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493B1 -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493B1
KR102197493B1 KR1020140170409A KR20140170409A KR102197493B1 KR 102197493 B1 KR102197493 B1 KR 102197493B1 KR 1020140170409 A KR1020140170409 A KR 1020140170409A KR 20140170409 A KR20140170409 A KR 20140170409A KR 102197493 B1 KR102197493 B1 KR 10219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bag
bag composite
balance
disp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723A (ko
Inventor
켄지 마츠다
타카시게 후지노
류이치 후루카와
타카히로 모리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페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페일
Publication of KR2015006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과제) 종래에 비해 잔액량 및 그 불균일을 저감 가능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부착되고, 상기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 내의 수납 유체의 분배를 행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는 강제의 용기 내에 수지제 내측 용기(110)를 수납한 용기이다. 내측 용기의 출입구부(111)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의 중심축(101) 상에 위치하고, 내측 용기는 중심축 상에서 출입구부의 바로 밑에 잔액을 수집하여 저류하는 잔액용 오목부(113)를 갖는다. 분배 장치는 배출 튜브(250)와 기체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배출 튜브는 용기 내 가압 시에는 내측 용기의 출입구부로부터 잔액용 오목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Description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ENSING DEVICE FOR A COMPOSITE CONTAINER WITH AN INNER RESERVOI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제(鋼製)의 외측 용기 내에 수지제의 내측 용기를 설치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수납된 수납 유체의 분배를 행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및 상기 분배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식품 및 약품을 수납하기 위한 강제 용기에서는 상기 식품 및 약품이 직접적으로 강제 용기 내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부식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식품 및 약품을 수납하는 수지제의 내측 용기를 강제의 외측 용기 내에 수납한 도 10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의 형태가 취해진다.
상기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에서는 내측 용기(1)는 본체부(1a)가 폴리에틸렌제이며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충전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1b)가 용기 본체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입구(1b)의 외주면은 수나사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의 외측 용기(2)는 원통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동체(2a)와,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지판(2b)이 권체(卷締)되어서 수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 내에 상기 내측 용기(1)를 장전한 후, 강판제의 천판(2c)에 형성한 개구로부터 상기 출입구(1b)를 돌출시킨 상태로 동체(2a)와 천판(2c)이 권체되어 강제의 외측 용기(2) 내에 수지제의 내측 용기(1)를 수납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가 제작된다. 이와 같은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에 대해서 충전물을 주입한 후, 천판(2c)으로부터 돌출된 출입구(1b)에는 캡(3)이 나사 결합되어 충전물의 밀폐가 도모된다.
상기 약액의 예로서, 예를 들면 반도체 분야에서는, 예를 들면 CMP 슬러리, 포토 레지스트, 현상액, 에칭액, 세정액 등이며, 액정 분야에서는 포토 레지스트, 컬러 레지스트, 컬러 필터 재료 등이다. 또한, 이들 약액 중에는 차광을 요하는 것도 있고, 강제로 이루어지는 외측 용기(2)는 차광성을 갖는 점에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의 사용은 이 점에서도 유리하다.
반도체 분야 등에 있어서의 약액을 취급할 경우에는 내측 용기(1)는 물론이고,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에는 높은 청정도가 요구된다. 또한, 약액의 배출에 있어서도 높은 청정성이 요구되고, 배출 방법으로서 상기 캡(3)을 분리해서 부착되어 배출용 튜브를 갖는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배출하는 방법이 취해진다. 이것에는 약액을 펌프로 빨아올리는 펌프 업 방식, 또는 캔 내에 질소 가스 등을 주입해서 가압함으로써 약액을 압출하는 가압 방식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7-45429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은 반도체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약액용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로서는 그 내용량이 20ℓ인, 소위 페일 캔을 이용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청정도 요구로부터 반도체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약액은 디스펜서를 사용해서 가압 방식으로 배출되지만 페일 캔 내의 잔액량이 적어지면 약액이 가압 기체와 함께 배출되어버리는, 소위 거품 포함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기포를 포함하는 약액은 최종 제품에 있어서의 결함를 초래하는 점에서 거품 포함이 발생하기 전에 약액의 배출은 중지된다. 물론, 상술한 고청정도 요구로부터, 예를 들면 디스펜서를 분리하여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의 출입구를 아래로 해서 잔액 배출을 행하는 것 등은 반드시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반도체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약액은, 예를 들면 1만엔/ℓ라고도 말해질 정도로 매우 고가이며, 비용면으로부터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 내에 있어서의 잔액량을 가능한 한 저감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외측 용기 내에 수지제의 내측 용기를 수납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이며, 종래에 비해 잔액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양의 불균일도 저감 가능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의 수납 유체의 분배를 행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및 상기 분배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부착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로서,
상기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는 규격 용량으로 10~60ℓ의 페일 캔으로 형성되고,
유체를 수납하는 주머니 형상이며 상기 유체의 출입구부를 갖는 수지제의 내측 용기와, 통형상의 동체에 지판을 권체해서 성형하고, 상기 내측 용기를 수납하는 강제의 용기로 형성되는 외측 용기로서, 상기 출입구부가 돌출 가능한 개구를 형성한 천판이 상기 지판에 대향해서 상기 동체에 부착되는 외측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출입구부 및 상기 외측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는 상기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의 직경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용기는 상기 중심축 상에서 상기 출입구부의 바로 밑에서 상기 내측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성형되어서 잔액을 수집하여 저류하는 잔액용 오목부를 갖고,
