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374B1 - 전압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전압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374B1
KR102262374B1 KR1020150009133A KR20150009133A KR102262374B1 KR 102262374 B1 KR102262374 B1 KR 102262374B1 KR 1020150009133 A KR1020150009133 A KR 1020150009133A KR 20150009133 A KR20150009133 A KR 20150009133A KR 102262374 B1 KR102262374 B1 KR 102262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gate
diode
transis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807A (ko
Inventor
츠토무 도미오카
Original Assignee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G05F1/57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current dete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출력 단자에 오버 슛이 발생해도, 입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오차 증폭 회로의 분압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 트랜지스터에, 캐소드가 소스에 접속되며 애노드가 게이트에 접속되는 다이오드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전압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GOR}
본 발명은, 출력에 오버 슛이 발생했을 때, 오차 증폭 회로의 입력 트랜지스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압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압 레귤레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전압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종래의 전압 레귤레이터는, PMOS 트랜지스터(104, 105, 106, 109, 111, 114, 115, 301)와, NMOS 트랜지스터(107, 108, 112, 113, 302, 303)와, 기준 전압 회로(110)와, 정전류 회로(103)와, 저항(116, 117)과, 그라운드 단자(100)와, 출력 단자(102)와, 전원 단자(101)를 구비하고 있다. PMOS 트랜지스터(301)는, 사이즈가 PMOS 트랜지스터(105)의 0.2배인 것으로 한다.
출력 단자(102)에 오버 슛이 발생했을 때,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에 발생하는 전압은, PMOS 트랜지스터(109)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기준 전압 회로(110)의 기준 전압 Vref보다 큰폭으로 커진다. 출력 단자(102)에 큰 오버 슛이 발생한 경우는, 통상, PMOS 트랜지스터(109)를 흐르는 전류는 PMOS 트랜지스터(105)의 전류에 대략 동등한 크기가 된다.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111)를 흐르는 전류는, 제로에 가까운 극히 작은 값이 된다. 이 때, NMOS 트랜지스터(302)는, 극히 소량의 전류 밖에 흐르게 할 수 없기 때문에, PMOS 트랜지스터(301)는 PMOS 트랜지스터(105)의 전류의 0.2배의 크기의 전류를 흐르게 하려고 한다.
그러면 이번에는, 직렬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301)와 NMOS 트랜지스터(302)를 흐르는 전류는 극히 작은 값이 된다. 그리고, PMOS 트랜지스터(301)의 드레인 소스간 전압이 낮아져, PMOS 트랜지스터(301)와 NMOS 트랜지스터(302)의 주전류로(路)의 공통 접속점의 전압이 높아진다. 그 결과, NMOS 트랜지스터(303)는 온 상태가 된다. NMOS 트랜지스터(303)가 온 상태가 되면, NMOS 트랜지스터(303)를 통하여 출력 단자(102)로부터 그라운드 단자(100)를 향해 전류가 흘러, 출력 전압을 저하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도 2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2009-18743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전압 레귤레이터는, 출력 단자(102)에 오버 슛이 발생했을 때,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 전압도 상승하기 때문에,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가 파괴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지며, 출력 단자에 오버 슛이 발생해도, 입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압 레귤레이터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했다.
