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108A -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108A
KR20160034108A KR1020140125219A KR20140125219A KR20160034108A KR 20160034108 A KR20160034108 A KR 20160034108A KR 1020140125219 A KR1020140125219 A KR 1020140125219A KR 20140125219 A KR20140125219 A KR 20140125219A KR 20160034108 A KR20160034108 A KR 20160034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mushroom
white
culture
plastic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성
Original Assignee
강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성 filed Critical 강현성
Priority to KR102014012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4108A/ko
Publication of KR2016003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밥 및 영양제를 포함하는 배지용 혼합물을 용기에 충진하여 입병하는 단계; 입병된 배지를 살균하는 단계;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상기 살균된 배지 내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종균을 배양하는 단계; 상기 종균이 배양된 균배지를 상기 용기로부터 탈병하는 단계; 상기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하는 단계; 및 상기 입봉된 배지를 갈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백화고용 배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MEDIUM FOR BAEKHWAGO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분류학적으로 송이버섯과 (Tricholomataceae)에 속하는 목재부후균의 일종으로 맛과 향이 독특하여, 건강 식품으로서 오랫동안 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아왔다.
표고버섯은 구체적으로 백화고, 흑화고, 동고 향고, 향신, 등외의 6 가지로 세분화되며, 이들은 별개의 종이 아니라, 표고버섯의 생육 조건에 따라 나타나는 갓의 형태에 따라 분류된다.
특히, 백화고나 흑화고는 표고버섯 재배과정에서 버섯의 갓 부위에 금이 가면서 거북이 등처럼 터져 화문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화문정도에 따라 갓 부위의 흰색이 50 % 내지 60 % 이면 백화고, 화문정도가 20 % 내지 30 %이면 흑화고로 분류되며, 그 이하의 화문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동고, 향고 등으로 분류한다.
백화고는 온도, 습도, 광, 환기 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자연에서는 봄, 가을에 극히 소량만이 수확되고 있으며, 인공재배시에도 온도, 습도 등의 조절이 까다로워 소량 생산만이 가능하고, 인공적 조건에서 생산된 백화고는 자연상태에서 수확되는 백화고의 품질을 따라가기는 힘든 실정이다.
백화고는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으로부터 버섯을 발생시킨 후에도, 극도의 생육 조건 제어 하에서 일정 기간 이상을 더 생육시켜 버섯의 갓에 화문을 형성시켜야 비로소 생산될 수 있다.
따라서, 백화고는 온도, 습도, 광, 환기 조건 등에 매우 민감하여 일반 표고버섯에 비해 자연에서의 수확이 어렵고, 인공재배가 어렵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은 농산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백화고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배지 조성물에 지장수를 투입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4988호), 이는 추가적인 첨가물을 투입하는 것으로, 여전히 백화고 재배에 있어서 다양한 조건들을 조절해야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보다 백화고를 재배하기 용이하도록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의 제고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4988호 (2013.10.04. 공고)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추가적인 첨가물 투입없이도 보다 효율적으로 백화고를 생산할 수 있는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백화고 재배시, 주로 중국식 봉형 배지를 이용하여 재배하는데, 본 발명은 중국식 봉형 배지 제조 방법에 자동화된 병 배지 제조 방식의 일부를 차용하여, 백화고의 생육 조건의 조절이 보다 용이한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배지 제조 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배지의 오염을 감소시켜 양질의 버섯 재배가 가능한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톱밥 및 영양제를 포함하는 배지용 혼합물을 용기에 충진하여 입병하는 단계; 입병된 배지를 살균하는 단계;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상기 살균된 배지 내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종균을 배양하는 단계; 상기 종균이 배양된 균배지를 상기 용기로부터 탈병하는 단계; 상기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하는 단계; 및 상기 입봉된 배지를 갈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백화고용 배지를 제공한다.
균배지 제조시 용기 배지 제조방식의 일부를 차용하여, 병배지의 중앙부 내 타공을 형성하여, 종균 배양시 충분한 통기를 가능하게 하여, 기존 백화고 재배에 용이한 봉형 배지 제조방식에서 종균 배양을 위해서 단계별로 3 회 내지 4 회 비닐봉지에 수작업으로 수십개의 구멍을 뚫어주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종균 배양시 산소 공급을 위한 별도의 타공 수작업이 불필요하다.