상기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는,
상기 외측 용기의 개구로부터 돌출된 상기 내측 용기의 출입구부에 장착 가능한 튜브이며, 그 선단이 내측 용기의 상기 잔액용 오목부 내에 위치해서 내측 용기에 수납한 유체를 용기 외부로 유도하는 수지제의 배출 튜브와,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된 상기 출입구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내측 용기 내에 수납한 유체를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 내로 기체를 공급해서 상기 배출 튜브를 통해서 용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체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 튜브는 가요성 및 형상 복원성을 갖고, 상기 기체 공급 기구에 의한 용기 내 가압 전에서는 가요성에 의해 휘고, 한편 상기 기체 공급 기구에 의한 용기 내 가압에 의해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 외측으로의 지판 및 천판이 변형된 상태에 있어서 형상 복원성에 의해 내측 용기의 상기 출입구부로부터 상기 잔액용 오목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고, 또한 외경 φ10㎜, 두께 1㎜의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 1 실시형태에 기재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체 공급 기구에 의한 용기 내 가압 전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있어서 내측 용기의 출입구부에 장착한 배출 튜브를 잔액용 오목부의 바닥면까지 직선상으로 배치했을 때의 기본 길이를 구하는 공정과,
가압 압력과 용기 변형량의 관계를 바탕으로 용기의 가압 압력에 대응한 지판 및 천판의 합계 변형량을 구하는 공정과,
구한 합계 변형량을 상기 기본 길이에 추가해서 상기 배출 튜브의 설정 길이를 결정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가 부착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는 수납하는 유체의 출입구부를 내측 용기의 중심축 상에 배치하고, 또한 내측 용기의 바닥면에 상기 출입구부의 바로 밑에서 중심축 상에 잔액용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상기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를 부착해서 유체를 내측 용기 내로부터 배출할 때, 배출 종료 근처에 있어서의 잔액은 잔액용 오목부 내에 수집되고, 잔액용 오목부 내로부터 배출 튜브를 통해서 용기 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내측 용기 내의 잔액량은 잔액용 오목부의 용적에 의존하는 점에서 종래에 비해 저감 가능하며, 또한 잔액량의 불균일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용기에 있어서 출입구부와 잔액용 오목부는 용기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점에서 출입구부에 부착된 배출 튜브의 선단을 항상 잔액용 오목부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점도 잔액량의 불균일 저감에 기여한다.
또한, 배출 튜브는 φ10㎜, 두께 1㎜인 것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용기 내 가압에 의해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가 변형된 상태에서도 그 선단을 잔액용 오목부 내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내측 용기 내의 잔액량을 종래에 비해 저감 가능하며, 또한 잔액량의 불균일도 저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배출 튜브의 설정 길이가 결정되는 점에서 수납액 배출 시의 용기 가압 상태에 있어서 배출 튜브는 잔액용 오목부 내에 그 흡액구를 확실히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잔액용 오목부에 있어서의 수납액의 잔액량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내는 플러그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나타내는 플러그 본체용의 전용 렌치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가 부착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우측 반분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있어서의 유체 출입구부(도 2a 내, A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나타내는 분배 장치에 있어서 용기 내를 가압했을 때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a에 나타내는 분배 장치에 구비되는 배출 튜브에 형성되어도 좋은 길이 조절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길이 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a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를 가압했을 때의 지판 및 천판의 합계 변위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2a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의 변형예이며, 핸드링을 부착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2a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의 천판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있어서의 내측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내측 용기의 평면도를 (b)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9a는 도 8a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도 1a에 나타내는 분배 장치를 장착한 가압 전의 상태에 있어서 배출 튜브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8a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도 1a에 나타내는 분배 장치를 장착한 가압 중의 상태에 있어서 배출 튜브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및 상기 분배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용기로서 내용적이 약 18 또는 약 20ℓ인 「페일 캔」을 예로 들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외측 용기로서 내용적이 규격 용량으로 10~60ℓ 정도, 예를 들면 10, 40, 60ℓ 정도인 내측 용기를 수납하는 강제의 용기가 사용 가능하다. 여기에서 강제 용기로서 페일 캔을 사용해도 좋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가 사용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도 2a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내측 용기(110)와 외측 용기(12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외측 용기(120)는 캔용 강재를 사용하고, 통 형상의 동체(121)에 지판(122)을 권체해서 성형한 강제의 일례로서 페일 캔으로 형성된다. 이 페일 캔은 JIS Z 1620(1995년)에 규정되는 「강제 페일」에 준거한 페일 캔이며, 그 내용적은 약 20ℓ이다. 여기에서 「준거」라고 기재한 것은 다음 이유에 의한다. 즉, 통상의 페일 캔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물용 출입구는 천판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둘레 가장자리부에 배치된다. 이것에 대해서 외측 용기(120)의 천판(123)은 도 2a 및 도 2b(양 도면을 총칭해서 도 2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의 직경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101) 상에, 즉 천판 중앙에 개구(123a)를 갖는다. 이 점에서 외측 용기(120)는 통상 페일 캔과 상위한다. 또한, 개구(123a)는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 용기(110)의 출입구부를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이다.
또한, 동체(121)의 외면에 있어서의 직경 위치의 서로 대향하는 2개소에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124)용 이어(124a)가 각각 용접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124)를 설치함으로써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의 운반이 용이해진다. 도 2a에서는 손잡이(124)로서 양쪽의 이어(124a)에 「손잡이」를 걸친 타입을 도시하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체(121)의 직경 위치의 2개소에 각각 대략 환상의, 예를 들면 コ자 형상의 손잡이을 부착한 「핸드링」타입이어도 좋다.
