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931B1 - 격리된 인쇄 매체 분배기 - Google Patents

격리된 인쇄 매체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931B1
KR102516931B1 KR1020210094055A KR20210094055A KR102516931B1 KR 102516931 B1 KR102516931 B1 KR 102516931B1 KR 1020210094055 A KR1020210094055 A KR 1020210094055A KR 20210094055 A KR20210094055 A KR 20210094055A KR 102516931 B1 KR102516931 B1 KR 102516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machine
carriage
inner volume
volume
shu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326A (ko
Inventor
제이슨 마크 에델스타인
Original Assignee
에이에스엠피티 에스엠티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스엠피티 에스엠티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에스엠피티 에스엠티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15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81Machines for printing on polyhedr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04Machines for printing sheets
    • B41F15/0813Machines for printing sheets with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20Fluid-pressure power drives
    • B41J23/26Fluid-pressure power drives for platen or carriage movements, e.g. for line spacing, letter spacing, or carriage retu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024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42Guards or covers, e.g. for preventing ingress or egress of foreign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15/00Screen printing machines
    • B41P2215/10Screen print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Impact Printer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인쇄 기계는 내부 용적부들 사이의 격리를 제공하도록 슬라이딩 캐리지를 포함하여, 인쇄 작업을 중단함이 없이 인쇄 매체 용기를 교환할 수 있다. 용적부들 사이의 대류 공기 흐름은 정상 작동 동안 유지된다.

Description

격리된 인쇄 매체 분배기{ISOLATED PRINT MEDIUM DISPENSER}
본 발명은 인쇄 기계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스크린 인쇄 기계는 일반적으로 각진 블레이드 또는 스퀴지(squeegee)를 사용하여 스크린(때때로 호일 또는 스텐실(stencil)로서 지칭됨)에 있는 구멍들의 패턴을 통해 인쇄 매체(예를 들어,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웨이퍼 또는 회로 기판과 같은 평면 작업물(planar workpiece)에 솔더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잉크와 같은 인쇄 매체를 도포한다. 인쇄 매체는 통상적으로 카트리지 또는 포트(pot)에 저장되며, 가압 공기 공급원을 사용하여 상부에 압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분배된다. 카트리지는 스퀴지를 또한 운반하는 인쇄 캐리지에 장착된다. 인쇄 캐리지가 일반적으로 Y 방향으로서 편리하게 지칭되는 인쇄 기계의 길이(즉,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를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카트리지는 인쇄 기계의 전방 또는 후방 레일에 분배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또한 인쇄 캐리지에 대해 수평면에서 Y 축에 직각인 X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그러므로, 작동시에, 인쇄 캐리지는 인쇄 기계의 한쪽 단부로 이동되고, 카트리지는 X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인쇄 매체를 분배하도록 유발되어서, 인쇄 매체는 인쇄 스크린 상에 매체의 대략 선형인 비드를 형성하도록 분배된다. 인쇄 기계 내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카트리지는 분배되지 않을 때의 수평 배향과 분배를 위한 수직 배향 사이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카트리지에 존재하는 인쇄 매체의 양은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 교체가 필요할 때 작업자에게 경고를 보낸다.
그러나, 카트리지를 교체하기 위해, 카트리지에 접근하기 위해 인쇄 기계를 열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공지된 인쇄 기계(1)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인쇄 기계(1)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이며, 인쇄 기계(1)의 내부로의 무단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 기계(1)를 덮는 외부 하우징(2)을 가진다. 하우징은 프레임(도 1에 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며, 프레임은 또한 내부 기계 부품 및 구성 요소를 지지한다. 후드(3)는 인증된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제공된다. 이것은 힌지(4)를 통해 하우징(2)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어서, 후드(3)는 들어 올려져 하우징의 상부에 놓여질 수 있다. 인쇄 기계(1)의 안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후드(3)를 개방하기 전에 활성화되어야만 하는 인터록(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안전상의 이유 때문에, 카트리지를 교체할 목적으로 개방될 때를 포함하여 인쇄 기계(1)의 후드(3)가 개방될 때마다, 인쇄 작업이 중단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은 카트리지가 교체될 때마다 인쇄 사이클이 중단되어, 인쇄 공정에 시간이 추가되고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격리된 페이스트 분배기를 가지는 인쇄 기계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EP3482940A1에 설명되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인쇄 기계(10)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외부 하우징(11)을 가진다. 후드(12)는 인쇄 기계(10)의 내부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해치(13)가 제공되며, 해치는 해치(13)를 하우징(11)에 연결하는 힌지(14)를 중심으로 들어 올려져 개방될 수 있다.
