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526B1 -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526B1
KR102225526B1 KR1020190088117A KR20190088117A KR102225526B1 KR 102225526 B1 KR102225526 B1 KR 102225526B1 KR 1020190088117 A KR1020190088117 A KR 1020190088117A KR 20190088117 A KR20190088117 A KR 20190088117A KR 102225526 B1 KR102225526 B1 KR 102225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ane
metal
metal plane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181A (ko
Inventor
겐타 아시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정규의 감합위치에 도달한 것을 작업자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커넥터 조립체(10)는, 제1금속부재(700)를 구비하는 제1커넥터(500)와, 제2절연체(200) 및 제2금속부재(300)를 구비하는 제2커넥터(100)를 구비하고 있다.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부재(700)의 제1금속평면(710)은, 제2금속부재(300)의 제2금속평면(310) 및 제2절연체(200)의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의 각각과 제1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다.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부터 제2금속평면(310)까지의 거리는, 제1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부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까지의 거리보다 짧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組立體)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33 및 도34를 참조하면, 특허문헌1에는, 제1커넥터(第1connector)(950)와, 제2커넥터(第2connector)(910)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제1커넥터(950)는, Z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910)에 대하여 감합(嵌合) 및 발거(拔去) 가능한 것이다. 제1커넥터(950)는, 제1절연체(第1絶緣體)(952)와, 제1금속부재(第1金屬部材)(956)를 구비하고 있다. 제1금속부재(956)는 제1절연체(952)에 지지되어 있다. 제2커넥터(910)는, 제2절연체(第2絶緣體)(912)와, 제2금속부재(第2金屬部材)(916)를 구비하고 있다. 제2금속부재(916)는 제2절연체(912)에 지지되어 있다. 제1커넥터(950) 및 제2커넥터(910)는, 각각 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탑재되어서 사용된다. 즉 제1커넥터(950) 및 제2커넥터(910)는, 기판 대 기판(基板 對 基板)의 커넥터 조립체이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07557호 공보
특허문헌1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950)와 제2커넥터(910)를 서로 감합시킨 경우, 제1커넥터(950)와 제2커넥터(910)가 정규의 감합위치(嵌合位置)에 도달한 것인가 아닌가를 작업자는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정규의 감합위치에 도달한 것을 작업자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 조립체로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이고,
상기 제1커넥터는,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커넥터에 대하여 감합 및 발거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1커넥터는, 제1절연체와, 제1금속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금속부재는, 상기 제1절연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금속부재는, 제1금속평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절연체와, 제2금속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절연체는,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제2금속부재는, 상기 제2절연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금속부재는, 제2금속평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제2금속평면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평면은, 상기 제2금속평면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의 각각과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고,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상기 제2금속평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상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커넥터 조립체로서, 제1커넥터 조립체이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은 2개 있고,
상기 제2금속평면은,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절연평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금속평면은,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평면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 있고,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평면은, 상기 제2금속평면 및 2개의 상기 절연평면의 각각과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고,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상기 제2금속평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일방의 상기 절연평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타방의 상기 절연평면까지의 거리의 어느 것보다 짧은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커넥터 조립체로서, 제2커넥터 조립체이고,
상기 제1금속평면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3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평면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커넥터 조립체로서, 제2커넥터 조립체이고,
상기 제2절연체는, 2개의 부가적 절연평면을 더 갖고 있고,
상기 제2금속평면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3방향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부가적 절연평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커넥터를 본 경우에, 상기 제2금속평면은, 상기 절연평면과 상기 부가적 절연평면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고,
상기 제1금속평면은, 상기 제3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평면 이상의 사이즈를 갖고 있고,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평면은, 또한 2개의 상기 부가적 절연평면의 각각과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고,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상기 제2금속평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일방의 상기 부가적 절연평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타방의 상기 부가적 절연평면까지의 거리의 어느 것보다 짧은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커넥터 조립체로서, 제1부터 제4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 조립체이고,
상기 제1금속평면은,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 감합할 때에,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평면에 맞부딪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커넥터 조립체로서, 제5커넥터 조립체이고,
상기 감합할 때에,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할 때에,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에 대한 삽입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넘어서 삽입된 후에, 상기 제2금속평면에 대하여 상기 제1금속평면에서 맞부딪치고,
상기 감합은, 상기 맞부딪치는 시점에서 완료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커넥터 조립체로서, 제6커넥터 조립체이고,
상기 제1커넥터는, 적어도 1개의 제1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절연체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단자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적어도 1개의 제2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절연체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단자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감합할 때에,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의 접촉상태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삽입력이 변화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8커넥터 조립체로서, 제6커넥터 조립체이고,
상기 제1커넥터는, 적어도 1개의 제1단자와, 적어도 1개의 제1부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절연체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단자와,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부가부재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적어도 1개의 제2단자와, 적어도 1개의 제2부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절연체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단자와,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부가부재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감합할 때에, 상기 제1부가부재와 상기 제2부가부재의 접촉상태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삽입력이 변화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9커넥터 조립체로서, 제8커넥터 조립체이고,
상기 제1금속부재는, 상기 제1부가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제2금속부재는, 상기 제2부가부재를 갖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0커넥터 조립체로서, 제1부터 제9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 조립체이고,
상기 제1커넥터는, 제1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회로기판과 다른 제2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커넥터로서, 제1부터 제10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1커넥터로서 사용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커넥터로서, 제1부터 제10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2커넥터로서 사용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은, 제2금속평면 및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의 각각과 제1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고, 또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부터 제2금속평면까지의 거리는, 제1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부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서로 감합시켰을 때에 제1금속평면과 제2금속평면이 면끼리 확실하게 맞부딪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서로 감합시킨 경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감합이 완료되면, 제1금속평면과 제2금속평면이 맞부딪쳐서 비교적 큰 금속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 금속음을 귀로 인식함으로써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정규의 감합위치에 도달한 것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효과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특히 유익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커넥터에 관하여는 제1금속부재의 개략적인 형상만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3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별도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커넥터 조립체를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회로기판 및 제2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5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커넥터 조립체를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제1회로기판 및 제2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7은, 도5의 커넥터 조립체를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회로기판 및 제2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8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제1커넥터를 D-D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11은, 도8의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12는, 도11의 제1커넥터를 E-E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13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의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5는, 도14의 제2커넥터를 F-F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2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16은, 도13의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7은, 도16의 제2커넥터를 G-G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2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18은, 도16의 제2커넥터를 H-H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2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20은, 도19의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22는, 도2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커넥터에 관하여는 제1금속부재의 개략적인 형상만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23은, 도2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별도의 평면도이다.
도24는, 도23의 커넥터 조립체를 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제1회로기판 및 제2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25는, 도21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26은, 도25의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27은, 도26의 제1커넥터를 J-J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28은, 도21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29는, 도28의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0은, 도29의 제2커넥터를 K-K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2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31은, 도28의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2는, 도31의 제2커넥터를 L-L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2회로기판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33은, 특허문헌1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제1커넥터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34는, 특허문헌1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제2커넥터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제1실시형태)
도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組立體)(10)는, 제1커넥터(第1connector)(500)와, 제2커넥터(第2connector)(100)를 구비하고 있다.
도1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1커넥터(500)는, 제1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100)에 대하여 감합(嵌合) 및 발거(拔去) 가능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방향은 상하방향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하방향은 Z방향으로 나타난다. 특히 상방을 +Z방향, 하방을 -Z방향으로 한다.
도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커넥터(500)는, 제1회로기판(第1回路基板)(850)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커넥터(500)는, 제1절연체(第1絶緣體)(600)와, 2개의 제1금속부재(第1金屬部材)(700)와, 복수의 제1단자(第1端子)(8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단자(800)는 적어도 1개 있으면 좋다. 또한 제1커넥터(500)는, 제1절연체(600)와, 제1금속부재(700)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즉 제1커넥터(500)는 제1단자(800)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도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절연체(600)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면부(上面部)(610)와, 제1주벽부(第1主壁部)(620)와, 섬모양부 수용부(島狀部 收容部)(640)를 갖고 있다.
