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775B1 -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775B1
KR102237775B1 KR1020190158141A KR20190158141A KR102237775B1 KR 102237775 B1 KR102237775 B1 KR 102237775B1 KR 1020190158141 A KR1020190158141 A KR 1020190158141A KR 20190158141 A KR20190158141 A KR 20190158141A KR 102237775 B1 KR102237775 B1 KR 102237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oil
tab
printed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영
Original Assignee
강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영 filed Critical 강대영
Priority to KR102019015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21D51/44Making closures, e.g. caps
    • B21D51/443Making closures, e.g. caps easily removable closures, e.g. by means of tea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05D3/0263After-treatment with IR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21D51/383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scoring lines, tear strips or pullin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28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40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e.g. golf balls, candles, wine c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캔에 결합되어 캔의 입구를 개방하는 탭에 다양한 컬러, 문양, 글자 등을 인쇄하며, 탭의 성형 이후 인쇄된 도료탭 엔드에서 발생된 이물질이 캔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tap end of beverage can}
본 발명은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캔에 결합되어 캔의 입구를 개방하는 탭에 다양한 컬러, 문양, 글자 등을 인쇄하며, 탭의 성형 이후 인쇄된 도료탭 엔드에서 발생된 이물질이 캔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캔은 스틸과 같은 금속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 금속재를 소재로 하여 원통형상으로 만드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윗면에 접합되어 있는 알루미늄 엔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알루미늄 엔드에는 음료의 개구가 용이하게 찢겨져 나가도록 스코어 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알루미늄 엔드에는 스코어 라인을 눌러 용기를 개방하기 위한 탭이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캔 용기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탭을 잡아당겨 엔드상에 형성된 스코어 라인을 파쇄시키고, 캔 용기 내부에 들어있는 음료는 탭에 의해 파쇄된 스코어 라인의 출구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음료수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탭에 로고, 마스코트 등의 각종 정보 또는 컬러, 색상등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여 제품특성, 광고, 선전문구 등의 다양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료 캔의 탭에 디자인할 수 있는 종래기술로 "탭 코일의 파일롯트 홀을 이용한 디자인 탭 엔드 제조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인쇄 공정 전 미리 천공하고, 파일롯트 홀 감지용 센서 및 파일롯트 홀의 피치에 맞추어진 칙차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해당 디자인이 인쇄되도록 함과 동시에, 컨버젼스 금형 세트 중 파일롯트 펀치를 제거하고 파일롯트 핀만을 적용하여 미리 천공된 간격에 따라 탭이 성형되도록 하고, 탭 헤드부분의 목적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소망하는 디자인이 인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탭을 통해 스코어 라인을 파쇄시킨 후 음료 섭취 시 탭의 끝단부분에 인쇄된 도료가 파쇄되어 음료에 혼합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장기간 외부에 노출 시 도료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음료 캔의 윗면에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99402호(2001.11.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캔에 결합되는 탭 엔드에 다양한 컬러, 도형 및 문자 등을 인쇄하여 식별성 및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탭 코일에 인쇄 시 탭 엔드의 형상에 따라 절곡 되는 테두리에 도료가 인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캔을 개방 시 접촉되는 부분에 도료가 인쇄되지 않아 사용시 인쇄된 도료가 음료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쇄부분을 코팅하여 기스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캔의 탭 윗면에 결합되며, 각종 문양 및 색상이 인쇄된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탭 코일의 상면에 탭 엔드의 절단선의 테두리를 따라 글리세린을 함유한 오일이 도포되는 도포공정; 상기 도포공정에서 도포된 오일의 내부에 색상, 문양, 형상에 맞춰 도료를 