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432B1 -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432B1
KR102258432B1 KR1020187037488A KR20187037488A KR102258432B1 KR 102258432 B1 KR102258432 B1 KR 102258432B1 KR 1020187037488 A KR1020187037488 A KR 1020187037488A KR 20187037488 A KR20187037488 A KR 20187037488A KR 102258432 B1 KR102258432 B1 KR 102258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slip
carrier
roughened
flexibl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906A (ko
Inventor
요제프 만츠수
졸탄 만츠수
요셉 만츠수
Original Assignee
스타링거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엠 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링거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엠 베하 filed Critical 스타링거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엠 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1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 matt or rough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5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 B29C70/6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the filler influencing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e.g. by concentrating near the surface or by incorporating in the surface by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65B5/045Packaging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5Anti-slip or anti-skid bags, e.g. bags provided with anti-slip coating, rib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fibres of specified chemical or physical nature, e.g. natural silk
    • D06N3/0038Polyolefin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04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with polyolefin or polystyren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2059/028Incorporating particles by impact in the surface, e.g. using fluid jets or explosive forces to implant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29C66/739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both parts being 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7Polyolefin particles, e.g.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homopolymers or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or yarns
    • D06N2201/12Fibres being in the form of a tape, strip or ribb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materials
    • D06N2205/10Particulate form, e.g. powder, granu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0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mechanical properties
    • D06N2209/106Roughness, anti-slip, abrasiven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0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Bag Frames (AREA)
  • Tub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lov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슬립방지 재료를 형성하는 방법. 가요성 열가소성 캐리어(13)가 제공된다. 고온의 박리면(45)이 제공된다. 상기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놓인 이산된 열가소성 입자(39)의 제 1 층(29)이 제공된다. 이산 입자(39)는 그 연화 온도보다 높고, 제 1 층(29)에 점착성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캐리어(13)에 제 1 층(29)을 점착시키기 위해 점착성 제 1 층과 캐리어(13)를 접촉시키고, 다음에 박리면(45)으로부터 캐리어 및 이것과 함께 이 캐리어에 점착된 점착성 제 1 층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결과 캐리어(13)에는 고온의 바람직하게는 불연속 및/또는 엘라스토머 슬립방지 코팅이 제공된다. 고온 코팅의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캐리어와 코팅 사이에 접합이 형성된다. 캐리어(13)를 제거하는 것은 인발력으로 상기 접촉으로부터 캐리어를 당기는 것을 포함한다. 고온의 박리면(45)의 온도는 캐리어(13)의 용융 온도보다 높다. 캐리어는 박리면의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됨과 동시에 인발력으로 당겨지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시간은 고온의 박리면(45)의 열로 인해 캐리어(13)가 손상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보다 짧게 유지된다.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31)는 슬립방지 코팅에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한편으로,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예를 들면, 슬립방지 가요성 포장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열가소성 가요성 캐리어의 표면 상에 슬립방지, 바람직하게는 조면화(roughening)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 점착성 상태로 가열되는 이산된 열가소성 입자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외면이 조면화 돌기를 갖는 슬립방지 가요성 포장백 또는 랩(wrap)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필름 및 직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가요성 열가소성 포장 재료의 장점은 이것으로 제조된 백 및 랩이 재활용가능하다는 것, 이것(필름 및 직물 또는 부직포 모두)은 밀포장(tight package)을 위해 내용물 상에 열수축가능하다는 것, 이것은 청결하고 신속한 열접합 또는 융착 또는 용착 등으로 형성 또는 고정 또는 폐쇄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것은 너무 미끄러워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백이나 랩으로 포장된 물품은 수송 중에 그 형상을 상실하고, 심지어 부서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플라스틱 목재 랩으로 싸인 목재 블록 위를 걷는 노동자는, 특히 그 위에 습기, 눈 또는 얼음이 있는 경우에 미끄러지거나 추락할 수 있다. 비열가소성물질, 예를 들면, 크라프트 종이 백도 또한 일부의 목적의 경우에 특히 미세 먼지 오염으로 너무 미끄러울 수 있다. 가요성 재료의 표면의 미끄럼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표면에 슬립방지(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물질을 제공하여 표면이 평활한 경우에도 충분히 고마찰 계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정지 마찰 계수 및 동적 마찰 계수의 모두에서 높은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잘 작용할 수 있지만 이것은 미세 먼지, 습기, 얼음 또는 그리스, 또는, 예를 들면, 포장된 내용물로부터 슬립방지 층의 외면으로 이동하는 슬립제(slip agent)와 같은 오염물에 민감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백의 조면화된 외면의 슬립방지 돌기가 다른 백의 표면의 적절한 피쳐(feature)와 적어도 일부의 슬립방지 기계적 인터로킹(interlocking)을 생성하는 조면화된 외면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물질이 그 자체로 미끄럽지 않은 물질(예를 들면, 엘라스토머)이 아니어도 작용할 수 있다. 약 10 마이크로미터 미만 또는 1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조면화 돌기가 블로킹방지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슬립방지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약 10 또는 15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조면화 돌기이다. 이러한 해결책은 전형적으로 우수한 정지 마찰 계수 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마도 그렇게 우수한 동적 마찰 계수 값은 제공할 수 없다. 또한, 슬립방지 돌기 자체에 미끄럽지 않은 물질(예를 들면, 엘라스토머)을 가함으로써 두 효과를 동시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는 또한, 예를 들면, 지붕 하부(underlayment), 지오멤브레인(geomembrane), 건축 산업용 위생 커버 재료, 또는 인간의 건강 관리 또는 수의학에 있어서의 위생 언더패드(underpad)와 같은 비포장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름 또는 직물을 최초에 생성할 때 이미 슬립방지성을 갖도록 웨브(web) 자체의 제조 시에 슬립방지 기구를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성분이 압출에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조면화 첨가제가 압출될 폴리머 내에 블렌딩(blending)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제조 방법에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필름 또는 직물 자체의 슬립방지 파라미터와 제조 파라미터를 동시에 최적화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면, 필름 또는 직물의 기성 웨브를 제공하고, 후속되는 독립된 작업에서 슬립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웨브의 엠보싱 또는 웨브의 슬립방지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및/또는 조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독립된 제조 방법에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웨브 자체의 제조 파라미터와 독립적으로 제품의 슬립방지 파라미터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상품 웨브의 더 큰 공급을 조달 및 비축하고, 다음에 이것으로부터의 슬립방지 제품을 개별 고객의 요청에 신속하게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슬립방지 가요성(예를 들면, 포장) 재료가 적절한 겉보기(정지 및/또는 동적) 마찰 계수, 적절한 가요성, 마찰의 적절한 등방성, 가요성의 적절한 등방성, 슬립방지 표면의 적절한 내마모성 및 슬립방지 기구의 적절한 내오염성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 이것은 단점으로 생각될 수 있다. 포장 재료가 포장의 내용물의 주위에서 열수축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경우, 그 열수축 거동이 그 슬립방지 기구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포장 재료가 수축의 균질성 또는 등방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실하는 경우에 단점인 것으로 생각된다. 슬립방지 조면화 돌기 자체의 열수축성은 단점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가요성 재료가 융합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백 또는 랩이 이것으로부터 형성되거나 및/또는 융착 또는 용착에 의해 폐쇄되는 경우, 포장 재료가 포장의 내용물에 열수축되는 경우, 또는 열수축가능한 슬립방지 조면화 돌기를 가진 슬립방지 내열 재료(예를 들면, 종이)의 백이 시멘트와 같은 고온 내용물로 채워진 경우, 또는 슬립방지 백 내에 채워진 포장물의 투입물이 이 투입물 상에 열수축되는 수축 후드(shrink hood) 피복되는 경우, 이들이 열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수축으로 인해 포장 재료를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융착, 수축 또는 고온 충전 중에 열에 따라 립방지 조면화 돌기가 너무 쉽게 그 형상을 상실하는 경우, (언급한 공유의 열수축성으로 인해 및/또는 지나치게 액화되고, 따라서 표면 에너지 및 비딩아웃(beading out) 효과에 너무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인해) 이것은 단점이다. 가요성 포장 재료의 (수작업 또는 기타의) 슬리팅(slitting), 또는 절단(예를 들면, 크기 또는 형상으로의 절단) 중에, 슬립방지 기구에 의해 유발되는 필름 재료의 슬리팅 또는 절단에 대한 본질적으로 불균질한 또는 비등방성 저항에 직면해야 하는 경우에 이것은 또한 단점이다. 다른 단점은 슬립방지 성분이 이용되지 않는 표면 영역에서 슬립방지 성분의 사용에 기인되어, 또는 특정 목적을 위해 가열될 필요가 없는 웨브의 부분을 가열하는 것에 기인되어, 불필요하게 두꺼운 또는 무거운 슬립방지 층의 사용에 기인되어, 또는 지나치게 고가의 기계, 공정 단계, 및/또는 재료 성분의 사용에 기인되어 경제성이 결여될 수 있다. 재활용을 방해하는 기능를 기반으로 하는 해결책(예를 들면, 슬립방지 조면화를 위해 조대한 광물 입자를 사용하는 것)은 불리하다. 원재료로서 저가의 재생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본질적으로 방해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불리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방해는, 예를 들면, 재생 재료가 미사용 재료에 비해 더 광범위하고 더 불확실한 범위의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산화 또는 열화에 대해 내성 시간이 더 짧을 수 있고, 그리고 더 정교한 장치 또는 공정 단계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게 만드는 미량의 오염물(예를 들면, 잉크 잔류물 또는 미세 먼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사실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통합 제조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US 7314662에서, 고체 입자가 압출기에서 필름의 용융된 물질에 혼합되어 필름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해결책의 단점으로서, 매립된 입자가 이 입자가 매립된 필름층의 균일성 및 심지어 연속성을 파괴하여 필름층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각각의 입자의 일부만이 필름으로부터 돌출한다. 슬립방지 돌기의 바람직한 언더컷(undercut)은 일반적으로 제공하기가 불가능하고, 비교적 뭉툭한 형상이다. 또한, 돌기의 크기 뿐만 아니라 표면적 당 돌기의 개수는 매우 제한된다. 또한, 필름 튜브의 전체 둘레는 조면화되어야 한다. 또한, 이 방법은 비열가소성 웨브의 조면화를 위해서는 사용될 수 없다. US 6444080, HU 0202948A2 및 US 7765774는 함께 고체 열가소성 분말 입자가 그 동결 라인 아래에서 블로잉(blowing)된 필름 버블의 고온 점착성 표면 상으로 블로잉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입자는 점착성 필름 표면에 점착된다. 고온의 용융된 필름의 열 에너지는 이 점착된 입자를 필름에 융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입자가 벽 내로 진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입자가 벽을 반드시 약화시키는 것은 아니라는 장점이 있다. 돌기는 날카롭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언더컷을 이용하여 다른 필름의 유사한 돌기와 전단(shearing) 인터로킹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은 보통의 부직포와 같은 섬유질 결합 재료와 효과적인 슬립방지 기계적 인터로킹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와 달리, 부직포는 조면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용이하게 리프팅(lifting)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이 맞물림 시스템의 리프팅 강도 또는 박리 강도는 본질적으로 0이다. 이 해결책에도 단점이 있다. 입자의 블로잉 또는 살포는 필름 표면을 따른 입자의 실제 구성을 제어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입자가 고온의 버블 표면 상에 가압될 수 없으므로 융착에 의한 더 강한 고정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조면화 돌기의 풋프린트(footpring)가 매우 작을 수 있고, 너무 쉽게 파손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이것은 전단 부하에 따라 그 푸트(foot) 주위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 인터로킹 능력을 상실할 수 있다. 돌기는 불균일한 높이이고, 상부가 불규칙적으로 지향되며, 이로 인해 제품은 감촉이 거친 느낌을 주고, 라벨이나 테이프 상에 펜으로 쓰거나 붙이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고, 조면화된 표면의 인쇄는 또한 충분히 아름답지 않을 수 있다. 측면도에서 돌기는 베이스 표면 내에 다소 매립된 것처럼 보이는 구형과 대체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분말 입자처럼 보인다. 이들은 다양한 높이이다. 예시적인 돌기 형상은 HU 0202948A2의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되어 있으며(2 개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단일의 돌기의 측면도),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의 형상은 다소 불규칙하며, 그 상부는 평평하지 않으며, 이는 도 1d에서 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돌기 형상은 US 7765774의 도 3에 도시되어 있다(슬립방지 돌기의 측면도). 섬유질 결합 재료와 맞물리기 위해, 각각의 돌기는 이것의 가장 넓은 부분(측면도에서)이 일부의 섬유를 포착할 수 있도록 부직포 내로 깊숙히 진입되어야 한다. 이는 돌기의 상부가 섬유질 결합 재료에 도달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매립된 구형 형상으로 인해, 이것의 가장 넓은 부분(측면도에서)은 일반적으로 돌기의 상부보다 베이스 표면에 다소 더 가까우며, 따라서 베이스 표면에 너무 가까우며, 조면화 돌기의 상부에 충분히 근접하지 않는다. 또한, 키가 더 큰 돌기는 섬유질 결합 재료(또는 섬유질 결합 재료가 부착되는 대향 필름)를 키가 더 작은 돌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유지함으로써 키가 더 작은 돌기가 섬유질 결합 재료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페이서의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불과 소수의 돌기만이 섬유질 결합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서로 인터로킹시키기 위해 맞닿아 있는 대향하는 조면화 필름은 완전히 서로 맞닿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각각의 돌기의 가장 넓은 부분(측면도에서)은 서로 포착할 수 없으며, 키가 가장 큰 돌기는 원하지 않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제품은 언더컷의 자유 높이, 즉 그 가장 넓은 부분(측면도에서)과 베이스 표면 사이의 거리가 더 감소하므로 필름 표면에서 돌기의 아래에 함몰부를 형성하는 압인(impressing)을 가하는 것에 민감할 수 있다. 이 자유 높이는 미세 먼지 또는 눈의 축적에 의해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더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돌기가 대면하는 동일한 조면의 백 표면과 슬립방지 인터로킹을 제공하지만, 흥미롭게도 이들은 평활한 표면, 예를 들면, 평활한 백 표면 상에서 슬립을 증가시키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것이 제품의 총 접촉 표면이 매우 작은 것, 즉 (몇개의 가장 키가 큰) 돌기의 작은 상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필름 블로잉에서 비대칭성으로 인해 일면만이 조면화된 필름 튜브를 제조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블로잉된 점착성 필름은 조면화 전에 본질적으로 인쇄될 수 없다. US 6444080 문서에는 블로잉된 필름 버블에서 용융된 필름 대신에 사용하기 위해 사전 제조된 필름을 재용융시키는 가능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필름을 왜곡 및 손상시키지 않고 달성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또한 필름을 재가열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또한, 이 해결책은 포장 직물 또는 비열가소성 웨브의 조면화를 위해서는 사용될 수 없다.
"독립적 제조 방식"에 따른 슬립방지 포장 재료의 예는 다음과 같다. DE 3437414 A1에서, 엠보싱 핀이 필름의 개개의 지점을 상승시키는데 사용되며,US 3283992에서는 선형 리브가 원래의 표면으로부터 상승되고, US 2917223은 짝을 이루는 엠보싱을 갖는 슬립방지 백을 기술하고 있다. 이것의 단점은 특히 직물의 엠보싱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언더컷을 갖는 바람직한 날카로운 특성이 쉽게 제공될 수 없고, 또한 슬립방지 돌기의 물질이 벽의 물질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고, 중실(solid)이 아닌 중공의 엠보싱된 돌기는 충분히 강하지 않고(예를 들면, 납작하게 압축될 수 있고), 벽은 취약해질 수 있다. 또한, 리브형의 세장형 슬립방지 돌기(평면도에서)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슬립방지 표면의 바람직한 등방성(즉, 모든 전단 방향으로 균일한 슬립방지 결합을 제공하는 것)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포장 재료의 가요성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짝을 이루는 엠보싱의 경우, 슬립방지 효과는 전혀 등방성이 아니고 소수의 특정 배향으로만 작용할 수 있다.
DE 19938828 (A1)는 슬립방지 마감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제공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고마찰 계수 재료의 패턴이 필름 상에 퇴적된다. 예를 들면, 핫 멜트 접착제가 용융되고, 공중으로부터 필름 상에 적하된다. 이 해결책의 단점은 표면을 따른 액적의 형상 및 핫 멜트가 필름에 접촉하는 순간에 핫 멜트의 온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 보인다. 특히 필름 상에 액적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단일층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접합 중에 필름과 멜트의 압축이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러한 용도에 적합한 핫 멜트 접착제 및 어플리케이터는 고가이며, 그 점에서 용융 상태의 재생 재료의 사용이 유리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핫 멜트 접착제는,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면, 특히 다른 유사한 표면을 향해 있으면, 백을 따뜻한 창고 내에 보관한 경우에, 블로킹(blocking)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비어 있는 아직 채워지지 않은 백의 이러한 블로킹이 발생되면 특히 문제가 된다. 이 방법은 고마찰 계수 물질에 기초하여 슬립을 감소시키는데에만 사용되며, 조면화된 표면의 기계적 인터로킹에 기초하거나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슬립방지 코팅을 제조하기 위해 대안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배경 기술의 언급된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을 완화시키는 방법 및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자들의 방법 발명 및 방법 실시형태, 그리고 더 나아가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랩 제품을 위한 본 발명자들의 제품 발명에 관하여, 본 발명자들의 목적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 가요성 재료 자체의 제조로부터 독립성을 제공하는 독립적 제조 방식으로 가요성 재료 슬립방지를 제조하기 위핸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
- 감열성인 경우에도 필름, 직물 및 가요성 복합재를 변환하는데 유용한 방법;
- 경우에 따라 동적 마찰 및 정지 마찰에도 영향을 주는, 표면 물질에 기초한 마찰의 비 및 조면화 돌기의 기계적 인터로킹에 기초한 마찰의 비를 유연하게 설정하는데 적합한 방법;
- 예를 들면, 핫 멜트 인쇄와 함께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가의 설비 및 원재료에 대한 고유한 필요성이 없는 방법;
- 값싼 원재료이라도 슬립방지 코팅의 재료가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용융된 상태로 유지되어, 산화 또는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
- 재생 원재료조차 슬립방지 코팅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
- 예를 들면, 50 m/min 초과, 예를 들면, 약 80 또는 160 m/min 이상의 높은 라인 속도의 방법;
- 다양한 속도의 다양한 기존의 제조 및 변환 기술을 이용하여 독립형 및 인라인 작업에 적용가능한 속도의 면에서 유연한 방법;
- 넓은 한계들 사이에서 용이하게 그리고 유연하게 설정가능한 겉보기 마찰을 가지는 슬립방지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 신속하고, 청결하고, 재활용에 적합할 수 있는 열접합성 재료를 캐리어 재료에 첨가할 수 있는 방법;
- 열접합에 유용한 추가 열을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
- 더 강력한 내블로킹성(blocking- resistant) 접합을 얻기 위해, 캐리어의 손상 없이 열접합을 위한 대량의 국소적인 열 에너지를 추가하는 방법;
삭제
삭제
- 가요성, 열수축성, 가요성의 등방성, 및 열수축성 거동의 등방성을 본질적으로 손상시키지 않고 가요성 재료에 마찰을 추가할 수 있는 방법;
- 슬립방지 목적을 위해 첨가된 재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가요성 캐리어의 침투 및/또는 약화 없이 그리고 동시에 가능한 소량의 첨가된 재료로 작용하는 슬립방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 슬립방지 제품의 아름다운 인쇄를 위한 필요성에 더 잘 부합하는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품;
삭제
- 본질적인 고유의 열수축성을 가지지 않을 수 있는 슬립방지 돌기를 갖는 슬립방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 슬립방지 돌기의 비교적 낮은 멜트 인덱스로 인해 슬립방지 제품의 열수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견딜 수 있는 슬립방지 돌기를 갖는 슬립방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평활한 표면 상에 허용가능하거나 개선된 마찰을 제공할 수 있는 기계적 인터로킹에서 양호하게 기능하는 슬립방지 돌기를 갖는 슬립방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삭제
- 돌기를 상대방 섬유질 재료 또는 조면화된 재료 내에 깊게 침투시킬 필요없이 상대방 섬유질 재료 또는 조면화된 재료를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내오염성 슬립방지 돌기를 갖는 슬립방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삭제
- 낮은 및/또는 등방성의 슬리팅 저항성(slitting-resistance) 또는 절단 저항성(cutting-resistance)을 갖는 슬립방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 (예를 들면, 더 넓은 푸트를 갖는) 내마모성이 더 큰 슬립방지 조면화 돌기의 가능성을 갖는 슬립방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 라벨 또는 테이프에 쓰기 또는 점착시키는 것이 더 쉬울 수 있고, 감촉이 더 매끈하게 느껴질 수 있는 슬립방지 조면화 돌기로 조면화된 슬립방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 예를 들면, 돌기의 무작위 크기 및/또는 분포로 인해 그 인터로킹에서 보편적일 수 있는 슬립방지 조면화 돌기로 조면화된 슬립방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 따뜻한 창고 내에서 내블로킹성 더 높은 슬립방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 개선된 경제성;
- 가능한 시너지 효과를 위해 복수의 언급된 목적 양태들을 조 합하는 조합;
- 언급된 제품의 사용 방법.
본 발명자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양태의 조합을 포함한다. 저온의 필름 또는 직물 캐리어에 고온의 폴리머 층을 추가 및 열접합하기를 원하는 경우, 추가된 층의 열 에너지는 열접합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높아야 한다. 즉, 저온의 캐리어가 적어도 접합이 형성되는 곳에서 충분히 고온으로 되지 않으면, 접합부는 이 접합부가 순수하게 첨가된 층의 핫 멜트 접착을 기반으로 한 경우(그러나, 이것은 반드시 본 발명자들의 목적을 위한 최상의 해결책은 아니다)에도 지나치게 약한 상태일 수 있다. 첨가된 층이 얇을 수록, 저온의 필름 또는 직물을 성공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이것이 가져오는 열은 더 적어진다. 경제적이고 가요성인 슬립방지 코팅의 필요성에 따라, 첨가된 코팅의 평균 표면 중량을 낮게 선택하는 경우, 상당히 높은 그리고 정밀하게 제어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필요한 열 에너지를 신뢰할 수 있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따뜻한 창고 내에서) 추후의 제품의 블로킹을 방지하기를 원하고, 따라서 첨가된 층 내에 고융점 폴리머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코팅층의 필요한 온도가 더 높아지고, 이것은 캐리어에 순수한 핫 멜트 접착을 적용하는 대신 코팅층을 명시적으로 용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그러나, 접합이 (순수하게) 용착이 아닌 경우에도, 적절하게 강한 그리고 블로킹 없는 접합은 고온의 접합된 부품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접합의 위치에서 접합된 양 부품을 용융시킨다. 코팅이 직물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및/또는 코팅 내의 분리된 멜트 입자가 지나치게 얇고 평평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직물 캐리어와 고온 코팅 사이의 매우 강하거나 또는 견고한 압축을 가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경우, 코팅 내의 명시적으로 고온에 대한 필요성이 더 증가된다. 통상적으로 매우 얇은 연속 코팅층은 열 접합이 완료되기 전에 냉각으로 그 열 에너지를 상실할 수 있으므로 고온에서 캐리어를 접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겉보기 표면 중량의 매우 얇은 연속층 대신 이산된 고온 입자의 형태로 고온 코팅을 제공하는 경우, 열은 입자의 국부적 열접합을 위한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입자가 최종적으로 압축되어 평평한 표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입자가 코팅층의 평균 "두께"(표면 질량으로부터 계산됨)보다 큰 국부적 두께를 가지므로, 얇은 필름보다 높은 체적 대 표면의 비를 가지므로(체적은 열을 저장하고, 표면은 열을 소산시킴) 더 많은 국부적 열 에너지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이산(discrete) 입자의 낮은-표면-질량 층은 내부에 분자 배향을 수반하지 않으면 (예를 들면, 분말 분산으로) 용이하게 형성되지만, 동일한 낮은 표면 질량의 연속적인 얇은 필름층은 내부에 분자 배향을 수반하지 않으면 제조하기가 실제로 어렵고, 분자 배향은, 예를 들면, 제품의 무상성(intact) 또는 등방성 열수축성에 관하여 중요하다. 이산층은 얇은 연속층 보다 저렴한 기계를 사용하여 그리고 저렴한 (심지어 경우에 따라 재생)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산층을 형성하는 것은 얇은 연속층을 형성하는 것보다 멜트 내의 더 높은 점도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경우, 통상적으로 고온의 이산 입자는 통상적인 잉크 또는 통상적인 인쇄 작업에서 사용되는 다른 액체 핫 멜트 폴리머 조성물보다 상당히 높은 점도(예를 들면, 수십배 이상)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분말 분산은 핫 멜트보다 훨씬 더 높은 라인 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의 경우, 실질적으로 단지 압축값을 선택함으로써 연속적인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최종층이나 불연속층, 예를 들면, 제공되는 고온의 이산 입자의 층으로부터 이산된 조면화 돌기의 층을 형성하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이 고온의 박리면 상에 분산되어 놓이는 용융된 점착성 입를 제공하는 경우, 표면을 따라 재료의 적절히 제어된 분포 및 캐리어의 전달의 순간에 이르기까지 적절히 높은 그리고 제어된 온도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입자는 이들이 필름 또는 직물로 이송되기 전에 냉각이 허용되지 않음).
즉,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여 있는 고온 입자층과 캐리어를 접촉시키면, 고온 입자를 박리면으로부터 캐리어로 이동시키는 것이 매우 짧은 접촉 시간으로 충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이용하고,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열 민감성 (그리고 새로이 코팅된) 필름을 제거하기 전에 충분히 짧은 접촉 시간을 선택하는 경우, 박리면이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면 캐리어를 쉽게 용융시킬 정도의 고온일지라도, 고온의 박리면은 그 위에 놓여 있는 고온 입자들 사이에 노출되어 있더라도 캐리어를 원하지 않는 범위까지 가열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지 않는다. 회전 권취 기술은 다양한 라인 속도를 시도함으로써 매우 짧은 닙 접촉의 가능성 및 적절한 접촉 시간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쉽게 제공한다. 접촉의 종료 시 및 분리 전에, 저온의 캐리어 및 고온의 박리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용융 입자는 캐리어와 박리면의 둘 모두와 접착 수준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이 발견한 바와 같이, 박리면의 온도가 높을 수록 박리면과 입자 사이의 접착은 약해진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연화된 폴리에틸렌 입자가 2 개의 박리면 사이에 둘 모두와 대칭적인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둘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저온이지만, 박리면의 온도는 입자의 연화 온도보다 높고, 이들이 분리된 경우에 입자는 더 고온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더 저온의 박리면에 잔류한다.) 즉, 분리 시에 박리면의 온도가 높을수록 박리면으로부터 용융 입자를 분리하기가 더 용이하고, 이것은 또한 명백히 고온의 박리면의 선호로 이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자들이 발견한 바와 같이, 캐리어의 전면(front surface)의 온도가 낮을수록, 접촉 중에 있는 전면과 접착성 입자 사이의 접착은 더 강해진다. 즉, 분리 시에 전면의 온도가 낮을수록, 전면과 접촉하는 용융된 또는 연화된 입자가 전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고, 이는 접촉 시간의 종료 전에 전면이 본질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명백하게 짧은 접촉 시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고온 입자의 물질의 선택 및 그 압축 정도의 선택과 조합되는 그 크기 및 근접성은 방법에 큰 유연성을 부여한다. 고온 입자층 및 캐리어의 표면 중량 및 온도의 적절한 동시적 선택으로, 본 방법은 캐리어의 임의의 예열 및 임의의 강제 냉각의 필요성이 없고, 이러한 적절한 선택은, 예를 들면, 포장 재료용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요성 필름 및 직물에서 매우 실용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캐리어 상에 이러한 슬립방지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은 균일한 높이의 돌기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냈고, 각각의 돌기는 자체의 평평한 상부에 또는 그 전접부에 가장 넓은(즉, 측면도에서 가장 넓은) 부분을 가지며, 이것의 이점은 돌기가 섬유질 결합 재료의 섬유와 접촉하는 즉시 돌기가 섬유를 포착할 수 있으며, 돌기가 섬유질 재료 내에 깊숙히 침투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것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사실상 모든 조면화 돌기가 전단 인터로킹에 균일하게 참여하여 인터로킹의 효율 및 전단 강도를 크게 증가시키고, 인터로킹 부품을 리프팅하여 분리시키는데 어떤 어려움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이 발견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구성은 본 명세서에서 후술되느 바와 같이 추가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목표와 인식의 일부의 추가적 부분은 이후에 설명한다.