출력 트랜지스터가 출력하는 출력 전압을 분압한 분압 전압과, 기준 전압 회로가 출력하는 기준 전압의 차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오차 증폭 회로를 구비한 전압 레귤레이터이며, 오차 증폭 회로의 분압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 트랜지스터에, 캐소드가 소스에 접속되며 애노드가 게이트에 접속된 다이오드를 구비했다. 본 발명은, 출력 트랜지스터가 출력하는 출력 전압을 분압한 분압 전압과, 기준 전압 회로가 출력하는 기준 전압의 차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오차 증폭 회로를 구비한 전압 레귤레이터로서, 상기 오차 증폭 회로는, 게이트에 상기 분압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 트랜지스터와, 캐소드가 상기 입력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며, 애노드가 상기 입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제1 다이오드와, 캐소드가 상기 입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되며, 애노드가 접지 단자에 접속된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다이오드의 리크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분압 전압으로의 상기 제1 다이오드의 리크 전류의 영향을 작게 하며, 상기 제2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다이오드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와 동등한 리크 전류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1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된 리크 전류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압 레귤레이터는, 오차 증폭 회로의 분압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 트랜지스터에, 캐소드가 소스에 접속되며 애노드가 게이트에 접속된 다이오드를 구비했으므로, 출력 단자에 오버 슛이 발생해도 입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원 전압이 일시적으로 강하해도, 오차 증폭 회로 전체의 동작점의 복귀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전압 레귤레이터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압 레귤레이터는, PMOS 트랜지스터(104, 105, 106, 109, 111, 114, 115)와, NMOS 트랜지스터(107, 108, 112, 113)와, 기준 전압 회로(110)와, 정전류 회로(103)와, 저항(116, 117)과, 다이오드(121)와, 그라운드 단자(100)와, 출력 단자(102)와, 전원 단자(101)를 구비하고 있다. PMOS 트랜지스터(105, 106, 109, 111, 114)와, NMOS 트랜지스터(107, 108, 112, 113)에서 오차 증폭 회로(151)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전압 레귤레이터의 접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전류 회로(103)는, 일방의 단자는 PMOS 트랜지스터(104)의 게이트와 드레인에 접속되며, 또 다른 일방의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100)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104)의 소스는 전원 단자(101)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105)는, 게이트는 PMOS 트랜지스터(104)의 게이트와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PMOS 트랜지스터(109)의 소스와 PMOS 트랜지스터(111)의 소스에 접속되며, 소스는 전원 단자(101)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109)는, 게이트는 기준 전압 회로(110)의 양극에 접속되며, 드레인은 NMOS 트랜지스터(108)의 게이트와 드레인에 접속된다. 기준 전압 회로(110)의 음극은 그라운드 단자(100)에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108)의 소스는 그라운드 단자(100)에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107)는, 게이트는 NMOS 트랜지스터(108)의 게이트와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PMOS 트랜지스터(106)의 게이트와 드레인에 접속되며, 소스는 그라운드 단자(100)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106)의 소스는 전원 단자(101)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114)는, 게이트는 PMOS 트랜지스터(106)의 게이트와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PMOS 트랜지스터(115)의 게이트에 접속되며, 소스는 전원 단자(101)에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113)는, 게이트는 NMOS 트랜지스터(112)의 게이트와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PMOS 트랜지스터(115)의 게이트에 접속되며, 소스는 그라운드 단자(100)에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112)는, 소스는 그라운드 단자(100)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111)는, 드레인은 NMOS 트랜지스터(112)의 게이트와 드레인에 접속되며, 게이트는 저항(116)의 일방의 단자와 저항(117)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된다. 저항(117)의 또 다른 일방의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100)에 접속되며, 저항(116)의 또 다른 일방의 단자는 출력 단자(102)에 접속된다. 다이오드(121)는, 캐소드는 PMOS 트랜지스터(111)의 소스에 접속되며, 애노드는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115)는, 드레인은 출력 단자(102)에 접속되며, 소스는 전원 단자(101)에 접속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원 단자(101)에 전원 전압 VDD가 입력되면, 전압 레귤레이터는, 출력 단자(102)로부터 출력 전압 Vout를 출력한다. 저항(116과 117)은, 출력 전압 Vout를 분압하고, 분압 전압 Vfb를 출력한다. 오차 증폭 회로(151)는, 입력 트랜지스터로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109)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 회로(110)의 기준 전압 Vref와, 입력 트랜지스터로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분압 전압 Vfb를 비교하여, 출력 전압 Vout가 일정해지도록 출력 트랜지스터로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115)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한다.
출력 전압 Vout가 소정 전압보다 높으면, 분압 전압 Vfb가 기준 전압 Vref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오차 증폭 회로(151)의 출력 신호(PMOS 트랜지스터(115)의 게이트 전압)가 높아져, PMOS 트랜지스터(115)가 오프되어 가므로 출력 전압 Vout는 낮아진다. 또, 출력 전압 Vout가 소정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와 반대의 동작을 하여, 출력 전압 Vout는 높아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전압 레귤레이터는 출력 전압 Vout가 일정해지도록 동작한다.
