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589B1 - 방수 부재 및 외벽 구조 - Google Patents

방수 부재 및 외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589B1
KR102196589B1 KR1020160028750A KR20160028750A KR102196589B1 KR 102196589 B1 KR102196589 B1 KR 102196589B1 KR 1020160028750 A KR1020160028750 A KR 1020160028750A KR 20160028750 A KR20160028750 A KR 20160028750A KR 102196589 B1 KR102196589 B1 KR 102196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proof
opening
main body
wal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215A (ko
Inventor
요헤이 사와다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5Expansion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all or ceil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06B2001/628Separate flexible joint covering strips; Flash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0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unted on sil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높게 행하는 동시에, 개구 부재와 외벽재가 설치된 건물의 방수성을 확보하고, 또한 시공의 용이화를 실현 가능한 방수 부재 및 외벽 구조를 제공한다.
외벽 구조는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는 각각 고정부(29), 위치 결정부(29b), 이간부(29c), 지지부(29d) 및 제 1, 2 시일부(31, 33)를 갖고 있다. 위치 결정부(29b)는 고정부(29a)와 연속해서 실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29b)는 외벽재(5)의 단면과 당접해서 외벽재(5)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간부(29c)는 위치 결정부(29c)와 연속해서 샤시 본체(3a)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샤시 본체(3a)와 외벽재(5)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시일부(31)는 외벽재(5)에 당접해서 물의 침입을 억제한다. 제 2 시일부는 샤시 본체(3a)에 당접해서 물의 침입을 억제한다.

Description

방수 부재 및 외벽 구조{WATERPROOFING MEMBER AND EXTERIOR WALL STRUCTURE}
본 출원은 2015년 3월 12일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5-049037호에 기초하며, 이들은 전체로서 참고를 위해 본원에 합체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방수(止水)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외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주택 등의 건물에서는 창문 샤시나 도어 등의 개구 부재가 부착되는 것 외에, 시멘트 등의 요업계의 재료로 형성된 외벽재 등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건물에서는 기둥 부재 등의 프레임 부재에 의해 창문이나 출입구 등이 배치되는 개소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에 의해 실외측과 실내측이 연통된다. 또한, 프레임 부재에는 띠장재 등의 벽 하지재가 부착된다. 이 벽 하지재는 건물에 외벽재가 부착됨으로써, 프레임 부재와 외벽재의 실내측 사이에 위치한다.
개구 부재는 개구 부재 본체를 갖고 있다. 개구 부재 본체는 개구 부재가 프레임 부재에 부착됨으로써 개구부 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개구 부재 본체는 개구부, 즉, 창문이나 출입구 등의 개폐를 수행한다.
외벽재는 개구 부재의 주위에서 개구 부재 본체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둔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어 벽 하지재에 부착된다. 이렇게 외벽재를 벽 하지재에 부착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계지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계지 부재에는 외벽재를 계지 가능한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부재는 벽 하지재에 나사 조임됨으로써 벽 하지재에 고정된다. 이렇게 해서 벽 하지재에 복수의 계지 부재가 고정되고, 각 계지부에 대하여 외벽재가 계지됨으로써, 외벽재가 상기와 같이 위치 결정된 상태로 벽 하지재에 부착된다.
또한, 이러한 건물에서는 실내측에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구 부재와 외벽재 사이에서 건물의 방수가 행하여질 수 있다. 이러한 방수는 일반적으로는 외벽재를 벽 하지재에 부착한 뒤, 개구 부재 본체와 외벽재 사이에 코킹재 등을 충진함으로써 행하여진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41181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계지 부재에 의해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높게 행함에 있어서는 벽 하지재에 각 계지 부재를 부착했을 때의 계지 부재끼리의 위치에 높은 정밀도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각 계지 부재를 각각 개별적으로 벽 하지재에 부착함으로써, 계지 부재끼리의 위치에는 편차가 생기기 쉽고 그러한 편차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각 계지 부재를 각각 신중하게 위치 결정해서 벽 하지재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계지 부재나 이것을 이용한 외벽 구조에서는 각 계지 부재, 나아가서는 외벽재를 위치 결정하면서 벽 하지재에 부착하는 작업이 복잡해진다. 이 때문에 시공에 있어서는,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는 것 외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시공에 필요한 비용이 증대한다.
또한, 건물의 방수를 행함에 있어서, 외벽재를 벽 하지재에 부착한 후에 개구 부재 본체와 외벽재 사이에 코킹재 등을 충진할 경우에는 그만큼 시공에 필요한 공정이 증가한다. 게다가, 코킹재 등이 충진된 개소마다 방수 능력의 편차도 생기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건물의 방수를 행함에 있어서도, 시공이 복잡해지고 많은 작업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높게 행하는 동시에 개구 부재와 외벽재가 부착된 건물의 방수성을 확보하고, 또한 시공의 용이화를 실현 가능한 방수 부재 및 외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건물의 방수를 행하는 방수 부재에 있어서, 상기 건물은,
실외측과 실내측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실외측에 부착된 외벽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벽 하지재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개구 부재 본체를 갖는 개구 부재를 갖는다.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방수 부재를 상기 벽 하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설치했을 때 상기 벽 하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접합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실외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외벽재의 단면과 대면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접합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개구 부재 본체 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이간부(離間部)와,
상기 이간부에 접합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대면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위치 결정부의 적어도 한 쪽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외벽재에 당접하는 제 1 시일(seal)부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개구 부재 본체에 당접하는 제 2 시일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수 부재에 의하면,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높게 행하는 동시에, 개구 부재와 외벽재가 설치된 건물의 방수성을 확보하고, 또한 시공의 용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 부재를 사용한 외벽 구조에 의하면,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높게 행하는 동시에, 개구 부재와 외벽재가 설치된 건물의 방수성을 확보하고, 또한 시공의 용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aspect)에 따른 방수 부재는 개구 부재와 외벽재가 부착된 건물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 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서 상기 건물의 방수를 행하는 방수 부재로서,
상기 건물은 실외측과 실내측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벽재의 상기 실내측 사이에 위치하는 벽 하지재를 가지고,
상기 개구 부재는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개구 부재 본체를 가지고,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벽 하지재에 고정되고, 상기 벽 하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연속해서 상기 실외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외벽재의 단면과 당접해서 상기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와 연속해서 상기 개구 부재 본체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이간부와,
상기 이간부와 연속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대면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위치 결정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벽재에 당접해서 물의 침입을 억제 가능한 제 1 시일부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에 당접해서 상기 물의 침입을 억제 가능한 제 2 시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따른 방수 부재에서는 제 2 시일부를 개구 부재 본체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고정부를 벽 하지재에 고정한다. 이로써, 방수 부재를 벽 하지재에 고정할 때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 부재를 벽 하지재에 고정한 상태에서 외벽재의 단면을 방수 부재의 위치 결정부에 당접시킨다. 이로써, 본 방수 부재에서는 이간부에 의해 개구 부재 본체와 외벽재와의 간격을 규정하면서, 위치 결정부에 의해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수 부재에 의하면, 숙련된 기술을 가지지 않아도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높게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방수 부재에 의해 위치 결정된 외벽재는 예를 들면 못 등의 고정구(fastener)에 의해 외벽재에 고정한다.
