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645B1 -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및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및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645B1
KR102228645B1 KR1020140054019A KR20140054019A KR102228645B1 KR 102228645 B1 KR102228645 B1 KR 102228645B1 KR 1020140054019 A KR1020140054019 A KR 1020140054019A KR 20140054019 A KR20140054019 A KR 20140054019A KR 102228645 B1 KR102228645 B1 KR 10222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tor
inner ring
rotation
ou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365A (ko
Inventor
타쿠지 타카마츠
케이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5003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 F16D41/06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and the members being distributed by a separate cage encircling the axis of ro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내륜(內輪)의 회전을 외륜(外輪)으로 확실히 전달시켜, 의도하지 않는 내륜의 공전(空轉)을 막는다.
[해결 수단] 롤러 클러치(32)는, 외륜(32a)과, 내륜(32b)과, 롤러(32c)와, 제1 용수철 부재(32e)와, 리테이너(retainer)(32d)와, 돌출부(327d)를 구비한다. 롤러(32c)는, 내륜(32b)과 외륜(32a)의 사이에 배치되고, 전달 위치와 차단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리테이너(32d)는, 롤러(32c)를 보지(保持)하는 롤러 보지 공간(328d), 및 제1 용수철 부재(32e)를 지지하는 지지부(322d)를 가진다. 돌출부(327d)는, 제1 용수철 부재(32e)의 압박력에 저항하는 롤러(32c)의 이동을 소정의 위치에서 규제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및 스피닝 릴{ROLLER CLUTCH FOR FISHING REEL AND SPINNING RE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낚시용 릴에 이용되는 롤러 클러치 및 그것을 이용한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는, 외륜(外輪), 내륜(內輪), 및 롤러를 가지고 있고, 회전을 일 방향으로만 전달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롤러가 전달 위치로 이동하면, 내륜의 회전이 외륜으로 전달되고, 롤러가 차단 위치로 이동하면, 내륜의 회전은 외륜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롤러 클러치는, 낚시용 릴에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은, 로터와 제동 부재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롤러 클러치를 스피닝 릴에 이용하는 경우, 롤러 클러치의 외륜은 제동 부재에 취부(取付)되고, 롤러 클러치의 내륜은 로터에 취부된다. 이 롤러 클러치를 가지는 스피닝 릴은, 줄 감기 방향으로 로터가 회전하면, 롤러가 차단 위치로 이동하고, 줄 방출 방향으로 로터가 회전하면, 롤러가 전달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014291호
상술한 바와 같이, 줄 방출 시에는, 롤러가 전달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내륜의 회전이 외륜으로 전달된다. 즉, 로터의 회전이 제동 부재로 전달되고, 로터와 함께 제동 부재가 회전한다. 여기에서, 롤러 클러치도 마찬가지로 회전하기 때문에, 그 원심력에 의하여 롤러 클러치의 롤러가 차단 위치로 이동하여 버려, 내륜의 회전이 외륜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상태(전달 토크(torque) 부족 상태)로 되고, 나아가, 고속으로 회전하였을 때, 최악의 경우에는, 내륜이 공전(空轉)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내륜의 회전을 외륜으로 확실히 전달시켜, 의도하지 않는 내륜의 공전을 막을 수 있는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는, 회전을 일 방향으로만 전달 가능한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이고, 외륜과, 내륜과, 롤러와, 압박 부재와, 리테이너(retainer)와, 규제부를 구비한다. 외륜은, 경사면으로 구성된 캠면을 포함하는 내주면(內周面)을 가진다. 내륜은, 외주면을 가지고, 외륜의 내주 측에 배치된다. 롤러는, 내륜과 외륜의 사이에 배치되고, 전달 위치와 차단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전달 위치는, 외륜의 내주면과 내륜의 외주면(外周面)과의 사이에 롤러가 박히는 위치이다. 또한, 차단 위치는, 롤러의 박힘이 해제되는 위치이다. 압박 부재는, 롤러를 전달 위치 측으로 압박한다. 리테이너는, 롤러를 보지(保持)하는 롤러 보지 공간, 및 압박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진다. 규제부는,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저항하는 롤러의 이동을 소정의 위치에서 규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원심력에 의하여, 롤러가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차단 위치 측으로 이동한 경우여도, 그 롤러의 이동은, 규제부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규제된다. 이 때문에, 원심력에 의하여 롤러가 차단 위치 측으로 이동한 경우여도, 내륜의 회전을 외륜으로 확실히 전달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의도하지 않는 내륜의 공전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규제부는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는, 압박 부재의 제1 단부(端部) 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전달 위치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진다. 