또한, 도 2a에서는 외측 용기(120)는 동체(121)에 테이퍼가 형성된 「테이퍼 페일」의 형태를 도시하지만 동체(121)가 스트레이트인 「스트레이트 페일」이어도 좋다. 또한, 도 2a에서는 천판(123)에 대해서 동체(121)에 착탈 가능한 「밴드 타입」의 형태를 도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착탈 가능한 「러그 타입」, 또는 동체(121)에 천판 고착의 「권체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각 페일 캔 형태는 상기 JIS에 규정되어 있다. 또한, 물론 이들의 형태를 적당하게 조합해서 이루어지는 페일 캔도 사용 가능하다.
내측 용기(110)는 유체를 수납하는 주머니 형상이며, 유체의 출입구부(111)를 갖는 수지제의 용기이다. 여기에서 출입구부(1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천판(123)의 개구(123a)에 대응하여 중심축(101) 상에, 즉 내측 용기(110)의 천면(114)의 중앙에 배치된다. 또한, 출입구부(111)의 외주는 수나사를 성형하고 있다.
또한, 내측 용기(110)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축(101) 상에서 출입구부(111)의 바로 밑에서 내측 용기(110)의 바닥면(11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잔액용 오목부(113)를 갖는다. 이 잔액용 오목부(113)는 내측 용기(110) 내에 수납된 유체의 배출 종료 근처에 있어서의 잔액을 수집하여 저류하는 컵 형상의 오목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잔액용 오목부(113)는 일례로서 약 50~약 60㎜의 직경이며, 깊이가 15㎜정도의 크기인 것이지만, 물론 그 형상, 사이즈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소망의 잔액량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잔액용 오목부(113)의 용적으로서 100㏄ 미만, 예를 들면 50㏄~30㏄ 정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잔액용 오목부(113)에 있어서의 형상, 사이즈, 목표 잔액량은 내측 용기(110)의 내용적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내측 용기(11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제이며 주머니 형상으로 블로우 성형되고, 그 용량이 약 20ℓ이며, 천면(114)의 출입구부(111) 및 바닥면(112)의 잔액용 오목부(113)도 본체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입구부(111)는 본체부와의 일체 성형이 아니고, 별도 성형해서 본체부에 융착 등에 의해 부착되어도 좋다.
성형된 내측 용기(110)는 외측 용기(120) 내에 수납되고, 외측 용기(120)의 천판(123)의 개구(123a)를 통해서 내측 용기(110)의 출입구부(111)를 용기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또한, 돌출시킨 출입구부(111)가 용기 내로 함몰되지 않도록 출입구부(111)의 수나사를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성형한 결합부를 사용하여 멈춤 고리를 나사 결합시켜도 좋다. 또한, 출입구부(111)의 수나사에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110)를 밀폐하는 캡(118)이 나사 결합된다.
한편, 내측 용기(110)는 그 바닥면(112)으로부터 돌출되는 잔액용 오목부(113)를 갖는 점에서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112)과 지판(122) 사이에는 간극(102)이 발생한다. 따라서, 내측 용기(110) 내에 유체를 수납했을 때에 유체의 하중으로부터 바닥면(112)을 지지해서 잔액용 오목부(113)의 형상 및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지지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간극(102)에 링 형상이며 잔액용 오목부(113)에 상당하는 높이를 갖는 지지 부재(103)를 설치할 수 있다. 또는, 별도 지지 부재(103)를 설치하는 대신에 내측 용기(110)의 바닥면(112)에 간극(102)으로 돌출되는 다리를 바닥면(112)과 일체 성형하는 형태이어도 좋다. 요컨대, 지지 구조는 수납한 유체의 하중에 의해 잔액용 오목부(113)의 형상 및 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시형태이면 좋다.
상술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에 대해서 이하와 같은 변형예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변형예에 의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 대해서 도 8a~도 8c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a~도 8c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며, 내측 용기(110-2)와 외측 용기(120-2)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내측 용기(110-2)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의 내측 용기(110)에 상당하고, 외측 용기(120-2)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의 외측 용기(120)에 상당한다. 이하에서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와의 상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어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외측 용기(120-2)에 있어서의 상위점은 상술한 천판(123)에 상당하는 천판(123-2)에 있고, 이 천판(123-2)은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125) 및 결합부(126)를 갖는다.
손잡이(125)는 대략 환상의, 예를 들면 コ자 형상의 손잡이이며, 천판(123-2)의 직경 방향 위치에 있어서 개구(123a)를 사이에 두고 천판(123-2)의 외면(123c)에 2개 부착되어 있다.
결합부(126)는 이 변형예에서는 개구(123a)를 중심으로 해서 외면(123c)을 움푹 패이게 형성한 대략 정방형상이며, 일례로서 깊이가 13㎜ 정도인 되 형상의 오목부이다. 이 결합부(126)의 바닥면 중앙부에 개구(123a)가 위치하고, 결합부(126)의 바닥면으로부터 천판(123-2)의 외면(123c)에 걸쳐서 입상벽(126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126)는 이하에 설명하는 내측 용기(110-2)의 회전 정지부(115)와 결합하여 외측 용기(120-2) 내에서의 내측 용기(110-2)의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단순히 평판상의 천판(123)에 비해 결합부(126)를 형성함으로써 천판(123-2)의 변형 방지용 보강부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결합부(126)의 형상, 크기 및 설치 위치는 일례이며,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결합부(126)는 외측 용기(120-2) 내에서의 내측 용기(110-2)의 회전을 방지 가능하게 하는 형태이면 좋다.
