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779B1 - 드라이어 장치 및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라이어 장치 및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779B1
KR102195779B1 KR1020197007799A KR20197007799A KR102195779B1 KR 102195779 B1 KR102195779 B1 KR 102195779B1 KR 1020197007799 A KR1020197007799 A KR 1020197007799A KR 20197007799 A KR20197007799 A KR 20197007799A KR 102195779 B1 KR102195779 B1 KR 102195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desiccant
drying
dryer devi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336A (ko
Inventor
요시노리 가와이
츠토무 이토
간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7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15Beds in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54Controll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14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14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 B01D2259/4141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 B01D2259/4143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arranged as a 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14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 B01D2259/4141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 B01D2259/4145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arrang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14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 B01D2259/4141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 B01D2259/4145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arranged in series
    • B01D2259/4148Multiple layers positioned apart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B60G2500/2021Arrangement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60T17/004Draining and dry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bstract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에어 서스펜션, 컴프레서, 드라이어 장치 등을 구비한다. 드라이어 장치는, 드라이어 케이스, 내통(內筒), 제1 유입구, 제1 유출구, 제1 건조제, 외통(外筒), 제2 유입구, 제2 유출구, 제2 타측 필터, 제2 건조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건조제는, 고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예컨대 몰레큘러 시브(molecular sieve)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제2 건조제는, 저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예컨대 실리카 겔에 의해 구성된다.

Description

드라이어 장치 및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본 발명은 예컨대 4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드라이어 장치 및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4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차 높이 조정을 행하기 위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압축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유럽 특허 제1233183호 명세서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061609호 공보
그런데, 드라이어 장치는, 컴프레서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은 압축 공기의 온도가 높고, 드라이어 장치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출되는 부분은 압축 공기의 온도가 낮다는 특성을 갖는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 의한 드라이어 장치는, 압축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드라이어 장치 내에 1종류의 건조제를 갖고 있다. 그러나, 드라이어 장치 내를 통과하는 압축 공기의 온도 범위는 넓어, 1종류의 건조제로는 효과적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드라이어 장치 및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드라이어 장치는,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제가 복수 종류 충전되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차체와 차축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의 급배(給排)에 따라 차 높이 조정을 행하는 에어 서스펜션과,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상기 컴프레서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상기 드라이어 장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 종류의 건조제를 이용함으로써, 온도 범위가 넓은 경우에도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드라이어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제3 건조제의 온도 특성을 도시한 특성선도이다.
도 4는, 컴프레서로부터 에어 서스펜션을 향해 압축 공기를 급기할 때의, 드라이어 장치 내의 압축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에어 서스펜션으로부터 컴프레서를 향해 압축 공기를 배출할 때의, 드라이어 장치 내의 압축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드라이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변형예에 따른 드라이어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드라이어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제3 변형예에 따른 드라이어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제4 변형예에 따른 클로즈드식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4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차재(車載)용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은, 에어 서스펜션(2), 컴프레서(9), 드라이어 장치(12) 등을 구비한다. 이 경우,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은, 압축한 공기를 저류하는 탱크를 갖지 않는 오픈식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에어 서스펜션(2)은, 차량의 전륜측 및 후륜측에 위치하고, 차량의 차체측과 차축측(모두 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서스펜션(2)은, 전측(前側)의 좌측 전륜(FL), 우측 전륜(FR) 및 후측의 좌측 후륜(RL), 우측 후륜(RR)에 각각 대응하도록, 4개 설치된다. 에어 서스펜션(2)은, 압축 공기가 공급 또는 배출되면, 이때의 공기의 급배량(압축 공기량)에 따라 위아래로 확장 또는 축소하여 차량의 차 높이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 에어 서스펜션(2)은, 급배 관로(3), 각 분기 관로(4)를 통해 후술하는 드라이어 장치(12)에 접속된다.
급배 관로(3)는, 그 상류측에 위치하는 일단측이 컴프레서(9)의 토출측에 접속되고, 그 하류측에 위치하는 타단측이 각 분기 관로(4)에 접속된다. 한편, 각 분기 관로(4)는, 그 상류측에 위치하는 일단측이 급배 관로(3)에 접속되고, 그 하류측에 위치하는 타단측이 각 에어 서스펜션(2)에 접속된다. 이 급배 관로(3) 및 각 분기 관로(4)는, 각 에어 서스펜션(2)에 대한 압축 공기의 급배를 행하는 것이다.
급배기 밸브(5)는, 각 에어 서스펜션(2)과 드라이어 장치(12) 사이에 위치하고, 각 분기 관로(4)의 도중에 설치된다. 이 급배기 밸브(5)는, ON/OFF식의 전자 밸브에 의해 구성되고, 각 분기 관로(4)를 개방하여 각 에어 서스펜션(2)에 대한 압축 공기의 급배를 허용하는 개방 위치(a)와, 각 분기 관로(4)를 폐쇄하여 각 에어 서스펜션(2)에 대한 압축 공기의 급배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b)로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흡입 관로(6)는, 컴프레서(9)의 흡입측에 접속하여 설치된다. 이 흡입 관로(6)는, 항상 대기와 연통(連通)되고, 흡기 필터(6A)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컴프레서(9)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배기 관로(7)는, 컴프레서(9)와 드라이어 장치(12) 사이에 위치하고, 급배 관로(3)에 접속하여 설치된다. 이 배기 관로(7)는, 배기 밸브(8)가 개방된 경우에, 배기구(7A)를 통해, 배기 관로(7) 내의 압축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방출)한다.
