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592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592B1
KR101813592B1 KR1020110045215A KR20110045215A KR101813592B1 KR 101813592 B1 KR101813592 B1 KR 101813592B1 KR 1020110045215 A KR1020110045215 A KR 1020110045215A KR 20110045215 A KR20110045215 A KR 20110045215A KR 101813592 B1 KR101813592 B1 KR 10181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door
magnet
cas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020A (ko
Inventor
박영배
황성기
김동윤
심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59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포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포 투입구를 여닫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후크;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마그네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리드 스위치; 및 상기 후크를 구속하기 위한 후크구속부재가 구비된 잠금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도어가 상기 포 투입구를 닫기 위해 회전될 시, 상기 후크가 수용되도록 함몰 형성된 후크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스위치는 상기 리드 스위치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후크구속부재를 상기 후크 수용부 내로 이동시켜 상기 후크와 결속시키고, 상기 후크는 상기 케이싱과 간섭될 시 상기 후크 수용부 측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도어가 정확하게 잠길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고 한다.)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기 세탁기에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모터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로 포를 투입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포 투입구와, 상기 포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포 투입구를 통해 포를 투입한 후 도어를 닫고, 세탁기를 작동시킨다. 최근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세탁기가 작동하는 중에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상기 도어를 잠그는 도어락 또는 도어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통상의 세탁기는 도어잠금기능 수행을 위해, 도어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가 닫혀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후크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잠금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때, 후크와 잠금 스위치에 의한 도어잠금기능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더 나아가 상기 도어에 형성된 후크가 잠금 스위치의 작동 범위 내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도어에 형성된 후크가 파손된 경우에는 잠금 스위치가 작동하여도 상기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인 바, 이러한 상황이 고려되지 못하고 그대로 세탁기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도어의 닫힘 시 상기 도어에 구비된 후크가 잠금 스위치의 후크구속부재와 정확하게 결속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가 정확하게 닫혀진 상태에 위치할 시 도어 잠금(door lock)이 수행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도어의 후크 파손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포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포 투입구를 여닫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후크;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마그네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리드 스위치; 및 상기 후크를 구속하기 위한 후크구속부재가 구비된 잠금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도어가 상기 포 투입구를 닫기 위해 회전될 시, 상기 후크가 수용되도록 함몰 형성된 후크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스위치는 상기 리드 스위치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후크구속부재를 상기 후크 수용부 내로 이동시켜 상기 후크와 결속시키고, 상기 후크는 상기 케이싱과 간섭될 시 상기 후크 수용부 측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도어에 구비된 후크와 상기 후크를 고정시키는 잠금 스위치의 후크구속부재가, 도어 잠금 시 정확하게 결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도어에 구비된 후크에 마그네트가 배치됨으로써, 리드 스위치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의 위치가 상기 도어의 닫힘 위치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도어가 정확하게 닫힌 상태임이 보장되는 바, 이후, 잠금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도어가 확실하게 잠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도어의 후크 파손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도어잠금에 관여하는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탑커버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후크 수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의 부분 확대도로,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른 후크의 변위를 추적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도 7의 후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도 7의 도어 상부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c는 도 8b의 후크 장착부에 후크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d는 도 8c의 도어 상부 프레임에 하부 프레임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W)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W)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서 도어잠금에 관여하는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세탁기(W)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저수조(3)와, 저수조(3)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탁조(4)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에는 세탁조(4) 내로 포가 투입될 수 있도록 포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포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하, 상기 케이싱은 상측이 개구된 캐비닛(1)과, 캐비닛(1)의 개구된 상측에 구비되고 포가 투입될 수 있도록 대략 중앙부에 포 투입구(20h, 도 4 참조)가 형성된 탑커버(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케이싱의 구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탑커버(20)에는 도어(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어(30)가 닫히거나 열림으로써 포 투입구(20h)가 개폐된다. 또한, 탑커버(20)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 작동을 위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미도시)와,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2)이 구비될 수 있다.
현가장치(5)는 저수조(3)를 탑커버(20)에 매달기 위한 것으로,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현가장치(5)는 일단이 탑커버(2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저수조(3)와 연결되어 세탁조(4)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킨다.
구동부(7)는 세탁조(4) 또는 펄세이터(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세탁조(4) 또는 펄세이터(6)를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직접 연결된 로터가 회전되는 직접구동방식의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 등의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간접구동방식의 모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유로(9), 급수밸브(10) 및 세제박스(8)는 저수조(3) 또는 세탁조(4)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꼭지 등의 외부 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9)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상기 급수유로(9)를 따라 유동한 물은 세제박스(8) 내에 수용된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되어 세탁조(4) 내로 급수된다. 이하, 세탁조(4) 또는 저수조(3)로 급수되는 물을 세탁수라고 칭한다. 세탁조(4)에는 복수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세탁조(4) 내로 급수된 세탁수는 상기 통공을 통해 저수조(3)로 이동할 수 있다.
