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785B1 -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785B1
KR102203785B1 KR1020190063460A KR20190063460A KR102203785B1 KR 102203785 B1 KR102203785 B1 KR 102203785B1 KR 1020190063460 A KR1020190063460 A KR 1020190063460A KR 20190063460 A KR20190063460 A KR 20190063460A KR 102203785 B1 KR102203785 B1 KR 102203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uble polymer
solvent
mass
boil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983A (ko
Inventor
아키오 미나쿠치
도모유키 우에조노
히로시 우야마
치아키 요시자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13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9Mixtures of blowing agent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J9/141 - C08J9/1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porous or cellular articles, e.g. of foam plastics, coarse-po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16/02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lcohol radical
    • C08F16/04Acyclic compounds
    • C08F16/06Polyvinyl alcohol ; Vinyl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from polymer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6/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116/02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lcohol radical
    • C08F116/04Acyclic compounds
    • C08F116/06Polyvinyl alcohol ; Vinyl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4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limination of a liquid or solid component, e.g. precipitation, leaching out, evaporation
    • C08J2201/05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4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limination of a liquid or solid component, e.g. precipitation, leaching out, evaporation
    • C08J2201/05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 C08J2201/0504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the liquid phase being aque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4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polymers, e.g. aqueous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4Oxycellulose; Hydro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26Cellulose ethers
    • C08J2301/28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09Polyvinyl alcoh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간편성이 우수한,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은, 물과,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가 혼화된 혼합 용매에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된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혼합 용매를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상기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에 대한 용해도는, 물에 대한 용해도보다 낮다. 상기 혼합 용매를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에 의해서 공공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ROUS MATERIAL OF WATER-SOLUBLE POLYMER}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는 경량성, 완충성, 단열성, 흡음성, 분리성, 흡착성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는 곤포(梱包) 재료, 건축 자재, 흡음 재료, 청소용품, 화장용품, 분리막, 흡착재, 정제용 담체, 촉매 담체, 배양 담체 등의 다방면에 걸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제조 비용 등의 관점에서,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은 간편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비닐알콜의 다공질체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가열하면서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물과 혼화성의 제 1 용매를 첨가하여 폴리비닐알콜 용액을 얻고, 상기 폴리비닐알콜 용액을 냉각하여 석출한 성형체를 얻고, 상기 성형체를 제 2 용매에 침지시켜, 상기 성형체 중에 포함되는 물 및/또는 제 1 용매를 상기 제 2 용매와 치환시켜,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다공질체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물과 제 1 용매의 체적 비율(제 1 용매/물)이 0.5∼1.1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12-251057호 공보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상기 종래 기술의 제조 방법에는, 간편하게 다공질체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찾아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성이 우수한,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은, 물과,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가 혼화된 혼합 용매에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된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혼합 용매를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상기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에 대한 용해도는, 물에 대한 용해도보다 낮다. 상기 혼합 용매를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에 의해서 공공(空孔)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용성 고분자의 용액의 조제와, 물 및 포로겐 용매의 기화라는 용이한 조작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편성이 우수한,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박막의 단면의 SEM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박막의 단면의 SEM 사진이다.
본 발명의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은, 물과,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가 혼화된 혼합 용매에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된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이하, 「수용액 조제 공정」이라고도 함)과, 당해 용액으로부터, 당해 혼합 용매를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이하, 「혼합 용매 제거 공정」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여기서, 당해 수용성 고분자의 당해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물에 대한 용해도보다 낮다. 당해 혼합 용매를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에 있어서, 당해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에 의해서 공공을 형성한다.
