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113A -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113A
KR20200104113A KR1020190022628A KR20190022628A KR20200104113A KR 20200104113 A KR20200104113 A KR 20200104113A KR 1020190022628 A KR1020190022628 A KR 1020190022628A KR 20190022628 A KR20190022628 A KR 20190022628A KR 20200104113 A KR20200104113 A KR 20200104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haft
housing
switch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세준
정태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4113A/ko
Publication of KR2020010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 및 상기 하우징부(100) 중의 적어도 하나는 사전 설정된 탄성으로 변형 가능한 컨택 바디(123,310b,320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VEHICULAR MULTI-OPERATIONAL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스위치로서,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이루되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는 차량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되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되거나 다양한 기능이 콘솔 스위치로 집중된다.
근래 자동차의 스위치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가 복합적으로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기능의 증대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구조의 경우 유격 불량 등의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여, 차량의 미세한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 내지 동작 후 복귀 과정에서 딱딱한 구성요소 간의 불필요한 접촉 등으로 인한 소음 발생 내지 진동으로 탑승자의 불쾌감을 유발하여 탑승자의 감성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정확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고 유격을 제거 내지 최소화시켜 진동 내지 소음 발생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감성향상을 이루는 구조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 및 상기 하우징부(100) 중의 적어도 하나는 사전 설정된 탄성으로 변형 가능한 컨택 바디(123,310b,320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위치 가변 가능한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디렉셔널 스위치와,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를 평면 상에서 원위치 복귀시키는 디렉셔널 리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상기 하우징 커버(110)과 맞물리어 상기 기판(200)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부 공간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관통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를 구비하는 하우징 홀더(120)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 바디(123,310b,320b)는,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접촉 가능한 영역에 배치된 홀더 바디(123)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는 상기 홀더 바디(12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바디(123)의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20)를 향한 일면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20)에 대응하여 곡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바디(123,310b,320b)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상기 하우징부(100) 측 및 상기 푸시 스위치부(600) 측 중의 적어도 하나와 탄성 접촉하는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상기 하우징 커버(110)과 맞물리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그리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관통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120)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일단에 배치되고 힌지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외주에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가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100)에 노출되고 사전 설정된 길이를 갖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 상에서 상기 하우징 홀더(120)에 대응 배치되는 샤프트 로워 바디(310d) 및 상기 샤프트 로우 바디(310d)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샤프트 어퍼 바디(310a)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는 적어도 상기 샤프트 로워 바디(310d) 및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는: 상기 샤프트 어퍼 바디(310a) 및 상기 샤프트 로워 바디(310d) 중 적어도 상기 샤프트 로워 바디(310d)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샤프트 아우터 로드 바디(31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바디(123,310b,320b)는,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접촉 가능한 영역에 배치된 홀더 바디(123)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는 상기 홀더 바디(123)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 바디(123)의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를 향한 일면은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에 대응하여 곡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의 외주에는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내측에 상기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가 수용 배치되는 홀더 아우터 스톱퍼 수용부(125)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단부에는 상기 홀더 아우터 스톱퍼 수용부(125)를 개방시키고 상기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의 상기 홀더 아우터 스톱퍼 수용부(125)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홀더 아우터 가이드 진입부(127)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판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함께 수직 가동되는 푸시 홀더(610)와, 상기 기판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푸시 스위치(620)와, 상기 푸시 홀더(6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푸시 리턴부(6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610)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에 의하여 수직 가동되는 푸시 홀더 바디(611)와, 상기 푸시 홀더 바디(611)의 외측에서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는 푸시 홀더 사이드(615)와,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615)의 단부에 상기 푸시 스위치(620)를 향하여 상기 푸시 스위치(620)를 가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푸시 홀더 가동부(61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615)의 사이로 상기 푸시 홀더 바디(611)의 단부에는 푸시 홀더 사이드 수용부(616)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측부에는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상기 하우징 베이스(130)로의 안정적인 안착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하우징 홀더 안착 가이드(121)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홀더 안착 가이드(121)의 하단에는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 수용부(616)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 홀더 안착 가이드(121)의 장착 강성을 강화시키는 하우징 홀더 안착 리브(1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의 하단에는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가 돌출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 바디(611)의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의 관통 배치를 허용하는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의 내주로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를 향한 단부에는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에 대응하여 곡면 형성되는 푸시 홀더 바디 관통 경사면(618)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어퍼 바디(310a) 또는 상기 샤프트 로워 바디(310d)의 외주에는 각각 샤프트 어퍼 바디 그립홈(311a) 또는 샤프트 로워 바디 그립홈(311d)이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 어퍼 바디 그립홈(311a) 또는 샤프트 로워 바디 그립홈(311d)에는 샤프트 아우터 로드 바디 그립부(311b)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40)에는 요홈 형성되는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 접촉부(5451)가 구비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상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 