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104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104B1
KR102224104B1 KR1020190111862A KR20190111862A KR102224104B1 KR 102224104 B1 KR102224104 B1 KR 102224104B1 KR 1020190111862 A KR1020190111862 A KR 1020190111862A KR 20190111862 A KR20190111862 A KR 20190111862A KR 102224104 B1 KR102224104 B1 KR 102224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housing
reference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205A (ko
Inventor
사토루 데루키
쇼 기타자와
아키히코 오카지마
토시다카 구스하라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8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205A/ko
Priority to KR102021002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Abstract

단자의 열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쉴드 판으로부터 기준 전위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의 길이를 짧게 하고, 쉴드 효과를 높게 하여,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제1 커넥터 본체는, 제2 커넥터 본체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오목부의 양측을 획정하는 제1 측벽부와, 오목부 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일랜드로서, 제2 커넥터 본체의 요홈부와 끼워 맞춰지는 아일랜드를 포함하고, 제1 단자는 아일랜드와 제1 측벽부 사이의 요홈부에 있어서 제2 단자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는 아일랜드의 폭 방향의 중앙에 보유 지지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쉴드 판을 추가로 갖고, 제2 보강 금속 부재는,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되는 기준 전위 접속부와, 쉴드 판의 길이 방향의 양단과 접촉하는 설부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는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되는 테일부와 쉴드 판의 길이 방향의 중간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기준 전위용 단자를 추가로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개시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평행한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한 쌍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부착되어, 서로 끼워 맞춤되어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신호 단자끼리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해, 신호 단자끼리의 사이에 쉴드 부재를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12는 종래의 단자와 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851은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길이 방향 양단에 부착되는 보강 금속 부재이며, 하우징의 측벽부에 부착되는 측벽 피복부(852)에 접속되어 있고, 당해 측벽 피복부(852)는 회로 기판의 접지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의 좌우 양측의 측벽부의 각각에는, 복수의 신호 단자(861)가 나란히 부착되고, 각 신호 단자(861)는 회로 기판의 신호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 나란히 배치된 신호 단자(861)의 열(列) 사이에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쉴드 판(856)이 배치되어 있다. 각 쉴드 판(856)은 상기 보강 금속 부재(851)의 측벽 피복부(852)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벽부에 부착되는 측벽 피복부(857)에 접속되어 있고, 당해 측벽 피복부(857)는 회로 기판의 접지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신호 단자(861)끼리의 사이가 쉴드 판(856)에 의해 쉴드되기 때문에, 고주파 신호의 전송이 행해진 경우에도 신호 단자(861)끼리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8-110087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쉴드 판(856)의 길이 방향의 일단만이 측벽 피복부(857)를 통하여 회로 기판의 접지 트레이스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각 쉴드 판(856)의 길이 방향의 타단 근방에서는, 접지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의 길이가 길어져서, 상기 쉴드 판(856)에 의한 쉴드 효과가 저하되어버린다.
여기에서는 상기 종래의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단자의 열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쉴드 판으로부터 기준 전위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의 길이를 짧게 하여, 쉴드 효과를 높여,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제1 커넥터 본체와, 당해 제1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제1 보강 금속 부재를 갖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본체와, 당해 제2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제2 보강 금속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제1 커넥터 본체는, 상기 제2 커넥터 본체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을 획정하는 제1 측벽부와, 상기 오목부 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일랜드로서, 상기 제2 커넥터 본체의 요홈부와 끼워 맞춰지는 아일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아일랜드와 제1 측벽부 사이의 요홈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아일랜드의 폭 방향의 중앙에 보유 지지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쉴드 판을 추가로 갖고, 상기 제2 보강 금속 부재는,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되는 기준 전위 접속부와, 상기 쉴드 판의 길이 방향의 양단과 접촉하는 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되는 테일부와, 상기 쉴드 판의 길이 방향의 중간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기준 전위용 단자를 추가로 갖는다.
다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제2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요홈부의 양측을 획정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위용 단자는, 상기 제2 측벽부에 보유 지지되는 피보유 지지부와 당해 피보유 지지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당해 접속부의 자유단에 상기 접촉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 다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제2 단자는, 복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상기 제2 측벽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준 전위용 단자의 피보유 지지부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2 단자끼리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 다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기준 전위용 단자는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에 위치한다.
또 다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제2 보강 금속 부재는,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2 본체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상기 제2 본체부에 접속되는 제2 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위 접속부는 제2 본체부의 외측 단에 접속되며, 상기 설부는 제2 본체부의 내측 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다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제2 측판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본체의 제2 측벽부의 외측 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또 다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제1 보강 금속 부재는,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1 본체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상기 제1 본체부에 접속되는 제1 측판부를 포함하고, 당해 제1 측판부는 폭 방향 중앙을 향하여 팽창 돌출되고, 상기 제2 측판부에 형성된 걸림 결합 오목부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커넥터 조립체는 단자의 열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쉴드 판으로부터 기준 전위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쉴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끼워 맞춰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끼워 맞춰진 상태의 4면도로서, (a)는 제1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C-C) 방향으로 본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A-A) 방향으로 본 단면도, (d)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B-B)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끼워 맞춰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단자와 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끼워 맞춰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의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분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분해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끼워 맞춰진 상태의 4면도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a)는 제1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C-C) 방향으로 본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A-A) 방향으로 본 단면도, (d)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B-B)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로서, 커넥터 조립체(커넥터 어셈블리)인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한쪽으로서의 제1 커넥터이다. 