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98A - 에어 서스펜션 장치,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 서스펜션 장치,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98A
KR20140000698A KR1020137012923A KR20137012923A KR20140000698A KR 20140000698 A KR20140000698 A KR 20140000698A KR 1020137012923 A KR1020137012923 A KR 1020137012923A KR 20137012923 A KR20137012923 A KR 20137012923A KR 20140000698 A KR20140000698 A KR 20140000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compressed air
line
valve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201B1 (ko
Inventor
디어터 프랑크
프랑크 메이스너
우에 스타베나우
Original Assignee
바브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브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브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0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1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the spring having a flexib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7Off-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60G2500/2012Ope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 B60G2500/2021Arrangement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4Pressure regulating valves for air-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4Pressure regulating valves for air-springs
    • B60G2500/2042Air fi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4Pressure regulating valves for air-springs
    • B60G2500/2044Air exhaus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 B60G2600/26Electromagnets;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을 위한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형태인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에 관한 것으로, 암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을 통한 운영을 위해 제공되며,
- 갤러리 라인(95)의 형태인 수집 라인;
- 상기 갤러리 라인(95)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압력 챔버를 구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스프링,
- 상기 갤러리 라인(95)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압축 공기를 위한 저장소(92),
-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에 대한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의 공압적 연결을 위한 압축 공기 연결(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따라서 공압 연결은
- 제 1, 제 2 및 제 3 포트(X, Y, Z)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로 구성된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를 포함하고,
- 상기 저장소(92)는 상기 제 1 포트(X)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 상기 압축 공기 연결(2)은 상기 제 2 포트(Y)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며, 및
- 상기 제 2 포트(Y)는 상기 공압 연결이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닫히는 닫힌 상태로 스위칭 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서스펜션 장치,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시스템{Air Suspension Installation,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and Pneumatic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른 공압 장치를 갖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및 청구항 14항의 전제부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5항의 전제부에 따른 이러한 에어 서스펜션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갖는 공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모든 타입의 차량에 사용되고, 특히 압축 공기로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에어 서스펜션 장치들은 차량의 차축(axle)과 차량 몸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는 레벨 컨트롤 장치들을 포함한다. 앞에서 언급한 공압 시스템의 에어 서스펜션 장치는 공통 라인(갤리리)에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필링(filling)을 증가시켜 차량 몸체를 들어올릴 수 있고, 상응하게 필링을 감소시켜 몸체를 낮출 수 있는 다수의 에어 벨로우즈(air bellows)를 포함한다. 차량의 차축과 차량 몸체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 또는 최저 지상고(ground clearance)를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스프링 트래블들(spring travels)은 더 길어지고, 차량 몸체와 이러한 유발된 접촉없이 더 큰 그라운드 불균일(ground unevenness)이 극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시스템들은 오프 로드 차량이나 스포츠 목적 차량(SUV)에서 점차 더 사용되고 있다. 특히, SUV에서, 매우 강한 엔진의 경우 차량에 한편으로는 도로 상에서 고속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최저 지상고를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오프 로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최저 지상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능한 가장 빨리 최저 지상고의 변화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속도, 유연성 및 신뢰성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킨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장기간 운영을 보증하기 위해, 메인 공압 라인(main pneumatic line)은 압축 공기가 건조되는 공기 건조기(air dryer)를 포함한다. 공압 시스템 내에서 습기의 수집은 따라서 방지된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습기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장치에서 밸브-데미징 격자 형상(valve-damaging crystal formation) 및 다른 원치 않는 효과들을 유도한다. 공기 건조기는 일반적으로 펠릿 베드(bed of pellets)인 건조 수단을 포함하고, 압축 공기가 통과하여 흐를 수 있어서 펠릿 베드는 흡수에 의해 압축 공기 내에 포함된 습기를 받아들일 수 있다. 가능하다면, 공기 건조기는 재생 공기 건조기로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에어 서스펜션 장치에서 펠릿 베드가 필링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반대 흐름 또는 직접적인 흐름에서 각 통기 사이클에 대해 공압 장치로부터 건조된 압축된 공기의 통류를 이송하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공기 건조기의 재생은 공기 건조기에서 압력 변화에 의해 필수적으로 가능하게 되며, 재생 동안의 압력은 흔히 그래뉼레이트(granulate)로부터 습기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흡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통기 밸브 조립체는 개방되어, 공기 건조기의 재생 수용력은 종종 압축 공기 장치 내에서 압력 조건 및 압력 변화에 의존한다. 또한, 압축 공기 장치를 유연한 동시에 신뢰성있게 설계하기 위해 소위 압력 변화 흡수(pressure change absorption)와 같은 것이 바람직한 것이 입증되었다. 특히, 한편으로 상대적으로 급격한 배기가 가능하고, 아직 충분하게 낮은 공기 압력이 공기 건조기의 재생을 위해 사용가능하다.
차량을 위한 에어 필터를 구비하는 레벨 컨트롤 장치는 본 출원인의 DE 35 429 74 A1으로부터 알려져 있고, 공기 스프링을 채우거나 비움으로써 조절될 수 있는 차량 차축으로부터 차량 셀(cell)의 특정한 거리를 통해 차량의 부하에 의존한다. 장치는 공기 스프링에서 압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안전 밸브를 갖는다. 공기 건조기의 재생은 초크와 필링 방향에 대해 개방된 역류 방지 밸브의 수단에 의해 이러한 장치에 가능하다.
DE 199 11 933 B4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 라인과 함께 공기 건조기를 갖되, 압축 공기는 공기 건조기의 건조 수단을 관통하여 지나가고, 건조 수단을 통과한 압축 공기 없이 통류를 수행할 수 있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 라인을 갖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선행기술로부터 다양한 접근들이 앞서 설명한 압축 공기 피드(feed)와 앞서 설명한 공압 장치의 사이에 공압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알려져 있다. 이것들은 공압 장치의 가압과 공압 장치의 배기 동안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기본적인 기능들을 고려한다. 앞서 설명한 공기 건조기의 재생을 위한 상대적으로 빠른 배기이지만 충분히 낮은 공기 압력의 요구에 관해, 이것들은 그러나 여전히 개선을 필요로 한다.
DE 102 23 405 B4는 공기 스프링과 배기 라인(이를 통해 압력 라인이 대기에 연결될 수 있음)에 컴프레셔를 연결하기 위한 압력 라인을 갖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갖는 자동차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개시하고, 상기 연결은 스위칭 밸브의 수단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공압 병렬 회로의 형태에서 압력 라인의 영역은 드라이어와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갤러리의 레벨 컨트롤 밸브의 사이에 구비되고, 역류 방지 밸브에 병렬로 형성되고 다른 스위칭 밸브에 병렬로 형성된 초크를 포함한다. 배기 라인에서 스위칭 밸브와 압력 라인의 영역에서 스위칭 밸브는 전기적 제어 라인을 통해 컨트롤러의 동일한 마지막 단계에 연결된다.
DE 101 21 582 C2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위한 공기 공급 유닛을 개시하고, 배기 라인에 배기 밸브가 구비되고,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갤러리에 에어 서스펜션 밸브가 구비되고, 공기 제어 밸브가 구비된다. 3개의 모든 밸브는 전자 제어 유닛에 연결된다. 건조기와 스프링 밸브 사이의 공압적 병렬 회로의 형태에서 압력 라인의 영역에서, 공기 제어 밸브는 역류 방지 밸브에 병렬로 연결되어, 공기가 장애물없이 에어 서스펜션 장치로 인가될 수 있고, 반면 단지 공기 제어 밸브의 제어하에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3개의 모든 앞서 설명한 밸브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로부터 압축 공기를 발산하기 위해 개방된다.
US 6,098,697은 앞서 설명한 타입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개시하고, 2개의 병렬 연결된 브랜치(branch) 라인과 공압적 병렬 회로의 형태의 영역이 공기 건조기와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사이에 메인 공압 라인에 형성되고, 공기를 공급하는데 흐름을 안내하는 역류 방지 밸브가 제 1 브랜치 라인에 연결되고, 배기를 위해 흐름을 안내하는 역류 방지 밸브가 초크 및 스위칭 밸브와 직렬로 제 2 브랜치 라인에 연결된다.
EP 1 216 860 B1은 공기 스프링과 컨트롤러를 갖는 자동차를 위한 레벨 컨트롤 장치를 개시하고, 차량 몸체의 레벨에 종속하여 필링(filling) 및 배출 기능을 제어하거나 규제한다. 그 중에서도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가능한 컨트롤 밸브와 저장소(reservoir)의 제어 가능한 컨트롤 밸브는 컨트롤러에 연결된다. 제어 가능하고, 연속적으로 초크되는 개방된 상태에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컨트롤 밸브는 역류 방지 밸브로 병렬 연결로 배열된다.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대한 상대적으로 복잡하거나 부품이 집중되는 여전히 개선이 가능한 연결은 모든 앞서 설명한 공기 공급 장치와 같은 문제가 있다. 메인 공압 라인에서 병렬 회로의 형태에서 빈번한 앞서 설명한 영역으로 인해, 이것은 적어도 예를 들면, 역류 방지 밸브의 배압(back pressure)에 반대로 개방되는 바이패스 라인에서 개방된다.
EP 1 243 447 A2는 도 9a에서 갤러리 라인에 대응하는 다수의 벨로우즈(bellows)에 연결되고, 각각은 공기 스프링에 대해 압력 챔버로 동작하는 레벨 컨트롤 장치와 제 1 2/2-웨이 밸브와 제 2 2/2-웨이 밸브의 직렬 배열에 의해 형성된 공압 장치의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isolating valve assembly)를 개시한다. 제 2 제어 밸브는 제 1 제어 가능한 제어 밸브와 공기 스프링의 사이에 압축 공기 라인에 형성된다. 갤러리 라인은 제 2 제어 가능한 제어 밸브에 연결된다. 공압 장치는 격리 밸브 조립체를 통해 제 1 제어 밸브에 연결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필링되거나 배기될 수 있다. 압축 공기 저장소는 분리된 제어 밸브와 분리된 공압 라인을 통해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연결된다.
EP 1 380 453 B1은 그것에 의해 차량 몸체가 작어도 하나의 차량 차축에 대해 상대적으로 탄성변형(sprung)되는 차량을 위한 유사한 닫힌 레벨 컨트롤 장치를 개시한다. 공압 장치는 싱글 2/2-웨이 밸브에 연결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필링되고 배기될 수 있다. 이것으로 인해 압축 공기 저장소는 분리된 제어 밸브 및 분리된 공압 라인을 통해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연결된다. 압축 공기 저장소는 4/4-웨이 밸브 또는 2개의 2/2-웨이 밸브에 의해 에어 서스펜션 장치로부터 별도로 압축 공기 공급 장치로부터 독립한다.
상기 공압 시스템은 필수적으로 폐쇄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대해 공압 장치의 상대적으로 복잡한 연결과 함께 더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에 비해 개선된 공압 장치의 동작을 위해 공압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은 특히 신뢰성있고 거기에다 유연하고, 가능한 빠른 동작을 갖는다. 특히, 공압 장치와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이고, 거기에다 매우 유리한 건조기 재생과 함께 상대적으로 빠른 배기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공압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음향적인 특징들은 개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사하게 공압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와 함께 유리하게 설계된 공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압 장치와 관련하여, 상기 목적은 앞서 설명한 타입의 에어 서스펜션 장치와 함께 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4항에 따른 특징이 되는 부분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갖는 청구항 15항의 공압 시스템을 유도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공압 시스템 및 격리 밸브 조립체 및/또는 배기 밸브에 대한 연결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가는 차량 시스템 및/또는 차량을 유도한다. 특히, 공통의 또는 각각의 분리된 제어 라인은 격리 밸브 조립체 및/또는 배기 밸브에 제공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앞서 설명된 에어 서스펜션 장치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20 bar의 압력 레벨의 정도에서 공압 장치와 함께 공압 시스템에서 압축 공기와 함께 동작된다. 압축 공기는 압축 공기 피드(feed)로부터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공급된다. 압축 공기는 공기 피드와 압축 공기 공급 연결의 사이에 형성된 에어 컴프레셔에 의해 특히 압축 공기 피드를 위해 생성될 수 있다. 압축 공기 피드는 공압 장치를 공급하기 위해 공압 장치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에 대해 제 1 공압 연결을 통해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공압 연결은 유리하게 메인 공압 라인을 포함한다. 게다가, 앞서 설명한 타입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메인 공압 라인 및 주위에 대한 배기 연결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된 제어 가능한 배기 밸브와 함께 제 2 공압 연결, 유리하게 배기 라인을 포함한다. 압축 공기 피드는 따라서 주위에 대한 배기 연결에 대해 그 중에서도 제어 가능한 배기 밸브를 통해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가능한 배기 밸브에 의해,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배기 연결에 대해 배기될 수 있고, 특히 공압 장치를 또한 배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주위에 대해 직접적으로 배기되고 압축 공기 공급 연결을 통해 주위로부터 직접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유리하게 소위 개방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이다. 제 1 및 제 2 공압 연결은 공통 압축 공기 공급 연결에 대해 개별적으로 연결된 바람직한 연결이고, 제 1 및 제 2 공압 연결들은 바람직하게 메인 공압 라인 및 배기 라인의 형태에서 일렬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합쳐질 수 있고, 그것은 배기와 공압 장치의 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 공기 피드와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압축 공기 연결 사이의 공압 연결의 유리한 설계가 개선된 건조기 재생,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이 유연한 또는 잠재적으로 보다 빠른 배기 및/또는 공압 장치 또는 가압을 위한 기초를 원칙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 기반한다. 본 발명은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압축 공기 연결 및/또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메인 공압 라인은 공압 연결을 제시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설계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의 개발에 의해 기반한다.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닫힐 수 있는 공압 연결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에 형성된 형성된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가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장치의 사이에서 공압 연결에서 제공되는 것을 제공한다.
