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641B1 -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641B1
KR102235641B1 KR1020190031779A KR20190031779A KR102235641B1 KR 102235641 B1 KR102235641 B1 KR 102235641B1 KR 1020190031779 A KR1020190031779 A KR 1020190031779A KR 20190031779 A KR20190031779 A KR 20190031779A KR 102235641 B1 KR102235641 B1 KR 10223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elease
release film
weigh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999A (ko
KR102235641B9 (ko
Inventor
황세규
윤종욱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8089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356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64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641B1/ko
Publication of KR10223564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64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J24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J24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경화성 아미노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한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알코올 및 카르복시산 관능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고 수평균 분자량(Mn)이 100 내지 3000인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층의 표면에너지가 30 내지 60 dyne/cm2 이고, 상기 이형층의 단위 제곱미터(m2)당 핀홀의 면적이 6.3x10-3 m2 이하일 수 있다.

Description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Release film for c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형필름은 점착제 피막에 부착되어 점착성분을 대기중의 이물 또는 원치 않는 피착제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으로 사용되는 필름이다. 일반적으로 이형필름은 기재필름의 일면에 이형층이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이형필름은 점착제, 접착제, 수지 시트, 수지 피막, 세라믹 시트 등을 이형필름상에 직접 도포한 후 상기 이형필름을 박리함으로써 필름형태의 가공물을 얻기 위한 캐리어용 이형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형필름을 캐리어용 이형필름에 적용하는 경우 이형필름의 이형층 상에 다른 수지를 직접 도포하는 중에 젖음성 불량 또는/및 핀홀 등이 발생하여 균일한 도막을 얻기 힘들거나 가공 공정 후 도포되는 수지와 이형층이 합착되어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수지를 젖음성 불량이나 핀홀 등의 결함없이 상기 이형층 상에 점착제, 접착제, 다양한 수지 등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고온 및 장시간의 후가공을 거치더라도 우수한 후경화 박리성을 구현하는 이형필름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일 측면은 다양한 수지를 자유롭게 도포하여 균일한 도막형성이 가능하고 우수한 후경화 박리성을 가지는 캐리어용 이형필름이 제공된다.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측면에 따라,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경화성 아미노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한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알코올 및 카르복시산 관능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고 수평균 분자량(Mn)이 100 내지 3000인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층의 표면에너지가 30 내지 60 dyne/cm2 이고,
상기 이형층의 단위 제곱미터(m2)당 핀홀의 면적이 6.3x10-3 m2 이하인 캐리어용 이형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는 멜라민 수지, 멜라민 우레아 수지 및 우레아 수지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알코올 또는 카르복시산 관능기를 1 내지 6개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지방족(aliphatic) 알코올, 지환족(alicyclic) 알코올, 지방족 카르복시산, 지환족 카르복시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폴리알킬렌계 글리콜, 및 폴리알킬렌계 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헥실알코올,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에이코산디온산(eicosanedioic acid), 알류리트산(aleuritic acid),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산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촉매는 다이노닐나프탈렌 술폰산(dinonylnaphthalene lsulfonic acid), 다이노닐나프탈렌 디술폰산(dinonylnaphthalene disulfonic acid), 알킬벤젠술폰산(alkylbenzene sulfonic acid), ρ-톨루엔술폰산, 및 인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촉매의 함량은 경화성 아미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점착제, 반경화성 접착제, 적층 세라믹 캐패시터용 세라믹 시트, 인쇄회로용 반경화 수지, 또는 프리프레그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라,
경화성 아미노 수지 및 첨가제를 유기용매에 첨가 및 교반하여 이형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액을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적용 및 건조하여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이형액의 고형분 함량은 상기 이형액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형액에 산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10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1 내지 10 분간 열풍건조로 행해질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이형층의 표면에너지를 조절하고 다양한 수지를 자유롭게 도포하여 균일한 도막형성이 가능하고 우수한 후경화 박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은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 용이하게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a는 실시예 2에 따른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광학현미경 이미지이며; 도 2b는 비교예 1에 따른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광학현미경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또는 위에)"라는 용어는 다른 부분 "직접 상에(또는 직접 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직접 상에(또는 직접 위에)"라는 용어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계 고분자는 "~ 고분자" 또는/및 상기"~고분자의 유도체"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 간의 중량비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이형층의 도포성과 가공 공정 후의 박리력은 표면에너지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이형층의 표면에너지가 높을수록 수지의 도포성이 향상될 수 있고 표면에너지가 낮을수록 이형필름의 박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실리콘 수지를 혼합하여 이형층의 표면에너지를 조절하더라도 실리콘 수지의 낮은 표면에너지로 인하여 낮은 고형분의 수지를 도포하는 경우 균일한 도막을 얻을 수 없다.