이 돌출부에 의하여, 규제부가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출부가 전달 위치 측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 롤러가 차단 위치 측으로 이동한 경우여도, 롤러가 돌출부와 소정의 위치에서 당접(當接)하기 때문에, 그 소정의 위치를 넘어 이동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는, 수용부를 획정(劃定)하는 내주 측 및 외주 측벽부를 가진다. 그리고 외주 측벽부의 전달 위치 측의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주 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롤러가 원심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달 위치와 차단 위치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로터와, 제동 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의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다. 로터는, 회전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다. 제동 부재는, 회전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다.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는, 로터의 회전을 제동 부재로 차단 및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륜은 로터에 취부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터는 보스부를 가지고 있다. 내륜은, 보스부가 계합(係合)하는 관통 구멍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스피닝 릴은, 제동 부재의 회전을 제동 가능한 제동 조작 부재를 더 구비한다. 외륜은 제동 부재에 취부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는 전달 위치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륜의 회전을 외륜으로 확실히 전달할 수 있어, 의도하지 않는 내륜의 공전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로터 내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측면 단면도.
도 4는 롤러 클러치의 정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에 이용되는 롤러 클러치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100)은, 레버 브레이크형의 스피닝 릴이다. 이 스피닝 릴(100)은, 릴 본체(2), 로터(3), 스풀(4), 제동 부재(16), 제동 레버(제동 조작 부재)(17), 및 롤러 클러치(3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는, 수용부(2a)와, 다리부(2b)와, 장대 장착부(2c)를 가지고 있다. 수용부(2a), 다리부(2b), 장대 장착부(2c)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a)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수용부(2a)의 측부는 개구(開口)하고 있다. 이 수용부(2a)의 개구는, 덮개 부재(2d)에 의하여 막혀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a)의 전부(前部)에는, 통상(筒狀)의 취부 부재(2e)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2)의 후부(後部)는, 가드 부재(35)에 의하여 덮여 있다. 다리부(2b)의 전면(前面)에는, 제동 레버(17)를 수납하기 위한 장착 홈(2g)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홈(2g)은,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이 대체로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는, 후술하는 마스터 기어축(10)에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핸들 조립체(1)는, 나사축(37)과, 핸들 암(38)과, 손잡이(39)를 가지고 있다.
나사축(37)은, 그 선단부(先端部)가 마스터 기어축(10)과 나합(螺合)한다. 핸들 암(38)은, 나사축(37)에 대하여 접는 것이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손잡이(39)는, 핸들 암(38)의 선단부에 대하여, 나사축(37)과 평행한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1)는, 도 2에 도시하는 오른쪽 위치와, 그 반대쪽의 왼쪽 위치의 어느 쪽에도 취부 가능하다. 핸들 조립체(1)가 취부된 위치와 반대쪽의 위치의 릴 본체(2)에는 캡 부재(69)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a)의 내부에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oscillating) 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20)는,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4)을 전후(前後)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로터(3)는, 회전축(X) 둘레에 회전 가능하고,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는, 원통부(圓筒部)(3a)와, 제1 및 제2 암부(3b, 3c)를 가지고 있다. 제1 암부(3b)와 제2 암부(3c)는, 원통부(3a)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암부(3b)는, 제2 암부(3c)의 반대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암부(3b)의 선단과 제2 암부(3c)의 선단부에는, 베일 암(9)이 요동(搖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일 암(9)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4)로 안내된다.