제 1 양태에서, 방법 발명의 본질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는 방법이며,
- 전면을 갖는 가요성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공된 캐리어,
- 상기 제공 시에 제 1 폴리머가 용융 또는 연화되지 않도록 충분히 낮은 온도를 갖는 캐리어,
- 제 1 온도의 고온의 박리(release)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
-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이는, 그리고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대응하는 말단부까지 돌출하는 열가소성 제 2 폴리머를 포함하는 이산 입자의 제 1 층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제 1 층에서, 이산 입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온도 이상이고, 제 2 온도는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를 초과하여, 적어도 입자 말단부의 점착성을 제 1 층에 제공하는 단계,
-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시키고, 소정의 접촉 시간 동안이 접촉을 유지하는 단계 - 점착성 제 1 층을 가진 제공된 캐리어의 전면은 제 1 층을 전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착시키기 위해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임 -, 그 후에 - 박리면으로부터 캐리어 및 그 전면에 점착된 점착성 제 1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고온 상태의 코팅을 가진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
- 고온 코팅의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캐리어와 코팅 사이에 접합을 형성하는 단계,
- 이를 통해 캐리어 및 이것에 접합된 코팅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캐리어를 제거하는 것은 인발력으로 접촉으로부터 캐리어를 당기는 것을 포함하고,
본 방법은,
-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를 초과하는 제 1 온도를 제공하는 단계,
- 제 1 폴리머의 용융 온도 및 연화 온도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초과하는 제 1 온도를 제공하는 단계;
- 제 1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되고, 동시에 인발력에 노출된 경우에, 예를 들면, 파단, 신장, 수축, 및 왜곡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손상된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하는 단계; 및
- 고온의 박리면에 의한 열의 작용에 의한 캐리어의 손상이 사전정의된 허용가능한 범위로 제한되도록 결정된 최소 시간보다 짧은 접촉 시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물론 접촉 시간은 캐리어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히 짧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 많은 산업 분야에서 열의 작용에 의한 비본질적인 범위까지의 캐리어의 손상은 허용가능하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의 쾌적하게 선택된 속도와 열에 의한 캐리어의 손상의 정도 사이의 교환(trade-off)이 존재할 수 있으나, 고온의 박리면에 의해 열의 작용에 의한 캐리어의 손상을 사전정의된 허용가능한 범위로 제한하도록 최소 시간을 선택하는 것을 당업자의 일반 상식이다.
본 방법에 의해 직접 제조된 제품, 즉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는, 예를 들면, 슬립방지 포장 재료(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 또는 릴 상의 슬립방지 포장 재료, 또는, 예를 들면, 다른 비포장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일 수 있다. 가요성 캐리어는 임의의 적절한 캐리어, 예를 들면, 필름, 코팅된 및/또는 코팅되지 않은 직물 및/또는 부직포 및/또는 임의의 조성물, 이것의 라미네이트 등일 수 있다. 캐리어는 다중벽 구조이거나 또는 단일의 벽일 수 있다. 캐리어는, 예를 들면, 단일의 감겨진 시트 재료, 또는 튜브, 또는 거싯 튜브(gusseted tube), 또는 중앙 절첩된 웨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일 수 있다. 튜브는 원래 형성된 튜브(예를 들면, 블로잉 필름 튜브 또는 원형으로 직조된 튜브) 또는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재봉, 용착 또는 부착된 웨브 연부를 갖는 시트 웨브로부터 형성된 튜브일 수 있다. 또한, 캐리어는 전형적으로 릴 상에 보관되는, 그리고 풀려짐 또는 되감기로 처리되는 무단 캐리어일 수 있고, 또는 캐리어는 개별 유닛, 예를 들면, 재료의 개별 백 또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폴리머 및 제 2 폴리머는 열가소성이고, 각각 하나 이상의 호모폴리머 및/또는 코폴리머, 예를 들면,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폴리머 및 제 2 폴리머는,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색소, 광 흡수제, 광 안정제, 산화방지제, 충전제, 가소제, 유동학적 첨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체 캐리어는 제 1 폴리머일 수 있거나, 또는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이 제 1 폴리머를 함유할 수 있다. 전면은 제 1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거나, 제 1 폴리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구조층 및/또는 표면 코팅, 예를 들면, 잉크 인쇄층일 수 있는 비열가소성 성분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캐리어가 제공되는 경우, 이것의 제 1 폴리머가 용융되거나 연화되지 않도록 충분히 저온이다. 예를 들면, 실온의 캐리어가 제공되며, 즉 캐리어의 예열은 가능하더라도 일반적으로 불필요하다. 박리면은 시트, 또는 벨트, 또는 드럼, 또는 롤, 또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의 표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 형상(예를 들면, 평평한 벨트), 표면 형태(예를 들면, 평활한) 및 화학적 조성(예를 들면, 플루오로카본)은 고온의 점착성 폴리머의 박리를 용이화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면이 무단 (예를 들면, 유리 직물) 벨트의 외면인 경우, 벨트의 내면에도 플레이트, 바람직하게는 가열 플레이트 상에서의 더 우수한 슬라이딩을 위해 박리면이 제공되어야 한다. 가열 플레이트는 평면이거나, 바람직하게는 적극적인 벨트 접촉을 위해 약간 볼록할 수 있다. 본 방법에서 달성가능한 큰 라인 속도에 관련하여 벨트의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의 내면과 슬라이딩되는 (가열)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부에서 공기의 완전한 배제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지는, 예를 들면, 접촉부에 약간의 텍스처(texture)를 포함시키거나, 접촉부 등의 내부에 얇은 공기 필로우(pillow)를 제공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박리면은 고온이고, 이것은, 예를 들면, 언급된 시트 또는 벨트 등을 그 하면으로부터 가열함으로써 및/또는 (적외선) 램프 광 조사에 의해 및/또는 전자기 가열에 의해 박리면을 가열함으로써 및/또는 박리면 주위에 고온 가스 및 또는 고온 (열방출)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된 제 1 층은 불연속이고, 열가소성 제 2 폴리머를 포함하는 이산 입자를 포함한다. 입자는 일반적으로 발포된 것이거나 중공형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중실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입자는 전체가 제 2 폴리머로 구성될 수 있거나,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자는, 예를 들면, 분말 과립, 액적, 칩, 마이크로펠릿, 섬유 섹션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입자 형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박리면 상에 놓이는 입자는, 예를 들면, 하나의 분말 과립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박리면 상에 놓이는 입자는 복수의 접합된 분말 과립을 포함할 수 있고, "접합된"은 인접한 분말 과립이 확대 하에서 보았을 때 더 이상 명확한 경계층을 가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각각 2 개 또는 3 개의 접합된 분말 과립으로 구성되는 이산 입자가 있을 수 있다. 말단부는 입자가 놓이는 박리면에 대해 입자의 푸트로부터 가장 먼 상단부이다. 이산 입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온도 이상이고, 이는 일부 또는 전부의 입자의 하나 이상의 부분 또는 전부가 제 2 온도 이상임을 의미한다.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를 초과하는 제 2 온도에 의해 제 2 폴리머는 점착성이 된다. 점착성은 제 1 층에, 특히 언급된 일부 또는 전부의 입자의 적어도 말단부에 제공된다. 실제의 경우, 예를 들면, 모든 입자는 그 전체가 고온 및 점착성이다. 입자의 점착성은 입자가 미끄러지거나 구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입자를 고정시킴으로써 박리면을 따라 입자의 적절한 분포를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전면은 점착성 제 1 층이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여 있는 동안에 점착성 제 1 층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착한다. 접착이 적어도 부분적이라고 함은 전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또는 전부)가 점착성 제 1 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또는 전부)와 접촉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일부의 이산 입자는 접촉에 관여하지만 다른 이산 입자(예를 들면, 가장 작은 이산 입자)는 관여하지 않는다. 접촉의 형성은 점착성 제 1 층 상에 양의 힘을 가하는 전면을 포함한다.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이는, 그리고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대응하는 말단부까지 돌출하는 이산 입자의 구성은 본질적으로 전면이 이산 입자와 치밀한 접촉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산 입자들 사이에 노출된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거나 적어도 강한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도와 준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피쳐는 본 발명의 해결책을 접촉을 위해 제공된 용융 입자가 고온의 그라비어 롤 또는 유사한 표면의 압입부 내에 완전히 안착되는 공지된 해결책과 구별한다.) 상호 접촉의 짧은 시간 간격(접촉 시간) 중에, 점착성 제 1 층(또는, 본 발명자들이 지칭하는 바와 같은 이것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전면과 접착을 형성할 수 있고, 전면 내로 열 전달을 개시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고온의 박리면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으로도 제 1 층의 냉각에 대해 고온의 백업(backup)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면에 점착되며, 이는 제 1 층이 전면에 점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부분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하지만, 실제로 제 1 층의 전체 접촉 표면은, 예를 들면 적절한 정도의, 예를 들면, 그 사이에 중정도의 압축에 의해 용이화될 수 있도록 전면에 점착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가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제거될 때, 이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전면에 점착된 점착성 제 1 층도 박리면으로부터 제거되며, 이는 점착성 제 1 층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제 1 층이 전면에 점착된 위치에서도 박리면 상에 잔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예를 들면, 제 1 층의 전체 두께 또는 일부만의 두께는 전면과 함께 분리되는 대신 박리면 상에 잔류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제 1 표면에 부착되어 함께 분리되는 대신 박리면 상에 잔류하는 제 1 층의 이러한 부분은, 예를 들면, 박리면의 적절한 표면 특성에 의해 및/또는 캐리어의 적절한 가요성에 의해 및/또는 이산 입자의 크기의 적절한 균질성에 의해 제거되거나 적어도 최소화되어야 한다.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점착성 제 1 층을 제거하는 것은 최초로 접촉하는 제 1 층과 박리면 사이의 상대 운동을 포함한다. 이 상대 운동의 방향은, 적어도 제 1 층과 박리면이 여전히 접촉되어 있는 한, 본질적으로 박리면에 수직이지만, 다른 방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적 구현형태에서, 캐리어 및 박리면은 둘 모두 자신들의 각각의 라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언급된 본질적으로 수직의 제거는 캐리어와 박리면의 어느 것도 상대방보다 본질적으로 빠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본질적으로 수직이 아닌 제거 방향을 필요로 하는 경우, 본 발명자들은 상대방보다 다소 빠른 속도 중 하나를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본질적인 횡방향 상대 변위가 제거 중에 캐리어와 박리면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언급된 본질적으로 수직이 아닌 제거를 사용하여 코팅의 본질적으로 비등방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일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조면화 돌기를 포함하는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의 비등방성 구성은 제품의 비등방성 마찰 거동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는 일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에 대해 더 낮은 마찰을, 그리고 타 방향으로 증가된 마찰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비등방성 제품은, 예를 들면, 본질적으로 단방향의 보행 마찰(walking friction)이 필요한 지붕 하부(underlayment)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실시례로서, 경사면 상의 중력에 대항하여 지오텍스타일(geotextile)을 유지하기 위해 커버링 섬유질 지오텍스타일과 슬립방지 결합을 제공하는 경사진 지면을 덮는 지오멤브레인(geomembrane)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박리면으로부터 제거된 전면 상에 잔류하는 고온의 제 1 층은 캐리어 상에 고온 코팅을 제공한다. 캐리어와 코팅 사이의 접합을 형성할 때, 고온 코팅의 열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은 실제로 코팅으로부터 캐리어로 전도될 수 있는 모든 열 에너지가 전면을 가열하는데 사용되고, 동시에 추후에 캐리어와 코팅이 동시에 냉각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캐리어가 비교적 경량이고, 코팅이 비교적 중량인 경우에, 코팅 및/또는 캐리어에 강제 냉각이 적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열 에너지를 활용하여 형성되는 접합은 열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종류의 접합, 즉 열 접합, 예를 들면, 접착제 접합 및/또는 융착 접합 및/또는 용착 접합 등일 수 있다. 접합의 형성은 통상적으로 캐리어와 코팅의 냉각이 완료된 경우에, 예를 들면, 이들이 주위 온도까지 냉각된 경우에, 완료되지만, 상당한 접합 강도는 접합의 종류 및 파라미터에 따라 완전한 냉각 훨씬 전에 형성된 접합 내에 이미 제공될 수 있다. 접합의 형성은 언급된 냉각보다 후에 완료되는 것도 가능하다. 캐리어 및 이 캐리어에 접합된 코팅은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구성하게 된다. 코팅은 거시적인 규모로 캐리어의 전체 전면을 차지할 수 있지만, 캐리어가 거시적인 규모로 전면이 코팅을 갖는 형상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코팅은 무단 캐리어 내에 하나 이상의 스트라이프(stripe) 또는 스폿(spot)을, 또는 거시적인 규모로 백의 하나 이상의 측 패널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스트라이프 또는 스폿을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팅은 적절히 고마찰 계수의 물질,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예를 들면, 고온의 제 1 층을 강력하게 압축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완벽하게 평평하고 그리고 평활한 코팅도 슬립방지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언급된 접촉이 전면과 제 1 층의 이산 입자 사이의 적절히 낮은 압축 압력을 포함하는 경우, 가요성 재료는 코팅 내에 엘라스토머 물질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적절한 비평활성의(즉, 조면) 코팅을 형성함으로써 슬립방지를 형성할 수 있다. 조면 코팅은 다른 유사한 조면화된 표면이나 또는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와의 슬립방지 기계적 인터로킹을 제공하는 조면화 돌기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터로킹"이라는 용어는 부품의 움직임이 다른 부품에 의해 한정되거나 및/또는 제한되는 부품들의 연결을 지칭한다. 원하는 구성에 대해, 예를 들면, 제 1 층 내의 입자의 적절한 크기 및 그 적절한 근접성이 적절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 큰 입자가 박리면 상에서 서로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놓여 있는 경우, 불연속 또는 조면의 최종 코팅을 형성하는 것이 더 용이하며, 작은 입자가 박리면 상에 큰 표면 근접성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연속의 최종 코팅을 형성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연속 코팅이 완전히 균질의 코팅일 필요는 없으나, 평활한 평평한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코팅이 완벽하게 평활하지 않지만 원래의 제 1 층의 불연속 패턴을 계승하는 경우,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가 블로킹되는 것을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전면의 제 1 위치에서 전면과 이산 입자 사이에 비교적 낮은 압축 압력을 가하고, 전면의 다른 위치에 더 큰 압축 압력을 가하여 다양한 거칠기 및 다양한 두께의 코팅을 갖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2 개의 롤 사이의 닙 내에 시간에 따라,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압축력이 변화되는 압축을 가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압축력의 변화는, 예를 들면, 가변식 유압 압축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및/또는 예를 들면, 주변을 따라 가변식 경도의 압축 표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닙롤을 제공함으로서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형성될 백의 상부 및 저부(이들 사이의 코팅은 더 거칠다)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더 평활한(또는 문자 그대로 평활한) 코팅을 가진 필름 튜브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블록-저면 밸브 백(block-bottom valve bag)의 제조 시에 유용할 수 있다. 적절한 열가소성 제 2 폴리머의 선택은, 예를 들면, 제 2 온도에서 언급된 코팅 표면 품질에 관한, 그리고 선택된 접촉 방식, 예를 들면, 접촉 시에 사용되는 압력 프로파일에 관한 본 발명자들의 목적에 적절히 부합되는 점도를 갖는 폴리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더 낮은 점도의 폴리머는 연속적인 평활한 코팅을 형성하는데 더 적절하며, 더 높은 점도의 폴리머는, 예를 들면, 특별한 형상의 조면화 돌기를 갖는 불연속 코팅을 형성하는데 더 적절하다.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캐리어를 제거하는 것은 인발력을 사용하여 접촉부로부터 캐리어를 당기는 것을 포함한다. 인발력은, 예를 들면, 실제로, 실질적으로 풀림(unwind) 시에 캐리어의 브레이킹(braking)에 의해 결정되지만, 제 1 층을 개재한 박리면에의 캐리어의 점착 또는 접착도 인발력에 더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발력은 캐리어를 안내하기 위해, 그리고 원하는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최소한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제공된 고온의 박리면의 제 1 온도는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를 초과하여 제공되며, 이는 이산 입자의 제 1 층을 명백하게 고온으로 그리고 이를 통해 점착성으로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제 1 온도는 또한 제 1 폴리머의 용융 온도 및 연화 온도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초과하여 제공된다. 더 나아가, 전체 캐리어는 높은 제 1 온도에 민감하며, 즉 제공된 캐리어는 제 1 온도로 완전히 가열됨과 동시에 인발력에 노출되는 경우에 손상된다. 이 손상은, 예를 들면, 파단, 신장, 수축 및 왜곡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실제로, 예를 들면, 본 발명자들이 경험한 바와 같이, 캐리어가 제 1 온도보다 높은 연화 온도의 하나 이상의 폴리머 베이스 층을 가지는 경우, 이 캐리어는 언급된 조건에 노출되는 경우에 캐리어 내의 제 1 폴리머의 연화 또는 용융이 캐리어를 약화시킬 수 있고, 제 1 폴리머 내의 분자 배향을 해제시켜 전형적으로 왜곡을 유발하기 때문에 여전히 주름, 왜곡, 신장 심지어 파단을 통해 손상될 수 있다. 후자는, 예를 들면, 제 1 폴리머로 코팅된 크라프트지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 캐리어는 고온의 박리면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보호되고, 이는 최소 시간보다 더 짧은 접촉 시간을 선택하는 것에 기초하며, 최소 시간은 고온의 박리면에 의한 열의 작용에 의한 캐리어의 손상이 사전정의된 허용가능한 범위로 제한되도록 결정되거나, 또는 고온의 박리면의 열이 캐리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는 본 방법이 캐리어에 가해지는 박리면의 열의 손상 효과를 이에 따른 접촉 시간을 제한함으로써 비본질적인 범위로 제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당업자는 먼저 캐리어의 비틀림 또는 왜곡 또는 수축 또는 약화 등의 정도가 소정의 적용분야에서 허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최소 요건은 캐리어가 접촉부로부터 제거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목적을 위해, 예를 들면, 본 방법은 고온의 박리면의 열이 캐리어의 강도를 인발력에 저항하는데 충분한 강도 미만으로 감소시키는 최소 시간 보다 짧은 접촉 시간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자들이 발견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실제로 사용되는 캐리어의 임의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용이하게 적용된다. 접촉 시간은 시행 착오에 의해 적절히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시행해 본 결과, 왜곡 또는 수축 등이 지나치게 강하면 더 짧은 접촉 시간이 시행되어야 한다. 2 개의 롤 사이의 닙에서 실제적으로 다양한 라인 속도를 시도하면서 시도를 위한 짧은 접촉 시간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더 작은 직경의 더 경질의 닙롤은 훨씬 더 짧은 접촉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방법의 장점은 가요성 캐리어 자체의 제조로부터 독립성을 제공한다는 점; 필름과 직물에 대해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점; 슬립방지 코팅의 파라미터를 선택함에 있어서 매우 유연하다는 점; 고가의 설비 및 원재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 심지어 재생 원재료가 코팅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 코팅이 인쇄된 표면에 도포될 수 있고 및/또는 코팅이 추후에 인쇄될 수 있다는 점; 접촉 시간이 충분히 짧은 경우에 그 라인 속도가 유연하다는 점("지나치게 짧은 접촉 시간"의 문제는 실제로 발생되지 않음); 코팅이 캐리어에 반드시 본질적으로 침투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코팅은 희박 이산 코팅일 수 있으므로 강도, 가요성, 열수축성, 가요성의 등방성, 및 열수축성 거동의 등방성을 본질적으로 손상시킴이 없이 가요성 재료에 마찰을 추가하는 점; 경제적이라는 점;블로킹에 저항하는 슬립방지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캐리어 재료와 코팅 재료의 융착 또는 용착이라는 용어가 코팅 또는 코팅의 요소가 캐리어 내에 침투하거나 진입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는, 예를 들면, 지붕 하부, 지오멤브레인, 건축 산업용의 1회용 위생 커버 재료, 또는 인간의 건강 관리 또는 수의학에 있어서의 1회용 위생 언더 패드와 같은 많은 비포장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제공된 가요성 캐리어는 가요성 포장 또는 래핑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개별 백 및 FFS(form fill seal) 백을 포함하는, 주로 하나의 백 당 3.5 kg 내지 90 kg의 중량을 채우기 위한, 포장 백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 및 예를 들면, 콜레이션(collation) 랩, 수축 랩, 수축 후드, 목재 랩, 신장 랩, 신장 후드 등을 포함하는 포장 랩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
본 방법이 제 1 층의 제공 시에 전체가 제 2 온도 이상에 있는 이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접합을 위해 훨씬 더 큰 열 에너지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본 방법이 제 1 폴리머의 용융 온도 및 연화 온도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초과하는 제 2 온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접합을 위해 훨씬 더 큰 열 에너지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본 방법에서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제 1 폴리머를 포함하는 부분)이 접촉을 유발하는 것과 접합을 형성하는 것 사이에서 용융 또는 연화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적절하게 짧은 접촉 시간을 선택함으로써 달성되어야 한다. 이것의 장점은 더 우수한 제품 품질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 본 방법은,
- 제공된 캐리어는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제 2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 캐리어의 제공 시에, 캐리어는 제 2 층의 수축 온도 미만의 온도를 갖고,
- 제 2 층의 수축 온도를 초과하는 제 1 온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특정 방향으로의 "열 수축성"은 제 2 층과 같은 재료와 관련하여 이 재료가 재료 내로의 열 에너지의 전달에 응답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그 길이 또는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재료의 "수축 온도"는 증가되는 온도에 노출되는 재료가 열 수축을 개시하는 온도를 지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캐리어는, 예를 들면, 필름 뿐만 아니라 직물, 예를 들면,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원래 치수의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 및 캐리어가 이것의 원래 치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25 %를 초과(바람직하게는 20 %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5 %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0 %를 초과)하여 수축되지 않도록 충분히 짧은 접촉 시간을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것의 장점은 수축 랩에서 사용하기 위한 슬립방지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방법에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 자체가 수정된 블로킹 하중 시험으로 200 g 미만(바람직하게는 150 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0 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80 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0 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0 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40 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0 g 미만)의 평균 블로킹 하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정된 블로킹 하중 시험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재료의 2 개의 시험편이 시험편의 슬립방지 면을 서로 대면시킨 상태로 서로에 대해 시험된다. 수정된 블로킹 하중 시험은 접촉 면적이 20 cm x 50 cm = 10 cm2이고, 시험 중에 두 시험편의 배면의 전체가 이중 코팅된 테이프로 각각의 알루미늄 블록에 고정되고, 시험될 시험편은 두 시험편의 배면 전체가 이중 코팅된 테이프로 각각의 알루미늄 블록에 고정된 상태에서 15900 Pa의 압력으로 면 대 면으로 압축되어 50℃ ± 2℃ 에서 260 분 동안 컨디셔닝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표준 ASTM D 3354-96에서 정의된 블로킹 하중 시험과 다르다. 언급된 압력 값은 공급된 슬립방지 포장 백의 팰릿 부하의 저부에서 발생하는 압력 값에 대응하고, 언급된 컨디셔닝 온도는 더운 날에 창고나 트럭에서 발생하는 온도에 대응한다. 이러한 특징은 비교적 고융점의 제 2 폴리머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고온에서 실제로 접합될 가능성을 이용한다. 이것의 장점은, 예를 들면, 포장 목적을 위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본 발명자들의 현재의 슬립방지 해결책을 사용하여 채워진 슬립방지 백 또는 래핑된 품목은 추가의 노력없이 서로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유사하게 팰릿 상에 평평하게 쌓여 있는 공급된 미사용 백은, 모든 통상의(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종이) 포장 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전용으로 사용하기 전에, 특히 백의 소포장을, 예를 들면, 전후로 절곡시킨 후에 쉽게 서로로부터 들어올려서 이들이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임의의 블로킹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본 방법이 제 1 온도로 완전히 가열되는 경우에 그 안정성을 상실하는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적절히 짧게 유지되는 접촉 시간의 특징의 중요성을 훨씬 더 크게 한다. 이것의 장점은 강한 접합, 심지어 용착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방법이 이산 입자의 적어도 하나의 치수로 20 마이크로미터 이상(바람직하게는 25 마이크로미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0 마이크로미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5 마이크로미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0 마이크로미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5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크기를 갖는 이산 입자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급된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높이일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더 큰 입자(소정의 입자 형상을 가짐)가 입자의 더 큰 체적 대 표면의 비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열 에너지의 활용 효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이론적 상한은, 예를 들면, 약 50 밀리미터이다.
본 발명에서 박리면의 표면 에너지가 제 2 폴리머의 표면 에너지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잔류물 없이 또는 소량의 잔류물을 포함한 상태로 박리면으로부터 점착성 제 1 층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서 제 2 폴리머의 표면 에너지와 박리면의 표면 에너지 사이의 차이는 23 mJ/m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제 2 폴리머의 용융 입자가 박리면을 적절히 급하게 형성하도록, 그러나 이산 입자로부터 불연속의 조면화 코팅을 형성하는데 유리할 수 있는 너무 예각이 아닌 제 1 접촉각을 형성하도록 박리면을 다소 웨팅(wetting)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점이다.
