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620A -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620A
KR20200137620A KR1020190064287A KR20190064287A KR20200137620A KR 20200137620 A KR20200137620 A KR 20200137620A KR 1020190064287 A KR1020190064287 A KR 1020190064287A KR 20190064287 A KR20190064287 A KR 20190064287A KR 20200137620 A KR20200137620 A KR 20200137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liquid
weight
starter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익
이성윤
홍성집
박영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송이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송이애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송이애
Priority to KR102019006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620A/ko
Publication of KR2020013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10Mycorrhiza; Mycorrhizal associ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01G18/22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culture media, e.g. bott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30Accessories for use before inoculation of spawn, e.g. ster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6Cultivation 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1/00Fertilisers containing potas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표고액체종균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표고액체종균을 1차 배양하는 단계; 새송이용 폐배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조성물 준비하고, 배지조성물을 입병하고 살균및 냉각하여 배지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배양된 표고액체종균을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상기 1차 배양된 배지를 탈병하는 단계; 상기 탈병된 1차 배양 배지를 보습봉지에 입봉하는 단계; 상기 입봉된 배지를 2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배양에 의한 느타리버섯 자실체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고액체종균은 표고 버섯종균에 당분, 대두박, 칼륨,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고, 잔량의 물을 혼입하여 교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종균 및 보습봉지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느타리버섯 재배방법에 따라 표고액체종균을 톱밥배지에 접종하여 1차 배양한 다음 보습봉지에 입봉하여 2차 배양함으로써 느타리버섯 재배기간을 단축시켜 고품질의 느타리버섯을 단기간에 재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표고액체종균을 접종할 배지조성물은 새송이용 폐배지를 활용하여 배지 조성물의 섬유질 점도가 약해짐으로써 접종하는 표고액체종균의 배양 속도가 가속화 되어 재배기간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CULTIVATING METHOD OF OYSTER MUSHROOMR AND THE COMPOSITION OF CULTURE MEDIUM}
본 발명은 느타리버섯 재배방법 및 그 재배방법에 따른 느타리버섯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액체의 느타리버섯종균을 배양하고, 입병된 톱밥을 주성분으로 하는 새송이버섯용 폐배지에 접종하여 1차 배양하고, 탈병하여 2차로 공기 투과도가 높은 보습봉지에서 재배함으로써, 봉지를 절개하거나 제거할 필요가 없이 느타리버섯을 수확할 때까지 배지의 수분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새송이버섯용 폐배지를 사용하여 배지 내 섬유질의 점도가 약하여 느타리버섯 종균의 배양 속도가 가속화되어 단기간에 느타리버섯을 수확할 수 있는 느타리버섯 재배방법 및 상기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느타리버섯에 관한 것이다.
느타리버섯은 봄·여름·가을에 걸쳐 참나무류(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등)나 밤나무, 서어나무 등 활엽수의 마른 나무에 발생하며, 맛이 뛰어나고 독특한 향이 있어 식용 버섯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혈압을 낮추어 동맥경화, 심장병 등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근에는 항암작용 및 면역력증강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밝혀져 건강식품과 의약용으로도 연구되어 느타리버섯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점에 착안하여 원목토막에 도끼자국을 내고 여기에 홀씨가 붙어 자라기를 기다리는 원시적인 재배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후 느타리버섯 균을 인공적으로 배양한 후 원목에 접종하여 재배하는 표고 원목 재배방법으로 발전하여 표고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어왔다. 그러나 원목 재배방법을 이용하면 이용률이 원목의 10% 정도이어서 활엽수 자원의 부족을 가져오게 되고, 원목을 필요한 때에 대량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다. 또한, 농촌노동력의 감소 및 재배자의 노령화로 인해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원목 재배방법은 그 재배 여건도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근래에는 버섯생산 효율을 증대시키고 노동력을 절감시키기 위해 다수의 재료가 혼합된 톱밥배지를 병 또는 봉지에 담아 재배하는 톱밥재배방법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양송이 버섯, 느타리 버섯, 맛 버섯 등의 재배에서 오래전부터 실행되고 있는 균상재배방법(菌床栽培方法)을 느타리버섯의 재배 방법을 이용하여 인공재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균상재배방법에 사용되는 배지 재료는 볏짚, 보리짚, 퇴비, 폐지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느타리버섯의 재배방법에서는 활엽수의 톱밥이 주로 사용되고 있고, 이는 톱밥재배라고 한다.
