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274A -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 Google Patents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274A
KR20190053274A KR1020197012355A KR20197012355A KR20190053274A KR 20190053274 A KR20190053274 A KR 20190053274A KR 1020197012355 A KR1020197012355 A KR 1020197012355A KR 20197012355 A KR20197012355 A KR 20197012355A KR 20190053274 A KR20190053274 A KR 20190053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witch
contact member
movable contact
movemen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437B1 (ko
Inventor
다이키 고야마
시게노부 기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6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by the handle of a vacuum clea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Different switch sites under one actuator in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48Tools; Drill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8Variable resistance by variable contact area or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접점 접촉력을 높여서 내진성을 향상시킨다. 스위치 개폐 기구(7)는, 미끄럼 이동부(6d)와, 제2 가동편(31)과, 제2 고정 접점(31b)을 구비한다. 미끄럼 이동부의 이동량이 제2 인입량에 달하면, 제2 가동편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제2 가동편이 제2 고정 접점과 접촉하고, 미끄럼 이동부의 이동량이 제2 인입량보다 큰 제3 인입량에 달하면, 미끄럼 이동부가 제2 가동편을 제2 고정 접점에 가압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본 발명은,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에 관한 것이다.
전동 공구의 고출력화에 수반하여, 공구의 진동 레벨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의 접점 접촉력이 지금까지 이상으로 필요해지고 있다. 접점 접촉력을 높이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인용 문헌 1에 개시된 트리거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접점 접촉력이란, 스위치의 접점이 다른 쪽의 접점에 가압되는 힘을 의미한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용 문헌 1에 개시된 트리거 스위치(100)는, 한쪽 단부에 제1 가동 접점(111)을 구비함과 함께 다른 쪽 단부에 제2 가동 접점(112)을 구비하고 있다. 트리거 스위치(100)는, 지지 부재(101)로 지지하여 회동하는 가동접편(110)과, 가동접편(110)의 미끄럼 이동면(113)을 압박하면서 미끄럼 이동하여 가동접편(110)을 시소상으로 회동시키는 미끄럼 이동 부재(102)와, 제1 고정 접점(103a)을 갖는 제1 단자(103)와, 제2 고정 접점(104a)을 갖는 제2 단자(104)와, 미끄럼 이동 부재(10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런저(106)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트리거 스위치(100)에서는, 플런저(106)를 압입하면, 미끄럼 이동 부재(102)가 미끄럼 이동면(113)을 우측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미끄럼 이동면(113)에 형성된 돌기상 지지점부(113a)를 통과했을 때 가동접편(110)이 회전하여, 제2 가동 접점(112)이 제2 고정 접점(104a)에 접촉한다.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106)를 더 압입하면, 미끄럼 이동 부재(102)가 미끄럼 이동면(113) 상에서 더욱 우측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그리고, 미끄럼 이동 부재(102)가 가동접편(110)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면(113)의 정상부(113b)에 달하면 미끄럼 이동 부재(102)의 압박력이 높아져, 제2 가동 접점(112)과 제2 고정 접점(104a)이 강하게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100)에서는, 제2 가동 접점(112)과 제2 고정 접점(104a)의 접점 접촉력을 높여서 내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99645호(2015년 5월 28일 공개)」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트리거 스위치(100)에서는, 시소 접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조작의 과정에서 클릭감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시소 접점은, 트리거의 인입량에 따라 구동 대상의 출력을 증대시키는 변속용 스위치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 때문에, 시소 접점 방식에 있어서 클릭감을 소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별도 부품을 추가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트리거 스위치(100)에서는, 큰 접촉력을 확보할 수 있지만, 그 때문에 플런저(106)의 압력이 커짐과 함께, 미끄럼 이동 저항이 커진다. 그 결과, 조작 하중이 커져 버리거나 또는 조작 감촉이 나빠진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목적은, 접점 접촉력을 높여서 내진성을 향상시키는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스위치의 접점 구조는, 조작부와, 제1 가동 접점 부재와,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에 대향하는 제1 대향 접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제1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가 상기 제1 대향 접점 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상기 제1 이동량보다 큰 제2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를 상기 제1 대향 접점 부재에 가압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일 양태의 접점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유저가 조작하는 트리거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전동 공구는, 상기 일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접점 접촉력을 높여서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트리거 스위치의 실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스위치의 접점과 제2 스위치의 접점의 양쪽이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스위치의 판 스프링을 플런저가 압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접점의 양쪽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접점의 양쪽이 개방된 상태를 우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판 스프링을 갖는 제2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스위치의 접점이 폐쇄되고, 또한 제2 스위치의 접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스위치의 접점과 제2 스위치의 접점의 양쪽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 있어서의 트리거의 인입량과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접점 접촉력의 관계 및 트리거의 인입량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의 (a)는 종래의 시소 접점을 갖는 트리거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접점이 개방된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를 나타내는 좌측면 단면도이고, (b)는 접점이 폐쇄된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를 나타내는 좌측면 단면도이고, (c)는, 접점이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접점 접촉력을 높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전동 공구에 마련되는 트리거 스위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동 공구는, 트리거 스위치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는, 예를 들어 임팩트 렌치 등의 전동 공구에 사용되는 스위치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트리거 스위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접점의 양쪽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트리거 스위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상자 형상의 좌측 커버(2a)와 우측 커버(2b)를 대치시켜서 형성된 하우징(2)과, 해당 하우징(2)의 전방면측으로 돌출되어서 마련되어 해당 하우징(2)을 향해서 인입 이동하는 트리거(3)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의 상측에는, 전환 레버(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리거 스위치(1)에 있어서, 트리거(3)가 존재하는 쪽을 전방측으로서 설명한다.
