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872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872B1
KR102193872B1 KR1020130154062A KR20130154062A KR102193872B1 KR 102193872 B1 KR102193872 B1 KR 102193872B1 KR 1020130154062 A KR1020130154062 A KR 1020130154062A KR 20130154062 A KR20130154062 A KR 20130154062A KR 102193872 B1 KR102193872 B1 KR 10219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dehumidifier
passage
su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171A (ko
Inventor
박정택
권혁주
안승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28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고, 공기가 흡입되어 증발기와 응축기와 제 1 팬과 제 2 팬의 순서로 통과한 후 외부로 토출되는 제 1 통로와, 공기가 흡입되어 제 2 팬을 통과한 후 외부로 토출되는 제 2 통로를 포함하여,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을 증대시켜 응축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에 제 2 통로로 흡입된 공기가 혼합되어 토출되므로,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팬이 설치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제습하는 것으로서,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로 실내 공기를 통과시켜 습도를 낮춘 후 이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춘다.
제습기는 실내의 습기 제거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별도의 선풍기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선풍기를 제습기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공기 순환을 증대시켜서 제습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식인데, 이 경우 제습기가 놓여지는 실내의 공간활용도가 낮을 수 있고, 제습기와 선풍기를 각각을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제습기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응축기에서 승온된 공기이고, 제습기에서 고온의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JP 특개 2013-148446 (2013.08.01)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냉풍 기능을 갖기 위해 유로 구조가 복잡하고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한 후 제 1 출구 또는 제 2 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증발기에서의 유동저항 증가로 인해 송풍 능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 1 팬과 제 2 팬의 순서로 통과한 후 외부로 토출되는 제 1 통로와;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제 2 팬을 통과한 후 외부로 토출되는 제 2 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제 1 공기흡입구와 제 2 공기흡입구와 제 1 공기토출구 및 제 2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 1 팬과 제 2 팬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 1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1 통로와; 공기가 상기 제 2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제 2 팬을 통과한 후 상기 제 1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2 통로와;공기가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 1 팬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3 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제 1 공기흡입구와 제 2 공기흡입구와 제 1 공기토출구 및 제 2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제 1 임펠러와 제 2 임펠러가 하나의 공용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과;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 1 임펠러과 제 2 임펠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 1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1 통로와; 공기가 상기 제 2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제 2 임펠러를 통과한 후 상기 제 1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2 통로와;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 1 임펠러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3 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제 1 공기흡입구와 제 2 공기흡입구와 제 1 공기토출구 및 제 2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제 1 임펠러와 제 2 임펠러가 하나의 공용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과;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 1 임펠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습 통로와; 공기가 상기 제 2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제 2 임펠러을 통과한 후 상기 제 1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선풍 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제 1 공기흡입구와 제 2 공기흡입구와 제 1 공기토출구 및 제 2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제 1 팬 및 제 2 팬과;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 1 팬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습 통로와; 공기가 상기 제 2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제 2 팬을 통과한 후 상기 제 1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선풍 통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을 증대시켜 응축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에 제 2 통로로 흡입된 공기가 혼합되어 토출되므로,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 1 팬과 제 2 팬 중 제 1 팬만 설치된 경우 보다 응축기로 다량의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고, 응축온도 감소에 따라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 1 팬과 제 2 팬 중 제 1 팬만 설치된 경우 보다 고풍량을 확보할 수 있고, 제 1 팬만 설치된 경우 대비 증가된 풍량으로 선풍기 기능이나 공기청정기 기능으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기기가 제습기와 선풍기를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습기가 설치되는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팬이 제습공기와 비제습공기를 함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1 실시예의 압축기와 제 1 팬 및 제 2 팬이 모두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1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정지이고, 제 2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1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제 1 팬 및 제 2 팬이 함께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1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구동이고, 제 2 팬이 정지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1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2 팬이 정지이고, 제 1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2 실시예의 압축기와 제 1 팬 및 제 2 팬이 모두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2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정지이고, 제 2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2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제 1 팬 및 제 2 팬이 함께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2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구동이고, 제 2 팬이 정지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2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2 팬이 정지이고, 제 1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와 제 1 팬 및 제 2 팬이 모두 구동이고,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정지이고, 제 2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제 1 팬 및 제 2 팬이 함께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구동이고, 제 2 팬이 정지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2 팬이 정지이고, 제 1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와 제 1 팬 및 제 2 팬이 모두 구동이고,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정지이고, 제 2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제 1 팬 및 제 2 팬이 함께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구동이고, 제 2 팬이 정지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2 팬이 정지이고, 제 1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4 실시예의 압축기와 팬이 구동이고,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4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4 실시예의 압축기와 팬이 구동이고,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4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5 실시예의 압축기 및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5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6 실시예의 압축기와 제 1 팬 및 제 2 팬이 모두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6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정지이고, 제 2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6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제 1 팬 및 제 2 팬이 함께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6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구동이고, 제 2 팬이 정지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6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2 팬이 정지이고, 제 1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1 실시예의 압축기와 제 1 팬 및 제 2 팬이 모두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1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정지이고, 제 2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1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제 1 팬 및 제 2 팬이 함께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1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구동이고, 제 2 팬이 정지일 때의 공기 유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1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2 팬이 정지이고, 제 1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이다.
