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442B1 - 반송 시스템 및 반송체 - Google Patents

반송 시스템 및 반송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442B1
KR102263442B1 KR1020197031670A KR20197031670A KR102263442B1 KR 102263442 B1 KR102263442 B1 KR 102263442B1 KR 1020197031670 A KR1020197031670 A KR 1020197031670A KR 20197031670 A KR20197031670 A KR 20197031670A KR 102263442 B1 KR102263442 B1 KR 102263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rail
unit
conveying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937A (ko
Inventor
츠요시 우노
Original Assignee
나카스 일렉트릭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스 일렉트릭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나카스 일렉트릭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12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Abstract

작업성이 우수한 반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반송 시스템은, 반송체와 반송 레일을 구비한다.
반송체는, 반송체 본체와 주행부와 컨베이어부에 압접하고 반송체 본체를 컨베이어부에 연결하기 위한 압접체와, 압접체의 컨베이어부로의 압접 및 상기 압접의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구비한다. 제어기구는, 압접체를 구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다. 반송 레일에는, 압접체와 컨베이어부가 압접된 상태로 반송체가 컨베이어부에 의하여 반송되는 동력 공급 영역 및 압접체와 컨베이어부의 압접이 해제된 상태로 반송체가 레일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주행 조작 가능하게 되는 동력 절단 영역이 정해져 있다. 반송 레일에는, 반송체가 동력 공급 영역에 위치할 때에 압접체와 컨베이어부의 압접을 해제하도록 조작부에 작용하며, 또한, 반송체가 동력 공급 영역에 위치할 때에 압접체와 컨베이어부의 압접을 유지하도록 조작부에 작용하는 구동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반송 시스템 및 반송체
본 발명은, 대상물을 소정 위치까지 반송하기 위한 반송 시스템 및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상물(워크재)에 대하여 하나의 공정을 실시하는 제 1 공정 실시 장소로부터 다른 공정을 실시하는 제 2 공정 실시 장소로 대상물을 반송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반송 장치(반송 시스템)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반송 레일 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반송체를 정지 조작 가능한 반송 장치를 개시한다. 반송 장치(100)는, 대상물을 소정 위치까지 반송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반송체(110)와, 대상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반송체(110)가 주행하기 위한 레일부(131) 및 상기 레일부(131)에 병설됨과 함께 반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컨베이어부(135)를 구비하는 반송 레일(130)을 구비한다. 상기 반송체(110)는 반송체 본체(111)와,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와, 반송체 본체(111)가 레일부(131)를 주행하기 위한 주행부(113)와, 반송체 본체(111)에 지지되고 컨베이어부(135)에 압접하여 반송체 본체(111)를 컨베이어부(135)에 연결하기 위한 압접체(115)와, 상기 압접체(115)의 컨베이어부(135)로의 압접을 해제 조작하기 위한 제어부(116)를 구비한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보 제 5878996호
특허문헌 1의 반송 장치는, 반송 레일 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간단한 수동 조작으로 반송체를 정지 조작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정해진 반송 레일 위의 동력 절단 영역(작업 영역)에서, 반송체를 자유로운 상태(압접체와 컨베이어부가 이격된 상태)로 하고, 사용자가 반송체에 대하여 작업 등을 실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반송 장치에서는, 반송체가 동력 절단 영역에 진입했을 때에, 사용자가 전진하는 반송체를 잡고, 수동 조작으로 압접체와 컨베이어부의 압접을 해제하는 것이 필요했다. 특히, 반송체가 고속으로 흐르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동력 절단 영역에서 압접의 해제 조작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며, 반송체 정지에 실패하거나, 안전을 해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특허문헌 1의 반송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사항을 개량점으로서 착안한 것이며, 반송체가 동력 공급 영역으로부터 동력 절단 영역으로 진입했을 때에, 자동적으로 압접체와 컨베이어부의 압접을 해제 가능한 반송 장치를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사용자에게 정해진 동력 절단 영역에서 반송체의 압접체와 컨베이어부의 압접을 자동으로 해제 가능한, 보다 작업성이 우수한 반송 시스템 및 반송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은,
대상물을 소정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체와,
상기 대상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반송체가 주행하기 위한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병설됨과 함께 상기 반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컨베이어부를 구비하는 반송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체는,
반송체 본체와,
상기 반송체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반송체 본체가 상기 레일부를 주행하기 위한 주행부와,
상기 반송체 본체에 가동식(可動式)으로 지지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하여 상기 반송체 본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연결하기 위한 압접체와,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근접하는 방향 및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압접체의 상기 컨베이어부로의 압접 및 상기 압접의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압접체를 구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레일에는, 상기 압접체와 상기 컨베이어부가 압접된 상태로 상기 반송체가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하여 반송되는 동력 공급 영역, 및 상기 압접체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압접이 해제된 상태로 상기 반송체가 상기 레일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주행 조작 가능하게 되는 동력 절단 영역이 정해져 있고,
상기 반송 레일에는, 상기 반송체가 상기 동력 공급 영역에 위치할 때에 상기 압접체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압접을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부에 작용하고, 또한, 상기 반송체가 상기 동력 공급 영역에 위치할 때에 상기 압접체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압접을 유지하도록 상기 조작부에 작용하는 구동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은, 상기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레일부에 병설된 구동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시키는 작동 위치 및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구동 레일을 주행 가능한 베어링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 레일에는, 상기 베어링이 제 1 높이에서 주행 가능하고, 상기 동력 공급 영역에서 상기 레일부에 병설된 제 1 주행로와, 상기 베어링이 상기 제 1 높이와 다른 제 2 높이에서 주행 가능하며, 상기 동력 절단 영역에서 상기 레일부에 병설된 제 2 주행로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이 상기 제 1 주행로에 위치할 때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작동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압접체가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한편, 상기 베어링이 상기 제 2 주행로에 위치할 때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해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압접체가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은, 상기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행로 및 상기 제 2 주행로는,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은, 상기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접체는, 상기 반송체 본체에 대하여 상기 컨베이어부에 대한 압접 방향 및 이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선단에 형성된 압접판과, 상기 다리부에 형성된 계합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조작부를 상기 반송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고정된 주동(主動) 기어와, 상기 회동축과 인접하여 상기 반송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주동 기어와 서로 맞물림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구동 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계합축과 계합 가능하게 배치된 계합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계합체의 바깥 둘레면과 상기 회전축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고,