상기 전환 레버(4)는, 트리거(3)가 비조작일 때는, 해당 전환 레버(4)의 선단부가 트리거(3)의 상측에 마련된 중앙 볼록부(3a)에 맞닿아서 해당 트리거(3)의 진출 이동을 로크한다. 한편, 전환 레버(4)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금 회동시킴으로써, 트리거(3)의 상측에 있어서 상기 중앙 볼록부(3a)와 측면벽(3b)의 사이에 형성된 헐겁게 끼워짐용 오목부(3c)에 해당 전환 레버(4)의 선단부가 헐겁게 끼워진다. 이에 의해, 트리거(3)가 하우징(2)을 향해서 진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3)는, 하우징(2)의 전방측에 있어서 상측 부분에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트리거(3)로부터는 조작축(3d)이 하우징(2)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조작축(3d)에는 주름 상자상 통체(3e)가 씌워져 있다.
하우징(2)의 내부에는, 각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베이스(10)와, 미끄럼 이동 부재로서의 플런저(6)와, 개폐 기구로서의 스위치 개폐 기구(7)와, 프린트 기판(8) 등이 수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10)는, 상자 형상에서 일방측의 측면을 잘라낸 형상을 갖고, 베이스(10)의 상측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상기 전환 레버(4)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용 오목부(11)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10)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제2 코일 스프링(32)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 결정 핀(12)과, 제2 가동편(31)을 위치 규제하기 위한 받침대부(13)가 병설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6)는, 베이스(10)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상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6a)을 갖고 있음과 함께, 좌측면에 한 쌍의 가이드 홈(6b·6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관통 구멍(6a)에는, 인입된 트리거(3)를 복귀시키는 복귀 코일 스프링(3f)이 삽입됨과 함께, 한 쌍의 가이드 홈(6b·6b)에는 미끄럼 이동자(6c·6c)가 각각 압입 고정된다. 이 결과, 플런저(6)는, 베이스(10) 내에 있어서, 트리거(3)의 인입 이동에 수반하여 후방측으로 진출 이동함과 함께, 복귀 코일 스프링(3f)의 복귀력에 의해, 트리거(3)의 전방향으로의 복귀 이동에 수반하여 전방향으로 복귀 이동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6)에는, 그 저면에 테이퍼면을 구비한 미끄럼 이동부(6d·6e)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부(6d)는, 제2 스위치(30)의 제2 가동편(31)을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며, 미끄럼 이동부(6e)는, 제1 스위치(20)의 제1 가동편(21)을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다. 미끄럼 이동부(6d)는, 미끄럼 이동부(6e)에 비해서 전후의 길이가 길지만, 미끄럼 이동부(6e)는,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부(6d)에 비해서 전후의 길이가 짧다. 플런저(6) 및 미끄럼 이동부(6d·6e)는, 유저가 조작하는 트리거(3)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조작부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8)은, 베이스(10)의 개구부를 피복 가능한 정면 형상을 갖고, 그 내향면에 도시하지 않은 미끄럼 이동 저항체가 프린트되어 있음과 함께, 마이크로컴퓨터가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8)의 하단부에는, 소켓(8a)이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8)은, 플런저(6)를 수납한 베이스(10)에 끼워 넣어서 조립함으로써, 베이스(10)와 일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런저(6)를 진퇴 이동시킴으로써, 플런저(6)에 설치한 한 쌍의 미끄럼 이동자(6c·6c)가, 프린트 기판(8)의 도시하지 않은 미끄럼 이동 저항체를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이에 의해, 미끄럼 이동 저항체의 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고, 트리거 스위치(1)는, 플런저(6)의 이동량, 나아가서는 트리거(3)의 인입량에 따른 출력을 전동 공구에 부여할 수 있다.
