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934A -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기 위한방법 - Google Patents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기 위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934A
KR20000010934A KR1019980709082A KR19980709082A KR20000010934A KR 20000010934 A KR20000010934 A KR 20000010934A KR 1019980709082 A KR1019980709082 A KR 1019980709082A KR 19980709082 A KR19980709082 A KR 19980709082A KR 20000010934 A KR20000010934 A KR 2000001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foil
wax
raw material
polypropylene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드비히 에크알트
루트하르트 부라운
크라우즈 스토퍼카
라이너 스크부코프
Original Assignee
유르겐 브라일
브뤼크너 마쉬넨바우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르겐 브라일, 브뤼크너 마쉬넨바우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유르겐 브라일
Publication of KR2000001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93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2축지향포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선행기술에서는 폴리프로필렌원료를 준비하여 이를 융해시켜서 이로부터 압출에 의하여 1차포일을 제조하고 동 1차포일을 냉각시킨다음 재가열시켜 신장온도(伸張溫度)에 이르도록 하며 이것을 2축지향으로 연속적 또는 동시에 기계방향(MDO)과 이의 횡방향(TDO)에 따라서 팽창시키며 신장된 2축지향 폴리프로필렌포일은 냉각후에 감기는데 본 발명에 따라 8,000g/mol의 중위평균분자량을 가진 폴리프로필렌왁스(WAX)를 폴리프로필렌원료에 첨가하여 포일의 신장성을 향상시켜서 포일제조시 기계속도를 보다 증가시킬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기 위한방법
본 발명은 2축지향성(二軸指向性) 폴리프로필렌포일(POLYPROPYLENE FOIL)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축지향을 이루기 위하여 필요한 신장(伸張)을 고도의 신뢰성을 가지고 고속(高速)시행이 가능토록 하며 첨가제(添加劑)를 사용하여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한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기 위한 선행기술의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의 일반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폴리프로필렌-원료는 보통 예컨대 평균분자량 Mw이 약 300,000g/mol의 중량을 가진 큰분자량의 주로 이소탁틱(isotactic) 폴리프로필렌-단일중합체(單一重合體)일 수 있고 최종제품의 가공성 및 취급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약간의 첨가제를 제공하고 있으며, 균일한 융체의 형태로 스릿트 다이(slit die)를 통하여 압출(壓出)되어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냉각롤러를 사용하며, 또한 "캐스트필림(cast film) 또는 "선(先)포일" 이라고도 하는 비교적 두꺼운 1차포일이 조밀화 하게 된다.
이러한 1차포일은 연이어 재차 재가열 되는데 다음의 신장 또는 신장에 적합한 온도로 한다. 이러한 신장은 연이어 즉 연속적으로 먼저 길이- 또는 기계방향(MOD)에 따라서 또한 롤러세트를 사용하여 포일을 증가속도로 이송과 동시에 신장시키고 연이어 횡(橫)방향(TDO)에 따라서 신장시킨다. 기계방향과 횡방향에 따른 신장은 이 때 당초 길이나 폭의 5-내지 12배 범위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한 방향의 신장 정도는 다른 방향의 가능한 신장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신장은 또한 동시 신장 즉 길이방향과 횡방향에 따라서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때 집게가 1차포일을 모서리에서 잡아주어 신장영역에서 확대형 가이드레일을 통하여 횡방향에 따라서 신장됨과 동시에 예컨대 소위 전진(前進)스핀들 대우(對偶)나 또는 선형(線形)모터시스템에 의하여 인접한 집게간격을 점차적으로 키운다.
