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074B1 - 편광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074B1
KR102205074B1 KR1020190091866A KR20190091866A KR102205074B1 KR 102205074 B1 KR102205074 B1 KR 102205074B1 KR 1020190091866 A KR1020190091866 A KR 1020190091866A KR 20190091866 A KR20190091866 A KR 20190091866A KR 102205074 B1 KR102205074 B1 KR 102205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polarizer
surface protective
protective material
decolo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171A (ko
Inventor
마사카즈 모치즈키
미에 나카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둘레 가장자리부에 탈색부를 갖는 경우에도, 고품질인 편광자를 제조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염색부와,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탈색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지 필름에 염색 처리를 실시하는 것, 염색 처리된 수지 필름의 그 염색부에 상당하는 부분과 그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표면 보호재를 적층하는 것, 그 표면 보호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수지 필름에 탈색 처리를 실시하여, 중간 탈색부를 형성하는 것, 그 표면 보호재를 제거하는 것, 및 그 중간 탈색부의 일부를 포함하여 그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그 표면 보호재가 적층되어 있던 부분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편광자의 제조 방법{METHOD OF PRODUCING POLARIZER}
본 발명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염색부와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탈색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휴대 전화 및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PC) 등의 여러 가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카메라, 및 각종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자로서,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탈색한 편광자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또, 기능뿐만 아니라, 디자인성도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편광자의 일부분뿐만 아니라, 편광자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도 탈색부를 갖는 편광자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도 탈색부를 형성하는 경우, 제조 과정에서 편광자의 외관 등의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탈색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고품질인 편광자를 제공 가능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1223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둘레 가장자리부에 탈색부를 갖는 경우에도, 고품질인 편광자를 제조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염색부와,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탈색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수지 필름에 염색 처리를 실시하는 것, 염색 처리된 수지 필름의 그 염색부에 상당하는 부분과 그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표면 보호재를 적층하는 것, 그 표면 보호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수지 필름에 탈색 처리를 실시하여, 중간 탈색부를 형성하는 것, 그 표면 보호재를 제거하는 것, 및 그 중간 탈색부의 일부를 포함하여 그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그 표면 보호재가 적층되어 있던 부분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탈색부는 편광자의 둘레 가장자리부 전체에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탈색 처리는 염색 처리된 수지 필름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킨 부분에 산성 용액을 추가로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절단을 레이저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 필름에 보호층을 적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층에 다른 표면 보호재를 적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탈색 처리를, 상기 다른 표면 보호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실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둘레 가장자리부에 탈색부를 갖는 경우에도, 고품질인 편광자를 제조 가능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염색부와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탈색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수지 필름에 염색 처리를 실시하는 것, 염색 처리된 수지 필름의 그 염색부에 상당하는 부분과 그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표면 보호재를 적층하는 것, 그 표면 보호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수지 필름에 탈색 처리를 실시하여, 중간 탈색부를 형성하는 것, 그 표면 보호재를 제거하는 것, 및 그 중간 탈색부의 일부를 포함하여 그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그 표면 보호재가 적층되어 있던 부분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도 표면 보호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탈색 처리를 실시하여, 중간 탈색부를 형성한다. 그 후, 원하는 탈색부가 되도록 중간 탈색부의 일부를 포함하여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표면 보호재가 적층되어 있던 부분을 절단한다.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에도 표면 보호재가 적층되어 있음으로써, 염색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재와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적층된 표면 보호재 사이의 수지 필름이 노출된 부분 (즉, 탈색 처리에 제공되는 부분) 은 오목부가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염기성 용액과 수지 필름을 접촉시킴으로써 탈색 처리를 실시할 때, 수지 필름의 당해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적층된 표면 보호재의 더욱 외부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의 측면) 에 염기성 용액이 접촉했을 경우에도, 이 부분은 절단 처리에 의해 제거된다. 그 때문에, 표면 보호재의 외부로부터 염기성 용액이 침투하고, 결과적으로, 염색부가 탈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면 보호재를 적층함으로써, 얻어지는 편광자가 갖는 탈색부의 품질을 바람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자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공정의 수지 필름의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 은, 실시예에서 얻어진 편광자 (a)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자 (b) 의 탈색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A. 편광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염색부와,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탈색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수지 필름에 염색 처리를 실시하는 것, 염색 처리된 수지 필름의 그 염색부에 상당하는 부분과 그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표면 보호재를 적층하는 것, 그 표면 보호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수지 필름에 탈색 처리를 실시하여, 중간 탈색부를 형성하는 것, 그 표면 보호재를 제거하는 것, 및 그 중간 탈색부의 일부를 포함하여 그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그 표면 보호재가 적층되어 있던 부분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 및 근방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자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시예의 편광자 (10) 는, 염색부 (12) 와, 둘레 가장자리부 전체에 형성된 탈색부 (11) 를 갖는다. 