또한 향상된 인쇄성을 갖는 이형층을 구현하기 위하여 멜라민 수지 및 알키드 수지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분자량이 큰 고분자인 알키드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형층의 표면에너지 조절이 어려우며 경화반응이 느릴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온 및 장시간의 후가공을 요하는 공정 중에 상기 수지들을 이형층에 적용할 경우 도포되는 수지와 이형층이 열확산 및 화학결합에 의해 합착되어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다음과 같은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경화성 아미노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한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알코올 및 카르복시산 관능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고 수평균 분자량(Mn)이 100 내지 3000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층의 표면에너지가 30 내지 60 dyne/cm2 일 수 있고, 상기 이형층의 단위 제곱미터(m2)당 핀홀의 면적이 6.3x10-3 m2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경화성 아미노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한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또는 옥시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ρ-옥시벤조산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글리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은 상기의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 중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으며, 제 3 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은 높은 투명성을 갖는 동시에 생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일축 또는 이축 배향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아미노 수지일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는 멜라민 수지, 멜라민 우레아 수지 및 우레아 수지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경화성 아미노 수지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첨가제는 알코올 및 카르복시산 관능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알코올 또는 카르복시산 관능기를 1 내지 6개 가질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수평균 분자량(Mn)이 100 내지 3000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수평균 분자량(Mn)이 100 미만인 경우에 경화온도보다 끓는점이 낮아 기화하거나 또는 도포막을 형성할 때에 필름에 컬(curl)이 생기기 쉬울 수 있다. 수평균 분자량(Mn)이 3000을 넘는 경우에는 저온 및 단시간에 도포막을 형성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어, 수평균 분자량(Mn)이 100 내지 1500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단일 화합물,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지방족(aliphatic) 알코올, 지환족(alicyclic) 알코올, 지방족 카르복시산, 지환족 카르복시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폴리알킬렌계 글리콜, 및 폴리알킬렌계 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헥실알코올,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에이코산디온산(eicosanedioic acid), 알류리트산(aleuritic acid),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표면에너지는 30 내지 60 dyne/cm2 일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표면에너지가 30 dyne/cm2 미만이라면 이형층 상에 목적하는 수지를 도포할 때 젖음성이 불량하고 핀홀 등의 결함이 발생하여 균일한 피막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표면에너지가 60 dyne/cm2을 초과한다면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박리력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표면에너지는 예를 들어, 30 내지 59 dyne/cm2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0 내지 58 dyne/cm2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0 내지 57 dyne/cm2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0 내지 56 dyne/cm2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0 내지 55 dyne/cm2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0 내지 54 dyne/cm2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0 내지 53 dyne/cm2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0 내지 52 dyne/cm2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0 내지 51 dyne/cm2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0 내지 50 dyne/cm2일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표면에너지를 조절하여 이형층상에 다양한 수지를 젖음성 불량이나 또는/및 핀홀 등의 결함 없이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고온 및 장시간의 후가공을 거치더라도 우수한 후경화 박리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단위 제곱미터(m2)당 핀홀의 면적은 6.3x10-3 m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단위 제곱미터(m2)당 핀홀의 면적이 6.3x10-3 m2를 초과하는 경우 균일한 피막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중량부를 초과한다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과 이형층 사이의 부착력이 낮아져 가공 공정 이후 이형필름 박리시 이형층이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을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이형층의 표면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산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촉매는 다이노닐나프탈렌 술폰산(dinonylnaphthalene lsulfonic acid), 다이노닐나프탈렌 디술폰산(dinonylnaphthalene disulfonic acid), 알킬벤젠술폰산(alkylbenzene sulfonic acid), ρ-톨루엔술폰산, 및 인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촉매는 ρ-톨루엔술폰산일 수 있다.
