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945B1 - 격리된 페이스트 분배기 - Google Patents

격리된 페이스트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945B1
KR102239945B1 KR1020180137033A KR20180137033A KR102239945B1 KR 102239945 B1 KR102239945 B1 KR 102239945B1 KR 1020180137033 A KR1020180137033 A KR 1020180137033A KR 20180137033 A KR20180137033 A KR 20180137033A KR 102239945 B1 KR102239945 B1 KR 102239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cradle
printing machine
rail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946A (ko
Inventor
조지 베어험
그란트 라이트
시몬 스튜어트 파페
Original Assignee
에이에스엠 어셈블리 시스템스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스엠 어셈블리 시스템스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에스엠 어셈블리 시스템스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4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04Machines for printing sheets
    • B41F15/0813Machines for printing sheets with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인쇄 기계는 인쇄 매체 카트리지를 위한 격리된 챔버를 포함하며, 이 챔버는 인쇄 공정을 중단시킴이 없이 개방되고 접근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카트리지와 그 크래들은 또한 인쇄 캐리지에서 분리되어, 고정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셔틀 상에 지지된다. 셔틀은 셔틀이 챔버 내의 홈 위치에 있을 때 챔버를 격리하도록 작용하는 벽 섹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격리된 페이스트 분배기{ISOLATED PASTE DISPENSER}
본 발명은 워크피스 상에 인쇄 매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기계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스크린 인쇄 기계는 전형적으로 각이 진 블레이드 또는 고무 롤러(squeegee)를 사용하여 스크린(때때로 포일 또는 스텐실(stencil)로서 지칭됨)에 있는 구멍들의 패턴을 통하여 인쇄 매체(예를 들어, 납땜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웨이퍼 또는 회로 기판과 같은 평면 워크피스 상에 납땜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와 같은 인쇄 매체를 도포한다. 인쇄 매체는 통상적으로 카트리지 또는 포트(pot)에 저장되고, 가압된 공기 공급원을 사용하여 상부에 압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분배된다. 카트리지는 고무 롤러를 운반하는 인쇄 캐리지에 장착된다. 인쇄 캐리지가 통상적으로 Y-방향으로서 지칭되는, 인쇄 기계의 길이(즉, 전방에서 후방으로)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카트리지는 인쇄 기계의 전방 또는 후방 레일 중 어느 하나에 분배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인쇄 캐리지에 대해 Y-축에 수직이고 수평 평면에서 X-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그러므로, 작동시에, 인쇄 캐리지는 인쇄 기계의 한쪽 단부로 이동되고 카트리지는 X-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인쇄 매체를 분배하도록 유발되어서, 인쇄 매체는 인쇄 스크린 상에 대략 매체의 선형 비드를 형성하도록 분배된다. 인쇄 기계 내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카트리지는 분배되지 않을 때 수평 배향과 분배를 위한 수직 배향 사이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카트리지에 존재하는 인쇄 매체의 양은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카트리지가 교체를 요구할 때 경보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 교체를 실행하기 위하여, 카트리지에 대한 접근을 얻도록 인쇄 기계를 개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은 공지된 인쇄 기계(1)의 사시도이다. 인쇄 기계(1)는 인쇄 기계(1)의 내부로의 미승인된 접근을 방지하도록 인쇄 기계(1)를 덮는 외부 하우징(2)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이다. 하우징은 또한 내부 기계 및 구성 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도 1에 도시되지 않음) 상에 장착된다. 승인된 접근을 가능하게 하도록 후드(3)가 제공된다. 이러한 것은 힌지(4)를 통해 하우징(2)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어서, 후드(3)는 리프팅되어 하우징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인쇄 기계(1)의 안전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후드(3)를 개방하기 전에 활성화되어야 하는 인터록킹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안전상의 이유 때문에,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목적을 위해 개방될 때를 포함하여, 인쇄 기계(1)의 후드(3)가 개방될 때마다 인쇄 작업이 중단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은 카트리지가 교체될 때마다 인쇄 사이클이 중단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인쇄 공정에 시간이 추가되고 인쇄 공정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은 인쇄 공정을 중단함이 없이 개방되어 접근될 수 있는 격리된 챔버와 같은 인쇄 매체 카트리지에 대한 격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카트리지는 인쇄 캐리지로부터 분리되어, 인쇄 기계의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레일 상에서 운반된다. 이러한 배열은 분배가 적소, 즉 전방 또는 후방 레일 근방에서만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지만, 이러한 배열에 의해 제공되는 장점은 인쇄 기계의 전방 및 후방 레일들의 근방에서 분배하는데 종래의 인쇄 기계보다 능력이 우세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서, 워크피스 상에 인쇄 매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기계가 제공되며, 상기 인쇄 기계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외부 하우징,