배기 밸브(8)는, 배기 관로(7)의 도중에 설치된다. 이 배기 밸브(8)는, 급배 관로(3)에 접속된 배기 관로(7)를 대기에 대해 연통, 차단시키는 밸브이다. 배기 밸브(8)는, ON/OFF식의 전자 밸브에 의해 구성되고, 배기 관로(7)를 개방하여 배기구(7A)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배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c)와, 배기 관로(7)를 폐쇄하여 배기구(7A)로부터의 압축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d)로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컴프레서(9)는, 급배 관로(3)와 흡입 관로(6) 사이에 위치하고, 예컨대 왕복동 압축기 또는 스크롤식 압축기 등에 의해 구성된다. 컴프레서(9)는, 예컨대 리니어 모터, 직류 모터 또는 교류 모터 등의 구동원으로서의 전동 모터(10)에 의해 구동되고, 흡입 관로(6)측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 공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컴프레서(9)는, 압축 공기를 드라이어 장치(12)를 향해 토출하여, 공급한다. 이 경우, 컴프레서(9)로부터의 압축 공기는, 예컨대 100℃ 정도의 고온 상태로 토출되는 경우도 있다.
오리피스(11)는, 드라이어 장치(12)와 각 분기 관로(4) 사이에 위치하고, 급배 관로(3)의 도중에 설치된다. 이 오리피스(11)는, 급배 관로(3)를 흐르는 압축 공기의 유량을 제한하는 스로틀을 구성하고, 이에 의해, 압축 공기는 급배 관로(3) 내를 느린 속도로 유통하여, 드라이어 장치(12)에 의한 수분 흡착(건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드라이어 장치(12)는, 컴프레서(9)의 토출측과 오리피스(11) 사이에 위치하고, 급배 관로(3)의 도중에 설치된다. 이 드라이어 장치(12)는, 그 케이싱을 구성하는 드라이어 케이스(12A)를 갖고, 이 드라이어 케이스(12A) 내에는, 후술하는 제1 필터(16A, 16B), 제1 건조실(17), 제1 건조제(18), 제1 스프링(19), 제2 필터(24A, 24B), 제2 건조실(25), 제2 건조제(26) 및 제2 스프링(27) 등이 설치된다.
여기서, 드라이어 케이스(12A)는, 내통(內筒; 13), 제1 유입구(14), 제1 유출구(15), 외통(外筒; 20), 제2 유입구(21), 덮개(22) 및 제2 유출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통(13)은, 예컨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중공 용기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 내통(13)은,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1 건조제(18)가 충전된 제1 건조통을 구성한다. 내통(13)의 일단측에는 컴프레서(9)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14)가 형성되고, 제1 유입구(14)는, 급배 관로(3)와 내통(13) 내의 제1 건조실(17) 사이를 연통시킨다. 한편, 내통(13)의 타단측에는, 내통(13) 내로부터 외통(20) 내를 향해 압축 공기가 유출되는 제1 유출구(15)가 형성된다.
내통(13) 내의 축 방향 일측에는 제1 일측 필터(16A)가 설치되고, 내통(13) 내의 축 방향 타측에는 제1 타측 필터(16B)가 설치된다. 이들 필터(16A, 16B)는, 제1 건조제(18)의 일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경우, 내통(13) 내의 제1 일측 필터(16A)와 제1 타측 필터(16B) 사이에는, 제1 일측 필터(16A) 및 제1 타측 필터(16B)에 의해 제1 건조실(17)이 구획되고, 상기 제1 건조실(17) 내에는 제1 건조제(18)가 충전된다. 또한, 제1 타측 필터(16B)와 외통(20)의 타단측 내주면[바닥부(20B)] 사이에는, 제1 타측 필터(16B)를 항상 제1 일측 필터(16A)측을 향해 압박하는 제1 스프링(19)이 설치된다.
제1 건조제(18)는, 제1 일측 필터(16A)와 제1 타측 필터(16B) 사이의 제1 건조실(17) 내에 충전된다. 이 제1 건조제(18)는,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것이다. 제1 건조제(18)는, 도 3 중에 실선으로 나타낸 특성선(A)과 같이 고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고, 예컨대 몰레큘러 시브(molecular sieve)(제올라이트의 일종)에 의해 구성된다.
외통(20)은, 드라이어 장치(12)의 외각을 이루고, 내통(13)에 동축을 이루어 내통(13)의 외주측 전체 둘레를 덮도록 설치된다. 외통(20)은, 예컨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중공 용기로서, 일단측이 개구단(20A)이 되어 개구되고, 타단측이 바닥부(20B)가 되어 폐색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드라이어 장치(12)의 드라이어 케이스(12A)는, 내통(13)과 외통(20)에 의해, 이중 통 구조로 구성된다.
외통(20)의 바닥부(20B)측에는, 내통(13)과 외통(20) 사이를 연통시키고, 제1 유출구(15)로부터 유출되는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21)가 형성된다. 한편, 외통(20)의 개구단(20A)측에는, 환형판으로서 형성되는 덮개(22)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22)에 의해 외통(20)의 개구단(20A)은 폐색된다. 이 덮개(22)에는, 외통(20) 내로부터 오리피스(11)[급배 관로(3)]를 향해 압축 공기가 유출되는 제2 유출구(23)가 형성되고, 제2 유출구(23)는, 오리피스(11)[급배 관로(3)]와 외통(20) 내의 제2 건조실(25) 사이를 연통시킨다. 이 외통(20)은,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2 건조제(26)가 충전된 제2 건조통을 구성한다. 또한, 외통(20)과 덮개(22)는, 드라이어 케이스(12A)의 일부를 구성한다.
