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851B1 -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851B1
KR102251851B1 KR1020167021807A KR20167021807A KR102251851B1 KR 102251851 B1 KR102251851 B1 KR 102251851B1 KR 1020167021807 A KR1020167021807 A KR 1020167021807A KR 20167021807 A KR20167021807 A KR 20167021807A KR 102251851 B1 KR102251851 B1 KR 10225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stretching
composite film
film
stre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447A (ko
Inventor
히로시 이나자와
쿠니히로 세이케
쇼고 야마모토
카오리 히라고오리
켄이치 후지사와
Original Assignee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8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19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29C48/9155Pressu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2949/7815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성형용 다이스(220)의 용융 압출에 의해, 필름의 폭 방향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필름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100)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가열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 가열 연신 전의 복합 필름(100)의 폭 방향의 절단면 중 제1 단부의 단면적을 A1[㎡], 제2 단부의 단면적을 A2[㎡]로 하고, 가열 연신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파지 부재의 정지 마찰 계수를 μ로 하며, 파지 부재에 의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의 파지력을 F[N]로 하고, 제2 열가소성 수지의 가열 연신시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을 σ[N/㎡]로 한 경우,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16077377002-pct00004

Description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STRETCHED FILM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신 필름을 제조하려면, 재료가 되는 필름을 준비하여, 준비한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이 이용되며,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으로서는, 필름의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가열로 내로 반송하여, 가열로 내에서 필름의 양단부를 파지하고 있는 클립에 의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동시에 가열 연신을 행하는 동시 이축 연신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동시 이축 연신법에서는, 가열로 내에서 필름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필요한 연신 배율까지 가열 연신시키나, 필름을 연신시킬 때, 클립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인 필름의 양단부에 큰 응력이 가해짐으로써 양단부에 금이 생겨, 이를 계기로 필름 전체가 파단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가열 연신시의 필름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클립에 의해 파지되는 양단부를 본래 얻으려 하는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보다 강도가 높은 수지로 보강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에, 필름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보다 가열 연신시의 연신 응력값이 큰 열가소성 수지로 양단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보강 필름을 이용하여, 이러한 보강 필름을 가열 연신함으로써 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4951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필름 양단부의 가열 연신시의 연신 응력값이 너무 크기 때문에, 클립에 의해 양단부를 파지하여 잡아당길 때, 필름의 양단부를 충분히 연신하지 못해, 클립이 빠지거나 필름의 파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기술은 필름 양단부의 가열 연신시의 연신 응력값을 크게 하기 위해, 필름 양단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필름 중앙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고 있다. 이때, 필름 양단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필름 중앙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의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예를 들면, 유리 전이 온도의 차이가 35℃ 이상), 가열 연신을 행할 때 가열로 내의 가열 온도를 필름의 중앙부의 유리 전이 온도 부근으로 설정하면, 가열로 내의 가열 온도가 필름의 양단부의 유리 전이 온도에 비해 너무 낮아지고, 그 때문에 양단부가 충분히 연화되지 않아 클립에 의해 양단부를 파지하여 잡아 당길 때, 클립이 빠지거나 필름의 파단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한 것으로, 필름의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가열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 클립 빠짐 및 필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 및 품질이 우수한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필름의 폭 방향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필름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을 이용하여, 이러한 복합 필름을 가열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 가열 연신 전의 복합 필름의 폭 방향의 단면 중, 제1 단부의 단면 및 제2 단부의 단면을 소정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조정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와는 다른 제2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용 다이스로부터 용융 공압출한 후에 냉각하여 고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폭 방향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단부, 및 상기 중앙부의 폭 방향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복합 필름을 형성하는 복합 필름 형성 공정; 및 가열 조건하에서 복수의 파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 필름을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복합 필름을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 가열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형성하는 연신 공정;을 가지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가열 연신 전의 상기 복합 필름의 폭 방향의 절단면 중 상기 제1 단부의 단면적을 A1[m2], 상기 제2 단부의 단면적을 A2[m2]로 하고, 가열 연신시의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파지 부재의 정지 마찰 계수를 μ로 하고, 상기 파지 부재에 의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파지력을 F[N]로 하며,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의 가열 연신시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을 σ[N/m2]로 한 경우, 하기 식 (1) 및 (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Figure 112016077377002-pct00001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보다 가열 연신시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용융 공압출에 의해 상기 복합 필름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가열 연신시의 파단 신장율이, 상기 연신 공정에서 가열 연신을 행할 때의 연신 배율보다 커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보다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연신 공정에서 가열 연신을 행할 때의 가열 온도는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름 형성 공정에서, 성형용 다이스에 의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압출량에 대한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압출량을 조정함으로써, 형성하는 상기 복합 필름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단면적(A1) 및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단면적(A2)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 전, 상기 복합 필름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한 상기 복합 필름에서 상기 제1 단부의 일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거 공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용융 공압출에 의해 상기 복합 필름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이,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중앙부의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보다 커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에서 가열 연신을 행할 때, 각 상기 파지 부재의 파지 위치는 상기 중앙부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의 거리가 10mm 이내인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에서 상기 복합 필름의 가열 연신은, 상기 복합 필름의 길이 방향과 더불어 폭 방향으로도 연신하는 동시 이축 연신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에서의 상기 복합 필름의 가열 연신은, 상기 복합 필름의 가열 연신 후 상기 중앙부의 두께가 15 내지 50μm의 범위가 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을 가열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 적절히 가열 연신을 행할 수 있어, 생산성 및 품질이 우수한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복합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연신 공정에서 동시 이축 연신법에 의해 복합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연신 공정에서 클립에 의해 복합 필름을 파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복합 필름을 가열 연신할 때, 복합 필름의 넥크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복합 필름을 트리밍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를 140℃로 가열 연신했을 때의 연신 배율에 대응한 연신 응력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 제작한 복합 필름 및 연신 필름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서 제작한 복합 필름 및 연신 필름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3에서 제작한 복합 필름 및 연신 필름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 4에서 제작한 복합 필름 및 연신 필름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 5에서 제작한 복합 필름 및 연신 필름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1 열가소성 수지와는 다른 제2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용 T 다이스에 의해 용융 공압출함으로써 복합 필름을 형성하는 복합 필름 형성 공정, 및 이 복합 필름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가열 연신하는 연신 공정을 구비한다.