접촉부(5451)과 접촉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실내 스티어링 휠 또는 콘솔 스위치 장치 등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 오디오 멀티미디어 장치 내지 공조 장치 등의 차량의 실내 사용되는 전기적 동작을 선택 내지 조정할 수 있도록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스위치 센서 등을 단일 기판 측으로 집중시켜 전기적 배선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킴과 아울러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 증진으로 인한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단일 기판의 사용 등의 컴팩트한 구성 또는 다양한 동작의 배치 영역의 구획 등을 통하여 장착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구성요소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구성요소의 대향 접촉 가능한 부위 등에 러버 재질의 이중 사출 형성 구조를 통하여 접촉 시 발생하는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유격을 제거 내지 최소화하여 컴팩트한 조립 구조를 형성하는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푸시 스위치부의 작동 스트로크를 극대화시켜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키고 오작동 내지 부품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리턴 더미 그루브를 통하여 오조립 가능성을 방지하고 제조 원가를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슬라이드 사이드 가이드를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부의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가동시키는 전방향 가동 스트로크를 거의 균일화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 이질감 형성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및 부분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푸시 스위치의 작동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부의 하우징 커버의 내부 저면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베이스 및 이에 장착된 하우징 홀더의 개략적인 부분 조립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 및 푸시 홀더의 개략적인 부분 조립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홀더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스위치부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홀더 바디 및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홀더 바디 및 샤프트 아우터 로드 바디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베이스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부(100)와 기판(200)과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와 푸시 스위치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는 차량에 사용되는 스위치 유니트로서 다양한 조작 상태 구현을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되는 오디오, 네비게이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차량용 전장 장치 들의 작동 상태를 조정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는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베이스(130)는 기판(200)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베이스(130)의 상단에는 하우징 베이스 리브(131)가 구비되고, 기판(200)의 외주 측면 상으로 하우징 베이스 리브(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판 리브 대응부(204)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맞물리어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에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에는 하기되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운전자 등의 사용자의 조작력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홀더(120)를 더 구비하는데,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 사이에 배치되고,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함께 기판(200)을 지지할 수 있고,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가 이루는 공간을 분리하여 하기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와 푸시 스위치(600) 간의 작동시 간섭 발생을 방지하는 공간 분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판(20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기판(200)에는 다양한 전기 소자가 배치될 수 있고 이들 전기 소자는 기판(200)에 형성되는 배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요소, 예를 들어 플렉서블기판 내지 케이블과 같은 요소들을 통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기판(200)은 본 실시예에서 양면 기판으로 구현되어 양면에 각종 소자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기판(200)의 중앙에는 기판 관통구(202)가 형성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관통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기판(200)의 일단에는 기판 커넥터(201)가 형성되는데, 기판 커넥터(201)에는 커넥터(203)가 연결되고 커넥터(203)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일단이 하우징부(100)에 수용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와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포함한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는 사전 설정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타입으로 구현되고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수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스위치 노브(미도시)가 장착되어 운전자 등의 그립을 원활하게 하여 소정의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본 실시예에서 구형 형상을 취하는데 구체적 설계 사양에 따라 변형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회동 중심을 이루는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하우징 홀더(120)와 하기되는 푸시 스위치부(600)의 푸시 홀더(61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하우징 홀더(120)에,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되는 홀더 바디(123)에 형성되는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를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가 관통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는 축방향 회전 운동, 수평 가압력을 통한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중심으로 하는 틸팅 운동, 및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를 하방향으로 압입하는 압입 푸시 운동 등의 복합적인 운동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디렉셔널 동작, 즉,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를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중심으로 측면 이동시키는 힘을 인가하는 경우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틸팅 동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판(200)의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평면 상에서의 일방향으로의 운동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출력한다.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와 디렉셔널 스위치(560)와 디렉셔널 리턴부(550)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하우징부(100) 내에서 위치 가변 가능한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기판(200)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가동 운동을 이루어,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운동이 기판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평면 운동으로 전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의 디렉셔널 틸팅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기판(200)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디렉셔널 스위치(560)의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가 시소 내지 각회동 운동을 하여 접점 신호를 변화시키는 접촉 스위치로 구현되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기판(200)의 일면으로 기판(200)의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상면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홀더(120)를 통하여 구획 분할되는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가동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와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를 포함하는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하우징 커버(110)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홀더(120) 사이에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중앙에는 미디엄 관통구(533)가 구비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관통을 허용한다.