트리거(3)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축(3d)을 구비하고, 조작축(3d)에 삽입한 주름 상자상 통체(3e)의 일단부를 링(3g)으로 빠짐 방지하고 있다. 또한, 트리거(3)는, 주름 상자상 통체(3e)로부터 돌출되는 조작축(3d)의 선단부를 플런저(6)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 결합 구멍에 슬라이드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플런저(6)에 일체화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환 레버(4)는, 회동축부(4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시킴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회전 방향을 역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위치 개폐 기구(7)(스위치의 접점 구조)는, 본 실시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서는, 제1 스위치(20)와 제2 스위치(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5는, 트리거 스위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스위치(20) 및 제2 스위치(30)의 접점의 양쪽이 개방된 상태를 우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트리거 스위치(1)의 판 스프링을 갖는 제2 스위치(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스위치(20) 및 제2 스위치(30)의 구성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위치(20)는, 제1 가동편(21)(제2 가동 접점 부재)과, 해당 제1 가동편(21)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 개폐 단자로서의 제1 가동 접점(21a)과, 이 제1 가동 접점(21a)에 대향해서 마련된 제1 고정 단자로서의 제1 고정 접점(21b)(제2 대향 접점 부재)과, 제1 가동편(21)의 상기 제1 가동 접점(21a)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된 제1 저지부(21c)와, 제1 가동편(21)을 폐쇄 상태의 방향에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코일 스프링(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스위치(30)는, 제2 가동편(31)(제1 가동 접점 부재)과, 해당 제2 가동편(31)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2 개폐 단자로서의 제2 가동 접점(31a)과, 이 제2 가동 접점(31a)에 대향해서 마련된 제2 고정 단자로서의 제2 고정 접점(31b)(제1 대향 접점 부재)과, 제2 가동편(31)의 상기 제2 가동 접점(31a)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된 제2 저지부(31c)와, 제2 가동편(31)을 폐쇄 상태의 방향에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코일 스프링(3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동 접점(21a)에는, 개방 동작 시에 발생하는 아크 방전을 멈추기 쉽도록, 은(Ag) 접점을 사용하고 있다. 단, 이 은(Ag) 접점은, 아크 방전에 의해 표면 형상이 거칠어지기 쉽고, 그 결과, 접촉 저항이 커져, 안정적인 접촉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동 접점(21a)과 제2 가동 접점(31a)의 개폐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고, 한쪽의 접점에서는 아크 방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시 깨끗한 접점인 제2 가동 접점(31a)에 있어서의 접점 접촉력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단, 접점 접촉력이 올라가면 접촉이 안정되기 때문에, 은(Ag) 접점은, 제1 가동 접점(21a)과 제2 가동 접점(31a) 중 어디에 채용 해도 된다. 접점 접촉력이란, 스위치의 접점이 다른 쪽의 접점에 가압되는 힘을 의미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위치(20)의 제1 가동 접점(21a)과 제2 스위치(30)의 제2 가동 접점(31a)은, 각각 제1 가동편(21) 및 제2 가동편(31)을 통해 부극측 단자(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1 스위치(20)의 제1 가동 접점(21a)과 제2 스위치(30)의 제2 가동 접점(31a)은, 제1 스위치(20)의 제1 고정 접점(21b) 및 제2 스위치(30)의 제2 고정 접점(31b)을 통해 정극측 단자(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고정 접점(21b) 및 제2 고정 접점(31b)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스위치(20)와 제2 스위치(30)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1)가 온(폐쇄) 상태일 때, 트리거 스위치(1)에 진동이 인가되었다고 해도, 제1 스위치(20)와 제2 스위치(30)의 양쪽이 동시에 개방 상태가 되지 않으면, 트리거 스위치(1)는 온 상태 그대로이며, 아크 방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제2 스위치(30)의 제2 가동편(31)의 상측에, 2개의 설치 오목부(31d·31d)에 삽입된 판 스프링(33)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판 스프링(33)은, 자유로운 상태에 있어서 만곡된 형상이다. 본 실시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서는, 상기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d)가, 이 판 스프링(33)의 상면을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판 스프링(33)을 압박한다. 나아가서는,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d)가, 제2 가동편(31)을 폐쇄 상태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2 가동편(31)의 제2 가동 접점(31a)이, 제2 고정 접점(31b)에 의해 눌린다. 