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145A -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145A
KR20110126145A KR1020117021321A KR20117021321A KR20110126145A KR 20110126145 A KR20110126145 A KR 20110126145A KR 1020117021321 A KR1020117021321 A KR 1020117021321A KR 20117021321 A KR20117021321 A KR 20117021321A KR 20110126145 A KR20110126145 A KR 20110126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edium
line
medium line
ai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르크 하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11012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8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with the regulating means inside the flui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60G2500/2012Ope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60G2500/2014Clos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66Humidifying or dr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본체가 적어도 하나의 차량 축에 대하여 매달려 있게 되는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으로서, 이하의 구성 요소 : 분기부 (38a ~ 38d) 를 통하여 압력 매체 라인 (34) 에 연결되는 압력 매체 챔버 (6a ~ 6d), 압축기 (8), 압력 매체 라인 (4) 에 구성되는 공기 건조기 (10), 압력 매체 저장소 탱크 (12) 로서, 압력 매체 저장소 탱크 (12) 로부터 압력 매체가 압축기 (8) 에 의해 각각의 압력 매체 챔버 (6a ~ 6d) 안으로 전달될 수 있고, 압축기 입구 (14) 는 그 후 방향성 밸브 (2a) 에 의해 스위치되는 압력 매체 라인 (1) 에 의해 압력 매체 저장소 탱크 (12) 에 연결되고 압축기 출구 (16) 는 그 후 방향성 밸브 (4a) 에 의해 스위치되는 압력 매체 라인 (2) 에 의해 하나 이상의 압력 매체 챔버 (6a ~ 6d) 에 연결되고, 각각의 압력 매체 챔버 (6a ~ 6d) 로부터의 압력 매체가 압축기 (8) 에 의해 압력 매체 저장소 탱크 (12) 안으로 전달될 수 있고, 압축기 입구 (14) 는 그 후 방향성 밸브 (4a) 에 의해 스위치되는 압력 매체 라인 (3) 에 의해 하나 이상의 압력 매체 챔버 (6a ~ 6d) 에 연결되고 압축기 출구 (16) 는 방향성 밸브 (2a) 에 의해 스위치되는 압력 매체 라인 (4) 에 의해 압력 매체 저장소 탱크 (12) 에 연결되고, 대기에 연결될 수 있는 압력 매체 라인 (32) 은 방향성 밸브 (30), 방향성 밸브 (4a), 그리고 압력 매체 라인 (3) 에 의해 압축기 입구 (14) 에 그리고 방향성 밸브 (4a), 압력 매체 라인 (2) 그리고 방향성 밸브 (2a) 에 의해 압력 매체 저장소 탱크 (12) 에 연결될 수 있으며, 압축기 (8) 를 통하여 압력 매체 챔버 (6a ~ 6d) 에 연결되는 압력 매체 저장소 탱크를 포함하고, 체크 밸브 (18) 가 방향성 밸브 (2a) 와 공기 건조기 (10) 의 출구 (40) 사이의 압력 매체 라인 (4) 에 놓이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CLOSED RIDE CONTROL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문에 따라 차량 본체가 적어도 하나의 차량 축선에 대하여 매달려 있게 되는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입부에서 언급된 타입의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이 유럽 특허 출원 EP 1 243 447 A2 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문서로부터 공지된 폐쇄 탑승 제어 장치는 2 개 또는 4 개의 제어 가능한 방향성 밸브, 압력 매체 저장소 및, 각각 제어 가능한 방향성 밸브를 갖는 적어도 2 개의 압력 매체 챔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탑승 제어 시스템에 의해, 압력 매체는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 압력 매체 저장소로 전달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또한, 대기로부터 공기가 압력 매체 저장소 안으로 유도될 수 있고, 압축된 공기는 압력 매체 저장소에 들어가기 전에 공기 건조기에서 건조된다. 공기 건조기를 재생하기 위해, 압력 매체 저장소로부터의 압력 매체는 스로틀을 통하여 압력이 감소 (decompressed) 될 수 있고, 공기 건조와 비교하여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출 밸브를 통하여 공기 건조기를 통하여 대기로 유도될 수 있다.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건조기의 재생은 불리한데 이는 덜 효과적이고 따라서 공기의 비교적 높은 소비와 연관되기 때문이다. 또한, 시스템은 특정 작동 상태에서, 단지 그 이후의 추가적인 재생 사이클에 의해서만 제거될 수 있는 습한 공기로 채워진 채로 남아있을 수 있는 라인 경로를 갖는다.
DE 102 31 251 C1 의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예컨대 차량의 장기간의 정지 기간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공기 스프링의 직접 충전이 가능한데, 이는 압축기가 대기로부터 그의 입구로 인도하는 추가적인 라인을 통하여 직접 공기를 끌어올 수 있기 때문이며, 이 공기는 압축기의 출구로부터 직접 공기 스프링에 유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공기 스프링의 직접 충전은 적절한 재생 사이클에 의해 그 이후에 건조되어야만 하는 습한 공기에 의해 수행된다.