먼저, 수용액 조제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물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불순물의 혼입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이온 교환수, 한외(限外) 여과수, 역(逆)침투수, 증류수, 또는 초순수가 바람직하고, 이온 교환수가 보다 바람직하다. 물은, 통상, 수용성 고분자를 완전히 용해 가능한 양을 이용한다.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는, 최종적으로 세공(細孔) 형성제(포로겐(porogen))로서의 역할을 갖는다(이하, 당해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를 「포로겐 용매」라고도 함). 포로겐 용매는, 물과 혼화하여 혼합 용매를 형성한다. 따라서, 포로겐 용매로서는, 적어도 특정 농도까지 물과 상용(相溶) 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포로겐 용매의 비점은, 물의 비점(100℃)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물의 비점보다 100℃ 이상 높다(즉, 포로겐 용매의 비점은,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임). 수용성 고분자의 포로겐 용매에 대한 용해도는, 물에 대한 용해도보다 낮다. 25℃에 있어서의 수용성 고분자의 포로겐 용매에 대한 용해도는, 1 질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2 질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포로겐 용매의 용해도 파라미터(SP값)의 값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다. 다공화가 보다 균일하게 진행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물의 SP값(즉, 23.4(cal/㎤)1/2)보다 5(cal/㎤)1/2 이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로겐 용매의 SP값은 18.4(cal/㎤)1/2 이하가 바람직하고, 5(cal/㎤)1/2 이상 16(cal/㎤)1/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cal/㎤)1/2 이상 15(cal/㎤)1/2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포로겐 용매의 종류는, 세공 형성제로서 기능하고, 물보다 비점이 높고, 물보다 수용성 고분자를 용해하지 않고, 적어도 특정 농도까지 물과 상용 가능한 것인 한 특별히 제한은 없다. 포로겐 용매의 적합한 예로서는, 탄산 에틸렌, 탄산 프로필렌(특히, 2-옥소-4-메틸-1,3-디옥솔란), 탄산부틸렌(특히, 4-에틸-1,3-디옥솔란-2-온) 등의 카보네이트 화합물(특히,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등의 락톤 화합물(특히, γ-락톤 화합물); 디메틸술폰, 디에틸술폰, 에틸메틸술폰, 술포란 등의 술폰 화합물; 말론니트릴, 숙시노니트릴, 글루타로니트릴, 아디포니트릴 등의 디니트릴 화합물; 2,4-펜탄디온 등의 디케톤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포로겐 용매는, 쇄상 화합물이어도 되지만, 후술의 혼합 용매 제거 공정에 있어서 공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환상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 락톤 화합물, 및 술포란이 바람직하다. 또, 균일한 공공이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포로겐 용매로서는 γ-부티로락톤 또는 탄산 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포로겐 용매의 사용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포로겐 용매 10 질량부 이상 400 질량부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에 대한 포로겐 용매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다공질체의 구멍의 상태(예, 공공률, 공공 직경 등)를 제어할 수 있다.
혼합 용매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물 및 포로겐 용매 이외의 용매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란, 25℃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 질량% 이상인 고분자를 말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는, 25℃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수용성 고분자의 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 등의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폴리옥사졸린(예, 폴리(2-메틸-2-옥사졸린), 폴리(2-에틸-2-옥사졸린), 폴리(2-프로필-2-옥사졸린)), 수용성 폴리아미드, 수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아미드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 결합을 갖는 수용성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아민, 폴리알릴아민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로서, 풀루란, 아밀로오스, 전분, 전분 유도체, 셀룰로오스에테르(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 잔탄검, 키토산, 알긴산, 히알루론산 등의 수용성 다당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및 히알루론산은,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이기도 하다. 키토산은, 아미노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이기도 하다. 수용성 고분자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 및 셀룰로오스에테르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란, 비닐알코올 단위를 전체 모노머 단위 중 50 몰%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를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는, 비닐알코올 단위 이외의 모노머 단위(이하, 「기타의 모노머 단위」라고도 함)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의 모노머 단위의 예로서는, 제조시의 비닐에스테르 등에 유래하는, 아세트산 비닐 단위 등의 비닐에스테르 단위를 들 수 있다. 따라서,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는, 비누화도가 100 몰%인 폴리비닐알콜 이외에도,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콜이어도 된다.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의 비누화도로서는 6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몰%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의 비누화도는, 예를 들면, JIS K6726:1944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기타의 모노머 단위의 다른 예로서는, 에틸렌 단위, 프로필렌 단위 등의 α-올레핀 단위; (메타)아크릴산 단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위; 말레산 단위, 이타콘산 단위, 푸마르산 단위 등의 불포화 디카르본산 단위; 메틸비닐에테르 단위, 에틸비닐에테르 단위 등의 비닐에테르 단위; 아크릴로니트릴 단위, 메타크릴로니트릴 단위 등의 니트릴 단위; 염화 비닐 단위, 불화 비닐 단위 등의 할로겐화 비닐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의 평균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30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20000 이하이다. 