제습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2)와, 응축기(4)와, 팽창기구(미도시)와, 증발기(8)를 포함한다. 압축기(2)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2)는 냉매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8)와 응축기(4) 사이에 설치되어 증발기(8)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한 후 응축기(4)로 유동할 수 있다.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4)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기구에 의해 팽창될 수 있고, 팽창기구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8)를 통과하면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될 수 있다.
제습기는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흡입구(12)(14)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습기는 하나의 공기흡입구(12)와 하나의 공기토출구(16)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공기흡입구(12)(14)와 하나의 공기토출구(16)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하나의 공기흡입구(12) 중 일부 영역을 통과한 공기가 증발기(8)를 향해 유동되고, 하나의 공기흡입구(12) 중 다른 영역을 통과한 공기가 증발기(8)를 향해 유동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복수개의 공기흡입구(12)(14) 중 어느 하나(12)를 통과한 공기가 증발기(8)를 향해 유동되고, 복수개의 공기흡입구(12)(14) 중 다른 하나(14)를 통과한 공기가 증발기(8)를 향해 유동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토출구(16)는 케이싱(10)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0)은 베이스(17)와, 공기흡입구(12)(14)가 형성된 흡입패널(18)과, 공기토출구(16)가 형성된 탑 패널(19) 및 후술하는 버킷(22)을 출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프론트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탑 패널(19)은 흡입패널(18) 및 프론트 패널(20)에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습기는 증발기(8)에서 빼앗은 수분이 응축되어 담겨지기 위한 버킷(22)을 포함할 수 있다. 버킷(22)은 케이싱(1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케이싱(10)으로 출입될 수 있다. 제습기는 케이싱(10)의 내측 하부를 버킷(22)이 출입되는 버킷 수용실과 압축기(2)가 위치되는 기계실로 구획하는 베리어(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증발기(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고 버킷(22)으로 안내하는 드레인팬(26)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팬(26)은 케이싱(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드레인팬(26)은 베리어(24)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습기는 응축기(4) 및 증발기(8)와 제 1 팬(30)이 드레인팬(26)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습기는 공기가 흡입되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과, 제 2 팬(40)의 순서로 통과한 후 외부로 토출되는 제 1 통로(P1)와, 공기가 흡입되어 제 2 팬(40)을 통과한 후 외부로 토출되는 제 2 통로(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는 케이싱(2)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는 제 1 팬(30)과 제 2 팬(40)의 사이에서 합쳐질 수 있다.
제습기는 하나의 공기흡입구(12)가 형성될 경우, 하나의 공기흡입구(12)의 일부 영역이 제 1 통로(P1)와 연통됨과 아울러 하나의 공기흡입구(12)의 다른 영역이 제 2 통로(P2)와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에 하나의 공기흡입구(12)가 형성될 경우, 하나의 공기흡입구(12) 일부 영역은 제 1 통로(P1)의 입구가 될 수 있고, 하나의 공기흡입구(12) 다른 영역은 제 2 통로(P2)의 입구가 될 수 있다. 제습기에 복수개의 공기흡입구(12)(14)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공기흡입구(12)(14) 중 어느 하나인 제 1 공기흡입구(12)는 제 1 통로(P1)와 연통될 수 있고, 제습기 외부 공기는 제 1 공기흡입구(12)를 통해 제 1 통로(P1)로 흡입될 수 있며, 복수개의 공기흡입구(12)(14) 중 다른 하나인 제 2 공기흡입구(14)는 제 2 통로(P2)와 연통될 수 있고, 제습기 외부 공기는 제 2 공기흡입구(14)를 통해 제 2 통로(P2)로 흡입될 수 있다. 제 1 공기흡입구(12)는 제 1 통로(P1)의 입구가 될 수 있고, 제 2 공기흡입구(114)는 제 2 통로(P2)의 입구가 될 수 있다.