또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측면에는 미디엄 사이드(535)가 형성되는데, 미디엄 사이드(535)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측면에 제거된 홈을 형성하여 하기되는 디렉셔널 리턴부의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소정의 플레이트 구조를 형성하고,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를 구비하는데,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일면, 즉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고,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아랫면, 즉 하우징 홀더(120)를 향한 일면에 형성된다.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 도 7 참조)는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으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를 향한 저면에 형성되고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데,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맞물리어 상대 운동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가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 및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면 상에서의 가동을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는 요홈 형상으로 그리고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가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양자는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타면, 즉 저면에는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가 형성되는데,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하기되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바텀 가이드(541)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돌기 구조로 그리고 바텀 가이드(541)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는데, 반대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와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와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를 포함하는데,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는 일면 상에 상기 기술된 바텀 가이드(541)가 형성되고, 중앙에 바텀 관통구(542)가 형성된다. 바텀 관통구(542)는 상기 미디엄 관통구(533)와 동심 구조를 이루나, 바텀 관통구(542)의 내경은 미디엄 관통구(533)의 내경보다 작은 값을 구비하는데, 바텀 관통구(542)의 내경은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직경에 근사한 값을 구비하여 바텀 관통구(542)의 내측면은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틸팅 운동시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가 함께 수평면 상에서 이동하는 디렉셔널 틸팅 운동을 이룰 수 있다.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일면 상에는 바텀 슬라이드 돌기(543)가 형성되어 상면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의 접촉면을 최소화시키는 점접촉 구조를 형성하여 접촉 저항을 줄이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 측에 돌기 구조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 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변형이 가능하다.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별개물로 형성되어 바텀 슬라이드 바디와 체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는 미디엄 사이드(535)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는 하기되는 리턴 그루브(557)가 형성된다.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하부에 형성되고,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가 디렉셔널 틸팅 운동을 이루는 경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기판 상으로 바텀 관통구(542)의 인근 외측 등반경 상으로 등간격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디렉셔널 스위치(560)의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가 시소 내지 회동하는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0)는 디렉셔널 스위치(560)와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4개가 구비되고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도 이에 대응하여 4개의 가동면을 갖는 사각형 돌출물 구조를 형성하는데, 각각의 할당된 가동면이 디렉셔널 스위치(560)와 접촉을 이루어 디렉셔널 스위치(560)의 변화된 신호 출력을 생성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3,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저면에 배치되는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사각형 돌출물 구조로 형성되나, 접촉시 원활한 가동을 이루고 디렉셔널 동작시 안정적인 접촉 및 분리 동작을 통하여 디렉셔널 스위치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내곡된 원호 형상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접촉 가동시키기 위한 가동면을 갖는데, 가동면의 하단부는 직각 구조물 구조가 아닌 라운딩 형성되어 완곡한 곡면 하단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 구조로 형성되는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 접촉부(5451)가 구비되고 디렉셔널 스위치(560)의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는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 접촉부(5451)에 접촉하여,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 접촉부(5451)와 디렉셔널 스위치(560)의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와의 접촉 위치가 사전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 상태 확보 및 오조작 방지에 따른 작동 신뢰성을 극대화시키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의 디렉셔널 틸팅 