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232B1 -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232B1
KR102249232B1 KR1020190054970A KR20190054970A KR102249232B1 KR 102249232 B1 KR102249232 B1 KR 102249232B1 KR 1020190054970 A KR1020190054970 A KR 1020190054970A KR 20190054970 A KR20190054970 A KR 20190054970A KR 102249232 B1 KR102249232 B1 KR 10224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sawdust
browning
se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894A (ko
Inventor
노현준
Original Assignee
에스엠푸드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푸드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푸드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23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01G18/22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culture media, e.g. bott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30Accessories for use before inoculation of spawn, e.g. ster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6Cultivation ba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지의 살균시 유효한 성분인 미량원소 또는 비타민류 등을 손상시키지 않으므로 버섯균의 생장속도가 빨라지도록 함으로서 버섯의 생산성이 향상된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에서 톱밥을 함침시키는 함침단계; 상기 톱밥과 함께 부상된 미생물이나 유기물을 제거하는 분리단계; 상기 톱밥을 건조시키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톱밥을 살균하는 건조 및 살균단계; 상기 살균된 톱밥 및 영양제를 포함하는 배지용 혼합물을 용기에 충진하여 입병하는 입병단계;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배지 내 접종하는 접종단계; 상기 접종된 종균을 배양하는 배양단계; 상기 종균이 배양된 균배지를 상기 용기로부터 탈병하는 탈병단계; 상기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하는 입봉단계; 및 상기 입봉된 배지를 갈변시키는 갈변단계;를 포함하는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ation of medium for baekhwago}
본 발명은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지의 살균시 유효한 성분인 미량원소 또는 비타민류 등을 손상시키지 않으므로 버섯균의 생장속도가 빨라지도록 함으로서 버섯의 생산성이 향상된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고는 표고버섯의 일종으로 생육 환경에 따라 세분화된 일종으로, 표고버섯은 백화고 이외에 흑화고, 동고 향고, 향신, 등외로 분류할 수 있다.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분류학적으로 송이버섯과 (Tricholomataceae)에 속하는 목재부후균의 일종으로 맛과 향이 독특하여, 건강 식품으로서 오랫동안 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아왔다.
특히, 백화고나 흑화고는 표고버섯 재배과정에서 버섯의 갓 부위에 금이 가면서 거북이 등처럼 터져 화문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화문정도에 따라 갓 부위의 흰색이 50 % 내지 60 % 이면 백화고, 화문정도가 20 % 내지 30 %이면 흑화고로 분류되며, 그 이하의 화문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동고, 향고 등으로 분류한다.
백화고는 온도, 습도, 광, 환기 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자연에서는 봄, 가을에 극히 소량만이 수확되고 있으며, 인공재배시에도 온도, 습도 등의 조절이 까다로워 소량 생산만이 가능하고, 인공적 조건에서 생산된 백화고는 자연상태에서 수확되는 백화고의 품질을 따라가기는 힘든 실정이다.
백화고는 종균으로부터 버섯을 발생시킨 후에도, 극도의 생육 조건 제어 하에서 일정 기간 이상을 더 생육시켜 버섯의 갓에 화문을 형성시켜야 비로소 생산될 수 있다.