도9, 도10 및 도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상면부(610)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平板 形狀)을 갖고 있고, 제1절연체(600)의 상단(上端)을 규정하고 있다.
도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주벽부(620)는, 상하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사각형 형상의 외주를 갖고 있다. 제1주벽부(620)는, 2개의 제1장벽부(622)(第1長壁部)와, 2개의 제1단벽부(第1短壁部)(626)를 갖고 있다.
도9 및 도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장벽부(622)는, 제2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對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방향은 Y방향이다. 제1장벽부(622)의 상단은 상면부(610)와 연결되어 있다. 제1장벽부(622)는, 제1금속부재(700)와 인접하는 인접부(隣接部)(623)를 갖고 있다.
도9 및 도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단벽부(626)는, 제3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방향은 X방향이다. 제1단벽부(626)의 상단은 상면부(610)와 연결되어 있다. 제1단벽부(626)의 제2방향 양단은 제1장벽부(622)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단벽부(626)의 하단은, 제1장벽부(622)의 하단과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1단벽부(626)는, 제1금속부재(700)와 인접하는 인접부(627)를 갖고 있다.
도9, 도10 및 도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섬모양부 수용부(64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단이 개구한 오목부이다. 즉 섬모양부 수용부(640)는 상방으로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 상면부(610)는 섬모양부 수용부(640)의 상단을 규정하고 있다. 섬모양부 수용부(640)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제1주벽부(620)에 의하여 포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은 XY평면이다.
도8부터 도12까지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부재(700)는, 제1절연체(600)에 지지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제1금속부재(700)는, 제1절연체(600)의 제3방향 양단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도8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부재(7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금속평면(第1金屬平面)(710)과, 제1부가부재(第1附加部材)(770)와,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第1金屬部材 被固定部)(740)를 갖고 있다.
도9, 도10 및 도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평면(710)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다. 제1금속평면(710)은, 제1절연체(600)의 제1주벽부(620)의 제1장벽부(622)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제1금속평면(710)은, 제1절연체(600)의 제1주벽부(620)의 제1단벽부(626)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은, 제1절연체(600)의 인접부(623) 중 제1금속평면(710)과 접하고 있는 부분(624)의 하단과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은, 제1절연체(600)의 인접부(627) 중 제1금속평면(710)과 접하고 있는 부분(628)의 하단과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은, 제1절연체(600)의 인접부(623) 중 제1금속평면(710)과 접하고 있는 부분(624)의 하단과 같은 위치가 아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은, 제1절연체(600)의 인접부(627) 중 제1금속평면(710)과 접하고 있는 부분(628)의 하단과 같은 위치가 아니어도 좋다.
도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부가부재(770)는, 연결부(720)와, 측면부(730)를 갖고 있다.
도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결부(720)의 제3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은, R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연결부(720)의 외면은 R면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720)는 제1금속평면(710)과 측면부(730)를 연결하고 있다. 도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부(720)는, 단부(722)를 갖고 있다. 단부(722)는 연결부(720)의 상단이다.
도6 및 도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측면부(730)는, 제2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측면부(730)는, 제1절연체(600)의 제1주벽부(620)의 제1장벽부(622)의 제2방향 외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740)는, 제1커넥터(500)를 제1회로기판(850)에 고정하였을 때에, 제1회로기판(850) 상의 회로패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납땜되는 것이다. 도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740)는, 제1절연체(600)의 제1주벽부(620)의 제1장벽부(622)로부터 제2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740)의 외단은, 제1절연체(600)의 상면부(610)의 외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740)의 상단은, 제1절연체(600)의 상면부(610)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8부터 도12까지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단자(800)는, 제1절연체(600)에 지지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제1단자(800)는, 제1절연체(600)의 제1주벽부(620)의 제1장벽부(622)에 지지되어 있다. 즉 제1절연체(600)는 복수의 제1단자(800)를 지지하고 있다.
도1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단자(800)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외측 접촉부(810)와, 제1내측 접촉부(820)와, 제1피고정부(830)와, 단차부(840)와, 곡부(844)를 갖고 있다.
도8 및 도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외측 접촉부(810)는, 제1절연체(600)의 제1주벽부(620)의 제1장벽부(622)의 제2방향 외면 상에 노출되어 있다.
도10 및 도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내측 접촉부(820)는, 제1절연체(600)의 제1주벽부(620)의 제1장벽부(622)의 제2방향 내면 상에 노출되어 있다. 즉 제1내측 접촉부(820)는, 제1절연체(600)의 섬모양부 수용부(640) 내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다. 제1내측 접촉부(820)는, 제2방향에 있어서 제1외측 접촉부(8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1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피고정부(830)는, 제1커넥터(500)를 제1회로기판(850)에 고정하였을 때에, 제1회로기판(850) 상의 회로패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납땜되는 것이다. 제1피고정부(830)는, 제1절연체(600)의 제1주벽부(620)의 제1장벽부(622)로부터 제2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피고정부(830)의 외단은, 제1절연체(600)의 상면부(610)의 외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피고정부(830)의 상단은, 제1절연체(600)의 상면부(610)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단차부(840)는, 제1외측 접촉부(810)로부터 제2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차부(840)의 제2방향 내단은 제1외측 접촉부(810)와 연결되어 있다. 단차부(840)의 제2방향 외단은, 제1단자(800)의 제2방향에 있어서 최외단(最外端)이다.
도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곡부(844)는, 단차부(840)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곡부(844)는, 단차부(840)의 제2방향 외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곡부(844)의 상단은 단차부(840)의 제2방향 외단이다.
도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2커넥터(100)는, 제1회로기판(850)과 다른 제2회로기판(第2回路基板)(450)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2커넥터(100)는, 제2절연체(第2絶緣體)(200)와, 2개의 제2금속부재(第2金屬部材)(300)와, 복수의 제2단자(第2端子)(4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단자(400)는 적어도 1개 있으면 좋다. 또한 제2커넥터(100)는, 제2절연체(200)와, 제2금속부재(300)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즉 제2커넥터(100)는, 제2단자(400)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도1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2절연체(200)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바닥면부(205)와, 제2주벽부(230)와, 제1주벽부 수용부(238)와, 섬모양부(島狀部)(240)를 갖고 있다.
도15, 도17 및 도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바닥면부(205)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고, 제2절연체(200)의 하단을 규정하고 있다.
도14 및 도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바닥면부(205)는, 2개의 절연평면(絶緣平面)(210)과, 2개의 경계부분(212)과, 2개의 절연평면(220)과, 2개의 경계부분(222)을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2절연체(200)는 2개의 절연평면(210, 2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절연체(200)는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 220)을 갖고 있으면 좋다.
도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절연평면(210, 220)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다. 도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절연평면(210, 220)은, 바닥면부(205)의 제3방향 양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절연평면(210)은, 제2방향에 있어서 절연평면(220)의 +Y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14 및 도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계부분(212)은, 절연평면(210)의 제2방향 내단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계부분(222)은, 절연평면(220)의 제2방향 내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주벽부(230)는, 상하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사각형 형상의 외주를 갖고 있다. 절연평면(210, 220)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제2주벽부(230)에 의하여 포위되어 있다. 제2주벽부(230)는, 2개의 제2장벽부(232)와, 2개의 제2단벽부(236)를 갖고 있다.
도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장벽부(232)는, 제2주벽부(230)의 제2방향 외단을 규정하고 있다. 제2장벽부(232)의 하단은 바닥면부(205)와 연결되어 있다.