<복합 필름 형성 공정>
복합 필름 형성 공정은,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를 T 다이스로부터 용융 공압출함으로써 복합 필름(10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도 1은 복합 필름 형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합 필름(100)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110), 중앙부(110)의 폭 방향의 일단에 형성되는 단부(120a) 및 중앙부(110)의 폭 방향의 타단에 형성되는 단부(120b)로 구성되고, 중앙부(110)가 제1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단부(120a, 120b)가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얻는다. 한편, 복합 필름(100)의 중앙부(110)는 후술하는 연신 공정에 의해 가열 연신됨으로써 연신 필름이 되는 부분이다. 또한,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는 복합 필름(100)의 가열 연신을 행할 때 중앙부(110)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한 후,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복합 필름(100)을 절단할 때에는 중앙부(110)의 양단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양단부(120)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중앙부(110)의 양단의 일부도 제거하게 되지만, 후술하는 클립(310)으로 파지된 부분은 모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필름 형성 공정에서는, 우선,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 용융시킨 상태에서 피드 블록(210)을 통하여 T 다이스(220)에 공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피드 블록(210)에는 제1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압출하기 위한 제1 용융 압출기(도시 생략)와 제2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압출하기 위한 제2 용융 압출기(도시 생략)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용융 압출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단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를 각 용융 압출기에 의해 각각 융점(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로 용융 압출함으로써 피드 블록(210)에 공급한다.
한편, 피드 블록(210)으로부터,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를 T 다이스(220)에 공급할 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 다이스(220)에 의해 얻어지는 복합 필름(100)이, 제1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앙부(110)의 양단에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부(120a, 120b)가 각각 형성된 구성이 되도록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의 공급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피드 블록(210)에는, 제1 열가소성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 및 제1 열가소성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에 대해 T 다이스(220)의 폭 방향으로 양 옆에 제2 열가소성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드 블록(210)의 입구로부터 각각 유입시킨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는 피드 블록(210) 내에서 합류하여, 피드 블록(210)의 출구에서, T 다이스(220)의 폭 방향에 대해 중앙 부분에 제1 열가소성 수지가 흐르고, 이 제1 열가소성 수지의 양단 부분에 제2 열가소성 수지가 흐르는 형태로 유출시켜 T 다이스(220)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T 다이스(220)에서, 피드 블록(210)으로부터 공급된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가 T 다이스(220) 내에 마련된 매니폴드(221)에 의해 폭 방향(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가 나열되어 있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이에 따라, 다이스 립(222)으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공압출된다.
계속해서, 공압출된 시트상의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터치 롤(230) 및 냉각 롤(240)에 의해 끌어들이고 압착하여 냉각 및 고화시킴으로써, 제1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앙부(110)와, 중앙부(110)의 양단에 형성되며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부(120a, 120b)를 구비한 복합 필름(100)을 제작한다. 그리고, 제작된 복합 필름(100)은 복합 필름 권취 롤(도시 생략)에 의해 권취되며, 이에 따라 복합 필름(100)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연신 공정>
연신 공정은 복합 필름 형성 공정에 의해 얻어진 복합 필름(100)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가열 연신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도 2는 연신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신 공정에서는 상술한 복합 필름 권취 롤로부터 복합 필름(100)을 송출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클립(310)으로 파지하면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동시 이축 연신법에 의해 복합 필름(100)의 가열 연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연신 공정에서는 복합 필름 권취 롤로부터 복합 필름(100)을 연속적으로 송출하고, 복수의 클립을 이용해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각각 일정 간격마다 파지하며, 각 클립(310)에 의해 복합 필름(100)을 연신로(320) 내로 반송하고, 연신로(320) 내에서 각 클립(310)에 의해 복합 필름(100)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잡아당겨 연신한다. 이때, 복합 필름(100)은 클립(310)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반송됨으로써 연신로(320) 내를 통과하게 되어 있으며, 연신로(320) 내의 예열존에서 복합 필름(100)은 이를 구성하는 중앙부(110)에서의 제1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10℃ 내지 30℃정도 높은 온도까지 예비 가열된 후, 연신로(320) 내의 연신존에서, 보열(保熱)된 상태로 클립(310)에 의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연신된다.
이때, 연신로(320) 내의 가열 온도를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단부(120a, 120b)의 연신성을 적당히 저하시킬 수 있어,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할 때, 후술하는 복합 필름(100)의 넥크인(단부(120a, 120b)가 폭 방향으로 수축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연신 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 가열 연신된 복합 필름(100)을 연신로(320) 내의 연신존에 이어지는 냉각 열고정존에서 냉각 및 고화됨으로써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 후, 클립(310)을 개방하고 롤에 권취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파지하는 클립(3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 본체(311)와 핀(313)을 지지점으로 하여 선회 가능한 레버(312)와 파지부(314)로 구성되어 있다. 이 클립(310)에서는, 레버(312)를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파지부(314)의 위치가 내려가 복합 필름(100)을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이러한 클립(310)에 의해 파지되는 복합 필름(100)에 대해서는,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단부(120a, 120b)의 잉여 부분, 즉, 도 3에서 파선 및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120a, 120b)에서 파지부(314)의 파지 위치로부터 폭 방향 내측이 되는 부분을 1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복합 필름 형성 공정에서 제작하는 복합 필름(100)에서, 보강 부재로서의 단부(120a, 120b)의 폭을 작게 할 수 있어, 단부(120a, 120b)를 구성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신 필름을 제작할 때 비용적으로 유리해진다.
