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571B1 - 복령 원균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복령 원균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571B1
KR101651571B1 KR1020160056217A KR20160056217A KR101651571B1 KR 101651571 B1 KR101651571 B1 KR 101651571B1 KR 1020160056217 A KR1020160056217 A KR 1020160056217A KR 20160056217 A KR20160056217 A KR 20160056217A KR 101651571 B1 KR101651571 B1 KR 10165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ed
glass pipe
glass
poria cocos
nutritiona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법성
Original Assignee
구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법성 filed Critical 구법성
Priority to KR102016005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01G1/04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3/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령 원균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생물 복령 덩이를 야산에서 채취한 후, 채취한 생물 복령 덩이를 영상 2±0.5℃에서 보관하는 단계; (B) 물 1,500 mL에 감자 300±30 g을 넣고 달여서 녹말 액체를 취한 후, 제일인산칼슘 4.2±0.5 g, 황산마그네슘 2.5±0.3 g, 비타민 B1 3±0.3 g, 비타민 C 2.2±0.3 g, 젤라틴 22.5±3 g, 포도당 4.8±0.5 g을 포함하는 영양제를 만드는 단계; (C) 비어있는 배양 유리관을 멸균기에 넣고 소독한 후, 소독된 유리관에 10±1 mL의 영양제를 넣고 유리관을 솜으로 막은 다음, 멸균기에 넣고 온도 121±20℃ 및 압력 1.5±0.2 kg/㎠에서 40±4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D) 영양제 최장 길이가 유리관의 길이 대비 33±4%로 되도록, 멸균된 유리관을 20±2°의 각도로 세운 상태에서 유리관 속의 액체 영양제를 완전히 식혀 굳히는 단계; (E) 멸균 상태에서 생물 복령 덩이의 속심 3±0.3 g을 영양제에 올려놓고 솜으로 막은 후 7±1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F) 소독된 유리관 20±2개 각각에 (C) 단계와 동일하게 영양제를 넣고 멸균한 후, (D)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하는 단계; (G) 멸균 상태에서 각 유리관들에 (E) 단계에서 얻은 배양균 균사체를 0.5±0.1 g씩 넣고 솜으로 막은 후, 소독된 배양기에 넣고 온도 25±3 ℃및 습도 45±3%에서 7±1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령 원균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령 원균 생성방법{Method for producing original fungus of Poria cocos Wolf}
본 발명은 복령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복령 원균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령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잔나비걸상과의 복령(Poria cocos Wolf)의 균핵으로, 바깥층을 거의 제거하여 만든 약재이다. 복령은 거의 냄새가 없고, 조금 점액성이며, 맛은 달고 밋밋하며, 성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 복령은 소변을 못보고 배와 전신의 부종, 담음으로 해수, 구토, 설사가 있을 때 및 신경과민에 의한 건망증, 유정에 쓰며, 심장 부종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는 이뇨, 억균 작용, 장관 이완작용, 궤양 예방효과, 혈당 강하작용, 심장 수축력 증가, 면역 증강작용, 항종양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종래의 복령 재배 방법은 크게 복령 원균 생성방법, 복령 종균 생성방법, 복령 노지 재배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복령 원균 생성방법은 감자를 넣고 끓인 물에 소정의 재료를 소정의 비율로 추가하여 배지를 만들고, 그 배지에 야산에서 채취한 복령 덩이의 일부를 이식하고 소정의 조건하에서 배양하는 것이다.
둘째, 복령 종균 생성방법은 소나무 톱밥, 쌀겨를 배합한 배지를 만들고, 그 배지에 소나무 막대를 넣고 일정 조건에서 살균한 후 복령 원균을 접종하고 일정기간 배양하는 것이다.
셋째, 복령 노지 재배방법은 소나무 원목에 구멍을 내고, 그 구멍에 종균을 접종한 후 땅 속에 묻고 흙을 덮은 후 일정기간 지나면 복령을 수확하는 것이다.