느타리버섯의 톱밥재배를 실시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1857호에서는 살균된 배지에 느타리버섯 종균을 접종하고 봉지에 충진하여 재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 종래의 봉지를 이용하여 재배할 경우, 입봉 후에 고압살균기에 넣어 멸균해야 하므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비닐재질을 사용해야 하고, 자실체가 발생하는 시기에 봉지를 절개해야 하며, 봉지를 개봉 후에는 배지의 수분이 마르게 되어 버섯이 생장하는데 적합한 수분으로 관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문헌1] US 5635683 A (MCDERMOTT, R. M.) 1997.06.03. [문헌2] JP 10-105775 A 1998.04.24, 5쪽, 3-15줄, 도면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고액체종균을 톱밥배지에 접종하여 1차 배양한 다음 보습봉지에 입봉하여 2차 배양함으로써 느타리버섯 재배기간을 단축시킨 느타리버섯 재배방법 및 그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느타리버섯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고압살균 후에 입봉하므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비닐재질을 사용하지 않아, 자실체가 발생하여도 비닐을 절개하거나 제거할 필요가 없는 보습봉지를 이용함으로써 버섯을 수확할 때까지 배지의 수분관리를 용이하게 느타리버섯 재배방법 및 그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느타리버섯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표고액체종균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표고액체종균을 1차 배양하는 단계; 새송이용 폐배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조성물 준비하고, 배지조성물을 입병하고 살균및 냉각하여 배지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배양된 표고액체종균을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상기 1차 배양된 배지를 탈병하는 단계; 상기 탈병된 1차 배양 배지를 보습봉지에 입봉하는 단계; 상기 입봉된 배지를 2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배양에 의한 느타리버섯 자실체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고액체종균은 느타리버섯종균에 당분, 대두박, 칼륨,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고, 잔량의 물을 혼입하여 교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종균 및 보습봉지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표고액체종균은 느타리버섯종균 100 중량부 대비, 일인산칼륨 0.04 ~ 0.06중량부, 황산마그네슘 0.02~ 0.04 중량부를 첨가하고, 당분 2 ~ 4 중량부, 대두박 0.2 ~ 0.4 중량부, 물 100 중량부를 혼입하여 교반시킨 것으로 pH 4.5 ~ 5.0 인 느타리버섯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배지조성물은, 톱밥 70 ~ 85 중량 %, 새송이용 폐배지 10 ~ 25 중량%, 밀기울 1 ~ 1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새송이용 폐배지는 톱밥 40 ~ 60 중량%, 콘콥 10 ~ 20 중량%, 옥수수 5~ 15 중량%, 비트펄프 5 ~ 15 중량%, 밀기울 5 ~ 10 중량%, 대두박 1 ~ 8 중량%, 단백피 1 ~ 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및 냉각하여 배지를 조성하는 단계는, 2차에 걸쳐 살균하고, 살균한 배지를 12℃ 온도로 급속 냉각하는 느타리버섯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액체종균 및 보습봉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느타리버섯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표고액체종균을 톱밥배지에 접종하여 1차 배양한 다음 보습봉지에 입봉하여 2차 배양함으로써 느타리버섯 재배기간을 단축시켜 고품질의 느타리버섯을 단기간에 재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표고액체종균을 접종할 배지조성물은 새송이용 폐배지를 활용하여 입병하고 살균및 냉각하여 배지를 조성하는 단계에서 2차에 걸쳐 살균하고, 살균한 배지를 12℃ 온도로 급속 냉각하여 배지의 멸균이 우수하고, 새송이용 폐배지를 활용하여 배지 조성물의 섬유질 점도가 약해짐으로써 접종하는 표고액체종균의 배양 속도가 가속화 되어 재배기간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고압살균 후에 입봉하므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비닐재질(HDPE)을 사용하지 않아, 자실체가 발생하여도 비닐을 절개하거나 제거할 필요가 없는 보습봉지를 이용함으로써 버섯을 수확할 때까지 배지의 수분관리가 용이하고, 생육할 때 물을 살포하지 않고 기존 배지 내의 습도로 생육할 수 있어 재배설비에 들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느타리버섯 재배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느타리버섯 재배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느타리버섯 재배방법은 먼저 표고액체종균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표고액체종균을 배양하는 단계; 새송이용 폐배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조성물 준비하고, 배지조성물을 입병하고 살균및 냉각하여 배지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배양된 표고액체종균을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상기 1차 배양된 배지를 탈병하는 단계; 상기 탈병된 1차 배양 배지를 보습봉지에 입봉하는 단계; 상기 입봉된 배지를 2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배양에 의한 느타리버섯 자실체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단계- 표고액체종균 제조(110)
무균상에서 Potato Dextrose broth(Difco) 배지에 표고(Lentinula edodes (Berk.) Pegler)균, 칼륨과 황산마그네슘을 혼입하고 교반한다. 한편 영양원으로 설탕, 대두박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으면 버섯의 수확량이 저조하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표고액체종균은 pH 4.5 ~ pH 5.0 으로 유지하며,약 산성을 띄는 것이 바람직하다.