외통(20) 내의 일측에는, 내통(13)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2 일측 필터(24A)가 설치되고, 외통(20) 내의 타측에는, 내통(13)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2 타측 필터(24B)가 설치된다. 이들 필터(24A, 24B)는, 제2 건조제(26)의 일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2 타측 필터(24B)는, 제2 유입구(21)와 제2 유출구(23) 사이에 위치하고, 제1 건조제(18)와 제2 건조제(26)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구성한다.
이 경우, 외통(20) 내의 제2 일측 필터(24A)와 제2 타측 필터(24B) 사이에는, 이들 필터(24A, 24B)에 의해 제2 건조실(25)이 내통(13)의 직경 방향 외측에 구획되고, 상기 제2 건조실(25) 내에는 제2 건조제(26)[제1 건조제(18)와는 종류가 상이함]가 충전된다. 또한, 제2 일측 필터(24A)와 덮개(22) 사이에는, 제2 일측 필터(24A)를 항상 제2 타측 필터(24B)측을 향해 압박하는 제2 스프링(27)이 설치된다.
제2 건조제(26)는, 제2 건조실(25) 내에 충전된다. 이 제2 건조제(26)는,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것이다. 제2 건조제(26)는, 도 3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특성선(B)과 같이 저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고, 예컨대 실리카 겔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건조제(18)는, 제2 건조제(26)와 비교하여, 압축 공기가 고온일 때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아진다. 또한, 제1 건조제(18)와 제2 건조제(26)는,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로 충전된다. 즉, 제1 건조실(17)과 제2 건조실(25)은, 드라이어 케이스(12A) 내에서 직렬로 배치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온도가 100℃ 정도인 고온 영역에서는, 특성선(A)의 제1 건조제(18)는, 특성선(B)의 제2 건조제(26)보다 수분 흡착량이 높아진다. 한편, 흡착 온도가 20℃ 정도인 저온 영역에서는, 제2 건조제(26)는, 제1 건조제(18)보다 수분 흡착량이 높아진다. 이에 의해, 드라이어 장치(12)는, 압축 공기의 온도 상태에 맞춰, 압축 공기 내의 수분을 흡착한다. 한편, 도 3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특성선(C)의 제3 건조제는, 예컨대 활성 알루미나로 구성된다. 제3 건조제는, 제1 건조제(18)와 제2 건조제(26)의 중간의 특성을 갖는다.
또한, 이 경우, 외통(20)의 용적[구체적으로는, 제2 건조실(25)의 용적]은, 내통(13)의 용적[구체적으로는, 제1 건조실(17)의 용적]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 건조실(25) 내의 제2 건조제(26)는, 제1 건조실(17) 내의 제1 건조제(18)보다, 충전량이 많아진다. 또한, 제2 유출구(23)의 면적은, 제1 유출구(15)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드라이어 장치(12) 내를 통과하는 압축 공기는, 제1 건조제(18)보다 제2 건조제(26)에 있어서,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기 쉬워진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은 전술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으로 그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각 에어 서스펜션(2)에 의해 차 높이를 올리는 경우에는, 급배기 밸브(5)를 폐쇄 위치(b)로부터 개방 위치(a)로 전환하고, 배기 밸브(8)를 폐쇄 위치(d)에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컴프레서(9)를 작동함으로써, 컴프레서(9)는, 흡기 필터(6A), 흡입 관로(6)를 통해 컴프레서(9) 내로 외기를 흡입하고, 이 공기를 가압(압축)하여 압축 공기를 드라이어 장치(12)를 향해 토출한다.
컴프레서(9)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는, 드라이어 장치(12)의 내통(13) 내에서, 제1 유입구(14), 제1 일측 필터(16A), 제1 건조실(17), 제1 타측 필터(16B), 제1 유출구(15)를 순방향으로 유통한다(도 4 참조). 그리고, 압축 공기는, 외통(20) 내에서, 제2 유입구(21), 제2 타측 필터(24B), 제2 건조실(25), 제2 일측 필터(24A), 제2 유출구(23)를 통해, 오리피스(11)를 향해 순방향으로 유통한다.
이 경우, 컴프레서(9)의 토출측에 근접하는 제1 건조실(17) 내에는, 컴프레서(9)에 의한 고온 상태(예컨대, 100℃ 정도)의 압축 공기가 제1 유입구(14)로부터 유입된다. 그리고, 제1 건조실(17) 내에는 고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제1 건조제(18)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컴프레서(9)에 의한 고온 상태의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한다. 또한, 컴프레서(9)로부터 이격되는 제2 건조실(25) 내에는, 제1 건조실(17) 내의 압축 공기보다 냉각된 저온 상태(예컨대, 20℃ 정도)의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2 건조실(25) 내에는, 저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제2 건조제(26)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저온 상태의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한다. 드라이어 장치(12)에 의해 건조된 압축 공기는, 오리피스(11), 급배 관로(3), 분기 관로(4)를 통해, 각 에어 서스펜션(2)에 공급된다.
차 높이의 올림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급배기 밸브(5)를 개방 위치(a)로부터 폐쇄 위치(b)로 전환하여 분기 관로(4)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각 에어 서스펜션(2)에 대한 압축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고, 각 에어 서스펜션(2)은 신장 상태를 유지하여, 차 높이를 올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차 높이를 낮추는 경우에는, 급배기 밸브(5)를 폐쇄 위치(b)로부터 개방 위치(a)로 전환하고, 배기 밸브(8)를 폐쇄 위치(d)로부터 개방 위치(c)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각 에어 서스펜션(2) 내의 압축 공기는, 분기 관로(4), 급배 관로(3), 오리피스(11)를 통해, 드라이어 장치(12)로 토출된다.
