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742B1 -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742B1
KR102357742B1 KR1020167036369A KR20167036369A KR102357742B1 KR 102357742 B1 KR102357742 B1 KR 102357742B1 KR 1020167036369 A KR1020167036369 A KR 1020167036369A KR 20167036369 A KR20167036369 A KR 20167036369A KR 102357742 B1 KR102357742 B1 KR 10235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urge
line
compressed ai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859A (ko
Inventor
디터 프랑크
프랑크 마이스너
우베 스타베노브
Original Assignee
바브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브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브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23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05Filling or draining of flui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wherein the fluid is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3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having pressure fluid accumulator therefor, e.g. accumulator arranged in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1Removal or measurement of solid or liquid contamination, e.g.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8Arrangements for compressed air preparation, e.g. comprising air driers, air condensers, filters, lubricators or pressure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4Fluid spring with an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02Supply or exhaust flow rates; Pump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3Distributor valve unit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e.g. valves, pump or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4Pressure regulating valves for air-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4Pressure regulating valves for air-springs
    • B60G2500/2044Air exhaus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5Air-compresso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1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 F15B2211/41563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flow control mean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d a retur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2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428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85Control specific to the type of fluid, e.g. specific to magnetorheological fluid
    • F15B2211/8855Compressible fluids, e.g. specific to pneuma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 장치(90, 90', 90"), 특히 차량의 에어 스프링 장치의 작동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 10', 10")로서:
- 압축 공기 공급원(1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압축기(21)를 가진 공기 공급원,
- 에어 드라이어(61)와 압축 공기를 공압 장치(90, 90', 90")에 공급하기 위한 압축 공기 연결부(2)를 구비한 공압 메인 라인(60),
- 특히 공압 메인 라인(60)으로부터 압축 공기 공급원(1)으로 분기되고 퍼지 라인(70)에 연결된 퍼지 밸브(71)와 주변 환경으로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퍼지 연결부(3)를 포함하는 퍼지 라인(70)으로서, 퍼지 밸브(71)는 제어 가능한 밸브 조립체(40, 40', 40")인 퍼지 라인(7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지 밸브(71), 특히 적어도 퍼지 밸브(71)를 가진 밸브 조립체(40, 40', 40")가 공기 압축기(21)로부터 추출된 제어 압력으로 공압적으로 재하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COMPRESSED-AIR SUPPLY INSTALLATION, PNEUMATI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ED-AIR SUPPLY INSTALLATION}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장치와 관련되어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특히 공압 장치의 작동을 위한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과 관련되어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특히 차량의 에어 스프링 시스템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모든 형태의 차량에 사용된다. 에어 스프링 시스템은 또한 차축과 차량의 섀시(chassis)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탑승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두에 언급한 공압 시스템의 에어 스프링 장치는 공통 라인(갤러리(gallery))에 공압적으로 연결된 많은 수의 에어 벨로즈(air bellows)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점차로 팽창될 때 차량의 섀시를 들어올릴 수 있고 충전 레벨이 감소할 때 섀시를 내릴 수 있다. 차축과 차량의 섀시 사이의 거리(또는 지면과의 간격)가 증가함에 따라, 스프링 변형량이 점차 길어지며 지면과의 더 큰 충돌도 차량 섀시와 접촉함이 없이 극복될 수 있다. 이런 시스템은 오프로드 차량과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에 사용된다. 특히 매우 강력한 엔진을 가진 SUV에서 우선 도로 상에서 높은 속도를 위해 비교적 낮은 지상 간격을 제공하고, 다음으로 오프로드 사용을 위해 상대적으로 큰 지상 간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상 간격의 변화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속도, 유연성 및 신뢰성과 관련한 그 요구를 증가시킨다.
공압 장치, 예컨대 위에 설명된 에어 스프링 장치를 가진 공압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의, 예컨대 5bar에서 20bar의 압력 레벨 범위의 압축된 공기로 작동된다. 압축 공기는 공기 압축기를 이용하여 압축 공기 공급원에서 이용 가능하게 만들어진다. 압축 공기 공급원은 공압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압축 공기 연결부에 공압적으로 연결되며, 다음으로 퍼지 연결부(purge connection)에 공압적으로 연결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퍼지 밸브 조립체를 통해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퍼지 연결부로 배기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장기간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이것은 압축 공기를 건조하는 에어 드라이어(air dryer)를 포함한다. 이것은 공압 시스템에서 습기의 축적을 방지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밸브를 손상시키는 결정화로 귀결될 수 있으며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장치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결함으로 귀결될 수도 있다. 에어 드라이어는 압축 공기가 통과하여 흐를 수 있는 통상적으로 입자상인 건조 작용물을 포함하는데,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에서 입자가 압축 공기에 함유된 습기를 흡착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에어 드라이어는 재생성 에어 드라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에서의 각각의 퍼지 싸이클에서 에어 스프링 시스템으로부터의 건조된 압축 공기가 충전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역류로, 또는 동축류로 입자를 통과하여 흐르는 것으로 성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퍼지 밸브 장치가 개방될 수 있다. 압력 변화 흡수(pressure-change absorption)라고도 불리는 이 사용법에 대해,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특히 압력 변화를 수반하여 상대적으로 신속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어 드라이어의 재생을 위해 충분한 퍼지가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동시에 신뢰성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출원인의 DE 35 429 74 A1은 에어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을 위한 탑승 높이 제어 장치를 위해 서두에 언급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로써 차량의 하중에 따라 차축으로부터 차량 탑승칸의 미리 정해진 거리가 에어 스프링을 충전하고 배기하는 것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에어 스프링의 압력을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는, 통상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자기 퍼지 밸브(magnetic purge valve) 및 안전 밸브를 포함한다. 이런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서두에 언급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또한 에어 스프링 장치를 구비한 서두에 언급한 공압 시스템의 맥락에서 EP 1 165 333 B2에 개시되어 있다. 독립적으로 정지될 수 있는 메인 퍼지 라인과 함께, 이것은 메인 퍼지 라인에 있는 제어 밸브를 가지고 공압적으로 제어되는 메인 퍼지 밸브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고압 퍼지 밸브를 구비하는 고압 퍼지 라인을 포함하는데, 이는 메인 퍼지 라인에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다. 별도의 고압 퍼지 밸브의 자유 유동 단면은 메인 퍼지 밸브의 그것보다 작다. 이런 압축 공기 공급 장치 역시 더욱 개선될 수 있다. 고압 퍼지 라인을 통해 이런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퍼지할 때, 건조 작용물을 재생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건조 공기가 퍼지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특히 상대적으로 높은 작동 속도를 가지고 앞선 적용예에 적합하며, 유연하고 신속하며 신뢰성 있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에 불필요한 건조 공기의 낭비와 동일시된다.
제어 가능한 자기 밸브 조립체의 형태로 퍼지 밸브 조립체를 구비한 앞서 언급한 모든 해결책들은 자기 부분의 비작동 상태에서 자기 밸브 조립체의 공압 부분이 폐쇄되는 것을 제공한다. 즉, 이 해결책들은 통상적으로 폐쇄된 자기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특히 DE 35 42 974 A1에 개시된 해결책과 관련하여, 통상적으로 폐쇄된 자기 퍼지 밸브 조립체는, 종종 추가적인 압력 제한용 또는 안전 밸브가 신뢰성 있는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불리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통상적으로 폐쇄된 상태에서 자기 밸브 조립체의 릴레이 밸브가 닫히기 때문에, 이것이 개별적인 경우에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들러붙는 것을 초래할 수 있고, 몇몇 경우에 자기 밸브 조립체의 릴레이 밸브의 스위치 기능이 신뢰성 있게 보장되지 않는다.
퍼지를 위한 밸브 조립체와 에어 드라이어를 구비한 압축공기 공급 장치를 가능한 한 단순하지만 신뢰성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DE 39 19 438 C2는 에어 드라이어가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밸브 장치를 통해 대기로의 배출구에 연결될 수 있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밸브 장치는 전기 제어 배출구를 구비한 전기 라인을 통해 전자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 제어 유입구를 구비하는데, 비작동 상태에서 밸브 장치가 개방된다. 에어 스프링을 팽창시키기 위해, 밸브 장치는 대기로의 배출구에 대한 에어 드라이어의 연결이 중단되는 스위치 위치를 갖고 있다.
DE 197 242 747 C1은 에어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을 위한 탑승 높이 제어 장치를 개시하는데, 여기서는 공압적으로 제어 가능한 방향성 밸브가, 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공기 제어 압력을 갖고 제어 라인을 통해 스위칭하기 위해 공압 메인 라인에 제공되어 있다. 제어 라인은 추가적인 방향성 밸브를 통해 대기로 연결될 수 있어서,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공압 메인 라인의 방향성 밸브는, 압축기를 에어 드라이어로 연결하는 한 스위치 상태로부터, 에어 드라이어를 대기로 연결하는 다른 스위치 상태로 바뀔 수 있다.