인쇄하는 인쇄공정; 상기 인쇄공정에서 인쇄된 도료 및 오일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공정에서 도료가 건조된 탭 코일의 위치를 정렬한 후 상기 오일이 인쇄된 테두리를 따라 절단선을 가공하는 절단공정; 상기 절단공정에서 형성된 절단선을 절곡하며, 절곡시 발생한 열 및 변형에 의해 오일이 도포된 위치에 인쇄된 도료와 오일을 제거하여 탭 엔드를 제조하는 성형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포공정에서, 오일은 40~60 중량%의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10℃~20℃의 온도내에서 탭 코일의 상부면에 탭 엔드의 형상에 맞춰 테두리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공정에서 도료가 제거된 탭 엔드에 남은 도료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공정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공정은, 탭 코일의 상부면에 오일이 도포된 내부구역 전체에 도료를 도포하는 제1인쇄부와, 오일이 도포된 내부구역에 특정한 패턴을 도료를 도포하는 제2인쇄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공정 또는 상기 성형공정 이후 어느 하나의 공정을 선택하여 인쇄된 도료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공정이 포함되되, 상기 코팅공정은, 인쇄된 도료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스프레이방식을 통해 두께 10 내지 20㎛로 도포하는 도포단계와, 상기 도포단계에서 자외선 경화형 도료가 도포된 표면을 적외선 램프로 5,000mJ/㎠의 광량의 적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온도 70 내지 80℃에서 5분간 열풍을 가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조사단계와, 상기 조사단계를 통해 자외선이 조사된 탭 코일에 도금액을 통해 알루미늄 도금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캔에 결합되는 탭 엔드에 다양한 컬러, 도형 및 문자 등을 인쇄하여 디자인의 색상에 따라 변경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고, 식별성 및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탭 코일에 오일을 도포하여 탭 엔드의 형상 및 테두리를 벗어나 탭 코일에 도료가 인쇄되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료를 절약할 수 있으며, 정확한 인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캔을 개방시 접촉되는 부분은 오일에 의해 도료가 인쇄되지 않아 사용시 도료가 음료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쇄된 부분에 경화형 도료 및 도금층을 통해 이동, 운반, 판매 시 손상 및 기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탭 엔드의 제작 후 오일, 도료 및 절단시 발생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탭 코일의 공정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및 코팅의 순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탭 코일의 공정상태를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및 코팅의 순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캔에 결합되어 캔의 입구를 개방하는 탭에 다양한 컬러, 문양, 글자 등을 인쇄하며, 탭의 성형 이후 인쇄된 도료에서 발생된 이물질이 캔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탭 코일에 인쇄를 통해 각종 문양 및 색상 등을 인쇄한 후 제작 및 사용시 인쇄된 도료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포공정(S20), 인쇄공정(S30), 건조공정(S40), 절단공정(S50) 및 성형공정(S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포공정(S20)은 상기 세척공정(S1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탭 코일(10)의 상면에 탭 엔드(20)의 절단선(13)의 테두리를 따라 글리세린을 함유한 오일(11)이 도포한다.
이러한 오일(11)은 40~60 중량%의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10℃~20℃의 온도내에서 탭 코일(10)의 상부면에 탭 엔드(20)의 형상에 맞춰 테두리에 도포한다.
즉, 상기 도포공정(S20)에서 상기 탭 엔드(20)의 상기 절단선(13)과 절곡지점사이(14)에 도포된다.
이때, 상기 오일(11)은 상기 절단선(13)의 외부와 상기 절곡지점(14) 내부로 일정부분 도포하여 상기 도료(12)의 인쇄영역을 제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오일(11)은 일정부분 오차가 발생하여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도포공정(S20) 전에 상기 탭 코일(10)의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세척공정(S10)은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세척공정(S10)은 상기 도포공정(S20)이 진행되기 전에 이루어지며, 에어, 브러쉬 등을 통해 탭 코일(10)의 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인쇄공정(S30)은 상기 도포공정(S20)에서 도포된 상기 오일(11)의 내부에 색상, 문양, 형상에 맞춰 상기 도료(12)를 인쇄한다.
이러한 상기 인쇄공정(S30)은 상기 탭 코일(10)의 상부면에 오일(11)이 도포된 내부구역 전체에 도료(12)를 도포하는 제1인쇄부(31)와, 상기 오일(11)이 도포된 내부구역에 특정한 패턴을 도료(12)를 도포하는 제2인쇄부(3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인쇄부(31)는 상기 탭 엔드(20)의 형상에 맞춰 전체적인 면적에 다양한 색상의 컬러를 가지도록 상기 도료(12)가 인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인쇄부(32)는 상기 제1인쇄부(31)에 의해 컬러가 인쇄된 상기 탭 코일(10)에 다양한 문자, 글자, 도형 등을 가지도록 상기 도료(12)를 인쇄한다.
