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263B1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263B1
KR102244263B1 KR1020150006041A KR20150006041A KR102244263B1 KR 102244263 B1 KR102244263 B1 KR 102244263B1 KR 1020150006041 A KR1020150006041 A KR 1020150006041A KR 20150006041 A KR20150006041 A KR 20150006041A KR 102244263 B1 KR102244263 B1 KR 102244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washing
auxiliary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5189A (ko
Inventor
김연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520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5204307B2/en
Priority to BR112015019015-4A priority patent/BR112015019015B1/pt
Priority to EP15736163.5A priority patent/EP2949809B1/en
Priority to PCT/KR2015/001107 priority patent/WO2015133734A1/ko
Priority to MYPI2015702549A priority patent/MY182186A/en
Priority to MX2015009796A priority patent/MX348686B/es
Priority to CN201580000210.3A priority patent/CN105102708A/zh
Priority to CA2897171A priority patent/CA2897171C/en
Priority to US14/753,204 priority patent/US9249536B2/en
Priority to US14/794,031 priority patent/US10273620B2/en
Priority to PH12015501578A priority patent/PH12015501578A1/en
Publication of KR20150105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189A/ko
Priority to ZA2015/08593A priority patent/ZA201508593B/en
Priority to US15/825,768 priority patent/US10125443B2/en
Priority to US16/156,332 priority patent/US1101527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02Wash-tubs; Supports therefor
    • D06F1/04Wash-tubs; Supports therefor the tub walls or bottom having corrug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99/00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dummy group
    • H05K999/99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dummy group dummy gro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도어와 개구 사이에 마련되는 보조 세탁 유닛, 보조 세탁 시작 신호 및 보조 세탁 종료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를 하는 급수부; 및 보조 세탁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를 하도록 제어하고, 보조 세탁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급수부의 급수를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세탁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손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 세탁 유닛의 급수를 제어하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예를 들어, 전자동 세탁기)는 수류와 세제의 계면활성작용으로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물(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담수를 위한 고정조, 이 고정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회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 및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제가 용해된 물(구체적으로, 세탁수)로 세탁물의 오염을 분리해내는 세탁 행정,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물(구체적으로, 헹굼수)로 세탁물의 거품이나 잔류 세제를 헹구어 주는 헹굼 행정 및 고속 회전으로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해주는 탈수 행정 등의 일련의 동작으로 세탁을 진행한다.
세탁물에 따라서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등을 포함하는 본 세탁을 통해 세탁이 가능한 세탁물이 있으나, 그와는 반대로 찌든 때 등이 묻은 양말, 흰옷 및 속옷 등과 같이 손 세탁을 통해서만 세탁이 가능한 세탁물이 있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손 세탁을 하는 세탁물이 있다.
이러한 손 세탁은 사용자가 세탁기와는 별도의 공간에서 진행하였는바, 물의 절약, 사용자의 편의 및 기타 이유를 위해서 사용자가 세탁기가 위치한 공간에서 손 세탁을 수행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급수 시작 및 급수 종료를 보조 세탁시의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한 상황에 따라 제어하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보조 세탁에 사용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할 것인지, 또는 본 세탁에 재사용할 것인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세탁기의 일 실시예는 도어와 개구 사이에 마련되는 보조 세탁 유닛, 보조 세탁 시작 신호 및 보조 세탁 종료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를 하는 급수부 및 보조 세탁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를 하도록 제어하고, 보조 세탁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급수부의 급수를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세탁기는 도어 개폐 여부, 고정조 내의 수위, 급수 시간,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는 도어 또는 보조 세탁 유닛이 열린 상태에서 급수가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는 도어가 닫힌 경우 또는 고정조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 또는 급수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이상인 경우 또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에 급수를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세탁기는 입력부의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 시간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 동안 급수를 하고,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입력 시간 동안 급수를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세탁기는 보조 세탁 유닛의 세척 신호가 입력되면 보조 세탁 유닛을 세척할 수 있고, 급수가 중지되는 경우에는 급수 중지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세탁기의 다른 실시예는 개구를 갖는 캐비닛,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도어의 내측에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 세탁 유닛, 캐비닛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고정조에 저수되는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부,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 및 배수 입력에 따라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배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는 배수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세탁수가 배수되지 않도록 배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세탁기는 고정조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는 수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면,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배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세탁기는 고정조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는 탁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탁도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면,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배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부는 고정조에 저수시키고자 하는 세탁수의 양을 포함하는 배수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는 고정조에 저수시키고자 하는 양의 세탁수를 제외한 나머지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배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부는 배수부가 세탁수를 배수하는 중에는, 비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세탁기는 배수부가 세탁수를 배수하는 중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배수부는 세탁수의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배수 입력이 인가되면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배수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배수부는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배수 입력이 인가되면 배수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세탁기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보조 세탁 시작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보조 세탁 시작 신호가 감지되면,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를 하는 단계, 보조 세탁 종료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보조 세탁 종료 신호가 감지되면,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를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 세탁 공간을 갖고, 도어의 내측에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 세탁 유닛 및 보조 세탁 유닛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급수부로부터 보조 세탁 유닛으로 세탁수를 공급하고, 보조 세탁 유닛의 보조 배수구로부터 세탁기의 고정조에 유입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하고, 배수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확인되면, 고정조로부터 세탁수를 배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입력 신호, 도어 상태 및 급수 상황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보조세탁에 사용된 세탁수의 재사용여부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할 수 있어, 세탁에 사용되는 세탁수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보조세탁에 사용된 세탁수의 재사용여부를 세탁수의 탁도 또는 수위를 감지하여 결정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세탁수의 재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를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세탁 유닛의 사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쇄 위치에 위치한 도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탁 위치에 위치한 도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 위치한 도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2 및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세탁 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에 따라 보조 급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한 수위 및 급수 시간에 따라 보조 급수를 중지하는 보조 급수를 중지하는 제어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 시간에 따라 보조 급수 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보조 급수를 중지하고 보조 세탁 유닛을 세척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보조 세탁 유닛에 세탁수가 급수된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탁 유닛으로부터 고정조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고정조에 유입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및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세탁수가 배수중임을 표시부가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 및 29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세탁수의 수위 레벨을 포함하는 배수 입력을 인가받아 세탁수를 배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세탁수 배수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1은 세탁수 배수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2는 세탁수 배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U),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하에서 선택적으로 기재된 양상이나 선택적으로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들은 비록 도면에서 단일의 통합된 구성으로 도시되었다 하더라도 달리 기재가 없는 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술적으로 모순인 것이 명백하지 않다면 상호간에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본 세탁을 수행하는 본 세탁 유닛(20), 본 세탁 수행시 외부로의 세탁수 유출을 방지하고 보조 세탁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어셈블리(100), 세탁수 또는 세제를 공급하는 급수부(300), 세탁기(1)의 동작 상태 또는 주위 환경 등을 감지하는 감지부(200), 세탁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800) 및 잔수를 배출하는 배수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2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90)가 형성된다. 개구(90)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 어셈블리(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고정조(21)는 현가 장치(25)에 의해 캐비닛(10)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세탁 유닛(20)은 본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세탁 유닛(20)은 고정조(21), 회전조(22), 밸런서(24), 펄세이터(29) 및 현가장치(2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조(21)는 회전조(22)의 외측에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세탁수 및 세제를 담아 회전조(22)의 세탁 행정을 도울 수 있다.
회전조(2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된다. 또한, 회전조(22)의 측면에는 복수의 탈수공(13)이 구비되고, 복수의 탈수공(13)은 회전조(22)의 내부 공간과 고정조(21)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밸런서(24)는 회전조(22)의 상부에 마련되어,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22)에 발생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시켜 회전조(2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펄세이터(29)는 회전조(22) 하부에 마련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수류를 발생시키고, 회전조(22) 내의 세탁물은 발생된 수류에 의해 물과 함께 교반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100)는 본 세탁 단계 수행시 고정조(21) 내에 존재하는 잔수 또는 급수부(300)에서 급수되는 세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 세탁이 가능하도록 보조 세탁 공간(120a)을 제공한다.
도어 어셈블리(100)는 도어(110) 및 보조 세탁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급수부(300)는 세탁에 필요한 세탁수 및 세제를 급수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고정조(21)의 상부에는 고정조(2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325)이 설치된다. 급수관(325)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급수관(325)의 타측은 세제 공급 장치(390)와 연결된다. 급수관(32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 장치(39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고정조(21)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325)에는 급수 밸브(320)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급수부(300)는 급수관(325), 메인 급수관(360), 보조 급수관(345), 전환 유닛(380), 보조 급수구(340), 세탁수 유입구(350) 및 급수 온도 조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325)은 일단이 급수 밸브(32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 유닛(380)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325)은 급수 밸브(320)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전환 유닛(380)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메인 급수관(360)은 메인 세탁 공간(21a)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메인 급수관(360)은 일단은 세제 공급 장치(39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 유닛(380)과 연결될 수 있다.