공기 습도의 제거를 위해 요구되는 재생 사이클은 추가적인 압축기의 운행 시간을 수반하는데, 이는 공기가 먼저 시스템 안으로 운반되고 그 후 배출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며, 이는 압축기의 전체 사용 시간에 대하여 고려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압축기의 운행 시간은 탑승 제어 시스템 자체의 사용을 위한 이용성의 감소를 동반하는데, 이는 압축기와 밸브가 더 장시간 사용되고 열적 자기 보호 (thermal self protection) 는 주기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남겨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탑승 제어 시스템의 작동 동안 시스템 공기의 추가적인 건조는 공기가 공기 스프링으로부터 어큐뮬레이터로 운반될 때에만 가능하다. 어큐뮬레이터로부터 공기 스프링으로의 공기의 운반 동안, 공기는 건조기의 상류의 공기 스프링으로 우회된다.
공기가 압축기에 의해 전달될 때 건조기를 통하여 항상 흐르고, 공기 건조 및 건조기의 재생이 동일한 흐름 방향으로 일어나는 차량용 공기 서스펜션 시스템이 DE 102 40 357 A1 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조는 복잡한데, 이는 시스템의 공기 압력의 함수로서 3 개의 스위칭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압축된 공기 제어된 4/3-방 밸브가 건조기의 상류에 구성되기 때문이며, 그의 제 1 스위칭 위치는 4/3-방 밸브를 통하여 비교적 큰 단면의 통로를 개방하고, 제 2 스위칭 위치는 스로틀 통로 단면을 개방하고 제 3 스위칭 위치는 대기로 스로틀된 배출물을 방출한다. 건조기의 재생이 이러한 제 3 스위칭 위치에서 일어난다. 4/3-방 밸브를 스위칭하기 위한 압축된 공기는 건조기의 상류에서 분기되고 따라서 습기를 함유한다. 이러한 공기는 시스템 기능에 의해 건조될 수 없는데 이는 또한 배출 밸브로서 기능하는, 4/3-방 밸브의 동결의 위험을 동반하는, 관통 흐름이 없는 라인의 일부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작은 설치 공간을 요구하며, 건조기를 통하여 주위로부터 끌어들여진 공기를 유도하고, 건조기의 상류에 습한 공기로 채워질 수 있는 경로를 갖지 않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의 방향성 밸브의 가능한 한 적은 개수가 충분한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며, 종속 청구항은 유리한 개발을 규정한다.
청구항 제 1 항의 전문에 따른 탑승 제어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비복귀 밸브가 압력 매체 저장소에 공기 건조기의 출구를 연결하기 위한 방향성 밸브와 공기 건조기의 출구 사이의 압력 매체 라인에 구성되고; 압력 매체 챔버로의 압력 매체 라인의 압축된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하는 방향성 밸브로의 압력 매체 라인은 압력 매체 라인으로부터 공기 건조기의 출구와 상기 언급된 비복귀 밸브의 상류에서 압력 매체 저장소로 분기하고; 다른 비복귀 밸브 및/또는 스로틀이 압력 매체 라인을 압력 매체 저장소에 연결하기 위해 방향성 밸브와 제 1 비복귀 밸브 사이의 지점에서 분기하고 공기 건조기에서 개방되는 압력 매체 라인에 구성되고, 이러한 다른 비복귀 밸브는 공기 건조기로부터 압력 매체 라인을 압력 매체 저장소에 연결하기 위한 방향성 밸브와 제 1 비복귀 밸브 사이의 지점으로의 방향으로 막혀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탑승 제어 시스템의 이점은 단지 매우 적은 제어 가능한 방향성 밸브가 요구되고, 이에 의해 설치 공간 및 비용이 절약된다는 점에서 볼 수 있다. 다른 이점은 주위로부터 끌어들여진 공기는 항상 건조되고 추가적인 건조 또는 재생 사이클을 요구하는 습한 공기를 갖는 공기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증가된 시스템 이용성과 조합되는 줄어든 압축기 사용 시간이 이에 의해 가능해진다. 스로틀 및 비복귀 밸브를 갖는 표준 재생 원리는 유지되어, 추가로, 압출된 공기를 위한 어큐뮬레이터의 및/또는 공기 스프링의 정상 충전 (normal filling) 을 위한 제어 시스템의 소프트 웨어 변경만이 요구된다. 또한, 추가적인 시스템 건조 사이클이 유리하게는 생략될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명시된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르면, 스로틀이 압력 매체 라인을 압력 매체 저장소에 연결하기 위한 방향성 밸브와 제 1 비복귀 밸브 사이의 지점에서 분기하는 라인에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스로틀이 탑승 제어 시스템의 기존의 구성 요소에 어려움 없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제 3 항에 명시된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르면, 스로틀 및 다른 비복귀 밸브가 구성되는 압력 매체 라인은 공기 건조기의 입구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공기 건조기의 건조기 베드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공기 건조기의 건조기 베드 안에 직접 유도되는 압축된 공기에 의한 본 발명의 개발의 이점은 압축된 공기가 공기 건조기의 건조 흐름 방향에 횡단적으로 건조기 베드 안으로 유도되고, 이에 의해 건조기의 재생이 개선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기 건조기는 건조기 베드 안으로 돌출하고 스로틀과 다른 비복귀 밸브가 구성되는 압축된 공기 라인에 연결되는 돔 (dome) 을 가질 수 있고, 이 돔은 건조기 베드로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 다른 비복귀 밸브와 스로틀은 돔에 대하여 입구의 상류에 구성된다.
