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553B1 -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553B1
KR102215553B1 KR1020190119877A KR20190119877A KR102215553B1 KR 102215553 B1 KR102215553 B1 KR 102215553B1 KR 1020190119877 A KR1020190119877 A KR 1020190119877A KR 20190119877 A KR20190119877 A KR 20190119877A KR 102215553 B1 KR102215553 B1 KR 102215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ntainer
raw material
ji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무
김성신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90119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553B1/ko
Priority to PCT/KR2020/009905 priority patent/WO2021060690A1/ko
Priority to KR1020210001210A priority patent/KR102479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0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6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thermoforming operation
    • B29C51/268Cutting, rearranging and joining the cu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필름 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제 1 원료 필름을 성형하여 내측에 상기 필름용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지그(jig)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필름용기의 형상으로 성형된 제 2 원료 필름을 상기 수용부를 통해 상기 지그와 결합하고, 테두리를 일체로 커팅함으로써 상기 필름용기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용기를 내용기 본체에 삽입하고, 상기 필름용기와 상기 내용기 본체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상기 내용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NNER CONTAINER CONTAINING FILM-TYPE CONTAINER}
본 발명은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내용물의 배출에 따라 수축가능한 연질의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식 용기는 액상 내용물을 저장한 용기의 버튼을 가압하여 내용물을 일정량씩 분출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서, 화장품이나 향수 또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을 저장하는 각종 용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2는 종래의 펌프식 용기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종래의 펌프식 용기는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1210), 용기본체(1210)의 입구에 결합되는 배출펌프(1220), 배출펌프(1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1230)과 배출펌프(1220)로부터 용기본체(121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튜브(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1230)을 가압하면 배출펌프(1220)가 동작되어 튜브(1240)를 통해 용기본체(12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상측으로 흡입하게 되며, 버튼(1230)에 형성되는 토출구로 흡인된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펌프식 용기는 튜브(1240)가 닿지 않는 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이 많아 용기본체(1210)에 항상 많은 잔량이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용기본체의 내측 하단부에 피스톤을 설치하고, 내용물 토출에 따른 내부압력 변화에 따라 이러한 피스톤이 상승하여 내용물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구현된 에어리스 타입의 용기가 도입된 바 있다.
그러한 이러한 용기 역시, 피스톤의 설치 공간의 필요로 인하여 높이가 낮은 콤팩트 용기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의 배출에 따라 수축가능한 연질의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필름 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제 1 원료 필름을 성형하여 내측에 상기 필름용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지그(jig)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필름용기의 형상으로 성형된 제 2 원료 필름을 상기 수용부를 통해 상기 지그와 결합하고, 테두리를 일체로 커팅함으로써 상기 필름용기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용기를 내용기 본체에 삽입하고, 상기 필름용기와 상기 내용기 본체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상기 내용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원료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하는 단계; 상기 연화된 제 1 원료 필름을 상기 지그의 형상으로 진공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 성형된 제 1 원료 필름의 테두리를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진공 성형된 제 1 원료 필름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관통홀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원료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원료 필름을 270 내지 300 ℃로 12 내지 18초 동안 비접촉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원료 필름의 두께는 0.2 내지 0.4 mm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용기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원료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하는 단계; 상기 연화된 제 2 원료 필름을 상기 필름용기의 형상으로 진공 성형하는 단계; 상기 진공 성형된 제 2 원료 필름을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여 상기 지그와 결합하는 단계; 상기 지그에 결합된 상기 제 2 원료 필름의 테두리를 상기 지그와 일체로 커팅하는 단계; 및 상기 테두리가 커팅된 제 2 원료 필름으로부터 상기 지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원료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원료 필름을 270 내지 300 ℃로 12 내지 18초 동안 비접촉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원료 필름은 PA(polyamide), EVOH(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층(layer)을 포함하고, 두께는 0.08 내지 0.16 mm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용기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용기의 외면이 상기 내용기 본체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필름용기를 상기 내용기 본체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필름용기가 결합된 상기 내용기 본체를 연질의 압착 지그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열 압착을 통해 상기 필름용기와 상기 내용기 본체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용기와 상기 내용기 본체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용기의 테두리를 150 내지 160 ℃로 24 내지 32초 동안, 2.8 내지 3.2 ton의 하중으로 열 압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의 배출에 따라 필름용기가 수축하여 남은 내용물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구현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가 낮은 콤팩트 용기 등에도 쉽게 장착하여 에어리스 용기와 동일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용기의 제조 과정에서 지그를 이용하여 원료 필름의 수축 및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불량품이 발생할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서리 등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금형을 통해 진공 성형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각진 모서리가 있거나 깊이가 있는 제품의 형상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방법 중 S11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도 2의 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지그(jig)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방법 중 S12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도 6은 도 5의 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료 필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방법 중 S13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도 9는 도 8의 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내용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다.