보조 급수관(345)은 보조 세탁 유닛(150)의 보조 세탁 공간(150a)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보조 급수관(345)은 일단은 보조 급수구(34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 유닛(380)과 연결될 수 있다.
전환 유닛(380)은 급수관(325)으로부터 전달되는 세탁수가 메인 급수관(360) 및 보조 급수관(345)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전환 유닛(380)의 제어를 통해 메인 급수관(360), 보조 급수관(34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세탁공간으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전환 유닛(380)은 3방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급수관(360)과 보조 급수관(345)이 전환 유닛(380)을 사이에 두고 급수관(325)으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나, 메인 급수관(360)과 보조 급수관(345)이 급수 밸브(320)에 연결되어 급수 밸브(320)의 제어를 통해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일단이 세제 공급 장치(390)와 연결되는 메인 급수관(360)과, 일단이 보조 급수구(340)와 연결되는 보조 급수관(345)의 각각의 타단이 급수 밸브(320)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세제 공급장치(390)는 보조 급수관(345)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보조 세탁 유닛(150)으로 급수되는 세탁수를 세탁수와 세제를 합성하여 급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급수관(360) 및 보조 급수관(345)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메인 급수관(360) 및 보조 급수관(345)으로 동시에 급수될 수도 있다.
보조 급수구(340)는 보조 급수관(345)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 급수구(340)는 보조 세탁 유닛(150)으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보조 세탁 유닛(15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세탁수 유입구(350)는 보조 급수구(340)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보조 세탁 유닛(15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 세탁 유닛(150) 및 보조 급수구(340)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세탁수 유입구(350)는 유닛 몸체(152)에서 인접한 유닛 몸체(152)의 상단부(156a)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유입구 둘레(156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닛 몸체(15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세탁수 유입구(3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세탁수 유입구(35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 급수구(340)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시에 유닛 몸체(152)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보조 세탁 공간(150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양한 형상이 세탁수 유입구(350)의 형상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급수 온도 조절부(330)는 메인 급수관(360) 또는 보조 급수관(345)을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급수 온도 조절부(330)는 히트 펌프 유닛(331), 분배 유닛(334) 및 급수 유닛(337)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온도 조절부(3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감지부(200)는 세탁기(1)의 동작 상태 또는 주위 환경 등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00)는 고정조(21) 내부의 잔수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210), 보조 세탁 입력 시간 및 보조 급수 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220),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230) 및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240), 세탁수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 감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감지부(210)는 고정조(21) 내부에 마련되어, 고정조(21) 내의 잔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 감지부(210)는 기계식 수위 감지 방법, 반도체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법 및 커패시턴스 측정 방법 등을 이용하여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위 감지부(210)는 고정조(21) 내부의 하면에 고정조(21) 내의 잔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수로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조(21) 내의 잔수의 수위는 수로 내의 잔수의 수위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위 감지부(210)의 수로 내에 잔수의 수위 위에는 내부 공기가 위치할 수 있고, 내부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에 대응되는 수위를 산출할 수 있다.
기계식 수위 감지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세탁기(1)의 고정조(21) 내부로 투입되는 물에 의해서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수로 내부 수면과 수위 감지 장치 사이의 공기압이 증가하게 된다. 증가한 공기압으로 인해 기계식 수위감지 장치는 증가한 공기압에 의해 다이아프램(Diaphragm)을 밀어 올려지며 이 다이아프램은 다시 코어를 밀어 올리게 된다. 코어와 코어를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보빈과의 상호작용으로 자속 밀도 값이 변하게 되는데, 자속 밀도 값은 동작회로 내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와 공진하여 주파수로 출력된다. 수위에 따라서 변화된 자속 밀도 값으로 인해 출력 주파수 값 역시 변화되는바, 이를 이용하여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반도체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반도체 압력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된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다. 기계식 수위 감지 방법과 동일한 구조로, 공기 압력의 변화에 따라 다이아프램(Diaphragm)이 변형되고 이러한 변형을 스트레인 게이지가 측정하여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Capacitance) 측정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수위 감지부(210)는 고정조(21) 내부의 측면에 복수 개의 수위 감지 센서가 고정조(21) 내부에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구비되어 있고, 수위 감지 센서의 복수 개의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통해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전극의 유전체는 공기와 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유전체의 캐패시턴스는 공기와 잔수의 비율에 따라 그 값이 변화하며, 변화된 캐패시턴스의 값을 기초로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수위 감지 방법이 수위 감지부(210)의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판단하는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타이머(220)는 입력부(500)의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 시간 및 보조 급수 시간을 감지한다. 타이머(220)는 입력 신호를 받아서 설정 시간 경과 후에 회로가 열리거나 닫히는 접점을 가지고 있는 릴레이로, 싱크로나이드 모터식, 트랜지스터식 등일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230)는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보조 급수 제어에 이용되는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도어 개폐 감지부(230)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 230a) 및 체커 스위치(Checker Switch, 230b)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위치(230a)는 핸들부(190)에 마련된 자석을 감지하여, 리드 스위치(230a)가 감지한 자계의 세기에 따라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드 스위치(230a)가 감지한 자계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도어(110)가 닫힌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자계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도어(110)가 열린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체커 스위치(230b)는 몸체부, 도어(110)와 접촉하여 도어(110)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도어 회동축(114)에 마련되고, 몸체부의 내부에는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다. 스위치는 도어 개폐 감지레버에 의하여 온ㆍ오프되어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또, 몸체부의 일측에는 스위치와 연결되어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하는 전극 단자가 설치된다.
도어 개폐 감지레버는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가 도어(110)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레버는 도어(110)의 개폐 시 상하로 회동되어 몸체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온ㆍ오프시킨다.
거리 감지부(240)는 캐비닛(10)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감지부(240)는 세탁기(1)의 좌우 측면 및 전면에 구비되어 좌우 측면 및 전면과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리 감지부(240)는 빛을 조사하여 사용자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 또는 세기를 감지하여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거리 감지부(240)는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거리 감지부(240)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탁도 감지부(250)는 세탁수의 탁도를 감지하여 세탁수의 오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보조 세탁을 한 세탁수를 본 세탁에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동부(80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이를 회전조(22) 및 펄세이터(29) 등에 전달하여 본 세탁에 이용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고정조(21)의 하측 외부에는 회전조(22) 및 펄세이터(29)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810) 및 모터(81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22)와 펄세이터(29)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 절환 장치(830)가 마련된다.
회전조(22)에는 중공형 탈수축(850)이 결합되고, 탈수축(850)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세탁축(840)은 세탁축 결합부(845)를 통해 펄세이터(29)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810)는 동력 절환 장치(830)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22)와 펄세이터(29)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 절환 장치(830)는 동력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820), 액추에이터(82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825) 및 로드부(825)와 연결되어 로드부(825)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82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900)는 고정조(21)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고정조(21)의 바닥에는 고정조(21)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배수구(910)가 형성되고, 배수구(910)에는 제 1 배수관(920)이 연결된다. 제 1 배수관(920)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 밸브(930)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 밸브(930)의 출구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94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세탁기는 전원부(780), 감지부(200), 입력부(500), 메모리(790), 표시부(600), 급수부(300), 제어부(400), 구동부(800), 본 세탁 유닛(20), 통신부(700) 및 배수부(9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구성들은 버스(1000)를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78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내부로 전달하거나 베터리와 같이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세탁기(1)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또한, 전원부(780)는 사용자가 세탁기(1)의 전원을 오프시켰으나 코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보조 세탁 유닛(150)에 급수 및 급수 중지가 수행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감지부(200)는 세탁기(1)의 동작 상태 또는 주위 환경 등을 감지하는 장치로, 감지부(200)는 수위 감지부(210), 타이머(220), 도어 개폐 감지부(230), 거리 감지부(240) 및 탁도 감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00)는 상술한 도 1의 감지부(200)와 동일할 수 있다.
입력부(500)는 사용자의 세탁기(1)의 동작 명령에 대한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제어부(400)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5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보조 세탁 시작 신호, 보조 세탁 종료 신호, 보조 유닛의 세척 신호 및 배수 입력을 제어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500)는 메인 입력부(580) 및 리모컨(59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입력부(5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세탁기(1)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 버튼의 조합이다. 메인 입력부(580)는 조작 버튼을 푸시 버튼 형태로 누르는 형태일 수도 있고,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회전식 스위치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기(1)의 동작을 조작할 수도 있으며, 터치 형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후술할 표시부(6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기(1)의 동작을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가 메인 입력부(580)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리모컨(590)은 세탁기(1)의 외부에 위치하여 세탁기(1)와 일정 거리 이상에서 세탁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 받아 세탁기(1)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메모리(790)는 감지부(200)에서 감지한 데이터, 제어부(400)의 제어 데이터, 입력부(500)의 입력 데이터, 통신부(700)의 통신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메모리(79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세탁기(1)의 사용 및 다른 가전기기(770)의 사용을 분석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메모리(790)에 저장하여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790)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수위,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및 미리 설정된 거리, 미리 설정된 세척 횟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표시부(600)는 제어부(400)에서 제어하는 세탁기(1)의 제어 상황, 감지부(200)에서 감지한 세탁기(1)의 동작 상황 등을 사용자에게 시각, 청각 및 촉감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600)는 제어부(400)가 보조 세탁 유닛(150)에 급수를 중지하는 경우에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급수 중지를 알릴 수 있다.