청구항 제 7 항 및 제 8 항에 따른 본 발명의 마지막에 언급된 개발의 이점은 작은 설치 공간을 요구하는 구조적으로 간단한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건조기가 돔, 비복귀 밸브 및 스로틀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제 9 항에 명시된 본 발명의 다른 개발에 따르면, 압력 매체 저장소로부터 압축기로의 압력 매체 라인, 그리고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 압축기로의 압력 매체 라인은 압축기 입구의 상류에 위치된 지점에서 함께 모이게 되고, 압력 매체 저장소 및 압력 매체 챔버의 방향으로 막혀있는 비복귀 밸브는 압력 매체 라인에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개발의 이점은 이러한 압력 매체 라인에 구성되는 방향성 밸브의 특정 위치에서, 압력 매체 챔버의 공기압이 압력 매체 저장소의 공기압보다 더 높거나 또는 더 낮은 것과 관계없이,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 압력 매체 저장소로의 압축된 공기의 흐름이 불가능하다는 것에서 볼 수 있다. 탑승 제어 시스템의 휴지 상태에서, 즉 제어가 일어나지 않을 때, 제어 가능한 방향성 밸브는, 예컨대 이러한 휴지 상태로 전달되어, 압력 매체 챔버와 압력 매체 저장소 사이의 압축된 공기의 의도되지 않은 흐름이 일어날 수 없게 된다. 게다가, 제어 가능한 방향성 밸브의 이러한 규정된 상태의 결과, 압력 센서에 의한 압력 매체 챔버의 압력의 측정이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된다. 개발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은 탑승 제어 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보존하면서 달성된다. 특히, 공기 건조기를 재생시키기위해 공기 건조기를 통하여 압력 매체 저장소로부터 대기로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계속해서 가능하게 한다.
청구항 제 10 항에 명시된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르면, 흡입 라인이 대기를 향하여 막혀있는 비복귀 밸브를 통하여 압축기 입구에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예컨대 차량의 장기간의 정지 기간 이후 바람직한, 공기 스프링의 신속하고, 직접적인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과 연관된다. 공기 스프링의 이러한 신속한 충전이 단지 습한 공기에 의해서만 가능하더라도, 이러한 습한 공기는 그 이후에 적절한 건조 사이클에 의해 건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습한 공기는 시스템에 남아있지 않는다.
청구항 제 11 항에 명시된 본 발명의 다른 개발에 따르면, 압력 매체 저장소와 압축기 사이, 그리고 대기에 연결 가능한 압력 매체 라인과 압축기 사이의 방향성 밸브는 대기로부터의 공기의 흡인 (aspiration) 이 압축기의 입구에 비복귀 밸브를 통하여 연결되는 흡입 라인을 통하여서만 일어날 수 있고, 대기로의 압축된 공기의 배출은 상기를 통하여 공기 건조기의 출구로부터 방향성 밸브로, 그리고 이로부터 배출 라인을 통하여 다른 방향성 밸브를 통하여 일어날 수 있는 방식으로 스위치된다.
청구항 제 11 항에 따른 본 발명의 개발의 이점은 압축기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가 그 후 항상 공기 건조기를 통하여 배향되고, 배출 라인을 통하여 대기에 배출되는 공기는 또한 공기 건조기를 통하여 배향되어, 공기 건조기는 이에 의해 재생된다는 것이다.
청구항 제 12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은 압력 매체 저장소와 압축기 사이의 방향성 밸브, 그리고 배출 라인과 압축기 사이의 방향성 밸브가 3/2-방 밸브의 형태이고, 배출 라인의 그리고 압력 매체 챔버로의 방향성 밸브는 2/2-방 밸브의 형태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제 12 항에 따른 이러한 개발의 이점은 본 발명의 탑승 제어 시스템은 단지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의 방향성 밸브 및 비복귀 밸브를 요구하고, 이는 설치 공간을 줄이고 제조 비용을 낮춘다는 것이다.