상기 조작부의 회동 조작에 따라서 상기 주동 기어, 상기 종동(縱動) 기어 및 상기 계합체가 동시에 회전하고, 상기 계합체의 회전과 함께 상기 계합축이 상기 계합체의 바깥 둘레면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다리부가 상기 반송체 본체에 대하여 상기 컨베이어부에 대한 압접 방향 및 이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반송체는, 상기 대상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반송체가 주행하기 위한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병설됨과 함께 상기 반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컨베이어부를 구비하는 반송 레일을 따라서 대상물을 소정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체로서,
반송체 본체와,
상기 반송체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반송체 본체가 상기 레일부를 주행하기 위한 주행부와,
상기 반송체 본체에 가동식으로 지지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하여 상기 반송체 본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연결하기 위한 압접체와,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근접하는 방향 및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압접체의 상기 컨베이어부로의 압접 및 상기 압접의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압접체를 구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시키는 작동 위치 및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레일부에 병설된 구동 레일을 주행 가능한 베어링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이, 상기 구동 레일의 제 1 높이에 형성된 제 1 주행로에 위치할 때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작동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압접체가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하며, 다른 한편, 상기 베어링이 상기 구동 레일의 상기 제 1 높이와 다른 제 2 높이에 형성된 제 2 주행로에 위치할 때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해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압접체가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반송체는, 상기 반송체에 있어서, 상기 압접체는, 상기 반송체 본체에 대하여 상기 컨베이어부에 대한 압접 방향 및 이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선단에 형성된 압접판과, 상기 다리부에 형성된 계합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조작부를 상기 반송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고정된 주동 기어와, 상기 회동축과 인접하여 상기 반송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주동 기어와 서로 맞물림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구동 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계합축과 계합 가능하게 배치된 계합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계합체의 바깥 둘레면과 상기 회전축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고,
상기 조작부의 회동 조작에 따라서 상기 주동 기어, 상기 종동 기어 및 상기 계합체가 동시에 회전하고, 상기 계합체의 회전과 함께 상기 계합축이 상기 계합체의 바깥 둘레면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다리부가 상기 반송체 본체에 대하여 상기 컨베이어부에 대한 압접 방향 및 이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형태의 반송 시스템에 의하면, 레일부에는, 압접체와 컨베이어부가 압접된 상태로 반송체가 컨베이어부에 의하여 반송되는 동력 공급 영역 및 압접체와 컨베이어부의 압접이 해제된 상태로 반송체가 레일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주행 조작 가능해지는 동력 절단 영역이 정해져 있다. 그리고, 반송체가 동력 공급 영역으로부터 동력 절단 영역으로 이행할 때, 레일부에 설치된 구동 부재가 반송체의 제어기구의 조작부에 압접을 해제하도록 작용함으로써, 동력 절단 영역에서, 반송체의 동력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절단된다. 즉,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정해진 동력 절단 영역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반송체를 조작하지 않고, 반송체의 동력 절단 영역으로의 진입 동작만으로, 반송체가 프리한 상태로 레일부에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은, 사용자의 작업성을 큰 폭으로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반송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구동 부재를 레일부에 병설된 구동 레일로 했다. 구동 레일은, 동력 공급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주행로 및 동력 절단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주행로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조작부는 압접체를 컨베이어부에 압접시키는 작동 위치 및 압접체를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구동 레일을 주행 가능한 베어링을 구비한다. 그리고, 반송체가 레일부의 동력 공급 영역을 주행함과 함께 베어링이 제 1 주행로를 제 1 높이에서 주행할 때, 조작부가 작동 위치에 위치하고 압접체가 컨베이어부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송체가 동력 공급 영역으로부터 동력 절단 영역으로 진입했을 때, 베어링이 제 1 주행로로부터 제 2 높이의 제 2 주행로로 이동하고, 조작부가 작동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압접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반송체가 동력 절단 영역에 위치할 때, 베어링이 제 2 주행로에 제 2 높이로 위치함으로써, 조작부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여 압접체가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반송체의 압접 상태와 해제 상태의 전환 및/또는 유지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반송 장치에 의하면, 상기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제 1 주행로 및 제 2 주행로가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압접 상태와 해제 상태의 전환을 보다 매끄럽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의 반송체에 의하면, 제어기구의 조작부는, 압접체를 컨베이어부에 압접시키는 작동 위치 및 압접체를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구동 레일을 주행 가능한 베어링을 구비한다. 