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838B1 -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838B1
KR101741838B1 KR1020100089362A KR20100089362A KR101741838B1 KR 101741838 B1 KR101741838 B1 KR 101741838B1 KR 1020100089362 A KR1020100089362 A KR 1020100089362A KR 20100089362 A KR20100089362 A KR 20100089362A KR 101741838 B1 KR101741838 B1 KR 10174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eat plate
brush holder
holder
pig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653A (ko
Inventor
심우섭
김군철
박경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8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2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using AC generators and DC 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01R39/381Brush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pressure to brus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5Spark suppressors associated with the commut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에 별도의 부재로 구성된 브러시 홀더를 결합함으로써 브러시 및 피그테일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하면서도 공간적인 이점을 가지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직류모터의 브러시를 일면에 결합하는 시트 플레이트로서, 내부에 상기 브러시를 수용하며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브러시에 전류를 공급하는 피그테일이 원주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상부에 피그테일 가이드부가 형성된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및 상기 피그테일은 상기 브러시 홀더에 의해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별도의 부재를 통해 브러시가 지지되어 이동이 가이드되고, 피그테일의 유동이 원활한 구조를 가진 시트 플레이트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SHEET PLATE FOR DC MOTOR}
본 발명은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에 별도의 부재로 구성된 브러시 홀더를 결합함으로써 브러시 및 피그테일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하면서도 공간적인 이점을 가지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바퀴와 연결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주행 방향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바퀴와 노면과의 저항이 크거나 스티어링의 장애요인 발생시 조작력이 약화되어 신속한 조작이 어려운 경우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워스티어링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동력장치를 개입하여 조작의 힘을 경감시키도록 하는 장치이다.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을 감지하여 랙 또는 조향축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도와주는 모터를 가동시켜 조향장치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 휠로부터 양측 바퀴까지 이어지는 조향 계통 및 조향 계통에 조향 보조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 동력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 동력기구는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전해지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보조동력을 조향축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모터는 일반적으로 모터축, 시트 플레이트, 정류자, 브러시, 마그넷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시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트 플레이트에 브러시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시트 플레이트(1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출물로서, 중심부에는 모터축(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도록 모터축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브러시(30)가 배치된다.
상기 브러시(30)는 시트 플레이트(10)의 일면에 결합되는 브러시 홀더부(2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일단이 모터축 관통홀(11) 측으로 노출되어 정류자(미도시)에 접속한다.
한편, 상기 브러시(30)에는 정류자로 전류를 흘려주기 위한 피그테일(pigtail)(31)이 연결되어 있는데, 브러시 홀더부(20)에 형성된 가이드부(21) 측에서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브러시(30)는 정류자에 마찰하면서 접촉하기 때문에 브러시 홀더부(20)의 내부에서 시트 플레이트(10)의 직경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브러시(30)의 이동에 따라서 피그테일(31)또는 가이드부(21)를 따라 함께 직경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런데, 브러시 홀더부(20)는 시트 플레이트(10)와 함께 일체로 이루어지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브러시(30) 및 피그테일(31)이 유동함에 따라 마찰열에 의해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피그테일(31)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21)의 공간이 협소하고, 시트 플레이트(10)의 일면에 인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피그테일(31)의 손상의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간적인 문제로 인해 브러시(30)나 피그테일(31)의 결합이 어려워 생산 공정의 비효율성의 문제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브러시를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피그테일과 브러시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는, 직류모터의 브러시를 일면에 결합하는 시트 플레이트로서, 내부에 상기 브러시를 수용하며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브러시에 전류를 공급하는 피그테일이 원주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상부에 피그테일 가이드부가 형성된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및 상기 피그테일은 상기 브러시 홀더에 의해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별도의 부재를 통해 브러시가 지지되어 이동이 가이드되고, 피그테일의 유동이 원활한 구조를 가진 시트 플레이트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는,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면, 제1측벽, 제2측벽, 상기 상면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상면의 상부로 절곡된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에서 연장되고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로 이루어진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브러시 및 피그테일의 지지 및 이동의 가이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는,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브러시 홀더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홀더를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홀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브러시 홀더가 효과적으로 시트 플레이트에 안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는,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일면 외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홀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홀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시트 플레이트가 브러시 홀더 및 브러시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는, 상기 홀더 지지부는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일면 외주측에서 와이어를 고정하도록 직경방향 단면이 U자형으로 이루어진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와이어의 배치변경에 유리하며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시트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는, 상기 브러시 홀더는 하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후크를 더 포함하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브러시 홀더와 시트 플레이트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는, 상기 후크는 상기 브러시홀더의 양단부측에 각각 형성된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는,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상기 브러시 홀더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하는 후크 걸림홀을 더 포함하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전술한 내용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는 피그테일이 원주방향으로의 인출되어 직경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가이드되면서도 로터 아세이 방향으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에서는 자연스러운 위치인 로터 아세이에 인접한 브러시 홀더의 측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간에 자연스러운 결합 및 움직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브러시 및 피그테일이 별도의 부재인 브러시 홀더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트 플레이트에 결합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장착이 용이하며 효율적인 공간 활용의 이점이 있다.