당해 제1 커넥터(1)는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1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로서,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2 커넥터(101)와 서로 끼워 맞춰진다. 또한, 당해 제2 커넥터(101)는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다른 쪽이며,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2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는 아주 알맞게는 기판으로서의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지만, 다른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프린트 회로 기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플렉시블 회로 기판(FPC) 등이지만, 어떠한 종류의 기판이어도 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각 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각 부가 도면에 나타내는 자세인 경우에 적절하지만, 그 자세가 변화한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변경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1)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1 하우징(11)을 갖는다. 당해 제1 하우징(1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 직방체인 개략 장방형의 두꺼운 판 형상을 구비하고, 제2 커넥터(101)가 꽂히는 측, 즉 끼워 맞춤면(11a)측(Z축 정방향측)에는, 주위가 둘러싸인 개략 장방형의 오목부로서, 제2 커넥터(101)의 제2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2 하우징(111)과 끼워 맞춰지는 제1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제1 오목부(12) 내에는, 제2 커넥터(101)의 요홈부(113)와 끼워 맞춰지는 아일랜드로서의 제1 볼록부(13)가 제1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13)는,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홈형 분단 홈부(17)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양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볼록부(13)의 양측(Y축 정방향 측 및 부방향 측)에는, 당해 제1 볼록부(13)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오목부(12)의 양측을 획정하는 제1 측벽부(14)가 제1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볼록부(13) 및 제1 측벽부(14)는, 제1 오목부(12)의 저면을 획정하는 저판(底板)(18)으로부터 상방(Z축 정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볼록부(13)의 양측에는, 제1 오목부(12)의 일부로서,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오목부인 요홈부(1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볼록부(13)의 양측의 측면으로부터 요홈부(12a)의 저면에 걸쳐서는,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는 상기 저판(18)을 판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 중에서, 제1 볼록부(13)의 양측 측면에 형성된 요홈형 부분을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라고 부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는,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2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각 제1 볼록부(13)의 양측에 소정의 피치로 복수 개(예를 들어, 3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의 피치 및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의 각각에 수용되어 제1 하우징(11)에 장전되는 단자로서의 제1 단자(61)도 각 제1 볼록부(13)의 양측에 같은 피치로 복수 개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단자(61)는 도전성 금속판에 펀칭,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하우징(11)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피보유 지지부인 제1 피보유 지지부(63)와, 당해 제1 피보유 지지부(63)의 일단에 접속된 테일부인 제1 테일부(62)와, 상기 제1 피보유 지지부(63)의 타단에 접속된 제1 접속부(64)와, 당해 제1 접속부(64)의 선단에 접속된 제1 접촉 아암부(65)와, 당해 제1 접촉 아암부(65)의 선단, 즉 자유단에 형성된 접촉부인 제1 접촉부(65a)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61)는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1 하우징(11)과 일체화된다. 즉, 제1 하우징(11)은 제1 단자(61)를 미리 내부에 세트한 금형의 캐비티 내에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 단자(61)는, 적어도 제1 피보유 지지부(63)가 제1 하우징(11) 내에 매몰되도록 하여 제1 하우징(11)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제1 단자(61)는, 반드시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1 하우징(11)과 일체화하는 것이 아니라, 압입 등에 의해 제1 하우징(11)에 부착되어도 되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1 하우징(11)과 일체화된 것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피보유 지지부(63)는 전체적으로는 좌우 방향(Y축 방향), 즉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지만, 상방향(Z축 정방향)으로 팽창 돌출되도록 만곡하고, 이에 의해 제1 측벽부(14) 내에 매몰되어 보유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테일부(62)는 제1 피보유 지지부(63)의 일단으로부터 좌우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의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64)는 제1 피보유 지지부(63)의 일단으로부터 좌우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1 접촉 아암부(65)는 제1 접속부(64)의 선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그 상단 근방은 U자를 형성하도록 약 180도 만곡하고,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의 바깥쪽을 향하여 팽창 돌출되는 제1 접촉부(6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단자(61)는, 적어도 제1 피보유 지지부(63)의 대부분이 제1 측벽부(14) 내에 매몰되고, 적어도 제1 접속부(64) 및 제1 접촉 아암부(65)의 대부분이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에 수용된 상태로 제1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이 상태, 즉 제1 단자(61)가 제1 하우징(11)에 장전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65a)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의 바깥쪽을 향하고, 제1 볼록부(13)에 있어서 제1 측벽부(14)와 대향하는 측면에 노출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접촉부(65a)는, 적어도 그 일부가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로부터 요홈부(12a) 내로 돌출되고 있다.
또한, 제1 단자(61)는 금속판에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그 형상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64), 제1 접촉 아암부(65) 및 제1 접촉부(65a)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요홈부(12a) 내에 제2 단자(161)가 부착된 제2 커넥터(101)의 제2 측벽부(112)가 삽입되면, 상기 제2 단자(161)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65a)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변위된다.
또한, 상기 제1 볼록부(13)의 폭 방향(Y축 방향) 중앙에는, 길이 방향(X축 방향) 및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요홈인 쉴드 판 수용 슬릿(13a)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쉴드 판 수용 슬릿(13a)은 저판(18)의 하면에 개구됨과 함께 각 제1 볼록부(13)의 상면 및 길이 방향의 단면에 개구된다. 또한, 각 쉴드 판 수용 슬릿(13a)은 슬릿 분할부(13b)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양분되어 주부(主部)(13a1)와 당해 주부(13a1)보다도 짧은 부부(副部)(13a2)로 이루어진다. 당해 부부(13a2)는 주부(13a1)보다도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양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쉴드 판 수용 슬릿(13a)에는, 도전성 금속판에 펀칭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Z축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판재인 쉴드 판(56)이 수용되어 보유 지지된다. 당해 쉴드 판(56)의 길이 방향 양단 근방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Z축 부방향)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가는 끼워 맞춤 오목부(56a)가 형성되고, 당해 끼워 맞춤 오목부(56a)의 내면에는, 걸림 결합 돌기(56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18)의 하면 측으로부터 쉴드 판(56)이 쉴드 판 수용 슬릿(13a) 내에 삽입 내지 압입되면, 슬릿 분할부(13b)가 상대적으로 끼워 맞춤 오목부(56a) 내에 진입하고, 상기 걸림 결합 돌기(56c)가 슬릿 분할부(13b)의 측면에 파고들어 걸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쉴드 판(56)은 쉴드 판 수용 슬릿(13a)에 수용되어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좌우의 요홈부(12a)를 따라 배열된 제1 단자(61)의 2개의 열 사이에 쉴드 판(56)이 위치하기 때문에, 2개의 열의 제1 단자(61)끼리 사이의 크로스토크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쉴드 판(56)이 쉴드 판 수용 슬릿(13a)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는, 쉴드 판(56)의 길이 방향 양단의 단연(端緣)(56b)이 부부(13a2)로부터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로 된다. 또한, 쉴드 판(56)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은 분단 홈부(17) 내에 노출된다. 