이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또한 개선될 수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출발점인 바, 그 목적은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장치 및 방법을 내보이는 것이다. 특히, 비작동 상태에서 폐쇄되어 있는 퍼지 밸브와 관련된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종래 기술에 대한 대안적인 해결책이 주어진다.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퍼지 및/또는 건조 성능이 개선되는데, 여기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자기 밸브 조립체에 관한 근본적인 기술적 예측 불가성이 제거된다. 특히, 퍼지 밸브의 자기 부분이 상대적으로 신뢰성 있게 기능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이 목적은, 장치와 관련하여서는 서두에 언급한 형태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성취되는데, 여기에는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의 특징부의 특징들이 제공된다. 이 목적은 청구항 20의 공압 시스템으로 이어진다. 이 목적은,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청구항 21에 주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은 공압 장치, 특히 차량의 에어 스프링 장치의 작동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기초하고 있는 것으로:
- 압축 공기 공급원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압축기를 가진 공기 공급원,
- 에어 드라이어와 압축 공기를 공압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압축 공기 연결부를 구비한 공압 메인 라인,
- 특히 공압 메인 라인으로부터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 분기되고 퍼지 라인에 연결된 퍼지 밸브와 주변으로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퍼지 연결부을 포함하는 퍼지 라인으로서, 퍼지 밸브는 제어 가능한 밸브 조립체인 퍼지 라인을 포함하되, 퍼지 밸브는 제어 가능한 밸브 조립체의 일부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지 밸브가 공기 압축기로부터 추출된 제어 압력에 의해 특히 직접적으로 공압적으로 재하(loading)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적어도 퍼지 밸브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는 공기 압축기로부터 추출된 제어 압력으로 특히 직접적으로 공압적으로 재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압적으로 제어 가능한 밸브 조립체에 의해 자기 밸브 조립체의 근본적인 취약성들이 제거될 수 있다는 고려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공압적으로 제어 가능한 밸브 조립체들을 가지고, 전기적 간섭 또는 케이블 단락, 접촉 문제 등에 대한 근본적인 민감도가 방지될 수 있다; 특히, 공압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밸브 조립체는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은 - 간단히 표현하여 - 공압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퍼지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밸브 조립체의 공압적으로 제어된 재하를 위해 제어 압력이 공기 압축기로부터의 제어 압력으로서 비교적 손쉽게 추출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바람직하게 제어 압력은 공기 압축기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공압 제어 개념을 가지고, 전기적 제어 라인들이 생락될뿐만 아니라, 제어 압력이 공기 압축기로부터 직접적으로 추출되기 때문에 밸브 조립체를 재하하기 위한 공압 제어 라인들도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개념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수행될 수 있고 공기 압축기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감소된 부품 복잡성과 비용이 이전에 알려져 있는 해법들과 대비되어 얻어지고, 고장의 위험도 감소된다; 또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위한 설치 공간의 향상된 활용이 존재한다. 상대적으로 단순한 디자인으로 인해,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증대된 기능적 신뢰성을 가지고 수행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에너지 절약적인 개념을 가진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자기 밀봉되는(self-sealing) 에어 드라이어 배출구를 가능하게 하는 드라이어 회로로 귀결되는데, 여기서 퍼지 자석이 생략될 수 있다. 에어 드라이어 배출구를 자기 밀봉하는 밸브 조립체의 기능은 공기 압축기의 작동의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이 제공된다:
- 밸브 조립체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퍼지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 공기 압축기로부터 특히 직접적으로 추출된 제어 압력을 가지고 밸브 조립체를 공압적으로 재하함으로써 퍼지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더 간결하게 표현하면, 압축기로 제어되는 퍼지 기능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형들이 종속항들에 주어져 있으며, 앞서 개략 제시된 개념들을 이행하기 위한 유리한 가능성을 과제의 맥락에서, 그리고 추가적인 장점과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방법의 맥락에서, 퍼지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체크 밸브, 특히 제어 라에 배열된 체크 밸브 및/또는 압축기의 배출 밸브는, 압축기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 제어 라인이 체크 밸브의 차단 방향으로 퍼지되도록 정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퍼지 밸브를 폐쇄하기 위해, 체크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 특히 제어 라인에 배열된 체크 밸브 및/또는 압축기의 배출 밸브가, 압축기가 작동 중일 때 제어 압력이 유지되도록, 특히 제어 압력이 반드시 유지되도록 동적으로 폐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형의 맥락에서, 밸브 조립체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즉 제어 압력의 재하 없이, 퍼지 밸브가 개방된다. 더욱 바람직한 개선형의 맥락에서, 밸브 조립체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즉 압력 제어 압력의 재하 없이, 퍼지 밸브가 폐쇄된다. 영구적으로 폐쇄된 밸브들은 예컨대 밸브 피스톤이 밸브 시트 상에 들러붙거나 고착되는 경향을 가진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이들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런 민감성은 밸브 조립체가 제어 재하가 없는 제어 상태에 있을 때 개방되는 퍼지 밸브를 통해 이론적으로 회피된다; 그러나 앞서 인용된 특히 바람직한 개선형은 이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기능을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 개념은 마지막으로, 공기 압축기가 작동 중일 때 퍼지 밸브가 폐쇄되며 공기 압축기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 퍼지 밸브가 개방되는 것을 제공한다. 바꾸어 말해, 공기 압축기의 작동 시, 에어 드라이어 배출구는 - 작동 중에 직접적으로 추출된 제어 압력으로 인해 - 퍼지 밸브의 폐쇄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된다. 반대로, 압축기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 그리고 따라서 밸브 조립체가 비활성 상태일 때, 퍼지 밸브는 예컨대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 압력 하에서 개방되고, 공압 메인 라인의 에어 드라이어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연결된 임의의 공압 장치가 완전히 퍼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퍼지 밸브는 공기 압축기로부터 직접적으로 추출된 제어 압력을 가지고 공압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퍼지 밸브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퍼지 밸브가 개방된다. 개선형은 유리하게, 밸브 조립체를 재하하기 위해 제공된 제어 압력이 퍼지 밸브를 활성화시키는 제어 압력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압력이 퍼지 밸브의 제어 압력 연결부에 존재한다.
특히, 퍼지 밸브의 공압 부분이 2/2-웨이 방향성 밸브로 형성된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이 개념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적인 개선형의 맥락에서, 공압적으로 작동 가능한 2/2-웨이 방향성 밸브는 제어 압력이 재하되지 않을 때 개방되는 퍼지 밸브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갤러리 압력이 퍼지 시에 지나갈 수 있다. 공기 압축기의 압축기의 작동 개시 시에, 퍼지 밸브(바람직하게는 2/2-웨이 방향성 밸브의 형태로 된)는 폐쇄된다. 이론적으로, 밸브 조립체의 일부로서 공기 압축기로부터 직접적으로 추출된 제어 압력으로 공압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한, 압축 공기의 직접적인 스위칭에 적합한 어떤 다른 퍼지 밸브도 제공될 수 있다.
퍼지 밸브는 특히 압축 공기의 직접적인 스위칭을 위해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바람직한 개선형에 따르면, 퍼지 라인에서 이것은 압력측 밸브 연결부와 퍼지측 밸브 연결부, 그리고 제어 라인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압력 제어 연결부를 가진다.
공기 압축기로부터 직접적으로 추출된 제어 압력을 얻기 위해, 제어 라인이 공기 압축기, 특히 압축기 그 자체의 압축기 챔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공기 압축기는 바람직하게는 압축기, 예컨대 압축기 챔버를 포함하는 일단(single-stage) 또는 이단(two-stage) 압축기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형의 맥락에서, 제어 라인은 공기 압축기의 압축기 챔버로부터 2/2-웨이 방향성 밸브의 형태인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로 이어지는데, 여기서 압력 제어 연결부에 제어 압력이 재하되지 않은 상태일 때, 퍼지 밸브가 개방된다.
이에 더하여 밸브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충전 기능 시에 에어 드라이어 배출구의 자동적인 폐쇄와, 에어 드라이어의 퍼지 및 바람직하게는 제어 라인의 퍼지를 위한 에어 드라이어 배출구의 자동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형의 맥락에서, 밸브 조립체는 퍼지 밸브에 더하여 체크 밸브 기능을 가진 카운터 밸브 및/또는 쵸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퍼지 밸브는 퍼지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체크 기능을 가진 카운터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바이패스 라인에 평행한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바이패스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쵸크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형의 제1 변형예의 맥락에서, 체크 기능을 가진 카운터 밸브는 체크 밸브로서 형성된다. 체크 밸브는 자동적인 압력 재하 개방을 위한 개방 방향과 차단 방향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체크 밸브는 셔터 체크 밸브(shutter check valve)로서 형성된다.