신장중에 포일의 온도는 적당한 방법으로 신장에 필요한 온도범위 내로 유지시키며 신장 후에 포일은 응력조절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제어조건 및 동시 가열하에 냉각시켜서 감는다. 당해 신장기계는 현재 기계속도로서 더욱이 최대 속도로는 포일을 길이방향으로 신장후 즉 감기 직전에는 그 범위가 150내지 약 350 m/분으로 이송된다. 선행기술의 일반적인 폴리프로필렌-원료를 기계속도를 높여 신장하고자 하면 공업생산을 위하여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포일의 균열(龜裂)(tear)을 초래하게 됨으로 안정적인 생산작업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신장속도가 큰 경우의 이러한 포일에 균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포일내의 분자면이 신장될 때에 지연되는 변위과정에서 국부적인 응력이 발생하여 기계가 고속인 경우에는 신속하게 충분히 이완이 될 수 없음으로 신장과정 중에 포일의 균열이 발생하는데에서 기인한다. 고속으로의 신장이라 함은 이때 여기에서 총체적으로 제시한 바와 같이 기계속도가 350m/분 및 그 이상으로 되어 신장하는 것을 말하며 상한 속도는 약 500m/분으로 할 수 있다.
저속에 의한 신장 또한 신장과정 중에 형성되는 포일내 응력이 내부 이완이 불충분하게 되어서 포일 완성품의 품질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내부 응력의 이완이 충분히 되지 않는 포일 부분은 포일내에 구조상의 결함이 나타나는 비정상(非正常)부분을 형성하는 데, 예컨대 밀도 및 /또는 투명도로서 또는 전단(剪斷)변형이나 또는 치수의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내부응력 이완속도를 높이는 제반 조치는 포일의 균열이 일반적으로 하등의 문제가 없다는 전제하에서만이 효과가 있으며 즉 350m/분 미만의 일반적인 기계속도에서 이미 생산성과 공정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한가지 이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의 제조방법을 창안하여 350m/분 이상의 높은 신장속도에서도 고도로 생산의 안정성과 제품의 품질을 보장시키려는 데 있다.
본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르는 방법으로 해결이 되며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우선적인 실시 예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종속항 2내지 4에서 취할 수 있다.
청구항 5와 이에 대한 재귀적 청구항 6내지 9가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창안을 가능하게 하는 폴리프로필렌-원료의 첨가제로서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왁스의 사용을 청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의 제조를 위한 폴리프로필렌원료에 폴리프로필렌왁스를 첨가하여 이에 따라 발생하는 새로운 기술의 잠재능력을 활용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동시에 폴리프로필렌포일로서는 일반적으로 단층투명포일을 말하는 데 이에 따라서 한가지 포일격자(格子)에 있어서 이러한 포일의 결합은 예컨대 연속적인 적층압출(積層壓出)이나 또는 공압출(共壓出)이 가능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단일중합체(單一重合體)"의 개념은 본 출원의 범위내에서 지글러-나타-촉매(Ziegler-Natta-catalysis)나 또는 유기금속화합물-촉매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프로필렌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재료는 따라서 이소탁틱인덱스 >85%, 신디오탁틱(syndiotactic) 폴리프로필렌과 또한 폴리플로필렌에 대한 두가지의 임의 혼합물을 가진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더욱이 선행기술에서 포일제조를 위하여 폴리프로필렌-원료는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이로부터 일련의 "내부윤활제"라고도 하는 여러 가지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합성수지 가공분야에서는 이 경우 다양한 윤활제를 사용하고 있는 데 - 일련의 감소하는 극성(極性)결합을 포함하며 이는 지방(脂肪)알코올, 지방알콜이산화탄산에스테르,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脂肪酸), 지방산모노아미드, 지방산디아미드, 고급지방산,올리고머지방산에스테르,지방알코올-지방산에스테르, 왁스산,왁스산에스테르,극성(極性)폴리에칠렌왁스, 비극성(非極性)폴리에칠렌왁스와 끝으로 파라핀에 속한다. 선행기술에서 합성수지첨가제로 사용하는 파라핀은 특히 포리에칠렌왁스라고 한다. 이와 같이 WO 95/06556에서는 포일의 경계(境界)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2축지향성 다층 폴리플로필렌포일의 핵층에서 300내지 1000범위의 평균분자량을 가진 저분자 파라핀왁스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본 출원이 의도하는 폴리프로필렌왁스의 사용에 대해서는 포일(foil)의 신장 과정 중에 형태학적 과정의 영향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기술되고 있다.