각 에어 서스펜션(2)으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는, 드라이어 장치(12)의 외통(20) 내에서, 제2 유출구(23), 제2 일측 필터(24A), 제2 건조실(25), 제2 타측 필터(24B), 제2 유입구(21)를 역방향으로 유통한다(도 5 참조). 그리고, 압축 공기는, 내통(13) 내에서, 제1 유출구(15), 제1 타측 필터(16B), 제1 건조실(17), 제1 일측 필터(16A), 제1 유입구(14)를 역방향으로 유통한다.
이 경우, 건조한 공기가 드라이어 장치(12) 내를 역류하기 때문에, 드라이어 장치(12) 내의 제1, 제2 건조제(18, 26)는, 이 건조 공기에 의해 수분이 탈착된다. 이에 의해, 제1, 제2 건조제(18, 26)는 재생되어, 다시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드라이어 장치(12)를 통과한 압축 공기는, 배기 관로(7), 배기 밸브(8), 배기구(7A)를 통해 외부로 직접적으로 배출된다. 이 결과, 각 에어 서스펜션(2)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배출되고, 각 에어 서스펜션(2)이 축소 상태로 이행됨으로써, 차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제1 실시형태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에 의하면,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은,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9)와 컴프레서(9)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드라이어 장치(12)를 갖는다. 또한, 드라이어 장치(12)는,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1 건조제(18)가 충전되는 내통(13) 및 제2 건조제(26)가 충전되는 외통(20)을 갖는다. 이에 의해, 1종류의 건조제밖에 이용하지 않는 드라이어 장치와 비교하여,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드라이어 장치(12)는, 온도 특성이 각각 상이한 제1, 제2 건조제(18, 26)를 갖는다. 이에 의해, 드라이어 장치(12)는, 압축 공기의 온도 상태에 맞춘 건조제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압축 공기의 온도에 의존하지 않고 드라이어 장치(12)의 수분 흡착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건조제의 사용량을 적게 한 경우에도, 충분히 압축 공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은,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14)와, 제1 유입구(14)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1 건조제(18)가 충전되는 내통(13)과, 내통(13)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출되는 제1 유출구(15)와, 제1 유출구(15)로부터 유출된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21)와, 제2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2 건조제(26)가 충전되는 외통(20)과, 외통(20)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출되는 제2 유출구(23)를 갖고, 제1 건조제(18)는, 제2 건조제(26)와 비교하여 압축 공기가 고온일 때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드라이어 장치(12)는, 온도 특성이 각각 상이한 제1, 제2 건조제(18, 26)를 내통(13)과 외통(20)에 각각 갖고 있기 때문에, 압축 공기의 온도 상태에 맞춘 개소에 제1, 제2 건조제(18, 26)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고온의 압축 공기가 유통되는 개소에 고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제1 건조제(18)를 배치하고, 저온의 압축 공기가 유통되는 개소에 저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제2 건조제(26)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어 장치(12)는, 압축 공기의 온도 상태에 맞춰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어 장치(12)는, 제1 건조제(18)와 제2 건조제(26)를,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로 충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컴프레서(9)의 토출측에 근접하는 개소에 제1 건조제(18)를 배치할 수 있고, 컴프레서(9)로부터 이격되는 개소에 제2 건조제(26)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어 장치(12)의 외통(20)은, 드라이어 케이스의 일부를 이루고, 내통(13)의 외주측 전체 둘레를 덮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드라이어 장치(12)를 이중 통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내통(13)의 외주면과 외통(20)의 내주면 사이에, 제2 건조제(26)를 충전하는 제2 건조실(25)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어 장치(12)는, 제2 유입구(21)와 제2 유출구(23) 사이에는, 제1 건조제(18)와 제2 건조제(26)를 구획하는 제2 타측 필터(24B)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건조제(18)와 제2 건조제(26)가 섞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어 장치(12)는, 내통(13)의 용적과 비교하여, 외통(20)의 용적이 큰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건조제(26)가 충전되는 제2 건조실(25)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건조제(18)와 비교하여 제2 건조제(26)의 충전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제1 건조제(18)에 비해 제2 건조제(26)에 의해 많이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드라이어 장치(12)는, 제1 유출구(15)와 비교하여, 제2 유출구(23)가 작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압축 공기를, 제1 건조실(17)에 비해 제2 건조실(25)에 길게 체류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제1 건조제(18)에 비해 제2 건조제(26)에 의해 많이 흡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특징은, 드라이어 장치를 단통 구조로 하고, 복수 종류의 건조제를 혼합하여 설치한 것에 있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있어서, 드라이어 장치(31)는, 드라이어 케이스(32), 덮개(33), 필터(34A, 34B), 건조실(35), 제1, 제2 건조제(36, 37), 스프링(38), 배기 파이프(39), 유출구(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드라이어 장치(31)는, 컴프레서(9)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오리피스(11)를 향해 순방향으로 유통될 때에, 제1, 제2 건조제(36, 37)로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한다. 그리고, 드라이어 장치(31)는, 건조한 압축 공기(드라이 에어)를 각 에어 서스펜션(2)을 향해 공급한다. 한편, 각 에어 서스펜션(2)으로부터 배기 관로(7)를 향해 역방향으로 유통되는 압축 공기(배기)는, 드라이어 장치(31) 내를 역류함으로써, 제1, 제2 건조제(36, 37)에 흡착된 수분을 탈취하여, 제1, 제2 건조제(36, 37)를 재생한다.