운동, 즉 스위치 샤프트의 틸팅 운동에 의한 수평면 상에서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인 디렉셔널 틸팅 운동은 디렉셔널 톱 슬라이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 및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의 상대 운동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와 미디엄 어퍼 가이드 간의 상대 운동, 미디엄 로워 가이드와 바텀 가이드 간의 상대 운동을 통하여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엄 어퍼 가이드와 미디엄 로워 가이드는 동일 평면 상에 투영되는 경우 각각의 길이가 이루는 방향이 90도 교차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실질적으로 디렉셔널 틸팅 운동의 수평면 상에서의 어느 위치로의 운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디렉셔널 리턴부(550)를 포함하는데, 디렉셔널 리턴부(550)는 스위치 샤프트부에 인가되는 외력 제거후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 및 스위치 샤프트부(300)를 평면 상에서 원위치 복귀시킨다. 디렉셔널 리턴부(550)는 리턴 탄성부(553)와 리턴 플런저(555)와 리턴 그루브(557)를 포함하는데, 리턴 플런저(555)는 하우징부(100)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즉,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커버(110)에는 리턴 장착부(551)가 형성되는데, 리턴 장착부(551, 도 7 참조)에 리턴 플런저(555)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된다. 리턴 플런저(555)는 로드 타입으로 형성되고, 리턴 플런저(555)의 단부는 리턴 그루브(557)를 향하여 배치된다. 리턴 플런저(555)가 배치되는 리턴 장착부(551)에는 리턴 탄성부(553)가 배치되는데, 리턴 탄성부(553)는 리턴 장착부(551)의 내부 일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단은 리턴 플런저(555)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리턴 플런저(555)를 하우징 커버(110)에 대하여 탄성 지지한다.
리턴 그루브(557)는 리턴 플런저(555)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정상 상태의 경우 리턴 플런저(555)와 리턴 탄성부(553)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리턴 플런저(555)를 원위치 복귀시켜, 궁극적으로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데, 리턴 플런저(555)는 하우징부(100)의 리턴 장착부(551)에서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축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축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리턴 탄성부(553)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배치되고, 리턴 그루브(557)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 형성된다.
리턴 그루브(557)는 단순한 컵 단면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다양한 경사면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턴 그루브(557)는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미도시)과 그루브 무빙 포지션(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은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리턴 플런저(555)의 단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그루브 무빙 포지션은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의 외측에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에 외력이 인가되어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가 중심위치로부터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리턴 플런저(555)와 접촉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는 리턴 그루브(557) 이외에 리턴 더미 그루브(557d)가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동일 평면 상에서 투영되는 경우 90도 교차 배치되는데,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는 상기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각 꼭지점 단부 측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 중 하나 이상에는 리턴 플런저(555)의 진입을 제한하는 리턴 더미 그루브(557d)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는 4개가 구비되고 이들 중의 하나 이상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는 리턴 그루브(557) 대신 리턴 플런저(555)의 진입 접촉을 방지하여 조립 작업자가 원치 않는 위치에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즉, 4개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 대응하여 모두 4개의 리턴 플런저가 배치되고 리턴 그루브(557)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4개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 대하여 리턴 플런저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 중의 수 개에는 리턴 그룹(557) 대신 리턴 더미 그루브(557d)가 형성되어 대응 배치되지 않는 설계 구조의 경우 조립자가 리턴 플런저의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오조립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총 4개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를 통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취하되, 리턴 더미 그루브(557d)는 대각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대각 배치되는 2개의 리턴 플런저와 리턴 그루부의 맞물림을 통한 디텐팅 구조를 형성하되 이외의 위치에서는 리턴 플런저의 삽입을 배제하여 소정의 디텐팅 동작을 구현하면서도 비용 절감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렉셔널 리턴부(550)의 간결한 동작을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외력 성분이 인가후 제거되는 경우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가 원위치로 안정적으로 복귀 동작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부(60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데, 푸시 스위치부(600)는 푸시 홀더(610)와 푸시 스위치(620)와 푸시 리턴부(630)를 구비한다.