배수유로(13), 배수밸브(11) 및 배수펌프(12)는 저수조(3)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수밸브(11) 개방 시, 저수조(3) 내의 세탁수가 배수유로(13)를 통해 배출되고, 배수유로(13) 상에 구비된 배수펌프(12)에 의해 펌핑되어 배수가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탑커버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후크 수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의 부분 확대도로,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른 후크의 변위를 추적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도 7의 후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도 7의 도어 상부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c는 도 8b의 후크 장착부에 후크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d는 도 8c의 도어 상부 프레임에 하부 프레임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W)는 도어(30)가 포 투입구(20h)를 닫은 상태로 잠기도록 하는 도어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잠금장치는 도어(30) 측에 구비되어 도어(30)의 여닫음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동되는 후크(50)와, 사용자 등이 가하는 외력에 의해 도어(30)가 열리지 않도록 후크(50)를 고정시켜 잠기도록 하는 잠금 스위치(4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잠금 스위치(40)는 후크(50)와 결속 또는 분리됨으로써 후크(50)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후크구속부재(43)와, 제어부(25)로부터 인가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엑츄에이터(actuator, 41)와, 엑츄에이터(41)에 의해 작동되어 후크구속부재(43)를 진퇴시키는 레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41)는 선형모터(linear motor) 또는 솔레노이드(solenoid) 등이 구비된 선형구동부(41a)와, 선형구동부(41a)에 의해 진퇴되는 진퇴부재(4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스위치(40)는 후크구속부재(43)의 진퇴동작에 따라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마이크로 스위치(45)의 동작에 따라 엑츄에이터(4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후크구속부재(43)가 전진하여 마이크로 스위치(45)가 작동되면, 제어부(25)는 엑츄에이터(41)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후크(50)는 도어(30)와 체결되는 베이스부(54)와, 베이스부(54)로부터 돌출된 돌출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1)에는 잠금 스위치(40)의 작동 시 후크구속부재(43)가 삽입되는 삽입홀(52)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홀(52)의 하측으로 마그네트(55)가 장착되는 마그네트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는 돌출부(51)를 관통하는 관통홀(53)로 구성되었다.
마그네트(55)는 N극과 S극의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관통홀(53)의 양단의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55)가 단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N극과 S극의 단면적이 서로 다른 경우, 돌출부(51)에 형성된 관통홀(53) 역시 후크구속부재(43)가 삽입되는 입구단 쪽과 상기 입구단과 반대쪽의 단면적이 서로 다른 원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마그네트(55)의 N극과 S극의 위치가 조립과정에서 자동으로 결정되도록 하여, 조립 시 리드 스위치(reed switch, 23)와 대향할 마그네트(55)의 극성을 별도로 확인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한편, 후크(5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마그네트(55)와 함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탑커버(20)의 배면에는 리드 스위치(23)가 구비될 수 있다. 리드 스위치(23)는 도어(3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30)의 여닫는 동작에 따라 마그네트(55)의 위치를 감지한다. 리드 스위치(23)는 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마그네트(55)가 형성하는 자기장에 기초하여 마그네트(55)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탑커버(20)에는 도어(30)의 닫힘 시 후크(50)가 수용되는 후크 수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 수용부(21)는 탑커버(20)에 함몰 형성되어, 후크(50)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후크구속부재(43)가 관통되는 후크구속부재 관통홀(21a)이 형성될 수 있고, 후크 수용부(21) 내로 비산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21b)이 형성될 수 있다.
탑커버(20)는 후크 수용부(21)의 둘레에 제 1 챔퍼(chamfer, C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챔퍼(C1)는 도어(30)의 변형, 도어(30)의 흔들림 등의 원인으로, 도어(30)의 닫힘 동작 시 후크(50)가 바로 후크 수용부(21) 내로 삽입되지 못하고 탑커버(20)와 간섭될 시, 후크(50)가 제 1 챔퍼(C1)를 따라 부드럽게 후크 수용부(21)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챔퍼(C1)는 후크 수용부(21)의 내측을 향해 구배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챔퍼(C1)는 후크(50)가 이동 가능한 방향(도 3의 Y방향, Y'방향을 고려하여, 후크 수용부(21)의 둘레 중 도어(30)의 회전축(도 3의 X)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측과, 가장 먼 측을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를 참조하면, 후크(50)는 삽입홀(52)의 둘레에 제 2 챔퍼(C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구속부재(43)의 전진 시 후크(50)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제 2 챔퍼(C2)를 따라 부드럽게 안내됨으로써 삽입홀(52)과 정확하게 결속될 수 있다. 제 2 챔퍼(C2)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크(50)의 일단에는 제 3 챔퍼(C3)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가 닫힘 회전할 시 후크(50)가 탑커버(20)와 간섭되더라도, 제 3 챔퍼(C3)에 형성된 구배를 따라 후크(50)가 후크 수용부(21) 내로 안내될 수 있다.