한편, 피그테일의 지지가 종래기술에 비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움직이는 과정에서 로터 아세이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간섭에 의한 스파크 발생 또한 예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에 브러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홀더가 결합된 시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의 브러시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와 로터 아세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시트 플레이트(100)의 일면은 로터 아세이(미도시)와 결합되는 방향 즉, 브러시(130)가 결합되는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며, 상방 또는 상부는 상기 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또한, 직경방향은 시트 플레이트(100)의 원반 형상의 지름방향을 의미하며, 길이방향은 브러시 홀더(120)가 안착될 때의 직경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시트 플레이트(100)는 대략 원반 형상을 가진 사출물로서, 절연재질인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피그테일(131)이나 브러시(130)의 직경방향의 유동에 따라 손상의 가능성이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브러시(130)는 외면을 감싸는 형상의 브러시 홀더(120)를 통해 시트 플레이트(100)에 안착된다.
상기 브러시(130)는 피그테일(pigtail)(131)로 호칭되는 일종의 도선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아 정류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종래에는 브러시 홀더가 시트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단순히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상의 문제점은 물론, 결합공정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의 개념에서와 같이 브러시(130) 및 피그테일(131)이 브러시 홀더(120)에 완전하게 자리를 잡은 이후에 브러시 홀더(120)를 시트 플레이트(100)에 결합함에 따라 작동의 안전성은 물론 결합공정의 용이함까지 제공되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브러시 홀더(120)는 대략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브러시(130)가 내부에 수용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삽입된다.
시트 플레이트(100)의 일면에는 상기 브러시 홀더(1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홀더 안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 안착부(110)는 시트 플레이트(100)의 일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홀더 안착부(110)는 브러시 홀더(12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브러시 홀더(12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 안착부(110)에 브러시 홀더(120)가 압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후크(hook)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홀더 안착부(110)의 상부는 브러시 홀더(120)의 상측으로부터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홀더 안착부(110)가 브러시 홀더(120)의 양측에서 각각 2개씩 형성되었지만, 선택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시트 플레이트(100)의 브러시 홀더(120)가 결합되는 외주측에는 브러시 홀더(120)의 외주측 단부에 접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홀더 지지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 지지부(140)는 홀더 안착부(110)와 마찬가지로 시트 플레이트(100)의 일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사출 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부재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홀더 지지부(140)는 상기 브러시 홀더(120)의 일단부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시트 플레이트(100)에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가 연결되는데, 상기 EMI 필터는 전자기기의 노이즈 제거거를 위한 장비로서, 특히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MDPS모터의 경우 안전에 직결되기 때문에 오작동 방지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EMI 필터 와이어(132)가 상기 시트 플레이트(100)에 배열되는데, 와이어(132)를 고정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홀더 지지부(140)가 와이어의 지지부 역할을 함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홀더 지지부(140)는 직경 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U"자 형의 홈에 와이어(132)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경우 와이어의 고정 공정이 단순해지면서도 생산성의 향상으로 이어지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브러시 홀더만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한 브러시 홀더의 구조를 도 4를 기초로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브러시 홀더(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면에는 피그테일(131)이 인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브러시(130)가 일단부측의 브러시 삽입구(125) 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브러시(130)에 연결된 피그테일(131)도 개구의 일단부측으로 함께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브러시 홀더(120)의 좌우측으로는 제1측벽(121)과 제2측벽(122)이 형성되고, 브러시(130)의 측면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한 브러시 홀더(12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양측으로는 소정 넓이 브러시 홀더(120)의 상면을 지지한다.
제1측벽(121)으로부터 연장되는 브러시 홀더(120)의 상면의 단부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부(123)로부터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1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절곡부(124)는 개구의 상측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면에서 바라볼 때 제2절곡부(124)가 개구를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브러시 홀더(120)에 의해, 피그테일(131)이 개구로부터 인출되면서 제2절곡부(124)에 의해 시트 플레이트(100)의 원주방향으로 벤딩되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의 인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피그테일(131)은 제2절곡부(124)와 제2측벽(122)으로부터 이어진 상면과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며 자연스럽게 직경방향으로의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개구와 제2절곡부(124)는 피그테일(131)의 인출 및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부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종래기술에서는 피그테일(131)이 시트 플레이트(100)의 일면에 인접하여 인출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홀더(120)가 적용되는 경우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인출되는 차이가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브러시 홀더(120)의 하부에는 시트 플레이트(100)와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후크(1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126)는 브러시 홀더(12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 양단부측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시트 플레이트(100)의 상기 브러시 홀더(120)가 안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후크(126)에 대응되도록 후크 걸림홀(미도시)가 형성된다.