한편, 이때, 클립(310)의 파지부(314)에 의해 중앙부(110)와 단부(120a)의 경계 부분이나, 중앙부(110)와 단부(120b)의 경계 부분을 파지할 수도 있다. 즉, 클립(310)의 파지부(314)에 의해, 단부(120a, 120b)뿐만 아니라 중앙부(110)의 일부까지 파지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신로(320) 내를 통과하도록 이와 같은 클립(310)이 이동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은, 도 2에 나타낸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를 파지하는 클립(310)의 위치와 단부(120b)를 파지하는 클립(310)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연신로(320) 내의 예열존에서는 서로 평행하고, 연신존에서는 복합 필름(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멀어져 냉각 열고정존에서는 다시 서로 평행이 되고 있다. 또는, 냉각 열고정존에서는, 연신존에서 가열 연신된 연신 필름의 고화시의 수축분을 고려하여, 냉각 열고정존 내에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의 거리를, 연신존의 출구쪽에서의 연신 필름의 폭을 기준으로 하여 폭 방향으로 수 % 정도 접근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를 파지한 클립(310), 및 단부(120b)를 파지한 클립(310)이 각각 이러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복합 필름(100)을 반송 및 연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클립(310)을 이용하여, 연신로(320) 내의 연신존에서 복합 필름(100)을 연신한다. 즉, 연신로(320) 내의 연신존에서,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를 파지한 클립(310), 및 단부(120b)를 파지한 클립(310)을 각각 가이드 레일을 따라 폭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하여 이동시키고, 아울러 클립(310)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복합 필름(100)의 중앙부(110) 및 단부(120a, 120b)가 각각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필요한 연신 배율이 될 때까지 가열 연신된다. 그리고, 가열 연신된 복합 필름(100)은 연신로(320) 내의 냉각 열고정존에서 냉각 및 고화되어 연신로(320)의 밖에 마련된 롤에 의해 권취되며,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신 공정과 복합 필름 형성 공정을 일관된 연속 라인(공정)으로 하여 연신 필름을 얻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합 필름 형성 공정에 의해 제1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앙부(110)와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부(120a, 120b)를 구비한 복합 필름(100)을 형성하고, 연신 공정에 의해 복합 필름(100)의 중앙부(110) 및 단부(120a, 120b)를 가열 연신함으로써,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하기 전, 가열 연신 전의 복합 필름(100)의 폭 방향의 단면 중, 단부(120a, 120b)의 단면적을 소정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조정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합 필름(100)의 폭 방향의 단면 중, 단부(120a)의 단면적을 A1[m2], 단부(120b)의 단면적을 A2[m2]로 하고,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와 클립(310)의 정지 마찰 계수를 μ로 하고, 클립(310)에 의한 단부(120a, 120b)의 파지력(수직 하중)을 F[N]로 하며, 단부(120a, 120b)를 구성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의 가열 연신시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을 σ[N/m2]로 한 경우,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을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하도록 조정한다.
Figure 112016077377002-pct00002
여기서, 상기의 연신 응력값(σ)은 단부(120a, 120b)를 가열 연신하는데 필요한 인장 하중을 나타내며, 단부(120a, 120b)를 구성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에 따른 물성값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할 때, 상술한 단면적(A1) 및 단면적(A2)이 작아질수록, 또는 가열 연신시 제2 열가소성 수지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σ)이 작아질수록 단부(120a, 120b)는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기 쉬워지고, 이에 따라 가열 연신시 클립(310) 빠짐 및 복합 필름(100)의 파단이 억제된다. 또한,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할 때에는 단부(120a, 120b)와 클립(310)의 정지 마찰 계수(μ), 및 클립(310)에 의한 파지력(수직 하중)(F)이 높을수록, 클립(310)에 의한 단부(120a, 120b)의 파지가 강고해져, 가열 연신시의 클립(310) 빠짐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를 조정하여 단면적(A1) 및 단면적(A2)을, 상술한 연신 응력값(σ), 정지 마찰 계수(μ) 및 파지력(F)의 관계에서 상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가열 연신시의 클립(310) 빠짐 및 복합 필름(100)의 파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어, 연신 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을 상기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조정함으로써, 단부(120a, 120b)를 구성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나, 상술한 연신 응력값(σ)이 보다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열 연신시의 복합 필름(100)의 넥크인을 억제할 수 있어, 얻어지는 연신 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복합 필름(100)을 동시 이축 연신법에 의해 가열 연신할 때,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10)과 클립(310) 사이에서 단부(120a, 120b)가 폭 방향으로 수축하는 넥크인이라고 불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여기서,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구성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나, 상술한 연신 응력값(σ)이 중앙부(110)를 구성하는 제1 열가소성 수지와 동일한 정도이거나 그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경우, 단부(120a, 120b)는 폭 방향으로 수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이러한 넥크인은 보다 현저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넥크인이 발생하면, 얻어지는 연신 필름에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120a, 120b)의 폭 방향 내측으로 들어가는 양이 커진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신 필름에서 단부(120a, 120b)의 부분을 절단 및 제거하여 중앙부(110)로만 이루어지는 필름을 얻으려는 경우, 복합 필름(100)을 폭 방향보다 내측으로 절단할 필요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얻어지는 필름(중앙부(110)로만 이루어지는 필름)의 폭이 좁아져, 그 필름의 제조 수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넥크인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중앙부(110)로만 이루어지는 필름의 두께나 배향이 분산되어, 얻어지는 필름의 품질이 저하되는 경향도 있다.