청구항 제 13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은 압력 매체 챔버로의 압력 매체 라인의 방향으로 막혀있는 비복귀 밸브를 갖는 압력 매체 라인, 압력 매체 챔버로의 압력 매체 라인과 공기 건조기 입구 사이에 스로틀을 가지며 상기 압력 매체 라인에 나란한 압력 매체 라인, 그리고 다른 비복귀 밸브는 공기 건조기 출구로의 그리고 스로틀로의 그리고 비복귀 밸브로의 압력 매체 라인의 연결부 사이의 압력 매체 라인에 구성된다는 것이다.
청구항 제 13 항에 따른 개발의 이점은 압축기를 우회하고 공기 건조기를 통과하는 압력 매체 저장소와 압력 매체 챔버 사이의 압력 매체 흐름이 가능하여, 압력 매체 챔버로의 압력 매체 라인에 재생 동안 남아있는 습한 공기의 대부분은 건조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낸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이하에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의 공압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건조 상태 동안 공기 건조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은 재생 상태 동안 공기 건조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는 압력 매체 챔버로부터 압력 매체 저장소로의 추가적인 압력 매체 경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의 공압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1 은 보통 압축된 공기에 의해 작동되고 공기 스프링 (6a ~ 6d) 의 형태의 압력 매체 챔버, 압축기 (8), 공기 건조기 (10) 및 압력 매체 저장소 (12) 를 포함하는 탑승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인 도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압력 매체 저장소 (12) 는 제 1 3/2-방 밸브 (2a) 와 비복귀 밸브 (31) 를 지나는 제 1 압력 매체 라인 (1) 을 통하여 압축기 입구 (14) 에 연결되고, 또한 비복귀 밸브 (18) 와 공기 건조기 (10) 가 구성되는 제 4 압력 매체 라인 (4) 과 제어 가능한 3/2-방 밸브 (2a) 를 통하여 압축기 출구 (16) 에 연결된다. 비복귀 밸브 (18) 는 압력 매체 저장소 (12) 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스로틀 (22) 과 비복귀 밸브 (19) 를 통하여 압축기 출구 (16) 와 공기 건조기 출구 (40) 사이의 연결부로 유도하는 압력 매체 라인 (20) 이 비복귀 밸브 (18) 의 하류에서 분기된다. 비복귀 밸브 (19) 는 압축기 출구 (16) 와 공기 건조기 출구 (40) 사이의 연결부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공기 건조기 출구 (40) 는 제 1 압력 매체 라인 (1) 과 제 3 압력 매체 라인 (3) 이 서로 모이게 되고 이로부터 압축기 입구 (14) 로의 연결이 존재하는 지점 (29) 에서 제 3 압력 매체 라인 (3) 과 비복귀 밸브 (33) 를 통하여 연결되는 다른 3/2-방 밸브 (4a) 에 제 2 압력 매체 라인 (2) 을 통하여 연결된다.
비복귀 밸브 (31 및 33) 는 압축기 입구 (14) 그리고 지점 (29) 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3/2-방 밸브 (4a) 는 또한 분기부 (38a ~ 38d) 및 2/2-방 밸브 (26a ~ 26d) 를 통하여 공기 스프링 (6a ~ 6d) 에 연결 가능한 압력 매체 라인 (34) 에 연결된다. 공기가 선택적으로 대기로부터 흡인 및 대기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2/2-방 밸브 (30) 가 구성되는 압력 매체 라인 (32) 이 지점 (36) 으로부터 분기한다.
또한, 압력 센서 (42) 가 압력 매체 라인 (34) 에 연결된다. 공기 필터 (7) 및 압축기 입구 (14) 를 향하여 개방되는 비복귀 밸브 (35) 가 구성되는 흡입 라인 (5) 이 또한 압축기 입구 (14) 로 유도한다.
예컨대 차량의 장기간의 정지 기간 이후 대기로부터의 공기로 압력 매체 저장소 (12) 및/또는 공기 스프링 (6a ~ 6d) 을 신속하게 충전하는 것은 압축기 (8) 가 스위치 온 되고, 3/2-방 밸브 (2a 및 4a) 가 압력 매체 저장소 (12) 및/또는 압력 매체 라인 (34) 의 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해 스위치되고, 3/2-방 밸브 (26a ~ 26d) 가 동시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압축기 (8) 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먼저 공기 건조기 (10) 를 통과하고 단지 그 후 라인 (2 및 4) 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탑승 제어 시스템은 단지 건조된 공기로만 충전된다.
압축된 공기가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 (6a ~ 6d) 으로부터 압력 매체 저장소 (12) 로 운반된다면, 하나 이상의 2/2-방 밸브 (26a ~ 26d) 가 개방되고, 3/2-방 밸브 (2a) 는 압력 매체 라인 (4) 으로부터 압력 매체 저장소 (12) 로 전송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되고, 압축기 (8) 는 작동으로 설정되어,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 (6a ~ 6d) 으로부터의 압축된 공기는 라인 (34), 3/2-방 밸브 (4a) 및 비복귀 밸브 (33) 를 통하여 압축기 (8) 에 도달하고, 이로부터 공기 건조기 (10) 와 비복귀 밸브 (18) 를 통하여 압력 매체 저장소 (12) 로 운반된다.