공압 장치는 격리 밸브 조립체를 통해 압축 공기 공급 장치로부터 필링되거거나 배기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유리하게 개방되고, 전체가 단순하게 설계되며, 폐쇄형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단점을 갖지 않으며, 특히 더 낮은 압력 레벨에서 동작되어 더 낮은 에너지 비용을 갖는다.
격리 밸브 및/또는 배기 밸브는 유리한 제어 밸브이다. 격리 밸브 조립체의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는 격리 모드에서 닫힌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고, 닫힌 상태에서 공압 연결은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격리, 예를 들어 닫힌다. 다시 말해서, 압축 공기 피드와 공압 장치 사이의 공압 연결은 공압적으로 타이트하게 닫힐 수 있거나,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공압적으로 타이트하게 닫힌다. 이것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와 공압 장치의 유리한 분리를 유도한다. 공압 연결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메인 공압 라인 및 공압 장치의 공압 라인 뿐만 아니라, 동일한 것을 연결하는 압축 공기 연결에 의해 유리하게 형성된다. 격리 밸브 조립체는 제 1 변형(variant)에서 압축 공기 장치의 메인 공압 라인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변형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는 공압 장치의 공압 라인에 형성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격리 밸브 조립체는 압축 공기 장치 또는 측정되어야 하는 공압 장치에 대한 제약없이 공압 연결에서 어떤 지점에도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 메인 공압 라인 또는 공압 라인은 공압 연결의 유일한 라인이다. 바람직하게, 격리 밸브 조립체는 공압 연결에서 유일한 밸브 조립체이다. 바람직하게, 격리 밸브 조립체는 이러한 메인 공압 라인 또는 싱글(single) 공압 연결로서의 공압 라인에서 직렬 배열로 제한된 수단으로 형성된다.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연결이 끊어질 수 있는 공압 연결로 인해, 공압 장치, 특히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위한 다양한 운영 상태를 유리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영향을 받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가 없음으로 인해, 특히 공기 건조기에 대한 잠재적으로 효과적이지 않은 영향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압축 공기 피드와 압축 공기 연결의 사이의 공압 연결을 제시하기 위해 메인 공압 라인 또는 싱글 라인으로서 공압 라인을 제공하는 것은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공기 연결에 대해 연결된 에어 서스펜션 장치에서 공압적으로 완전하고 양방향으로 닫힌 공압 연결을 위해 압력 측정은 저장소나 벨로우즈에서 유리하게 일어날 수 있다. 저장소 및/또는 벨로우즈의 교차 스위칭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 특히,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공기 건조기 없이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갤러리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개념은 개방 상태의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의 직렬 배열과 제한 수단이 공압 장치를 필링하고 공압 장치를 배기시키기 위해 최적화된 연결을 제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를 설정하는 가능성을 관류 모드에서 개방된 상태로 제공한다. 연결된 배열을 사용하여, 건조기 재생이 달성되고 유연하고 잠재적으로 급속하게 동작할 수 있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장치가 수행될 수 있다.
제한 수단 및 격리 밸브 조립체의 유리한 연결 배열로 인해 게다가 공압 연결, 특히 압축 공기 연결 및/또는 메인 공압 라인 및/또는 공압 라인은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유연하게 그리고 신뢰적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압 장치 또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를 위해, 제 1, 제 2 및 제 3 포트를 포함하는 격리 밸브 조립체가 구비되고, 압축 공기 저장소는 제 1 포트에 공압적으로 연결되며, 압축 공기 연결은 제 2 포트에 공압적으로 연결되며,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갤러리는 제 3 포트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공기 스프링의 압력 챔버는 유리하게 벨로우즈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청구된 것처럼 3개의 포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를 갖는 이러한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가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또는 공압 장치에서 유리하게 구비될 수 있고, 또는 공압 시스템에서 어떤 지점에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 공기 연결은 제 2 포트(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측부)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제 1 포트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압축 공기 저장소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고, 제 3 포트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갤러리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격리 밸브 조립체는 즉 저장소, 갤러리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위해 공압 시스템의 일 지점에서 모든 연결을 제공하고 스위칭한다. 이것은 EP 1 216 860 B1 또는 EP 1 243 447 A1 또는 EP 1 380 453 A1으로부터 알려진 앞서 설명한 시스템의 상당한 구조적인 간소화를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은 앞서 설명한 타입의 공압 시스템을 유도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를 갖는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가 적어도 3개의 포트와 함께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기서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압축 공기 저장소가 제 1 포트에 연결되고,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갤러리가 제 3 포트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 공기 연결, 예를 들어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에어 서스펜션 장치 사이의 공압 연결은 제 2 포트에 공압적으로연결된다. 제 2 포트의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압 연결은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닫힌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리 밸브 조립체가 적어도 3개의 스위치 위치를 갖도록 설계되고, 스위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의 제 2 포트는 닫힌 상태로 스위치될 수 있고, 건조기에 대한 공압 라인은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히 닫힐 수 있다.
양방향으로 완전히 닫히는 것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장치의 사이의 공압 연결이 제 2 포트의 닫힌 상태에서 공압적으로 타이트하게 닫힌 것이다. 필링되는 방향, 예를 들어 압축 공기 공급 장치로부터 공압 장치로 향하는 방향에서 공압 연결은 닫히고, 이것은 심지어 종래 기술에서 역류 방지 밸브를 개방시키는 더 높은 압력들에서의 케이스에서도 같음이 이해될 수 있다. 동시에 공압 연결은 배기 방향, 예를 들어 공압 장치로부터 압축 공기 공급 장치로 향하는 방향에서 공압적으로 타이트하게 닫힌다. 이러한 효과는 앞서 설명한 싱글 메인 공압 라인 및/또는 갤러리와 건조기 사이의 공압 라인과 함께 공압 연결의 형성에 의해 유리하게 달성된다. 특히, 제한 수단(restricting means)과 격리 밸브 조립체는 공압 연결에서 직렬 연결로 형성된다. 실제로, 격리 밸브의 단지 병렬 연결, 예를 들어 역류 방지 밸브 또는 제안 수단과의 병렬 연결만이 이전에 알려진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고, 따라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와 공압 장치 사이의 공압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 기본적으로 압축 공기 공급 장치로부터 공압 장치로 채우는 방향에서 예를 들어 역류 방지 밸브의 스위칭 압력을 극복함으로써 공압적으로 개방된다. 압축 공기 피드 및/또는 주변에 대한 배기 연결을 개방하는 것이 유리하다.
즉, 본 발명의 개념은 3개의 포트와 함께 제공된 격리 밸브 조립체와 함께 결합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장치 사이의 양방향적으로 그리고 공압적으로 완전하게 닫힐 수 이는 공압적 연결을 제안한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격리 밸브 조립체의 특히 유연한 스위칭 능력을, 다른 한편으로는 공압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분리에 대해 특히 간단하게 달성가능한 공간 절감 및 구성 절감 솔루션을 유도한다. 예를 들어, 불필요한 또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병렬 회로들이 대략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은 3개의 포트,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게다가 스위칭될 수 있는 싱글 격리 밸브 조립체에서 특히 장점을 갖는 적어도 3개의 압축 공기 소비자 및/또는 공급자로 인식될 수 있다. 이것은 관류 모드 및 격리 모드에서 모두 격리 밸브 조립체의 운영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은 본 목적의 범위 내에서 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장점들에 대해 상술한 개념의 구현을 위해 종속하는 청구항들에서 개시되고, 특히 유리한 기회들을 제공한다.
게다가, 하나의 개량은 격리 밸브 조립체가 격리 밸브 유닛 내에서 특히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격리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것은 특히 일반적 접근을 따르는 격리 밸브 조립체의 특정 설계 및 3/4-웨이 밸브 또는 3/3-웨이 밸브의 형태에서 또는 두 개의 2/2-웨이 밸브의 조합의 형태에 연관된다. 이후의 케이스에 대해, 제 3 포트는, 갤러리 라인에 대해, 제 1 및 제 2 2/2-웨이 밸브들의 사이에 연결된다. 이것은 제어 밸브들의 단지 하나가 갤러리에 대한 또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로부터의 공압적 연결 또는 분리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장점을 갖고, 따라서 동작 복잡도에서의 감소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변형의 범위 내에서, 격리 밸브는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를 사용하는 적어도 3개의 포트로 구성된다. 격리 밸브 조립체의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는 유리하게 2/2-웨이 밸브의 형태로 형성된다. 유리하게, 이하 일차 밸브(primary valve)로 언급되는 제 1 제어 밸브는 압축 공기 저장소, 예를 들어 저장소 브랜치 라인을 위한 레벨 제어 벨브의 가능을 갖는 2/2-웨이 밸브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리하게, 저장소 브랜치 라인은 일차 밸브 및 공압 연결 특히 압축 공기 연결로서 제 1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이차 밸브로서 제 2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두 제어 가능한 밸브는 모두 2/2-웨이 밸브로서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후의 케이스에서,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가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dual amarture solenoid valves)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특히 유리함이 증명된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그리고 콤팩트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결국, 제 1, 제 2 및 제 3 포트는 앞서 설명된 개량된 제 1 변형, 즉 제 1 제어 밸브 특히 일차 밸브에 대한 제 1 연결, 제 2 제어 밸브 특히 이차 밸브에 대한 이차 연결,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사이의 제 3 연결로서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된 격리 밸브 조립체는 개량된 제 1 변형에 따라 단순한 구성들, 즉 2/2-웨이 밸브들로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비싸지 않음이 증명된다.
본 발명의 제 2 또는 제 3 변형의 범위 내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는 적어도 3개의 포트, 예를 들어 3/4-웨이 밸브 또는 3/3-웨이 밸브로 형성되고, 제 1, 제 2 및 제 3 포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은 상대적으로 콤팩트하고 제어하기 간단한 것이 스스로 입증된다. 특히, 압축 공기 저장소를 위한 레벨 제어 밸브는 3/4-웨이 밸브 또는 3/3-웨이 밸브의 형태로 격리 밸브 조립체 내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압축 공기 저장소를 위한 레벨 제어 밸브는 특히 저장소 브랜치 라인에서 유리하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3/4-웨이 밸브 또는 3/3-웨이 밸브로서 격리 밸브 조립체의 구현은 저장되기 위한 압축 공기 저장소를 위해 레벨 제어 밸브를 가능하게 한다.
액티브 인터벤션(active intervention)에 의한 공압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 사이의 압축 공기 흐름을 규제 및/또는 제어하는 능력외에도, 본 발명 또는 그 개량의 개념은 압축 공기 장치 및/또는 공압 장치를 위한 상당한 에너지 저감과 개선된 제어 성능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공기 건조기의 재생의 효율은 이것이 불완전 또는 비효율적인 공압 장치의 각 운영 기능 중 재생 운영을 점유하지 않기 때문에 상당히 개선됨이 증명된다. 이것은 공기 건조기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전체적으로 낮아진 로딩(loading) 및 따라서 공기 건조기의 연장된 운영 수명 또는 공기 건조기 내의 건조 그래뉼레이트의 연장된 수명을 유발한다. 이것들 및 다른 장점들은 특히 공압 장치의 압축 공기의 재분배의 경우를 위해 그리고 공압 장치의 측정의 경우 및 리프팅 또는 로어링(lifting or lowering) 공정의 경우에 발생되고, 이것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압축 공기 피드 없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개량의 범위 내에서, 제 3 포트는 통상의 개방 포트로서 설계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로 이루어진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의 전원이 끊어진 상태에서, 이것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압축 공기 피드와 공압적으로 개방된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갤러리의 사이에 공압적 연결로 귀결된다.