이에 대해,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구성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나, 상술한 연신 응력값(σ)이 비교적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단부(120a, 120b)가 폭 방향으로 수축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의 넥크인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신 필름에서의 단부(120a, 120b)의 부분을 절단 및 제거하여 중앙부(110)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얻으려는 경우, 제거하는 폭을 작게 할 수 있고, 중앙부(110)로만 이루어지는 필름의 두께 및 배향이 균일하며, 폭이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필름의 품질 및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단부(120a, 120b)를 구성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나, 상술한 연신 응력값(σ)이 비교적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경우,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할 때 단부(120a, 120b)의 연신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단부(120a, 120b)를 파지한 클립(310)이 빠지기 쉬워, 단부(120a, 120b)가 찢어져 복합 필름(100)이 파단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부(120a, 120b)를 구성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나 상술한 연신 응력값(σ)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도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을 상기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조정함으로써, 단부(120a, 120b)의 연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연신시의 클립(310) 빠짐 및 및 복합 필름(100)의 파단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열 연신시의 복합 필름(100)의 넥크인을 억제하면서 연신 필름의 생산성을 유효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을 상기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T 다이스(220)에 의한 용융 압출에 의해 복합 필름(100)을 제작할 때, 피드 블록(210)으로부터 T 다이스(220)에 대한 제2 열가소성 수지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T 다이스(220)에 의한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압출량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T 다이스(220)에 의한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압출량을 조정하는 간편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을 상기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복합 필름(100)을 제작한 후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작한 복합 필름(100)의 양단을 커터(250)에 의해 트리밍함으로써 단부(120a, 120b)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필름(100)을 트리밍하는 간편한 방법으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커터(250)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면도날이나, 원형의 상날과 하날을 교차시키면서 연속 회전시켜 전단에 의해 절단을 행하는 로터리 전단 커터, 고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액체 레이저 또는 기체 레이저 등을 사용한 레이저 커터를 이용할 수 있으나, 트리밍시 복합 필름(100)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트리밍시 복합 필름(100)에 대한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레이저 커터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합 필름(100)을 트리밍할 때,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가열하면서 트리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부(120a, 120b)의 측면을 평활하게 만들 수 있고,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할 때 단부(120a, 120b)의 측면이 엉성함에 기인하여 단부(120a, 120b)의 측면 일부에 응력이 집중함에 따른 단부(120a, 120b)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이를 계기로 한 복합 필름(10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중앙부(110)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열가소성 수지는, 필요로 하는 연신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 선택하면 되며,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PMMA),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CO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120a, 120b)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제1 열가소성 수지보다 유리 전이 온도나, 가열 연신시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σ)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할 때 단부(120a, 120b)의 넥크인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얻어지는 연신 필름에 대해 단부(120a, 120b)의 부분을 제거하여 중앙부(110)로만 이루어지는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중앙부(110)로만 이루어지는 필름의 품질 및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단부(120a, 120b)를 구성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나, 상술한 연신 응력값(σ)이 비교적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경우, 단부(120a, 120b)의 연신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복합 필름(100)의 가열 연신시 클립(310)에 의해 단부(120a, 120b)를 파지하여 잡아당길 때 클립 빠짐이나 필름의 파단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120a, 120b)를 구성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나, 상술한 연신 응력값(σ)이 비교적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도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를 상기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조정함으로써, 가열 연신시의 클립(310) 빠짐 및 복합 필름(100)의 파단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나, 상술한 연신 응력값(σ)이 비교적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가열 연신시 복합 필름(100)의 넥크인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얻어지는 복합 필름(100)에 대해,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부는(120a, 120b)의 가열 연신시의 파단 신장율이, 상술한 연신 공정에서 가열 연신을 행할 때의 연신 배율보다 커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파단 신장율은 단부(120a, 120b)를 파단될 때까지 연신했을 때, 연신 전의 치수에 대한 신장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에 따라,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할 때 단부(120a, 120b)를 적절히 연신할 수 있어 복합 필름(100)의 파단을 보다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얻어지는 가열 연신 전의 복합 필름(100)에 대해, 중앙부(110)보다 단부(120a, 120b)가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이 높아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은 10 내지 30℃정도의 상온 환경 하에서, 중앙부(110)나 단부(120a, 120b)를 파단될 때까지 연신했을 때, 연신 전의 치수에 대한 신장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에 따라,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할 때, 중앙부(110)보다 단부(120a, 120b)가 파단되기 어려워지고, 단부(120a, 120b)에서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여 복합 필름(100) 전체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상술한 관점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제1 열가소성 수지에 아크릴 수지를 이용한 경우,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COP) 등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상술한 제1 열가소성 수지에 연신 필름의 생산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소량의 고무 탄성 입자를 첨가한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제1 열가소성 수지보다 유리 전이 온도가 높고, 그 차이가 10℃ 초과인 열가소성 수지(내열성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 제1 열가소성 수지보다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열가소성 수지(저온 용융성 열가소성 수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이러한 혼합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내열성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PC),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COP)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저온 용융성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에틸렌(PE), 제1 열가소성 수지보다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PEs),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중 얻어지는 혼합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조정하기 쉬운 점에서, 내열성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PC)를 이용하고, 저온 용융성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하는 방법으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필름(100)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양방향으로 가열 연신하는 동시 이축 연신법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합 필름(100)을 길이 방향으로만 일축 연신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복합 필름(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열 연신은, 도 2에 나타내는 동시 이축 연신법과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즉,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클립(310)으로 파지하면서 연신로(320) 내로 반송하고, 그 후, 연신로(320) 내에서,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파지하고 있는 각 클립(310)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클립(310)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길이 방향으로만 가열 연신을 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동시 이축 연신을 행하는 경우나 길이 방향으로만 일축 연신을 행하는 경우 모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클립(310)으로 파지하면서 연신을 행함으로써,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순차 이축 연신법과 비교하여 연신 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더욱 품질이 우수한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순차 이축 연신법은, 도 1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제작된 복합 필름(100)을 우선 길이 방향으로 가열 연신하고, 그 후 폭 방향으로 가열 연신을 행하는 방법이다. 순차 이축 연신법에서는, 복합 필름(100)을 복수의 롤에 의해 반송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가열 연신한 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클립(310)으로 파지하면서 폭 방향으로 가열 연신한다.
여기서, 순차 이축 연신법에서 복합 필름(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하여 이루어진다. 즉, 순차 이축 연신법에 의하면, 복합 필름(100)을 미리 가열된 복수의 예열 롤에 의해 반송하면서 단부(120a, 120b)의 유리 전이 온도 정도까지 예비 가열하고, 예비 가열한 복합 필름(100)을 적외선 히터 등에 의해 단부(120a, 120b)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10 내지 30℃ 정도 높은 온도까지 더 가열하면서, 연속적으로 냉각 롤에 의해 반송한다. 이때, 냉각 롤에 의한 반송 속도를 예열존 롤에 의한 반송 속도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예열존 롤과 냉각 롤 사이에 장력이 발생하고, 이 장력을 이용하여 복합 필름(100)을 길이 방향으로 필요한 연신 배율까지 연신시킨다.