이어서, 내측 용기(110-2)에 있어서의 상위점은 내측 용기(110-2)의 천면(114-2)이 회전 정지부(115)를 갖는 것이다.
회전 정지부(115)는 본 예에서는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110-2)의 천면(114-2)에 내측 용기(110-2)의 직경 방향에 걸쳐서 형성한 일례로서 깊이가 10~12㎜ 정도인 홈 형상의 오목부이다. 이 오목 형상의 회전 정지부(115)의 바닥면에는 내측 용기(110-2)의 출입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정지부(115)는 상술한 천판(123-2)의 결합부(126)와 감합하고, 결합부(126)와 협동해서 외측 용기(120-2) 내에 있어서 내측 용기(110-2)가 중심축(10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세하게는 홈 형상의 회전 정지부(115)의 측벽(115a)과, 결합부(126)의 입상벽(126a)이 접촉함으로써 내측 용기(110-2)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외측 용기(120-2) 내에서의 내측 용기(110-2)의 회전은, 예를 들면 내측 용기(110-2)의 출입구부(111)에 캡(118)을 나사 결합할 때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정지부(115)의 형상, 크기 및 설치 위치는 일례이며,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회전 정지부(115)는 천판(123-2)에 있어서의 결합부(126)의 형태에 대응한 형태를 갖고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결합부(126) 및 회전 정지부(115)는 모두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으로 서로 결합 가능하면 좋고, 또한 결합부(126)가, 예를 들면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인 경우에 회전 정지부(115)는 결합부(126)와 결합해서 내측 용기의 회전을 방지 가능하도록 내측 용기의 천면의 일부에 형성한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내측 용기(110-2)에 있어서도 내측 용기(110)의 바닥면(112)에는 상술한 잔액용 오목부(113)에 상당하는 잔액용 오목부(113-2)를 갖는다. 단, 이 잔액용 오목부(113-2)는 잔액용 오목부(113)에 비하면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진 입상부(113b)를 갖는다. 이것은 내측 용기(110-2)의 성형 상의 이유에 의한 것이다. 또한, 잔액용 오목부(113-2)에 있어서의 내용량은 잔액용 오목부(113)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에 있어서도 잔액용 오목부(113-2)를 갖는 점에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측 용기(110-2) 내의 잔액량을 종래에 비해서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잔액량의 불균일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에서는 결합부(126) 및 회전 정지부(115)를 형성함으로써 외측 용기(120-2) 내에서의 내측 용기(110-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 105)용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 또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에 구비되고,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 105)에 부착 가능하며, 이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 105)로부터 수납되어 있는 약액 등의 유체를 배출 가능하게 하는 분배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장착 타입의 분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용기의 출입구부(111)에 고정된 타입이어도 좋다. 또한 이하에서는 주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한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분배 장치(200)는 가압 방식의 디스펜서 기구이며, 크게 나누어서 원통 형상의 플러그 본체(201)와, 가압한 불활성 가스를 내측 용기(110) 내로 공급하는 가스 공급 장치(202)와, 배출 튜브(250)를 갖는다. 또한, 플러그 본체(201) 및 가스 공급 장치(202)는 기체 공급 기구의 일례에 상당한다.
플러그 본체(201)는 상술한 캡(118)을 분리한 후, 출입구부(111)에 부착되는, 예를 들면 수지제의 플러그이며, 커플링 링(201r)과, 플러그 셸(201s)과, 실링 링(2012)으로 구성된다. 커플링 링(201r)은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일단이 원형으로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의 내주면에는 출입구부(111)에 형성된 캡용의 수나사에 결합하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플러그 본체(201)의 커플링 링(201r)은 출입구부(111)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본체(201)의 암나사를 출입구부(111)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시킨 후,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 105)에 대해서 플러그 본체(201)를 긴밀한 밀폐 상태로 부착하기 위해서 플러그 본체(201)는 렌치 결합용 형상으로 플러그 본체(201)와 일체 성형한 헤드부(201h)를 커플링 링(201r)의 타단에 갖는다. 렌치 결합용 형상으로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정방형상이다. 물론, 렌치 결합용 형상은 정사각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육각형상 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헤드부(201h)를 갖는 플러그 본체(201)는, 예를 들면 도 1c에 나타내는 전용 렌치(290)를 렌치 결합용 형상으로 결합시켜 회전함으로써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 105)의 출입구부(111)로 긴밀하게 부착 가능하다.
또한, 커플링 링(201r)의 헤드부(201h)도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의 개구를 갖고 있고, 이 개구에는 커플링 링(201r)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플러그 셸(201s)이 감입된다. 즉, 플러그 셸(201s)은 플랜지를 형성한 원판 형상의 부재이며, 커플링 링(201r)의 일단측의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가 커플링 링(201r)에 접촉하고, 커플링 링(201r)의 헤드부(201h)의 개구에 감입된다. 또한, 커플링 링(201r)에 실링 링(2012)을 장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링(201r)을 출입구부(111)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실링 링(2012)은 출입구부(111)의 개구부를 밀봉하고, 또한 플러그 셸(201s)의 상기 플랜지는 실링 링(2012)과 커플링 링(201r) 사이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실링 링(2012)은 커플링 링(201r)과 플러그 셸(201s)의 경계의 통기도 밀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결합 형상을 갖는 헤드부(201h)에 전용 렌치(290)를 맞물리게 해서 전용 렌치(290)로 헤드부(201h)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단순히 손으로 회전시켜서 나사 삽입하여 부착할 경우에 비해서 밀폐성은 각별히 향상된다.