본 방법에서, 박리면의 표면 에너지는 캐리어의 전면의 표면 에너지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면의 표면 에너지는 실리콘화 표면, 플루오로케미컬(fluorochemical), 코로나 방전, 화염 등과 같은 공지된 재료 및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면의 표면 에너지와 박리면의 표면 에너지 사이의 차이는 4 mJ/m2를 초과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점착성 제 1 층이 박리면보다 전면에 점착하기 때문에 잔류물 없이 또는 소량의 잔류물을 포함한 상태로 박리면으로부터 점착성 제 1 층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본 방법에서, 제거하는 단계는 전면과 적어도 대부분의 접촉된 점착성 입자 사이에 박리면과 적어도 대부분의 접촉된 점착성 입자 사이의 접착력보다 큰 접착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대부분"의 접촉된 점착성 입자라는 용어는 접촉된 점착성 입자의 총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접촉된 점착성 입자의 개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접촉된 점착성 입자"는 "전면에 의해 접촉된 점착성 입자"를 의미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전면과 박리면의 적절한 표면 에너지를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접촉된 점착성 입자가 박리면에 점착하기보다 우선적으로 전면에 점착하므로 잔류물 없이 또는 소량의 잔류물과 함께 박리면으로부터 전면에 의해 접촉된 점착성 입자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본 방법에서 제거하는 단계는 박리면과 접촉된 점착성 입자의 적어도 대부분 사이에 접착력보다 큰 접촉된 점착성 입자(39)의 적어도 대부분의 응집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박리면으로부터 접촉된 점착성 입자의 적어도 대부분을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질적으로 완전한"은 접촉된 점착성 입자의 적어도 대부분의 폴리머 중 20% 이하(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 이하)가 하나의 제거 작업 중에 박리면 상에 잔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면, 점착성 입자 내의 적절하게 큰 점도를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제품 품질을 더 잘 제어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이는 당겨진 엿(taffy) 처럼 박리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입자의 폴리머가 신장되는 "인발" 효과가 본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므로 산 입자의 푸트의 형상을 그 상부에 다소 보존하는 조면화 돌기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된다. 점착성 입자가 고온의 박리면 상에 제거되지 않고 잔류해야 하는 경우(예를 들면, 1 회전 후, 회전하는 박리 벨트 또는 드럼 상에 기초하는 기술의 경우), 새로운 제 1 층이 고온의 박리면 상에 제공될 때, 새로운 제 1 층 입자와 오래된 입자 사이의 접착력은 새로운 제 1 층이 오래된 입자를 픽업하여 제거시키도록 오래된 입자와 박리면 사이의 접착력보다 커야 한다. 이로 인해 전형적으로는 산화를 개시하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의) 오래된 입자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오래된 입자는 이 오래된 입자의 분해로 인해 새로운 입자보다 큰, 박리면과의,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박리면 상의 제 1 층을 (예를 들면,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제거하지 않고 너무 오래 유지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빠른 열분해 및 이에 따른 박리면에의 더 강력한 접착을 보이는 경향을 갖는 특히 폴리프로필렌의 이들 오래된 입자는 통상적으로 가스 및/또는 증기로서 박리면으로부터 완전히 분해되어 사실상 소멸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잔류물의 완전한 분해로부터, 박리면은 이러한 자동 열분해 방식으로 세정될 수 있다.
본 방법이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인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를 적어도 일부의 이산 입자를 적어도 반액체 상태로 제공하기에 충분히 길게 유지시키고, 박리면과 제 1 접촉각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반액체"는 액체 또는 반액체를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면, 입자가 전술한 방식으로 박리면을 다소 웨팅시키는데, 그리고 입자와 박리면의 표면 에너지가 상호 제 1 접촉각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소비할 수 있는 박리면을 위한 충분히 긴 무단 벨트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특히) 글씨를 쓰는 것 또는 라벨 상에 점착시키는 것이 더 용이하고, 감촉이 더 매끈한 평평한 상부를 갖는 분리된 조면화 돌기를 포함하는 코팅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적어도 일부의 제 1 접촉각기 90도 미만(바람직하게는 85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80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75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70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5 도 미만)이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은 입자가 박리면 상에 머무는 시간을 더 길게 하고, 및/또는 입자의 점도를 더 낮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조면화 돌기 내에 언더컷을 형성하는데, 및/또는 다른 유사한 조면화 돌기 또는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와 더 우수한 인터로킹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점이다. 다른 한편으로, 제 1 접촉각은 30 도를 초과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방법에서,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의 외면은 박리면과 접촉하는 제 1 부분 및 박리면과 접촉하지 않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부분의 면적은 제공된 이산 입자의 적어도 대부분에서 제 1 부분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대부분"의 제공된 이산 입자는 제공된 이산 입자의 총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제공된 이산 입자의 수를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면, 평평한, 평활한 박리면 또는 너무 깊지 않은 리세스를 갖는 박리면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이산 입자들 사이의 노출된 박리면의 열로부터 캐리어를 보호하기 위해, 접촉 시간 중에, 전면을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리고 가능하면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점이다.
본 방법에서, 제공된 고온의 박리면은 본질적으로 평면이거나, 기껏해야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의 분포와 무관한 패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이산 입자의 무작위 분포를 형성하는데, 그리고 또한 접촉 시간 중에 고온의 노출된 박리면 부분으로부터 전면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박리면으로부터 이산 입자의 돌출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본 방법이 적어도 0.5 초 동안(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초 동안,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초 동안,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초 동안,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초 동안) 고온의 박리면 상에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 들면, 박리면을 위한 충분히 긴 무단 벨트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입자를 적절히 가열하는데 도움이 되고, 입자가 자신의 가능한 분자 배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실하는데, 그리고 박리면을 다소 웨팅시키는데, 그리고 입자의 연화되거나 용융된 폴리머의 표면 장력에 반응하여 "평활한" 형태나 비드 형태에 접근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는 입자에 더 균일한 형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것이 더 균일한 크기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본 방법에서, 접촉 시간을 캐리어의 평균 표면 질량으로 나눈 값이 0.020 s·m2/g 이하(더 바람직하게는 0.016 s·m2/g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13 s·m2/g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10 s·m2/g 이하)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의 "평균 표면 질량"은 캐리어의 질량을 캐리어의 전면의 면적으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이것의 장점은 박리면의 과도한 열로부터 캐리어를 보호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본 방법에서,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인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가 박리면으로부터 각각의 입자 높이까지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일부의 이산 입자에서 입자 높이는 입자의 최소 평면도 범위의 0.1 배 이상(바람직하게는 0.2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3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4 배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 배 이상)이다.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의 적어도 대부분에서 입자 높이는 입자의 최소 평면도 범위의 0.1 배 이상(바람직하게는 0.2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3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4 배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 배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제공된 제 1 층의 "대부분"의 이산 입자는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의 개수가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의 총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소 평면도 범위는 (도면의 평면 내의 캘리퍼로 측정된 것과 같은) 이산 입자의 위로부터 취한 박리면의 평면도에서 입자의 최소 범위이다. 예를 들면, 그라비어 인쇄 공정에서 통상의 인쇄층으로부터 제 1 층을 구별하는 이러한 특징은 입자의 더 큰 체적 대 표면 비를 제공하는 것, 더 효과적인 열전하를 운반하는 것, 언더컷을 가진 조면화 돌기 및/또는 다른 유사한 조면화 돌기 또는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와 더 우수한 인터로킹되는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접촉 시간 중에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전면을 이격시키고, 가능하면 고온의 박리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포함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방법이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 내에서 캐리어의 평균 표면 질량보다 1.5 배 더 작은(바람직하게는 1.25 배 더 작은, 더 바람직하게는 1.00 배 더 작은, 더 바람직하게는 0.75 배 더 작은,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60 배 더 작은) 코팅의 평균 표면 질량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의 평균 표면 질량은 코팅의 질량을 이 코팅이 차지하는 캐리어의 면적(이 면적은 또한 코팅을 구성하는 이산 돌기들 사이의 가능한 간극을 포함함)으로 나눈 것이다. 캐리어의 평균 표면 질량은 캐리어의 질량을 캐리어의 전면의 면적으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이것의 장점은 이것의 경제성에 더하여 제품의 가요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강제 냉각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코팅의 과도한 열 에너지에 의해 캐리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이 500 g/m2 미만(바람직하게는 420 g/m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70, 또는 320, 270, 220, 200, 180, 160, 140, 130, 또는 심지어 120 g/m2 미만)의 캐리어의 평균 표면 질량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표면 중량의 최하한은,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포장 재료의 사용에 의해 암묵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3 g/m2일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상기 인식 섹션(recognition section)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의 중요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것의 장점은 그 경제성에 더하여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가 이것의 후속 융착, 용착 및/또는 열수축을 위해 더 적은 열 에너지를 필요로 할 수 있고, 그 이점은 열 에너지에 의해 코팅이 손상, 왜곡, 용착될 가능성이 감소되고, 또는 예를 들면, 코팅의 수축 정도가 감소되는 것이다.
본 방법이 냉각롤(chill-roll) 냉각을 필요로 하지 않고, 캐리어의 되감기에 충분한 상기 캐리어의 파단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고온 코팅의 열 에너지를 적절히 낮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의 하나의 가능성은, 예를 들면, 캐리어의 표면 질량에 대해 적절히 낮은 표면 질량의 (심지어 확실히 고온인) 코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방법이 박리면 상에 놓인 이산 입자의 제 1 층을 제공하기 위해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를 초과하는 박리면 온도에서 박리면 상에 제 2 폴리머의 일부를 가져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매 회전마다 박리면의 반복적인 가열 및 냉각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점이다. 또한, 이산 입자가 박리면에 도달한 순간부터 사실상 즉각적으로 이것을 점착성 상태가 되도록 가열하여 이산 입자를 고정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본 방법이 다음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a.) 상기 제 2 폴리머의 고체, 액체 및 반액체(그러나 고체가 더 바람직함) 부분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공중으로부터 상기 박리면 상으로 가져오는 단계, 및
b.) 상기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보다 저온의 상기 제 2 폴리머의 일부(바람직하게는 고체 부분)를 상기 공중 이외로부터 상기 박리면 상으로 가져오는 단계.
(본 발명자들은 제 2 폴리머의 일부가, 예를 들면, 그 용액 내의 고체 이외의 연화 온도보다 저온일 수 있음에 주목한다.) 예를 들면, 제 2-폴리머 부분은 중력, 정전 인력, 충격 또는 다른 적절한 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박리면 상에 공중으로부터 충돌될 수 있다. 중력에 의해 박리면 상에 제 2 폴리머 부분을 분산시키는 것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분산 유닛을 이용하여 고체의 제 2 폴리머 부분을 분산시키거나 액적 등을 분사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면, 고체 제 2-폴리머 부분은 박리면과 접촉되어 있는 공급기로부터 직접 박리면 상에 공급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제 2 폴리머의 용융된 부분이, 예를 들면, 인쇄 장치와의 확실한 접촉에 의해, 고온의 박리면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어려움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박리면이 이러한 고온이고, 이에 더하여 원하는 박리 특성을 가지는 경우, 특히 용융된 제 2 폴리머의 점도가 인쇄에 의해 도포된 핫 멜트와 함께 평소보다 높은 경우, 충분히 확실하게 다른 암묵적으로 고온인 표면으로부터 멜트를 완전히 전사시키는 것이 어려울 것이다. 제 2 폴리머의 고체 부분이 박리면으로 이동되면, 제 2 폴리머는 그 전체 방법 중에 (예를 들면, 멜트 압출 및 핫 멜트 탱크에 기초한 다른 해결책과 달리)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고온의 용융되거나 연화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는 저가의 (심지어 재생된) 제 2 폴리머 물질로도 산화 또는 분해의 위험을 최소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제 2 폴리머의 부분(예를 들면, 분말 과립 또는 마이크로펠릿)이 (예를 들면, 멜트 압출 및 핫 멜트 탱크에 기초한 다른 해결책과 달리)과 접촉하고, 가열되어 멜트가 되고, 다음에, 예를 들면, 몇 초 내에 이들은 전면과 접촉 및 냉각되어 응고하며, 이들 모두는 30 초 미만에 발생될 수 있다. 폴리머가 고온에서 매우 짧은 시간만 소비해야 한다는 사실은 폴리머가 너무 많이 분해되거나 산화되지 않으면서 원하는 실제 고온을 사용할 가능성을 도출한다. 또한, 핫 멜트 인쇄 대신 고체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제 2 폴리머에서 훨씬 더 높은 라인 속도 및 더 낮은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냉각식 열 차폐부가 박리면의 가능한 매우 고온에 대해 박리면에 제 2 폴리머의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복사열로부터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같은 이유로, 고온의 박리면에 의해 생성된 자발적인 고온의 공기 또는 고속의 (예를 들면, 벨트 형상의) 박리면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공기의 원하지 않는 효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공된 제 1 층 내의 이산 입자의 적어도 일부는 본질적으로 분자적으로 배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박리면 상에 제 2 폴리머의 분말 또는 유사한 재료를 분산시킴으로써 제 1 층을 형성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분말 또는 유사한 재료는 본질적으로 분자적으로 배향되지 않는다. 이는 또한, 예를 들면, 박리면 상에 놓인 연화된 또는 용융된 이산 입자가 이완 및/또는 자유 수축을 통해 자체의 가능한 분자 배향을 상실하도록 충분히 길게 유지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본질적으로 분자 배향을 가지지 않는, 따라서 캐리어의 원래의 열수축 특성과 간섭하지 않고, 특히 일 방향으로 왜곡되지 않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면, 이산된 조면화 돌기를 포함하는 이러한 코팅은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추후의 열수축 중에 자체의 형태를 잘 유지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무작위 분포로 박리면 상에 놓이는 이산 입자의 제 1 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다음을 포함한다. 이는 조면화 돌기가 무작위 분포인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며, 무작위 분포는 다른 유사한 표면 및/또는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와 전단 방향으로 기계적 인터로킹의 등방성에 관해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박리면으로부터 점착성 제 1 층의 제거 후에 (예를 들면, 벨트 형상의) 박리면 상에 소량의 이산 입자의 잔류물이 남아 있는 경우, 다음번 사이클에서 도포되는 입자가 통계적으로 언젠가는 반드시 그 잔류물에 충돌하여 박리면으로부터 제거한다. 따라서, 사용 중인 전체 박리면의 품질은 그 점에서 균질이다. 또한, 불연속 코팅의 진정한 무작위 패턴을 적용하는 것은 되감겨진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에서 형성되는 가능한 각각의 더 두껍고 더 얇은 코팅의 부분 또는 심지어 국부적인 코팅 부족으로 인한 돌출부(bump)를 방지하는 매우 좋은 수단이다.
제 1 층에는 점착제가 실질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점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다"는 용어는 제 1 층이 점착제로서 접착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재료의 약 5 중량% 미만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점착제는 그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접착제 제제에 첨가된다. 점착제로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로진 수지, 쿠마론 인덴 수지, 테르핀 수지 및 탄화수소 수지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의 장점은 따뜻한 창고 내에서 제품의 블로킹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이는 더 저렴한 폴리머의 사용을 선호한다.
본 방법은 직물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 및 코팅이 본질적으로 상기 직물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코팅이 이 코팅과 접촉해 있는 얀, 테이프 및/또는 섬유의 대부분을 캡슐화하는 것이 방지되는 경우, 코팅이 얀, 테이프 및/또는 섬유로 구성된 직물에 본질적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코팅과 캐리어 사이의 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이 열 에너지이라는 사실 및 접합은 직물 내로 코팅의 침투에 기초한 기계적 인터로킹식 접합보다는 주로 열접합이라는 사실을 활용하여, 예를 들면, 접촉 중에 적절히 큰 점도의 제 2 폴리머를 선택함으로써 및/또는 적절히 약한 압축의 점착성 제 1 층을 선택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캐리어의 가요성 및 열수축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코팅이 불연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접촉 중에 점착성 제 1 층의 적절히 적당한 압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표면을 따라 공기를 거의 완전히 배제하여 밀접한 접촉을 생성하는데 부적절한 평활하지 않은 코팅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블로킹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점을 포함한다. 또한, 이는 적절한(예를 들면, 조면화된) 다른 표면과의 슬립방지 기계적 인터로킹을 생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캐리어의 가요성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장점을 위해, 코팅이 평면도에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면적의 최대 75%(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60%, 또는 50% 또는 40%, 또는 35%, 또는 30%, 또는 25%, 또는 20%, 또는 17.5%, 또는 15.0%, 또는 12.5%, 또는 10.0%, 또는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8.0%)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미시적 스케일에서의 의미이며, 여기서 전면을 노출시키는 간극은 점유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코팅은 캐리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이산된 조면화 돌기(roughening projection)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조면화 돌기에는 푸트(foot)가 제공되고, 이 푸트는 캐리어에 접합된 조면화 돌기의 일단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접촉 중에 점착성 입자의 적절히 적당한 압축과 조합하여, 제 1 층에서 이산 입자의 적절히 희박한 분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조면화 돌기는 제 1 층의 단일의 입자로 형성될 수 있으나, 조면화 돌기는, 예를 들면, 제 1 층의 적절한 압축에 의해 제 1 층의 복수의 입자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방법 실시형태의 장점은 적절한(예를 들면, 조면화된 또는 섬유질의) 다른 표면과의 슬립방지 기계적 인터로킹을 생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이는 캐리어의 가요성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코팅을 위해 더 적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 이것의 경제성도 또한 장점이다. 코팅이 유지되는 고온이 폴리머의 표면 장력에 기초하여 개별 조면화 돌기의 약간이 표면 거칠기를 평탄화할 수 있으므로 조면화 돌기가 비교적 평활한 표면(예를 들면, 평활면을 포함함)을 가질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는 다른 돌기 및 특히 섬유와의 슬립방지 인터로킹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방법은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전면과 90 내지 178 도(더 바람직하게는 92 내지 178 도, 더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78 도, 더 바람직하게는 97 도 내지 178 도)의 제 2 접촉각으로 적어도 일부의 조면화 돌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측면도는 전면과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취해진 도면(예를 들면, 전면의 수평 배향 중에 좌측으로부터 또는 우측으로부터 취해진 도면)으로서 사시도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는 제 2 접촉각이 형성되는 전면의 적어도 일부(이것의 측단면도) 뿐만 아니라 조면화 돌기가 포함된다. 여기서 "제 2 접촉각"이라는 용어는 조면화 돌기가 고체의 전면 상에 놓이는 액체의 액적인 것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제 2 접촉각은 조면화 돌기-공기 계면이 전면과 만나는 캐리어의 전면과 조면화 돌기-공기 계면 사이의, 조면화 돌기를 통해 측정된, 각도이다. 실제로, 이것은 확대 하에서 관찰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예를 들면, 접촉 시간 중에 적절히 큰 점도의 점착성 이산 입자에 중정도의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박리면으로부터 용이한 박리를 제공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특징은 코팅이 표면 상에 (전형적으로 저점도 및 양호한 웨팅성) 핫 멜트의 층을 인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공지된 방법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의 해결책을 구별한다. 본 방법 실시형태의 장점은 대면하는 표면의 유사한 조면화 돌기 또는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와 전단 방향으로 슬립방지 기계적 인터로킹을 위해 더 적절하게 만드는 언더컷을 가진 조면화 돌기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에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연부(edge)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평평한 상부가 단지 그 측면도에서 평평한 상부를 의미하지 않고, 조면화 돌기가 본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영역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에 유의한다. 평평한 상부가 서로 본질적으로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전면과 본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은, 예를 들면, 접촉 시간 중에 적절히 큰 점도의 점착성 이산 입자에 중정도의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박리면으로부터 본질적으로 수직의 용이한 박리를 제공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제품이 펜을 이용하여 쓰기 쉽고 및/또는 자가접착 라벨 또는 테이프 상에 점착하기 쉽고, 제품에서 더 평활한 감촉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추후에 제품에 더 아름다운 인쇄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평평한 상부들이 함께 실질적으로 맞닿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는 조면화 돌기에 고마찰 계수의 물질을 포함시키지 않아도 평활한 표면에 대해 개선된 마찰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조면화 돌기의 물질이 고마찰 계수(예를 들면, 엘라스토머)를 갖는 경우, 평활한 표면과 맞닿는 총 표면이 증가하므로 이것의 슬립방지 효과는 더욱 강조되거나 더 중요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엘라스토머 물질에 기초한 마찰과 조면화 돌기의 기계적 인터로킹에 기초한 마찰의 개선된 조합이 얻어진다. 연부의 존재는, 예를 들면, 언급된 기계적 인터로킹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동일한 장점을 위해, 본 방법은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대부분에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조면화 돌기의 "대부분"은 조면화 돌기의 총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조면화 돌기의 개수를 의미한다.
본 방법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를 완전히 둘러싸는 연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모든 방향으로 더 잘 인터로킹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이 본질적으로 원을 형성하는 연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등방성을 더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푸트와 연부를 연결하는 조면화 돌기의 윤곽선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외부로 볼록한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언급된 윤곽선 부분은 푸트와 연부를 연결하는 윤곽선의 부분이고, 이것은, 예를 들면, 전면의 수평 배향 중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조면화 돌기의 우측이나 좌측에 있을 수 있다. 이는 조면화 돌기의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볼록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그리고 용어의 수학적 의미에 따르면, 윤곽선 부분은 조면화 돌기에 속하는 일련의 점들의 볼록한 경계를 형성하고, "볼록한 윤곽선 부분"은 직선적 윤곽선 부분의 경우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윤곽선 부분이 외부로 엄밀하게 볼록한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측면도에서 조면화 돌기의 엄밀하게 볼록한 윤곽선 부분은 외부로부터 보았을 때 볼록하고 직선이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많은 측면도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모든 측면도에서) 조면화 돌기의 윤곽선 부분의 (바람직하게는 엄밀하게) 볼록한 형상은 이것이 조면화 돌기에 비교적 큰 두께를 부여하므로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볼록한 형상은 연부에 강도를 제공한다. 볼록한 형상은 또한 결합 섬유를 캐리어를 향해 하방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하며, 이를 통해 조면화 돌기 및 캐리어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즉, 푸트) 상의 토크 부하를 감소킨다.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의 폭 대 푸트 폭의 비는 0.50 내지 1.24(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4, 더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24,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4,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0,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18,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1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10)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0.50을 초과하는 비는 평평한 상부으로부터의 장점을 이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과 스키드방지 재료의 결합 섬유 뿐만 아니라 유사한 대면하는 돌기와 맞물림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 1.24 미만의 비는 리프팅 작업 또는 박리 작업 시에 용이하게 실제로 노력없이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로부터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분리할 수 있도록 충분히 조면화 돌기의 언더컷을 완화하여 유지하여 슬립방지 인터로킹의 원하지 않는 리프팅 강도 또는 박리 강도를 회피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방법은 푸트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의 면적 이하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장점은 조면화 돌기에 언더컷을 가진 형태를 또는 가장 넓은(즉, 측면도에서 가장 넓은) 부분 또는 최대의 횡방향 팽출부가 푸트보다는 상부에 더 근접하는 형태를 부여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조면화 돌기가 대면하는 표면의 유사한 조면화 돌기 또는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와 전단 방향으로 슬립방지 기계적 인터로킹하는 것을 더 적합하게 만든다. 그 장점은 다른 유사한 조면화 돌기 또는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와 기계적 인터로킹을 위해 평평한 상부 연부를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것의 특별한 장점은 조면화 돌기의 가장 먼 지점인 상부가 이미 인터로킹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로킹 부분들이 서로 매우 가깝게 가압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는 인터로킹 부분이 돌출할 수 있는 분진 또는 눈으로 전면이 오염되거나, 또는 예를 들면, 조면화 돌기가 압인된 것에 기인되어 조면화 돌기가 전면의 함몰부로부터 기립해 있는 경우에 중요성이 커진다.
동일한 장점을 위해, 본 방법은 푸트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입구가 박리면을 향해 뒤집힌 컵과 유사한 형태를 부여하도록 고온의 박리면 상에 충분히 오랫동안 이산 입자를 유지시키고, 접촉 중에 완만한 압축을 가하고, 박리면으로부터 이것의 용이한 박리를 제공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와 연부로부터 푸트까지 연장되는 외각(mantle) 표면 사이의 각도인, 조면화 돌기를 통해 측정되는, 연부각(edge angle)을 조면화 돌기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연부각은 연부에서 상부에 부착되는 돌기의 측부가 연부에서 서로 접근하는 각도이다. 이것의 장점은 상부의 연부의 슬립방지 인터로킹을 보다 중요하게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본질적으로 90 도 이하의 연부각을 가진 조면화 돌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고온의 박리면 상에 이산 입자를 충분히 오랫동안 유지시켜 이산 입자와 박리면 사이에 예각의 제 1 접촉각을 제공하고, 다음에 접촉 및 제거 중에 입자의 그 형상을 충분히 보존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립방지 조면화 돌기의 장점은 본질적의 상부의 평면인, 그리고 연부각을 형성하는 평평한 상부의 연부가 상당량의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를 변위시킬 필요없이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 내에 용이하게 진입하거나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와 맞물릴 수 있다는 것이다. 유사하게, "날카로운" 연부의 상승된 위치는 다른 유사한 조면화 돌기와 연부, 또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로 싸여 있는 목재의 블록 상에서 걷고 있는 작업자의 부츠 바닥과의 인터로킹을 더 용이하게 한다. 이 인터로킹 효과는 전면의 함몰부 내에 조면화 돌기의 푸트가 있는 경우에도 제공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슬립방지 성능은 조면화 돌기가 전면 내에 다소 압인되어 있는 경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전면의 각각의 함몰부 또는 압입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인터로킹 연부가 돌출할 수 있는 분진 또는 눈 또는 얼음으로 전면이 오염된 경우에 큰 중요성을 갖는다.
동일한 장점을 위해, 연부각이 90 도 미만(바람직하게는 87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84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81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78 도 미만)이면 특히 더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이것은 적절한 강도의 연부를 제공하기 위해 30 도를 초과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부로부터 푸트까지 테이퍼를 이루는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조면화 돌기 테이퍼의 복수의 측면도, 더 바람직하게는 모든 측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푸트의 테이퍼링(tapering)은 푸트를 향해 전진적으로 더 좁아지는 것 또는 푸트를 향해 동일한 폭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원주(cylinder)는 (비록 엄밀하게는 테이퍼 형상이 아니지만) 테이퍼 형상이다. 이것의 장점은 이러한 유형의 테이퍼링은, 섬유가 전면으로부터 변위된 비테이퍼형(non-tapered) 부분에 포획되지 않고 전단 부하가 슬립방지 인터로크에 가해지는 경우에, 맞물린 섬유를 캐리어의 전면을 향해 하방으로 당기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면화 돌기 상의 토크는 최소화되므로 캐리어는 더 약하고, 즉 더 저렴해지고, 더 유연해지고, 더 얇아질 수 있다. 또한, 제품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에 의해 형성되는 비교적 큰 표면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감촉이 매끈해지고, 라벨 또는 테이프 상에 점착하거나 쓰기 쉬워지고, 또한 캐리어에 연결된 돌기 푸트의 총 표면적이 비교적 작아지므로 제품의 가요성이 증가된다. 또한, 이러한 특징은 인터로킹을 위한 가장 넓은 부분이 돌출할 수 있는 분진 또는 눈으로 전면이 오염된 경우에 유리하다.
동일한 장점을 위해, 본 발명은 연부로부터 푸트까지 테이퍼를 이루는 조면화 돌기의 각각의 측면도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다. 장점은 제품의 개선된 등방성을 포함한다.
동일한 장점을 위해, 측면도가 연부로부터 푸트까지 엄밀하게 테이퍼를 이루는 경우에 특히 더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푸트를 향해 엄밀하게 테이퍼를 이루는 것은 푸트를 향해 점진적으로 더 좁아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적절하게 배향된 절두 원추체는 엄밀하게 테이퍼를 이루는 형상이다.