급수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를 수신 받아 보조 세탁 유닛(150) 및 본 세탁 유닛(20)에 세탁수 또는 세제를 공급한다.
이러한 급수부(300)는 전환 유닛(380), 보조 급수관(345), 보조 급수구(340), 메인 급수관(360) 및 세탁수 유입구(35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환 유닛(380)을 동작시켜 보조 세탁 유닛(150)에 급수를 하거나 본 세탁 유닛(20)에 급수를 할 수 있다.
또한, 급수부(300)는 보조 세탁 유닛(150)에 급수를 하는 경우에 세탁수만을 공급 할 수도 있으나, 세제 및 세탁수의 혼합수를 급수하여 사용자의 손 세탁시 세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급수부(300)는 상술한 도 1의 급수부(300)와 동일할 수 있고, 급수부(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감지부(200)의 감지 신호, 입력부(500)의 입력 신호, 통신부(700)의 통신 신호 및 메모리(79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 받아 세탁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상태 결정부(410), 동작 결정부(420), 배수 제어부(430), 급수 제어부(440), 표시 제어부(450) 및 세탁 제어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결정부(410)는 감지부(200)에서 감지한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 시간, 보조 급수의 급수 시간, 도어(110)의 개폐 여부 및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 등을 수신 받고, 입력부(500)에서 입력 받은 사용자의 보조 세탁 시작 신호, 보조 세탁 종료 신호, 보조 세탁 유닛(150)의 세척 신호 및 세탁수의 재사용 신호를 수신 받아, 현재의 세탁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결정부(420)는 상태 결정부(410)에서 결정한 상태 및 메모리(79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후 세탁기(1)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동작 결정부(420)는 보조 세탁 시작 신호가 입력된 상태 및 보조 세탁 시작 신호가 입력되고 도어(110)가 열린 상태이면 보조 세탁 유닛(150)에 급수를 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동작 결정부(420)는 보조 세탁 종료 신호가 입력된 상태, 보조 세탁 종료 신호가 입력되고 도어(110)가 닫힌 상태, 보조 세탁 종료 신호가 입력되고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인 상태, 보조 세탁 종료 신호가 입력되고 급수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이상인 상태, 보조 세탁 종료 신호가 입력되고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인 상태이면 보조 세탁 유닛(150)에 급수를 중지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동작 결정부(420)는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급수부(300)가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 동안 급수를 수행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고,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 시간 동안 급수를 수행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동작 결정부(420)는 보조 세탁 유닛(150)의 세척 신호가 입력된 상태이면 급수를 진행하여 보조 급수의 진행 전, 보조 세탁 유닛(150)을 세척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결정부(420)는 세척 신호가 입력되면 급수부(300)가 미리 설정된 횟수 동안 급수를 하여 보조 세탁 유닛(150)을 세척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동작 결정부(420)는 표시부(600)에 세탁기(1)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결정부(420)는 보조 급수가 중지되는 경우에 보조 급수 중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결정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미리 설정된 수위,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및 미리 설정된 횟수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 세탁기(1)의 사양, 세탁기(1)가 사용되는 지역, 세탁물의 종류 및 양 등을 기초로 결정되는 것으로서, 이는 입력부(50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것일 수도 있고, 제조시 메모리(79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메모리(79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미리 설정된 수위,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및 미리 설정된 횟수를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변수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작 결정부(420)는 입력부(500)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 및 세탁수의 수위 또는 탁도에 기초하여 고정조(21)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재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결정부(420)에서 세탁기(1)의 동작을 결정하면 이를 배수 제어부(430), 급수 제어부(440), 표시 제어부(450) 및 세탁 제어부(460)로 전달한다.
배수 제어부(430)는 배수부(90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배수부(900)를 제어하고, 급수 제어부(440)는 급수부(30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급수부(300)를 제어하고, 표시 제어부(450)는 표시부(60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표시부(600)를 제어하고, 세탁 제어부(460)는 구동부(800), 본 세탁 유닛(20), 급수부(300) 및 배수부(90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세탁기(1)의 세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80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이를 회전조(22) 및 펄세이터(29) 등에 전달하여 본 세탁에 이용하는 장치로서, 구동부(800)는 상술한 도 1의 구동부(800)와 동일할 수 있다.
본 세탁 유닛(20)는 본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세탁 유닛(20)은 상술한 도 1의 본 세탁 유닛(20)과 동일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740)와 연결되어 외부 다른 가전기기(770)나 서버(75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홈 서버를 통해 연결된 서버(750)나 가정 내의 다른 가전기기(77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700)는 홈 서버의 표준에 따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네트워크(740)를 통해 원격 조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가전기기(770)의 동작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700)는 서버(750)로부터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세탁기(1)의 동작에 활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통신부(700)는 가정 내의 서버(750)나 리모컨(590)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76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7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740)와 연결되어 서버(750), 리모컨(590), 휴대용 단말(760) 또는 다른 가전기기(77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700)는 외부 다른 가전기기(770)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00)는 근거리 통신 모듈(710), 유선 통신 모듈(720) 및 이동 통신 모듈(730)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0)은 소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은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720)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유선 통신 기술은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 모듈(730)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900)는 고정조 내부의 잔수를 세탁기(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배수부(900)는 상술한 도 1의 배수부(900)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외관을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세탁기이 도어 어셈블리를 분해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보조 세탁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개구(90)에는 도어 어셈블리(100)가 마련된다.
도어 어셈블리(100)는 도어(110), 보조 세탁 유닛(150), 핸들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는 캐비닛(10)의 일측에 마련되어, 개구(90)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도어(110)에는 도어(110)가 개구(90)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도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 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세탁 유닛(150)은 보조 세탁 공간(150a)을 구비하여 별도의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 세탁 공간(150a)은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 세탁 공간(21a)과 분리되어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메인 세탁 공간(21a)과 보조 세탁 공간(150a)은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서,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로 인해, 메인 세탁 공간(21a)과 보조 세탁 공간(150a)에서의 세탁은 별도로 진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보조 세탁 유닛(150)은 도어(110)의 내측에서 그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세탁 유닛(150)은 도어(110)의 회동축과 일치되도록 동일한 축을 가지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10)는 도어 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 세탁 유닛(150)은 보조 회동축(17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이 도어(110)와 보조 세탁 유닛(150)에 대해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은 동일한 축 상에 마련되어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가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110)는 도어 회동축(114a)을 따라 캐비닛(10)에 마련되는 도어 회동부(110a)에 의해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 세탁 유닛(150)은 보조 회동부(170)에 의해 도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 회동부(110a)는 캐비닛(10)에서 도어(110)가 도어 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 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10)에는 수용부(114)가 마련되고, 도어 회동부(110a)가 수용부(114)에 삽입됨으로써,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의 외측면에서 도어(110)가 도어 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 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 회동부(110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다양한 형상이 도어 회동부(110a)의 형상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어(110)는 보조 회동부(17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110)의 일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116)가 마련되고, 삽입부(116)에는 보조 세탁 유닛(150)이 보조 회동축(170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보조 회동축(170a)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동 돌기(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세탁 유닛(150)에는 회동 돌기(118)에 대응하여 회동 홀(17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이 일치하도록 보조 회동부(170)가 도어(110)의 일부에 삽입되어 회동하게 마련된다.