복령을 생산하는 방법은 배지를 생성하는 재료의 구성과 비율, 살균이나 배양하는 환경(예를 들어 온도, 압력, 기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법으로 재배된 복령은 유효성분(아스파르트산, 세린 등의 각종 아미노산 및 미네랄)이 낮아 대부분 재배 투자비용과 비교하여 부가가치가 낮은 실정이다.
KR 10-1996-0000493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 함유량이 높은 최상의 복령을 생산할 수 있는 복령 원균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원균 생성방법은
(A) 생물 복령 덩이를 야산에서 채취한 후, 채취한 생물 복령 덩이를 영상 2±0.5℃에서 보관하는 단계;
(B) 물 1,500 mL에 감자 300±30 g을 넣고 달여서 녹말 액체를 취한 후, 제일인산칼슘 4.2±0.5 g, 황산마그네슘 2.5±0.3 g, 비타민 B1 3±0.3 g, 비타민 C 2.2±0.3 g, 젤라틴 22.5±3 g, 포도당 4.8±0.5 g을 포함하는 영양제를 만드는 단계;
(C) 비어있는 배양 유리관을 멸균기에 넣고 소독한 후, 소독된 유리관에 10±1 mL의 영양제를 넣고 유리관을 솜으로 막은 다음, 멸균기에 넣고 온도 121±20℃ 및 압력 1.5±0.2 kg/㎠에서 40±4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D) 영양제 최장 길이가 유리관의 길이 대비 33±4%로 되도록, 멸균된 유리관을 20±2°의 각도로 세운 상태에서 유리관 속의 액체 영양제를 완전히 식혀 굳히는 단계;
(E) 멸균 상태에서 생물 복령 덩이의 속심 3±0.3 g을 영양제에 올려놓고 솜으로 막은 후 7±1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F) 소독된 유리관 20±2개 각각에 (C) 단계와 동일하게 영양제를 넣고 멸균한 후, (D)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하는 단계;
(G) 멸균 상태에서 각 유리관들에 (E) 단계에서 얻은 배양균 균사체를 0.5±0.1 g씩 넣고 솜으로 막은 후, 소독된 배양기에 넣고 온도 25±3 ℃및 습도 45±3%에서 7±1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령 원균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성분(아스파르트산, 세린 등의 각종 아미노산 및 미네랄) 함유량이 높은 최상의 복령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원균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접종균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재배균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에 재배균을 부착하는 방법 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령 노지 재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령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령 재배방법은 크게 복령 원균 생성방법, 복령 접종균 및 재배균 생성방법, 복령 노지 재배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령 원균 생성방법
복령 원균 생성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단계로서, 생물 복령 덩이를 야산에서 채취한 후, 채취한 생물 복령 덩이를 영상 2±0.5℃에서 보관한다. 도 1a와 같이, 야산의 땅속에서 묻힌 자연산 복령 원료에서 생물 복령 덩이를 채취한 후, 생물 속심을 3±0.3 g가 되도록 자른다. 채취 후에 생물 복령의 변질과 변색을 막기 위해서는 영상 2±0.5℃에서 보관해야 한다.
(B) 단계로서, 물 1,500 mL에 감자 300±30 g을 넣고 달여서 녹말 액체를 취한 후, 제일인산칼슘 4.2±0.5 g, 황산마그네슘 2.5±0.3 g, 비타민 B1 3±0.3 g, 비타민 C 2.2±0.3 g, 젤라틴 22.5±3 g, 포도당 4.8±0.5 g을 포함하는 영양제를 만든다. 상기 영양제의 상술한 성분 및 함량 범위는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데, 수십 명의 인원들이 수십 번의 작업을 거쳐 최적으로 도출해낸 것이다. 감자는 100±10℃로 1±0.1시간 동안 달일 수 있고, 달인 후에 거즈에 걸러서 맑은 액체만을 취한다.