도 12는 종래의 펌프식 용기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조 방법(100)은 지그를 제조하는 단계(S110), 필름용기를 제조하는 단계(S120) 및 내용기를 제조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는, 제 1 원료 필름을 성형하여 필름용기의 제조(S120 단계)에 사용되는 지그(jig)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10 단계는, 제 1 원료 필름을 연화시키고, 소정의 금형을 이용하여 진공 성형을 수행한 뒤, 테두리 등을 커팅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S110 단계를 통해, 제조된 지그는 S120 단계의 수행 과정에서 진공 성형된 제 2 원료 필름과 결합되어 제 2 원료 필름의 수축 및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는, 제 2 원료 필름을 성형하여 필름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20 단계는, 제 2 원료 필름을 연화시키고, 소정의 금형을 이용하여 진공 성형을 수행한 뒤, 이를 지그와 결합하여 일체로 테두리를 커팅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는, 필름용기를 내용기 본체와 결합하여 필름용기가 내측에 삽입된 내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30 단계는, 필름용기를 내용기 본체의 내측에 삽입하고, 열 압착 방식을 통해 필름용기의 테두리를 내용기 본체의 테두리에 접합한 다음, 내용기 본체의 상측에 내용기 커버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에 구체적인 수행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방법 중 S11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도 2의 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또한, 도 4는 도 2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지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S210 단계에서, 제 1 원료 필름(310)을 가열하여 연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원료 필름(310)은,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제 1 원료 필름(310)은 연신율이 좋은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원료 필름(310)의 두께는 0.2 내지 0.4 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210 단계는, 가열판(320)에 의한 비접촉 가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원료 필름(310)을 가열판(320)을 이용하여 270 내지 300 ℃의 온도로 12 내지 18초 동안 비접촉 가열함으로써 제 1 원료 필름(310)을 연화할 수 있다.
이어서, S220 단계에서, 연화된 제 1 원료 필름(310)을 지그(10)의 형상으로 진공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홀이 형성된 금형(330)에 연화된 제 1 원료 필름(310)을 배치하고, 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제 1 원료 필름(310)을 지그(10)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330)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다수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지그(10)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성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지그(10)는 필름용기의 제조 과정에서 제 2 원료 필름과 결합하여 제 2 원료 필름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가 필름용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게 되며, 특히, S220 단계를 통해, 지그(10)에는 필름용기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S230 단계에서, 성형된 제 1 원료 필름(310)을 냉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230 단계는 18 내지 23℃의 냉각 공기를 8 내지 12초 동안 분사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S240 단계에서는 성형된 제 1 원료 필름(310)의 테두리를 커팅하고, 수용부(12)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4)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팅 장치(340)를 이용하여 소정의 규격에 맞도록 성형된 제 1 원료 필름(310)의 테두리(즉, 수용부(12)의 상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형성되는 테두리)를 커팅하고, 수용부(12)의 하단면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4)을 형성함으로써, 도 4에서 도시되는 형상의 지그(10)를 완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방법 중 S12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도 6은 도 5의 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또한, 도 7은 도 5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료 필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S510 단계에서, 제 2 원료 필름(610)을 가열하여 연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원료 필름(610)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PA(polyamide), EVOH(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층(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VOH 층은 햇빛 등이 빛의 투과를 차단하고, 공기 투과를 차단하여 내용물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LLDPE 층은 PE 재질로 구성되는 내용기 본체와의 접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재질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제 2 원료 필름(610)은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재질의 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2 원료 필름(610)의 두께는 0.08 내지 0.16 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2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510 단계는, 가열판(620)에 의한 비접촉 가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원료 필름(610)을 가열판(620)을 이용하여 270 내지 300 ℃의 온도로 12 내지 18초 동안 비접촉 가열함으로써 제 2 원료 필름(610)을 연화할 수 있다.