푸시 홀더(610)는 적어도 일부가 기판(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함께 수직 가동된다. 푸시 스위치(620)는 본 실시예에서 시소 내지 회동 운동하는 접촉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 스위치로 구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되나, 경우에 따라 비접촉식 자기 센서 스위치 및 마그네트 구조, 광센서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푸시 홀더(61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푸시 홀더(610)에 의하여 푸시 스위치(620)가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데, 푸시 스위치(620)는 기판(200)의 저면에 하우징 베이스(130)를 향하여 배치된다. 푸시 리턴부(630)는 푸시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고 푸시 홀더(610)를 탄성 지지하여 푸시 홀더(6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푸시 홀더(610)를 원위치 복귀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시 홀더(610)는 푸시 홀더 바디(611)와 푸시 홀더 사이드(615)와 푸시 홀더 가동부(617)를 포함하는데, 푸시 홀더 바디(611)는 중앙에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를 구비하고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를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 도 14 참조)가 관통 배치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푸시 홀더(610)는 하기되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일부 구성요소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유격을 제거 내지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유동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불필요한 작동 소음을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의 내주로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를 향한 단부에는 푸시 홀더 바디 관통 경사면(618)이 구비되는데, 푸시 홀더 바디 관통 경사면(618)은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에 대응하여 곡면 형성되어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 내지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를 하단 측에서 면접촉 가능한 지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푸시 홀더 바디 관통 경사면(618) 내지 샤프트 하우터 힌지 바디(320b)의 외주면에 작은 돌기가 형성되어 면접촉 대신 점접촉을 통한 접촉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물론, 면접촉 구조이든 또는 점접촉 구조이든 궁극적으로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가 러버 재질로 형성되어 구성요소 간의 경질 재질의 둔탁한 접촉 소음 내지 진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푸시 홀더 사이드(615)는 푸시 홀더 바디(611)의 외측으로 푸시 홀더 바디(61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푸시 홀더 사이드(615)에는 푸시 홀더 가동부(617)가 배치된다. 푸시 홀더 가동부(617)는 푸시 홀더 사이드(615)로부터 스위치 샤프트부(310)의 수직 가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푸시 스위치(620)를 가동시키는데, 푸시 홀더 가동부(617)는 기판(200) 측을 향하여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푸시 홀더 가동부(617)의 단부가 푸시 스위치(620)의 수광부(미도시)와 발광부(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고, 푸시 압입력이 가해져 푸시 홀더 가동부(617)가 이동하는 경우 푸시 스위치(620)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신호 변화를 생성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푸시 홀더 사이드(615)의 사이로 푸시 홀더 바디(611)의 단부에는 푸시 홀더 사이드 수용부(616)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기술된 하우징 홀더(120)의 측부에는 하우징 홀더 안착 가이드(121)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홀더 안착 가이드(121)는 하우징 홀더(120)의 하우징 베이스(130)로의 안정적인 안착 지지 구조를 형성한다. 하우징 홀더 안착 가이드(121)의 하단에는 하우징 홀더 안착 리브(126)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홀더 안착 리브(126)는 하우징 홀더 안착 가이드(121)의 장착 강성을 강화시킨다.
이때, 하우징 홀더 안착 리브(126)는 푸시 홀더 사이드 수용부(616)에 수용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는데, 푸시 홀더 사이드 수용부(616)를 통하여 하우징 홀더 안착 리브(126)와 하우징 홀더(120) 간의 배치 간섭이 방지될 수도 있고, 푸시 홀더(610)의 과도한 상방향 이동이 방지될 수도 있다.