그리고, 반송체의 조작부의 베어링이 제 1 주행로를 제 1 높이에서 주행할 때, 조작부가 작동 위치에 위치하고 압접체가 컨베이어부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송체가 동력 공급 영역으로부터 동력 절단 영역으로 진입했을 때, 베어링이 제 1 주행로로부터 제 2 높이의 제 2 주행로로 이동하고, 조작부가 작동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압접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반송체가 동력 절단 영역에 위치할 때, 베어링이 제 2 주행로에 제 2 높이로 위치함으로써, 조작부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여 압접체가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반송체의 압접 상태와 해제 상태를 전환 및/또는 유지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송체는, 사용자의 작업성을 큰 폭으로 개선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반송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송체의 (a) 정면도 및 (b)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송체의 (a) 평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송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반송체의 압접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반송 레일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반송 레일의 (a) 평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반송 레일의 (a) B-B 단면도 및 (b) C-C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반송 시스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반송 시스템의 동력 공급 영역에 위치하는 반송체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반송 시스템의 D-D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반송체가 동력 공급 영역으로부터 동력 절단 영역으로 이행할 때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반송 시스템의 동력 부재 영역에 위치하는 반송체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반송 시스템의 E-E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의 형상은, 매우 적합한 형상을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개념도 또는 개략도이며, 치수 비율 등은 실제의 치수 비율과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도면에 있어서의 치수 비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10)은, 대상물을 소정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체(110)와, 소정의 반송로에 따라서 부설된 반송 레일(150)로 구성되어 있다. 즉, 반송 시스템(10)은, 소정의 반송로에 따라서 부설된 반송 레일(150)을 따라서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을 반송 장치(100)에서 소정 위치까지 반송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물(워크재)에 복수의 공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 1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공정 실시 장소로부터, 제 2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공정 실시 장소로 대상물을 반송 레일(150)을 따라서 반송하는 것에 상기 반송체(110)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반송체(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반송체(11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b)는, 상기 반송체(110)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a)(b)는, 상기 반송체(110)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반송체(110)(압접 해제 형태)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반송체(110)(압접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체(110)는 반송체 본체(111)와,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와, 상기 반송체 본체(111)가 반송 레일(150)(레일부(151))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부(113)와, 반송체 본체(111)에 가동식으로 지지되고 반송 레일(150)의 컨베이어부(155)에 압접하여 반송체 본체(111)를 컨베이어부(155)에 연결하기 위한 압접체(115)와, 압접체의 컨베이어부로의 압접 및 상기 압접의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116)를 구비한다.
반송체 본체(111)는, 그 좌우 양단에서 세로(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11a)과,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111a)의 앞뒤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상방 가로 프레임(111b)과, 그 아래쪽에서 상기 상방 가로 프레임(111b)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방 가로 프레임(111c)을 구비한다.
각 세로 프레임(111a)은, 직사각형 형상의 기둥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세로 프레임(111a)의 하단에는, 대상물을 재치하여 지지하는 지지판(도시하지 않음)을 매달아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12)는, 지지판을 나사로 연결 가능한 나사구멍이어도 좋다. 또, 세로 프레임(111a)의 상단에는, 주행부(113)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부(113)는, 반송체 본체(111)의 좌우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세로 프레임(111a) 상단에 취착된 한 쌍의 차륜을 구비한다. 상기 주행부(113)는, 세로 프레임(111a)의 정면 및 이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위치하고, 반송 레일(150)의 레일부(151)에 재치되어 레일부(151) 위를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앞뒤 한 쌍의 상방 가로 프레임(111b)은, 좁고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평면 부분이 정면 및 이면을 향하도록 세로 프레임(111a)의 정면 및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앞뒤 한 쌍의 상방 가로 프레임(111b)이 한 쌍의 세로 프레임(111a)을 앞뒤에 끼워 연결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가로 프레임(111b)의 평면 부분에는, 제어기구(116)의 회동축(116g), 회전축(116h, 116h)을 관통하여 축 지지하기 위한 3개의 축 구멍이 뚫어져 있다. 다른 한편, 하방 가로 프레임(111c)은, 좁고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방 가로 프레임(111c)은, 그 평면 부분이 상방 및 하방을 향하도록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111a)의 대향하는 내면에 고정(끼워 지지)되어 있다. 또, 하방 가로 프레임(111c)의 정면 및 이면측의 양측 테두리에는, 압접체(115)의 다리부(115a)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의 절결이 4개 형성되어 있다.
압접체(115)는, 반송체 본체(111)에 상하 방향으로 가동식으로 지지되고, 반송 레일(150)의 컨베이어부(155)(도 7, 도 8 등 참조)에 압접하여 반송체 본체(111)를 컨베이어부(155)에 연결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압접체(115)는, 반송체 본체(111)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다리부(115a)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115a)의 상단에 고정된 판 형상의 압접판(압접부)(115b)을 구비한다.
각 다리부(115a)는, 앞뒤로 배치된 2장의 세로 길이의 판 형상부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리부(115a)의 판 형상부의 내측에 반송체 본체(111)의 하방 가로 프레임(111c)이 배치되고, 판재의 외측에 상방 가로 프레임(111b)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방 가로 프레임(111c)의 4개의 절결에, 다리부(115a)의 판 형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압접체(115)가 반송체 본체(111)에 지지되어 있다.
압접판(115b)은, 그 직사각형 형상의 기초부가 다리부(115a)의 판 형상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다리부(115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압접판(115b)은, 좌우 폭 방향으로 연이어져 있고, 그 양단이 아래쪽으로 후퇴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압접판(115b)의 상면이 컨베이어부(155)에 압접하는 압접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다리부(115a)의 상부에는, 계합축(115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합축(115c)은, 앞뒤의 판 형상부를 연결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이어져 있고, 후술하는 제어기구(116)의 계합체(116e)의 외면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다리부(115a)의 대략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긴 구멍(115d)이 뚫려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리부(115a)의 판 형상부의 양쪽에 긴 구멍(115d)이 뚫려, 제어기구(116)의 회전축(116h)을 유동(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쪽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다리부(115a)의 하단에는, 바닥 벽(115e)이 설치되어 있다. 바닥 벽(115e)은, 그 하단을 폐색하도록 상기 다리부(115a)의 판 형상부를 연결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벽(115e) 상면과 하방 가로 프레임(111c) 하면의 사이에 제어기구(116)의 용수철(116f)이 배치된다.
