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852A - 스위칭 유니트 - Google Patents

스위칭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852A
KR20200134852A KR1020190060962A KR20190060962A KR20200134852A KR 20200134852 A KR20200134852 A KR 20200134852A KR 1020190060962 A KR1020190060962 A KR 1020190060962A KR 20190060962 A KR20190060962 A KR 20190060962A KR 20200134852 A KR20200134852 A KR 20200134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ct
actuator
return detent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섭
노삼종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852A/ko
Publication of KR20200134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5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 배치되는 유니트 노브(200)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내부에 적어도 회전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를 포함하는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와,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유니트 노브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유니트 센싱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상태에 따른 회동력을 상기 유니트 센싱부(400) 측으로 전달하는 액츄에이터 전달부(3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배치되고 상기 유니트 노브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를 구비하는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를 포함하는 스위칭 유니트(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칭 유니트{VEHICULAR MOVABLE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스위치로서, 선택 동작 및/또는 복합 동작 구현을 이루되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되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되거나 다양한 기능이 콘솔 스위치로 집중된다.
근래 자동차의 스위치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가 복합적으로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기능의 증대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된다.
특히, 로터리 동작을 구현하는 스위치의 경우 디텐트 동작 구현시 발생하는 래틀링 소음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감성 만족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로터리 동작의 구현 후 원위치 복귀 복귀 타격음으로 인한 불쾌감을 유발하는 등, 스위치 장치의 감성 품질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정확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고 유격을 제거 내지 최소화시켜 진동 내지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및/또는 외력 제거되어 원위치 복귀시 발생하는 복귀 타격음으로 인한 불쾌감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의 스위칭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5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 배치되는 유니트 노브(200)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내부에 적어도 회전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를 포함하는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와,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유니트 노브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유니트 센싱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상태에 따른 회동력을 상기 유니트 센싱부(400) 측으로 전달하는 액츄에이터 전달부(3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배치되고 상기 유니트 노브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를 구비하는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를 포함하는 스위칭 유니트(10)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5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 배치되는 유니트 노브(200)와, 일단이 상기 유니트 노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적어도 회전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와,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유니트 노브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유니트 센싱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상태에 따른 회동력을 상기 유니트 센싱부(400) 측으로 전달하는 액츄에이터 전달부(3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원주 상에 균등 배치되고 사기는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를 포함하는 스위칭 유니트(10)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두 개가 180도 대향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 측에 형성되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와, 상기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탄성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상기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수용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와,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의 타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접촉하여 프로파일 형상에 따라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의 상대 위치 변동을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35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덴트(359)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과 상기 리턴 디텐트(359)의 접촉 위치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가 최대일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리턴 디텐트(359)는 V자 단면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359)는: 상기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 뉴트럴 포션(3592)과, 상기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 로터리 포션(359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는: 상기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와,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접촉 지지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553)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가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553)는: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일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 연결부(35531)와,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 외측으로 상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접촉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면(35533)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35551a)는 핀 타입이고,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는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에 가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 타입일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는: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단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와, 외주에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컨택 장착핀(3555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는: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의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공간부(35554)와,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요홈 형성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555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5555)는: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컨택 장착핀(35559)의 진입을 허용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5556)와,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5556)와 연결되고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5556)보다 넓은 폭의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컨택 장착핀(35559)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구(3555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5555)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컨택 장착 핀(35559)의 회동 가능하게 장착 수용되는 요홈 구조의 컨택 장착 핀홀(3555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핀(35559)은: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와, 상기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를 지지하는 컨택 장착핀 스톱퍼(35559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는 상기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이 상대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컨택홀(357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35551a)는 그립 타입이고,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는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 타입일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a)는: 일단은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복수 개가 돔 형상을 이루어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를 형성하되, 타단 사이에 컨택 장착 그립 크랙(35555a)으로 적어도 일부가 분리 이격되어 적어도 타단의 일부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5553a)와, 상기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에 배치되어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를 탄성 지지하는 컨택 탄성 지지부(35559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탄성 지지부(35559a)는: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와 접촉하는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와, 상기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의 내부에서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단부와 접촉 지지되어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를 지지하는 컨택 탄성 지지 홀더(355595a)와, 일단은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에 그리고 타단은 컨택 탄성 지지 홀더(355595a)에 연결되어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를 탄성 지지하는 컨택 탄성 지지 브릿지(355593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에는,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를 향한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요홈 형성되는 컨택 탄성 지지 바디 요홈부(355596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전달부(33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외측(외주)에 형성되는 전달 구동부(331)와, 상기 유니트 센싱부(400) 측과 연결되고, 상기 전달 구동부(331) 측과 치합되어 상기 전달 구동부(331)가 회동하는 경우 함께 가동되는 전달 피동부(3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전달 구동부(331)는 상기 전달 피동부(333)와 직접 치합되고, 상기 전달 구동부(331)의 회전 속도(ω331)에 대한 상기 전달 피동부(333)의 회전 속도(ω333)의 속도비(ω333/ω331)는 1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센싱부(400)는: 상기 액츄에이터 전달부(330)의 회동시 함께 회동하는 센싱 가동부(410)와, 상기 센싱 가동부(410)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센싱 가동부(410)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고정부(4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 고정부(420)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가동부(410)는: 상기 액츄에이터 전달부(330) 측과 연결되는 센싱 가동 홀더(411)와, 상기 센싱 고정부(420)에 대향하도록 상기 센싱 가동 홀더(411)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가동 홀더(411)와 함께 가동되는 센싱 가동 마그네트(4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틸팅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츄에이터 틸팅부(37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부(370)의 적어도 일부의 일면 상에 상기 액츄에이터 샤프트(320)가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전달부(330)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부(37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의 적어도 일부와 상대 틸팅 가동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부(37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대 틸팅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와,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에, 그리고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적어도 일부와 맞물림되도록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어,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 간의 상대 틸팅 동작을 허용하는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373,37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 측에 형성되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와, 상기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탄성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상기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수용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와,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의 타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접촉하여 프로파일 형상에 따라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의 상대 위치 변동을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359)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리턴 디텐트(359)는 V자 단면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의 틸팅 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리턴 디텐트(359)는: 상기 유니트 노브(200)에 틸팅 방향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 틸팅 스테이블 포션(3592/P)와, 상기 유니트 노브(200)에 틸팅 