도 3은 명확성을 위해 후드(12) 및 해치(13)가 제거된 인쇄 기계(1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명확성을 위해 대부분의 인쇄 기계 부품, 특히 인쇄 캐리지가 생략되었다. 하우징(11), 인쇄 기계 부품 및 구성 요소는 프레임(15)에 의해 지지된다. 인쇄 기계(10)의 내부 용적부는 내부 격벽(16)에 의해 주 용적부(17) 및 주 용적부(17)보다 작은 용기 교환 용적부(18)의 2개의 별개의 하위 용적부로 부분적으로 분리된다. 주 용적부(17)는 스퀴지를 가진 인쇄 캐리지를 포함하는 인쇄 기계 부품을 수용한다. 체이스(22A, 22B)들은 주 용적부(17) 내에 도시되며, 이러한 체이스(22A, 22B)들은 사용시에 인쇄 스크린(S)을 위한 리셉터클을 제공한다.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체이스들은 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액튜에이터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동 가능하여서, 다양한 크기의 인쇄 스크린은 사용시에 체이스(22A, 22B)들에 의해 홀딩될 수 있다. 인쇄 공정 동안, 스퀴지를 포함하는 인쇄 캐리지(도시되지 않음)는 그 안에 보유된 스텐실(S)에서 작용하도록 리셉터클 위에서 이동하며, 이동 방향은 체이스(22A, 22B)들의 축에 평행하며, 이러한 방향은 일반적으로 "Y-방향"으로서 지칭된다.
주 용적부(17)와 용기 교환 용적부(18) 사이의 분리는 격벽(16)이 2개의 하위 용적부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는 구멍(21)를 포함하기 때문에 단지 부분적이다. 레일(19)은 그 상부 가장자리에 근접한 구멍(21)을 통과한다. 레일(19)은 리셉터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그리고 리셉터클 위에서, 그리고 통상적으로 "X-방향"으로서 지칭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인쇄 기계(10)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레일(19)은 프레임(15)에 대해 정적으로 고정된다.
레일(19)에는 레일(19)을 따라서 이동하기 위해 장착된 셔틀(23)이 제공된다. 크래들(24)은 함께 이동하기 위해 셔틀(23)에 장착된다. 크래들(24)은 인쇄 매체(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용기를 보유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용기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 또는 페이스트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셔틀(23) 및 크래들(24)은 구멍(21)을 통해 끼워지는 크기여서, 주 용적부(17) 내로 그리고 레일(19)의 길이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셔틀(23)은 레일(19)을 따라서 셔틀(23)의 대응하는 위치 선정을 통해 내부 격벽(16)과 정렬될 때 구멍(21) 내에 끼워져 구멍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도록 치수화되는 벽 섹션(20)을 포함한다. 이렇게 위치될 때, 셔틀(23)은 크래들(24) 내에서 운반되는 인쇄 매체 용기가 교환될 수 있는 "교환"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사용시에, 인쇄 매체 용기를 교환하고자 할 때, 셔틀(23)은 모든 섹션(20)이 내부 격벽(16)과 정렬되는 교환 위치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해치(13)가 개방되고, 인쇄 매체 용기는 안전하게 교환될 수 있다. 안전은 용기 교환 용적부가 내부 격벽(16)과 벽 섹션(20)의 조합에 의해 주 용적부(17)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보장된다. 또한, 교환 동안, 인쇄 작업은 중단없이 계속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는 인쇄 기계(10) 내에서의 열교환이 내부 격벽(16) 및 벽 섹션(20)에 의해 악영향을 받는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즉, 공기가 기계의 내부 전체에서 자유롭게 순환하는 것이 금지되며, 그래서, 주 용적부(17) 내에서 최적의 작동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된다. 또한, 해치(13)의 개방은 자율 지능형 차량(AIV)이 수행하는데 비교적 어려운 작동이며, 이는 공장 자동화를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인쇄 기계의 주 용적부와 교환 용적부 사이의 격리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개선된 열 대류 및 자동화 잠재력을 허용하는 대안적인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셔틀 상의 이동 가능한 벽을 통해서가 아니라 새로운 디자인의 슬라이딩 해치를 통해 격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
하우징 내에 있고, 인쇄 매체를 작업물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 장비를 수용하며, 상기 인쇄 장비는 프린트 헤드, 인쇄 스크린을 위한 리셉터클, 및 작업물을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 내부 용적부,
하우징 내에 있는 제2 내부 용적부, 및