제어기구(116)는, 압접체(115)를 반송 레일(150)(컨베이어부(155))에 근접하는 방향 및 압접체(115)를 반송 레일(150)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고, 압접체(115)의 컨베이어부(155)로의 압접 및 상기 압접의 해제를 제어하도록 기능한다. 제어기구(116)는, 압접체(115)를 구동 조작하기 위한 레버 형상의 조작부(116a)를 구비한다. 조작부(116a)는, 압접체(115)를 컨베이어부(155)에 압접시키는 작동 위치(경사 자세) 및 압접체(155)를 컨베이어부(155)로부터 이격시키는 해제 위치(수직 자세)로 이동 가능하다. 또, 조작부(116a)는, 선단에 회전 가능한 베어링(116b)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116b)은, 후술하는 반송 레일(150)의 구동 레일(158) 하면에 슬라이딩하도록 기능한다.
조작부(116a)는, 그 기단(하단)에서 회동축(116g)을 사이에 두고 반송체 본체(111)의 상방 가로 프레임(111b)의 대략 중앙에 회동식으로 축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116g)은, 반송체 본체(111)의 정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앞뒤 한 쌍의 상방 가로 프레임(111b)을 관통하고, 반송체 본체(1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116g)의 앞단(前端)에 조작부(116a)가 고정되어, 반송체 본체(111)보다 전방(前方, 정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면측의 가로 프레임(111b) 외면과 조작부(116a)의 사이에서, 주동 기어(116c)가 회동축(116g)에 고정되어 있다. 즉, 조작부(116a) 및 주동 기어(116c)는 회동축(116g)을 중심으로 서로 동기(同期)하여 회동 가능하다.
다른 한편, 회동축(116g)의 양측으로, 2개의 회전축(116h)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종동 기어(116d)가 반송체 본체(111)의 상방 가로 프레임(111b)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 지지되어 있다. 각 회전축(116h)은, 앞뒤 한 쌍의 상방 가로 프레임(111b)을 관통하여, 반송체 본체(1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회동축(116g), 회전축(116h, 116h)은, 상방 가로 프레임(111b)의 연장하여 설치되는 방향(반송체(110)의 좌우 폭 방향)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다. 각 종동 기어(116d)가 회전축(116h)의 앞단에 고정되어, 좌우 2개의 종동 기어(116d)가 중앙의 주동 기어(116c)에 서로 맞물림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주동 기어(116c)의 회동에 따라서, 종동 기어(116d)가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동 기어(116c) 및 종동 기어(116d)가 같은 지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동 기어(116c)와 종동 기어(116d)의 회전 각도는 같다. 그렇지만, 상기 형태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앞뒤 한 쌍의 상방 가로 프레임(111b)의 사이에서, 계합체(116e)가 각 회전축(116h)에 고정되어 있다. 즉, 계합체(116e)는, 회전축(116h)을 사이에 두고 종동 기어(116d)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동 기어(116d)의 회전에 대하여 동기 회전한다. 이 계합체(116e)는, 정면에서 봤을 때 정방형의 각 변의 중앙을 중심축에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계합체(116e)의 각 변의 중앙에는, 움푹 패인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합체(116e)의 바깥 둘레면은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만곡하고 있다. 그리고, 계합체(116e)의 바깥 둘레면이 계합축(115c)에 당접하도록(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즉, 계합체(116e)의 바깥 둘레면과 회전축(116h)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계합체(116e)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계합체(116e)의 바깥 둘레면에 슬라이딩하여 접하는 계합축(115c)이 회전축(116h)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어기구(116)에는, 압접체(115)를 후퇴 방향(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지는 용수철(116f)이 설치되어 있다. 용수철(116f)은, 각 다리부(115a)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특히, 용수철(116f)의 하단이 바닥 벽(115e)의 상면에 고정되고, 용수철(116f)의 상단이 하방 가로 프레임(111c)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4(및 도 5)의 형태로 용수철(116f)이 자연 길이로부터 수축된 상태에 있고, 바닥 벽(115e)과 하방 가로 프레임(111c)이 이격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즉, 용수철(116f)의 탄성 복귀력에 의하여 반송체 본체(111)의 하방 가로 프레임(111c)에 대하여 각 다리부(115a)의 바닥 벽(115e)이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짐으로써, 압접체(115)가 후퇴 방향(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진다. 상기 부세력에 의하여 계합축(115c)과 계합체(116e) 바깥 둘레면의 당접을 유지함으로써, 종동 기어(116d)의 회전에 따라서 계합축(115c)이 종동 기어(116d)의 바깥 둘레면 위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계속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반송체(1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압접체(115)가 반송 레일(150)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후퇴한 형태의 반송체(1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압접체(115)가 반송 레일(150)에 압접하는 방향으로 전진한 형태의 반송체(1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제어기구(116)의 조작부(116a)가 대략 수직 자세를 취하고, 조작부(116a) 선단의 베어링(116b)이 제 1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계합체(116e)의 위쪽의 한 변의 중앙에 계합축(115c)이 당접하고 있다. 