도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단벽부(236)는, 제2주벽부(230)의 제3방향 외단을 규정하고 있다. 제2단벽부(236)의 하단은 바닥면부(205)와 연결되어 있다. 도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단벽부(236)의 제2방향 양단은, 제2장벽부(232)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주벽부 수용부(238)는, 상단이 개구한 오목부이다. 즉 제1주벽부 수용부(238)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으로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 도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절연평면(210, 220)은, 제1주벽부 수용부(238) 내에 위치하고 있다. 바닥면부(205)는 제1주벽부 수용부(238)의 하단을 규정하고 있다. 제1주벽부 수용부(238)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제2주벽부(230)에 의하여 포위되어 있다.
도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섬모양부(240)는, 바닥면부(20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섬모양부(240)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제1주벽부 수용부(238)에 의하여 포위되어 있다. 즉 섬모양부(240)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제2주벽부(230)에 의하여 제1주벽부 수용부(238)를 사이에 두고 포위되어 있다. 섬모양부(240)는, 제3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절연평면(21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섬모양부(240)는, 제3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절연평면(2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1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부재(3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2절연체(200)에 지지되어 있다.
도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부재(300)는, 주 피지지부(主 被支持部)(320)와, 접속부(接續部)(330)와, 제2금속평면(第2金屬平面)(310)과, 보조적 피지지부(補助的 被支持部)(340)를 갖고 있다.
도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주 피지지부(320)는, 제2절연체(200)의 제2주벽부(230)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주 피지지부(320)는, 장벽측 피지지부(322)와, 단벽측 피지지부(326)를 갖고 있다.
도13 및 도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장벽측 피지지부(322)는, 제2절연체(200)의 제2주벽부(230)의 제2장벽부(232)에 지지되어 있다. 장벽측 피지지부(322)는, 탄성변형부(360)와, 제2부가부재(第2附加部材)(370)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부재(300)는 제2부가부재(370)를 갖고 있다.
도13부터 도15까지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탄성변형부(360)는, 제3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3방향 외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탄성변형부(360)는, 제2방향에 있어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13 및 도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부가부재(370)는, 제2절연체(200)에 지지되어 있다. 제2부가부재(370)는, 탄성변형부(360)로부터 제2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360)는 제2방향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2부가부재(370)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감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2부가부재(370)는, 제1주벽부 수용부(238)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2부가부재(370)는 접촉면(372)을 갖고 있다. 접촉면(372)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 및 제2방향의 쌍방과 교차하는 면이다. 접촉면(372)은, 탄성변형부(360)로부터 하방 또는 제2방향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접촉면(372)은 내단(374)을 갖고 있다. 내단(374)은, 접촉면(372)의 제2방향에 있어서의 최내단(最內端)이다.
도13부터 도15까지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단벽측 피지지부(326)는, 제2절연체(200)의 제2주벽부(230)의 제2단벽부(236)에 지지되어 있다.
도13부터 도15까지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접속부(330)는, 주 피지지부(320)의 단벽측 피지지부(326)의 제3방향 내단으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330)는, 주 피지지부(320)와 제2금속평면(310)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즉 접속부(330)는, 주 피지지부(320)의 단벽측 피지지부(326)의 제3방향 내단과, 제2금속평면(310)의 제3방향 외단을 접속하고 있다.
도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평면(310)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다. 제2금속평면(310)은, 제2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절연평면(210, 220)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금속평면(310)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 220)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도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평면(310)은, 제2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절연평면(210, 2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 제2금속평면(310)은, 제2방향에 있어서 2개의 경계부분(212, 22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금속평면(310)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절연평면(210, 220)의 어느 것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평면(310)은, 제2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의 사이즈(size)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평면(710)은, 제2방향에 있어서 제2금속평면(310)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 있다.
도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평면(310)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 및 제2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3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평면(710)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 및 제2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3방향에 있어서, 제2금속평면(310)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고 있다.
도14 및 도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조적 피지지부(340)는, 제2금속평면(310)의 제3방향 내단으로부터 제3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조적 피지지부(340)는 제2절연체(200)의 섬모양부(240)에 지지되어 있다. 즉 보조적 피지지부(340)의 제3방향 내단 및 그 근방은, 제2절연체(200)의 섬모양부(240)에 지지되어 있다.
도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단자(400)는, 제2절연체(200)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2단자(400)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2외측 접촉부(410)와, 제2내측 접촉부(420)와, 제2피고정부(430)를 갖고 있다.
도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외측 접촉부(410)는, 제2절연체(200)의 제2주벽부(230)의 제2장벽부(232)로부터 제2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외측 접촉부(410)는, 제2절연체(200)의 제1주벽부 수용부(238) 내에 노출되어 있다. 제2외측 접촉부(410)는 내단(412)을 갖고 있다. 내단(412)은, 제2외측 접촉부(410)의 제2방향에 있어서의 최내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내측 접촉부(420)는, 제2절연체(200)의 섬모양부(240)로부터 제2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내측 접촉부(420)는 제2절연체(200)의 제1주벽부 수용부(238) 내에 노출되어 있다. 제2내측 접촉부(420)는, 제2방향에 있어서 제2외측 접촉부(4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1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2피고정부(430)는, 제2커넥터(100)를 제2회로기판(450)에 고정하였을 때에, 제2회로기판(450) 상의 회로패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납땜되는 것이다. 제2피고정부(430)는 제2외측 접촉부(410)로부터 제2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피고정부(430)의 외단은, 제2절연체(200)의 바닥면부(205)의 외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피고정부(430)의 하단은, 제2절연체(200)의 바닥면부(205)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에 있어서의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의 감합조작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4, 도10 및 도15을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의 제1절연체(600)의 섬모양부 수용부(640)와 제2커넥터(100)의 제2절연체(200)의 섬모양부(240)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제1커넥터(500) 및 제2커넥터(100)를 위치결정한다. 이 때, 제1커넥터(500)의 제1금속부재(700)의 제1금속평면(710)과 제2커넥터(100)의 제2금속부재(300)의 제2금속평면(310)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상기 위치결정 후에,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까이 하도록 이동시키고, 제1커넥터(500)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에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이 때, 제1커넥터(500)의 제1주벽부(620)는, 제2커넥터(100)의 제1주벽부 수용부(238)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제2커넥터(100)의 제2절연체(200)의 섬모양부(240)는, 제1커넥터(500)의 제1절연체(600)의 섬모양부 수용부(64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더 가까이 하면, 도7, 도12 및 도18을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의 제1단자(800)의 제1내측 접촉부(820)는, 제2커넥터(100)의 제2단자(400)의 제2내측 접촉부(420)와 상하방향에 있어서 접촉하고, 제1커넥터(500)의 제2커넥터(100)에 대한 삽입에 있어서 삽입력이 부여된다.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를 상하방향에 더 가까이 하도록 커넥터 조립체(10)에 힘을 가하면, 제1커넥터(500)의 제1단자(800)의 곡부(844)는, 제2커넥터(100)의 제2단자(400)의 제2외측 접촉부(410)와 접촉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곡부(844)의 상단은, 제2커넥터(100)의 제2단자(400)의 제2외측 접촉부(410)의 내단(412)과 제2방향에 있어서 접촉한다. 이 접촉의 시점에 있어서 제1커넥터(500)의 제2커넥터(100)에 대한 삽입력은 최대가 된다.
상기 접촉 후에,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더 가까이 하도록 커넥터 조립체(10)에 힘을 계속해서 가하면, 제1커넥터(500)의 제1단자(800)의 단차부(840)는, 제2커넥터(100)의 제2단자(400)의 제2외측 접촉부(410)의 내단(412)을 타고 넘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커넥터(500)의 제1단자(800)의 제1외측 접촉부(810)는, 제2커넥터(100)의 제2단자(400)의 제2외측 접촉부(410)와 제2방향에 있어서 접촉한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500)의 제1단자(800)의 단차부(840)가 제2커넥터(100)의 제2단자(400)의 제2외측 접촉부(410)의 내단(412)을 타고 넘은 시점 이후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500)의 제2커넥터(100)에 대한 삽입력은 감소한다.