본 방법은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에서 무작위 분포를 갖는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무작위 분포는 미시적 스케일의 분포를 나타낸다. 이것의 장점은 서로 대면하는 2 개의 이러한 표면들 사이의 슬립방지 인터로킹은 대면하는 표면들의 상대적 배향에 무관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무작위 평면도 크기의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점은 제품이 보다 보편화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조면화 돌기가 짝을 이루는 조면화된 표면의 돌기들 사이 또는 짝을 이루는 스키드방지 재료의 섬유들 사이의 간극들 사이에 진입하여 양호하게 맞물리는 능력은 조면화 돌기의 평면도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더 작은 조면화 돌기는 하나의 종류의 간극 내에 최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더 큰 조면화 돌기는 다른 종류의 간극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크기의 조면화 돌기를 갖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가 많은 유형의 짝을 이루는 표면과 더 보편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사한 장점을 위해, 본 방법은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에서 무작위 배향의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평면도에서 조면화 돌기의 배향은 조면화 돌기의 폴리머의 분자 배향을 지칭하지 않고, 이것의 각도 위치를 지칭한다.
본 방법은 각각의 푸트로부터 각각의 돌기 높이까지 돌출하도록, 그리고 각각의 최소 평면도 범위를 갖도록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대부분에서 최소 평면도 범위의 변동 계수는 돌기 높이의 변동 계수보다 크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조면화 돌기의 최소 평면도 범위는, 본 발명자들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이것의 가장 작은 범위를 의미한다.
최소 평면도 범위의 변동 계수는 돌기 높이의 변동 계수의 1.15 배 이상(바람직하게는 1.2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3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4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6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7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8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9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배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제 1 층의 이산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접촉 중에 다소 균일한 돌기 높이로 제 1 층의 고온 입자를 압축시킴으로써 분말 과립의 크기 또는 체적의 고유의 불규칙성이 조면화 돌기의 가변적인 최소 평면도 범위로 나타나게 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조면화 돌기의 상부가, 예를 들면, 평평할 수 있거나, 또는 규칙적 및/또는 불규칙적 및/또는 무작위적 및/또는 기타 구조로 구조화될 수 있거나, 및/또는 본질적으로 박리면의 표면 패턴으로부터 계승된 패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장점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자들의 인식에 기초한다. 조면화 돌기가 짝을 이루는 조면화된 표면의 돌기들 사이 또는 짝을 이루는 스키드방지 재료의 섬유들 사이의 간극들 사이에 진입하여 양호하게 맞물리는 능력은 조면화 돌기의 최소 평면도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더 좁은"(즉, 평면도에서 더 좁은) 조면화 돌기는 하나의 종류의 간극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더 큰 "최소 평면도 범위"의 조면화 돌기는 다른 종류의 간극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최소 평면도 범위" 값의 많은 종류의 조면화 돌기를 갖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는 많은 종류의 짝을 이루는 표면과 더 보편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소 평면도 범위의 비교적 큰 변동 계수가 유익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자들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소 균일한 높이의 조면화 돌기는 평활한 표면 상에 더 큰 맞닿음 표면(및 이를 통해 더 우수한 마찰)을 제공하는데, 그리고 언급된 구조화된 짝을 이루는 표면과 맞물림에 관련되는 더 많은 조면화 돌기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 높이의 비교적 낮은 변동 계수가 유익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대부분의 상부가 전면의 일반 평면과 평행한 평면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조면화 돌기의 상부는 전면의 일반 평면 위로 가장 멀리 있는 조면화 돌기의 지점 또는 부분을 의미한다. 전면의 일반 평면은, 예를 들면, 전면의 압입부 또는 돌출부의 점과 같은 전면의 일부의 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캐리어의 전면의 경우, 전면의 일반 평면은 평균 직물 표면(수학적으로 비평면일 수 있지만 기술적으로 일반적으로 평면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정렬 상부는 평평한 표면일 수 있지만 조면화 돌기의 각각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조면화 돌기의 각각의 단일 지점일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제거하기 전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제 1 층을 압축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언급된 방법 실시형태의 장점은 그 조면화 돌기의 무작위 특성의 이점을 유지할 수 있는 제품이 펜을 이용하여 쓰기 쉽고 및/또는 라벨 또는 테이프 상에 점착하기 쉽고, 제품의 감촉이 더 매끈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품에 더 아름다운 인쇄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소 균일한 높이의 조면화 돌기가 함께 실질적으로 맞닿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평활한 표면 및 다른 조면화된 또는 섬유질의 맞물림 표면 둘 모두에서 개선된 마찰을 가질 수 있다.
본 방법은 각각의 푸트로부터 각각의 돌기 높이까지 돌출하도록 상기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돌기 높이의 1.75 배 이상(바람직하게는 1.8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9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1 배 이상)과 동등한 상기 조면화 돌기의 최소 평면도 범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접촉 중에 점착성 제 1 층의 적절히 강한 압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이러한 넓은 조면화 돌기가 너무 쉽게 파단되지 않는 경향을 가진다는 것이다. 같은 이유로, 이것은 전단 부하에 따라 그 푸트 주위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에 대해 저항할 수 있으므로 그 인터로킹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론적 최대 비는, 예를 들면, 돌기 높이의 5000 배 이하의 최소 평면도 범위로서 정의될 수 있다.
접촉 시간 중에 이웃하는 점착성 입자들 사이의 전면의 일부는 박리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예를 들면, 적절히 높은 점도의 제 2 폴리머를 사용함과 동시에 접촉 중에 적절히 완만한 압축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산 입자가 너무 평평하게 가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특히 이산 입자의 근접성이 캐리어의 가요성에 관한 목적을 위해 충분한 경우에 전면을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양의 거리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20 마이크로미터 이상,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30 마이크로미터 이상,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4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적어도 일부의 조면화 돌기의 높이와 조합되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의 장점은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직접 캐리어 내로 이송되는 (예를 들면, 방사되는) 열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에 조면화 돌기의 외면의 일부인 숨겨진 표면 부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조면화 돌기는 조면화 돌기의 위로부터 취해지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에서 관찰자로부터 숨겨진 표면 부분을 차폐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조면화 돌기의 외면은 본질적으로 조면화 돌기-대기의 계면이고, 이는 실제로 일부의 위치, 예를 들면, 조면화 돌기의 푸트로부터 볼 수 있는 조면화 돌기의 표면을 의미하며, 여기서 캐리어에 부착되는 부분은 조면화 돌기의 외면의 일부가 아니며, 따라서 이것은 숨겨진 표면 부분도 아니다. 따라서, 조면화 돌기의 숨겨진 표면 부분은 돌기 자체에 의해 관찰자로부터 숨겨져 있어서 평면도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돌기의 외면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기 위해 지금까지 언급된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조면화 돌기에, 대면하는 표면의 유사한 조면화 돌기 또는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와 전단 방향으로 슬립방지 기계적 인터로킹을 위해 더 적합하게 만드는, 언더컷을 가진 형태를 부여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을 가지며, 언더컷의 직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고, 조면화 돌기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전면 사이에 1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바람직하게는 12 마이크로미터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5 마이크로미터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간격을 형성하도록 치수가 결정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언급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주어진 경우에 연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것의 장점은 오염층(예를 들면, 하얀 서리 또는 미세 먼지)이 전면 상에 축적되는 경우에도 적어도 이 오염층의 두께가 언급된 간격의 크기에 도달하지 않는 한 조면화 돌기의 인터로킹 성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2 개의 닙롤(nip roll)을 제공하고, 2 개의 닙롤 사이의 닙 내에서 고온의 박리면를 향해 캐리어를 가압하여 캐리어의 전면과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인 입자의 점착성 말단부 사이에 접촉을 제공하고, 0.001 내지 80 N/라인 cm(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70 N/라인 cm, 더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60 N/라인 cm))의 닙 압력을 캐리어 상에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 간격이 통상적인 배경기술의 닙 압력 값보다 훨씬 더 낮은 값을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것의 장점은 이산 입자 크기 및 근접성, 제 2 폴리머 점도 및 제 1 온도와 제 2 온도와 같은 공정 파라미터의 실제 값을 제공함으로써 닙 압력의 간격이 전술한 유리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낮은 닙 압력은 큰 닙 압력과 같은 고가의 기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캐리어를 가압하는 롤의 폭은 캐리어의 폭보다 작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적절힌 높은 라인 속도에 의해 캐리어가 지나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 롤이 냉각 상태에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방법은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캐리어의 일부를 가열하기 위해, 이산된 조면화 돌기의 고온 코팅의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가열된 캐리어 부분에서 적어도 제 1 폴리머를 충분히 연화 또는 용융시키고, 그 후에 캐리어와 조면화 돌기를 최종 접합을 형성하도록 고체 상태로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리어를 실제로 국부적으로 연화 또는 용융시킬 수 있는 큰 열 에너지로 열접합이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언급된 부분은 이산된 조면화 돌기의 푸트에 근접하는 캐리어의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리어의 벽이 조면화 돌기의 푸트 아래에서 그 전체 두께에서, 또는 그 두께의 일부에서 국부적으로 연화되거나 용융되는 것이 가능하다. 조면화 돌기가 캐리어의 제 1 폴리머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조면화 돌기에 의해 접촉되는 캐리어의 전면은, 예를 들면, 얇은 인쇄된 비열가소성 층(예를 들면, 고객의 그래픽)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 캐리어의 부분을 연화시키거나 용융시키는 열은 인쇄층 자체를 용융시키지 않고 얇은 인쇄된 층을 통해 전달된다. "냉각을 허용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자연 냉각 및 강제 냉각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낸다. 장점은 큰 국부적인 열 에너지로 만들어지는 이러한 접합이 더 강력할 수 있고, 제품은 다른 것에 비해 (따뜻한 창고 내에서) 블로킹에 대한 내성이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캐리어는 그 일부가 연화되거나 용융됨에도 불구하고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그 온도에 관해 이산된 조면화 돌기의 적절히 작은 크기 및/또는 낮은 근접성을 선택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가 함께 융착(fusing)될 수 있는 융착 온도를 초과하는 제 1 온도 및 제 2 온도를 모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의 장점은 이러한 고온에서 형성되는 접합은 더 강력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통항의 핫 멜트 접착제를 갖는) 다른 것에 비해 (따뜻한 창고 내에서) 블로킹에 대한 내성이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130℃를 초과(바람직하게는 140℃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90℃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00℃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05℃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10℃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15℃를 초과)하는 제 1 온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방법은 130℃를 초과(바람직하게는 140℃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90℃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00℃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05℃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10℃를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15℃를 초과)하는 제 2 온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본질적으로 제 1 층을 용융 또는 연화된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것보다 (바람직하게는 훨씬) 큰 열 에너지를 제 1 층에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접합의 형성이 접합된 부품의 둘 모두를 상당히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접촉된 전면을 상당히 가열할 수 있다. 장점은 이러한 고온으로 형성되는 접합은 더 강력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통항의 핫 멜트 접착제를 갖는) 다른 것에 비해 (따뜻한 창고 내에서) 블로킹에 대한 내성이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300℃ 미만의 제 1 온도 및 제 2 온도를 모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코팅의 과도한 열로부터 캐리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 및 제 1 폴리머의 용융 온도와 연화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둘 모두보다 30℃ 도 이 더 높은(바람직하게는 40℃ 도 이상 더 높은, 더 바람직하게는 50℃ 도 이상 더 높은, 더 바람직하게는 50℃ 도 이상 더 높은, 더 바람직하게는 60℃ 도 더 높은, 더 바람직하게는 70℃ 도 이상 더 높은) 제 1 온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고온 접합을 생성하기 위해 적절한 강제 가열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방법은 ISO 1133-1에 따라 2.16 kg의 부하 하에서 190℃에서 측정된 0.1 내지 300 g/10분(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0 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 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0 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0 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0 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 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g/10분)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의 제 2 폴리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점은 이러한 폴리머의 멜트(전형적으로 인쇄로 도포된 핫 멜트의 전형적인 점도보다 큰 점도를 가짐)가 응집 파괴없이, 즉 멜트 내의 너무 낮은 응집력으로 인한 멜트의 분열없이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이와 같이 적절히 선택된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는 바람직한 조면화 돌기 구성의 형성에 적합한 이산 입자의 점도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선택된 값 범위는, 특정 시간 동안 고온의 박리면 상에 직접 놓여 있는 이산 입자에, 이산 입자가 박리면을 적절히 웨팅시켜 박리면과 바람직하게는 급한, 바람직하게는 예각의 제 1 접촉각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낮은 점도를 제공할 수 있다.
충분히 낮은 점도를 갖는 이러한 특징은 값 범위의 하한에서 훨씬 더 높은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 값(예를 들면, 0.5 또는 1.0 또는 1.5 또는 심지어 2.0 g/10분)을 선택함으로써 더 향상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동일한 선택된 값 범위는, 저온의 전면에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예를 들면, 완만하게) 가압된, 이산 입자에 이산 입자/조면화 돌기가 접촉 시간 중에 저온의 전면을 너무 많이 웨팅시키지 않도록 방지하기에 충분히 높은 그리고, 추후에 고온에 있는 한 전면과 조면화 돌기가 바람직한 둔각의 제 2 접촉각을 형성할 수 있는 점도를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충분히 높은 점도는 이산 입자/조면화 돌기가 이것이 박리면 상에 머물고 있을 때 제공된 그 원래의 바람직한 컵 형상을 너무 많이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분히 높은 점도를 갖는 이러한 특징은 값 범위의 상한에서 훨씬 더 낮은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를 선택함으로써 더 향상된다. 또한, 제 2 폴리머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가 낮을수록, 조면화 돌기는 외부의 열을 받는 경우에, 예를 들면, 제품의 융착 또는 용착 중에 또는 제품의 열수축 시에, 또는 이 제품으로 제조된 백 내에 고온의 내용물이 채워질 때에, (자발적인 비드(bead) 형성에 대항하여) 자체의 원래의 형태를 더 잘 유지한다. 또한, 0.1 g/10분을 초과하는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는 제품의 용이한 시일성(sealability), 용착성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조면화 돌기가 실링 또는 용착 중에 실링 공구 또는 용착 공구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용착 공구가 맞닿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유지하지 않도록 충분히 유연하게 압축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값 범위의 하한에서 언급된 훨씬 더 높은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 값을 선택함으로써 더 향상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제 1 폴리머의 용융 온도 및 연화 온도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보다 낮거나 또는 동일하거나 또는 최대 50℃ 만큼 더 높은 온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폴리머에 대해 고온 접합의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른 접합(예를 들면, 통상의 핫 멜트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합)에 대한 이것의 장점은 이러한 접합이 더 강력하며 제품은 블로킹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방법은 30 마이크로미터 이상 내지 40 밀리미터 이하(바람직하게는 40 마이크로미터 이상 내지 20 밀리미터 이하)의 평면도 크기를 갖는 적어도 대부분의 조면화 돌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점은 이러한 크기의 조면화 돌기는 슬립방지 기계적 인터로킹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크고, 캐리어의 적절한 가요성 및 열 수축성을 보존하기에 충분히 작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에 평균 평면도 종횡비가 1.0 이상 내지 20.0 이하(바람직하게는 19.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4.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75 이하)인 조면화 돌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조면화 돌기는 조면화 돌기의 위에서 취해지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에서 조면화 돌기의 최대 범위 대 최소 범위의 비를 의미하는 자체의 평면도 종횡비를 갖는다. 다수의 조면화 돌기의 각각의 평면도 종횡비 값의 평균은 20.0 이하이며, 이는 20.0이거나 20.0 미만임을 의미한다. 이것의 장점은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더 낮은 평균 평면도 종횡비 값은 가요성의 더 높은 등방성을 갖는 더 큰 가요성 및 열 수축성의 더 높은 등방성을 갖는 더 큰 열 수축성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더 높은 평균 평면도 종횡비 값을 갖는 이산 입자((예를 들면, 장방형 필라멘트)는 더 낮은 평균 평면도 종횡비 값(예를 들면, 분말 입자)를 갖는 이산 입자보다 캐리어를 손상시키지 않고 주어진 바람직한 고온에서 캐리어에 접합하기가 더 어려우며, 후자는 작은 점형태의 지점에서 캐리어를 용융시킬 가능성만이 있으며, 이는 장방형 지점을 따라 캐리어를 용융시키는 것과 같은 캐리어 손상의 가능성은 없다.
본 방법은 중첩되는 종사 및 횡사의 열가소성 테이프 또는 얀으로 직조된 직물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제공하고,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서 중첩되는 종사 및 횡사 테이프 또는 얀과 함께 융착되지 않고 캐리어와 조면화 돌기 사이에 접합을 적절히 형성하기 위해, 조면화 돌기를 포함하는 고온 코팅의 사용된 열 에너지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시행착오에 의한 제조 파라미터의 설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고온의 조면화 돌기의 열 에너지는 고온의 조면화 돌기의 온도, 조면화 돌기의 질량 및 조면화 돌기의 비열 중 임의의 것에 의존하며, 이 임의의 것을 수정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적절한 열 민감성의 테이프(또는 얀)의 직물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점은 이는 직조된 직물 캐리어 내에서 가요성, 열 수축성 및 그 등방성을 보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플라스틱 테이프로 직조된 직물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제공하고 - 테이프는 캐리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노출됨 -, 노출된 테이프의 적어도 하나와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을 형성하기 위해 노출된 테이프에 대해 적절한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부)를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출된 테이프의 일례는 캐리어의 코팅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테이프일 수 있다. 적절한 기하학적 특징은 노출된 테이프가 정확히 무엇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90 도 미만의 연부각을 갖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를 갖는 조면화 돌기는, 특히 직물이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출된 꼬인 테이프를 포함하는 경우에, 자체의 "날카로운" 연부로 직물의 중첩된 종사 또는 횡사 테이프의 연부를 포착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 연부의 포착 또는 중첩된 테이프들 사이의 약간의 침투는 조면화된 전면과 노출된 직물 부분 사이의 슬립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테이프는 캐리어의 전면 및/또는 배면에 노출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캐리어가 튜브형 직물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테이프는 튜브의 내면에 노출될 수 있고, 전면은 외면에 있다. 장점은 감소된 슬립 접촉이 예를 들면, 밀가루로 채워진 상호 적층된 직물 백들 사이, 예를 들면, 목재 랩에서 중첩된 직물 부분들 사이, 또는 예를 들면, 튜브 형태로 또는 단일의 감겨진 시트 형태로 이러한 조면화된 직물의 릴을 되감는 공정 또는 처리하는 공정 및 변경하는 공정에서 릴을 변경할 때 중첩되는 릴 단부들 사이(잠재적으로는 심지어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일단부가 타단부의 내부에 압입되는 중첩된 튜브 단부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즉, 릴 변경 시에 하나가 다른 하나를 당길 수 있도록 직물의 각각의 릴의 단부가 서로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이 고정이 언급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에 의해, 또한 자가 접착제 테이프로 릴 단부들의 서로에 대한 고정이 테이프에 대한 표면이 조면화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다소 더 어렵게 제작될 수 있다는 사실에 관하여 도움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방법은 전단 방향으로 스키드방지 재료의 필라멘트와 기계적 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스키드방지 재료에 대해 적절한 근접성 및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 조면화 돌기로 인해 17 g/m2의 평균 표면 질량 및 25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의 필라멘트 두께의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딩된 부직포의 스키드방지 재료와 전단 방향으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이 가능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는 예를 들면, 현재의 적용 시에 위생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사한 사양의 상품 부직포(예를 들면, 친수성이 아니고, 코팅되지 않고, 인쇄되지 않고, 수축되지 않고, 입모처리(napping)되지 않은 것을 포함함)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음을 의미한다. 특정의 부직포의 샘플의 사진은 도면 중에서 발견될 수 있다.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시험편들 사이에 배치된 스키드방지 재료의 시험편을 이용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2 개의 시험편 사이의 정지 마찰이 TAPPI T 815 표준에 따른 50 도 각도(바람직하게는 of 55 도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60 도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65 도 각도)의 경사면식 정지 마찰 시험에서 슬라이딩에 저항하도록 적절히 높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2 개의 시험편은 이들의 코 팅이 서로 마주보아야 한다. 3 개의 시험편은 모두 평활하고 주름지지 않아야 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이 시험에서, 50 도는 1.19의 정지 마찰 계수(C.O.F.)에 대응하고, 한편, 예를 들면, 65 도는 본 기술분야에서 상당히 큰 값인 2.14의 C.O.F.를 의미한다.
정지 마찰은 준비(얼음 시험 준비) 직후에 슬라이딩에 저항하도록 적절히 높으면 더 바람직하고, 얼음 시험 준비는 적어도 캐리어 전면, 및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2 개의 시험편 중 제 1 시험편의 코팅을 -15℃ 내지 -25℃ 사이의 제 3 온도에 유지함과 동시에 얼음 시험 준비는 3 분(바람직하게는 5 분, 더 바람직하게는 8 분)의 준비 시간 동안 0℃ 내지 4℃의 온도 및 100% 상대 습도의 공기에 캐리어 전면과 코팅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얼음 시험 준비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2 개의 시험편 중 제 2 시험편 및 스키드방지 재료의 시험편에 제 3 온도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얼음 시험 준비는 냉동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이들 사이에 스키드방지 재료 조각이 배치됨)의 백의 사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되는 실생활 상황에서, 제 1 백은 냉동 식품으로 채워지고, 따라서, 이것의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는 그 내용물에 의해 냉동되는 저온에 유지되고, 스키드방지 재료 및 다른 채워진 (따라서 저온의) 백이 각각 제 1 백 상에 배치되기 전에 제 1 백은 그 캐리어 전면 및 그 코팅이 대기(통상적으로 0℃ 내지 4℃의 온도이고, 예를 들면, 이것이 해상에서 냉동 어류의 포장인 경우에는 공기 습도는 최소 100%임)에 노출된 상태에서 약 3 분의 대기 시간을 소비한다. 공기로부터의 습기는 백의 전면 및 코팅 상에 지속적으로 빙결되고, 이것이 형성하는 얼음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꺼워진다. 조면화 돌기가 적절히 형성되면, 얼음이 얼음 표면 상에 배치되는 스키드방지 재료의 일반 평면을 제 1 백의 조면화 돌기의 가장 넓은 부분 위에 유지하는 두께 만큼 축적되는데 3 분은 충분하지 않다. 실시형태가 본 명세서에 일반적으로 기술된 본 발명자들의 교시를 따르는 경우, 이는, 예를 들면, 일부의 조면화 돌기의 상부가 얼음의 최상부 수준 위에 도달하도록 충분하며, 그 결과 얼음 축적에 대한 제품의 비교할 수 없는 저항을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얼음 시험 준비는 적어도 캐리어 전면과 제 1 시험편의 코팅에 -15℃ 내지 -25℃의 제 3 온도가 유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정지 마찰 시험이 -15℃를 선택하여 수행되는 경우, 그 특징이 제공된다. 표면의 온도가 낮을수록 얼음이 축적되는 속도가 더 빨라지므로 시험이 -15℃ 내지 -25℃ 사이의 임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15℃로도 수행된다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이하 참조). 예를 들면, 제 1 시험편은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준비되는 두꺼운 얼음 블록의 평평한 상부에 납작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것은 후에 경사면이 된다.) 이것은 얼음 시험 준비의 몇 분 동안에 제 1 시험편의 상부의 조면화된 표면에 제 3 온도를 유지시키며, 이것은, 예를 들면, 적외선 온도계를 사용하여 쉽게 체크될 수 있다. 얼음 블록에 부착된 제 1 시험편은 건조한 저온의 장소에서 준비되어야 하며, 준비 시간이 시작될 때, 습한 공기에만 노출되어야 한다. 제 2 시험편 및 스키드방지 재료 시험편은 낮은 공기 습도에서 제 3 온도의 냉동고 내에 보관될 수 있고, 제 2 시험편은 표분에 따라 슬레드(sled)에 적절히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레드도 동일한 저온을 갖는다. 얼음 시험 준비는 준비 시간이 다한 순간에 종료된다. 그 직후에 사전 냉각된 스키드방지 재료 시험편, 및 제 2 시험편을 포함하는 슬레드 조립체는 제 1 시험편(얼음의 블록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음)의 얼음 표면 상에 각각 배치되어야 하고, 경사면식 정지 마찰 시험은 적절한 경사의 얼음 블록 및 그 위의 전체 조립체를 이용하여 수행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표준 TAPPI T 815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 시험이 언급된 특수한 온도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다른 이유는 그 정도까지 냉각되면 조면화 돌기 및 주로 스키드방지 재료의 둘 모두의 언급된 슬립방지 시스템의 거동이 달라지게 되는 것임에 주목한다. 즉, 포장 재료용으로 사용되는 폴리머, 특히 폴리올레핀은 온도를 18℃로부터 -20℃로 취하면 모듈러스(modulus) 및 인렬 강도가 확실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폴리프로필렌의 경우처럼, 유리 전이 온도가 이 2 개의 지점 사이에 있는 경우에 그 차이는 특히 극적이다. 이 특징의 장점은 제품이 슬립방지 표면 상에 정착되는 얼음 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에 대해 저항성이 더 크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표준 ASTM D 3354-96에 따라 200 g 미만(바람직하게는 150 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0 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80 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0 g 미만)의 평균 블로킹 하중을 스키드방지 재료를구비하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시험시, 시험편은 스키드방지 재료 시험편이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 시험편 위에 있도록 배치되어야 하고, 후자는 그 코팅이 상방을 향해야 한다. 이것의 특징은 리프팅 분리 작업 시에 스키드방지 재료의 필라멘트와의 실질적인 기계적 접합을 방지하기 위해 스키드방지 재료에 대해 적저란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 조면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조면화 돌기를 갖는 제품인 복수의 방법 실시형태의 제품은 스키드방지 재료와의 전단 기계적 인터로킹의 목적에 적합할 수 있고, 이들의 치수는, 예를 들면, 시행 착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면화 돌기는 언더컷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전단 인터로킹에 가장 적합한 기하학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과 조면화 돌기의 언급된 둔각의 제 2 접촉각은 전단 방향으로 기계적 인터로킹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리프팅 작업 시에 바람직하지 않은 기계적 인터로킹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 2 폴리머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를 증가시킴으로써) 그 범위는 감소시켜야 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는 자체의 푸트보다 큰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를 갖는 언급된 조면화 돌기, 숨겨진 표면 부분을 가진 조면화 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을 가진 조면화 돌기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자들은 자체의 언더컷이 본질적으로 통상적으로 박리 방향 및 리프팅 방향으로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와 본질적인 맞물림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강조되지 않는 조면화 돌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것이 (특히) 전형적인 후크 앤드 루프 체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의 슬립방지 시스템을 구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본 발명자들의 현재의 슬립방지 해결책을 이용한 채워진 슬립방지 백 또는 래핑된 품목은 별도의 노력없이도 서로로부터 수직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고, 유사하게, 측면들 중 하나에 스키드방지 재료의 조각이 고정되고, 평평하게 공급되어 팰릿 상에 쌓여있는 미사용된 백은 서로로부터 용이하게 들어올려질 수 있다.