상기 산촉매의 함량은 경화성 아미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산촉매의 함량이 1.0 미만인 경우 경화반응이 늦어질 수 있으며, 10 이상인 경우 이형액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점착제, 반경화성 접착제, 적층 세라믹 캐패시터용 세라믹 시트, 인쇄회로용 반경화 수지, 또는 프리프레그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은 경화성 아미노 수지 및 첨가제를 유기용매에 첨가 및 교반하여 이형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액을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적용 및 건조하여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 및 첨가제의 종류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경화성 아미노 수지 및 첨가제를 유기용매에 첨가 및 교반하여 이형액을 준비한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중량부를 초과한다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과 이형층 사이의 부착력이 낮아져 가공 공정 이후 이형필름 박리시 이형층이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을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이형층의 표면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케톤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가능한 유기용매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형액의 고형분 함량은 상기 이형액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형액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이형액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상에 이형액이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이형층이 형성되지 않는 이른바 미코팅부가 발생하여 이형성이 미비할 수 있다. 또한 고형분의 상한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다량의 고형분을 함유한다면 생산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이형액에 산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촉매의 종류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이형액에 산촉매를 더 함유하여 건조시간, 예를 들어 열풍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형액을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적용 및 건조하여 이형층을 형성한다.
상기 이형액을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적용하는 공정은 그라비아, 콤마, 메이어바(Mayer bar), 립, 다이, 또는 스프레이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가능한 모든 도포방법의 수행이 가능하다.
상기 건조는 10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1 내지 10 분간 열풍건조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제조방법은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 용이하게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캐리어용 이형필름(10)은 기재필름(1) 및 이형층(2)이 순차로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캐리어용 이형필름
경화성 아미노 수지로서 멜라민 수지 (사이멜 303LF, 올넥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00 중량부,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10 중량부 및 산촉매로서 ρ-톨루엔술폰산 (올넥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4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하여 4 중량%의 고형분 함량을 갖는 이형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이형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필름의 일 면에 메이어바(Mayer Bar)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열풍건조기로 140 ℃의 온도에서 1분간 건조하여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5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10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스테아린산(stearic acid, Mn: 284, 대정화학 제조)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스테아린산(stearic acid, Mn: 284, 대정화학 제조) 1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스테아린산(stearic acid, Mn: 284, 대정화학 제조) 5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폴리에틸렌글리콜(PEG400, Mn: 400, TCI 제조)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폴리에틸렌글리콜(PEG400, Mn: 400, TCI 제조) 1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폴리에틸렌글리콜(PEG400, Mn: 400, TCI 제조) 3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에이코산디온산(eicosanedioic acid, Mn: 342, TCI 제조)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에이코산디온산(eicosanedioic acid, Mn: 342, TCI 제조) 1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에이코산디온산(eicosanedioic acid, Mn: 342, TCI 제조) 3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알류리트산(aleuritic acid, Mn: 304, TCI 제조)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알류리트산(aleuritic acid, Mn: 304, TCI 제조) 3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알류리트산(aleuritic acid, Mn: 304, TCI 제조) 10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C-1090, Mn: 1000,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Kuraray) 제조) 1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C-1090, Mn: 1000,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Kuraray) 제조) 5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폴리에테르 폴리올(AM-302, Mn: 3000,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Adeka) 제조) 5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산촉매로서 ρ-톨루엔술폰산 (올넥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0.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스테아린산(stearic acid, Mn: 284, 대정화학 제조) 15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로서 헥실알코올 (Mn: 102, 대정화학 제조) 대신 폴리에테르 폴리올(AM-702, Mn: 6800,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Adeka) 제조) 5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3에 의해 제조된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조성 및 함량을 하기와 같이 정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경화성
아미노 수지
첨가제 산촉매
조성 함량
(중량부)
조성 함량
(중량부)
조성 함량
(중량부)
실시예1 멜라민 수지 100 헥실알코올 1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2 멜라민 수지 100 헥실알코올 5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3 멜라민 수지 100 헥실알코올 10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4 멜라민 수지 100 스테아린산 5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5 멜라민 수지 100 스테아린산 15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6 멜라민 수지 100 스테아린산 5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7 멜라민 수지 100 폴리에틸렌글리콜 5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8 멜라민 수지 100 폴리에틸렌글리콜 1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9 멜라민 수지 1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10 멜라민 수지 100 에이코산디온산 5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11 멜라민 수지 100 에이코산디온산 1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12 멜라민 수지 100 에이코산디온산 3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13 멜라민 수지 100 알류리트산 5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14 멜라민 수지 100 알류리트산 3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15 멜라민 수지 100 알류리트산 10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16 멜라민 수지 100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17 멜라민 수지 100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50 ρ-톨루엔술폰산 4
실시예18 멜라민 수지 100 폴리에테르 폴리올 50 ρ-톨루엔술폰산 4
비교예1 멜라민 수지 100 헥실알코올 50 ρ-톨루엔술폰산 0.5
비교예2 멜라민 수지 100 스테아린산 150 ρ-톨루엔술폰산 4
비교예3 멜라민 수지 100 폴리에테르 폴리올 50 ρ-톨루엔술폰산 4
평가예 1: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물성 평가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각의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표면에너지 측정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각의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이형층의 면에 증류수 및 디아이오도메탄(diiodomethane)을 떨어뜨린 후 상기 이형층의 면에 대하여 접촉각측정기(DSA-100, KRUSS사 제조)를 이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측정된 접촉각의 값을 오웬 웬트 모델(Owens Wendt model)에 대입하여 표면에너지를 계산하였다.