2단계- 표고액체종균 배양(120)
상기 PDB배지에 표고균을 접종하고, 25℃ 진탕배양기에서 23~25℃온도로, 100~150rpm의 조건으로 6~ 10 일간 배양한다.
일 실시예로, 삼각플라스크에 담긴 액체배지인 PDB에 표고균을 접종하고, 추가로 설탕 30g , 대두박 3g 을 첨가하고, 황산마그네슘(MgSO4) 0.2 ㎏, 일인산칼륨(KH2PO4) 0.5g 을 혼입하여 충분히 교반시킨다.
황산마그네슘은 종균의 활력을 조장하는 미량원소로 느타리버섯종균 100중량부 대비 0.0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첨가효과가 미미하고, 0.04 중량부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버섯의 활력이 저조해진다.
제1인산칼륨은 버섯의 배양속도를 조장하는 미량원소로 느타리버섯종균 100중량부 대비 0.04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첨가효과가 미미하고, 0.06 중량부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버섯의 배양이 늦어진다.
액체배지에 표고균을 접종한 후에 표고균이 배양되면서 액체의 색깔이 점차 혼탁해진다. 상기 배양된 표고종균을 수확하여 원균으로 사용한다. 외기 노출시간은 0.5초 이내로 짧게 하여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3단계- 배지 조성(210)
새송이용 폐배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조성물 준비하고, 배지조성물을 입병하고 살균및 냉각하여 배지를 조성하는 단계이다.
배지란, 균, 세포 또는 식물체 배양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주고, 적당한 [0042] 삼투압, pH를 맞추어주는 환경을 말한다. 형태에 따라 액체배지와 고형배지로 구분하고, 본 발명의 경우 톱밥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형배지를 사용한다.
톱밥은 느타리버섯이 서식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활엽수 톱밥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활엽수는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물참나무 등의 참나무(Quercus), 밤나무(Castaneacrenata var.dulcis), 구슬잣밤나무, 나도밤나무, 너도밤나무, 서어나무(Carpinuslaxiflora), 대추나무, 개암나무, 호두나무, 포플러류, 오동나무,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미루나무, 은백양나무, 은사시나무, 사시나무, 산딸나무, 회양목. 사철나무, 때총나무, 산초나무, 단풍나무, 신나무, 고로쇠나무, 감나무, 사과나무, 대추나무, 호두나무, 무화과나무, 느티나무, 느릅나무, 보리수나무, 쥐똥나무, 박태기나무, 조팝나무, 싸리나무, 조록싸리, 뽕나무, 모감주나무, 오동나무, 벽오동나무, 피나무, 회화나무, 계수나무, 박달나무, 물푸레나무, 매자나무, 돈나무, 매화나무, 자두나무, 버드나무, 능수버들, 수양버들, 왕버들, 갯버들, 고리버들, 벚나무, 산벗나무, 왕벗나무, 소사나무, 서나무, 붉나무, 탱자나무, 동백나무, 노린재나무, 고추나무, 단팔수, 네군도단풍나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톱밥은 참나무톱밥을 사용한다.
상기 톱밥은 균상재배에서 배지의 주재료가 되는 것으로, 톱밥 70 ~ 85 중량 %, 새송이용 폐배지 10 ~ 25 중량%, 밀기울 1 ~ 1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톱밥의 함량이 70 중량부 미만이면 종균의 배양속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톱밥의 함량이 85 중량부를 초과하면 혼합되는 첨가제의 비율이 낮아져 표고 버섯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참나무톱밥 80 중량%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배지에서 새송이폐배지와 밀기울은 각각 10~25 중량%, 1~10중량%로 포함하는 것으로, 영양원으로 사용된다. 새송이폐배지가 1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배양속도가 빠르지만 버섯 수확량이 감소하고, 25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배양속도가 지연되고 수확량이 감소한다.