이 결과, 제2 스위치(30)의 제2 가동 접점(31a)과 제2 고정 접점(31b)의 접점 접촉력을 증대시키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가동편(31)을 폐쇄 상태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강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판 스프링(33))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예를 들어 판 스프링(33) 대신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강체의 제2 가동편(31)에 탄성체의 판 스프링(33)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예를 들어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가동편(31)에 강체의 만곡 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만곡 부재는 판 스프링(33)과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d)가 강체의 만곡 부재를 누르면, 탄성체의 제2 가동편(31)이 탄성 변형한다. 이에 의해, 제2 가동 접점(31a)을 제2 고정 접점(31b)에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은, 트리거 스위치(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스위치(20)의 접점이 폐쇄되고, 또한 제2 스위치(30)의 접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트리거 스위치(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스위치(20)의 접점과 제1 스위치(20)의 접점의 양쪽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은, 트리거 스위치(1)의 제1 스위치(20)의 접점과 제2 스위치(30)의 접점의 양쪽이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스위치(30)의 판 스프링(33)을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d)가 압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상기 구성의 트리거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2, 도 3, 도 7, 도 8 및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4)가, 트리거 스위치(1)의 중립 위치에 존재할 때는, 전환 레버(4)의 선단부가 트리거(3)의 중앙 볼록부(3a)에 접촉함으로써, 트리거(3)를 인입하지 않아, 오조작을 방지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때, 하우징(2)의 내부에서는, 제1 스위치(20) 및 제2 스위치(30)의 양쪽이, 접점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전환 레버(4)를, 상기 회동축부(4a)를 지지점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환 레버(4)의 선단부가 트리거(3)의 한쪽의 측면벽(3b)과 중앙 볼록부(3a)의 사이의 헐겁게 끼워짐용 오목부(3c)에 헐겁게 끼워짐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트리거(3)가 하우징(2)의 내부에 인입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트리거(3)를 인입하기 직전에는, 미끄럼 이동자(6c·6c)가 프린트 기판(8)의 도시하지 않은 미끄럼 이동 저항체에 최대 저항값으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1 스위치(20)에서는, 제1 가동편(21)이 제1 코일 스프링(22)(압축 스프링)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가동편(21)에는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의 회동력이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복귀 코일 스프링(3f)에 가압된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e)에, 제1 가동편(21)의 제1 저지부(21c)가 맞닿음으로써, 제1 가동편(21)의 회동이 규제되고 있다. 그 결과, 제1 스위치(20)는, 제1 가동 접점(21a)이 제1 고정 접점(21b)에 대하여 간격을 가진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스위치(30)는, 제2 가동편(31)이 제2 코일 스프링(32)(신장 스프링)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제2 가동편(31)에는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의 회동력이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복귀 코일 스프링(3f)에 가압된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d)가 제2 가동편(31)의 제2 저지부(31c)에 맞닿음으로써, 제2 가동편(31)의 회동이 규제되고 있다. 그 결과, 제2 스위치(30)는, 제2 가동 접점(31a)이 제2 고정 접점(31b)으로 간격을 가진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트리거(3)를 인입하면, 그 조작축(3d)에 걸림 결합한 플런저(6)가 후방(도 3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을 향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플런저(6)에 조립한 미끄럼 이동자(6c·6c)가 프린트 기판(8)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미끄럼 이동자(6c·6c)가 미끄럼 이동하는 데 수반하여 저항값이 작아지고,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도시하지 않은 동작 램프 등이 점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리거(3)를 더 인입하면,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e)에 의한 제1 스위치(20)의 제1 저지부(21c)에 대한 맞닿음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제1 가동편(21)이 제1 코일 스프링(22)의 스프링력으로 도 7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제1 가동 접점(21a)이 제1 고정 접점(21b)에 접촉한다. 제1 가동 접점(21a)은, 제1 코일 스프링(22)의 스프링력으로만 제1 고정 접점(21b)에 가압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리거(3)를 더 인입하면, 상기 조작축(3d)이 베이스(10)의 안측에 압입되고,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d)에 의한 제2 스위치(30)의 제2 저지부(31c)에 대한 맞닿음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제2 가동편(31)이, 제2 코일 스프링(32)의 스프링력으로 도 8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제2 가동 접점(31a)이 제2 고정 접점(31b)에 접촉한다. 이 단계에서는, 미끄럼 이동부(6d)는 판 스프링(33)에는 접촉해 있지 않고, 제2 가동 접점(31a)은, 제2 코일 스프링(32)의 스프링력으로만 제2 고정 접점(31b)에 가압된다.