이때, 상기 제1인쇄부(31) 및 상기 제2인쇄부(32)는 실크인쇄, 도장인쇄, UV인쇄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하여 배치한 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건조공정(S40)은 상기 인쇄공정(S30)에서 인쇄된 상기 도료(12) 및 상기 오일(11)을 건조한다.
이러한 상기 건조공정(S40)은 상기 인쇄공정(S30)을 통해 인쇄된 상기 도료(12)를 일정 온도 이상에서 건조하여 금속재질 또는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탭 코일(10)에 신속하게 상기도료(12)가 도착된다.
이때, 상기 건조공정(S40)은 40~50℃의 온도에서 1~5분간 건조가 이루어지며, 고온의 환경 또는 열풍을 가하여 건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온의 열풍을 가할 수 있는 장비가 배치된다.
상기 절단공정(S50)은 상기 건조공정(S40)에서 상기 도료(12)가 건조된 상기 탭 코일(10)의 위치를 정렬한 후 상기 오일(11)이 인쇄된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절단선(13)을 가공한다.
즉, 상기 탭 코일(10)에 인쇄된 상기 탭 엔드(20)의 형상에 맞춰 상기 절곡부분(14)을 가질 수 있도록 절단이 이루어진다.
이때, 절단된 부분이 상기 탭 코일(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부분이 상기 탭 코일(10)과 연결된다.
상기 성형공정(S60)은 상기 절단공정(S50)에서 형성된 상기 절단선(13)을 따라 절곡하며, 절곡시 발생한 열 및 변형에 의해 상기 오일(11)이 도포된 위치에 인쇄된 상기 도료(12)와 상기 오일(11)을 제거하여 상기 탭 엔드(20)를 제조한다.
따라서 상기 성형공정(S60)은 상기 절단공정(S50)에서 절단된 상기 탭 코일(10)의 테두리를 절곡 한 후 상기 탭 코일(10)과 연결된 부분을 커팅하여 상기 탭 엔드(20)를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성형공정(S60)에서 상기 도료(12)가 제거된 상기 탭 엔드(20)에 남은 상기 도료(12)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공정(S70)이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청소공정(S70)은 상기 절단공정(S50)에서 발생한 칩, 이물질 및 인쇄도료(12)를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청소공정(S70)은 세척공정(S10)과 동일한 방식인 에어, 브러쉬 등을 통해 탭 코일(10) 및 탭 엔드(2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아울러 상기 청소공정(S70)은 상기 성형공정(S60)에서 절단된 상기 탭 코일(10)을 절곡한 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탭 코일(10)에서 상기 탭 엔드(20)를 절단한 후 별도의 처리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공정(S40) 이후에 인쇄된 상기 도료(12)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공정(S41)이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코팅공정(S41)은 인쇄된 상기 도료(12)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포단계(S42), 조사단계(S43) 및 도금단계(S44)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포단계(S42)는 인쇄된 상기 도료(12)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스프레이방식을 통해 두께 10 내지 20㎛로 도포한다.
상기 조사단계(S43)는 상기 도포단계(S42)에서 자외선 경화형 도료가 도포된 표면을 적외선 램프로 5,000mJ/㎠의 광량의 적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온도 70 내지 80℃에서 5분간 열풍을 가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도포단계(S42)에서 도포된 자외선 경화형 도료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하게 된다.
이러한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통해 인쇄된 상기 도료(12)를 코팅하여 인쇄된 상기 도료(12)의 변색, 퇴색를 방지하여 장기간 일정한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금단계(S44)는 상기 조사단계(S43)를 통해 자외선이 조사된 탭 코일(10)에 도금액을 통해 알루미늄 도금하여 도금층을 형성한다.
이때, 도금액으로는 3g/ℓ의 염화알루미늄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환원제로 차아인산나트륨(NaH2PO2·H2O) 2g/ℓ, 착화제로 숙신산 0.1g/ℓ 및 안정화제로 1,2,4-트리아졸레이트 0.1g/ℓ를 포함하는 도금액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기 도금단계(S44)는 인쇄된 상기 도료(12)에 경화형 도료가 코팅이 이루어진 탭 코일(10)이 도금액이 저장된 지나면서 코팅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인쇄가 된 탭 코일(10)을 코팅한 후 도금액을 얇게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기스, 긁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탭 엔드(20)를 제작하기 위한 탭 코일(10)의 순차적인 공정에 대한 가공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세척공정(S10), 상기 도포공정(S20), 상기 인쇄공정(S30), 상기 건조공정(S40), 상기 절단공정(S50) 및 상기 성형공정(S60)을 순서대로 배치한 후 상기 탭 코일(10)이 상기 공정을 순서대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탭 코일(10)은 상기 세척공정(S10)을 통해 상기 탭 코일(10)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세척공정(S10)은, 에어 및 브러쉬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에어와 함께 알콜 등을 분사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의 제거가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세척공정(S10)을 통해 세척된 상기 탭 코일(10)에 도포공정(S20)에서 도포되는 상기 오일(11)을 도포한다.