상기 플러그 셸(201s)에는 배출 튜브(250)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합성 수지제의 제 1 조인트(203)와, 가스 공급 장치(202)를 접속하기 위한 제 2 조인트(204)가 나사 삽입된다.
제 1 조인트(203)는 시판되는 스트레이트 타입의 홀더를 이용할 수 있고, 플러그 본체(201)에 대해서 배출 튜브(250)를 그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고, 또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배출 튜브(250)의 관 지름이 유저측의 관 지름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조인트(203)의 다음 단에 이경 이음매(270)를 부착하면 좋다.
여기에서 배출 튜브(250)는 가요성이며 내약액성인 수지제이며, 예를 들면 테플론(등록상표)으로 성형되고, 그 일단인 선단에 위치하는 흡액구(251)가 잔액용 오목부(113) 내에 위치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조인트(203)를 사용해서 배출 튜브(250)는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흡액구(251)가 잔액용 오목부(113)의 바닥 근방에 위치하도록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배출 튜브(25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에서는 같은 중심축(101) 상에 출입구부(111)와 잔액용 오목부(113)가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커플링 링(201r)이 출입구부(111)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었을 때, 배출 튜브(250)는 직선상으로 하방으로 내리는 것만으로 흡액구(251)가 잔액용 오목부(113)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에 의하면 배출 튜브(250)의 흡액구(251)를 잔액용 오목부(113) 내에 용이하며 또한 확실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잔액용 오목부(113)는 변형하는 일이 없으므로 그 용적은 설계한 일정값이다. 따라서, 내측 용기(110) 내의 잔액량은 종래에 비해서 저감 가능하며, 또한 잔액량의 불균일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조인트(204)는 플러그 본체(201)의 커플링 링(201r)에 있어서의 개구(2013)에 접속하는 L자형(엘보형)의 합성 수지제의 조인트이며, 시판된 엘보형 퀵 이음매를 사용 가능하다.
가스 공급 장치(202)에 접속된 호스를 제 2 조인트(204)에 접속함으로써 가스 공급 장치(202)는 내측 용기(110)의 내부에 가압한 불활성 가스, 예를 들면 질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분배 장치(200)를 사용함으로써 가스 공급 장치(202)에 의해 내측 용기(110)의 내부가, 예를 들면 약 80㎪~약 150㎪ 정도까지의 범위로 가압되고, 내측 용기(110)에 수납되어 있는 약액 등의 유체를 액배출 튜브(250)를 통해서 용기 외부로 밀어내어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약 80㎪~약 150㎪ 정도까지의 범위가 유체 배출용 가압 범위에 상당한다. 또한, 유저측에서 주로 사용되는 가압 범위는 약 80㎪~약 120㎪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배출을 위해서 내측 용기(110) 안이 가압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110)의 바닥면(112) 및 천면(114)은 중심축(101) 방향을 따라 용기 외측으로 팽창한다. 이것에 따라 외측 용기(120)의 지판(122) 및 천판(123)도 압박되어서 마찬가지로 팽창할 수 있다.
즉, 지판(122) 및 천판(123)의 각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약 80㎪~약 150㎪ 정도의 상기 유체 배출용 가압에 의해 지판(122) 및 천판(123)은 용기 외측으로 각각 수십㎜ 전후의 변위량, 즉 지판(122) 및 천판(123)의 직경의 약 3~약 5% 정도의 변형량을 갖는다. 도 6에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 105)의 내측 용기(110) 내를 가압했을 때의 지판(122) 및 천판(123)의 합계 변위량(팽창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용기(120)의 지판(122)의 판 두께는 0.5㎜, 천판(123)의 판 두께는 0.6㎜이다.
이와 같이 내측 용기(110)의 바닥면(112) 및 천면(114) 및 지판(122) 및 천판(123)이 팽창 변형됨으로써 유체 배출 종료 직전에는 내측 용기(110)의 바닥면(112)에 존재하는 유체를 잔액용 오목부(113)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잔액량의 저감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렌치(290)를 사용하여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 105)의 출입구부(111)에 플러그 본체(201)를 부착하는 점에서 출입구부(111)로부터의 가스 누출은 없고, 액 누출 불량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한편, 지판(122) 및 천판(123)이 각각 팽창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조인트(203)를 사용해서 길이 조정한 배출 튜브(250)의 흡액구(251)의 위치와, 잔액용 오목부(113)의 바닥 사이의 거리가 커져버린다. 이와 같은 거리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서 배출 튜브(250)의 선단은 잔액용 오목부(113) 내에 배치한 후에 가압 전의 상태에 있어서 배출 튜브(250)를 약간 만곡시켜 둔다. 이와 같은 만곡 형태를 취함으로써 배출 튜브(250)에 다른 부재 또는 기구를 부가하는 일 없이 상술한 거리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특히, 용기 내 수납물로의 이물 혼입을 허용하지 않는 유저에 있어서는 수납물 내에 배출 튜브 이외의 것이 침지하는 것을 꺼리는 점에서 상술한 만곡 형태는 유효한 방법이 된다.