또한, 수용성 고분자의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면, NMR 측정 등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의 사용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 1 질량부 이상 40 질량부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에 대한 수용성 고분자의 양(즉, 수용성 고분자의 물 중의 농도)을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다공질체의 구멍의 상태(예, 공공률, 공공 직경 등)를 제어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의 용액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용성 고분자 및 혼합 용매 이외의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수용성 고분자의 용액의 조제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을 먼저 조제하고, 거기에 포로겐 용매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해도 된다. 수용성 고분자를, 물과 포로겐 용매의 혼합 용매에 첨가하고, 수용성 고분자를 용해시켜도 된다. 수용성 고분자의 용액의 조제시에는, 가열을 행해도 된다. 가열 온도로서는, 예를 들면, 40℃ 이상 100℃ 이하이다. 가열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의 용액을 조제한 후, 물과 포로겐 용매가 분리되지 않는 범위에서 냉각해도 된다. 또, 이 냉각은, 수용성 고분자가 석출되지 않는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출된 수용성 고분자가 불순물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혼합 용매 제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당해 혼합 용매 제거 공정에 있어서는, 물 및 포로겐 용매를 기화(특히, 휘발)시켜 제거한다. 이 때, 포로겐 용매에 의해서 공공을 형성한다. 전형적으로는, 예를 들면, 수용성 고분자와, 포로겐 용매가 고농도화한 혼합 용매를 상(相) 분리시킴으로써, 공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포로겐 용매는, 물보다 비점이 높기 때문에, 당해 공정에서는, 포로겐 용매보다 물이 우선적으로 기화한다. 물이 감소되어 가면, 혼합 용매 중의 포로겐 용매의 농도가 증가한다. 수용성 고분자의 포로겐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물에 대한 용해도보다 작기 때문에, 수용성 고분자와, 포로겐 용매가 고농도화한 혼합 용매가 상 분리되어,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상(狀)의 골격이 형성된다. 이 상 분리는 스피노달 분해여도 된다. 최종적으로는, 물이 제거되어 수용성 고분자가 석출되고, 고비점의 포로겐 용매가 기화에 의해 제거되어 공극(空隙)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고분자와, 포로겐 용매가 고농도화한 혼합 용매를 상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포로겐 용매의 종류와 사용량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물 및 포로겐 용매를 기화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한 방법, 감압하에 두는 방법, 감압하에서 가열하는 방법, 바람건조에 의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은 공지의 건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조작의 실시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가열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혼합 용매가 비등하지 않고, 또한 수용성 고분자 및 포로겐 용매가 분해되지 않는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50℃ 이하이다. 물 및 포로겐 용매를 기화시키는 동안은, 수용성 고분자의 용액을 정치(靜置)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하는 형상의 다공질체를 얻는 경우, 당해 원하는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용기에 수용성 고분자의 용액을 넣고, 이것을 가열하는 방법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막 형상의 다공질체를 얻는 경우, 평판 상에 수용성 고분자의 용액을 박막 형상으로 도포하고, 이것을 가열하는 방법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를 얻을 수 있다. 얻어지는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는, 수용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용도의 예로서는, 곤포 재료, 건축 자재, 흡음 재료, 청소용품, 화장용품, 분리막, 흡착재, 정제용 담체, 촉매 담체, 배양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성 고분자의 용액의 조제와, 물 및 포로겐 용매의 기화라는 용이한 조작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이, 냉각하여 성형체를 석출시키는 조작 및 용매를 치환하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용성 고분자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은, 간편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샘플 병에, 폴리비닐알콜 2 질량부, 물 10 질량부, 및 포로겐 용매로서 탄산 프로필렌(2-옥소-4-메틸-1,3-디옥솔란) 5 질량부를 첨가하였다. 샘플 병을 80℃∼90℃로 가열하고, 폴리비닐알콜이 물과 포로겐 용매와의 혼합 용매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폴리비닐알콜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폴리비닐알콜 용액을 25℃까지 냉각하였다. 폴리비닐알콜 용액을, 알루미늄판 상에 캐스팅에 의해 도포하였다. 이것을 70℃로 설정한 건조기에 넣어 가열하고, 물 및 탄산 프로필렌을 기화시켜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알루미늄판 상에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로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박막의 단면 SEM 사진을 도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폴리비닐알콜 2 질량부를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1 질량부로 변경하고, 탄산 프로필렌의 양을 2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포로겐 용매의 탄산 프로필렌 5 질량부를 γ-부티로락톤 10 질량부로 변경하고, 건조기의 설정 온도를 12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로서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박막의 단면 SEM 사진을 도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포로겐 용매의 탄산 프로필렌 5 질량부를 탄산 에틸렌 6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물의 양을 6 질량부로 변경하고, 포로겐 용매의 탄산 프로필렌 5 질량부를 γ-발레로락톤 6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물의 양을 6 질량부로 변경하고, 포로겐 용매의 탄산 프로필렌 5 질량부를 술포란 6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포로겐 용매의 탄산 프로필렌 5 질량부를 프로필렌글리콜 20 질량부로 변경하고, 건조기의 설정 온도를 5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다공화가 일어나 있지 않았다.