EP-A-O 595 252에 의하면 외부층이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는 3개 층의 공압출수축(共壓出收縮)포일의 층내에서 저분자량의 폴리에칠렌-이나 또는 폴리프로필렌왁스의 공동적용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상기의 첨가제라고 하는 탄화수소수지(樹脂)나 또는 왁스는 약 900내지 4,500범위의 몰(Mole)을 가지고 있다. 신장관계에 유리한 영향에 대하여서는 언급된바가 없다.
US-PS 3,536,644에서도 폴리프로필렌포일의 첨가제로서 왁스의 적용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당해 왁스는 저분자 폴리에칠렌왁스이며 몰은 약 1,500내지 3,000범위내에 들어 있다. 형태학적인 개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DE-A-22 02 02 216에서도 일반적인 기술방식으로 폴리프로필렌포일의 첨가제로서 왁스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방식의 폴리프로필렌왁스와 신장관계의 개선가능성에 대하여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본 출원의 범위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왁스로서 플로필렌의 이소탁틱중합체가 제시되어 있는 데 일반적으로 낮은 중합반응도와 고도의 균질성 즉 비교적 협의의 분자량분포로 인하여 포일제조용 일반적인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원료와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폴리프로필렌왁스라함은 특히 8,000g/mol이상의 평균분자량 Mw의 중량수단 특히 약 12,000 내지 50.00g/mol범위 내에 들은 중량수단의 프로필렌의 이소탁틱 단일중합체를 말한다. 폴리프로필렌왁스는 비교적 저 분자량에도 불구하고 이미 범용의 고분자 폴리프로필렌-단일중합체의 가장 중요한 열적(熱的),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짧은 분자사슬(chain)로 인하여 한편으로 과도하게 지속적이 아닌 매듭 및 나비매듭과 폴리프로필렌왁스의 짧은 사슬분자의 비교적 큰 속도는 보다 큰 융해- 및 결정속도를 촉진시켜서 특히 미미한 융체점도(融體粘度)와 융체유속(流速)으로 되며 그 유량(流量)은 230℃에서 3,000g/10분(DIN 53735)이상이 된다.
본 발명을 위하여 행한 시험에서 그중 에서도 특히 동시에 본 발명의 그 당시 선택한 실시 예를 대표하는 2가지 유형의 폴리프로필렌-왁스를 보다 상세하게 검토하였다. 두 가지 왁스는 분말형이나 또는 입자형으로 확보하여 타입 A와 타입 B로 표시하였다. 두 가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타입 A: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왁스
몰질량 Mw약 36,000g/mol
결정도(結晶度):55.6%(디퍼련살스캔닝카로리메터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결정도: 70%(엑스선 분석)
융점 Fm(DSC): 158 - 162℃
적하온도(Ubbelohde 점도계): 165 - 170℃
융체점도(200℃): 800 - 1200 mm2/s
결정온도 Trek: 114℃
타입 B 단일중합 폴리프로필렌왁스
몰질량 Mw약 17,000g/mol
결정도: 47.5% (DSC)
결정도: 65% (엑스선분석)
융점 Fm(DSC): 156 - 160℃
적하(滴下)온도 (Ubbelohde 점도계): 158 - 165℃
융체점도 (200℃): 90 - 120 mm2/s
결정온도 Trek: 110℃
두 가지 제품은 비교적 높은 균질성을 나타내고 있다.
폴리프로필렌왁스는 폴리프로필렌수지에 비하여 대단히 우수한 상용성과 높은 열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폴리프로필렌왁스가 또한 일반적으로 첨가제를 포함한 전체 폴리프로필렌원료에 대하여 2내지 10질량% 범위내의 적정량이 들어 있어서 서두에서 정한대로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적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원료에 첨가되면 특히 폴리프로필렌포일의 연속적인 신장을 하면서 매우 신속한 이완이 되고 한편으로는 균열빈도가 감소되며 신장이 현재보다도 고속으로 즉 350m/분 및 보다 고속으로는 500m/분에 이른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현재에도 이미 사용되는 신장속도범위내의 보다 낮은 기계속도나 또는 유사한 2축지향성 신장의 경우에 있어서 포일의 신속한 이완은 보다 높은 균질성을 가진 고가의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를 시도한다는 의미에서 고도의 공정 안정성과 향상된 품질을 나타내고 있다.