본 방법은 본질적으로 분자 배향이 없는 적어도 일부(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대부분)의 이산된 조면화 돌기를 갖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본질적으로 분자 배향을 갖지 않는 제 1 층을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코팅이 본질적으로 분자 배향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분자 배향이 본질적으로 없는 이산된 조면화 돌기는, 측면들 중 하나에 스키드방지 재료의 조각이 고정된 연화 또는 용융되도록 가열하는 시험에서 그 거동으로부터 인식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가열된 조면화 돌기는 본질적으로 열수축되지 않으며, 조면화 돌기의 연화 및 용융된 물질 및 환경의 표면 에너지에 반응하여 변형되는 것 외에 본질적으로 변형될 가능성은 없다. 필요한 경우, 시험되는 조면화 돌기는 시험 전에, 예를 들면, 예리한 블레이드에 의해 캐리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수축 시험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고온의 실리콘 오일(silicone oil) 내에 이들을 침지시킴으로써 가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은 가열식 에어건(air gun)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코팅이 특히 일방향으로 왜곡되지 않도록 캐리어의 원래의 열수축 특성과 간섭하지 않도록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제품의 열수축 또는 용착 또는 융착 중에 유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산된 조면화 돌기는 열에 노출된 경우에, 예를 들면,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열수축 중에 자체의 원하는 형상을 더 잘 유지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면,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열수축된 포장의 슬립방지 품질에 대해 유익하다.
캐리어 및 조면화 돌기를 포함하는 코팅 사이에 접합을 형성하는 것이 고온의 조면화 돌기의 열 에너지를 사용하는 캐리어로 조면화 돌기를 융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개선된 접합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용화 층(compatibilising layer)을 사용하여 캐리어의 전면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합의 형성이 고온의 조면화 돌기의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캐리어에 조면화 돌기를 용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장점은 이러한 접합이 강력하고, 이러한 조면화된 제품은 따뜻한 창고 내에 보관되는 경우에도 블로킹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하낟. 또한, 고가의 (예를 들면, 점착제 함유하는) 핫 멜트 접착제가 전혀 필요없고, 더 저렴한 상품 폴리머, 경우에 따라서는 재생 폴리머가 조면화 돌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의 푸트 아래에 각각의 함몰부를 전면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조면화 돌기를 압인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방법으로, 예를 들면, 조면화 돌기 아래의 전면을 변형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엠보싱 또는 국부적 열수축에 의해(예를 들면, 고온의 조면화 돌기의 열 에너지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상부 폭 대 푸트 폭의 비가 1 이상인 것, 및/또는 푸트의 면적이 상부의 면적보다 작은 것, 및/또는 연부각이 90 도 이하인 것, 및/또는 조면화 돌기의 측면도가 연부로부터 푸트를 향해 (엄밀하게) 테이퍼를 이루는 것, 및/또는 스키드방지 재료와 전단 방향으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하는 것, 및/또는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가 비교적 낮은 것(이는 제품의 사용 중에 열 충격 후에도 날카로운 상연부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됨)과 같은 다른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와의 조합에서 특히 중요성을 가지며, 즉, 이들 특징은, 조면화 돌기의 푸트가 함몰부 또는 압입부 내에 다소 깊숙히 위치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조면화 돌기의 가장 먼 상연부가 슬립방지 인터로킹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것의 장점은 이러한 특징이 본 제품과 다른 제품을 구별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포함하며, 조면화 돌기는 전면 내로 "네스팅(nesting)"되므로 더 견고한 접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특징은 캐리어가 (이것에 열접합 또는 융착된, 예를 들면, 용착된) 조면화 돌기 아래에서도 비교적 손상되지 않고 강하다는 사실의 표시일 수 있으며, 즉 이러한 함몰부는 조면화 돌기의 열로 인해 조면화 돌기의 부근에서 캐리어가 그 두께의 일부 내에서 국부적으로 용융 및 열수축한 결과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국부적으로 용융 및 열수축되는 캐리어의 전면과 조합되는 용융되지 않고 열수축되지 않은 캐리어의 배면은 전면의 국부 영역이 배면의 국부 영역보다 작아지는 바이메탈 거동을 발생하여 함몰부를 발생시킨다. 용융되지 않은 상태인 캐리어 본체의 배면 부분은 캐리어가 강하게 유지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장점을 위해, 함몰부의 깊이는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전면의 나머지 부분 위에 조면화 돌기의 가장 넓은 부분을 유지하는데 충분하도록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가장 넓은 부분은 주어진 측면도에서 폭이 가장 큰 조면화 돌기의 부분(일반적으로 전면과 평행함)이다. 전면의 나머지 부분은 함몰부가 아니고, 함몰부 주위 전면의 일부를 의미한다. "위"라는 용어는 전면이 수평으로 상방을 향해 유지되는 경우의 위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본 방법은,
- 제공된 제 1 층의 이웃하는 이산 입자들 사이에 각각의 입자간 거리를 제공하는 것,
- 주행 방향을 갖는 회전 무단 벨트에 고온의 박리면을 제공하는 것, 및
- 2 개의 측단부 위치 사이에 주행 방향에 수직으로 무단 벨트를 교번으로 변위시킴으로써 2 개의 측단부 위치 사이에서 벨트의 횡방향 변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 횡방향 변위는 입자간 거리의 평균 이상이다(바람직하게는 평균의 2 배를 초과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평균의 3 배를 초과한다).
벨트의 이러한 교번하는 횡방향 변위는 본 발명의 특징에 놀라운 특유의 장점을 갖는다. 장점은 더 두껍거나 더 얇은 코팅의 가능한 각각의 위치, 또는 심지어 국부적인 코팅의 부족으로 인해 되감긴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 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의 장점은 박리면으로부터 잔류물을 픽업하기 위해 새로이 공급된 이산 입자를 이용하여 초기의 박리면 상에 잔류하는 가능한 모든 입자 잔류물을 통계적으로 타격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일 수 있고, 이는 박리면의 명확한 고온으로부터 시간에 따른 잔류물의 산화 또는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특히 중요성을 갖는다. 즉, (부분적으로) 산화되거나 분해된 입자는 다른 것에 비해 박리면으로부터 제거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본 방법은 적어도 일부의 코팅이 백 또는 랩의 외부를 향하도록 제공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는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 또는 랩의 형성은 캐리어 상에 코팅을 제공하기 전, 중 및/또는 후에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공된 (예를 들면, 필름 또는 직물) 백 또는 랩은 전면을 갖는 제공된 가요성 캐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백은, 예를 들면, 5 내지 90 kg의 내용물을 위한 헤비 듀티 백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면, 1 내지 5 kg의 내용물을 위한 미디엄(medium) 듀티 백일 수 있다. 백은 포장용으로 제공된 사전 제작된 개별 백일 수 있거나, 포장이 실시되는 경우에 폼-필-시일(form-fill-seal) 기계 상에서 제작되는 백일 수 있다. 랩은, 예를 들면, 콜레이션 랩, 수축 랩, 수축 후드, 목재 랩, 신장 랩, 신장 후드,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포장 랩일 수 있다. 백은 용착, 재봉, 또는 부착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형성 및/또는 폐쇄될 수 있다. 랩은 열(수축 및/또는 융착을 포함함) 또는 테이프 또는 스테이플 또는 신장(stretching), 또는 기타를 이용하여 내용물의 주위에 고정될 수 있다. 백 및 랩은 둘 모두 필름 및/또는 직물 및/또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백 및 랩은 둘 모두 열수축가능하거나, 또는 그 내용물 상으로 열수축될 수 있다. 백 및 랩의 둘 모두에서 캐리어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본 방법의 전 및/또는 후에 인쇄될 수 있다.
제 2 양태에서, 제품 발명의 본질은 가요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이며, 캐리어는 다수의 이산된 고체의 조면화 돌기를 갖는 전면을 가지며,
조면화 돌기는 백 또는 랩의 외면을 향하며,
조면화 돌기는 열가소성 제 2 폴리머를 포함하며,
조면화 돌기는 본질적으로 분자 배향을 가지지 않으며,
조면화 돌기는 각각의 푸트를 가지며, 이 푸트는 캐리어에 부착된 조면화 돌기의 일단부이며,
조면화 돌기는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전면에 대해 90 내지 178 도(바람직하게는 91 내지 178 도, 더 바람직하게는 92 내지 178 도, 더 바람직하게는 93 내지 178 도, 더 바람직하게는 94 내지 178 도, 더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78 도, 더 바람직하게는 96 내지 178 도, 더 바람직하게는 97 내지 178 도)의 제 2 접촉각을 가지며,
백 또는 랩은,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상면의 평평형 조면화 돌기)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연부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를 가지는 점에서 새로운 것이다.
이 제 2 양태 부분에서 사용되는 용어, 표현 및 특징 또는 그 유사한 변형이 사용되는 점에 관하여 제 1 양태 부분에서 사용되는 정의 및 해설 뿐만 아니라 목적, 인식 요소 및 언급된 장점은 이하에서 다르게 특정되지 않는 한 추가의 언급없이 제 2 양태 부분에서도 타당하다.
본 명세서는 백 또는 랩이 본 명세서에 특정된 이외의 추가의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가요성 캐리어는 플라스틱(예를 들면, 열가소성 필름 또는 직물) 또는 비플라스틱(예를 들면, 크라프트지) 캐리어 또는 이들의 복합체일 수 있다. 거시적 스케일의 이산된 조면화 돌기의 분포에 관하여, 이산된 조면화 돌기는 본질적으로 캐리어의 전체 전면을 따라 제공될 수 있으나, 또한 캐리어가, 형상을 형성하는, 전면이 거시적 스케일로 조면화 돌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장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면화 돌기는 거시적 스케일로 백 또는 랩의 하나 이상의 측면 패널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스트라이프 또는 스폿을 구성할 수 있다. 조면화 돌기는 중실체이고, 캐리어에 부착되는 푸트를 가지며, 즉 조면화 돌기는 중공체가 아니고, 캐리어 위에 추가의 재료를 포함한다. 이 정의는 이것이 원래의 평면으로부터 캐리어를 국부적으로 가압하여 일면에는 돌기를 그리고 타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함몰부를 형성하도록 제조된(또는 제조된 것처럼) 순수한 엠보싱가공된 돌기 이외의 것임을 의미한다. 발포된 제 2 폴리머가 조면화 돌기를 구성할 수 있으나, 발포되지 않은 제 2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조면화 돌기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적절한 제조 공정의 결과일 수 있고, 이는 캐리어와 함께 일체 성형으로 뿐만 아니라 전면에 대한 바디의 성형, 또는 고정(예를 들면, 부착 또는 융착 또는 용착 등) 시에 추가된 바디를 캐리어의 재료 내에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여기서 고정된 바디는 사전 성형될 수 있고, 및/또는 이들은 이것의 고정 중에 및/또는 후에 성형될 수 있다. 이 제품의 장점은 이러한 이산된 분자적으로 미배향된 조면화 돌기가 자체의 원하는 형상을 더 잘 유지할 수 있고, 사용 시에 외부의 열(예를 들면, 고온의 충전이나 또는 수축 랩에 의한 피복으로부터의 열)을 받을 때 돌기 주위의 캐리어를 왜곡시키지 않을 수 있고, 제 제 2 접촉각은 조면화 돌기에 대향 표면의 유사한 조면화 돌기와 또는 섬유질 스키드방지 재료와, 전단 방향으로, 슬립방지 기계적 인터로킹을 위해 더욱 적합하게 하는 언더컷을 부여하는데 도움이 되고, 평평한 상부 및 연부도 또한 제 1 양태 부분에 기술되어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캐리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질적으로 분자 배향을 가지지 않는 조면화 돌기는, 열가소성 캐리어를 갖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가 열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히트-블로잉, 융착, 용착 등을 이용하여 백 또는 랩 자체를 밀폐, 형성 또는 수축시키는 것과 같이 다른 이유로 외부의 열을 받을 수 있으므로, 훨씬 더 큰 중요성을 갖는다. 또한, 캐리어와 조면화 돌기의 공통의 리사이클성이 생긴다. 열수축성 캐리어는 캐리어의 열수축 중에 조면화 돌기의 유익한 거동에 대해 구체적인 중요성을 부여한다. 캐리어의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는 백 또는 랩의 형성 및 밀폐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해 용착가능 및 융착가능한 것이 더 바람직하다.
캐리어는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열수축성 층은 5% 이상(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열수축성을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은 열수축성 층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언급된 열수축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폴리머 및 제 2 폴리머는 재활용에 적합한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은 또한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 자체를 조면화 돌기와 융착 또는 용착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유리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3 양태에서, 방법 발명의 본질은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백 또는 랩인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방법에 따라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는 것,
-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제공하는 것, 및
-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을 형성하는 것,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 제 3 양태 부분에서 사용되는 용어, 표현 및 특징 또는 그 유사한 변형이 사용되는 점에 관하여 제 1 양태 부분 및/또는 제 2 양태 부분에서 사용되는 정의 및 해설 뿐만 아니라 목적, 인식 요소 및 언급된 장점은 이하에서 다르게 특정되지 않는 한 추가의 언급없이 제 3 양태 부분에서도 타당하다.
본 명세서는 백 또는 랩에 본 명세서 이외의 추가의 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성형용으로 사용되는 가요성 캐리어는 플라스틱(예를 들면, 열가소성 필름 또는 직물) 또는 비플라스틱(예를 들면, 크라프트지) 캐리어 또는 이들의 복합체일 수 있다. 거시적 스케일의 이산된 조면화 돌기의 분산에 관하여, 조면화 돌기는 본질적으로 캐리어의 전체 전면을 따라 분산될 수 있으나, 또한 캐리어에는, 형상을 형성하는, 전면이 거시적 스케일로 조면화 돌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장소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면화 돌기는 거시적 스케일로 백 또는 랩의 하나 이상의 측면 패널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스트라이프 또는 스폿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공된 조면화 돌기는 중실체이고, 캐리어에 부착되는 푸트를 구비하며, 이는 언급된 조면화 돌기아 중공체가 아니고, 캐리어 위에 추가 재료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이 정의는 이것이 원래의 평면으로부터 캐리어를 국부적으로 가압하여 일면에는 돌기를 그리고 타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함몰부를 형성하도록 제조된 순수한 엠보싱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 이외의 것임을 의미한다. 발포형 제 2 폴리머는 (비록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조면화 돌기를 구성하는 것이 허용된다. 조면화 돌기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적절한 제조 공정으로 제공되거나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조면화 돌기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적절한 제조 공정에 의해 제공되거나 형성될 수 있고, 이는 그 형성 시에 또는 전면에의 사전형성된 바디의 고정(예를 들면, 부착 또는 융착 또는 용착 등) 시에 추가된 바디를 캐리어의 재료 내에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는 즉시 형성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먼저 (예를 들면, 전면에 대략 구형의 분말 과립을 고정시킴으로써) 상면이 평평하지 않는 조면화 돌기가가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이어서 이것을 (예를 들면, 그 상부 영역을 평펴안 고온의 박리면과 접촉시킴과 동시에 그 푸트 영역을 용융되지 않도록 유지하는데 충분한 저온에 유지함으로써)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로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에 조면화 돌기를 제공하는 것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로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을 형성하기 전 및/또는 중 및/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방법의 장점은 본 방법이 특히 제 2 양태 부분에 기술된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의 제조에 적합한 것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4 양태에서, 방법 발명의 본질은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을 사용하는 포장 방법이고, 이 방법 내용물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으로 내용을 포장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장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의 새로운 점은,
임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제 4 양태 부분에서 사용되는 용어, 표현 및 특징 또는 그 유사한 변형이 사용되는 점에 관하여 제 1 양태 부분 및/또는 제 2 양태 부분 및/또는 제 3 양태 부분에서 사용되는 정의 및 해설 뿐만 아니라 목적, 인식 요소 및 언급된 장점은 이하에서 다르게 특정되지 않는 한 추가의 언급없이 제 4 양태 부분에서도 타당하다.
본 방법에 의해 직접 제조된 제품, 즉 적어도 하나의 포장은, 예를 들면,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으로 포장된 하나 이상의 포장, 또는 적절한 스택 커버, 예를 들면, 스트레치 후드(stretch hood) 또는 스트레치 랩 또는 수축 후드 또는 수축 랩을 임의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팰릿 상에 및/또는 플로어 상에 및/또는 차량 내에 및/또는 선박 내에 쌓여 있는, 예를 들면, 이러한 포장의 하나 이상의 스택일 수 있다. 백 또는 랩은 포장 전에 (예를 들면, 개별-백-포장, 폼-필-시일 백 포장), 또는 중에 및/또는 후에 (예를 들면, 목재 래핑, 스트레치-후딩, 스트레치-래핑, 수축-후딩)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내용물은 제공된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으로 포장되기에 적절한, 예를 들면, 목적에 부합하는 적절한 크기, 형상, 양, 중량 등을 갖는 임의의 내용물을 의미한다. 슬립방지 포장 백을 필요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산물은, 예를 들면, 냉동 식품, 시멘트 및 밀가루 같은 미세 먼지 제품, 석영 모래 및 블래스트 연마제와 같은 용이하게 유동하는 경질의 과립, 펄라이트 및 플라이 애시(fly ash)와 같은 경량 분말, 쌀, 씨앗, 식품 및 사료 원료, 위험물 등과 같은 산물을 포함한다. 슬립방지 포장 랩을 필요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산물은 목재, 음료 캔 및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판지 상자 대신 가요성 콜레이팅 랩(collating wrap)을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분야(예를 들면, 위생 제품 등)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사용되는 포장 재료의 장점으로부터 기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에서, 내용물은 a) 250 마이크로미터 미만(바람직하게는 200 마이크로미터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50 마이크로미터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0 마이크로미터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75 마이크로미터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크기의 입자를 포함하는 분말 제품, 및 b) 냉동 식품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다. 분말 형태의 제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언급된 크기 미만의 입자로 이루어지고, 이것은 더 적합하게는 다른 입자 또는 다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특징의 중요성은 이러한 제품의 포장 시에 미세 먼지 내용물이 공기 중에 진입하여, 포장 위에 정착하고, 조면화 돌기 주위의 전면에 채워질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하얀 서리가 냉동 식품 포장 상에 정착하는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백 또는 랩을 포함하는 제 2 양태의 백 또는 랩 제품 실시형태 중 임의의 것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 적어도 일부의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에서, 푸트의 면적은 본질적으로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의 면적 이하이고, 특히 푸트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의 면적보다 작고, 및/또는
- 적어도 일부의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는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본질적으로 90 도 이하인 연부각을 가지며, 특히 연부각은 90 도 미만이고, 및/또는
- 적어도 일부의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는 상면 연부로부터 푸트까지 테이퍼를 이루고, 특히 각각의 측면도는 상면 연부로부터 푸트까지 테이퍼를 이루고, 및/또는 측면도는 상면 연부로부터 푸트까지 엄밀하게 테이퍼를 이루고, 및/또는
- 적어도 일부의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는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을 가지며, 언더컷 바로 위에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고, 조면화 돌기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전면 사이에 1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간격을 형성하도록 치수가 결정되고, 및/또는
-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는, 전단 방향에서 스키드방지 재료의 필라멘트와 기계적 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스키드방지 재료에 대해 적절한 근접성 및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 조면화 돌기로 인해, 17 g/m2의 평균 표면 질량 및 25 내지 3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필라멘트 두께의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딩된 부직포의 스키드방지 재료와 전단 방향으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이 가능하고, 특히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시험편들 사이에 배치된 스키드방지 재료의 시험편을 이용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2 개의 시험편 사이의 정지 마찰은 TAPPI T 815 표준에 따라 50 도 각도의 경사면식 정지 마찰 시험에서 슬라이딩에 저항하도록 적절히 높고, 특히 정지 마찰은 준비(얼음 시험 준비) 직후에 슬라이딩에 저항하도록 적절히 높고, 얼음 시험 준비는 적어도 캐리어 전면, 및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2 개의 시험편 중 제 1 시험편의 조면화 돌기를 -15℃ 내지 -25℃ 사이의 제 3 온도에 유지함과 동시에 캐리어 전면과 조면화 돌기를 3 분의 준비 시간 동안 0℃ 내지 4℃ 사이의 온도 및 100%의 상대 습도의 공기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얼음 시험 준비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2 개의 시험편 중 제 2 시험편 및 스키드방지 재료의 시험편에 제 3 온도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및/또는 특히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는 스키드방지 재료와 함께 표준 ASTM D 3354-96에 따라 200 g 미만의 평균 블로킹 하중을 갖고, 및/또는 특히 스키드방지 재료, 또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와 전단 방향으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이 가능한 다른 섬유질 맞물림 요소는 백 또는 랩의 외부에 고정된다.
이 조합의 장점은 얼음 또는 먼지 상황 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한 언급된 백 또는 랩 제품의 특징으로부터 유래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에서, 내용물은 냉동 식품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에서, 포장은 선상에서 수행된다.
선박(예를 들면, 바다의 어선) 내의 보관실이 파도에 의해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양호한 슬립방지 포장에 대한 강한 필요성을 유발할 수 있고, 냉동 식품 내용물은 선상에서의 통상적으로 높은 공기 상대 습도와의 조합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백에 서리가 침착하는 요인을 포함하므로 이러한 조합은 본 발명에 특별한 중요성을 부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 내용물로서 플레이트 냉동된 해산물의 블록을 제공하고,
- 제 2 양태의 제품 실시형태에 따른 적어도 2 개의 슬립방지 포장 백(제 1 및 제 2 슬립방지 포장 백)을 제공 - 스키드방지 재료, 또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가 전단 방향으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될 수 있는 다른 섬유질 맞물림 요소가 백 또는 랩의 외부에 고정됨 - 하고,
- 백 내에 블록을 채워서, 제 1 백 및 그 내부에 포장된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는 제 1 포장 및 제 2 백 및 그 내부에 포장된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는 제 2 포장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 제 1 및 제 2 포장은 스택 틸팅 시험 중에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되지 않고 스택 틸팅 시험을 통과하기에 적합하고,
- 스택 틸팅 시험은,
o 수평 스택 베이스(stacking base)를 제공하고,
o 제 1 포장 및 제 2 포장으로부터 스택을 형성 하고 - 이 스택을 형성하는 것은 수평 스택 베이스 상에 제 1 포장을 배치하고, 서로 위에 자체의 질량 중심을 위치시키도록, 그리고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와 전단 방향으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이 가능한 스키드방지 재료 또는 다른 섬유질 맞물림 요소가 제 1 백의 외부에 고정되어 제 2 백의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와 전잔 방향으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을 제공하도록 제 1 포장 위에 제 2 포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함 -,
o 수평과 35 도의 각도(바람직하게는 45 도의 각도)를 이루는 경사 배향으로 스택 베이스를 기울이고,
o 그 직후에 스택 베이스를 수평으로 되돌린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해산물은, 예를 들면, 바다에서 잡은 물고기 및 기타 해산물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냉동은 가능한 신속하게 어선의 선상에서 어획물을 냉동시키는데 유용한 가장 신속한 냉동 방법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해산물의 플레이트 냉동된 블록은 특유의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평면의 평행한 냉동 플레이트에 의해 그 평평한 상부 및 저부의 표면이 형성되고,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해산물은 냉동 중에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전형적인 약 10 cm의 높이의 이러한 평평한 형상으로 냉동된 블록은 본질적으로 수평 배향의 블록으로 서로의 위에 쉽게 적층될 수 있다. 패킹 중에 각각의 백 내에 하나 이상의 블록이 배치될 수 있고, 백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재봉 및/또는 테이핑 및/또는 융착에 의해 적절히 폐쇄된다. 제공된 백은 스택 틸팅 시험 중에 서로 슬라이딩함이 없이 스택 틸팅 시험에 합격하는데 적합한 포장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즉 충분히 슬립방지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슬라이딩은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타격(hit)까지 슬라이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를 들면, 제 2 포장이 제 1 포장 상에서 슬라이딩을 개시한 후에 이것이 포장들 사이에 작용하는 순전히 전단력만으로 최종적으로 멈추는 경우, 포장은 각각의 위에서 슬라이딩함이 없이 스택 틸팅 시험을 통과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간주한다.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스택 틸팅 시험은 사실상 대향하는 슬립방지 표면이 미끄럼에 대항하는 적절한 맞물림 상태로 2 개의 포장을 서로 적층시키고, 이 조립체를 선박 내의 보관실 상에 작용하는 바다의 파도 효과를 시뮬레이션하는 일시적인 35 도 경사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스택 틸팅 시험에서, 제 2 포장은 제 1 포장 위에 그 질량 중심이 서로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이는 이들 각각의 질량 중심이 수직선을 형성함을 의미한다. 스택 틸팅 시험의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자들은 표준 TAPPI T 815를 참조한다. 적절한 선택이 당업자에 의해, 예를 들면, 시행 착오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택된 포장이 스택 틸팅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경우, 우리는 백 내의 충전 중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 2 양태 부분에서 교시된 바와 같이 백의 슬립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더 큰 조각의 스키드방지 재료 또는 다른 섬유질 맞물림 요소가 적용될 수 있고 및/또는 백의 더 큰 표면 부분이 거시적 스케일로 조면화 돌기를 구비할 수 있고, 및/또는 조면화 돌기의 근접성 및/또는 기학학적 형상이 전단 방향으로 더 강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을 위해 변경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에서, 제 1 포장 및 제 2 포장은 스택 틸팅 시험들 사이에서 제 2 포장이 제 1 포장으로부터 수평 속도로 당겨지는 2 회의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스택 틸팅 시험을 스택 틸팅 시험 중 임의의 하나의 시험 중에 서로 슬라이딩하지 않고 통과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특징은 이 포장은 제 2 포장이 제 1 포장으로부터 당겨져서 분리될 때까지 제 1 포장의 평평한 상부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평한 인발력으로 인출되는 경우에도 이들의 상호 슬립방지 성능을 과도하게 상실하지 않는 것으로 표현된다. 인발을 위해서는 상측의 포장을 기울여 그 연부로 서 있도록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것을 슬라이딩시키기가 너무 어렵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포장에 적합한 백을 제조하기 위해, 제 2 포장이 제 1 포장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수의 조면화 돌기를 제공하기 위해, 당업자는 제 2 백의 표면에 충분한 수의 조면화 돌기 뿐만 아니라 파단 또는 변형에 대항하는 충분한 강도의 조면화 돌기를 제공해야 한다. 당업자는 인발 분리 중에 조면화 돌기를 파단하는 것보다 스키드방지 재료 또는 다른 섬유질 맞물림 요소의 필라멘트를 파단하는 것이 더 좋다는 원칙를 따라야 한다. 즉, 스키드방지 재료 또는 다른 섬유질 맞물림 요소는, 실제로, 필라멘트와 기계적 접합을 형성할 수 있는 제 2 백의 조면화 돌기의 수보다 훨씬 더 많은 자유 필라멘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조면화 돌기- 필라멘트"의 기본적인 맞물림의 수는 사실상 가능한 조면화 돌기의 수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일부 또는 많은 필라멘트가 인발 제거 중에 파단되는 경우에도, 충분히 많은 조면화 돌기가 유용하게 남아 있는 한 큰 문제는 없다.