이하, 이 편광자를 구체예로 하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공정의 수지 필름의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A) 는 탈색 처리 전의 수지 필름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수지 필름이 얻어지는 편광자 (10) 의 염색부 (12) 에 상당하는 부분과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표면 보호재를 적층한다. 즉, 편광자 (10) 의 염색부 (12) 를 보호하는 표면 보호재 (21) (이하, 내측 표면 보호재라고도 한다) 와,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보호하는 표면 보호재 (22) (이하, 외측 표면 보호재라고도 한다) 가 적층된 수지 필름에 대해, 탈색 처리를 실시한다. 그 때문에, 수지 필름의 표면 보호재 (21 및 22) 로부터 노출된 부분 (13) (이하, 노출부라고도 한다) 에 대해서만 탈색 처리가 실시된다. 노출부 (13) 는 표면 보호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 오목부가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의해 탈색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노출부 (13) 에만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2(B) 는 탈색 처리 후의 도 2(A) 의 수지 필름의 개략 평면도이다. 수지 필름의 노출부 (13) 에 대해서만 탈색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수지 필름의 노출부 (13) 에 대응하는 부분에 중간 탈색부 (14) 가 형성된다.
이어서, 중간 탈색부 (14) 가 형성된 수지 필름으로부터 표면 보호재를 제거한다. 도 2(C) 는 표면 보호재를 제거한 도 2(B) 의 수지 필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B) 에 있어서, 내측 표면 보호재 (21) 가 적층되어 있던 부분에는, 편광자 (10) 의 염색부 (12) 에 상당하는 염색부가 탈색되지 않고 남는다. 또, 외측 표면 보호재 (22) 가 적층되어 있던 부분에는, 외측 염색부 (15) 가 탈색되지 않고 남는다. 도 2(C) 의 수지 필름의 중간 탈색부 (14) 의 일부를 포함하여, 수지 필름 둘레 가장자리부의 표면 보호재가 적층되어 있던 부분 (즉, 외측 탈색부 (15)) 을 절단한다 (도시예의 파선부). 그 결과, 염색부 (12) 와 탈색부 (11) 를 갖는 편광자 (10) 가 얻어진다. 중간 탈색부 (14) 의 일부를 포함하여 (즉, 중간 탈색부 (14) 의 내부를) 절단함으로써,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적층된 표면 보호재의 더욱 외부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의 측면) 에 염기성 용액이 접촉했을 경우에도, 이 접촉 부분을 원하는 편광자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지 필름 측면의 접촉부로부터 염기성 용액이 침투하고, 결과적으로, 염색부가 탈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 필름은 적층체의 상태에서 각 처리에 제공될 수 있다. 적층체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과 기재의 적층체, 및 수지 필름과 보호층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보호층은, 각 처리에 있어서 수지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서 적층되는 층은 아니며,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의 보호층이다. 이 보호층은,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자에 적층된다. 탈색 처리가 수지 필름과 염기성 용액의 접촉에 의해 실시되는 경우,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의해, 수지 필름이 팽윤되는 경우가 있다. 수지 필름이 적층체의 상태에서 각 처리에 제공되는 경우, 수지 필름이 팽윤되고, 그 후 수축됨으로써, 수지 필름이 기재 또는 보호층으로부터 박리된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염기성 용액에 의해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의 특성에 대한 영향도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절단 처리에 의해, 이와 같은 문제가 일어난 부분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원하는 편광자를 여러 가지 양태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1. 수지 필름의 염색 처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자는, 염색부와,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탈색부를 갖는다.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에 팽윤 처리, 연신 처리,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광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편광자에 있어서, 염색부는 편광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다. 이 염색부는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에 염색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염색 처리와 아울러, 이들 처리를 수지 필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편광 기능을 발휘하는 상태인 수지 필름에 후술하는 탈색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필름에 편광 기능을 부여하는 처리를 실시할 때, 수지 필름은, 기재 상에 형성된 수지층이어도 된다. 기재와 수지층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의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 기재에 수지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 계 수지」 라고 칭한다) 가 사용된다. PVA 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PVA 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100 몰%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95.0 몰% ∼ 99.9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 몰% ∼ 99.93 몰% 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의 PVA 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겔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PVA 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 ∼ 10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1200 ∼ 4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 4300 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이색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가 사용된다. 후술하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의해, 탈색부가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염색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킴으로써 실시한다. 당해 흡착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염색액에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방법, 수지 필름에 당해 염색액을 도공하는 방법, 당해 염색액을 수지 필름에 분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색액에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방법이다. 이색성 물질이 양호하게 흡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염색액으로는, 요오드 수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요오드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4 중량부 ∼ 5.0 중량부이다. 요오드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요오드 수용액에 요오드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로는, 요오드화칼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요오드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 ∼ 15 중량부이다.