격리 밸브 조립체 및/또는 싱극 밸브 조립체 예를 들면 멀티-아마추어 또는 듀얼-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와 함께 배기 밸브 조립체의 구현은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된다. 특히, 격리 밸브 조립체는 멀티-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듀얼-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맥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차 밸브 및 이차 밸브는 위의 개발에 의해, 통상적인 하우징에서 하나의 밸브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일차 밸브의 제 1 봉합(seal) 요소를 지원하는 일차 아마추어와 이차 밸브의 제 2 봉합 요소를 지원하는 이차 아마추어를 포함하고, 공통의 코일 바디에 형성된다. 코일 바디 및 아마추어는 함께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자기적(magnetic) 부분 내에서 코일을 형성한다. 유리하게,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일차 아마추어 및 이차 아마추어는 순차적으로 제 시간에 예를 들어, 증가하는 제어 전류와 함께 당겨진다(pull). 게다가, 밸브 스프링은 다른 각각의 스프링 힘으로 일차 밸브 또는 이차 밸브를 위해 구현되어, 밸브들은 시간 순차로, 예를 들어 먼저 일차 밸브 다음에 이차 밸브로 당겨진다. 아마추어 풀인 포스(amature pull-in force)가 모든 앞서 언급한 스프링 힘을 능가하는 조정가능한 제어 전류를 사용하여, 일차 밸브 및 이차 밸브는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차량 시스템을 위해, 컨트롤러는 유리하게 격리 밸브 조립체 및/또는 배기 밸브 조립체의 상호에 대한 제어 상태를 매칭하기 위해 설계된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유리한 개발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의 제 2 포트 및/또는 제 3 포트는 평상시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상태에서, 배기 밸브 조립체의 배기 밸브가 평상시 닫혀있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게다가, 한편 앞서 설명한 격리 밸브 조립체의 포트들과 배기 밸브 조립체가 전원이 끊어진 상태에서 상호 보완적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함을 입증할 수 있다. 격리 밸브 조립체 및 배기 밸브 조립체는 각각의 개별적 제어 신호 라인들 및 그것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상응하는 개별적 제어 신호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바람직하게 PWM 제어 신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배기 밸브 조립체의 배기 밸브 및/또는 격리 밸브 조립체의 격리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로 유리하게 구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둘 모두에 대해 적합한 공통 컨트롤러 또는 상응하는 제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흐름율(flow rate)은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를 위해, 아마도 또한 제어가능한 배기 밸브를 위해, 적어도 관통 유동 모드에서 규제 및/또는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한 수단(restricting means)과 함께 직렬 배열에서 배기, 가압(pressurization)을 위해 그리고 동일하게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건조기 재생과 음향(acoustics)을 위해 유리한 컨트롤러에 의한 세팅이 달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가 제어될 수 있는 앞서 설명한 개발의 범위 내에서 인식된다. 따라서 배기 폭발(venting bang)은 항상 만약 초과 압축 공기 볼륨이 너무 짧은 기간 내에 너무 높은 압력에서 배기되면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위해 우려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급속한 배기 프로세스를 위해서도,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는 바람직한 배기 작용을 획득하기 위해 압축 공기 흐름의 흐름율에 대해 관통 유동 모드에서 규제되거나 및/또는 제어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격리 밸브는 관통 유동 모두를 위해 개방된 상태(open state)로 스위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격리 밸브는 격리 모드를 위해 닫힌 상태(closed state)로 스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셉은 공압 연결이 닫힌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끊어지는 것을 제공한다. 컨셉은 따라서 공압 장치의 다양한 운영 모드를 위해 유리한-공압적으로 봉인된-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장치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바람직한 개발의 범위 내에서,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격리 밸브는 제 1 제어 상태 및 제 2 제어 상태의 사이에서 스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어 상태는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의 닫힌 상태에 할당되고, 제 2 제어 상태는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의 개방된 상태에 할당된다. 제 1 및/또는 제 2 제어 상태는 유리하게 전자적 컨트롤러에 의해, 예를 들어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에 대한 제어 라인을 통해 수행되는 적합한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적어도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를 위해 특화될 수 있다. 제 1 제어 상태는 격리 밸브가 닫힌 상태로 완전하게 변경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 상태는 닫힌 상태가 도달되는 것 없이 스위칭 프로세스의 시작시 격리 밸브가 닫힌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시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비슷하게, 제 2 제어 상태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를 변경할 수 있다. 제 2 제어 상태는 또한 스위칭 프로세스의 시작 및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도달되는 것없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향해 진행하는 프로세스의 이후 코스 동안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가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제어 상태는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가 완전히 닫히거나 완전히 개방되는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없이 완전히 닫힌 상태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이에서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가 역동적으로 그리고 상호적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제어 상태는 적절하게 선택된 클록 속도(clock rate)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유리하게, 특히 제 2 포트에 대한 관통 유동 모드에서 격리 밸브가 닫힌 상태에 할당된 제 1 제어 상태와 개방된 상태에 할당된 제 2 제어 상태의 사이에서 스위치 될 수 있고, 개방된 상태에 대해 할당된 제 2 제어 상태에서 제어 상태 변화의 클록 속도와 함께 상호적으로 스위치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제어 상태의 설계와 매칭이 공압 연결에서 제 1 및 제 2 제어 상태가 격리 밸브 조립체와 제한 수단(restricting means)의 직렬 배열의 효과적인 통상 크기의 구현을 위해 유리함이 증명되었다. 보다 정확하게, 격리 밸브 조립체와 제한 수단은 공압 연결에서 공기 건조기에 대해 격리 밸브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가능한 제어 밸브가 관통 유동 모드에서 개방된 상태로, 격리 모드에서 닫힌 상태로 스위치 될 수 있고, 제 1 공압 연결이 닫힌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닫히는 방식으로 직렬 배열을 형성한다.
제한 수단은 기본적으로 메인 공압 라인의 부분을 가로지르는 라인을 조이는 수단의 각 케이스에서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한 메인 공압 라인의 공칭 지수(nominal dimension)는 4mm보다 크다. 제한 수단은 바람직하게 가장 작은 클리어 초크(clear choke) 단면에 의해 결정되는 0.6mm보다 큰 실제 공칭 지수를 갖는다. 메인 공압 라인의 라인 단면에 의존해서, 초크 단면은 크기에서 최대 8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제 제한 수단의 공칭 지수는 1mm와 3mm의 사이이며, 특히 2.5mm이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개발에 따르면, 제한 수단 및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의 효과적인 공칭 지수는 제한 수단의 특정된 실제 공칭 지수보다 작다.
특히 바람직하게, 제한 수단은 격리 밸브로부터 분리된 초크의 형태이다. 특히 이것은 설명된 것처럼, 메인 공압 라인 또는 특별히 형성된 제한 수단의 라인 단면의 변형된 어떤 타입도 될 수 있다. 제한 수단은 또한 격리 밸브 및/또는 추가적인 밸브로, 예를 들어 격리 밸브의 밸브 시트(valve seat)의 개구 및/또는 추가적인 밸브 또는 공압 연결에서 포인트에 단면 조임(cross-sectional constrictio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장 특히 바람직한 변형의 범위 내에서, 배기 밸브는 압축 공기 볼륨의 직접 스위칭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직접적으로 스위칭된 밸브 부분이고,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제어 밸브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변형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직접 제어되는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일한 크기의 배기 단면을 갖는 경우, 압축 공기 볼륨을 직접 스위칭하는 것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위칭 시간이 간적적으로 제어되는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그것에 비해 작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변형으로 인식되듯이, 이것은 공기 건조기의 재생 동안 압축 공기 장치의 배기를 위한 장점을 갖는다.
두 번째로 바람직한 개발된 변형에서, 배기 밸브는 압축 공기 볼륨의 간접적 스위칭을 위해 간접적으로 스위칭된 릴레이 밸브 부분을 형성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릴레이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제어 밸브는 메인 공압 라인의 압력에 대해 노출된다. 가장 바람직한 변형에서 압력은 메인 공압 라인에 전체 압력일 수 있다. 두 번째 변형에서 압력은 메인 공압 라인의 부분압일 수 있다. 즉, 제 2 변형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간접적으로 제어되는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체 압축 공기 볼륨을 간접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에 의해 제어 압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두 번째 변형의 제 1 변형에서 배기 밸브의 상대적으로 급속한 스위치 동작은 제어 밸브를 위한 메인 공압 라인에서 전체 압력을 사용함으로써 여전히 달성될 수 있다.
공압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개발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스프링은 특히 그 벨로우즈에서,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 브렌치 라인(bellow branch line)을 통해 갤러리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압축 공기 저장소는 저장소 브랜치 라인을 통해 갤러리에 연결된다. 갤러리는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벨로우즈 브랜치 라인이 그것으로부터 갈라지는 갤러리 라인 또는 유사한 수집 라인(collecting line) 및/또는 분배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또는 저장소에 대한 것과 같은 다른 브랜치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고, 다시 말하면 다수개의 벨로우즈 브랜치 라인들이 갤러리 타입의 수집 및/또는 분배 라인에 결합된다. 게다가, 갤러리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대한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공압적 연결을 위해 압축 공기 연결을 포함할 것이다. 갤러리는 따라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벨로우즈 브랜치 라인과 압축 공기 연결에 대한 수집 및/또는 분배 라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 벨로우즈 브랜치 라인은 제어 밸브의 형태인 레벨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브랜치 라인에서 레벨 제어 밸브는 레벨 제어 밸브가 닫힌 상태일 때 공기 스프링의 압력 챔버가 갤러리로부터 공압적으로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유사한 기능에서, 저장소 브랜치 라인 내에서 저장소 밸브는 압축 공기 저장소를 연결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레벨 제어 밸드 또는 저장소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각 케이스에서-레벨 제어를 제외하고- 압력 평형이 공기 스프링 또는 압축 공기 저장소의 하나 또는 다수의 압력 챔버와 압력 챔버의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공기 스프링의 압축 챔버 및/또는 압축 공기 저장소의 사이의 압축 공기의 분배는 갤러리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공기 스프링의 "교차 연결(cross-linking)" 및/또는 보다 중요하게 압축 공기 저장소로서 언급된다. 이것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공기 건조기가 갤러리로부터 멈추는 경우에 그것과 함께 약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 발명의 컨셉에 따라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로 구성되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대해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공압적 연결에 형성되는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에 의해 유리하게 극복된다. 그러나 격리 밸브 조립체가 양방향 및 완전한 공압 연결의 닫힘을 통해 공압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분리 옵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공압 장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와 독립한 어떠한 다른 운영 상태에서 예를 들어 크로스 연결에 의해 역시 운영될 수 있다.
레벨 제어 밸브가 특히 2/2-웨이 밸브로서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입증되었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로 구성된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의 구현에 종속하여, 2/2-웨이 밸브의 형태인 레벨 제어 밸브 또는 저장소 밸브는 공기 스프링을 위한 것이든 또는 압축 공기 저장소를 위한 것이든지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압축 공기 장치의 바람직한 개발은 격리 밸브 조립체가 공기 건조기와 압축 공기 연결 사이, 특히 공기 건조기와 갤러리 라인 사이에서 유일한 메인 공압 라인에서 유일한 밸브 조립체이다.
바람직하게, 압축 공기 장치 및/또는 공압 시스템의 바람직한 개발의 범위 내에서, 다음의 것이 제공된다.