인쇄 매체의 용기를 보유하는데 적합하고, 제1 내부 용적부와 제2 내부 용적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셔틀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캐리지를 포함하고, 캐리지는 측벽을 포함하며, 측벽은, 캐리지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1 내부 용적부에 대해 원위에 있는 제2 내부 용적부의 측면에 위치되고, 캐리지가 개방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내부 용적부와 제2 내부 용적부 사이에 부분적인 격리를 제공하도록 제1 내부 용적부와 제2 내부 용적부의 중간에 놓이는, 인쇄 기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양태 및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축척이 아님)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폐쇄된 공지된 인쇄 기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2는 격리된 페이스트 분배기를 가지는 인쇄 기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3은 도 2의 인쇄 기계의 내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4는 폐쇄된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격리된 페이스트 분배기를 가지는 인쇄 기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5는 도 4의 인쇄 기계의 내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6은 개방된 구성에서, 도 4의 인쇄 기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기계(30)는 도 4에서 사시도로 도시된다. 인쇄 기계(30)의 외곽 형상은 내부 프레임(40)(도 5 참조)에 의해 지지되는 하우징(31)에 의해 한정되고, 이 실시예에서 대략 입방체 형태를 가진다. 명확성을 위해, 작업물이 인쇄 기계(30)로 들어가고 떠날 수 있도록 통과하는 개구들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개구들은 전형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의 좌우 측면에 위치되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선택적으로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료의 패널과 함께 강성 플라스틱 또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은 하우징(31)의 전체 전방 측면(즉, 도 4에서 관찰자에게 가장 가까운 측면)의 상부 부분을 형성하는 후드(32)를 포함하고, 여기에 도시된 후드(32)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 형상이다. 후드(32)는 하우징(31)의 상부에 있는 힌지(33)를 통해 하우징(31)의 나머지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후드(32)는 인쇄 기계(30)의 내부로의 접근을 후드(32)가 차단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된 구성과, 예를 들어, 작업자가 수행되는 인쇄 작업을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내부 구성 요소의 유지 관리 또는 갱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인쇄 기계(30)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개방된 구성(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하우징(31)의 전면측에서, 후드(32)는 하우징(31)의 전면측을 가로질러 진행하는 트랙(34)을 가장 낮은 범위에서 운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랙(34)은 깨끗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전면측의 전체 범위를 가로질러 진행하지만, 이러한 것은 기술적 고려 사항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후드(32)의 상부는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후드(32)의 캐리지(36)를 수용하기 위해 치수화되도록 형성된 오목부(35)를 포함한다. 캐리지(36)는 측벽(37), 상부 벽(38) 및 전방 벽(39)의 3개의 상호 직교하는 외부 벽을 포함하며, 이러한 벽들은 캐리지(36)가 도 4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31)의 모서리를 한정한다. 캐리지(36)는 트랙(34)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서, 상부 벽(38)이 오목부(35)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개방 위치까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5는 후드(32)가 명확성을 위해 제거된, 도 4의 인쇄 기계의 내부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명확성을 위해, 대부분의 인쇄 기계 부품, 특히 프린트 헤드가 생략되었다. 하우징(31), 인쇄 기계 부품, 및 구성 요소들은 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된다. 인쇄 기계(30)의 내부 용적부는 2개의 별개의 하위 용적부, 즉 제1의 주 용적부(41), 및 주 용적부(41)보다 작게 도시된 제2의 용기 교환 용적부(42)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용적부(41, 42)들 사이에 장벽이 없으며, 그래서 공기는 용적부(41, 42)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흐를 수 있어, 대류에 의한 용적부(41, 42)들의 열 조절을 개선한다. 주 용적부(41)는 스퀴지를 가지는 프린트 헤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인쇄 기계를 수용한다. 체이스(43A, 43B)들은 주 용적부(41) 내에 도시되며, 이들 체이스(43A, 43B)는 사용시에 인쇄 스크린(S)을 위한 리셉터클을 제공한다.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체이스들은 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액튜에이터(도시되지 않음)들에 의해 이동 가능하여서, 다양한 크기의 인쇄 스크린들은 사용시에 체이스(43A, 43B)들에 의해 홀딩될 수 있다. 인쇄 공정 동안, 스퀴지를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는 내부에 보유된 스텐실(S)에 작용하도록 리셉터클 위로 이동하며, 이동 방향은 체이스(43A, 43B)들의 축에 평행하며, 이러한 방향은 일반적으로 "Y-방향"으로서 지칭된다.