그리고 이 방수 부재에서는, 고정부에 제 1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부에 제 2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이 방수 부재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를 벽 하지재에 고정하고, 외벽재의 단면을 위치 결정부에 당접시키는 것만으로, 방수 부재와 외벽재 사이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제 1 시일부에 의해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방수 부재와 개구 부재 본체 사이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제 2 시일부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방수 부재에서는, 건물의 방수를 행하는데 있어서, 개구 부재 본체와 외벽재 사이에 코킹재 등을 별도 충진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거나, 또한, 코킹재 등을 별도 충진할 경우라도 그 개소를 적게 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코킹재 등을 별도 충진하는 개소가 적어지는 것에 의해, 코킹재 등을 충진하는 개소마다 방수 능력의 편차가 생기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이 방수 부재에서는, 건물의 방수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의 방수 부재에 의하면,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높게 행하는 동시에, 개구 부재와 외벽재가 설치된 건물의 방수성을 확보하고, 또한 시공의 용이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간부는 외벽재의 외면보다도 실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이간부가 외벽재보다도 실외측에 돌출할 일이 없기 때문에, 건물을 실외측에서 보았을 때 개구 부재 본체와 외벽재의 단면 사이에서 이간부가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이로써, 건물의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간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이간부에 돌기 등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방수 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간부에 대하여, 개구 부재 본체와 외벽재의 단면 사이를 덮는 화장 부재를 부착하는 경우라도 그 부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간부가 평탄하기 때문에, 이간부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화장 부재를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건물의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본 형태의 외벽 구조는 개구 부재와 외벽재가 부착된 건물에 형성된 방수 부재를 사용해서, 상기 개구 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서 상기 건물의 방수를 행하는 외벽 구조로서,
상기 건물은 실외측과 실내측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벽재의 상기 실내측 사이에 위치하는 벽 하지재를 가지고,
상기 개구 부재는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개구 부재 본체를 가지고,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벽 하지재에 고정되고, 상기 벽 하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연속해서 상기 실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외벽재의 단면과 당접해서 상기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와 연속해서 상기 개구 부재 본체 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이간부와,
상기 이간부와 연속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대면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위치 결정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벽재에 당접해서 물의 침입을 억제 가능한 제1 시일부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에 당접해서 물의 침입을 억제 가능한 제 2 시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의 외벽 구조는 상기의 특징을 갖는 방수 부재가 사용된다. 이 외벽 구조에 의하면,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높게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외벽 구조에 의하면, 건물의 방수를 행하는데 있어서, 개구 부재 본체와 외벽재 사이에 코킹재 등을 별도 충진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거나, 또한, 코킹재 등을 별도 충진할 경우라도 그 개소를 적게 하거나 할 수 있다. 이로써, 이 외벽 구조에서는 건물의 방수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의 외벽 구조에 의하면, 외벽재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높게 행하는 동시에, 개구 부재와 외벽재가 부착된 건물의 방수성을 확보하고, 또한 시공의 용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외벽 구조가 채용된 건물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외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개구 부재의 주위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외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물에 개구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외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방수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외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방수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외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물에 개구 부재와 방수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외벽 구조에 관한, 도 2에서의 A-A단면을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외벽 구조에 관한, 도 1에 있어서 단면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의 외벽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주택으로서의 건물(1)에 채용되어 있다. 이 건물(1)에는 창문 샤시(3)와 복수의 외벽재(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창문 샤시(3)가 본 발명에서의 개구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도 1의 상방향을 창문 샤시(3)의 상방향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의 상하 방향이 실외측에서 본 건물(1)의 상하 방향이다. 또한, 도 1의 우방향이 창문 샤시(3)를 실외측에서 보아 우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의 좌우 방향이 건물(1)의 실외측에서 보아 좌우 방향이다. 그래서, 도 2 이후에는 도 1에 대응해서 상하 방향, 좌우 방향을 정하는 동시에, 건물(1)의 실외측과 실내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외벽 구조는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외벽 구조에서는, 이들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사용하여, 창문 샤시(3)의 주위에서 각 외벽재(5)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동시에, 창문 샤시(3)과 각 외벽재(5) 사이에서 건물(1)의 방수를 행한다. 또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2에서는 외벽재(5)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동시에, 후술하는 화장 부재(4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건물(1)은 목조이며, 도 3에 도시한 프레임 부재(13)의 외에, 도 2에 도시한 복수의 종 띠장재(15a) 및 복수의 횡 띠장재(15b) 등을 가지고 있다. 이들 각 종(縱) 띠장재(15a) 및 각 횡(橫) 띠장재(15b)가 본 발명에서의 벽 하지재에 상당한다. 또한, 프레임 부재(13)는 구체적으로는 건물(1)에서의, 관통기둥(通柱/continuous column), 관기둥(管柱/stand column), 스터드(stud), 창대(window sill) 및 린텔(lintel) 등이다. 또한, 벽 하지재로서 종 띠장재(15a) 및 횡 띠장재(15b)용 목재에는 합판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프레임 부재(13) 등은 목재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재질로 형성해도 좋다.