제 1 팬(30)은 제 1 통로(P1)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4)와 공기토출구(1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팬(30)은 제 2 팬(40) 보다 응축기(4)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팬(30)은 제 1 통로(P1)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4)와 제 2 팬(40) 사이에 위치되어 공기가 증발기(8)와 응축기(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2 팬(40)으로 송풍되게 유동할 수 있다. 제 1 팬(30)은 공기가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되게 하기 위해 정압 성능이 높은 고정압 팬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터보팬(Turbo fan)과 시로코팬(Sirocco fan) 등의 원심팬 또는 믹스드 플로우 팬(Mixed flow fan)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팬(30)은 임펠러(31)와, 임펠러(31)를 회전시키는 모터(32)와, 임펠러(31)를 둘러싸고 임펠러(31)의 회전시 형성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팬하우징(33)과, 팬하우징(33)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3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2)는 팬하우징(33)과 오리피스(34) 중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팬하우징(33)은 임펠러(31)에서 송풍된 공기가 제 1 팬(30)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33)의 토출부는 덕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33)의 토출부는 상측 방향을 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팬(40)은 제 1 통로(P1)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1 팬(30)과 공기토출구(1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팬(40)은 제 1 통로(P1)에 제 1 팬(40)과 직렬로 위치될 수 있고, 제 1 팬(30)과 제 2 팬(40)은 공기를 다단 송풍할 수 있다. 제 1 팬(30)과 제 2 팬(40)이 함께 구동되면, 증발기(8) 및 응축기(4)에는 제 1 팬(30)이 단독으로 구동되는 경우 보다 다량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제 2 팬(40)은 제 1 팬(30) 보다 공기토출구(16)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팬(40)은 제 1 팬(30)과 공기토출구(16)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가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통과한 후 공기토출구(16)로 송풍되게 유동함과 아울러 공기가 증발기(8)와 응축기(4) 및 제 1 팬(30)을 바이패스하여 공기토출구(16)로 송풍되게 유동할 수 있다. 제 2 팬(40)은 제 1 통로(P1)에 위치될 수 있고, 제 1 통로(P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1 팬(30)과 직렬 배치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1 팬(30)과 제 2 팬(40)을 함께 포함할 수 있고, 제습기가 제 1 팬(30)만을 갖는 경우 보다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2 팬(40)은 풍량이 많은 고풍량 팬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팬(40)은 프로펠러팬, 관형 축류팬, 베인형 축류팬 등의 축류팬(Axial fan)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팬(40)은 임펠러(41)와, 임펠러(41)를 회전시키는 모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팬(40)은 모터(42)가 설치되는 모터 마운터(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2 팬(4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가 에어 가이드(44)를 포함할 경우, 에어 가이드(44)는 제 1 팬(30)과 공기토출구(16)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44)는 중공된 덕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1 팬(30)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 2 팬(40)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제 2 팬(40)은 제 1 팬(30)의 토출부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제 1 팬(30)의 외부에서 제 1 팬(30)의 내부로 흡인력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팬(30)은 에어 가이드(44)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 팬(40)이 제 1 팬(30)의 외부에 설치될 경우, 제 2 팬(40)은 케이싱(10) 또는 에어 가이드(44)에 설치될 수 있다. 반면에, 제 2 팬(40)은 제 1 팬(30)의 토출부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제 1 팬(30)의 토출부 내부에서 제 1 팬(30)의 내부로 흡인력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내부에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B)가 제 2 팬(40)으로 흡인되기 위해 통과하는 비제습 공기흡입구(46)가 형성될 수 있다. 비제습 공기흡입구(46)는 제습기 외부에서 제습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바이패스하여 제 2 팬(40)으로 흡입되는 바이패스 흡입부 또는 제 2 팬 공기 흡입부일 수 있다. 비제습 공기흡입구(46)는 제 1 팬(30)의 토출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팬(40)이 제 1 팬(30)의 토출부 내부에 설치될 경우, 비제습 공기흡입구(46)는 제 1 팬(30)의 토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비제습 공기흡입구(46)는 제 1 팬(30)과 제 2 팬(4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팬(40)이 제 1 팬(30) 외부에 설치될 경우, 제 1 팬(30)의 토출부와 제 2 팬(40) 사이에는 틈이 생길 수 있고, 이 틈이 비제습 공기흡입구(46)가 될 수 있다. 비제습 공기흡입구(46)는 제습기가 에어 가이드(44)를 포함할 경우 에어 가이드(44)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 가이드(44)가 제 1 팬(30)의 토출부와 연통되게 형성될 경우, 비제습 공기흡입구(46)는 에어 가이드(44)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에어 가이드(44)는 하단이 개방되어 제 1 팬(30)의 토출부와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후,좌,우 둘레부 중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비제습 공기흡입구(46)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배면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고, 이 경우 제 1 팬(30)은 회전 중심이 수평할 수 있으며, 제 2 팬(40)은 회전 중심이 수직할 수 있다. 제 1 팬(30)은 회전 중심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제 2 팬(40)은 회전 중심이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 1 팬(30)에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제 2 팬(40)의 상측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제 1 통로(P1)는 제습기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8)와 응축기(4)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는 통로일 수 있다. 제 1 통로(P1)는 제습기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제습된 후 토출되는 제습 통로일 수 있다. 제 1 통로(P1)는 제 1 통로(P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공기흡입구(12)와 제 1 팬(30) 사이의 제 1 팬 흡입유로(P3)와, 제 1 팬(30)과 제 2 팬(40) 사이의 팬 연결유로(P4)와, 제 2 팬(40)과 공기토출구(16) 사이의 공용 토출유로(P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팬 흡입유로(P3)에는 증발기(8)와 응축기(4)가 제 1 팬(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팬 흡입유로(P3)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공기흡입구(12)와 오리피스(3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팬 흡입유로(P3)는 공기 유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드레인팬(26)과 후술하는 유로 가이드(2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팬 연결유로(P4)는 제 2 팬(40)이 제 1 팬(30) 외부에 설치될 경우, 제 1 팬(30)의 토출부와 제 2 팬(4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팬 연결유로(P4)는 제 1 팬(30)이 유로 가이드(44) 내부에 위치될 경우, 유로 가이드(44)에 형성될 수 있다. 팬 연결유로(P4)는 제 2 팬(40)이 제 1 팬(30)의 토출부 내부에 설치될 경우, 제 1 팬(30)의 토출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통로(P2)는 제습기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8)와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는 통로일 수 있다. 제 2 통로(P2)는 제습기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바이패스한 후 토출되는 비제습 통로 또는 열교환기 바이패스 통로일 수 있다. 제 2 통로(P2)는 제 1 통로(P1)에서 증발기(8)와 응축기(4)를 통과한 공기(A)를 증발기(8)와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B)와 혼합시키는 통로일 수 있다. 제 2 통로(P2)는 제 1 팬(30)과 제 2 팬(40) 사이에서 제 1 통로(P1)와 합쳐될 수 있다. 제 2 통로(P1)는 제 2 통로(P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공기흡입구와 제 2 팬(40) 사이의 제 2 팬 흡입유로(P6)와, 제 2 팬(40)과 공기토출구(16) 사이의 공용 토출유로(P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로(P2)는 제 2 팬 흡입유로(P6)가 제 1 통로(P1)의 팬 연결유로(P4)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팬 흡입유로(P6)는 제 2 팬(4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2 팬(40)의 이전 위치에서 제 1 통로(P1)의 팬 연결유로(P4)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팬 흡입유로(P6)는 제 2 통로(P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공기흡입구(14)와 비제습 공기흡입구(4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팬 흡입유로(P6)는 제 2 통로(P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탑 패널(19)과 후술하는 유로 가이드(2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 사이에 위치되는 유로 가이드(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28)는 케이싱(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28)는 제 1 팬 흡입유로(P3)와 제 2 팬 흡입유로(P6)를 구획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28)는 일면이 제 1 팬 흡입유로(P3)를 형성할 수 있고, 타면이 제 2 팬 흡입유로(P6)를 형성할 수 있다.