이러한 상기 오일(11)은 40~60 중량%의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10℃~20℃의 온도내에서 5~17cp의 점도를 유지하여 탭 코일(10)에 도포된 후 70%이상의 온도로 가열건조 및 절곡에 의해 1.09~1.84cp의 점도를 유지함에 따라 탭 코일(10)에서 자연스럽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11)은 상기 탭 코일(10)이 상기 절단공정(S50) 및 상기 성형공정(S60)을 통해 절단 및 절곡되는 지점에 도포되어 상기 인쇄공정(S30)에서 도포되는 상기 도료(12)가 상기 탭 코일(10)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오일(11)의 표면에 도포된 인쇄도료(12)는 건조시 상승하는 온도로 인해 점성이 약해서 인쇄도료(12)가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도포공정(S20)을 통해 상기 오일(11)이 도포된 상기 탭 코일(10)의 상부면에 상기 인쇄공정(S30)을 통해 상기 도료(12)를 인쇄한다.
이때, 상기 인쇄공정(S30)은 도장인쇄, 실크인쇄 및 UV인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도료(12)를 도포한다.
여기서 도포된 상기 도료(12)는 상기 오일(11)의 내부에 도포되되, 상기 탭 엔드(20)의 영역을 벗어난 상기 도료(12)는 상기 오일(11)의 표면에 도포된다.
또한, 상기 인쇄공정(S30)은 상기 제1인쇄부(31)를 통해 탭 엔드(20)의 전체적인 부위에 다양한 컬러를 인쇄하고, 상기 제2인쇄부(32)를 통해 컬러가 인쇄된 탭 엔드(20)에 다양한 문자, 형상 등을 인쇄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인쇄를 진행하여 상기 탭 엔드(20)의 색상 및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공정(S40)을 통해 도포된 상기 오일(11) 및 상기 도료(12)를 건조한다.
이때, 상기 도료(12) 건조를 위해 온도가 상승하면 오일(11)은 글리세린에 의해 점도율이 하락하면서 오일(11)의 표면에 도포된 도료(12)는 탭 코일(10)에 고착되지 않는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코팅공정(S41)을 통해 인쇄된 상기 도료(12)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코팅공정(S41)은, 인쇄된 상기 도료(12)의 건조가 이루어진 탭 코일(10)에 경화형 도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10 내지 20㎛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한 후 적외선램프를 통해 5,000mJ/㎠의 광량으로 조사하여 표면온도 70 내지 80℃에서 5분간 열풍을 통해 건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쇄된 표면과 오일이 도포된 표면에는 경화형 도료를 통해 코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코팅이 이루어진 탭 코일(10)은 도금액을 도금액이 저장된 저장탱크를 통과하면서 탭 코일(10) 전체 면에 1±0.5㎛ 두께로 도금된다.
이때, 도금액의 두께는 1±0.5㎛에서 침착속도는 0.8 mil 이었다.
이후, 상기 절단공정(S50)에서 상기 탭 코일(10)에 프레스 등의 장치를 통해 탭 엔드(20)의 형상에 맞춰 상기 절단선(13)을 가공한다.
그리고 상기 성형공정(S60)에서 절단된 상기 탭 코일(10)을 절곡하여 테두리의 마감처리가 완료된 탭 엔드(2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공정(S60)에서 절곡시 발생하는 열 및 변경에 의해 테두리 부분에 도포된 오일(11)이 제거된다.
따라서 탭 엔드(20)의 테두리 부분에 도포된 상기 도료(12) 및 코팅은 오일(11)의 제거시 함께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공정(S60) 이후 부착된 도료(12)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청소공정(S70)이 포함된다.