건물(1)은 이들 프레임 부재(13), 종 띠장재(15a) 및 횡 띠장재(15b) 등이 공지의 공법에 의해 부착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13)는 복수이며 도 3 및 후술의 도 6 내지 도 8에서는 그 중 하나의 프레임 부재(13)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종 띠장재(15a) 및 각 횡 띠장재(15b)와 각 프레임 부재(13) 사이에는 방수 시트(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건물(1)에서는 복수의 프레임 부재(13)가 틀로 짜여짐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개구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9)는 건물(1)의 창문에 상당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1)의 실외측과 실내측을 연통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종 띠장재(15a)는 개구부(19)의 우측방향 및 좌측방향에서 프레임 부재(13)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각 횡 띠장재(15b)는 개구부(19)의 상방 및 하방에서 프레임 부재(13)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종 띠장재(15a) 및 각 횡 띠장재(15b)에 의해 개구부(19)가 에워싸여 있다. 또한, 이들 각 종 띠장재(15a) 및 각 횡 띠장재(15b)는 건물(1)에 외벽재(5)가 부착됨으로써, 프레임 부재(13)와 외벽재(5)의 실내측의 면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도 1에 도시한 창문 샤시(3)는 공용품이며, 샤시 본체(3a)와 도 3에 도시한 플랜지(3b)를 가지고 있다. 이 샤시 본체(3a)가 본 발명에서의 개구 부재 본체에 상당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 본체(3a)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복수의 프레임(130)과 프레임(130)에 설치된 복수의 유리(131)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샤시 본체(3a)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3b)는 샤시 본체(3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b)는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폭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3b)에는 복수의 부착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각 부착 구멍(133)은 플랜지(3b)에 있어서 선단부(134)보다도 폭 방향의 안쪽, 즉, 선단부(134)보다도 샤시 본체(3a)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외벽 구조는 이하의 각 공정을 행함으로써 시공된다.
우선, 건물(1)에 창문 샤시(3)를 부착하는 개구 부재 설치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샤시 본체(3a)를 개구부(19) 안에 배치하면서 플랜지(3b)를 프레임 부재(13)의 실외측에 당접시킨다. 이 상태에서 각 부착 구멍(133)에 못(21)을 각각 삽입하고, 각 못(21)을 실외측에서 프레임 부재(13)로 박아 넣음으로써, 플랜지(3b)를 프레임 부재(13)의 실외측에 고정한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각 부착 구멍(133)은 플랜지(3b)의 선단부(134)보다도 샤시 본체(3a)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랜지(3b)는 선단부(134)보다도 샤시 본체(3a)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13)의 실외측에 고정되는 것이 된다. 프레임 부재(13)에 플랜지(3b)를 고정한 후, 프레임 부재(13)에는 방수 테이프(23)가 부착된다. 또한 방수 테이프(23)의 실외측에는 상기의 방수 시트(17)가 시공되어 있다. 이로써, 프레임 부재(13)와 플랜지(3b) 사이의 방수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못(21)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플랜지(3b)를 프레임 부재(13)에 고정해도 좋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샤시 본체(3a)에는 복수의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부착 구멍에 삽입된 부착 나사에 의해서도 샤시 본체(3a)가 프레임 부재(13)에 고정된다. 또한, 건물(1)에 창문 샤시(3)를 부착할 때에는, 프레임 부재(13)와 샤시 본체(3a) 사이에 스페이서재(25)가 적절히 형성된다. 이렇게 해서, 건물(1)에 창문 샤시(3)가 형성되어 개구 부재 설치 공정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샤시 본체(3a)의 주위에서, 도 2에 도시한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각각 건물(1)에 부착하는 방수 부재 설치 공정을 행한다. 이들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는 샤시 본체(3a), 나아가서는 개구부(19)의 크기에 따라 길이 방향의 길이가 규정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이하, 제 1 방수 부재(7)를 기초로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방수 부재(7)는 방수판 본체(29)와, 제 1 시일부(31)와 제 2 시일부(33)를 구비하고 있다.
방수판 본체(29)는 폭 방향에서 일단측에서 타단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면(290a)과 실내면(290b)을 가지고 있다. 실외면(290a)은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각각 건물(1)에 부착했을 때 실외측에 면한다. 실내면(290b)은 실외면(290a)의 뒷면이며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각각 건물(1)에 부착했을 때 실내측에 면한다. 또한, 제 1, 2 방수 부재(7, 8)에서의 방수판 본체(29)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 본체(3a)의 좌우 방향의 길이에 대응해서 규정되어 있다. 한편, 제 3, 4 방수 부재(9, 10)에서의 방수판 본체(29)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샤시 본체(3a)의 상하 방향의 길이에 대응해서 규정되어 있다. 또한, 금속판 이외의 방수판 본체(29)를 형성해도 좋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판 본체(29)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고정부(29a)와, 위치 결정부(29b)와, 이간부(29c)와, 지지부(29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9a)는 방수판 본체(29)의 일단측의 단부로부터 타단측을 향해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29a)에는 복수의 부착 구멍(290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부착 구멍(290c)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 본체(3a)의 주위에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각각 배치했을 때,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으로부터 플랜지(3b)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으로부터 부착 구멍(290c)까지의 거리가 멀어지(길어지)도록 고정부(29a)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29a)의 폭 방향의 길이나 각 부착 구멍(290c)의 개수는 적절히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29b)는 고정부(29a)의 타단측의 단부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굴곡됨으로써, 고정부(29a)와 연속하면서 실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위치 결정부(29b)가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후술하는 외벽재(5)의 두께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간부(29c)는 위치 결정부(29b)의 실외측의 단부로부터 방수판 본체(29)의 타단측을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됨으로써, 위치 결정부(29b)와 연속하면서 방수판 본체(29)의 타단측을 향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이간부(29c)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각각 건물(1)에 부착했을 때, 위치 결정부(29b)의 실외측의 단부로부터 샤시 본체(3a)측을 향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간부(29c)의 폭 방향의 길이는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각각 건물(1)에 부착했을 때,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으로부터 위치 결정부(29b)까지가 간격(W1)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간격(W1)은 후술하는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에서 외벽재(5)의 단면까지의 간격에 상당하고 있고, 예를 들면 이 외벽 구조에서는 약 30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간부(29c)에 있어서, 실외면(290a) 및 실내면(290b)에는 실외측이나 실내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이간부(29c)는 폭 방향으로 평탄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9d)는 이간부(29c)의 타단측의 단부로부터 실내측을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됨으로써, 이간부(29c)와 연속하면서 실내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29d)에 대해서, 이간부(29c)의 타단측의 단부로부터 실외측을 향해서 굴곡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제 1 시일부(31) 및 제 2 시일부(33)는 직사각형상을 이룬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시일부(31) 및 제 2 시일부(33)는 EPDM에 한하지 않고 합성 고무 등 외에, 물의 침입을 억제 가능한 여러 가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시일부(31)와 제 2 시일부(33)가 각각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2 시일부(31, 33)에서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방수판 본체(29)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응해서 규정되어 있다. 제 1 시일부(31)는 고정부(29a)에서의 실외면(290a)에 점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시일부(31)는 위치 결정부(29b) 위에 접촉하지만, 접착은 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제 1 시일부(31)는 고정부(29a)와 위치 결정부(29b)에 접촉하도록, 고정부(29a)와 위치 결정부(29b)가 이루는 각부(角部)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시일부(31)를 위치 결정부(29b) 위에 접착하지 않는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시일부(31)를 압축시키면서, 외벽재(5)의 하단면을 평탄한 위치 결정부(29b) 위에 직접적으로 접촉시켜서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외벽재(5)의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단, 외벽재(5)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높게 요구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제 1 시일부(31)를 위치 결정부(29b) 위에 접착시키는 구성도 취할 수 있다.