도 8의 상태로부터 트리거(3)를 더 인입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축(3d)이 베이스(10)의 안측까지 더 압입되고,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d)가 제2 스위치(30)에 마련한 판 스프링(33)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미끄럼 이동부(6d)가 판 스프링(33)을 제2 가동 접점(31a) 측에 압입하게 된다. 판 스프링(33)의 탄성적인 가압에 의해, 제2 스위치(30)의 제2 가동 접점(31a)이 제2 고정 접점(31b)에 더 가압되고, 제2 가동 접점(31a)과 제2 고정 접점(31b)의 접점 접촉력이 더욱 증가한다. 이때, 미끄럼 이동 저항값이 최소가 되고, 상기 미끄럼 이동자(6c·6c)에 최대 전류가 흘러,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에서 도시하지 않은 모터(구동 대상)의 회전수가 최대가 되도록 신호가 출력된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서는, 제2 스위치(30)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33)에 의해, 제2 스위치(30)의 접점 접촉력이 증가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작업자가 트리거(3)를 인입하는 힘을 느슨하게 하면, 복귀 코일 스프링(3f)의 스프링력에 의해 플런저(6)가 되밀리고, 미끄럼 이동자(6c·6c)가 프린트 기판(8) 위를 역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그리고,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d)가 제2 스위치(30)의 제2 가동편(31)을 전술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 제2 스위치(30)의 제2 가동 접점(31a)이 제2 고정 접점(31b)으로부터 개리된다. 그 후, 제1 가동편(21)이 상기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d)에 의해 제1 코일 스프링(2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회동하고, 제1 가동 접점(21a)이 제1 고정 접점(21b)으로부터 개리된다.
또한, 상기 전환 레버(4)를, 회동축부(4a)를 중심으로 하여 중립 위치에서 시계 방향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 레버(4)의 선단부가 트리거(3)의 다른 쪽의 측면벽(3b)과 중앙 볼록부(3a)의 사이의 헐겁게 끼워짐용 오목부(3c)에 헐겁게 끼워짐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전술과 마찬가지로 트리거(3)를 인입하면,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9는, 트리거 스위치(1)에 있어서의 트리거(3)의 인입량과 제1 스위치(20) 및 제2 스위치(30)의 접점 접촉력의 관계 및 트리거(3)의 인입량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의 동작에 의한 제1 스위치(20) 및 제2 스위치(30)의 접점 접촉력과 트리거(3)의 인입량의 관계 및 모터 출력과의 관계에 대해서,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횡축은 트리거(3)의 인입량을 나타내고, 좌의 종축은 접점 접촉력을 나타내고, 우의 종축은 모터 출력을 나타낸다. 모터 출력이 증가하면, 예를 들어 전동 공구의 모터의 회전수가 증가하고, 진동이 증가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리거(3)의 이동량이 인입량 0에서 제1 인입량 L1까지는, 제1 스위치(20) 및 제2 스위치(30)는 개방 상태이고, 각각의 접점 접촉력은, 0이며, 모터 출력도 0이다.
이 상태로부터, 트리거(3)의 이동량이 제1 인입량 L1을 초과한 후, 제2 인입량 L2까지는, 제1 스위치(20)는 폐쇄 상태이고, 또한 제2 스위치(30)는 개방 상태이다. 제1 스위치(20)의 제1 가동 접점(21a)은, 제1 코일 스프링(22)의 스프링력으로만 제1 고정 접점(21b)에 가압된다. 이 결과, 제1 스위치(20)의 접점 접촉력은 접점 접촉력 P1로 유지된다. 또한, 모터 출력(도 9에 있어서의 비스듬한 실선)은, 트리거(3)의 이동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이어서, 트리거(3)의 이동량이 제2 인입량 L2를 초과한 후, 제3 인입량 L3까지는, 제1 스위치(20)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제2 스위치(30)는 폐쇄 상태이다. 제2 스위치(30)의 제2 가동 접점(31a)은, 제2 코일 스프링(32)의 스프링력으로만 제1 고정 접점(21b)에 가압된다. 단, 제2 스위치(30)의 제2 가동 접점(31a)은, 제1 스위치(20)의 접점 접촉력 P1보다 강한 접점 접촉력 P2로, 제2 고정 접점(31b)에 가압된다. 또한, 제1 코일 스프링(22) 및 제2 코일 스프링(32)은, 플런저(6) 및 미끄럼 이동부(6d)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제1 코일 스프링(22) 및 제2 코일 스프링(32)의 스프링력은, 플런저(6) 및 미끄럼 이동부(6d)에는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클릭감을 느끼기 어렵다.