한편, 이 정도로 엄격한 사용 형태가 요구되지 않을 경우에는 배출 튜브(250)는 만곡시키는 일 없이,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튜브(250)의 선단부에는 지판 및 천판의 변형에 따라 배출 튜브(250)의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길이 조정부(260)를 부착해도 좋다. 길이 조정부(260)를 형성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조정부(260)의 선단을 잔액용 오목부(113)의 바닥에 접촉시킴으로써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110)가 팽창했을 때에도 길이 조정부(260)의 선단은 잔액용 오목부(113)의 바닥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조정부(260)를 형성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에 비해 잔액량을 확실히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그 불균일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길이 조정부(260)는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지판(122) 및 천판(123)의 변형에 따라 배출 튜브(250)의 길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형태이면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8a~도 8c에 나타내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를 예로 해서 상술한 배출 튜브(2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이하의 설명 내용은 상술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의 배출 튜브(250)에도 적용된다.
도 9a 및 도 9b는 내측 용기(110-2) 내의 액체 배출 전 및 배출 중에 있어서의 배출 튜브(250)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배출 튜브(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이며 내약액성인, 예를 들면 테플론(등록상표)의 수지제이며, 예를 들면 PFA(사불화에틸렌·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 공중합체)제이며, 압출 성형으로 직선상으로 성형되고, 권취벽이 형성되지 않은, 소위 직관 타입의 튜브이다. 이와 같은 배출 튜브(250)는 가요성을 가짐과 아울러 원래 형태의 직선상으로의 복원성도 갖는다. 또한, 본 예에서의 배출 튜브(250)는 일례로서 외경 10㎜, 두께 1㎜이다. 이 사이즈로 직관 타입의 튜브를 사용함으로써 만약 같은 두께의 튜브로도, 예를 들면 관 지름 φ8㎜의 튜브와 비교하면 그 단면 계수, 즉 튜브의 강성을 약 1.7배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 105)의 내측 용기(110) 내를 가압한 상태에 있어서도 배출 튜브(250)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배출 튜브(250)의 선단을 잔액용 오목부(113-2) 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 105)의 변형에 대한 잔액용 오목부(113-2)로의 배출 튜브(250)의 추종성이 향상되고, 용기 내에 있어서의 잔액량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100㎪로 가압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잔액량은 상술한 목표 잔액량을 달성하여 약 40㏄가 된다.
이와 같은 배출 튜브(250)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110-2) 내의 액체 배출 전, 즉 내측 용기(110-2) 안이 가압되기 전에는 약간 만곡한 상태가 되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에 설치된다. 가압 범위가 상술한 약 80㎪~약 120㎪인 경우에 있어서의 배출 튜브(250)의 길이에 대해서 일례를 설명한다. 가압 전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에 있어서 내측 용기(110-2)의 출입구부(111)에 장착한 배출 튜브(250)를 잔액용 오목부(113-2)의 바닥면까지 직선상으로 배치했을 때의 길이를 L1로 했을 경우, 이 길이(L1)에 일례로서 20㎜를 더한 길이(L2)가 배출 튜브(250)의 길이로 설정된다. 배출 튜브(250)가 길이(L2)를 가질 때, 가압 전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에서는 배출 튜브(250)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간 만곡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배출 튜브(250)의 길이(L2)의 결정 방법으로서 도 6에 나타내는 그래프를 사용하여 가압 압력에 대응한 길이(L2)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결정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110-2) 내의 액체 배출 중, 즉 내측 용기(110-2) 안이 상술한 유체 배출용 가압 범위이며 가압 중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 용기(110-2)의 바닥면(112) 및 천면(114-2) 및 외측 용기(120-2)의 지판(122) 및 천판(123-2)은 팽창해서 변형되고,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의 축방향 길이는 연장된다. 이와 같이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가 축방향으로 길어짐으로써 길이(L2)를 갖고 휘어져 있던 배출 튜브(250)는 복원력에 의해 휘어짐이 없어져 원래 형태의 직선상으로 복귀한다. 이 복귀 상태에서는 배출 튜브(250)의 선단에 위치하는 흡액구(251)는 잔액용 오목부(113-2) 내에 위치하고, 또한 잔액용 오목부(113-2)의 바닥면에 비접촉으로, 즉 근접해서 위치한다.
즉, 배출 튜브(250)의 길이(L2)는 내측 용기 안이 상술한 유체 배출용 가압 범위에서 가압되었을 때에 배출 튜브(250)의 선단의 흡액구(251)가 내측 용기의 잔액용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또한 잔액용 오목부(113-2)의 바닥면에 비접촉으로, 즉 근접해서 위치하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용기(110, 110-2) 내에 수납되는 상술한 유체의 일례로서 수납 시도 포함해서 취급에 고청정도가 요구되는 약액이 있으며, 예를 들면 반도체 분야 및 액정 분야 중 적어도 한쪽에서 사용되는 약액이 상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분야에서의 약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CMP 슬러리, 포토 레지스트, 현상액, 에칭액, 세정액 등이며, 액정 분야에서는 포토 레지스트, 컬러 레지스트, 컬러 필터 재료 등이다.
또한,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란의 서두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각종 내용량의 외측 용기(120)가 사용 가능하지만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내용은 각종 외측 용기(120)를 사용했을 경우에 대해서도 지판(122) 및 천판(123)의 변형량도 포함해서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 상술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200)의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200)에서는 용기 안을 가압해서 수납액의 배출을 행하지만 이 가압에 따라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0, 105)도 변형된다. 그리고 이 변형량에 대응하여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200)에 있어서의 배출 튜브(250)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용기 내 잔액량의 저감에 크게 영향을 준다.
그래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조 방법에서는 이하의 동작을 행하여 잔액량 저감을 도모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한다.