역으로, 압축된 공기가 압력 매체 저장소 (12) 로부터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 (6a ~ 6d) 으로 운반된다면, 3/2-방 밸브 (2a) 는 도시된 위치를 유지하고, 3/2-방 밸브 (4a) 는 압력 매체 라인 (2) 이 압력 매체 라인 (34) 에 연결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압축된 공기는 압축기 (8) 에 의해 압력 매체 저장소 (12) 로부터 공기 건조기 (10), 압력 매체 라인 (2), 및 3/2-방 밸브 (4a) 를 통하여, 2/2-방 밸브 (26a ~ 26d) 의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의 공기 스프링 (6a ~ 6d) 에 운반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된 공기가 공기 스프링 (6a ~ 6d) 으로부터 압력 매체 저장소 (12) 로 운반되고, 반대로 압력 매체 저장소 (12) 로부터 공기 스프링 (6a ~ 6d) 으로 운반될 때 모두, 압축기 입구 (14) 와 비복귀 밸브 (31, 33, 35) 사이의 라인 구역의 잔여 습기는 공기 건조기 (10) 를 통하여 운반되어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된다.
공기 건조기 (10) 를 재생시키기 위해, 3/2-방 밸브 (2a) 는 압력 매체 저장소 (2) 로부터 압력 매체 라인 (4) 으로 전송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3/2-방 밸브 (4a) 는 압력 매체 라인 (2) 으로부터 압력 매체 라인 (34) 으로 전송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2/2-방 밸브 (30) 는 배출 라인 (32) 을 향하여 개방된다. 압력 매체 저장소 (12) 로부터의 압축된 공기는 그 후 압력 매체 라인 (4), 압력 매체 라인 (20), 스로틀 (22), 및 비복귀 밸브 (19) 를 통하여 압력기 출구 (16) 와 공기 건조기 입구 (39) 사이의 연결부로 흐르고 공기 건조기 (10), 압력 매체 라인 (2), 3/2-방 밸브 (4a), 압력 매체 라인 (34) 및 2/2-방 밸브 (30) 를 통하여 그리고 배출 라인 (32) 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흐른다.
스로틀 효과의 결과로서 압축된 공기의 압력 감소를 통하여, 공기 건조기 (10) 에 위치된 건조기 과립화 (granulate) 의 개선된 재생 효과가 달성되고, 즉 압축된 공기의 비교적 작은 소비에 의해 비교적 높은 건조 효과가 얻어진다.
비복귀 밸브 (46) 가 구성되는, 외부 연결을 위한 라인 (44) 이 공기 건조기 출구 (40) 와 비복귀 밸브 (18)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압축기 (8), 비복귀 밸브 (18 및 19) 및 스로틀 (22) 이 통합되는 공기 건조기 (10) 의 컴팩트한 구조를 도 2 및 도 3 에서 볼 수 있다.
도 2 에 따르면, 압축기 (8) 는 압축된 공기가 건조기 베드 (11) 에 도달하고 건조되는 공기 건조기 입구 (39) 에 직접 전달된다. 공기 건조기 출구 (40) 로부터, 건조된 압축된 공기는 압력 매체 라인 (2) 및/또는 압력 매체 라인 (4) 에 도달하고, 건조된 공기는 압력 매체 라인 (4) 에 들어가기 전에 개방된 비복귀 밸브 (18) 를 통하여 흐른다.
건조기 베드 (11) 를 향한 개구 (48) 를 갖는 튜브의 형태로 나타내어진 돔 (47) 이 건조기 베드 (11) 에 구성되고 비복귀 밸브 (19), 압력 매체 라인 (20) 및 스로틀 (22) 을 통하여 압력 매체 라인 (4) 에 연결된다.
도 3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된 공기가 압력 매체 저장소 (12) 로부터 압력 매체 라인 (4) 을 통하여 공기 건조기 (10) 로 배향된다면, 이 압축된 공기는 압력 매체 라인 (20), 스로틀 (22) 그리고 비복귀 밸브 (19) 를 통하여 돔 (47) 에 도달하고, 이로부터 개구 (48) 를 통하여 건조기 베드 (11) 안으로 지나가고, 이로부터 공기 건조기 출구 (40) 를 통하여 압력 매체 라인 (2) 에 도달하고, 이로부터 외부에 도달한다. 개구 (48) 를 갖는 돔 (47) 의 특별한 구성을 통하여, 건조기 베드 (11) 를 재생하기 위한 압축된 공기는 정상 흐름 방향에 횡단적으로 건조기 베드 (11) 안으로 지나가고, 이에 의해 재생 공정의 효과는 증가된다.