사용시에 인쇄 스크린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소,
상기 저장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상기 저장소 위에서 연장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장착된 셔틀, 및
인쇄 매체를 위한 컨테이너를 유지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셔틀에 장착되는 크래들(cradle)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측면 및 특징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축척으로 도시죄지 않음)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공지된 폐쇄형 인쇄 기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인쇄 기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후드 및 도어가 제거된, 도 2의 인쇄 기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셔틀이 홈 위치에 있는, 도 2의 인쇄 기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셔틀은 분배 위치로 이동한 도 4와 유사한 도면;
도 6은 셔틀이 분배 위치에 있는 도 5와 유사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인쇄 기계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도 8은 도 7의 인쇄 기계의 내부 구성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은 외부 하우징(11)이 프레임(15, 도 3 참조) 상에 지지된 폐쇄형 인쇄 기계(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후드(12)는 인쇄 기계(10)의 내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아울러, 도어(13)를 하우징(11)에 연결하는 힌지(14)를 중심으로 도어를 리프팅하는 것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별도의 도어(13)가 제공된다.
도 3은 후드(12) 및 도어(13)가 명료성을 위해 제거될지라도, 동일한 관점으로부터의 도 1의 인쇄 기계(10)를 개략적으로 및 비축척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다시 명로성을 위해, 인쇄 기계류, 특히 인쇄 캐리지의 대부분이 생략되어 있다. 하우징(11) 및 인쇄 기계류 및 구성 요소들은 프레임(15)에 의해 지지된다. 인쇄 기계(10)의 내부 용적은 내부 칸막이(16)에 의해 2개의 별개의 서브 용적, 즉 주 용적부(17) 및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18)로 분리된다. 주 용적부(17)는 고무 롤러를 가지는 인쇄 캐리지를 포함하는 인쇄 기계류를 수용한다. 체이스(chase)(22A, 22B)들이 주 용적부(17) 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체이스(22A, 22B)들은 사용시에 인쇄 스크린(S)을 위한 저장소를 제공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체이스들은 다양하고 상이한 크기의 인쇄 스크린들이 사용시에 체이스(22A, 22B)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체이스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액튜에이터(도시되지 않음)들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인쇄 공정 동안, 체이스(22A, 22B)들의 축에 평행한 이동 방향 내에서 유지되는 스텐실(S)에 작용하도록 고무 롤러를 포함하는 인쇄 캐리지(도시하지 않음)는 저장소 위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방향은 통상적으로 "Y 방향"으로서 지칭된다.
칸막이(16)가 2개의 용적부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는 구멍(21)을 포함하기 때문에, 주 용적부(17)와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18) 사이의 분리는 단지 부분적이다. 레일(19)이 레일의 상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구멍(21)을 통과한다. 레일(19)은 저장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위에서, 이 실시예에서 통상적으로 "X-방향"으로서 지칭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인쇄 기계(10)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레일(19)은 프레임(15)에 대해 정적으로 고정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레일(19)은 레일(19)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장착된 셔틀(23)을 구비한다. 그 단부에 인접하고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18)에 위치된 레일(19)의 부분은, 셔틀(23)이 분배 작용들 사이에서 머물 수 있는 셔틀(23)을 위한 "홈" 위치 및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인쇄 매체 컨테이너(25, 도 4 참조)가 교환될 수 있는 "교환" 위치 모두로서 작용한다. 크래들(24)은 셔틀과 함께 이동하도록 셔틀(23) 상에 장착된다. 크래들(24)은 인쇄 매체를 위한 컨테이너(도시되지 않음)를 보유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 또는 페이스트 포트(paste pot)를 포함할 수 있다. 셔틀(23) 및 크래들(24)이 구멍(21)을 통해 끼워지도록 크기화되어서, 이러한 것들은 주 용적부(17) 내로, 그리고 레일(19)의 길이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셔틀(23)이 홈 위치에 있는, 도 2의 인쇄 기계(10)의 일부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크래들(24)이 셔틀(23) 상에 장착된, 셔틀(23)이 장착된 레일(19)을 도시한다. 페이스트 카트리지(25)는 크래들(24) 내에 위치되어 고정적으로 보유된다. 크래들(24)의 상단은 개방되어서, 공압 라인(도시되지 않음)은 페이스트 카트리지(25)의 상단에 있는 공압 커넥터(26)에 끼워질 수 있다. 공압 라인 및 커넥터(26)를 통한 가압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은 페이스트가 페이스트 카트리지(25)의 하단부로부터 분배되도록 할 것이다. 인쇄 매체 센서(27)는 크래들(24)에서 존재할 때 및 셔틀(23)이 홈 위치(20)에 있을 때 페이스트 카트리지(25)의 하단부에 인접하도록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18) 내에 제공된다. 인쇄 매체 센서(27)는 페이스트 카트리지(25)의 하단부에서의 페이스트의 존재를 검출하고, 페이스트의 존재의 결정에 의존하여 단순한 YES/NO 신호를 출력한다.