계합체(116e)의 각 변의 중앙의 움푹 패인 부분에서 회전축(116h) 중심과 계합체(116e) 바깥 둘레면의 거리가 최소가 된다. 즉, 도 4의 형태에서는, 압접체(115)가 가장 후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의 형태에서 제어기구(116)의 조작부(116a)를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 움직이게 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접체(115)를 전진 방향(윗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116a)를 소정 각도로 경사 자세로 회동시키면, 조작부(116a)의 회동에 동기하여 주동 기어(116c)가 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한다. 이 때, 조작부(116a) 선단의 베어링(116b)이 제 2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소정 각도가 약 45도이다. 중앙의 주동 기어(116c)가 양측의 2개의 종동 기어(116d)에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주동 기어(116c)의 회전에 따라서, 2개의 종동 기어(116d)가 소정 각도로 종동 회전한다. 그리고, 각 종동 기어(116d)의 회전에 동기하여 계합체(116e)가 소정 각도로 회전한다. 상기 계합체(116e)의 회전에 수반하여, 계합축(115c)이 계합체(116e) 바깥 둘레면 위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한다. 계합축(115c)이 계합체(116e) 주변 중앙의 움푹 패인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축(116g)과 계합축(115c)이 이격하도록 계합축(115c)이 윗쪽으로 점차적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회전축(116h)이 긴 구멍(115d) 내를 아래쪽으로 상대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축(115c)이 계합체(116e)의 다리부로 이동했을 때에, 압접체(115)가 반송 레일(150)에 압접하는 방향을 향하여 가장 전진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조작부(116a)를 핀 등의 고정 수단으로 반송체 본체(111)에 원하는 기울어져 움직이는 각도로 고정함으로써, 압접체(115)를 전진 자세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10)의 일부를 구성하고, 대상물을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반송하기 위한 반송 레일(150)을 설명한다. 도 6은, 반송 레일(150)의 사시도이다. 도 7(a), (b)는, 반송 레일(150)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a)(b)는, 반송 레일(150)의 B-B 종단면도 및 C-C 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레일(150)은, 반송 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정벽부(top wall part,152)와 상기 정벽부(152)의 폭(짧은 쪽) 방향의 양단 테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진 한 쌍의 측벽부(153)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153)의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개구한 개구부(154)와, 한쪽 측벽부(153)의 외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여, 반송 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동 레일(구동 부재)(15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각 측벽부(153)의 개구단에는, 내측으로 튀어나온 레일부(15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긴쪽 방향(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부(151) 사이의 간격은, 반송체 본체(111)의 폭 보다 넓고, 또한, 주행부(113)를 이루는 한 쌍의 차륜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정벽부(152)의 상면에는, 반송 레일(150)을 구조체에 매달아 고정하기 위한 매다는 기구(157)가 고정된다.
다른 한편, 반송 레일(150)의 개구부(154)의 반대측(안측)에는, 컨베이어부(1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155)는, 레일부(151)에 병설되어 있고, 반송체(110)를 레일부(151) 위에서 주행시키도록 구동한다. 컨베이어부(155)는, 양측 벽부(15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복수의 풀리(155a)와, 상기 복수의 풀리(155a)에 걸린 컨베이어 벨트(155b)를 구비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6에서는 컨베이어 벨트(155b)의 묘사를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동력부(156)에 의하여, 풀리(155a) 및 컨베이어 벨트(155b)가 회전 구동된다. 동력부(156)에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55b)의 표면에 압접체(115)의 압접판(115b)이 압접되어, 컨베이어 벨트(155b)의 회전 구동과 함께 반송체(110)가 이동한다.
구동 레일(158)은, 평면에서 볼 때 레일부(151)에 병설되어 있다. 구동 레일(158)은, 측벽부(153) 외면에 고정된 가는 폭의 긴 판이다. 상기 구동 레일(158)은, 제 1 높이에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 1 주행로(158a)와, 상기 제 1 주행로(158a)의 윗쪽의 제 2 높이에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 2 주행로(158b)와, 제 1 주행로(158a) 및 제 2 주행로(158b)를 연결하는 경사부(158c)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반송 레일(150)에는, 압접체(150)와 컨베이어부(155)가 압접된 상태로 반송체(110)가 컨베이어부(155)에 의하여 반송되는 동력 공급 영역(X) 및 압접체(150)와 컨베이어부(155)의 압접이 해제된 상태로 반송체(110)가 레일부(151)에 대하여 자유롭게 주행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동력 절단 영역(Y)이 정해져 있다. 동력 절단 영역(Y)은, 작업자가 반송체(110)를 정지시켜 대상물(워크재)에 공정을 실시하는 장소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레일(158)의 제 1 주행로(158a)가 동력 공급 영역(X)을 정하고, 제 2 주행로(158b)가 동력 절단 영역(Y)을 정하며, 그리고, 경사부(158c)가 동력 공급 영역(X) 및 동력 절단 영역(Y) 간의 이행 영역을 정한다.