제습기는 내부에 제 1 팬 흡입유로(P3)와, 팬 연결유로(P4)와, 제 2 팬 흡입유로(P6) 및 공용 토출유로(P5)가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제습기 외부에서 제습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 흡입유로(P3)와 제 1 팬(30) 과 팬 연결유로(P4) 및 공용 토출유로(P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 외부에서 제습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 2 팬 흡입유로(P6)와 제 2 팬(40) 및 공용 토출유로(P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 외부에서 제습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일부가 제 1 팬 흡입유로(P3)와 제 1 팬(30)과 팬 연결유로(P4) 제 2 팬(40) 및 공용 토출유로(P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습기 외부로 토출되고, 나머지가 제 2 팬 흡입유로(P6)와 제 2 팬(40) 및 공용 토출유로(P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는 제습기 외부에서 제습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청정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정유닛(50)은 제 2 통로(P2)에 위치되지 않고 제 1 통로(P1)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통로(P1)에 위치되지 않고 제 2 통로(P2)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제 1 통로(P1) 및 제 2 통로(P2)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청정유닛은 공기가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청정유닛(50)은 헤파 필터 등의 고성능 필러로 구성될 수 있다. 청정유닛(50)은 전기집진기로 구성되거나 이온발생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청정유닛(50)은 전기집진기나 이온발생기로 구성될 경우, 청정유닛(50)이 제 1 팬(30)의 구동시 온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 2 팬(40)의 구동시 온되는 것이 가능하다. 청정유닛(50)은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통로(P1) 및 제 2 통로(P2)에 걸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청정유닛(50)이 제 2 통로(P2)에 위치되지 않고 제 1 통로(P1)에 위치할 경우, 증발기(8)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청정유닛(50)에서 정화된 후 증발기(8)로 유동될 수 있고,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고 제 2 팬(40)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청정유닛(50)에서 정화되지 않고 제 2 팬(4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 1 통로(P1)는 공기의 청정 및 공기의 제습이 행해질 수 있는 청정 및 제습 유로로 기능할 수 있고, 제 2 통로(P2)는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은 비제습 공기를 제 2 팬(40)으로 안내하는 송풍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청정유닛(50)이 제 1 통로(P1)에 위치되지 않고 제 2 통로(P2)에 위치할 경우, 증발기(8)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청정유닛(50)을 통과하지 않고 증발기(8)로 유동될 수 있고,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고 제 2 팬(40)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청정유닛(50)에서 정화된 후 제 2 팬(4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 1 통로(P1)는 공기의 제습이 행해질 수 있는 제습 유로로 기능할 수 있고, 제 2 통로(P2)는 공기의 청정 및 공기의 송풍이 행해질 수 있는 청정 및 송풍 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청정유닛(50)이 제 1 통로(P1)에 위치되고 제 2 통로(P2)에 위치할 경우, 증발기(8)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청정유닛(50)에서 정화된 후 증발기(8)로 유동될 수 있고,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고 제 2 팬(40)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청정유닛(50)에서 정화된 후 제 2 팬(4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 1 통로(P1)는 공기의 청정 및 공기의 제습이 행해질 수 있는 청정 및 제습 유로로 기능할 수 있고, 제 2 통로(P2)는 공기의 청정 및 공기의 송풍이 행해질 수 있는 청정 및 송풍 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청정유닛(50)이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 중 제 2 통로(P2)에만 위치되거나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에 함께 위치된 상태에서, 압축기(2)는 구동되지 않고, 제 2 팬(40)이 구동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 2 팬(40)에 의해 제 2 통로(P2)로 흡입된 공기는 청정유닛(50)에서 정화된 상태로 공기토출구(16)로 토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습기는 실내 공기를 제습하지 않는 공기청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청정유닛(50)이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 중 제 1 통로(P1)에만 위치된 상태에서, 압축기(2)는 구동되지 않고, 제 2 팬(40)이 구동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 2 팬(40)에 의해 제 2 통로(P2)로 흡입된 공기는 청정유닛(50)에 의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공기토출구(16)로 토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습기는 실내 공기를 제습하지 않는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습기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와, 제습기에 설치된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2)는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는 제습기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기 또는 케이싱(10)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는 제습기의 운전 모드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어부(52)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운전 모드에 따라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2)는 케이싱(10)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52)는 제 2 통로(P2)에 위치될 수 있고, 제 2 통로(P2)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52)는 제 2 통로(P2)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방열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1 팬(30)과 제 2 팬(40)의 풍량이 같거나 근접할 경우, 제 1 팬(30)과 제 2 팬(40)의 구동,정지에 따라 풍량이 2단계로 구분될 수 있고, 제 1 팬(30)과 제 2 팬(40)이 모두 구동되는 고풍량 모드와, 제 1 팬(30)과 제 2 팬(40) 중 하나만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정지인 저풍량 모드를 갖을 수 있다.