(C) 단계로서, 비어있는 배양 유리관을 멸균기에 넣고 소독한 후, 소독된 유리관에 10±1 mL의 영양제를 넣고 유리관을 솜으로 막은 다음, 멸균기에 넣고 온도 121±20℃ 및 압력 1.5±0.2 kg/㎠에서 40±4분 동안 멸균한다. 이때, 유리관은 세워진 상태로 멸균한다.
(D) 단계로서, 영양제 최장 길이가 유리관의 길이 대비 33±4%로 되도록, 멸균된 유리관을 20±2°의 각도로 세운 상태에서 유리관 속의 액체 영양제를 완전히 식혀 굳힌다. 도 1b와 같이, 유리관을 일정 각도로 세운 상태에서 영양제를 굳힌다. 이와 같이 영양제를 경사지게 하면, 영양제 끝에서 순수한 균을 얻을 수 있다. 영양제 길이가 너무 짧거나 길면 균이 잘 자리지 못할 수 있다.
(E) 단계로서, 멸균 상태에서 생물 복령 덩이의 속심 3±0.3 g을 영양제에 올려놓고(도 1b) 솜으로 막은 후 7±1일 동안 배양한다. 약 7일 동안 배양하면, 도 1c와 같이, 균사체가 다 자란다.
(F) 단계로서, 소독된 유리관 20±2개 각각에 (C) 단계와 동일하게 영양제를 넣고 멸균한 후, (D)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G) 단계로서, 멸균 상태에서 각 유리관들에 (E) 단계에서 얻은 배양균 균사체를 0.5±0.1 g씩 넣고 솜으로 막은 후, 소독된 배양기에 넣고 온도 25±3 ℃및 습도 45±3%에서 7±1일 동안 배양한다. 유리관 1개에 들어있는 균사체를 약 20등분 하여 반복 배양하면, 균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균사체의 색깔은 흰색이 정상이며, 다른 색을 나타내면 오염된 것이다.
복령 접종균 재배균 생성방법
복령 접종균 및 재배균 생성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단계로서, 소나무 톱밥 300±30 kg, 옥수수 가루 50±5 kg, 수수 가루 18±2 kg, 석고 가루 2.5±0.3 kg, 콩 가루 6.8±0.7 kg, 밀겨 가루 35±4 kg, 쌀겨 가루 30±3 kg, 포도당 2.5±0.3 kg을 혼합한다. 이 원료들은 모두 가루 형태의 분쇄물이다.
(b) 단계로서, 물 50 L에 설탕 30±3 kg, 포도당 6±0.6 kg, 제일인산칼슘 240±30 g, 황산마그네슘 480±50 g을 넣고 100±10℃로 1±0.1시간 동안 달여서 영양제를 만든 후, (a) 단계의 혼합물과 혼합하여 배지를 만든다. 이와 같이, 가루 형태의 배지 원료와 수용액 형태의 배지 원료를 혼합하면, 약간 뭉치는 정도의 배지를 얻을 수 있다. 배지의 최종 형태는 뭉쳐진 가루 형태로 볼 수 있다. 배지의 상술한 성분 및 함량 범위는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데, 수십 명의 인원들이 수십 번의 작업을 거쳐 최적으로 도출해낸 것이다.
(c) 단계로서, 다수의 비닐 용기 각각에 (b) 단계의 배지를 400±40 g씩 넣고 밀봉한 후, 멸균기에 넣고 온도 121±20℃ 및 압력 1.5±0.2 kg/㎠에서 8±1시간 동안 멸균한다. 도 2a와 같이 용기(비닐 봉지)에 배지를 넣는다. 그리고 밀봉한 후 멸균한다. 멸균기에 수십 내지 수백 개의 비닐 용기를 한꺼번에 쌓아 넣고 멸균할 수 있다.