(2) 도포성 측정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각의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에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된 혼합물을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를 이용하여 20 ㎛ 두께로 도포하였다.
· 자외선 경화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RV-214-75, 애경화학 제조) 100 중량부,
상기 자외선 경화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 케톤 (Irgacure®184,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제조) 제1 광개시제 2 중량부, 및
·2, 4, 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파인 옥사이드 (Irgacure®TPO, BASF 제조) 제2 광개시제 1 중량부
그리고 나서, A4 크기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도포 표면의 핀홀의 크기를 육안으로 자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단위 제곱미터(m2)당 핀홀의 면적을 구하였다. 이 때, 단위 제곱미터(m2)당 핀홀의 면적이 6.3x10-3 m2 이하이면 "양호"로 하고 6.3x10-3 m2를 초과하면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이 중에서,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각각의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에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한 혼합물을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를 이용하여 20 ㎛ 두께로 도포하였다. 이후, A4 크기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도포 표면의 핀홀의 크기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단위 제곱미터(m2)당 핀홀의 면적이 6.3x10-3 m2 이하 또는 초과인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3) 후경화 박리력 측정
상기 '(2) 도포성 측정'시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각의 캐리어용 이형필름 상에 형성된 자외선 경화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자외선 조사기 시스템(UV irradiator system, MS TECH 제조)을 이용하여 100 ~ 500 mJ/cm2의 광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였고, 상온에서 24시간 유지한 후에 상기 캐리어용 이형필름 의 후경화 박리력을 다음과 같은 측정기기 및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기기: AR-100 (Adhesion/Release Tester), chem-instrument 제조
·측정방법: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250 mm x 1500 mm의 샘플 크기로 자른 후, 180° 박리각도 및 3000 mm/분 박리속도로 3회 측정한 후 이들 평균값을 구하였다.
표면에너지
(dyne/cm2)
도포성 후경화 박리력
(gf/25 mm)
실시예1 50.1 양호 7
실시예2 43.3 양호 6
실시예3 41.6 양호 5
실시예4 45.7 양호 9
실시예5 39.2 양호 7
실시예6 30.8 양호 4
실시예7 51.6 양호 5
실시예8 53.1 양호 7
실시예9 55.2 양호 12
실시예10 44.5 양호 8
실시예11 37.8 양호 6
실시예12 30.3 양호 5
실시예13 43.2 양호 6
실시예14 36.7 양호 5
실시예15 30.0 양호 4
실시예16 40.2 양호 7
실시예17 30.2 양호 5
실시예18 30.1 양호 4
비교예 1 45.2 불량 -
비교예 2 33.5 불량 -
비교예 3 31.7 불량 -
상기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8에서 제조된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표면에너지가 30~60 dyne/cm2이고 도포성이 양호하며 후경화 박리력 또한 우수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이형층의 경화도가 불충분하여 도포성 및 후경화 박리력이 불량 또는 저하되었다.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단위 제곱미터(m2)당 핀홀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와 비교하여, 도 2b를 참조하면,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각각의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단위 제곱미터(m2)당 핀홀의 면적이 6.3x10-3 m2 초과로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 1~18에서 제조된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다양한 점착제 및 반경화성 접착제, 적층 세라믹 캐패시터용 세라믹 시트, 인쇄회로용 반경화 수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의) 프리프레그 등의 분야에서 캐리어필름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기재필름, 2: 이형층, 10: 이형필름

Claims (15)

  1.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경화성 아미노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한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알코올 및 카르복시산 관능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고 수평균 분자량(Mn)이 100 내지 1000인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층의 표면에너지가 30 내지 60 dyne/cm2 이고,
    상기 이형층의 단위 제곱미터(m2)당 핀홀의 면적이 6.3x10-3 m2 이하이고,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중량부 이하인 캐리어용 이형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아미노 수지가 멜라민 수지, 멜라민 우레아 수지 및 우레아 수지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캐리어용 이형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알코올 또는 카르복시산 관능기를 1 내지 6개 갖는 캐리어용 이형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지방족(aliphatic) 알코올, 지환족(alicyclic) 알코올, 지방족 카르복시산, 지환족 카르복시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폴리알킬렌계 글리콜, 및 폴리알킬렌계 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캐리어용 이형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헥실알코올,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에이코산디온산(eicosanedioic acid), 알류리트산(aleuritic