트리거(3)의 이동량이 제3 인입량 L3을 초과한 이후는, 미끄럼 이동부(6d)가 판 스프링(33)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1 스위치(20)는 접점 접촉력 P1로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스위치(30)는 P2보다 더욱 강한 접점 접촉력 P3로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스위치(30)의 제2 가동 접점(31a)은, 제2 코일 스프링(32)의 스프링력에 더해,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d)가 판 스프링(33)을 누르는 힘에 의해, 제2 고정 접점(31b)에 가압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간단화를 위해서, L3의 위치에서, 접점 접촉력이 P3까지 상승하도록 그리고 있지만, 제2 스위치(30)의 접점 접촉력은, L3 이후에 있어서 완만하게 상승할 수 있다. 즉, 트리거(3)의 이동량(미끄럼 이동부(6d)의 이동량)을, L3에서 더욱 증가시키면, 증가한 이동량에 따라 접점 접촉력이 P2에서 P3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것은, 판 스프링(33)이, 플런저(6)의 미끄럼 이동부(6d)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진 면(만곡면)을 갖고 있으며, 판 스프링(33)의 해당 비스듬히 경사진 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부(6d)가 접촉하기 때문이다. 또한, 판 스프링(33)은 볼록하게 만곡된 면을 갖고, 미끄럼 이동부(6d)는 판 스프링(33)의 볼록하게 만곡된 면에 접한다. 그 때문에, 판 스프링(33)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부(6d)와 접촉하는 면이, 미끄럼 이동부(6d)의 이동 방향과 평행해진 상태(도 1의 상태)에서는, 접점 접촉력은 일정해진다.
모터 출력이 큰 상태에서는, 전동 공구의 진동도 커진다. 그 때문에, 더 큰 힘으로 스위치의 접점을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트리거 스위치(1)에서는, 제2 코일 스프링(32)의 스프링력과 판 스프링(33)의 힘의 합력에 의해, 제2 스위치(30)의 접점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가령 진동에 의해 제1 스위치(20)가 일시적으로 개방 상태가 되어도, 보다 강한 접점 접촉력이 작용하는 제2 스위치(30)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채터링 및 아크 방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방 동작 시에 아크 방전을 방지하기 쉬운 은 접점을 갖는 제1 가동 접점(21a)을, 필요 이상으로 강한 힘으로 제1 고정 접점(21b)으로 눌러 붙일 일이 없어진다. 그 때문에, 은 접점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부(6d)는 탄성 변형하는 판 스프링(33)에 맞닿기 때문에, 트리거(3)를 인입할 때의 클릭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부(6d)를 이동시켰을 때, 미끄럼 이동부(6d)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진 판 스프링(33)의 면에 미끄럼 이동부(6d)가 맞닿는다. 그 때문에, 트리거(3)를 인입할 때의 클릭감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점 접촉력을 높여서 내진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클릭감을 소거하고, 또한 트리거(3)의 인입량에 따라 접점 접촉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트리거 스위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판 스프링(33) 대신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2개의 암 중, 한쪽의 암을, 제2 가동편(31)의 한쪽의 설치 오목부(31d)에 고정하고, 다른 쪽의 암을 제2 가동편(31)의 다른 쪽의 설치 오목부(31d)에 고정해도 된다. 미끄럼 이동부(6d)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 부분 등을 누름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33) 대신에 탄성 부재(스프링 또는 고무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가동편(31)에 탄성 부재를 마련하고, 미끄럼 이동부(6d)가 탄성 부재를 눌러서 탄성 변형시킨다. 탄성 변형한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33)과 마찬가지로, 제2 가동 접점(31a)을 제2 고정 접점(31b)에 가압한다. 탄성 부재는, 미끄럼 이동부(6d)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진 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필요한 조작력의 증가를 억제하고, 또한, 제2 가동 접점(31a)을 제2 고정 접점(31b)에 가압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33)과 같이, 볼록하게 만곡된 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트리거 스위치(1)가 전동 공구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트리거 스위치(1)는, 공구 이외의 기계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스위치 개폐 기구(7)는, 트리거 스위치(1)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위치 개폐 기구(7)는, 임의의 기계의 스위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개폐 기구(7)가,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스위치 개폐 기구(7)는, 제2 스위치를 구비하고, 제1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스위치의 접점 구조는, 조작부와, 제1 가동 접점 부재와,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에 대향하는 제1 대향 접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제1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가 상기 제1 대향 접점 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상기 제1 이동량보다 큰 제2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를 상기 제1 대향 접점 부재에 가압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제1 가동 접점 부재와 제1 대향 접점 부재의 접점 접촉력을 높여서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접점 구조는,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상기 제1 이동량보다 큰 제2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를 누름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조작부에 가해지는 반발력이 급격하게 커질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한 채, 