그러나 도어(110)와 보조 세탁 유닛(150)이 회동하는 형상이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110)와 보조 세탁 유닛(150)이 개구(90)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다양한 형상이나 배치가 도어(110)와 보조 세탁 유닛(150)이 회동하는 형상이나 배치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조 회동부(170)는 유닛 몸체(152)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조 회동축(170a)이 유닛 몸체(152)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조 세탁 유닛(150)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보조 세탁 유닛(150)의 회전시 유닛 몸체(152)가 도어(110)나 캐비닛(1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조 세탁 유닛(150)은 바닥부(194), 측면부(156)로 구성되는 유닛 몸체(152), 마찰 돌기(158), 보조 배수구(960) 및 안착 플랜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세탁 유닛(150)의 보조 세탁 공간(150a)은 유닛 몸체(152)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부(194)는 보조 세탁 공간(150a)의 깊이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바닥부(194)는 평평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부(156)는 바닥부(194)를 향해 구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94) 및 측면부(156)는 오목한 보조 세탁 공간(150a)을 갖도록 마련되어, 보조 세탁 공간(150a)에 세탁수를 받아 별도의 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마찰 돌기(158)는 유닛 몸체(152)에 마련되며, 보조세탁이 용이하도록 마련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측면부(156)에 마련되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닛 몸체(152)의 내면 구비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이 마찰 돌기(158)의 형상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마찰 돌기(158)는 손세탁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세탁물의 때가 잘 빠지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이를 위해 보조 세탁 유닛(150)의 내면에서 인접한 내면보다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이 마찰 돌기(158)의 형상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조 배수구(960)는 보조 세탁 공간(150a)에서 세탁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다. 보조 배수구(960)는 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별도의 개폐부재를 갖고 보조 세탁 공간(150a)의 바닥부(194)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유닛 몸체(152)의 측면부(156)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보조 배수구(960)는 보조 세탁 유닛(150)이 회동하는 경우, 보조 세탁 공간(150a)에 저수된 세탁수가 기울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보조 배수구(960)는 유닛 몸체(152)에서 인접한 유닛 몸체(152)의 상단부(156a) 낮도록 형성되는 보조 배수구(960)의 둘레(156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닛 몸체(15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보조 배수구(9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보조 세탁 유닛(150)을 기울였을 때, 보조 세탁 공간(150a)에 저수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양한 형상이 보조 배수구(960)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안착 플랜지(160)는 보조 세탁 유닛(150)의 상단에서 그 둘레를 따라 플랜지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캐비닛(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안착 플랜지(160)는 유닛 몸체(152)의 상단을 따라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개구(90)측의 내측면에는, 개구(90)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90a)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 플랜지(160)는 안착부(90a)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안착 플랜지(160)가 안착부(90a)에 안착됨으로서, 보조 세탁 유닛(150)이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 세탁 유닛(150)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세탁 유닛(150)은 ABS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손빨래에 필요한 내충격성과 강성 등을 갖춘 소재가 보조 세탁 유닛(150)의 소재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보조 어셈블리의 결합에 대한 외관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은 세탁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어(110)와 보조 세탁 유닛(150)은 각각 캐비닛(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110)는 도어 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 세탁 유닛(150)은 보조 회동축(17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은 도어(110)와 보조 세탁 유닛(150)에 대해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은 동일한 축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가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110)는 도어 회동축(114a)을 따라 캐비닛(10)에 마련되는 도어 회동부(110a)에 의해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 세탁 유닛(150)은 보조 회동부(170)에 의해 도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 회동부(110a)는 캐비닛(10)에서 도어(110)가 도어 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 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어(110)에는 수용부(114)가 마련되고, 도어 회동부(110a)가 수용부(114)에 삽입됨으로서,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의 외측면에서 도어(110)가 도어 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 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 회동부(110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도어(110)는 보조 회동부(17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110)의 일 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116)가 마련되고, 삽입부(116)에는 보조 세탁 유닛(150)이 보조 회동축(170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보조 회동축(170a)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회동 돌기(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세탁 유닛(150)에는 회동 돌기(118)에 대응하여 회동 홀(17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이 일치하도록 보조 회동부(170)가 도어(110)의 일부에 삽입되어 회동하게 마련된다.
그러나 도어(110)와 보조 세탁 유닛(150)이 회동하는 형상이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110)와 보조 세탁 유닛(150)이 개구(90)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 회동부(170)는 유닛 몸체(152)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조 회동축(170a)이 유닛 몸체(152)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조 세탁 유닛(150)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보조 세탁 유닛(150)의 회전시 유닛 몸체(152)가 도어(110)나 캐비닛(1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100)는 핸들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90)는 도어(110)에 구비되는 도어 핸들부(192) 및 보조 세탁 유닛(150)에 구비되는 보조 핸들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핸들부(192)는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 회동축(114a)에 대응하여 도어(110)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 핸들부(194)는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 회동축(170a)에 대응하여 보조 세탁 유닛(150)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 핸들부(192)와 보조 핸들부(194)는 상호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 핸들부(192)와 보조 핸들부(194)는 각각 도어(110)의 전면 및 보조 세탁 유닛(150)의 전면에 마련되어 도어(110)와 보조 세탁 유닛(150)을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도어 핸들부(192)의 동작으로 도어(110)를 회동시킬 수 있고, 보조 핸들부(194)의 동작으로 보조 세탁 유닛(150)만을 회동시키거나, 보조 세탁 유닛(150)과 도어(110)를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100)의 전면에 대해 도어 핸들부(192)는 제 1 길이(L1) 형성되고, 보조 핸들부(194)는 제 1 길이(L1)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길이(L2)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핸들부(192)를 동작하면 도어(110)가 회동하고, 도어(110)가 개방된 경우 보조 핸들부(194)를 동작하면 보조 세탁 유닛(15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110)가 닫힌 경우 보조 핸들부(194)를 동작하면 도어(110)와 보조 세탁 유닛(150)을 함께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110)와 보조 세탁 유닛(150)의 무게를 고려하여 제 2 길이(L2)은 제 1 길이(L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 핸들부(194)는 도어 핸들부(19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도어 어셈블리의 위치를 조절하는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패쇄 위치에 위치한 도어 어셈블리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보조 세탁 위치에 위치한 도어 어셈블리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은 개방 위치에 위치한 도어 어셈블리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어 어셈블리(100)는 폐쇄 위치(CP), 보조 세탁 위치(SP) 및 개방 위치(OP)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핸들부(192)의 동작에 의해 도어 어셈블리(100)는 폐쇄 위치(CP)와 보조 세탁 위치(SP)를 이동하게 되고, 보조 핸들부(194)의 동작에 의해 도어 어셈블리(100)는 폐쇄 위치(CP)와 개방 위치(OP)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위에서 언급한, 폐쇄 위치(CP)는 도어 어셈블리(100)가 개구(90)를 폐쇄하도록 도어(110) 및 보조 세탁 유닛(150)이 개구(90)상에 배치되어, 개구(90)를 막도록 마련되는 위치이다. 그리고, 보조 세탁 위치(SP)는 도어 어셈블리(100)가 폐쇄 위치(CP)로부터 도어(110)가 회동하여 보조 세탁 유닛(150)에서 보조 세탁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위치이다. 그리고, 개방 위치(OP)는 도어 어셈블리(100)가 개구(90)를 개방하도록 도어(110) 및 보조 세탁 유닛(150)이 폐쇄 위치(CP) 또는 보조 세탁 위치(SP)로부터 회동하는 위치이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세탁 유닛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세탁기의 보조 세탁 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 어셈블리(100)가 보조 세탁 위치(SP)에서 보조세탁을 마치고 난 뒤, 세탁수는 보조 배수구(960)를 통해 메인 세탁 공간(2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자세하게는 도어 어셈블리(100)가 보조 세탁 위치(SP)에 있을 때, 보조 세탁 유닛(150)의 위치를 제 1 위치(P1)라 하면, 보조 세탁 유닛(150)은 제 1 위치(P1)와, 보조 세탁 공간(120a)에 있는 세탁수가 보조 배수구(960)를 통해 메인 세탁 공간(2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보조 세탁 유닛(150)이 제 1 위치(P1)로부터 회동한 제 2 위치(P2)를 회동하게 마련된다. 제 2 위치(P2)는 보조 세탁 유닛(150)이 보조 회동축(17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보조 세탁 공간(120a)에 있는 세탁수가 보조 배수구(960)를 통해 배출되도록 기울어지는 위치를 말한다. 제 2 위치(P2)는 제 1 위치(P1)와, 도어 어셈블리(100)가 개방 위치(OP)에 있을 때 보조 세탁 유닛(150)의 위치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배수구(960)는 인접한 측면부(156)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므로, 세탁수가 측면부(156)의 상단부를 넘어 흘러넘치지 않도록 기울여도 충분히 보조 배수구(960)를 통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보조 배수구(960)를 통해 배출된 세탁수는 고정조(21)로 유입된다. 즉, 세탁수가 세탁기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고정조(21) 내에 저수된다. 여기서, 보조 배수구(960)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의 재사용여부가 문제된다.
보조 세탁 유닛(150)에서는 특정 오염 영역에 대한 손빨래, 즉 보조 세탁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보조 세탁에 사용된 세탁수라도 메인 세탁 공간에서 메인 세탁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오염 정도가 높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까지, 보조세탁에 사용된 세탁수라 하여 자동으로 배수한다면, 세탁에 사용되는 세탁수의 총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의 배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세탁기의 급수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급수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급수부(300)는 급수 밸브(320), 급수관(325), 전환 유닛(380), 보조 급수관(345), 보조 급수부(340), 메인 급수관(360), 세탁수 유입구(350) 및 급수 온도 조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밸브(320), 급수관(325), 전환 유닛(380), 보조 급수관(345), 보조 급수부(340), 메인 급수관(360) 및 세탁수 유입구(350)는 상술한 도 1 및 도 2의 급수 밸브(320), 급수관(325), 전환 유닛(380), 보조 급수관(345), 보조 급수부(340), 메인 급수관(360) 및 세탁수 유입구(350)와 동일할 수 있다.