즉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를 감합할 때에, 제1단자(800)와 제2단자(400)의 접촉상태가 변화됨으로써 제1커넥터(500)의 제2커넥터(100)에 대한 삽입력이 변화된다.
상기 타고 넘은 후에,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더 가까이 하도록 커넥터 조립체(10)에 힘을 계속해서 가하면, 제1커넥터(500)의 제1금속부재(700)의 제1금속평면(710)은, 제2커넥터(100)의 제2금속부재(300)의 제2금속평면(310)에 대하여 맞부딪치고,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의 감합이 완료되어서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는 감합상태가 된다. 즉 제1커넥터(500)의 제1금속부재(700)의 제1금속평면(710)은, 제1커넥터(500)가 제2커넥터(100)와 감합할 때에,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의 제2금속부재(300)의 제2금속평면(310)에 맞부딪친다. 여기에서 제1금속평면(710)이 제2금속평면(310)에 대하여 맞부딪칠 때에, 비교적 큰 금속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 금속음을 귀로 인식함으로써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정규의 감합위치에 도달한 것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를 감합할 때에 제1커넥터(500)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 삽입할 때에 제1커넥터(500)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에 대한 삽입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넘어서 삽입된 후에, 제2금속평면(310)에 대하여 제1금속평면(710)에서 맞부딪친다. 또한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의 감합은, 제1금속평면(710)이 제2금속평면(310)에 대하여 맞부딪치는 시점에서 완료하고 있다.
제1회로기판(850)에 고정된 제1커넥터(500)와 제2회로기판(450)에 고정된 제2커넥터(100)를 서로 감합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500)의 제2커넥터(100)로의 삽입상태를 작업자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의 감합이 완료된 것을, 제1금속평면(710)의 제2금속평면(310)에 대한 맞부딪침에 의하여 발생하는 금속음에 의하여, 작업자는 귀로 인식할 수 있다. 즉 금속음에 의하여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의 감합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는 상기의 효과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를 기판 대 기판(基板 對 基板)의 커넥터 조립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도2 및 도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은, 제2금속평면(310) 및 2개의 절연평면(210, 220)의 각각과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은, 제2금속평면(310) 및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 220)의 각각과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도2 및 도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은, 제2방향에 있어서의 제2금속평면(310)과 2개의 절연평면(210, 220)의 경계부분(212, 222)을 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금속평면(710)은, 제2방향에 있어서의 제2금속평면(310)과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 220)의 경계부분(212, 222)을 넘고 있으면 좋다.
게다가, 도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부터 제2금속평면(310)까지의 거리(D1)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부터 일방(一方)의 절연평면(210)까지의 거리(D2) 및 제1금속평면(710)부터 타방(他方)의 절연평면(220)까지의 거리(D3)의 어느 것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부터 제2금속평면(310)까지의 거리(D1)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부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 220)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되어 있으면 좋다.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과 제2금속평면(310)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또한 서로 접하고 있어도 좋다. 즉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과 제2금속평면(310)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떨어져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서는, 제1금속평면(710)과 제2금속평면(310)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하고 있다.
도3, 도7, 도8 및 도14를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500)의 제1금속부재(700)의 제1부가부재(770)의 측면부(730)와 제2커넥터(100)의 제2금속부재(300)의 제2부가부재(370)의 접촉면(372)의 내단(374)은 제2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고, 제1커넥터(500)의 제1단자(800)와 제2커넥터(100)의 제2단자(400)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제2실시형태)
도1, 도19 및 도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도1을 참조)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19 및 도20에 나타나는 구성요소 중에,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위 및 방향은, 제1실시형태의 것과 같은 표현을 이하에서 사용한다.
도1, 도19 및 도20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제2커넥터(100)는, 제1실시형태의 제2커넥터(100)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 및 도19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1커넥터(500A)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100)에 대하여 감합 및 발거 가능한 것이다.
도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1커넥터(500A)는, 제1회로기판(850)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1커넥터(500A)는, 제1절연체(600A)와, 2개의 제1금속부재(700A)와, 복수의 제1단자(8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단자(800)는, 제1실시형태의 제1단자(800)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단자(800)는 적어도 1개 있으면 좋다. 또한 제1커넥터(500A)는, 제1절연체(600A)와, 제1금속부재(700A)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즉 제1커넥터(500A)는, 제1단자(800)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도19 및 도2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절연체(600A)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면부(610)와, 제1주벽부(620A)와, 섬모양부 수용부(640)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제1주벽부(620A)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제1절연체(60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1주벽부(620A)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주벽부(620A)는, 상하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사각형 형상의 외주를 갖고 있다. 제1주벽부(620A)는, 2개의 제1장벽부(622A)와, 2개의 제1단벽부(626A)를 갖고 있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장벽부(622A)는, 제2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1장벽부(622A)의 상단은 상면부(610)와 연결되어 있다. 제1장벽부(622A)는, 제1금속부재(700A)와 인접하는 인접부(623)를 갖고 있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단벽부(626A)는, 제3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1단벽부(626A)의 상단은 상면부(610)와 연결되어 있다. 제1단벽부(626A)의 제2방향 양단은 제1장벽부(622A)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단벽부(626A)의 하단은, 제1장벽부(622A)의 하단과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1단벽부(626A)는, 제1금속부재(700A)와 인접하는 인접부(627)를 갖고 있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부재(700A)는, 제1절연체(600A)에 지지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제1금속부재(700A)는, 제1절연체(600A)의 제3방향 양단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도19 및 도2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부재(700A)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금속평면(710)과, 제1부가부재(770A)와,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740)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제1부가부재(770A)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제1금속부재(70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1부가부재(770A)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부가부재(770A)는, 연결부(720A)와, 측면부(730A)를 갖고 있다.
도19 및 도2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연결부(720A)의 제3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은, R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연결부(720A)의 외면은 R면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720A)는 제1금속평면(710)과 측면부(730A)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720A)는 단부(722A)를 갖고 있다. 단부(722A)는 연결부(720A)의 상단이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측면부(730A)는, 제2방향 외측으로 향하고 있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측면부(730A)는, 오목부(732)를 갖고 있다. 오목부(732)는 제2방향 내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 오목부(732)의 하단은 연결부(720A)의 단부(722A)이다. 오목부(732)는, 제2방향 외측으로 향한 내면(734)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의 감합조작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13, 도19 및 도20을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A)의 제1절연체(600A)의 섬모양부 수용부(640)와 제2커넥터(100)의 제2절연체(200)의 섬모양부(240)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제1커넥터(500A) 및 제2커넥터(100)를 위치결정한다. 이 때, 제1커넥터(500A)의 제1금속부재(700A)의 제1금속평면(710)과 제2커넥터(100)의 제2금속부재(300)의 제2금속평면(310)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상기 위치결정 후에,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까이 하도록 이동시키고, 제1커넥터(500A)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에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이 때, 제1커넥터(500A)의 제1절연체(600A)의 제1주벽부(620A)는, 제2커넥터(100)의 제1주벽부 수용부(238)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제2커넥터(100)의 제2절연체(200)의 섬모양부(240)는, 제1커넥터(500A)의 제1절연체(600A)의 섬모양부 수용부(64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더 가까이 하면, 제1커넥터(500A)의 연결부(720A)는, 제2커넥터(100)의 접촉면(372)과 상하방향에 있어서 접촉하고, 제1커넥터(500A)의 제2커넥터(100)에 대한 삽입에 있어서 삽입력이 부여된다.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를 상하방향으로 더 가까이 하도록 커넥터 조립체에 힘을 가하면, 제1커넥터(500A)의 연결부(720A)는, 제2커넥터(100)의 제2부가부재(370)를 제2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커넥터(500A)의 단부(722A)는, 제2커넥터(100)의 내단(374)(도15를 참조)과 제2방향에 있어서 접촉한다. 이 접촉의 시점에 있어서 제1커넥터(500A)의 제2커넥터(100)에 대한 삽입력은 최대가 된다.