또한, 쉴드 판(56)은 반드시 삽입 내지 압입에 의해 제1 하우징(11)에 부착될 필요는 없고, 제1 단자(61)와 마찬가지로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1 하우징(11)과 일체화된 것이어도 되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삽입 내지 압입에 의해 쉴드 판 수용 슬릿(13a) 내에 수용되어 제1 하우징(11)에 부착된 것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끼워 맞춤 가이드부로서의 제1 돌출 단부 (2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돌출 단부(21)에는, 상기 제1 오목부(12)의 일부로서 끼워 맞춤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끼워 맞춤 오목부(22)는 대략 장방형의 오목부이며, 각 요홈부(12a)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22) 내에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 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제2 커넥터(101)가 구비하는 제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 단부(21)는, 제1 측벽부(14)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끼워 맞춤 가이드 측벽부로서의 제1 측벽 연장부(21c)와,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제1 측벽 연장부(21c)에 접속된 제1 단벽부(21b)를 구비한다. 각 제1 돌출 단부(21)에 있어서, 제1 단벽부(21b)와 그 양단에 접속된 제1 측벽 연장부(21c)는, 연속된 대략 ㄷ자 형상의 측벽을 형성하고, 대략 장방형의 끼워 맞춤 오목부(22)의 3방(三方)을 획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벽부(21b)에 있어서, 외측 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는 제1 중앙 다리부 수용부로서의 외단 오목부(23a)가 형성되고, 내측 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는 내단 오목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 연장부(21c)에 있어서, 내측 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는 내판 수용부로서의 내측 오목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11)에는, 거기에 장전되는 보강 금속 부재으로서의 제1 보강 금속 부재(51)가 부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보강 금속 부재(51)는 금속판에 펀칭,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제1 돌출 단부(21)의 제1 단벽부(21b)의 외측을 덮는 한 쌍의 본체부인 제1 본체부(52)와,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본체부(52)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인 제1 연결부로서의 제1 측판부(5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본체부(52)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단벽부(21b)의 상면(21a)의 과반을 덮는 제1 본체 상면부(52a)와, 당해 제1 본체 상면부(52a)에 있어서의 제1 단벽부(21b)의 내측 단연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설부로서의 단벽 내 커버부(52b)와,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하여 팽창 돌출되도록 상기 단벽 내 커버부(52b)에 형성된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52b1)와, 상기 제1 본체 상면부(52a)에 있어서의 제1 단벽부(21b)의 외측 단연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제1 중앙 다리부로서의 단벽 외 커버부(52c)와, 당해 단벽 외 커버부(52c)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 중앙 접속 족부(52d)와, 상기 단벽 외 커버부(52c)의 측단에 형성된 걸림 결합 돌기(52e)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보강 금속 부재(51)가 제1 하우징(11)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본체 상면부(52a)는 제1 단벽부(21b)의 상면(21a)의 과반을 덮고, 단벽 내 커버부(52b)는 적어도 그 일부가 내단 오목부(23b) 내에 수용되고, 상기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52b1)가 제1 단벽부(21b)의 내측 단연으로부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고, 단벽 외 커버부(52c)는, 그 대부분이 외단 오목부(23a) 내에 수용되고, 걸림 결합 돌기(52e)가 외단 오목부(23a)의 측벽과 걸림 결합함으로써, 외단 오목부(23a) 내에 고정된다. 또한, 제1 중앙 접속 족부(52d)는 기준 전위 접속부로서 기능하고, 그 하단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 기판의 전력 트레이스, 접지 트레이스 등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 보강 금속 부재(51)가 변형되기 어려워져서, 제1 커넥터(1)가 효과적으로 보강된다.
상기 제1 측판부(54)는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Z축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평탄한 띠 형상의 판이며, 그 길이 방향 양단이 만곡 접속부(52f)를 통하여 제1 본체 상면부(52a)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1 측판부(54)의 길이 방향 양단 근방에는, 한 쌍의 양단측 접촉부(54a)가 각각 접속되고, 길이 방향 양단 중앙 근처의 부분에는, 한 쌍의 중앙측 접촉부(54b)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양단측 접촉부(54a)는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서 보아, 개략 U자 형상이 되도록 만곡된 부재이며, 일단이 제1 측판부(54)의 상단에 접속되고, 만곡 부분이 상방을 향하여 팽창 돌출되고, 자유단인 타단이 하방(Z축 부방향)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또한, 각 중앙측 접촉부(54b)는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에서 보아, 개략 C자 형상이 되도록 만곡된 부재이며, 일단이 제1 측판부(54)의 상단에 접속되고, 제1 만곡 부분이 상방을 향하여 팽창 돌출되고, 제2 만곡 부분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Y축 방향) 중앙을 향하여 팽창 돌출되는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54c)이며, 자유단인 타단이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또한, 각 제1 측판부(54)의 하단에 있어서의 양단측 접촉부(54a)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는, 양단측 접속 족부(54d)가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중앙측 접촉부(54b)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는, 중앙측 접속 족부(54e)가 하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그리고 제1 보강 금속 부재(51)가 제1 하우징(11)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양단측 접촉부(54a)는 제1 측벽 연장부(21c)의 내측 오목부(23d) 내에 수용된다. 또한, 제1 측판부(54)는 제1 돌출 단부(21) 및 제1 측벽부(14)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측을 덮고 있다. 그러나 제1 측벽부(14)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측에는, 내측에 오목하게 들어가는 측벽 오목부(14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측벽부(14)는 전체로서 제1 측벽 연장부(21c)보다도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벽부(14)의 외측 면(14d)은 제1 측벽 연장부(21c)의 외측 면(23e)보다도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제1 측벽 연장부(21c)의 외측 면(23e)을 덮는 제1 측판부(54)는 제1 측벽부(14)의 외측 면(14d)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제1 측판부(54)와 제1 측벽부(14)의 외측 면(14d) 사이에 제1 측방 간극(58)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측 접촉부(54b)의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54c)는, 제1 측방 간극(58)에 있어서, 제1 측벽부(14)의 외측 면(14d)을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제1 단자(61)의 제1 테일부(62)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에 관하여, 제1 측벽부(14)의 외측 면(14d)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는 있지만, 상기 제1 측방 간극(58) 내이면서, 제1 측판부(54)의 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단자(61)는, 그 전체가,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에 관하여, 제1 측판부(54)의 내측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격리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제1 커넥터(1)의 쉴드성이 향상된다.
또한, 양단측 접속 족부(54d) 및 중앙측 접속 족부(54e)는 기준 전위 접속부로서 기능하고, 그 하단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 기판의 전력 트레이스, 접지 트레이스 등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 보강 금속 부재(51)가 변형되기 어려워져서, 제1 커넥터(1)가 효과적으로 보강되는 동시에 쉴드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제2 커넥터(10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2 커넥터(101)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대방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2 하우징(111)을 갖는다. 당해 제2 하우징(11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 직방체인 개략 장방형의 두꺼운 판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111)의 제1 커넥터(1)에 꽂히는 측, 즉 끼워 맞춤면(111a) 측(Z축 부방향 측)에는,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요홈부(113)와, 당해 요홈부(113)의 외측을 획정하는 동시에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볼록부인 제2 측벽부(1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제2 측벽부(112)는 요홈부(113)의 양측을 따라, 또한 제2 하우징(111)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제2 측벽부(112)에는, 상대방 단자로서의 제2 단자(161)가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2 단자(161)는 제1 단자(61)에 대응하는 피치로, 또한 대응하는 수만큼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요홈부(113)는 제2 기판에 실장되는 측, 즉 실장면 측(Z축 정방향 측)이 저판(118)에 의해 폐지(閉止)되어 있다.