급수 온도 조절부(330) 급수 밸브(320)를 통해 전달받은 물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장치이다.
급수 온도 조절부(330)는 냉매를 방열시키는 히트 펌프 유닛(331), 냉수 또는 온수를 발생시키는 급수 유닛(337) 및 급수 유닛(337)에 냉매 및 물을 공급하는 분배 유닛(334)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가 전달 및 회수될 수 있도록 분배 유닛(334)과 히트 펌프 유닛(331)은 냉매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분배 유닛(334)과 급수 유닛(337) 역시 냉매관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물의 전달과 회수를 위해 분배 유닛(334)과 급수 유닛(337)은 물공급관 및 물회수관을 통해 연결된다.
히트 펌프 유닛(331)은 냉매를 압축하는 메인 압축기,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 교환하도록 하는 제 1 열교환기, 메인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제 1 열교환기와 분배 유닛(334)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사방밸브, 개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온수 공급 시 분배 유닛(334)으로부터 전달된 냉매가 제 1 열교환기로 전달되기 이전에 감압 팽창되도록 하는 실외 전자밸브 및 메인 압축기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냉매가 메인 압축기로 액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유닛(337)은 분배 유닛(334)에서 전달된 냉매가 물과 열 교환하도록 하는 제 2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제 2 열교환기의 양측에는 복수 개의 냉매관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냉매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달받은 냉매가 물과 열교환한 후 다른 하나를 통해 다시 분배 유닛(334)으로 전달될 수 있다.
분배 유닛(334)은 온수 공급 시 히트 펌프 유닛(331)에서 전달된 냉매를 급수 유닛(337)으로 전달하고, 냉수 공급 시 급수 유닛(337)으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히트 펌프 유닛(331)으로 전달하는 냉매 유로전환밸브 및 급수 밸브(320)를 통해 전달된 물을 급수 유닛(337)으로 전달하는 물 유로전환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분배 유닛(334)에는 개도의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전자밸브가 구비되어 팽창밸브 또는 개폐밸브로 사용될 수 있다.
전자밸브는 급수 유닛(337)을 통해 냉수를 공급할 경우, 분배 유닛(334)에서 전달된 냉매가 제 2 열교환기에 전달되기 이전에 감압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밸브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전자밸브는 급수 유닛(337)을 통해 온수를 공급할 경우, 냉매가 급수 유닛(337)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개폐밸브로 기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급수 온도 조절부(330)가 냉수를 공급할 경우, 메인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는 냉매관 및 사방밸브를 통해 제 1 열교환기에 전달되어 냉각되고, 냉매관을 통해 제 2 열교환기로도 전달된다. 이때, 냉매관에는 전자밸브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냉매는 전자밸브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압 팽창된 후 제 2 열교환기에 전달된다. 냉매는 제 2 열교환기에서 물로부터 열을 흡수한 후, 냉매관 및 냉매 유로전환밸브를 통해 다시 메인 압축기에 전달된다.
한편, 급수 밸브(320)를 통해 전달된 물은 물 유로전환밸브 및 물공급관을 통해 제 2 열교환기에 전달되어, 제 2 열교환기에서 냉매에 의해 열을 빼앗겨 냉각된 후, 물회수관을 통해 분배 유닛(334)으로 회수되어 물이 사용되는 장치로 공급된다.
반대로, 급수 온도 조절부(330)가 온수를 공급할 경우, 메인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는 냉매관, 사방밸브, 냉매 유로전환밸브를 통해 제 2 열교환기에 전달되고, 제 2 열교환기에서 물을 가열한 후, 냉매관을 통과하여 제 1 열교환기에 전달된다. 이때, 냉매관에는 실외 전자밸브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실외 전자밸브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압 팽창된 후 제 1 열교환기에 전달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에서 냉매는 실외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한 후 냉매관을 통해 다시 메인 압축기에 전달된다.
한편, 급수 밸브(320)를 통해 전달된 물은 물 유로전환밸브 및 물공급관을 통해 제 2 열교환기에 전달되어, 제 2 열교환기에서 냉매에 의해 원하는 온도로 가열된 후, 물회수관을 통해 분배 유닛(334)으로 회수되어 물이 사용되는 장치로 공급된다.
상술한 급수 온도 조절부(330)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온도의 세탁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세탁기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도어 개폐에 따라 보조 급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제어부는 입력부에서 보조 세탁 시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S 10)한다.
만약, 보조 세탁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어부는 보조 세탁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보조 세탁 시작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감지부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S 20)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감지한 도어의 개폐 여부에 대한 감지 신호를 수신 받아, 도어가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S 30)한다.
만약, 도어가 닫힌 상태로 결정되면, 제어부는 보조 세탁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도어가 닫히지 않은 상태로 결정되면,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보조 급수가 진행(S 4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는 보조 급수가 이루어 지는 중에 입력부에서 보조 세탁 종료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S 50)한다.
만약, 보조 세탁 종료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는 보조 급수를 중지한다. 그러나, 보조 세탁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어부는 보조 급수를 계속 진행하고, 감지부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재감지(S 60)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감지한 도어의 개폐 여부에 대한 감지 신호를 다시 수신 받아, 도어가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S 70)한다.
만약, 도어가 닫힌 상태로 결정되면, 제어부는 보조 급수를 중지(S 80)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도어가 닫히지 않은 상태로 결정되면, 제어부는 S 40, S 50 및 S 70의 동작을 다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16은 감지한 수위 및 급수 시간에 따라 보조 급수를 중지하는 보조 급수를 중지하는 제어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보조 급수가 진행(S 100)되도록 제어하고, 감지부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S 110)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제공한다. 이후,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가 현재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S 120)한다.
만약, 도어가 닫힌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보조 급수를 중지(S 170)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도어가 닫히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감지부는 고정조 내부의 잔수의 수위를 감지(S 130)하여 제어부에 제공한다.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S 140)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수위는 제조시 설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값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만약, 감지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이면,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보조 급수를 중지(S 170)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감지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이 아닌 경우이면, 감지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한 보조 급수 시간을 감지(S 150)하고,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에 제공한다.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한 보조 급수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S 160)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은 제조시 설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값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만약, 감지한 급수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이상인 경우이면, 세탁기는 S 100, S 110, S120, S130, S 140 및 S150의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감지한 급수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이상이 아닌 경우이면,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보조 급수를 중지(S 170)하도록 제어한다.
도 17은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 시간에 따라 보조 급수 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감지부는 입력부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시간을 감지(S 200)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제공한다.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S 210)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은 제조시 설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값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만약, 감지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이면,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감지한 입력 시간 동안 보조 급수가 진행(S 220)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감지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이면,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 동안 보조 급수가 진행(S 230)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은 제조시 설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값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보조 급수를 종료하는지 여부를 판단(S 240)한다.
만약, 보조 급수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이면, 세탁기는 S 200, S210, S220 및 S 230의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보조 급수가 종료되는 경우이면,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를 중지(S 250)하도록 제어한다.
도 18은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보조 급수를 중지하고 보조 세탁 유닛을 세척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급수를 시작 할지 여부를 판단(S 300)한다.
만약, 보조 급수를 시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세탁기는 보조 세탁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보조 급수를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입력부에서 보조 세탁 유닛의 세척 신호를 제공하였는지를 감지(S 310)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보조 세탁 유닛의 세척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 320)한다.
만약, 보조 세탁 유닛의 세척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보조 급수를 진행(S 340)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보조 세탁 유닛의 세척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을 세척(S 330)하도록 제어하고, 세척이 완료되면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보조 급수를 진행(S 340)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보조 세탁 유닛의 세척은 급수부가 미리 설정된 횟수 만큼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를 일정 시간 주기로 진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횟수 및 일정 시간의 주기는 제조시 설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값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그리고, 감지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급수를 진행하는 중에, 사용자와 세탁기 사이의 거리를 감지(S 350)하고, 이를 제어부에 제공한다.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된 사용자와 세탁기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S 360)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는 제조시 설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값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만약, 감지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가 아니면, 세탁기는 S 340 및 S 350의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감지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이면, 제어부는 급수부가 보조 세탁 유닛에 보조 급수를 중지(S 370)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도 19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세탁기의 배수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는 세탁기의 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입력부의 일 예로서 가압식 버튼을 구비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입력부(500)는 배수 입력을 인가받는 배수 입력 버튼(510) 뿐만 아니라, 전원 온/오프(On/Off)입력을 인가받는 전원 버튼(520), 세탁행정의 시작/일시정지 입력을 인가받는 시작 버튼(530), 세탁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을 인가받는 세탁 방식 선택 버튼(540), 세탁행정을 선택하는 입력을 인가받는 세탁 행정 선택 버튼(550) 및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결정하는 입력을 인가받는 수위 결정 버튼(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00)에 배수 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400)는 배수부(900)를 제어하여 고정조(21)에 저수되는 세탁수를 배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배수부(900)의 배수 밸브(930)를 제어하여 세탁수를 배수시킬 수 있다. 세탁수는 배수구(910)로 유입되어, 제 1 배수관(920)을 따라 흐른다. 제 1 배수관(920)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 밸브(930)가 연결되므로, 제어부(400)가 배수 밸브(930)를 제어하면 세탁수가 제 1 배수관(920)에서 배수 밸브(930)를 거쳐 제 2 배수관(940)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와는 달리, 배수부(900)가 세탁수에 압력을 제공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조(21)에 저수된 세탁수에 압력이 제공되면, 압력에 의해 세탁수가 배수구(910)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배수펌프를 제어하여 세탁수를 배수시킬 수 있다.