드라이어 케이스(32)는, 예컨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중공 용기로서, 일단측이 개구단(32A)이 되어 개구되고, 타단측이 바닥부(32B)가 되어 폐색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드라이어 케이스(32)의 개구단(32A)은 덮개(33)와 결합되고, 이에 의해, 덮개(33)는 드라이어 케이스(32)의 개구단(32A)을 폐색한다. 덮개(33)에는, 컴프레서(9)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3A)가 형성되어, 급배 관로(3)와 드라이어 케이스(32) 내의 건조실(35) 사이를 연통시킨다.
드라이어 케이스(32) 내의 일측에는 일측 필터(34A)가 설치되고, 드라이어 케이스(32) 내의 타측에는 타측 필터(34B)가 설치된다. 이들 필터(34A, 34B)는, 제1, 제2 건조제(36, 37)의 일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드라이어 케이스(32) 내의 일측 필터(34A)와 타측 필터(34B) 사이에는, 필터(34A, 34B)에 의해 건조실(35)이 구획되고, 상기 건조실(35) 내에는 제1, 제2 건조제(36, 37)가 충전된다. 또한, 일측 필터(34A)와 덮개(33) 사이에는, 일측 필터(34A)를 항상 타측 필터(34B)측을 향해 압박하는 스프링(38)이 설치된다.
제1, 제2 건조제(36, 37)는, 건조실(35) 내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충전된다. 이들 제1, 제2 건조제(36, 37)는,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여,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것이다. 제1 건조제(36)는, 고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예컨대 몰레큘러 시브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제2 건조제(37)는, 저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예컨대 실리카 겔에 의해 구성된다. 즉, 제1 건조제(36)는, 제2 건조제(37)와 비교하여, 압축 공기가 고온일 때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아진다.
배기 파이프(39)는, 필터(34A, 34B) 사이에서 필터(34A, 34B)를 관통하여, 드라이어 장치(31)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연통해서 설치된다. 이 배기 파이프(39)의 일단측은 일측 필터(34A)와 덮개(33) 사이의 공간으로 연통되고, 배기 파이프(39)의 타단측은 배기 밸브(8)를 통해 배기구(7A)와 연통된다.
유출구(40)는, 드라이어 장치(31)의 타단측에 위치하고, 드라이어 케이스(32)의 바닥부(32B)에 형성된다. 이 유출구(40)는, 급배 관로(3)를 통해 각 에어 서스펜션(2)과 접속되어, 드라이어 장치(31)에서 건조된 압축 공기를 각 에어 서스펜션(2)을 향해 유출시키는 것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드라이어 장치(31)는 전술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으로 그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각 에어 서스펜션(2)에 의해 차 높이를 올리는 경우에는, 급배기 밸브(5)를 폐쇄 위치(b)로부터 개방 위치(a)로 전환하고, 배기 밸브(8)를 폐쇄 위치(d)에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컴프레서(9)를 작동함으로써, 컴프레서(9)는, 흡기 필터(6A), 흡입 관로(6)를 통해 컴프레서(9) 내로 외기를 흡입하고, 이 공기를 가압(압축)하여 압축 공기를 드라이어 장치(31)를 향해 토출한다.
컴프레서(9)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는, 드라이어 장치(31)의 유입구(33A), 일측 필터(34A), 건조실(35), 타측 필터(34B), 유출구(40)를 순방향으로 유통한다. 이 경우, 건조실(35) 내에는, 고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제1 건조제(36)와 저온 시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제2 건조제(37)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어 장치(31)는, 압축 공기의 온도에 상관없이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한다. 그리고, 드라이어 장치(31)에 의해 건조된 압축 공기는, 오리피스(11), 급배 관로(3), 분기 관로(4)를 통해, 각 에어 서스펜션(2)에 공급된다.
차 높이의 올림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급배기 밸브(5)를 개방 위치(a)로부터 폐쇄 위치(b)로 전환하여 분기 관로(4)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각 에어 서스펜션(2)에 대한 압축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고, 각 에어 서스펜션(2)은 신장 상태를 유지하여, 차 높이를 올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차 높이를 낮추는 경우에는, 급배기 밸브(5)를 폐쇄 위치(b)로부터 개방 위치(a)로 전환하고, 배기 밸브(8)를 폐쇄 위치(d)로부터 개방 위치(c)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각 에어 서스펜션(2) 내의 압축 공기는, 분기 관로(4), 급배 관로(3), 오리피스(11)를 통해, 드라이어 장치(31)로 토출된다.
