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926B1 -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926B1
KR102314926B1 KR1020150169590A KR20150169590A KR102314926B1 KR 102314926 B1 KR102314926 B1 KR 102314926B1 KR 1020150169590 A KR1020150169590 A KR 1020150169590A KR 20150169590 A KR20150169590 A KR 20150169590A KR 102314926 B1 KR102314926 B1 KR 10231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fixed
mounting member
support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575A (ko
Inventor
이장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9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0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adio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는: 오디오의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베이스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연결되며 차체에서 연장된 장착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와, 장착부재를 사이에 두고 제1지지부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장착부재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 및 일측은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타측은 제1지지부에 구비된 중공홀부를 통해 장착부재를 가압하며 베이스판과 장착부재를 통전시키는 탄성접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MOUNTING DEVICE FOR CAR STEREO}
본 발명은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디오를 차체에 고정하는 작업과 접지하는 작업이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장착구조가 이격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라디오와 C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한 각종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가 설치된다. 차량 오디오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이상전압으로부터 오디오를 보호하기 위하여 접지가 이루어진다.
오디오의 접지는 오디오와 차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오디오를 차량의 실내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 고정작업도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오디오의 장착작업과 오디오의 접지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디오를 차체에 고정시킬 때, 오디오와 차체를 연결하는 부재의 벌어짐으로 차량 주행중 소음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15246호(2006.11.28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오디오의 장착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를 차체에 고정하는 작업과 접지하는 작업이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장착구조가 이격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는: 오디오의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베이스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연결되며 차체에서 연장된 장착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와, 장착부재를 사이에 두고 제1지지부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장착부재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 및 일측은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타측은 제1지지부에 구비된 중공홀부를 통해 장착부재를 가압하며 베이스판과 장착부재를 통전시키는 탄성접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재의 상부면이 베이스판의 하측에 접한 상태에서 열융착에 의해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재는, 상측은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하측은 베이스판의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몸체 및 고정몸체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측은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하측은 제1지지부에 고정되는 날개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지지부는, 일측은 고정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고정몸체의 측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며 내측에는 중공홀부가 형성되는 제1지지몸체 및 제1지지몸체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굽어져서 장착부재의 진입을 안내하는 제1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접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도체이며, 상측은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하측은 중공홀부를 통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장착부재의 상측을 탄성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접지부재는, 베이스판에 고정되어 베이스판과 통전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중공홀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하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굽어져서 장착부재를 가압하는 탄성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지지부는, 일측은 고정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고정몸체의 측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지지몸체 및 제2지지몸체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굽어져서 제1안내부재와 함께 장착부재의 진입을 안내하는 제2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는, 차체에서 연장된 장착부재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로 삽입되어 탄성접지부재에 의해 상측이 가압되므로, 오디오를 차체에 고정하는 작업과 접지하는 작업이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부재의 상하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변형이 방지되는 구조를 제공하며, 장착부재와 제1,2지지부 사이의 이격을 방지하므로 소음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로 진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로 진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의 양측에 가이드바가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로 진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로 진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의 양측에 가이드바가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1)는, 오디오(10)의 베이스판(12)에 고정되며 베이스판(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30)와, 고정부재(30)에 연결되며 차체(20)에서 연장된 장착부재(22)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40)와, 장착부재(22)를 사이에 두고 제1지지부(4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고정부재(30)에 연결되어 장착부재(22)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50)와, 일측은 베이스판(12)에 고정되며 타측은 제1지지부(40)에 구비된 중공홀부(44)를 통해 장착부재(22)를 가압하며 베이스판(12)과 장착부재(22)를 통전시키는 탄성접지부재(60)를 포함한다.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오디오(10)의 하측에는 도체 재질의 베이스판(12)이 구비된다. 베이스판(12)의 하측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1)가 설치되어 오디오(10)를 차체(20)에 고정시키는 작업과 접지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오디오(10)와 이격된 차체(20)에서 베이스판(12)의 하부를 향하여 장착부재(22)가 연장된다. 장착부재(22)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편 형상으로 형성된다. 장착부재(22)는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22)의 양측에 가이드바(25)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바(25)는 장착부재(22)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며, 제2지지몸체(52)와 보강날개(80)에 접하며 장착부재(22)가 제2지지부(50)의 측방향으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는 오디오(10)의 베이스판(12) 하측에 고정되며, 베이스판(1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플라스틱을 이용한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지며, 고정부재(30)의 상부면이 베이스판(12)의 하측에 접한 상태에서 열융착에 의해 베이스판(12)에 고정된다.
고정부재(30)는 고정몸체(32)와 날개몸체(34)를 포함한다. 고정몸체(32)와 날개몸체(34)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 성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30)는 PBT(Polybutylen Terephthalate) 수지로 사출성형된다. PBT 수지는 강도와 내열성과 전기절연성 등이 뛰어난 수지이다.