표시부(600)는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600)는 외부의 사용자에게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음을 알리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600)는 외부의 사용자에게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청각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표시부(600)는 LED(6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배수 입력이 인가되면 LED(610)를 온(On)시켜, 사용자가 LED의 상태를 보고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표시부(600)가 디스플레이 화면(6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음을 알리는 미리 정해진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디스플레이 화면(6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620)을 보고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표시부(600)는 입력부(500)가 마련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600)와 입력부(500)가 인접하여 마련되면, 사용자는 입력부(500)를 통해 입력을 인가한 후, 그에 대응하는 결과를 표시부(600)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9와 같이, 배수 입력 버튼(510)의 상부에 표시부(600)로서 배수 선택 표시 LED(611) 및 세탁수 재활용 선택 표시 LED(612)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LED(610)의 온/오프가 변하는 것은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보조 세탁 유닛에 세탁수가 급수된 세탁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 및 도 22는 보조 세탁 유닛에서 고정조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3 및 도 24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고정조에 유입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4에서 음영처리 된 부분은 세탁수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보조세탁을 위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보조세탁이 시작되면, 도 20과 같이, 보조 급수구(340)로부터 보조 세탁 유닛(150)으로 세탁수가 급수될 수 있다. 보조 세탁 유닛(150)은 손세탁을 위한 보조 세탁 공간(120a)을 형성하므로, 이 공간에서 급수된 세탁수를 사용하여 손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사용된 세탁수는 보조 세탁 유닛(150)의 보조 배수구(960)를 통해 고정조(21)로 배출될 수 있다. 보조 세탁 유닛(150)은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므로, 도 13b와 같이 회동하면 보조세탁에 사용된 세탁수가 보조 배수구(960)를 통해 고정조(21)로 배출될 수 있다.
최초에 사용자가 보조세탁을 시작하기 위해 시작 버튼(530)을 누르면 보조 세탁 유닛(150)으로 세탁수가 급수됨과 동시에, 배수부(900)에 의한 배수는 차단된다. 동시에, 도 21과 같이, 세탁수 재활용 표시 LED(612)가 온 되어 배수부(900)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 임을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22와 같이, 고정조(21)로 배출된 세탁수는 배수되지 않고 고정조(21)에 저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수의 오염 정도 등을 고려하여 세탁수의 배수여부를 판단하고,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입력을 인가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세탁수가 메인세탁에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세탁수의 배수 없이 원하는 세탁방식 또는 세탁행정을 선택하여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현재 배수부(900)에 의한 배수가 차단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부가하여 입력을 인가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보조세탁에 사용된 세탁수가 본 세탁에 재사용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배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3의 상측과 같이, 사용자는 배수 입력 버튼(510)을 가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부(600)는 배수 입력이 인가됨을 알리는 배수 선택 표시 LED(611)를 온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3의 가운데와 같이, 사용자는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시작 버튼(530)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수 밸브(930)가 열리고, 도 24와 같이, 배수부(900)에 의해 세탁수의 배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세탁수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표시부(600)는 배수가 진행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배수 선택 표시 LED(611)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온 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수 선택 표시 LED(611)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깜빡거릴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세탁수가 배수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세탁수의 배수가 진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화면(620)을 포함하는 표시부(600)가 배수가 진행중임을 알리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화면(6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5 및 26은 세탁수가 배수 중임을 표시부가 표시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의 상측과 같이 사용자가 배수 입력을 인가하고, 도 25의 가운데와 같이 사용자가 시작 버튼(530)을 가압하면, 세탁수의 배수가 시작된다. 이 때, 배수가 진행 중임을 표시하는 미리 정해진 문자가 디스플레이 화면(62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의 하측과 같이 'ing'라는 문자가 디스플레이 화면(620)에 표시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도 25의 상측과 같이 배수 선택 표시 LED(611)가 오프 되고, 세탁수 재활용 표시 LED(612)가 온 될 수 있다. 또한, 배수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미리 정해진 문자가 디스플레이 화면(62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의 하측과 같이 'End'라는 문자가 디스플레이 화면(62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세탁수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입력부(500)는 다른 입력을 인가받을 수 없도록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세탁수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세탁행정을 위한 입력이 인가되면, 서로 다른 세탁행정이 진행될 수 있고, 그 결과 정상적인 세탁수의 배수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배수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입력부(500)의 버튼을 가압하더라도 입력이 인가되지 않도록, 입력부(500)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배수 입력은 배수 여부 뿐만 아니라, 고정조(21)에 저수되기를 원하는 세탁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조(21) 내부에 원하는 수위 레벨에 대응되는 세탁수를 남기고 나머지 세탁수를 배수할 수 있다.
도 27 내지 29는 세탁수의 수위 레벨을 포함하는 배수 입력을 인가받아 세탁수를 배수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의 상측은 고정조(21)에 수위 레벨 0에 대응되는 세탁수를 남기고 나머지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 입력을 인가받은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입력의 결과, 고정조(21) 내부의 세탁수가 수위 레벨 0에 대응되는 수위를 가지도록, 세탁수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7의 하측의 경우, 수위 레벨 0은 모든 세탁수가 배출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도 28의 상측은 고정조(21)에 수위 레벨 1에 대응되는 세탁수를 남기고 나머지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 입력을 인가받은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 결과, 도 28의 하측과 같이, 고정조(21) 내부의 세탁수가 수위 레벨 1에 대응되는 수위를 가지도록 세탁수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 29와 같이, 고정조(21) 내부의 세탁수가 수위 레벨 2에 대응되는 수위를 가지도록, 세탁수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7 내지 29를 참조하면, 수위 레벨이 높아질수록 고정조(21) 내부의 세탁수 수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수위 레벨이 낮아질수록 고정조(21) 내부에 잔류하는 세탁수의 수위가 높아질 수도 있다.
수위 레벨은 배수 입력 버튼(510)에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배수 입력 버튼(510)을 길게 누를수록 세탁수의 수위 레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도 27 내지 29와 같이, 배수 입력 버튼(510)에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에 대응하는 수위 레벨이 디스플레이 화면(62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620)을 확인하면서 배수 입력 버튼(510)에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을 조절하여 원하는 수위 레벨을 포함하는 배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수위 감지부(210)는 고정조(21) 내부의 세탁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500)를 통해 배수 입력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제어부(400)는 감지된 수위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면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배수부(900)를 제어할 수 있다.
탁도 감지부(250)는 고정조(21) 내부의 세탁수 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500)를 통해 배수 입력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제어부(400)는 감지된 탁도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면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배수부(9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보조세탁에 사용된 세탁수가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가 판단하여 배수 입력을 인가한 바 없더라도, 세탁수의 수위가 높거나 탁도가 높아 정상적인 본 세탁이 어려운 경우에는 자동으로 세탁수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0은 세탁수 배수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보조 세탁 유닛으로 세탁수를 공급(S 400)한다. 이는 입력부를 통해 인가된 입력에 따라 이뤄질 수 있다. 보조 세탁 유닛은 보조 세탁 공간을 형성하므로, 사용자는 이 공간에 공급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손세탁, 즉 보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세탁 유닛은 보조 배수구를 포함하고 일 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보조 세탁 유닛을 회동하면 보조 배수구를 통해 보조세탁에 사용된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배출된 세탁수는 고정조에 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확인(S 410)한다. 이 때, 배수 입력이란 보조 배수구로부터 고정조에 유입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입력부에 인가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이처럼 사용자는 배수 입력을 인가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보조세탁에 사용된 세탁수의 재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보조세탁에 사용된 세탁수의 재사용을 원하는 경우 배수 입력을 인가하지 않고, 보조세탁에 사용된 세탁수의 재사용을 원하는 경우 배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다면, 보조배수구를 통해 고정조로 유입된 세탁수를 배수(S 411)할 수 있다. 반면, 배수 입력이 인가되지 않았다면, 보조배수구를 통해 고정조로 유입된 세탁수는 메인세탁 시 재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조로부터 배수되지 않(S 412)는다.
도 31은 세탁수 배수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도 30과 동일하게, 보조 세탁 유닛으로 세탁수를 공급(S 500)한다. 이렇게 공급된 세탁수는 보조 세탁 유닛의 회동에 의해 고정조로 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확인(S 510)한다. 여기서 배수 입력은 도 30에서의 배수 입력과 동일하다.
