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945B1 - 차량용 제어장치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장치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945B1
KR102243945B1 KR1020190025695A KR20190025695A KR102243945B1 KR 102243945 B1 KR102243945 B1 KR 102243945B1 KR 1020190025695 A KR1020190025695 A KR 1020190025695A KR 20190025695 A KR20190025695 A KR 20190025695A KR 102243945 B1 KR102243945 B1 KR 10224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estination
charging spot
spo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576A (ko
Inventor
도모야 가타노다
히로타카 오미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10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2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by charging in short intervals along the itinerary, e.g. during short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8Means for preventing excessive speed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3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e.g. from overhead contac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9Fuel consumption; Energy use; Emission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7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user history, behaviour, conditions or preferences, e.g. predicted or inferred from previous use or current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2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output of POI informati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docking at a fixed facility, e.g. base station or loading b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2Vehicle position
    • B60L2240/622Vehicle position by satellite 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B60L2240/72Charging station selection relying on external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2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drive range estimation, e.g. of estimation of available trave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제어 장치는, 주행용의 모터와, 모터와 전력의 교환을 행하는 축전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탑재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축전 장치를 충전하는 외부 충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목적지까지의 주행 예정 루트의 루트 안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없을 때, 및, 목적지의 충전 스폿을 이용할 수 없다고 예측될 때에는,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의 외부 충전의 실행을 권장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어장치 및 자동차{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장치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차량용 제어장치로서는, 모터와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어, 목적지까지의 주행 예정 루트의 루트 안내를 행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232208 참조). 이 차량용 제어장치에서는, 자차(自車)가 목적지를 향하는 도중에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게 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충전 스탠드를 경유해서 목적지에 이르도록 주행 예정 루트를 재탐색하고, 재탐색한 주행 예정 루트의 루트 안내를 행하는 것에 의해, 충전 스탠드 및 목적지에 유도한다.
상기 서술의 차량용 제어장치에서는, 자차가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고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탠드로 유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자차가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고 목적지까지 주행하였지만, 목적지에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을 때에는, 그 후의 새로운 주행에서 자차가 전력 부족이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제어장치 및 자동차는, 자차가 전력 부족이 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제어장치 및 자동차는, 상기 서술의 주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주행용의 모터와, 상기 모터와 전력의 교환을 행하는 축전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탑재된 차량용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축전 장치를 충전하는 외부 충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 및 목적지까지의 주행 예정 루트의 루트 안내를 행하도록 구성된 내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가동(稼動) 정보를 취득할 수 없을 때, 및,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을 이용할 수 없다고 예측될 때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의 상기 외부 충전의 실행을 권장한다.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예정 루트의 루트 안내를 행하는 것에 있어서,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없을 때, 및, 목적지의 충전 스폿을 이용할 수 없다고 예측될 때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의 외부 충전의 실행을 권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하도록 촉진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목적지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없을 때에, 목적지에 도착한 후의 새로운 주행에서 자차가 전력 부족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으로는, 주행 예정 루트변의 충전 스폿이나, 주행 예정 루트로부터 소정 거리 내만큼 떨어진 충전 스폿(주행 예정 루트로부터의 약간의 우회로 경유할 수 있는 충전 스폿)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을 이용할 수 없다고 예측될 때에는,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의 상기 외부 충전의 실행의 권장으로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에서의 상기 외부 충전의 실행이 불가능한 취지, 및,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 중 상기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한 충전 스폿을 보지(報知)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목적지의 충전 스폿을 이용할 수 없다고 예측될 때에,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하도록 촉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없을 때에는,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의 상기 외부 충전의 실행의 권장으로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을 보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없을 때에,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하도록 촉구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 유저에 의해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의 보지가 불필요한 취지가 지시되었을 때에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상기 축전 장치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그 후의 주행 가능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을 이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목적지의 충전 스폿을 이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양호한 정밀도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 도착하였을 때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자차가 목적지에 도착한 후의 새로운 주행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 스폿에 도달하는데에 필요한 충전량을 보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이 충전량을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자동차는, 상기 서술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차량용 제어장치와, 주행용의 모터와, 상기 모터와 전력의 교환을 행하는 축전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는 자동차에 탑재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축전 장치를 충전하는 외부 충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 및 목적지까지의 주행 예정 루트의 루트 안내를 행하도록 구성된 내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없을 때, 및,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을 이용할 수 없다고 예측될 때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의 상기 외부 충전의 실행을 권장한다.