여기서, 순차 이축 연신법에서는, 복합 필름(100)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할 때 복합 필름(100)의 표면이 예열 롤 및 냉각 롤에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복합 필름(100)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의 외관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순차 이축 연신법에서는, 복합 필름(100)을 길이 방향으로 가열 연신할 때,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가 클립 등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복합 필름(100)이 열에 의해 폭 방향으로 수축되어 연신 필름의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합 필름(100)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을, 상술한 동시 이축 연신법 또는 상술한 길이 방향으로만 일축 연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행함으로써(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클립(310)으로 파지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신을 행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행함으로써), 롤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연신 후의 복합 필름(100)의 표면의 스크래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 연신된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에 대해,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외관 품질의 요구가 까다로운 광학 필름 등에 매우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합 필름(100)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할 때,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클립(310)으로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복합 필름(100)에 대해 열에 의한 폭 방향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어 연신 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복합 필름(100)의 중앙부(110)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열가소성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유리 전이 온도(Tg1): 123℃,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 5%)를 준비하고,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PC)(유리 전이 온도(Tg2): 143℃,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 170%)를 준비하였다.
여기서,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서,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해 측정하고,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은 인장 시험기(주식회사 오리엔테크제, 제품 번호: RTC-1210A)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하의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였다.
또한,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서는, 각각 두께 100μm의 단일 필름을 제작한 후, 140℃까지 가열한 상태에서 서서히 연신했을 때의 연신 응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6의 (A)에 나타낸다. 여기서, 도 6의 (A)에서는, 연신 배율(연신 전의 단일 필름의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어느 일방향으로 연신 전 치수의 몇 %만큼 연신시켰는지를 나타내는 값)에 대해서, 그 연신 배율까지 연신하는데 필요한 연신 응력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의 (A)에서는, 제1 열가소성 수지의 측정 결과를 중앙부(110)로 하고,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측정 결과를 단부(120a, 120b)로 하고 있다.
계속해서, 준비한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를 각각 이축 압출기에 의해 피드 블록(210)에 공급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이하의 조건으로 복합 필름(100)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제작한 복합 필름(100)은 양단을 30mm씩 트리밍하였다. 트리밍 후의 복합 필름(100)은 전체폭이 270mm이며, 그 중 단부(120a, 120b)의 폭이 복합 필름(100)의 양단으로부터 각 10mm였다. 또한, 복합 필름(100)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관찰한바, 단부(120a)의 단면적(A1)은 1.78×10-6㎡, 단부(120b)의 단면적(A2)은 1.79×10-6㎡였다.
T 다이스(220) 출구의 폭 방향 치수: 380mm
냉각 롤(240)의 회전 속도: 8mpm
피드 블록(210)에 대한 제1 열가소성 수지의 공급량: 20kg/hr
피드 블록(210)에 대한 제2 열가소성 수지의 공급량: 5kg/hr
그리고, 제작한 복합 필름(100)에 대해, 폭 방향의 위치에 대한 두께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7의 (A) 및 (B)에 나타낸다. 한편, 도 7의 (A) 및 (B)에 각각 나타낸 복합 필름(100)의 그래프는 동일한 것이다.
계속해서, 얻어진 복합 필름(100)을 클립(310)에 의해 파지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시 이축 연신법에 의해, 이하의 조건으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가열 연신하고, 그 후 롤에 의해 권취함으로써 연신 필름을 연속적으로 얻었다. 한편,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제2 열가소성 수지)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σ)은 23.6MPa(도 6의 (A)에 나타내는 단부(120a, 120b)의 연신 응력 중, 연신 배율 100%까지에서의 최대값)이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하고 있는 동안, 클립(310) 빠짐 및 복합 필름(100)의 파단은 발생하지 않았다.
클립(310)에 의한 파지력(수직 하중)(F): 200N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와 클립(310)의 정지 마찰 계수(μ): 0.40
가열 연신하기 전의 입구측 속도: 1mpm
가열 연신한 후의 출구측 속도: 2mpm
연신 배율: 길이 방향100%×폭 방향100%(길이 방향 2배×폭 방향 2배)
클립(310) 파지 폭: 복합 필름(100)의 단부로부터 20mm의 폭
예열존 온도, 거리: 140℃, 350mm
연신존 온도, 거리: 140℃, 500mm
냉각 열고정존 온도, 거리: 90℃, 700mm
한편,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식 (1) 및 식 (2)에 나타내는 μF/σ의 계산값은, 상술한 값을 이용하여 3.39×10-6㎡로 산출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단부(120a)의 단면적(A1)(1.78×10-6㎡),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1.79×10-6㎡)은 모두 이 μF/σ보다 작은 값이었다.
그리고, 얻어진 연신 필름에 대해 폭 방향의 두께 분포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7의 (A) 및 (B)에 나타낸다. 여기서, 도 7의 (A)는 클립(310)에 의한 파지부분을 통과하는 단면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7의 (A)에서는, 연신 필름의 양단 각 20mm의 영역(클립(310)으로 파지한 영역)은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도 7의 (B)는 인접하는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단면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을 통과하는 단면은, 연신 필름의 폭이 527mm(도 7의 (A)에 나타내는 연신 필름의 폭에 도시 생략한 양단 각 20mm를 더한 값)이며, 한편,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단면은 연신 필름의 폭이 509mm였기 때문에, 가열 연신시의 넥크인 폭은 이러한 연신 필름의 폭의 차이를 2로 나눈 값((527mm-509mm)/2)를 산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산출한 넥크인 폭은 8mm로 작은 값이며, 이에 따라 넥크인이 억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도 7(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 필름은 중앙 부분이 폭 460mm에 걸쳐 두께가 균일하여 품질이 우수한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PC) 85중량%에 대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5중량%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 수지(유리 전이 온도(Tg2): 132℃,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 40%)를 이용하고, 제작한 복합 필름(100)의 트리밍 폭을 양단으로부터 각 5mm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합 필름(100) 및 연신 필름을 얻고, 마찬가지로 두께를 측정하였다. 복합 필름(100) 및 연신 필름에 대해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도 8의 (A) 및 (B)에 나타낸다. 한편, 도 8의 (A)에서는, 연신 필름의 양단 각 20mm의 영역(클립(310)으로 파지한 영역)은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제2 열가소성 수지의 단일 필름의 연신 응력값의 측정도 행하였다. 결과를 도 6의 (A)에 나타낸다.