도 2 및 도 3 으로부터 도 1 에 별개로 나타낸 요소, 즉 압축기 (8), 공기 건조기 (10), 비복귀 밸브 (18 및 19), 압력 매체 라인 (20) 및 스로틀 (22) 은 간단하고 저비용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공간 절약 구조적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조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 에 나타낸 변경에 따르면, 단지 스로틀 (22) 이 압력 매체 라인 (20) 에 구성되고, 라인 (20) 은 건조기 출구 (40) 안으로 개방된다. 공기 건조기 입구 (39) 와 압력 매체 라인 (2) 사이에 스로틀 (52) 을 갖는 압력 매체 라인 (51) 과 나란하고, 압력 매체 라인 (2) 의 방향으로 막고 있는 비복귀 밸브 (50) 를 갖는 압력 매체 라인 (49), 그리고 게다가 압력 매체 라인 (49 및 51) 의 연결부의 상류에 압력 매체 라인 (2) 과 공기 건조기 출구 (40) 사이에 비복귀 밸브 (53) 가 구성된다. 따라서, 압력 매체 저장소 (12) 의 압력이 압력 매체 챔버 (6a ~ 6d) 보다 더 낮을 때, 압력 매체 챔버 (6a ~ 6d) 와 압력 매체 저장소 (12) 사이의 압력 균등화, 그리고 압축된 공기의 건조를 초래하기 위해, 압력 매체 챔버 (6a ~ 6ed) 로부터 압력 매체 저장소 (10) 로의 직접 연결을 수립하고, 흐름은 압축기 (8) 를 우회하지만 공기 건조기 (10) 를 통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 : 제 1 압력 매체 라인 2 : 제 2 압력 매체 라인
3 : 제 3 압력 매체 라인 4 : 제 4 압력 매체 라인
2a : 3/2-방 밸브 4a : 2/2-방 밸브
5 : 흡입 라인 6a ~ 6d : 압력 매체 챔버, 공기 스프링
7 : 흡기 필터 8 : 압축기
10 : 공기 건조기 11 : 건조기 베드
12 : 압축된 공기 저장소 14 : 압축기 입구
16 : 압축기 출구 18 : 비복귀 밸브
19 : 비복귀 밸브 20 : 압력 매체 라인
22 : 스로틀 26a ~ 26d : 2/2-방 밸브
29 : 지점 30 : 2/2-방 밸브
31 : 비복귀 밸브 32 : 압력 매체 라인
33 : 비복귀 밸브 34 : 압력 매체 라인
35 : 비복귀 밸브 36 : 지점
38a ~ 38d : 분기부 39 : 공기 건조기 입구
40 : 공기 건조기 출구 42 : 압력 센서
44 : 외부 연결을 위한 압력 매체 라인
46 : 비복귀 밸브 47 : 돔
48 : 개구 49 : 압력 매체 라인
50 : 비복귀 밸브 51 : 나란한 압력 매체 라인
52 : 스로틀 53 : 비복귀 밸브

Claims (13)

  1. 차량 본체가 적어도 하나의 차량 축에 대하여 매달려 있게 되는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으로서, 이하의 구성 요소 :
    - 분기부 (38a ~ 38d) 를 통하여 압력 매체 라인 (34) 에 연결되는 압력 매체 챔버 (6a ~ 6d),
    - 압축기 (8),
    - 압력 매체 라인 (4) 에 구성되는 공기 건조기 (10),
    - 압력 매체 저장소 (12) 로서,
    - 압력 매체가 압력 매체 저장소 (12) 로부터 압축기 (8) 를 통하여 각각의 압력 매체 챔버 (6a ~ 6d) 안으로 전달될 수 있고, 압축기 입구 (14) 는 그 후 방향성 밸브 (2a) 에 의해 관통 연결되는 압력 매체 라인 (1) 을 통하여 압력 매체 저장소 (12) 에 연결되고, 압축기 출구 (16) 는 그 후 방향성 밸브 (4a) 에 의해 관통 연결되는 압력 매체 라인 (2) 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압력 매체 챔버 (6a ~ 6d) 에 연결되고,
    - 압력 매체가 각각의 압력 매체 챔버 (6a ~ 6d) 로부터 압축기 (8) 를 통하여 압력 매체 저장소 (12) 에 전달될 수 있고, 압축기 입구 (14) 는 그 후 방향성 밸브 (4a) 에 의해 관통 연결되는 압력 매체 라인 (3) 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압력 매체 챔버 (6a ~ 6d) 에 연결되고, 압축기 출구 (16) 는 그 후 방향성 밸브 (2a) 에 의해 관통 연결되는 압력 매체 라인 (4) 을 통하여 압력 매체 저장소 (12) 에 연결되고,
    - 압력 매체 라인 (32) 이 대기에 연결 가능하고 방향성 밸브 (30), 방향성 밸브 (4a) 및 압력 매체 라인 (3) 을 통하여 압축기 입구 (14) 에 연결 가능하고, 방향성 밸브 (4a), 압력 매체 라인 (2) 및 방향성 밸브 (2a) 를 통하여 압력 매체 저장소 (12) 에 연결 가능한 방식으로 압축기 (8) 를 통하여 압력 매체 챔버 (6a ~ 6d) 에 연결되는 압력 매체 저장소를 포함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비복귀 밸브 (18) 가 공기 건조기 (10) 의 출구 (40) 를 압력 매체 저장소 (12) 에 연결하기 위해 방향성 밸브 (2a) 와 공기 건조기 (10) 의 출구 (40) 사이에 압력 매체 라인 (4) 에 구성되고, 이 압력 매체 라인 (2) 은 비복귀 밸브 (18) 의 상류와 공기 건조기 (10) 의 출구 (40) 에서 압력 매체 라인 (4) 으로부터 분기되고, 비복귀 밸브 (19) 및/또는 스로틀 (22) 은 압력 매체 라인 (20) 에 구성되고, 이 압력 매체 라인 (20) 은 비복귀 밸브 (18) 와 방향성 밸브 (2a) 사이의 지점 (41) 에서 압력 매체 라인 (4) 으로부터 분기되고 공기 건조기 (10) 에서 개방되며, 비복귀 밸브 (19) 는 공기 건조기 (10) 로부터 압력 매체 라인 (4) 으로의 연결부로의 방향으로 막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지 스로틀 (22) 만이 라인 (20) 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매체 라인 (20) 은 공기 건조기 (10) 의 입구 (39)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매체 라인 (20) 은 공기 건조기 (10) 의 건조기 베드 (11)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매체 라인 (20) 으로부터의 압축된 공기는 공기 건조기 (10) 의 건조 흐름 방향에 횡단적으로 공기 건조기 (10) 의 건조기 베드 (11) 안으로 배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건조기 (10) 는 건조기 베드 (11) 안으로 돌출하고 압축된 공기 라인 (20) 에 연결되는 돔 (47) 을 갖고, 이 돔 (47) 은 건조기 베드 (11) 로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 (48)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복귀 밸브 (19) 는 돔 (47) 으로의 