상기 연신 처리에 있어서, 수지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3 배 ∼ 7 배로 1 축 연신된다. 또한, 연신 방향은, 얻어지는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편광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각종 처리가 실시된 수지 필름 (실질적으로, 얻어지는 편광자) 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0.5 ㎛ 이상 8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이고, 특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미만이다. 두께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다. 두께가 얇음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두께가 얇을수록, 탈색부를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킬 때, 보다 단시간에 탈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킨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아지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얇음으로써,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킨 부분과 다른 부분의 두께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A-2. 표면 보호재의 적층
이어서, 상기 A-1 의 처리가 실시된 수지 필름의 표면에 표면 보호재를 적층한다. 표면 보호재를 적층함으로써, 탈색 처리 등의 이후의 처리에 의해 수지 필름의 염색부의 편광 기능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면 보호재는, 편광자 (10) 의 염색부 (12) 에 상당하는 부분 (도 2(A) 의 표면 보호재 (21)) 과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 (도 2(A) 의 표면 보호재 (22)) 에 적층된다.
도 2(A) 에서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자의 염색부 (12) 를 보호하는 표면 보호재 (21) 와,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보호하는 표면 보호재 (22) 가 수지 필름에 적층되어 있다. 표면 보호재 (21 및 22) 로부터 노출된 부분 (13) 에 대해, 탈색 처리가 실시되어, 도 2(B) 와 같은 중간 탈색부 (14) 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외측 표면 보호재는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 적층되어 있으면 된다. 도시예에서는, 처리에 제공되는 수지 필름의 외주부까지 외측 표면 보호재로 보호되어 있지만, 외측 표면 보호재로 보호된 부분의 외측 (즉, 외측 표면 보호재 (22) 의 더욱 외측) 에 탈색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외측에 추가로 탈색부가 형성된 경우에도, 이후의 절단 처리에 의해 그 탈색부는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내측 표면 보호재 (21) 는 편광자 (10) 의 염색부 (12) 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크기이다. 외측 표면 보호재 (22) 는, 임의의 적절한 크기 (폭) 로 설계될 수 있다. 외측 표면 보호재 (22) 의 폭은, 예를 들어, 2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이다. 비용면에서는, 예를 들어, 30 ㎜ 이하이다.
표면 보호재로는, 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을 들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제조시에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타이밍에 수지 필름으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 (貼合) 된다. 표면 보호재의 다른 구체예로는, 포토레지스트 등을 들 수 있다. 내측 표면 보호재와 외측 표면 보호재는, 동일한 표면 보호재이어도 되고, 상이한 표면 보호재이어도 된다.
표면 보호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계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30 ㎛ ∼ 150 ㎛ 이다.