제 2 시일부(33)는 지지부(29d)에 점착됨으로써, 지지부(29d)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시일부(33)는 제 1 시일부(31)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시일부(33)에 대해서, 제 1 시일부(31)와 같은 두께로 형성하거나, 제 1 시일부(31)보다도 두껍게 형성하거나 해도 좋다.
제 1 방수 부재(7)를 건물(1)에 부착함에 있어서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제 1 방수 부재(7)를 샤시 본체(3a)의 위쪽에 배치한다. 그리고, 지지부(29d)를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에 대면시키면서 외면(132)에 제 2 시일부(33)를 당접시킨다. 이 때, 외면(132)과 제 2 시일부(33)를 도시하지 않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 서로 점착한다. 이렇게 해서, 샤시 본체(3a)의 위쪽에서 제 1 방수 부재(7)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그 후, 외면(132)에 제 2 시일부(33)를 꼭 누르면서, 각 부착 구멍(290c)에 삽입된 부착 기구(Fastener)인 제 1 부착 나사(35)에 의해 고정부(29a)를 실외측에서 횡 띠장재(15b)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부(29a)가 횡 띠장재(15b)에 고정됨으로써, 제 2 시일부(33)는 지지부(29d)와 외면(132) 사이에서 압축 변형한 상태로 외면(132)에 당접한다. 이렇게, 제 1 방수 부재(7)가 샤시 본체(3a)의 위쪽에서 건물(1)에 설치된다. 또한, 제 1 부착 나사(35) 대신에 못에 의해 고정부(29a)를 횡 띠장재(15b)에 고정해도 좋다. 또한, 고정부(29a)를 횡 띠장재(15b)와 프레임 부재(13)에 고정해도 좋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각 부착 구멍(290c)은 플랜지(3b)의 단부보다도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고정부(29a)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부(29a)는 플랜지(3b)의 단부보다도 외면(132)으로부터 원격의 위치, 즉, 플랜지(3b)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제 1 부착 나사(35)에 의해 횡 띠장재(15b)에 고정되는 것이 된다. 이로써, 이 외벽 구조에서는, 고정부(29a)가 횡 띠장재(15b)에 고정되었을 때, 제 1 부착 나사(35)의 선단은 플랜지(3b)에 당접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수 테이프(23)에도 당접하지 않는다.
같은 순서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방수 부재(8)가 샤시 본체(3a)의 아래쪽에서 횡 띠장재(15b)에 고정됨으로써 건물(1)에 부착된다. 또한, 제 3 방수 부재(9)가 샤시 본체(3a)의 우측에서 종 띠장재(15a)에 고정됨으로써 건물(1)에 부착된다. 그리고, 제 4 방수 부재(10)가 샤시 본체(3a)의 좌측에서 종 띠장재(15a)에 고정됨으로써 건물(1)에 부착된다. 이렇게 해서 방수 부재 설치 공정이 완료된다.
방수 부재 설치 공정이 완료한 후, 코킹재(37)를 충진하기 위한 코킹재 충진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방수 부재(7)와 제 3 방수 부재(9)의 틈과, 제 3 방수 부재(9)와 제 2 방수 부재(8)의 틈과, 제 2 방수 부재(8)와 제 4 방수 부재(10)의 틈과, 제 4 방수 부재(10)와 제 1 방수 부재(7)의 틈에 각각 코킹재(37)를 충진한다. 또한, 제 1, 3 방수 부재(7, 9)와 샤시 본체(3a)의 우상(右上) 각(角)부의 틈과, 제 2, 3 방수 부재(8, 9)와 샤시 본체(3a)의 우하 각부의 틈과, 제 2, 4 방수 부재(8, 10)와 샤시 본체(3a)의 좌하(左下) 각부의 틈, 제 1, 4 방수 부재(7, 10)와 샤시 본체(3a)의 좌상 각부의 틈에도 각각 코킹재(37)를 충진한다. 또한, 제 3, 4 방수 부재(9, 10)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에도 코킹재(37)를 충진한다. 이로써, 제 1 방수 부재(7)와 제 3 방수 부재(9)의 틈 등이 각각 코킹재(37)에 의해 폐쇄되어, 제 1 방수 부재(7)와 제 3 방수 부재(9)의 틈 등을 타고 흘러 실내측에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제 1 방수 부재(7)와 제 3 방수 부재(9)의 틈은 코킹재(37) 뿐만 아니라 제 3 방수 부재(9)의 제 2 시일부(33)에 의해서도 막혀진다. 다른 제 3 방수 부재(9)와 제 2 방수 부재(10)의 틈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 2 시일부(33)에 의해 막혀진다. 이로써, 이 외벽 구조에서는, 제 2 시일부(33)에 의해서도 제 1 방수 부재(7)와 제 3 방수 부재(9)의 틈 등을 타고 흘러 실내측에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킹재(37)의 충진에 의해 제 1 방수 부재(7)와 제 3 방수 부재(9)의 틈 등으로부터 실내측에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보다 만전에 방지할 수 있지만, 이 외벽 구조에 있어서 코킹재 충진 공정은 필수가 아니고, 코킹재 충진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코킹재 충전 공정시에 코킹재(37)를 충진하는 개소를 일부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건물(1)에 대하여 복수의 외벽재(5)를 부착하는 외벽재 설치 공정을 행한다. 각 외벽재(5)는 요업계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벽재(5)로서는 예를 들면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모엔에크세라도[MOEN EXCELARD](일본 등록상표)」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외벽재(5)는 실외측에 면하는 외면(5a)과, 실내측에 면하는 뒷면(5b)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외벽재(5)로서, 요업계 재료 이외에 의해 형성된 외벽재를 채용해도 좋다.