제습기는 풍량을 제 1 팬(30)과 제 2 팬(40)의 풍량 차가 큰 경우, 제 1 팬(30)과 제 2 팬(40)의 구동,정지에 따라 풍량이 3단계로 구분될 수 있고, 제 1 팬(30)과 제 2 팬(40)이 모두 구동되는 고풍량 모드와, 제 1 팬(30)과 제 2 팬(40) 중 풍량이 더 큰 팬만 구동되고 풍량이 더 작은 팬이 정지인 중풍량 모드와, 제 1 팬(30)과 제 2 팬(40) 중 풍량이 작은 큰 팬만 구동되고 풍량이 더 큰 팬이 정지인 저풍량 모드를 갖을 수 있다.
제습기는 적어도 2개의 운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의 복수개의 운전모드를 갖고, 복수개의 운전모드 중 선택된 운전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함께 구동되는 제 1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정지이고, 제 2 팬(40)이 구동되는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1 모드와 제 2 모드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압축기(2)가 정지이고,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함께 구동되는 제 3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1 모드와 제 2 모드 및 제 3 모드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구동이고, 제 2 팬(40)이 정지인 제 4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1 모드와 제 2 모드와 제 3 모드 및 제 4 모드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압축기(2) 및 제 2 팬(40)이 정지이고, 제 1 팬(30)이 구동인 제 5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1 모드와 제 2 모드와 제 3 모드와 제 4 모드 및 제 5 모드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 1 모드는 제습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8)에서 제습한 후 토출하되 공기토출구(16)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응축기(4)와 제 1 팬(30) 사이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 보다 낮출 수 있고 고풍량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모드이다. 제 1 모드는 고풍량 제습모드일 수 있다. 청정유닛(50)이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경우, 제 1 모드는 고풍량 제습 및 청정 모드 일 수 있다.
제 2 모드는 제습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8) 및 응축기(4)와 열교환시키지 않고 토출할 수 있는 모드이다. 제 2 모드는 제습기로 흡입된 공기의 전부가 제 2 통로(P2)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모드는 제습기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가 제 1 통로(P1)를 통과하되 증발기(8) 및 응축기(4)와 열교환없이 통과하고 제습기로 흡입된 공기의 나머지가 제 2 통로(P2)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의 풍량이 2단계로 구분될 경우, 제 2 모드는 저풍량 송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이 3단계로 구분되고 제 2 팬(40)의 풍량이 제 1 팬(30)의 풍량 보다 크면, 제 2 모드는 중풍량 송풍 모드일 수 있다. 청정유닛(50)이 제 2 통로(P2)에 배치되거나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에 배치되는 경우, 제 2 모드는 저풍량 청정 모드 또는 중풍량 청정 모드일 수 있다.
제 3 모드는 제습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시키되 제습시키지 않고 토출하고 고풍량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모드이다. 제 3 모드는 제습기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가 제 1 통로(P1)를 통과하되 증발기(8) 및 응축기(4)와 열교환없이 통과하고 제습기로 흡입된 공기의 나머지가 제 2 통로(P2)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모드는 제 2 모드 보다 고풍량인 고풍량 송풍 모드일 수 있다. 청정유닛(50)이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경우, 제 3 모드는 고풍량 청정 모드일 수 있다.
제 4 모드는 제습기 외부 공기를 증발기(8)에서 제습한 후 토출하되 제 1 모드 보다 저풍량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모드이다. 제 4 모드는 제 1 모드 보다 저풍량인 저풍량 제습모드일 수 있다. 청정유닛(50)이 제 1 통로(P1)에 배치되는 경우, 제 4 모드는 저풍량 제습 및 청정 모드일 수 있다.