즉,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우선 가압 전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105)에 있어서 내측 용기(110-2)의 출입구부(111)에 장착한 배출 튜브(250)를 잔액용 오목부(113-2)의 바닥면까지 직선상으로 배치했을 때의 기본 길이(L1)를 구한다. 이어서,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미리 구한 가압 압력과 용기 변형량의 관계를 바탕으로 용기의 가압 압력에 대응한 지판(122) 및 천판(123-2)의 합계 변형량을 구한다. 그리고, 구한 합계 변형량을 기본 길이(L1)에 추가해서 배출 튜브(250)의 설정 길이(L2)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출입구부(111)에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200)를 장착했을 때의 배출 튜브(250)의 설정 길이(L2)를 결정함으로써 수납액 배출 시의 용기 가압 상태에 있어서 배출 튜브(250)는 출입구부(111)로부터 잔액용 오목부(113-2) 내에 그 흡액구(251)가 위치하고, 또한 잔액용 오목부(113-2)의 바닥면에 비접촉으로, 즉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잔액용 오목부(113-2)에 있어서의 수납액의 잔액량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실시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로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판 및 상기 천판의 각각은 상기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 내로의 유체 배출용 가압에 의해 용기 외측으로 지판 및 천판의 직경의 거의 3~5%의 변형량을 갖고, 이 변형량으로 상기 지판 및 상기 천판이 변형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 튜브는 내측 용기의 상기 출입구부로부터 상기 잔액용 오목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져도 좋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된 상기 출입구부에 나사 결합해서 부착되고, 상기 배출 튜브 및 상기 기체 공급 기구를 유지하는 플러그 본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플러그 본체와 일체 성형되어 전용 렌치가 결합되는 헤드부를 갖고, 상기 전용 렌치에 의한 상기 헤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러그 본체를 상기 출입구부로 긴축시켜도 좋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3, 4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는 상기 천판에 결합부를 갖고, 상기 내측 용기는 상기 내측 용기의 천면에 회전 정지부를 갖고, 이 회전 정지부는 상기 결합부와 서로 감합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외측 용기 내에서의 내측 용기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강제의 외측 용기 내에 수지제의 내측 용기를 설치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수납된 수납 유체의 분배를 행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및 상기 분배 장치의 제조 방법에 적용 가능하다.
100, 105 :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 101 : 중심축
102 : 간극 103 : 지지 부재
110, 110-2 : 내측 용기 111 : 출입구부
113 : 잔액용 오목부 115 : 회전 정지부
120, 120-2 : 외측 용기 121 : 동체
122 : 지판 123, 123-2 : 천판
126 : 결합부 200 : 분배 장치
201 : 플러그 본체 201h : 헤드부
250 : 배출 튜브

Claims (5)

  1.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부착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로서,
    상기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는 규격 용량으로 10~60ℓ의 페일 캔으로 형성되고,
    유체를 수납하는 주머니 형상이며 상기 유체의 출입구부를 갖는 수지제의 내측 용기와, 통 형상의 동체에 지판을 권체해서 성형하여 상기 내측 용기를 수납하는 강제의 용기로 형성되는 외측 용기로서, 상기 출입구부가 돌출 가능한 개구를 형성한 천판이 상기 지판에 대향해서 상기 동체에 부착되는 외측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출입구부 및 상기 외측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는 그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의 직경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용기는 상기 중심축 상에서 상기 출입구부의 바로 밑에서 그 내측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성형되어서 잔액을 수집하여 저류하는 잔액용 오목부를 갖고,
    그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는,
    상기 외측 용기의 개구로부터 돌출된 상기 내측 용기의 출입구부에 장착 가능한 튜브이며, 그 선단이 내측 용기의 상기 잔액용 오목부 내에 위치해서 내측 용기에 수납한 유체를 용기 외부로 유도하는 수지제의 배출 튜브와,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된 상기 출입구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내측 용기 내에 수납한 유체를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 내로 기체를 공급해서 상기 배출 튜브를 통해서 용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체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 튜브는 가요성 및 형상 복원성을 갖고, 상기 기체 공급 기구에 의한 용기 내 가압 전에는 가요성에 의해 휘고, 한편 상기 기체 공급 기구에 의한 용기 내 가압에 의해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 외측으로의 지판 및 천판이 변형된 상태에 있어서 형상 복원성에 의해 내측 용기의 상기 출입구부로부터 상기 잔액용 오목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고, 또한 외경 φ10㎜, 두께 1㎜의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판 및 상기 천판의 각각은 그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 내로의 유체 배출용 가압에 의해 용기 외측으로 지판 및 천판의 직경의 거의 3~5%의 변형량을 갖고, 이 변형량으로 상기 지판 및 상기 천판이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튜브는 내측 용기의 상기 출입구부로부터 상기 잔액용 오목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된 상기 출입구부에 나사 결합해서 부착되고, 상기 배출 튜브 및 상기 기체 공급 기구를 유지하는 플러그 본체를 더 구비하고, 그 플러그 본체는 그 플러그 본체와 일체 성형되어 전용 렌치가 결합하는 헤드부를 갖고, 상기 전용 렌치에 의한 상기 헤드부의 회전에 의해 그 플러그 본체를 상기 출입구부로 긴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는 상기 천판에 결합부를 갖고,
    상기 내측 용기는 그 내측 용기의 천면에 회전 정지부를 갖고, 이 회전 정지부는 상기 결합부와 감합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외측 용기 내에서의 내측 용기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5. 제 1 항에 기재된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체 공급 기구에 의한 용기 내 가압 전의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에 있어서 내측 용기의 출입구부에 장착한 배출 튜브를 잔액용 오목부의 바닥면까지 직선상으로 배치했을 때의 기본 길이를 구하는 공정과,