도 3은, 로터의 일부의 상세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원통부(3a)는, 전벽(前壁)(3d)을 가지고 있다. 전벽(3d)의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3e)을 가지는 보스부(3f)가 후방(後方)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3e)을, 후술하는 스풀축(8) 및 피니언 기어(12)가 관통하고 있다. 보스부(3f)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계합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계합면이, 후술하는 롤러 클러치(32)의 내륜(32b)의 내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계합면(321b)과 계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은, 로터(3)의 제1 암부(3b)와 제2 암부(3c)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축(8)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 본체(22)와, 드래그 기구(23)와, 지지 부재(24)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22)는, 줄 감기 몸통부(22a)와, 스커트부(22b)와, 플랜지부(22c)를 가지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22a)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22b)는, 줄 감기 몸통부(22a)보다도 대경(大徑)의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줄 감기 몸통부(22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부(22c)는, 줄 감기 몸통부(22a)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23)는 스풀 본체(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23)는, 드래그 손잡이(60)를 가지는 드래그 조정부(57)와, 드래그 조정부(57)에 의하여 압압(押壓)되는 마찰부(58)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조정부(57)는, 스풀축(8)의 선단에 나합하여 드래그력을 조정한다. 마찰부(58)는, 지지 부재(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래그 좌금(座金)과, 지지 부재(24)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래그 좌금을 가지고 있다.
지지 부재(24)는, 스풀축(8)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스풀 본체(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지지 부재(24)는, 원터치 착탈(着脫) 기구(48)에 의하여, 스풀 본체(22) 및 드래그 기구(23)와 함께 스풀축(8)으로부터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구동 기구(5)는, 마스터 기어축(10), 마스터 기어(11), 및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축(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가 취부되어 있고, 핸들 조립체(1)와 일체적(一體的)으로 회전한다. 마스터 기어축(10)은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축(10)은, 수용부(2a)에 취부된 베어링 15a와, 덮개 부재(2d)에 취부된 베어링 15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11)는, 마스터 기어축(10)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마스터 기어축(10)과 함께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부(도 1의 우단부(右端部))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11)와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12)의 전부(도 1의 좌단부(左端部))는 로터(3)의 관통 구멍(3e)을 관통하여 스풀(4)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피니언 기어(12)의 전부에 대하여, 로터(3)는 너트(13)에 의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베어링(14a, 14b, 14c)을 통하여 수용부(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트(13)는, 느슨해짐 방지 부재(36)에 의하여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너트(13)는, 베어링(13a)을 통하여 스풀축(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의 내주면과 스풀축(8)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間隙)이 형성된다. 느슨해짐 방지 부재(36)는, 빠짐 방지 용수철(36a)에 의하여 전벽(3d)에 계지(係止)되어 있다. 또한, 느슨해짐 방지 부재(36)에는, 탄성체에 의하여 형성된 실(seal) 부재(36b)가 장착되어 있다. 이 실 부재(36b)는, 액체가 스풀축(8)과 피니언 기어(12)의 간극으로부터 로터(3)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실레이팅 기구(20)는, 중간 기어(20a)와, 나축(螺軸)(20b)과, 슬라이더(20c)를 가지고 있다. 중간 기어(20a)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나축(20b)은, 중간 기어(20a)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스풀축(8)과 평행한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다. 슬라이더(20c)는, 나축(20b)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이동한다. 이 슬라이더(20c)에 스풀축(8)의 후단부(後端部)가 취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부재(16)는, 대략 원통상(圓筒狀)의 부재이고, 로터(3)의 원통부(3a)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동 부재(16)는, 통상 부재(40)와, 제동 원통(41)을 가지고 있다.