각 에어 서스펜션(2)으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는, 드라이어 장치(31)의 유출구(40), 타측 필터(34B), 건조실(35), 일측 필터(34A), 배기 파이프(39)를 역방향으로 유통한다. 이 경우, 건조한 공기가 드라이어 장치(31) 내를 역류하기 때문에, 드라이어 장치(31) 내의 제1, 제2 건조제(36, 37)는, 이 건조 공기에 의해 수분이 탈착된다. 이에 의해, 제1, 제2 건조제(36, 37)는 재생되어, 다시 수분을 흡착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드라이어 장치(31)를 통과한 압축 공기는, 배기 밸브(8), 배기구(7A) 등을 통해 외부로 직접적으로 배출된다. 이 결과, 각 에어 서스펜션(2)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배출되고, 각 에어 서스펜션(2)이 축소 상태로 이행됨으로써, 차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제2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드라이어 장치(31)는, 드라이어 케이스(32)를 이용하여 단통 구조로 하고, 제1, 제2 건조제(36, 37)를 혼합하여 건조실(35) 내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1종류의 건조제밖에 이용하지 않는 드라이어 장치와 비교하여,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건조제(36, 37)는, 건조실(35) 내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충전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제1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드라이어 장치(51)는, 드라이어 케이스(51A) 내에, 제1 건조제(53)가 충전되는 제1 건조통(52)과, 제2 건조제(55)가 충전되는 제2 건조통(54)을 구비한다. 이 경우, 제1 건조제(53)와 제2 건조제(55)는, 각각 분리되고,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로 충전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건조제(36, 37)는, 건조실(35) 내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충전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제2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드라이어 장치(61)는, 드라이어 케이스(61A) 내에, 제1 건조제(63)가 충전되는 제1 건조통(62)과, 제2 건조제(65)가 충전되는 제2 건조통(64)을 구비한다. 이 경우, 제1 건조제(63)와 제2 건조제(65)는, 각각 분리되고,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해 병렬로 충전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건조제(36, 37)는, 건조실(35) 내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충전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제1, 제2 건조제는, 건조실 내에서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고, 치우쳐 혼합되어도 좋다. 또한, 미리 네트 등을 이용하여 분리한 제1, 제2 건조제를, 건조실 내에 충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2 건조통을 구성하는 외통(20)을 제1 건조통을 구성하는 내통(13)의 외주측 전체 둘레를 덮도록 배치하여, 드라이어 장치(12)는 이중 통 구조인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제3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드라이어 장치(71)는, 드라이어 케이스(71A) 내에 있어서, 제1 건조제(75)를 충전하는 제1 건조통(72)과 제2 건조제(79)를 충전하는 제2 건조통(76)은 나란히 배치되고, 제1 유입구(73)와 제2 유출구(78)는 축 방향 일단에 위치하며, 제1 유출구(74)와 제2 유입구(77)는 축 방향 타단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1)은, 오픈식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서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제4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81)은, 각 에어 서스펜션(2)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저류하는 탱크(82)를 갖는 클로즈드식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이것은,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는, 탱크(82)는, 컴프레서(9)에 의해 압축된 압축 공기를 저류하는 것이다. 탱크(82)와 컴프레서(9)는 급배 관로(3), 보급 관로(83)를 통해 접속되어, 컴프레서(9)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는, 급배 관로(3), 보급 관로(83)를 통해 탱크(82) 내에 축적된다.
보급 관로(83)는, 후술하는 급배 전환 밸브(88)와 드라이어 장치(12) 사이에서 급배 관로(3)로부터 분기되어, 압축 공기를 탱크(82)에 보급하기 위한 관로이다.
탱크 밸브(84)와 저류 전환 밸브(85)는, 예컨대 보급 관로(83)와 탱크(82) 사이에 설치된다. 이 중 탱크 밸브(84)는, 2포트 2위치의 전자 밸브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탱크 밸브(84)는, 보급 관로(83)를 개방하여 탱크(82)에 대한 기체의 급배를 허용하는 개방 위치(e)와, 보급 관로(83)를 폐쇄하여 탱크(82)에 대한 기체의 급배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f)로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저류 전환 밸브(85)는, 컴프레서(9)의 흡입측 또는 토출측을 탱크(82)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예컨대, 3포트 2위치의 전자 방향 전환 밸브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저류 전환 밸브(85)는, 보급 관로(83)를 통해 압축 공기를 탱크(82)에 급배하는 급배 위치(g)와, 탱크(82) 내의 압축 공기를 제1 바이패스 관로(86)를 통해 컴프레서(9)의 흡입측에 공급하는 전환 위치(h)로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제1 바이패스 관로(86)는, 흡입 관로(6)와 저류 전환 밸브(85) 사이에 배치되고, 저류 전환 밸브(85)가 전환 위치(h)로 전환되었을 때에, 탱크(82) 내의 압축 공기를 컴프레서(9)의 흡입측을 향해 유통시키는 것이다.
제2 바이패스 관로(87)는, 흡입 관로(6)와 급배 전환 밸브(88) 사이에 배치되고, 급배 전환 밸브(88)가 전환 위치(j)로 전환되었을 때에, 각 에어 서스펜션(2) 내의 압축 공기를 컴프레서(9)의 흡입측을 향해 유통시키는 것이다.