실시예 2에서는, 제작한 복합 필름(100)의 트리밍 후의 전체 폭이 315mm이며, 그 중 단부(120a, 120b)의 폭이 복합 필름(100)의 양단으로부터 각 30mm였다. 또한, 복합 필름(100)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관찰한바, 단부(120a)의 단면적(A1)은 4.44×10-6㎡, 단부(120b)의 단면적(A2)은 4.36×10-6㎡였다. 또한,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제2 열가소성 수지)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σ)은 4.4MPa(도 6의 (A)에 나타내는 단부(120a, 120b)의 연신 응력 중, 연신 배율 100%까지에서의 최대값)이며,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와 클립(310)의 정지 마찰 계수(μ)는 0.45였다.
한편,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식 (1) 및 (2)에 나타내는 μF/σ의 계산값은 상술한 값을 이용하여 20.45×10-6㎡로 산출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단부(120a)의 단면적(A1)(4.44×10-6㎡),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4.36×10-6㎡)은 모두 이μF/σ보다 작은 값이었다.
또한, 얻어진 연신 필름에서,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을 통과하는 단면은 연신 필름의 폭이 624mm(도 8의 (A)에 나타내는 연신 필름의 폭에 도시 생략한 양단 각 20mm를 더한 값)이며, 한편,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단면은 연신 필름의 폭이 591mm였기 때문에, 가열 연신시의 넥크인 폭((624mm-591mm)/2)은 16.5mm로 작은 값이며, 이에 따라 넥크인이 억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하고 있는 동안, 클립(310) 빠짐 및 복합 필름(100)의 파단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실시예 2에서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을 통과하는 부분은 중앙 부분이 폭 505mm에 걸쳐 두께가 균일하였으며,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부분이 폭 500mm에 걸쳐 두께가 균일하였기 때문에, 품질이 우수한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PC)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 수지(유리 전이 온도(Tg2): 132℃,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 270%)를 이용하고, 제작한 복합 필름(100)의 트리밍폭을 양단으로부터 각 10mm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합 필름(100) 및 연신 필름을 얻고, 마찬가지로 두께를 측정하였다. 복합 필름(100) 및 연신 필름에 대해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도 9의 (A) 및 (B)에 나타낸다. 한편, 도 9의 (A)에서는, 연신 필름의 양단 각 20mm의 영역(클립(310)으로 파지한 영역)은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제2 열가소성 수지의 단일 필름의 연신 응력값의 측정도 행하였다. 결과를 도 6의 (A)에 나타낸다.
실시예 3에서, 제작한 복합 필름(100)은 트리밍 후의 전체 폭이 257mm이며, 그 중 단부(120a, 120b)의 폭이 복합 필름(100)의 양단으로부터 각 20mm였다. 한편, 복합 필름(100)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관찰한바, 단부(120a)의 단면적(A1)은 3.59×10-6㎡, 단부(120b)의 단면적(A2)는 3.42×10-6㎡였다. 또한,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제2 열가소성 수지)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σ)은 9.6MPa(도 6의 (A)에 나타내는 단부(120a, 120b)의 연신 응력 중, 연신 배율 100%까지에서의 최대값)이며,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와 클립(310)의 정지 마찰 계수(μ)는 0.22였다.
한편, 실시예 3에서, 상기 식 (1) 및 식 (2)에 나타내는 μF/σ의 계산값은, 상술한 값을 이용하여 4.58×10-6㎡로 산출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단부(120a)의 단면적(A1)(3.59×10-6㎡),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3.42×10-6㎡)는 모두 이 μF/σ보다 작은 값이었다.
또한, 얻어진 연신 필름에서,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을 통과하는 단면은 연신 필름의 폭이 507mm(도 9의 (A)에 나타내는 연신 필름의 폭에 도시 생략한 양단 각 20mm를 더한 값)이며, 한편,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단면은 연신 필름의 폭이 487mm였기 때문에, 가열 연신시의 넥크인 폭((507mm-487mm)/2)은 10mm로 작은 값이며, 이에 따라, 넥크인 억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하고 있는 동안, 클립(310) 빠짐 및 복합 필름(100)의 파단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실시예 3에서는,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을 통과하는 부분은 중앙 부분이 폭 450mm에 걸쳐 두께가 균일하였고, 또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부분이 폭 430mm에 걸쳐 두께가 균일하였기 때문에, 품질이 우수한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4>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고무 탄성 입자를 첨가한 아크릴 수지(유리 전이 온도(Tg2): 125℃,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 8%)를 이용하고, 제작한 복합 필름(100)의 트리밍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합 필름(100) 및 연신 필름을 얻고, 마찬가지로 두께를 측정하였다. 복합 필름(100) 및 연신 필름에 대해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낸다. 한편, 도 10의 (A)에서는, 연신 필름의 양단 각 20mm의 영역(클립(310)으로 파지한 영역)은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제2 열가소성 수지의 단일 필름의 연신 응력값의 측정도 행하였다. 결과를 도 6의 (B)에 나타낸다. 한편, 도 6의 (B)는, 도 6의 (A)와 마찬가지로 제1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제2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한 단일 필름의 연신 응력값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6의 (A)와는 종축의 스케일을 달리 하고 있다.
실시예 4에서, 제작한 복합 필름(100)은 전체 폭이 301mm이며, 그 중 단부(120a, 120b)의 폭이 복합 필름(100)의 양단으로부터 각 35mm였다. 한편, 복합 필름(100)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관찰한바, 단부(120a)의 단면적(A1)은 6.46×10-6㎡, 단부(120b)의 단면적(A2)은 5.99×10-6㎡였다. 또한,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제2 열가소성 수지)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σ)은 1.78MPa(도 6의 (B)에 나타내는 단부(120a, 120b)의 연신 응력 중, 연신 배율 100%까지에서의 최대값)이며,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와 클립(310)의 정지 마찰 계수(μ)는 0.32였다.