방향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 배치되는 유니트 노브(200)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내부에 적어도 회전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를 포함하는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와,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유니트 노브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유니트 센싱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상태에 따른 회동력을 상기 유니트 센싱부(400) 측으로 전달하는 액츄에이터 전달부(3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배치되고 상기 유니트 노브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시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을 적어도 가동 안내하는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를 더 포함하는 스위칭 유니트(10)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5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 배치되는 유니트 노브(200)와, 일단이 상기 유니트 노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적어도 회전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와,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유니트 노브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유니트 센싱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상태에 따른 회동력을 상기 유니트 센싱부(400) 측으로 전달하는 액츄에이터 전달부(3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배치되고 상기 유니트 노브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시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을 적어도 가동 안내하는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를 포함하는 스위칭 유니트(10)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는 인접한 상기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의 사이각을 균등 분할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 측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와, 상기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에 탄성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와, 상기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에 수용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고, 타단에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가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와,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접촉하여 적어도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가동 상태를 안내하는 가이드 댐퍼(369)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 측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와, 상기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에 탄성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와, 상기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에 수용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와, 상기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의 타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의 상대 위치 변동을 형성하여, 적어도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가동 상태를 안내하는 가이드 댐퍼(36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댐퍼(369)는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직접 접촉하는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 반경을 갖는 등반경 프로파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는, 상기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최소 반경값을 갖는 플래너 프로파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는, 상기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최소 반경값을 갖는 하이퍼볼릭 프로파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는: 상기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와, 상기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와 접촉 지지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653)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가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댐핑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653)는: 상기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일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 탄성체 장착 연결부(36531)와, 상기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 외측으로 상기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와 접촉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 탄성체 장착면(36533)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36551,36551a)는 핀 타입이고,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는 상기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에 가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 타입일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36551)는: 상기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단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와, 외주에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컨택 장착핀(3655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는: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의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공간부(36554)와,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요홈 형성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655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6555)는: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컨택 장착핀(36559)의 진입을 허용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6556)와,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6556)와 연결되고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6556)보다 넓은 폭의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컨택 장착핀(36559)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구(3655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6555)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컨택 장착 핀(36559)의 회동 가능하게 장착 수용되는 요홈 구조의 컨택 장착 핀홀(3655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핀(36559)은: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컨택 장착핀 바디(365591)와, 상기 컨택 장착핀 바디(36559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를 지지하는 컨택 장착핀 스톱퍼(36559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는 상기 컨택 장착핀 바디(365591)이 상대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컨택홀(367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36551,36551a)는 그립 타입이고,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는 상기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 타입일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36551a)는: 일단은 상기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복수 개가 돔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6554a)를 형성하되, 타단 사이에 컨택 장착 그립 크랙(36555a)으로 적어도 일부가 분리 이격되어 적어도 타단의 일부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6553a)와, 상기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6554a)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를 탄성 지지하는 컨택 탄성 지지부(36559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탄성 지지부(36559a)는: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와 접촉하는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와, 상기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6554a)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단부와 접촉 지지되어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를 지지하는 컨택 탄성 지지 홀더(365595a)와, 일단은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에 그리고 타단은 컨택 탄성 지지 홀더(365595a)에 연결되어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를 탄성 지지하는 컨택 탄성 지지 브릿지(365593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에는,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를 향한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요홈 형성되는 컨택 탄성 지지 바디 요홈부(365596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원주 상에 균등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실내 스티어링 휠 또는 콘솔 스위치 장치 등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 오디오 멀티미디어 장치 내지 공조 장치 등의 차량의 실내 사용되는 전기적 동작을 선택 내지 조정할 수 있도록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칭 유니트는 로터리 동작 가동시 셀프 리턴 기능을 구현하되 안정적인 리턴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여 오작동 내지 조작 감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칭 유니트는 로터리 동작 가동시 안정적인 가동 동작을 이루도록 하는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여 조작 감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칭 유니트는 로터리 동작 후 외력 제거되어 원위치 복귀시 급격한 복귀로 인한 소음 발생 내지 충격 발생을 방지하여 조작 감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칭 유니트는 로터리 동작 및/또는 틸팅 동작의 외력 제거시 셀프 리턴을 이루되 안정적인 원위치 복귀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액츄에이터 바디를 포함하는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A-A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도면부호 B에 대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도면부호 C에 대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액츄에이터 바디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액츄에이터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도면부호 D에 대한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리턴 디텐트부의 다른 변형예의 부분 사시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변형예의 부분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변형예의 가이드 댐퍼와 액츄에이터 바디의 회전 중심의 거리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댐핑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댐핑부가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바디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댐핑부가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바디의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도면 부호 E에 대한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의 가이드 댐핑부의 다른 변형예의 부분 사시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스위칭 유니트(10)는 유니트 하우징(100)와 기판(200)과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와 푸시 스위치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위칭 유니트(10)는 차량에 사용되는 스위치 유니트로서 변속 기능을 수행하는 변속 스위치를 구현 대상으로 하나, 다양한 조작 상태 구현을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되는 오디오, 네비게이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차량용 전장 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조정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위칭 유니트(10)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기판(500)과, 유니트 노브(200)와,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와, 유니트 센싱부(400)를 포함한다. 유니트 하우징(100)은 차량의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의 외측 내지 센터페시아 내지 센터페시아 하단 내지 센터페시아와 콘솔박스 사이 등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유니트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의 사이에 배치되고,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는 서로 체결되어 다른 구성요소의 배치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는 톱 커버(1110)와 메인 커버(1120)를 포함한다. 메인 커버(1120)는 하기되는 하우징 바디(120) 측과 안착 지지되고, 톱 커버(110)는 메인 커버(1120)와 이격되어 하우징 바디(120) 측에 배치되는 광출력부(800)의 일부 구성요소의 배치를 통하여 출사되는 빛의 외부로의 출력을 허용하는 구성요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톱 커버(1110)의 중앙에는 톱 커버 관통구(1111)가 배치되어 하기되는 유니트 노브부(200)의 가동 배치 공간을 형성하고, 톱 커버(1110)의 상단면에는 톱 커버 광표시부(1113)가 표시되어 하기되는 광출력부(800)로부터의 빛의 출사를 허용한다. 톱 커버 광표시부(1113)는 별도의 표시없는 광출사면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별도의 아이콘이 형성되어 조작작의 시인성을 돕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하기되는 광출력부(800)로부터의 생성되는 빛의 색상이 투영되어 소정의 색상 내지 점멸 동작을 통한 작동 상태 파악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메인 커버(1120)의 중앙에도 메인 커버 관통구(1121)가 형성되고, 메인 커버 관통구(1121)의 외측에는 하기되는 버튼 스위치부(700)의 관통 배치를 허용하는 메인 커버 버튼 관통구(113)가 배치된다. 메인 커버 버튼 관통구(1123)는 메인 커버 관통구(1121)의 외측에 배치되는데, 메인 커버 버튼 관통구(1123)에는 하기되는 버튼 스위치 노브(710)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메인 커버 관통구(1121)에는 유니트 노브(200)의 관통 배치와 더불어 상술한 톱 커버(1110)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내지 관통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20)는 어퍼 바디(1210)와 메인 바디(1220)를 포함한다. 어퍼 바디(1210)는 외부 케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어퍼 바디(1210)의 중앙에도 어퍼 바디 관통구(1211)가 배치되고, 어퍼 바디 관통구(1211)를 통하여 유니트 노브(200)의 조작 가능한 공간을 허용하며 배치 가능한 구조를 형성한다.
