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036B1 - 세탁기 및 거리센서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거리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036B1
KR101972036B1 KR1020120113722A KR20120113722A KR101972036B1 KR 101972036 B1 KR101972036 B1 KR 101972036B1 KR 1020120113722 A KR1020120113722 A KR 1020120113722A KR 20120113722 A KR20120113722 A KR 20120113722A KR 101972036 B1 KR101972036 B1 KR 101972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ensor
magnet
sensor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429A (ko
Inventor
박영배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036B1/ko
Priority to EP13187809.2A priority patent/EP2719811B1/en
Priority to US14/051,112 priority patent/US10047472B2/en
Priority to CN201310476086.0A priority patent/CN103726271B/zh
Publication of KR2014004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거리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하면, 세탁기는 포가 출입되는 포출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고, 자석이 배치된 도어;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에 대하여 반응하는 복수의 리드센서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거리센서 {A washing machine and distance sensor }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의 거리에 따라 반응하는 리드센서들 및 자석이 배치된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반응하는 거리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드센서와 자석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드조각(15)들은 자성체로 만들어진다. 리드조각(15)의 일부는 밀폐된 유리관(17) 내부에 봉입된다. 유리관(17) 내부에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다. 유리관(17) 내부에는 두개의 리드조각(15)이 배치된다.
두개의 리드조각(15)은 서로 일정 간격을 띄고 이격된다. 자석(20)이 다가오면 리드조각(15)은 자화된다. 양 측에 배치된 두개의 리드조각(15)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자화된다. 자기력이 탄성력을 극복하면, 두개의 리드조각(15)은 서로 접한다. 자석(20)이 멀어지면, 자기력은 약해지므로 두개의 리드조각(15)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 따라서, 리드센서(10)는 자석(20)과의 거리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방출한다.
그러나, 리드조각(15)의 자화시간이 길어지면, 자석(20)이 일정 거리를 이탈한 경우에도 자화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드센서(10)의 신뢰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드센서들을 복수로 배치하여, 리드센서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수로 배치된 리드센서들이 하나의 자석과 거의 동시에 반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수로 배치된 리드센서들과 잠금부재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포가 출입되는 포출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고, 자석이 배치된 도어;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에 대하여 반응하는 복수의 리드센서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는 자석이 일정 거리내에 접근하면 온 또는 오프신호를 발생하는 리드센서; 및 상기 리드센서가 장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센서는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리드센서들을 직렬 연결시키는 회로가 대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리드센서는, 상기 대각방향으로 형성된 회로를 사이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포가 출입되는 포출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배치된 도어;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자석에 대하여 반응하는 복수의 리드센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는, 자석이 일정거리내에 접근하면 온 또는 오프신호를 발생하는 거리센서에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는 하나의 자석에 대하여 반응하는 복수의 리드센서들이 서로 연결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도어의 개폐여부를 명확히 판단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리드센서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리드센서를 복수로 배치하는 장점도 있다.
넷째, 복수의 리드센서가 하나의 자석에 대하여 거의 동시에 반응하므로, 세탁기의 신속한 제어가 가능한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드센서와 자석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본체와 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드센서들과 주변 구성의 관계를 블록도로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하우징과 그 주변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따른 센서 하우징과 그 주변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자석과 리드센서들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석과 리드센서들간의 관계를 측면에서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석과 리드센서들간의 관계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기판에 장착된 리드센서들을 나타낸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에 장착된 리드센서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센서 하우징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센서를 감싸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드센서를 감싸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센서 하우징과 그 주변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에 장착된 센서 하우징, 돌출부 하우징 및 잠금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보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1) 및 거리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본체와 도어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드센서들과 주변 구성의 관계를 블록도로 간략히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하우징과 그 주변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포가 출입되는 포출입홀이 형성된 본체(50);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석(37)이 배치된 도어(30); 및 상기 본체(5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30)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자석(37)에 대하여 반응하는 복수의 리드센서(100, 200)들을 포함한다.
세탁기(1)의 본체(50)는 전면에 포출입홀이 형성된 경우와, 상면에 포출입홀이 형성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포 출입홀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다만의 이해의 편의를 위해 포출입홀이 상면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 설명한다.
본체(50)에는 포출입홀이 형성된다. 본체(50)에는 도어(30)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포 출입홀은 본체(50)의 상면에 형성된다. 도어(30)는 본체(50)의 상면에 힌지연결된다. 도어(30)의 회전축은 본체(50)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어(30)는 포출입홀을 개폐한다. 포출입홀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37)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50)에 자석(37)을 배치하고 도어(30)에 리드센서(100, 200)를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자석(37)과 리드센서(100, 200)의 배치가 서로 바뀐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이해를 돕기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전자에 한하여 설명한다.