외력이 제거되고 난 후, 푸시 스위치부(60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하여 푸시 리턴부(630)가 더 구비되는데, 푸시 리턴부(630)는 푸시 리턴 바디(631)와 푸시 리턴 사이드(633)와 푸시 리턴 러버캡(635)를 포함한다. 푸시 리턴 바디(631)는 중앙에 푸시 리턴 바디 관통구(632)가 형성되어 소정의 링 형상을 구비하는데,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의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푸시 홀더 바디(611)의 하부에 배치되어 푸시 홀더 바디(611)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푸시 리턴 사이드(633)가 푸시 리턴 바디(621)의 외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푸시 리턴 사이드(633)의 일면으로부터 푸시 리턴 러버캡(635)이 돌출 배치된다. 푸시 리턴 바디, 푸시 리턴 사이드 및 푸시 리턴 러버캡은 일체화될 수도 있고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푸시 리턴 러버캡(635)은 푸시 홀더 사이드(615)를 탄성 지지하여 수직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푸시 홀더를 원위치 복귀시킨다.
또한, 푸시 리턴부를 통한 원위치 복귀하는 경우 푸시 홀더의 안정적인 원위치 복귀를 위한 안내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측에는 베이스 푸시 가이드(133)가 형성되고, 베이스 푸시 가이드(133)를 따라 푸시 홀더 가동부(617)의 측단에 형성되는 푸시 홀더 가동 가이드(619, 도 14)가 삽입되어 안정적인 상대 수직 가동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원치 않는 두 개의 푸시 동작과 디렉셔널 틸팅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져 신호 출력 혼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저면에 형성되는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135)가 형성되고,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135)의 외주에는 베이스 푸시 스톱퍼(137, 도 17)가 형성된다.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는 소정의 요홈 구조를 취하는데, 푸시 동작을 이루는 경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하단에 배치되는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를 수용을 허용한다. 반면, 디렉셔널 틸팅 동작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가 축 길이 방향 압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는 베이스 푸시 스톱퍼(137)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압입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는 구성요소의 유동을 방지하고 구성요소 간의 접촉으로 인한 래틀링 소음을 방지하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는 컨택 바디(123,310b,320b)를 더 구비하는데, 컨택 바디(123,310b,320b)는 스위치 샤프트부(300) 및 하우징부(100)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택 바디(123,310b,320b)가 스위치 샤프트부(300) 및 하우징부(100)에 모두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컨택 바디(123,310b,320b)는 사전 설정된 탄성, 즉 사전 설정된 탄성 계수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컨택 바디(123,310b,320b)는 합성 수지 재의 러버 재질로 구현되고, 스위치 샤프트부(300) 및/또는 하우징부(100)의 구성요소에 이종 재질인 러버 재질로 이중 사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먼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와 하우징 홀더(120)를 구비하고, 컨택 바디(123,310b,320b)는 홀더 바디(123)를 포함하는데, 도 10,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바디(123)는 하우징 홀더(120)의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접촉 가능한 영역 내지 접촉 가능한 대응 영역에 배치되고, 앞서 기술한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가 홀더 바디(123)에 형성된다. 즉, 달리 표현하면 홀더 바디(123)가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를 구획하여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의 내주는 홀더 바디(123)를 구성하는 러버 재질로 형성된다.
홀더 바디(123)는 하우징 홀더(120)의 내측에 이중 사출 공정으로 형성되어 이종 재질인 러버 재질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홀더 바디(123)의 중앙에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가 구획된다.