이어서, S520 단계에서, 연화된 제 2 원료 필름(610)을 필름용기(20)의 형상으로 진공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홀이 형성된 금형(630)에 연화된 제 2 원료 필름(610)을 배치하고, 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제 2 원료 필름(610)을 필름용기(20)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630)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다수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필름용기(20)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성형과 깊이 있는 용기의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S530 단계에서, 성형된 제 2 원료 필름(610)을 냉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530 단계는 18 내지 23℃의 냉각 공기를 8 내지 12초 동안 분사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S540 단계에서, 성형된 제 2 원료 필름(610)을 지그(10)에 결합하고, 테두리에 대한 커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그(10)의 수용부(12) 및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성형된 제 2 원료 필름(610)을 지그(10)에 삽입하고, 커팅 장치(640)를 이용하여 제 2 원료 필름(610)의 테두리를 필름용기(20)의 규격에 맞도록 지그(10)와 일체로 커팅할 수 있다.
이어서, S550 단계에서, 결합된 지그(10)를 분리 및/또는 제거함으로써 필름용기(20)를 완성할 수 있다. 필름용기(20)는 내용기 본체의 내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10)를 결합하여, 박판의 제 2 원료 필름(610)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필름 용기의 제조 과정에서 제 2 원료 필름(610)이 수축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그(10)의 수용부(12)에는 관통홀(14)이 형성됨으로 인해, 성형된 제 2 원료 필름(610)이 보다 용이하게 지그(10)와 밀착되어 결합되거나 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도 1의 방법 중 S13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도 9는 도 8의 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또한, 도 10은 도 8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내용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S810 단계에서, 필름용기(20)를 내용기 본체(30)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용기(20)의 외면이 내용기 본체(30)의 내면에 밀착되되, 필름용기(20)의 테두리는 내용기 본체(30)의 테두리에 상에 배치되도록 필름용기(20)를 내용기 본체(30)의 내측에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용기 본체(30)의 하단면에는 이하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상술되는 내용물의 배출에 따른 필름용기(20)의 수축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유입홀(3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S820 및 S830 단계에서, 필름용기(20)가 결합된 내용기 본체를 연질의 압착 지그(910) 상에 배치하고, 내용기 본체(30)의 테두리에 필름용기(20)의 테두리를 열 접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830 단계는, 가열판(920)으로 필름용기(20)와 내용기 본체(30)의 테두리를 동시에 가압하는 열 압착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50 내지 160 ℃의 가열판(920)으로 24 내지 32초 동안, 2.8 내지 3.2 ton의 하중으로 열 압착함으로써, 필름용기(20)와 내용기 본체(30)의 테두리를 접합할 수 있다. 이때, 내용기 본체(30)의 하부에 연질의 압착 지그(910)가 배치되기 때문에, 보다 긴밀하고 부드럽게 접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접합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접착제를 통한 접합, 초음파 접합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접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S840 단계에서, 내용기 본체(30)의 개방된 상부에 내용기 커버(40)를 결합함으로써, 내용기(20, 30, 40)를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 커버(40)는 초음파 접합,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식에 의해 내용기 본체(3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용기 커버(40)의 중심 영역에는 필름용기(20)의 내측에 저장되는 화장료 등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펌프가 장착되는 결합홀(4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용기 본체(30)와 내용기 커버(40)는 별도의 공정(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E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100)는 내측에 필름용기(1120)를 포함하는 내용기(1120, 1130, 1140)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용기(1120) 및 내용기(1120, 1130, 114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필름용기(1120)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화장료와 같은 액상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내용기 커버(1140)의 결합홀(도면부호 미도시)에 배출펌프(1150)가 결합됨으로써, 필름용기(1120)가 밀봉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펌프(1150)는 내부의 압력 변화를 통해 필름용기(1120)에 저장된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압 등을 통해 배출펌프(1150)를 동작시키면, 필름용기(112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펌프(1150)와 연결된 토출홀(도면부호 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름용기(1120)로부터 내용물이 배출됨으로 인해, 필름용기(1120)의 내부 압력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내용기 본체(1130)에 밀착된 필름용기(1120)가 분리되면서 필름용기(1120)가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1100)는 내용물의 배출에 따라 연질의 필름용기(1120)가 수축되어 내용물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잔량없이 또는 최소한의 잔량만을 남기고 내용물을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지그 12: 수용부
14: 관통홀 20, 1120: 필름용기
30, 1130: 내용기 본체 32: 유입홀
40, 1140: 내용기 커버 42: 결합홀
310: 제 1 원료 필름 320, 620, 920: 가열판
330, 630: 금형 340, 640: 커팅 장치
610: 제 2 원료 필름 910: 압착 지그
1100: 화장품 용기 1150: 배출펌프

Claims (10)

  1.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원료 필름을 성형하여 내측에 상기 필름용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지그(jig)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필름용기의 형상으로 성형된 제 2 원료 필름을 상기 수용부를 통해 상기 지그와 결합하고, 테두리를 일체로 커팅함으로써 상기 필름용기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용기를 내용기 본체에 삽입하고, 상기 필름용기와 상기 내용기 본체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상기 내용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원료 필름은 상기 제 1 원료 필름보다 두께가 얇은 연질의 박판 필름이며, 상기 지그의 수용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원료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하는 단계;