제1 파생형의 맥락에서, 밸브 조립체의 체크 밸브는 제어 라인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공기 압축기의 압축기 챔버와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 사이의 체크 밸브의 배열이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구조는 상대적으로 신뢰성 있으며 공기 압축기의 배출 밸브에 더하여 체크 밸브의 규정된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에 체크 밸브의 자동적인 개방 방향으로 제어 압력이 재하될 수 있다. 공기 압축기를 통한 제어 라인의 가압 시에 바람직하게는 먼저 체크 밸브가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제2 변형예의 맥락에서, 공기 압축기의 압축기의 압축기 챔버는 배출 밸브(바람직하게는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의 공압 공급 라인에서)와, 몇몇 경우에 있어서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압축기 조립체의 체크 기능을 가진 카운터 밸브의 기능을, 특히 압축기 배열의 체크 밸브를 대체하여 수행하는 연결 밸브(바람직하게는 퍼지 밸브의 제어 연결부로의 공압 제어 라인에서)도 구비할 수 있다. 이 파생형은 배출 밸브 및/또는 연결 밸브가 압축 공기 공급원을 위한 압축 공기의 배기를 위해서만 상승 효과를 갖고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압축기의 압축기 챔버와 퍼지 밸브의 압력 제어 연결부 사이에서 체크 밸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퍼지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순수히 기계적인 차단 밸브로서 구성된다.
이상의 파생형들 각각에 더하여 또는 이들을 대체하여, 체크 기능을 가진 추가적인 카운터 밸브, 특히 추가적인 제1 체크 밸브를 압축기의 압축기 챔버와 공압 메인 라인의 압축 공기 연결부 사이의 공압 공급 라인에 배열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특히, 체크 기능을 가진 추가적인 카운터 밸브, 특히 추가적인 체크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는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 공기 연결부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이 추가적인 파생형은 특히 추가적인 제1 체크 밸브가 위에 언급한 제1 파생형의 제1 체크 밸브를 대체하는 경우에 구조상 상대적으로 간단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후자의 경우에 특히, 제어 라인이 체크 밸브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추가적인 파생형의 맥락에서, 제어 라인은 압축기의 압축기 챔버와 추가적인 체크 밸브 사이에서 분기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도 제어 라인의 공기 압축기로의 연결 및 공압 공급 라인의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제어 라인은 압축기 챔버로 직접 연결되거나 및/또는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의 공압 공급 라인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특히 앞서 언급된 개선형들에 따르면 밸브 조립체가 활성화된 상태일 때, 압력 제어 연결부를 위한 제어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 압축기가 작동되는 것이 성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압력은 체크 밸브가 그 차단 방향을 거슬러 자동적으로 개방되기에 충분하다. 반대로, 압축기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 제어 라인이 체크 밸브의 차단 방향으로 퍼지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특히, 이를 위해 - 간단히 말해 - 동적으로 실링되고 정적으로 실링 해제되는 체크 밸브가 적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구조적인 관점에서, 체크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정해진 정적인 누설을 가진 셔터 체크 밸브로서 이행될 수 있다.
특히, 퍼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파생형에서, 퍼지 쵸크가 체크 밸브를 바이패스하는 제1 바이패스 라인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는데, 이를 통해 공기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체크 밸브의 차단 방향으로, 특히 양방향적으로 흐를 수 있다.
이론적으로, 퍼지 쵸크를 구비한 제1 바이패스 라인 또한 제2 파생형에서 예컨대 제어 라인에 평행한 라인으로서 또는 위에 언급한 압축기와 압축 공기 연결부 사이의 공압 공급 라인에 평행한 라인으로서 이행될 수 있다.
퍼지 쵸크를 구비한 제1 바이패스 라인은 제3 파생형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압축기의 압축기 챔버에 평행한 라인으로서, 특히 압축기의 압축기 챔버의 배출 밸브에 평행한 라인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퍼지 쵸크를 구비한 제1 바이패스 라인은 제4 파생형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압축기의 압축기 챔버의 배출 밸브에 평행한 라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측에서, 특히 양측에서 공급 라인에 연결된 라인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퍼지 쵸크를 구비한 제1 바이패스 라인의 위에 언급한 4개의 파생형 및 여기서 제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파생형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행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공압 메인 라인의 제1 쵸크 및/또는 퍼지 라인의 제2 쵸크의 바람직한 배열은 효율적인 퍼지 및 드라이어 재생을 위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조립체는 또한 바이패스 라인에 평행하게 연결된 체크 기능을 구비한 카운터 밸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쵸크가 체크 기능을 구비한 카운터 밸브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라인에 배열되는데, 이 라인을 통해 공기가 체크 기능을 구비한 카운터 밸브의 차단 방향으로, 특히 양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특히, 체크 밸브 및/또는 배출 밸브 및/또는 연결 밸브 - 특히 제어 라인에 배열된 체크 밸브 및/또는 압축기의 배출 밸브 및/또는 연결 밸브 - 는 압축기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 제어 라인이 체크 밸브의 차단 방향으로 퍼지될 수 있도록 정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밸브 조립체의 동적으로 폐쇄되는 기능은 압축기가 작동 중일 때 제어 압력이 유지되도록 제1 체크 밸브와 특히 추가적인 쵸크를 가진 제1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한다; 제어 압력은, 공기가 체크 밸브의 차단 방향으로 퍼지 밸브를 통과하여 흐를 때이더라도 그 차단 방향을 거스른 제1 체크 밸브의 자동적인 개방을 위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역시 부분적으로 묘사된 종래 기술과 대비되어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면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반드시 축적에 맞지는 않게 묘사하는데, 오히려 도면은 - 설명을 위해 유용하다면 - 개략적인 형태 및/또는 약간 왜곡된 형태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명백한 교시에 더하여 관련된 종래 기술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실시예의 형태나 상세와 관련하여 다중적인 변형이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 중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들, 도면 및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개선에 개별적으로, 그리고 임의적인 조합으로서 본질적일 수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 도면 및/또는 청구항들에 개시된 적어도 2가지 특징들의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은 이하에서 나타내고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정확한 형태나 상세로 국한되지 않으며, 청구항들에 청구된 목적들과 대비하여 제한될 수 있는 목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시된 임의의 수치 범위들은 상기 한계 이내에 제한값들로서 놓여 있는 값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필요에 따라 활용되거나 청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들, 특징들 및 상세들은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다음을 보여주는 도면들로부터 나타난다:
도 1a는 통상적으로 개방된 퍼지 밸브를 가진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1 실시예의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1b는 통상적으로 폐쇄된 퍼지 밸브의 변형예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개선된 실시예에 대한 회로 다이어그램의 발췌 부분이다.
도 2는 도 1의 개선된 실시예의 추가적인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묘사된 개선된 실시예로부터 파생된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부분 회로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4는 공압 장치 또는 예컨대 도 1a 또는 도 2 또는 도 3a 또는 도 3b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에어 드라이어를 퍼지하기 위한 단계들의 근본적인 순서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a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와 공압 장치(90)를 구비한 공압 시스템(100)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예에서는 차량(1000)의 차량 섀시(상세히 나타내지는 않음)를 위한 에어 스프링 시스템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예에서 공압 장치(90)는 차량 섀시의 차축에 제공된 에어 스프링 시스템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것은 제어 조건에 따라 에어 스프링 또는 탑승 높이 제어를 위해 압축 공기로 충전되거나 그로부터 압축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2개의 벨로즈(91)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벨로즈(91)는 갤러리(95)에 연결되는데, 말하자면 여기서는 갤러리(95)로부터 분기 라인으로서 갈라져 나온 벨로즈 라인들(91L)을 통해 연결된다. 벨로즈 라인들(91L)은 갤러리(95)로부터 분기되는데, 여기서 각각의 벨로즈 라인(91L)은 방향성 밸브의 형태로 된 벨로즈 밸브(93)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 차축에 대해 제공된 2개의 벨로즈 밸브들(93)은 더블 밸브 블록(98)에 하나의 부품으로서 조합되어 있다. 벨로즈(91)의 압축 공기 내용물은 벨로즈 밸브들(93)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에서 변경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의 압축 공기 연결부(2)에 연결된 공압 라인(96)을 통해 갤리러(95)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거나 그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는 공압 장치(90)를 작동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즉, 공압 장치(90)는 압축 공기 연결부(2)에 의해 압축 공기를 공급받으며, 공압 장치(90)는 압축 공기 연결부(2)에 의해 퍼지될 수 있다.