배수 입력이 인가되면, 미리 정해진 t0 시간 동안 고정조의 세탁수를 배수(S 520)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t0 시간이란, 보조 세탁 유닛의 보조 배수구로부터 고정조에 유입된 세탁수를 배수하여, 고정조 내부에 잔류하는 세탁수의 수위가 임계수위보다 작도록 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t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장치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제조 시에 미리 결정될 수도 있다.
미리 정해진 t0 시간 동안 고정조의 세탁수를 배수한 후, 고정조 내부에 잔류하는 세탁수의 수위 h0를 감지(S 530)한다. 여기서 세탁수의 수위 h0를 감지하기 위해, 고정조 내부의 미리 정해진 기준점으로부터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고정조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의 수위 h0가 미리 정해진 값 h1이상인지 확인(S 540)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값 h1은 고정조 내부의 임계수위로, 보조세탁에 사용된 세탁수를 배수한 후 고정조 내부에 잔류하는 세탁수 수위의 한계값이다.
따라서, 고정조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의 수위 h0가 미리 정해진 값 h1이상이면, 다시 미리 정해진 t0 시간 동안 고정조의 세탁수를 배수한다. 고정조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값 h1보다 작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면, 고정조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의 수위 h0가 미리 정해진 값 h1보다 작다면, 고정조에 저수된 세탁수를 배수하지 않고 유지(S 550)한다.
한편, 배수 입력이 인가되지 않았다면, 사용자가 보조배수구로부터 고정조에 유입된 세탁수를 재사용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낸 것이므로, 고정조에 저수된 세탁수를 배수하지 않고 유지(S 550)한다.
도 32는 세탁수 배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도 30 및 31과 동일하게, 보조 세탁 유닛으로 세탁수를 공급(S 600)한다. 이렇게 공급된 세탁수는 보조 세탁 유닛의 회동에 의해 고정조로 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수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확인(S 610)한다. 여기서 배수 입력은 도 30 및 도 31에서의 배수 입력과 동일하다.
다만, 도 32에서의 배수 입력은 원하는 수위 레벨을 포함한다. 수위 레벨이란, 세탁수의 배수 후 고정조 내부에 잔류되기를 원하는 세탁수의 수위와 대응되는 값이다. 수위 레벨이 높을수록 고정조 내부에 잔류되는 세탁수의 수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수위 레벨이 낮을수록 고정조 내부에 잔류되는 세탁수의 수위가 높아질 수도 있다.
배수 입력이 인가되면, 세탁수의 배수를 시작한다. 세탁수의 배수를 진행함과 동시에, 고정조 내부에 잔류되는 세탁수의 수위 h2를 감지(S 620)한다.
감지된 수위 h2가 수위 레벨에 대응되는 수위 h3와 비교(S 630)한다. 감지된 수위 h2가 수위 레벨에 대응되는 수위 h3보다 크면, h2가 h3와 같아지도록 다시 배수를 진행한다.
만약, 감지된 수위 h2가 수위 레벨에 대응되는 수위 h3와 같다면(S 640), 고정조에 저수된 세탁수를 유지(S 650)한다.
이와는 달리 h2가 수위 레벨에 대응되는 수위 h3보다 작다면, h2와 h3가 같아지도록 고정조에 급수를 수행(S 660)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보조 세탁 유닛이 마련된 세탁기를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세탁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로부터 배수 입력을 인가받으면, 입력에 따라 고정조에 저수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세탁기의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 본 세탁 유닛
100 : 도어 어셈블리
110 : 도어
150 : 보조 세탁 유닛
200 : 감지부
210 : 수위 감지부
220 : 타이머
230 : 도어 개폐 감지부
240 : 거리 감지부
250 : 탁도 감지부
300 : 급수부
400 : 제어부
410 : 상태 결정부
420 : 동작 결정부
430 : 배수 제어부
440 : 급수 제어부
450 : 표시 제어부
460 : 세탁 제어부
500 : 입력부
600 : 표시부
780 : 전원부
790 : 메모리
800 : 구동부
900 : 배수부

Claims (34)

  1.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상측의 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부;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부;
    상기 세탁기에 급수하도록 마련되며 물이 공급되는 동안 물이 상기 세제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제와 혼합되도록 상기 세제 공급부를 통과하는 메인 급수 유로와, 상기 세탁기에 급수하도록 마련되며 물이 공급되는 동안 물이 상기 세제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제와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세제 공급부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도어 보다 낮은 위치에서 물이 출수되는 급수구를 가지는 보조 급수 유로를 포함하는 급수부;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하여 급수를 개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어 위치 감지부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동안 상기 입력부가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하여 급수를 개시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하여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물을 수용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를 통하여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및
    상기 외조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부가 상기 외조의 수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한 급수를 중지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상기 외조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부가 상기 외조의 수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외조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5.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상측의 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부;
    상기 세탁기에 의하여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하여 상기 세탁기에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메인 급수 유로와, 상기 도어 보다 낮은 위치의 급수구를 가지며 손세탁을 위하여 상기 세탁기에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급수 유로를 포함하는 급수부;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하여 급수를 개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도어 위치 감지부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동안 상기 입력부가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하여 급수를 개시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하여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물을 수용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를 통하여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및
    상기 외조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부가 상기 외조의 수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한 급수를 중지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상기 외조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부가 상기 외조의 수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외조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9. 세탁기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상측의 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부;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부; 상기 세탁기에 급수하도록 마련되며 물이 공급되는 동안 물이 상기 세제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제와 혼합되도록 상기 세제 공급부를 통과하는 메인 급수 유로와, 상기 세탁기에 급수하도록 마련되며 물이 공급되는 동안 물이 상기 세제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제와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세제 공급부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도어 보다 낮은 위치에서 물이 출수되는 급수구를 가지는 보조 급수 유로를 포함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하여 급수를 개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도어 위치 감지부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동안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하여 급수를 개시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하여 급수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물을 수용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를 통하여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및 상기 외조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수위 감지부가 상기 외조의 수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급수 유로를 통한 급수를 중지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수위 감지부가 상기 외조의 수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외조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150006041A 2014-03-07 2015-01-13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44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15702549A MY182186A (en) 2014-03-07 2015-02-03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A2897171A CA2897171C (en) 2014-03-07 2015-02-03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5/001107 WO2015133734A1 (ko) 2014-03-07 2015-02-03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BR112015019015-4A BR112015019015B1 (pt) 2014-03-07 2015-02-03 Máquina de lavar roupa
MX2015009796A MX348686B (es) 2014-03-07 2015-02-03 Lavadora y metodo para controlar la misma.