상기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수지 필름에 적층된다. 점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수지 성분 및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포함한다. 점착제의 베이스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로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교제, 커플링제, 점착성 부여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슬라이딩성 향상제, 젖음성 향상제, 산화 방지제, 부식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가교 촉진제, 가교 촉매,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금속 분말, 안료 등의 분체, 입자상, 박상물 (箔狀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 필름은 보호층이 적층된 상태에서 각 처리에 제공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보호층에도 표면 보호재 (이하, 다른 표면 보호재라고도 한다) 가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표면 보호재가 적층되어 있음으로써, 편광자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보호층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탈색 처리를 침지에 의해 실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른 표면 보호재와 상기 내측 표면 보호재 및 외측 표면 보호재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A-3. 탈색 처리
표면 보호재가 적층된 수지 필름 (도 2(A)) 은, 이어서, 탈색 처리에 제공된다. 탈색 처리로는, 예를 들어, 레이저에 의한 탈색 처리, 또는 염기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의한 탈색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이다.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의해 탈색부를 형성함으로써, 탈색부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 시간 경과적으로 탈색부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탈색 처리가 실시되는 노출부 (13) 는 오목부가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의해 탈색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노출부 (13) 에만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2(A) 의 수지 필름의 표면 보호재로부터 노출된 부분 (13) 에 대해 탈색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중간 탈색부 (14) 가 형성된다 (도 2(B)). 중간 탈색부 (14) 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자 (10) 의 탈색부 (13) 보다 커지도록 설계된다. 편광자 (10) 의 탈색부 (11) 보다 큰 부분은, 후술하는 절단 처리에 있어서 외측 표면 보호재로 보호되어 있던 수지 필름과 함께 절단된다.
염기성 용액의 접촉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필름에 대해, 염기성 용액을 적하, 도공, 스프레이하는 방법, 수지 필름을 염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염기성 화합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등의 무기 알칼리 금속염,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유기 알칼리 금속염, 암모니아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이 사용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이 사용된다. 이색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이온화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게 탈색부 (중간 탈색부) 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염기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염기성 용액의 용매로는,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코올,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이온화된 이색성 물질이 양호하게 용매로 이행할 수 있으므로, 물,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염기성 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어, 0.01 N ∼ 5 N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N ∼ 3 N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N ∼ 2.5 N 이다. 농도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원하는 탈색부가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염기성 용액의 액온은, 예를 들어, 20 ℃ ∼ 50 ℃ 이다. 수지 필름과 염기성 용액의 접촉 시간은, 수지 필름의 두께나, 염기성 화합물의 종류, 및 염기성 용액의 농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간 ∼ 30 분간이다.
A-4. 염기성 화합물의 저감 처리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탈색을 실시하는 경우, 접촉부에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이 잔존할 수 있다. 또, 수지 필름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접촉부에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들은 수산화물 이온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수산화물 이온은, 접촉부 주위에 존재하는 이색성 물질 (예를 들어, 요오드 착물) 에 작용 (분해·환원) 하여, 탈색 영역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 후,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킨 접촉부에 있어서,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저감시킴으로써,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탈색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저감 방법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에 처리액을 접촉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수지 필름에서 처리액으로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이행시켜, 그 함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처리액의 접촉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에 대해, 처리액을 적하, 도공, 스프레이하는 방법,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를 염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저감 처리는, 상기 표면 보호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처리액의 온도가 50 ℃ 이상인 경우).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면,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 처리액에 의한 편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처리액은,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코올,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효율적으로 이행시키는 관점에서, 물,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돗물, 순수, 탈이온수 등을 들 수 있다.
접촉시의 처리액의 온도는, 예를 들어 2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다. 이와 같은 온도이면,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처리액에 효율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필름의 팽윤율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수지 필름 내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물의 온도는, 실질적으로는 95 ℃ 이하이다.
접촉 시간은, 접촉 방법, 처리액 (물) 의 온도, 수지 필름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에 침지시키는 경우, 접촉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 초 ∼ 3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초 ∼ 15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초 ∼ 10 분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처리액으로서 산성 용액이 사용된다. 산성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수지 필름에 잔존하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을 중화시켜, 수지 필름 내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산성 용액에 포함되는 산성 화합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불화수소, 붕산 등의 무기산, 포름산, 옥살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벤조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산성 용액에 포함되는 산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무기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산, 황산, 질산이다. 이들 산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산성 화합물의 산성도의 지표로는, 예를 들어, 산해리 정수 (定數) (pKa) 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성 화합물의 pKa 는, 바람직하게는 9.2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pKa 는 임의의 적절한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해도 되고, 화학 편람 기초편 개정 5 판 (일본 화학회편, 마루젠 출판) 등의 문헌에 기재된 값을 참조해도 된다. 또, 다단 해리되는 산성 화합물에서는, 각 단계에서 pKa 의 값이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각 단계의 pKa 의 값 중 어느 것이 상기의 범위 내인 것이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pKa 는 25 ℃ 의 수용액에 있어서의 값을 말한다.