이러한 포장을 제공하는 것의 장점은 이러한 포장이 어선 상에서 발생하는 요구에 더 잘 부합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즉, 블록 냉동 포장의 스택은 전형적으로 어업의 특수한 물류 때문에 1 회 이상 수작업으로 재적재(restacking)되며, 포장이 (예를 들면, 개별적으로 급속 냉동된 완두콩과 달리) 경질이고 블록 형상이므로, 굴러서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없고, 서로로부터 수직으로 들어올리거나, 또는 수평으로 인발 분리시켜야 한다. 이것이 전술한 인발 분리 작업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내용물의 주위에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수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히트 블로잉 건(heat blowing gun)을 이용하여 및/또는 가열 터널 내에서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이 언급한 바와 같은 백 또는 랩은, 예를 들면, 필름 또는 직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수축되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고, 또한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의 열수축 능력에 기초하여 가능한 것보다 적은 정도로 열수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하나 이상의 포장을 적층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층하는 것은 바닥 또는 지면 상에 및/또는 차량 및/또는 선박 내에 및/또는 하나 이상의 팰릿 또는 유사한 보관 및 이송 수단 상에 포장을 쌓아올리는 것을 포함한다. 적층하는 것은, 예를 들면, 다른 스택(들)의 상측에 하나의 스택을 올려놓는 것과 같이 복수의 층의 스택으로 스택을 적층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스택 내에서 서로 접촉하는 적어도 일부의 각각의 포장들 사이에서 미끄럼이 감소된 상호 접촉을 제공하도록 포장에 제공된 슬립방지 특징을 적절히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적층하는 것은 적절한 스택 커버, 예를 들면, 신장 후드 또는 신장 랩 또는 수축 후드 또는 수축 랩을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분말 어플리케이터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분말 어플리케이터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4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제공된 제 1 층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박리면 벨트 상의 제공된 제 1 층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일부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이다.
도 12a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포장 백의 사시도이다.
도 12c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포장 백의 사시도이다.
도 12d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포장 랩의 사시도이다.
도 12e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포장 백의 사시도이다.
도 12f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포장 백의 사시도이다.
도 12g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포장 랩의 사시도이다.
도 13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공된 제 1 층의 측면도이다.
도 18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배경 기술에 따른 자동 백 배치 장치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자동 백 배치 장치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자동 백 배치 장치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자동 백 배치 장치의 일부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3은 자동 백 배치 장치의 일부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포장 백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포장의 적층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26는 포장의 적층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27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사진이다.
도 28은 스키드방지 재료의 사진이다.
도 29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사진이다.
도 30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사진이다.
도 31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사진이다.
도 32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사진이다.
실시례
실시례 1 : 장치
도면, 특히 도 1 내지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도 1의 장치는 외면이 박리면(45)을 구성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코팅된 유리 직물 벨트(8)를 포함한다. 벨트(8)의 대향하는 내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패널(33)이 있다. 벨트(8) 위에는 고온의 박리면(45) 상으로 폴리머 분말(46)을 도포하기에 적합한 분말 어플리케이터(47)가 있다. 이 분말 어플리케이터(47), 예를 들면, 스캐터 코터(scatter coater) 유닛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말 어플리케이터(47)는 벨트(8)(미도시) 상에 분말 과립(49)의 균일한 분배를 위해 벨트(8)의 주행 방향(49)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수평 체(siev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8)는 롤의 주위에서 구동되며, 롤 중 하나는 다른 닙롤(nip roll; 37)과 함께 닙(36)을 형성하는 닙롤(37)이다. 2 개의 닙롤(37)은 이들 사이의 닙(36) 내에서 박리면(45) 및 캐리어(13)를 정밀하게 압축시키는 것에 적합하다. 캐리어(13)은 하나의 릴로부터 풀려져서 다른 릴 상에 되감겨지고, 닙(36)과 냉각 유닛(22)을 통과한다. (대안적으로, 인라인 작업은 도시되지 않은 이 장치의 전 및/또는 후의 다른 처리 기계를 이용하여 가능하다.) 냉각 유닛(22)은 캐리어(13)를 그 전면(14)에 접촉함이 없이 지지하는 한 세트의 롤이다. 벨트(8)는 벨트(8)의 주행 방향(67)의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캐리어(13)는 캐리어(13)의 주행 방향(67)으로 동일한 속도로 당겨진다. 분말 어플리케이터(47)는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제 2 폴리머의 분말 과립(49)을 도포한다. 분말 과립(49)이 닙(36)에 도달하는 시간까지 이들은 고온에 으로부터 점착성인 이산 입자(39)로 형성된다. 닙(36) 내에서, 입자(39)는 캐리어 전면(14)으로 이송되고, 전면(14)에 접합되고, 되감겨지기 전에 냉각 유닛(22)에서 냉각되어 고화된다. 고온의 박리면(45)과 분말 어플리케이터(47) 사이의 짧은 거리로 인해, 분말 어플리케이터(47)는 이 분말 어플리케이터(47) 아래에 열 차폐부(32)를 구비할 수 있다. 열 차폐부(32)는 냉각 유체에 연결된 2 개의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는 황동 튜브의 열(row)일 수 있다. 박리면(45)의 방향으로부터 불어오는 고온의 공기로부터 분말 어플리케이터(47)를 보호하는 공기 차단벽(1)이 있다. 도 2는 분말 어플리케이터(47)의 가능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열 차폐부(32)(유체 냉각 플레이트)는 분말 컨베이어(48)와 박리면(45)을 분리시킨다. 분말(46)은 분말 컨베이어(48) 상에서 하방으로 내려간다. 분말 컨베이어(48)는,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 또는 정지된 표면 또는 진동되는 표면일 수 있다. 도 3은 분말 어플리케이터(47)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것은 벽(18)에 하나 이상의 개구(19)를 갖는 용기(17)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개구(19)는 연속 간극, 또는 하나 이상의 형상의, 예를 들면, 원형의 오리피스일 수 있다. 분말(46)은 용기(17) 내에 수용되고, 개구(19)를 통해 박리면(45) 상에 공급된다. 개구(19)는 벽(18)의 두께(21)보다 바람직하게 상당히 큰 개구 크기(20)를 갖는다. 임의선택적으로, 용기(17)는, 예를 들면, 도시된 진동 방향(72)으로 진동될 수 있다. 용기(17) 아래에는 열 차폐부(32)가 있을 수 있다. 도 4는 장치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벨트(8)는 수직 배향으로 배치되고, 닙(36)은 더 낮은 단부에 위치된다. 분말 어플리케이터(47)는 수직 상방의 벨트(8) 주행 방향(67)으로 주행하는 박리면(45) 상에 분말(46)을 가하고, 사실상 점착시킨다. 분말 어플리케이터(47)는, 예를 들면, 스프레이 건, 또는 (예를 들면, 벨트, 또는 진동식) 컨베이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박리면(45)에 접촉할 수 있다(이 경우, 내부 냉각이 필요함)(미도시). 분말 어플리케이터(47)는, 단속적으로 제공되는 개별 백(3)의 형태로, 지지 컨베이어(77)에 의해 닙(36)에 제공되는 캐리어(13)에 대응하는 단속적 스폿(spot)으로 분말(46)을 도포한다. (대안적으로, 분말 도포는 개별 백(3)이 도시되지 않은 연속 표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경우에는 연속적일 수 있다.) 벨트(8) 및 지지 컨베이어(77)은 동기적으로 주행하며, 이는 연속적 단속적 주행일 수 있다. 도 5의 장치는 벨트(8)가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점에서 도 4의 것과 다르다.
실시예 2: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를 형성하는 방법 및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필름 캐리어(13))
도면, 특히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한다. 이 실시례는 실제 제조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이 실시례에서 설명된 것과 매우 유사한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의 사진이 도 27에 있다. 본 발명자들이 사용한 스키드방지 재료(73)의 20x20 mm 조각의 사진이 도 28에 있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를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약 100 마이크로미터의 벽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 튜브인 가요성 캐리어(13)를 제공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백(3) 당 25 kg 포장 중량을 만들기 위해 개별적으로 급속 냉동되는 채소의 FFS(form-fill-seal) 포장용으로 적합하다. 캐리어(13)의 평균 표면 질량은 약 186 g/m2이다. (언급된 튜브 대신 단일 필름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캐리어(13)의 평균 표면 질량은 약 93 g/m2 일 것이다.) 그 전면(14)은 튜브의 레이플랫(layflat) 상태에서 그 외측 주표면 중 하나이다. 전면(14)의 표면 에너지는 약 33 mJ/m2(표면 전처리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이다. 캐리어(13)는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폴리에틸렌 블렌드로 완전히 이루어진다. 제 1 폴리머의 용융 온도는 약 122℃이고, 제 1 폴리머의 연화 온도는 약 102℃이다. 본 발명자들은 20℃의 온도의 캐리어(13)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적외선 온도계로 측정한 250℃의 제 1 온도의 고온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박리면(45)을 제공한다. 박리면(45)의 표면 에너지는 약 18.5 mJ/m2이다. 박리면(45)은, 거시적 스케일로, 본질적으로 평평하며, 미시적 스케일로, 외면이 본 발명자들의 박리면(45)을 구성하는 PTFE 코팅된 유리 직물 벨트(8)의 유리 직물 코어의 패턴에 따라 매우 약간 텍스처링(texturing)된다. 패턴은 제공된 제 1 층(29)의 이산 입자(39)의 분포와 무관하다. 본 발명자들은 250℃의 제 1 온도의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ISO 1133-1에 따라 2.16 kg의 부하 하에서 190℃에서 측정된 4.0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의 선형 중밀도 폴리에틸렌(제 2 폴리머)의 분말(46)(펠릿으로부터 분쇄된 것)을 공중으로부터 분산시킴으로써 이산 입자(39)의 제 1 층(29)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무작위 분포로 박리면(45) 상에 놓이는 이산 입자(39)의 제 1 층(29)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박리면(45) 상에 제 2 폴리머의 공기 액체 및/또는 반액체 부분을 분사하기 위해 제 2 폴리머의 분말(46) 또는 로드(rod) 또는 와이어로부터 작동하는 화염 분사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자체의 연화 온도 미만의 제 2 폴리머의 분말(46) 또는 용액을 벨트 컨베이어 또는 진동식 컨베이어와 같은 유체 냉각식 컨베이어의 표면 상으로 이송할 수 있고, 이 컨베이어의 냉각된 배출 단부는 고온의 박리면(45)과 접촉하여 공중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보다 저온의 제 2 폴리머의 부분을 유발한다.) 제 2 폴리머의 표면 에너지는 약 33 mJ/m2이다. 분말의 크기는 0-300 마이크로미터이다. 분산된 분말(46) 및 제공된 이산 입자(39)의 평균 표면 질량은 약 8 g/m2이다. 본 발명자들은 제공된 제 1 층(29)의 이산 입자(39)를 약 9.29 초 동안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유지하며, 이는 이산 입자(39)의 사실상 전부를 박리면(45)에 대해 약 59 내지 64 도로 평가되는 제 1 접촉각(28)을 갖는 적어도 반액체 상태로 제공하기에 충분히 길다. 펠릿으로부터 분쇄된 분말(46)로부터 유래됨으로써, 그리고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놓이는 언급된 시간을 소비함으로써, 모든 제공된 이산 입자(39) 및 이 입자(39)로부터 형성된 모든 조면화 돌기(50)는 사실상 완전히 분자적으로 배향되지 않는다. 이산 입자(39)의 크기는 약 80-1000 마이크로미터이고, 후자는 복수의 병합된 분말 과립(49)을 포함하는 입자(39)의 크기이다. 평면도에서, 전형적인 입자(39)의 크기는 약 300 마이크로미터이다. 이산 입자(39)의 근접성에 관하여, 이웃하는 이산 입자(39)들의 중심 사이의 평균 거리(42)는 약 2000 마이크로미터이다.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놓인 이산 입자(39)는 고온의 박리면(45)으로부터 대응하는 말단부(43)까지 돌출한다. 제공된 제 1 층(29)의 이산 입자(39)의 외면은 박리면(45)과 접촉하는 제 1 부분(30) 및 접촉하지 않는 제 2 부분(69)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부분(69)의 면적은 각각의 제공된 이산 입자(39)에서 제 1 부분(30)의 면적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사실상 모든 이산 입자(39)에서, 입자 높이(40)는 입자(39)의 최소 평면도 범위(42)의 0.5 배 이상이다. 제공된 제 1 층(29)에서, 모든 이산 입자(39)는 그 전체가 약 250℃의 온도(제 2 온도)이고, 반면에 제 2 폴리머의 비카트(Vicat) 연화 온도(A/50 N)는 114℃이고, 이는 제 1 층(29)에서 말단부(43)를 포함하는 이산 입자(39)의 전체의 점착성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2개의 닙롤(37)을 제공하고, 캐리어 전면(14)과 입자(39)의 점착성 말단부(43) 사이를 접촉시키기 위해 캐리어(13)와 고온의 박리면(45)을 2 개의 닙롤(37) 사이의 닙(36) 내에서 서로를 향해 가압하여, 캐리어(13) 상에 0.784 N/라인 cm의 닙(36) 압력을 가한다. 접촉 시, 본 발명자들은 2904 Pa의 평균 압축 압력을 가한다. 본 발명자들은 캐리어(13)(즉, 필름 튜브)와 박리면(45)(즉, PTFE 코팅된 유리 섬유 벨트(8))을 닙롤(37) 사이에서 균일한 라인 속도로 주행을 지속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전면(14)을 향해 박리면(45)을 가압하는 닙롤(37)에 내열성 실리콘 고무 표면을 제공하고, 본 발명자들은 박리면(45)을 향해 캐리어(13)를 가압하는 닙롤(37)의 표면을 발포형 엘라스토머로 형성하고, 이것의 경도는 (전술한 닙(36)의 압력에서) 주행 방향(67)에서 측정된 27 mm의 접촉 길이(81)의 접촉이 제 1 층(29)을 개재하여 전면(14)과 박리면(45) 사이에 제공되도록 선택된다. 도 8을 참조할 것. 닙롤(37)의 직경은 일반적 레이아웃, 예를 들면, 장치의 벨트(8)의 길이 및 폭 등에 의존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직경은, 예를 들면, 60 mm 내지 60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무단 벨트가 이 무단 벨트의 2 개의 측단부 위치(9) 사이에서 주행 방향(67)에 수직으로 교대로 변위되도록 유지하여, 2 개의 단부 위치(9) 사이에서 벨트(8)의 횡방향 변위(10)를 제공하며, 이 횡방향 변위(10)는 입자간 거리(35)의 평균의 10 배를 초과하는 약 30 mm이다. 본 발명자들은 약 0.0235 초의 접촉 시간을 제공하는 라인 속도를 선택하며, 이 접촉 시간 중에 본 발명자들은 전면(14)이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놓인 점착성 이산 입자(39)의 적어도 대부분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한다. 캐리어(13)의 평균 표면 질량으로 나눈 접촉 시간은 약 0.0001263 s·m2/g이다. 언급된 공정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다음의 결과에 도달한다. 캐리어(13)는 박리면(45)의 열에 의해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비교를 위해, 동일한 구성에서 4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 단일층 시트 필름 캐리어(13)는 필름 제품의 판매를 배제하는 범위까지 휘어지고, 주름지고, 교차 수축 및 스트레치를 겪었다. 즉 이 얇은 필름은 박리면(45)의 열에 의해 손상되었다.) 기껏해야 소량의 이산 입자(39)는 분산된 최소의 분말 과립(49)에 의해 구성된 접촉에서 벗어나 있다(이것들은 아마도 벨트(8)의 다음번 회전에서 새로운 분말 과립(49)이 벨트(8) 상에 낙하하는 즉시 픽업(pickup)될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자들은 제 1 층(29)의 접촉성 이산 입자(39)를 전면(14)에 점착시키고, 다음에 캐리어(13), 및 이것과 함께 그 전면(14)에 점착된 점착성 입자(39)의 사실상 전부를 고온의 박리면(45)으로부터 제거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고온 상태의 코팅(16)을 가진 캐리어(13)를 제공한다. 제거 후, 고온 코팅(16)의 자유 표면은 이것이 냉각될 때까지 (바람직하게) 어떤 접촉으로부터도 자유롭게 남아 있을 수 있으나, 코팅(16)이 여전히 고온 및 점착성인 경우, 예를 들면, 조면화 돌기(50)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62) 또는 구조화된 상부를 제공하기 위한 코팅(16)의 추가의 성형을 위해 어떤 표면(바람직하게는 냉각된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언급된 제공된 표면 에너지로 인해, 전면(14)과 접촉된 점착성 입자(39) 사이의 접착력은 박리면(45)과 접촉된 점착성 입자(39) 사이의 접착력보다 크다. 입자(39)에서 제 2 폴리머의 충분히 낮은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즉, 충분히 큰 멜트 점도)로 인해, 접촉된 점착성 입자(39)의 응집력은 박리면(45)과 접촉된 점착성 입자(39) 사이의 접착력보다 크고, 그 결과 박리면(45)으로부터 접촉된 점착성 입자(39)이 사실상 완전히 제거되고, 접촉된 점착성 입자(39)의 1% 미만이 1 회의 제거 작업 시에 박리면(45) 상에 잔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코팅(16)은 전면(14)과 코팅(16) 사이의 분자간 확산을 제외하고는 캐리어(13) 내로 침투 또는 진입하지 않는다. 고온 코팅(16)의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본 발명자들은 캐리어(13)와 코팅(16) 사이의 접합(12)을 형성한다.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캐리어(13) 및 이것에 접합된 코팅(16)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를 제공한다. 접촉 시간은 박리면(45)의 열에 의해 캐리어(13)가 임의의 범위까지 왜곡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충분히 짧다. 캐리어의 전면(14)에 접착된 고온 입자(39)에 인접한 부분을 제외한 캐리어(13)의 모든 부분은 접촉을 유발하는 것과 접합(12)을 형성하는 것 사이에서 용융 또는 연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가 서로 융착될 수 있는 융착 온도보다 높은 제 1 온도 및 제 2 온도를 모두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자들은 조면화 돌기(50)에 인접하는 캐리어 부분(15)을 가열하기 위해 이산된 조면화 돌기(50)의 고온 코팅(16)의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가열된 캐리어 부분(15) 내의 물질, 즉 제 1 폴리머를 충분히 용융시킨 후에 캐리어(13)와 조면화 돌기(50)를 고체 상태가 되도록 자연 냉각시켜 최종 접합(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조면화 돌기(50)를 캐리어(13)와 함께 융착, 특히 용착한다. 이러한 접합(12)은 조면화 돌기(50)로부터의 파단에 대해 확실하게 강한 것으로 입증된다. 아마도 캐리어 전면(14)의 국부적인 그리고 표면적인 약간의 열수축으로 인해, 전면(14)은 조면화 돌기(50) 중 일부의 푸트(55) 아래에, 특히 더 큰 푸트 아래에 각각의 함몰부(23)를 구비하는 것으로 보이며, 여기서 함몰부(23)의 깊이는 조면화 돌기(50)의 각각의 측면도에서 전면(14)의 나머지 부분 위에 조면화 돌기(50)의 가장 넓은 부분(66)을 유지하도록 충분히 작다. 캐리어(13)는 그 전체가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제 2 층을 구성하며, 이것은 122℃의 온도보다 고온에서 확실하게 수축되므로 제 1 온도는 제 2 층의 수축 온도보다 훨씬 높다. 캐리어(13)는 제 1 온도로 완전히 가열되는 경우에 그 안정성을 완전히 상실할 정도로 충분히 열 민감성이다. 접촉 시간은 캐리어(13)가 그 원래 치수로부터 전혀 수축하지 않도록 충분히 짧다. 또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에서, 코팅(16)의 평균 표면 질량은 캐리어(13)의 평균 표면 질량의 약 약 0.043 배에 불과한 약 8 g/m2이며, 이것은 또한 캐리어(13)를 과도한 열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자들은 임의의 강제 냉각(예를 들면, 냉각롤 냉각)을 행하지 않고 캐리어(13)의 되감기에 충분한 캐리어(13)의 사실상 무상의 파괴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고온 코팅(16)의 열 에너지를 적절히 낮게 제공한다. 접촉 시간 동안 이웃하는 점착성 입자(39)들 사이의 전면(14)의 주요 부분은 박리면(45)과 접촉하지 않는다. 코팅(16)의 비교적 낮은 표면 질량과 비교적 큰 이산 입자 크기(41)로 인해, 본 발명자들은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불연속 코팅(16)을 형성한다. 코팅(16)은 평면도에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면적의 약 7.8 %를 차지한다. 형성된 코팅(16)은 캐리어(13)의 전면(14)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이산된 조면화 돌기(50)를 포함하고, 각각의 조면화 돌기(50)는 푸트(55)를 구비하고, 이 푸트(55)는 캐리어(13)에 접합된 조면화 돌기(50)의 단부이다. 본 발명자들은 조면화 돌기(50)의 복수의 측면도에서 전면(14)과 약 130 내지 140 도의 제 2 접촉각을 갖는 많은 조면화 돌기(50)를 제공한다.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31)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거의 모든 조면화 돌기(50)에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62)를 제공하며, 이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62)를 완전히 둘러싸는 연부(53)를 형성하고, 이 연부(53)는 많은 경우에 본질적으로 원을 형성한다. 조면화 돌기(50)의 복수의 측면도에서 거의 모든 조면화 돌기(50)에서, 푸트(55)와 연부(53)를 연결하는 조면화 돌기(50)의 적어도 하나의 윤곽선 부분(52)은 외부로 엄밀하게 볼록하게 형성되며, 이들은 엄밀하게 볼록한 윤곽선 부분(61)이다. 많은 조면화 돌기(5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62)의 폭 대 푸트 폭(56)의 비는 1 내지 1.10으로 제공된다. 대부분의 조면화 돌기(50)에서, 푸트(55)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62)의 면적보다 작도록 제공된다. 대부분의 조면화 돌기(50)에서, 조면화 돌기(50)에는 조면화 돌기(50)를 통해 측정된 연부(53)로부터 푸트(55)까지 연장되는 외각 표면(59)과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62) 사이의 각도인 연부각(54)이 제공되며, 이 연부각(54)은 전형적으로 90 도 미만이다. 많은 조면화 돌기(50)에서 연부각(54)은 약 75 도이다. 많은 조면화 돌기(50)는 이 조면화 돌기(50)의 각각의 측면도에서 연부(53)로부터 푸트(55)까지 엄밀하게 테이퍼를 이루는 엄밀하게 테이퍼형 조면화 돌기(50)로 형성된다. 본 발명자들은 대부분의 조면화 돌기(50)에 조면화 돌기(50)의 외면의 일부인 숨겨진 표면 부분(58)을 제공하고, 이 조면화 돌기(50)는 조면화 돌기(50)의 위로부터 취해지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평면도에서 관찰자로부터 숨겨진 표면 부분을 차폐한다. 이들 조면화 돌기(50)는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65)을 가지며, 매우 많은 조면화 돌기는 언더컷(65) 바로 위에 적어도 하나의 영역(51)을 포함하여, 이 적어도 하나의 영역(51)과 전면(14) 사이에는 2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간격(71)이 형성된다. 조면화 돌기(50)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평면도에서 이산 입자(39)로부터 그 무작위 분포를 계승한다. 제 2 폴리머의 제공된 분말(46)이 크기 면에서 완전히 균질하지않으므로 본 발명자들은 무작위 평면도 크기(64)의 조면화 돌기(50)를 형성한다. 사실상 조면화 돌기(50)의 어느 것도 40 마이크로미터 미만 또는 6 mm 초과의 평면도 크기(64)로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250 마이크로미터 내지 80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또는 전형적인, 조면화 돌기 평면도 크기(64)를 제공한다. 적용된 분산 코팅 작업이 충분히 균일한 입자(39) 분포를 제공하는 경우, 불과 몇몇 분말 과립(49) 만이 서로 점착 및 병합되어 비교적 더 큰 평면도 크기(64) 또는 비교적 더 큰 평면도 종횡비의 입자(39) 및 조면화 돌기(50)를 형성하며, 대부분의 조면화 돌기(50)는 단일의 분말 과립(49)으로부터 유래하는 입자(39)로부터 유래할 수 있고, 조면화 돌기(50)는 1.0 내지 1.6의 평면도 종횡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종횡비는 본질적으로 조면화 돌기(50)의 위에서 취해진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평면도에서 조면화 돌기(50)의 평면도 크기(64) 대 최소 평면도 범위(60)의 비를 의미한다.) 이로써1.6 미만, 약 1.2 또는 그 미만의 평균 평면도 종횡비를 갖는 다수의 조면화 돌기(50)를 얻을 수 있다. 많은 조면화 돌기(50)는 평면도에서 완전히 원형이 아니며, 이는 조면화 돌기(50)가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평면도에서 무작위 배향으로 형성됨을 보여준다. 본 발명자들은, 약 110 마이크로미터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돌기 높이(57) 및 실질적으로 다양한 최소 평면도 범위(60)를 갖는, 조면화 돌기의 각각의 푸트(55)로부터 각각의 돌기 높이(57)까지 돌출하는 조면화 돌기(50)를 형성하며, 여기서 최소 평면도 범위(60)의 변동 계수는 돌기 높이(57)의 변동 계수의 2.0 배 이상이다. 사실상 모든 조면화 돌기(50)의 상부는 본질적으로 전면(14)의 일반 평면과 평행한 평면(44)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많은 조면화 돌기(50)에서, 조면화 돌기(50)의 최소 평면도 범위(60)는 돌기 높이(57)의 10 배 이상으로 형성된다. 제공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는, 전단 방향으로 스키드방지 재료(73)의 필라멘트와 기계적 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스키드방지 재료(73)에 대해 적절한 근접성 및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 조면화 돌기(50)로 인해, 17 g/m2의 평균 표면 질량 및 25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의 필라멘트 두께의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딩된 부직포의 스키드방지 재료(73)와 전단 방향으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의 시험 결과에 따르면,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시험편들 사이에 배치된 스키드방지 재료(73)의 시험편을 이용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2 개의 시험편 사이의 정지 마찰은 TAPPI T 815 표준에 따라 75 도의 경사면식 정지 마찰 시험에서의 슬라이딩에 저항하도록 적절히 높다. 본 발명자들은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시험편들 사이에 배치된 스키드방지 재료(73)의 시험편을 이용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2 개의 시험편 사이의 정지 마찰 계수를 1539 Pa의 압력에서 10.2로 측정하였으며, 그렇지 않으면 ISO 8295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 선택된 압력 값은 백(3) 포장의 실제 적층체의 압력 조건을 실제로 시뮬레이션하며, 본 발명자들은 10.2의 시험 결과가 상당히 큰 값임을 알고 있다.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는 본질적으로 리프팅 또는 박리 분리에 저항하도록 스키드방지 재료(73)에 점착되지 않으며, 이는 무시가능한 상호 블로킹 하중을 나타낸다. 조면화 돌기(50)가 분자 배향을 가지지 않으므로, 그리고 제 2 폴리머의 비교적 낮은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로 인해, 조면화 돌기(50)의 언급된 마찰 효과는, 본 발명자들이 발견한 바와 같이,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열수축 후에도 유지된다. 즉, 본 발명자들은 Bosch PHG 630 DCE 핫 에어 건(이것의 제 6 온도, 최대 공기 속도, 200℃를 초과하는 공기 온도, 130 초)을 사용하여 수축 랩 수축 작업을 시뮬레이션하도록 필름을 수축시켰다. 본 발명자들은 필름을 모든 방향으로 그 원래 치수로부터 10% 수축시켰다(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는 모든 방향으로 30% 이상의 열수축성을 보인다). 결과는 스키드방지 재료(73)와의 정지 마찰 계수는 수축에 의해 사실상 무손상으로 유지되었다. 또한, 열수축 전후의 조면화 돌기(50)의 형상의 차이는 육안으로 감지할 수 없다. 필름은 조면화 돌기(50)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수축되는 것으로 보인다. 즉, 그 수축 거동은 조면화 돌기(50)에 의해 사실상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레이플랫 필름 튜브의 주 외면의 중앙, 즉 전면과 배변의 양쪽에서, 스트라이프(stripe; 76)를 점하는 조면화 돌기(50)를 형성하고, 이 조면화 돌기(50)는 튜브의 외부(6)를 향한다. 무단 튜브의 배면 상에 본 발명자들은 배면의 조면화된 표면 부분을 덮는 스키드방지 재료(73)의 무단 스트립(75)를 고정한다. 도 12a를 참조할 것. 본 발명자들은, 예를 들면, 파이버 스프레이식(섬유-spayed) 핫 멜트 접착제 또는 바람직하게는 압출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사용하여 고정을 수행하며,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부직포의 섬유를 캡슐화하기 위해 압출된 폴리올레핀 폴리머의 좁은 연속 비드를 사용하고, 이것을 필름에 고정시키고, 냉각된 금속 롤들 사이에 개재된 플름/멜트/부직포를 압축시키며, 냉각된 금속 롤은 멜트가 부직포를 통해 스며나오는 경우에도 멜트에 점착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스키드방지 재료(73)가 제공된 튜브로부터 횡단 용착 및 절단을 이용하여 포장 백(3), 즉 25 kg의 헤비 듀티(heavy duty) 백(3) 및 포장 랩(79), 즉 수축 랩(79)(예를 들면, 캔용 슈링크 콜레이팅(shrink-collating) 랩(79))을 모두 형성한다. 백(3)의 일면에는 스키드방지 재료(73)가 고정되고, 백(3)의 반대측의 타면은 스키드방지 재료(73)와 파지될 수 있는 백(3)의 외부(6)를 향해 돌출하는 조면화 돌기(50)로 조면화된 면(7)이다. 도 12b는 백(3)의 조면화된 면(7)을 도시하고, 도 12c는 스키드방지 재료(73)를 가진 백(3)의 반대측 면을 도시하고, 도 12d는 랩(79)의 외부(6)를 향해 돌출하는 조면화 돌기(50)를 구비하는 수축되도록 준비된 랩(79)을 도시한다. 도 12e는 백(3)의 조면화된 면(7)을 도시하고, 여기서 조면화 돌기(50)는 백(3) 표면의 중앙 지점을 점유하고, 도 12f는 같은 백(3)의 반대측 면을 도시하고, 여기서 스키드방지 재료(73)는 백(3) 표면의 중앙 지점을 점유한다. 이러한 스키드방지 재료(73)의 조각은, 예를 들면, 슬립 커트 유닛(slip cut unit)으로 튜브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2g는 캔의 포장 상에 이미 수축된 도 12d의 랩(79)을 도시하며, 조면화 돌기(50)는 랩(79)의 외부(6)를 향해 돌출해 있다.