출력 단자(102)에 오버 슛이 발생한 경우, 출력 전압 Vout의 상승에 수반하여 분압 전압 Vfb도 상승하고, 다이오드(121), PMOS 트랜지스터(109), NMOS 트랜지스터(108), 그라운드 단자(100)의 경로에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분압 전압 Vfb는, Vfb=Vref+|Vtp|+Vf 이하의 전압으로 제한된다. 여기서, PMOS 트랜지스터(109, 111)의 역치를 Vtp, NMOS 트랜지스터(112)의 역치를 Vtn, 다이오드(121)의 순방향 전압을 Vf로 한다.
이 때,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 소스간 전압은, 다이오드(121)의 순방향 전압 Vf와 동등해지므로,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 드레인간 전압은, Vfb-Vtn=Vref+|Vtp|+Vf-Vtn이 된다. 이 게이트 드레인간 전압을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 산화막 내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함으로써,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 소스간에 다이오드(121)를 설치했을 뿐이므로, 면적이 작아도 된다. 또, 다이오드(121)로부터 저항(117)으로의 리크 전류가 적기 때문에, 분압 전압 Vfb의 전압치에 대한 영향도 작다. 또한, 전원 전압 VDD가 일시적으로 강하하고 PMOS 트랜지스터(111)의 소스 전압이 강하했을 때, 다이오드(121)가 순방향 전류를 흐르게 하여 PMOS 트랜지스터(111)의 소스 전압의 강하를 막기 때문에, 오차 증폭 회로(151) 전체의 동작점의 복귀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의 전압 레귤레이터와의 차이는, 캐소드가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에 접속되며, 애노드가 그라운드 단자(100)에 접속된 다이오드(201)를 추가한 점이다. 그 외의 회로는, 도 1의 전압 레귤레이터와 동일하다.
다이오드(201)는, 다이오드(121)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리크 전류는 동등하다. 다이오드(121)에 리크 전류가 발생했을 때, 그 리크 전류는 다이오드(201)로 흐르고, 저항(117)으로는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도 1의 전압 레귤레이터와 비교하여, 분압 전압 Vfb의 전압치에 대한 영향을 더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압 레귤레이터는,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 소스간에 다이오드(121)를 설치했으므로, 출력 단자(102)에 오버 슛이 발생해도,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 산화막 내압을 초과하지 않으며, PMOS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원 전압 VDD가 일시적으로 강하했을 때, 오차 증폭 회로(151) 전체의 동작점의 복귀를 빠르게 할 수 있다.
100 그라운드 단자 101 전원 단자
102 출력 단자 103 정전류 회로
110 기준 전압 회로 151 오차 증폭 회로

Claims (2)

  1. 출력 트랜지스터가 출력하는 출력 전압을 분압한 분압 전압과, 기준 전압 회로가 출력하는 기준 전압의 차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오차 증폭 회로를 구비한 전압 레귤레이터로서,
    상기 오차 증폭 회로는,
    게이트에 상기 분압 전압이 입력되는 입력 트랜지스터와,
    캐소드가 상기 입력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며, 애노드가 상기 입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제1 다이오드와,
    캐소드가 상기 입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되며, 애노드가 접지 단자에 접속된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다이오드의 리크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분압 전압으로의 상기 제1 다이오드의 리크 전류의 영향을 작게 하며, 상기 제2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다이오드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와 동등한 리크 전류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1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된 리크 전류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2. 삭제
KR1020150009133A 2014-01-22 2015-01-20 전압 레귤레이터 KR102262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09643 2014-01-22
JP2014009643A JP6261349B2 (ja) 2014-01-22 2014-01-22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807A KR20150087807A (ko) 2015-07-30
KR102262374B1 true KR102262374B1 (ko) 2021-06-08

Family

ID=5354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133A KR102262374B1 (ko) 2014-01-22 2015-01-20 전압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23262B2 (ko)
JP (1) JP6261349B2 (ko)
KR (1) KR102262374B1 (ko)
CN (1) CN104793678B (ko)
TW (1) TWI6399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6632B2 (ja) * 2014-03-25 2018-04-25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US9846445B2 (en) * 2016-04-21 2017-12-19 Nxp Usa, Inc. Voltage supply regulator with overshoot protection
JP6912350B2 (ja) * 2017-10-13 2021-08-04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7065660B2 (ja) * 2018-03-22 2022-05-12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7063753B2 (ja) 2018-07-13 2022-05-09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及び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の制御方法
CN113595172A (zh) * 2021-06-29 2021-11-02 深圳市倍特力电池有限公司 一种瞬态响应时间快速的户外电源
CN114245047B (zh) * 2021-12-21 2024-03-05 上海集成电路装备材料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像素单元及图像传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430A (ja) * 2008-02-08 2009-08-20 Asahi Kasei Toko Power Device Corp レギュレータ回路