어퍼 바디 관통구(1211)의 외측으로 더 큰 반경을 가지는 어퍼 바디 라이트 가이드 관통구(1215)가 배치되는데, 어퍼 바디 라이트 가이드 관통구(1215)를 통하여 하기되는 광출력부(800)의 광출력전달부(810)가 배치되고, 광출력전달부(810)의 상단을 통하여 출사되는 빛은 상기한 톱 커버(1110)의 톱 커버 광표시부(1113)을 통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하우징 바디(120)의 어퍼 바디(1210)의 일면으로, 어퍼 바디 관통구(1211)의 외측에는 어퍼 바디 버튼 관통구(1213)가 배치된다. 어퍼 바디 버튼 관통구(1213)를 통하여 버튼 스위치부(700)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버튼 누름 동작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어퍼 바디(1210)의 일면 상에 상기한 메인 커버(1120)가 안착 배치된다. 어퍼 바디(1210)는 메인 바디(1220)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메인 바디(1220)는 본 실시예에서 상측과 하측이 공간 분할되는 구성을 취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바디(1220)는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를 구비하고,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는 메인 바디(122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공간을 분할한다.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의 도면 상 상부측에는 유니트 노브부(200) 및 이와 연결되는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가 배치되고,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의 도면 상 하부 측에는 기판(500) 등의 다른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의 외측에는 메인 바디 버튼 수용부(1223)가 배치되는데, 메인 바디 버튼 수용부(1223)에는 버튼 스위치부(700)의 일부 구성이 배치된다.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의 일면 상에는 메인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1225)가 배치된다. 메인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1225)에는 하기되는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의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의 일부 구성이 안정적인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1225)는 돌출 지지 구조를 취하나, 후술하는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의 리턴 디텐트(359)가 삽입 고정되는 요홈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의 일면 상에는 메인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1226)가 배치된다. 메인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1226)는 메인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1225)와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메인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1226)에는 하기되는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의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의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의 일부 구성이 안정적인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1226)는 돌출 지지 구조를 취하나, 후술하는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의 가이드 댐퍼(369)가 삽입 고정되는 요홈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에는 후술하는 유니트 센싱부(400)의 일부 구성, 즉 유니트 센싱부(400)의 센싱 가동부(410)의 가동 동작을 허용하도록 센싱 가동부(410)가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전달부(3330)의 전달 피동부(333) 측이 유니트 센싱부(400)의 센싱 고정부(420) 측과 마주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메인 바디 전달 장착부(1227)가 형성된다. 메인 바디 전달 장착부(1227)는 단순 관통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전달 피동부(333)의 안정적인 회동 동작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우징 베이스(130)는 하우징 바디(120) 측과 연결되어 도면상 하부 측의 기밀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 사이의 공간에는 기판(500)과 러버 패드(600)가 배치되는데, 러버 패드(600)는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500)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과 소정의 스위칭 기능을 위한 구성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버튼 스위치부(700)는 버튼 스위치 노브(710)와 버튼 스위치 플런저(720)와 버튼 스위치(730)를 포함한다. 버튼 스위치 노브(710)는 상술한 메인 커버(112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메인 커버 버튼 관통구(1123)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일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의 가압 등의 조작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버튼 스위치 노브(710)의 도면 상 하단에는 버튼 스위치 플런저(7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스위치 플런저(720)가 구비되는 구성을 취하나, 경우에 따라 버튼 스위치 노브(710)가 버튼 스위치(730)를 직접 가동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버튼 스위치 플런저(7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데, 버튼 스위치 플런저(720)의 상단은 버튼 스위치 노브(710)와 접촉하고, 타단은 버튼 스위치(730)와 접촉 내지 비접촉을 통한 버튼 스위치(730)의 가동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버튼 스위치 플런저(720)는 메인 커버 버튼 관통구(1123)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어퍼 바디 버튼 관통구(1213)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버튼 스위치 플런저(720)의 길이는 하우징 바디(120)의 어퍼 바디(1210)의 일면으로, 어퍼 바디 관통구(1211)의 외측에 형성되는 어퍼 바디 버튼 관통구(1213)를 관통하는데, 버튼 스위치 플런저(720)의 외주에는 버튼 스위치 플런저(720)의 길이 방향으로 버튼 스위치 플런저 가이드(721)를 포함하고, 버튼 스위치 플런저 가이드(721)의 대응되는 위치로 어퍼 바디 버튼 관통구(1213)의 내측에는 메인 바디 버튼 수용부 가이드(1224)가 배치되는데, 버튼 스위치 플런저 가이드(721) 및 메인 바디 버튼 수용부 가이드(1224)는 상호 가동 가능한 맞물림 구조를 취함으로써, 버튼 스위치 노브(710)의 가압 동작 시 버튼 스위치 플런저(720)의 안정적인 수직 가동 동작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버튼 스위치(730)는 적어도 일부가 기판(50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러퍼 패드(600)와 연결되는 러버 패드 타입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러퍼 패드(600)는 단지 이물로 인한 접속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텍터 및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탄성체로서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버튼 스위치(730)는 접촉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비접촉 방식의 마그네트 스위치 등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스위치의 구현 방식에 제한은 없다.
광출력부(800)는 광출력원(820)와 광출력전달부(810)를 포함한다. 광출력원(820)은 LED 등의 광원으로 구현되는데, 기판(50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기판(500)의 일면 상부에 배치되는 러버 패드(600)에는 광출력원(820)의 대응위치에 러버 패드 광출력원 관통구(603)가 배치된다.
광출력전달부(810)는 광출력원(820)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 매개체로서, 광출력전달부(810)의 하단부는 광출력원(820)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광출력원(820)은 광출력전달부(810)의 하단부의 개수에 맞게 본 실시예에서 기판(500) 상에 4개가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나, 이는 일예로서 본 발명이 이의 개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출력원(820)이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이들은 모두 동일한 LED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색을 출력하는 LED로 구헌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광출력 전달부(810)의 상단은 메인 커버(1120) 및 톱 커버(1110) 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광출력전달부(810)는 광출력전달어퍼부(811)와 광출력전달브릿지(813)를 포함한다. 광출력전달어퍼부(811)는 링 타입으로 구현되고 광출력전달어퍼부(811)의 하단에는 광출력전달브릿지(813)가 일체로 연결 배치된다, 광출력전달브릿지(813)는 총 4개의 하단 브릿지 구조를 이루어, 광출력전달브릿지(813)는 어퍼 바디 라이트 가이드 관통구(1215)를 관통하여 광출력전달어퍼부(811)가 어퍼 바디 라이트 가이드 관통구(1215)에 내지 이를 관통하여 톱 커버(1110)의 톱 커버 광표시부(1113) 측으로 빛의 출사를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을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하단 브릿지를 구비하고 상단 측은 링형상의 단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형상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니트 노브(200)는 유니트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유니트 노브(200)는 단순한 그립 수단으로서 구성되나, 유니트 노브(200)에 별도의 터치 기능 내지 광출력 표시 기능 등의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유니트 노브(200)의 하단은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 측과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유니트 노브(200)의 회동 동작 등의 조작 동작은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 측으로 전달된다. 즉,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일단이 유니트 노브(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유니트 하우징(100)에 적어도 회전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유니트 센싱부(400)는 유니트 액츄에이터부에 의하여 가동되고, 유니트 노브(200)의 가동 상태를 감지한다. 유니트 센싱부(400)는 센싱 가동부(410)와 센싱 고정부(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센싱 가동부(410)는 센싱 가동 홀더(411)와 센싱 가동 홀더(411)에 삽입 장착되는 센싱 가동 마그네트(413)를 포함하고 센싱 고정부(420)는 자기 센서로 구현되어 센싱 가동 마그네트(413)의 대응되는 위치로 기판(500)의 일면 상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니트 센싱부(400)는 자기 센서 구조의 비접촉식 감지 마그네트/센서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이는 일예로서 접촉 터미널을 통한 접점 변화를 이루는 접촉식 센서/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자기 센서도 회전 상태만 감지하거나 후술하는 틸팅 동작을 모두 감지하는 자기 센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위칭 유니트(10)는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와,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와, 액츄에이터 전달부(330)와,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 바디(310)는 유니트 하우징(100)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 바디(310)는 유니트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20)의 어퍼 바디(110)와 메인 바디(1220) 사이 공간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액츄에이터 바디(310)는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 구조를 취하고, 하부에 하기되는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중앙에는 액츄에이터 바디 샤프트 가이드(311)가 배치된다. 액츄에이터 바디 샤프트 가이드(311)의 중앙에는 액츄에이터 바디 샤프트 가이드 관통구(3113)가 형성되는데, 액츄에이터 바디 샤프트 가이드 관통구(3113)에는 하기되는 액츄에이터 샤프트(320)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하단부에는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 도 4 참조)와 액츄에이터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316, 도 4 참조)가 배치된다.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는 하기되는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액츄에이터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316)에는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의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액츄에이터 샤프트(320)는 유니트 하우징(100) 측으로부터, 보다 구체적으로 유니트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20)의 메인 바디(1220)에 구비되는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의 일면으로부터 유니트 노브(200) 측으로 연장되어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액츄에이터 바디 샤프트 가이드 관통구(3113)를 관통하여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액츄에이터 샤프트(320)는 별개물로 형성되어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와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른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다.
액츄에이터 전달부(330)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상태에 따른 회동력을 유니트 센싱부(400) 측으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 전달부(330)는 전달 구동부(331)와, 전달 피동부(333)를 포함한다. 전달 구동부(331)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외측, 즉 외주에 형성되고, 전달 피동부(333)는 유니트 센싱부(400) 측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 피동부(331)와 전달 피동부(333)는 치합되는 치차 구조를 취하는데, 이는 일예로서 풀리-와이어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치합되는 치차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 구동부(331)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외주로,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하단부 외주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하단부에는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 도 4 참조)와 액츄에이터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316, 도 4 참조)가 배치되는데,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는 180도 대향 배치되고, 액츄에이터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316)가 인접한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의 사이를 균등하여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와 90도를 이루며 한 개 배치되는데, 본 실실시예에서 전달 구동부(331)는 액츄에이터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316)의 반대편 측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하단부에 배치된다(도 8 참조).