실시례 3: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를 형성하는 방법 및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코팅된 직물(25) 캐리어(13))
도면, 특히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한다. 이 실시례는 실제 제조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의 사진이 도 29에 에 있다. 이 사진에서, 측면도에서 조면화 돌기(50)를 갖는 조면화된 직물(25)의 절첩된 연부를 볼 수 있다. "3 mm" 선은 직물(25)의 테이프(26)의 폭을 나타낸다. 좌측의 섬유는 다수의 상이한 전단 시험 동안에 스키드방지 재료(73)로부터 절리된 섬유이다. 작은 분진 과립은 전단 시험으로부터 유래하는 미세 먼지 오염에 의한 것이다. 이 실시례는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례 2와 다르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를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가요성 캐리어(13)를 제공하며, 이것은 30 g/m2의 표면 질량의 폴리프로필렌 층으로 그 주요 외면(즉 전면 및 배면)의 모두가 압출 코팅된 75 g/m2의 표면 질량의 직물(25)의 폴리프로필렌 테이프(26)로부터 직조된 원형 직조형 폴리프로필렌 직물(25)의 튜브이다. 따라서, 튜브형 캐리어(13)의 평균 표면 질량은 210 g/m2이다. 전면(14)의 표면 에너지는 약 30 mJ/m2(표면 전처리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이다. 제 1 폴리머의 용융 온도는 약 170℃이고, 제 1 폴리머의 연화 온도는 약 125℃이다. 본 발명자들은 255℃의 제 1 온도의 박리면(45)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255℃의 제 1 온도의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ISO 1133-1에 따라 2.16 kg 부하 하에서 230℃에서 측정된 14.0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의 폴리프로필렌(제 2 폴리머)의 분말(46)(펠릿으로부터 분쇄된 것)을 공중으로부터 분산시킴으로써 이산 입자(39)의 제 1 층(29)을 제공한다. 제 2 폴리머의 표면 에너지는 약 30 mJ/m2이다. 분말의 크기는 0-300 마이크로미터이다. 분산된 분말(46) 및 제공된 이산 입자(39)의 평균 표면 질량은 약 5 g/m2이다. 본 발명자들은 제공된 제 1 층(29)의 이산 입자(39)를 약 8.0 초 동안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유지하며, 이는 이산 입자(39)의 사실상 전부를 박리면(45)에 대해 약 59 내지 64 도로 추정되는 제 1 접촉각(28)을 갖는 적어도 반액체 상태로 제공하기에 충분히 길다. 제공된 제 1 층(29)에서, 모든 이산 입자(39)는 그 전체가 약 255 ℃의 온도(제 2 온도)이고, 반면에 제 2 폴리머의 비카트 연화 온도(A, ISO 306)는 128 ℃이고, 이는 제 1 층(29)에서 그 말단부(43)를 포함하는 이산 입자(39)의 전체의 점착성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0.735 N/라인 cm의 닙(36) 압력을 캐리어(13) 상에 가한다. 접촉 시, 본 발명자들은 2722 Pa의 평균 압축 압력을 가한다. 본 발명자들은 약 0.0203 초의 접촉 시간을 제공하는 라인 속도를 선택한다. 언급된 프로세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다음의 결과에 도달한다. 접촉 시간은 박리면(45)의 열에 의해 캐리어(13)가 임의의 범위까지 왜곡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충분히 짧다. 본 발명자들은 조면화 돌기(50)와 캐리어(13)를 융착, 특히 용착한다. 이러한 접합(12)은 조면화 돌기(50)로부터의 파단에 대해 확실하게 강한 것으로 입증된다. 캐리어(13)의 직물(25)은 조면화 돌기(50) 아래의 테이프(26)들 사이의 중첩부(38)에 융착 접합(12)이 없는 상태이다. 조면화 돌기(50)의 푸트(55) 아래의 어떤 함몰부(23)도 볼 수 없다. 대부분의 조면화 돌기(50)에서, 연부각(54)은 전형적으로 90도 미만이다. 많은 조면화 돌기(50)에서 연부각(54)은 약 75 도이다. 그 결과, 많은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31)는 많은 노출된 테이프(26)와 함께 명확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을 형성하기 위해 캐리어(13)의 전체 튜브 내면에 노출된 테이프(26)에 대해 적절한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다. TAPPI T 815 표준에 따른 60 도 각도의 경사면식 정지 마찰 시험의 결과에 따르면,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시험편들 사이에 배치된 스키드방지 재료(73)의 시험편을 이용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2 개의 시험편 사이의 정지 마찰은 슬라이딩에 저항하도록 적절히 높다(즉, 슬레드 조립체는 슬라이딩하지 않고, 정위치에 멈춰있다.) 또한, 언급된 정지 마찰은 준비(얼음 시험 준비) 직후에 슬라이딩에 저항하도록 적절히 높고, 얼음 시험 준비는 캐리어 및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2 개의 시험편 중 제 1 시험편의 조면화 돌기(50)를 약 -20 ℃의 제 3 온도에 유지함과 동시에 캐리어 전면(14) 및 조면화 돌기(50)를 19 분의 준비 시간 동안 초음파 공기 가습기로 대기 중에 생성된 고농도의 물안개로 완성되는 100%의 상대 습도 및 약 3 ℃ 온도의 공기에 노출시키며, 이 얼음 시험 준비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2 개의 시험편 중 제 2 시험편 및 제 3 온도의 스키드방지 재료(73)의 시험편을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정지 마찰은 19 분의 준비 시간 후에 서리로 백색을 띠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히 높게 유지된다. 안개를 제공하지 않고 더 긴 준비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마찰은 조면화된 표면 상에 축적된 얼음에 상당히 둔감하므로 이것은 냉동 식품 포장 백(3) 및 목재 랩(79)용으로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된다. 본 발명자들은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시험편들 사이에 배치된 스키드방지 재료(73)의 시험편을 이용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2 개의 시험편 사이의 정지 마찰 계수를 1539 Pa의 압력에서 10.3로 측정하였으며, 그렇지 않으면 ISO 8295에 따라 측정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자들의 블로킹 시험의 결과에 따르면,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는 스키드방지 재료(73)와 함께 블로킹 하중 시험 직전에 1500 Pa의 압력으로 샘플을 압축하는 것을 포함하는 준비 후에 표준 ASTM D 3354-96에 따라 2.94의 평균 블로킹 하중을 갖는다. 준비 시, 본 발명자들이 압축 시에 ± 8 도 각도로 전후 3 회 반복되는 2 개의 시험편의 상대 회전을 포함하는 경우, 평균 블로킹 하중은 19.4 g 이하이다. 스키드방지 재료(73)와의 정지 마찰 계수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의 열수축에 의해 사실상 무손상 상태로 잔존하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자들은 레이플랫 필름 튜브의 주 외면의 중앙, 즉 전면과 배변의 양쪽에서, 스트라이프(76)를 점하는 조면화 돌기(50)를 형성하고, 이 조면화 돌기(50)는 튜브의 외부(6)를 향한다. 무단 튜브의 배면 상에 본 발명자들은 배면의 조면화된 표면 부분을 덮는 스키드방지 재료(73)의 무단 스트립(75)를 고정한다. 본 발명자들은 고정을 바람직하게는 압출 라미네이션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자들은 (바람직하게는 초음파을 이용한) 횡단 재봉 및 절단을 이용하여 스키드방지 재료(73)가 제공된 튜브로 포장 백(3), 즉 25 kg의 헤비 듀티 백(3)을 형성한다. 백(3)의 일면은 이것에 고정된 스키드방지 재료(73)를 가지며, 백(3)의 반대측 타면은 스키드방지 재료(73)와 파지될 수 있는 조면화 면(7)이다. 본 발명자들은 53x53x10 cm 크기의 시험 블록(11)(냉동 어류 블록(11)의 시뮬레이션)을 준비하였고, 이것을 -20 ℃까지 냉동시켰다. 본 발명자들은 하나의 블록(11)으로 백(3)을 채우고, (단속적 용착 시임(seam)을 통해 공기 압력이 배출되도록) 단속적인 횡단 용착으로 백(3)을 밀폐시켰다 스택 틸팅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포장을 플레이트의 중앙에 배치하고, 플레이트를 수평에 대해 45 도의 각도의 경사 배향으로 틸팅시키고, 다음에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복귀시켰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상측 포장을 하측 포장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이를 위해 본 발명자들은 상측 포장을 이것이 그 연부로 서 있도록 약간 틸팅시켜야 했으며, 그렇지 않으면 이것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하고, 다음에 틸팅 시험을 연속하여 반복하였다.
실시례 4: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를 형성하는 방법 및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코팅되지 않은 직물(25) 캐리어(13))
도면, 특히 도 14를 참조한다). 이 실시례는 실제 제조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의 사진이 도 30에 에 있다. 이 실시례는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례 3과 다르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를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65 g/m2(압출 코팅되지 않음)의 직물(25) 표면 질량의 폴리프로필렌 테이프(26)로 직조된 가요성 캐리어(13)(원형으로 직조된 폴리프로필렌 직물(25)의 튜브)를 제공한다. 따라서, 튜브형 캐리어(13)의 평균 표면 질량은 130 g/m2이다. 본 발명자들은 255℃의 제 1 온도의 박리면(45)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ISO 1133-1에 따라 2.16 kg의 부하 하에서 230 ℃에서 측정된 15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의 폴리프로필렌(제 2 폴리머)의 회전성형 분말(46)을 사용한다. 분말(46)의 크기는 0-550 마이크로미터로 체가름(sieving)된다. 분산된 분말(46) 및 제공된 이산 입자(39)의 평균 표면 질량은 14.6 g/m2이다. 본 발명자들은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놓인 제공된 제 1 층(29)의 이산 입자(39)를 8.0 초 동안 유지한다. 제공된 제 1 층(29)에서, 모든 이산 입자(39)는 그 전체가 약 255 ℃의 온도(제 2 온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1.225 N/라인 cm의 닙(36) 압력을 캐리어(13) 상에 가한다. 접촉 시, 본 발명자들은 3952 Pa의 평균 압축 압력을 가한다. 본 발명자들은 약 0.0233 초의 접촉 시간을 제공하는 라인 속도를 선택한다. 언급된 프로세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다음의 결과에 도달한다. 접촉 시간은 박리면(45)의 열에 의해 캐리어(13)가 임의의 범위까지 왜곡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충분히 짧다. 본 발명자들은 조면화 돌기(50)와 캐리어(13)를 융착, 특히 용착한다. 직물(25)은 조면화 돌기(50) 아래의 테이프(26)들 사이의 중첩부(38)에 융착 접합(12)이 없는 상태이다. 조면화 돌기(55)의 푸트(55) 아래의 어떤 함몰부(23)도 볼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코팅(16)이 직물(25) 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많은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31)는 많은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31)는 많은 노출된 테이프(27)와 함께 명확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을 형성하기 위해 캐리어(13)의 전체 튜브 내면 및 외면에 노출된 테이프(26)에 대해 적절한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다. 조면화 돌기(50)는 처음 2 가지 실시례보다 더 전면(14)으로부터 파단되기 쉽다.
실시례 5: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의 제조 방법 및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필름 캐리어(13), 엘라스토머 코팅(16)).
도면, 특히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한다. 이 실시례는 실제 제조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의 사진이 도 31에 에 있다. 사진에서, 필름이 투명하기 때문에 절첩된 제품 샘플의 2 개의 층의 둘 모두를 볼 수 있다. 이 실시례는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례 2와 다르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를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폴리아미드 필름 및 그 위에 압출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에틸렌 층으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복합재인 가요성 캐리어(13)를 제공한다. 전면(14)은 폴리에틸렌 표면이다. 따라서, 전면(14)은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제 1 폴리머의 용융 온도는 약 122℃이고, 제 1 폴리머의 연화 온도는 약 102℃이다. 본 발명자들은 253℃의 제 1 온도의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ISO 1133-1에 따라 2.16 kg의 부하 하에서 190℃에서 측정된 40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의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의 블렌드의 분말(46)(제 2 폴리머)(펠릿으로부터 분쇄된 것)을 공중으로부터 분산시킴으로써 이산 입자(39)의 제 1 층(29)을 제공한다. 제품의 차후의 블로킹을 피하기 위해, 제 2 폴리머는 EVA가 비교적 부종하고, 점착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 2 폴리머의 DSC 용융 온도는 100℃ 내지 110℃이고, 이는 EVA 함유 폴리머 등급 내에서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 분말의 크기는 100-500 마이크로미터이다. 분산된 분말(46) 및 제공된 이산 입자(39)의 평균 표면 질량은 약 7 g/m2이다. 본 발명자들은 160 m/분의 제조 라인 속도를 적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것이 본 기술 분야에서 상당히 큰 속도라는 것에 주목하며, 본 발명자들은, 예를 들면, 당업자가 더 긴 박리면(45) 벨트(8) 길이를 적용함으로써 속도를 (이론적으로) 더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적 요인을 볼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제공된 제 1 층(29)의 이산 입자(39)를 4.00 초 동안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유지하며, 이는 이산 입자(39)의 사실상 전부를 박리면(45)에 대해 약 59 내지 64 도로 평가되는 제 1 접촉각(28)을 갖는 적어도 반액체 상태로 제공하기에 충분히 길다. 제공된 제 1 층(29)에서, 모든 이산 입자(39)는 그 전체가 약 253℃의 온도(제 2 온도)이고, 반면에 제 2 폴리머의 비카트(Vicat) 연화 온도(A/50 N)는 100℃ 미만이고, 이는 제 1 층(29)에서 말단부(43)를 포함하는 이산 입자(39)의 전체의 점착성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0.735 N/라인 cm의 닙(36) 압력을 가한다. 접촉 시, 본 발명자들은 2722 Pa의 평균 압축 압력을 가한다. 본 발명자들은 0.0101 초의 접촉 시간을 적용한다. 언급된 프로세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다음의 결과에 도달한다. 본 발명자들은 사실상 각각의 조면화 돌기(50)에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62)를 제공하며, 연부(53)는 본질적으로 원을 형성한다. 본 발명자들은 대부분의 조면화 돌기(50)의 모든 측면도에서 1 내지 1.10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의 폭 대 푸트 폭(56)의 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에서, 평면도에서 사실상 원형으로 보이므로 평균 평면도 종횡비가 1.0 내지 1.1로 평가되는 조면화 돌기(50)를 제공한다. 사실상 모든 조면화 돌기(50)는 동일한 (낮은) 높이(57)이며, (분말 과립(49)의 체적 변동에 기인되는) 그 각각의 체적의 모든 변동은 그 가변적 최소 평면도 범위(60)로 보인다. 따라서, 최소 평면도 범위(60)의 변동 계수는 돌기 높이(57)의 변동 계수의 3 배를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제공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는 자체가 수정된 블로킹 하중 시험에서 13.66의 평균 블로킹 하중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된다. 이것은 우수한 값이며, 제품이 따뜻한 창고 내에 보관되는 경우에 사실상 블로킹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파라미터는 비교적 높은 용융 온도를 가지는, 그리고 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코팅(16)의 제 2 폴리머의 결과이다. 제공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2)는 사실상 전단 방향으로 스키드방지 재료(73)와 본질적인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와 같이, 그렇지 않으면 ISO 8295에 따라 1539 Pa의 압력에서) 정지 마찰 계수 및 동적 마찰 계수를 측정하였고, 본 발명자들은 이들이 각각의 경우에 매우 근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이것이 슬립을 개시하는 범위까지 전단 하중을 받으면 제품의 원하는 거동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의 시험 결과에 따르면, 조면화된 면(7)의 마찰 계수는 0.96이고, 이것은 많은 실제 적용을 위해 충분히 높은 값으로 간주되고, 이것은 저렴한 코팅(16) 재료, 7 g/m2의 낮은 코팅(16) 중량 및 160 m/분 이상의 높은 변환 속도에 대하여 경제적이다. 평활한 폴리에틸렌 표면을 가진 조면화된 면(7)의 마찰 계수는 0.5이고, 여기서 언급된 평활한 폴리에틸렌 표면은 자체가 0.44의 마찰 계수를 갖는다.
실시례 6: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의 제조 방법 및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필름 캐리어(13), 엘라스토머 코팅(16)).
이 실시례는 실제 제조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의 사진이 도 32에 에 있다. 이 실시례는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례 5와 다르다. 본 발명자들은 ISO 1133-1에 따라 2.16 kg의 부하 하에서 190℃에서 측정된 150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의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의 블렌드의 분말(46)(제 2 폴리머)(펠릿으로부터 분쇄된 것)을 제공한다. 제품의 차후의 블로킹을 피하기 위해, 제 2 폴리머는 EVA가 비교적 부종하고, 점착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 2 폴리머의 DSC 용융 온도는 97℃ 내지 108℃이다. 분말(46)의 크기는 100-400 마이크로미터이다. 분산된 분말(46) 및 코팅(16)의 평균 표면 질량은 약 16.3 g/m2이다. 본 발명자들은 80 m/분의 제조 라인 속도를 적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제공된 제 1 층(29)의 이산 입자(39)를 8.00 초 동안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유지하며, 이는 이산 입자(39)의 사실상 전부를 박리면(45)에 대해 약 59 내지 64 도로 평가되는 제 1 접촉각(28)을 갖는 적어도 반액체 상태로 제공하기에 충분히 길다. 본 발명자들은 4.9 N/라인 cm의 닙(36) 압력을 가한다. 본 발명자들은 약 0.024 초의 접촉 시간을 적용한다. 언급된 공정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다음의 결과에 도달한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분말 과립(49)으로부터 유래하는 많은 입자(39)는 코팅(16)으로 병합되지만, 코팅(16)은 여전히 불연속이다. 이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는 더 큰 마찰 계수가 필요한 곳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례 7: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의 제조 방법 및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인쇄된 필름 캐리어(13), 엘라스토머 코팅(16)).
이 실시례는 실제 제조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이 실시례는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례 5와 다르다. 본 발명자들이 제공하는 캐리어(13)는 10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풍부한 재생 폴리에틸렌 블렌드의 헤드 듀티 포장 필름 튜브이며, 이것의 전면(14)에는 용매를 기반으로 하는 플렉소그래픽 잉크를 사용하여 고객의 그래픽이 인쇄되어 있다. 분산된 분말(46) 및 코팅(16)의 평균 표면 질량은 약 5 g/m2이다. 본 발명자들은 80 m/분의 제조 라인 속도를 적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제공된 제 1 층(29)의 이산 입자(39)를 8.00 초 동안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유지하며, 이는 이산 입자(39)의 사실상 전부를 박리면(45)에 대해 약 59 내지 64 도로 평가되는 제 1 접촉각(28)을 갖는 적어도 반액체 상태로 제공하기에 충분히 길다. 언급된 공정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다음의 결과에 도달한다. 고온 코팅(16)의 큰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코팅(16)의 제 2 폴리머에 점착제가 없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자들은 인쇄된 캐리어 전면(14)과 불연속 코팅(16) 사이에 확실하게 강한 접합(12)을 형성할 수 있다. 조면화 돌기(50)는 손톱으로 인쇄된 필름 표면으로부터 긁어낼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실시례 8: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를 형성하는 방법 및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2)(다양한 형상 실시례)
도면, 특히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한다. 도 17에서, 상이한 형상의 제공된 이산 입자(39)의 측면도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이 고온의 박리면(45) 상에 분말 과립(49)을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및/또는, 예를 들면, 4.0 미만의 비교적 낮은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의 제 2 폴리머를 제공하는 경우, 제 1 접촉각(28)(입자(39)와 박리면(45) 사이)은 비교적 크게, 즉 예를 들면, 90도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제공된 이산 입자(39)로부터 이러한 조면화 돌기(50)가 형성될 수 있고(도 18 참조), 그 연부각(54)은 비교적 크고, 즉 90도 이상이다.
실시례 9: 사용 방법
도 19 내지 도 26를 참조한다. 특히, 예를 들면, 실시례 3에서 제조된 슬립방지 포장 백(3)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9a, 도 19b, 도 19c는 배경기술에 따른 백(3)의 자동 설치 공정을 측단면도로 도시한다. 진공 헤드(78)는 빈 레이플랫 백(3)의 스택에서 상측 백(3)의 백 입구(5)를 픽업하여 이것을 잡아당겨 다른 백(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실시례 3에서 제작된 본 발명자들의 백(3)의 경우에, 이 작업은, 제 1 백(3)의 조면화된 면(7)이 제 2 백(3)에 고정된 스키드방지 재료(73) 상에서 슬라이딩되어야 하는 경우에 레이플랫 백(3)이 서로 슬립하지 않으므로, 언제나 가능하지는 않다. 하나의 가능한 해결책은 도 20a, 도 20b, 도 20c 및 20d에 도시되어 있다. 빈 슬립방지 백(3)의 스택은 각각의 백(3)의 백 저부(4)가 백 입구(5)에 평행하게 인접하도록 개별적으로 절첩된, 그리고 백(3)의 스키드방지 재료(73)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형태의 백(3)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측의 백(3)은 서로의 조면화된 면(7)에만 접촉하며, 스키드방지 재료(73)는 백(3) 사이의 접촉에 관여하지 않는다. 진공 헤드(78)는 상측 백(3)의 입구(5)를 픽업할 수 있고, (스키드방지 재료(73) 상에서 그 스키드방지 재료(73)를 용이하게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이 백(3)을 펼쳐서 백(3) 배치 작업을 완료한다. 다른 가능한 해결책은 도 21a, 도 21b, 도 21c, 도 21d에 도시되어 있다. 빈 백(3)은 그 백 저부(4)가 그 백 입구(5)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준비된다. 진공 헤드(78)가 상측 백(3)의 입구(5)를 픽업하는 경우, 상측 백(3)은 백 저부(4)의 상승된 위치로 인해 한 층 아래의 백(3)으로부터 거의 완전히 분리된다. 진공 헤드(78)가 수평방향으로 백(3)을 충분히 빠르게 당기면, 상측 백(3)의 백 저부(4)는 그 수평 이동 중에 공중에 유지되는데 충분한 동력이 존재한다. 다른 가능한 해결책은 도 22a, 도 22b, 도 22c에 도시되어 있다. 상측 백(3)의 백 저부(4)는 추가의 진공 헤드(78)에 의해 픽업되고, 추가의 분리 시트(70)가 백 저부(4)의 방향으로부터 진입하여 상측 백(3) 아래에 삽입된다. 분리 시트(70)는 롤로부터 풀려지는 가요성 시트일 수 있다. 다음에 상측 백(3)은 배경기술에서의 관례대로 사용될 수 있고, 분리 시트(70)은 다음 사이클 전에 되돌아갈 수 있다. 다른 가능한 해결책은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레이플랫 백(3)은 스택 내에서 스키드방지 재료(73)가 향하는 방향에 관하여 교번하는 배향을 갖는 구성으로 준비된다. 제 1 백(3), 제 3 백(3), 제 5 백(3) 등은 스키드방지 재료(73)가 상방을 향하고, 반면에 제 2 백(3), 제 4 백(3), 제 6 백(3) 등은 스키드방지 재료(73)가 하방을 향한다. 따라서, 준비된 빈 백(3)의 스택은 배경기술에서의 관례대로 진공 헤드(78)를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4는 측면 주름 백(3)을 도시하며, 이것의 백 입구(5)는 백(3)의 상벽이 백 입구(5)에 인접하여 구멍(34)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일부의 진공 헤드(78)는 이 구멍(34)을 통해 더 아래에 위치하는 벽을 직접(일시적으로) 픽업할 수 있다. 이는 지나치게 부드러운 백(3) 벽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25는 플레이트 냉동 해산물의 블록의 블록(11)으로 채워진 언급된 백(3)의 포장의 임시 스택의 개략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때로 (예를 들면, 화물의 수작업에 의한 재적층 중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안정화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한 해체의 가능성을 필요로 하는 이러한 포장의 임시 스택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평평한 블록(11) 형상의 포장은, 스택 내에서, 스키드방지 재료(73)가 향하는 방향에 관하여 교번하는 배향을 갖는 구성으로 준비된다. 제 1 포장, 제 3 포장, 제 5 포장 등은 스키드방지 재료(73)가 상방향을 향하고, 반면에 제 2 포장, 제 4 포장, 제 6 포장 등은 스키드방지 재료(73)가 하방을 향한다. 따라서, 임시로 준비된 포장의 스택은 배경기술에서의 관례대로 수작업으로 해체될 수 있다. 도 26은 플레이트 냉동 해산물의 블록(11)으로 채워진 언급된 백(3)의 포장의 안정한 스택의 개략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포장은 균일한 배향을 갖는다.