자석(37)은 도어(30)의 전방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자석(37)은 도어(30)의 측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자석(37)은 본체(50)의 측면과 회동가능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자석(37)은 전자석(37)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은 영구자석(37)이다. 자석(37)의 세기 및 배치는 리드센서(100, 200)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석(37)의 세기 및 배치는 리드센서(100, 2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는 복수로 배치된다. 복수로 연결된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반응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에 대하여 반응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거의 동시에 반응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센서 하우징(53, 55, 57, 59)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본체에 배치된다.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도어(30)에 배치된 자석(37)과 일정거리 내에 배치된다.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본체(50)의 상측에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에 배치된 자석(37)과 반응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제어부(70)와 연결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개폐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제어부(70)는 리드센서(100, 200)들과 연결된다. 제어부(70)는 드럼(90)과 연결된다.
제어부(70)는 도어(30)의 개폐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 가부를 판단한다. 제어부(70)는 구동 중인 드럼(90)을 정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구동 중인 세탁코스를 중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세척수의 투입을 중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세탁기(1)의 모든 구동 및 행정의 중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세탁기(1)의 모든 구동 및 행정의 개시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 중 어느 하나라도 도어(30)의 열림을 감지하면,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 중 어느 하나라도 다른 신호를 전달하면, 제어부(70)는 도어(30)가 열린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과 반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과 가장 멀리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가 반응하면, 자석(37)과 가장 가깝게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도 반응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과 거의 동시에 반응한다.
다른실시예로 자석(37)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마다 복수로 배치된다. 자석(37)이 복수로 배치된 경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자석(37)과 리드센서(100, 200)들간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석(37)과 리드센서(100, 200)들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석(37)이 도어(3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측면에서 관찰하면,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들에 대하여 피봇운동한다.
다만, 도 5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리드센서(100, 200)들과 자석(37)의 배치관계를 상부 또는 하부에서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의 배치, 자석(37)의 배치 및 상호간 운동관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의 어느 일 측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에 의해 자화된다. 이는 리드센서(100, 200)와 자석(37)의 배치나 자석(37)의 진행 방향이 어느 한 형태에 국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과 자석(37)은 도 5a 와 같이 배치된다. 자석(37)의 길이방향과 리드센서(100, 200)들의 길이방향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자석(37)의 운동방향은 리드센서(100, 200)들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석(37)의 중심은 리드센서(100, 200)들의 중심과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석(37)의 중심은 리드센서(100, 200)들의 접점부(101, 201)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밀폐관(107, 207); 자석(37)에 의해 자화되고, 일부가 밀폐관(107, 207)의 양측에 삽입되는 자화부(105, 205)를 포함하고, 자화부(105, 205)는, 밀폐관(107, 207) 내부에 배치되어 스위칭되는 접점부(101, 201); 및 접점부(101, 201)와 연결되고, 밀폐관(107, 207) 외부로 돌출 배치된 장착부(103, 203)로 형성된다.
밀폐관(107, 207)은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다. 밀폐관(107, 207)은 유리로 형성된 튜브일 수 있다. 밀폐관(107, 207)은 진공상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관(107, 207)은 불활성 가스로 채워진다.
밀폐관(107, 207)의 양 측에는 자화부(105, 205)가 삽입된다. 밀폐관(107, 207) 내부에는 접점부(101, 201)가 배치된다. 밀폐관(107, 207) 외부에는 장착부(103, 203)가 돌출 배치된다.
자화부(105, 205)는 리드조각일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리드요소일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자석(37)에 의해 자화된다. 자화부(105, 205)는 강자성체일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탄성력을 갖는다. 접점부(101, 201)는 밀폐관(107, 207)의 내부에 배치된다. 접점부(101, 20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접점부(101, 201)는 탄성력을 갖는다. 접점부(101, 201)는 밀폐관(107, 207) 내부의 양 끝단에 배치된다. 접점부(101, 201)는 밀폐관(107, 207)의 좌우로 배치된다.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 거리내로 접근하면 반응한다.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 거리를 벗어나면 반응한다.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거리내로 접근하면 서로 접한다.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거리내로 접근하면 서로 스위칭된다.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거리를 벗어나면 서로 이격된다. 접점부(101, 201)가 서로 접하고 떨어지는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거리는 자력의 강도, 자화부(105, 205)의 자성, 자화부(105, 205)의 탄성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장착부(103, 203)는 접점부(101, 201)와 연결된다. 장착부(103, 203)는 밀폐관(107, 207) 외부로 돌출배치된다. 장착부(103, 203)는 회로에 연결된다. 장착부(103, 203)는 후술할 회로기판(300, 350)에 연결될 수 있다. 장착부(103, 203)의 끝단은 클램프장치에 의해 절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자 형으로 절곡된다. 절곡된 끝단은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멀리 배치될수록, 자화부(105, 205)의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다. 자화부(105, 205)의 길이가 길면 자화의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리드조각의 길이일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리드요소의 길이일 수 있다. 자화부(105, 205)는 리드요소와 연결된 강자성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멀리 배치될수록, 장착부(103, 203)의 길이가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03, 203)의 길이가 길면 자화의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장착부(103, 203)의 일부는 절곡될 수 있다. 절곡된 끝단은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103, 203)는 밀폐관(107, 207) 외부에 돌출배치된 부분 중 자석(37)에 의해 자화되는 부분일 수 있다. 장착부(103, 203)는 밀폐관(107, 207) 외부에 돌출 배치된 부분과 연결된 강자성체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석(37)과 리드센서(100, 200)들간의 관계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석(37)과 리드센서(100, 200)들간의 관계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들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자석(37)은 일정거리내의 자성체를 자화시킨다. 자석(37)은 보다 가까이 있는 자성체를 먼저 자화시킨다. 자석(37)과 가까이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는 먼저 자화된다.