상기 접촉 후에,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더 가까이 하도록 커넥터 조립체에 힘을 계속해서 가하면, 제1커넥터(500A)의 단부(722A)가 제2커넥터(100)의 내단(374)을 타고 넘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2커넥터(100)의 제2부가부재(370)는 제1커넥터(500A)의 오목부(732)에 수용된다. 이 때, 제2커넥터(100)의 내단(374)은, 제1커넥터(500A)의 내면(734)과 제2방향에 있어서 접촉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500A)의 단부(722A)가 제2커넥터(100)의 내단(374)을 타고 넘은 시점 이후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500A)의 제2커넥터(100)에 대한 삽입력은 감소한다.
즉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를 감합할 때에, 제1부가부재(770A)와 제2부가부재(370)의 접촉상태가 변화됨으로써, 제1커넥터(500A)의 제2커넥터(100)에 대한 삽입력이 변화된다.
상기 수용 후에,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더 가까이 하도록 커넥터 조립체에 힘을 계속해서 가하면, 제1커넥터(500A)의 제1금속부재(700A)의 제1금속평면(710)은, 제2커넥터(100)의 제2금속부재(300)의 제2금속평면(310)에 대하여 맞부딪치고,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의 감합이 완료되어서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는 감합상태가 된다. 즉 제1커넥터(500A)의 제1금속부재(700A)의 제1금속평면(710)은, 제1커넥터(500A)가 제2커넥터(100)와 감합할 때에,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의 제2금속부재(300)의 제2금속평면(310)에 맞부딪친다. 여기에서 제1금속평면(710)이 제2금속평면(310)에 대하여 맞부딪칠 때에, 비교적 큰 금속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 금속음을 귀로 인식함으로써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가 정규의 감합위치에 도달한 것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를 감합할 때에 제1커넥터(500A)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 삽입할 때에 제1커넥터(500A)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에 대한 삽입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넘어서 삽입된 후에, 제2금속평면(310)에 대하여 제1금속평면(710)에서 맞부딪친다. 또한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의 감합은, 제1금속평면(710)이 제2금속평면(310)에 대하여 맞부딪치는 시점에서 완료하고 있다.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와 동일하게, 금속음에 의해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의 감합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는 상기의 효과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를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도2 및 도19을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은, 제2금속평면(310) 및 2개의 절연평면(210, 220)의 각각과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은, 제2금속평면(310) 및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 220)의 각각과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도2 및 도19을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은, 제2방향에 있어서의 제2금속평면(310)과 2개의 절연평면(210, 220)의 경계부분(212, 222)을 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금속평면(710)은, 제2방향에 있어서의 제2금속평면(310)과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 220)의 경계부분(212, 222)을 넘고 있으면 좋다.
게다가, 도6를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부터 제2금속평면(310)까지의 거리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부터 일방의 절연평면(210)까지의 거리 및 제1금속평면(710)부터 타방의 절연평면(220)까지의 거리의 어느 것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부터 제2금속평면(310)까지의 거리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부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 220)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되어 있으면 좋다.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과 제2금속평면(310)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또한 서로 접하고 있어도 좋다. 즉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과 제2금속평면(310)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떨어져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6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서는, 제1금속평면(710)과 제2금속평면(310)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하고 있다.
도3, 도7, 도14, 도19 및 도20을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A)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500A)의 제1금속부재(700A)의 제1부가부재(770A)의 측면부(730A)의 오목부(732)의 내면(734)과 제2커넥터(100)의 제2금속부재(300)의 제2부가부재(370)의 접촉면(372)의 내단(374)은 제2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고, 제1커넥터(500A)의 제1단자(800)와 제2커넥터(100)의 제2단자(400)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제3실시형태)
도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B)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도1을 참조)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21로부터 도32에 나타나는 구성요소 중에,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위 및 방향은, 제1실시형태의 것과 같은 표현을 이하에서 사용한다.
도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B)는,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를 구비하고 있다.
도21 및 도2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1커넥터(500B)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100B)에 대하여 감합 및 발거 가능한 것이다.
도2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커넥터(500B)는, 제1회로기판(850)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2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커넥터(500B)는, 제1절연체(600B)와, 제1금속부재(700B)와, 복수의 제1단자(800)와, 2개의 제1부가적 금속부재(75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단자(800)는, 제1실시형태의 제1단자(800)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단자(800)는 적어도 1개 있으면 좋다. 또한 제1커넥터(500B)는, 제1단자(800) 또는 제1부가적 금속부재(750)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도2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절연체(600B)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면부(610B)와, 제1주벽부(620)와, 섬모양부 수용부(640B)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상면부(610B)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상면부(610B)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상면부(610B)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대략 평판 형상을 갖고 있고, 제1절연체(600B)의 상단을 규정하고 있다. 상면부(610B)는, 제1금속부재(700B)와 인접하는 인접부(612)를 갖고 있다.
도26 및 도2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부재(700B)는, 제1절연체(600B)에 지지되어 있다. 제1금속부재(700B)는 제1절연체(600B)의 상면부(610B)의 하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금속부재(700B)는 제1절연체(600B)의 섬모양부 수용부(640B)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1금속부재(700B)는 제1절연체(600B)의 제1주벽부(620)에 의하여 포위되어 있다. 제1금속부재(700B)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방향 즉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제1금속부재(700B)는 제1금속평면(710B)을 갖고 있다.
도26 및 도2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평면(710B)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다. 제1금속평면(710B)은 제1절연체(600B)의 상면부(610B)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은, 제1절연체(600B)의 인접부(612) 중 제1금속평면(710B)과 접하고 있는 부분(613)의 하단과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은, 제1절연체(600B)의 인접부(612) 중 제1금속평면(710B)과 접하고 있는 부분(613)의 하단과 같은 위치가 아니어도 좋다.
도2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부가적 금속부재(750)는, 제1부가부재(770B)와,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740B)를 갖고 있다.
도2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부가부재(770B)는, 연결부(720B)와, 측면부(730B)를 갖고 있다.
도25 및 도2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연결부(720B)의 제3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은, R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연결부(720B)의 외면은 R면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720B)는 측면부(730B)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720B)는 단부(722B)를 갖고 있다. 단부(722B)는 연결부(720B)의 상단이다.
도25 및 도2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측면부(730B)는, 제2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측면부(730B)는, 제1절연체(600B)의 제1주벽부(620)의 제1장벽부(622)의 제2방향 외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2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740B)는, 제1커넥터(500B)를 제1회로기판(850)에 고정하였 때에, 제1회로기판(850) 상의 회로패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납땜되는 것이다. 도2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740B)는, 제1절연체(600B)의 제1주벽부(620)의 제1장벽부(622)로부터 제2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2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740B)의 외단은, 제1절연체(600B)의 상면부(610B)의 외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740B)의 상단은, 제1절연체(600B)의 상면부(610B)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3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2커넥터(100B)는, 제1회로기판(850)과 다른 제2회로기판(450)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2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2커넥터(100B)는, 제2절연체(200B)와, 제2금속부재(300B)와, 2개의 제2부가적 금속부재(350)와, 복수의 제2단자(4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2단자(400)는, 제1실시형태의 제2단자(400)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단자(400)는 적어도 1개 있으면 좋다. 또한 제2커넥터(100B)는, 제2절연체(200B)와 제2금속부재(300B)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즉 제2커넥터(100B)는, 제2단자(400) 및 제2부가적 금속부재(350)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도2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2절연체(200B)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바닥면부(205)와, 제2주벽부(230)와, 제1주벽부 수용부(238)와, 섬모양부(240B)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섬모양부(240B)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제2절연체(20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섬모양부(240B)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3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섬모양부(240B)는, 바닥면부(20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2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섬모양부(240B)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제1주벽부 수용부(238)에 의하여 포위되어 있다. 즉 섬모양부(240B)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제2주벽부(230)에 의하여 제1주벽부 수용부(238)를 사이에 두고 포위되어 있다.