(a) 격리 밸브 조립체가 제 1 제어 밸브 및 제 2 제어 밸브에 의해 형성되고, 제 3 포트가 제 1 제어 밸브와 제 2 제어 밸브의 사이에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또는
(b) 격리 밸브 조립체가 3/4-웨이 밸브에 의해 형성되고, 또는
(c) 격리 밸브 조립체가 3/3-웨이 밸브로 형성됨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첫 번째 변형의 범위 내에서, 배기 밸브는 압축 공기 볼륨의 직접적인 스위칭을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직접적으로 스위칭된 밸브 부분의 형태이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두 번째 변형의 범위 내에서, 배기 밸브는 압축 공기 볼륨의 간접적인 스위칭을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간접적으로 스위칭된 릴레이 밸브 파트의 형태이고,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메인 공압 라인 의 압력에 대해 노출되고 릴레이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또는 공압 시스템의 바람직한 개발 내에서, 제 3 및 또는 제 2 포트가 격리 밸브 조립체의 전원이 끊어진 상태에서 공압적으로 개방된 연결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공압 시스템의 바람직한 개발의 범위 내에서, 제 1 운영 모드에서 갤러리 라인과 공기 건조기 사이의 공압 연결이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닫히고, 저장소의 압력 측정 및/또는 교차 연결 및/또는 벨로우즈는 압축 공기에 노출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공기 건조기없이 공압 장치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에 비해 개선된 공압 장치의 동작을 위해 공압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은 특히 신뢰성있고 거기에다 유연하고, 가능한 빠른 동작을 갖는다. 특히, 공압 장치와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이고, 거기에다 매우 유리한 건조기 재생과 함께 상대적으로 빠른 배기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공압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음향적인 특징들은 개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사하게 공압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와 함께 유리하게 설계된 공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갖는 공압 시스템의 회로도이고, 직접적으로 스위칭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싱글 배기 밸브는 압축 공기 볼륨을 스위치하고, 세 개의 포트 X, Y, Z를 갖는 격리 밸브 조립체는 본 발명의 두 번째 변형에 따라 3/4-웨이 밸브의 수단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실시예는 공압 장치의 밸브 블록내에 통합되며, 본 발명의 세 번째 변형에 따른 세부 D(Detail D)의 일 실시예에서 세 개의 포트 X, Y, Z를 갖는 격리 밸브 조립체는 3/3-웨이 밸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3/4-웨이 밸브에 대하여 변형된 공압 시스템의 회로도이고, 상기 실시예에서 3/4-웨이 밸브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내에 통합되고, 본 발명의 세 번째 변형에 따른 세부 D(Detail D)의 일 실시예에서 세 개의 포트 X, Y, Z를 갖는 격리 밸브 조립체는 3/3-웨이 밸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갖는 공압 시스템의 회로도를 나타내고, 직접적으로 스위칭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싱글 밸브는 압축 공기 볼륨을 직접적으로 스위칭하고, 세 개의 포트 X, Y, Z를 갖는 격리 밸브 조립체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변형에 따라 제 1 2/2-웨이 밸브 및 제 2 2/2-웨이 밸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실시예는 공압 장치의 밸브 블록 내에 통합된다;
도 3b, 도 3c, 도 3d는 각각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인 도 3a의 격리 밸브 조립체의 특히 바랍직한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일차 밸브로서의 제 1 2/2-웨이 밸브와 이차 밸브로서의 제 2 2/2-웨이 밸브이며,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세 가지 다른 스위칭 상태가 도시된다;
도 4는 두 개의 2/2-웨이 밸브를 구비하여 구현된 도 3a의 시스템에 대한 변형된 공압 시스템의 회로도이고, 상기 실시예에서 두 개의 2/2-웨이 밸브 중 하나는 압축 공기 장치 내에 통합되며, 다른 하나는 밸브 블록 내에 통합된다;
도 5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갖는 공압 시스텝의 회로도이고, 배기 밸브는 압축 공기 볼륨의 간접적 스위칭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간접적으로 스위칭되는 릴레이 밸브 부분의 형태이며,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릴레이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제어 밸브는 메인 공압 라인의 전체 압력에 대해 종속되며, 세 개의 포트 X, Y, Z를 갖는 격리 밸브 조립체는 본 발명의 두 번째 변형에 따라 3/4-웨이 밸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실시예에서 공압 장치의 밸브 블록에 통합되며, 본 발명의 세 번째 변형에 따른 상세 D(detail D)의 실시예에서 세 개의 포트 X, Y, Z를 갖는 격리 밸브 조립체는 3/3-웨이 밸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갖는 공압 시스템의 회로도를 나타내고, 압축 공기 볼륨을 간접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간접적으로 스위칭되는 릴레이 밸브 부분의 형태이며,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릴레이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제어 밸브는 메인 공압 라인의 전체 압력에 노출되며, 세 개의 포트 X, Y, Z를 갖는 격리 밸브 조립체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변형에 따른 제 1 2/2-웨이 밸브 및 제 2 2/2-웨이 밸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실시예에서 공압 장치의 밸브 블록과 통합된다;
도 7은 공압 시스템을 채우기 위한 도 5의 공압 시스템의 다른 운영 상태 A, B, C를 나타낸다;
도 8은 공압 장치를 채우기 위한 도 6의 공압 시스템의 다른 운영 상태 A, B, C를 나타낸다;
도 9는 공압 장치에서 측정 또는 교차 연결을 위한 도 5의 공압 시스템의 다른 운영 상태 A, B, C를 나타낸다;
도 10은 공압 장치에서 측정 또는 교차 연결을 위한 도 6의 공압 시스템의 다른 운영 상태 A, B, C를 나타낸다;
도 11은 공압 장치를 배기하기 위한 도 5의 공압 시스템의 다른 운영 상태 A, B를 나타낸다;
도 12는 공압 장치를 배기하기 위한 도 6의 공압 시스템의 다른 운영 상태 A, B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사용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이것들은 실시예들을 비율에 대해 반드시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도면은 설명을 위해 필요한 부분에서 개략적이거나 및/또는 다소 변형된 형태이다. 도면으로부터 직접 얻어진 지식에 대한 보충들에 관하여, 참조는 연관된 선행문헌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실시예의 형태와 구체 사항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과 수정들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행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구성들은 독립적으로 그리고 어떤 조합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개발을 위해 중요하다. 또한, 상세한 설명, 도면 및/또는 청구항에 개시된 적어도 두 개의 구성의 모든 조합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념은 아래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확한 형태나 설명에 의해 제약되거나 청구항에서 청구된 대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한 치수 범위, 상술한 제한 내에 있는 값들은 한계값으로서 개시되고, 필요에 따라 사용되고 청구된다. 단순화를 위해, 동일한 도면 기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 아래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구성 및 상세 설명은 도면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기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의 부분에 대해 아래에서 적절한 곳에 사용된다.
도 1은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형태에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와 공압 장치(901)를 갖는 공압 시스템(101)를 나타낸다. 에어 서스펜션 장치는 각각이 상세하게 되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의 휠에 할당되고 차량의 공기 스프링을 형성하는 다수의 소위 벨로우즈(91)를 포함한다. 게다가, 에어 서스펜션 장치는 벨로우즈(91)를 위해 급속하게 사용가능한 압축 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92)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93)는 벨로우즈 브랜치 라인(90)에서 각 벨로우즈(91)의 상류에 형성되고 각각이 벨로우즈(91)에 의해 형성된 공기 스프링을 열거나 닫기 위한 레벨 제어 밸브로서 동작한다. 벨로우즈 브랜치 라인(90)에서 솔레노이드 밸브(93)는 2/2-웨이 밸브의 형태이다. 저장소 밸브로서 개별적인 솔레노이드 밸브는 저장소 브랜치 라인(94) 내에 저장소(92)의 상류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그 기능은 아직 설명되지 않은 격리 밸브(900)에 의해 수행된다. 솔레노이드 밸브(93)는 공통 공압 수집 라인을 형성하는 갤러리 라인(95)에 대해 벨로우즈 브랜치 라인(90)의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갤러리 라인(95)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의 압축 공기 포트(2)에 대해 공압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공압 라인(96)을 통해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본 경우에서, 공압 장치(901)는 압력 센서(98)를 구비하고, 추가적인 센서 브랜치 라인(99)를 통해 갤러리 라인(95)에 연결되어 공압 장치(901)의 갤러리 라인(95) 내에서 압력이 압력센서(98)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압력 센서(98)는 공압 장치(901, 903, 904)와 함께로서 갤러리 라인(95)에 부착될 수 있고, 공압 장치(902)와 함께로서 저장소(92)에 부착될 수도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93)는 격리 밸브 조립체(900)의 싱글 솔레노이드 3/4-웨이 밸브와 함께 다섯개의 밸브를 갖는 밸브 블록(97)에 형성된다. 솔레노이드 밸브(93)는 도 1에 전원이 끊어진 상태로 도시되고, 솔레노이드 밸브(93)는 평상시 닫힌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형성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변형된 실시예는 더 적은 솔레노이드 밸브가 밸브 블록(97) 내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93)의 다른 배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브 폴더 밸브(five-folder valve)에서 솔레노이드 밸브(93)과 함께 배열된 상대적으로 콤팩트한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공압 장치(901)의 이러한 형상 부분이고, 격리 밸브는 본 발명의 컨셉의 범위 내에서 다르게 설계되어 압축 공기 장치(11)에 공압 연결된 다른 곳에 배열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는 공압 장치(901)를 운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은 공압 장치(901)에 대해 대한 압축 공기 피드(10)과 압축 공기 포트(2)를 포함한다. 압축 공기 피드(1)는 적절하게 형성된 인터페이스의 형태인 공기 피드(0), 공기 압축기(51) 및 압축 공기 공급 연결(52)과 함께 형성된다. 공기 피드(0)는 도시되지 않은 필터의 상류에 형성된다. 공기 압축기(52)는 모터(M)의 형태인 본 케이스에서 드라이브에 의해 구동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0)와 공압 장치(901) 사이의 공압 연결은 싱글 메인 공압 라인(60)과 연속 공압 라인(96)의 수단에 의해 형성되고, 따라서 공압 연결은 한편으로 공기 피드(1)에 대한 압축 공기 공급 연결(52)에 연결하고, 다른 한편으로 갤러리 라인(95)에 격리 밸브 조립체(900)를 통해 연결한다. 그 사이에서 공압 연결은 공기 건조기(61)와 제 1 초크(62)를 포함한다. 제어 가능한 밸브 조립체(900)는 3/4-웨이 밸브로서 솔레노이드와 함께 형성된다. 초크(62) 및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공압 연결, 즉 압축 공기 연결(2) 및 추가적인 공압 라인(96)과 함께 메인 공압 라인(60)에서 공압 직렬 배열을 형성한다.
게다가,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는 메인 공압 라인(60)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추가적인 공압 연결과 주변, 즉 배기 라인(70)에 대해 연결된 배기 연결(3)을 포함한다. 본 케이스에서 개별적인 배기 라인(70)은 메인 공압 라인(60)에 대해 압축 공기 공급 연결(52)에 대해 연결된다. 제 2 초크(72) 및 제어 가능한-여기서는 평상시 닫힌- 배기 밸브(73)는 배기 연결(3)의 방향에서 배기 라인에 형성된다. 필터(74)는 주위에 대한 배기 연결(3)의 하류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는 배기 라인(70)에서 압축 공기 볼륨을 직접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해 싱글 및 직접적으로 스위치되는 밸브로서 배기 밸브(73)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제어 밸브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에 구비되지 않는다.