자석(37)과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 복수의 리드센서(100, 200)들은 동시에 자화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일정 거리내에 존재시 자화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에 의해 자화된다. 리드센서(100, 200)에 포함된 접점부(101, 201)가 충분한 자기력을 갖게되면, 접점부(101, 201)는 서로 접한다.
접점부(101, 201)는 서로 다른 극으로 자화된다. 접점부(101, 201)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충분히 강해지면 접점부(101, 201)는 서로 접한다. 접점부(101, 201)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접점부(101, 201)의 탄성력보다 강해지면 접점부(101, 201)는 서로 접한다.
접점부(101, 201)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은 자석(37)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강해진다. 접점부(101, 201)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은 자석(37)과 거리가 멀수록 약해진다. 리드센서(100, 200)와 자석(37)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접점부(101, 201)는 서로 떨어진다.
리드센서(100, 200)의 접점부(101, 201)는 자석(37)이 일정거리내에 존재시 서로 접한다. 이하, 리드센서(100, 200)의 접점부(101, 201)가 자석(37)에 의해 최초로 접하게될때, 리드센서(100, 200)의 중심과 자석(37)과의 거리를 작동거리(d1, d2)라고 정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기울어져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서로 다른 작동거리(d1, d2)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서로 같은 작동거리(d1, d2)를 갖는다. 리드센서(100, 200)들이 작동할 때, 각각의 리드센서(100, 200)와 자석(37)간 거리는 서로 동일한 거리를 갖는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거의 동시에 자석(37)과 반응한다. 모든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동일한 작동거리(d1, d2)내에 배치된다. d1은 어느 리드센서(100)의 중심과 자석(37)과의 거리이다. d2는 다른 리드센서(200)와 자석(37)과의 거리이다. 자석(37)이 d1거리에 들어올때, 리드센서(100)의 접점부(101)는 접한다. 자석(37)이 d2거리에 들어올때, 리드센서(200)의 접점부(201)는 접한다. d1 과 d2는 동일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기울어져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센서 하우징(53, 55, 57, 59) 내부에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모두 동시에 반응하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자석(37)에 의해 어느 하나의 리드센서(100, 200)가 반응할 때, 모든 리드센서(100, 200)들과 자석(37)간의 경사거리는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d 1 과 d2 는 리드센서(100, 200)와 자석(37)간의 경사거리일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수평거리가 가까울수록 후방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수평거리가 가까울수록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수평거리가 멀수록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회전축과 가까울수록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대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리드센서(100, 200)의 작동거리(d3, d4)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 d3과 d4는 서로 다를 수 있다. d3과 d4가 달라도 리드센서(100, 200)는 거의 동시에 자석(37)과 반응할 수 있다. d4는 자석(37)과 가깝게 배치된 리드센서(200)와 자석(37)간의 거리이다. d3는 자석(37)과 멀리 배치된 리드센서(100)와 자석(37)간의 거리이다. d3은 d4보다 길 수 있다. 자석(37)과 멀리 배치된 리드센서(100)가 받는 자기력이, 자석(37)과 가깝게 배치된 리드센서(200)가 받는 자기력보다 강하면, 작동거리(d3, d4)가 달라도 리드센서(100, 200)들은 거의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자석(37)과 멀리 배치된 리드센서(100)의 리드요소가 갖는 탄성력이 자석(37)과 가깝게 배치된 리드센서(200)의 리드요소가 갖는 탄성력보다 약하면, 작동거리(d3, d4)가 달라도 리드센서(100, 200)들은 거의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자기력의 크기나, 탄성력의 크기는 리드요소의 소재, 도금의 정도, 리드요소의 길이 등과 관련될 수 있다. 리드요소, 리드조각, 자화부(105, 115, 125, 205) 등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지칭할 수 있다.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들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들의 어느 일 측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들의 중심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석(37)과 리드센서(110, 120)간의 거리에 따른 리드센서(110, 120)들의 배치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된 리드센서(110, 120)들을 나타낸 것이다.