이러한 청소공정(S70)은 에어 및 브러쉬 등을 통해 다수개의 상기 탭 엔드(20)와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을 통해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를 통해 상기 탭 엔드(20)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도료(12)가 도포되지 않아 캔 음료의 개방시 이물질이 발생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음료에 상기 도료(12)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작 공정 시 오차 등이 발생하여 도료(12)가 임의의 위치에 도포되어도 이를 제거하여 정확한 위치에 도료(12)가 도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공정(S70)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상기 탭 엔드(20) 제작시 발생하는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탭 엔드(20)에 다양한 컬러, 도형 및 문양 등을 통해 식별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컬러 및 도형 등이 도색된 후 코팅 처리를 통해 이동 및 보관 등에 의해 손상 및 기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탭 코일 11: 오일
12: 도료
13: 절단선
14: 절곡지점
20: 탭 엔드
31: 제1인쇄부 32: 제2인쇄부

Claims (5)

  1. 캔의 탭 윗면에 결합되며, 각종 문양 및 색상이 인쇄된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탭 코일(10)의 상면에 탭 엔드(20)의 절단선(13)의 테두리를 따라 글리세린을 함유한 오일(11)이 도포되는 도포공정(S20);
    상기 도포공정(S20)에서 도포된 상기 오일(11)의 내부에 색상, 문양, 형상에 맞춰 도료(12)를 인쇄하는 인쇄공정(S30);
    상기 인쇄공정(S30)에서 인쇄된 상기 도료(12) 및 상기 오일(11)을 건조하는 건조공정(S40);
    상기 건조공정(S40)에서 상기 도료(12)가 건조된 상기 탭 코일(10)의 위치를 정렬한 후 상기 오일(11)이 인쇄된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절단선(13)을 가공하는 절단공정(S50);
    상기 절단공정(S50)에서 형성된 상기 절단선(13)을 따라 절곡하며, 절곡시 발생한 열 및 변형에 의해 상기 오일(11)이 도포된 위치에 인쇄된 상기 도료(12)와 상기 오일(11)이 같이 제거하여 탭 엔드(20)를 제조하는 성형공정(S6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공정(S40) 또는 상기 성형공정(S60) 이후 어느 하나의 공정을 선택하여 인쇄된 상기 도료(12)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공정(S41)이 포함되되,
    상기 코팅공정(S41)은,
    인쇄된 도료(12)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도료(12)를 스프레이방식을 통해 두께 10 내지 20㎛로 도포하는 도포단계(S42)와,
    상기 도포단계(S42)에서 자외선 경화형 도료(12)가 도포된 표면을 적외선 램프로 5,000mJ/㎠의 광량의 적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온도 70 내지 80℃에서 5분간 열풍을 가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조사단계(S43)와,
    상기 조사단계(S43)를 통해 자외선이 조사된 탭 코일(10)에 도금액을 통해 알루미늄 도금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단계(S4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공정(S20)에서,
    상기 오일(11)은 40~60 중량%의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10℃~20℃의 온도내에서 상기 탭 코일(10)의 상부면에 상기 탭 엔드(20)의 형상에 맞춰 테두리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공정(S60)에서 상기 도료(12)가 제거된 상기 탭 엔드(20)에 남은 도료(12)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공정(S7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공정(S30)은,
    상기 탭 코일(10)의 상부면에 상기 오일(11)이 도포된 내부구역 전체에 상기 도료(12)를 도포하는 제1인쇄부(31)와, 상기 오일(11)이 도포된 내부구역에 특정한 패턴을 상기 도료(12)를 도포하는 제2인쇄부(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90158141A 2019-12-02 2019-12-02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 KR102237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141A KR102237775B1 (ko) 2019-12-02 2019-12-02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141A KR102237775B1 (ko) 2019-12-02 2019-12-02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775B1 true KR102237775B1 (ko) 2021-04-07

Family