전달 구동부(331)는 액츄에이터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316)의 반대편 측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데, 호상 구조로 취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로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하단부 외주에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전달 피동부(333)는 전달 구동부(331) 측과 치합되어 전달 구동부(331)가 회동하는 경우 함께 가동된다. 즉, 전달 피동부(333)는 전달 구동부(331)와 치합되는 치차 구조로 형성되는데, 전달 피동부(333)와 전달 구동부(331)는 본 실시예에서 평기어 치합 구조를 취하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기어 치합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중간에 별도의 매개물, 예를 들어 중간 기어 내지 변속기능의 이중 풀리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 구동부(331)는 전달 피동부(333)와 직접 치합되는데, 전달 구동부(331)의 회전 속도(ω331)에 대한 전달 피동부(333)의 회전 속도(ω333)의 속도비(ω333/ω331)는 1 이상이다. 즉, 전달 구동부(331)의 회전 속도(ω331)보다 전달 피동부(333)의 회전 속도(ω333)가 더 큰 값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유니트 노브(200)의 각 회전 범위를 적절한 조작 동작으로도 큰 값의 각회전 범위 내지 각회전속도 범위를 형성하여 각각의 작동 범위 사이에 버퍼 공간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보다 정확한 회전 각도 범위 출력으로 인한 오조작 가능성을 줄이도록 할 수도 있다.
전달 피동부(333)는 유니트 센싱부(400)의 센싱 가동부(410)의 센싱 가동 홀더(411) 측과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부 상술된 바와 같이, 유니트 센싱부(400)는 센싱 가동부(410)와 센싱 고정부(420)를 포함한다. 센싱 가동부(410)는 액츄에이터 전달부(330)의 회동시 함께 회동하는데, 센싱 가동부(410)는 센싱 가동 홀더(411)와 센싱 가동 마그네트(413)를 포함한다. 센싱 가동 홀더(411)는 액츄에이터 전달부(330) 측과 연결되고, 센싱 가동 마그네트(413)는 센싱 고정부(420)에 대향하도록 센싱 가동 홀더(411)에 배치되어 센싱 가동 홀더(411)와 함께 가동되고, 센싱 고정부(420)는 센싱 가동부(410)와 대향 배치되어 센싱 가동부(4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센싱 가동 마그네트(413)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한다.
도 15 및 도 16에는 유니트 노브(200)의 정상 상태(a)로부터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b)을 위한 외력이 인가된 후, 외력이 제거되어 리턴 디텐트부 및/또는 가이드 댐핑부의 작동에 의하여 원위치 복귀(c) 과정의 센싱 유니트(400)의 회전 상태 변화를 이루는 작동 과정이 도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유니트 노브(200)가 회동하는 경우 유니트 노브(200)에 연결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는 액츄에이터 샤프트(320)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하단부 외주에 배치되는 전달 구동부(331)는 전다 피동부(333) 측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고, 전달 피동부(333)에 연결되는 센싱 가동 홀더(411)도 전달 피동부(333)와 함께 회동하고, 센싱 가동 홀더(411)에 배치되는 센싱 가동 마그네트(413)도 함께 회동하여 대향 배치되는 센싱 고정부(420)가 센싱 가동 마그네트(413)의 가동 회전량을 감지하여 궁극적으로 유니트 노브(200)의 회동에 따라 설정된 변위량 및 이에 따른 작동 모드의 선택 신호가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출력 유니트(미도시)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10)는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를 포함하는데,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는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의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적어도 일부가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원주 상에 균등 배치된다. 즉,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와 연결되는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위치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복수 개가 균등 배치됨으로써, 후술되는 탄성 복원력의 균등 작용을 통한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위치 편중을 방지하여 원활한 작동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두 개가 구비되고, 두 개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180도 대향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힘의 일방향의 편중에 의한 가동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와,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와,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리턴 디텐트(359)를 포함한다.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는 액츄에이터 바디(310) 측에 형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하단부 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향하여 형성되는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 도 4 참조)가 배치되고,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의 내부에 일단이 반경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가 형성된다.
즉,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의 내부에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다른 디텐트요소들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구조를 취한다.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탄성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는 본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구조로 구현되나,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의 일단은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의 내부 단부에 접촉하여 지지되고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의 타단은 후술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를 접촉 지지한다.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수용 배치되는데,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의 일단은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접촉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의 외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인출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는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구조를 취한다.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의 타단에 배치되는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의 적어도 일부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의 타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리턴 디텐트(359)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의 타단에 적어도 일부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접촉하는데, 리턴 디텐트(359)는 리턴 디텐트(359)의 일면의 프로파일 형상에 따라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의 상대 위치 변동을 형성시킨다. 리턴 디텐트(359)는 앞서 기술된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는 소정의 스톱퍼 기능을 구비하는 요홈 구조를 취하고, 리턴 디텐트(359)는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에 장착되어 위치 고정되는 구조를 취한다.
리턴 디텐트(359)는 본 실시예에서 리턴 디텐트 프레임 바디(3591)와 리턴 디텐트 컨택 바디(3893)를 포함할 수 있는데, 리턴 디텐트 프레임 바디(3591)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리턴 디텐트 컨택 바디(3893)는 리턴 디텐트 프레임 바디(3591)의 외주면에 러버 재료로 코팅되어,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의 접촉시 래틀링 소음 발생 방지와 접촉 미끄럼의 발생 방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리턴 디덴트(359)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 및 리턴 디텐트(359)의 접촉 위치와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가 최대인 구조를 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 및 리턴 디텐트(359)의 접촉 위치는 도면 부호 S로 지시되는 지점이고,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 및 리턴 디텐트(359)의 접촉 위치의 일예로 도면 부호 U로, 그리고 유니트 노브(200)와 연결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전 중심을 도면 부호 O라 할 때, 선분 SO의 길이>선분 UO의 길이의 관계가 형성된다. 즉,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 및 리턴 디텐트(359)의 접촉 위치와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는 최대값을 이루나,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 및 리턴 디텐트(359)의 접촉 위치와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는 점점 줄어들어 후술되는 바오 같이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를 가압하여 탄성 복원력이 축적되는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써,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액츄에이터 바디(310) 및 유니트 노브(20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의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에 수직한 평면, 즉 도 10의 지면 상에서, 리턴 디텐트(359)는 V자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경우에 따라, 리턴 디텐트(359)는 V자 단면 형상 이외의 다른 프로파일을 이루어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의 탄성 복원력의 측정 상태의 변화를 형성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턴 디텐트(359)는 리턴 디텐트 뉴트럴 포션(3592)과, 리턴 디텐트 로터리 포션(3594)을 포함한다. 리턴 디텐트 뉴트럴 포션(3592)는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하고, 리턴 디텐트 로터리 포션(3594)는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한다. 즉,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는 리턴 디텐트(359)의 리턴 디텐트 뉴트럴 포션(3592)에 접촉하고,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는 리턴 디텐트(359)의 리턴 디텐트 로터리 포션(3594)에 접촉하여, 리턴 디텐트 플런져(355)를 지지하는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의 변형을 형성함으로써, 탄성 복원력의 축적을 이루고 유니트 노브(200)에 가해지는 외력 제거시 유니트 노브(200) 및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원위치 복귀를 이루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후술되는 유니트 센싱부(400)의 센싱 감지 위치를 정위치 복귀시키는 구조를 형성한다.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는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와,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553)를 포함한다.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553)는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일단에 배치되어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접촉하고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553)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 연결부(35531)와,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면(35533)를 포함한다.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 연결부(35531)는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일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고,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면(35533)은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 외측으로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553)는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일측에 단차 구조로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단부면으로 형성되고,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의 타단이 이에 접촉하여 궁극적으로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를 탄성 지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를 포함하는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는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타단에 배치되고,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에는 상기한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리턴 디텐트 컨택 홀딩부(355)와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의 장착 구조의 일예는 핀타입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35551a)는 핀 타입의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1)이고,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에 가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 타입이다.