    가압 압력과 용기 변형량의 관계를 바탕으로 용기의 가압 압력에 대응한 지판 및 천판의 합계 변형량을 구하는 공정과,
    구한 합계 변형량을 상기 기본 길이에 추가해서 상기 배출 튜브의 설정 길이를 결정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40170409A 2013-12-10 2014-12-02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7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5119A JP6193106B2 (ja) 2013-12-10 2013-12-10 内袋複合容器用分配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3-255119 2013-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723A KR20150067723A (ko) 2015-06-18
KR102197493B1 true KR102197493B1 (ko) 2020-12-31

Family

ID=5333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409A KR102197493B1 (ko) 2013-12-10 2014-12-02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93106B2 (ko)
KR (1) KR102197493B1 (ko)
CN (1) CN104691906B (ko)
TW (1) TWI6281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902A (ko) * 2015-05-28 2018-02-0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및 그의 사용 방법,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
TWI734833B (zh) * 2016-09-30 2021-08-01 日商迪愛生股份有限公司 液晶材料貯藏容器
TWI614192B (zh) * 2017-06-16 2018-02-11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液體盛裝桶
CN109094925A (zh) * 2017-06-20 2018-12-28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液体盛装桶
TWI754590B (zh) * 2021-05-14 2022-02-01 王坤旺 自適應氣囊封阻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4232B2 (ja) 1992-09-11 2003-11-05 アドヴァンスド・テクノロジー・マテリアル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液体薬品用の容器、液体薬品ハンドリング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955U (ko) * 1988-09-20 1990-03-29
JPH0445275U (ko) * 1990-08-14 1992-04-16
JPH09103717A (ja) * 1995-10-09 1997-04-22 Shiseido Co Ltd ディスペンサ容器
US5769284A (en) * 1996-03-28 1998-06-23 Coulter International Corp. Self-adjusting pick-up tube assembly for aspirating liquid from containers
JPH11349070A (ja) * 1998-06-08 1999-12-21 Yasuko Sasaki ポンプ容器
JP4527630B2 (ja) 2005-08-08 2010-08-18 積水成型工業株式会社 複合容器
JP4699329B2 (ja) * 2006-10-18 2011-06-08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液体薬品の分配装置及び分配方法
JP4754457B2 (ja) * 2006-10-18 2011-08-24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ディスペンサ
KR101470051B1 (ko) * 2007-08-28 2014-12-05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유체 분배용 방법 및 장치
JP2009095999A (ja) * 2007-10-15 2009-05-07 Sumitomo Rubb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用インクチューブ
JP2009107644A (ja) * 2007-10-26 2009-05-21 Tokyo Ohka Kogyo Co Ltd 液体薬品の分配装置及び分配方法
JP2009107643A (ja) * 2007-10-26 2009-05-21 Tokyo Ohka Kogyo Co Ltd 液体薬品の分配装置及び分配方法
CN102079409B (zh) * 2009-11-16 2014-03-19 积水成型工业株式会社 树脂制容器和复合容器以及树脂制容器的制作方法
JP5467897B2 (ja) * 2009-11-16 2014-04-09 積水成型工業株式会社 樹脂製容器
JP5478413B2 (ja) * 2010-08-10 2014-04-23 株式会社ジャパンペール 60リットル内袋複合容器及び薬液排出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4232B2 (ja) 1992-09-11 2003-11-05 アドヴァンスド・テクノロジー・マテリアル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液体薬品用の容器、液体薬品ハンドリング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723A (ko) 2015-06-18
JP6193106B2 (ja) 2017-09-06
JP2015113139A (ja) 2015-06-22
TW201527184A (zh) 2015-07-16
CN104691906A (zh) 2015-06-10
CN104691906B (zh) 2018-08-03
TWI628121B (zh) 201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493B1 (ko)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7325B1 (ko) 60리터 내측 리저버 복합 용기 및 약액 배출 튜브
JP6458024B2 (ja) 液体を充填および分注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8733598B2 (en) Closure/connector for liner-based dispense containers
TWI635999B (zh) 高黏度液體含納材料的壓力分配裝置及方法
KR20100065339A (ko) 유체 분배용 방법 및 장치
KR101949752B1 (ko)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 및 분배 장치
NO321792B1 (no) Gasstett og fluidtett beholder for en medisinsk vaeske
KR102014617B1 (ko)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그 제작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
JP2010260585A (ja) 流体用容器
KR20160102189A (ko) 약액 보관병 및 그 제조방법
JP6749689B2 (ja) 飲料の供給装置
KR20100136279A (ko) 압력분사용기의 에어졸 밸브와 파우치를 연결하는 어댑터
JP4808096B2 (ja) 内圧吸収機構付き吐出容器
KR101455560B1 (ko) 액체 약품의 분배 장치 및 분배 방법
JP2011126606A (ja) 液体薬品用ペール缶
KR101260293B1 (ko) 밀폐기능을 갖는 토출캡이 구비된 펌프식 화장품용기
RU2319660C2 (ru) Емкость для хранени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выдачи жидких не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одержащих спирт
AU2022396370A1 (en)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beverage container
KR200393721Y1 (ko) 액체 분배기
US20160130080A1 (en) Isolation container connector
JP2004256112A (ja) 圧力容器
JP2015093722A (ja) 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