셔틀(23)은 홈 위치(20)로부터 가장 먼 크래들(24)의 측방 측면(lateral side)에 있는 벽 섹션(28)을 포함한다. 벽 섹션(28)은 셔틀(23)로부터 인쇄 기계(10)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구멍(21)에 일치하도록 치수화되고 칸막이(16)와 정렬되도록 또한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셔틀(23)이 홈 위치(20)에 있을 때, 크래들(24)은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18)에 위치되고, 벽 섹션(28)은 주 용적부(17)로부터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18)를 격리하도록 칸막이(16)와 정렬된다.
레일(19)은 레일(19)을 따라서 셔틀(23)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액튜에이터(29)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레일(19)은 액튜에이터(29)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선형 워엄(linear worm)(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액튜에이터는 당업자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레일을 따라서 셔틀(23)을 구동한다. 레일(19)을 따라 주행하고 셔틀(23)에 연결되는 공압 라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공압 입력부(30)가 레일(19)에 제공된다. 이러한 공압 구동부는 다음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크래들(24)의 수직 이동을 실행하도록 사용되며, 이러한 수직 방향은 통상적으로 "Z-방향"으로서 지칭된다.
셔틀이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18)에 있도록 셔틀(23)이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위치(20)에 있을 때,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18)는 주 용적부(17)로부터 격리된다. 이러한 것은 모두 후드(12)를 개방할 필요없이, 작업자가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18)에 접근하도록 도어(13)를 개방하고, 크래들(24)로부터 카트리지(25)를 제거하여 크래들(24)에 배치될 수 있는 새로운 카트리지와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트리지는 운전자를 위한 완전한 안전성으로 인쇄 사이클을 중단함이 없이 교환될 수 있다. 카트리지 교환의 필요성은 인쇄 매체 센서(27)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결정된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이 경우에 셔틀(23)이 분배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액튜에이터(29)는 선형 워엄을 구동시켜,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18)로부터 구멍(16)을 통해 주 용적부(17) 내로 레일(19)을 따라서 셔틀(23)을 이동시킨다. 벽 섹션(28)이 셔틀(23)과 함게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크래들(24)을 이용하여, 셔틀(23), 크래들(24) 및 카트리지(25)는 인쇄 스크린 위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체이스(22A)(실제로, 레일(19)을 따라 계속 이동하면 체이스(22B))의 상부를 건널 수 있다. 그러나, 인쇄 매체를 적절히 분배하기 위해, 카트리지(25)는 인쇄 스크린에 더욱 인접하여야만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크래들(24)은 셔틀(23)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는데 적합하여서, 분배 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크래들(24)의 수직 위치는 공압 입력부(30)를 이용하여 공압식으로 제어된다.
