッチ装置
US9117606B2 (en) Multi-instruction switch for enhancing electrical insulation
JP7420056B2 (ja) 電磁継電器
JP2017209823A (ja) プリンタ
CN110690067A (zh) 按压式开关装置
JPH07282682A (ja) スイッチ機構
JP2002373546A (ja) スイッ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