따라서, 백화고는 온도, 습도, 광, 환기 조건 등에 매우 민감하여 일반 표고버섯에 비해 자연에서의 수확이 어렵고, 인공재배가 어렵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은 농산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백화고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배지 조성물에 지장수를 투입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국내 등록특허 제10-131498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추가적인 첨가물을 투입하는 것으로, 여전히 백화고 재배에 있어서 다양한 조건들을 조절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백화고를 재배하기 용이하도록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국내 공개특허 제2016-003410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 1 및 선행기술문헌 2에 개시된 배지의 살균을 위해서 스팀을 사용해야 하므로 고열에 의해 배지가 산패되거나 유효한 성분인 미량원소 또는 비타민류 등이 분해되어 버섯균의 생장속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국내 등록특허 제10-1314988호(2013.09.27. 등록) 2. 국내 공개특허 제2016-0034108호(2016.03.2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지의 살균시 유효한 성분인 미량원소 또는 비타민류 등을 손상시키지 않으므로 버섯균의 생장속도가 빨라지도록 함으로서 버섯의 생산성이 향상된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에서 톱밥을 함침시키는 함침단계; 상기 톱밥과 함께 부상된 미생물이나 유기물을 제거하는 분리단계; 상기 톱밥을 건조시키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톱밥을 살균하는 건조 및 살균단계; 상기 살균된 톱밥 및 영양제를 포함하는 배지용 혼합물을 용기에 충진하여 입병하는 입병단계;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배지 내 접종하는 접종단계; 상기 접종된 종균을 배양하는 배양단계; 상기 종균이 배양된 균배지를 상기 용기로부터 탈병하는 탈병단계; 상기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하는 입봉단계; 및 상기 입봉된 배지를 갈변시키는 갈변단계;를 포함하는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함침단계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은 1㎛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함침단계에서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 및 살균단계에서 톱밥의 건조시 오존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입병단계에서 활성탄 분말을 함께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갈변단계에서 갈변된 배지를 파라핀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은 배지의 살균시 유효한 성분인 미량원소 또는 비타민류 등을 손상시키지 않으므로 버섯균의 생장속도가 빨라져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은 함침단계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은 1㎛ 내지 100㎛이므로 톱밥 사이의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하고 동시에 흡착된 이물질을 증류수의 표면으로 충분히 부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함침단계에서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므로 화학적 활성도가 향상되므로 이물질을 더 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건조 및 살균단계에서 톱밥의 건조시 오존 분위기를 형성하므로 불필요한 미생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입병단계에서 활성탄 분말을 함께 충진하므로 표적균의 성장을 촉진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갈변단계에서 갈변된 배지를 파라핀으로 코팅하므로 습도가 유지되어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배시 비닐을 씌울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은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에서 톱밥을 함침시키는 함침단계(S10)와, 상기 톱밥과 함께 부상된 미생물이나 유기물을 제거하는 분리단계(S20)와, 상기 톱밥을 건조시키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톱밥을 살균하는 건조 및 살균단계(S30)와, 상기 살균된 톱밥 및 영양제를 포함하는 배지용 혼합물을 용기에 충진하여 입병하는 입병단계(S40),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배지 내 접종하는 접종단계(S50)와, 상기 접종된 종균을 배양하는 배양단계(S60)와, 상기 종균이 배양된 균배지를 상기 용기로부터 탈병하는 탈병단계(S70)와, 상기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하는 입봉단계(S80) 및 상기 입봉된 배지를 갈변시키는 갈변단계(S90)를 포함한다.
상기 함침단계(S10)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에 톱밥을 함침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마이크로발생기는 내부에 증류수로 채워져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예비적인 살균을 위하여 염소를 0.1중량% 미만 증류수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버블은 그 직경이 1㎛ 내지 100㎛ 이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이 1㎛ 미만일 경우 부력이 미약해서 상부로 부상하지 못하고 수중에 체류하게 되고, 상기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이 100㎛를 초과할 경우 상기 마이크로블이 톱밥 사이의 공간에 용이하게 침투하지 못하므로 톱밥사이의 미생물이나 유기물을 마이크로버블에 부착시키지 못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버블은 대전되며 음극으로 대전된 버블은 먼지 또는 오일 등의 유해물질까지 흡착을 촉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기체와 액체사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화학전 반응의 효율을 현격하게 증가시키므로 미량 투입된 염소와 오염물질이 반응이 활발해진다.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에 톱밥을 함침시키는 시간은 10분 내지 2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톱밥을 함침시키는 시간이 10분 미만이면 먼지나 유기물이 등을 제거할 시간이 부족하고 톱밥을 함침시키는 시간이 20분을 초과하면 톱밥에 필요이상 수분이 함침되어 건조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아울러 상기 함침단계(S10)에서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면 마이크로버블의 크기가 더 잘게 부서지고 화학적인 활성도가 향상되어 상기 마이크로버블과 유기물 또는 미생물의 반응이 더욱 활발해지게 된다.
상기 분리단계(S20)는 톱밥과 함께 부상된 미생물이나 유기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톱밥과 부상된 미생물이나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가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일측으로 틸팅하여 상부에 부상된 미생물이나 유기물을 오버플로우시켜 1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톱밥과 함께 부상된 미생물이나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버블의 발생기의 상부에 스키머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건조 및 살균단계(S30)는 톱밥을 건조시키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톱밥을 살균하는 단계이다.
상기 톱밥은 상기 함침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서 습기를 먹고 있는 상태이므로 입병단계에 들어가기 전에 톱밥을 건조시켜야 한다. 상기 톱밥의 건조는 필요에 따라 가열하거나 서큘레이터를 통하여 기류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톱밥의 살균을 위해서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을 살균해야 한다. 상기 미생물을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의 파장은 253.7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장이 253.7mm인 자외선은 미생물의 DNA를 파괴하여 비활성화 시키며, 적정 조사강도에서는 수초의 접촉시간으로 살균이 가능하다.