도 6은 크래들(24)이 하강된 분배 위치에 있는 도 5와 유사한 도면이다. 크래들(24)은 수직 운동을 안내하는 선형 트랙(31)을 통해 셔틀(23) 상에 장착된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크래들(24)이 만족스런 분배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크래들은 충돌없이 체이스(22A, 22B)를 지나서 이동할 수 없다. 이러한 하강된 위치에 있으면, 분배 작용이 개시될 수 있으며, 그 동안, 셔틀(23), 그러므로 크래들(24) 및 카트리지(25)는 액튜에이터(29)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레일(19)을 따라서 이동되는 한편, 공압이 공압 커넥터(26)에 인가되어, 페이스트의 비드 또는 라인이 인쇄 스크린(S)(도 3 참조) 상에 분배되도록 한다. 분배의 완료 후에, 공압 커넥터(26)에 대한 공압이 차단되고, 크래들(24)은 상승되고, 셔틀(23)은 액튜에이터(29)에 의해 홈 위치(20)로 다시 이동된다. 셔틀이 홈 위치(20)에 도달하면, 인쇄 스크린(S)을 통한 워크피스의 인쇄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액튜에이터(29) 및 공압 구동부는 X-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설정된 체이스(22A, 22B)들을 수용하도록, 특히 레일을 따라서 셔틀(23)의 사전 선택된 이동 지점들에서 크래들(2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프로그램 가능하다. 제어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는 필요에 따라 액튜에이터(29), 크래들(24)을 위한 공압 공급부 및 카트리지(25)를 위한 공압 공급부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인쇄 기계(4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인쇄 기계(40)의 외부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인쇄 기계(10)의 형상과 유사하며, 특히 하우징(41)은 하우징(11)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후드(42) 및 그 연결 힌지(44)는 인쇄 기계(40)의 전방 폭의 전체에 걸쳐서 연장된다. 후드(42)의 측방 측면은 외부로 개방되도록 힌지(45)에 의해 후드(42) 상에 장착된 해치(hatch)(43)를 구비한다.
도 8은 도 7의 인쇄 기계의 내부 구성의 부분을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도 8은 인쇄 매체 분배 시스템의 특정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인쇄 기기(40)의 실질적으로 전체 내부 폭에 걸쳐서 연장되는 정적으로 고정된 레일(49)이 제공된다. 셔틀(46)은 사용시에 인쇄 스크린(도시되지 않음)을 가로지르도록 레일(49)을 따라서 이동하기 위해 장착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셔틀(46)은 인쇄 매체 컨테이너(도시하지 않음)를 유지하기 위한 크래들(47) 및 레일(49)에 수직으로 돌출하는 벽 섹션(48)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셔틀(46)이 레일(49)의 단부에 인접한 교환 위치(51)에 있을 때, 크래들(47)은 레일(49)의 단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셔틀(46)의 돌출부(50) 상에 장착된다. 레일(49)과 해치(43)는 정렬되어서, 셔틀(46)이 레일(49)을 따라서 홈 위치(51)로 이동될 때, 돌출부(50)는 인쇄 기계(40)의 내부로부터 해치(43)에 접하여 이를 밀어 개방하고, 인쇄 기계(40)의 외부로 통과한다. 그러므로, 크래들(47)은 해치(43)를 통해 외부 하우징(41)의 외부로 돌출한다. 벽 섹션(48)은 그런 다음 외부 하우징(41)의 외부 측방 측면과 정렬되어, 외부 하우징(41)의 내부와 크래들(47) 사이의 적어도 부분적 격리를 제공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작업자는 인쇄 공정을 중단함이 없이 크래들에 안전하게 접근하여, 페이스트 매체 컨테이너를 교환할 수 있다. 공압 라인(도시되지 않음)이 여전히 크래들(47) 내의 인쇄 매체 컨테이너의 상단에 부착되고 인쇄 기계(40)의 내부로 보내지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공압 라인을 수용하도록, 벽 섹션(48)은 벽 섹션(48)과 후드(45) 사이에 갭을 남기도록 치수화되며, 이러한 갭은 공압 라인을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벽 섹션(48)이 해치(43)보다 Z-방향을 따라서 더욱 짧은 치수를 가져서, 벽 섹션(48) 위에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내부 칸막이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해치(43)의 불필요한 개방을 피하기 위해, 분배 작용들 사이에서, 셔틀(46)이 일반적으로 교환 위치(51)와 사용시에 인쇄 스크린 위에 가로놓이는 레일(49)의 그 부분 사이에 위치된 홈 위치(52)로 복귀되어야 하는 것을 또한 알 것이다. 교환 위치로의 셔틀(46)의 이동은 인쇄 매체 컨테이너가 비어있다고 페이스트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결정할 때에만 수행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다른 가능성 및 대안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레일(19, 49)들은 액튜에이터(29)에 의해 구동되는 선형 워엄을 포함한다. 물론 다른 구동 시스템도 가능하다. 유사하게, 전술한 크래들(24, 47)들의 수직 이동이 공압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다른 구동 시스템, 예를 들어 전자 기계 구동 시스템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가 페이스트 카트리지의 사용을 도시하지만, 페이스트 포트들과 같은 다른 컨테이너들도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전도성 잉크와 같은 다른 인쇄 매체가 동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43)는 예를 들어 전용 액튜에이터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개방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다른 장비가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다른 검사 장비와 같이 셔틀과 협력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정적으로 고정된 레일 상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1 : 인쇄 기계 2 : 하우징