US20130015888A1 (en) * 2011-07-14 2013-01-1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emiconductor device, start-up circuit,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6188A (en) * 1975-06-11 1976-12-15 Fujitsu Ltd Diode device
US4061962A (en) * 1976-06-11 1977-12-06 Rca Corporation Current mirror amplifier augumentation of regulator transistor current flow
US4553082A (en) * 1984-05-25 1985-11-12 Hughes Aircraft Company Transformerless drive circuit for field-effect transistors
JP3683185B2 (ja) * 2001-03-12 2005-08-17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回路
US6703815B2 (en) * 2002-05-20 2004-03-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drop-out regulator having current feedback amplifier and composite feedback loop
US7405545B2 (en) * 2005-06-08 2008-07-29 System General Corp. Voltage-regulator and power supply having current sharing circuit
TWM284921U (en) * 2005-08-30 2006-01-01 Aimtron Technology Corp Linear voltage regulator with improved responses to source transients
TW200828750A (en) * 2006-12-18 2008-07-01 Aimtron Technology Corp Dual edge modulated charge pumping circuit and method
US8035364B2 (en) * 2007-04-25 2011-10-11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Step-down switching regulator with freewheeling diode
TWI364041B (en) * 2008-01-09 2012-05-11 Macronix Int Co Ltd Low couple effect bit-line voltage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324876B1 (en) * 2008-10-31 2012-12-04 Altera Corporation Unconditional frequency compensation technique on-chip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US8427130B2 (en) * 2010-12-16 2013-04-23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bined frequency compensation and soft start processes
JP2012203528A (ja) * 2011-03-24 2012-10-22 Seiko Instruments Inc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CN102497088B (zh) * 2011-12-15 2014-06-25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mos管的自适应串联电路
CN202564928U (zh) * 2012-05-21 2012-11-28 永济新时速电机电器有限责任公司 绝缘栅双极型晶体管的保护电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430A (ja) * 2008-02-08 2009-08-20 Asahi Kasei Toko Power Device Corp レギュレータ回路
US20130015888A1 (en) * 2011-07-14 2013-01-1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emiconductor device, start-up circuit,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41221A (zh) 2015-11-01
CN104793678B (zh) 2018-05-22
US9323262B2 (en) 2016-04-26
JP2015138394A (ja) 2015-07-30
JP6261349B2 (ja) 2018-01-17
US20150205315A1 (en) 2015-07-23
KR20150087807A (ko) 2015-07-30
CN104793678A (zh) 2015-07-22
TWI639910B (zh)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374B1 (ko) 전압 레귤레이터
US9817415B2 (en) Wide voltage range low drop-out regulators
KR102252365B1 (ko) 과열 보호 회로 및 전압 레귤레이터
KR102255543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KR102247122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및 전자 기기
US8742819B2 (en) Current limiting circuitry and method for pass elements and output stages
US20140354249A1 (en) Voltage regulator
US20140253076A1 (en) Voltage regulator
US9372489B2 (en) Voltage regulator having a temperature sensitive leakage current sink circuit
US9831757B2 (en) Voltage regulator
US20140253069A1 (en) Voltage regulator
CN106066419B (zh) 电流检测电路
KR20180048326A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KR102230318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및 반도체 장치
KR20150123712A (ko) 과전류 보호 회로, 반도체 장치 및 볼티지 레귤레이터
US9946276B2 (en) Voltage regulators with current reduction mode
KR20160137408A (ko) 전압 레귤레이터
JP2017135532A (ja) 電圧検出回路及びチャージポンプ回路
JP6514946B2 (ja) 電流ドライバ回路
KR101982904B1 (ko) 출력 드라이버 회로
JP6160545B2 (ja) 過電流保護回路
JP6549008B2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US10355648B2 (en) Regulator amplifier circuit for outputting a fixed output voltage independent of a load current
US20150293547A1 (en) Voltage-current conversion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JP2015186078A (ja) スイッチング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