(d) 단계로서, 멸균 상태에서 각 비닐 용기에 복령 원균을 넣고 밀봉한 후, 25±3℃에서 20±2일 동안 배양하여 복령 접종균을 생성한다. 도 2b와 같이 멸균 처리된 배지에 복령 원균을 접종하고, 도 2c와 같이 용기 상단을 고무줄 등으로 밀봉한 후, 배양기에 넣고 배양하면, 복령 접종균을 얻을 수 있다. 배양 중에는 매일 약 1시간 동안 배양기를 환기하고 소독할 수 있다. 배양기로는 상부가 개방되고 측벽 등에 다수의 구멍이 뚫린 육면체의 플라스틱 박스를 사용할 수 있고, 플라스틱 박스를 복수 층으로 적층하고 옆으로는 밀착시켜 길게 배치할 수 있다. 배양이 잘 이루어지면, 흰색의 균사체가 용기와 배지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배양이 잘못되면, 오염이 되거나 균사체가 일부에만 형성된다.
(e) 단계로서, 소나무 톱밥 400±40 kg, 옥수수 가루 55±6 kg, 수수 가루 22±3 kg, 석고 가루 2.2±0.3 kg, 밀겨 가루 40±4 kg, 쌀겨 가루 38±4 kg을 혼합한다.
(f) 단계로서, 물 50 L에 설탕 25±3 kg, 포도당 5±0.5 kg, 제일인산칼슘 120±20 g, 황산마그네슘 240±30 g, 비타민 B1 24±3 g을 넣고 100±10℃로 1±0.1시간 동안 달여서 영양제를 만든 후, (e) 단계의 혼합물과 혼합하여 배지를 만든다. 배지의 상술한 성분 및 함량 범위는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데, 수십 명의 인원들이 수십 번의 작업을 거쳐 최적으로 도출해낸 것이다.
(g) 단계로서, 다수의 비닐 용기 각각에 (f) 단계의 배지를 400±40 g씩 그리고 지름 1±0.1 cm 및 길이 7±0.7 cm의 소나무 조각을 2±1개씩 넣고 밀봉한 후, 멸균기에 넣고 온도 121±20℃ 및 압력 1.5±0.2 kg/㎠에서 8±1시간 동안 멸균한다. 도 3a와 같이 용기에 배지를 투입한 후 그 중간에 활성 촉진용 소나무 조각을 넣은 다음, 도 3b와 같이 용기 상단을 밀봉한 후 멸균한다. 소나무 조각을 사용하는 이유는 균이 빨라 내려와서 안으로 골고루 퍼지도록 하기 위함이고, 또한 실제 노지에서 소나무와 만나기 전에 미리 적응시키기 위함이다.
(h) 단계로서, 멸균 상태에서 각 비닐 용기에 (d) 단계의 복령 접종균 3±0.3 g을 넣고 밀봉한 후, 25±3℃에서 25±3일 동안 배양하여 복령 재배균을 생성한다. 도 3c와 같이 멸균 후에 완전히 식히고 용기 상단을 개봉한 후 복령 접종균을 접종한 다음, 도 3d와 같이 용기 상단을 밀봉한 후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복령 재배균을 완성한다. 배양 중에는 매일 약 1시간 동안 배양기를 환기하고 소독할 수 있다.
복령 노지 재배방법
복령 노지 재배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단계로서, 길이 80±8 cm 및 지름 15±3 cm의 소나무를 다수 개로 준비한 후, 소나무의 중간에 지름방향으로 깊이 7±0.7 cm 및 폭 8±0.8 cm V자형 홈을 파고 소나무 껍질을 길이방향으로 4±1군데 벗긴다. 도 4b와 같이 소나무 속살이 보이도록 길이방향으로 껍질을 여러 군데 제거한다. 또한, 도 4c와 같이 소나무 중앙에 지름방향으로 홈을 판다. 홈 파기 작업과 껍질 제거 작업의 순서는 바뀌어도 상관없다. 홈은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부위나 벗겨진 부위 또는 양쪽에 걸쳐서 형성할 수 있다. 홈을 파는 이유는 복령 재배균을 접종하기 위함이고, 또한 균이 잘 자라게 하기 위함이다. 껍질을 제거하는 이유는 균이 벗겨진 경로를 따라 잘 발달하면서 빨리 자라게 하기 위함이다. 노지 재배에서 홈 파기 및 껍질 제거 작업은 매우 중요하고 핵심적인 작업이다.