고정몸체(32)의 상측은 베이스판(12)에 고정되며 고정몸체(32)의 하측은 베이스판(12)의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몸체(32)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체결몸체(72)의 상측면은 베이스판(12)에 접한 상태에서 고정부재(30)에 의해 베이스판(12) 하부에 고정된다.
날개몸체(34)는 고정몸체(32)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측은 베이스판(12)에 고정되며 하측은 제1지지부(40)에 고정되므로, 제1지지부(40)의 흔들림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한다.
고정부재(30)의 횡단면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재(30)를 도전체인 베이스판(1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체결부재(70)가 사용된다. 체결부재(70)는 체결몸체(72)와 고정머리(74)를 포함하며, 체결몸체(72)는 베이스판(12)의 구멍을 통하여 고정부재(30)의 상부면에 열융착으로 고정된다. 체결몸체(72)의 상측에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된 고정머리(74)는 열융착에 의해 베이스판(12)에 상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부재(30)는 체결부재(70)를 사용해 베이스판(12)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1지지부(40)는 고정부재(30)에 연결되며, 차체(20)에서 연장된 장착부재(22)의 일측(도 3기준 상측)에 위치한다. 날개몸체(34)의 하측에 위치한 제1지지부(40)는 날개몸체(34)와 함께 성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40)는 제1지지몸체(42)와 제1안내부재(46)를 포함한다.
제1지지몸체(42)의 일측(도 3기준 좌측)은 고정몸체(32)에 연결되며, 제1지지몸체(42)의 타측(도 3기준 우측)은 고정몸체(32)의 측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1지지몸체(4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지지몸체(42)의 내측에는 중공홀부(44)가 형성된다.
제1안내부재(46)는 제1지지몸체(42)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굽어져서 장착부재(22)의 진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장착부재(22)가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의 사이로 진입될 때, 장착부재(22)의 진입위치가 어긋나도 제1안내부재(46)를 따라 제1지지몸체(42)와 제2지지몸체(52)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지지부(50)는 장착부재(22)를 사이에 두고 제1지지부(4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고정부재(30)에 연결되어 장착부재(22)의 타측(도 3기준 하측)에 위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50)는 제2지지몸체(52)와 제2안내부재(54)를 포함한다.
제2지지몸체(52)의 일측은 고정몸체(32)에 연결되며 타측은 고정몸체(32)의 측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2지지몸체(5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장착부재(22)가 진입되는 공간만큼 제1지지몸체(42)와 이격되어 제1지지몸체(42)의 하측에 설치된다.
제2안내부재(54)는 제2지지몸체(52)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굽어져서 제1안내부재(46)와 함께 장착부재(22)의 진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제2지지부(50)의 양측에 연결되는 보강날개(80)는 고정부재(30)에 연결된다. 제2지지부(50)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보강날개(80)의 일단은 고정부재(30)의 측면에 접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제2지지부(50)의 흔들림을 방지하므로 제2지지부(50)가 장착부재(22)에 접하여 발생되는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30)와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와 보강날개(80)를 일체로 사출 성형되므로, 조립과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의 사이에는 장착부재(22)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의 사이로 차체(20)와 연결된 장착부재(22)가 삽입될 때, 탄성접지부재(60)가 장착부재(22)의 상측을 탄성 가압하므로 장착부재(22)의 흔들림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22)의 일단은 고정몸체(32)의 측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의 사이에 고정된다. 플라스틱을 재질로 성형되는 고정몸체(32)와 전도성 재질로 성형되는 장착부재(22)가 서로 이격되게 조립되므로, 장착부재(22)가 고정몸체(32)에 접하면서 발생되는 래틀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접지부재(60)의 일측(도 3기준 상측)은 베이스판(12)에 고정되며, 탄성접지부재(60)의 타측(도 3기준 하측)은 제1지지부(40)에 구비된 중공홀부(44)를 통해 장착부재(22)를 가압하며, 베이스판(12)과 장착부재(22)를 통전시켜 누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한다.
베이스판(12)과 장착부재(22)와 차체(20)는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성형되며, 베이스판(12)과 장착부재(22)를 연결하는 탄성접지부재(60)는 탄성을 갖는 도체로 소정의 폭을 갖는 스프링강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접지부재(60)의 상측은 베이스판(12)에 고정되며, 하측은 중공홀부(44)를 통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장착부재(22)의 상측을 탄성 가압하므로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의 사이로 삽입된 장착부재(22)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접지부재(60)는, 베이스판(12)에 고정되어 베이스판(12)과 통전되는 고정부(62)와, 고정부(6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중공홀부(44)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하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굽어져서 장착부재(22)를 가압하는 탄성연장부(64)를 포함한다.