도어잠금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포 투입구(20h)를 통해 포를 투입한 후 도어(30)를 닫으면, 후크(50)가 후크 수용부(21) 내에 위치되고, 리드 스위치(23)는 마그네트(55)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25)에 소정의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25)는 리드 스위치(23)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잠금 스위치(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 스위치(40)가 작동하여 도어(30)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로부터 인간된 제어신호에 따라 엑츄에이터(41)가 작동하여, 진퇴부재(41b)가 선형구동부(41a) 내로 후퇴하고, 진퇴부재(41b)의 후퇴 동작에 따라 레버(42)가 회전되면, 후크구속부재(43)가 전진하여 후크(50)에 형성된 삽입홀(52)로 삽입된다.
한편, 마그네트(55)가 후크(50)에 구비되기 때문에, 마그네트(55)의 위치는 후크(50)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리드 스위치(23)에 의해 마그네트(55)의 위치가 후크 수용부(21) 내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는 후크(50) 역시 후크 수용부(21) 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 보장된다.
반대로, 리드 스위치(23)가 마그네트(55)의 위치 검출에 실패한 경우, 즉, 도어(30)가 정상적으로 닫히지 못하여 마그네트(55)가 후크 수용부(21) 내에 위치하지 못하거나, 후크(50)가 파손된 경우에는, 제어부(25)에 의해 세탁기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때, 제어부(25)는 컨트롤 패널(2)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도어가 잠금되지 않았음을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 등의 영상표시장치 또는 부져(buzzer), 스피커(speaker) 등의 음향출력장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W)에서 후크(50)는 도어(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후크(50)가 이동 가능한 방향은, 후크(50)의 위치변동에 따라 도어(30)의 회전축(X)과 후크(50)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는 방향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후크(50)가 외력에 의해 도어(30)의 회전축(rotational axis, X)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Y방향이라고 하고, 후크(50)가 도어(30)의 회전축(X)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는 방향은 Y'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도 7,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후크(50)가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도어(30)에 장착되는 구조의 일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30)에는 후크(50) 장착을 위한 후크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장착부에 장착된 후크(50)는 외력 작용 시 도어(30)의 회전축(X)과의 거리가 변할 수 있는 방향, 즉, Y방향 또는 Y'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30)는 도어 상부 프레임(31)과, 상기 도어 상부 프레임(31)의 하측에 결합되는 도어 하부 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장착부는 도어 상부 프레임(31)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후크 장착부(60)는 도어 상부 프레임(31)의 배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62, 64)와, 지지부(62, 64)의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고정부(61, 6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62, 64)와 고정부(61, 63) 사이는 측벽(65, 66)에 의해 연결된다.
후크(50)의 베이스부(54)는 지지부(62, 64)와 고정부(61, 63) 사이에 끼워지고, 한 쌍의 고정부(61, 63) 사이를 통해 돌출부(51)가 돌출된다. 고정부(61, 63)의 일단에는 후크(50)가 한 쌍의 고정부(61, 63)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후크(61a, 63a)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50)가 한 쌍의 측벽(65, 66)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 쌍의 측벽(65, 66) 사이의 거리(S2)는 베이스부(54)의 Y-Y'방향 폭(S1)보다 길어야 한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부(61, 63) 사이의 거리(S4) 역시 돌출부(51)의 Y-Y'방향의 폭(S3)보다 길어야 한다.
지지부(62, 64))는 도어 상부 프레임(31)의 배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후크(5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후크(50)에 충격이 가해질 시 지지부(62, 64)에 의해 완충되는 효과가 있다.