리드센서(110, 120)들은 서로 연결된다. 리드센서(110, 120)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10, 120)들은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직렬 연결된 리드센서(110, 120)들은 하나의 마이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리드센서(110, 120)들은 제 1 리드센서(110) 및 상기 제 1 리드센서(110)와 연결된 제 2 리드센서(120)를 포함하고, 제 1 리드센서(110) 및 제 2 리드센서(120)는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리드센서(110)의 반경방향에 제 2 리드센서(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는 제 2 리드센서(120)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00, 200)는 직렬연결된다. 리드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연결이 끊어지면 전체 신호의 연결이 차단된다. 리드센서(100, 2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드센서(100, 200)보이면 드럼(90)의 구동이 정지된다.
제 1 리드센서(110) 및 제 2 리드센서(120)의 길이방향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리드센서(110)의 반경방향에는 제 2 리드센서(120)가 배치된다. 제 2 리드센서(120)의 반경방향에는 제 3 리드센서 (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되진 않았지만,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은 복수의 리드센서를 포함하므로, 리드센서들은 단순히 두개의 리드센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리드센서들은 셋 이상일 수도 있다.
리드센서(110, 120)들의 중심은 자석(37)의 중심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10, 120)들의 중심은 자석(37)의 진행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10, 120)들의 중심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10, 120)들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은 도어(30)를 관통할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의 중심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의 리드요소의 길이와 제 2 리드센서(120)의 리드요소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의 리드조각의 길이와 제 2 리드센서(120)의 리드조각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의 자화부(105, 205)의 길이와 제 2 리드센서(120)의 자화부(105, 205)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의 장착부(113)의 길이와 제 2 리드센서(120)의 장착부(123)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리드요소, 리드조각, 자화부(105, 205, 115, 125) 및 장착부(103, 203, 113, 123)의 길이는 자석(37)과의 작동거리(d1, d2, d3, d4)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10, 120)들이 수평배치된 경우, 리드요소, 리드조각, 자화부(115, 125) 및 장착부(113, 123)의 길이는 자석(37)과의 수평거리가 멀수록 길게 형성된다.
자석(37)은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를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자석(37)은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의 어느 일 측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은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의 중심을 향해 피봇운동할 수 있다.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는 길이방향이 전후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는 길이방향이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석(37)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1)는 리드센서(100, 200)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300, 350)을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의 장착부(103, 203)는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300, 350)은 제 1 리드센서(110)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제 1 삽입홀(301)들과 제 2 리드센서(120)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제 2 삽입홀(30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삽입홀(301)들에는 제 1 리드센서(110)의 장착부(103, 203)가 삽입될 수 있다. 제 2 삽입홀(302)들에는 제 2 리드센서(120)의 장착부(103, 203)가 삽입될 수 있다.
회로기판(300, 350)은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가 직렬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회로기판(300, 350)은 제 1 삽입홀(301)들 중 어느 하나와 제 2 삽입홀(302)들 중 어느 하나가 직렬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회로기판(300, 350)은 제 1 삽입홀(301)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각방향에 위치한 제 2 삽입홀(302)들 중 어느 하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리드센서(110)와 자석(37)간 거리는 제 2 리드센서(120)와 자석(37)간 거리보다 가깝게 배치되고, 제 1 삽입홀(301)들의 간격은 제 2삽입홀들의 간격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회로기판(350)은 덤벨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끝단에 제 1 삽입홀(351)들과 제 2 삽입홀(352)들이 형성되고, 중간에 형성된 다리(355)를 사이로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20)가 평행하게 삽입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덤벨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로 기판의 양 끝단에는 제 1 삽입홀(351)들과 제 2 삽입홀(352)들이 형성된다. 회로 기판의 사이에는 다리(355)가 형성된다.
다리(355)의 좌우에는 제 1 삽입홀(351)들이 좌우로 형성된다. 다리(355)의 좌우에는 제 2 삽입홀(352)들이 좌우로 형성된다. 제 1 리드센서(110)와 제 2 리드센서(100, 200)는 다리(355)를 사이로 평행하게 삽입된다.
제 1 삽입홀(351)과 상기 제 2 삽입홀(352)을 연결하는 회로는 다리(355)상에 형성된다. 제 1 삽입홀(301)의 일 측은 제 2 삽입홀(302) 방향으로 연결된다. 회로는 다리(355) 상에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300, 350)과 센서 하우징(53, 55, 57, 59)에 형성된 끼움부(300a)와 장착부(103, 203, 113, 123)를 나타낸 조립관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본체(50)에 배치되어 리드센서(100, 200)들이 수용되는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을 더 포함하고,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회로기판(300, 350)이 일 방향으로만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회로기판(300, 350)의 일 측은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끼움부(300a)가 형성되고,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끼움부(300a)와 형합하는 장착부(103, 203, 113, 123)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300a)는 회로기판(300, 350)에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끼움부(300a)는 회로기판(300, 350)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장착부(103, 203, 113, 123)는 끼움부(300a)와 형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회로기판(300, 350)은 일 방향으로만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센서(100, 200)를 감싸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센서(100, 200)를 감싸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리드센서(100, 200)들을 감싸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을 고정한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의 간격을 유지한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이 받는 충격을 흡수한다. 고정부재는 발포스트로폼일 수 있다.