상기 제2 단자(161)는 도전성 금속판에 펀칭,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2 접속부(165)와, 당해 제2 접속부(165)에 접속된 제2 테일부(16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161)는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2 하우징(111)과 일체화된다. 즉, 제2 하우징(111)은 제2 단자(161)를 미리 내부에 세트한 금형의 캐비티 내에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 단자(161)는, 적어도 일부가 제2 하우징(111) 내에 매몰되도록 하여 제2 하우징(111)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제2 단자(161)는, 반드시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2 하우징(111)과 일체화하는 것이 아니라, 압입 등에 의해 제2 하우징(111)에 부착되어도 되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2 하우징(111)과 일체화된 것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접속부(165)는, 측면에서 본 형상이 개략 ㄷ자 형상의 부재이며,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상하 양단에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접속되고,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의 안쪽을 향한 표면의 일부가 제2 측벽부(112)의 내측 면(112b)에 노출되어 상대방 접촉부로서의 제2 접촉부(165a)로서 기능한다. 당해 제2 접촉부(165a)는, 제2 측벽부(112)의 내측 면(112b)과 개략 면일치로 된다. 또한, 상기 제2 테일부(162)는, 제2 접속부(165)에 있어서의 하방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좌우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의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각 제2 측벽부(112)에는, 기준 전위용 단자로서의 접지 단자(171)가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접지 단자(171)는 제1 커넥터(1)의 쉴드 판(56)과 접촉하는 단자이며, 상기 쉴드 판(56)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이 노출되는 분단 홈부(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11)의 저판(118)에 있어서의 접지 단자(17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필요에 따라, 개구부(113a)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접지 단자(171)는 도전성 금속판에 펀칭,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2 하우징(111)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피보유 지지부인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와, 당해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의 하단(Z축 정방향단)에 접속된 테일부인 접지 테일부(172)와, 상기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의 상단(Z축 부방향단)에 접속된 접속부로서의 접지 접속부(174)와, 당해 접지 접속부(174)의 선단에 접속된 접지 접촉 아암부(17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 단자(171)는 제2 단자(161)와 마찬가지로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2 하우징(111)과 일체화된다. 이에 의해, 접지 단자(171)는, 적어도 일부가 제2 하우징(111) 내에 매몰되도록 하여 제2 하우징(111)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접지 단자(171)는 제2 단자(161)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2 하우징(111)과 일체화하는 것이 아니라, 압입 등에 의해 제2 하우징(111)에 부착되어도 되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2 하우징(111)과 일체화되는 것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지 단자(171)의 폭은 제2 단자(161)의 폭의 약 2배 정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동일 정도 내지 3배 정도의 폭이어도 된다.
상기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는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며, 제2 측벽부(112) 내에 매몰되어 보유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접지 테일부(172)는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의 하단으로부터 좌우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의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제2 기판의 전력 트레이스, 접지 트레이스 등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접지 접속부(174)는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의 상단으로부터 좌우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접지 접촉 아암부(175), 접지 접속부(174)의 자유단인 선단으로부터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팽창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팽창 돌출 단이 쉴드 판(56)과의 접촉부인 접지 접촉부(175a)로서 기능한다.
상기 접지 단자(171)는, 적어도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의 대부분이 제2 측벽부(112) 내에 매몰되고, 적어도 접지 접속부(174) 및 접지 접촉 아암부(175)의 대부분이 요홈부(113) 내에 노출되어 수용된 상태로 제2 하우징(111)에 고정된다. 이 상태, 즉 접지 단자(171)가 제2 하우징(111)에 장전된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접지 단자(171)의 접지 접촉부(175a)끼리는 서로 마주보고, 또한 그 간격이 쉴드 판(56)의 판 두께보다도 작아질 정도로 근접 또는 맞닿는다.
또한, 접지 단자(171)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측벽부(112) 내에 매몰되는 부분이 단면으로 보아 대략 Z자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접지 단자(171)는 접지 접촉부(175a)로부터 접지 접속부(174)와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 사이까지의 긴 거리를 스프링 길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지 단자(171)는 쉴드 판(56)에 대하여 긴 스프링 길이를 사용한 적절한 접촉압을 갖는다. 또한, 접지 단자(171)가, 접지 접속부(174)의 상면과,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의 양면과, 접지 테일부(172)의 하면에서 제2 측벽부(112)에 보유 지지된다. 이와 같이, 다면으로 제2 측벽부(112)에 보유 지지됨으로써, 접지 단자(171)는 제2 하우징(111)에 대하여 강고하게 보유 지지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접지 테일부(172)는 제2 측벽부(112)의 내측 면과 근접하는 범위로부터 제2 커넥터(101)의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되기 때문에, 제2 기판과 대향하여 납땜 등으로 제2 기판에 접속시키는 개소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지 단자(171)는 제2 기판에 대하여 강고하게 보유 지지된다.
또한, 접지 단자(171)는 금속판에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그 형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접지 접속부(174), 접지 접촉 아암부(175) 및 접지 접촉부(175a)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 맞춤되어, 쉴드 판(56)이 서로 대향하는 접지 접촉부(175a)끼리의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쉴드 판(56)과 접촉하는 접지 접촉부(175a)는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의 바깥쪽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대방 끼워 맞춤 가이드부로서의 제2 돌출 단부(12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2 돌출 단부(122)는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Y축 방향)에 연장되어, 양단이 각 제2 측벽부(11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두꺼운 부재이다. 그리고 제2 돌출 단부(122)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 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가 구비하는 제1 돌출 단부(21)의 끼워 맞춤 오목부(22)에 삽입되는 삽입 볼록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2 돌출 단부(122)는, 제2 측벽부(112)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2 돌출 단부(122)의 측벽부로서의 제2 측벽 연장부(122c)와,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제2 측벽 연장부(122c)에 접속된 제2 단벽부(122b)를 구비한다. 각 제2 돌출 단부(122)에 있어서, 제2 단벽부(122b)와 그 양단에 접속된 제2 측벽 연장부(122c)는 연속된 개략 ㄷ자 형상의 측벽을 형성하고, 거의 직사각형의 요홈부(113)의 양단 근방의 3방을 획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벽부(122b)에 있어서, 외측 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는 제2 중앙 다리부 수용부로서의 외단 오목부(123a)가 형성되고, 내측 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는 내단 오목부(12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111)에는, 거기에 장전되는 상대방 보강 금속 부재으로서의 제2 보강 금속 부재(151)가 부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보강 금속 부재(151)는 금속판에 펀칭,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 양단에 위치하여, 제2 돌출 단부(122)의 제2 단벽부(122b)의 외측을 덮는 한 쌍의 제2 본체부(152)와,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본체부(152)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상대방 연결부인 제2 측판부(154)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본체부(152)는,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단벽부(122b)의 상면(122a)의 과반을 덮는 제2 본체 상면부(152a)와, 당해 제2 본체 상면부(152a)에 있어서의 제2 단벽부(122b)의 내측 단연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설부로서의 단벽 내 커버부(152b)와, 상기 제2 단벽부(122b)의 외측 단연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제2 중앙 다리부로서의 단벽 외 커버부(152c)와, 당해 단벽 외 커버부(152c)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기준 전위 접속부로서의 제2 중앙 접속 족부(152d)와, 상기 단벽 외 커버부(152c)의 측단에 형성된 걸림 결합 돌기(152e)와, 상기 단벽 외 커버부(152c)의 중앙 근방 부분에 형성된 걸림 결합 오목부(152g)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보강 금속 부재(151)가 제2 하우징(111)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2 본체 상면부(152a)는 제2 단벽부(122b)의 상면(122a)의 과반을 덮고, 단벽 내 커버부(152b)는, 적어도 그 일부가 내단 오목부(123b) 내에 수용되고, 단벽 외 커버부(152c)는, 그 대부분이 외단 오목부(123a) 내에 수용되고, 걸림 결합 돌기(152e)가 외단 오목부(123a)의 측벽과 걸림 결합함으로써, 외단 오목부(123a) 내에 고정된다. 또한, 제2 중앙 접속 족부(152d)는 기준 전위 접속부로서 기능하고, 그 하단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2 기판의 전력 트레이스, 접지 트레이스 등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2 보강 금속 부재(151)가 변형되기 어려워져서, 제2 커넥터(101)가 효과적으로 보강된다.