또한, 이미 종균이 배양 완료된 상태에서 탈병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입봉 전
탈병과정에서 육안 검사를 통해 오염된 배지를 제거할 수 있어 양질의 배지를 제조하고, 배지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용기 내부에서 종균이 접종된 균배지를 탈병한 후 입봉하는 2차 배지 가공단계를 통해, 극도의 습도 제어 조건에서 생육하는 백화고의 생산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고부가가치의 백화고 재배가 가능하다.
또한, 입봉 후 갈변과정에서 통기성 비닐봉지를 사용하여, 보다 원활한 갈변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탈병 및 분쇄된 균배지의 입봉단계에서, 별도의 비닐봉지 절개 작업 없이도 버섯핀이 비닐봉지를 뚫고 나오도록 자연적인 버섯 발생을 유도하여 인력 절감을 통해 백화고의 대량 재배가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봉형 배지 제조방식(배양물 혼합, 입봉, 살균, 접종, 배양단계)에서 용기배지 제조 방식의 일부를 차용하게 되므로, 배지 제조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인력 및 제조시간 단축을 통하여 배지 가격을 인하할 수 있어 중국산 배지 수입의 대체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백화고용 배지는 배지 내 수분 보존 및 발생한 버섯 주변부의 수분제어가 보다 용이하여 백화고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화고 제조방법을 이용하되, 버섯핀이 스스로 비닐에 구멍을 뚫어 자연스럽게 버섯이 발생하도록 생육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봉형 배지 제조 방법을 이용한 백화고 제조방법을 이용하되, 백화고의 생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작업으로 비닐을 찢어 백화고를 생육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지를 이용하여 생산한 백화고의 중량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백화고는 일반적인 표고버섯 재배방법으로 생산되나, 버섯 발생 후 생육 조건에 있어서, 온도, 습도, 환기, 광 조건에 민감하며, 특히, 온도 및 습도의 영향에 따라 백화고 생산성이 결정된다. 백화고는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이 극도로 제한된 조건에서 생육하므로, 자연적, 인공적 생산이 어려워, 고부가가치를 지닌다.
일반적으로, 표고버섯의 재배방법에는 원목배지 재배와 톱밥배지 재배 방식이 있으며, 근래 들어서는, 원목재배에 비해 높은 회수율과 적은 노동력 투자 등의 장점을 가진 톱밥배지 재배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 표고버섯 배지는 느타리 버섯, 팽이버섯 등에 비해 배지의 용량이 커야하고, 느타리 또는 팽이버섯은 뚜껑부의 상면으로만 발생이 되는데 반해, 표고버섯은 측면으로도 발생이 되기 때문에, 표고버섯을 용기를 이용하여 재배하는 데 한계가 있어, 표고버섯의 특성상 용기를 이용한 백화고의 재배가 어려웠다.
이에, 표고버섯 재배를 위하여 톱밥을 이용한 봉지 재배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톱밥을 이용한 봉지 재배방식으로는 크게 중국식, 일본식, 대만식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본식 방법은 버섯을 대량 생산 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비닐봉지를 벗겨 재배하므로, 배지 내 수분이 증발되게 된다.
배지 내 수분 부족시 균사가 사멸할 수 있어 사멸된 균사에 의해 배지가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수분 공급단계를 요한다.