한편, 반송 레일(150)은, 설명의 편의상, 1 유닛 또는 일부분으로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는, 하나의 공정 실시 장소와 이것과 떨어진 적어도 1개의 다른 공정 실시 장소를 반송 레일(150)로 연결할 수 있도록, 길게 구성될 수 있다. 또, 이 반송 레일(150)은, 직선적으로 부설되어도 좋고, 굴곡 또는 사행(蛇行)되게 부설되어도 좋으며, 혹은, 고리 형상으로 부설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반송 레일(150)의 길이는, 용지 등에 따라 임의로 정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1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10)은, 상기 설명한 하나 또는 복수의 반송 장치(110) 및 반송 레일(15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레일(150)에는, (예시로서) 동력 공급 영역(X) 사이에 동력 절단 영역(Y)이 형성되어 있고, 각 영역(X, Y)에 반송체(110)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동력 공급 영역(X) 및 동력 절단 영역(Y)은, (굵은 선으로 나타낸) 구동 레일(158)의 제 1 주행로(158a) 및 제 2 주행로(158b)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컨베이어부(155)가 구동되어 있는 경우, 동력 공급 영역(X)에 있는 반송체(110)에 컨베이어부(155)로부터 구동력이 공급되고, 반송체(110)가 레일부(151) 위를 일정 방향으로 주행한다. 다른 한편, 동력 절단 영역(Y)에 있는 반송체(110)에는 컨베이어부(155)로부터 구동력이 공급되지 않아, 반송체(110)는 자유롭게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즉, 반송체(110)가 동력 공급 영역(X)을 지나 동력 절단 영역(Y)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컨베이어부(155)로부터의 구동력 공급이 절단된다. 그래서, 작업자(사용자)는, 동력 절단 영역(Y)에 있는 반송체(110)를 손으로 잡아 이동 및/또는 정지시켜, 반송체(110)에 지지되는 대상물(워크재)에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에 의한 처리 완료 후에는, 작업자가 반송체(110)를 동력 절단 영역(Y)으로부터 전방의 동력 공급 영역(X)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재차, 컨베이어부(155)로부터 반송체(110)로 구동력이 공급되어, 반송체(110)가 동력 공급 영역(X)에 의하여 다음의 목적지로 향하여 자동적으로 반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력 공급 영역(X)에서는, 반송 레일(150)의 개구부(154)를 통하여, 반송체(110)의 상부가 반송 레일(15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반송 레일(150)의 한 쌍의 레일부(151) 위에 반송체(110)의 한 쌍의 주행부(113)가 재치되어, 압접체(115)의 압접판(115b)이 컨베이어부(155)의 컨베이어 벨트(155b)에 압접되어 있다. 이 때, 조작부(116a)가 경사 자세로 있고, 베어링(116b)이 구동 레일(158)(제 1 주행로(158a))의 하면에 당접하고 있다. 즉, 베어링(116b)이 제 1 높이에서 제 1 주행로(158a)를 주행함으로써, 조작부(116a)가 작동 위치(경사 자세)로 유지되고 있다. 그 결과, 압접체(120)의 컨베이어부(155)로의 압접이 유지되어, 컨베이어부(155)로부터 반송체(110)로 구동력이 공급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행 방향의 전방의 동력 공급 영역(X)에서는, 조작부(116a)가 후방으로 기울어 움직이는 자세를 취하고, 후방의 동력 공급 영역(X)에서는, 조작부(116a)가 전방으로 기울어 움직이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조작부(116a)는 전후 방향의 양쪽으로 기울어 움직임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부(116a)의 기울어 움직임의 방향은, 베어링(116b)과 구동 레일(158)의 닿는 방향에 따라 정해진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체(110)가 동력 공급 영역(X)으로부터 동력 절단 영역(Y)으로 이동할 때, 이행 영역을 통과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베어링(116b)이 구동 레일(158)의 제 1 주행로(158a)로부터 경사부(158c)로 진입한다. 이 때, 용수철(116f)의 탄성 복귀력에 의하여 조작부(116a)가 해제 위치(수직 자세)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조작부(116a)가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이(변위)면서, 베어링(116b)이 경사부(158c) 하면을 슬라이딩한다. 조작부(116a)의 기울어 움직임과 함께, 압접체(120)가 컨베이어부(15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후퇴한다.
계속하여,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력 절단 영역(Y)에서는, 반송 레일(150)의 한 쌍의 레일부(151) 위에 반송체(110)의 한 쌍의 주행부(113)가 재치되고, 압접체(115)의 압접판(115b)이 컨베이어부(155)의 컨베이어 벨트(155b)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때, 조작부(116a)가 수직 자세로 있고, 베어링(116b)이 구동 레일(158)(제 2 주행로(158a))의 하면에 당접하고 있다. 즉, 베어링(116b)이 제 2 높이에서 제 2 주행로(158a)를 주행함으로써, 조작부(116a)가 해제 위치(수직 자세)로 유지되고 있다. 그 결과, 압접체(120)의 컨베이어부(155)로의 이격 상태가 유지되어, 컨베이어부(155)로부터 반송체(110)로의 구동력의 공급이 절단되어 있다. 즉, 컨베이어부(155)에 구동되어 있는 상태라도, 동력 절단 영역(Y)에서, 작업자는 반송체(110)를 자유롭게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10) 및 반송체(11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10)(반송체(110))에 의하면, 레일부(151)에는, 압접체(115)와 컨베이어부(155)가 압접된 상태로 반송체(110)가 컨베이어부(155)에 의하여 반송되는 동력 공급 영역(X) 및 압접체(115)와 컨베이어부(155)의 압접이 해제된 상태로 반송체(110)가 레일부(151)에 대하여 자유롭게 주행 조작 가능하게 되는 동력 절단 영역(Y)이 정해져 있다. 그리고, 반송체(110)가 동력 공급 영역(X)으로부터 동력 절단 영역(Y)으로 이행할 때, 레일부(151)에 설치된 구동 레일(158)이, 반송체(110)의 제어기구(116)의 조작부(116a)에 압접을 해제하도록 작용함으로써, 동력 절단 영역(Y)에서, 반송체(110)의 동력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절단된다. 즉,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정해진 동력 절단 영역(Y)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반송체(110)를 조작하지 않고, 반송체(110)의 동력 절단 영역(Y)으로의 진입 동작만으로, 반송체(110)가 프리한 상태로 레일부(151)에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작업성을 큰 폭으로 개선시키는 것이다.