비교예 2
포로겐 용매의 탄산 프로필렌 5 질량부를 1,4-부탄디올 10 질량부로 변경하고, 건조기의 설정 온도를 6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다공화가 일어나 있지 않았다.
비교예 3
포로겐 용매의 탄산 프로필렌 5 질량부를 디메틸포름아미드 10 질량부로 변경하고, 건조기의 설정 온도를 6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다공화가 일어나 있지 않았다.
실시예 7
물의 양을 8 질량부로 변경하고, 포로겐 용매의 탄산 프로필렌 5 질량부를 숙시노니트릴 2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8
물의 양을 8 질량부로 변경하고, 포로겐 용매의 탄산 프로필렌 5 질량부를 디메틸술폰 2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9
물의 양을 8 질량부로 변경하고, 포로겐 용매의 탄산 프로필렌 5 질량부를 탄산 부틸렌(4-에틸-1,3-디옥솔란-2-온) 4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폴리비닐알콜 2 질량부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3 질량부로 변경하고, 포로겐 용매의 탄산 프로필렌을 γ-부티로락톤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또한, 표 중의 「다공질화」 란의 「○」는, 다공화된 것을 나타내고, 「×」는, 다공화되지 않은 것을 나타냄).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9055421618-pat00001

Claims (6)

  1. 물과,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가 혼화된 혼합 용매에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된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혼합 용매를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상기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물에 대한 용해도보다 낮고,
    상기 혼합 용매를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상(狀)의 골격이 형성되고, 상기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에 의해서 공공을 형성하는,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와 물의 비점과의 차가 100℃ 이상인,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가 카보네이트 화합물, 락톤 화합물, 술폰 화합물, 또는 디니트릴 화합물인,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보다 비점이 높은 용매가 γ-부티로락톤 또는 탄산 프로필렌인, 제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인, 제조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인, 제조 방법.
KR1020190063460A 2018-05-30 2019-05-29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KR102203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3454A JP7029637B2 (ja) 2018-05-30 2018-05-30 水溶性高分子の多孔質体の製造方法
JPJP-P-2018-103454 2018-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83A KR20190136983A (ko) 2019-12-10
KR102203785B1 true KR102203785B1 (ko) 2021-01-15

Family

ID=6677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460A KR102203785B1 (ko) 2018-05-30 2019-05-29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67946B2 (ko)
EP (1) EP3575352B1 (ko)
JP (1) JP7029637B2 (ko)
KR (1) KR102203785B1 (ko)
CN (1) CN110551315B (ko)
BR (1) BR102019010645B1 (ko)
RU (1) RU271553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2701B2 (ja) 2018-08-06 2022-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パレータ一体型電極の製造方法、及び、セパレータ一体型電極
JP7276688B2 (ja) 2019-08-29 2023-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の多孔質体の製造方法
JP7281086B2 (ja) 2019-10-09 2023-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多孔質体の製造方法
JP7340148B2 (ja) * 2020-01-14 2023-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樹脂多孔質体の製造方法
JP7237049B2 (ja) 2020-10-15 2023-03-10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樹脂多孔質体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8460B2 (ja) * 2013-11-20 2017-02-08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グフィル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9542A (en) * 1972-03-30 1974-06-25 Desoto Inc Method of making high opacity resin porous films and aqueous latex for producing said films
JPH0678460B2 (ja) * 1985-05-01 1994-10-05 株式会社バイオマテリアル・ユニバース 多孔質透明ポリビニルアルユールゲル
US5502082A (en) * 1991-12-20 1996-03-26 Alliedsignal Inc. Low density materials having good compression strength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RU2073035C1 (ru) * 1993-11-04 1997-02-10 Научно-Коммерческое Предприятие "Полимерплас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р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JP4229300B2 (ja) 1999-01-12 2009-02-25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ルカリ蓄電池用セパレーターと被覆剤
US8883354B2 (en) * 2006-02-15 2014-11-11 Optodot Corporation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7931964B2 (en) * 2007-04-10 2011-04-26 World Properties, Inc. Microporous layers, an article comprising a microporous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01143934B (zh) * 2007-09-12 2010-05-26 浙江工商大学 聚乙烯醇-聚丙烯酸共混/醋酸纤维素复合膜的制备方法和应用