상기 제2 양태에 따른 자동차는, 상기 서술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본 발명의 차량용 제어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차량용 제어장치가 가지는 효과, 예를 들면, 목적지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없을 때에, 목적지에 도착한 후의 새로운 주행에서 자차가 전력 부족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 등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차량용 제어장치를 탑재하는 전기 자동차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본체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변형예의 처리 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차량용 제어장치를 탑재하는 전기 자동차(20)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20)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터(32)와, 인버터(34)와, 축전 장치로서의 배터리(36)와, 공조(空調) 장치(40)와, 충전기(50)와, 내비게이션 장치(60)와, 전자 제어 유닛(70)을 구비한다. 실시예의 「차량용 제어장치」로서는, 내비게이션 장치(60) 및 전자 제어 유닛(70)이 상당한다.
모터(32)는, 예를 들면, 동기(同期) 발전 전동기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자가 구동륜(22a,22b)에 디퍼렌셜 기어(24)를 개재하여 연결된 구동축(26)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34)는, 모터(32)의 구동에 이용되는 것과 함께 전력 라인(38)을 개재하여 배터리(36)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32)는, 전자 제어 유닛(70)에 의해 인버터(34)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복수의 스위칭 소자가 스위칭 제어됨으로써, 회전 구동된다.
배터리(36)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나 니켈 수소 이차 전지로서 구성되어 있다. 공조 장치(40)는, 전력 라인(38)에 접속되어 있으며, 배터리(36)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탑승자실 내의 공조를 행한다. 이 공조 장치(40)는,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충전기(50)는, 전력 라인(38)에 접속되어 있으며, 충전 스폿의 스폿측 커넥터와 차량측 커넥터(51)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 충전 스폿으로부터의 전력(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6)를 충전하는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충전기(50)는, 전자 제어 유닛(70)에 의해 제어된다.
내비게이션 장치(60)는, 지도 정보 등이 기억된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나 CPU, ROM, RAM, 입출력 포트, 통신 포트를 가지는 본체(62)와, 차량의 현재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64)와, 지도 정보나 자차의 현재지, 목적지까지의 주행 예정 루트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것과 함께 유저가 각종 지시를 입력가능한 터치패널 타입의 디스플레이(66)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지도 정보에는, 서비스 정보(예를 들면, 시설이나 주차장, 충전 스폿 등에 관한 정보)나, 미리 정해진 각 주행 구간(예를 들면, 신호기 사이나 교차점 사이 등)의 도로 정보 등이 포함된다. 도로 정보에는, 거리 정보나 폭원 정보, 차선 수 정보, 지역 정보(시가지나 교외), 종별 정보(일반 도로나 고속 도로, 유료 도로), 구배 정보, 법정 속도, 신호기의 수 등이 포함된다. 내비게이션 장치(60)는, 전자 제어 유닛(70)과 통신 포트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내비게이션 장치(60)에서는, 유저에 의해 디스플레이(66)가 조작되어서 목적지가 설정되면, 본체(62)는, 지도 정보와 차량의 현재지와 목적지에 의거하여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예정 루트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 예정 루트를 디스플레이(66)에 표시하여 루트 안내를 행한다. 또한, 본체(62)는, 이 때, 지도 정보와 차량의 현재지와 목적지에 의거하여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을 연산하고, 연산한 도착 예정 시각을 디스플레이(66)에 표시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60)는, 클라우드 서버(CS)와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라우드 서버(CS)는, 전기 자동차(20)를 포함하는 각 차량과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지도 정보나, 각 차량의 주행 이력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클라우드 서버(CS)에 기억되는 지도 정보에는, 내비게이션 장치(60)의 본체(62)에 기억되는 지도 정보와 마찬가지의 지도 정보에 추가하여, 각 충전 스폿의 영업 시간의 정보나, 각 충전 스폿의 고장의 유무의 정보 등도 포함된다. 주행 이력 정보에는, 각 차량의 과거의 주행 루트나 주행 일시, 주차 지점, 주차 일시 등이 포함된다.