밀기울이 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배지의 공극률이 낮아져 버섯의 품질이 저하되고, 1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배양 과정 중에 과다한 가스가 발생하여 느타리버섯의 수확량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지에는, 새송이균사체 배양과정을 이미 거친 새송이용 폐배지를 사용함으로써 배지 내 섬유질(리그린) 경도가 약해지고, 표고종균 배양 속도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상기 새송이용 폐배지는 톱밥 40 ~ 60 중량%, 콘콥 10 ~ 20 중량%, 옥수수 5~ 15 중량%, 비트펄프 5 ~ 15 중량%, 밀기울 5 ~ 10 중량%, 대두박 1 ~ 8 중량%, 단백피 1 ~ 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옥수수는 새송이용 폐배지 총중량 기준 5~15 중량%로 포함되며, 주요 열량원이 된다. 5 중량%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첨가에 따른 영향이 미미하고, 15중량%를 초과하여 초함되는 경우 다른 영양원의 첨가가 제한되어 양질의 느타리버섯의 품질을 얻기 어렵다.
대두박과 옥배아박, 단백피 등은 조단백영양원으로 위 함량구간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첨가에 따는 느타리버섯 균사의 생장이 저하되고,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그 영향이 미미하다.
밀기울은 열량 및 공극형성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5중량%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공극형성이 미미하여 느타리버섯 균사의 품질이 떨어지게되고, 1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공극률이 높아져 이후의 버섯 생장 개체수가 과다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비트펄프는 수분에 팽창이 잘 되고 질소 함량이 높아 느타리버섯 배지 재료로 활용되고 5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공극형성이 불량해 수분함량이 저하되어 느타리버섯 균사의 품질이 떨어지고, 1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공극이 과다하게 형성되어 배양이 늦어진다.
상기와 같은 배지를 조성함으로써 느타리버섯생육에 최적화된 공극과 양분 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표고의 균사 생장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여 재배되는 표고의 품질과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있다.
한편, 배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하여 미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미강을 사용하는 경우 미강이 산패되어 종균이 죽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강을 제외함으로써 산패되는 위험을 방지하고, 상기첨가제는 산패되지 않고, 배지에 영양을 공급해 줄 수 있다.
상기 공정에 따라 조성된 배지는 병에 넣는 입병작업을 거친다. 재료의 배합이 끝난 배지는 즉시 입봉기를 이용하여 병에 넣고 필터가 부착된 뚜껑으로 닫은 다음, 살균기에서 살균한 후 냉각기로 옮겨 냉각한다.
배지 투입량은 병 또는 용기의 수용량이나 재배조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용량 100 cc 당 65% ~ 80 % 정도로 투입하고, 표면을 다진 후 가운데 직경 1.5 ~ 2.0 cm 의 구멍을 뚫고 마개를 막아 살균 작업을 거쳐 병 배지를 만든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배지 혼합물은 수분함량 60~70 %를 함유하도록 한다. 배지의 수분 함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수 있다. 예를 들면 톱밥에 물을 섞어 혼합하여 수분을 공급한 후 첨가제를 혼합하여 수분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배양실에서 배양하는 과정에서 배양실 내부의 습도를 60~70 %로 유지하여 배지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병배지는 접종실에서 종균을 접종하기 전에 살균과정을 거친다. 이는 무균상태를 만들어 느타리버섯 재배가 잘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단계 살균과정을 거치는데, 1차는 90 ~ 110 ℃온도에서 100 ~ 120 분간 살균하고, 연이어 110 ~ 125 ℃ 온도에서 50 ~ 70 분간 2차 살균한다. 새송이 폐배지를 이용하므로 2단계에 걸친 살균을 거쳐 병 배지를 완전한 무균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2단계로 살균한 배지는 12℃ 온도로 급속 냉각한다. 이를 통해 추후 접종될 종균의 변질이나 폐사를 막을 수 있다.