(2) 단계로서, 밭갈이 작업을 수행한 후, 밭 로터리 작업을 2±1회 수행하여 흙을 잘게 부순 다음, 깊이 40±20 cm 및 폭 40±20 cm의 골을 형성하는 골타기 작업을 수행한다. 도 4a와 같이 복령을 심을 골을 다수 개로 형성한다.
(3) 단계로서, (2) 단계의 골에 (1) 단계의 소나무들을 배열한 후, 각 소나무의 홈에 복령 재배균 150±20 g을 부착한 다음, 그 위에 가로 20±2 cm 및 세로 15±2 cm의 비닐을 덮는다. 도 5a와 같이 노지에 골을 만든 후 골에 소나무들을 배열하는데, 소나무들을 2열로 밀착 배치하면서 길게 배열할 수 있다. 이후, 도 4d와 같이 소나무의 홈에 재배균을 부착하는데, 이때 한 비닐의 재배균을 2개로 나누어 2개의 통나무에 각각 부착할 수 있으며, 재배균 생성시 비닐 한 개에 소나무 조각을 1개 넣은 경우 소나무에 부착된 2개의 재배균 중 한 개에는 소나무 조각이 있고, 다른 한 개의 재배균에는 소나무 조각이 없을 수 있다. 이후, 도 4e와 같이 재배균 위로 비닐을 덮는데, 비닐을 덮는 이유는 이물질들이 재배균에 못 붙게 하기 위함이고, 또한 균이 자라기 위한 공간(공기층 형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보통 통나무 1개에 비닐 한 개를 덮지만, 통나무 2개에 비닐 1개로 덮어도 무방하다. 비닐은 타카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4) 단계로서, (3) 단계의 소나무 위에 10±1 cm의 두께로 흙을 덮은 후, 그 위에 폭 1.5±0.2 m의 비닐을 덮는다. 도 4f 및 도 5b와 같이 균이 부착되고 비닐로 덮인 소나무 위로 흙을 덮어 골을 메우고 그 위에 다시 비닐을 덮는다. 비닐은 골 길이 전체에 걸쳐 덮은 후 고정한다. 15일±2일 후에는 흙 위에 덮은 비닐을 제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원균 생성 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Claims (1)

  1. (A) 생물 복령 덩이를 야산에서 채취한 후, 채취한 생물 복령 덩이를 영상 2±0.5℃에서 보관하는 단계;
    (B) 물 1,500 mL에 감자 300±30 g을 넣고 달여서 녹말 액체를 취한 후, 제일인산칼슘 4.2±0.5 g, 황산마그네슘 2.5±0.3 g, 비타민 B1 3±0.3 g, 비타민 C 2.2±0.3 g, 젤라틴 22.5±3 g, 포도당 4.8±0.5 g을 포함하는 영양제를 만드는 단계;
    (C) 비어있는 배양 유리관을 멸균기에 넣고 소독한 후, 소독된 유리관에 10±1 mL의 영양제를 넣고 유리관을 솜으로 막은 다음, 멸균기에 넣고 온도 121±20℃ 및 압력 1.5±0.2 kg/㎠에서 40±4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D) 영양제 최장 길이가 유리관의 길이 대비 33±4%로 되도록, 멸균된 유리관을 20±2°의 각도로 세운 상태에서 유리관 속의 액체 영양제를 완전히 식혀 굳히는 단계;
    (E) 멸균 상태에서 생물 복령 덩이의 속심 3±0.3 g을 영양제에 올려놓고 솜으로 막은 후 7±1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F) 소독된 유리관 20±2개 각각에 (C) 단계와 동일하게 영양제를 넣고 멸균한 후, (D)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하는 단계;
    (G) 멸균 상태에서 각 유리관들에 (E) 단계에서 얻은 배양균 균사체를 0.5±0.1 g씩 넣고 솜으로 막은 후, 소독된 배양기에 넣고 온도 25±3 ℃및 습도 45±3%에서 7±1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령 원균 생성방법.