상기 pKa 를 만족시킬 수 있는 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염산 (pKa : -3.7), 황산 (pK2 : 1.96), 질산 (pKa : -1.8), 불화수소 (pKa : 3.17), 붕산 (pKa : 9.2) 등의 무기산, 포름산 (pKa : 3.54), 옥살산 (pK1 : 1.04, pK2 : 3.82), 시트르산 (pK1 : 3.09, pK2 : 4.75, pK3 : 6.41), 아세트산 (pKa : 4.8), 벤조산 (pKa : 4.0)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산성 용액 (처리액) 의 용매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고, 처리액으로서 산성 용액을 사용하는 본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수지 필름 내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물리적인 제거는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산성 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어, 0.01 N ∼ 5 N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N ∼ 3 N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N ∼ 2.5 N 이다.
상기 산성 용액의 액온은, 예를 들어 20 ℃ ∼ 50 ℃ 이다. 산성 용액에 대한 접촉 시간은, 수지 필름의 두께나, 산성 화합물의 종류, 및 산성 용액의 농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간 ∼ 30 분간이다.
A-5. 표면 보호재의 제거
상기 탈색 처리를 실시한 후, 임의의 적절한 단계에서 수지 필름으로부터 표면 보호재는 제거된다 (도 2(C)). 표면 보호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거된다. 예를 들어, 표면 보호재로서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표면 보호 필름을 수지 필름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내측 표면 보호재 (21) 로 보호되어 있던 부분에는 편광자의 염색부 (12) 에 상당하는 염색부가 남는다. 또, 외측 표면 보호재 (22) 로 보호되어 있던 부분에는 외측 염색부 (15) 가 남는다.
A-6. 탈색부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절단
이어서, 중간 탈색부 (14) 의 일부를 포함하여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표면 보호재가 적층되어 있던 부분 (도 2(C) 의 외측 염색부 (15)) 을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탈색부가 형성된 편광자가 얻어진다. 도시예에서는, 절단 후의 수지 필름에 있어서, 원하는 탈색부 (11) 가 형성되도록 중간 탈색부 (14) 의 내부 (도 2(C) 의 파선부) 를 절단한다. 중간 탈색부 (14) 의 일부를 포함하여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표면 보호재가 적층되어 있던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외측 표면 보호재 (22) 의 더욱 외측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의 측면) 이 염기성 용액에 접촉했을 경우에도, 이 접촉부를 원하는 편광자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면 보호재의 외부로부터 염기성 용액이 침투하고, 결과적으로, 염색부 (12) 가 탈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색 처리가 실시된 부분 (중간 탈색부) 을 절단함으로써, 절단 부분으로부터의 크랙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탈색부 내를 절단하는 경우, 외측 표면 보호재를 제거하지 않고, 절단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절단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커터, 톰슨 칼날 및 피크날 칼날 등의 타발 칼날 등을 들 수 있다. 절단은 레이저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이형 가공 등의 톰슨 칼날 및 피크날 칼날 등에서는 대응이 어려운 가공 요구에도 고정밀도로 대응할 수 있다. 레이저의 종류 및 조사 조건은, 보호재의 재료 및 두께, 편광자의 두께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레이저종 및 조사 조건이 선택될 수 있다.
A-7. 그 밖의 처리
본 발명의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각종 처리 공정 이외에, 임의의 적절한 다른 처리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처리 공정으로는, 염기성 용액 및/또는 산성 용액의 제거, 그리고 세정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용액 및/또는 산성 용액의 제거 방법의 구체예로는, 웨이스트 등에 의한 닦아내기 제거, 흡인 제거, 자연 건조, 가열 건조, 송풍 건조, 감압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20 ℃ ∼ 100 ℃ 이다.
세정 처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세정 처리에 사용하는 용액은, 예를 들어, 순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 산성 수용액,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세정 처리는 임의의 적절한 단계에서 실시될 수 있다. 세정 처리는 복수회 실시해도 된다.