전자 제어 유닛(70)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CPU를 중심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CPU에 추가하여,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입출력 포트, 통신 포트를 구비한다. 전자 제어 유닛(70)에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입력 포트를 개재하여 입력된다. 전자 제어 유닛(70)에 입력되는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모터(32)의 회전자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회전 위치센서로부터의 모터(32)의 회전자의 회전 위치(θm)나, 모터(32)의 각 상(相)의 상전류를 검출하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전류 센서로부터의 모터(32)의 각 상의 상전류(Iu,Iv,Iw)를 들 수 있다. 또한, 배터리(36)의 단자간에 부착된 전압 센서(36a)로부터의 배터리(36)의 전압(Vb)이나, 배터리(36)의 출력 단자에 부착된 전류 센서(36b)로부터의 배터리(36)의 전류(Ib), 배터리(36)에 부착된 온도 센서(36c)로부터의 배터리(36)의 온도(Tb)도 들 수 있다. 차량측 커넥터(51)와 충전 스폿의 스폿측 커넥터의 접속을 검출하는 접속 검출 센서(52)로부터의 접속 검출 신호도 들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80)로부터의 이그니션 신호나, 시프트 레버(81)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시프트 포지션 센서(82)로부터의 시프트 포지션(SP)도 들 수 있다. 액셀 페달(83)의 밟음량을 검출하는 액셀 페달 포지션 센서(84)로부터의 액셀 개도(Acc)나, 브레이크 페달(85)의 밟음량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86)로부터의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BP), 차속 센서(88)로부터의 차속(V)도 들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70)에서는, 각종 제어 신호가 출력 포트를 개재하여 출력된다. 전자 제어 유닛(7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인버터(34)에의 제어 신호나, 충전기(50)에의 제어 신호를 들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70)은, 전류 센서(36b)로부터의 배터리(36)의 입출력 전류(Ib)의 적산값에 의거하여 배터리(36)의 축전 비율(SOC)을 연산하고 있다. 여기에서, 축전 비율(SOC)은, 배터리(36)의 전체 용량에 대한 배터리(36)로부터 방전가능한 전력량의 비율이다. 전자 제어 유닛(70)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60)와 통신 포트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60)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전자 제어 유닛(70)이 클라우드 서버(CS)와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20)에서는, 전자 제어 유닛(70)은, 액셀 개도(Acc)와 차속(V)에 의거하여 주행에 요구되는(구동축(26)에 요구되는) 요구 토크(Td*)를 설정하고, 요구 토크(Td*)가 구동축(26)에 출력되도록 모터(32)의 토크 지령(Tm*)으로 설정하고, 모터(32)가 토크 지령(Tm*)으로 구동되도록 인버터(34)의 복수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20)에서는, 주차 중에, 충전 스폿의 스폿측 커넥터와 차량측 커넥터(51)가 접속되면(접속 검출 센서(52)에 의해 양자의 접속을 검출하면), 전자 제어 유닛(70)은, 충전 스폿으로부터의 전력(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6)가 충전되도록 충전기(50)를 제어함으로써, 외부 충전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이렇게 하여 구성된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20)에 탑재되는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 특히, 내비게이션 장치(6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내비게이션 장치(60)의 본체(6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루틴은, 목적지까지의 주행 예정 루트의 루트 안내를 행하고 있을 때에 반복하여 실행된다.
도 2의 처리 루틴이 실행되면, 내비게이션 장치(60)의 본체(62)는, 우선, 클라우드 서버(CS)로부터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00,S102). 여기에서,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는, 예를 들면, 충전 스폿의 영업 시간의 정보나, 충전 스폿의 고장의 유무의 정보 등이다. 단계 S100의 판정 처리는, 예를 들면, 클라우드 서버(CS)와 통신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CS)와 통신할 수 없는 때에는, 예를 들면, 정전 등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CS)가 정지되어 있을 때를 들 수 있다.
단계 S100,S102에서 클라우드 서버(CS)로부터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에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 가동 중인지 아닌지를 예측한다(단계 S110,S112). 여기에서,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도 정보와 차량의 현재지와 목적지에 의거하여 연산된다.