배기 밸브(73)는 격리 밸브 조립체(900)와 함께 형성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80)의 부분이다.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80)는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900)를 위한 제 1 코일(81)과 제 1 코일(81)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 제어 가능한 배기 밸브(73)를 위한 제 2 코일(82)을 제공한다. 특히, 제 1 코일(81) 및 제 2 코일(82)은 각각 개별적인 코일 바디로 형성되고, 본 케이스에서 제 3 및 제 4 제어 라인으로서 언급된 개별적인 제어 라인(83, 84)와 함께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언급된 제 3 및 제 4 제어 라인(83, 84)은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차량의 차량 컨트롤러 ECU에 연결된다.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본 케이스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구현된 3/4-웨이 밸브의 형태이고, 본 발명의 개념과 함께 유지되는 제 1 포트(X), 제 2 포트(Y) 및 제 3 포트(Z)를 갖는다. 저장소(92)는 앞서 언급한 저장소 브랜치 라인(94)를 통해 제 1 포트(X)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압축 공기 연결(2)은 제 2 포트(Y)에 앞서 언급한 추가적인 공압 라인(96)을 통해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갤러리 라인(95)은 제 3 포트(Z)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공압 시스템(101)의 운영 상태에 종속하고 압축 공기 수취부(compressed air recipients) 또는 압축 공기 피드로서의 동작하는 그 구성이 공통적으로 공압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그것들이 하나의 구성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900)를 통해 함께 스위칭될 수 있다. 본 케이스에서 구성들은 압력 센서(갤러리 라인(95)을 통한 연결, 8) 뿐만 아니라, 저장소(저장소 브랜치 라인을 통한 연결, 92), 압축 공기 장치(추가적은 공압 라인(96) 및 압축 공기 연결(2)를 통해 연결, 11) 및 벨로우즈(91)를 포함한다.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또한 다른 제어 상태도 채택할 수 있고, 공압 장치(901)의 다른 운영 상태와 연관되며,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대표적으로서 도 7, 도 9 및 도 11에 연관된 공압 시스템(101)을 위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특히, 본 발명의 두 번째 변형에 따라 형성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형태에서 공압 시스템(101) 또는 공압 장치(901)의 상기 실시예는 예를 통해 도 9C에서 도시된 것처럼 다른 격리 밸브 조립체(700)를 갖는 본 발명의 세 번째 변형에 따라 변형된 형태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격리 밸브 조립체(700)는 3/3-웨이 밸브로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고, 갤러리 라인(95)을 통해서가 아니라 저장소(92)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센서 브랜치 라인(99)를 통해서 압력 측정을 위해 제공된 압력 센서(98)가 있는 도 9C의 공압 장치(902)를 위해 특히 유리하게 적합하다. 격리 밸브 조립체(700)는 저장소(92)에 대한 저장소 브랜치 라인(94)를 위해 각각 세 개의 포트(X, Y, Z),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압축 공기 연결(2) 또는 갤러리 라인(95)에 대해 공압 라인(96)을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도 1, 도 2 및 도 5의 3/4-웨이 밸브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은 3/3-웨이 밸브의 실시예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고, 이것은 상세 D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모든 세 개의 포트(X, Y, Z)가 차단된 3/4-웨이 밸브를 위해 존재하는 스위칭 상태는 도 9C에서와 같이, 압력 센서(98)가 갤러리 라인(95) 대신 저장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면 3/3-웨이 밸브를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21) 및 공압 장치(903)을 갖는 공압 시스템(201)의 다소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의 부분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참조는 공압 시스템(101)에 비교하여 공압 시스템(201)의 차이점에 대해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먼저 평상시 개방된 변형에서 배기 밸브(73)을 도시한다. 배기 라인(70)내의 비가역 밸브(71)는 배기 방향에서 배기 연결(3)의 상류에 형성되고, 특히 주위에 대해 상대적으로 압축 공기 공급 장치(21)를 닫기에 유리하다. 공압 시스템(101, 201)은 공압 장치(901)에 대해 말하자면 동일한 격리 밸브 조립체(900)가 밸브 블록(97')에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르고, 다만 솔레노이드 밸브(93)으로부터 개별적으로 구현된다. 공압 장치(903)의 솔레노이드 밸브(93)는 포-폴드(four-fold) 솔레노이드 밸브 블록(97')내에서 본 케이스에 형성되고, 벨로우즈(91)과 함께 각 공기 스프링을 형성한다. 공기 스프링 및 저장소(92)는 압력 센서(98)와 함께 갤러리 라인(95)에 연결된 공압 장치(903)의 구성을 형성한다.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메인 공압 라인(60) 내에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21)의 부분으로써 도 2의 공압 시스템(201)내에 또는 본 케이스에 도시되었듯이 추가적인 공압 라인(96)에 즉 공기 건조기(61), 초크(62) 및 압축 공기 연결(2)과 함께 직렬 배열로 형성된다. 본 케이스에서 3/4-웨이 밸브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21)로부터 각각 및 공압 장치(905)로부터 각각 실제로 구현된다.
상술한 대체적인 실시예에서 공압 장치(903)는 격리 밸브 조립체(900)를 포함하지 않고, 다만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21)의 메인 공압 라인(60)에 예를 들어, 초크(62)와 압축 공기 연결(2)의 사이에 직렬 배열로 형성된다.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21)의 압축 공기 연결(2)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포트(Y)를 차례로 포함한다. 제 1 포트(X)는 차례로 공압 장치(903)의 저장소(92)를 연결하기 위해 차례로 구비된다. 제 3 포트(Z)는 공압 장치(903)의 갤러리 라인(95)을 연결하기 위해 차례로 구비된다. 도 7, 도 9, 도 11에서 도시된 것처럼 공압 시스템의 운영 상태의 예로서 도시된 격리 밸브 조립체(900)의 운영 상태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공압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을 사용하여 이미 설명된 것처럼 압축 공기 장치(11)을 갖는 공압 시스템(302)를 도시하고, 본 케이스에서 압력 센서(98)없이 도시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를 위해, 참조는 도 1의 설명을 위해 이루어진다. 공압 장치(904)를 위해, 본 케이스에서 본 발명의 첫 번째로 개선된 변형에 따른 격리 밸브 조립체(800)가 제공된다. 공압 장치(904)의 동일한 설계를 위해, 격리 밸브 조립체(800)와 압력 센서(98)에 이르기까지, 참조는 도 1에서 공압 장치(901)의 설명을 위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변형에 따른 본 케이스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800)는 다시 세 개의 포트(X, Y, Z)를 포함한다. 격리 밸브 조립체(800)는 여기서는 아래에서 일차 밸브(I)로 언급되는 2/2-웨이 밸브의 형태인 제 1 제어 밸브(801)와, 아래에서 이차 밸브(II)로 언급되는 2/2-웨이 밸브의 형태인 제 2 제어 밸브(802)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저장소(92)는 제 1 포트(X)를 통해 제 1 제어 밸브(801)에 연결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의 압축 공기 연결(2)은 제 2 포트(Y)와 추가적인 공압 라인(96)을 통해 제 2 제어 밸브(802)에 연결된다. 공압 장치(904)의 갤러리 라인(95)은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801, 802)의 사이에 형성된 제 3 포트(Z)에 연결된다.
두 제어 밸브(801, 802)에 의해 3/4-웨이 밸브 또는 3/3-웨이 밸브로 형성된 격리 밸브 조립체(800)는 또한 세 개의 포트(X, Y, Z)를 사용하여 압축 공기 연결(2), 저장소(92) 및 싱글 격리 밸브 조립체(800)를 갖는 갤러리 라인(95)의 일반적인 스위칭을 가능하게 한다.
도 3b, 도 3c, 도 3d는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한편으로는 시야 (ii)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시야 (i)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800)에 대해 각각 도시한다. 본 케이스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기능적 위치는 표시로서 시야 (ii)에서 도시된다. 게다가,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기능적 위치에 관계된 각각의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능적 위치는 시야 (i)에서 도시되고, 이와 함께 솔레노이드 밸브(800)는 특히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b, 도 3c, 도 3d에 도시된 스위치 위치 (A), (B), (C)는 공압 장치(904) 또는 공압 시스템(302)의 운영 상태에 의존하는 공기 건조기(61), 저장소(92) 및 벨로우즈(91)의 다른 공압 결합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운영 상태들은 또한 도 8, 도 10 및 도 12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다른 기능적 위치들과 함께 예로써 상세하게 도시된다.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801, 802)는 도 3b에서 각각 일차 밸브(I)와 이차 밸브(II)로서 언급된다. 일차 밸브(I)는 제 1 봉합 요소(Ia)와 제 1 봉합 요소(Ia)가 부착되는 일차 아마추어(Ib)를 포함한다. 시야 (A)에서 제 1 봉합 요소(Ia)는 밸브 시트(Id)에 안착하고 밸브 스프링(Ic)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닫힌 밸브 시트(Id)는 도 3b의 시야 (A)의 시야 (ii)에 기호로 표시되듯이 제 1 제어 밸브(801)의 닫힌 위치를 야기한다.
게다가, 도 3b의 시야 (A)에서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내의 이차 밸브(II)를 위한 이차 아마추어(IIb)가 이차 봉합 요소(IIa)내에 구미된 것이 도시되고, 이차 봉합 요소(IIa)는 도 3b의 시야 (A)에 도시된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능적 위치에서 밸브 스프링(IIc)에 의해 밸브 시트(IId)로부터 리프트된다. 이러한 위치는 일차 밸브(I) 및 이차 밸브(II)를 위한 공통 코일 바디(III)를 동력 공급하는 것 없이 발생한다. 떨어진 일차 및 이차 아마추어(Ib, IIb)와 함께 도시된 위치에서, 제 1 제어 밸브(801)(일차 밸브 I)는 평상시 닫히고, 제 2 제어 밸브(802)(이차 밸브 II)는 평상시 개방된다. 공압 장치(904)는 격리 밸브 조립체(800)를 운영하는 것 없이 벨로우즈 밸브(93)의 스위칭과 함께 압축 공기 피드(1)로부터 가능하게 빈번한 배기, 하강 또는 상승을 수행하는 레벨 제어 장치를 위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원이 공급된 코일 바디(III)는 이차 아마추어(IIb) 상에 유도적으로 동작하고, 이차 봉합 요소(IIa)는 밸브 스프링(IIc)의 힘에 반대하여 밸브 시트(IId)상에 가압된다. 또한, 전원이 공급된 때, 코일 바디(III)가 이차 아마추어(Ib)상에 유도적으로 동작하고, 제 1 봉합 요소(Ia)는 밸브 스프링(Ic)의 힘에 반대하여 밸브 시트(Id)로부터 리프트된다.
도 3c의 시야(B)는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시야(i)에서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하고, 단지 일차 아마추어(Ib)가 이제 움직이고 제 1 봉합 요소(Ia)가 밸브 시트(Id)로부터 리프트된다. 따라서 도시된 기능적 위치에서 제 1 제어 밸브(801)(일차 밸브(I)) 및 제 2 제어 밸브(802)(이차 밸브(II))가 개방된다. 이러한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기능적 위치를 위해, 벨로우즈 밸브(93)가 유리하게 닫힌다.
만약, 코일 바디(III)에서 전류가 이차 밸브(II)를 위한 유지 전류(holding current) 이하로 감소하나, 일차 밸브(I)의 스위칭 전류 이상을 유지하면, 이차 밸브(II)가 닫히고 일차 밸브(I)가 개방되는 최대의 전원이 공급된 전류로 가정되는 도 3d의 시야(C)의 기능적 위치가 발생한다. 즉, 도 3d의 시야(i)에서 볼 수 있듯이, 일차 아마추어(Ib)는 제 1 봉합 요소(Ia)가 밸브 시트(Id)로부터 리프트되는 위치에 있다. 이차 아마추어(IIb)는 제 2 봉합 요소(IIa)가 밸브 시트(IId)에 위치하는 위치에 있다. 이러한 기능적 위치는 특히 압축 공기 장치(11)이 여전히 차단되는 저장소(92) 및 공기 건조기(61)로부터 벨로우즈(91)가 채워지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리필 동작은 따라서 공기 건조기(61)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차 밸브(I) 및 이차 밸브(II)의 스위칭 전류, 유지 전류 또는 회복 전류를 위한 전류 제한은 밸브 스프링(Ic, IIc)의 스프링 힘과 협력하여 적절하게 매칭된다. 잎아 아마추어(Ib) 및 이차 아마추어(IIb) 상의 유도력은 코일 바디(III)가 전원 연결되었을 때, 일차 밸브(I) 및 이차 밸브(II) 적절하게 스위칭되는 방식으로 스프링 힘에 반대되어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a에서 식별가능한 일차 밸브(I)와 이차 밸브(II)를 위하고, 제 4 제어 라인으로서 언급된 공통 제어 라인(84)은 제 1 제어 밸브(801) 및 제 2 제어 밸브(802)를 위해 공통 제어 신호에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800)는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격리 밸브 조립체(900 또는 700)에 대해 유사한 소형화를 갖는 듀얼 아마추어로서 구현된다.