고정부재는 에폭시수지(410)일 수 있다. 고정부재는 탄성중합체(420)일 수 있다. 고정부재는 원형의 링 형상일 수 있다. 탄성중합체(420)는 원형의 링 형상일 수 있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을 센서 하우징(53, 55, 57, 59)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을 회로기판(300, 350)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들과 회로기판(300, 350) 사이에 채워질 수 있다. 고정부재는 회로기판(300, 350)에 형성된 다리(355)와 리드센서(100, 200)들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도 6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는, 자석(37)이 일정거리내에 접근하면 온 또는 오프신호를 발생하는 거리센서에 있어서, 하나의 자석(37)에 대하여 반응하는 복수의 리드센서(100, 200)들이 서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과 반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과 거의 동시에 반응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의 양 측에 배치된 자화부(105, 205)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회로기판(300, 350)에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들의 일 단은 대각방향에 배치된 다른 리드센서(100, 200)들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센서 하우징(53, 55, 57, 59)에 삽입될 수 있다. 회로기판(300, 350)은 끼움부(300a)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은 장착부(103, 2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포가 출입되는 포출입홀이 형성된 본체(50);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는 도어(30)에 배치되어 하향 돌출되고, 내부에 자석(37)이 설치된 돌출부(35); 및 상기 자석(37)과 반응하여 도어(30)의 개폐를 감지하는 복수의 리드센서(100, 200)들을 포함한다.
본체(50)에는 포출입홀이 형성된다. 도어(30)는 포출입홀을 개폐한다. 도어(30)는 본체(50)에 배치된다. 도어(30)는 본체(50)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돌출부(35)는 도어(30)에 배치된다.
돌출부(35)는 도어(30)에 하향 돌출배치된다. 돌출부(35)에는 자석(37)이 배치된다. 자석(37)은 도어(30)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자석(37)은 돌출부(35)에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반응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는 복수로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는 돌출부(35)에 배치된 자석(37)과 반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석(37)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가 자석(37)과 반응하면, 자석(37)과 가장 가깝게 배치된 리드센서(100, 200)도 자석(37)과 반응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과 거의 동시에 반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1)는 리드센서(100, 200)들 중 어느 하나라도 도어(30)의 도어(30)의 열림을 감지하면, 구동이 정지되는 드럼(90)을 포함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제어부(70)와 연결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반응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개폐를 감지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제어부(70)에 도어(30)의 개폐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한다.
제어부(70)는 리드센서(100, 200)들과 연결된다. 제어부(70)는 드럼(90)과 연결된다.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을 결정한다. 제어부(70)는 드럼(90)의 중지를 결정한다. 제어부(70)는 세탁기(1)의 행정을 제어한다. 제어부(70)는 세탁기(1)의 행정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좌우로 길게 배치되고, 하단에 위치할수록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전후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좌우로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을 향해 배치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높이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수평거리가 가까울수록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단에 위치할수록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상단에 위치할수록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제 1 리드센서(110) 및 제 1 리드센서(110)와 연결된 제 2 리드센서(120)를 포함하고, 제 1 리드센서(110) 및 제 2 리드센서(120)는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리드센서(110)의 반경방향에 제 2 리드센서(1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센서 하우징(53, 55, 57, 59)과 그 주변 구성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과 작동거리(d1, d2, d3, d4)내에 배치되면 충분하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대각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전방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가 본체(50)를 닫은 상태에서 자석(37)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하면, 돌출부(35)에는 수평방향으로 끼움홈(60a)(39)이 형성되고, 본체(50)에는 끼움홈(60a)(39)에 체결되어 도어(30)를 잠그는 잠금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40)는 돌출부(35)의 측면 또는 전방에도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부(40)는 돌출부(35)의 후방에 배치된다. 잠금부(40)는 본체(50)에 배치된다. 잠금부(40)는 돌출부(35)에 형성된 끼움홈(60a)(39)에 끼워진다. 끼움홈(60a)(39)은 잠금부(40)가 배치된 측면에 형성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돌출부(3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와 돌출부(35)와 잠금부(40)는 전후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리드센서(100, 200)와 돌출부(35)와 잠금부(40)의 수평높이는 각각 다를 수 있다.