상기 제2 측판부(154)는 제2 하우징(111)의 두께 방향(Z축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평탄한 띠 형상의 판이며, 그 길이 방향 양단이 만곡 접속부(152f)를 통하여 제2 본체 상면부(152a)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측판부(154)의 외측 면에 있어서의 제1 보강 금속 부재(51)의 중앙측 접촉부(54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걸림 결합 오목부(154a)가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당해 걸림 결합 오목부(154a)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 맞춤되면, 상기 중앙측 접촉부(54b)의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54c)와 걸림 결합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2 측판부(154)의 하단에 있어서의 만곡 접속부(152f)와 접속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부터는, 양단측 접속 족부(154d)가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걸림 결합 오목부(154a)에 대응하는 위치부터는, 중앙측 접속 족부(154e)가 하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그리고 제2 보강 금속 부재(151)가 제2 하우징(111)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측판부(154)는 제2 돌출 단부(122) 및 제2 측벽부(112)에 있어서의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 외측을 덮고 있다. 그러나 제2 측벽부(112)에 있어서의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 외측에는, 내측에 오목하게 들어가는 측벽 오목부(112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측벽부(112)의 외측 면(112d)은 제2 측벽 연장부(122c)의 외측 면(122e)보다도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제2 측벽 연장부(122c)의 외측 면(122e)을 덮는 제2 측판부(154)는 제2 측벽부(112)의 외측 면(112d)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제2 측판부(154)와 제2 측벽부(112)의 외측 면(112d) 사이에 제2 측방 간극(158)이 형성된다. 따라서 쉴드로서 기능하는 제2 측판부(154)와 제2 단자(161)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측판부(154)와 제2 단자(161)가 서로 간섭하여 안테나로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단측 접속 족부(154d) 및 중앙측 접속 족부(154e)는 기준 전위 접속부로서 기능하고, 그 하단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2 기판의 전력 트레이스, 접지 트레이스 등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2 보강 금속 부재(151)가 변형되기 어려워져서, 제2 커넥터(101)가 효과적으로 보강되는 동시에 쉴드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를 끼워 맞춤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커넥터(1)는, 제1 단자(61)의 제1 테일부(62)가 도시되지 않은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어, 제1 보강 금속 부재(51)의 제1 중앙 접속 족부(52d)의 하단, 양단측 접속 족부(54d)의 하단 및 중앙측 접속 족부(54e)의 하단이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1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61)의 제1 테일부(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1 보강 금속 부재(51)의 제1 중앙 접속 족부(52d)의 하단, 양단측 접속 족부(54d)의 하단 및 중앙측 접속 족부(54e)의 하단이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트레이스, 접지 트레이스 등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인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101)는, 제2 단자(161)의 제2 테일부(162)가 도시되지 않은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어, 접지 단자(171)의 접지 테일부(172), 제2 보강 금속 부재(151)의 제2 중앙 접속 족부(152d)의 하단, 양단측 접속 족부(154d)의 하단 및 중앙측 접속 족부(154e)의 하단이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2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자(161)의 제2 테일부(1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접지 단자(171)의 접지 테일부(172), 제2 보강 금속 부재(151)의 양단측 접속 족부(154d)의 하단 및 중앙측 접속 족부(154e)의 하단이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트레이스, 접지 트레이스 등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인 것으로 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제1 커넥터(1)의 제1 하우징(11)의 끼워 맞춤면(11a)과 제2 커넥터(101)의 제2 하우징(111)의 끼워 맞춤면(111a)을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101)의 제2 측벽부(112)의 위치가 제1 커넥터(1)가 대응하는 요홈부(12a)의 위치와 합치하고, 제2 커넥터(101)의 제2 돌출 단부(122)의 위치가 제1 커넥터(1)가 대응하는 끼워 맞춤 오목부(22)의 위치와 합치하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와의 위치 맞추기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상대 측에 접근하는 방향, 즉 끼워 맞춤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 커넥터(101)의 제2 측벽부(112) 및 제2 돌출 단부(122)가 제1 커넥터(1)의 요홈부(12a) 및 끼워 맞춤 오목부(22) 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도 1 및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와의 끼워 맞춤이 완료되면,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가 도통한 상태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a)와 제2 단자(161)의 제2 접촉부(165a)가 접촉하고, 그 결과 제1 단자(61)의 제1 테일부(62)가 접속된 제1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와, 제2 단자(161)의 제2 테일부(162)가 접속된 제2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가 도통한다. 이에 의해, 서로 대응하는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는 한 군데에서만 접촉하는 소위 단접점의 상태로 되고, 복수 개소에서 접촉하는 소위 복수 접점의 상태와 비교하면, 제1 단자(61)의 제1 테일부(62)로부터 제2 단자(161)의 제2 테일부(162)까지의 신호의 전송 선로에 의도하지 않은 스터브(Stub)나 분기 회로가 형성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전송 선로의 임피던스가 안정된다. 따라서 상기 전송 선로를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사용한 경우도 양호한 SI(신호 대 간섭)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끼워 맞춤 오목부(22)에 제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되어, 제1 보강 금속 부재(51)의 단벽 내 커버부(52b)의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52b1)가 제2 보강 금속 부재(151)의 단벽 외 커버부(152c)의 걸림 결합 오목부(152g)와 걸림 결합하여 접촉하고, 제1 보강 금속 부재(51)의 양단측 접촉부(54a)와 제2 보강 금속 부재(151)의 제2 측판부(154)의 길이 방향 양단 근방이 접촉하고, 제1 보강 금속 부재(51)의 중앙측 접촉부(54b)의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54c)가 제2 보강 금속 부재(151)의 제2 측판부(154)의 걸림 결합 오목부(154a)와 걸림 결합하여 접촉한다. 또한, 제1 볼록부(13)의 분단 홈부(17) 내에 노출되는 쉴드 판(56)이 좌우 한 쌍의 접지 단자(171)의 접지 접촉부(175a)끼리의 사이에 진입하여 접촉하는 동시에 제1 볼록부(13)의 길이 방향 양단에 있어서 노출되는 쉴드 판(56)의 단연(56b)이 제2 보강 금속 부재(151)의 단벽 내 커버부(152b)와 접촉한다. 그 결과, 제1 보강 금속 부재(51)의 제1 중앙 접속 족부(52d)의 하단, 양단측 접속 족부(54d)의 하단 및 중앙측 접속 족부(54e)의 하단이 접속된 제1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와, 제2 보강 금속 부재(151)의 제2 중앙 접속 족부(152d)의 하단, 양단측 접속 족부(154d)의 하단, 중앙측 접속 족부(154e)의 하단, 및 접지 단자(171)의 접지 테일부(172)가 접속된 제2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가 도통한다. 