도 4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31) 및 변형된 공압 장치(905)와 함께 도 3a에 변형되어 비교된 공압 시스템(301)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공압 시스템(301)은 도 3a의 공압 시스템(302)와 대조적으로, 다시 제 1 제어 밸브(801') 및 제 2 제어 밸브(802')와 함께 변형된 격리 밸브 조립체(800')를 포함한다. 도 3a의 공압 시스템(302)와 대조적으로, 제 1 제어 밸브(801')와 제 2 제어 밸브(802')는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구현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렇게 언급된 분리된 제 1 및 제 2 라인(84.1 또는 84.2)은 제어 밸브(801', 802')의 각각을 위해 제공된다. 게다가, 제어 밸브(801', 802')는 분리된 2/2-웨이 밸브로서 형성된다. 제 1 제어 밸브(801')는 추가적인 솔레노이드 밸브(93)와 함께 파이브-폴드 밸브 블록(97'')의 일부로서 구현되고, 예를 들어 파이브-폴드 밸브 블록(97'')에서 다섯개의 2/2-웨이 밸브의 시퀀스의 일부로서 구현된다. 그러나, 제 2 제어 밸브(802')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31) 내에 압축 공기 연결(2)의 타측상에 메인 공압 라인(60)에 형성된다. 여기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제어 밸브(802')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31)에 할당되고, 도 2의 3/4-웨이 밸브에 관해 이미 설명하였던 것과 유사하게 메인 공압 라인(60) 자체, 본 케이스에서 초크(62)와 압축 공기 연결(2)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서, 제 2 제어 밸브(802')는 공압 장치(905)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2)에 대한 추가적인 공압 라인(96)에 대신하여 또는 심지어 공압 장치(905)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압축 공기 공급 장치(31)는 도 1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서와 같이 설계되어, 여기서 참조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의 설명을 위해 이루어진다. 공압 장치(905)의 저장소(92)로부터 배기 공정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공압 시스템(301)은 따라서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세 개의 2/2-웨이 밸브 즉, 공압 장치(905)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일부 및 밸브 블록(97'')로서 제 1 제어 밸브(801'),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일부로서 제 2 제어 밸브(802')를 메인 공압 라인(60) 또는 추가적인 공압 라인(96)에서 제공하고, 최종적으로 압축 공기 공급 장치(31) 내에 배기 밸브(73)를 제공한다. 본 케이스에서, 모든 세 개의 2/2-웨이 밸브는 분리된 제어 라인들, 즉 제 1 제어 라인(84.1), 제 2 제어 라인(84.2), 제 3 제어 라인(83)을 통해 ECU에 연결된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변형된 바람직한 설계 구현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배기 밸브(73) 및 제 2 제어 밸브(802')는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로 상대적으로 간소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배기 밸브(73)과 제 2 제어 밸브(802')는 모두 공통 코일 바디이고, 공통 제어 라인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공압 장치(901)를 제공하기 위한 공압 시스템(402)의 일부로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의 추가적으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역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적용된다.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에 대한 차이점들이 아래에서 설명되고, 더 많은 참조는 이전 설명에 대해 이루어진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는 메인 공압 라인(60)과 배기 라인(70)을 포함한다. 공기 건조기(61) 및 제 1 초크(62)는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메인 공압 라인(60) 내에 형성된다.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900) 및 초크(62)는 공압 연결이 압축 공기 흐름에 대해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닫히는 방식으로 공압 장치(901)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의 사이의 공압 연결에 직렬 배열을 형성한다. 동시에, 모든 구성,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저장소(92) 및 벨로우즈(91)는 세 개의 포트(X, Y, Z)를 통해 유연하게 스위칭될 수 있다. 배기 라인(70)은 압축 공기 공급 연결(52)을 통해 메인 공압 라인(60)에 연결되고, 압축 공기 공급 연결(52)와 배기 연결(3)의 사이에 제어 가능한 배기 밸브(173)을 포함한다. 이전에 설명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배기 밸브(173)는 압축 공기 볼륨의 간접적 스위칭을 위한 솔레노이드 배기 조립체(180)의 일부이다. 여기서, 배기 밸브(173)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180)의 간접적으로 스위칭된 릴레이 밸브 부분의 형태이고, 제어 밸브(175)에 의해 제어된다. 본 케이스에서 제어 밸브(175)는 메인 공압 라인(60)으로부터 갈라진 제어 브랜치 라인(160)를 통해 메인 공압 라인(60)에서 압력 흐름의 전체 압력에 종속된다. 제 1 초크(62)의 설계에 종속하여, 제어 밸브(175)는 메인 공압 라인(60)의 부분 압력에 종속될 수도 있다.
특히, 릴레이 밸브(173)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최소 압력에 오로지 종속하는 제어 밸브(175)는 파일럿 압력(pilot pressure)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의 상대적으로 급속한 배기를 가능하게 한다. 본 케이스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180)의 제어 밸브(175)는 특히 평상시 개방된 상태에 있다. 배기 밸브(173)는 예비 상태(preliminary state)에 있다. 그것은 배기 밸브(173)를 개방 상태로 변환하기 위해 단지 환경에 종속하는 최소 동작 압력을 요구한다. 그것은 제 1 초크(62)의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nominal size)로 인해 단지 압축 공기 볼륨의 낮은 부분 압력이 제어 밸브(175)를 통해 배기 밸브(173)를 제어하기 위해 메인 공압 라인(60) 내에 필요한 급속하게 배기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180)를 구비하여 유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인 압력 볼륨은 배기 연결(3)에 대한 릴레이 밸브(173) 뿐만 아니라, 배기 라인(70)과 초크(72)를 통해 배기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를 갖는 급속하게 배기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180)의 장점은 전체 압축 공기 볼륨이 싱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의해서 스위칭 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단지 제어 밸브(175)에 대한 제어 브랜치 라인(160)을 통한 압축 공기 볼륨의 낮은 부분 압력이면 충분하다. 원칙적인 양성적으로(positively) 제어되는 밸브 조립체에서 이러한 설계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 레벨에 대한 운영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배기 밸브(173)에 의해 고압축 공기 볼륨의 스위칭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릴레이 밸브로서 동작하는 배기 밸브(173)는 상대적으로 큰 치수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초크(62)의 치수의 제 2 초크(72)의 치수에 대한 비율이 형성되어 공기 건조기(61)의 효과적인 재생이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의 배기 동안 여전히 가능하다.
닫힌 상태에서, 제어 밸브(175)는 배기 연결(3)에 대해 배기 브랜치 라인(170)을 통해 개방되고, 추가적인 배기 브랜치 라인(170)이 배기 연결(3) 이전에 배기 라인(70)과 결합된다.
그렇지 않으면, 격리 밸브(900) 및 배기 밸브(173)에 관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의 기능은 이전에 설명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의 동작에 유사하다. 공압 장치(901)는 도 1에 이미 도시된 방식으로 압축 공기 연결(2) 및 추가적인 공압 라인(96)을 통해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에 연결된다. 참조는 공압 장치(901)의 설명에 대한 도 1의 설명에 대해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를 갖는 공압 시스템(401)과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공압 장치(904)를 나타낸다. 적절한 참조는 도 3a와 도 5의 도시된 일부에 대응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스위칭 전류를 위한 전류 크기는 격리 밸브(800), 즉 일차 밸브(I)(제 1 제어 밸브(801))와 이차 밸브(II)(제 2 제어 밸브(802)), 제어 밸브(175)가 제어 및 릴레이 밸브 조립체 및 배기 밸브(173)에 대해 종속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격리 밸브 조립체(900)의 기능적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공압 시스템(402)의 다른 동작 위치들을 위해 도 7, 도 9, 도 11 하단에 도시된다. 이후의 도 8, 도 10, 도 12에 도시된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기능적 위치는 도 6의 공압 시스템(401)에 대해 도시된다.
도 7 및 도 8은 공압 장치(901, 904)를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공압 장치(402, 401)의 다른 운영 위치의 시야 (A), (B), (C)를 나타낸다. 모든 운영 위치에서, 압축 공기로 공압 장치(901, 904)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의 배기 밸브(173)는 닫혀있다. 공압 장치(901, 904)의 필링(filling)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의 메인 공압 라인(60) 또는 아니면 공압 장치(901, 904)의 저장소(92)를 통해 압축 공기 피드(1)로부터 발생한다. 도 7은 도 5의 공압 시스템(402)을 위한 운영 위치를 나타내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는 도 7의 모든 시야를 위해 시야 (A)에서만 도시된다. 도 8은 도 6의 공압 시스템(401)을 위한 운영 위치를 나타내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는 단지 도 8의 모든 시야를 위해 시야 (A)에서만 도시된다.
도 7 또는 도 8의 시야 (A)는 메인 공압 라인(60), 압축 공기 연결(2) 및 추가적인 공압 라인(96) 뿐만 아니라 격리 밸브 조립체(900 또는 800)을 통해 압축 공기 피드(1)로부터 압축 공기로 저장소(92)의 필링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적 위치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900, 800)을 나타낸다. 이것을 위해, 도 7의 시야 (A)의 격리 밸브 조립체(900)의 3/4-웨이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 1 포트(X) 및 제 2 포트(Y)의 사이의 연결이 개방된 기능적 위치에 있다. 이런 방식으로, 공기 건조기(61)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2) 및 저장소(92)는 공압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3/4-웨이 솔레노이드 밸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원 공급되고, 도 5에서 도시된 전원이 끊어진 상태에서 도 7A에 도시된 기능적 위치로 옮겨진다. 도 7A에서, 제 3 포트(Z)가 제 2 포트(Y)에 대해 공압적으로 개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갤러리 라인(95)의 필링은 격리 밸브 조립체(900)의 기능적 위치에 의해 방지된다.
도 8 시야 (A)에 관해, 전원 공급은 제 1 제어 밸브(801)에 의해 형성된 일차 밸브(I)가 평상시 닫힌 위치에서 평상시 개방된 위치로 변하는 방식으로 제 1 제어 밸브(801) 및 제 2 제어 밸브(802)로 구성된 격리 밸브 조립체(800)를 위해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공압적으로 개방된 연결은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제 1 포트(X)와 제 2 포트(Y)의 사이에서 형성되어, 격리 밸브 조립체(800)를 통해 저장소(92)는 압축 공기 피드(1), 메인 공압 라인(60), 압축 공기 연결(2) 및 다른 공압 라인(96)으로 압축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801, 802) 사이에 연결된 개방된 제 3 포트(Z)는 압축 공기를 위해 갤러리 라인(95)를 원칙적으로 개방한다. 벨로우즈(91)의 필링은 각각이 벨로우즈(91)의 상류에 레벨 제어 밸브로서 연결된 평상시 닫힌 솔레노이드 밸브(93)으로 인해 방지된다.
도 7 및 도 8의 시야 (B)는 압축 공기 피드(1)로부터의 벨로우즈(91)의 필링이 메인 공압 라인(60), 압축 공기 연결(2), 추가적인 공압 라인(96) 및 각각의 격리 밸브 조립체(900, 800)을 통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900, 800)의 기능적 위치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3/4-웨이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도 7 시야 (B)에 도시된 것처럼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제 3 포트(Z) 및 제 2 포트(Y)가 서로에 대해 공압적으로 개방된 연결을 갖는 기능적 위치에 있다. 상기 3-4웨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능적 위치는 격리 밸브 조립체(900)의 전력이 차단된 위치에 대응된다. 압축 공기 피드(1)로부터 벨로우즈의 필링은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93)의 하나 또는 다수 또는 전체를 통한 스위칭과 함께 벨로우즈의 전체 또는 개별 또는 그룹을 위해 이루어진다. 도 7 시야 (B)에서 솔레노이드 밸브(93)는 예로써 스위칭되어, 벨로우즈의 갤러리 라인(95)에 대한 공압적 개방 연결이 존재하고 벨로우즈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의 압축 공기 피드(1)로부터 압축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도 8 시야 (B)에서 솔레노이드 밸브(800)는 벨로우즈를 채우기 위한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유사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일차 밸브(I)를 형성하는 제 1 제어 밸브(801)는 평상시 닫혀있고, 이차 밸브(II)를 형성하는 제 2 밸브(802)는 평상시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갤러리 라인(95)에 대한 제 3 포트(Z)와 압축 공기 연결(2)에 대한 제 2 포트(Y) 사이에 공압적으로 개방된 연결이 존재하는 반면, 제 1 포트(X)는 닫힌다. 예를 들어, 갤러리 라인(95)이 압축 공기 피드(1)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는 반면, 저장소(92)에 대한 공압적 연결은 끊어진다. 후자는 또한 도 7의 시야 (B)의 격리 밸브 조립체(900)를 위한 케이스이다. 다시 공압 장치(904)의 개별적이거나, 다수의 또는 전체의 벨로우즈(91)는 레벨 제어 밸브의 형태에서 개별적이거나, 다수의 또는 전체의 솔레노이드 밸브(93)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시야 (C)는 공압 시스템(402, 401)의 운영 위치를 도시하고, 저장소(92)로부터 압축 공기와 함께 벨로우즈(91)의 필링이 가능하며, 다만,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와 저장소(92) 사이의 공압 연결은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격리된다. 즉, 갤러리 라인(95) 및 저장소(92)로부터 벨로우즈(91)에 대한 또는 그 반대로 압축 공기의 재분배를 통한 벨로우즈(91)의 저장소(92)에 대한 교차 연결(cross-linking)은 그 결과로서 반대로 영향을 받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 없이 가능하다.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 내 공기 건조기(61)상의 역효과는 유리하게 방지된다. 격리 밸브 조립체가 없는 장치에서, 단지 압축 공기의 재분배에 의해 압축 공기 소비가 단지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피할 수 있는 공기 건조기(61)의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발생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시야(C)에서 도시된 격리 밸브 조립체(900, 800)의 기능적 위치를 통해, 특히 공기 건조기(61)를 에어 서스펜션 장치로부터 분리하고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과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의 시야 (C)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900)의 3/4-웨이 솔레노이드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900)의 제 1 및 제 제 3 포트(X, Z)가 서로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는 반면, 제 2 포트(Y)는 압축 공기 연결(2)로부터 공압적으로 연결이 끊어지는 기능적 위치로 옮겨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축 공기는 저장소(92)로부터 압축 공기 연결(2)이 아닌 단지 갤러리 라인(95)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도 7의 시야 (C)에 도시되듯이 하나 또는 다수의 또는 전체의 평상시 닫혀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93)는 개방되고, 압축 공기는 예를 들어 차량 몸체의 레벨 제어 및/또는 리프팅에 사용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또는 전체의 벨로우즈(91)로 통과할 수 있다.