한편, 실시예 4에서, 상기 식 (1) 및 식 (2)에 나타내는 μF/σ의 계산값은 상술한 값을 이용하여 35.96×10-6㎡로 산출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단부(120a)의 단면적(A1)(6.46×10-6㎡)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5.99×10-6㎡)는 모두 이 μF/σ보다 작은 값이었다.
그리고, 실시예 4에서는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하고 있는 동안, 클립(310) 빠짐 및 복합 필름(100)의 파단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얻어진 연신 필름에서는,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을 통과하는 단면은 연신 필름의 폭이 587mm(도 10의 (A)에 나타내는 연신 필름의 폭에, 도시 생략한 양단 각 20mm를 더한 값)이며, 한편,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단면은 연신 필름의 폭이 521mm였기 때문에, 가열 연신시의 넥크인 폭((587mm-521mm)/2)은 33mm가 되어,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넥크인 폭이 컸다.
<실시예 5>
복합 필름(100)의 단부(120a, 120b)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PC) 75중량%에 대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25중량%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 수지(유리 전이 온도(Tg2): 125℃,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 20%)를 이용하고, 제작한 복합 필름(100)의 트리밍을 행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합 필름(100) 및 연신 필름을 얻고, 마찬가지로 두께를 측정하였다. 복합 필름(100) 및 연신 필름에 대해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도 11의 (A) 및 (B)에 나타낸다. 한편, 도 11의 (A)에서, 연신 필름의 양단 각 20mm의 영역(클립(310)으로 파지한 영역)은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실시예 5에서는 제2 열가소성 수지의 단일 필름의 연신 응력값의 측정도 행하였다. 결과를 도 6의 (B)에 나타낸다.
실시예 5에서, 제작한 복합 필름(100)은 전체 폭이 309mm이며, 그 중 단부(120a, 120b)의 폭이 복합 필름(100)의 양단으로부터 각 35mm였다. 한편, 복합 필름(100)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관찰한바, 단부(120a)의 단면적(A1)은 2.47×10-6㎡이고, 단부(120b)의 단면적(A2)은 2.32×10-6㎡였다. 또한,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제2 열가소성 수지)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σ)은 1.87MPa(도 6의 (B)에 나타내는 단부(120a, 120b)의 연신 응력 중, 연신 배율 100%까지에서의 최대값)이며,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와 클립(310)의 정지 마찰 계수(μ)는 0.45였다.
한편, 실시예 5에서, 상기 식 (1) 및 (2)에 나타내는 μF/σ의 계산값은 상술한 값을 이용하여 48.13×10-6㎡로 산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단부(120a)의 단면적(A1)(2.47×10-6㎡),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2.32×10-6㎡)은 모두 이 μF/σ보다 작은 값이었다.
그리고, 실시예 5에서는 복합 필름(100)을 가열 연신하고 있는 동안, 클립(310) 빠짐 및 복합 필름(100)의 파단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얻어진 연신 필름에서는,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을 통과하는 단면은, 연신 필름의 폭이 603mm(도 11의 (A)에 나타내는 연신 필름의 폭에 도시 생략한 양단 각 20mm를 더한 값)이며, 한편,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10)에 의한 파지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단면은, 연신 필름의 폭이 544mm였기 때문에, 가열 연신시의 넥크인폭((603mm-544mm)/2)은 29.5mm가 되어,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넥크인 폭이 컸다.
<비교예 1>
제작한 복합 필름(100)의 트리밍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합 필름(100)을 얻었다.
비교예 1에서, 제작한 복합 필름(100)은 단부(120a, 120b)의 폭이 복합 필름(100)의 양단으로부터 각 40mm였다. 또한, 복합 필름(100)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관찰한바, 단부(120a)의 단면적(A1)은 12.04×10-6㎡, 단부(120b)의 단면적(A2)는 12.10×10-6㎡였다. 또한,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제2 열가소성 수지)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σ)은 23.6MPa이며, 가열 연신시의 단부(120a, 120b)와 클립(310)의 정지 마찰 계수(μ)는 0.40이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는, 상기 식 (1) 및 식 (2)에 나타내는 μF/σ의 계산값은 상술한 값을 이용하여 3.39×10-6㎡로 산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단부(120a)의 단면적(A1)(12.04×10-6㎡),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12.10×10-6㎡)은 모두 이 μF/σ보다 큰 값이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는, 복합 필름(100)의 가열 연신을 행하였을 때,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을 2배로 설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복합 필름(100)은 길이 방향으로 1.6배 밖에 연신되지 않았다. 이는, 가열 연신시, 복합 필름(100)에서의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이 너무 커, 단부(120a, 120b)의 연신성이 저하되고, 복합 필름(100)을 파지한 클립(310)이 미끄러진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가열 연신시에는 클립(310) 빠짐 및 복합 필름(100)의 파단도 발생하고, 또한 복합 필름(100)의 파단에 이르지 않은 부분도 클립(310)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백화(白化)되어, 적절하게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연신 전의 복합 필름(100)에서의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을 작게 하여, 상기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만족시킨 실시예 1 내지 5는 클립(310) 빠짐 및 복합 필름(100)의 파단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었기 때문에, 품질이 우수한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연신 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3은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비교적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가열 연신을 행할 수 있어, 가열 연신시 복합 필름(100)의 넥크인 폭을 작게 할 수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연신 전의 복합 필름(100)에서 단부(120a)의 단면적(A1) 및 단부(120b)의 단면적(A2)이 크고, 상기 식 (1) 및 식 (2)의 관계를 만족하지 않은 비교예 1은, 복합 필름(100)의 가열 연신시 클립(310)이 미끄러져 적절히 가열 연신을 행할 수 없으며, 또한 클립(310) 빠짐이나 복합 필름(100)의 파단도 발생하여 연신 필름의 생산성이 떨어졌다.