즉, 핀 타입 결합 구조의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와, 컨택 장착핀(35559)을 포함한다.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는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단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고, 컨택 장착핀(35559)는 외주에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는 두개가 마주하여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1)의 단부로부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컨택 장착핀(35559)는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를 관통하여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에 삽입 장착됨으로써,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는 볼 타입으로 구현되나 본 실시예의 경우 평면 상에서의 동작이라는 점에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공간부(35554)와,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5555)를 포함하는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공간부(35554)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의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고,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5555)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요홈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5555)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5556)와,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구(35557)를 포함한다.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5556)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컨택 장착핀(35559)의 진입을 허용하고,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구(35557)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5556)와 연결되고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5556)보다 넓은 폭의 영역을 구비하고 컨택 장착핀(35559)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는 컨택 장착핀(35559)에 수직한 방향으로 두 개 형성되되, 각각은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5556)와,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구(35557)를 포함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5555)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가 다른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5555) 중의 적어도 하나는 컨택 장착 핀홀(35558)를 포함할 수 있는데, 컨택 장착 핀홀(35558)는 컨택 장착 핀(35559)의 회동 가능하게 장착 수용되는 요홈 구조를 취하여 컨택 장착핀(35559)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컨택 장착핀(35559)의 삽입 공정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컨택 장착핀(35559)은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와, 컨택 장착핀 스톱퍼(355593)를 포함한다.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는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컨택 장착핀 스톱퍼(355593)는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으로 배치되고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를 지지한다.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는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이 상대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컨택홀(3571)을 더 포함하는데, 리턴 디텐트 컨택홀(3571)을 관통하여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가 관통 배치되되, 컨택 장착핀 스톱퍼(355593)는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컨택 장착핀 스톱퍼(355593)의 일면은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의 하단을 지지하고, 컨택 장착핀 스톱퍼(355593)의 다른면은 컨택 장착 핀홀(35558)에 삽입 배치되는 부분의 외측을 지지하여 안정적인 장착 및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의 원활한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4 및 도 15에는 유니트 노브와 연결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 회동에 따른 리턴 디텐트부의 작동 상태를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된다. 리턴 디텐트와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 및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위치 관계의 변화를 통한 외력 인가시 축적되는 탄성 복원력을 통한 외력 제거후 원위치 복귀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후술되는 가이드 댐핑부를 통한 가이드 및/또는 댐핑 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원위치 복귀 과정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위의 실시예에서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는 핀 타입 구조를 취하고 볼 타입의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가 컨택 장착핀(35559)에 삽입 관통되어 회동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원활한 상대 가동을 안내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의 변형예로서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는 그립 타입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a)는 그립 타입이고,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 타입을 취할 수 있다.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a)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5553a)와, 컨택 탄성 지지부(35559a)를 포함한다. 컨택 장착 그립 리브(35553a)는 일단이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복수 개가 돔 형상을 이루어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를 형성하되, 타단 사이에 컨택 장착 그립 크랙(35555a)으로 적어도 일부가 분리 이격되어 적어도 타단의 일부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5553a)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인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에 수용 배치되는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는 컨택 장착 그립 크랙(35555a)으로 일단부가 분할 이격되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5553a)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컨택 탄성 지지부(35559a)는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에 배치되어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를 탄성 지지한다. 그립 타입 구조에서의 컨택 탄성 지지부(35559a)는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와, 컨택 탄성 지지 홀더(355595a)와, 컨택 탄성 지지 브릿지(355593a)를 포함한다.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는 볼 타입의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와 접촉하고, 컨택 탄성 지지 홀더(355595a)는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의 내부에서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단부와 접촉 지지되는데, 컨택 탄성 지지 홀더(355595a)는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를 지지한다. 또한, 컨택 탄성 지지 브릿지(355593a)는 일단이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에 그리고 타단이 컨택 탄성 지지 홀더(355595a)에 연결되어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를 탄성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와 접촉하는 볼 타입의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는 탄성 지지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동시에,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는 컨택 장착 그립 크랙(35555a)으로 일단부가 분할 이격되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5553a)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나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의 일부가 노출되어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5553a)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인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에 이탈이 제한되며 안정적인 수용 배치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그립 구조를 통하여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5553a)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인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에 위치 이탈 방지되면서 리턴 디텐트(359)의 리턴 디텐트 뉴트럴 포션(3592)과 리턴 디텐트 로터리 포션(3594)와의 원활한 접촉 상태 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 유니트 노브(200)의 로터리 동작을 원위치 복귀시키는 리턴 및/또는 가이드 기능에 대하여 되었으나, 본 발명의 스위칭 유니트의 유니트 액츄에이터부는 단지 로터리 동작 이외에 틸팅 동작의 복합적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10)의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액츄에이터 틸팅부(3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 틸팅부(370)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틸팅 동작 가능하게 장착된다.
액츄에이터 틸팅부(370)의 적어도 일부의 일면 상에 액츄에이터 샤프트(320)가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액츄에이터 전달부(330)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와 액츄에이터 전달부(330)는 액츄에이터 틸팅부(370)에 탑재되어 액츄에이터 틸팅부(370)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틸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틸팅부(370)의 적어도 일부는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의 적어도 일부와 상대 틸팅 가동 가능하다.
이러한 틸팅 동작 구현을 위한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액츄에이터 틸팅부(370)는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와,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373,375)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는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대 틸팅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373,375)는 적어도 일부가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에, 그리고 적어도 다른 일부가 앞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림되도록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유니트 하우징(100)과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 간의 상대 틸팅 동작을 허용한다.
즉,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는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틸팅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는 본 실시예에서 소정의 플레이트 구조로 구현되나, 이는 일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틸팅 축을 이루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의 양단에는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373,375)가 배치된다.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373,375)는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 바디 힌지(373)와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 지지 힌지(375)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 바디 힌지(373)는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의 단부 측에 형성되고,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 지지 힌지(375)는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 즉 본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220)의 메인 바디 플레이트(1221)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 바디 힌지(373)와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 지지 힌지(375)가 서로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 힌지 결합된다.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의 일면 상에는 액츄에이터 샤프트(320)가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즉,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20) 및 이와 연결되는 유니트 노브(200)의 로터리 회동 동작은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가 이루는 평면 내지 이와 평행항 평면 상에서 배치된다.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와,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리턴 디텐트(359)와,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 리턴 디텐트(359)를 포함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는 액츄에이터 바디(310) 측에 형성되고,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탄성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고,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수용 배치되어 일단이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고,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의 타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리턴 디텐트(359)는 유니트 하우징(100) 측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접촉하여 프로파일 형상에 따라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의 상대 위치 변동을 형성하는데, 이는 틸팅 구조체의 구성을 통한 평면적 리턴 구조가 아닌 3차원 입체적 리턴 구조를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 즉 유니트 노브(200)에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 유니트 노브(200)에 연결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가 액츄에이터 샤프트(320) 상에서 로터리 동작 내지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에 틸팅 동작을 이루는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에 수직한 평면 상, 즉 액츄에이터 샤프트(320)가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의 평면 상에서, 리턴 디텐트(359)는 V자 단면 형상을 구비하여 소정의 리턴 동작을 구현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리턴 디텐트(359)는 V자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리턴 디텐트(359)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상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액츄에이터 틸팅부를 구비하는 경우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에 수직한 평면에서의 리턴 동작 이외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에 수직한 평면 이외 이에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평면에 대한 리턴 동작도 수행 가능하다.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의 틸팅 축에 수직한 평면, 즉 액츄에이터 샤프트(320)가 포함된 평면 내지 액츄에이터 샤프트(320)가 포함된 평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도 소정의 리턴 동작이 수행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일예로 리턴 디텐트(359)는 리턴 디텐트 틸팅 스테이블 포션(3592/P)와, 리턴 디텐트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5)를 포함하는데, 리턴 디텐트 틸팅 스테이블 포션(3592/P)은 유니트 노브(200)에 틸팅 방향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하고, 리턴 디텐트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5)은 유니트 노브(200)에 틸팅 방향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한다.