적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단일중합체에다 폴리프로필렌왁스를 포일제조에 대한 상기 정의에 따라서 공지된 방법중의 어느 한가지로 첨가한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에 단일중합체의 폴리프로필렌을 융해하고 폴리프로필렌왁스를 첨가하여 얻은 융체를 균일화시킨 다음 예컨대 입상(粒狀)으로 하여 포일제조장치에 공급함으로서 균일한 적용원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에 왁스를 첨가할 수 있다. 포일제조시에 보통 폴리프로필렌-단일중합체의 입상을 폴리프로필렌왁스의 입상과 혼합 또는 고함량의 왁스와 폴리프로필렌의 균일한 프리믹스(일종의 성형재)(premix)를 투입하여 포일제조에 필요한 균일한 융체를 융체의 압출전 또는 압출중에 직접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직접 포일제조시에 중합융체에 첨가제를 첨가할 때 폴리프로필렌왁스도 혼합시켜서 혼합 압출로 노즐에 공급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왁스의 첨가작용에 따른 형태학적 과정은 폴리프로필렌의 보다 짧은 분자사슬이 1차 포일의 경화시(硬化時)와 가시점, 비용해 나비매듭, 비 이소탁틱 순등을 포함하는 비-결정단위와 함께 층상조직을 가진 결정영역(α-球晶)의 조성하에 연이은 일부 결정시에 그사이에 형성되고 있는 결정영역이 내부 섬유공간 내로 농축(濃縮)시키는 데 있다. 신장을 할 경우에 있어서 포일 조직 내의 부분결정의 마이크로섬유소의 상호스라이딩(sliding)과 섬유소조직의 형성하에 결정층상처리가 되는 데 포리플로필렌왁스는 내섬유 소공간내에서 층을 이루어서 포일내에서 분자섬유 소조직과의 교호(交互)작용이 경미함으로 응력 형성을 저지하거나 또는 잠정적으로 발생하는 국부 응력의 신속한 이완에 이른다. 그 결과는 신장관계가 개선되며 이미 선행기술에 속하는 기계속도가 350m/분 미만에서도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이밖에도 속도가 300m/분 내지 500m/분에 이르는 범위에서도 신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폴리프로필렌왁스의 첨가에 의한 연속적인 이축 신장을 할 때의 폴리프로필렌-단일중합체 포일의 상태변화를 여러 가지 실험과 모델실험에 의하여 시험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모델시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도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모델시험
약 96%의 이소탁틱함량과 3g/10min의 융체유량을 가진 보통의 폴리프로필렌-단일중합체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신장에 의하여 최종두께가 20μm인 폴리프로필렌포일의 제조를 위한 여러 가지 원료혼합물을 제조하였는데 첨가된 폴리프로필렌왁스량으로 인하여 차이가 난다.
폴리프로필렌왁스는 폴리프로필렌-단일중합체에 각각 명세에서 보다 상세하게 특성을 보인 폴리프로필렌왁스 타입 A 및 타입 B와 동일한 부분의 혼합형태로 첨가하였으며 이 때 첨가 폴리프로필렌혼합의 전량은 전 혼합량에 대하여 0과 10%질량비 사이에서 변화시켰다.