단계 S110,S112의 판정 처리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고장의 유무를 판정함과 함께,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이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영업 시간 내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 고장나 있지 않으면서(사용가능하면서), 또한,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이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영업 시간 내일 때에는,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에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 가동 중이라고 예측한다. 한편,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 고장 중(점검 중이나 수리 중을 포함한다)일 때나,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이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영업 시간 외일 때에는,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에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 가동 중이 아니라고 예측한다.
단계 S110,S112에서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에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 가동 중이라고 예측되었을 때에는, 목적지의 충전 스폿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한 취지를 보지하고(단계 S120), 본 루틴을 종료한다.
도 3은, 이 경우의 디스플레이(66)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디스플레이(66)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3 및 후술의 각 도에 있어서, 별 표시는 목적지이며, 흰 사각 표시는, 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있다고 예측되는 충전 스폿이며, 검은 사각 표시는, 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없다고 예측되는 충전 스폿이며, 삼각 표시는, 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있는지 불명확한 충전 스폿이다. 흰 사각 표시나 검은 사각 표시의 충전 스폿에 대해서는, 고장의 유무나 영업 시간, 자차의 도착 예정 시각도 표시한다. 도 3의 경우, 디스플레이(66)에 있어서, 별 표시(목적지)와 동일 지점에 흰 사각 표시(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있다고 예측되는 충전 스폿)를 표시함으로써, 목적지의 충전 스폿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한 취지를 보지한다.
단계 S110,S112에서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에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 가동 중이 아니라고 예측되었을 때에는, 이 예측이 초회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30). 그리고, 이 예측이 초회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목적지의 충전 스폿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 불가능한 취지를 보지하고(단계 S140), 그 후에,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 중 도착 예정 시각에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한 충전 스폿을 보지하고(단계 S150), 본 루틴을 종료한다. 여기에서,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으로는, 주행 예정 루트변의 충전 스폿이나, 주행 예정 루트로부터 소정 거리 내만큼 떨어진 충전 스폿(주행 예정 루트로부터의 약간의 우회로 경유할 수 있는 충전 스폿)을 들 수 있다.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의 도착 예정 시각은,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과 마찬가지로 연산된다.
도 4는, 단계 S140의 처리에 관한 디스플레이(66)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5은, 단계 S150의 처리에 관한 디스플레이(66)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의 경우, 디스플레이(66)에 있어서, 별 표시(목적지)와 동일 지점에 검은 사각 표시(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없다고 예측되는 충전 스폿)를 표시함으로써, 목적지의 충전 스폿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 불가능한 취지를 보지한다. 또한, 도 5의 경우, 디스플레이(66)에 있어서, 주행 예정 루트 주변에 흰 사각 표시(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있다고 예측되는 충전 스폿)를 표시함으로써,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 중 도착 예정 시각에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한 충전 스폿을 보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의 충전 스폿)에서의 외부 충전의 실행을 권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66)의 표시 내용의 전환은, 도 4의 표시 내용의 표시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되고, 도 4의 표시 내용의 표시 중에 유저에 의해 전환이 지시되었을 때에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단계 S130에서,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에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 가동 중이 아니라는 예측이 초회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단계 S140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단계 S150의 처리를 실행하고, 본 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S100,S102에서 클라우드 서버(CS)로부터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나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을 보지하고(단계 S160), 본 루틴을 종료한다.