여기서, 리턴 디텐트 틸팅 스테이블 포션(3592/P)는 앞서 기술된 리턴 디텐트 뉴트럴 포션(3592, 도 13 참조) 및/또는 리턴 디텐트 로터리 포션(3594, 도 13 참조)의 위치와 도 20에 도시된 도 19의 선 E-E의 단면도 상에서 동일 내지 소정의 로터리 동작이 동시 이루어지는 경우 포함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데, 대체적으로 로터리 동작이 이루어지 않고 틸팅 동작만 이루어지는 경우 리턴 디텐트 틸팅 스테이블 포션(3592/P)는 앞서 기술된 리턴 디텐트 뉴트럴 포션(3592)와 동일 지점으로 정리될 수도 있다.
그런 후, 외력이 제거되어 유니트 노브(200)에 틸팅 방향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5)에 축적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접촉 상태 위치 형성은 리턴 디텐트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5)으로부터 리턴 디텐트 틸팅 스테이블 포션(3592/P)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유니트 노브(200)에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로터리 동작을 위한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회전력이 아닌, 액츄에이터 바디(371)의 틸팅 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유니트 노브(200)에 연결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는 액츄에이터 샤프트(320) 상에서의 로터리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되, 액츄에이터 바디(371)의 틸팅 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틸팅 회전 동작이 실행되고 이때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 보다 구체적으로 앞선 실시예에서의 리턴 디텐트 볼(357)은 리턴 디텐트(359)의 리턴 디텐트 틸팅 스페이블 포션(3592)의 위치로부터 리턴 디텐트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5)으로의 연속적인 접촉 위치 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예로서의 틸팅 동작에서의 원위치 복귀를 이루는 리턴 디텐트(359)는 리턴 디텐트 틸팅 스테이블 포션(3592/P)와, 리턴 디텐트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5) 이외에, 리턴 디텐트 로터리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6)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리턴 디텐트 로터리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6)는 유니트 노브(200)에 대한 로터리 동작과 틸팅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 리턴 디텐트 볼(357)이 접촉하게 되는 영역으로, 유니트 노브(200)에 제공되는 외력 제거시 리턴 디텐트 볼(357)의 접촉 위치의 복귀 경로는 리턴 디텐트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5)을 거쳐 리턴 디텐트 틸팅 스테이블 포션(3592/P)로, 내지 리턴 디텐트 로터리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6)에서 직접 리턴 디텐트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5)으로, 또는 리턴 디텐트 로터리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6)에서 리턴 디텐트 로터리 포션(3594)을 거쳐 리턴 디텐트 뉴트럴 포션(3592)로서의 리턴 디텐트 틸팅 스테이블 포션(3592/P)로 복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373,375)의 상대 회동 가능한 맞물림에 의한 틸팅축을 중심으로 틸팅 동작 가능한데,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에는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 전달 관통구(372)가 구비된다.
앞선 실시예들에서와 달리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 전달 관통구(372)에는 센싱 가동부(410)가 배치되는 전달 피동부(333)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메인 바디 전달 장착부(1227)는 단순 관통구로 형성되어 하부에 배치되는 센싱 고정부(420)와 전달 피동부(333)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센싱 가동부(410)의 직접적인 대향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센싱 고정부(420)는 동일 평면 상에서의 단순한 로터리 회전 각도 내지 속도 등의 로터리 회전 상태 변화만을 감지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 센싱 고정부(420)가 배치되는 평면에 수직한 축에 수직한 평면, 바꿔 표현하면 센싱 고정부(420)가 배치되는 평면 내지 이에 평행한 평면의 틸팅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틸팅 회동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에는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 댐핑 관통구(374)가 구비되는데,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 댐핑 관통구(374)를 통하여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의 적어도 일부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가이드 댐퍼(369)는 메인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1226)에 안착 배치되는데, 가이드 댐퍼(369)는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 댐핑 관통구(374)를 통하여 관통 배치됨으로써, 같은 구조를 통하여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의 틸팅 회동 동작시,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와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센싱 고정부(420)는 동일 평면 상에서의 단순한 로터리 회전 각도 내지 속도 등의 로터리 회전 상태 변화만을 감지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 센싱 고정부(420)가 배치되는 평면에 수직한 축에 수직한 평면, 바꿔 표현하면 센싱 고정부(420)가 배치되는 평면 내지 이에 평행한 평면의 틸팅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하나의 센싱 고정부(420)가 로터리 회전과 틸팅 회동을 동시 감지하지 않고, 틸팅 회동 감지를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의 회동하는 틸팅축을 형성하는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373,375)에 별도의 개별 틸팅 회동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373,375)의 회동축의 부분에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의 회동하는 틸팅축의 회동을 감지하는 별도의 개별 틸팅 회동 감지 센서로서 센싱 틸팅 고정부(4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 틸팅 고정부(430)는 포텐셔미터와 같은 직접적인 물리량을 변화시키는 소자 내지 엔코더로 구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센싱 틸팅 고정부(430)는 센싱 고정부(420)와 마찬가지로 비접촉 자기 감지 센서로 구현되어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의 틸팅 회전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의 틸팅 축에 별도의 로터리 엔코더 내지 로터리 회전 센서가 더 구비되어 소정의 틸팅 회동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유니트(10)의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앞서 기술된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와 더불어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앞서, 기술된 구성요소와 동일 내지 실질적을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는 유니트 노브(200)의 회동시 함게 회동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을 적어도 가동 안내하여 안정적인 회동 가동 상태를 형성하거나 또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급격한 복귀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원위치 복귀를 이루는 댐핑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칭 유니트(10)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기판(500)과, 유니트 노브(200)와,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와, 유니트 센싱부(400)를 포함하고,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와,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와, 액츄에이터 전달부(330)와,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를 구비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를 포함한다. 즉,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시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을 적어도 가동 안내하는데, 구성 및 작동 방법의 기본적인 사항은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와 일부 동일 내지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상기로 대체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외력에 의하여 회전 및/또는 회동한 유니트 노브(20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는 외력에 의하여 가동된 유니트 노브(200)가 원위치 복귀되는 과정에서 급격한 복귀 동작 수행으로 인한 충격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 내지 차량의 진동에 의해 유발되는 래틀링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을 방지하거나 및/또는 유니트 노브의 점진적인 동작으로 인한 고급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보다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의 배치 위치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의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는 인접한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의 사이각을 균등 분할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적어도 인접하여 유니트 노브(200)에 가해지는 외력 제거시 원위치 복귀시키는 힘에 대한 소정의 저항 기능을 수행하는 댐핑 작동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는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와,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와,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와,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가이드 댐퍼(369)를 포함한다.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는 액츄에이터 바디(310) 측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형성된다. 즉,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하단부에는 인접한 두 개의 액츄에이터 바디 리턴 디텐트 장착부(315, 도 4 참조)의 사이에 균등하여 액츄에이터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316, 도 4 참조)가 배치된다.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는 액츄에이터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316)에 일단이 개방되도록 형성 배치된다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는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에 수용 배치되는데, 앞서 기술된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에 탄성 가능하게 수용 배치된다.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는 본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 구조로 구현되나,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앞서 기술된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동일하다.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의 일단은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의 내부 단부에 접촉하여 지지되고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의 타단은 후술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와 접촉하여 가이드 댐핑 플런저(355)를 탄성 지지한다.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는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에 수용 배치되고, 일단이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된다.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는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에 수용 배치되는데,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의 일단은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와 접촉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의 외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인출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가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구조를 취한다.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의 타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의 타단에 배치되는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의 타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가이드 댐퍼(369)는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접촉하여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의 상대 위치 변동을 형성하여, 적어도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가동 상태를 안내한다. 즉, 가이드 댐퍼(369)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의 타단에 적어도 일부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접촉하는데, 가이드 댐퍼(369)는 가이드 댐퍼(369)의 일면의 프로파일 형상에 따라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의 상대 위치 변동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제거되어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를 통한 원위치 복원 동작시, 급격한 복귀를 방지하는 댐핑 기능을 수행한다.