상기 원료혼합을 사용하여 포일을 제조하였으며 이 때 9:1비율로 횡방향으로의 신장전에 6.12:1의 비율로 종방향으로 신장에 따라 상기 원료혼합에서 얻은 1차포일이 가열되여야 하는 최소온도를 조사함으로서 총체적으로 만족할만한 이축신장과 포일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얻게 되었다. 상기 최소온도는 이 때 횡방향(TDO)으로 신장을 하기 전에 포일의 예열을 위한 노(爐)내의 공기온도로서 제시된다. 폴리프로필렌왁스를 첨가하지 않은 채 최소 170℃의 온도로 예열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총 5질량%의 폴리프로필렌왁스의 함량을 가진 원료혼합물을 사용하면 이러한 온도는 165℃로 강하되었으며 총 10질량% 함량인 경우에는 이러한 온도는 더욱 낮아져서 약 162℃로 강하하였다.
20μm의 두께인 최종 포일의 품질은 특히 기계적인 특성에 관해서도 각 경우에 우수하였으며 언급한 값과 차이가 없었다.
폴리프로필렌왁스 함량을 증가시켜서 예열시 최소온도를 강하시키는 것은 실제로 신장상태의 개선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소위 가공창(working windows)의 확대로서 나타난다.
첨부 도면은 여기에서 얻은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가공창의 확대로 인하여 한편으로 양축 신장시에 포일이 찢김이 없이 TDO-예열온도의 저감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 한편으로는 폴리프로필렌왁스로부터 포일의 이로부터 유래하는 본질적으로 안정한 가공성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단일중합체-원료혼합은 극도로 신장속도가 클 경우에 있어서도 안정한 신장 가능하게 한다.

Claims (9)

  1.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원료가 확보되고
    -이 원료를 융해시켜서 융체로부터 압출과 동 압출제품의 냉각으로 1차 포일을 제조하고
    -1차 포일은 재가열함으로서 신장온도로 올리며
    -기계방향(MDO)과 횡방향(TDO)의 양축으로 신장시켜 더욱이 연속적으로나 또는 동시에 행하며
    -신장된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은 냉각후에 감(winding)으며,
    폴리프로필렌-원료에다가 평균분자량 Mw의 중량수단 8,000g/mol이상을 가진 포리플로필렌왁스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350내지 500m/분의 범위내 기계속도로 2축 신장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를 포함하는 총 폴리프로필렌-원료에 대하여 2내지 10질량-%의 폴리프로필렌왁스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왁스는 12,000내지 50,000g/mol 범위의 평균분자량 Mw의 중량수단을 가진 한가지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1차포일의 중간제조와 재가열 폴리프로필렌-1차포일의 2축신장을 하여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원료에 첨가제로서로 사용함에 있어서 10,000g/mol 이상의 평균분자량 Mw의 중량수단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왁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첨가제로서 폴리프로필렌왁스의 용도에 있어서, 350m/분이상의 큰 기계속도로서 2축신장에 의하여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왁스의 적용에 있어서, 12,000 내지 50.000g/mol 범위내의 평균분자량의 중량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왁스의 적용에 있어서, 원료의 폴리프로필렌 및 첨가제로 된 총 혼합량에 대하여 2-10질량%의 질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왁스의 적용에 있어서,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왁스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709082A 1996-05-31 1997-05-22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기 위한방법 KR200000109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2083.1 1996-05-31
DE19622083A DE19622083A1 (de) 1996-05-31 1996-05-31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iaxial orientierten Polypropylenfol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934A true KR20000010934A (ko) 2000-02-25

Family

ID=779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082A KR20000010934A (ko) 1996-05-31 1997-05-22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기 위한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07496B1 (ko)
JP (1) JP2000514373A (ko)
KR (1) KR20000010934A (ko)
DE (2) DE19622083A1 (ko)
WO (1) WO1997046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9612A (en) * 1997-08-25 2000-12-12 Mobil Oil Corporation Multi-layer films with syndiotactic barrier layer containing a wax
BR9907839B1 (pt) 1998-02-12 2009-01-13 filme de polipropileno multicamada biaxialmente orientado, possuindo propriedades de barreira aperfeiÇoadas, processo para a sua produÇço, e, utilizaÇço do filme.