압축 공기를 생성하기 위해,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는 공기 공급 연결부(0)와 공기 필터(0.1)를 구비한 공기 공급원을 제공한다. 공기 공급원의 공압 공급 라인(20)은 공기 공급 연결부(0)를 통해 수용한 공기를 공기 압축기(21)로 공급할 수 있다. 이 예에서 공기 압축기(21)는 모터(21.1)에 의해 구동되는 일단 압축기(single-stage compressor)(21.2)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 압축기(21.2)는 우선 압축 공기 공급원(1)으로 이어지는 공기 공급원의 공압 공급 라인(20), 그리고 또한 공압 제어 라인(120)이 배출 밸브(22.0)를 통해 연결되는 압축기 챔버(21.3)를 가진 단일한 압축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공압 메인 라인(60)은 압축 공기 공급원(1)에 연결되어 있고 압축 공기 공급원(1)을 압축 공기 연결부(2)로 연결한다. 에어 드라이어(61)와 제1 쵸크(choke)(64)가 압축 공기 공급원(1)으로부터 압축 공기 연결부(2)의 방향으로, 즉 충전 방향으로 상기 순서로 공압 메인 라인(60)에 연결되어 있다.
퍼지 라인(70)은 압축 공기 공급원(1)로부터 분기되어 있는데, 여기서 먼저 제2 쵸크(74)와 이어서 퍼지 연결부(3)의 방향, 즉 퍼지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공압 부분(71P)의 밸브 피스톤이 개방된 퍼지 밸브(71)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퍼지 밸브(71)의 공압적으로 작동 가능한 공압 부분(71P)은 압력측 밸브 연결부(X)와 퍼지측 밸브 연결부(Y)를 구비하는데, 여기로 퍼지 라인(70)이 제2 쵸크(74)를 가진 압력측 상에 연결되거나 퍼지 필터(0.3)를 가진 퍼지측 상에 연결된다. 퍼지 밸브(71)는 또한 앞서 언급한 제어 라인(120)을 거쳐 제어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압력 제어 연결부(71S)를 구비한다.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제어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도 1a에 나타낸 제1 스위치 상태로 있는 퍼지 밸브는 밸브 연결부들(X, Y) 사이에서 개방된다. 즉, 퍼지 라인(70)이 압축 공기 공급원(1)으로부터 퍼지 연결부(3)로 개방되어서 에어 드라이어(61)의 에어 드라이어 배출구(상세히 도시하지 않음)가 퍼지 연결부(3)로 개방된다.
이 예에서, 퍼지측 밸브 연결부(Y)와 퍼지 필터(0.3) 사이에, 퍼지 라인(70)으로의 진입에 대해 보호하고 퍼지 시에 압력을 유지하거나 유지 압력을 제한하기 위해 기여하는 퍼지 체크 밸브(72)가 퍼지 라인(70)에 배열되어 있다. 퍼지 체크 밸브(72)는 선택적인 것으로, 퍼지 시에 작은 압력 차이도 지속되어서는 안되는 한 필요하다면 생략될 수도 있다. 체크 밸브(72)의 이 기능은 최소 압력 밸브 조립체(130)에 적절히 통합될 수 있는 바, 후자를 생략하고서, 예컨대 최소 압력 밸브(132) 대신에 체크 밸브(72)와 유사한 체크 밸브가 제공되고, 이로써 에어 드라이어(61)의 재생 또한 제1 쵸크(134)의 공칭 폭을 제한할 필요 없이 유리하게 영향을 받는다.
위에서 제시된 기계적 퍼지 밸브(71)는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대한 제어 압력의 적용 시에 퍼지 라인(70)의 압력측 밸브 연결부(X)와 퍼지측 밸브 연결부(Y)가 공압적으로 분리되는 제2 스위치 위치로 변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 위치는 이 한도에서 공기 압축기(21)로부터, 즉 공압 메인 라인(60)을 거쳐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 공기 연결부(2)로 공압 장치(90)로의 충전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의 작동에 기여한다. 대조적으로, 도 1a에 나타낸 퍼지 밸브(71)의 제1 스위치 위치는 제어 압력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에어 드라이어(61)를 거쳐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 또는 공압 장치(90)를 퍼지하는 데에 기여한다.
도 1b의 발췌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G)로부터의 발췌도는, 변형예에 따라 폐쇄된 밸브 조립체(40G)를 형성하며, 퍼지 라인(70)의 퍼지 밸브(71G)가 통상적으로 닫혀 있는 파생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자기-강화 폐쇄 기능성(self-reinforcing closing functionality)을 이행하는 데에 기여한다. 그 외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의 구성에 대해,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사용되며, 상세한 설명의 대응하는 부분들에 참조가 이루어져 있다. 특히, 도면은 유리한 제어 라인 또는 분기 라인(120, 120')과 바이패스 라인(123, 123')을 단지 명료성의 목적으로 점선 라인으로 보여주는데, 동일한 것이 유사하거나 비교할만한 기능의 연결된 라인들에도 적용된다.
통상적으로 폐쇄된 퍼지 밸브(71G)는 상대적으로 약한 밸브 스프링(76)으로 폐쇄된 공압 부분(71P)의 통상적으로 폐쇄된 밸브 피스톤을 유지하고 있다. 바꾸어 말해, 도 1b는 밸브 스프링(76)이 단지 마찰을 극복하고 규정된 출발 위치를 형성하는, 통상적으로 폐쇄된 퍼지 밸브(71G)를 보여준다. 작동 시에, 피스톤 배면(더욱 일반적으로는 압력 제어 연결부(71S)측에서의 공압 부분(71P)의 일측) 상의 공압력(pneumatic force)은 압력 역제어 연결부(71A) 측에서의 피스톤의 아랫면에서(예컨대, 환형 채널 내에서)보다 크다. 압력 역제어 연결부(71A)는 공압 메인 라인(60)으로부터 분기 라인으로서 분기된 역압력 제어 라인(160)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퍼지 밸브(71)는 충전 시에 폐쇄된 채로 있다. 공기 압축기(21)가 작동 중지될 때, 피스톤이 압력 제어 연결부(71S) 상의 압력 하에서 폐쇄되도록 유지하는 공기는 드라이어 내부 압력이 퍼지 밸브(71)의 피스톤(보다 일반적으로는 공압 부분(71p)) - 및 따라서 퍼지 밸브(71)- 이 개방된 퍼지 위치가 되도록 할 때까지 쵸크(121)를 통해 빠져나간다. 압력이 약해질 때, 밸브 스프링(76)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작동되지 않은 시작 위치로 모든 것을 회복시킨다. 체크 밸브(122G)는 여기서 압력을 제한하는 데에 기여하는데, 그렇지 않았다면 이 기능은 공압 부분(71P)의 릴레이 피스톤에 의해 보장되었어야 하는 것이다.
도 1a 에 나타낸 실시예와 도 1b에 나타낸 실시예 모두에서, 공기 압축기의 작동 개시 및 그에 따른 압력과 제어 라인(120)의 제어 압력의 상승 시에 바이패스 라인(123, 123')은 밸브 피스톤의 실링을 강화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바이패스 라인(123, 123') 내의 압력이 충분히 높은 경우, 제어 라인(120)(도 1a)의 체크 밸브(122) 또는 제어 라인(120)(도 1b)의 분기 라인(120')의 체크 밸브(122G)의 개구로부터 퍼지 연결부(3)로의 추가적인 압력 상승이 방지된다. 그러면 드라이어 내부 압력만이 영역 의존적인 균형상태(area-dependent state of equilibrium)가 얻어지거나 극복될 때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압력 제한이 활성화된다. 압축기가 작동 중지한 후, 정적으로 실링 해제된 바이패스 라인(123, 123')이 압력을 감소시키며 공압 부분(71P)의 밸브 피스톤이 드라이어 내부 압력 - 드라이어 내부 압력 라인(75)에 존재하는 - 에 의해 밸브 스프링(76)의 약한 스프링력을 이기고 상승하며 도 1b에 부합되게 퍼지된다. 파생된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라인(123, 123')의 누설을 대신하여 또는 그 누설에 더하여, 작은 자석이 또한 퍼지 밸브(71G)에서 정적으로 실링 해제된 퍼지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압력들을 상대적으로 작은 스프링력으로 다룰 수 있고 엘라스토머 실들은 휴지 상태에서 가볍게만 장착된다.
이론적으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G)의 도 1b에 나타낸 변형예, 즉 퍼지 라인(70)의 통상적으로 폐쇄된 퍼지 밸브(71G)를 가진 변형예와,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로 한 아래의 변형예들로서 묘사된 실시예에도, 설명된 공압 구성들, 특히 밸브 조립체(40G)의 체크 밸브(122G) 및 퍼지 쵸크(121)를 가지고 자기-강화 폐쇄 기능성을 이행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압축기 제어 퍼지 기능성의 개념에 따라 퍼지 밸브(71, 71G)의 순수하게 공압적인 작동을 이행하기 위해, 퍼지 밸브(71, 71G)는 밸브 조립체(40, 40G)의 일부일 수 있는데, 이 밸브 조립체는 퍼지 밸브(71, 71G)에 더하여 제어 라인(120)(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에 배열된 제1 체크 밸브(122)라고도 불리는 체크 밸브(122)도 포함한다.