도30 및 도3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섬모양부(240B)는, 2개의 절연평면(210B, 220B)과, 경계부분(212B, 222B)과, 2개의 부가적 절연평면(附加的 絶緣平面)(250, 260)과, 경계부분(252, 262)을 갖고 있다. 즉 제2절연체(200B)는, 2개의 절연평면(210B, 220B)과, 2개의 부가적 절연평면(250, 260)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절연체(200B)는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B, 220B)을 갖고 있으면 좋다.
도30 및 도3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절연평면(210B, 220B) 및 부가적 절연평면(250, 260)의 각각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다.
도3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계부분(212B)은, 절연평면(210B)의 제2방향 내단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계부분(222B)은 절연평면(220B)의 제2방향 내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3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계부분(252)은, 부가적 절연평면(250)의 제3방향 내단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계부분(262)은 부가적 절연평면(260)의 제3방향 내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3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부재(300B)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방향 즉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제2금속부재(300B)는 제2절연체(200B)에 지지되어 있다. 제2금속부재(300B)는 제2금속평면(310B)을 갖고 있다.
도3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평면(310B)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다. 제2금속평면(310B)은, 제2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절연평면(210B, 220B)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2금속평면(310B)은, 제2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절연평면(210B, 220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 제2금속평면(310B)은, 제2방향에 있어서 2개의 경계부분(212B, 222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금속평면(310B)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절연평면(210B, 220B)의 어느 것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금속평면(310B)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B, 220B)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도3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평면(310B)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 및 제2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3방향에 있어서, 2개의 부가적 절연평면(250, 26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 제2금속평면(310B)은, 제3방향에 있어서 2개의 경계부분(252, 26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2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금속평면(310B)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부가적 절연평면(250, 260)의 어느 것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2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100B)를 본 경우에 제2금속평면(310B)은, 절연평면(210B, 220B)과 부가적 절연평면(250, 260)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제2커넥터(100B)를 본 경우에 제2금속평면(310B)은, 경계부분(212B, 222B)과 경계부분(252, 262)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도2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평면(310B)은, 제2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의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평면(710B)은, 제2방향에 있어서 제2금속평면(310B)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 있다.
도2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금속평면(310B)은, 제3방향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 이하의 사이즈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제1금속평면(710B)은, 제3방향에 있어서 제2금속평면(310B) 이상의 사이즈를 갖고 있다.
도2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부가적 금속부재(350)는, 주 피지지부(320B)를 갖고 있다.
도2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주 피지지부(320B)는, 제2절연체(200B)의 제2주벽부(230)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주 피지지부(320B)는, 장벽측 피지지부(322B)와, 단벽측 피지지부(326B)를 갖고 있다.
도2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장벽측 피지지부(322B)는, 제2절연체(200B)의 제2주벽부(230)의 제2장벽부(232)에 지지되어 있다. 도3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장벽측 피지지부(322B)는, 탄성변형부(360B)와, 제2부가부재(370B)를 갖고 있다.
도3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탄성변형부(360B)는, 제3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3방향 외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탄성변형부(360B)는 제2방향에 있어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2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2부가부재(370B)는, 제2절연체(200B)에 지지되어 있다. 제2부가부재(370B)는 탄성변형부(360B)로부터 제2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360B)는 제2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2부가부재(370B)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감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2부가부재(370B)는, 제1주벽부 수용부(238)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2부가부재(370B)는 접촉면(372B)을 갖고 있다. 접촉면(372B)은, 제1방향 즉 상하방향 및 제2방향의 쌍방과 교차하는 면이다. 접촉면(372B)은, 탄성변형부(360B)로부터 하방 또는 제2방향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접촉면(372B)은 내단(374B)을 갖고 있다. 내단(374B)은 접촉면(372B)의 제2방향에 있어서의 최내단이다.
도28부터 도30까지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단벽측 피지지부(326B)는, 제2절연체(200B)의 제2주벽부(230)의 제2단벽부(236)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B)에 있어서의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의 감합조작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21, 도25 및 도28을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B)의 제1절연체(600B)의 섬모양부 수용부(640B)와 제2커넥터(100B)의 제2절연체(200B)의 섬모양부(240B)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제1커넥터(500B) 및 제2커넥터(100B)를 위치결정한다. 이 때, 제1커넥터(500B)의 제1금속부재(700B)의 제1금속평면(710B)과 제2커넥터(100B)의 제2금속부재(300B)의 제2금속평면(310B)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상기 위치결정 후에,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까이 하도록 이동시키고, 제1커넥터(500B)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B)에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이 때, 제1커넥터(500B)의 제1주벽부(620)는, 제2커넥터(100B)의 제1주벽부 수용부(238)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제2커넥터(100B)의 제2절연체(200B)의 섬모양부(240B)는, 제1커넥터(500B)의 제1절연체(600B)의 섬모양부 수용부(640B)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더 가까이 하면, 제1커넥터(500B)의 제1단자(800)의 제1내측 접촉부(820)는, 제2커넥터(100B)의 제2단자(400)의 제2내측 접촉부(420)와 상하방향에 있어서 접촉하고, 제1커넥터(500B)의 제2커넥터(100B)에 대한 삽입에 있어서 삽입력이 부여된다.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를 상하방향에 더 가까이 하도록 커넥터 조립체(10B)에 힘을 가하면, 제1커넥터(500B)의 제1단자(800)의 곡부(844)는, 제2커넥터(100B)의 제2단자(400)의 제2외측 접촉부(410)와 접촉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곡부(844)의 상단은, 제2커넥터(100B)의 제2단자(400)의 제2외측 접촉부(410)의 내단(412)과 제2방향에 있어서 접촉한다. 이 접촉의 시점에 있어서 제1커넥터(500B)의 제2커넥터(100B)에 대한 삽입력은 최대가 된다.
상기 접촉 후에,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더 가까이 하도록 커넥터 조립체(10B)에 힘을 계속해서 가하면, 제1커넥터(500B)의 제1단자(800)의 단차부(840)(도12를 참조)가, 제2커넥터(100B)의 제2단자(400)의 제2외측 접촉부(410)의 내단(412)을 타고 넘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커넥터(500B)의 제1단자(800)의 제1외측 접촉부(810)는, 제2커넥터(100B)의 제2단자(400)의 제2외측 접촉부(410)와 제2방향에 있어서 접촉한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500B)의 제1단자(800)의 단차부(840)가 제2커넥터(100B)의 제2단자(400)의 제2외측 접촉부(410)의 내단(412)을 타고 넘은 시점 이후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500B)의 제2커넥터(100B)에 대한 삽입력은 감소한다.
즉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감합할 때, 제1단자(800)와 제2단자(400)의 접촉상태가 변화됨으로써 제1커넥터(500B)의 제2커넥터(100B)에 대한 삽입력이 변화된다.