샤시 본체(3a)의 위쪽에서 외벽재(5)를 건물(1)에 부착함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재(5)의 하단면을 제 1 방수 부재(7)의 위치 결정부(29b)에 당접시킨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위치 결정부(29b)는 외벽재(5)의 두께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부(29b)는 외벽재(5)의 하단면의 약 절반과 당접한다. 이렇게 해서, 외벽재(5)의 하단면을 위치 결정부(29b)에 당접시킴으로써, 샤시 본체(3a)의 위쪽에 있어서, 이간부(29c)가 샤시 본체(3a)의 외면(132)과 외벽재(5)의 하단면 사이에 위치한다. 이로써, 이간부(29c)에 의해 외면(132)으로부터 상방에 상기의 간격(W1)을 떨어뜨린 상태에서 외벽재(5)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위치 결정부(29b)가 외벽재(5)의 두께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간부(29c)는 외면(132)과 외벽재(5)의 하단면 사이에서, 외벽재(5)의 외면(5a)보다도 실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위치 결정한 외벽재(5)에 대해서는, 외벽재(5)의 뒷면(5b)과 횡 띠장재(15b) 사이에 수지제의 스페이서재(39)를 개재시키면서, 외벽재(5)의 외면(5a)측으로부터 예를 들면 복수의 못(41)을 박아 넣음으로써, 스페이서재(39)와 함께 횡 띠장재(15b)에 고정한다. 이 때, 각 못(41)은 제 1 방수 부재(7)의 단부보다도 외면(132)에서 원격한 위치에서 외벽재(5)에 박아 넣는다. 이것에 의해, 이 외벽 구조에서는 외벽재(5)가 횡 띠장재(15b)에 고정되었을 때, 각 못(41)의 선단에 의해, 제 1 방수 부재(7)가 손상될 일은 없다. 또한, 스페이서재(39)는 수지제에 한하지 않고 금속이나 목재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스페이서재(39)의 두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외벽재(5)의 하단면이 위치 결정부(29b)에 당접함으로써, 제 1 시일부(31)는 외벽재(5)와 제 1 방수 부재(7)의 고정부(29a) 사이에서 압축 변형하면서, 외벽재(5)의 뒷면(5b)과 당접한다. 이렇게 해서, 샤시 본체(3a)의 위쪽에서 외벽재(5)가 건물(1)에 부착된다. 이렇게 외벽재(5)가 건물(1)에 부착됨에 따라 고정부(29a)는 외벽재(5)와 횡 띠장재(15b) 사이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고정부(29a)는 외벽재(5)에 의해 실외측으로부터 은폐된다. 또한, 외벽재(5)의 뒷면(5b)과 횡 띠장재(15b) 사이에 스페이서재(39)를 형성함으로써, 외벽재(5)와 횡 띠장재(15b)는 스페이서재(39)의 두께만큼 이간한 상태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외벽 구조에서는 스페이서재(39)의 두께를 예를 들면 약 5mm 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외벽재(5)를 건물(1)에 고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못(41)의 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못(41) 대신에 복수의 나사에 의해 외벽재(5)를 스페이서재(39)와 함께 횡 띠장재(15b)에 고정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샤시 본체(3a)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외벽재(5)에 대해서는, 그 외벽재(5)의 상단면을 제 2 방수 부재(8)의 위치 결정부(29b)에 당접시킨다. 이로써, 샤시 본체(3a)의 아래쪽에 있어서,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으로부터 상기 간격(W1)을 떨어뜨린 상태에서 외벽재(5)가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복수의 못(41)에 의해 외벽재(5)를 횡 띠장재(15b)에 고정함으로써, 샤시 본체(3a)의 아래쪽에서 외벽재(5)가 건물(1)에 부착된다.
또한, 샤시 본체(3a)의 우측에 배치되는 외벽재(5)에 대해서는, 그 외벽재(5)의 좌단면을 제 3 방수 부재(9)의 위치 결정부(29b)에 당접시킨다. 이로써, 샤시 본체(3a)의 우측에 있어서,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으로부터 상기의 간격(W1)을 떨어뜨린 상태에서 외벽재(5)가 위치 결정된다. 샤시 본체(3a)의 좌측에 배치되는 외벽재(5)에 대해서는, 그 외벽재(5)의 우단면을 제 4 방수 부재(10)의 위치 결정부(29b)에 당접시킨다. 이로써, 샤시 본체(3a)의 좌측에 있어서,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으로부터 상기 간격(W1)을 떨어뜨린 상태에서 외벽재(5)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샤시 본체(3a)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배치되는 외벽재(5)는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접합 금구에 의해 건물(1)에 부착된다. 이들에 의해, 건물(1)에 있어서, 샤시 본체(3a)로부터 간격(W1)을 떨어뜨린 상태에서, 샤시 본체(3a)주위에 각 외벽재(5)가 부착되어 외벽재 설치 공정이 완료된다.
외벽재 설치 공정이 완료된 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 샤시(3)의 주위에 화장 부재(43)를 부착하는 화장 부재 설치 공정이 행해진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부재(43)는 베이스재(431)와 탑(top)재(432)를 가지고 있다. 이들 베이스재(431) 및 탑재(432)는 각각 샤시 본체(3a)의 상하 및 좌우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샤시 본체(3a)의 상하에 배치되는 베이스재(431) 및 탑재(432)의 각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샤시 본체(3a)의 좌우 방향의 길이에 대응해서 규정되어 있다. 한편, 샤시 본체(3a)의 좌우에 배치되는 베이스재(431) 및 탑재(432)의 각 길이 방향의 길이는 샤시 본체(3a)의 상하 방향의 길이에 대응해서 규정되어 있다. 이하, 샤시 본체(3a)의 위쪽에 설치되는 베이스재(431)및 탑재(432)를 기초로 각 구성 및 설치 순서를 설명한다.
베이스재(431)에는 고정부(431a)가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제 1 계합부(431b) 및 제 2 계합부(431c)가 형성되어 있다. 탑재(432)에는 화장면(4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탑재(432)에 있어서, 화장면(432a)의 뒷면측에는 제 1 피계합부(432b)와 제 2 피계합부(432c)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재(431)의 고정부(431a)는 제 2 부착 나사(45)에 의해 제 1 방수 부재(7)의 이간부(29c)에 부착된다. 이로써, 베이스재(431)는 샤시 본체(3a)의 외면(132)과 외벽재(5)의 하단면 사이에서, 이간부(29c)의 실외면(290a)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부착 나사(45)는, 고정부(431a)를 이간부(29c)에 부착했을 때, 선단이 방수 테이프(23)나 플랜지(3b)에 접촉하지 않도록 길이가 조정되어 있다.
탑재(432)는 베이스재(431)의 제 1, 2 계합부(431b, 431c)에 각각 제 1, 2 피계합부(432b, 432c)를 계합함으로써 베이스재(431)에 부착된다. 이렇게 해서 탑재(432)는 베이스재(431)의 실외측에 배치된다. 이로써, 탑재(432)의 화장면(432a)에 의해 제 1 방수 부재(7)의 위치 결정부(29b), 이간부(29c) 및 지지부(29d) 외에, 외벽재(5)의 일부가 덮힌다.