제 5 모드는 제습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시키되 제습시키지 않고 토출하고 제 1 모드 보다 저풍량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모드이다. 제 5 모드는 저풍량 송풍 모드일 수 있다. 청정유닛(50)이 제 1 통로(P1)에 배치되는 경우, 제 5 모드는 저풍량 청정 모드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모두 구동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습기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제 1 통로(P1)로 흡입될 수 있고, 제습기로 흡입된 공기의 나머지는 제 2 통로(P2)로 흡입될 수 있다.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를 통과하면서 제습될 수 있고, 이후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응축기(4)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승온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과 제 2 팬(40)의 흡입력에 의해 제 2 팬(4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 2 통로(P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고 제 2 팬(40)으로 흡입될 수 있고,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에서 제 2 팬(40)으로 송풍된 공기(A)와 합쳐질 수 있다. 제 2 통로(P2)로 흡입된 공기(B)는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에서 제 2 팬(40)으로 송풍된 공기(A)보다 저온이고, 제 2 팬(40)에서 공기토출구(16)로 토출되는 혼합 공기의 온도는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응축기(4)와 제 1 팬(3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A)의 온도 보다 낮을 수 있다. 제 2 팬(40)에서 공기토출구(16)로 송풍된 후 공기토출구(16)로 토출되는 공기는 제 1 팬(30)과 제 2 팬(40) 중 어느 하나만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보다 고풍량일 수 있고, 제습기는 제 1 팬(30)과 제 2 팬(40) 중 어느 하나만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보다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으면서 고풍량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습기는 청정유닛(5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면, 제습기로 기능할 수 있고, 청정유닛(50)을 포함하는 경우이면, 제습 및 공기청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습기는 고풍량 제습모드이거나 고풍량 제습 및 공기청정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정지이고, 제 2 팬(40)이 구동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습기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제 1 통로(P1)로 흡입될 수 있고, 제습기로 흡입된 공기의 나머지는 제 2 통로(P2)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 외부 공기는 주로 제 2 통로(P2)로 흡입되고 제 1 통로(P2)로 흡입되는 공기 보다 소량의 공기가 제 1 통로(P1)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 외부에서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응축기(4) 및 제 1 팬(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2 팬(4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2 통로(P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 및 제 1 팬(30)을 바이패스하여 제 2 팬(4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를 열교환 없이 통과할 수 있고, 이후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통과할 수 있으며, 제 2 팬(40)에서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해 제 1 팬(30)을 통과한 후 제 2 팬(4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제 2 통로(P2)로 흡입된 공기(B)는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고 제 2 팬(40)으로 흡입될 수 있고,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에서 제 2 팬(40)으로 흡입된 공기(A)와 합쳐질 수 있다.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열교환없이 통과한 공기(A)와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바이패스한 공기(B)는 제 2 팬(40)에 의해 함께 공기토출구(16)로 송풍될 수 있다. 제 2 팬(40)에서 공기토출구(16)로 송풍된 후 공기토출구(16)로 토출되는 공기는 제 1 팬(30)과 제 2 팬(40) 모두가 구동되는 경우 보다 저풍량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는 청정유닛(5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면,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고, 청정유닛(50)을 포함하는 경우이면, 공기청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습기는 저풍량 송풍모드이거나 저풍량 공기청정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가 정지이고,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함께 구동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습기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제 1 통로(P1)로 흡입될 수 있고, 제습기로 흡입된 공기의 나머지는 제 2 통로(P2)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 외부에서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응축기(4) 및 제 1 팬(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2 팬(4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2 통로(P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 및 제 1 팬(30)을 바이패스하여 제 2 팬(4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를 열교환 없이 통과할 수 있고, 이후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통과할 수 있다. 응축기(4)를 열교환없이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과 제 2 팬(40)의 흡입력에 의해 제 2 팬(4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 2 통로(P2)로 흡입된 공기(B)는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고 제 2 팬(40)으로 흡입될 수 있고,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에서 제 2 팬(40)으로 송풍된 공기(A)와 합쳐질 수 있다.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열교환없이 통과한 공기(A)와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바이패스한 공기(B)는 제 2 팬(40)에 의해 함께 공기토출구(16)로 송풍될 수 있다. 제 2 팬(40)에서 공기토출구(16)로 송풍된 후 공기토출구(16)로 토출되는 공기는 제 1 팬(30)과 제 2 팬(40)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정지인 경우 보다 고풍량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는 청정유닛(5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면,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고, 청정유닛(50)을 포함하는 경우이면, 공기청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습기는 고풍량 송풍모드이거나 고풍량 공기청정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구동이고, 제 2 팬(40)이 정지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제 2 통로(P2)로 흡입되지 않고 제 1 통로(P1)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를 통과하면서 제습될 수 있고, 이후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응축기(4)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승온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2 팬(40)으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팬(40)을 통과하여 공기토출구(16)로 송풍될 수 있으며, 공기토출구(16)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팬(30)에 의해 송풍된 후 제 2 팬(40)을 통과하여 공기토출구(16)로 토출된 공기는 제 1 팬(30)과 제 2 팬(40) 모두가 구동되는 경우 보다 저풍량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는 청정유닛(5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면, 제습기로 기능할 수 있고, 청정유닛(50)을 포함하는 경우이면, 제습 및 공기청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습기는 저풍량 제습모드이거나 저풍량 제습 및 공기청정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 및 제 2 팬(40)이 정지이고, 제 1 팬(30)이 구동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제 2 통로(P2)로 흡입되지 않고 제 1 통로(P1)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를 열교환 없이 통과할 수 있고, 이후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통과할 수 있으며, 제 1 팬(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제 1 팬(30)으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2 팬(40)으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팬(40)을 통과하여 공기토출구(16)로 송풍될 수 있으며, 공기토출구(16)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팬(30)에 의해 송풍된 후 제 2 팬(40)을 통과하여 공기토출구(16)로 토출된 공기는 제 1 팬(30)과 제 2 팬(40) 모두가 구동되는 경우 보다 저풍량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는 청정유닛(5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면, 선풍로 기능할 수 있고, 청정유닛(50)을 포함하는 경우이면, 공기청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습기는 저풍량 