도 8 시야 (C)에서, 동일한 기능이 일차 밸브(I)를 형성하는 제 1 제어 밸브(801)는 평상시 닫힌 위치에서 전원이 공급된 개방된 위치로 옮겨지고 이차 밸브(802)를 형성하는 제 2 제어 밸브(802)는 평상시 개방된 위치에서 전원이 공급된 닫힌 위치로 옮겨진 격리 밸브 조립체(800)와 함께 달성될 수 있다. 저장소(92) 및 갤러리 라인(95) 사이의 개방된 공압 연결은 일차 밸브(I)를 개방된 위치로 스위칭하여 발생한다. 이차 밸브(II)를 닫힌 위치로 스위칭함으로써, 압축 공기 피드(1)와 갤러리 라인(95) 사이의 공압적 연결은 끊어진다.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기능적 위치에서, 압축 공기는 저장소(92)로부터 갤러리 라인(95)으로 흐를 수 있다. 다시 하나 또는 다수의 또는 전체의 솔레노이드 밸브(93)를 개방함으로써, 압축 공기는 하나 또는 다수의 또는 전체의 벨로우즈(91)로 흐를 수 있고 차량 몸체의 제벨 제어 및/또는 리프팅에 사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에 반대 영향을 주는 것없이 공압 장치(901 또는 904) 또는 벨로우즈(91)와 저장소(92) 사이의 교차 연결에서 압력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시야 (A), (B), (C), (D)에서 다른 운영 위치를 도시한다.
도 9의 시야 (A)는 또한 포트(X, Y, Z) 사이의 모든 공압적 연결이 끊어진 격리 밸브 조립체(900)의 기능적 위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력 측정은 갤러리 라인(95)에 연결된 압력 센서(98)에 의해 그리고 실제로 바랍직하게 개별적인 벨로우즈(91)를 위해, 원칙적으로 개별적인, 일부의 또는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93)는 개방되거나 평상시 닫힌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 의존하여 일어날 수 있다.
도 10의 시야 (A)에서, 상기 운영 위치는 제 1 제어 밸브(801)에 의해 형성된 일차 밸브(I)가 평상시 닫힌 위치에 남아 있고, 제 2 제어 밸브(802)에 의해 형성된 이차 밸브(II)가 전원 공급에 의해 닫힌 위치로 옮겨진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800)의 기능적 위치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모든 세 개의 포트(X, Y, Z)는 서로로부터 유사하게 공압적으로 격리된다. 이것은 또한 갤러리 라인(95)에 연결된 압력 센서(98)에 의해 개별적인 또는 다수의 또는 전체의 벨로우즈(91)를 위한 갤러리 라인(95)에서 압력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 9 또는 도 10의 시야 (B)는 공압 장치(901 또는 904)에서 저장소(92) 내의 압력이 갤러리 라인(95)에 연결된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공압 시스템(402 또는 401)의 동작 위치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공압 장치(901 또는 904)는 저장소(92)가 갤러리 라인(95)에 연결되는 반면 갤러리 라인(95)의 벨로우즈(91)에 대한 공압 연결은 끊어진 동작 위치로 옮겨진다. 이를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93)는 평상시 닫힌 위치에 고정된다. 도 9의 시야 (B)에서 3/4-웨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공압 연결이 제 1 포트(X)와 제 2 포트(Y) 사이에서 형성되고 제 2 포트(Y)에 대한 공압 연결은 끊어진 동작 위치로 옮겨진다. 이러한 방식에서 갤러리 라인(95)에 대해 3/4-웨이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연결된 저장소(92)는 따라서 역시 갤러리 라인(95)에서 압력 센서(98)에 의해 압력 측정에 관해 감지될 수 있다.
도 10의 시야 (B)에서, 동일한 동작 위치를 위해, 격리 밸브 조립체(800)는 제 1 제어 밸브(801)에 의해 형성된 일차 밸브(I)가 전원이 공급될 때 개방되고 제 2 제어 밸브(802)에 의해 형성된 이차 밸브(II)가 전원이 공급될 때 닫히는 기능적 위치로 옮겨진다. 즉, 도 8 (B)에 도시된 것처럼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전원이 끊어진 위치가 뒤집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소(92)는 갤러리 라인(95)에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저장소(92)의 압력은 갤러리 라인(95)에 연결된 압력 센서(98)에 의해 읽혀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시야 (C)는 저장소(92)에 직접 센서 브랜치 라인(99)를 통해 연결된 압력 센서(98)에 의해 이루어지는 저장소(92)에 대한 압력 측정을 위한 도 9 및 도 10의 시야 (B)에 대한 대체 옵션을 도시한다. 상기 공압 장치(902)의 변형을 위해 3/3-웨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인 격리 밸브 조립체(700)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9의 시야 (C)에 도시된 격리 밸브 조립체(700)의 기능적 위치에서 이것은 도 5에 도시된 3/4-웨이 밸브 조립체(900)의 기능적 위치와 유사하게 전원이 끊어진 위치에 남는다. 게다가 저장소(92)에 연결된 제 1 포트(X)는 어떠한 공압 연결로부터도 끊어진다. 대신 격리 밸브 조립체(700)의 제 2 및 제 3 포트(Y, Z) 사이의 공압 연결은 유지된다. 저장소(92)는 따라서 잔존하는 공압 장치(902)로부터 그리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41)로부터 분리되고, 설명한 것처럼 아력은 저장소(92)에서 직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도 10의 시야 (C)에 도시되듯이, 격리 밸브 조립체(800)는 센서 브랜치 라인(99)을 통해 저장소(92)에 대해 직접적으로 연결된 압력 센서(98)와 함께 공압 장치의 변형(905)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격리 밸브 조립체(800)는 도 6에 도시된 전원이 끊어진 상태에 남게되고, 저장소(92)가 연결된 제 1 포트(X)의 공압 연결은 끊어진다. 저장소(92)의 압력은 따라서 압력 센서(98)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격리 밸브 조립체(800)의 제 2 포트(Y)와 제 3 포트(Z) 사이의 다른 공압 연결은 개방된다.
도 9 및 도 10의 시야 (C)의 변형과 함께, 벨로우즈(91)는 도 7 또는 도 8의 시야(B)를 사용하여 도시된 것처럼 저장소(92)에 압력 측정과 함께 병렬인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를 통해 압축 공기 피드(1)로부터 압축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공압 장치(901, 904)의 배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에 따라 각 공압 장치(901, 904)와 함께 공압 시스템(402, 401)의 운영 위치를 도시한다. 두 케이스 모두에서,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180)는 이를 위해 개방되어, 공압 장치(901 또는 904)는 메인 공압 라인(60), 공기 건조기(61) 및 배기 라인(70)을 통해, 예를 들어 릴레이 밸브의 형태에서 배기 밸브(173)를 통해 배기 연결(3)에 대해 배기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시야 (A)에서, 벨로우즈(91)의 배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전원이 끊어진 위치에 있게 되어 갤러리 라인(95)과 배기 연결(3) 사이의 공압적 연결이 존재한다. 하나 또는 다수의 벨로우즈(91)를 배기하기 위해, 그것은 하나 또는 다수의 레벨 제어 밸브,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93)를 개방시키기 위해 유일하게 필요하다.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93)의 동시 개방은 가능하다면 차량의 급작스런 피칭(pitching)을 회피하기 위해 여기서 회피된다.
도 12의 시야 (A)에서 도시된 공압 장치(904)에서, 격리 밸브 조립체(800)는 도 6에 도시된 즉, 닫혀있는 제 1 밸브(I)를 형성하기 위한 평상시 닫혀있는 제 1 제어 밸브(801)와 개방된 제 2 밸브(II)를 형성하기 위한 평상시 개방된 제어 밸브(802)를 갖는 전원이 차단된 위치에 있다. 따라서, 격리 밸브 조립체(900)를 갖기 때문에, 한편 저장소(92)는 갤러리 라인(95)로부터 공압적으로 연결이 끊어지고, 한편 갤러리 라인(95)은 배기 연결(3)에 대해 공압적으로 개방적으로 연결된다.
열적으로 유도된 압력이 상승하는 것과 같은 예외적인 케이스들에서 저장소(92)를 배기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격리 밸브 조립체(900, 800)는 도 11 및 도 12의 시야 (B)에 도시된 것처럼 저장소(92)가 배기 연결(3)에 대해 공압 라인(96), 메인 공압 라인(60) 및 배기 라인(70)을 통한 공압적으로 개방된 연결을 갖는 기능적 위치로 옮겨진다. 도 11의 시야 (B)로부터 이를 위해 격리 밸브 조립체(900)가 제 1 포트(X)와 제 2 포트(Y)의 사이에 공압적으로 개방된 연결이 존재하는 반면, 제 3 포트(Z)의 공압 연결은 끊어진 기능적 위치에 있음이 명백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소(92)의 배기는 공기 스프링의 개방된 레벨 제어 밸브,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93)을 갖는다 하더라도 안전하게 발생될 수 있다.
도 12의 시야 (B)에 도시된 것처럼, 격리 밸브 조립체(800)를 구비하여, 저장소(92)의 배기는 개방된 갤러리 라인(95), 예를 들어 갤러리 라인(95)이 배기 연결(3)에 대해 제 3 포트(Z)와 제 2 포트(Y)를 통해 공압적 연결을 구비하여 발생된다. 의도하지 않은 벨로우즈(91)의 필링이나 배기 역시 방지하기 위해, 레벨 제어 밸브,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93)가 닫히는 것이 필요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 특히 차량을 위한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형태에서와 관련되고,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를 구비하는 동작을 위해 제공되며 다음을 포함한다.
- 갤러리 라인(95)의 형태에서 수집 라인;
- 갤러리 라인(95)에 공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압력 챔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스프링;
- 갤러리 라인(95)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압축 공기를 위한 저장소(92);
-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에 대한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의 공압적 연결을 위한 압축 공기 연결(2), 본 발명에 따르면, 여기서 이러한 공압적 연결은
- 제 1, 제 2 및 제 3 포트(X, Y, Z)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로 구성된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를 포함하고,
- 저장소(92)는 제 1 포트(X)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 압축 공기 연결(2)는 제 2 포트(Y)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및
- 갤러리 라인(95)은 제 3 포트(Z)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제 2 포트(Y)는 공압 연결이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닫히는 닫힌 상태로 스위칭 될 수 있음.