샤시 본체(3a)의 아래쪽, 우측 및 좌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베이스 재(431) 및 탑재(432)가 외벽재(5)와 샤시 본체(3a) 사이에 형성되어, 화장 부재 설치 공정이 완료된다. 이렇게 해서 외벽 구조의 시공이 완료된다. 또한, 이 외벽 구조에 있어서, 화장 부재 설치 공정은 필수가 아니고 생략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시공된 외벽 구조는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에서는 각각 제 2 시일부(33)를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에 당접시킨다. 이로써, 이 외벽 구조에서는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종 띠장재(15a)나 횡 띠장재(15b)에 고정할 때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렇게 제 2 시일부(33)를 외면(132)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제 1 부착 나사(35)에 의해 고정부(29a)를 종 띠장재(15a)나 횡 띠장재(15b)에 고정한다. 이 때, 이 외벽 구조에서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제 2 시일부(33)를 외면(132)에 점착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부착 나사(35)에 의해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종 띠장재(15a)나 횡 띠장재(15b)에 고정함에 있어서,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가 종 띠장재(15a)나 횡 띠장재(15b)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외벽 구조에서는,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종 띠장재(15a)나 횡 띠장재(15b)에 용이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외벽 구조에서는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종 띠장재(15a)나 횡 띠장재(15b)에 고정한 상태에서 각 외벽재(5)의 단면을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의 각 위치 결정부(29b)에 각각 당접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 외벽 구조에서는, 도 8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의 각 이간부(29c)에 의해 샤시 본체(3a)의 외면(132)과 각 외벽재(5)를 간격(W1)에 일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실외-실내 방향에 있어서, 각 위치 결정부(29b)에 의해 건물(1)의 외면에 대한 각 외벽재(5)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외벽구조에 의하면 숙련된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높게 각 외벽재(5)의 위치 결정을 행하면서 건물(1)에 각 외벽재(5)를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외벽 구조에서는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의 각 고정부(29a)에 제 1 시일부(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각 지지부(29d)에 제 2 시일부(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와 같이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종 띠장재(15a)나 횡 띠장재(15b)에 고정하고, 각 외벽재(5)의 단면을 위치 결정부(29b)에 당접시키는 것만으로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와 각 외벽재(5) 사이로부터 물이 실내측에 침입하는 것을 제 1 시일부(31)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와 샤시 본체(3)의 외면(132) 사이로부터 물이 실내측에 침입하는 것을 제 2 시일부(33)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1)의 방수를 행함에 있어서, 별도로 코킹재(37)를 충진하지만 그 때 코킹재(37)를 충진하는 개소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이 외벽 구조에서는 건물(1)의 방수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 외벽 구조에서는 코킹재 충진 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건물(1)의 방수를 행함에 있어서, 코킹재(37)를 충진할 필요가 없고, 건물(1)의 방수를 보다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실시예의 외벽 구조에 의하면, 각 외벽재(5)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높게 행하는 동시에 창문 샤시(3)와 각 외벽재(5)가 부착된 건물(1)의 방수성을 확보하고 또한 시공의 용이화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이 외벽 구조에서는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의 각 이간부(29c)의 폭 방향의 길이에 따라서 샤시 본체(3a)의 외면(132)으로부터 위치 결정부(29b)까지의 간격 즉, 샤시 본체(3a)의 외면(132)과 각 외벽재(5)의 단면과의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화장 부재(43)의 형상이나 건물(1)의 디자인 등에 따라 이간부(29c)의 폭 방향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샤시 본체(3a)의 외면(132)과 각 외벽재(5)와의 간격에 대해서 상기 간격(W1) 이외의 크기도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외벽 구조에서는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 각 외벽재(5) 및 화장 부재(43)의 베이스재(431)를 부착할 때, 제 1, 2 부착 나사(35, 45) 및 못(41)의 각 선단에 의해 방수 테이프(23)나 플랜지(3b)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이 외벽 구조에서는 제 1 부착 나사(35) 등에 의해 손상된 방수 테이프(23)나 플랜지(3b)의 틈으로부터 실내측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에 있어서, 별도로 코킹재(37)를 충진하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건물(1)의 방수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외벽 구조에서는 창문 샤시(3)의 주위에 화장 부재(43)가 설치되므로. 탑재(432)의 화장면(432a)에 의해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의 각 이간부(29c) 등을 건물(1)의 실외측으로부터 은폐할 수 있다.
또한, 이 외벽 구조에서는 건물(1)에 각 외벽재(5)를 부착한 후, 각 이간부(29c)가 외벽재(5)의 외면(5a)보다도 실내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샤시 본체(3a)의 외면(132)과 각 외벽재(5)의 단면 사이에서 각 이간부(29c)가 각 외벽재(5)의 외면(5a)보다도 실외측에 돌출하는 경우가 없다. 이로써, 화장 부재(43)를 부착한 후 화장 부재(43)가 부자연스럽게 실외측에 돌출하는 경우가 없고, 건물(1)의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간부(29c)가 각 외벽재(5)의 외면(5a)보다도 실외측에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 부재 설치 공정을 생략하고, 화장 부재(43)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건물(1)을 실외측에서 보았을 때 샤시 본체(3a)의 외면(132)과 각 외벽재(5)의 단면 사이에서 각 이간부(29c)가 눈에 띄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외벽 구조에서는 화장 부재(43)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건물(1)의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간부(29c)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방수판 본체(29)에 대하여 이간부(29c) 외에 고정부(29a), 위치 결정부(29b) 및 지지부(29d)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 1 내지 4방수 부재(7 내지 10)의 제조 비용, 나아가서는 외벽 구조의 시공에 요하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이간부(29c)가 평탄하기 때문에, 베이스재(431)의 설치도 용이해져 있는 것 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화장 부재 설치 공정을 생략한 경우에도 건물(1)의 미관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외벽 구조에서는 각 외벽재(5)가 건물(1)에 부착됨으로써, 각 제 1 시일부(31)는 각 외벽재(5)의 뒷면(5b)과 제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의 각 고정부(29a)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부(29d)가 이간부(29c)의 타단측의 단부로부터 실내측을 향해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 외벽 구조에서는 샤시 본체(3a)의 주위에 제 1 내지 4 방수 부재(7 내지 10)를 부착했을 때, 각 지지부(29d) 및 각 제 2 시일부(33)가 실외측에 노출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외벽 구조에서는, 건물(1)의 미관을 높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에 의해 각 제 1, 2 시일부(31, 33)가 열화하는 것도 적합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입각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해서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벽 하지재로서의 띠장재를 사용해서 외벽재 및 방수 부재를 부착했다. 그러나, 벽 하지재를 사용하지 않은 가공 방법에서는 외벽재 및 방수 부재를 직접 프레임 부재에 부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창문 샤시(3)가 건물(1)에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서는 샤시 본체(3a)의 위쪽 등의 1개소에만 제 1 방수 부재(7) 등이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의 외벽 구조(1)의 도어 주변 등에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 도어 등이 본 발명에서의 개구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실시예의 외벽 구조를 목조 건물(1) 이외에 채용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의 외벽 구조에서는 샤시 본체(3a)의 좌우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여, 제 1 방수 부재(7)에서의 방수판 본체(29)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샤시 본체(3a)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도 방수판 본체(29)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샤시 본체(3a)의 위쪽에 복수의 제 1 방수 부재(7)를 배치해도 좋다. 제 2 내지 4 방수 부재(8 내지 10)에 대해서도 동일하거나 마찬가지다.