B. 편광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자는, 염색부와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탈색부를 갖는다.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탈색부를 가짐으로써, 편광자의 색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색채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보다 다양한 디자인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 카메라 및 센서가 구비된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이들 기능을 고도로 발휘시킬 수 있다.
편광자 (염색부) 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 ∼ 780 ㎚ 의 범위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 (염색부) 의 단체 투과율 (Ts) 은, 바람직하게는 39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9.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5 % 이상이다. 또한, 단체 투과율의 이론상의 상한은 50 % 이고, 실용적인 상한은 46 % 이다. 또, 단체 투과율 (Ts) 은, JIS Z8701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측정하여 시감도 보정을 실시한 Y 값이고, 예를 들어, 현미 분광 시스템 (람다비전 제조, LVmicro) 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편광자 (염색부) 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5 % 이상이다.
탈색부는, 임의의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탈색부의 폭은, 예를 들어, 1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다.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편광자의 색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색채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보다 다양한 디자인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 카메라 및 센서가 구비된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이들 기능을 고도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편광자의 단부로부터 수분이 침입했을 경우에도 수분이 탈색부에서 머물러, 염색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탈색부의 폭은, 염색부를 확보한다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30 ㎜ 이하이다.
탈색부의 투과율 (예를 들어, 23 ℃ 에 있어서의 파장 550 ㎚ 의 광으로 측정한 투과율) 은,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투과율이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편광자의 색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색채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보다 다양한 디자인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탈색부의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하이다. 탈색부의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원하는 투명성을 갖는 탈색부가 얻어질 수 있다. 한편, 탈색부의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의 하한값은, 통상, 검출 한계값 이하이다. 또한,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요오드 함유량은, 예를 들어, 형광 X 선 분석으로 측정한 X 선 강도로부터, 미리 표준 시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구해진다.
C. 편광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자는, 통상, 편광판으로서 사용된다. 이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적어도 그 편측에 보호층 (보호 필름) 을 적층시켜 사용된다.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적층시키지 않는 면에는, 표면 처리층으로서,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 처리층,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 100 ㎛ 이다. 보호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접착층 (구체적으로는, 접착제층, 점착제층) 을 개재하여 편광자에 적층된다. 접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PVA 계 접착제나 활성화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형성된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된다.
D. 화상 표시 장치
상기 편광판은 임의의 적절한 용도에 사용된다. 편광판의 용도로는, 화상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과, 이 액정 셀의 편측 혹은 양측에 배치된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액정 패널을 구비한다. 유기 EL 디바이스는, 시인측에 상기 편광자가 배치된 유기 EL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편광자는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탈색부를 갖기 때문에, 편광자의 색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색채를 적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카메라 및 센서가 구비된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이들 기능을 고도로 발휘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기재로서, 흡수율 0.75 %, Tg 75 ℃ 의 비정질의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PA 공중합 PET) 필름 (두께 : 100 ㎛) 을 사용하였다.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폴리비닐알코올 (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 몰%) 및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중합도 1200,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 %, 비누화도 99.0 몰% 이상, 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200」) 를 9 : 1 의 비로 포함하는 수용액을 25 ℃ 에서 도포 및 건조시키고, 두께 11 ㎛ 의 PVA 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120 ℃ 의 오븐 내에서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종방향 (길이 방향) 으로 2.0 배로 자유단 1 축 연신하였다 (공중 보조 연신).
이어서, 적층체를, 액온 30 ℃ 의 불용화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 에 30 초간 침지시켰다 (불용화 처리).
이어서, 액온 30 ℃ 의 염색욕에, 편광판이 소정의 투과율이 되도록 요오드 농도, 침지 시간을 조정하면서 침지시켰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0.2 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칼륨을 1.5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60 초간 침지시켰다 (염색 처리).
이어서, 액온 30 ℃ 의 가교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칼륨을 3 중량부 배합하고, 붕산을 3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 에 30 초간 침지시켰다 (가교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온 70 ℃ 의 붕산 수용액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 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칼륨을 5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 에 침지시키면서,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종방향 (길이 방향) 으로 총연신 배율이 5.5 배가 되도록 1 축 연신을 실시하였다 (수중 연신).
그 후, 적층체를 액온 30 ℃ 의 세정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칼륨을 4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 에 침지시켰다 (세정 처리).