4단계- 배양된 표고액체종균 배지접종 (220)
냉각단계가 종료되면, 병을 개방하고 배지에 버섯 종균을 접종한다(220) 이때, 배지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접종해야 버섯재배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무균실에서 액체배양기를 통해 살균, 냉각 준비된 종균을 접종한다.
액체 종균은 배양병 내부에 미리 만들어 놓은 구멍을 중심으로 자동접종기 등을 이용하여 배양병 당 약 20 ~ 30㎖ 를 살포한다. 접종 후에는 필터가 달린 뚜껑으로 입구를 막아 배양실로 옮긴다.
5단계- 1차배양 (230)
톱밥 배지 병재배의 적정 배양온도는 23±2℃, 상대습도 60±5% 정도를 유지한다. 배양은 어두운 곳에서 25일 정도 실시하며, 생육상황을 점검할 때 외에는 빛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곰팡이가 발생하는 온도는 24 내지 27℃이며, 습도가 높으면 발생할 수 있다. 종균 접종 후 배양실에 입실된 배지는 9 내지 12일이 지나면 곰팡이에 오염된 배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배양실 내부를 완전히 소등하고 암실인 상태에서 손전등으로 살피면 오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배지 상단면을 보면서 곰팡이로 오염된 배지를 골라내고 배양실 밖 원거리에서 폐기 처분하는 것이 좋다.
1차 배양에 의해 병내에 표고균사 활착이 완료되면, 버섯이 발생하는 생식생장단계로 전환하여야 한다.
6단계- 탈병 (240)
이를 위해 병을 개방하고 균사체가 배양된 1차 배양체를 긁어내어 탈병한다.
탈병 시 배양체를 긁어내어 이후 비닐봉지에 담는 과정에서 배양체가 고르게 외기에 노출되면서 호기성 미생물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이후의 버섯생육 기간이 단축되고, 성장성이 증대된다. 또한, 보습봉지에 투입되는 배양체는 탈병과정 및 보습봉지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배양체의 분산이 이루어져 병에 입병시보다 공극률이 높아져 이후의 버섯 생장효율 및 생장 개체수가 증대된다.
탈병으로부터 비닐봉지에 투입하기까지 배양체가 외기에 노출되는 시간은 오염을 고려하여 1 내지 5분이 바람직하다. 외기 노출시간이 1분 미만인 경우 호기성 미생물의 투입효과가 적고, 5분을 초과하는 경우 배양체가 오염될 수 있다.
7단계- 보습봉지에 입봉 (310)
이후 병으로부터 인출된 배양체를 보습봉지에 담는다. 바람직하게는 광투입이 허용될 수 있게 봉지는 투명색상을 적용한다.
8단계- 2차 배양(320)
비닐봉지에 투입된 이후에는 느타리버섯이 자랄 때까지 생육하는 2차 배양단계를 수행한다.
2차 배양기간은 대략 15일 정도이고, 보습봉지를 사용함으로써 봉지를 제거하지 않는다. 이 시기에는 배지가 호흡을 하면서 실내온도보다 배지의 온도가 2 내지 3℃높아지게 되므로 배양실은 20℃ 정도의 온도로 철저히 관리하여야 하며, 환기시설로 공기를 순환시키고 배지의 간격을 조정하여 발열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다.
9단계- 자실체 수확(330)
2차 배양단계가 경과되면 자실체의 색상이 갈색으로 변하게되고, 이 무렵 배지에 빛이 투입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갈변 숙성시킨다. 갈변 숙성은 균사체가 자체적으로 보호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로 배지의 갈변이 골고루 퍼질수록 버섯의 품질이 좋아지고 배지의 수명도 증가한다. 갈변 숙성단계를 거치게 되면 배양이 완료되어 배지에서 자실체가 발생하여 보습봉지를 뚫고 나오게 된다. 입봉단계에서 종래의 합성수지 봉지를 이용할 경우 갈변 숙성단계 후 봉지를 절개하여 개봉해주어야만 자실체가 발생했을 때 봉지 밖으로 나올 수 있는데 봉지를 개봉하게 되면 배지의 상면이 건조되지 않게 지속적으로 살수를 하여 수분을 관리해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보습봉지를 이용하여 재배함으로써 재배과정 동안 봉지의 물성이 초기 제조시보다 약해져 자실체가 봉지를 뚫고 나올 수 있으므로 보습봉지를 개봉할 필요가 없으며, 재배가 완료될 때까지 보습봉지가 배지에서 수분의 증발을 억제시키므로 배지의 수분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약 10일 정도 경과하면 자실체로 1차 수확할 수 있다.