도 1a에 따른 이 예에서 예를 들어 셔터 체크 밸브(shutter check valve)로서 형성된 체크 밸브(122)는 동적으로 실링되어 있으며 정적으로 실링 해제된다. 이 정적인 누설을 만들어내기 위해, 제1 체크 밸브(122)를 바이패스하고 양방향 퍼지 쵸크(121)가 배열되며 특히 제1 체크 밸브(122)의 차단 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제1 바이패스 라인(123)이 제어 라인(120)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존재하는 제어 압력은 퍼지 쵸크(121)와 제1 바이패스 라인(123)을 거쳐 제1 체크 밸브(122)의 차단 방향으로 퍼지될 수 있다. 제어 압력의 퍼지 흐름은 예컨대 압축기(21.2)의 압축기 챔버(21.3)로 빠져나갈 수 있다. 퍼지 흐름은 필터(0.1) 및 공기 공급원 연결부(0)의 방향으로 주변 환경으로 유도될 수 있다. 제어 압력의 퍼지 흐름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압축 공기 공급원(1)에 의해 퍼지 라인(70)으로 퍼지 연결부(3)까지 유도될 수도 있다. 이것은 특히 에어 드라이어(61)가 퍼지 밸브(71)의 밸브 피스톤에서 스프링력을 통해 이미 개방되어 있거나 개방되도록 바이패스 라인(123)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 적용된다. 여기서 묘사되는 방식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바이패스 라인(123)의 잔여물 퍼지가 일어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예에서 제1 체크 밸브(122)는 압축기(21.2)의 작동 시에 - 양방향 공기 흐름을 가진 퍼지 밸브(121)에도 불구하고 -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 제어 압력이 유지되도록 동적으로 폐쇄된다. 바꾸어 말해, 압축기(21.2)의 작동 시에 그 차단 방향을 거슬러 체크 밸브(122)의 자동적인 개방을 위해 충분한 제어 압력이 축적되며, 압력 제어 연결부(71S)로 적용된다; 이것은 공기가 체크 밸브(122)의 차단 방향을 거슬러 퍼지 쵸크(121)를 통과하여 흐를 때에도 일어난다.
개별적으로, 퍼지 밸브(71)의 공압 제어 기능은 다음과 같이 일어난다. 밸브 조립체(40)의 비작동 상태에서, 즉 밸브 조립체(40)의 압력 재하(pressure-loading) 없이,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는 제어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러면 퍼지 밸브(71)는 도 1a에 나타낸 제1 스위치 상태, 즉 개방된 상태인데, 여기서 퍼지 라인(70)은 압력측 밸브 연결부(X)와 퍼지측 밸브 연결부(Y) 사이에서 퍼지 연결부(3)로 개방된다. 에어 드라이어(61) 또는 공압 장치의 갤러리(95) 또는 벨로즈(91)는 벨로즈 밸브들(93) 중 하나가 개방되자마자 퍼지될 수 있다. 퍼지 흐름은 벨로즈(91)로부터 벨로즈 밸브(93)을 거쳐 갤러리(95)와 공압 라인(96)으로, 그리고 에어 드라이어(61)를 재생하면서 메인 공압 라인(60)으로 빠져나가 퍼지 라인(70) 및 퍼지 밸브(71)로 퍼지 연결부(3)까지, 그리고 주변 환경까지 빠져나간다.
공압 장치(90)의 벨로즈(91)가 충전되자마자, 공기 압축기(21)가 작동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전기 모터(21.1)가, 배출 밸브(22.0)를 통해 압축 공기 공급원(1)에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21.2)를 구동한다. 상응하는 압력이 또한 제어 라인(120)에 존재하며 제1 체크 밸브(122)를 자동 개방 방향으로 개방한다. 제1 체크 밸브(122)는 바이패스 라인(123) 및 쵸크(121)의 구성으로 인해 압축기(21.2)의 작동 시에 동적으로 폐쇄된다. 바꾸어 말해, 압축기(21.2)의 작동은 제어 압력이 제어 압력 연결부(71S)에 존재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압축기 챔버(21.3)에서의 압력을 축적하기에 충분하다. 제어 압력은 퍼지 밸브(71)의 작동 가능한 공압 부분(71P)을 도 1a에 나타낸 제1 스위치 위치로부터, 압력측 밸브 연결부(X)와 퍼지측 밸브 연결부(Y)가 공압적으로 분리되는, 즉 퍼지 라인(70)이 폐쇄되는 제2 스위치 위치로 옮기기에 충분히 높다. 이런 식으로, 퍼지 라인(70)은 공압적으로 퍼지 밸브(71)에 의해 차단된다. 즉, 공기 압축기(61) 또는 압축 공기 공급원(1)의 드라이어 배출구가 퍼지 연결부(3)와 공압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충분한 압축 공기 - 에어 드라이어(61)에서 건조된 - 가 압축 공기 공급원(1)을 통해, 그리고 압축 공기 연결부에서 제1 쵸크(64)를 통해 공압 장치(90)를 충전하도록 공급될 수 있다.
도 2는 제1 쵸크(64)가 최소 압력 밸브 조립체(130)로 대체되거나 개조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 외에는 단순성을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공압 시스템(100')과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 및 공압 장치(90')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에 대해,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의 부분들에 대해 사용되고 있다. 이들 특징과 관련하여 도 2의 설명을 위해, 도 1a의 설명의 대응하는 부분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져 있다.
공압 장치(90')와 관련하여, 여기서 - 4개의 벨로즈(91)는 물론 - 압력 어큐뮬레이터(92)가 제공되어 있는데, 그 상류에는 방향성 밸브의 형태로 된 어큐뮬레이터 밸브(94)가 갤러리(95)로부터의 분기 라인으로서 분기된 어큐뮬레이터 라인(92L)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 벨로즈 밸브들(93)과 어큐뮬레이터 밸브(94)는 5중밸브 블록(98')에 조합되어 있다.
최소 압력 밸브 조립체(130)는 공압 메인 라인(60)에 연결되고 제2 체크 밸브로도 불리는 체크 밸브(62)를 제공하는데, 이는 제2 바이패스 라인(133)에 의해 바이패스된다. 즉 제2 바이패스 라인(133)은 압력측에서 에어 드라이어(61)와 체크 밸브(62) 사이, 그리고 공기 연결부측에서 체크 밸브(62)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에서 공압 메인 라인(60)에 연결된다. 최소 압력 밸브(132)와 제1 쵸크(134)가 - 최소 압력 밸브(132) 때문에 이들을 통해 공기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다 - 제2 바이패스 라인(133)에 배열되어 있다. 최소 압력 밸브(132)는 체크 밸브(62)의 차단 방향으로 개방된다. 압축 공기 연결부(2)는 예컨대 갤러리(95)를 충전하기 위해 압축 공기 공급원(1)으로부터 제2 체크 밸브(62)의 차단 방향을 거슬러 - 즉, 자동적인 개방 - 압축 공기가 가해질 수 있다. 바꾸어 말해, 최소 압력 밸브 조립체(130)로 인해, 자동적으로 개방된 제2 체크 밸브(62)에 의해 공압 장치(90')가 충전될 때, 압축기(21.2)의 전달 압력 하에서 공압 메인 라인(60)의 전체 라인 단면이 개방된다. 그러나 퍼지 시에는, 최소 압력을 극복한 후(최소 압력 밸브(132)의 구성에 따라 다르지만), 제1 쵸크(134)가 활성화된다. 공압 장치(90')를 퍼지하기 위해, 압축 공기의 퍼지 흐름은 최소 압력 밸브(132)와 제1 쵸크(134)를 거쳐 빠져나갈 수 있다. 퍼지 흐름은 에어 드라이어(61)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되며 더 나아가 퍼지 라인(70)으로 제2 쵸크(74)와 퍼지 밸브(71)를 거쳐 퍼지 연결부(3)로 유도된다.
여기서 나타낸 공압 시스템의 모든 실시예들에서 - 특히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와 공압 장치(90')를 구비한 공압 시스템(100')의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와 공압 장치(90")를 구비한 공압 시스템(100")의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 모두에서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벨로즈(91)에 있는 어큐뮬레이터(92)가 재충전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도 2 및 도 3a에 나타낸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압축기(21.2)가 처음 작동 개시되고 퍼지를 폐쇄하는 최소 압력이 축적된 경우, 즉 퍼지 라인(70)이 공압 제어 라인을 거쳐 퍼지 밸브(71)의 공압 활성화에 의해 폐쇄되었을 경우에만 유리하게 작용한다. 차단 밸브에 의해 공압 메인 라인(60)에서 직접적으로 이행되는 갤러리(95)의 "기계적인" 차단과 비교할 때, 이 절차는 갤러리의 "공압적 차단"이 모사되기 때문에 약간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 절차는 공기 손실을 방지하며 재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변형된 압축 공기 공급 시스템(1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차량(1000")의 공압 장치(90")를 구비한 공압 시스템(100")에 대해 상세 A와 상세 B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 단순성을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의 특징들에 대해 사용되고 있다. 도 3a 및 도 3b의 대응하는 부분들의 설명을 위해, 도 2의 설명 및 도 1a의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 3a와 도 3b의 상세 A와 상세 B가 이하에서 더욱 광범위하게 설명된다.