계속해서, 적층체의 PVA 계 수지층 표면에, PVA 계 수지 수용액 (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등록상표) Z-200」, 수지 농도 : 3 중량%) 을 도포하여 보호 필름 (두께 25 ㎛) 을 첩합하고, 이것을 60 ℃ 로 유지한 오븐으로 5 분간 가열하였다. 그 후, 기재를 PVA 계 수지층으로부터 박리하여, 편광판 (편광자 (투과율 42.3 %, 두께 5 ㎛)/보호 필름) 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의 편광자측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 (두께 10 ㎛) 을 개재하여, 표면 보호재 (두께 38 ㎛ 의 PET 필름 (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 (주) 제조, 상품명 : 다이아호일 T100C)) 를 적층하였다. 표면 보호재는,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색부에 상당하는 부분 (도 2(A) 의 내측 표면 보호재 (21)) 및 탈색부 외측 가장자리 (도 2(A) 의 외측 표면 보호재 (22)) 에 첩합하였다. 또, 동일한 표면 보호재를 보호 필름의 전체면을 보호하도록 동일하게 적층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상온의 염기성 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 ㏖/ℓ (1 N)) 에 8 초간, 0.1 ㏖/ℓ (0.1 N) 의 염산에 30 초간 각각 침지시켰다. 그 후, 60 ℃ 에서 건조시켜, 중간 탈색부를 갖는 편광자를 얻었다.
이어서, 각 표면 보호재를 박리하고, 외측 탈색부와 중간 탈색부의 경계에서 중간 탈색부의 내측 20 ㎜ 를 레이저 (종류 : CO2 레이저, 출력 : 40 W, 절단 속도 : 5 m/분) 로 절단하여, 편광자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자의 사진을 도 3(a) 에 나타낸다. 얻어진 편광자의 탈색부의 상태를 육안 및 사진으로 확인한 결과, 수지 필름의 팽윤에 의한 주름, 및 보호 필름으로부터의 편광자의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외측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지 않았던 (편광자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탈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편광자의 사진을 도 3(b) 에 나타낸다. 얻어진 편광자 둘레 가장자리부의 탈색부의 상태를 육안 및 사진으로 확인한 결과, 수지 필름의 팽윤에 의한 주름이 확인되었다. 또, 보호 필름으로부터 편광자가 박리된 부분도 확인되어, 실용에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디바이스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0 편광자
11 탈색부
12 염색부
13 노출부
14 중간 탈색부
21 내측 표면 보호재
22 외측 표면 보호재

Claims (8)

  1. 염색부와,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탈색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지 필름에 염색 처리를 실시하는 것,
    염색 처리된 수지 필름의 상기 염색부에 상당하는 부분과 상기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표면 보호재를 적층하는 것,
    상기 표면 보호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수지 필름에 탈색 처리를 실시하여, 중간 탈색부를 형성하는 것,
    상기 표면 보호재를 제거하는 것, 및,
    상기 중간 탈색부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지 필름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상기 표면 보호재가 적층되어 있던 부분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어,
    상기 탈색부가 편광자의 둘레 가장자리부 전체에 형성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색 처리가 염색 처리된 수지 필름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실시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킨 부분에 산성 용액을 추가로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이 레이저에 의해 실시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에 보호층을 적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에 다른 표면 보호재를 적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색 처리를, 상기 다른 표면 보호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실시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KR1020190091866A 2018-08-06 2019-07-29 편광자의 제조 방법 KR102205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47338 2018-08-06
JP2018147338A JP2020024240A (ja) 2018-08-06 2018-08-06 偏光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171A KR20200016171A (ko) 2020-02-14
KR102205074B1 true KR102205074B1 (ko) 2021-01-19

Family

ID=6948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866A KR102205074B1 (ko) 2018-08-06 2019-07-29 편광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024240A (ko)
KR (1) KR102205074B1 (ko)
CN (1) CN110806614B (ko)
TW (1) TWI6986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1256B2 (ja) * 2020-09-14 2023-02-1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位相差層付偏光板、ならびに、該偏光板または該位相差層付偏光板を含む画像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1548A (ja) * 2013-04-19 2014-11-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能を示さない領域を有する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JP2015194776A (ja) * 2015-07-30 2015-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8151A (en) * 1989-08-31 1991-01-29 Hughes Aircraft Company Method for making edge faded holograms
US7396493B2 (en) * 2002-05-21 2008-07-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optical film with melt zone to control delamination
US6905770B2 (en) * 2003-03-15 2005-06-14 Cpfilms, Inc Fade protector
JP2007164166A (ja) * 2005-11-21 2007-06-28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253992A (ja) * 2006-03-23 2007-10-04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フィルム重畳体の包装方法