중국식 방법은 비닐봉지를 씌워 재배되므로, 배지의 수분 증발을 방지시키고, 다른 균주의 오염을 억제하여, 일본식 방법에 비해 고품질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접종 후 균배양시 통기를 위해(산소 공급을 위해) 3 회 내지 4 회에 걸쳐 수작업으로 비닐봉지에 수십개의 통기구멍을 뚫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중국식 봉형 배지 제조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배지 생산 단가가 기타 방식에 비해 2 배정도 높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인건비가 싼 중국으로부터 가격이 저렴한 중국식 봉형 배지를 다량 수입하고 있으나, 배지 품질이 좋지 않아 버섯 생산성 및 버섯의 품질이 저하되어 고품질의 백화고를 얻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자는 중국식 봉형 배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간 및 인력 소모가 적고, 고품질의 백화고 생산이 가능한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은 입병 단계, 살균 단계, 종균 접종 단계, 탈병 단계, 입봉 단계 및 갈변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톱밥 및 영양제를 포함하는 배지용 혼합물을 용기에 충진하여 입병하는 단계; 입병된 배지를 살균하는 단계;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상기 살균된 배지 내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종균을 배양하는 단계; 상기 종균이 배양된 균배지를 상기 용기로부터 탈병하는 단계; 상기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하는 단계; 및 상기 입봉된 배지를 갈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배지용 혼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지용 혼합물의 제조
본 양태에서, 배지의 입병 전에 배지용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배지용 혼합물은 톱밥 및 영양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양태의 톱밥은 백화고가 양호하게 성장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참나무, 서어나무, 오리나무, 밤나무, 회양목, 오동나무, 벚나무 등의 활엽수로부터 유래된 톱밥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참나무 톱밥일 수 있다.
참나무 목(Quercus spp.)에는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물참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 등이 있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배지 혼합물에 사용되는 톱밥은 1 mm 내지 2 mm 크기이면, 배지 내 통기성이 떨어지고 표면적이 증가하여, 종균의 배양속도가 더디고, 배양 완료 후에도 배지의 물리적 강도가 약하여 좋지 않다.
3 mm 이상의 톱밥은 배지 혼합시 수분이 빨리 흡수되지 않으므로, 생육 조건의 수분조건을 고려하여, 1 mm 내지 2 mm 의 톱밥과 3 mm 내지 5 mm의 톱밥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자가 상이한 톱밥의 혼합비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영양원은 미강, 밀기울, 옥수수, 대두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의 배양시 필요한 최소한의 함량 이상으로 배지용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배지용 혼합물 내 톱밥과 영양원의 함량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혼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아니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균사의 생장 촉진이나 버섯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탄산칼슘, 면실피 등의 첨가제를 함께 혼합하여 배지용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입병 단계
이어서, 본 양태의 배지용 혼합물을 입병하는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양태의 일 실시예에서, 입병 단계는 입병기를 이용하여 배지용 혼합물을 용기의 투입구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본 양태의 용기 또는 입병기는 느타리 버섯 등의 용기 배지 제조 등에서 사용되는 입병기와 용기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입병기의 구성 및 기능은 버섯 재배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입병기를 이용한 용기 배지 제조는 주로 느타리 버섯, 팽이 버섯 등에 이용되어 왔던 방법으로, 대용량 배지를 필요로 하는 백화고의 특성상, 백화고 재배에는 적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구체적으로, 종전 병배지의 병 용량은 800 cc 내지 1000 cc 정도이나, 품질이 양호한 백화고의 재배를 위해서는 약 2.5 kg 내지 4 kg(대략 3000 cc 내지 5000 cc)의 배지 용량을 필요로 하여, 종래 병 배지를 이용한 백화고 재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느타리나 팽이버섯은 상부(뚜껑부)로만 버섯이 발생하여 품질이 양호한 버섯의 수확이 가능하나, 백화고는 상부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발생하므로, 병 배지를 이용하여 백화고를 재배하는 경우, 측면으로 나온 버섯핀이 병의 내벽에 막혀서 버섯이 충분히 성장할 수 없어, 외관이 양호한 버섯을 수확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병 배지에서 종균 배양 후, 해당 배지를 탈병하여 분쇄하는 2차 가공단계를 거쳐, 입봉시 배지를 2.5 kg 내지 4 kg 용량으로 충분히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느타리 버섯 등의 배지를 제조하는 용기 배지 제조 설비를 그대로 이용하여 입병 단계의 자동화가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설비 개발없이 이를 백화고 재배에 이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자동화 공정으로 인해, 배지 생산 단가가 하락하여 농가 소득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양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병 단계에서 용기의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와 평행한 면의 중앙부를 종방향으로 타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입구'는 배지를 충진하는데 이용되는 병의 개방부로, 이를 통해 배지를 투입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타공은 투입구 및 이와 평행한 면을 모두 관통하도록 수행되거나 투입구와 평행한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이격된 길이만큼 투입구로부터 관통될 수 있다.