홀더 바디(123)의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를 향한 일면은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에 대응하여 곡면 형성된다. 즉,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바디(123)가 구획하는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의 하단 저면은 단순 사각 구조가 아닌 곡면 형성되어 홀더 바디 힌지 곡면 대응부(124)를 형성하는데, 홀더 바디 힌지 곡면 대응부(124)는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샤프트 힌지(320) 및/또는 이의 외주에 형성되는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가 홀더 바디(123)와 푸시 홀더(610) 사이에 유격을 제거 내지 최소화된 상태로 구성요소의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동이 방지되는 배치 구조를 통하여 차량의 미세 진동에 의한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래틀링 소음 등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승차 감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홀더 바디 힌지 곡면 대응부(124) 내지 샤프트 하우터 힌지 바디(320b)의 외주면에 작은 돌기가 형성되어 면접촉 대신 점접촉을 통한 접촉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물론, 면접촉 구조이든 또는 점접촉 구조이든 궁극적으로 홀더 바디(123) 내지 홀더 바디 힌지 곡면 대응부(124) 및/또는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가 러버 재질로 형성되어 구성요소 간의 경질 재질의 둔탁한 접촉 소음 내지 진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컨택 바디(123,310b,320b)는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하우징부(100) 측 및 푸시 스위치부(600) 측 중의 적어도 하나와 탄성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와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포함하되,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가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 및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취한다. 여기서,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는 샤프트 로워 바디(310d)와 샤프트 어퍼 바디(310a)를 포함하는데, 샤프트 로워 바디(310d)와 샤프트 어퍼 바디(310a)의 사이에는 샤프트 미디엄 바디(310c)가 배치되고, 샤프트 미디엄 바디(310c)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 상에서 샤프트 로워 바디(310d)의 상단에 배치되고 외주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 측과 접촉 가능한다.
샤프트 로워 바디(310d)와 샤프트 어퍼 바디(310a)의 직경보다는 샤프트 미디엄 바디(310c)의 직경이 큰 구조를 형성한다. 샤프트 미디엄 바디(310c)는 바텀 관통구(542)에 배치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틸팅 동작이 디렉셔널 스위치부로 전달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 미디엄 바디(310c)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샤프트 로워 바디(310d)와 샤프트 어퍼 바디(310a)의 외주에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즉,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는 샤프트 아우터 로드 바디(310b)를 포함하는데, 샤프트 아우터 로드 바디(310b)는 샤프트 어퍼 바디(310a) 및 샤프트 로워 바디(310d) 중 적어도 샤프트 로워 바디(310d)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 아우터 로드 바디(310b)는 샤프트 어퍼 바디(310a) 및 샤프트 로워 바디(310d) 모두에 형성되나 앞서 기술한 홀더 바디(123)와의 중복 배치를 배제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샤프트 아우터 로드 바디(310b)는 축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구성을 취하므로, 이중 사출 형성 구조의 분리 이탈 내지 축 길이방향의 길이를 따른 분리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어퍼 바디(310a) 및 샤프트 로워 바디(310d)의 외주에는 각각 샤프트 어퍼 바디 그립홈(311a) 및 샤프트 로워 바디 그립홈(311d)이 배치되고, 샤프트 어퍼 바디 그립홈(311a) 및 샤프트 로워 바디 그립홈(311d)에는 각각 샤프트 아우터 로드 바디 그립부(311b)가 배치되어, 접촉 면적의 증대에 따른 이중 사출 구조물의 접합력을 강화하고, 종방향으로서의 축길이 방향에 대한 분리 이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는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를 포함하는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는 하부에 배치되는 푸시 홀더(610)와의 접촉 부위에도 형성되어 푸시 스위칭 동작 시 탄성 접촉으로 인한 작동 소음 발생 방지 및 유격 제거 내지 최소화를 통한 유동 방지 및 이로 인한 작동 소음 발생 방지 및 컴팩트한 구조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의 외주면에는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가 배치되는데,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의 대응 위치로 하우징 홀더(120)의 내측에는 홀더 아우터 스톱퍼 수용부(125)가 형성된다. 홀더 아우터 스톱퍼 수용부(125)에는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가 수용 배치되는데,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는 스위치 샤프트부의 일정 각도 이상의 회동시 홀더 바디(123)의 내측 하단 저면과의 접촉 상태를 형성하여 스위치 샤프트부의 과도한 틸팅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가 홀더 아우터 스톱퍼 수용부(125)에 원활하게 수용되도록, 하우징 홀더(120)의 단부에 홀더 아우터 가이드 진입부(127)가 구비될 수 있는데, 홀더 아우터 가이드 진입부(127)는 홀더 아우터 스톱퍼 수용부(125)를 개방시키고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의 홀더 아우터 스톱퍼 수용부(125)로의 진입을 허용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 200...기판
300...스위치 샤프트부 500...디렉셔널 스위치부
600...푸시 스위치부

Claims (14)

  1.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 및 상기 하우징부(100) 중의 적어도 하나는 사전 설정된 탄성으로 변형 가능한 컨택 바디(123,310b,320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상기 하우징 커버(110)과 맞물리어 상기 기판(200)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부 공간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관통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를 구비하는 하우징 홀더(120)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 바디(123,310b,320b)는,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접촉 가능한 영역에 배치된 홀더 바디(123)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는 상기 홀더 바디(123)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바디(123)의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20)를 향한 일면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20)에 대응하여 곡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바디(123,310b,320b)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상기 하우징부(100) 측 및 상기 푸시 스위치부(600) 측 중의 적어도 하나와 탄성 접촉하는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상기 