도어 하부 프레임(32)은 도어 상부 프레임(31)의 하측에 결합되고, 후크(50)의 돌출부(51)가 도어(3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돌출부(51)가 통과하는 개구부(32a)가 형성된다. 개구부(32a)는 후크(50)가 소정 간격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부(51)의 둘레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 하여야 하고, 개구부(32a)의 Y-Y'방향 길이(S5)가 돌출부(51)의 폭(S3) 보다 길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7에는 베이스부(54)가 Y방향으로 d1, Y'방향으로 d2만큼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54)의 위치변동에 따라 Y 또는 Y'방향으로 최대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d1+d2가 될 수 있도록, S1, S2, S3, S4, S5의 거리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어(30)가 닫히는 동작을 할 시, 도어(30)의 위치는 P1과 P2를 차례로 지나게 된다. 여기서, P1의 위치는 후크(50)가 후크 수용부(21)의 입구단 근처를 지나는 위치이며,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후크(50)와 탑커버(20)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후크(50)가 탑커버(20)에 형성된 제 1 챔퍼(C1)를 따라 후크 수용부(21)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탑커버(20)와의 충격으로 인하여 후크(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고, 후크(50)의 일단에 형성된 제 3 챔퍼(C3)를 고려하면 더욱 그러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포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포 투입구를 여닫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후크;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마그네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리드 스위치; 및
    상기 후크를 구속하기 위한 후크구속부재가 구비된 잠금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도어가 상기 포 투입구를 닫기 위해 회전될 시, 상기 후크가 수용되도록 함몰 형성된 후크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스위치는 상기 리드 스위치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후크구속부재를 상기 후크 수용부 내로 이동시켜 상기 후크와 결속시키고,
    상기 후크는,
    상기 케이싱과 간섭될 시 상기 후크 수용부 측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N극과 S극의 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로 다른 면적의 N극과 S극을 갖는 마그네트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양측 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와 함께 일체로 성형되는 세탁기.
  4. 포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포 투입구를 여닫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후크;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마그네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리드 스위치; 및
    상기 후크를 구속하기 위한 후크구속부재가 구비된 잠금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도어가 상기 포 투입구를 닫기 위해 회전될 시, 상기 후크가 수용되도록 함몰 형성된 후크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스위치는 상기 리드 스위치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후크구속부재를 상기 후크 수용부 내로 이동시켜 상기 후크와 결속시키고,
    상기 후크는,
    상기 케이싱과 간섭될 시 상기 후크 수용부 측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후크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크 장착부가 형성된 도어 상부 패널; 및
    상기 도어 상부 패널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후크 장착부에 장착된 후크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도어 하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길이가 상기 후크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장착부는,
    상기 도어 상부 패널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후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어 상부 패널의 배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된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장착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잠금 스위치 작동 시 상기 후크구속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하측에 상기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지지부와 고정부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돌출부의 폭 보다 긴 세탁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10045215A 2011-05-13 2011-05-13 세탁기 KR10181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215A KR101813592B1 (ko) 2011-05-13 2011-05-13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215A KR101813592B1 (ko) 2011-05-13 2011-05-13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020A KR20120127020A (ko) 2012-11-21
KR101813592B1 true KR101813592B1 (ko) 2017-12-29

Family

ID=4751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215A KR101813592B1 (ko) 2011-05-13 2011-05-13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5325A (zh) * 2018-02-26 2019-09-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门锁结构、洗衣机及控制方法
DE102019005564B3 (de) * 2019-05-10 2020-09-17 Emz-Hanauer Gmbh & Co. Kgaa Türverschluss für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CN112342742A (zh) * 2019-08-06 2021-02-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3389012B (zh) * 2020-03-13 2024-02-02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250A (ja) * 2008-10-16 2010-04-30 Panasonic Corp 蓋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250A (ja) * 2008-10-16 2010-04-30 Panasonic Corp 蓋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020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004B1 (ko) 의류처리장치
AU2016269472B2 (en) Detergent supply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813592B1 (ko) 세탁기
EP3287556B1 (en) Washing machine
KR101583348B1 (ko) 세탁기
KR101156707B1 (ko) 드럼 세탁기와 드럼 세탁기 도어의 조립 방법
EP3272925B1 (en) Washing machine
KR102537237B1 (ko) 세탁기
EP2703545B1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KR20150094326A (ko) 세탁기
KR20080037420A (ko) 드럼세탁기
KR101972036B1 (ko) 세탁기 및 거리센서
KR20060039186A (ko) 세탁기의 도어
KR100782988B1 (ko) 세탁기
KR101438066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EP3541979B1 (en) Washing machine
KR101370293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EP4187011A1 (en) Washing machine
KR100471447B1 (ko)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와 컨트롤 패널 체결 구조
KR102111743B1 (ko) 세탁기
KR10194024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EP2333146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housing thereof
KR10167572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4024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808865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