급배 전환 밸브(88)는, 급배기 밸브(5)와 컴프레서(9) 사이에 위치하고 급배 관로(3)의 도중에 설치된다. 이 급배 전환 밸브(88)는, 저류 전환 밸브(85)와 거의 동일하게, 3포트 2위치의 전자 방향 전환 밸브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급배 전환 밸브(88)는, 급배 관로(3), 각 분기 관로(4)를 통해 각 에어 서스펜션(2)에 압축 공기를 급배하는 급배 위치(i)와, 각 에어 서스펜션(2) 내의 압축 공기를 제2 바이패스 관로(87)를 통해 컴프레서(9)의 흡입측에 공급하는 전환 위치(j)로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흡기 밸브(89)는, 컴프레서(9)의 흡입측에 접속된 흡입 관로(6)를 대기에 대해 연통, 차단시키는 밸브이다. 이 흡기 밸브(89)는, 탱크 밸브(84)와 거의 동일하게, 2포트 2위치의 전자 밸브에 의해 구성되고, 흡입 관로(6)를 개방하여 컴프레서(9)에 의한 기체의 흡입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k)와, 흡입 관로(6)를 폐쇄하여 컴프레서(9)에 의한 기체의 흡입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l)로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압력 센서(90)는, 저류 전환 밸브(85)와 컴프레서(9) 사이에 위치하고 보급 관로(83)의 도중에 설치된다. 이 압력 센서(90)는, 보급 관로(83)의 압력을 검출함으로써, 탱크(82) 내의 압축 공기의 압력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제4 변형예에서는, 탱크(82)를 구비한 클로즈드식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81)으로 함으로써, 컴프레서(9)에서 압축한 압축 공기를 탱크(82) 내에 모아 둘 수 있고, 배기 밸브(8)로부터 압축 공기가 쓸데없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어 장치(12)는, 2종류의 제1, 제2 건조제(18, 26)를 충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드라이어 장치는, 3종류 이상의 건조제를 충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특성선(C)의 제3 건조제를 충전시켜도 좋다. 이것은,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서스펜션(2)은, 차량의 전륜측 및 후륜측에 위치하여 4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에어 서스펜션은, 차량의 전륜측 및 후륜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4륜 자동차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2륜차 등과 같은 다른 차량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는 예시이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의 부분적인 치환 또는 조합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음으로, 상기한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발명에 대해 기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제가, 복수 종류 충전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2 양태로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건조제는, 각각 따로따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3 양태로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건조제는,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충전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4 양태로서는, 제1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 장치는,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1 건조제가 충전되는 제1 건조통과, 상기 제1 건조통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출되는 제1 유출구와, 상기 제1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2 건조제가 충전되는 제2 건조통과, 상기 제2 건조통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출되는 제2 유출구가 수용되는 드라이어 케이스를 갖고, 상기 제1 건조제는, 상기 제2 건조제와 비교하여 압축 공기가 고온일 때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압축 공기의 온도 상태에 맞춰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5 양태로서는, 제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통은 상기 드라이어 케이스의 일부를 이루고, 상기 제1 건조통의 외주측을 전체 둘레에서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출구 사이에는, 상기 제1 건조제와 상기 제2 건조제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드라이어 장치를 이중 통 구조로 하여, 제1 건조제와 제2 건조제가 섞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6 양태로서는, 제4 또는 제5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통의 용적과 비교하여, 상기 제2 건조통의 용적 쪽이 큰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제2 건조통에 충전되는 제2 건조제의 충전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제7 양태로서는, 제4 내지 제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구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유출구가 작은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압축 공기를, 제1 건조실에 비해 제2 건조실에 길게 체류시킬 수 있다.
제8 양태로서는, 제4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통과 상기 제2 건조통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출구는, 축 방향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제2 유입구는, 축 방향 타단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드라이어 장치를 이중 통 구조로 하지 않고, 제1 건조통과 제2 건조통을 직렬로 배치할 수 있다.
제9 양태로서는, 제1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서, 차체와 차축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의 급배에 따라 차 높이 조정을 행하는 에어 서스펜션과,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상기 컴프레서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상기 드라이어 장치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한 압축 공기를 에어 서스펜션에 공급할 수 있다.
제10 양태로서는, 제9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에어 서스펜션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저류하는 탱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클로즈드식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세히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은 2016년 10월 21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6-207056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2016년 10월 21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6-207056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전체로서 편입된다.
1, 81: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2: 에어 서스펜션
9: 컴프레서 12, 31, 51, 61, 71: 드라이어 장치
12A, 32, 51A, 61A, 71A: 드라이어 케이스
13: 내통(제1 건조통) 14, 73: 제1 유입구
15, 74: 제1 유출구 18, 36, 53, 63, 75: 제1 건조제
20: 외통(제2 건조통) 21, 77: 제2 유입구
23, 78: 제2 유출구 24B: 제2 타측 필터(구획 부재)
26, 37, 55, 65, 79: 제2 건조제 52, 62, 72: 제1 건조통
54, 64, 76: 제2 건조통 82: 탱크

Claims (10)

  1.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1 건조제가 충전되는 제1 건조통과,
    상기 제1 건조통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출되는 제1 유출구와,
    상기 제1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2 건조제가 충전되는 제2 건조통과,
    상기 제2 건조통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출되는 제2 유출구
    가 수용되는 드라이어 케이스를 구비하는 드라이어 장치로서,
    상기 제1 건조제는, 상기 제2 건조제와 비교하여 압축 공기가 고온일 때의 수분 흡착 성능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통은, 상기 드라이어 케이스의 일부를 이루고, 상기 제1 건조통의 외주측을 전체 둘레에서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출구 사이에는, 상기 제1 건조제와 상기 제2 건조제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통의 용적과 비교하여, 상기 제2 건조통의 용적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구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유출구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통과 상기 제2 건조통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출구는, 축 방향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제2 유입구는, 축 방향 타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하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서,