병의 종단부를 모두 관통하는 경우, 보다 종균 접종이 골고루 되어, 일정하게 균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타공은 타공기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이는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의 배양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을 위함이다.
본 양태의 타공기 등은 용기 배지 제조 등에서 사용되는 타공기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타공기의 구성 및 기능은 버섯 재배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봉형 배지의 경우는 외벽이 강도가 약한 비닐봉지이므로 타공한 구멍이 함몰되어 통기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부득이하게 비닐봉지 외부로부터 구멍을 뚫어야 했고, 비닐봉지 외부로부터 뚫는 구멍은 약 3 mm 내지 5 mm 직경의 작은 구멍을 수십 개 뚫어야 했으므로, 수작업이 불가피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중국식 봉형 배지 제조 방법을 자동화시키기 어려워, 배지 단가의 상승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 때, 수작업으로 비닐봉지에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잡균 오염으로 인해 양질의 배지 생산이 어려워 균주 접종 후 균배양 과정에서 푸른곰팡이 등의 오염으로 배지가 부패하여 흑변하거나, 갈변이 이루어지지 않아 농가에서 버섯 재배시 배지를 조기에 폐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그러나, 본 양태에서는 병배지 제조시 통기를 위해 중심부에 타공을 하는데, 병 배지의 중앙부를 타공함으로써, 뚜껑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배지 전체에 공급되게 하고, 추가적인 접종부 없이, 중앙부에 접종된 균주가 고르게 퍼져나가, 일정하게 배양되어 양질의 배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되어 많은 버섯을 수확할 수 있다.
따라서, 입병 후 병 배지의 중앙부를 타공함으로써 수작업을 통하여 비닐봉지에 구멍을 뚫는 단계의 생략이 가능하고, 공정의 자동화를 통해, 배지의 오염 최소화, 인건비 절감 및 생산 효율 증대로 백화고용 배지 제조시 배지 비용의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본 양태의 백화고용 배지 제조방법에서는 기존의 중국식 봉형 배지 제조 방식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백화고용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살균 단계
이어서, 입병된 배지를 살균할 수 있다.
살균은 고온가압살균, 상온상압살균, 화학적 살균 등이 있으며, 본 양태의 용기 배지 제조의 경우, 고온가압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단계의 시점 및 조건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나, 비제한적으로, 120 ℃내지 125 ℃, 1.1 기압 내지 1.2 기압에서, 1 시간 내지 2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살균된 배지는 온도가 높으므로, 냉각할 수 있다.
종균 접종단계
상기 타공된 배지의 타공부에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접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이란 종균으로부터 버섯 발생 후, 생육시 백화고를 생산할 수 있는 종균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표고버섯 종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균배지'는 배지에 버섯종균을 접종하여 종균이 배양된 배지를 의미하며, 입봉 후 갈변된 배지와는 구분된다.
상기 종균의 접종은 종균 접종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균이 접종된 톱밥을 주원료로 배양한 고체종균을 타공부 또는 타공부 주위로 투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양태의 일 실시예에서, 종균의 접종은 고체 종균을 10 g 내지 20 g으로 접종 부위에 흩뿌리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액체 종균은 대량으로 하나의 배양통에서 배양하므로 배양액 또는 용기의 오염시, 종균 전체로 오염이 전이되므로, 오염된 액체 종균으로 접종한 배지는 모두 오염될 수 있다.
그러나, 고체 종균을 접종시키는 경우, 대량 오염 가능성이 적고, 액체 종균 접종에 비해 시설비가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체 종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접종기 등은 병 배지 제조방식에서 사용되는 접종기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종기의 구성 및 기능은 버섯 재배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종균배양
이어서, 입병 후 암배양하여 종균을 배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병 배지의 중앙부에 형성된 타공부에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접종한 후에, 20일 내지 30일 동안 상기 종균을 상기 병 배지 내에서 균사체로 배양할 수 있다.