또한, 위치 결정부(29b)가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에 대해서 외벽재(5)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동등, 또는 외벽재(5)의 두께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방수판 본체(29)를 설계해도 좋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29b)가 실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에 따라, 이간부(29c)에서의, 실외면(290a)과 각 외벽재(5)의 외면(5a)을 연속한 대략 동일한 면으로 하거나, 이간부(29c)가 각 외벽재(5)의 외면(5a)보다도 실외측에 일정 정도 돌출시켜도 좋다.
1: 건물
3: 창문 샤시(개구 부재)
3a: 샤시 본체(개구 부재 본체)
5: 외벽재
5a: 외면
7 내지 10: 제 1 내지 4 방수 부재(방수 부재)
13: 프레임 부재
15a: 종 띠장재(벽 하지재)
15b: 횡 띠장재(벽 하지재)
19: 개구부
29a: 고정부
29b: 위치 결정부
29c: 이간부
29d: 지지부
31: 제 1 시일부
33: 제 2 시일

Claims (16)

  1. 건물의 방수를 행하는 방수 부재로서,
    상기 건물은,
    실외측과 실내측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실외측에 부착되는 외벽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벽 하지재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개구 부재 본체를 갖는 개구 부재를 갖고,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방수 부재를 상기 벽 하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설치할 때, 상기 벽 하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접합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접합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개구 부재 본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이간부와,
    상기 이간부에 접합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대면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위치 결정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의 전면(前面)과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면의 양쪽에 접촉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외벽재의 뒷면(裏面)에 당접하는 제 1 시일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개구 부재 본체에 당접하는 제 2 시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설치시에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면이 상기 외벽재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시일부는 상기 외벽재의 뒷면과 상기 고정부의 전면 사이에서 압축 변형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만 고정되고, 압축 변형된 상기 제 1 시일부는 상기 외벽재의 뒷면,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면 및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접촉하여 방수 구조를 형성하는 방수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간부는 상기 외벽재의 외면보다도 상기 실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방수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부재 본체는 상기 개구 부재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이간부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의 개구 부재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상기 단부까지의 길이보다도 긴 방수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의 상기 단부보다도 상기 개구 부재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벽 하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되는 방수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고정구(fastener)에 의해 상기 벽 하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부착되는 방수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설치시에 상기 실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방수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간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방수 부재.
  8. 건물의 방수를 행하는 방수 부재로서,
    상기 건물은,
    실외측과 실내측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실외측에 부착되는 외벽재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개구 부재 본체를 가진 개구 부재를 갖고,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방수 부재를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설치할 때 상기 프레임 부재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접합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접합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개구 부재 본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이간부와,
    상기 이간부에 접합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대면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위치 결정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의 전면과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면의 양쪽에 접촉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외벽재의 뒷면에 당접하는 제 1 시일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개구 부재 본체에 당접하는 제 2 시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설치시에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면이 상기 외벽재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시일부는 상기 외벽재의 뒷면과 상기 고정부의 전면 사이에서 압축 변형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만 고정되고, 압축 변형된 상기 제 1 시일부는 상기 외벽재의 뒷면,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면 및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접촉하여 방수 구조를 형성하는 방수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은 상기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벽 하지재를 갖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방수 부재를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설치할 때 상기 벽 하지재를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는 방수 부재.
  10. 방수 부재를 사용해서 건물의 방수를 행하는 외벽 구조로서,
    상기 건물은,
    실외측과 실내측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실외측에 부착되는 외벽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벽 하지재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개구 부재 본체를 가진 개구 부재를 갖고,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방수 부재를 상기 벽 하지재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벽 하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접합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접합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상기 외벽재 사이에 위치하는 이간부와,
    상기 이간부에 접합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대면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위치 결정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전면과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면의 양쪽에 접촉하고, 상기 설치시에 상기 외벽재의 뒷면에 당접하는 제 1 시일부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에 당접하는 제 2 시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외벽재의 단면이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면에 당접하도록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시일부를 개재하여 상기 개구 부재 본체에 당접하고,
    상기 제 1 시일부는 상기 외벽재의 뒷면과 상기 고정부의 전면 사이에서 압축 변형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만 고정되고, 압축 변형된 상기 제 1 시일부는 상기 외벽재의 뒷면,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면 및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접촉하여 방수 구조를 형성하는 외벽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간부는 상기 외벽재의 외면보다도 상기 실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외벽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부재 본체는 상기 개구 부재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이간부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의 상기 개구 부재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도 긴 외벽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의 상기 단부보다도 상기 개구 부재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벽 하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부착되는 외벽 구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고정구(fastener)에 의해 상기 벽 하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한 쪽에 부착되는 외벽 구조.