도면 부호의 리스트(상세한 설명의 구성)
0; 공기 피드
1; 압축 공기 피드
2; 압축 공기 연결
3; 배기 연결
11, 21, 31, 41; 압축 공기 공급 장치
51; 공기 컴프레서
52; 압축 공기 공급 연결
60; 메인 공압 라인
61; 공기 건조기
62; 제 1 초크(제한 수단)
70; 배기 라인
71; 비가역 밸브
72; 제 2 초크
73, 173; 배기 밸브
74; 필터
80, 180;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81; 제 1 코일
82; 제 2 코일
83; 제 3 제어 라인
84; 제 4 제어 라인
84.1, 84.2; 제 1 제어 라인, 제 2 제어 라인
90; 벨로우즈 브랜치 라인
91; 벨로우즈
92; 저장소
93; 솔레노이드 밸브
93; 저장소 브랜치 라인
95; 갤러리 라인
96; 추가적인 공압적 라인
97, 97'; 밸브 블록
98; 전압 압력 센서
99; 센서 브랜치 라인
101, 201, 301, 302, 401, 402; 공압 시스템
160; 제어 브랜치 라인
170; 배기 브랜치 라인
175; 제어 밸브
700, 800, 800', 900; 격리 밸브 조립체
801, 801'; 제 1 제어 밸브
802, 802'; 제 2 제어 밸브
901', 902, 903, 904, 905; 공압 장치
M; 모터
X; 제 1 포트
Y; 제 2 포트
Z; 제 3 포트
I; 일차 밸브
II; 이차 밸브
Ia, IIa; 봉합 요소
Ib; 일차 아마추어
IIb; 이차 아마추어
Ic, IIc; 밸브 스프링
Id, IId; 밸브 시트
III; 코일 바디

Claims (15)

  1.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를 구비하고, 특히 청구항 14항에서 청구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를 구비한 운영을 위해 제공되는, 차량을 위한 압축 공기 장치에 있어서,
    각각이 공기 스프링과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의 압력 챔버로 동작하고, 상기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가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로부터 격리 밸브 조립체를 통해 채워지고 배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로 구성된 다수의 벨로우즈(91)에 대한
    갤러리 라인(95)을 포함하고,
    -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는 제 1, 제 2 및 제 3 포트(X, Y, Z)를 포함하고,
    저장소(92)가 상기 제 1 포트(X)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포트(Y)에 대해 공압 라인(96)을 통해 공압적으로 연결된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의 공기 건조기(61)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2), 및
    갤러리 라인(95)은 상기 제 3 포트(Z)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및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는 적어도 3개의 스위칭 위치를 채용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스위칭 위치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의 상기 제 2 포트(Y)는 상기 갤러리 라인(95) 및 공기 건조기(61) 사이의 공압 라인(96)이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닫히는 닫힌 상태로 스위칭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는 상기 갤러리 라인(95)과 공기 건조기(61) 사이, 특히 갤러리 라인(95)과 공기 건조기(61)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2) 사이에서 유일한 밸브 조립체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갤러리 라인(95)과 상기 공기 건조기(61)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2) 사이의 싱글 공압 라인(96)에서 유일한 밸브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벨로우즈(91) 중 하나의 벨로우즈(91)는 상기 갤러리 라인(95)에 대한 벨로우즈 브랜치 라인(90)에서 솔레노이드 밸브(93)의 형태인 제어 밸브를 통해 연결되고 및/또는 상기 저장소(92)는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의 제 1 포트(X)에 대한 저장소 브랜치 라인(94)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800, 800', 900)는 4개의 스위칭 위치를 채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800, 800')는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801, 801', 802, 80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3 포트(Z)는 상기 제 1 제어 밸브(801, 801') 및 제 2 제어 밸브(802, 802') 사이에 공압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X)는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800, 800')의 상기 제 1 제어 밸브(801, 801')에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제 2 포트(Y)는 상기 제 2 제어 밸브(802, 802')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제어 밸브(801, 801', 802, 802')는 2/2-웨이 밸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801, 801', 802, 802')는 듀얼 아마추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800, 800')의 제 1 제어 밸브(801, 801')는 저장소 브랜치 라인(94)에 형성되고,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800, 800')의 제 2 제어 밸브(802, 802')는 상기 공압 라인(9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900)는 3/4-웨이 밸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700)는 3개의 스위칭 위치를 채용하도록 특히 3/3-웨이 밸브에 의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 브랜치 라인(94)은 밸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브랜치 라인(90)의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93) 각각과 함께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밸브 블록(97, 97')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 장치.
  14. 특히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운영하기 위해 제공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에 있어서,
    - 압축 공기 피드(1),
    - 상기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의 갤러리 라인(95)에 연결될 수 있고, 공기 건조기(61), 제한 수단(62) 및 상기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의 갤러리 라인(95)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2)을 포함하는 압축 공기 피드(1)의 메인 공압 라인(60), 및
    - 상기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가 이를 통해 상기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를 통해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로부터 채워지거나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로 구성된 제어 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
    - 상기 메인 공압 라인(60)과 주위에 대한 배기 연결(3)에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가능한 배기 밸브(73, 173)을 갖는 배기 라인(70)을 포함하고,
    -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는 상기 갤러리 라인(95)에 대한 압축 공기 연결(2)에 연결되고, 제 1, 제 2 및 제 3 포트(X, Y, Z)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공압 라인(60)은 상기 제 2 포트(Y)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갤러리 라인(95)에 대한 상기 압축 공기 연결(2)은 상기 제 3 포트(Z)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의 저장소(92)는 상기 제 1 포트(X)에 대해 연결될 수 있고,
    - 상기 격리 밸브 조립치(800, 800')는 적어도 3개의 스위칭 위치를 채용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스위칭 위치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의 제 2 포트(Y)는 상기 갤러리 라인(95)과 공기 건조기(61) 사이의 상기 메인 공압 라인(60)이 양방향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닫히는 닫힌 상태로 스위칭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15. 에어 서스펜션 장치, 특히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에서 청구된 것처럼, 차량을 위한 에어 서스펜션 장치를 구비하고, 특히 제 14 항에서 청구된 것처럼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를 통한 운영을 위해 제공되는 공압 시스템(101, 201, 301, 302, 401, 402)에 있어서,
    - 다수의 벨로우즈(91)가 연결되고, 각각이 공기 스프링과 공압 라인(96)을 위한 압력 챔버로서 동작하는 갤러리 라인(95)을 구비하는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
    - 상기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의 운영을 위해 제공되고, 특히 차량을 위한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형태인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이고,
    - 압축 공기 피드(1),
    - 공기 건조기(61), 제한 수단(62) 및 압축 공기 연결(2)을 포함하는 압축 공기 피드(1)로부터의 메인 공압 라인(60), 및
    - 제어 가능한 배기 밸브(73, 173)을 통해 상기 메인 공압 라인(60)과 주위에 대한 배기 연결(3)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된 배기 라인(70)을 포함하고,
    - 이를 통해 상기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가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로부터 채워지거나 배기될 수 있고 상기 메인 공압 라인(60), 압축 공기 연결(2) 및 공압 라인(96)로 구성된 공압 연결에 대해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의 공기 건조기(61)와 상기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의 갤러리 라인(95)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어가능한 격리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는 제 1, 제 2 및 제 3 포트(X, Y, Z)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 장치(901, 902, 903, 904, 905)의 저장소(92)는 상기 제 1 포트(X)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장치(11, 21, 31, 41)의 공기 건조기(61)에 대한 공압적 연결은 상기 제 2 포트(Y)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갤리리 라인(95)은 상기 제 3 포트(Z)에 대해 공압적으로 연결되며,
    -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는 적어도 3개의 스위칭 위치를 채용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스위칭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격리 밸브 조립체(700, 800, 800', 900)의 제 2 포트(Y)가 상기 갤러리 라인(95)과 공기 건조기(61) 사이의 공압 연결이 양방향으로 그리로 완전하게 닫히는 닫힌 상태로 스위칭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시스템.
KR1020137012923A 2010-12-16 2011-11-22 에어 서스펜션 장치,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시스템 KR101905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54705A DE102010054705A1 (de) 2010-12-16 2010-12-16 Luftfederanlage,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DE102010054705.0 2010-12-16
PCT/EP2011/005866 WO2012079691A1 (de) 2010-12-16 2011-11-22 Luftfederanlage,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98A true KR20140000698A (ko) 2014-01-03
KR101905201B1 KR101905201B1 (ko) 2018-10-05

Family

ID=4502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923A KR101905201B1 (ko) 2010-12-16 2011-11-22 에어 서스펜션 장치,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05719B2 (ko)
EP (1) EP2651670B1 (ko)
KR (1) KR101905201B1 (ko)
DE (1) DE102010054705A1 (ko)
WO (1) WO20120796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34A (ko) * 2017-02-02 2018-08-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KR20240027951A (ko) 2022-08-24 2024-03-05 김태환 소스 파우치 짜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4703B4 (de) * 2010-12-16 2019-12-12 Wabco Gmbh Luftfeder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Fahrzeug mit einer Luftfederanlage und ein Verfahren zum Betrieb einer Pneumatikanlage der Luftfederanlage
DE102011121756A1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DE102011121755A1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EP2769878B1 (en) * 2013-02-20 2015-03-25 Schukra Gerätebau GmbH Seat adjust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eat adjustment
CN106457949B (zh) * 2014-05-22 2020-07-21 威伯科有限公司 气动簧载车辆的牵引调节方法及用于执行该方法的空气弹簧系统
DE102014009419B4 (de) * 2014-06-25 2023-06-07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Druckluftversorgungssanlage
KR102272444B1 (ko) * 2015-05-29 2021-07-01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US10017025B2 (en) * 2016-03-18 2018-07-10 BeijingWest Industries Co., Inc. Vehicle suspension control system with high flow exhaust mechanization
DE102016003662B4 (de) * 2016-03-30 2023-06-22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DE102016003661B4 (de) * 2016-03-30 2023-06-29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S10442267B2 (en) * 2016-10-24 2019-10-15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Vehicle suspen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manifold exhaust noise on compressor start
US10596873B2 (en) 2017-02-09 2020-03-24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Vehicle suspen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GB2563274B (en) * 2017-06-09 2022-03-16 Norgren Ltd C A Air suspension control valve system
DE102017011526A1 (de) * 2017-12-13 2019-06-13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zum Betreiben einer Pneumatikanlage, Verfahren und Fahrzeug
EP4169752A1 (en) * 2021-10-25 2023-04-26 ZF CV Systems Global GmbH Assembly in a compressed-air system of a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595A (en) * 1991-09-13 1995-11-21 Dunlop Limited Valve means
US7741941B2 (en) * 2006-11-30 2010-06-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ual armature solenoid valv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2974A1 (de) 1985-12-05 1987-06-11 Wabco Westinghouse Fahrzeug Niveauregeleinrichtung fuer fahrzeuge mit luftfedern
JPH01141112A (ja) * 1987-11-27 1989-06-02 Kayaba Ind Co Ltd 車高調整制御方法
GB2292916B (en) * 1992-06-23 1996-06-12 Rover Group A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DE19724747C1 (de) 1997-06-12 1998-06-25 Continental Ag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Luftfedern
JP4019336B2 (ja) 1998-03-18 2007-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アコンプレッサ
JP4286972B2 (ja) * 1998-07-31 2009-07-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圧縮機
DE19959556C1 (de) * 1999-12-10 2000-12-14 Continental Ag Geschlossene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DE10064395C2 (de) 2000-12-21 2002-11-14 Continental Ag Niveauregel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EP1243447B1 (de) * 2001-03-24 2005-12-21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Geschlossene Niveauregelanlage für Fahrzeuge
DE10121582C2 (de) 2001-05-03 2003-04-17 Continental Ag Luftversorgungs-Aggregat für Fahrzeuge mit einem Kompressor und einem Schalldämpfer
DE10223405B4 (de) 2002-05-25 2007-01-11 Daimlerchrysler Ag Luftfed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31251C1 (de) 2002-07-11 2003-08-14 Continental Ag Geschlossene Niveauregelanlage mit zwei Druckspeichern für Fahrzeuge
DE10240358A1 (de) 2002-09-02 2004-03-11 Wabco Gmbh & Co. Ohg Luftfederungsanlage für ein Fahrzeug
DE10322578B3 (de) * 2003-05-20 2004-09-09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Luftversorgung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8011543B4 (de) * 2008-02-28 2014-07-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Ausgleich eines Leckageverlustes in einer Niveauregelanlage
DE102008064647B4 (de) * 2008-03-26 2011-09-22 Miro Gudzulic Messeinrichtung für eine Luftfe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595A (en) * 1991-09-13 1995-11-21 Dunlop Limited Valve means
US7741941B2 (en) * 2006-11-30 2010-06-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ual armature solenoid valve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34A (ko) * 2017-02-02 2018-08-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KR20240027951A (ko) 2022-08-24 2024-03-05 김태환 소스 파우치 짜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05719B2 (en) 2015-12-08
WO2012079691A1 (de) 2012-06-21
EP2651670A1 (de) 2013-10-23
US20130257007A1 (en) 2013-10-03
KR101905201B1 (ko) 2018-10-05
EP2651670B1 (de) 2018-07-04
DE102010054705A1 (de)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0698A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시스템
CN107627805B (zh) 压力介质供给设备、气动系统和用于该设备的方法
US10865813B2 (en)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a pneumatic installation
CN104010846B (zh) 机动车的空气悬架系统和用于对其进行控制的方法
US10682894B2 (en) Air suspension system
US8448951B2 (en) Closed ride control system for vehicles
KR102357742B1 (ko)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US8740316B2 (en) Compressed air preparation device
US10343479B2 (en) Pneumatic circuit for passenger car pneumatic suspension system
US10960724B2 (en)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for operating a pneumatic installation, method and vehicle
CA2681104C (en) Compressed air supply unit for a commercial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US11052717B2 (en) Suspension system
CN104039570A (zh) 机动车的空气悬架系统和用于对其进行控制的方法
US20140059876A1 (en) Dryer circuit for a pneumatic regulating device of a vehicle
US11542966B2 (en) Compressed-air supply system for operating a pneumatic installation, method and vehicle
CN112805163B (zh) 空气悬架装置
US20190100070A1 (en) Air suspension apparatus
CN108883684B (zh) 气动系统、压缩空气供应设备、其和/或气动设备运行的方法和其控制和/或调控装置
JP2009046027A (ja) エア回路
CN108883682B (zh) 空气悬架系统
US20060006733A1 (en) Pneumatic spring system for a vehicle
CN108883683B (zh) 压缩空气供应设备
JP2015054643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80037126A (ko)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공압 회로
CN115946491A (zh) 用于车辆高度调节的供气系统和供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