병 배지 배양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지에 접종한 종균이 활착될 수 있도록 배양실 온도 20 ℃ 내지 25 ℃, 습도 60 % 내지 70 %로 조절하고, 균사 생장시 발생하는 호흡열로 온도가 증가되므로, 배양실 내 온도를 호흡열에 의해 증가한 온도만큼 가감하여 배양 온도를 일정한 수준(예: 20 ℃ 내지 25 ℃)으로 유지시키면서 수행될 수 있다.
탈병단계
이후, 본 양태에서는 종균이 충분히 배양된 균배지를 갈변단계 전에 탈병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은 주로 빛과 산소 인자에 의하여 톱밥 배지 내에서 균사 배양 완료 후에 배지의 표면에 갈색 피막이 형성되는데, 이를 '갈변'이라 한다.
갈변으로 인해 피막이 형성되면, 외부 공기와 접촉하더라도, 추가적으로 다른 잡균에 의해 오염이 잘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지 내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갈변이 배지 전체에 고루 퍼진 상태에서, 버섯을 발생시켜야 버섯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배지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병안에서 갈변이 진행되면(갈변 후 탈병시키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이 생성되는데, 상기 수분으로 인해 배지가 부패하거나, 생성된 수분으로 인해 오염된 배지의 일부분으로부터 오염된 유리수가 발생하여, 배지의 부패를 촉진할 수 있다.
이 때, 배지 내부에서 진행된 오염은 발견할 수가 없으므로, 배지가 오염된 상태로 갈변이 진행되어, 버섯 생육시에 배지 전체로 오염이 확산되어, 고품질의 버섯 생산이 어렵고, 버섯 생산 효율이 감소된다.
또한, 오염된 배지 제거 없이 갈변된 배지는 이후, 버섯파리가 확산될 위험이 크므로, 추가적 오염이 발생하여 배지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나아가, 용기 내에서, 갈변이 완전히 완료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한 버섯 균사는, 생육 후에도 상품으로서 가치가 없으므로 수율의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탈병단계는 입병 후 갈변 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적으로 용기 배지 제조 방식의 일부를 차용하여 종균 접종 단계를 수행하고, 입병 후에 균주가 접종 및 배양된 균배지를 탈병하여 2차 가공함으로써, 자동화된 공정으로 인하여, 잡균의 감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배지의 부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양태에서, 탈병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용기 배지 제조 방식에서 사용되는 방법(예:탈병기 이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입봉단계
이어서,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할 수 있다. 탈병시 이미 종균이 배양된 상태이므로, 배양된 균의 항진균력으로 인해 입봉시 잡균의 오염으로 인한 위험도가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비닐봉지의 크기, 모양 및 용기에 투입되는 균배지의 함량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봉시 균배지는 분쇄된 상태로 입봉될 수 있다.
백화고는 건조한 환경에서 생육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자연조건에서 백화고에 최적화된 조건을 계속하여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연산 백화고를 얻기 매우 어렵다. 백화고의 생산을 위하여, 온도, 습도, 광, 환기 조건 등을 까다롭게 조절하여 백화고를 생산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하여 추가적인 설비가 제공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백화고의 생산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분조건을 극히 제한하는 수단으로 배지를 용기에 입병한 후, 탈병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백화고의 재배는 수분 제어가 매우 중요한데, 탈병된 배지를 입봉하지 않고 백화고 배지로 이용하는 경우, 배지 표면으로부터 수분이 증발하여 배지 내 적정 수분 부족으로 버섯 종균이 사멸화될 수 있어 백화고의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배지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한 후 고품질의 백화고를 재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봉되는 상기 균배지는 탈병시 탈병기에 의해 분쇄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균배지를 분쇄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핸디 분쇄기,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 후, 입봉기를 이용하여 입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탈병기에 믹서기의 날과 같은 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탈병하기 위해 탈병기를 용기 속으로 투입할 때에, 상기 부착된 날에 의해 배지가 분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탈병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병을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분쇄날이 장착된 탈병기를 병 속으로 투입하고, 상기 분쇄날을 상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회전하여 배지를 분쇄하고, 분쇄된 배지가 아래로 낙하하는 방식으로 탈병한다.