DE69918100T2 (de) 1998-05-13 2005-07-0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Baytown Propylenhomopolymere und herstellungsverfahren
US6784269B2 (en) 1998-05-13 2004-08-3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797375B1 (en) 1998-11-12 2004-09-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for adhesive tape
DE29822095U1 (de) 1998-12-11 1999-04-01 Elbtal Folien GmbH, 01640 Coswig Kunststoff-Folie
JP4797288B2 (ja) * 2000-06-30 2011-10-19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tダイ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1923407A1 (en) * 2006-11-14 2008-05-21 Borealis Technology Oy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having improved processabilty
DE102018101747A1 (de) 2018-01-26 2019-08-01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Inline beschichtete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6644A (en) * 1967-06-22 1970-10-27 Nat Distillers Chem Corp Means for providing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with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DE2163624A1 (de) * 1971-01-04 1972-07-20 Hercules Inc Polypropylen-Wachs-Zusammensetzungen
CA927985A (en) * 1971-01-22 1973-06-05 Hercules Incorporated Oriented film of stereoregular polypropylene composition
US4045515A (en) * 1972-06-09 1977-08-30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Film of good tear property on impact
JP2609545B2 (ja) * 1988-05-02 1997-05-14 プリントパック・イリノイ・インク 遮断性のすぐれた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DE3904468A1 (de) * 1989-02-15 1990-08-16 Hoechst Ag Polypropylenwachs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3260111A (ja) * 1990-03-06 1991-11-20 Mitsui Petrochem Ind Ltd 超高分子量ポリプロピレン延伸成形体の製造方法
TW285680B (ko) * 1992-03-31 1996-09-11 Hoechst Ag
IT1256051B (it) * 1992-10-30 1995-11-21 Soten Film coestruso termoretraibile e procedimento per la sua preparazione.
JPH06184371A (ja) * 1992-12-21 1994-07-05 Chisso Corp プロピレン重合体製延伸フィルム
WO1995002638A1 (en) * 1993-07-14 1995-01-26 Shell Oil Company Polymer compositions
WO1995006556A1 (en) * 1993-09-02 1995-03-09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Biaxially-oriented polypropylene film with improved gas b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14373A (ja) 2000-10-31
WO1997046369A1 (de) 1997-12-11
EP0907496B1 (de) 2001-11-07
DE19622083A1 (de) 1997-12-04
DE59705285D1 (de) 2001-12-13
EP0907496A1 (de) 199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114B1 (ko) 이축연신 필름
JPS6056101B2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製造方法
KR20010024527A (ko) 고체 상태 연신 필름 제조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20000010934A (ko) 2축지향성 폴리프로필렌포일을 제조하기 위한방법
JP2002533237A (ja) 改善された光学特性及びヒートシール適性特性を有する二軸延伸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
JPH02503540A (ja) 線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のキャスティング・フィルム
JP465001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Ülçer et al. Hierarchical structural gradients in injection moulded poly (ethylene naphthalene-2, 6-dicarboxylate) parts
JP5376773B2 (ja) ポリアミド樹脂フィルム
JP2022544471A (ja) 制御された密度の熱可塑性多層フィルム
KR20160108447A (ko)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CN113601925B (zh) 一种双向拉伸tpx薄膜及其制备工艺
JP5548376B2 (ja) 4−メチルペンテン−1(共)重合体を含む横延伸用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9215826A (ja)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フイルムの製造方法
Yang et al. Stress‐induced crystallization of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Hobbs et al. The development of surface texture in blown polypropylene film
JP4742213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脂取りフィルム
KR20160108446A (ko)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JPS5843253B2 (ja) ポリエステルイチジクエンシンフイルムノセイゾウホウホウ
EP4316832A1 (en) Polypropylene film
WO2001096465A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tobacco film heat shrinkable
JP2011088339A (ja) 4−メチルペンテン−1(共)重合体を含む二軸延伸用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228931A (ja) ポリ4−メチルペンテン−1フイルムの二軸延伸方法
JPH09239926A (ja) ポリオレフィン系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
JPS61293833A (ja) ポリ4−メチルペンテン−1フイルムの二軸延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