도 3a의 상세 A는 제어 라인(120)의 대응되게 변형된 압축기(21.2)로의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40")의 파생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 A에서 제어 라인(120)이 압축기(21.2)의 압축기 챔버(21.3)의 연결 밸브(22)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이 명확하다. 연결 밸브(22)는 이 한도에서 도 1a 및 도 2에 나타낸 제1 체크 밸브(122)의 기능성을 넘겨 받는다. 이에 더하여, 이 예에서, 다른 목적들 중에서도 잔여 압력을 제한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제1 체크 밸브(23)가 배출 밸브(22.0)와 압축 공기 공급원(1) 사이에서 공압 공급 라인(20)에 배열된다. 이 구조가 도 3b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그 결과는, 제어 라인(120)으로의 그 자동적인 개방 이후에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서 적절한 제어 압력이 축적되도록 배출 밸브(22.0) 및/또는 연결 밸브(22)가 시너지 있게 사용될 수 있는 단순화된 실시예이다.
도 3a는 공기 공급원의 공압 공급 라인(20)과 평행한 라인으로서 형성된, 퍼치 쵸크(121)를 구비한 제1 바이패스 라인(123)을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 공압 공급 라인(20)은 공기 공급 연결부(0)와 압축 공기 공급원(1)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파생된 제1 바이패스 라인(123)은 공압 공급 라인(20)의 연결부(20.1)로부터 분기되며, 공기 압축기(21)를 바이패스하여 제어 라인(120)의 연결부(120.1)로 이어진다. 이 예에서는 또한, 체크 밸브의 기능을 수행하는 배출 밸브(22.0)가 이 한도에서 정적 개방 밸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존재하는 제어 압력은 압축기(21.2)가 작동 중지했을 때 바이패스 라인(123)과 퍼지 쵸크(121)를 거쳐 공기 공급 라인(20)의 연결부(20.1)에서, 그리고 거기서부터 공기 공급 연결부(0)까지 빠져나가며, 따라서 제어 라인(120)이 퍼지된다.
유사하게, 상세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b는 배출 밸브(22.0)로의 바이패스 라인으로서 형성된 추가적인 파생된 바이패스 라인(123')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 라인(120)은 바이패스 라인(123')을 통해 공기 압축기(21)로, 예컨대 압축기 챔버(21.3)로(점선 라인으로 나타낸 바이패스 라인(123') 및 퍼지 쵸크(121')) 또는 공기 공급 라인(20)의 공기 공급 연결부(0) 이후 및 압축기 챔버(21.3) 이전의 부분으로도 제어 라인(120)의 제어 압력이 - 배출 밸브(22.0)을 바이패스하여 - 퍼지될 수 있다(바이패스 라인(123) 및 퍼지 쵸크(121)). 두 예의 파생형에서, 퍼지 쵸크(121, 121')는 특히 압축기(21.2)의 배출 밸브(22.0)에 통합된 쵸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제한은 퍼지 쵸크(121, 121')를 감안하여 면적 비율의 디자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압력 제한은 압축기(21.2) 이후의 공압 바이패스 라인(123, 123') - 구체적으로는 압축기 챔버(21.3)의 배출구와 압축 공기 공급원(1) 사이에서 - 을 통해 추출되는데, 이는 문턱값 압력이 초과된다면 쵸크(121, 121')를 통해 보상된다. 고압력에서, 쵸크(121, 121')를 통한 정해진 누설은 바이패스 라인(123, 123')에서의 추가적인 압력 상승을 방지하며, 충분히 높은 드라이어 내부 압력이 퍼지 밸브(71)의 공압 부분(71P)의 밸브 피스톤을 들어올릴 수 있다. 여기서, 도 1a 내지 도 3a에서, 드라이어 내부 압력은 드라이어 내부 압력 라인(75)으로 기호적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항상 퍼지 밸브(71)의 공압 부분(71P)의 밸브 피스톤의 아래쪽에 퍼지 밸브(71)의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 압력의 방향으로 놓여 있다.
도 4는 순서도 E에서 공압 장치(90, 90', 90") 또는 에어 드라이어(61)를 퍼지하기 위한 단계들(E1 내지 E4)의 기본적인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를 위해, 첫 번째 단계 E1에서, 공기 압축기(21)의 압축기(21.2)가 정지된 것, 즉 작동 중이 아닌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두 번째 단계 E2에서, 퍼지 쵸크(122)를 통해 제어 라인(120)이 정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제공된다. 제어 압력이 제어 라인에 있는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적용되고 있다면 이것은 상기 제1 체크 밸브(122)를 거쳐 두 번째 단계 E2에서 퍼지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 E3에서, 따라서 퍼지 밸브(71)가 제어 압력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로 있으며, 따라서 압력측 밸브 연결부(X)와 퍼지측 밸브 연결부(Y) 사이에서 개방된다. 네 번째 단계 E4에서, 벨로즈 밸브들(93) 중 하나를 개방함으로써 벨로즈(91)가 - 또는 어큐뮬레이터 밸브(94)를 개방함으로써 어큐뮬레이터(92)가 - 몇몇 경우에 드라이어(51)를 재생시키면서 퍼지 연결부(3)로 퍼지될 수 있다.
도 4의 B는 공압 장치(90, 90', 90")를 충전하기 위한 제1 순서도 B를 나타내고 있다. 첫 번째 단계 B1에서, 이것은 공기를 압축기 챔버(21.3)에서 압축하는 압축기(21.2)의 작동 개시를 제공한다. 두 번째 단계 B2에서, 체크 밸브의 기능을 가진 배출 밸브(22.0) 또는 밸브 챔버(21.3)의 연결 밸브(22) 또는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로의 제어 라인(120)에서 체크 밸브(122)를 개방함으로써, 제어 압력이 퍼지 밸브(71)를 활성화시키도록 축적될 수 있다.
압축기의 배출 밸브(22.0) 또는 연결 밸브(22)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압축 공기 공급원(1)의 방향으로 여전히 폐쇄되어 있다. 즉, 제어 압력을 먼저 축적하기 위해 제어 라인(120)의 체크 밸브(122)는 압축기의 압력 밸브 또는 배출 밸브 이전에 개방된다. 세 번째 단계 B3에서, 퍼지 밸브(71)가 닫힌다. 즉, 비작동, 개방된 제1 스위치 위치(도 1a 또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은)로부터 공압적으로 작동되고 폐쇄된 제2 스위치 위치로 전환되는데, 여기서 압력측 밸브 연결부(X)와 퍼지측 밸브 연결부(Y)는 공압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퍼지 라인(70)이 폐쇄되고 압축기는 여전히 작동 중인 네 번째 단계 B4에서, 즉 퍼지 밸브(71)의 작동 압력(제어 압력)을 초과하는 압축기 압력을 가지고 - 특히 압축기 개구의 배출 밸브 또는 압력 밸브를 가지고 - 압축 공기가 압축 공기 공급원(1)으로 활용 가능해질 수 있고 에어 드라이어(61)와 제1 쵸크(64)를 거쳐, 또는 자동적으로 개방된 제2 체크 밸브(122)를 거쳐 압축 공기 연결부(2)에 적용될 수 있다. 끝으로, 압축 공기 연결부(2)를 거쳐 공압 장치(90, 90', 90")의 갤러리(95)가 - 또는 벨로즈 밸브(93)가 개방되어 있다면 대응하는 벨로즈(91)가 - 압축 공기로 충전될 수 있다.