    상기 연화된 제 1 원료 필름을 상기 지그의 형상으로 진공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 성형된 제 1 원료 필름의 테두리를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료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원료 필름을 270 내지 300 ℃로 12 내지 18초 동안 비접촉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는,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료 필름의 두께는 0.2 내지 0.4 mm인,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용기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원료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하는 단계;
    상기 연화된 제 2 원료 필름을 상기 필름용기의 형상으로 진공 성형하는 단계;
    상기 진공 성형된 제 2 원료 필름을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여 상기 지그와 결합하는 단계;
    상기 지그에 결합된 상기 제 2 원료 필름의 테두리를 상기 지그와 일체로 커팅하는 단계; 및
    상기 테두리가 커팅된 제 2 원료 필름으로부터 상기 지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료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원료 필름을 270 내지 300 ℃로 12 내지 18초 동안 비접촉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는,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료 필름은 PA(polyamide), EVOH(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층(layer)을 포함하고, 두께는 0.08 내지 0.16 mm인,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용기의 외면이 상기 내용기 본체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필름용기를 상기 내용기 본체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필름용기가 결합된 상기 내용기 본체를 연질의 압착 지그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열 압착을 통해 상기 필름용기와 상기 내용기 본체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용기와 상기 내용기 본체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용기의 테두리를 150 내지 160 ℃로 24 내지 32초 동안, 2.8 내지 3.2 ton의 하중으로 열 압착함으로써 수행되는, 제조 방법.
KR1020190119877A 2019-09-27 2019-09-27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 KR10221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877A KR102215553B1 (ko) 2019-09-27 2019-09-27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
PCT/KR2020/009905 WO2021060690A1 (ko) 2019-09-27 2020-07-28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210001210A KR102479435B1 (ko) 2019-09-27 2021-01-06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877A KR102215553B1 (ko) 2019-09-27 2019-09-27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210A Division KR102479435B1 (ko) 2019-09-27 2021-01-06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553B1 true KR102215553B1 (ko) 2021-02-15

Family

ID=7456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877A KR102215553B1 (ko) 2019-09-27 2019-09-27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5553B1 (ko)
WO (1) WO202106069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208A (ja) * 1999-09-22 2001-04-03 Wakisaka Engineering:Kk 真空成形方法及び装置
JP2005059404A (ja) * 2003-08-12 2005-03-10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樹脂フィルム製造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235A (ja) * 2002-08-09 2004-03-04 Toppan Printing Co Ltd 複合容器の製造方法及び複合容器
JP2012077420A (ja) * 2010-10-04 2012-04-19 Toyota Tsusho Corp パルプモールド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80934B1 (ko) * 2011-11-01 2013-07-02 강성일 진공용기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208A (ja) * 1999-09-22 2001-04-03 Wakisaka Engineering:Kk 真空成形方法及び装置
JP2005059404A (ja) * 2003-08-12 2005-03-10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樹脂フィルム製造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690A1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5951B2 (en) Vacuum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8367830B (zh) 层叠剥离容器
JP3691108B2 (ja) 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72781B (zh) 层叠剥离容器
CN106794916B (zh) 层积剥离容器
KR20100027088A (ko)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방법에 의한 합성수지제 이중 용기
CN108367854B (zh) 带盖容器和该带盖容器所使用的容器
KR102215553B1 (ko)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
CN106170278A (zh) 药液容器
KR102479435B1 (ko) 필름용기를 포함하는 내용기의 제조 방법
JP2015101396A (ja) 積層剥離容器
JP6451087B2 (ja) 積層剥離容器
US10532836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s and filling of an application package for a liquid pharmaceutical product
CN112601704B (zh) 带盖容器
JPH10218235A (ja) 複合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EP1544129B1 (en) Thermoformed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AU2015390587B2 (en) In-mold label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H05213358A (ja) 包装容器
US20220063848A1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producing hermetic single-use food containers using a sealing head having a specific profile with a rib
CN108177295B (zh) 容器盖制作方法
JPH08207924A (ja) 複合容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7224732B2 (ja) 合成樹脂製容器、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JPH10194262A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3324977B2 (ja) 密封成形容器
JP2020001774A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