상기 톱밥의 살균시 자외선에 노출되는 빈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톱밥을 회전하는 용기에 삽입한 후 용기를 회전시키면서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톱밥은 필요시 용기의 내부를 오존분위기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내부에 오존 분위기를 만들면 자외선에 의해 오존의 분해속도가 증가되고 분해되는 과정에서 OH라디칼이라고 하는 강력한 산화력을 갖는 중간생성물질을 발생시켜 미생물을 비롯한 유기오염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입병단계(S40)는 입병기를 이용하여 배지용 혼합물을 용기의 투입구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 또는 입병기는 일반적인 버섯의 배지 제조 등에서 사용되는 입병기와 용기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입병기의 구성 및 기능은 버섯 재배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입병기를 이용한 용기 배지 제조는 주로 느타리 버섯, 팽이 버섯 등에 이용된 방법으로, 대용량 배지를 필요로 하는 백화고의 특성상, 백화고 재배에는 적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구체적으로, 종전 병배지의 병 용량은 800 cc 내지 1000 cc 정도이나, 품질이 양호한 백화고의 재배를 위해서는 약 2.5 kg 내지 4 kg(대략 3000 cc 내지 5000 cc)의 배지 용량을 필요로 하여, 종래 병 배지를 이용한 백화고 재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느타리나 팽이버섯은 상부(뚜껑부)로만 버섯이 발생하여 품질이 양호한 버섯의 수확이 가능하나, 백화고는 상부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발생하므로, 병 배지를 이용하여 백화고를 재배하는 경우, 측면으로 나온 버섯핀이 병의 내벽에 막혀서 버섯이 충분히 성장할 수 없어, 외관이 양호한 버섯을 수확하기 어려웠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병 배지에서 종균 배양 후, 해당 배지를 탈병하여 분쇄하는 2차 가공단계를 거쳐, 입봉시 배지를 2.5 kg 내지 4 kg 용량으로 충분히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느타리 버섯 등의 배지를 제조하는 용기 배지 제조 설비를 그대로 이용하여 입병 단계의 자동화가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설비 개발 없이 이를 백화고 재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병단계에서 톱밥을 채울 때 동시에 활성탄 분말을 함께 충진한다. 활성탄 분말을 충전할 경우 표적균의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표적균은 상기 활성탄의 표면에 형성된 포어에 정착하여 성장하므로 성장이 촉진된다.
상기 접종단계(S50)는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배지 내 접종하는 단계이다. 상기 타공된 배지의 타공부에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접종할 수 있다.
상기 종균의 접종은 종균 접종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균이 접종된 톱밥을 주원료로 배양한 고체종균을 타공부 또는 타공부 주위로 투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균의 접종은 고체 종균을 10 g 내지 20 g으로 접종 부위에 흩뿌리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액체 종균은 대량으로 하나의 배양통에서 배양하므로 배양액 또는 용기의 오염시, 종균 전체로 오염이 전이되므로, 오염된 액체 종균으로 접종한 배지는 모두 오염될 수 있다.
그러나, 고체 종균을 접종시키는 경우, 대량 오염 가능성이 적고, 액체 종균 접종에 비해 시설비가 적게 든다.
상기 접종기 등은 병 배지 제조방식에서 사용되는 접종기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종기의 구성 및 기능은 버섯 재배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배양단계(S60)는 접종된 종균을 배양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병 배지의 중앙부에 형성된 타공부에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접종한 후에, 20일 내지 30일 동안 상기 종균을 상기 병 배지 내에서 균사체로 배양할 수 있다.
병 배지 배양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지에 접종한 종균이 활착될 수 있도록 배양실 온도 20 ℃ 내지 25 ℃, 습도 60 % 내지 70 %로 조절하고, 균사 생장시 발생하는 호흡열로 온도가 증가되므로, 배양실 내 온도를 호흡열에 의해 증가한 온도만큼 가감하여 배양 온도를 일정한 수준(예: 20 ℃ 내지 25 ℃)으로 유지시키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탈병단계(S70)는 종균이 배양된 균배지를 상기 용기로부터 탈병하는 단계이다.
상기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은 주로 빛과 산소 인자에 의하여 톱밥 배지 내에서 균사 배양 완료 후에 배지의 표면에 갈색 피막이 형성되는데, 이를 '갈변'이라 한다.