가이드 댐퍼(369)는 앞서 기술된 액츄에이터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316)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316)의 일면에는 사전 설정된 댐핑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를 포함한다. 즉, 가이드 댐퍼(369)는 액츄에이터 바디 가이드 댐핑 장착부(316)에 장착되어 위치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가이드 댐퍼(369)는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직접 접촉하고 사전 설정된 형상의 표면 프로파일을 갖는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의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의 구조에 따라 유니트 노브(200)의 회동시 함게 회동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을 적어도 가동 안내하여 안정적인 회동 가동 상태를 형성하거나 또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급격한 복귀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원위치 복귀를 이루는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가 유니트 노브(200)의 회동시 함께 회동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을 단순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는 등반경 프로파일을 구비하는데, 등반경 프로파일의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1)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 반경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유니트 노브(200)의 회동시 함께 회동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에 장착되는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가이드 댐퍼(369) 간의 접촉 위치와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중심 간의 상대 거리는 동일 내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여, 유니트 노브(200)의 회동 가동시 편중 내지 뒤틀림에 의하여 발생하는 동작 오류 내지 래틀링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가 유니트 노브(200)의 회동시 함께 회동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을 안내하는 기능에 더하여 유니트 노브(2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급격한 복귀로 인한 충격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댐핑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1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2)는 플래너 프로파일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2)가 플래너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경우,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제거되어 원위치 복귀거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에 장착되는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가이드 댐퍼(369) 간의 접촉 위치와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중심 간의 상대 거리가 최소 반경값을 갖는다. 이와 같은 플래너 프로파일의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2)를 통하여, 도 22의 도면 부호 Os로 지시되는 지점에서,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에 장착되는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가이드 댐퍼(369) 간의 접촉 위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중심과 접촉 지점 간의 상대 거리가 최소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도면 부호 Os의 지점의 도면 상 좌우 측으로 상대 가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어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에 의하여 도면 부호 Os의 지점으로 원위치 복귀되는 경우,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의 탄성력 내지 탄성 저지력에 의하여 도면 부호 Os로 복귀되는 속도가 감속된 상태의 복귀 동작을 이루는 소정의 댐핑 과정을 통한 복귀 상태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가이드 댐핑부(360)는 유니트 노브(200)의 회동시 함께 회동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을 안내하는 기능에 더하여 유니트 노브(2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급격한 복귀로 인한 충격 소음 발생을 방지하되 정상 상태 주변의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보다 신속한 가이드 동작을 이루도록 하는 구간별 가변적인 형태의 쌍곡선 형상의 하이퍼볼릭 프로파일의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3)는 쌍곡선 형상의 하이퍼볼릭 프로파일을 구비할 수 있는데, 가이드 댐핑페이스(369f3)가 하이퍼볼릭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경우,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제거되어 원위치 복귀거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에 장착되는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가이드 댐퍼(369) 간의 접촉 위치와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중심 간의 상대 거리가 최소 반경값을 갖되 도면 부호 Os로 지시되는 정상 상태 접점 위치의 주변에서는 급격한 속도 감소가 이루어지되 정상 상태 접점 위치의 주변을 벗어나는 경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배치되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에 장착되는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와 가이드 댐퍼(369) 간의 접촉 상태가 앞서 도 22의 경우보다 보다 완화된 상태의 접촉 지지 상태를 형성하도록 하여 보다 부드러운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 등 가이드 댐핑페이스의 프로파일 형상에 따른 다양한 설계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는 앞서 기술된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취한다. 가이드 댐핑 플런저(365)는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와, 가이드 댐핑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653)와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를 포함한다.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는 가이드 댐핑 수용부(361)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댐핑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653)는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일단에 배치되어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와 접촉 지지된다.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는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타단에 배치되고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가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댐핑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653)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 탄성체 장착 연결부(36531)와, 가이드 댐핑 플런저 탄성체 장착면(36533)를 포함한다. 가이드 댐핑 플런저 탄성체 장착 연결부(36531)는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일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다. 가이드 댐핑 플런저 탄성체 장착면(36533)은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 외측으로 가이드 댐핑 탄성체(363)와 접촉한다.
또한,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36551,36551a)는 핀 타입이고,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에 가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 타입일 수 있다.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36551)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와, 컨택 장착핀(36559)를 포함할 수 있는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는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단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고, 컨택 장착핀(36559)는 외주에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공간부(36554)와,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6555)를 포함하는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공간부(36554)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의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고,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6555)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요홈 형성된다.
이 때,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6555)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6556)와,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구(36557)를 포함할 수 있다.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6556)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6553)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컨택 장착핀(36559)의 진입을 허용한다.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구(36557)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6556)와 연결되고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6556)보다 넓은 폭의 영역을 구비하고 컨택 장착핀(36559)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6555) 중의 적어도 하나는, 컨택 장착 핀(36559)의 회동 가능하게 장착 수용되는 요홈 구조의 컨택 장착 핀홀(3655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택 장착 핀홀(36558)은 컨택 장착핀(36559)의 회동 가능하게 장착 수용되는 요홈 구조를 취하여 컨택 장착핀(36559)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컨택 장착핀(36559)의 삽입 공정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컨택 장착핀(36559)은 컨택 장착핀 바디(365591)와, 컨택 장착핀 스톱퍼(365593)를 포함한다.
컨택 장착핀 바디(365591)는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고, 컨택 장착핀 스톱퍼(365593)는 컨택 장착핀 바디(36559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으로 배치되고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를 지지한다.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는 가이드 댐핑 컨택홀(3671)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가이드 댐핑 컨택홀(3671)은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에 관통 형성 구조를 취하여 컨택 장착핀 바디(365591)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에 관통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컨택 장착핀 스톱퍼(365593)는 컨택 장착핀 바디(365591)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컨택 장착핀 스톱퍼(365593)의 일면은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의 하단을 지지하고, 컨택 장착핀 스톱퍼(365593)의 다른면은 컨택 장착 핀홀(36558)에 삽입 배치되는 부분의 외측을 지지하여 안정적인 장착 및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의 원활한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위의 실시예에서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는 핀 타입 구조를 취하고 볼 타입의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가 컨택 장착핀(36559)에 삽입 관통되어 회동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원활한 상대 가동을 안내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의 변형예로서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는 그립 타입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36551a)는 그립 타입이고,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는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 타입을 취할 수 있다.