다만, 도 4에서는 후크(126)가 길이방향으로 두 개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었지만, 선택에 따라 폭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단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후크 형상이 아닌 볼트 방식이나 기둥형상의 돌기가 압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에 브러시와 로터 아세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와 달리 시트 플레이트(100)는 로터 아세이(200)가 하방에 배치된 관계로 상방 및 하방이 역전되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홀더(120)가 배치되는 경우, 피그테일(131)이 원주방향으로의 인출되어 직경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가이드되면서도 로터 아세이(200) 방향으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피그테일(131)의 인출부위가 시트 플레이트(100)에 인접하여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플레이트(100)에서는 자연스러운 위치인 로터 아세이(200)에 인접한 브러시 홀더(120)의 측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간에 자연스러운 결합 및 움직임이 가능한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브러시(130) 및 피그테일(131)이 별도의 부재인 브러시 홀더(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트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장착이 용이하며 효율적인 공간 활용의 이점이 있다.
한편, 피그테일(131)의 지지가 종래기술에 비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움직이는 과정에서 로터 아세이(20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간섭에 의한 스파크 발생 또한 예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시트 플레이트 110...홀더 안착부
120...브러시 홀더 121...제1측벽
122...제2측벽 123...제1절곡부
124...제2절곡부 125...브러시 삽입구
126...후크 130...브러시
131...피그테일 132...와이어
140...홀더 지지부 200...로터 아세이

Claims (8)

  1. 직류모터의 브러시를 일면에 결합하는 시트 플레이트로서,
    내부에 상기 브러시를 수용하고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에 전류를 공급하는 피그테일이 원주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상부에 피그테일 가이드부가 형성된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및 상기 피그테일은 상기 브러시 홀더에 의해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면, 제1측벽, 제2측벽, 상기 상면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개구,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상면의 상부로 절곡된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에서 연장되고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로 이루어진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브러시 홀더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홀더를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홀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일면 외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홀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홀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부는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일면 외주측에서 와이어를 고정하도록 직경방향 단면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는 하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후크를 더 포함하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브러시홀더의 양단부측에 각각 형성된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플레이트의 상기 브러시 홀더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하는 후크 걸림홀;을 더 포함하는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KR1020100089362A 2010-09-13 2010-09-13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KR10174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362A KR101741838B1 (ko) 2010-09-13 2010-09-13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362A KR101741838B1 (ko) 2010-09-13 2010-09-13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653A KR20120027653A (ko) 2012-03-22
KR101741838B1 true KR101741838B1 (ko) 2017-05-30

Family

ID=4613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362A KR101741838B1 (ko) 2010-09-13 2010-09-13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8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9330B1 (fr) * 2015-07-20 2019-03-22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Porte-balais ameliore de moteur electrique de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4415A (ja) * 2003-06-04 2004-12-24 Asmo Co Ltd ブラシホルダ装置及びモ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4415A (ja) * 2003-06-04 2004-12-24 Asmo Co Ltd ブラシホルダ装置及び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653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9066B1 (en) Sheet plate for DC motor
JP3639131B2 (ja) 直流モータの電気ノイズ防止器
KR101848922B1 (ko) 모터의 터미널 연결구조
JPH10201185A (ja) ケーシング接触接続手段を有する整流子型機械
JP7157800B2 (ja) 制御器およびこれを含むモータ組立体
KR20130061283A (ko) Eps모터의 스테이터
KR101741838B1 (ko)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KR101575911B1 (ko)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JP2010154659A (ja) モータ
CN111033978B (zh) 马达和电动助力转向装置
CN111033977A (zh) 马达和电动助力转向装置
JP7395571B2 (ja) モータ
JP5173470B2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KR101758915B1 (ko) 직류모터의 시트 플레이트
KR101283412B1 (ko)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조립체
KR101078205B1 (ko) 플라스틱 부재
JP2009112185A (ja) モータ
CN116458041A (zh) 电机
KR101222674B1 (ko) 팬 모터용 브러시 홀더 장치
JP5805977B2 (ja) 電線導出部のテープ巻き構造
EP1463182B1 (en) Connection terminal for an electric motor
KR102314926B1 (ko) 차량 오디오용 장착장치
CN112271879A (zh) 一种汽车散热风扇驱动用无刷电机
JP2007312453A (ja) 回転電機
JP5173357B2 (ja) 船舶推進機用モータの給電線引出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