도 6은, 이 경우의 디스플레이(66)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의 경우, 디스플레이(66)에 있어서, 별 표시(목적지)와 동일 지점이나 주행 예정 루트 주변에 삼각 표시(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있는지 불명확한 충전 스폿)를 표시함으로써,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나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을 보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의 충전 스폿)에서의 외부 충전의 실행을 권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20)에 탑재되는 차량용 제어장치, 특히, 내비게이션 장치(60)에서는,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에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 가동 중이 아니라고 예측되었을 때에는, 목적지의 충전 스폿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 불가능한 취지나,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 중 도착 예정 시각에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한 충전 스폿을 보지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CS)로부터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없을 때에는,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나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을 보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의 충전 스폿)에서의 외부 충전의 실행을 권장할 수 있다. 이 결과, 목적지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없을 때에, 목적지에 도착한 후의 새로운 주행에서 자차가 전력 부족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20)에 탑재되는 차량용 제어장치, 특히, 내비게이션 장치(60)에서는,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에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 가동 중이 아니라고 예측되었을 때에 있어서, 그 예측이 초회일 때에는, 목적지의 충전 스폿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 불가능한 취지를 보지한 후에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 중 도착 예정 시각에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한 충전 스폿을 보지하고(도 4 및 도 5 참조), 그 예측이 초회가 아닐 때에는,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 중 도착 예정 시각에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한 충전 스폿을 보지하는(도 5 참조)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목적지의 충전 스폿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 불가능한 취지, 및,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 중 도착 예정 시각에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한 충전 스폿을 동시에 보지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도 7은, 이 경우의 디스플레이(66)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의 경우, 디스플레이(66)에 있어서, 별 표시(목적지)와 동일 지점에 검은 사각 표시(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없다고 예측되는 충전 스폿)를 표시하는 것과 함께 주행 예정 루트 주변에 흰 사각 표시(외부 충전을 실행할 수 있다고 예측되는 충전 스폿)를 디스플레이(66)에 표시함으로써, 목적지의 충전 스폿에서 외부 충전을 실행 불가능한 취지, 및,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 중 도착 예정 시각에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한 충전 스폿을 동시에 보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의 충전 스폿)에서의 외부 충전의 실행을 권장할 수 있다.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20)에 탑재되는 차량용 제어장치, 특히, 내비게이션 장치(60)에서는, 본체(62)는, 도 2의 처리 루틴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대신에, 도 8의 처리 루틴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도 8의 처리 루틴은, 단계 S200∼240의 처리를 추가한 점을 제외하고, 도 2의 처리 루틴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의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첨부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처리 루틴에서는, 내비게이션 장치(60)의 본체(62)는, 단계 S130,S140의 처리의 실행 후이면서 또한 단계 S150의 처리의 실행 전에, 목적지 이외의 충전 스폿의 안내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유저에게 질문하여(단계 S200), 목적지 이외의 충전 스폿의 안내가 필요하다는 회답이 얻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10).
도 9는, 단계 S200,S210의 처리에 관한 디스플레이(66)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의 경우, 디스플레이(66)에 「목적지 이외의 충전 스폿의 안내가 필요합니까?」의 메시지나, 「필요」 및 「불필요」의 선택 버튼을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질문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내에 「필요」가 터치되었을 때에는, 목적지 이외의 충전 스폿의 안내가 필요하다는 회답이 얻어졌다고 판정한다. 한편, 소정 시간 내에 「불필요」가 터치되었을 때나, 소정 시간 내에 「필요」도 「불필요」도 터치되지 않았을 때에는, 목적지 이외의 충전 스폿의 안내가 필요하다는 회답이 얻어지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단계 S210에서 목적지 이외의 충전 스폿의 안내가 필요하다는 회답이 얻어졌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단계 S150의 처리를 실행하고, 본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목적지 이외의 충전 스폿의 안내가 필요하다는 회답이 얻어지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단계 S150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배터리(36)의 출력 제한의 지시를 전자 제어 유닛(70)에 지시하고(단계 S240), 본 루틴을 종료한다. 전자 제어 유닛(70)은, 내비게이션 장치(60)로부터 배터리(36)의 출력 제한의 지시를 수신하면, 공조 장치(40) 등의 보조 기계의 소비 전력을 제한하거나, 모터(32)의 출력을 제한하거나 함으로써, 배터리(36)의 출력을 제한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배터리(36)의 축전 비율(SOC)의 저하를 억제하여, 그 후의 주행 가능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단계 S100,S102에서 클라우드 서버(CS)로부터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도, 단계 S200,S210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목적지 이외의 충전 스폿의 안내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유저에게 질문하여(단계 S220), 목적지 이외의 충전 스폿의 안내가 필요하다는 회답이 얻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30). 그리고, 목적지 이외의 충전 스폿의 안내가 필요하다는 회답이 얻어졌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단계 S160의 처리를 실행하고, 본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목적지 이외의 충전 스폿의 안내가 필요하다는 회답이 얻어지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단계 S160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배터리(36)의 출력 제한의 지시를 전자 제어 유닛(70)에 지시하고(단계 S240), 본 루틴을 종료한다.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동차(20)에 탑재되는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으로서, 내비게이션 장치(60)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내비게이션 장치(60)는, 도 2의 처리 루틴의 실행에 의해,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에 목적지의 충전 스폿이 가동 중이 아니라고 예측하였을 때나 클라우드 서버(CS)로부터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없을 때에,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의 충전 스폿)에서의 외부 충전의 실행을 권장한다. 자차가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 주차하고, 그 충전 스폿의 스폿측 커넥터와 차량측 커넥터(51)가 접속되면, 전자 제어 유닛(70)은, 도 10의 처리 루틴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도 10의 처리 루틴이 실행되면, 전자 제어 유닛(70)은, 배터리(36)의 요구 충전량(Qchtag)을 계산하고(단계 S300), 계산한 배터리(36)의 요구 충전량(Qchtag)을 제시하여(단계 S310), 유저가 허락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320).