송풍모드이거나 저풍량 공기청정 모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2 실시예의 압축기와 제 1 팬 및 제 2 팬이 모두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2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정지이고, 제 2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2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제 1 팬 및 제 2 팬이 함께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2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구동이고, 제 2 팬이 정지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2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2 팬이 정지이고, 제 1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습기는 공기의 토출 방향과 제 2 팬(14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습기는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공기토출구(106)는 케이싱(10)의 전방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0)은 베이스(17)와, 흡입 패널(18)과, 탑 패널(19)과, 프론트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고, 공기토출구(106)는 탑 패널(19)에 형성되지 않고, 프론트 패널(20)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06)는 케이싱(10)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수 있다. 공기토출구(106)는 케이싱(10)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 형상의 공기토출구(106)가 형성되기 위해 프론트 패널(20)에는 원형의 개구부(20A)가 형성될 수 있고, 원형의 개구부(20A) 내측에는 링 형상의 공기토출구(106)를 형성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20B)가 설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20B)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다리에 의해 프론트 패널(20) 또는 에어 가이드(144)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너 가이드(20B)의 외둘레가 원형의 개구부와 이격될 수 있으며, 이너 가이드(20B)의 외둘레와 원형의 개구부(20A) 사이에 링 형상의 공기토출구(10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팬(140)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2 팬(40)과 공기의 송풍 방향만 상이하고, 그 기능은 동일할 수 있다. 제 2 팬(140)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 팬(140)은 프론트 패널(20)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 팬(140)은 회전 중심이 수평할 수 있다. 제 1 팬(30)은 회전 중심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고, 제 2 팬(140)은 제 1 팬(30)의 회전 중심과 나란한 회전 중심을 갖는 상태에서,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제 2 팬(140)은 제 1 팬(30)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팬(30)의 상측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팬(140)은 임펠러(141)와, 임펠러(141)를 회전시키는 모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팬(140)은 모터(142)가 설치되는 모터 마운터(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142)는 회전축이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2 팬(14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06)로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44)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면 및 배면이 개방되며, 공기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44)는 선단이 공기토출구(106)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44)는 후단이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바이패스할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4)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44)는 제 1 팬(30)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유입될 개구부와,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바이패스한 공기(B)가 유입될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제 1 팬(30)에서 유동된 공기(A)와,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바이패스한 공기(B)가 유입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습기가 에어 가이드(144)를 포함할 경우, 에어 가이드(144)는 제 1 팬(30)과 공기토출구(106)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 2 팬(140)은 제 1 팬(30)의 토출부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제 1 팬(30)의 외부에서 제 1 팬(30)의 내부로 흡인력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팬(140)은 케이싱(10) 또는 에어 가이드(144)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팬(140)은 케이싱(10)에 설치될 경우 프론트 패널(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팬(140)은 모터 마운터(143)가 케이싱(10)에 설치될 경우, 이너 가이드(20B)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팬(140)은 모터 마운터(143)가 에어 가이드(144)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 2 팬(140)은 에어 가이드(144)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공기가 흡입되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과 제 2 팬(140)의 순서로 통과한 후 외부로 토출되는 제 1 통로(P1)와, 공기가 흡입되어 제 2 팬(140)을 통과한 후 외부로 토출되는 제 2 통로(P2)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통로(P1)가 제 1 팬 흡입유로(P3)와, 팬 연결유로(P4)와, 공용 토출유로(P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통로(P2)가 제 2 팬 흡입유로(P6)와, 공용 토출유로(P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운전모드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1 모드시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140)이 모두 구동될 수 있고,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1 모드와 같이, 증발기(8)에서 제습된 후 응축기(4)에서 가열되고 응축기(4)에서 제 1 팬(3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1 팬(30)으로 흡인된 공기는 제 1 팬(30)에서 제 2 팬(140)으로 송풍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통로(P2)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1 모드와 같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팬(14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1 팬(30)에서 제 2 팬(140)으로 송풍된 공기(A)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한 공기(B)와 합쳐지고, 제 2 팬(140)의 전방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제 2 팬(140)의 전방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공기토출구(106)를 통과하여 공기토출구(106) 전방으로 토출된다. 제습기는 제 1 팬(30)과 제 2 팬(140) 중 어느 하나만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보다 전방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게 하면서 고풍량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습기는 2개의 팬(30)(140)에 의해 송풍되는 고풍량의 제습공기를 공기토출구(10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고풍량 제습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2 모드시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정지일 수 있고, 제 2 팬(140)이 구동될 수 있으며,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2 모드와 같이,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팬(30)에서 제 2 팬(140)으로 송풍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통로(P2)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2 모드와 같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팬(14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1 팬(30)에서 제 2 팬(140)으로 송풍된 공기(A)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한 공기(B)와 합쳐지고, 제 2 팬(140)의 전방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제 2 팬(140)의 전방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공기토출구(106)를 통과하여 공기토출구(106) 전방으로 토출되고, 제습기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06)의 전방 방향으로 송풍하는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3 모드시 압축기(2)가 정지일 수 있고, 제 1 팬(30) 및 제 2 팬(140)이 함께 구동될 수 있으며,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3 모드와 같이,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팬(30)에서 제 2 팬(140)으로 송풍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통로(P2)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3 모드와 같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팬(14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1 