3 : 후드 4 : 힌지
10, 40 : 인쇄 기계 11, 41 : 하우징
12, 42 : 후드 13 : 도어
14, 44 : 힌지 15 : 프레임
16 : 칸막이 17 : 주 용적부
18 :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 19, 49 : 레일
20, 52 : 홈 위치 21 : 구멍
22A, 22B : 체이스 23, 46 : 셔틀
24, 47 : 크래들 25 : 페이스트 카트리지
26 : 공압 커넥터 27 : 인쇄 매체 센서
28, 48 : 벽 섹션 29 : 액튜에이터
30 : 공압 입력부 31 : 선형 트랙
43 : 해치 45 : 해치 힌지
50 : 돌출부 51 : 교환 위치
S : 스크린

Claims (13)

  1. 워크피스 상에 인쇄 매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기계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외부 하우징,
    사용시에 인쇄 스크린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소,
    제1 방향으로 상기 저장소 위에서 이동하도록 작동되는, 고무 롤러(squeegee)를 갖는 인쇄 캐리지,
    상기 저장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상기 저장소 위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장착된 셔틀, 및
    인쇄 매체를 위한 컨테이너를 유지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셔틀에 장착되는 크래들(cradle)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정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인쇄 기계는 상기 레일을 따라서 상기 셔틀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의 일부는 상기 셔틀을 위한 교환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교환 위치에서, 인쇄 매체를 위한 컨테이너가 상기 크래들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크래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크래들은 상기 인쇄 캐리지로부터 분리되는, 인쇄 기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를 포함하는 주 용적부 및 상기 교환 위치가 위치되는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로 상기 인쇄 기계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내부 칸막이를 포함하는, 인쇄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은 벽 섹션을 포함하되, 상기 벽 섹션은 상기 크래들의 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셔틀이 상기 교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크래들이 상기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에 위치되고, 상기 벽 섹션이 상기 칸막이와 정렬되어, 상기 주 용적부로부터 상기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를 격리하는, 인쇄 기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셔틀이 상기 교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크래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상기 컨테이너 교환 용적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도어를 포함하는, 인쇄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해치를 포함하는, 인쇄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일부는 상기 셔틀을 위한 교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셔틀이 상기 교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크래들은 상기 해치를 통해 상기 외부 하우징 외부로 돌출하는, 인쇄 기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은 벽 섹션을 포함하되, 상기 벽 섹션은 상기 크래들의 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셔틀이 상기 교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크래들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벽 섹션이 상기 외부 하우징과 정렬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상기 크래들을 격리하는, 인쇄 기계.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셔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인쇄 기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수직 이동을 실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인쇄 기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공압 구동부를 포함하는, 인쇄 기계.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일을 따르는 상기 셔틀의 이동의 사전 선택된 지점들에서 상기 크래들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프로그램 가능한, 인쇄 기계.