통상 부재(40)는, 외통부(外筒部)(40a)와, 내통부(內筒部)(40b)와, 원판부(圓板部)(40c)를 가지고 있다. 외통부(40a)는, 로터(3)의 원통부(3a) 내에 수용되어 있다. 외통부(40a)는 원통상이고, 로터(3)의 원통부(3a)와 동심(同心)으로 배치되어 있다. 내통부(40b)는, 외통부(40a)보다도 직경이 작은 원통상이고, 외통부(40a)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40b)는, 취부 부재(2e)에 고정된 베어링 멈춤링(54)의 외주면에 대하여, 베어링(14d)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원판부(40c)는, 외통부(40a)와 내통부(40b)를 연결하고 있다.
베어링 멈춤링(54)은, 취부 부재(2e)의 선단부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멈춤링(54)과 피니언 기어(12)의 사이에 베어링(14c)이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14c)은, 피니언 기어(12)를 지지하는 것과 함께, 베어링 멈춤링(54)을 빠짐 방지하는 기능도 완수하고 있다.
제동 원통(41)은 통상 부재(4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동 원통(41)은, 외통부(40a)의 내주면으로부터 내통부(40b)를 거쳐 베어링(14d)의 후면(後面)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14d)의 외륜은, 통상 부재(40)와 제동 원통(41)에 의하여 끼워져 있다.
제동 원통(41)은, 중심 구멍(41b)을 가지는 금속제의 바닥이 있는 통상 부재이고, 원판부(40c)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제동 원통(41)은, 외통부(40a)를 따른 부분의 내주면이 제동면(41a)으로 되어 있다. 이 제동 원통(41)의 제동면(41a)에, 제동 레버(17)의 제동 슈(shoe)(17b)가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제동 부재(16)가 제동된다.
도 4는, 롤러 클러치(32)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 클러치(32)는, 외륜(32a), 내륜(32b), 복수의 롤러(32c), 리테이너(32d), 및 복수의 제1 용수철 부재(압박 부재의 일례)(32e)를 가지고 있다.
외륜(32a)은 제동 부재(16)에 취부된다. 상세하게는, 외륜(32a)은, 제동 부재(16)의 통상 부재(40)에 취부된다. 외륜(32a)은, 대략 원통상이고, 외주면에 복수의 볼록부(321a)를 가지고 있다. 각 볼록부(321a)는, 회전축(X)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볼록부(321a)는, 제동 부재(16)에 형성된 각 오목부와 계합하고 있다. 이 결과, 외륜(32a)은 제동 부재(16)에 취부되고, 외륜(32a)은 제동 부재(16)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외륜(32a)은, 그 내주면에, 복수의 캠면(322a)을 가지고 있다. 각 캠면(322a)은,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둘레 방향을 따라 내경(內徑)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캠면(322a)은, 도 4의 시계 방향을 향하여 회전축(X)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내륜(32b)은, 외륜(32a)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로터(3)에 취부된다. 상세하게는, 내륜(32b)은, 로터(3)의 보스부(3f)에 취부된다. 내륜(32b)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계합면(321b)이 형성되어 있다. 내륜(32b)의 각 계합면(321b)과 보스부(3f)의 계합면이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내륜(32b)은 로터(3)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각 롤러(32c)는 원주상이고, 회전축(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롤러(32c)는, 외륜(32a)과 내륜(32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전달 위치와 차단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덧붙여, 각 롤러(32c)는, 각 제1 용수철 부재(32e)에 의하여, 전달 위치 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각 롤러(32c)가 전달 위치(도 4의 실선으로 기재된 위치)로 이동하면, 외륜(32a)의 캠면(322a)과 내륜(32b)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박힌다. 이 결과, 내륜(32b)의 회전이 외륜(32a)으로 전달된다. 한편, 각 롤러(32c)가 차단 위치(도 4의 이점쇄선으로 기재된 위치)로 이동하면, 외륜(32a)과 내륜(32b)의 사이에서 각 롤러(32c)는 자전(自轉)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내륜(32b)의 회전은 외륜(32a)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내륜(32b)이 도 4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롤러(32c)는 전달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내륜(32b)이 도 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롤러(32c)는 각 제1 용수철 부재(32e)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차단 위치로 이동한다.