탈병 및 분쇄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탈병이 가능함과 동시에, 분쇄시 오염된 배지를 제거함으로써, 버섯 생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미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이 톱밥 알갱이 자체에 배양되어 있으므로, 오염된 부분만을 제거함으로써 오염되지 않은 배지의 균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양태에서는 살균제 등의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오염된 배지를 물리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화학약품 구입으로 인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화학 약품의 사용 없이 자연적으로 백화고를 재배함으로써, 살균제 잔류로 인한 안전성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입봉된 배지를 갈변시키는 단계
이어서, 입봉한 배지에 빛을 조사하여 60 일 내지 80일간 명배양할 수 있다.
명배양을 통해 배지 표면의 고른 갈변을 유도하여, 양질의 버섯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배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병 및 분쇄된 균배지를 입봉한 후에는 갈변 과정을 진행하는데, 이 때, 갈변을 위한 산소공급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비닐봉지는 갈변 촉진을 위해, 비닐봉지에 소수의 타공을 형성하거나, 통기성 비닐봉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통기성 비닐봉지'란 공기를 통과하되, 수분통과가 불가능한 비닐봉지를 의미하며, 통기성 비닐봉지를 사용함으로써, 갈변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위한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한 산소 공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병 배지에서 종균 배양이 완료된 배지를 탈병한 후, 입봉할 때에, 통기성 비닐봉지를 사용함으로써, 별도로 통기구멍을 뚫을 필요 없이 비닐봉지 자체의 통기성으로 보다 원활하게 갈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통기성 비닐봉지로 인해, 외부의 수분 조건을 배제하여, 배지의 수분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어, 충분히 보습이 가능하고, 버섯 주변부의 수분을 극도로 제어할 수 있어, 건조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백화고 생산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입봉 후 갈변이 완료하게 되면, 버섯 발생 작업을 통해, 버섯핀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비닐봉지는 강도가 강하여, 버섯핀의 발생에 따라 핀이 비닐봉지를 뚫을 수 없어, 버섯핀의 생장을 위해 수작업으로 핀 주위를 칼로 찢는 작업을 필요로 하여, 추가적인 노동력을 요하였다(도 2의 원 부분 참조).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통기성 비닐봉지로 갈변 후 버섯 발생 과정에 들어가는데, 이 때, 발생되는 버섯핀에 의해 버섯핀 발생 부위에 자연스럽게 구멍이 뚫리되, 어느 정도의 장력을 지녀 버섯핀이 없는 부위가 쉽게 찢어지지 않는 비닐을 사용할 수 있다(도 1의 원 부분 참조).
상기 특성을 지닌 비닐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서는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및 CaCO3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로 제조된 비닐봉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봉시 사용되는 비닐봉지로 상기 특성을 지닌 비닐봉지를 사용할 경우, 종래와 같은 별도의 절개 작업 없이 버섯핀의 생육으로 인해, 버섯핀이 발생함에 따라 나타나는 비닐봉지와의 장력 차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비닐봉지를 뚫고 나올 수 있다.