CN102035043B (zh) * 2009-09-25 2014-02-12 上海比亚迪有限公司 聚合物多孔膜、其制备方法、聚合物电解质及聚合物电池和电池的制备方法
JP5828502B2 (ja) 2011-06-01 2015-12-09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多孔質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620820B (zh) 2011-07-06 2016-03-23 日本瑞翁株式会社 二次电池用多孔膜、二次电池用隔板及二次电池
JP6060079B2 (ja) * 2011-09-09 2017-01-11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ケトン多孔膜
US8900758B2 (en) * 2011-10-13 2014-12-02 Tokushu Tokai Paper Co., Ltd.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6130845B2 (ja) 2012-09-27 2017-05-17 三洋電機株式会社 セパレータ一体形電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14069474A1 (ja) * 2012-10-30 2014-05-08 株式会社クラレ 多孔質グラフト共重合体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吸着材
JP2014132057A (ja) 2013-01-07 2014-07-17 Unitika Ltd ポリイミド多孔質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6403576B2 (ja) 2013-01-07 2018-10-10 ユニチカ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CN103102504A (zh) * 2013-02-28 2013-05-15 天津工业大学 一种制备高分子多孔膜的方法
JP2014198835A (ja) 2013-03-12 2014-10-23 特種東海製紙株式会社 セルロース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化学素子
JP6094711B2 (ja) 2015-06-19 2017-03-15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蓄電デバイス用セパレータフィルム、および蓄電デバイス
WO2016204274A1 (ja) 2015-06-19 2016-12-22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蓄電デバイス用セパレータフィルム、および蓄電デバイス
JP6652888B2 (ja) 2016-05-26 2020-02-2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多孔フィルム、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多孔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6566153B (zh) * 2016-10-20 2021-03-26 蓝星(成都)新材料有限公司 一种孔性聚乙烯醇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8103454A (ja) 2016-12-26 2018-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
KR101809503B1 (ko) * 2017-06-13 2017-12-15 이진영 다공성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제조방법
US20190198839A1 (en) * 2017-12-27 2019-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parato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method of preparing the sepa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JP2019117761A (ja) * 2017-12-27 2019-07-18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8460B2 (ja) * 2013-11-20 2017-02-08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グフィル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83A (ko) 2019-12-10
EP3575352A1 (en) 2019-12-04
EP3575352B1 (en) 2021-12-22
CN110551315B (zh) 2022-07-12
JP7029637B2 (ja) 2022-03-04
BR102019010645A2 (pt) 2019-12-03
US11267946B2 (en) 2022-03-08
CN110551315A (zh) 2019-12-10
US20190367699A1 (en) 2019-12-05
BR102019010645B1 (pt) 2024-02-06
RU2715532C1 (ru) 2020-02-28
JP2019206667A (ja)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785B1 (ko)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JP7240608B2 (ja) 非水溶性高分子の多孔質体の製造方法
CN112442209B (zh) 乙烯-乙烯醇共聚物的多孔质体的制造方法
JP5828502B2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多孔質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449041A (zh) 一种羧基功能化单壁碳纳米管改性聚哌嗪酰胺纳滤膜及其制备方法
Wa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poly (vinyl alcohol)/polyvinylidene fluoride hollow fiber composite membranes for pervaporation dehydration of isopropanol
Jo et al. Strateg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ross-linked hydrophilic PVA membranes; carboxy methyl cellulose blending for epichlorohydrin-isopropanol-water pervaporation dehydration
KR102203733B1 (ko)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KR101894077B1 (ko) 분리 성능이 우수한 폴리술폰계 고분자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JP6270097B2 (ja)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の多孔質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00633A (ja) 多孔質膜の製造方法
US20130313739A1 (en) Membrane-forming dope solution for carbon membranes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 hollow fiber membranes using the same
Nawawi et al. Composite chitosan membranes for the separation of methanol/methyl tert-butyl ether mixtures
KR20140031627A (ko) 내압 안정성이 향상된 수처리용 폴리설폰 분리막의 제조방법
RU265017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рубчатого фильтрующего элемента с фторопластовой мембраной
JP2013142098A (ja) 非対称多孔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体濃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