리테이너(32d)는, 본체부(321d)와, 복수의 지지부(322d)를 가진다. 또한, 리테이너(32d)는, 서로 이웃하는 각 지지부(322d)의 사이에 있어서 롤러 보지 공간(328d)을 가진다. 각 롤러 보지 공간(328d)에 있어서, 각 롤러(32c)는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되어 있다. 본체부(321d)는, 중앙에 개구를 가지는 원판상이고, 외주부에 있어서 제동 부재(16)에 고정되어 있다.
각 지지부(322d)는, 각 제1 용수철 부재(32e)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본체부(321d)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부(322d)는, 외주 측벽부(323d)와, 내주 측벽부(324d)와, 저벽부(底壁部)(325d)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들 각 벽부(323d 내지 325d)에 의하여, 수용부(326d)가 획정되어 있다. 각 수용부(326d)에는, 각 제1 용수철 부재(32e)가 수용되어 있다. 덧붙여, 각 제1 용수철 부재(32e)는, 수용부(326d)로부터 선단부가 돌출하고 있고, 이 선단부가 각 롤러(32c)를 압압한다.
각 외주 측벽부(323d)는 돌출부(327d)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외주 측벽부(323d)와 돌출부(327d)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외주 측벽부(323d)는, 각 내주 측벽부(324d)와 둘레 방향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같다. 각 돌출부(327d)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각 전달 위치 측으로 돌출한다. 즉, 도 4에 있어서, 돌출부(327d)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 돌출부(327d)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0.8mm 이상 1.2mm 이하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돌출부(327d)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각 롤러(32c)의 중심보다도 외주 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각 롤러(32c)가 원심력 등에 의하여 외주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돌출부(327d)가 본 발명의 규제부에 상당한다. 또한, 직경 방향이란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한 원의 직경 방향을 나타내고, 둘레 방향이란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한 원의 둘레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는,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上側) 단부에 조작부(17a)를 가지고, 하측(下側) 단부에 제동 슈(17b)를 가진다. 이 제동 레버(17)는, 릴 본체(2)의 다리부(2b)에 장착된 지지축(33)에 의하여, 지지축(3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동 레버(17)는, 제2 용수철 부재(19)에 의하여 전방(前方) 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즉, 제동 레버(17)는, 도 1에 있어서, 지지축(3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동 레버(17)를 조작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동 슈(17b)는 제동 부재(16)의 제동면(41a)과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제동 레버(17)를 조작하여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동 슈(17b)가 제동 부재(16)의 제동면(41a)을 압압하고, 제동 부재(16)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피닝 릴(100)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캐스팅(casting) 시에는 베일 암(9)을 줄 개방 자세 측으로 넘어뜨려, 캐스팅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4)의 외주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된다. 줄 감기 시에는, 핸들 조립체(1)를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일 암(9)이 도시하지 않는 되돌림 기구에 의하여 줄 감기 자세로 되돌아온다. 핸들 조립체(1)의 회전력은, 마스터 기어축(10), 마스터 기어(1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를 통하여 로터(3)로 전달된다. 이때 로터(3)는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롤러 클러치(32)의 내륜(32b)의 회전은 외륜(32a)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즉, 로터(3)의 회전은 제동 부재(16)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낚싯줄이 물고기에 의하여 당겨져 로터(3)가 줄 방출 방향으로 역전(逆轉)하면, 롤러 클러치(32)의 내륜(32b)의 회전은 외륜(32a)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로터(3)의 회전이 롤러 클러치(32)를 통하여 제동 부재(16)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제동 레버(17)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제동 부재(16)를 제동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로터(3)의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특징]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롤러 클러치(32)는 다음의 특징을 가진다.