갈변전에 입봉하는 때에, 균배지를 탈병한 후 분쇄하지 않고 균배지에 비닐봉지를 씌우는 경우(입봉), 입봉 후 갈변이 진행되면 배지의 수축으로 인하여 비닐봉지와 배지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버섯핀이 원활하게 비닐을 뚫을 수가 없어 기형의 버섯으로 생육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탈병 및 분쇄 후에, 갈변전 상태의 배지를 통기성 박막의 비닐봉지로 입봉하면 갈변 후, 배지가 비닐봉지와 밀착되게 되는데, 이 때는 버섯핀이 비닐 봉지를 스스로 원활하게 뚫고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버섯핀의 생육시 별도의 타공 작업 없이 버섯핀이 스스로 비닐봉지를 뚫을 수 있도록 입봉 전에 균배지를 탈병한 후 분쇄시키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양질의 백화고 제조시에 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갈변전의 균배지를 분쇄하여 입봉함으로써, 분쇄된 배지와 비닐봉지가 밀착되어, 별도의 타공 작업없이 버섯핀이 원활하게 비닐봉지를 뚫을 수 있는 배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탈병 및 분쇄된 균배지로부터 오염원을 제거하고, 갈변전인 상기 분쇄된 배지를 입봉하되(2차 배지 가공), 갈변 전 배지를 입봉하는 단계에서 버섯이 스스로 비닐을 뚫을 수 있는 정도의 장력을 가지는 통기성 비닐을 사용함으로써, 갈변 후 버섯 발생시 별도의 비닐봉지를 절개 작업 없이도, 버섯핀이 비닐봉지 밖으로 뚫고 나오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배지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일정한 강도 이상을 가지는 버섯핀만 비닐봉지를 뚫고 나올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버섯은 생육하되, 열등한 품질의 버섯은 자연스럽게 자라지 못하게 되므로, 자연발생 버섯을 유도할 수 있고, 나아가, 추가적인 버섯 솎이 단계가 필요없게 되어,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기술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 백화고용 배지 제조
배화고용 배지 제조
1) 배지용 혼합물의 혼합과정
크기 1 mm 내지 2 mm 와 3 mm 내지 5 mm의 참나무톱밥을 1:1의 비로 혼합하였다. 부피비를 기준으로 참나무 톱밥: 밀기울: 면실피 = 85: 10: 5의 비율로 혼합하여, 가수하여, 배지용 혼합물 내 수분함량이 55%가 되도록 하였다.
2) 입병단계
용기 부피 100 cc당 배지 70 g정도의 비율로 상기 배지용 혼합물을 투입하여 골고루 누르며 용기 내로 입병하였다,
입병된 병 배지 중앙부에 직경 20 mm 정도의 구멍을 병의 밑부분까지 관통하도록 타공하였다.
3) 살균 및 냉각 단계
배지 내부온도 121 ℃, 1.1 기압의 조건 하에서 90 분간 살균하였다. 살균 후 냉각기가 설치된 멸균된 냉각실에서 약 20 ℃로 냉각시켰다.
4) 접종과정
이어서, 접종시 주변온도 20 ℃이하에서, 타공 부 내로 배지 100 cc당 고체종균 1g 을 골고루 뿌려 접종하였다.
5) 배양단계
빛이 전혀없는 암배양으로 온도 22 ℃, 습도 70%에서 30 일 전후로 배양하여 균을 활착시키고, 균의 활착으로 발생하는 호흡열에 의해 증가된 온도(약 2 ℃ 내지 3℃)만큼 온도를 낮추었다.
이 때, 이산화탄소 농도를 3000ppm이하로 관리하였다.
6) 탈병과정
탈병 시, 탈병기에 장착된 날을 이용하여, 병 내부에서 균배지를 분쇄하고, 탈병하였다. 이 때, 탈병 전후의 균배지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오염된 배지는 버려 추가적인 오염원을 제거하였다.
7) 입봉단계
분쇄된 배지 100cc당 65g의 비율로 3kg 의 배지를 봉형 비닐봉지(0.01mm 이하)에 입봉하였다.
이 ?, 추가 오염 방지를 위해, 20 ℃이하에서 입봉하였다.
8) 갈변단계
온도 18 ℃, 습도 70%, 이산화탄소 농도 3000ppm 이하로 관리하며, 배지
전체를 골고루 갈변시키도록 명배양하였다.
배지 표면에 갈변이 골고루 진행되면 생육실로 ?겨서 별도의 타공 없이 자연스럽게 버섯을 발생시켰다(도 1 참조).
실시예 2 - 백화고의 생산
실시예 1에 이어서, 하기와 같이 백화고를 생육시켜 약 70.0 g의 백화고를 생산하였다(도 3 참조).
낮에는 온도 20℃ 조도 500 Lux 내지 700 Lux, 밤에는 10 ℃로 주야 온도 차이가 10 ℃가 되도록 하여 3일 내지 7일동안 생육시켜 버섯핀(싹)을 발생시켰다(도 1 참조).