상기 타고 넘은 후에,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를 상하방향에 있어서 더 가까이 하도록 커넥터 조립체(10B)에 힘을 계속해서 가하면, 제1커넥터(500B)의 제1금속부재(700B)의 제1금속평면(710B)은, 제2커넥터(100B)의 제2금속부재(300B)의 제2금속평면(310B)에 대하여 맞부딪치고,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의 감합이 완료되어서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는 감합상태가 된다. 즉 제1커넥터(500B)의 제1금속부재(700B)의 제1금속평면(710B)은, 제1커넥터(500B)가 제2커넥터(100B)와 감합할 때에,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B)의 제2금속부재(300B)의 제2금속평면(310B)에 맞부딪친다. 여기에서 제1금속평면(710B)이 제2금속평면(310B)에 대하여 맞부딪칠 때에, 비교적 큰 금속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 금속음을 귀로 인식함으로써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정규의 감합위치에 도달한 것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를 감합할 때에 제1커넥터(500B)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B)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 삽입할 때에 제1커넥터(500B)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커넥터(100B)에 대한 삽입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넘어서 삽입된 후에, 제2금속평면(310B)에 대하여 제1금속평면(710B)에서 맞부딪친다. 또한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의 감합은, 제1금속평면(710B)이 제2금속평면(310B)에 대하여 맞부딪치는 시점에서 완료하고 있다.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와 동일하게, 금속음에 의하여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의 감합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는 상기의 효과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B)를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도22를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은, 제2금속평면(310B) 및 2개의 절연평면(210B, 220B)의 각각과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은, 제2금속평면(310B) 및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B, 220B)의 각각과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도2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은, 또한 2개의 부가적 절연평면(250, 260)의 각각과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은, 또한 2개의 부가적 절연평면(250, 260)의 각각과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으면 좋다.
게다가, 도22를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은, 제2방향에 있어서의 제2금속평면(310B)과 2개의 절연평면(210B, 220B)의 경계부분(212B, 222B)을 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금속평면(710B)은, 제2방향에 있어서의 제2금속평면(310B)과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B, 220B)의 경계부분(212B, 222B)을 넘고 있으면 좋다.
도2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은, 제3방향에 있어서의 제2금속평면(310B)과 2개의 부가적 절연평면(250, 260)의 경계부분(252, 262)을 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금속평면(710B)은, 제3방향에 있어서의 제2금속평면(310B)과 적어도 1개의 부가적 절연평면(250, 260)의 경계부분(252, 262)을 넘고 있으면 좋다.
도22, 도24 및 도32를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B)부터 제2금속평면(310B)까지의 거리(D4)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B)부터 일방의 절연평면(210B)까지의 거리 및 제1금속평면(710B)부터 타방의 절연평면(220B)까지의 거리의 어느 것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B)부터 제2금속평면(310B)까지의 거리(D4)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B)부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210B, 220B)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되어 있으면 좋다.
도2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B)부터 제2금속평면(310B)까지의 거리(D4)는,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B)부터 일방의 부가적 절연평면(250)까지의 거리(D5) 및 제1방향 즉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제1금속평면(710B)부터 타방의 부가적 절연평면(260)까지의 거리(D6)의 어느 것보다 짧게 되어 있다.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과 제2금속평면(310B)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하지 않아도 좋고 또한 서로 접하고 있어도 좋다. 즉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금속평면(710B)과 제2금속평면(310B)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떨어져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2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서는, 제1금속평면(710B)과 제2금속평면(310B)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하고 있다.
도23, 도25 및 도32를 참조하여 제1커넥터(500B)와 제2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제1커넥터(500B)의 제1부가적 금속부재(750)의 제1부가부재(770B)의 측면부(730B)와 제2커넥터(100B)의 제2부가적 금속부재(350)의 제2부가부재(370B)의 접촉면(372B)의 내단(374B)은 제2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고, 제1커넥터(500B)의 제1단자(800)와 제2커넥터(100B)의 제2단자(400)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형태를 개재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1커넥터(500, 500A, 500B) 및 제2커넥터(100, 100B)는 각각 플러그(plug) 및 리셉터클(receptacle)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이어도 좋다. 즉 제1커넥터(500, 500A, 500B) 및 제2커넥터(100, 100B)가, 각각 리셉터클 및 플러그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 10B)는, 1개의 제1금속평면(710, 710B), 1개의 제2금속평면(310, 310B) 및 2개의 절연평면(210, 210B, 220, 220B)으로 구성되는 조(組)를 1조 또는 2조 구비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커넥터 조립체(10, 10B)는, 1개의 제1금속평면(710, 710B), 1개의 제2금속평면(310, 310B) 및 2개의 절연평면(210, 210B, 220, 220B)으로 구성되는 조를 2조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 10B)는, 제1커넥터(500, 500A, 500B)가 제1금속평면(710, 710B)을 구비하고 있고, 제2커넥터(100, 100B)가 제2금속평면(310, 310B)과 절연평면(210, 210B, 220, 220B)을 구비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커넥터(500, 500A, 500B)가 제2금속평면(310, 310B)과 절연평면(210, 210B, 220, 220B)을 구비하고 있고, 제2커넥터(100, 100B)가 제1금속평면(710, 710B)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10, 10B)가, 1개의 제1금속평면(710, 710B), 1개의 제2금속평면(310, 310B) 및 2개의 절연평면(210, 210B, 220, 220B)으로 구성되는 조를 2조 이상 구비하고 있는 경우, 각 조에 있어서, 제1커넥터(500, 500A, 500B)가 1개의 제2금속평면(310, 310B)과 2개의 절연평면(210, 210B, 220, 220B)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제2커넥터(100, 100B)가 1개의 제1금속평면(710, 710B)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 10B)의 제1금속부재(700), 제2금속부재(300), 제1부가적 금속부재(750) 및 제2부가적 금속부재(350)는, 각각 단자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10, 10B 커넥터 조립체
100, 100B 제2커넥터(커넥터)
200, 200B 제2절연체
205 바닥면부
210, 210B 절연평면
212, 212B 경계부분
220, 220B 절연평면
222, 222B 경계부분
230 제2주벽부
232 제2장벽부
236 제2단벽부
238 제1주벽부 수용부
240, 240B 섬모양부
250 부가적 절연평면
252 경계부분
260 부가적 절연평면
262 경계부분
300, 300B 제2금속부재
310, 310B 제2금속평면
320, 320B 주 피지지부
322, 322B 장벽측 피지지부
326, 326B 단벽측 피지지부
330 접속부
340 보조적 피지지부
350 제2부가적 금속부재
360, 360B 탄성변형부
370, 370B 제2부가부재
372, 372B 접촉면
374, 374B 내단
400 제2단자
410 제2외측 접촉부
412 내단
420 제2내측 접촉부
430 제2피고정부
450 제2회로기판
500, 500A, 500B 제1커넥터(커넥터)
600, 600A ,600B 제1절연체
610, 610B 상면부
612 인접부
613 부분
620, 620A 제1주벽부
622, 622A 제1장벽부
623 인접부
624 부분
626, 626A 제1단벽부
627 인접부
628 부분
640, 640B 섬모양부 수용부
700, 700A, 700B 제1금속부재
710, 710B 제1금속평면
720, 720A, 720B 연결부
722, 722A, 722B 단부
730, 730A, 730B 측면부
732 오목부
734 내면
740, 740B 제1금속부재 피고정부
750 제1부가적 금속부재
770, 770A, 770B 제1부가부재
800 제1단자
810 제1외측 접촉부
820 제1내측 접촉부
830 제1피고정부
840 단차부
844 곡부
850 제1회로기판
D1 거리
D2 거리
D3 거리
D4 거리
D5 거리
D6 거리

Claims (12)

  1. 제1커넥터(第1connector)와, 제2커넥터(第2connector)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組立體)로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커넥터에 대하여 감합(嵌合) 및 발거(拔去)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1커넥터는, 제1절연체(第1絶緣體)와, 제1금속부재(第1金屬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금속부재는, 상기 제1절연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금속부재는, 제1금속평면(第1金屬平面)을 갖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절연체(第2絶緣體)와, 제2금속부재(第2金屬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절연체는,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絶緣平面)을 갖고 있고,
    상기 제2금속부재는, 상기 제2절연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금속부재는, 제2금속평면(第2金屬平面)을 갖고 있고,
    상기 제2금속평면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서로 감합한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평면은, 상기 제2금속평면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의 각각과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對向)하고 있고,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상기 제2금속평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상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되어 있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서로 감합시켰을 때에, 금속음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금속평면과 상기 제2금속평면이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평면끼리 맞부딪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절연평면은 2개 있고,
    상기 제2금속평면은,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절연평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금속평면은,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평면의 사이즈(size)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 있고,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평면은, 상기 제2금속평면 및 2개의 상기 절연평면의 각각과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고,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상기 제2금속평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일방(一方)의 상기 절연평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타방(他方)의 상기 절연평면까지의 거리의 어느 것보다 짧은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평면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3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평면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체는, 2개의 부가적 절연평면(附加的 絶緣平面)을 더 갖고 있고,
    상기 제2금속평면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3방향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부가적 절연평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커넥터를 본 경우에, 상기 제2금속평면은, 상기 절연평면과 상기 부가적 절연평면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고,