자석(37)은 끼움홈(60a)(39)의 하측에 배치된다.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끼움홈(60a)(39)은 자석(37)의 상단에 형성된다. 잠금부(40)는 자석(37)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40)는 자석(37)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홈(60a)(39)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1)는 도어(30)의 닫힘위치시, 본체(50)에 배치되어, 돌출부(35)를 수용하는 돌출부 하우징(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 하우징(60)은 본체(50)에 형성된다. 돌출부 하우징(60)의 전방에는 리드센서(100, 2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 하우징(60)의 전방에는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 하우징(60)의 근방에는 센서 하우징(53, 55, 57, 59)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 하우징(60)의 근방에는 잠금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 하우징(60)은 돌출부(35)가 수용된다.
돌출부 하우징(60)은 잠금부(40)가 관통하여, 잠금부(40)가 끼움홈(60a)(39)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50)에 장착된 센서 하우징(53, 55, 57, 59), 돌출부 하우징(60) 및 잠금부(40)재의 배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돌출부(35)는 도어(30)의 측면 전방에 배치된다. 돌출부(35)는 본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5) 및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5)는 포출입홀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5)가 양 측에 배치된 경우,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된 돌출부(35)는 자석(37)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자석(37)이 포함되는 않은 돌출부(35)가 배치된 곳은 리드센서(100, 200)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돌출부(35)가 도어(30)의 양 측에 배치된 경우, 잠금부(40)는 어느 한 측에만 형서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부(40)는 도어(30)의 양 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5) 및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전방 양 측에 각각 배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0)와 보강부재(3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어(30)의 중심에는 도어(3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31)가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31)는 도어(30)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재(31)는 유리로 형성된 패널이다. 합성수지는 보강부재(31)의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다. 유리로 형성된 패널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틀(33)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 및 거리센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30)가 본체(50)에 형성된 포출입홀에 접근하면,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에 접근한다. 자석(37)이 리드센서(100, 200)들의 작동거리(d1, d2, d3, d4)내에 접근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가 포출입홀을 닫은 것으로 인식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제어부(70)에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70)는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동을 시작한다.
만약 리드센서(100, 200)들 중 어느 하나라도 도어(30)의 닫힘을 인식하지 못하면, 제어부(70)는 구동을 시작하지 않는다. 적어도,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을 시작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70)는 모든 리드센서(100, 200)들이 도어(30)가 닫힌것으로 인식해야 구동을 시작하도록 한다.
세탁기(1)의 구동중 도어(30)가 열릴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0)에 배치된 자석(37)은 리드센서(100, 200)들과 멀어지게된다. 리드센서(100, 200)들과 멀어지면 자기력이 약해지므로, 리드조각들은 자체적으로 갖고있는 탄성력에 의해 접점부(101, 201)가 떨어지게된다. 이때,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열림을 감지하게 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은 도어(30)의 열림을 감지하여, 제어부(70)에 정보를 전달한다.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을 정지한다. 제어부(70)는 드럼(90)의 구동뿐만 아니라 세탁기(1)의 모든 구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안전과 관련된 요소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기(1)의 구동중 추가로 포를 투입하려할 때, 제어부(70)는 이를 위해 세탁수를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세척수의 온도를 변경하기 위해 냉수를 투입할 수 도 있다. 또한 세탁기(1)가 스팀을 드럼(90)에 뿜어주는 경우, 이를 제어할 수 도 있다.
세탁기(1)의 도어(30)는 대부분 닫혀있는 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자화되는 상태에 있게된다. 따라서 리드센서(100, 200)들은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있게된다. 즉 자석(37)이 리드센서(100, 200)의 작동거리(d1, d2, d3, d4)를 벗어난 경우도 접점부(101, 201)가 서로 붙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복수로 배치되므로, 상기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제로에 가깝게 된다. 이는 세탁기(1)가 사용자를 해할 가능성을 제로에 가깝게 만듬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에 대하여 거의 동시에 반응하게 된다. 따라서, 자석(37)이 도어(30)를 개방함과 동시에 모든 리드센서(100, 200)들이 도어(30)의 개방을 인식하게 된다. 이는 어느 하나의 리드센서(100, 200)만 개방을 인식하거나, 어느 하나의 리드센서(100, 200)만 도어(30)의 닫힘을 인식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신속하게 도어(30)의 개폐를 인식할 수 있게된다. 또한, 도어(30)와 본체(50)를 닫을 경우, 리드센서(100, 200)와 자석(37)간의 거리는 매우 가깝게 형성되므로, 리드센서(100, 200)를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리드센서(100, 200)들이 자석(37)과 거의 동시에 작동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리드센서(100, 200)들을 대각으로 배치하거나, 리드조각들의 길이를 다르게 하는 기술사상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리드센서(100, 200)들의 종류를 다양하게 구비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즉, 부품이 단순화되고, 부품의 종류가 적어지므로, 생산단가가 낮아지고, 공정이 단순화된다.