입구의 상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22) 은 돔 (47) 으로의 입구의 상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매체 라인 (1 및 3) 은 압축기 입구 (14) 의 상류의 지점 (29) 에서 서로 모이고, 방향성 밸브 (2a) 의 방향으로 막고 있는 비복귀 밸브 (31) 는 라인 (1) 에 구성되고, 방향성 밸브 (4a) 의 방향으로 막고 있는 비복귀 밸브 (33) 는 라인 (3) 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라인 (5) 이 대기를 향하여 막고 있는 비복귀 밸브 (35) 를 통하여 지점 (29)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밸브 (2a, 4a, 30) 는 대기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이 단지 흡입 라인 (5) 을 통하여서만 일어나고 대기로의 압축된 공기의 배출은 단지 압력 매체 라인 (32) 을 통하여서만 일어나는 방식으로 스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밸브 (2a, 4a) 는 3/2-방 밸브의 형태이고 방향성 밸브 (26a ~ 26d 및 30) 는 2/2-방 밸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로틀 (52) 을 갖는 압력 매체 라인 (51) 에 나란하고, 압력 매체 라인 (2) 의 방향으로 막고 있는 비복귀 밸브 (50) 를 갖는 압력 매체 라인 (49), 그리고 다른 비복귀 밸브 (53) 는 그 안에 위치되는 압력 매체 라인 (49, 51) 의 연결부와 공기 건조기 출구 (40) 사이의 압력 매체 라인 (2) 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KR1020117021321A 2009-02-12 2009-12-01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KR20110126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03472A DE102009003472A1 (de) 2009-02-12 2009-02-12 Geschlossene Niveauregelanlage für Fahrzeuge
DE102009003472.2 2009-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145A true KR20110126145A (ko) 2011-11-22

Family

ID=4162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321A KR20110126145A (ko) 2009-02-12 2009-12-01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48951B2 (ko)
EP (1) EP2396184B1 (ko)
KR (1) KR20110126145A (ko)
CN (1) CN102317095A (ko)
DE (1) DE102009003472A1 (ko)
WO (1) WO2010091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3472A1 (de) * 2009-02-12 2010-08-19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Geschlossene Niveauregelanlage für Fahrzeuge
DE102011083614A1 (de) 2011-03-01 2012-09-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rocknerschaltung für eine pneumatische Regelvorrichtung eines Fahrzeugs
DE102012200412B4 (de) 2012-01-12 2020-10-2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Optimierung einer Befüllung eines geschlossenen Luftversorgungssystems einer geschlossenen Niveauregelanlage
DE102012001736A1 (de) * 2012-01-31 2013-08-0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bzw. eines pneumatischen Systems
KR20140030747A (ko) * 2012-09-03 2014-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고조정장치
CN103640448B (zh) * 2013-12-03 2016-02-03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油气悬挂控制系统、油缸调平方法和工程车辆
DE102014208320A1 (de) * 2014-05-05 2015-1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ktives Dämpfersystem für ein Fahrzeug
DE102014010956B4 (de) * 2014-06-25 2023-06-15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GB2540415B (en) * 2015-07-17 2019-11-13 Jaguar Land Rover Ltd Central tyre inflation system and method
CN107215164B (zh) * 2016-03-22 2020-06-2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高控制系统
US10967697B2 (en) * 2016-03-29 2021-04-0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Air suspension system
DE102016003662B4 (de) * 2016-03-30 2023-06-22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DE102017004338A1 (de) * 2017-05-05 2018-11-08 Wabco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regelanlage in einem Fahrzeug sowie Druckregelanlage
DE102019201444B4 (de) * 2019-02-05 2021-09-0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uftfederungsanlage und eine Luftfederungsanlage
US11135888B2 (en) 2019-02-26 2021-10-05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Closed integrated air management module