용기 교환 용적부(42)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캐리지(36)와 동일한 인쇄 기계(30)의 측면에 위치된다. 레일(44)은 인쇄 기계(30)의 내부 용적부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용기 교환 용적부(42)와 주 용적부(41)를 모두 교차한다. 레일(44)은 크래들(46) 내에서 인쇄 매체의 용기(47)를 보유하는데 적합한 셔틀(45)을 운반한다. 셔틀(45)은 주 용적부(41)와 용기 교환 용적부(42) 사이에서 레일(44)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벨트, 랙 및 피니언, 또는 웜 및 휠 구동 시스템을 구동하는 로터리 액튜에이터, 또는 선형 액튜에이터와 같이 레일(44)을 따라서 셔틀(45)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되며, 구동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주 인쇄 기계 제어 시스템의 제어 하에 있다. 셔틀은 또한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용기(47)로부터 인쇄 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래서 인쇄 스크린(S) 위에서 셔틀(45), 그러므로 용기(47)를 이동시킨 후에, 일정량의 인쇄 매체는 그런 다음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인쇄 스크린(S)에 증착될 수 있다. 도 5로부터 특히 명확하지는 않을지라도. 셔틀(45), 크래들(46) 및 용기(47)는 다음에 더욱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36)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모두 인쇄 기계(30)의 전면으로부터 제거, 즉 용기 교환 용적부(42)의 후방에 또는 후방을 향해 안착될 것이다.
도 6은 개방된 구성에서의 인쇄 기계(3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캐리지(36)는, 측벽(37)이 주 용적부(41)에 대해 원위에 있는 용기 교환 용적부(42)의 측면에 위치되는 도 4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그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인 격리를 제공하기 위해 측벽(37)이 주 용적부(41)과 용기 교환 용적부(42)의 중간에 놓이는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분 격리"는 공기 흐름이 2개의 용적부(41, 42) 사이에서 제한되지만 완전히 차단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캐리지(3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인 격리는 작업자가 주 용적부(41)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광범위하며, 작업자가 주 용적부에 접근하는 것은 작업자에 대한 건강상 위험을 제공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37)은 개방 및 폐쇄 위치 모두에서 인쇄 기계(30)의 외부 표면의 일부를 한정한다. 사실, 상부 벽(38) 및 전방 벽(39)은 또한 개방 및 폐쇄 위치 모두에서 인쇄 기계(30)의 외부 표면의 일부를 한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셔틀(45), 크래들(46) 및 용기(47)는 모두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캐리지(36)의 측벽(37)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용기 교환 용적부(42)의 후방에서 또는 후방을 향해 위치된다.