Claims (203)

  1.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면(front face)을 갖는 가요성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공된 캐리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 1 폴리머가 용융 또는 연화되지 않도록 충분히 낮은 온도를 제공함 -;
    제 1 온도의 고온의 박리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이는, 그리고 상기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대응하는 말단부까지 돌출하는 열가소성 제 2 폴리머를 포함하는 이산(discrete) 입자의 제 1 층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상기 제 1 층에서 상기 이산 입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온도 이상이고, 상기 제 2 온도는 상기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 1 층에서 적어도 상기 입자의 말단부의 점착성을 제공함 -;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시키고, 소정의 접촉 시간 동안이 접촉을 유지하고 - 점착성 제 1 층을 가진 제공된 캐리어의 전면은 제 1 층을 전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착시키기 위해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임 -, 그 후에
    상기 박리면으로부터 상기 캐리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 점착된 점착성 제 1 층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고온 상태의 코팅을 가진 상기 캐리어를 제공하고, 상기 고온 코팅의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상기 캐리어와 상기 코팅 사이에 접합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캐리어 및 이것에 접합된 상기 코팅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캐리어를 제거하는 것은 인발력으로 접촉으로부터 캐리어를 당기는 것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온도는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 1 온도는 상기 1 폴리머의 용융 온도 및 연화 온도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초과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되고, 동시에 상기 인발력에 노출된 경우에 손상된 캐리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시간은 상기 고온의 박리면에 의한 열의 작용에 의한 상기 캐리어의 손상이 사전정의된 허용가능한 범위로 제한되도록 결정된 최소 시간보다 짧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시간은 상기 캐리어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짧게 선택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가요성 캐리어는 가요성 포장 또는 래핑(wrapping)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 입자는, 상기 제 1 층의 제공 시에, 그 전체가 상기 제 2 온도 이상에 있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머의 용융 온도 및 연화 온도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초과하는 상기 제 2 온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캐리어는 상기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제 2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의 제공 시에,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 2 층의 수축 온도 미만의 온도를 갖고,
    상기 제 2 층의 수축 온도를 초과하는 상기 제 1 온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를 그 원래 치수로 제공하고, 상기 캐리어가 그 원래 치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25%를 초과하여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짧은 접촉 시간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 입자의 적어도 하나의 치수에서 2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크기를 갖는 적어도 일부의 이산 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면의 표면 에너지는 상기 제 2 폴리머의 표면 에너지보다 낮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리머의 표면 에너지와 상기 박리면의 표면 에너지 사이의 차이는 23 mJ/m2 미만인,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면의 표면 에너지는 상기 캐리어의 전면의 표면 에너지보다 낮은,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표면 에너지와 상기 박리면의 표면 에너지 사이의 차이는4 mJ/m2를 초과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인 상기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를 적어도 일부의 상기 이산 입자를 적어도 반액체 상태로 제공하기에 충분히 길게 유지시키고, 상기 박리면과 제 1 접촉각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각 중 적어도 일부는 90 도 미만인,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의 외면은 상기 박리면과 접촉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박리면과 접촉하지 않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공된 이산 입자의 총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개수인 적어도 대부분의 제공된 이산 입자에서 상기 제 2 부분의 면적은 상기 제 1 부분의 면적보다 큰,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고온의 박리면은 평면이거나, 최대로 상기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의 분포와 무관한 패턴을 갖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인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는 상기 박리면으로부터 각각의 입자 높이까지 돌출하고, 상기 이산 입자의 총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개수인 적어도 대부분의 이산 입자에서 상기 입자 높이는 상기 입자의 최소 평면도 범위의 적어도 0.1 배와 동등한,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제 1 층의 이산 입자의 총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개수인 적어도 대부분의 이산 입자에서 상기 입자 높이는 상기 입자의 최소 평면도 범위의 적어도 0.1 배와 동등한,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에서 상기 캐리어의 평균 표면 질량의 1.5 배보다 낮은 상기 코팅의 평균 표면 질량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제 1 층 내의 상기 이산 입자의 적어도 일부는 분자적으로 배향되지 않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무작위 분포로 상기 박리면 상에 놓이는 상기 이산 입자의 제 1 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직물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제공하고, 상기 코팅이 상기 직물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코팅은 불연속으로 형성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상기 캐리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이산된 조면화 돌기(roughening projection)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조면화 돌기에는 푸트(foot)가 제공되고, 상기 푸트는 상기 캐리어에 접합된 상기 조면화 돌기의 일단부인,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상기 전면과 90 내지 178도의 제 2 접촉각을 갖는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면화 돌기의 총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개수인 적어도 대부분의 조면화 돌기에 평평한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연부(edge)를 형성하는 상기 평평한 상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상기 푸트와 상기 연부를 연결하는 상기 조면화 돌기의 윤곽선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외부로 볼록한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상부와 상기 연부로부터 상기 푸트까지 연장되는 외각(mantle) 표면 사이의 각도인, 상기 조면화 돌기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90 도 이하인 연부각(edge angle)을 상기 조면화 돌기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부로부터 상기 푸트까지 테이퍼를 이루는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에서 무작위 분포를 갖는 상기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1. 제 26 항에 있어서,
    무작위 평면도 크기의 상기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에서 무작위 배향의 상기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3. 제 24 항에 있어서,
    각각의 푸트로부터 각각의 돌기 높이까지 돌출하도록, 그리고 각각의 최소 평면도 범위를 갖도록 조면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면화 돌기의 총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개수인 적어도 대부분의 조면화 돌기에서 상기 최소 평면도 범위의 변동 계수는 돌기높이의 변동 계수보다 크고, 상기 최소 평면도 범위의 변동 계수는 상기 돌기 높이의 변동 계수의 1.15배 이상인,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4.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조면화 돌기의 외면의 일부인 숨겨진 표면 부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면화 돌기는 상기 조면화 돌기의 위로부터 취해지는 상기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에서 관찰자로부터 상기 숨겨진 표면 부분을 차폐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5. 제 24 항에 있어서,
    2 개의 닙롤(nip roll)을 제공하고, 상기 2 개의 닙롤 사이의 닙 내에서 상기 고온의 박리면를 향해 상기 캐리어를 가압하여 상기 캐리어의 전면과 상기 입자의 점착성 말단부 사이에 접촉을 제공하고, 0.001 내지 80 N/라인 cm의 닙 압력을 상기 캐리어 상에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머와 상기 제 2 폴리머가 함께 융착(fusing)될 수 있는 융착 온도를 초과하는 상기 제 1 온도 및 상기 제 2 온도를 모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 및 상기 제 1 폴리머의 용융 온도와 연화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보다 적어도 30℃ 더 높은 상기 제 1 온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8. 제 24 항에 있어서,
    ISO 1133-1에 따라 2.16 kg의 부하 하에서 190℃에서 측정된 0.1 내지 300 g/10분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elt mass flow rate)의 상기 제 2 폴리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9. 제 24 항에 있어서,
    중첩되는 종사 및 횡사 열가소성 테이프 또는 얀으로 직조된 직물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를 제공하고,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의 아래에서 상기 중첩되는 종사 및 횡사 테이프 또는 얀을 함께 융착시킴이 없이 상기 캐리어와 상기 조면화 돌기 사이의 접합을 적절히 형성하기 위해, 상기 조면화 돌기를 포함하는 상기 고온 코팅의 이용된 열 에너지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4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노출되는 플라스틱 테이프로 직조된 직물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를 제공하고, 상기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에 상기 노출된 테이프의 적어도 하나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노출된 테이프에 대해 적절한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 상기 조면화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41.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면화 돌기가 전단 방향으로 스키드방지 재료의 필라멘트와 기계적 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스키드방지 재료에 대해 적절한 근접성 및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 것에 기인되어, 17 g/m2의 평균 표면 질량 및 25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의 필라멘트 두께의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딩(spunbonding)된 부직포의 상기 스키드방지 재료와 전단 방향으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이 가능한 상기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4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에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의 푸트 아래에 각각의 함몰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4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제 1 층의 이웃하는 이산 입자들 사이에 각각의 입자간 거리를 제공하고, 주행 방향을 갖는 회전 무단 벨트 형태로 상기 고온의 박리면을 제공하고, 2 개의 측단부 위치 사이에서 상기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무단 벨트를 교대로 시프팅(shifting)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2 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벨트의 횡방향 변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변위는 상기 입자간 거리의 평균 이상인,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4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는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백 또는 랩의 외부를 향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45. 가요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슬립방지 물품으로서,
    상기 슬립방지 물품은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백 또는 랩의 외부를 향하는 다수의 이산된 고온의 조면화 돌기를 갖는 전면을 갖고, 상기 조면화 돌기는 열가소성 제 2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조면화 돌기는 분자 배향을 갖지 않고, 상기 조면화 돌기는 각각의 푸트를 갖고, 상기 푸트는 상기 캐리어에 부착되는 상기 조면화 돌기의 일단부이고, 상기 조면화 돌기는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상기 전면과 90 내지 178 도의 제 2 접촉각을 갖고,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인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는 평평한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연부를 형성하는 상기 평평한 상부를 갖는,
    슬립방지 물품.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면화 돌기의 총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개수인 적어도 대부분의 조면화 돌기는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인,
    슬립방지 물품.
  47.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에서, 상기 다수의 이산된 조면화 돌기의 평균 표면 질량은 상기 캐리어의 평균 표면 질량의 1.5 배 미만인,
    슬립방지 물품.
  48.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산된 조면화 돌기는 상기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에서 무작위 분포인,
    슬립방지 물품.
  49.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는 무작위의 평면도 크기인,
    슬립방지 물품.
  50.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는 상기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에서 무작위 배향인,
    슬립방지 물품.
  51.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상기 푸트와 상기 연부를 연결하는 상기 조면화 돌기의 윤곽선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볼록한,
    슬립방지 물품.
  52.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부는 상기 평평한 상부와 상기 연부로부터 상기 푸트까지 연장되는 외각(mantle) 표면 사이의 각도인, 상기 조면화 돌기를 통해 측정되는, 연부각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에서 90 도 이하의 연부각을 갖는,
    슬립방지 물품.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부각은 90 도 미만인,
    슬립방지 물품.
  54.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도는 상기 상면의 연부로부터 상기 푸트까지 테이퍼를 이루는,
    슬립방지 물품.
  55.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는 자체의 각각의 푸트로부터 각각의 돌기 높이까지 돌출하고, 각각의 최소 평면도 범위를 갖고, 상기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의 총 개수의 절반을 초과하는 개수인 적어도 대부분의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에서 상기 최소 평면도 범위의 변동 계수는 돌기 높이의 변동 계수보다 크고, 상기 최소 평면도 범위의 변동 계수는 상기 돌기 높이의 변동 계수의 1.15배 이상인,
    슬립방지 물품.
  56.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조면화 돌기의 외면의 일부인 숨겨진 표면 부분을 갖고, 상기 조면화 돌기는 상기 조면화 돌기의 위로부터 취해지는 상기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의 평면도에서 관찰자로부터 상기 숨겨진 표면 부분을 차폐하는,
    슬립방지 물품.
  57.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리머는 ISO 1133-1에 따라 2.16 kg의 부하 하에서 190℃에서 측정된 0.1 내지 300 g/10분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를 갖는,
    슬립방지 물품.
  58.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를 포함하는,
    슬립방지 물품.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는 상기 백 또는 랩의 형성 및 밀폐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위해 용착가능하거나 융착가능한,
    슬립방지 물품.
  60.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층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물품.
  61.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플라스틱 테이프로 직조된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는 직물이 서로 각각의 중첩부를 형성하는 테이프를 갖는 위치에서 상기 직물에 열접합된 적어도 일부의 조면화 돌기를 갖는,
    슬립방지 물품.
  62.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플라스틱 테이프로 직조된 직물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는 상기 캐리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노출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는 상기 노출된 테이프와 함께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노출된 테이프에 대해 적절한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
    슬립방지 물품.
  63.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는, 전단 방향으로 스키드방지 재료의 필라멘트와 기계적 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스키드방지 재료에 대해 적절한 근접성 및 기하학적 특징을 갖는 조면화 돌기로 인해, 17 g/m2의 평균 표면 질량 및 25 내지 30 마이크로미터의 필라멘트 두께의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딩된 부직포의 스키드방지 재료와 상기 전단 방향으로 슬립 감소 기계적 인터로킹이 가능한,
    슬립방지 물품.
  64.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은 상기 상면 평평형 조면화 돌기의 적어도 일부의 푸트 아래에 각각의 함몰부를 갖는,
    슬립방지 물품.
  65.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따른 슬립방지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는,
    전면(front face)을 갖는 가요성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공된 캐리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제 1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 1 폴리머가 용융 또는 연화되지 않도록 충분히 낮은 온도를 제공함 -;
    제 1 온도의 고온의 박리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이는, 그리고 상기 고온의 박리면으로부터 대응하는 말단부까지 돌출하는 열가소성 제 2 폴리머를 포함하는 이산(discrete) 입자의 제 1 층을 제공하는 단계 - 제공된 상기 제 1 층에서 상기 이산 입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온도 이상이고, 상기 제 2 온도는 상기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 1 층에서 적어도 상기 입자의 말단부의 점착성을 제공함 -;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시키고, 소정의 접촉 시간 동안이 접촉을 유지하고 - 점착성 제 1 층을 가진 제공된 캐리어의 전면은 제 1 층을 전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착시키기 위해 고온의 박리면 상에 놓임 -, 그 후에
    상기 박리면으로부터 상기 캐리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 점착된 점착성 제 1 층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고온 상태의 코팅을 가진 상기 캐리어를 제공하고, 상기 고온 코팅의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상기 캐리어와 상기 코팅 사이에 접합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캐리어 및 이것에 접합된 상기 코팅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코팅된 가요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캐리어를 제거하는 것은 인발력으로 접촉으로부터 캐리어를 당기는 것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온도는 상기 제 2 폴리머의 연화 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 1 온도는 상기 1 폴리머의 용융 온도 및 연화 온도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초과하고,
    상기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되고, 동시에 상기 인발력에 노출된 경우에 손상된 캐리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시간은 상기 고온의 박리면에 의한 열의 작용에 의한 상기 캐리어의 손상이 사전정의된 허용가능한 범위로 제한되도록 결정된 최소 시간보다 짧은,
    슬립방지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66. 슬립방지 포장 백 또는 포장 랩으로부터 선택되는 슬립방지 물품을 사용하는 포장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내용물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슬립방지 물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포장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립방지 물품으로 상기 내용물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따른 슬립방지 물품이 적어도 하나 제공되는,
    슬립방지 물품을 사용하는 포장 방법.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a) 25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크기의 입자를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제품 및 b) 냉동 식품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슬립방지 물품을 사용하는 포장 방법.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은 선박에서 수행되는,
    슬립방지 물품을 사용하는 포장 방법.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로서 플레이트 냉동된 해산물의 블록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2 개의 제 1 및 제 2 슬립방지 포장 백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백 내에 상기 블록을 채워넣어 상기 제 1 백과 이 백 내에 채워진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는 제 1 포장 및 상기 제 2 백과 이 백 내에 채워진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는 제 2 포장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장 및 제 2 포장은 스택 틸팅 시험(stack tilting test) 시에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되지 않고 스택 틸팅 시험을 통과하기에 적합한,
    슬립방지 물품을 사용하는 포장 방법.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장 및 제 2 포장은 임의의 하나의 스택 틸팅 시험 시에, 상기 스택 틸팅 시험들 사이에서 상기 제 2 포장이 상기 제 1 포장으로부터 수평 속도로 당겨지는 경우,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되지 않고 2 회의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스택 틸팅 시험을 통과하기에 적합한,
    슬립방지 물품을 사용하는 포장 방법.
  71.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주위에서 상기 포장 백 또는포장 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수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슬립방지 물품을 사용하는 포장 방법.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115. 삭제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120. 삭제
  121. 삭제
  122. 삭제
  123. 삭제
  124. 삭제
  125. 삭제
  126. 삭제
  127. 삭제
  128. 삭제
  129. 삭제
  130. 삭제
  131. 삭제
  132. 삭제
  133. 삭제
  134. 삭제
  135. 삭제
  136. 삭제
  137. 삭제
  138. 삭제
  139. 삭제
  140. 삭제
  141. 삭제
  142. 삭제
  143. 삭제
  144. 삭제
  145. 삭제
  146. 삭제
  147. 삭제
  148. 삭제
  149. 삭제
  150. 삭제
  151. 삭제
  152. 삭제
  153. 삭제
  154. 삭제
  155. 삭제
  156. 삭제
  157. 삭제
  158. 삭제
  159. 삭제
  160. 삭제
  161. 삭제
  162. 삭제
  163. 삭제
  164. 삭제
  165. 삭제
  166. 삭제
  167. 삭제
  168. 삭제
  169. 삭제
  170. 삭제
  171. 삭제
  172. 삭제
  173. 삭제
  174. 삭제
  175. 삭제
  176. 삭제
  177. 삭제
  178. 삭제
  179. 삭제
  180. 삭제
  181. 삭제
  182. 삭제
  183. 삭제
  184. 삭제
  185. 삭제
  186. 삭제
  187. 삭제
  188. 삭제
  189. 삭제
  190. 삭제
  191. 삭제
  192. 삭제
  193. 삭제
  194. 삭제
  195. 삭제
  196. 삭제
  197. 삭제
  198. 삭제
  199. 삭제
  200. 삭제
  201. 삭제
  202. 삭제
  203. 삭제
KR1020187037488A 2016-05-26 2017-04-20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KR102258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1600341A HUP1600341A2 (en) 2016-05-26 2016-05-26 Antislip flexible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ir making and use
HUP1600341 2016-05-26
PCT/HU2017/000029 WO2017203306A1 (en) 2016-05-26 2017-04-20 Antislip flexible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ir making and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906A KR20190013906A (ko) 2019-02-11
KR102258432B1 true KR102258432B1 (ko) 2021-05-31

Family

ID=8999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488A KR102258432B1 (ko) 2016-05-26 2017-04-20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2) US11529647B2 (ko)
EP (1) EP3463805B1 (ko)
JP (1) JP6937825B2 (ko)
KR (1) KR102258432B1 (ko)
CN (1) CN109689339B (ko)
AR (1) AR108593A1 (ko)
AU (1) AU2017271019B2 (ko)
BR (1) BR112018074263B1 (ko)
CA (1) CA3025625A1 (ko)
CO (1) CO2018013798A2 (ko)
DK (1) DK180251B1 (ko)
ES (1) ES2907726T3 (ko)
HU (2) HUP1600341A2 (ko)
MA (1) MA45094B1 (ko)
MX (1) MX2018014477A (ko)
PH (1) PH12018502466A1 (ko)
PL (1) PL3463805T3 (ko)
PT (1) PT3463805T (ko)
RS (1) RS62992B1 (ko)
RU (1) RU2727481C2 (ko)
SA (1) SA518400507B1 (ko)
TW (1) TWI781103B (ko)
WO (1) WO2017203306A1 (ko)
ZA (1) ZA2018079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0005845A (es) * 2017-12-06 2020-10-05 Twe Meulebeke Proceso para fabricar un material en lamina no tejido que tiene una capa impermeable en un lado y un recubrimiento antideslizante en el otro lado.
WO2019197851A1 (en) 2018-04-12 2019-10-17 Flexinnova Kft Process for forming a transportable stack, transportable stack and process for transporting a transportable stack
US20190337679A1 (en) * 2018-05-02 2019-11-07 Rolanda Gontz Easy open disposable bag
CN112805138A (zh) * 2018-10-02 2021-05-14 东洋制罐集团控股株式会社 拒液性塑料成形体及其生产方法
KR102104745B1 (ko) * 2019-04-29 2020-04-24 이은진 유아용 턱받이 및 그 제조방법
CN113905953B (zh) * 2019-05-31 2023-05-30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的包装构造体
EP4107224A4 (en) * 2020-02-18 2024-05-29 Polymer Solutions Int Inc METHOD FOR ADDING A SURFACE ENHANCEMENT TO A THERMOPLASTIC ARTICLE
CN111483196B (zh) * 2020-04-09 2022-11-04 广州新文塑料有限公司 一种三层共挤重包装膜及其制备方法
CN111976258A (zh) * 2020-06-30 2020-11-24 嘉兴恒美服饰有限公司 一种具有防滑功能的粘衬装置
CA3194945A1 (en) * 2020-10-13 2022-04-21 Gregory Berguig Paper recyclable heat sealable bag
CN112497885B (zh) * 2020-11-30 2023-03-24 重庆鼎盛印务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蒸煮袋的复合工艺
CN115906316B (zh) * 2022-11-21 2023-09-22 江苏科技大学 一种对基体无负面力学影响的核壳载体设计与制备方法
CN115783456B (zh) * 2023-02-02 2024-01-30 康美包(苏州)有限公司 包装容器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6825A1 (en) * 2004-05-27 2008-01-24 Mandzsu Jozsef Sr Packaging Methods And Packaging Matreials For Fine Powders
US20080140043A1 (en) 2005-03-11 2008-06-12 Zoltan Mandzsu Methods For Making Fastener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7223A (en) 1955-10-19 1959-12-15 Cromwell Paper Co Non-slip bag
US3283992A (en) 1964-04-17 1966-11-08 Union Carbide Canada Ltd Embossed anti-skid bags
SU735422A1 (ru) * 1978-03-22 1980-05-25 Уфимский Завод Резиновых Техн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м. М.В.Фрунз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шероховки листовых заготовок из эласти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S56169067A (en) * 1980-05-30 1981-12-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anufacture of coarse surface film
DE3437414C2 (de) 1984-10-12 1994-08-04 Nordenia Verpackung Gmbh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als Folienbahn vorliegenden Kunststoffolien sowie bearbeitete Kunststoffolie
FI82820C (fi) * 1987-08-18 1991-04-25 Ahlstroem Oy Friktionsyta foer foerpackningsfolie eller annan yta.
JPH0717008B2 (ja) * 1991-03-28 1995-03-01 龍 西村 表面被覆用プラスチックパウダ付着フイルムとその表面被覆方法および装置
PL335109A1 (en) * 1997-02-05 2000-04-10 Jozsef Mandzsu Sr Method of giving roughness to surfaces of thermoplastic plastic films and system for reducing slippage of such foils
DE19856223B4 (de) * 1998-12-04 2004-05-13 Advanced Design Concept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strukturierten, voluminösen Vliesbahn oder Folie
JP2002537083A (ja) * 1999-02-25 2002-11-0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不連続ステム領域を有するウェブ
DE19938828A1 (de) 1999-08-19 2001-03-01 F & B Verpackungen Gmbh Papier- oder Kunststoffsack mit rutschhemmender Beschichtung
ES1046177Y (es) * 2000-05-09 2001-05-01 Algotop S L Elemento adherente, con propiedades de antideslizamiento.
US6835686B2 (en) * 2001-07-05 2004-12-28 Millennium Specialty Chemicals Catalyst system and process for rearrangement of epoxides to allylic alcohols
US7044989B2 (en) * 2002-07-26 2006-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product,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HUP0202948A2 (hu) 2002-09-05 2004-05-28 József Mandzsu Csúszásmentes csomagolási eljárás és csúszásmentes fagyasztott csomag
DE60317539T2 (de) 2002-09-26 2008-10-23 Marko I.R.D.C. Inc., Saint Leonard Elastischer film mit gleitschutzadditiv
HUP0500291A2 (en) * 2005-03-11 2006-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Fasteners, methods for making fasteners and use of fasteners in products
US7636988B2 (en) * 2006-09-11 2009-12-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for making fasteners
EP2679112A1 (en) * 2012-06-26 2014-01-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fasteners and precursor webs, a fastener and a precursor web
DE102014208249A1 (de) * 2014-04-30 2015-11-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rfolien oder plattenförmigen Elementen aus Polymer
HUP1600339A2 (en) * 2016-05-26 2017-12-28 Flexinnova Kft Frozen fish block package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using the packag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6825A1 (en) * 2004-05-27 2008-01-24 Mandzsu Jozsef Sr Packaging Methods And Packaging Matreials For Fine Powders
US20080140043A1 (en) 2005-03-11 2008-06-12 Zoltan Mandzsu Methods For Making Faste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8502466A1 (en) 2019-09-23
PT3463805T (pt) 2022-03-01
RU2018145725A3 (ko) 2020-06-26
BR112018074263A2 (pt) 2019-03-06
WO2017203306A1 (en) 2017-11-30
BR112018074263B1 (pt) 2023-05-16
US20190299248A1 (en) 2019-10-03
HUP1600341A2 (en) 2017-11-28
MA45094A (fr) 2021-03-24
AU2017271019B2 (en) 2022-08-04
JP2019519371A (ja) 2019-07-11
US20220008954A2 (en) 2022-01-13
EP3463805A1 (en) 2019-04-10
RS62992B1 (sr) 2022-03-31
KR20190013906A (ko) 2019-02-11
CA3025625A1 (en) 2017-11-30
DK201870829A1 (en) 2019-02-01
MX2018014477A (es) 2019-06-06
SA518400507B1 (ar) 2023-01-19
MA45094B1 (fr) 2022-03-31
RU2018145725A (ru) 2020-06-26
RU2727481C2 (ru) 2020-07-21
US20220055066A1 (en) 2022-02-24
TW201801997A (zh) 2018-01-16
AR108593A1 (es) 2018-09-05
AU2017271019A1 (en) 2019-01-17
JP6937825B2 (ja) 2021-09-22
CN109689339B (zh) 2021-11-16
CO2018013798A2 (es) 2019-03-08
HUE058208T2 (hu) 2022-07-28
PL3463805T3 (pl) 2022-04-11
TWI781103B (zh) 2022-10-21
EP3463805B1 (en) 2021-12-22
ZA201807950B (en) 2020-05-27
US11529647B2 (en) 2022-12-20
ES2907726T3 (es) 2022-04-26
DK180251B1 (en) 2020-09-15
CN109689339A (zh)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432B1 (ko) 슬립방지 가요성 재료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TWI734786B (zh) 防滑可熱密封塑膠撓性包裝袋及其製造方法與設備
EP0089680A2 (en) Reclosable container having anti-slip flanges facilitating opening and handling
US20030211270A1 (en) Pressure sensitive food grade wrap film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uch a film
US6124032A (en) Pressure sensitive heat activated filmic adhesive tape
CA2280091C (en) Process of roughening thermoplastic films and roughed plastic films
US20140034539A1 (en) Film for wrapping,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20050136219A1 (en) Plastic film
NL2030885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embossed polymer film
JP2022157535A (ja) 包装材料
CA2597766C (en) Plastic film
JPS645545B2 (ko)
EP1322464A1 (en) Pressure sensitive heat activated filmic adhesive tape
JPS634530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