접점 접촉력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조작에 있어서의 클릭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접점 구조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상기 제1 이동량보다 큰 제2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탄성 부재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조작 하중으로의 영향을 적게 하고, 필요한 경우에 접점 접촉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접점 구조는,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진 면을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비스듬히 경사진 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조작부가 비스듬히 경사진 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조작부에 가해지는 반발력이 급격하게 커질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접점 구조는, 상기 탄성 부재는, 볼록하게 만곡된 면을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만곡된 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조작부가 만곡된 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조작 하중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접점 구조는,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간이한 구성으로 양호한 조작성 및 높은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접점 구조는, 상기 탄성 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접점 구조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상기 제2 이동량에서 더욱 증가하면,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가 상기 제1 대향 접점 부재에 가압되는 힘이 증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조작부에 가해지는 반발력이 급격하게 커질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접점 구조는, 제2 가동 접점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접점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대향 접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상기 제1 이동량보다 작은 제3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제2 가동 접점 부재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제2 가동 접점 부재가 상기 제2 대향 접점 부재와 접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스위치의 개폐를 행하는(아크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제2 가동 접점 부재 및 제2 대향 접점 부재와,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제1 가동 접점 부재 및 제1 대향 접점 부재를 나눌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점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일 양태의 접점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유저가 조작하는 트리거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전동 공구는, 상기 일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트리거 스위치
2: 하우징
3: 트리거
4: 전환 레버
4a: 회동축부
6: 플런저(조작부)
6d·6e: 미끄럼 이동부(조작부)
7: 스위치 개폐 기구(스위치의 접점 구조)
8: 프린트 기판
10: 베이스
20: 제1 스위치
21: 제1 가동편(제2 가동 접점 부재)
21a: 제1 가동 접점
21b: 제1 고정 접점(제2 대향 접점 부재)
21c: 제1 저지부
22: 제1 코일 스프링
30: 제2 스위치
31: 제2 가동편(제1 가동 접점 부재)
31a: 제2 가동 접점
31b: 제2 고정 접점(제1 대향 접점 부재)
31c: 제2 저지부
32: 제2 코일 스프링
33: 판 스프링(탄성 부재)

Claims (11)

  1. 조작부와,
    제1 가동 접점 부재와,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에 대향하는 제1 대향 접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제1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가 상기 제1 대향 접점 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상기 제1 이동량보다 큰 제2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를 상기 제1 대향 접점 부재에 가압함과 함께,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상기 제1 이동량보다 큰 제2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를 누름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상기 제1 이동량보다 큰 제2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탄성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진 면을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비스듬히 경사진 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볼록하게 만곡된 면을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만곡된 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상기 제2 이동량에서 더욱 증가하면, 상기 제1 가동 접점 부재가 상기 제1 대향 접점 부재에 가압되는 힘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가동 접점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접점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대향 접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의 이동량이 상기 제1 이동량보다 작은 제3 이동량에 달하면, 상기 제2 가동 접점 부재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제2 가동 접점 부재가 상기 제2 대향 접점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의 접점 구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위치의 접점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유저가 조작하는 트리거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스위치.