    상기 제1금속평면은, 상기 제3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평면 이상의 사이즈를 갖고 있고,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평면은, 또한 2개의 상기 부가적 절연평면의 각각과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고 있고,
    상기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상기 제2금속평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일방의 상기 부가적 절연평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금속평면부터 타방의 상기 부가적 절연평면까지의 거리의 어느 것보다 짧은
    커넥터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할 때에,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할 때에,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에 대한 삽입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넘어서 삽입된 후에, 상기 제2금속평면에 대하여 상기 제1금속평면에서 맞부딪치고,
    상기 감합은, 상기 맞부딪치는 시점에서 완료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적어도 1개의 제1단자(第1端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절연체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단자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적어도 1개의 제2단자(第2端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절연체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단자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감합할 때에,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의 접촉상태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삽입력이 변화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적어도 1개의 제1단자와, 적어도 1개의 제1부가부재(第1附加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절연체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단자와, 상기 적어도 1개의 제1부가부재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적어도 1개의 제2단자와, 적어도 1개의 제2부가부재(第2附加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절연체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단자와,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부가부재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감합할 때에, 상기 제1부가부재와 상기 제2부가부재의 접촉상태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삽입력이 변화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부재는, 상기 제1부가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제2금속부재는, 상기 제2부가부재를 갖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제1회로기판(第1回路基板)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회로기판과 다른 제2회로기판(第2回路基板)에 고정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88117A 2018-08-24 2019-07-22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KR102225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57644 2018-08-24
JP2018157644A JP7026025B2 (ja) 2018-08-24 2018-08-24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181A KR20200023181A (ko) 2020-03-04
KR102225526B1 true KR102225526B1 (ko) 2021-03-08

Family

ID=6958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117A KR102225526B1 (ko) 2018-08-24 2019-07-22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05200B2 (ko)
JP (1) JP7026025B2 (ko)
KR (1) KR102225526B1 (ko)
CN (1) CN110896175B (ko)
TW (1) TWI7066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38606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446S (ko) * 2018-12-28 2019-08-05
TWI750832B (zh) * 2019-10-11 2021-12-2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組
TWI760873B (zh) * 2019-10-18 2022-04-1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連接器
JP7388901B2 (ja) * 2019-12-10 2023-11-2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11509430B (zh) * 2020-04-13 2021-06-0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1B (zh) * 2020-04-13 2021-11-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0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2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214849145U (zh) * 2020-05-13 2021-11-23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JP2022028182A (ja) 2020-08-03 2022-0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JP7484062B2 (ja) 2020-08-17 2024-05-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JP7441147B2 (ja) * 2020-09-17 2024-02-29 株式会社フジクラ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JP6968965B1 (ja) * 2020-10-26 2021-11-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JP1689504S (ko) * 2020-12-08 2021-07-12
JP1711754S (ja) 2021-08-24 2022-04-05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9263A (ja) * 2010-09-21 2012-04-05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7147171A (ja) 2016-02-19 2017-08-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9064B2 (ja) * 2003-02-06 2007-07-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6344418A (ja) 2005-06-07 2006-12-21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コネクタの嵌合方法、及び携帯端末
US7570917B2 (en) * 2005-12-30 2009-08-04 Psion Teklogix Inc. Bluetooth communication through a single virtual port
JP2007328961A (ja) 2006-06-06 2007-12-20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装置
JP4978313B2 (ja) 2007-05-31 2012-07-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160164Y (zh) * 2008-01-05 2008-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623694B2 (ja) * 2008-05-12 2014-1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TWI394327B (zh) * 2008-09-16 2013-04-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
JP5553502B2 (ja) 2008-12-19 2014-07-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31074B2 (ja) 2010-06-28 2014-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971845B2 (ja) * 2012-06-04 2016-08-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986027B2 (en) * 2012-10-31 2015-03-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5751434B2 (ja) 2013-04-19 2015-07-22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CN103872489B (zh) 2014-01-24 2018-01-19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N105098413B (zh) * 2014-04-17 2017-09-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6038937A (ja) * 2014-08-05 2016-03-22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656514B1 (ko) 2015-04-13 2016-09-2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JP6378642B2 (ja)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91251B2 (ja) * 2015-10-01 2019-10-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162774A (ja) * 2016-03-11 2017-09-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498622B2 (ja) * 2016-03-14 2019-04-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03900B2 (ja) 2016-06-01 2020-06-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US10777941B2 (en) * 2016-08-04 2020-09-15 Kyocera Corporation Connector
CN108232526B (zh) * 2016-12-21 2020-04-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US10396479B2 (en) * 2017-01-19 2019-08-2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polar connector set
JP6806593B2 (ja) * 2017-02-28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6893923U (zh) 2017-04-17 2018-01-16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电路基板用电连接器
CN207069118U (zh) * 2017-06-08 2018-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2019186062A (ja) * 2018-04-11 2019-10-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77115B2 (ja) * 2018-05-10 2020-10-28 I−Pex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US10498058B1 (en) * 2018-05-11 2019-12-03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JP6493611B1 (ja) * 2018-08-03 2019-04-03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253337B2 (ja) * 2018-08-22 2023-04-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9263A (ja) * 2010-09-21 2012-04-05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7147171A (ja) 2016-02-19 2017-08-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05200B2 (en) 2021-05-11
CN110896175B (zh) 2021-05-11
JP2020031025A (ja) 2020-02-27
TW202010190A (zh) 2020-03-01
CN110896175A (zh) 2020-03-20
KR20200023181A (ko) 2020-03-04
US20200067217A1 (en) 2020-02-27
TWI706607B (zh) 2020-10-01
JP7026025B2 (ja)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526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JP6041107B2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US7591694B2 (en) Female terminal for connector,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7109303B2 (ja) コネクタ組立体
CN102668270B (zh) 插头转接器
KR102202564B1 (ko) 커넥터
EP2568536A1 (en) Bending coaxial electric connector
EP1684387A1 (en) Earth terminal fitting and electric connector having the same
JP2008084795A (ja) コネクタ
JP2018181769A (ja) ケーブル接続用の立上部を有したケーブルコネクタと、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装置
JP6279303B2 (ja) 同軸コネクタ
CN105226424A (zh) 连接器端子和包括该连接器端子的连接器
JP5242655B2 (ja) 電気接続箱
US20160120024A1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KR101967069B1 (ko) 굴곡부에 의해 접지 피스와 접촉하는 단자를 갖는 신호 커넥터
JP2021086702A (ja) コネクタ組立体
CN202067977U (zh) 电连接器
TW200532997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5281080A (zh) 连接器端子和包括该连接器端子的连接器
US20150255936A1 (en)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for transmission assembly of connector
US9865947B2 (en) SIM connector
JP6886910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20110244736A1 (en) Female electrical contact pin
TWI844014B (zh) 電連接器
KR101508345B1 (ko) 스프링단자를 구비한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