0 공기 공급 연결부 0.1 공기 필터
0.3 퍼지 필터 0.3 퍼지 필터
1 압축 공기 공급원 2 압축 공기 연결부
3 퍼지 연결부
10, 10', 10", 10G 압축 공기 공급 장치
20 공압 공급 라인 21 공기 압축기
21.1 모터 21.2 압축기
21.3 압축기 챔버
22 특히 체크 밸브 기능을 가지고, 제어 라인(120)에 있는 연결 밸브
22.0 배출 밸브 23 추가 체크 밸브
40, 40', 40", 40"A, 40"B, 40G 밸브 조립체
60 공압 메인 라인 61 에어 드라이어
62 공압 메인 라인(60)에 있는 (제2) 체크 밸브
64 제1 쵸크 70 퍼지 라인
71, 71G 퍼지 밸브 71P 공압 부분
71S 피스톤 정상측 압력 제어 연결부
71A 피스톤 아랫쪽 압력 역제어 연결부
72 선택적 퍼지 체크 밸브 74 제2 쵸크
75 드라이어 내부 압력 라인 기호
76 퍼지 밸브(71, 71G)의 밸브 스프링
90, 90' 공압 장치 91 벨로즈
91L 분기 라인으로서 벨로즈 라인 92 어큐뮬레이터
92L 분기 라인으로서 어큐뮬레이터 라인
93 방향성 밸브로서 벨로즈 밸브
94 방향성 밸브로서 어큐뮬레이터 밸브
95 갤러리 96 공압 라인
98, 98', 98" 더블 밸브 블록, 5개 밸브 블록
100, 100', 100" 공압 시스템 102, 102' 공압 시스템
120, 120' 공압 제어 라인, 분기 라인 121, 121' 퍼지 쵸크
122, 122G 제어 라인(120)에 있는 (제1) 체크 밸브
123, 123' 제1 및 추가 (제2) 바이패스 라인
130 최소 압력 밸브 조립체 132 최소 압력 밸브
133 제2 바이패스 라인 134 제1 쵸크
160 역압력 제어 라인 1000, 1000', 1000" 차량
A, B 상세 X 압력측 밸브 연결부
Y 퍼지측 밸브 연결부

Claims (23)

  1. 차량의 공압 장치(90, 90', 90")의 작동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 10', 10")로서:
    - 압축 공기 공급원(1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압축기(21)를 가진 공기 공급원,
    - 에어 드라이어(61)와 압축 공기를 공압 장치(90, 90', 90")에 공급하기 위한 압축 공기 연결부(2)를 구비한 공압 메인 라인(60),
    - 공압 메인 라인(60)으로부터 압축 공기 공급원(1)으로 분기되고 퍼지 라인(70)에 연결된 퍼지 밸브(71)와 주변 환경으로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퍼지 연결부(3)를 포함하는 퍼지 라인(70)으로서, 퍼지 밸브(71)는 제어 가능한 밸브 조립체(40, 40', 40")인 퍼지 라인(70)
    을 포함하되,
    적어도 퍼지 밸브(71)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40, 40', 40")는 공기 압축기(21)로부터 추출된 제어 압력이 공압적으로 가해질 수 있고,
    퍼지 밸브(71)의 공압 부분(71P)은, 압력 제어 연결부(71S)에 존재하며 공기 압축기(21)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제어 라인(120)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제어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밸브 피스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 밸브 조립체(40, 40G, 40', 40")가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퍼지 밸브(71)는 개방되되, 여기서 퍼지 라인(70)에 있는 퍼지 밸브(71)의 작동 가능한 공압 부분(71P)은 퍼지 밸브(71)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압력측 밸브 연결부(X)와 퍼지측 밸브 연결부(Y) 사이에서 개방되어서, 퍼지 밸브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퍼지 라인(70)을 퍼지 연결부(3)로 연결하기 위해 퍼지 밸브(71)가 개방되고,
    - 퍼지 라인(70)을 퍼지 연결부(3)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퍼지 밸브(71)가 공기 압축기(21)로부터 직접적으로 추출된 제어 압력으로 공압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되,
    - 제어 압력은, 공기 압축기(21)의 압축기 챔버(21.3)와, 퍼지 밸브(71)의 공압 부분(71P)에 대항하는 압력 제어 연결부(71S)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제어 라인(120)에서 활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제어 압력은 공기 압축기(21)의 압축기 챔버(21.3)와, 퍼지 밸브(71)의 공압 부분(71P)에 대항하는 압력 제어 연결부(71S)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제어 라인(120)에서 밸브 스프링(76)의 힘의 방향으로 활용 가능하거나, 또는
    - 역제어 압력은 공압 메인 라인(60)과, 퍼지 밸브(71)의 공압 부분(71P)에 대항하는 역압력 제어 연결부(71A) 사이에서, 밸브 스프링(76)의 힘의 방향을 거슬러 역압력 제어 라인(160)에서 활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퍼지 밸브(71)의 공압 부분(71P)은 2/2-웨이 방향성 밸브로서 형성되고, 퍼지 밸브(71)는, 제어 압력을 가이드하기 위해 제어 라인(120)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압력 제어 연결부(71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퍼지 밸브(71)는 퍼지 라인(70)의 압축 공기의 공압적으로 제어되고 직접적인 스위칭을 위해 구성되되, 밸브 조립체는 퍼지 라인(70)에 있는 퍼지 밸브(71)와 바이패스 라인(123, 123')에 있는 쵸크(121), 그리고 바이패스 라인(123, 123')에 평행하게 연결되고 체크 기능을 가진 카운터 밸브(counter-valve)를 포함하며, 체크 기능을 가진 카운터 밸브는 공급 라인(20)에 있는 배출 밸브(22.0) 또는 제어 라인(120)에 있는 연결 밸브(22) 또는 제어 라인(120)에 있는 체크 밸브(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기 압축기(21)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챔버(21.3)를 구비한 압축기(21.2)를 포함하고, 제어 라인(120)은 압축기(21.2)의 압축기 챔버(21.3)로 연결되되, 압축 공기 공급원(1)을 거쳐 간접적으로, 또는 배출 밸브(22.0) 또는 연결 밸브(22)를 거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40, 40', 40")는 퍼지 밸브(71)에 더하여 체크 밸브(122, 23) 또는 체크 밸브 기능을 구비한 유사한 카운터 밸브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자동 개방 방향으로 퍼지 밸브(71)의 압력 제어 연결부(71S)가 제어 압력을 적용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40, 40')의 체크 밸브(122)는 제어 라인(120)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축기(21.2)의 압축기 챔버(21.3)는 공급 라인(20)에 있는 배출 밸브(22.0)에 더하여 제어 라인(120)에 있는 연결 밸브(22)를 포함하고, 이는 밸브 조립체(40")의 체크 밸브(122)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체크 밸브(23)가 압축기(21.2)의 압축기 챔버(21.3)와 압축 공기 연결부(1) 사이에서 공압 공급 라인(20)에 배열되고, 압축 공기 연결부(1)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어 라인(120)이 압축기(21.2)의 압축기 챔버(21.3)와 추가적인 체크 밸브(23) 사이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40, 40', 40")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압축기(21.2)가 작동되어 압력 제어 연결부(71S)를 위한 제어 압력을 생성시킬 수 있되, 제어 압력은 체크 밸브(122) 또는 배출 밸브(22.0) 또는 연결 밸브(22)의 자동적인 개방을 위해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크 밸브(122) 또는 배출 밸브(22.0) 또는 연결 밸브(22)는 압축기(21.2)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 제어 라인(120)이 체크 밸브의 차단 방향으로 퍼지될 수 있도록 정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크 기능을 가진 카운터 밸브(122, 22, 22.0)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라인(123)에 퍼지 쵸크(121)가 배열되고, 이 라인를 통해 쵸크 공기가 체크 기능을 가진 카운터 밸브의 차단 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크 밸브(122, 122G) 또는 배출 밸브(22)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라인(123, 123')이
    - 제어 라인(120)에 평행한 라인으로서 형성되고 양측에서 이것에 연결되거나,
    - 제어 라인(120)으로의 분기 라인으로서 형성되고 일측에서 이것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크 밸브 또는 배출 밸브(22.0)를 바이패스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라인(123, 123')이
    - 압축기(21.2)의 압축기 챔버(21.3)와 압축 공기 연결부(1) 사이에 이어진 공압 공급 라인(20)에 평행한 라인으로서 형성되고, 바이패스 라인(123, 123')은 적어도 일측에서 공급 라인(20)에 연결되되,
    -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라인(123, 123')이 압축기(21.2)의 압축기 챔버(21.3)에 평행한 라인으로서 형성되고, 양측에서 공급 라인(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크 밸브 또는 배출 밸브(22.0)를 바이패스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라인(123, 123')은 압축기(21.2)의 압축기 챔버(21.3)의 배출 밸브(22)에 평행한 라인으로서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에서 또는 양측에서 공급 라인(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크 밸브(122) 또는 배출 밸브(22)는, 압축기(21.2)가 작동 중일 때 제어 압력이 유지되고, 체크 밸브(122) 또는 배출 밸브(22)의 차단 방향을 거슬러 퍼지 쵸크(121)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이 차단 방향에 대항하여 체크 밸브(22; 122)의 자동적인 개방을 위해 충분하도록 동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제1 쵸크(64)가 에어 드라이어(61)와 압축 공기 연결부(2) 사이에서 공압 메인 라인(60)에 직접적으로 배열되거나 거기에 연결된 평행한 라인에 배열되는 제1 쵸크(64) 또는
    - 제2 쵸크(74)가 압축 공기 공급원(1)과 퍼지 밸브(71) 사이에서 퍼지 라인(70)에 배열되거나, 퍼지 라인(7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분기 라인에 배열되는 제2 쵸크(74) 또는
    - 바이패스 라인(123, 123')의 추가 쵸크(121, 121') 및 바이패스 라인(123, 123')에 평행하게 연결되고 체크 기능을 가진 카운터 밸브
    를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와,
    갤러리(95), 갤러리(95)에 공압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벨로즈(91)와 압력 어큐뮬레이터(92)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분기 라인(91L, 92L), 벨로즈(91) 또는 압력 어큐뮬레이터(92)의 상류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밸브(93, 94)를 포함하는 에어 스프링 장치로서 형성된 공압 장치(90, 90', 90")를 구비한 공압 시스템(100, 100', 100").