KR1020160056217A 2016-05-09 2016-05-09 복령 원균 생성방법 KR10165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17A KR101651571B1 (ko) 2016-05-09 2016-05-09 복령 원균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17A KR101651571B1 (ko) 2016-05-09 2016-05-09 복령 원균 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571B1 true KR101651571B1 (ko) 2016-08-26

Family

ID=5688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217A KR101651571B1 (ko) 2016-05-09 2016-05-09 복령 원균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5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493B1 (ko) 1993-06-18 1996-01-08 농촌진흥청 복령의 인공재배방법
KR0171837B1 (ko) * 1995-02-22 1999-05-01 김광호 센서레스 모터의 정지 방법
KR20050051801A (ko) * 2003-11-28 2005-06-02 여상철 복령의 재배방법
KR20110000089A (ko) * 2009-06-26 2011-01-03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고품질 복령의 대량 생산을 위한 토양중 원목 비매립 비닐봉지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493B1 (ko) 1993-06-18 1996-01-08 농촌진흥청 복령의 인공재배방법
KR0171837B1 (ko) * 1995-02-22 1999-05-01 김광호 센서레스 모터의 정지 방법
KR20050051801A (ko) * 2003-11-28 2005-06-02 여상철 복령의 재배방법
KR20110000089A (ko) * 2009-06-26 2011-01-03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고품질 복령의 대량 생산을 위한 토양중 원목 비매립 비닐봉지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8475B (zh) 秀珍菇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秀珍菇的培养基
CN101491195B (zh) 暗褐网柄牛肝菌菌种的培养方法
CN103891524B (zh) 灵芝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灵芝的培养基
CN105900692B (zh) 一种利用玉米芯栽培猴头菇的方法
CN104041330A (zh) 松杉灵芝仿野生木段栽培方法
KR101479209B1 (ko) 표고버섯 배양물 제조방법
KR20170079322A (ko) 셀레늄을 함유한 계종버섯 재배방법
CN103907477A (zh) 蘑菇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蘑菇的培养基
KR100823541B1 (ko)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CN106856984A (zh) 一种珊瑚状猴头菌树花及其栽培方法
CN107047068B (zh) 设施温室香菇增产栽培方法
CN103299822A (zh) 一株裂褶菌高产子实体菌株及返生态立体栽培方法
KR20190040536A (ko) 표고버섯 및 그 재배방법
CN109845516B (zh) 一种繁育蓝莓专一性共生菌根真菌的装置及方法
KR20070008381A (ko) 인삼 성분이 함유된 새송이 버섯의 재배방법
KR101651571B1 (ko) 복령 원균 생성방법
KR101653708B1 (ko) 복령 노지 재배방법
CN104230566A (zh) 一种快速培养黄绿蜜环菌菌丝体的培养基及培养方法
KR101651572B1 (ko) 복령 접종균 및 재배균 생성방법
CN107231947A (zh) 一种能规模化栽培鸡油菌的培养基及方法
CN108373347A (zh) 一种段木食用菌培养基的制作技术
KR101373154B1 (ko) 1회용 톱밥 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332317B1 (ko) 신령버섯 종균 및 그 자실체 생산방법
KR100886088B1 (ko) Msm이 함유된 버섯 균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msm이 함유된 버섯의 재배방법
CN104272976A (zh) 一种以蓖麻饼粕为主要氮源的平菇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