특히, 구동 레일(158)은, 레일부(151)에 병설되고, 동력 공급 영역(X)에 대응하는 제 1 주행로(158a), 동력 절단 영역(Y)에 대응하는 제 2 주행로(158b) 및 경사부(158c)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조작부(116a)는, 압접체(115)를 컨베이어부(155)에 압접시키는 작동 위치 및 압접체(115)를 컨베이어부(155)로부터 이격시키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구동 레일(158)을 주행 가능한 베어링(116b)을 구비한다. 그리고, 반송체(110)가 레일부(151)의 동력 공급 영역(X)을 주행함과 함께 베어링(116b)이 제 1 주행로(158a)를 제 1 높이로 주행할 때, 조작부(116a)가 작동 위치에 위치하여 압접체(115)가 컨베이어부(155)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송체(110)가 동력 공급 영역(X)으로부터 동력 절단 영역(Y)으로 이행할 때, 베어링(116b)이 경사부(158c)를 통하여 제 1 주행로(158a)로부터 제 2 높이의 제 2 주행로(158b)로 순조롭게 이동하고, 조작부(116a)가 작동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압접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반송체(110)가 동력 절단 영역(Y)에 위치할 때, 베어링(116b)이 제 2 주행로(158b)에 제 2 높이로 위치함으로써, 조작부(116a)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여 압접체(115)가 컨베이어부(155)로부터 이격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반송 시스템(10)(및 반송체(110))에서는, 구동 레일(158)을 이용함으로써, 전자적 수단을 탑재하지 않고,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반송체(110)의 압접 상태와 해제 상태의 전환 및/또는 유지를 행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의 반송체의 형태는 해당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반송체의 반송체 본체, 압접체, 주행부 등의 형태는,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여러 가지 구조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동발명자에 의한 특허 제 5878996호 공보에 기재된 반송체와 같은 형태를 부분적으로 취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반송 레일의 형태는 해당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송 레일을 하우징형으로 하지 않도록 측벽부 및 정벽부를 생략하고, 컨베이어부와 별체로서 샤프트 형상의 레일부를 채용해도 좋다. 또, 레일부 및 주행부를 랙·앤·피니언(rack and pinion)으로 하여, 톱니바퀴의 톱니의 맞물림에 의해, 반송체를 주행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랙·앤·피니언을 채용하면, 반송로를 경사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부설했을 때의 반송체의 주행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주행부에서 레일부를 상하로부터 사이에 끼우지 않고, 주행부가 레일부의 한쪽 면 위를 주행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조작부 및 구동 부재는, 상기 실시형태의 레버 형상의 조작부 및 구동 레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구동 부재 및 조작부는, 서로 작용 가능한 관계에 있으면, 임의의 형상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컨베이어부는, 풀과 컨베이어 벨트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압접체와의 압접 관계를 유지하고, 반송체를 반송로를 따라 내보낼 수 있으면, 그 수단은 상관없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부에 복수의 구동륜을 채용하고, 각 구동륜의 회전과 함께 반송체를 내보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나 변형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반송 시스템 100: 반송 장치
110: 반송체 110-1: 제 1 반송체
110-2: 제 2 반송체 111: 반송체 본체
111a: 세로 프레임 111b: 상방 가로 프레임
111c: 하방 가로 프레임 112: 지지부
113: 주행부 115: 압접체
115a: 다리부 115b: 압접판(압접부)
115c: 계합축 115d: 긴 구멍
115e: 바닥 벽 116: 제어기구
116a: 조작부 116b: 베어링
116c: 주동 기어 116d: 종동 기어
116e: 계합체 116f: 용수철
116g: 회동축 116h: 회전축
120: 연결체 121: 제 1 링크
122: 제 2 링크 123: 제 1축
124: 제 2축 125: 로터리 댐퍼
126: 제 1 기어 127: 제 2 기어
150: 반송 레일 151: 레일부
152: 정벽부 153: 측벽부
154: 개구부 155: 컨베이어부
155a: 풀리 155b: 컨베이어 벨트
156: 구동부 157: 매다는 도구
158: 구동 레일(구동 부재) 158a: 제 1 주행로
158b: 제 2 주행로 158c: 경사부
X: 동력 공급 영역 Y: 동력 절단 영역

Claims (6)

  1. 대상물을 소정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체와,
    상기 대상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반송체가 주행하기 위한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병설됨과 함께 상기 반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컨베이어부를 구비하는 반송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체는,
    반송체 본체와,
    상기 반송체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반송체 본체가 상기 레일부를 주행하기 위한 주행부와,
    상기 반송체 본체에 가동식으로 지지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하여 상기 반송체 본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연결하기 위한 압접체와,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근접하는 방향 및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압접체의 상기 컨베이어부로의 압접 및 상기 압접의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압접체를 구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레일에는, 상기 압접체와 상기 컨베이어부가 압접된 상태로 상기 반송체가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하여 반송되는 동력 공급 영역 및 상기 압접체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압접이 해제된 상태로 상기 반송체가 상기 레일부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주행 조작 가능하게 되는 동력 절단 영역이 정해져 있고,
    상기 반송 레일에는, 상기 반송체가 상기 동력 공급 영역에 위치할 때에 상기 압접체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압접을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부에 작용하고 또한, 상기 반송체가 상기 동력 절단 영역에 위치할 때에 상기 압접체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압접을 유지하도록 상기 조작부에 작용하는 구동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체의 상기 동력 절단 영역으로부터 상기 동력 공급 영역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압접체가 상기 컨베이어부와 다시 압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레일부에 병설된 구동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시키는 작동 위치 및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구동 레일을 주행 가능한 베어링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 레일에는, 상기 베어링이 제 1 높이에서 주행 가능하고, 상기 동력 공급 영역에서 상기 레일부에 병설된 제 1 주행로와, 상기 베어링이 상기 제 1 높이와 다른 제 2 높이에서 주행 가능하며, 상기 동력 절단 영역에서 상기 레일부에 병설된 제 2 주행로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이 상기 제 1 주행로에 위치할 때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작동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압접체가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한편, 상기 베어링이 상기 제 2 주행로에 위치할 때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해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압접체가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행로 및 상기 제 2 주행로는,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체는, 상기 반송체 본체에 대하여 상기 컨베이어부에 대한 압접 방향 및 이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선단에 형성된 압접판과, 상기 다리부에 형성된 계합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조작부를 상기 반송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고정된 주동 기어와, 상기 회동축과 인접하여 상기 반송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주동 기어와 서로 맞물림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종동 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계합축과 계합 가능하게 배치된 계합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계합체의 바깥 둘레면과 상기 회전축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고,