따라서 제1 기판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 제2 기판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 제1 보강 금속 부재(51), 제2 보강 금속 부재(151) 및 쉴드 판(56)이 등전위로 되어, 쉴드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보강 금속 부재(51)의 단벽 내 커버부(52b)의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52b1)가 제2 보강 금속 부재(151)의 단벽 외 커버부(152c)의 걸림 결합 오목부(152g)와 걸림 결합하고, 제1 보강 금속 부재(51)의 중앙측 접촉부(54b)의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54c)가 제2 보강 금속 부재(151)의 제2 측판부(154)의 걸림 결합 오목부(154a)와 걸림 결합하기 때문에, 제1 보강 금속 부재(51)와 제2 보강 금속 부재(151)가 로킹된 상태로 되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와의 끼워 맞춤 상태의 해제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제1 커넥터(1)의 좌우 요홈부(12a) 내에서 제2 단자(161)의 제2 접촉부(165a)와 접촉하는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a)의 열끼리의 사이에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된 쉴드 판(56)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의 요홈부(12a) 안의 제1 단자(61) 및 제2 단자(161)와 우측의 요홈부(12a) 안의 제1 단자(61) 및 제2 단자(161)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쉴드 판(56)은,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의 단연(56b)이 제2 보강 금속 부재(151)의 단벽 내 커버부(152b)와 접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길이 방향의 중간(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중앙)이 접지 단자(171)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쉴드 판(56)의 각 부로부터 기준 전위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가 짧아져서, 쉴드 판(56)의 각 부의 쉴드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접지 단자(171)는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제1 하우징(11)보다도 폭이 좁은 제2 하우징(111)에 부착된 부재이므로, 접지 접촉부(175a)로부터 접지 테일부(172)까지의 도전 경로가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쉴드 판(56)의 각 부로부터 기준 전위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를 매우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쉴드로서도 기능하는 제1 측판부(54) 및 제2 측판부(154)도 그 길이 방향 양단 근처에 위치하는 양단측 접속 족부(54d)의 하단 및 양단측 접속 족부(154d)의 하단이 접속 패드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 중앙 근방에 위치하는 중앙측 접속 족부(54e)의 하단 및 중앙측 접속 족부(154e)의 하단이 접속 패드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측판부(54) 및 제2 측판부(154)의 각 부로부터 기준 전위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가 짧아져서, 제1 측판부(54) 및 제2 측판부(154)의 각 부의 쉴드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으로의 접속이 보다 확실해지고, 제1 보강 금속 부재(51) 및 제2 보강 금속 부재(151)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쉴드 판(56)은 제1 볼록부(13)의 폭 방향의 중앙에 보유 지지되어 제1 볼록부(13)의 폭 방향 양측의 요홈부(12a) 내의 제1 단자(61) 및 제2 단자(161)와 이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쉴드 판(56)과 제1 단자(61) 및 제2 단자(161)와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단자(61)의 제1 테일부(62)로부터 제2 단자(161)의 제2 테일부(162)까지의 신호의 전송 선로를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사용한 경우에도 쉴드 판(56)과 제1 단자(61) 및 제2 단자(161)가 서로 간섭하여 안테나로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쉴드로도 기능하는 제1 측판부(54)와 제1 단자(61)가 부착된 제1 측벽부(14) 사이에는, 제1 측방 간극(58)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제1 측판부(54)와 제1 단자(61)와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송 선로를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사용한 경우에도 제1 측판부(54)와 제1 단자(61)가 서로 간섭하여 안테나로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쉴드로도 기능하는 제2 측판부(154)와 제2 단자(161)가 부착된 제2 측벽부(112) 사이에는, 제2 측방 간극(158)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제2 측판부(154)와 제2 단자(161)와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송 선로를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사용한 경우에도 제2 측판부(154)와 제2 단자(161)가 서로 간섭하여 안테나로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끼워 맞춤되면, 제1 하우징(11)의 제1 측벽부(14)가 제2 하우징(111)의 제2 측방 간극(158)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제2 커넥터(101)의 제2 측판부(154)의 내측 면과 제2 측벽부(112)의 외측 면(112d)에 제1 커넥터(1)의 제1 측벽부(14)의 외측 면(14d)과 내측 면이 각각 근접 또는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끼워 맞춰지는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는, 제1 하우징(11)과, 제1 하우징(11)에 장전되는 제1 단자(61)와, 제1 하우징(11)에 장전되는 제1 보강 금속 부재(51)를 갖는 제1 커넥터(1)와, 제2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1)에 장전되는 제2 단자(161)와, 제2 하우징(111)에 장전되는 제2 보강 금속 부재(151)를 갖고, 제1 커넥터(1)와 끼워 맞춰지는 제2 커넥터(101)를 구비한다. 또한, 제1 하우징(11)은, 제2 하우징(111)과 끼워 맞춰지는 제1 오목부(12)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오목부(12)의 양측을 획정하는 제1 측벽부(14)와, 제1 오목부(12) 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볼록부(13)로서, 제2 하우징(111)의 요홈부(113)와 끼워 맞춰지는 제1 볼록부(13)를 포함하고, 제1 단자(61)는 제1 볼록부(13)와 제1 측벽부(14) 사이의 요홈부(12a)에 있어서 제2 단자(161)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65a)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1)는 제1 볼록부(13)의 폭 방향의 중앙에 보유 지지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쉴드 판(56)을 추가로 갖고, 제2 보강 금속 부재(151)는,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되는 제2 중앙 접속 족부(152d)와, 쉴드 판(56)의 길이 방향의 양단과 접촉하는 단벽 내 커버부(152b)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101)는,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되는 접지 테일부(172)와, 쉴드 판(56)의 길이 방향의 중간과 접촉하는 접지 접촉부(175a)를 포함하는 접지 단자(171)를 추가로 갖는다.
이에 의해, 제1 볼록부(13)의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쉴드 판(56)의 길이 방향의 양단이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그 길이 방향의 중간이 접지 단자(171)를 통하여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되기 때문에, 커넥터 조립체는 제1 단자(61) 및 제2 단자(161)의 열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쉴드 판(56)으로부터 기판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높은 쉴드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2 하우징(11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요홈부(113)의 양측을 획정하는 제2 측벽부(112)를 포함하고, 접지 단자(171)는 제2 측벽부(112)에 보유 지지되는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와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지 접속부(174)를 포함하고, 접지 접속부(174)의 자유단에 접지 접촉부(175a)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자(161)는, 복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제2 측벽부(112)에 배치되며, 접지 단자(171)의 접지 피보유 지지부(173)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2 단자(161)끼리의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쉴드 판(56)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지 접속부(174)를 통하여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되기 때문에, 기준 전위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의 길이가 매우 짧아진다.