하우징 커버(110)과 맞물리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그리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관통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120)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는 일단에 배치되고 힌지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외주에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가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100)에 노출되고 사전 설정된 길이를 갖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 상에서 상기 하우징 홀더(120)에 대응 배치되는 샤프트 로워 바디(310d) 및 상기 샤프트 로워 바디(310d)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샤프트 어퍼 바디(310a)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는 적어도 상기 샤프트 로워 바디(310d) 및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아우터 바디(310b,320b)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바디(123,310b,320b)는,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접촉 가능한 영역에 배치된 홀더 바디(123)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는 상기 홀더 바디(123)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 바디(123)의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를 향한 일면은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에 대응하여 곡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의 외주에는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내측에 상기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가 수용 배치되는 홀더 아우터 스톱퍼 수용부(12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단부에는 상기 홀더 아우터 스톱퍼 수용부(125)를 개방시키고 상기 샤프트 힌지 아우터 스톱퍼(321b)의 상기 홀더 아우터 스톱퍼 수용부(125)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홀더 아우터 가이드 진입부(12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판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함께 수직 가동되는 푸시 홀더(610)와,
    상기 기판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푸시 스위치(620)와,
    상기 푸시 홀더(6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푸시 리턴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610)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에 의하여 수직 가동되는 푸시 홀더 바디(611)와,
    상기 푸시 홀더 바디(611)의 외측에서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는 푸시 홀더 사이드(615)와,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615)의 단부에 상기 푸시 스위치(620)를 향하여 상기 푸시 스위치(620)를 가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푸시 홀더 가동부(6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615)의 사이로 상기 푸시 홀더 바디(611)의 단부에는 푸시 홀더 사이드 수용부(616)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측부에는 상기 하우징 홀더(120)의 상기 하우징 베이스(130)로의 안정적인 안착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하우징 홀더 안착 가이드(121)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홀더 안착 가이드(121)의 하단에는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 수용부(616)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 홀더 안착 가이드(121)의 장착 강성을 강화시키는 하우징 홀더 안착 리브(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의 하단에는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가 돌출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 바디(611)의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의 관통 배치를 허용하는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의 내주로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를 향한 단부에는 상기 샤프트 아우터 힌지 바디(320b)에 대응하여 곡면 형성되는 푸시 홀더 바디 관통 경사면(6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20190022628A 2019-02-26 2019-02-26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200104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628A KR20200104113A (ko) 2019-02-26 2019-02-26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628A KR20200104113A (ko) 2019-02-26 2019-02-26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113A true KR20200104113A (ko) 2020-09-03

Family

ID=7245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628A KR20200104113A (ko) 2019-02-26 2019-02-26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41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6689B2 (en)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10522308B2 (en)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US10150223B2 (en) Control system with a handling knob
KR101096925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20160052896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8993905B2 (en) Steering wheel mounted switch device
KR100835142B1 (ko) 스크롤 푸싱 스위치 모듈
KR20200104113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256583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20210111402A (ko) 리모트 쉬프트 레버 스위칭 유니트
KR102442657B1 (ko)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20140076349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4812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2506453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20200134852A (ko) 스위칭 유니트
KR102675895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190042834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20200132378A (ko) 스위칭 유니트
KR101555378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JP2014107256A (ja) スイッチ装置
KR102675893B1 (ko) 푸시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JP2019050116A (ja) スイッチ装置
JP2011218968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20180042026A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