캐리지(36)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작업자를 위해 용기(47)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여서, 예를 들어, 빈 용기는 주 용적부(41)에서 진행중인 인쇄 작업이 일시 중지되도록 요구함이 없이 충만된 용기로 교환될 수 있다. 물론, 교환은 캐리지(36)가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셔틀(45)이 용기 교환 용적부(42)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셔틀(45)이 주 용적부(41)가 아닌 용기 교환 용적부(42) 내에 위치되지 않는 한, 폐쇄 위치로부터서 개방 위치로의 캐리지(36)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인터록이 제공될 수 있다. 후드(32)가 폐쇄 구성에 있지 않으면, 인터록은 캐리지(36)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캐리지(36)는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벨트, 랙 및 피니언, 또는 웜 및 휠 구동 시스템을 구동하는 로터리 액튜에이터, 또는 선형 액튜에이터와 같은 액튜에이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버튼과 같은 적절한 제어기(도시되지 않음)가 하우징에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하게, 이러한 제어기는 공정 자동화를 지원하기 위해 자율 지능형 차량(AIV)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AIV가 또한 용기 교환을 수행하기 위해 작동 가능하면 특히 유리하였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다른 가능성 및 대안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셔틀이 용기 교환 용적부 내에 있을 때, 벽 섹션이 주 용적부와 용기 교환 용적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인 격리를 제공하도록 배열된 벽 섹션을 셔틀이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장치와 다소 유사한 방식으로 포함하면, 주 용적부와 용기 교환 용적부 사이의 격리가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셔틀이 용기 교환 용적부에 있고 캐리지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벽 섹션과 측벽은 정렬되어, 2개의 용적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인 격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개선된 격리의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캐리지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용적부들 사이의 감소된 대류 공기 흐름을 허용하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캐리지는 하우징의 전면을 따라서 위치된 트랙에 의해 안내된다. 당연히, 캐리지를 위한 지지 및 안내는 하나 이상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열된 트랙들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1, 10, 30 : 인쇄 기계 2, 11, 31 : 하우징
3, 12, 32 : 후드 4, 14, 33 : 힌지
13 : 해치 15, 40 : 프레임
16 : 내부 격벽 17, 41 : 주 용적부
18, 42 : 용기 교환 용적부 19, 44 : 레일
20 : 벽 섹션 21 : 구멍
22A, 22B, 43A, 43B : 체이스 23, 45 : 셔틀
24, 46 : 크래들 34 : 트랙
35 : 오목부 36 : 캐리지
37 : 측벽 38 : 전방 벽
39 : 상부 벽 47 : 용기
S : 인쇄 스크린

Claims (10)

  1. 인쇄 기계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있고, 인쇄 매체를 작업물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 장비를 수용하며, 상기 인쇄 장비는 프린트 헤드, 인쇄 스크린을 위한 리셉터클, 및 작업물을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 내부 용적부,
    상기 하우징 내에 있는 제2 내부 용적부, 및
    상기 인쇄 매체의 용기를 보유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제1 내부 용적부와 상기 제2 내부 용적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셔틀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캐리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내부 용적부에 대해 원위에 있는 상기 제2 내부 용적부의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내부 용적부에 대한 외부 접근을 방지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캐리지가 개방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1 내부 용적부와 상기 제2 내부 용적부의 중간에 놓이게 되어 상기 제1 내부 용적부와 상기 제2 내부 용적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인 격리를 제공하는, 인쇄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개방 및 폐쇄 위치들 모두에서 상기 인쇄 기계의 외부 표면의 일부를 한정하는, 인쇄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측벽에 직교하는 전방 벽, 및 상기 측벽과 전방 벽 모두에 직교하는 상부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방 벽 및 상기 상부 벽은 상기 개방 및 폐쇄 위치 모두에서 상기 인쇄 기계의 외부 표면의 부분을 한정하는, 인쇄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후드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가 상기 인쇄 기계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1 내부 용적부로의 접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폐쇄된 구성과, 상기 제1 내부 용적부가 상기 인쇄 기계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개방된 구성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인쇄 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캐리지를 포함하는, 인쇄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은 벽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벽 섹션은 상기 셔틀이 상기 제2 내부 용적부에 있을 때, 상기 벽 섹션이 상기 제1 내부 용적부와 상기 제2 내부 용적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인 격리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인쇄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이 상기 제2 내부 용적부에 위치되고 상기 캐리지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벽 섹션과 측벽은 상기 제1 내부 용적부와 상기 제2 내부 용적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인 격리를 제공하도록 정렬되는, 인쇄 기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캐리지를 지지하고 상기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캐리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트랙을 포함하는, 인쇄 기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캐리지를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액튜에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기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이 상기 제1 내부 용적부 내에 위치되면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상기 캐리지의 이동을 방지하는 인터록을 포함하는, 인쇄 기계.