JP4702955B2 (ja) * 2006-08-11 2011-06-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WO2009099049A1 (ja) * 2008-02-04 2009-08-1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偏光板、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160464A (ja) * 2008-12-11 2010-07-22 Toppan Printing Co Ltd 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有する偏光板並びにディスプレイ
US20120003400A1 (en) * 2009-02-13 2012-01-05 Nitto Denko Corporation Laminate optical body, optical film,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said optica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optical body
JP5244848B2 (ja) * 2009-05-01 2013-07-2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KR101612927B1 (ko) * 2009-08-04 2016-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이를 포함하는 칼라 필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JP5690491B2 (ja) * 2010-02-24 2015-03-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20110110889A (ko) * 2010-04-02 2011-10-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패턴화된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US8467177B2 (en) *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9143668B2 (en) 2010-10-29 2015-09-22 Apple Inc.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JP5774349B2 (ja) * 2011-04-01 2015-09-0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5837320B2 (ja) * 2011-04-08 2015-12-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EP2702446A4 (en) * 2011-04-28 2014-10-15 Dolby Lab Licensing Corp DISPLAY WITH TWO DISPLAY TABLES AND WITH A CROSS-BEF COLLIMATOR AND A POLARIZATION-KEEPING DIFFUSER
KR101376881B1 (ko) * 2012-06-22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CN102820611B (zh) * 2012-09-05 2014-06-04 天津奇谱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非偏振光输出的可调谐激光器
JP2014081482A (ja) * 2012-10-16 2014-05-08 Nitto Denko Corp 偏光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022894B2 (ja) * 2012-10-26 2016-11-0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6176947B2 (ja) * 2013-03-05 2017-08-09 株式会社エスケーエレクトロニクス フォトマスクの多重描画方法及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フォトマスク
JP2014191050A (ja) * 2013-03-26 2014-10-06 Nitto Denko Corp 偏光子のレーザー加工方法
TWI646359B (zh) * 2013-12-02 2019-01-01 日本化藥公司 於各波長具有均一穿透率之偏光元件及偏光板、以及偏光元件之製造方法
KR20150086159A (ko) *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자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편광판
CN105247395B (zh) * 2014-03-26 2018-09-14 Lg化学株式会社 制造含有局部漂白区域的偏光元件的方法、制造偏光元件辊的方法以及制造单片式偏光元件的方法
JP6713189B2 (ja) * 2014-06-27 2020-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フィルム積層体
JP6215262B2 (ja) *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子の製造方法
WO2016003107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JP6525587B2 (ja) * 2014-12-26 2019-06-0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70021476A (ko) * 2015-08-18 2017-02-2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6872312B2 (ja) * 2015-09-30 2021-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6684630B2 (ja) * 2016-03-31 2020-04-2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
JP6945286B2 (ja) * 2016-09-13 2021-10-0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CN110568542A (zh) * 2019-08-28 2019-12-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偏光片及制备方法、显示组件和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1548A (ja) * 2013-04-19 2014-11-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能を示さない領域を有する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JP2015194776A (ja) * 2015-07-30 2015-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24240A (ja) 2020-02-13
KR20200016171A (ko) 2020-02-14
CN110806614B (zh) 2022-03-29
TWI698669B (zh) 2020-07-11
CN110806614A (zh) 2020-02-18
TW202012977A (zh)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1176B2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TWI669542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long strip polarizer
CN107144907B (zh) 偏振片、偏光板和图像显示装置
KR102337921B1 (ko)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25068B1 (ko)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TWI666473B (zh) 長條狀偏光薄膜積層體
US10782462B2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WO2016208535A1 (ja) 偏光子
KR102399966B1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KR20200090759A (ko) 편광자 및 편광판
KR102205074B1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KR102534054B1 (ko) 편광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93246B1 (ko)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205072B1 (ko)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20137839A1 (ja) 偏光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