KR1020180137033A 2017-11-12 2018-11-09 격리된 페이스트 분배기 KR102239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718674.3 2017-11-12
GBGB1718674.3A GB201718674D0 (en) 2017-11-12 2017-11-12 Isolated paste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946A KR20190054946A (ko) 2019-05-22
KR102239945B1 true KR102239945B1 (ko) 2021-04-14

Family

ID=6078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033A KR102239945B1 (ko) 2017-11-12 2018-11-09 격리된 페이스트 분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82305B2 (ko)
EP (1) EP3482940B1 (ko)
JP (1) JP6840119B2 (ko)
KR (1) KR102239945B1 (ko)
CN (1) CN109878201B (ko)
GB (1) GB201718674D0 (ko)
TW (1) TWI7423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4629B2 (ja) * 2019-04-26 2023-03-22 株式会社Fuji 供給ユニット、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GB2597702A (en) * 2020-07-30 2022-02-09 Asm Assembly Systems Singapore Pte Ltd Isolated print medium dispen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6339A (ja) 2009-07-10 2011-01-27 Fuji Mach Mfg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14240159A (ja) 2013-06-12 2014-1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ペースト供給装置、スクリーン印刷機、ペースト供給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643B2 (ja) * 1991-08-23 1996-06-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導電性ペ―スト充填装置
JP3314425B2 (ja) * 1992-12-02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その印刷方法
US6101937A (en) * 1997-02-12 2000-08-15 Minami Co., Ltd. Screen printing machine having paste dispensers and a squeegee unit
US6328415B1 (en) * 1999-04-30 2001-12-11 Hewlett-Packard Company Displaceable print cartridge chute
DE60333446D1 (de) 2002-04-01 2010-09-02 Seiko Epson Corp Flüssigkeitseinspritzvorrichtung, steuerverfahren für flüssigkeitseinspritzvorrichtung und steuerprogramm
JP4675658B2 (ja) 2005-03-28 2011-04-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5252897B2 (ja) 2007-11-30 2013-07-3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
JP4643719B2 (ja) * 2009-02-09 2011-03-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はんだ供給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5062198B2 (ja) 2009-02-24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FR2943634B1 (fr) 2009-03-24 2011-04-22 Cer Machine et procede de marquage ou d'etiquetage
US8739699B2 (en) 2010-12-08 2014-06-03 Illinois Tool Works Inc. Combination stencil printer and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JP2014151507A (ja) 2013-02-07 2014-08-25 Panasonic Corp ペースト供給装置、スクリーン印刷機、ペースト供給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16179579A (ja) 2015-03-24 2016-10-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ペーストポット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WO2017048905A1 (en) 2015-09-15 2017-03-23 Milara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positing a material on a workpiece
JP6971033B2 (ja) 2017-01-24 2021-11-24 株式会社Fuji スクリーン印刷機
KR20180092220A (ko) 2017-02-08 2018-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용 스크린 프린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6339A (ja) 2009-07-10 2011-01-27 Fuji Mach Mfg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14240159A (ja) 2013-06-12 2014-1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ペースト供給装置、スクリーン印刷機、ペースト供給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718674D0 (en) 2017-12-27
EP3482940B1 (en) 2020-05-13
US10882305B2 (en) 2021-01-05
CN109878201A (zh) 2019-06-14
US20190143668A1 (en) 2019-05-16
EP3482940A1 (en) 2019-05-15
JP6840119B2 (ja) 2021-03-10
TWI742314B (zh) 2021-10-11
TW201918382A (zh) 2019-05-16
JP2019089327A (ja) 2019-06-13
CN109878201B (zh) 2021-04-06
KR20190054946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945B1 (ko) 격리된 페이스트 분배기
KR20130054906A (ko) 로터리형 배깅 포장기
US8926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inkjet cartridges
US20170203575A1 (en) Waste Liquid Container and Attachment
JP2018039173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15522447A (ja) 枚葉紙印刷機における付加的印刷装置
US20120251166A1 (en) Recording apparatus
JP6426801B1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5922299B2 (ja) 押箔を供給するための送給モジュール
KR102516931B1 (ko) 격리된 인쇄 매체 분배기
JP2018183715A (ja) 塗装ブース
JP200317060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初期インク充填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812710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20130104711A (ko) 그라비어 인쇄기의 독터링장치
US9994033B2 (en) Liquid supply device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KR101870193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헤드의 와이핑 장치
JP2013169715A (ja) 印刷装置
JP2016150482A (ja) 保湿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6083836A (ja) アタッチメント、廃液回収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KR20150016114A (ko) 묘화 장치
IT201600095986A1 (it) Apparato e metodo per pulire testine di stampa a getto di inchiostro
JP2017124566A (ja) 記録装置
IT201600083755A1 (it) Macchina da stampa digitale
JP2016182785A (ja) 印刷装置
JP2015051426A (ja) 描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