KR1020210094055A 2020-07-30 2021-07-19 격리된 인쇄 매체 분배기 KR102516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011854.3A GB2597702A (en) 2020-07-30 2020-07-30 Isolated print medium dispenser
GB2011854.3 2020-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326A KR20220015326A (ko) 2022-02-08
KR102516931B1 true KR102516931B1 (ko) 2023-04-04

Family

ID=7242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055A KR102516931B1 (ko) 2020-07-30 2021-07-19 격리된 인쇄 매체 분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33843B2 (ko)
EP (1) EP3944957A1 (ko)
JP (1) JP7141179B2 (ko)
KR (1) KR102516931B1 (ko)
CN (1) CN114055914B (ko)
GB (1) GB2597702A (ko)
TW (1) TWI818270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995A (ja) 1999-08-30 2001-03-13 Minami Kk スクリーン印刷機
US20090280971A1 (en) 2008-05-09 2009-11-12 Mueller Martini Holding Ag Device for covering a machine in a production l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machines
JP2011016339A (ja) 2009-07-10 2011-01-27 Fuji Mach Mfg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5449A (ja) * 1989-03-30 1990-10-16 Tokyo Electric Co Ltd 事務機の紙葉挿入装置
JPH0511920A (ja) 1991-07-02 1993-01-22 Fujitsu Ltd 多項目入力装置及びそのキー割り付け方法
JPH0663170U (ja) * 1993-02-06 1994-09-06 谷電機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H1178164A (ja) 1997-09-03 1999-03-23 Toshiba Tec Kk プリンタ
JP4840422B2 (ja) 2008-09-04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用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よる作業方法
JP5093086B2 (ja) 2008-12-16 2012-1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機の室内温度調節方法
US8733245B2 (en) * 2010-02-09 2014-05-27 Samsung Techwin Co., Ltd. Screen printer
US8474377B2 (en) * 2010-12-08 2013-07-02 Illinois Tool Works Inc. Combination stencil printer and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JP5854857B2 (ja) 2012-01-24 2016-02-0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温度調整方法、および印刷装置の温度調整システム
JP2014024196A (ja) * 2012-07-24 2014-0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スクリーン版洗浄方法
JP6125797B2 (ja) 2012-10-31 2017-05-10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JP6850544B2 (ja) * 2016-02-09 2021-03-31 株式会社桜井グラフィックシステムズ 印刷機
JP6656386B2 (ja) * 2016-09-09 2020-03-04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工作機械
JP6971033B2 (ja) * 2017-01-24 2021-11-24 株式会社Fuji スクリーン印刷機
GB201718674D0 (en) * 2017-11-12 2017-12-27 Asm Assembly Systems Singapore Pte Ltd Isolated paste dispenser
JP7030967B2 (ja) 2018-05-25 2022-03-07 株式会社Fuji 収納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WO2020202919A1 (ja) * 2019-03-29 2020-10-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995A (ja) 1999-08-30 2001-03-13 Minami Kk スクリーン印刷機
US20090280971A1 (en) 2008-05-09 2009-11-12 Mueller Martini Holding Ag Device for covering a machine in a production l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machines
JP2011016339A (ja) 2009-07-10 2011-01-27 Fuji Mach Mfg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27505A (ja) 2022-02-10
KR20220015326A (ko) 2022-02-08
CN114055914A (zh) 2022-02-18
US11833843B2 (en) 2023-12-05
TWI818270B (zh) 2023-10-11
EP3944957A1 (en) 2022-02-02
GB2597702A (en) 2022-02-09
JP7141179B2 (ja) 2022-09-22
GB202011854D0 (en) 2020-09-16
CN114055914B (zh) 2023-04-07
TW202204170A (zh) 2022-02-01
US20220032667A1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0967B2 (ja) 収納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US8926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inkjet cartridges
JP6840119B2 (ja) 隔離型ペーストディスペンサ
JP2002126661A (ja) 洗浄装置
KR102516931B1 (ko) 격리된 인쇄 매체 분배기
EP3192658A2 (en) Waste liquid container and attachment
JP4400008B2 (ja) ローダ付き工作機械
JP2018183715A (ja) 塗装ブース
JP200317060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初期インク充填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3632589B1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JP6486754B2 (ja) 細胞培養装置
JP2022157650A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洗浄アッセンブリ
JPH09174001A (ja) 物品の洗浄装置
JP2013169715A (ja) 印刷装置
JP7001140B1 (ja) 処理装置及び記録装置
JP7488119B2 (ja) 印刷物載置テーブル及び印刷装置
CN105531078A (zh) 机床
US20240066894A1 (en) Liquid ejection device
JP7384020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17124566A (ja) 記録装置
JP2000059017A (ja) 塗布装置
CN115946350A (zh) 一种风洗设备
JP2023051058A (ja)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548292A (ja) チツプ部品収納パツクの交換方法及び装置
KR20150016114A (ko) 묘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