또한, 제2 보강 금속 부재(151)는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2 본체부(152)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제2 본체부(152)에 접속되는 제2 측판부(154)를 포함하고, 제2 중앙 접속 족부(152d)는 제2 본체부(152)의 외측 단에 접속되고, 단벽 내 커버부(152b)는 제2 본체부(152)의 내측 단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쉴드 판(56)의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기준 전위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판부(154)는 제2 하우징(111)의 제2 측벽부(112)의 외측 면(112d)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측판부(154)와 제2 단자(161)가 서로 간섭하여 안테나로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강 금속 부재(51)는,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1 본체부(52)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제1 본체부(52)에 접속되는 제1 측판부(54)를 포함하고, 제1 측판부(54)는 폭 방향 중앙을 향하여 팽창 돌출되고, 제2 측판부(154)에 형성된 걸림 결합 오목부(154a)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54c)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보강 금속 부재(51)와 제2 보강 금속 부재(151)가 확실하게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제1 기판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 제2 기판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 제1 보강 금속 부재(51), 제2 보강 금속 부재(151) 및 쉴드 판(56)이 등전위로 되기 때문에, 쉴드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동작 및 같은 효과에 대해서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끼워 맞춰진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의 사시도,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는, 상기 제1 실시 형태보다도 길이 방향(X축 방향)의 치수가 크게 설정되고, 그에 따라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11), 제1 보강 금속 부재(51), 제2 보강 금속 부재(151) 및 쉴드 판(56)도 상기 제1 실시 형태보다도 길이 방향의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61) 및 제2 단자(161)의 수가 상기 제1 실시 형태보다도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의 제1 볼록부(13)는 두 분단 홈부(17)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셋으로 나뉘고, 쉴드 판(56)은 두 분단 홈부(17) 내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는 각 제1 볼록부(13)의 양측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피치로, 예를 들어 3개, 2개 및 3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의 기타 사항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커넥터(101)에 있어서, 접지 단자(171)는 두 분단 홈부(17)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제2 단자(161)는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 내에 수용되는 제1 단자(6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11)의 저판(118)에는, 접지 단자(17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두 개구부(113a)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측판부(154)의 하단에 있어서의 만곡 접속부(152f)와 접속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양단측 접속 족부(154d)의 하단에,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 외측에 연장 돌출되도록 하여 단면시로 대략 L자 형상의 접속 테일(154f)을 접속해도 된다. 상기 양단측 접속 족부(154d)를 납땜 등에 의해 제2 기판의 전력 트레이스, 접지 트레이스 등의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접속되도록 해도 좋고, 양단측 접속 족부(154d)의 하단에 접속 테일(154f)을 접속한 경우는 양단측 접속 족부(154d) 대신에 상기 접속 테일(154f)을 접속 패드에 접속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101)의 기타 사항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길이 방향의 치수가 크게 설정되고, 쉴드 판(56)의 길이 방향의 치수도 크게 설정되어 있지만, 그에 따라 길이 방향에 관하여 쉴드 판(56)의 복수 개소가 접지 단자(171)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쉴드 판(56)의 각 부로부터 기준 전위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를 짧게 유지할 수 있고, 쉴드 판(56)의 각 부의 높은 쉴드성의 유지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지 단자(171)는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길이 방향의 치수가 크고, 쉴드 판(56)이 길게 되어도 쉴드 판(56)의 각 부로부터 기준 전위 트레이스까지의 도전 경로를 짧게 할 수 있고, 높은 쉴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적합하고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관한 특징을 기술한 것이다.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 및 그 취지 내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 형태, 수정 및 변형은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개시를 총람함으로써 당연히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개시는 커넥터 조립체에 적용할 수 있다.
1: 제1 커넥터
11: 제1 하우징
11a, 111a: 끼워 맞춤면
12: 제1 오목부
12a, 113: 요홈부
13: 제1 볼록부
13a: 쉴드 판 수용 슬릿
13a1: 주부
13a2: 부부
13b: 슬릿 분할부
14: 제1 측벽부
14c, 112c: 측벽 오목부
14d, 23e, 112d, 122e: 외측 면
15: 제1 단자 수용 캐비티
15a: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
17: 분단 홈부
18, 118: 저판
21: 제1 돌출 단부
21a, 122a: 상면
21b: 제1 단벽부
21c: 제1 측벽 연장부
22, 56a: 끼워 맞춤 오목부
23a, 123a: 외단 오목부
23b, 123b: 내단 오목부
23d: 내측 오목부
51: 제1 보강 금속 부재
52: 제1 본체부
52a: 제1 본체 상면부
52b, 152b: 단벽 내 커버부
52b1, 54c: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
52c, 152c: 단벽 외 커버부
52d: 제1 중앙 접속 족부
52e, 56c, 152e: 걸림 결합 돌기
52f, 152f: 만곡 접속부
54: 제1 측판부
54a: 양단측 접촉부
54b: 중앙측 접촉부
54d, 154d: 양단측 접속 족부
54e, 154e: 중앙측 접속 족부
56, 856: 쉴드 판
56b: 단연
58: 제1 측방 간극
61: 제1 단자
62: 제1 테일부
63: 제1 피보유 지지부
64: 제1 접속부
65: 제1 접촉 아암부
65a: 제1 접촉부
101: 제2 커넥터
111: 제2 하우징
112: 제2 측벽부
112b: 내측 면
113a: 개구부
122: 제2 돌출 단부
122b: 제2 단벽부
122c: 제2 측벽 연장부
151: 제2 보강 금속 부재
152: 제2 본체부
152a: 제2 본체 상면부
152d: 제2 중앙 접속 족부
152g, 154a: 걸림 결합 오목부
154: 제2 측판부
154f: 접속 테일
158: 제2 측방 간극
161: 제2 단자
162: 제2 테일부
165: 제2 접속부
165a: 제2 접촉부
171: 접지 단자
172: 접지 테일부
173: 접지 피보유 지지부
174: 접지 접속부
175: 접지 접촉 아암부
175a: 접지 접촉부
851: 보강 금속 부재
852, 857: 측벽 피복부
861: 신호 단자

Claims (7)

  1. (a) 제1 커넥터 본체와, 당해 제1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제1 보강 금속 부재를 갖는 제1 커넥터와,
    (b) 제2 커넥터 본체와, 당해 제2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제2 보강 금속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c) 상기 제1 커넥터 본체는, 상기 제2 커넥터 본체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을 획정하는 제1 측벽부와, 상기 오목부 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일랜드로서, 상기 제2 커넥터 본체의 요홈부와 끼워 맞춰지는 아일랜드를 포함하고,
    (d)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아일랜드와 제1 측벽부 사이의 요홈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e)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아일랜드의 폭 방향의 중앙에 보유 지지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쉴드 판을 추가로 갖고,
    (f) 상기 제2 보강 금속 부재는,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되는 기준 전위 접속부와, 상기 쉴드 판의 길이 방향의 양단과 접촉하는 설부를 포함하고,
    (g)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기준 전위 트레이스에 접속되는 테일부와, 상기 쉴드 판의 길이 방향의 중간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기준 전위용 단자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요홈부의 양측을 획정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위용 단자는 상기 제2 측벽부에 보유 지지되는 피보유 지지부와 당해 피보유 지지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당해 접속부의 자유단에 상기 접촉부가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복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상기 제2 측벽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준 전위용 단자의 피보유 지지부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2 단자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위용 단자는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에 위치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금속 부재는,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2 본체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상기 제2 본체부에 접속되는 제2 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위 접속부는 제2 본체부의 외측 단에 접속되고, 상기 설부는 제2 본체부의 내측 단에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판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본체의 제2 측벽부의 외측 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금속 부재는,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1 본체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상기 제1 본체부에 접속되는 제1 측판부를 포함하고, 당해 제1 측판부는 폭 방향 중앙을 향하여 팽창 돌출되고, 상기 제2 측판부에 형성된 걸림 결합 오목부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 결합 팽창 돌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90111862A 2018-12-27 2019-09-10 커넥터 조립체 KR102224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113A KR102340208B1 (ko) 2018-12-27 2021-02-26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4661A JP7108531B2 (ja) 2018-12-27 2018-12-27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8-244661 2018-12-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113A Division KR102340208B1 (ko) 2018-12-27 2021-02-26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205A KR20200081205A (ko) 2020-07-07