원심력에 의하여, 각 롤러(32c)가 각 제1 용수철 부재(32e)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차단 위치 측으로 이동한 경우여도, 그 각 롤러(32c)의 이동은, 각 돌출부(327d)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규제된다. 즉, 각 롤러(32c)는, 도 4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보다도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원심력에 의하여 차단 위치 측으로 이동한 각 롤러(32c)는 전달 위치로 되돌아오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의도하지 않는 내륜(32b)의 공전을 막을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출부(327d)는 외주 측벽부(323d)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돌출부(327d)는, 내주 측벽부(324d)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32: 롤러 클러치
32a: 외륜
322a: 캠면
32b: 내륜
32c: 롤러
32d: 리테이너
322d: 지지부
323d: 외주 측벽부
324d: 내주 측벽부
327d: 돌출부(규제부)
32e: 제1 용수철 부재

Claims (10)

  1. 회전을 일 방향으로만 전달 가능한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이고,
    경사면으로 구성된 캠면을 포함하는 내주면(內周面)을 가지는 외륜(外輪)과,
    외주면(外周面)을 가지고, 상기 외륜의 내주 측에 배치된 내륜(內輪)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륜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내륜의 상기 외주면과의 사이에 박히는 위치인 전달 위치와, 박히는 것이 해제되는 위치인 차단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롤러와,
    상기 롤러를 상기 전달 위치 측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롤러를 보지(保持)하는 롤러 보지 공간, 및 상기 압박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리테이너(retainer)와,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저항하는 상기 롤러의 이동을 소정의 위치에서 규제하는 규제부
    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압박 부재의 제1 단부(端部) 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달 위치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부를 획정(劃定)하는 내주 측 및 외주 측벽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주 측벽부의 전달 위치 측의 단부에 형성되는,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롤러가 차단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롤러와 당접(當接)하도록 구성되는,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4. 회전축 둘레에 회전 가능한 로터와,
    상기 회전축 둘레에 회전 가능한 제동 부재와,
    상기 로터의 회전을 상기 제동 부재로 차단 및 전달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은 상기 로터에 취부(取付)되는
    스피닝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보스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내륜은 상기 보스부가 계합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스피닝 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의 회전을 제동 가능한 제동 조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륜은 상기 제동 부재에 취부되는
    스피닝 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롤러는 상기 전달 위치에 위치하는 스피닝 릴.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54019A 2013-09-27 2014-05-07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및 스피닝 릴 KR102228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1595 2013-09-27
JP2013201595A JP6227353B2 (ja) 2013-09-27 2013-09-27 釣り用リールのローラクラッチ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365A KR20150035365A (ko) 2015-04-06
KR102228645B1 true KR102228645B1 (ko) 2021-03-17

Family

ID=5158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019A KR102228645B1 (ko) 2013-09-27 2014-05-07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및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37062B2 (ko)
EP (1) EP2853764B1 (ko)
JP (1) JP6227353B2 (ko)
KR (1) KR102228645B1 (ko)
CN (1) CN104514821B (ko)
MY (1) MY177840A (ko)
TW (1) TWI6242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2205B2 (ja) * 2017-03-15 2020-12-16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装置及び自動二輪車
JP6964456B2 (ja) * 2017-07-25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ローラクラッチ
US10881091B2 (en) * 2017-09-19 2021-01-05 Pure Fishing, Inc. Reel drag mechanism