여기에서, 배터리(36)의 요구 충전량은, 예를 들면, 배터리(36)의 현재의 축전 비율(SOC)과 내비게이션 장치(60)로부터의 지도 정보나 차량의 현재지, 목적지에 의거하여, 자차가 목적지에 도착한 후의 새로운 주행으로 가장 가까운 충전 스폿에 도달하는데에 필요한 축전 비율(SOC)에 마진을 더한 값과, 현재의 축전 비율(SOC)의 차분에 상당하는 전력량으로서 연산된다.
도 11은, 단계 S310,S320의 처리에 관한 디스플레이(66)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의 경우, 디스플레이(66)에 「배터리의 충전량은 ○○kWh로 괜찮습니까?」의 메시지나, 「OK」 및 「NG」의 선택 버튼을 표시함으로써, 배터리(36)의 요구 충전량(Qchtag)을 허락할지 아닌지를 유저에게 질문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내에 「OK」가 터치되었을 때에는, 배터리(36)의 요구 충전량(Qchtag)이 허락되었다고 판정한다. 한편, 소정 시간 내에 「NG」가 터치되었을 때나, 소정 시간 내에 「OK」도 「NG」도 터치되지 않았을 때에는, 배터리(36)의 요구 충전량(Qchtag)이 허락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단계 S320에서 배터리(36)의 요구 충전량(Qchtag)이 허락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외부 충전의 실행에 의해 배터리(36)를 요구 충전량(Qchtag)만큼 충전하고(단계 S330), 본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배터리(36)의 요구 충전량(Qchtag)이 허락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외부 충전의 실행에 의해 배터리(36)를 만충전 상태까지 충전하고(단계 S340), 본 루틴을 종료한다. 배터리(36)의 요구 충전량(Qchtag)을 제시함으로써, 배터리(36)를 요구 충전량(Qchtag)만큼 충전할지 만충전 상태까지 충전할지를 유저가 선택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후자의 경우에 비해서 외부 충전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목적지를 향하는 주행을 보다 조기에 개시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전자의 경우에 비해서 배터리(36)의 축전 비율(SOC)을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후에 주행가능한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20)에서는, 클라우드 서버(CS)와의 통신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CS)로부터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예를 들면, 충전 스폿의 영업 시간의 정보나, 충전 스폿의 고장의 유무의 정보 등)를 취득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각 충전 스폿과의 통신에 의해, 각 충전 스폿으로부터 가동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20)에서는, 주차 중에 충전 스폿의 스폿측 커넥터와 차량측 커넥터(51)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 충전 스폿으로부터의 전력(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6)를 충전하는 충전기(5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충전기(50)에 추가하여 또는 대신하여, 충전 스폿으로부터의 전력(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비접촉으로 수전(受電)하여 배터리(36)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실시예의 전기 자동차(20)에서는, 축전 장치로서, 배터리(36)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배터리(36) 대신에, 커패시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실시예의 주요한 요소와 과제의 해결 수단의 란에 기재한 발명의 주요한 요소와의 대응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에서는, 모터(32)가 「모터」에 상당하고, 배터리(36)가 「축전 장치」에 상당하고, 전기 자동차(20)가 「자동차」에 상당하고, 내비게이션 장치(60) 및 전자 제어 유닛(70)이 「차량용 제어장치」에 상당한다.