가이드 댐핑 플런저 컨택 홀딩부(3655;35551a)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6553a)와, 컨택 탄성 지지부(36559a)를 포함한다. 컨택 장착 그립 리브(36553a)는 일단이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복수 개가 돔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6554a)를 형성하되, 타단 사이에 컨택 장착 그립 크랙(36555a)으로 적어도 일부가 분리 이격되어 적어도 타단의 일부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6553a)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인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6554a)에 수용 배치되는데,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는 컨택 장착 그립 크랙(36555a)으로 일단부가 분할 이격되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6553a)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컨택 탄성 지지부(36559a)는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6554a)에 배치되어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를 탄성 지지한다. 그립 타입 구조에서의 컨택 탄성 지지부(36559a)는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와, 컨택 탄성 지지 홀더(365595a)와, 컨택 탄성 지지 브릿지(365593a)를 포함한다.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는 볼 타입의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와 접촉하고, 컨택 탄성 지지 홀더(365595a)는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6554a)의 내부에서 가이드 댐핑 메인 바디(3651)의 단부와 접촉 지지되는데, 컨택 탄성 지지 홀더(365595a)는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를 지지한다. 또한, 컨택 탄성 지지 브릿지(365593a)는 일단이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에 그리고 타단이 컨택 탄성 지지 홀더(365595a)에 연결되어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를 탄성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컨택 탄성 지지 바디(365591a)와 접촉하는 볼 타입의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는 탄성 지지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동시에,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는 컨택 장착 그립 크랙(36555a)으로 일단부가 분할 이격되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6553a)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나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의 일부가 노출되어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6553a)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인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6554a)에 이탈이 제한되며 안정적인 수용 배치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그립 구조를 통하여 가이드 댐핑 컨택부(367a)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6553a)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인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6554a)에 위치 이탈 방지되면서 가이드 댐핑(369)의 가이드 댐핑 뉴트럴 포션(3692)과 가이드 댐핑 로터리 포션(3694)와의 원활한 접촉 상태 형성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유니트 하우징 200...유니트 노브
300...유니트 액츄에이터부 400...유니트 센싱부

Claims (26)

  1.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5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 배치되는 유니트 노브(200)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내부에 적어도 회전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바디(310)를 포함하는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와,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유니트 노브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유니트 센싱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동 상태에 따른 회동력을 상기 유니트 센싱부(400) 측으로 전달하는 액츄에이터 전달부(3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배치되고 상기 유니트 노브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를 구비하는 액츄에이터 디텐트 댐핑부(340)를 포함하는 스위칭 유니트(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두 개가 180도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 측에 형성되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와,
    상기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탄성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상기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수용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와,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의 타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접촉하여 프로파일 형상에 따라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의 상대 위치 변동을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3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덴트(359)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과 상기 리턴 디텐트(359)의 접촉 위치와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가 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리턴 디텐트(359)는 V자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359)는:
    상기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 뉴트럴 포션(3592)과,
    상기 유니트 노브(2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 로터리 포션(35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는:
    상기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와,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접촉 지지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553)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가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부(3553)는: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일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 연결부(35531)와,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 외측으로 상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접촉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 탄성체 장착면(355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35551a)는 핀 타입이고,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는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에 가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는: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단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와,
    외주에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컨택 장착핀(355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는: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의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공간부(35554)와,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요홈 형성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55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5555)는: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35553)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컨택 장착핀(35559)의 진입을 허용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5556)와,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5556)와 연결되고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진입구(35556)보다 넓은 폭의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컨택 장착핀(35559)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구(355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 핀홀딩 리브 핀 수용부(35555)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컨택 장착 핀(35559)의 회동 가능하게 장착 수용되는 요홈 구조의 컨택 장착 핀홀(355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장착핀(35559)은: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와,
    상기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를 지지하는 컨택 장착핀 스톱퍼(3555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는 상기 컨택 장착핀 바디(355591)이 상대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컨택홀(357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16.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35551a)는 그립 타입이고,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는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 컨택 홀딩부(3555;35551a)는:
    일단은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복수 개가 돔 형상을 이루어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를 형성하되, 타단 사이에 컨택 장착 그립 크랙(35555a)으로 적어도 일부가 분리 이격되어 적어도 타단의 일부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컨택 장착 그립 리브(35553a)와,
    상기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에 배치되어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를 탄성 지지하는 컨택 탄성 지지부(35559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탄성 지지부(35559a)는: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와 접촉하는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와,
    상기 컨택 장착 그립 홀딩 리브 공간부(35554a)의 내부에서 상기 리턴 디텐트 메인 바디(3551)의 단부와 접촉 지지되어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를 지지하는 컨택 탄성 지지 홀더(355595a)와,
    일단은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에 그리고 타단은 컨택 탄성 지지 홀더(355595a)에 연결되어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를 탄성 지지하는 컨택 탄성 지지 브릿지(35559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에는,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를 향한 상기 컨택 탄성 지지 바디(355591a)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요홈 형성되는 컨택 탄성 지지 바디 요홈부(355596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전달부(33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의 외측(외주)에 형성되는 전달 구동부(331)와,
    상기 유니트 센싱부(400) 측과 연결되고, 상기 전달 구동부(331) 측과 치합되어 상기 전달 구동부(331)가 회동하는 경우 함께 가동되는 전달 피동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구동부(331)는 상기 전달 피동부(333)와 직접 치합되고, 상기 전달 구동부(331)의 회전 속도(ω331)에 대한 상기 전달 피동부(333)의 회전 속도(ω333)의 속도비(ω333/ω331)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센싱부(400)는:
    상기 액츄에이터 전달부(330)의 회동시 함께 회동하는 센싱 가동부(410)와,
    상기 센싱 가동부(410)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센싱 가동부(410)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고정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고정부(420)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가동부(410)는:
    상기 액츄에이터 전달부(330) 측과 연결되는 센싱 가동 홀더(411)와,
    상기 센싱 고정부(420)에 대향하도록 상기 센싱 가동 홀더(411)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가동 홀더(411)와 함께 가동되는 센싱 가동 마그네트(4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액츄에이터부(30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틸팅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츄에이터 틸팅부(37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부(370)의 적어도 일부의 일면 상에 상기 액츄에이터 샤프트(320)가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전달부(330)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부(37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의 적어도 일부와 상대 틸팅 가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부(37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대 틸팅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와,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에, 그리고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적어도 일부와 맞물림되도록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어,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 간의 상대 틸팅 동작을 허용하는 액츄에이터 틸팅 홀더(373,3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리턴 디텐트부(35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 측에 형성되는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와,
    상기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탄성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와,
    상기 리턴 디텐트 수용부(351)에 수용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리턴 디텐트 탄성체(353)에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와,
    상기 리턴 디텐트 플런저(355)의 타단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와 접촉하여 프로파일 형상에 따라 상기 리턴 디텐트 컨택부(357)의 상대 위치 변동을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359)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바디(3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 샤프트(320)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리턴 디텐트(359)는 V자 단면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틸팅 바디(371)의 틸팅 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리턴 디텐트(359)는:
    상기 유니트 노브(200)에 틸팅 방향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 틸팅 스테이블 포션(3592/P)와,
    상기 유니트 노브(200)에 틸팅 방향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접촉 상태를 위치 형성하는 리턴 디텐트 틸팅 언스테이블 포션(35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유니트(10).
KR1020190060962A 2019-05-24 2019-05-24 스위칭 유니트 KR20200134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62A KR20200134852A (ko) 2019-05-24 2019-05-24 스위칭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62A KR20200134852A (ko) 2019-05-24 2019-05-24 스위칭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852A true KR20200134852A (ko) 2020-12-02

Family

ID=7379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962A KR20200134852A (ko) 2019-05-24 2019-05-24 스위칭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8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800A (ko) * 2021-03-25 2022-10-06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차량용 자동변속 조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800A (ko) * 2021-03-25 2022-10-06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차량용 자동변속 조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6215A (en) Steering roller connector signal transmission device on a steering wheel column
JP4238085B2 (ja) 多方向スイッチ
KR102165848B1 (ko) 리모트 쉬프트 레버 스위칭 유니트
KR101151161B1 (ko) 스위치 유니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장치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2007062664A (ja) シフト装置
JP6674540B2 (ja) 車両用マルチオペレーティングスイッチユニット
US7528331B2 (en) Manually operated control
KR20080040743A (ko) 인터페이스 장치
JP5797444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KR20200134852A (ko) 스위칭 유니트
KR20200132378A (ko) 스위칭 유니트
KR20210156820A (ko) 리모트 쉬프트 레버 스위칭 유니트
EP0357051A2 (en) Contactless switch
US20230133929A1 (en) Operation apparatus for vehicle
KR101435283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120109394A (ko) 조작 입력 장치
US20190043684A1 (en) Vehicle-mounted equipment operating device
KR101986125B1 (ko)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EP1884858A1 (en) Tilting operation type input device
JP4209300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JP4063753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KR101083139B1 (ko) 스위치 유니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장치
KR1014812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190042834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