KR102224104B1 true KR102224104B1 (ko) 2021-03-09

Family

ID=7112232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862A KR102224104B1 (ko) 2018-12-27 2019-09-10 커넥터 조립체
KR1020210026113A KR102340208B1 (ko) 2018-12-27 2021-02-26 커넥터 조립체
KR1020210176905A KR102426574B1 (ko) 2018-12-27 2021-12-10 커넥터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113A KR102340208B1 (ko) 2018-12-27 2021-02-26 커넥터 조립체
KR1020210176905A KR102426574B1 (ko) 2018-12-27 2021-12-10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811824B2 (ko)
JP (2) JP7108531B2 (ko)
KR (3) KR102224104B1 (ko)
CN (2) CN111403964B (ko)
TW (2) TWI8105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8531B2 (ja) * 2018-12-27 2022-07-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JP1638447S (ko) * 2018-12-28 2019-08-05
WO2020262138A1 (ja) * 2019-06-24 2020-12-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7411882B2 (ja) 2019-08-08 2024-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1659117S (ko) * 2019-09-27 2020-05-11
JP1659118S (ko) * 2019-09-27 2020-05-11
JP7388901B2 (ja) * 2019-12-10 2023-11-2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403085B2 (ja) 2020-01-15 2023-1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417855B2 (ja) 2020-01-15 2024-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TW202135401A (zh) * 2020-03-10 2021-09-16 日商宏致日本股份有限公司 接觸件與連接器
US11652323B2 (en) * 2020-05-13 2023-05-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encolsed by a shell and a mating connector enclosed by a mating shell
US11495919B2 (en) * 2020-05-13 2022-11-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CN216413329U (zh) * 2020-07-08 2022-04-29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多极连接器
CN111786200B (zh) * 2020-07-09 2021-08-31 瑞声新能源发展(常州)有限公司科教城分公司 一种多极基板电连接器
CN114079190B (zh) 2020-08-21 2023-06-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对接连接器
CN114498200B (zh) * 2020-10-23 2024-01-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WO2022137663A1 (ja) * 2020-12-23 2022-06-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
CN113067176B (zh) * 2021-02-09 2022-10-21 信维通信(江苏)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TWM618644U (zh) * 2021-06-25 2021-10-21 詮欣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0745A (ja) 2018-09-06 2018-11-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7154B2 (ja) * 1998-05-06 2002-04-22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019215A (ja) * 2004-07-05 2006-01-19 Fci Asia Technology Pte Ltd 電気コネクタ
SG174642A1 (en) * 2010-03-22 2011-10-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Board-to-board connector
CN102088151B (zh) * 2010-06-24 2013-03-13 航天时代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高速连接器的组合式屏蔽板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825477B2 (ja) 2011-08-18 2015-12-02 Smk株式会社 接続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5806700B2 (ja) * 2013-04-18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896959B2 (ja) * 2013-06-14 2016-03-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JP5972855B2 (ja)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279989B2 (ja) * 2014-06-25 2018-02-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056830B2 (ja) * 2014-10-10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6391517B2 (ja) * 2015-03-30 2018-09-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225941B2 (ja) * 2015-04-17 2017-11-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6378642B2 (ja) *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256426B2 (ja) 2015-07-29 2018-01-10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2017050235A (ja) 2015-09-04 2017-03-09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コネクタ
JP2017162774A (ja) 2016-03-11 2017-09-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498622B2 (ja) * 2016-03-14 2019-04-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17415B1 (ja) * 2016-08-04 2017-04-19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96933B2 (ja) 2016-09-08 2020-05-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739297B2 (ja) * 2016-09-09 2020-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08258484B (zh) * 2016-12-28 2020-02-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JP6806028B2 (ja) 2017-01-19 2020-12-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セット
JP6842359B2 (ja) * 2017-05-10 2021-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493611B1 (ja) * 2018-08-03 2019-04-03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681951B2 (ja) * 2018-08-08 2020-04-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816747B2 (ja) * 2018-10-01 2021-01-20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7148357B2 (ja) * 2018-10-18 2022-10-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108531B2 (ja) * 2018-12-27 2022-07-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JP2020184459A (ja) * 2019-05-08 2020-11-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0745A (ja) 2018-09-06 2018-11-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37248A (ja) 2022-09-21
CN111403964A (zh) 2020-07-10
JP7108531B2 (ja) 2022-07-28
KR20210154131A (ko) 2021-12-20
US10811824B2 (en) 2020-10-20
JP2020107472A (ja) 2020-07-09
CN111403964B (zh) 2021-06-29
KR20200081205A (ko) 2020-07-07
CN113594797A (zh) 2021-11-02
TW202135395A (zh) 2021-09-16
TWI732341B (zh) 2021-07-01
KR20210025562A (ko) 2021-03-09
TW202025572A (zh) 2020-07-01
KR102340208B1 (ko) 2021-12-17
TWI810573B (zh) 2023-08-01
US11431132B2 (en) 2022-08-30
US20200212634A1 (en) 2020-07-02
KR102426574B1 (ko) 2022-07-29
US20210057852A1 (en) 2021-02-25
US20220352677A1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104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2253273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N110474206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KR102580251B1 (ko) 커넥터
JP7102329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563046B2 (ja) コネクタ
JP202217274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