재배 조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차 배양단계부터 수확단계까지의 기간이 30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1차 배양기간을 포함하면 약 2개월 만에 표고균을 배지에 접종하여 느타리버섯 자실체를 수확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

  1. 표고액체종균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표고액체종균을 배양하는 단계;
    새송이용 폐배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조성물 준비하고, 배지조성물을 입병하고 살균및 냉각하여 배지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배양된 표고액체종균을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된 배지를 1차 배양하는 단계;
    상기 1차 배양된 배지를 탈병하는 단계;
    상기 탈병된 1차 배양 배지를 보습봉지에 입봉하는 단계;
    상기 입봉된 배지를 2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배양에 의한 느타리버섯 자실체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고액체종균은 표고균에 칼륨,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고, 잔량의 물을 혼입하여 교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종균 및 보습봉지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고액체종균은 느타리버섯종균 100 중량부 대비, 일인산칼륨 0.04 ~ 0.06중량부, 황산마그네슘 0.02~ 0.04 중량부를 첨가하고, 당분 2 ~ 4 중량부, 대두박 0.2 ~ 0.4 중량부, 물 100 중량부를 혼입하여 교반시킨 것으로 pH 4.5 ~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종균 및 보습봉지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방법
KR1020190064287A 2019-05-31 2019-05-31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KR20200137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87A KR20200137620A (ko) 2019-05-31 2019-05-31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87A KR20200137620A (ko) 2019-05-31 2019-05-31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620A true KR20200137620A (ko) 2020-12-09

Family

ID=7378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287A KR20200137620A (ko) 2019-05-31 2019-05-31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6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8599A (zh) * 2022-06-09 2022-08-09 河南省农业科学院植物营养与资源环境研究所 一种利用麦芽糖加快诱导平菇原基形成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5775A (ja) 1996-08-29 1998-04-24 Ncr Internatl Inc 改良型安全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5775A (ja) 1996-08-29 1998-04-24 Ncr Internatl Inc 改良型安全コンテナ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문헌1] US 5635683 A (MCDERMOTT, R. M.) 1997.06.0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8599A (zh) * 2022-06-09 2022-08-09 河南省农业科学院植物营养与资源环境研究所 一种利用麦芽糖加快诱导平菇原基形成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4060B (zh) Mushrooms of the fungal bed cultivation method
US7404959B2 (en) Environmentally safe agricultural supplement
CN103891524B (zh) 灵芝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灵芝的培养基
CN103907477A (zh) 蘑菇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蘑菇的培养基
KR20100122714A (ko) 자실체의 모양을 균일하게 만드는 버섯의 병재배 방법
KR20110006267A (ko) 느타리버섯 재배용 원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재배 방법
KR20190040536A (ko) 표고버섯 및 그 재배방법
KR20200137620A (ko) 느타리버섯 재배방법과 느타리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KR20100061386A (ko) 땅찌만가닥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KR101283450B1 (ko) 발효통을 이용한 오메가-3을 함유한 버섯 재배방법
Nikšić et al. Farming of Medicinal Mushrooms
KR20090059203A (ko) 사포닌 함유 화고 표고버섯재배용 조성물 및 연중 재배방법
KR20200061556A (ko) 셀레늄 함유 백화고의 재배 방법
KR101634857B1 (ko) 목침종균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20160034108A (ko)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902B1 (ko) 표고버섯 참나무톱밥배지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 방제방법
KR101651572B1 (ko) 복령 접종균 및 재배균 생성방법
KR20060077250A (ko) 버섯의 재배방법
KR101870566B1 (ko) 측,하면 버섯발생이 억제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1651571B1 (ko) 복령 원균 생성방법
Sholyavei et al. The Productivity of Genotypes of Hericium erinaceus (Bull.: Fr.) Pers. on Wheat Straw and Poplar Sawdust Based Growing Media
KR20200136868A (ko) 셀레늄 함유 백화고의 재배 방법
KR20230096579A (ko) 느타리 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과 재배 방법
KR101645801B1 (ko) 버섯재배용 톱밥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38410A (ko) 재생종이를 이용한 버섯 배지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