또한 리드센서(100, 200)들은 하나의 자석(37)과 반응하므로, 리드센서(100, 200)들을 하나의 센서 하우징(53, 55, 57, 59)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설계의 자유도를 높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직렬연결되므로, 하나의 마이콤을 배치하여,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병렬연결시 리드센서(100, 200)들마나 마이콤을 복수로 배치하여야 하는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센서(100, 200)들은 회로기판(300, 350)에 장착되고, 센서 하우징(53, 55, 57, 59)과 일 방향으로만 장착될 수 있도록 끼움부(300a)와 장착부(103, 203)가 형성되므로, 조립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재가 리드센서(100, 200)들을 감싸게 된다. 도어(30)는 닫힘시 본체(50)에 충격을 가할 수 있고, 이러한 충격을 리드센서(100, 200)가 오작동 할 수 있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는 리드센서(100, 20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기판(300, 350)에 배치될 리드센서(100, 200)들을 연결하는 회로가 대각방향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자석(37)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력을 복수의 리드센서(100, 200)들에게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거리센서의 작용을 설명하면, 복수의 리드센서(100, 200)들이 하나의 자석(37)에 대하여 반응하게 되므로, 리드센서(100, 200)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드센서(100, 200)들은 자석(37)이 배치된 물체가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하면 반응하므로, 거리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센서는 자석(37)이 배치된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모든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인 리드센서(100, 200)의 오류로부터 발생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려는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세탁기 10: 리드센서
15: 리드조각 17: 유리관
20: 자석 30: 도어
31: 보강부재 33: 틀
35: 돌출부 37: 자석
39: 끼움홈 40: 잠금부
50: 본체 53: 센서 하우징
53a: 장착부 55: 센서 하우징
57: 센서 하우징 59: 센서 하우징
60: 돌출부 하우징 60a: 끼움홈
70: 제어부 90: 드럼
100: 리드센서 101: 접점부
103: 장착부 105: 자화부
107: 밀폐관 110: 제 1 리드센서
111: 접점부 113: 장착부
115: 자화부 117: 밀폐관
120: 제 2 리드센서 121: 접점부
123: 장착부 125: 자화부
127: 밀폐관 200: 리드센서
201: 접점부 203: 장착부
205: 자화부 207: 밀폐관
300: 회로기판 300a: 끼움부
310: 제 1 삽입홀 320: 제 2 삽입홀
350: 회로기판 351: 제 1 삽입홀
352: 제 2 삽입홀 355: 다리
410: 에폭시수지 420: 탄성중합체
d1, d2, d3, d4: 작동거리

Claims (25)

  1. 포가 출입되는 포출입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고, 자석이 배치된 도어;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에서 하향 돌출되고, 내부에 자석이 설치된 돌출부;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돌출부 하우징;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석과 반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복수의 리드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끼움홈에 체결되어 상기 도어를 잠그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끼움홈 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자석 보다 위에 배치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포가 수용되며 상기 복수의 리드센서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면, 구동이 정지되는 드럼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는,
    상기 자석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것이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자석과 가장 가깝게 배치된 것도 상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세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은 상기 자석과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리드센서의 양 측에 연결된 전선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세탁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은 상기 자석과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상기 자석에 의해 자화되는 자화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세탁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은 상기 자석과 가깝게 배치될수록 후방 하단에 배치되는 세탁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센서들은 직렬연결되어 하나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세탁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은,
    제 1 리드센서 및 상기 제 1 리드센서와 연결된 제 2 리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드센서 및 상기 제 2 리드센서는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세탁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센서와 상기 제 2 리드센서의 중심은 일렬로 배치되는 세탁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제 1 리드센서와 상기 제 2 리드센서의 중심을 향해 피봇운동하는 세탁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센서와 상기 제 2 리드센서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세탁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 1 리드센서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제 1 삽입홀들과 상기 제 2 리드센서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제 2 삽입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삽입홀과 상기 제 2삽입홀은 대각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세탁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센서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 1 리드센서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제 1 삽입홀들과 상기 제 2 리드센서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제 2 삽입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리드센서와 상기 자석간 거리는 상기 제 2 리드센서와 상기 자석간 거리보다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삽입홀들의 간격은 상기 제 2삽입홀들의 간격보다 가깝게 형성된 세탁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덤벨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에 상기 제 1 삽입홀들과 상기 제 2 삽입홀들이 형성되고, 양단을 연결하는 다리를 사이로 상기 제 1리드센서와 상기 제 2 리드센서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세탁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센서와 상기 제 2 리드센서를 직렬연결하는 회로는 상기 다리에 형성되는 세탁기.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리드센서들이 수용되는 센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센서 하우징에 일방향으로만 삽입 가능한 세탁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 측은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 하우징은 상기 끼움부와 형합하는 장착부가 형성된 세탁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리드센서들을 감싸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9. 제 1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로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상기 리드센서들을 감싸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20113722A 2012-10-12 2012-10-12 세탁기 및 거리센서 KR101972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722A KR101972036B1 (ko) 2012-10-12 2012-10-12 세탁기 및 거리센서
EP13187809.2A EP2719811B1 (en) 2012-10-12 2013-10-09 Distance senso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14/051,112 US10047472B2 (en) 2012-10-12 2013-10-10 Distance senso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CN201310476086.0A CN103726271B (zh) 2012-10-12 2013-10-12 洗衣机及距离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722A KR101972036B1 (ko) 2012-10-12 2012-10-12 세탁기 및 거리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429A KR20140047429A (ko) 2014-04-22
KR101972036B1 true KR101972036B1 (ko) 2019-04-24

Family

ID=4932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722A KR101972036B1 (ko) 2012-10-12 2012-10-12 세탁기 및 거리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47472B2 (ko)
EP (1) EP2719811B1 (ko)
KR (1) KR101972036B1 (ko)
CN (1) CN1037262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263B1 (ko) 2014-03-07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95086B1 (ko) 2014-12-04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EP3323929B1 (en) 2016-11-21 2021-01-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ment machine
IT201600127447A1 (it) * 2016-12-16 2018-06-16 Bitron Spa Elettrodomestico con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prevenire l’uscita di panni e relativo dispositivo di sicurezza.