    차체와 차축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의 급배(給排)에 따라 차 높이 조정을 행하는 에어 서스펜션과,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상기 컴프레서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상기 드라이어 장치를 갖는 것인,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서스펜션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저류하는 탱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7007799A 2016-10-21 2017-09-13 드라이어 장치 및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KR102195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07056 2016-10-21
JP2016207056 2016-10-21
PCT/JP2017/032956 WO2018074107A1 (ja) 2016-10-21 2017-09-13 ドライヤ装置およびエア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336A KR20190037336A (ko) 2019-04-05
KR102195779B1 true KR102195779B1 (ko) 2020-12-28

Family

ID=6201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799A KR102195779B1 (ko) 2016-10-21 2017-09-13 드라이어 장치 및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18991B2 (ko)
JP (1) JP6626584B2 (ko)
KR (1) KR102195779B1 (ko)
CN (1) CN109715268B (ko)
DE (1) DE112017005305T5 (ko)
WO (1) WO2018074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8782B2 (en) * 2016-04-27 2020-06-02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ryer regeneration method for air suspension system
DE112017003753B4 (de) * 2016-07-27 2021-07-0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Luftfederungssystem
CN109209816A (zh) * 2018-11-07 2019-01-15 安庆工匠智能化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群星对称无油压缩机
JP7165577B2 (ja) * 2018-12-25 2022-11-04 日立Astemo株式会社 ドライヤ装置
CN112483079B (zh) * 2020-12-03 2022-11-15 大庆石油管理局有限公司 一种气体钻井条件下录井仪样品气采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1638A (ja) 1999-10-14 2003-03-25 ハルデツクス ブレーキ プロダクツ アーベー 圧縮空気系内の空気清浄化方法及び装置
JP2009530087A (ja) * 2006-03-17 2009-08-27 アトラス コプコ エアーパワー,ナー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圧縮ガスを乾燥する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方法
JP2015105020A (ja) 2013-11-29 2015-06-0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エア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4186A (en) * 1967-02-10 1969-09-02 Hankison Corp Dryer for compressed fluid systems
US3881743A (en) * 1974-05-02 1975-05-06 Gen Motors Corp Automotive leveling system
US5300138A (en) 1993-01-21 1994-04-05 Semco Incorporated Langmuir moderate type 1 desiccant mixture for air treatment
US5711150A (en) 1995-07-31 1998-01-27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height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JPH09250507A (ja) 1996-03-15 1997-09-22 Aisin Seiki Co Ltd 空気圧作動装置
US6000432A (en) 1997-11-26 1999-12-14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Control valve with axial sealing
JP3061609U (ja) 1999-02-23 1999-09-24 谷田貝 通 弁当用容器に於ける外装体
DE20102436U1 (de) 2001-02-13 2001-06-21 Mueller Arnold Gmbh Co Kg Druckluftregeleinrichtung
US6730143B1 (en) * 2002-11-18 2004-05-04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Truck air dryer purge air cleaner
US7846242B2 (en) * 2003-05-19 2010-12-07 Wabco GmbH & Co. Ohg. Air dryer cartridge
US7544234B2 (en) * 2006-01-26 2009-06-09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Vehicle air system having an indicator device and method
DE102007034435A1 (de) * 2007-07-20 2009-01-22 Mann + Hummel Gmbh Trockenmittelbox zum Entfeuchten von Luft
JP5298922B2 (ja) * 2009-02-17 2013-09-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用ドライヤ
DE102009029898A1 (de) * 2009-06-23 2010-12-30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system für einen Druckluftverbraucherkreis, insbesondere für ein Luftfederungssystem
WO2011091082A2 (en) * 2010-01-19 2011-07-28 Firestone Industrial Products Company, Llc Gas spring suspension system with gas dryer regeneration and method
JP5732756B2 (ja) * 2010-07-09 2015-06-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用ドライヤ
DE102012005308B4 (de) * 2011-12-23 2022-03-17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Druckluftversorgungssystem und Fahrzeug, insbesondere PKW, mit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US8852327B1 (en) * 2013-03-14 2014-10-07 Haldex Brake Products Corporation Air dryer cartridge with integrated check valve
JP5863137B1 (ja) 2015-04-27 2016-02-16 恒雄 長嶺 相続税対策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1638A (ja) 1999-10-14 2003-03-25 ハルデツクス ブレーキ プロダクツ アーベー 圧縮空気系内の空気清浄化方法及び装置
JP2009530087A (ja) * 2006-03-17 2009-08-27 アトラス コプコ エアーパワー,ナー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圧縮ガスを乾燥する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方法
JP2015105020A (ja) 2013-11-29 2015-06-0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エア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15268B (zh) 2021-10-29
KR20190037336A (ko) 2019-04-05
JPWO2018074107A1 (ja) 2019-07-11
US20190201840A1 (en) 2019-07-04
DE112017005305T5 (de) 2019-07-04
CN109715268A (zh) 2019-05-03
WO2018074107A1 (ja) 2018-04-26
US10918991B2 (en) 2021-02-16
JP6626584B2 (ja) 2019-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779B1 (ko) 드라이어 장치 및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US10875376B2 (en) Air suspension system
CN101175549B (zh) 空气干燥器筒体
US9764278B2 (en) Compressed air supply unit, compressed air supply system, and vehicle, in particular passenger car, having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ES2201291T3 (es) Componente para un sistema de frenado neumatico.
JP2010254295A (ja) アクティブエアサスペンション用の給気システム
CN107614296A (zh) 空气悬架系统
CA2616842C (en) Air dryer system
KR20110126145A (ko)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US20140260995A1 (en) Air Dryer Cartridge with Integrated Check Valve
KR102245114B1 (ko) 서스펜션 시스템
JP6646730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CN216136959U (zh) 用于从待处理气体混合物中吸附气体的装置
CN108431415A (zh) 压缩机
US9346334B2 (en) Air supply device for a vehicle having pneumatic devices
US11413568B2 (en) Compressed-air drying device
JP2016538116A (ja) 空気乾燥機
GB2103954A (en) An air drying arrangement
WO2017199567A1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用ドライヤ
KR101278884B1 (ko)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
CN108944355A (zh) 用于车辆气候控制系统的包括流体导流除湿剂的贮存器阀
KR200296832Y1 (ko) 자동차용 산소 발생기의 흡착제 세정장치
WO2023062408A1 (en) Integrated twin air-dryer cartridge
CN116802097A (zh) 空气干燥器装置和空气处理装置
CN117507730A (zh) 一种空气悬架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