습도 80 % 내지 90%, 이산화탄소는 3000 PPM 이하인 조건인 생육실 내로 옮겨 버섯핀을 관리하였다.
발생한 버섯핀의 직경 1 cm 내지 2 cm로 성장하여 버섯핀이 비닐을 뚫고 나온 후에, 버섯핀이 직경 2 cm 내지 4 cm 정도 자랐을 때, 백화고를 만들기 위하여, 온도 10 ℃ 내지 15 ℃, 습도는 65 % 내지 70%정도로 서서히 낮추어 주었다.
이후 습도를 60 %전후로 관리하여 7 내지 10일정도 생육하여 70.0 g의 백화고를 수확하였다(도 3 참조).
수확후에는 배지 내부에서 소진된 균의 양성을 위하여 10 내지 15일정도의 휴지기를 가진 후, 24시간의 침수 과정을 거쳐, 다시 초기 생육 조건으로 버섯핀을 발생시켜, 백화고를 생육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톱밥 및 영양제를 포함하는 배지용 혼합물을 용기에 충진하여 입병하는 단계;
    입병된 배지를 살균하는 단계;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을 상기 살균된 배지 내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종균을 배양하는 단계;
    상기 종균이 배양된 균배지를 상기 용기로부터 탈병하는 단계;
    상기 탈병된 배지를 비닐봉지에 투입하여 입봉하는 단계; 및
    상기 입봉된 배지를 갈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병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의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와 평행한 면의 중앙부를 종방향으로 타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화고를 생육하기에 용이한 종균은 고체 종균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병은 분쇄와 함께 수행되는 것인,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백화고용 배지.
KR1020140125219A 2014-09-19 2014-09-19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4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219A KR20160034108A (ko) 2014-09-19 2014-09-19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219A KR20160034108A (ko) 2014-09-19 2014-09-19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108A true KR20160034108A (ko) 2016-03-29

Family

ID=5566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219A KR20160034108A (ko) 2014-09-19 2014-09-19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41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894A (ko) 2019-05-10 2020-11-18 에스엠푸드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KR20210069291A (ko) * 2019-12-03 2021-06-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버섯 갈변화 유도 방법 및 버섯 갈변화 유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894A (ko) 2019-05-10 2020-11-18 에스엠푸드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백화고용 배지의 제조방법
KR20210069291A (ko) * 2019-12-03 2021-06-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버섯 갈변화 유도 방법 및 버섯 갈변화 유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00692B (zh) 一种利用玉米芯栽培猴头菇的方法
TWI424060B (zh) Mushrooms of the fungal bed cultivation method
CN103891524B (zh) 灵芝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灵芝的培养基
CN102144497A (zh) 一种杏鲍菇的种植工艺
CN109479616B (zh) 松茸的制种与栽培方法
CN104030861B (zh) 蓝莓专用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101148759B1 (ko) 자실체의 모양을 균일하게 만드는 버섯의 병재배 방법
CN104885786A (zh) 一种尖顶羊肚菌的人工栽培方法
KR20140046515A (ko) 표고버섯 배양물 제조방법
CN103907477A (zh) 蘑菇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蘑菇的培养基
JP5551921B2 (ja) ホンシメジの菌床栽培方法
KR20190040536A (ko) 표고버섯 및 그 재배방법
KR20160034108A (ko)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1926B1 (ko) 버섯균사체 2차 배양을 통한 고품질 버섯균사체 대량 생산방법
KR101632393B1 (ko)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20200012367A (ko) 꽃송이 버섯 재배방법
CN102379210A (zh) 利用远志副产物栽培食用、药用真菌的方法
KR20110005618U (ko) 버섯재배용 종균 배양봉지
JPH02156828A (ja) シイタケの人工栽培方法
KR101560137B1 (ko)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JP5241024B2 (ja) キノコの菌床栽培用器材
KR101634857B1 (ko) 목침종균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20200137620A (ko)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CN109122057A (zh) 具通气防菌功能的菌种培养袋制作方法及应用
JP2006020571A (ja) エリンギの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