또한, 실시예의 주요한 요소와 과제의 해결 수단의 란에 기재한 발명의 주요한 요소와의 대응 관계는, 실시예가 과제의 해결 수단의 란에 기재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인 것으로부터, 과제의 해결 수단의 란에 기재한 발명의 요소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즉, 과제의 해결 수단의 란에 기재한 발명에 관한 해석은 그 란의 기재에 의거하여 행하여져야 할 것이며, 실시예는 과제의 해결 수단의 란에 기재한 발명의 구체적인 일례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장치나 자동차의 제조 산업 등에 사용가능하다.

Claims (7)

  1. 주행용의 모터(32)와, 상기 모터(32)와 전력의 교환을 행하는 축전 장치(36)를 구비하는 자동차(20)에 탑재되는 차량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축전 장치(36)를 충전하는 외부 충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70); 및
    목적지까지의 주행 예정 루트의 루트 안내를 행하도록 구성된 내비게이션 장치(60)를 구비하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60)는,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없을 때에는,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의 상기 외부 충전의 실행을 권장하고,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의 상기 외부 충전의 실행을 행할 때에는, 상기 자동차가 목적지에 도착한 후의 새로운 주행으로 가장 가까운 충전 스폿에 도착하는데에 필요한 상기 축전 장치(36)의 축전 비율에 사전 설정된 마진을 더한 값과, 현재의 상기 축전 장치(36)의 축전 비율의 차분에 상당하는 요구 충전량을 연산하여, 보지하고,
    유저에 의해 상기 요구 충전량의 충전이 허가되면, 외부 충전의 실행에 의해 상기 축전 장치(36)를 상기 요구 충전량만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60)는,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을 이용할 수 없다고 예측될 때에는,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의 상기 외부 충전의 실행의 권장으로서,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에서의 상기 외부 충전의 실행이 불가능한 취지, 및,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 중 상기 외부 충전을 실행 가능한 충전 스폿을 보지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60)는,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의 가동 정보를 취득할 수 없을 때에는,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서의 상기 외부 충전의 실행의 권장으로서,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을 보지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70)은, 유저에 의해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의 보지가 불필요한 취지가 지시되었을 때에는, 상기 축전 장치(36)의 출력을 제한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60)는, 상기 목적지의 도착 예정 시각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의 충전 스폿을 이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예측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60)는, 상기 주행 예정 루트 주변의 충전 스폿에 도착하였을 때에는, 자차가 목적지에 도착한 후의 새로운 주행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 스폿에 도달하는데에 필요한 충전량을 보지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차량용 제어장치와, 상기 모터(32)와, 상기 축전 장치(36)를 구비하는 자동차(20).
KR1020190025695A 2018-03-12 2019-03-06 차량용 제어장치 및 자동차 KR102243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3740A JP7069861B2 (ja) 2018-03-12 2018-03-12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自動車
JPJP-P-2018-043740 2018-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76A KR20190107576A (ko) 2019-09-20
KR102243945B1 true KR102243945B1 (ko) 2021-04-26

Family

ID=6576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695A KR102243945B1 (ko) 2018-03-12 2019-03-06 차량용 제어장치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35674B2 (ko)
EP (1) EP3550267B1 (ko)
JP (1) JP7069861B2 (ko)
KR (1) KR102243945B1 (ko)
CN (1) CN110254279B (ko)
BR (1) BR102019003998A2 (ko)
RU (1) RU2714660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1095B2 (ja) * 2017-09-01 2019-08-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補給レコメンド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10197819A1 (en) * 2019-12-31 2021-07-01 Zoox, Inc. Vehicle control to join route
JP7452391B2 (ja) * 2020-11-24 2024-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ー、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113306429B (zh) * 2021-07-30 2022-07-08 深圳嘉信立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汽车的充电系统及方法
US20230112801A1 (en) * 2021-10-13 2023-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charging events and preparing electrified vehicles for charging
CN115610248A (zh) * 2022-10-31 2023-01-17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充电方法和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463A (ja) * 2002-04-02 2003-10-15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WO2013014521A1 (en) * 2011-07-28 2013-01-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contactless electricity transmission apparatus, vehicle, and contactless electric power transfer system