갈변으로 인해 피막이 형성되면, 외부 공기와 접촉하더라도, 추가적으로 다른 잡균에 의해 오염이 잘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지 내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갈변이 배지 전체에 고루 퍼진 상태에서, 버섯을 발생시켜야 버섯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배지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병안에서 갈변이 진행되면(갈변 후 탈병시키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이 생성되는데, 상기 수분으로 인해 배지가 부패하거나, 생성된 수분으로 인해 오염된 배지의 일부분으로부터 오염된 유리수가 발생하여, 배지의 부패를 촉진할 수 있다.
이 때, 배지 내부에서 진행된 오염은 발견할 수가 없으므로, 배지가 오염된 상태로 갈변이 진행되어, 버섯 생육시에 배지 전체로 오염이 확산되어, 고품질의 버섯 생산이 어렵고, 버섯 생산 효율이 감소된다.
또한, 오염된 배지 제거 없이 갈변된 배지는 이후, 버섯파리가 확산될 위험이 크므로, 추가적 오염이 발생하여 배지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나아가, 용기 내에서, 갈변이 완전히 완료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한 버섯 균사는, 생육 후에도 상품으로서 가치가 없으므로 수율의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탈병단계(S70)는 입병 후 갈변 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세서 탈병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용기 배지 제조 방식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입봉단계(S80)는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튜입하여 입봉하는 단계이다.
상기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할 수 있다. 탈병시 이미 종균이 배양된 상태이므로, 배양된 균의 항진균력으로 인해 입봉시 잡균의 오염으로 인한 위험도가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비닐봉지의 크기, 모양 및 용기에 투입되는 균배지의 함량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봉시 균배지는 분쇄된 상태로 입봉될 수 있다.
백화고는 건조한 환경에서 생육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자연조건에서 백화고에 최적화된 조건을 계속하여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연산 백화고를 얻기 매우 어렵다. 백화고의 생산을 위하여, 온도, 습도, 광, 환기 조건 등을 까다롭게 조절하여 백화고를 생산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하여 추가적인 설비가 제공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백화고의 생산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분조건을 극히 제한하는 수단으로 배지를 용기에 입병한 후, 탈병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한다.
상기 갈변단계(S90)는 입봉된 배지를 갈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입봉한 배지에 빛을 조사하여 60 일 내지 80일간 명배양할 수 있다.
상기 명배양을 통해 배지 표면의 고른 갈변을 유도하여, 양질의 버섯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배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탈병 및 분쇄된 균배지를 입봉한 후에는 갈변 과정을 진행하는데, 이 때, 갈변을 위한 산소공급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비닐봉지는 갈변 촉진을 위해, 비닐봉지에 소수의 타공을 형성하거나, 통기성 비닐봉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병 배지에서 종균 배양이 완료된 배지를 탈병한 후, 입봉할 때에, 통기성 비닐봉지를 사용함으로써, 별도로 통기구멍을 뚫을 필요 없이 비닐봉지 자체의 통기성으로 보다 원활하게 갈변시킬 수 있다.
특히, 통기성 비닐봉지로 인해, 외부의 수분 조건을 배제하여, 배지의 수분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어, 충분히 보습이 가능하고, 버섯 주변부의 수분을 적절한 습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갈변단계에서 갈변된 배지를 파라핀으로 코팅할 수 있다.
상기 파라핀 코팅은 물과 보습제를 혼합한 수용액에 배지를 담가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물과 보습제를 배지의 표면에 뿌릴 수도 있다.
이러한 파라핀 코팅은 버섯 주변부의 수분은 억제하지만 배지의 습도는 유지되어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아울러 수분의 증발을 막기 위해 배지의 표면을 덮는 비닐이 필요없어서 작업이 더욱 간편해진다.