  21. 차량의 공압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0, 10', 10") 또는 공압 장치(90, 90')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방법은:
    - 밸브 조립체(40, 40', 40")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퍼지 밸브(71)를 개방하는 단계;
    - 공기 압축기(21)로부터 직접적으로 추출된 제어 압력을 가지고 밸브 조립체(40, 40', 40")의 공압적 재하에 의해 퍼지 밸브(71)를 폐쇄하는 단계로서, 상기 공기 압축기(21)에 직접 연결된 제어 라인(120)에서 추출될 수 있는, 단계;
    를 포함하고,
    - 퍼지 밸브(71)를 개방하기 위해, 제어 라인(120)에 배열된 체크 밸브(122) 또는 압축기(21.2)의 배출 밸브(22)가, 압축기(21.2)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 제어 라인(120)이 체크 밸브(122)의 차단 방향으로 퍼지되도록 정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또는
    - 퍼지 밸브(71)를 폐쇄하기 위해, 제어 라인(120)에 배열된 체크 밸브(122) 또는 압축기(21.2)의 배출 밸브(22)가, 압축기(21.2)가 작동 중일 때 제어 압력이 유지되도록 동적으로 폐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체크 밸브(122) 또는 배출 밸브(22)의 차단 방향을 거슬러 퍼지 쵸크를 통과하여 공기가 흐를 때일지라도 유지되는 제어 압력은 체크 기능을 가진 카운터 밸브의 자동적인 개방을 위해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 제어 방법.
  23. 삭제
KR1020167036369A 2014-06-25 2015-06-16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57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9419.7 2014-06-25
DE102014009419.7A DE102014009419B4 (de) 2014-06-25 2014-06-25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Druckluftversorgungssanlage
PCT/EP2015/001212 WO2015197169A1 (de) 2014-06-25 2015-06-16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859A KR20170023859A (ko) 2017-03-06
KR102357742B1 true KR102357742B1 (ko) 2022-02-03

Family

ID=5344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369A KR102357742B1 (ko) 2014-06-25 2015-06-16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88092B2 (ko)
EP (1) EP3160779B1 (ko)
KR (1) KR102357742B1 (ko)
CN (1) CN106470855B (ko)
DE (1) DE102014009419B4 (ko)
WO (1) WO2015197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10956B4 (de) * 2014-06-25 2023-06-15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CN105822531B (zh) * 2016-05-06 2017-11-14 清华大学 采用改进组合干燥器的电动制动空压机系统启停控制方法
CN109562667B (zh) 2016-12-16 2022-08-09 威伯科欧洲有限责任公司 压缩空气供应系统和用以操作压缩空气供应系统的方法
DE102017003017A1 (de) * 2017-03-29 2018-10-04 Wabco Gmbh Aktuator für ein automatisiertes oder automatisches Schaltgetrieb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ieses Aktuators
CN107599772B (zh) * 2017-09-06 2024-05-14 大连四达高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agv物流机器人空气悬挂控制系统
KR102372403B1 (ko) * 2017-12-14 2022-03-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DE102017129908A1 (de) 2017-12-14 2019-06-1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nordnung für ein Nutzfahrzeug
KR102501618B1 (ko) * 2018-08-08 2023-02-20 바브코 게엠베하 상용 차량의 공압 시스템용 공기 공급 유닛 및 공기 공급 유닛의 작동 방법
US11433730B2 (en) * 2018-09-25 2022-09-06 Hitachi Astemo, Ltd. Air suspension apparatus
DE102018217405A1 (de) * 2018-10-11 2020-04-1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luftaufbereitungssystem
EP3927485A1 (en) 2019-02-22 2021-12-29 Oerlikon Surface Solutions AG, Pfäffikon Method for producing targets for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DE102020108758A1 (de) 2020-03-30 2021-09-30 Wabco Europe Bvba Druckluftversorgungsanlage zum Betreiben eines pneumatischen Systems, Druckluftversorgungssystem mit d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Fahrzeug mit dem Druckluftversorgungssystem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s Druckluftversorgungssystems
DE102020209390A1 (de) * 2020-07-24 2022-01-2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und eine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CN113041688B (zh) * 2021-04-23 2022-04-19 杨作星 一种智能模块化气力输送装置
GB2612071B (en) * 2021-10-21 2024-03-27 Jaguar Land Rover Ltd Control strategy to reduce air suspension venting noi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4747C1 (de) 1997-06-12 1998-06-25 Continental Ag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Luftfedern
WO2012079688A1 (de)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WO2013091776A2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3545A1 (de) 1982-09-10 1984-03-1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ruckluftfuellvorrichtung fuer druckluftspeicher
DE3542974A1 (de) 1985-12-05 1987-06-11 Wabco Westinghouse Fahrzeug Niveauregeleinrichtung fuer fahrzeuge mit luftfedern
DE3919438C2 (de) 1989-06-14 1999-12-30 Wabco Gmbh Druckluftbetätigbare Einrichtung mit einem zwischen einer Druckmittelquelle und Verbrauchern befindlichem Lufttrockner
JPH0450020A (ja) 1990-06-19 1992-02-19 Tokico Ltd 圧縮空気給排装置
DE10004880A1 (de) 2000-02-04 2001-08-0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Luftfed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24476A1 (de) 2010-06-21 2011-12-22 Wabco Gmbh Druckluftsteuerungseinrichtung, Druckluftsteuerungsverfahren, elektronische Steuereinrichtung, Druckluftversorgungssystem, Druckluftversorgungsverfahren und Fahrzeug
DE102011109500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neumatikanlage
DE102010054705A1 (de)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Luftfederanlage,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DE102010054713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DE102010054704A1 (de) *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DE102011083614A1 (de) * 2011-03-01 2012-09-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rocknerschaltung für eine pneumatische Regelvorrichtung eines Fahrzeugs
DE102011053707B4 (de) * 2011-09-16 2017-01-26 Haldex Brake Products Aktiebolag Druckluftaufbereitungseinheit
DE102012005305B4 (de) 2011-12-23 2024-02-08 Zf Cv Systems Hannover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DE102012001736A1 (de) * 2012-01-31 2013-08-0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bzw. eines pneumatischen Systems
DE102012001734B4 (de) * 2012-01-31 2020-11-12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pneuma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ruckluftversorgungsanlage bzw. eines pneumatischen Systems
DE102014207509A1 (de) * 2014-04-17 2015-10-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Integrierte Luftversorgungseinheit
JP6269644B2 (ja) * 2015-12-04 2018-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4747C1 (de) 1997-06-12 1998-06-25 Continental Ag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mit Luftfedern
WO2012079688A1 (de) 2010-12-16 2012-06-21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pneumatisches system
WO2013091776A2 (de) * 2011-12-21 2013-06-27 Wabco Gmbh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88092B2 (en) 2019-05-14
CN106470855A (zh) 2017-03-01
EP3160779B1 (de) 2018-08-15
EP3160779A1 (de) 2017-05-03
US20170152875A1 (en) 2017-06-01
DE102014009419A1 (de) 2015-12-31
KR20170023859A (ko) 2017-03-06
DE102014009419B4 (de) 2023-06-07
WO2015197169A1 (de) 2015-12-30
CN106470855B (zh)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742B1 (ko)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US8899598B2 (en)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and pneumatic system
US9694801B2 (en)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and pneumatic system
US5678900A (en) Unloader for a source of air under pressure on vehicles
US10960724B2 (en) Compressed air supply installation for operating a pneumatic installation, method and vehicle
KR20140000698A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공압 시스템
US10343479B2 (en) Pneumatic circuit for passenger car pneumatic suspension system
US20190100070A1 (en) Air suspension apparatus
JP6328694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20190263212A1 (en) Air suspension system
KR102033811B1 (ko) 압축 공기 처리 장치 및 압축 공기 처리 장치의 작동 방법
US11433730B2 (en) Air suspension apparatus
JP2019529222A (ja) ばね荷重式停止ブレーキを駆動する駐車ブレーキバルブ機器
JP2009023627A (ja) 車両用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
US10800223B2 (en) Air suspension system
JP2009046027A (ja) エア回路
US8585809B2 (en) Air dryer cartridge
KR20140002733A (ko) 상용차용 압축 공기 공급 장치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502815B1 (ko)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JP2015054643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441797B1 (ko) 상용차의 압축 공기 처리 장치용 재생 시퀀스 밸브 장치
KR20080037126A (ko)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공압 회로
KR102520425B1 (ko) 상용차의 압축 공기 처리 장치용 언로딩 밸브 장치
KR102550802B1 (ko) 상용차의 압축 공기 처리 장치용 언로딩 밸브 장치
US2022014403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and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