WO2015118780A1 (ja) * 2014-02-07 2015-08-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情報提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4123B2 (ja) 1995-03-06 2002-03-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7333698A (ja) * 2006-06-19 2007-12-27 Toyota Motor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692466B2 (ja) * 2006-10-20 2011-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4228086B1 (ja) * 2007-08-09 2009-0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US8912753B2 (en) * 2007-10-04 2014-12-16 General Motors Llc. Remote power usage management for plug-in vehicles
JP5332907B2 (ja) * 2009-05-27 2013-11-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バッテリ充電制御装置
JP5413042B2 (ja) * 2009-08-07 2014-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蓄電情報出力装置および蓄電情報出力システム
US20110221387A1 (en) * 2010-03-09 2011-09-15 Robert Louis Steigerwald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an electric or hybrid-electric vehicle
JP5401398B2 (ja) 2010-04-28 2014-01-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エネルギー源供給施設への車両誘導システム
US9744873B2 (en) * 2011-10-12 2017-08-29 Volkswagen Ag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of a vehicle
JP2013156050A (ja) * 2012-01-27 2013-08-1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充電管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充電管理方法
WO2013145214A1 (ja) * 2012-03-29 2013-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6075111B2 (ja) * 2013-02-22 2017-02-08 住友電工システ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経路探索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020931A (ja) * 2012-07-18 2014-02-03 Clarion Co Ltd 補給支援装置、補給支援プログラム及び補給支援方法
JP5712999B2 (ja) * 2012-12-26 2015-05-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自動車
SE538423C2 (sv) * 2013-04-08 2016-06-21 Scania Cv Ab Förfarande och navigationsenhet för planering av körning och köravbrott utifrån intressepunkter
US9587954B2 (en) * 2013-07-10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routing using stochastic optimization
US9285240B2 (en) * 2013-08-07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EV route optimization through crowdsourcing
US10406937B2 (en) * 2013-10-24 2019-09-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harging method
US9904289B1 (en) * 2015-01-20 2018-02-27 State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Facilitating safer vehicle travel utilizing telematics data
KR20170133763A (ko) * 2016-05-26 2017-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내비게이션 경로 선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463A (ja) * 2002-04-02 2003-10-15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WO2013014521A1 (en) * 2011-07-28 2013-01-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contactless electricity transmission apparatus, vehicle, and contactless electric power transfer system
WO2015118780A1 (ja) * 2014-02-07 2015-08-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情報提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14660C1 (ru) 2020-02-18
CN110254279A (zh) 2019-09-20
JP2019158484A (ja) 2019-09-19
EP3550267A3 (en) 2019-10-23
EP3550267A2 (en) 2019-10-09
US20190275902A1 (en) 2019-09-12
CN110254279B (zh) 2022-09-02
JP7069861B2 (ja) 2022-05-18
US11235674B2 (en) 2022-02-01
KR20190107576A (ko) 2019-09-20
BR102019003998A2 (pt) 2019-11-05
EP3550267B1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945B1 (ko) 차량용 제어장치 및 자동차
JP5621898B2 (ja) 情報提供装置
CN102428349B (zh) 电池电量增加设施信息提供设备和方法
US10436601B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JP5120204B2 (ja) 走行案内装置、走行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369298B1 (en) Vehicular charging facility guidance device, vehicular charging facility guid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70015328A1 (en) Drive assist apparatus and method
JP5012754B2 (ja) 車載バッテリ充電支援装置、車載バッテリ充電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93071B2 (ja) 走行案内装置、走行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21027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目的地到達可否判定方法
JP2014500697A (ja) 充電ステーションまでのルート指定を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012167B1 (en) Vehicular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CN102582437A (zh) 用于车辆的信息显示器
JP2010122117A (ja) 走行案内装置、走行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4109325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電気自動車のエネルギーマネージメント装置
JP6020285B2 (ja) 走行支援システム、走行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83130B2 (ja) 車両用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275924B1 (ko) 자동차
KR101896765B1 (ko) 내비게이션의 경로 설정 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하는 방법
JP6597752B2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