JP6979844B2 (ja) * 2017-10-0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回転伝達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049940B2 (ja) * 2018-06-21 2022-04-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91724B2 (ja) * 2019-02-28 2022-12-19 株式会社スタジオコンポジット 両軸リールのドラグ機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7441A1 (en) 2000-08-03 2002-02-14 Kemp Fred M. Switchable clutch
JP2011202756A (ja) * 2010-03-26 2011-10-13 Ntn Corp 一方向クラッチおよびそのリユー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2840A (en) * 1981-01-12 1983-07-12 Dyneer Corporation Belt tensioner
US4828085A (en) * 1987-11-23 1989-05-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ller clutch with self aligning energizing springs
JPH0746821Y2 (ja) * 1990-08-03 1995-10-25 光洋精工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
US5370330A (en) * 1991-02-28 1994-12-06 Daiwa Seiko, Inc. One-way clutch for a fishing reel with an improved contact surface configuration
JP3170608B2 (ja) * 1992-01-24 2001-05-28 光洋精工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装置
JP2531613Y2 (ja) * 1992-09-08 1997-04-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逆転防止装置
JP2544753Y2 (ja) * 1992-11-30 1997-08-2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3380622B2 (ja) * 1994-06-27 2003-02-2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KR200147440Y1 (ko) * 1994-08-18 1999-06-15 전주범 컨벡션 오븐렌지
US6056222A (en) * 1995-10-08 2000-05-02 Shimano, Inc. Spinning reel anti-reverse device
JP3584592B2 (ja) * 1996-02-07 2004-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一方向クラッチ
US5878972A (en) * 1996-08-29 1999-03-09 Ryobi Ltd. Release preventing device for fishing reel
JPH10276638A (ja) * 1997-04-01 1998-10-20 Ryobi Ltd 魚釣り用リールの回転制動装置
JP3545940B2 (ja) * 1998-07-06 2004-07-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TW440425B (en) 1999-07-14 2001-06-16 Shimano Kk Rotor drive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JP2001059530A (ja) * 1999-08-19 2001-03-06 Nsk Warner Kk ワンウェイクラッチ
US20020063180A1 (en) * 2000-10-16 2002-05-30 Daiwa Seiko, Inc. Reversed rotation preventive device
US20030146321A1 (en) * 2002-02-06 2003-08-07 Liang-Jen Chang One-way clutch for a fishing spool
US6997295B2 (en) * 2002-07-03 2006-02-14 Pederson Jack E Clutch having elements capable of independent operation
JP4901500B2 (ja) * 2007-01-23 2012-03-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軸支持構造
JP5153269B2 (ja) * 2007-09-05 2013-02-27 株式会社シマノ ローラクラッチ
JP5590986B2 (ja) * 2010-06-23 2014-09-1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7441A1 (en) 2000-08-03 2002-02-14 Kemp Fred M. Switchable clutch
JP2011202756A (ja) * 2010-03-26 2011-10-13 Ntn Corp 一方向クラッチおよびそのリユー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14821B (zh) 2019-04-02
EP2853764A1 (en) 2015-04-01
JP2015065840A (ja) 2015-04-13
US9737062B2 (en) 2017-08-22
MY177840A (en) 2020-09-23
CN104514821A (zh) 2015-04-15
TWI624223B (zh) 2018-05-21
KR20150035365A (ko) 2015-04-06
US20150090821A1 (en) 2015-04-02
JP6227353B2 (ja) 2017-11-08
EP2853764B1 (en) 2018-09-12
TW201511677A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645B1 (ko)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및 스피닝 릴
KR101408081B1 (ko) 롤러 클러치
KR102502467B1 (ko) 양 베어링 릴
CN107125219B (zh) 双轴承渔线轮
CN107801700B (zh) 双轴承绕线轮
EP2880975B1 (en) Spinning reel
KR102491582B1 (ko) 듀얼 베어링 릴
EP2810557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and a braking operation lever for the rotor braking device
TW201641017A (zh) 雙軸承捲線器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438981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876159B2 (ja) 両軸受リール
US9560841B2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and a braking operation lever for the rotor braking device
JP2009153496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911077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