ID=7546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141A KR102237775B1 (ko) 2019-12-02 2019-12-02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77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9139A (ja) * 1994-09-30 1996-04-16 Hokkai Can Co Ltd アルミニウム缶体の製造方法
KR20000058625A (ko) * 2000-06-20 2000-10-05 정형동 음료용 캔의 탭 제조방법
KR20000058624A (ko) * 2000-06-20 2000-10-05 정형동 음료용 캔의 탭 장착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44404A (ko) * 2001-02-17 2001-06-05 정형동 음료용 캔의 디자인 탭 제조방법
KR20010068084A (ko) * 2001-04-20 2001-07-13 정형동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음료용 캔의 디자인 탭 엔드제조방법
KR20010099402A (ko) 2001-09-25 2001-11-09 정형동 탭 코일의 파일롯트 홀을 이용한 디자인 탭 엔드 제조방법
KR20020025927A (ko) * 2002-02-22 2002-04-04 고원준 파일롯트 홀을 이용한 선인쇄 후성형 방식의 디자인 탭엔드 제조방법
KR20120010316A (ko) * 2010-07-26 2012-02-03 이도희 캔의 프로모션 탭 엔드 제조방법
KR101765533B1 (ko) * 2016-12-28 2017-08-07 화성제관 주식회사 캔을 재활용 가공하여 제조된 판재를 이용한 캔의 디자인 탭 코일 제조방법
KR20190092505A (ko) * 2016-12-08 2019-08-07 크라운 팩키징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캔 표면 데코레이션에서의 조직 형성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9139A (ja) * 1994-09-30 1996-04-16 Hokkai Can Co Ltd アルミニウム缶体の製造方法
KR20000058625A (ko) * 2000-06-20 2000-10-05 정형동 음료용 캔의 탭 제조방법
KR20000058624A (ko) * 2000-06-20 2000-10-05 정형동 음료용 캔의 탭 장착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44404A (ko) * 2001-02-17 2001-06-05 정형동 음료용 캔의 디자인 탭 제조방법
KR20010068084A (ko) * 2001-04-20 2001-07-13 정형동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음료용 캔의 디자인 탭 엔드제조방법
KR20010099402A (ko) 2001-09-25 2001-11-09 정형동 탭 코일의 파일롯트 홀을 이용한 디자인 탭 엔드 제조방법
KR20020025927A (ko) * 2002-02-22 2002-04-04 고원준 파일롯트 홀을 이용한 선인쇄 후성형 방식의 디자인 탭엔드 제조방법
KR20120010316A (ko) * 2010-07-26 2012-02-03 이도희 캔의 프로모션 탭 엔드 제조방법
KR20190092505A (ko) * 2016-12-08 2019-08-07 크라운 팩키징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캔 표면 데코레이션에서의 조직 형성
KR101765533B1 (ko) * 2016-12-28 2017-08-07 화성제관 주식회사 캔을 재활용 가공하여 제조된 판재를 이용한 캔의 디자인 탭 코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87240B (zh) 印花製造方法和印花以及印花製造裝置和物體表面的裝飾方法
KR100452321B1 (ko) 재활용플라스틱용기및재활용용기라벨시행방법
US6379766B1 (en) Label, container comprising said label and method of washing such a container
US6379761B1 (en) Transfer label comprising a backing layer and a transfer layer, container comprising such a transfer layer and method of removing a transfer layer from a container
CN104024115A (zh) 具有机器可读信息的罐端部
CN107719264A (zh) 一种汽车标牌的制造方法
US202203556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on a treated surface
KR102237775B1 (ko) 음료용 캔의 컬러 탭 엔드의 제조방법
JP7462693B2 (ja) 飲料用缶の製造方法
JP4738026B2 (ja) 印刷フィルム貼着缶体の製造方法
CN107107100A (zh) 透明图案印刷钢板的制造方法
CN109355658A (zh) 一种化学蚀刻制备微纹的方法
EP1742846B1 (de) Verfahren und anlage zum blasen- und einschlussfreien etikettieren von folienetiketten
JP2003221039A (ja) 金属容器及び金属容器の製造方法
JP2010168114A (ja) 缶体の製造方法および缶体の製造システム
US9498947B2 (en) Method for creating tamper-evident labels
EP1304217B1 (en) Production process of seminanufactured bright tapes
JP2003112736A (ja) レーザーマーク付き缶蓋
CN105818555A (zh) 可变信息刮墨标签制造方法
JP7088566B2 (ja) 容器の製造方法
JP2006096387A (ja) キャ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キャップ情報管理方法
KR101512126B1 (ko) 싸인보드 제조 방법
JP7153382B1 (ja) 容器の製造方法
KR20010087838A (ko) 전사기법을 이용한 디자인 탭의 제조방법
KR102279901B1 (ko) 고무 라벨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