    상기 조작부의 회동 조작에 따라서 상기 주동 기어, 상기 종동 기어 및 상기 계합체가 동시에 회전하고, 상기 계합체의 회전과 함께 상기 계합축이 상기 계합체의 바깥 둘레면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다리부가 상기 반송체 본체에 대하여 상기 컨베이어부에 대한 압접 방향 및 이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
  5. 대상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함께 반송체가 주행하기 위한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병설됨과 함께 상기 반송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컨베이어부를 구비하는 반송 레일을 따라서 대상물을 소정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체로서,
    반송체 본체와,
    상기 반송체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반송체 본체가 상기 레일부를 주행하기 위한 주행부와,
    상기 반송체 본체에 가동식으로 지지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하여 상기 반송체 본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연결하기 위한 압접체와,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근접하는 방향 및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압접체의 상기 컨베이어부로의 압접 및 상기 압접의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압접체를 구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시키는 작동 위치 및 상기 압접체를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레일부에 병설된 구동 레일을 주행 가능한 베어링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이, 상기 구동 레일의 제 1 높이에 형성된 제 1 주행로에 위치할 때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작동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압접체가 상기 컨베이어부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하며, 다른 한편, 상기 베어링이, 상기 구동 레일의 상기 제 1 높이와 다른 제 2 높이에 형성된 제 2 주행로에 위치할 때에, 상기 조작부가 상기 해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압접체가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체는, 상기 반송체 본체에 대하여 상기 컨베이어부에 대한 압접 방향 및 이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선단에 형성된 압접판과, 상기 다리부에 형성된 계합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조작부를 상기 반송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고정된 주동 기어와, 상기 회동축과 인접하여 상기 반송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주동 기어와 서로 맞물림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종동 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계합축과 계합 가능하게 배치된 계합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계합체의 바깥 둘레면과 상기 회전축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고,
    상기 조작부의 회동 조작에 따라서 상기 주동 기어, 상기 종동 기어 및 상기 계합체가 동시에 회전하고, 상기 계합체의 회전과 함께 상기 계합축이 상기 계합체의 바깥 둘레면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다리부가 상기 반송체 본체에 대하여 상기 컨베이어부에 대한 압접 방향 및 이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체.
KR1020197031670A 2017-11-21 2017-11-21 반송 시스템 및 반송체 KR102263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41832 WO2019102524A1 (ja) 2017-11-21 2017-11-21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937A KR20190127937A (ko) 2019-11-13
KR102263442B1 true KR102263442B1 (ko) 2021-06-09

Family

ID=6663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670A KR102263442B1 (ko) 2017-11-21 2017-11-21 반송 시스템 및 반송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9102524A1 (ko)
KR (1) KR102263442B1 (ko)
CN (1) CN110650906B (ko)
WO (1) WO201910252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7992A (ja) * 2015-01-29 2016-08-04 中洲電機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搬送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43Y2 (ko) * 1987-06-02 1992-01-16
JPH0452441A (ja) * 1990-06-18 1992-02-20 Sanyo Electric Co Ltd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の着霜検知方式
JP2803462B2 (ja) * 1992-05-19 1998-09-24 株式会社ダイフク チェーン使用の駆動装置
US5878996A (en) 1997-06-18 1999-03-09 Loan; Chung Lifting jack with safety and release system
FR2801292B1 (fr) * 1999-11-04 2002-01-04 Elcom S A Dispositif de convoyage de palettes
JP5018269B2 (ja) * 2007-06-22 2012-09-05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JP4538820B2 (ja) * 2008-02-05 2010-09-08 株式会社ダイフク 摩擦駆動トロリーコンベヤ
JP5533003B2 (ja) * 2010-02-17 2014-06-25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
CN104670778A (zh) * 2015-03-12 2015-06-03 上海服林服装科技有限公司 一种悬挂式仓储自动储存设备
CN206318385U (zh) * 2016-12-12 2017-07-11 淮海车辆制造有限公司 具有平衡块的地面输送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7992A (ja) * 2015-01-29 2016-08-04 中洲電機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搬送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실용신안공보 제1992-001143호(1992.01.1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50906A (zh) 2020-01-03
KR20190127937A (ko) 2019-11-13
WO2019102524A1 (ja) 2019-05-31
CN110650906B (zh) 2021-06-25
JPWO2019102524A1 (ja)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8996B1 (ja) 搬送装置及び搬送体
US4682685A (en) Conveyor in plastic working machine
ES2314437T3 (es) Instalacion de procesamiento por laser con carga/descarga integrada de piezas de trabajo y unidad movil de corte por laser montada en un mismo rail.
CZ282897B6 (cs) Zařízení pro přenos obrobku z prvního stroje na druhý
WO2014064937A1 (ja) ワーク搬送装置
JP6967586B2 (ja) 弓形工作物の摩擦撹拌接合のための弓形ブーム
KR102263442B1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체
TW201400396A (zh) 天花板搬送車及物品搬送設備
KR860008865A (ko) 파워 프레스용 트랜스퍼 이송기구
TWI617518B (zh) Flip device
JP6659499B2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体
JP6487398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体
JP6484203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CN111479763B (zh) 输送装置及输送系统
JP2015098384A (ja) 搬送装置
JP2008114249A (ja) タンデムプレスシステム
JP6442368B2 (ja) パネル施工機
JP4142595B2 (ja) 扁平な物品の二つ折り加工装置
CN116811042B (zh) 一种石材切割设备
JPS63251156A (ja) 板面加工方法とその加工装置
CN102666320B (zh) 定位在切割装置下游的用于将预切基片分离的装置
JP6480160B2 (ja) 搬送ローダおよび加工ライン
JPH068164A (ja) 移動装置
JPH10236644A (ja) 板状ワークの供給装置
JP5617948B2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