US11787255B2 (en) * 2021-09-20 2023-10-17 Caterpillar Inc. Suspension system with individual ride height and dampening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895A (en) * 1987-06-09 1989-08-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fluid suspension circuit with equalized supply and discharge speeds
DE19724747C1 (de) * 1997-06-12 1998-06-25 Continental Ag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Luftfedern
DE19902049C2 (de) * 1999-01-20 2000-11-09 Continental Ag Niveauregel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016970C1 (de) * 2000-04-06 2001-07-26 Continental Ag Niveauregelanlage mit einem Druckluftspeicher und einem Reifenfüllanschluss
EP1243447B1 (de) 2001-03-24 2005-12-21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Geschlossene Niveauregelanlage für Fahrzeuge
DE10223405B4 (de) * 2002-05-25 2007-01-11 Daimlerchrysler Ag Luftfed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31251C1 (de) 2002-07-11 2003-08-14 Continental Ag Geschlossene Niveauregelanlage mit zwei Druckspeichern für Fahrzeuge
DE10240357B4 (de) 2002-09-02 2016-10-06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für ein Fahrzeug
DE10240359A1 (de) * 2002-09-02 2004-03-11 Wabco Gmbh & Co. Ohg Luftfederungsanlage für ein Fahrzeug
DE10333610B4 (de) * 2003-07-24 2005-09-15 Haldex Brake Products Gmbh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Druckluftanlagen
DE102004025340A1 (de) * 2004-05-19 2005-12-15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Luftmengenregelung in einer geschlossenen Luftversorgungsanlage für ein Fahrwerk
DE102004056883A1 (de) * 2004-11-25 2006-06-01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Luftversorgungsanlage für eine luftbetriebene Arbeitseinrichtung
JP4793577B2 (ja) * 2006-11-10 2011-10-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US7957865B2 (en) * 2007-03-12 2011-06-07 Driveright Holdings, Ltd. Vehicle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DE102009003472A1 (de) * 2009-02-12 2010-08-19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Geschlossene Niveauregelanlage für 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48951B2 (en) 2013-05-28
EP2396184B1 (de) 2013-10-23
US20110316248A1 (en) 2011-12-29
EP2396184A1 (de) 2011-12-21
DE102009003472A1 (de) 2010-08-19
WO2010091751A1 (de) 2010-08-19
CN102317095A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6145A (ko) 차량용 폐쇄 탑승 제어 시스템
US7862061B2 (en) Air suspension system
CN103502028B (zh) 用于车辆的气动调节装置的干燥器线路
CN102307648B (zh) 用于控制车辆的封闭式行驶高度调节系统中的空气干燥器的再生循环的方法
JP2010254295A5 (ko)
US20180079273A1 (en) Air suspension system
US10875376B2 (en) Air suspension system
KR102033811B1 (ko) 압축 공기 처리 장치 및 압축 공기 처리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472771B1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KR20140000698A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시스템
RU26071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сушки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8883684B (zh) 气动系统、压缩空气供应设备、其和/或气动设备运行的方法和其控制和/或调控装置
US20200079169A1 (en) Suspension system
CN108883682B (zh) 空气悬架系统
KR20160050030A (ko) 2-챔버 에어 드라이어의 재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206992A (zh) 用于给商用车供给压缩空气的设备和方法
US9346334B2 (en) Air supply device for a vehicle having pneumatic devices
CN201200857Y (zh) 一种汽车干燥器总成
JP2015054643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7670471A (zh) 汽车电控空气干燥器
CN111661024B (zh) 辅助气路干燥装置及制动系统
KR101301752B1 (ko)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JPH0214715A (ja) 圧縮空気圧力源装置
CN214416014U (zh) 一种新型模组式吸干机
CN217287846U (zh) 用于电动压缩机的空气干燥装置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