CN108505288B (zh) * 2017-02-28 2020-10-02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门盖开合检测装置及方法
KR102385798B1 (ko) * 2017-05-17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CN109554888A (zh) * 2018-11-12 2019-04-02 扬州瑞控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防夹手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2311A1 (en) * 2002-05-31 2004-02-19 G.T. Development Corporation Switch assembly employing magnetic reed switches
JP2005174667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磁気近接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9577A (en) * 1980-07-28 1983-04-12 Robertson Gene V Latch bolt strike lock
KR920018284A (ko) * 1991-03-29 1992-10-21 가나이 쓰도무 세탁기
US5541562A (en) * 1994-10-16 1996-07-30 Honeywell Inc. Apparatus for sensing the closure of a door
KR100189104B1 (ko) 1995-11-09 1999-06-01 윤종용 세탁기의 도어개폐제어장치 및 방법
US5684441A (en) * 1996-02-29 1997-11-04 Graeber; Roger R. Reverse power protection circuit and relay
US6477866B1 (en) * 2001-04-13 2002-11-12 Standex Internationa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motor cut-off
US7251961B2 (en) * 2003-01-14 2007-08-07 Ark-Les Corporation Washing machine lid lock with magnetic lid sensor
DE102004060607B3 (de) * 2004-12-16 2006-03-23 Emz-Hanauer Gmbh & Co. Kgaa Türverriegelung für eine Tür eines Haushaltsgeräts
DE102006052428A1 (de) * 2006-11-07 2008-05-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insbesondere Wäschetrock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2311A1 (en) * 2002-05-31 2004-02-19 G.T. Development Corporation Switch assembly employing magnetic reed switches
JP2005174667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磁気近接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47472B2 (en) 2018-08-14
CN103726271B (zh) 2017-01-04
CN103726271A (zh) 2014-04-16
KR20140047429A (ko) 2014-04-22
EP2719811B1 (en) 2015-09-02
US20140102149A1 (en) 2014-04-17
EP2719811A1 (en)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348B1 (ko) 세탁기
KR101972036B1 (ko) 세탁기 및 거리센서
KR101606725B1 (ko) 세탁기의 리드 로커
KR102537237B1 (ko) 세탁기
EP3342915B1 (en) Washing machine
JP2004267743A (ja) 多目的バックルセンサーアセンブリー
JPH09225174A (ja) 全自動洗濯機の脱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315927A (zh) 抗污染的电器闩锁
CN110621820B (zh) 洗衣机和控制洗衣机的方法
US7874186B2 (en) Abnormal vibration sens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813592B1 (ko) 세탁기
KR20030019544A (ko) 디지털 오토 도어록 장치
US11761140B2 (en) Washing machine
KR102521489B1 (ko) 세탁기
KR100465696B1 (ko) 세탁기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100593288B1 (ko) 조수석 에어백 스위치 장치
CN218492024U (zh) 一种衣物处理装置
KR101161374B1 (ko) 세탁기의 리드 마그네트 고정구조
KR100465698B1 (ko) 세탁기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040047199A (ko) 세탁기의 리드 마그네트 설치구조
KR101270609B1 (ko) 세탁기의 리드
CN117881833A (zh) 衣物处理装置
KR20100070070A (ko) 체커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030018784A (ko) 전자동 세탁기의 안전스위치용 마그네트 장착구조
KR20060116348A (ko) 체스트타입 냉장고의 도어열림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