  10. 제9항에 기재된 트리거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1. (삭제)
KR1020197012355A 2016-12-28 2017-10-19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KR102229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5779A JP6690525B2 (ja) 2016-12-28 2016-12-28 スイッチの接点構造、トリガースイッチ及び電動工具
JPJP-P-2016-255779 2016-12-28
PCT/JP2017/037895 WO2018123223A1 (ja) 2016-12-28 2017-10-19 スイッチの接点構造、トリガースイッチ及び電動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274A true KR20190053274A (ko) 2019-05-17
KR102229437B1 KR102229437B1 (ko) 2021-03-18

Family

ID=6270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355A KR102229437B1 (ko) 2016-12-28 2017-10-19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70245B2 (ko)
JP (1) JP6690525B2 (ko)
KR (1) KR102229437B1 (ko)
CN (1) CN109891540B (ko)
DE (1) DE112017006642B4 (ko)
WO (1) WO20181232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982A (ko) 2021-12-07 2023-06-15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0897B (zh) * 2019-05-23 2024-04-05 科都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开关
CN112786321B (zh) * 2019-11-11 2023-02-17 德丰电创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对电气装置的触发组件锁止的锁止机构
CN113696146A (zh) * 2020-05-21 2021-11-26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电动工具
JP7495851B2 (ja) 2020-09-10 2024-06-05 株式会社マキタ 電動作業機
JP2022046337A (ja) * 2020-09-10 2022-03-23 オムロン株式会社 トリガスイッチ
JP2022138546A (ja) * 2021-03-10 2022-09-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CN113808875B (zh) * 2021-09-14 2024-02-02 中山市狮盾电气有限公司 一种抗变形开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674A (ja) * 1993-01-27 1994-08-12 Omron Corp トリガースイッチ
US6717080B1 (en) * 2003-05-22 2004-04-06 Defond Components Limited Power tool trigger assembly
JP2015099645A (ja) 2013-11-18 2015-05-28 佐鳥エス・テック株式会社 トリガー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1879A (en) 1965-07-02 1973-03-20 Arrow Hart Inc Power control for portable electric tool
JPS5851529U (ja) * 1981-10-02 1983-04-07 オムロン株式会社 開閉装置
JP4354921B2 (ja) * 2005-02-09 2009-10-28 佐鳥エス・テック株式会社 トリガースイッチ回路及び電動工具並びにトリガースイッチ
EP1691385B1 (en) 2005-02-09 2010-05-05 Satori S-Tech Co., Ltd. Trigger switch
JP5811678B2 (ja) * 2011-08-12 2015-11-11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JP6004226B2 (ja) 2012-09-13 2016-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トリガスイッチ及び電動工具
JP5773001B2 (ja) 2014-02-14 2015-09-02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リガースイッチ,電動工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674A (ja) * 1993-01-27 1994-08-12 Omron Corp トリガースイッチ
US6717080B1 (en) * 2003-05-22 2004-04-06 Defond Components Limited Power tool trigger assembly
JP2015099645A (ja) 2013-11-18 2015-05-28 佐鳥エス・テック株式会社 トリガー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982A (ko) 2021-12-07 2023-06-15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70245B2 (en) 2020-09-08
KR102229437B1 (ko) 2021-03-18
JP2018107088A (ja) 2018-07-05
WO2018123223A1 (ja) 2018-07-05
CN109891540A (zh) 2019-06-14
JP6690525B2 (ja) 2020-04-28
DE112017006642B4 (de) 2021-10-21
US20190279831A1 (en) 2019-09-12
DE112017006642T5 (de) 2019-09-26
CN109891540B (zh)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3274A (ko)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JP4941048B2 (ja) トリガスイッチ
US4153829A (en) Pushbutton switch assembly
US9916944B2 (en) Contact mechanism having movable contact pieces, trigger switch and electric tool with same
EP2782111B1 (en) Switch
US7560656B2 (en) Switch device with rapid opening and closing between movable and stationary contacts
EP1854114B1 (en) Push-button operated rocker switch
JP4879335B2 (ja) トリガースイッチ
US5200584A (en) Lever switch
JP2008004322A (ja) スイッチ
US20090223785A1 (en) Switch device for key operation
JP2015153756A (ja) 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電気スイッチ
WO2018235517A1 (ja) スイッチ
JP4899644B2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機構
EP1049121A2 (en) Sliding 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JP4397677B2 (ja) 電動工具用スイッチ
JP6896172B2 (ja) 遮断器
JP2016054090A (ja) スイッチユニット
JP202300805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5241899B2 (ja) スライド接点スイッチ
JP2008282684A (ja) スライド操作型電気部品
JP2016054089A (ja) スイッチユニット
JP2001195953A (ja) スイッチ
JP2011028958A (ja) スライド操作型電気部品
JPS634033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