CN201580000210.3A CN105102708A (zh) 2014-03-07 2015-02-03 洗衣机以及用于控制该洗衣机的方法
AU2015204307A AU2015204307B2 (en) 2014-03-07 2015-02-03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5736163.5A EP2949809B1 (en) 2014-03-07 2015-02-03 Washing machine
US14/753,204 US9249536B2 (en) 2014-03-07 2015-06-29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4/794,031 US10273620B2 (en) 2014-03-07 2015-07-08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H12015501578A PH12015501578A1 (en) 2014-03-07 2015-07-16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ZA2015/08593A ZA201508593B (en) 2014-03-07 2015-11-20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825,768 US10125443B2 (en) 2014-03-07 2017-11-29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156,332 US11015277B2 (en) 2014-03-07 2018-10-10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7340 2014-03-07
KR1020140027340 2014-03-07
KR1020140026898 2014-03-07
KR20140026898 2014-03-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449A Division KR101543562B1 (ko) 2014-03-07 2015-04-01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189A KR20150105189A (ko) 2015-09-16
KR102244263B1 true KR102244263B1 (ko) 2021-04-27

Family

ID=540607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041A KR102244263B1 (ko) 2014-03-07 2015-01-13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50046449A KR101543562B1 (ko) 2014-03-07 2015-04-01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449A KR101543562B1 (ko) 2014-03-07 2015-04-01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4) US9249536B2 (ko)
EP (1) EP2949809B1 (ko)
KR (2) KR102244263B1 (ko)
CN (1) CN105102708A (ko)
AU (1) AU2015204307B2 (ko)
BR (1) BR112015019015B1 (ko)
CA (1) CA2897171C (ko)
MX (1) MX348686B (ko)
MY (1) MY182186A (ko)
PH (1) PH12015501578A1 (ko)
WO (1) WO2015133734A1 (ko)
ZA (1) ZA2015085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9267B2 (ja) * 2014-01-20 2017-07-05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
USD762931S1 (en) * 2014-10-10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board for washing machine
CN105734893B (zh) * 2014-12-12 2019-04-0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双滚筒洗衣机控制方法
CA163029S (en) * 2014-12-22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A163035S (en) * 2014-12-22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for washing machine
US10047474B2 (en) * 2015-03-13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102486264B1 (ko) * 2015-03-31 2023-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39141B1 (ko) * 2015-04-01 2022-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USD785881S1 (en) 2015-07-17 2017-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D807606S1 (en) 2015-08-17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board for washing machine
CN105463761B (zh) * 2015-12-24 2017-09-12 Tcl智能科技(合肥)有限公司 洗衣机运行模式的设定方法、装置及洗衣机
US9879371B2 (en) 2016-01-15 2018-01-3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with an integrated water-on-demand feature
US10011941B2 (en) 2016-03-15 2018-07-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with a bulk dispense reservoir
US20180371671A1 (en) * 2016-04-08 2018-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ater sense chamber
US10280548B2 (en) * 2017-03-03 2019-05-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s with removable wash basins
US10233587B2 (en) * 2017-05-23 2019-03-19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appliance comprising a scrubbing tool
US10676856B2 (en) * 2017-09-07 2020-06-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or assembly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CN109487502B (zh) * 2017-09-13 2022-09-0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设备中途排水的控制方法及洗衣设备
KR102457530B1 (ko) * 2017-10-12 2022-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US11035072B2 (en) 2018-02-19 2021-06-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and nozzle assembly
CN108385331A (zh) * 2018-05-07 2018-08-10 深圳云驰科技有限公司 一种云洗衣机
CN110499614A (zh) * 2018-05-18 2019-11-26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涤控制方法及洗涤控制装置、存储介质和洗衣机
US20190382942A1 (en) * 2018-06-13 2019-12-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s having pre-treatment agitation features
CN110804837B (zh) * 2018-08-02 2023-01-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装置及洗涤系统的控制方法
US11499259B2 (en) 2019-10-15 2022-11-15 Whirlpool Corporation Detachable pretreat sink for laundry appliance having an operable washboard
CN111254626B (zh) * 2020-03-13 2023-05-2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备超声波局部预洗功能的洗衣机的控制方法
CN111254635B (zh) * 2020-03-13 2023-05-2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备超声波局部预洗功能的洗衣机的控制方法
DE102020209034A1 (de) 2020-07-20 2022-01-20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Steuerung
CN113756063A (zh) * 2021-09-29 2021-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清洗顶盖及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3799A (en) 1944-08-25 1950-09-26 Gen Electric Soap supplying system for automatic clothes-washing machines
US2888986A (en) * 1953-07-31 1959-06-02 Naxon Irving Push button controls for washing machines, clothes driers and other motorized equipment
US3026699A (en) * 1961-01-06 1962-03-27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US3209560A (en) * 1963-12-23 1965-10-05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with means for pretreating clothes
JPS588484U (ja) * 1981-06-01 1983-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脱水洗濯機
JPS588484A (ja) * 1981-07-09 1983-01-18 Hidekazu Okuhara 小型船舶の推進力測定方法
CA1266385A (en) * 1985-01-08 1990-03-06 Koji Kikuchi Washing machine with a turbidime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S61170497A (ja) 1985-01-24 1986-08-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S61170497U (ko) * 1985-04-10 1986-10-22
US5191667A (en) * 1992-01-02 1993-03-0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washing fabric articles in a vertical axis washer
JPH0720186A (ja) 1993-06-30 1995-01-24 Mazda Motor Corp 電気回路の故障診断装置
KR0133487B1 (ko) 1994-02-05 1998-04-23 구자홍 드라이 크리닝 세탁방법
KR950025138U (ko) 1994-02-28 1995-09-15 세탁기용 탈수커버의 개방구조
KR970001664B1 (ko) 1994-08-23 1997-02-13 백규현 자성체분말과 세라믹분말을 혼합도포하여서 된 작업용 장갑
KR970001664A (ko) 1995-06-19 1997-01-24 구자홍 세탁기의 손빨래 행정제어 방법 및 장치
NZ272589A (en) * 1995-07-17 1997-05-26 Fisher & Paykel Laundry washing machine; method for controlling period of agitation stroke
KR970015854A (ko) 1995-09-01 1997-04-28 김광호 세탁기의 수온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0169377B1 (ko) 1995-10-10 1999-03-20 김광호 베이스밴드 출력 극성 변경 기능을 갖는 위성 방송 수신기용 에프엠 복조 회로
KR970015854U (ko) 1995-10-27 1997-05-23 전자렌지 보습기내의 오수배출장치
US5868311A (en) * 1997-09-03 1999-02-09 Cretu-Petra; Eugen Water faucet with touchless controls
KR19990075790A (ko) 1998-03-24 1999-10-15 윤종용 세탁기의 헹굼수 재사용 제어방법
KR19990080319A (ko) * 1998-04-15 1999-11-05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KR20000045026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드럼식 세탁기의 배수방법
KR20010020106A (ko) * 1999-08-16 2001-03-15 윤종용 세탁기 구동장치
KR20020008454A (ko) 2000-07-20 2002-01-31 윤종용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3739293B2 (ja) * 2001-03-15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KR20030044491A (ko) * 2001-11-30 2003-06-09 대우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자동 헹굼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45447A (ko) * 2001-12-04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KR20030060572A (ko) 2002-01-10 200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IL149639A0 (en) * 2002-05-14 2002-11-10 Water faucet with automatic temperatur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U2003284752B2 (en) 2002-11-26 2006-11-23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US20040200512A1 (en) * 2003-04-14 2004-10-14 Clouser Michael T. Fill control for appliance
JP4084694B2 (ja) * 2003-04-22 2008-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KR100734355B1 (ko) 2003-10-17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컨트롤패널 버튼 구조
US7775070B2 (en) 2004-05-20 2010-08-17 Lg Electronics Inc. Door power interruption safety switch of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075223B1 (ko) 2004-11-29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990940B (zh) * 2005-12-31 2012-06-06 海尔集团公司 一种具有节水功能的全自动洗衣机及其节水控制方法
JP4415976B2 (ja) * 2006-06-21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操作表示装置
EP1930493A1 (en) * 2006-12-04 2008-06-11 Bonferraro S.p.A. Washing machine with integrated sink
CN101195958B (zh) * 2006-12-07 2010-06-23 金羚电器有限公司 一种使用平面显示器的洗衣机
EP3135800B1 (en) 2006-12-08 2018-08-01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JP4893554B2 (ja) * 2007-09-25 2012-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1453278B1 (ko) * 2008-12-15 2014-10-2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헹굼행정 제어 방법
US9822473B2 (en) * 2009-07-27 2017-11-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BRPI0905459A2 (pt) 2009-12-14 2011-08-09 Electrolux Do Brasil Sa método e máquina de lavar roupa provida de recirculação com vazão controlada
CN101929050B (zh) * 2010-09-07 2011-12-07 李守林 立体便捷手洗衣节水装置
KR101669910B1 (ko) 2010-10-14 2016-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전시용 모형
CN202011992U (zh) * 2011-03-14 2011-10-19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一种洗衣机
KR20130001857U (ko) * 2011-09-09 2013-03-19 조명숙 다목적 빨래판
KR101972036B1 (ko) 2012-10-12 201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거리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19015B1 (pt) 2022-07-12
MX348686B (es) 2017-06-26
US11015277B2 (en) 2021-05-25
PH12015501578B1 (en) 2015-10-05
CN105102708A (zh) 2015-11-25
EP2949809A1 (en) 2015-12-02
US20180080159A1 (en) 2018-03-22
AU2015204307B2 (en) 2016-09-08
ZA201508593B (en) 2017-11-29
MX2015009796A (es) 2016-03-18
US10125443B2 (en) 2018-11-13
CA2897171C (en) 2017-06-27
MY182186A (en) 2021-01-18
CA2897171A1 (en) 2015-09-07
US20150308028A1 (en) 2015-10-29
KR20150105189A (ko) 2015-09-16
KR101543562B1 (ko) 2015-08-11
BR112015019015A2 (ko) 2017-08-22
US10273620B2 (en) 2019-04-30
US20150299927A1 (en) 2015-10-22
EP2949809B1 (en) 2018-07-11
AU2015204307A1 (en) 2015-09-24
EP2949809A4 (en) 2016-08-31
WO2015133734A1 (ko) 2015-09-11
US9249536B2 (en) 2016-02-02
PH12015501578A1 (en) 2015-10-05
US20190040565A1 (en)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26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04104B1 (ko)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39141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6098898B2 (ja) 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の制御方法
KR102390029B1 (ko) 의류처리장치
JP6019390B2 (ja) 洗濯機制御システム
US20190024282A1 (en)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5002987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8237A (ko) 센싱 장치
JP2014054279A (ja) 洗濯機制御システム
EP3038072B1 (en) Electric product
CN108755004B (zh) 一种洗衣机的进水控制方法及洗衣机
CN111778679B (zh) 一种洗涤系统的控制方法
KR102566530B1 (ko) 온수 공급을 식별하는 세탁기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와 프로그램
KR100998905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US11220775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023810A (ja) 洗濯機制御システム
US2021004066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20000050834A (ko) 세탁기의 수위조절 장치
KR20210007582A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음성인식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