  15. 삭제
  16. 삭제
KR1020160028750A 2015-03-12 2016-03-10 방수 부재 및 외벽 구조 KR102196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49037A JP6006357B2 (ja) 2015-03-12 2015-03-12 止水部材及び外壁構造
JPJP-P-2015-049037 2015-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215A KR20160110215A (ko) 2016-09-21
KR102196589B1 true KR102196589B1 (ko) 2020-12-31

Family

ID=5688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750A KR102196589B1 (ko) 2015-03-12 2016-03-10 방수 부재 및 외벽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50700B2 (ko)
JP (1) JP6006357B2 (ko)
KR (1) KR102196589B1 (ko)
CN (1) CN105971130B (ko)
AU (1) AU2015227495B2 (ko)
CA (1) CA2904705C (ko)
RU (1) RU268425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89713A1 (en) 2016-12-20 2018-06-20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Finishing accessory with backing strip seal for wall construction
USD861196S1 (en) * 2017-03-15 2019-09-24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Drip flange with backing strip
JP7053205B2 (ja) * 2017-09-28 2022-04-12 ニチハ株式会社 止水部材、壁構造、および壁材施工方法
CN107975149A (zh) * 2017-10-31 2018-05-01 安徽优诺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顶地的板材收口方法
US11015380B2 (en) * 2019-02-14 2021-05-25 David Brooks Simonton Dead stop type projection windows with sealant dams for controlling flow of sealant during installation of insert windows
US11008799B2 (en) * 2019-02-14 2021-05-18 David Brooks Simonton Dead stop type projection windows with seal members for insert windows
USD904649S1 (en) 2019-09-25 2020-12-08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Weep screed
CN113279659A (zh) * 2021-06-23 2021-08-20 中建科工集团有限公司 一种窗框与钢梁连接结构
CN114232834A (zh) * 2021-12-22 2022-03-25 姜林 一种装配式建筑用墙角拼接固定器
CN114232858B (zh) * 2022-01-13 2023-04-21 三箭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开放式陶土板幕墙内侧防水格挡安装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1967A (ja) * 2010-06-16 2012-01-05 Asahi Tostem Gaiso Kk 開口部装置と外壁材の間の目地工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6149A1 (de) * 1970-02-11 1971-09-02 Lehmann, Herbert, 2870 Delmenhorst Anker zur Montage und Halterung von Stahlturzargenrahmen
IE47920B1 (en) * 1979-03-23 1984-07-25 Allport Brian A weather excluder for use with door sills
GB2049770B (en) * 1979-05-23 1983-02-09 Walters W Sills
JPH0754407Y2 (ja) 1989-02-21 1995-12-18 理研軽金属工業株式会社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JP2678883B2 (ja) 1994-05-02 1997-11-19 株式会社淀川製鋼所 横張用の壁材の端部と開口枠との納まり構造
JPH08260581A (ja) * 1995-03-20 1996-10-08 Kubota Corp 建築物における外壁開口部の防水構造
JP3698813B2 (ja) 1996-05-08 2005-09-21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サッシとサイディングの取り合い構造
US20030221381A1 (en) * 2002-05-29 2003-12-04 Ting Raymond M.L. Exterior vision panel system
JP2004011380A (ja) 2002-06-11 2004-01-15 Asahi Glass Co Ltd 建物開口部周辺の構造
JP2005042469A (ja) * 2003-07-24 2005-02-17 Sekisui Chem Co Ltd 窓上又は窓下の防水構造
US8051623B2 (en) * 2004-04-26 2011-11-08 Stephen N. Loyd Irrevocable Family Trust Curtain wall system and method
RU45754U1 (ru) * 2004-12-06 2005-05-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имСпан" Комплект навесного вентилируемого фасада (варианты)
JP4044935B2 (ja) * 2005-01-27 2008-02-06 ニチハ株式会社 外壁施工構造
TW200823346A (en) * 2006-11-28 2008-06-01 Nichiha Co Ltd External wall mounting structure and substrate fitting for use therein
JP5317443B2 (ja) 2007-08-06 2013-10-16 有限会社ユース北浦 外壁材取付金具
US8826612B2 (en) * 2010-06-03 2014-09-09 Perfect Window Reveal, Llc Window reveal systems and methods
JP5649115B2 (ja) * 2010-10-27 2015-01-07 旭トステム外装株式会社 建物外壁材の接合構造
CN202298938U (zh) * 2011-01-26 2012-07-04 枣庄联德建筑材料有限公司 喷涂硬泡聚氨酯外墙外保温系统
US20140053488A1 (en) * 2012-08-22 2014-02-27 Alcoa Inc. Inserts for hollow structural members
CN203270818U (zh) * 2013-06-05 2013-11-06 鞍钢房地产开发集团建筑设计院有限公司 一种外保温建筑外窗洞口的防渗水结构
CN104032915B (zh) * 2014-05-28 2016-03-30 宝业集团浙江建设产业研究院有限公司 工业化住宅保温复合外墙的具有多道防水性能的门窗套
JP5946870B2 (ja) * 2014-08-08 2016-07-06 ニチハ株式会社 止水部材及び外壁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1967A (ja) * 2010-06-16 2012-01-05 Asahi Tostem Gaiso Kk 開口部装置と外壁材の間の目地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65270A1 (en) 2016-09-15
RU2015139231A (ru) 2017-03-21
JP6006357B2 (ja) 2016-10-12
AU2015227495B2 (en) 2020-01-16
KR20160110215A (ko) 2016-09-21
CA2904705A1 (en) 2016-09-12
CN105971130B (zh) 2021-05-14
US9850700B2 (en) 2017-12-26
JP2016169502A (ja) 2016-09-23
AU2015227495A1 (en) 2016-09-29
CN105971130A (zh) 2016-09-28
CA2904705C (en) 2019-04-30
RU2684256C2 (ru) 2019-04-04
RU2015139231A3 (ko) 201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589B1 (ko) 방수 부재 및 외벽 구조
US9388567B2 (en) Water-stopping member and outer wall structure
US9206612B2 (en) Trim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462001B1 (ko) 착탈식 단열패널을 구비한 복합창호
US9353530B2 (en) Outer wall mounting member and outer wall structure
CA2423734A1 (en) Building panel, assembly and method
JP5102514B2 (ja) リフォーム用サッシ枠の取付構造
JP4697976B2 (ja) リフォーム用サッシ枠の取付構造
JP2013241735A (ja) 入隅部における外壁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用ジョイナー
US20070245649A1 (en) Exterior casing trim
JP4697975B2 (ja) リフォーム用サッシ枠の取付構造
CA3095454A1 (en) Prefinished and prefabricated corner for single step attachment in millwork applications
JP5650931B2 (ja) 連段窓、及びその製造方法
RU89582U1 (ru) Сиcтема отделки оконных и дверных проемов
KR20090081667A (ko) 건축용 벽면 마감패널의 설치장치
JP7150503B2 (ja) 金属サイディングの取付構造
JP7142504B2 (ja) 金属サイディングの取付構造
JP2018053515A (ja) 外壁構造
US20120096784A1 (en) Window trim having integrated window box gasket
JP2005320740A (ja) サッシ窓
JP2005155100A (ja) 開口付帯部材の取付構造
KR20090081666A (ko) 단열재가 내장된 건축용 벽면 마감패널
JPH06307048A (ja) 両面外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