acid),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캐리어용 이형필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산촉매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용 이형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촉매가 다이노닐나프탈렌 술폰산(dinonylnaphthalene lsulfonic acid), 다이노닐나프탈렌 디술폰산(dinonylnaphthalene disulfonic acid), 알킬벤젠술폰산(alkylbenzene sulfonic acid), ρ-톨루엔술폰산, 및 인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캐리어용 이형필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촉매의 함량이 경화성 아미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인 캐리어용 이형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용 이형필름은 점착제, 반경화성 접착제, 적층 세라믹 캐패시터용 세라믹 시트, 인쇄회로용 반경화 수지, 또는 프리프레그에 사용되는 캐리어용 이형필름.
  11. 경화성 아미노 수지 및 첨가제를 유기용매에 첨가 및 교반하여 이형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액을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적용 및 건조하고 이형층을 형성하여 제1항에 따른 캐리어용 이형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액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이형액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이상인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액에 산촉매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 10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1 내지 10 분간 열풍건조로 행해지는 캐리어용 이형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90031779A 2019-03-20 2019-03-20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779A KR102235641B1 (ko) 2019-03-20 2019-03-20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779A KR102235641B1 (ko) 2019-03-20 2019-03-20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999A KR20200111999A (ko) 2020-10-05
KR102235641B1 true KR102235641B1 (ko) 2021-04-02
KR102235641B9 KR102235641B9 (ko) 2022-06-07

Family

ID=7280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779A KR102235641B1 (ko) 2019-03-20 2019-03-20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858B1 (ko) * 2021-03-25 2023-11-2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캐리어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8154B1 (ko) * 2021-09-07 2022-06-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 필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414B1 (ko) * 2013-07-22 2014-11-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81712B1 (ko) 2014-02-05 2015-01-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커버레이 보호용 이형필름
KR101591409B1 (ko) 2014-11-26 2016-02-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9829B2 (ja) * 2015-10-20 2018-03-28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離型フィルム及び離型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414B1 (ko) * 2013-07-22 2014-11-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81712B1 (ko) 2014-02-05 2015-01-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커버레이 보호용 이형필름
KR101591409B1 (ko) 2014-11-26 2016-02-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999A (ko) 2020-10-05
KR102235641B9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1554B2 (ja) 離型フィルム
JP5253730B2 (ja) 離型フィルム
KR102314397B1 (ko)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용 이형 필름
KR20120028319A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852720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KR102342530B1 (ko)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용 이형 필름
JP2000141568A (ja) 離型フィルム
KR102178351B1 (ko) 점착 시트
KR102235641B1 (ko)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790310A (zh) 聚酯膜
WO2020050081A1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KR102050747B1 (ko) 이형 필름
JP2006051661A (ja) 離型フィルム
JP2003291291A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337240B1 (ko) 캐리어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9816B1 (ko) 이형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53649B1 (ko)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용 이형 필름
JP2006051681A (ja) 離型フィルム
KR101459722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제조용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8614A (ko)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JP2018058270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066642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20026135A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6531348B2 (ja) 離型フィルム
KR102606858B1 (ko) 캐리어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21106000116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