100…복합 필름 110…중앙부
120a, 120b…단부 130…경계부
210…피드 블록 220…T 다이스
230…터치 롤 240…냉각 롤
250…커터 310…클립
320…연신로

Claims (12)

  1.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와는 다른 제2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용 다이스로부터 용융 공압출한 후에 냉각하여 고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폭 방향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단부, 및 상기 중앙부의 폭 방향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미연신 복합 필름을 형성하는 복합 필름 형성 공정; 및
    가열 조건하에서 복수의 파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미연신 복합 필름을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미연신 복합 필름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가열 연신하는 동시 이축 연신을 행하여 연신 필름을 형성하는 연신 공정;을 가지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보다 가열 연신시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고,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보다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고,
    가열 연신 전의 상기 미연신 복합 필름의 폭 방향의 절단면 중 상기 제1 단부의 단면적을 A1[m2], 상기 제2 단부의 단면적을 A2[m2]로 하고, 가열 연신시의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파지 부재의 정지 마찰 계수를 μ로 하고, 상기 파지 부재에 의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파지력을 F[N]로 하며,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의 가열 연신시의 단위 단면적당 연신 응력값을 σ[N/m2]로 한 경우, 하기 식 (1) 및 (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Figure 112021040210330-pct00003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용융 공압출에 의해 상기 복합 필름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가열 연신시의 파단 신장율이, 상기 연신 공정에서 가열 연신을 행할 때의 연신 배율보다 커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연신 공정에서 가열 연신을 행할 때의 가열 온도는,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름 형성 공정에서, 성형용 다이스에 의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압출량에 대한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압출량을 조정함으로써, 형성하는 상기 복합 필름의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단면적(A1) 및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단면적(A2)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 전, 상기 복합 필름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한 상기 복합 필름에서 상기 제1 단부의 일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거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서 용융 공압출에 의해 상기 복합 필름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이,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중앙부의 상온에서의 파단 신장율보다 커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에서 가열 연신을 행할 때, 각 상기 파지 부재의 파지 위치는 상기 중앙부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의 거리가 10mm 이내인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에서의 상기 복합 필름의 가열 연신은, 상기 복합 필름의 가열 연신 후 상기 중앙부의 두께가 15 내지 50μm의 범위가 되도록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67021807A 2014-01-17 2015-01-13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251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06471 2014-01-17
JP2014006471A JP6338866B2 (ja) 2014-01-17 2014-01-17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PCT/JP2015/050671 WO2015108037A1 (ja) 2014-01-17 2015-01-13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447A KR20160108447A (ko) 2016-09-19
KR102251851B1 true KR102251851B1 (ko) 2021-05-12

Family

ID=5354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807A KR102251851B1 (ko) 2014-01-17 2015-01-13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38866B2 (ko)
KR (1) KR102251851B1 (ko)
CN (1) CN105916655B (ko)
WO (1) WO2015108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813B1 (ko) * 2019-04-24 2021-05-11 전일프라스틱(주) 롤 교환장치와 이를 이용한 롤 교환방법
CN113147012B (zh) * 2021-03-09 2022-09-02 复旦大学 聚四氟乙烯膜及其制备方法
TWI816118B (zh) * 2021-05-10 2023-09-21 日商芝浦機械股份有限公司 延伸膜製造裝置
CN117325443B (zh) * 2023-10-31 2024-05-14 湖北金德包装有限公司 一种卫品包装膜的均匀拉伸牵引加工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9511A (ja) 2006-12-15 2008-07-03 Toyo Kohan Co Ltd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2086433A (ja) 2010-10-19 2012-05-10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119A (ja) * 1994-10-19 1996-08-13 Diafoil Co Ltd 熱可塑性樹脂シート又はフイルムの製造方法
TWI281891B (en) * 2002-03-01 2007-06-01 Teijin Ltd Biaxially oriented multi-layered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CN101283026A (zh) * 2005-10-05 2008-10-08 帝人化成株式会社 熔融挤出薄膜及拉伸薄膜
BRPI0922267B1 (pt) * 2008-12-10 2019-10-15 Treofan Germany Gmbh & Co. Kg Método para produzir películas de propilen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9511A (ja) 2006-12-15 2008-07-03 Toyo Kohan Co Ltd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2086433A (ja) 2010-10-19 2012-05-10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34454A (ja) 2015-07-27
JP6338866B2 (ja) 2018-06-06
WO2015108037A1 (ja) 2015-07-23
CN105916655A (zh) 2016-08-31
CN105916655B (zh) 2017-07-25
KR20160108447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851B1 (ko)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8123263A (ja) 立体造形用樹脂組成物、立体造形物の製造方法、立体造形用フィラメント並びに立体造形物の製造装置
JP6288604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
KR102181042B1 (ko)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JP2009107093A (ja) アクリル系樹脂切断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878695B2 (ja) 透明リサイクル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透明リサイクルシート
KR102209119B1 (ko)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JP6338865B2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8058327A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1436995A (zh) 雙軸延伸尼龍膜、積層膜、積層包裝材及雙軸延伸尼龍膜之製造方法
KR102181046B1 (ko)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JP2009504435A (ja) 配向させたポリマー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6377355B2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00010934A (ko)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기 위한방법
JPH0647810A (ja) 熱収縮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902158B2 (ja) 延伸ナイロン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756552B1 (ja)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製造装置
JP2007268859A (ja) シート材の押出成形装置、シート材の押出成形方法、およびシート材
JP2013129169A (ja) 二軸延伸ナイロ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1334947A (zh) 保持具及熱處理方法
JP2011190316A (ja) 空洞含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装置
JP2001293769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0083019A (ja) 空洞含有樹脂成形体に供する原反フィルムの連続製造方法、空洞含有樹脂成形体に供する原反フィルムの連続製造装置、空洞含有樹脂成形体に供する原反フィルム、並びに、該原反フィルムを用いた空洞含有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空洞含有樹脂成形体
JPH08258144A (ja) 高強度インフレーション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H03158221A (ja) ポリクロロトリフルオロエチレンフィルム乃至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