고정부(62)는 베이스판(12)의 하측에 고정되며 베이스판(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고정부(62)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굽어진 후 다시 상측으로 굽어져서 "U"자 형상을 형성하거나 "V"자 형상을 형성하는 탄성연장부(64)는 중공홀부(44)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탄성연장부(64)는 장착부재(22)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22)가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의 사이로 진입되기 전에는, 탄성접지부재(60)의 하부가 제2지지부(50)의 상측에 접한 상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22)가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의 사이로 이동되어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위치한다. 장착부재(22)의 이동으로 탄성접지부재(60)가 상측으로 들려지면서 장착부재(22)의 상측을 탄성 가압한다. 따라서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의 사이에 위치된 장착부재(22)의 흔들림이 방지되므로, 장착부재(22)가 제1지지부(40)나 제2지지부(50)에 접하며 발생시키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탄성접지부재(60)가 베이스판(12)과 장착부재(2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므로 접지가 이루어져서 오디오(10)의 작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20)에서 연장된 장착부재(22)가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의 사이로 삽입되어 탄성접지부재(60)에 의해 상측이 가압되므로, 오디오(10)를 차체(20)에 고정하는 작업과 접지하는 작업이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22)의 상하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40)와 제2지지부(50)의 변형이 방지되는 구조를 제공하며, 장착부재(22)와 제1,2지지부 사이의 이격을 방지하므로 소음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10: 오디오 12: 베이스판 20: 차체 22: 장착부재 25: 가이드바
30: 고정부재 상부면 32: 고정몸체 34: 날개몸체
40: 제1지지부 42: 제1지지몸체 44: 중공홀부 46: 제1안내부재
50: 제2지지부 52: 제2지지몸체 54: 제2안내부재
60: 탄성접지부재 62: 고정부 64: 탄성연장부
70: 체결부재 72: 체결몸체 74: 고정머리
80: 보강날개

Claims (7)

  1. 오디오의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며, 차체에서 연장된 장착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상기 장착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지지부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재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된 중공홀부를 통해 상기 장착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장착부재를 통전시키는 탄성접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측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하측은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일측은 상기 고정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몸체의 측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며, 내측에는 상기 중공홀부가 형성되는 제1지지몸체; 및
    상기 제1지지몸체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굽어져서 상기 장착부재의 진입을 안내하는 제1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일측은 상기 고정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몸체의 측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지지몸체; 및
    상기 제2지지몸체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굽어져서 상기 제1안내부재와 함께 상기 장착부재의 진입을 안내하는 제2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측면에 고정되는 보강날개; 및
    상기 장착부재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지지몸체와 상기 보강날개에 접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면이 상기 베이스판의 하측에 접한 상태에서 열융착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몸체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측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하측은 상기 제1지지부에 고정되는 날개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도체이며, 상측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하측은 상기 중공홀부를 통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부재의 상측을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지부재는,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통전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홀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하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굽어져서 상기 장착부재를 가압하는 탄성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7. 삭제
KR1020150169590A 2015-12-01 2015-12-01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KR102314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590A KR102314926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590A KR102314926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575A KR20170064575A (ko) 2017-06-12
KR102314926B1 true KR102314926B1 (ko) 2021-10-21

Family

ID=5921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590A KR102314926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4241B (zh) * 2017-10-29 2020-06-09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汽车音响控制板脱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563Y1 (ko) * 1990-10-11 1993-02-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카 라디오 장착용 브라켓트
KR101342739B1 (ko) * 2007-03-21 2013-12-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 접지장치
KR101424229B1 (ko) * 2012-10-10 2014-07-28 인창전자주식회사 슬림형 마이크로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575A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9997B2 (en) Cable fixing device
KR102264140B1 (ko) 차량의 혼 제어 장치
KR20170011399A (ko) 조향휠 에어백 장치
KR20150002219U (ko) 버스바 절연 결합 장치 어셈블리
JP2015185240A (ja) 給電レール
KR102314926B1 (ko)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5864672B2 (ja) 電力変換装置
CN106061171B (zh) 电子控制单元
KR20150031925A (ko) 모터 및 모터의 하우징 커버
US8884728B2 (en) Stationary contact arm assembly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218687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터미널 고정 방법 및 절연 구조
KR101539595B1 (ko) 차량의 프런트 와이퍼용 모터의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의 인쇄 회로 기판에 구비된 브러시 홀더의 접지 구조
KR20170119959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JP6303144B2 (ja) ブランクパネル
KR102217924B1 (ko) 모터 하우징과 플러그 연결 하우징의 조립체 및 전용 모터 케이싱
KR101222674B1 (ko) 팬 모터용 브러시 홀더 장치
KR102460904B1 (ko) 운전석 에어백 장치
US20240022142A1 (en) Mechanically fixing circuit boards in a motor
KR102469658B1 (ko) 전장품 지지장치
KR101741838B1 (ko)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KR101575911B1 (ko)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KR101980673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2505744B1 (ko) 운전석 에어백 장치
CN114695022B (zh) 一种小型大功率电磁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