S10 : 함침단계
S20 : 분리단계
S30 : 살균 및 건조단계
S40 : 입병단계
S50 : 접종단계
S60 : 배양단계
S70 : 탈병단계
S80 : 입봉단계
S90 : 갈변단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톱밥을 염소가 0.1중량% 미만이 함유된 증류수를 수용한 마이크로 발생기에 투입하고 직경이 1㎛ 내지 100㎛의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상기 증류수에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톱밥을 10분 내지 20분 동안 함침시켜 먼지나 유기물을 제거하는 함침단계;
    상기 마이크로 발생기에서 톱밥과 함께 부상된 미생물이나 유기물을 제거하는 분리단계;
    상기 톱밥을 오존 분위기에서 건조시키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톱밥을 살균하는 건조 및 살균단계;
    상기 살균된 톱밥 및 영양제를 포함하는 배지용 혼합물과 함께 활성탄 분말을 용기에 충진하여 입병하는 입병단계;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배지 내 접종하는 접종단계;
    상기 접종된 종균을 배양하는 배양단계;
    상기 종균이 배양된 균배지를 상기 용기로부터 탈병하는 탈병단계;
    상기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하는 입봉단계; 및
    상기 입봉된 배지를 갈변시키는 갈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갈변단계에서 갈변된 배지를 파라핀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KR1020190054970A 2019-05-10 2019-05-10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KR10224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70A KR102249232B1 (ko) 2019-05-10 2019-05-10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70A KR102249232B1 (ko) 2019-05-10 2019-05-10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94A KR20200129894A (ko) 2020-11-18
KR102249232B1 true KR102249232B1 (ko) 2021-05-07

Family

ID=7369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970A KR102249232B1 (ko) 2019-05-10 2019-05-10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959B1 (ko) * 2022-11-25 2024-01-08 김형래 오존을 이용한 톱밥의 살균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톱밥을 포함하는 버섯 재배용 톱밥 배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541A (ja) 2000-02-29 2001-09-04 Takashi Doigawa 茸栽培菌床用培地および茸の栽培方法
JP2015057951A (ja) * 2013-09-17 2015-03-30 独立行政法人農業環境技術研究所 微生物培養培地、微生物の増殖方法及び有機塩素系化合物の分解方法、並びにナノバブル液体、ナノバブル液体製造装置及びナノバブル液体の製造方法
JP5797077B2 (ja) 2011-10-11 2015-10-21 友信工機株式会社 キノコの栽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947B1 (ko) * 2002-05-03 2004-09-24 농업회사법인 하나바이오텍(주) 꽃송이버섯(하나비라다케, 학명: Sparassis CripsaWulf.:Fr. )의 인공재배법
KR20030011969A (ko) * 2003-01-14 2003-02-11 김광옥 꽃송이버섯(학명:Sparassis Crispa)의 단기간 내의인공재배법
KR101525533B1 (ko) * 2013-04-26 2015-06-03 김영욱 미생물 발효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곡물의 제조방법
KR101314988B1 (ko) 2013-07-01 2013-10-04 서호석 지장수 함유 백화고 재배용 배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지장수 함유 백화고 재배용 배지 조성물
KR20160034108A (ko) 2014-09-19 2016-03-29 강현성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541A (ja) 2000-02-29 2001-09-04 Takashi Doigawa 茸栽培菌床用培地および茸の栽培方法
JP5797077B2 (ja) 2011-10-11 2015-10-21 友信工機株式会社 キノコの栽培方法
JP2015057951A (ja) * 2013-09-17 2015-03-30 独立行政法人農業環境技術研究所 微生物培養培地、微生物の増殖方法及び有機塩素系化合物の分解方法、並びにナノバブル液体、ナノバブル液体製造装置及びナノバブル液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94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72525B (zh) 椰糠制备的食用菌工厂化栽培基质及其应用
TWI424060B (zh) Mushrooms of the fungal bed cultivation method
JP2009045062A (ja) ホンシメジの菌床栽培方法
KR102249232B1 (ko)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US4161083A (en) Method for vessel cultivation of Lentinus edodes
JP6987408B2 (ja) きのこ培地の製造方法
KR20100061386A (ko) 땅찌만가닥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JPS6262126B2 (ko)
KR20200061556A (ko) 셀레늄 함유 백화고의 재배 방법
JP5241024B2 (ja) キノコの菌床栽培用器材
US20220174895A1 (en) Reusable agricultural growth medium capable of containing gas and nutrients
KR20200137620A (ko)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JPS6365281B2 (ko)
KR101951218B1 (ko)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Gowda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addy straw pasteurizer for mushroom cultivation
KR20160034108A (ko)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367043A (zh) 一种袋料灵芝活体嫁接
JP5590194B1 (ja) キノコの除染材及びそれを用いたキノコの人工栽培方法
JP2003219760A (ja) 昆虫飼育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79629A (ja) 担子菌培地の培養促進処理方法
KR101811525B1 (ko) 복령의 재배방법 및 재배장치
KR20170025780A (ko) 침엽수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재배방법
KR20200136868A (ko) 셀레늄 함유 백화고의 재배 방법
KR850002981Y1 (ko) 담자균 배양용 폿트(Pot)
JPH03201911A (ja) 椎茸栽培用菌床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