팬(30)에서 제 2 팬(140)으로 송풍된 공기(A)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한 공기(B)와 합쳐지고, 제 2 팬(140)의 전방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제 2 팬(140)의 전방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공기토출구(106)를 통과하여 공기토출구(106) 전방으로 토출되고, 제습기는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3 모드시, 제 1 팬(30)과 제 2 팬(140)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정지인 경우 보다 고풍량의 공기를 공기토출구(106)로 토출할 수 있고, 제습기는 2개의 팬(30)(140)에 의해 송풍되는 고풍량의 공기를 공기토출구(106)의 전방 방향으로 송풍하는 고풍량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4 모드시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구동될 수 있고, 제 2 팬(140)이 정지일 수 있으며,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통로(P2)로 흡입되지 않고 제 1 통로(P1)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4 모드와 같이, 증발기(8)에서 제습된 후 응축기(4)에서 가열되고 응축기(4)에서 제 1 팬(3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1 팬(30)으로 흡인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1 팬(30)에서 제 2 팬(140)으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팬(140)을 통과하여 공기토출구(106)로 송풍될 수 있으며, 공기토출구(106)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는 제습공기를 공기토출구(10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습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습기는 제 5 모드시 압축기(2) 및 제 2 팬(140)이 정지일 수 있고, 제 1 팬(30)이 구동될 수 있으며,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통로(P2)로 흡입되지 않고 제 1 통로(P1)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통로(P1)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제 5 모드와 같이,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순차적으로 열교환 없이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제 1 팬(30)으로 흡인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1 팬(30)에서 제 2 팬(140)으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팬(140)을 통과하여 공기토출구(106)로 송풍될 수 있으며, 공기토출구(106)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0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와 제 1 팬 및 제 2 팬이 모두 구동이고,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정지이고, 제 2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제 1 팬 및 제 2 팬이 함께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구동이고, 제 2 팬이 정지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2 팬이 정지이고, 제 1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와 제 1 팬 및 제 2 팬이 모두 구동이고,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정지이고, 제 2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제 1 팬 및 제 2 팬이 함께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구동이고, 제 2 팬이 정지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3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2 팬이 정지이고, 제 1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습기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공기흡입구(112) 및 제 2 공기흡입구(114)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공기토출구(116) 및 제 2 공기토출구(118)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흡입구(112) 및 제 2 공기흡입구(114)는 제습기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흡입구(112)는 제습기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 공기흡입구(114)는 제습기의 전면과 상면과 하면과 우측면과 좌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흡입구(112)는 제 2 공기흡입구(114) 보다 상대적으로 더 뒷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흡입구(112)가 리어 흡입구일 때, 제 2 공기흡입구(114)는 프론트 흡입구일 수 있다. 제 2 공기흡입구(114)는 복수개가 제습기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공기흡입구(114)는 제습기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됨과 아울러 제습기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 및 제 2 공기토출구(118)는 제습기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 및 제 2 공기토출구(118)는 제습기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는 케이싱(10)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2 공기토출구(118)는 케이싱(10)에 제 1 공기토출구(116)와 상이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는 제습기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 공기토출구(118)는 제습기의 상면과 하면과 우측면과 좌측면 과 배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공기토출구(118)는 제습기의 상면에 형성될 경우, 제 1 팬(30)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습기의 상측 으로 토출할 수 있고, 제습기의 배면에 형성될 경우 공기를 제 1 팬(30)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습기의 후방으로 토출할 수 있으며, 제습기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될 경우, 제 1 팬(30)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습기의 옆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는 제 2 공기토출구(118) 보다 상대적으로 더 앞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때, 제 2 공기토출구(118)는 리어 공기토출구일 수 있다. 제습기는 제 1 팬(30)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 안내하는 제 2 공기토출구 에어 가이드(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공기토출구 에어 가이드(244)는 제 1 팬(30)과 제 2 공기토출구(16)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 공기토출구 에어 가이드(244)는 중공된 덕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공기토출구(118)가 제습기의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형성될 경우, 제 2 공기토출구 에어 가이드(244)는 제 1 팬(30)에서 송풍된 공기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공기토출구(118)가 제습기의 후방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형성될 경우, 제 2 공기토출구 에어 가이드(244)는 제 1 팬(30)에서 송풍된 공기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공기토출구(118)가 제습기의 옆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형성될 경우, 제 2 공기토출구 에어 가이드(244)는 제 1 팬(30)에서 송풍된 공기를 좌우 방향으로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습기는 제 2 팬(240)이 제 1 팬(30)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 팬(240)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제 2 팬(140)과 같이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제 2 팬(240)은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제 2 팬(140)과 공기의 송풍 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제 2 팬(240)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 팬(240)은 프론트 패널(20)과 제 1 팬(3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 팬(240)은 회전 중심이 수평할 수 있다. 제 2 팬(240)은 임펠러(241)와, 임펠러(241)를 회전시키는 모터(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팬(240)은 모터(242)가 설치되는 모터 마운터(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마운터(243)는 프론트 패널(2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 마운터(243)는 제 1 팬(30)의 팬 하우징(33)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제습기는 공기가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되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과 제 2 팬(24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는 제 1 통로(P11)와, 공기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되어 제 2 팬(240)을 통과한 후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는 제 2 통로(P12)와, 공기가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되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통과한 후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는 제 3 통로(P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팬(30)은 제 1 통로(P11)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4)와 제 2 팬(2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팬(30)은 제 3 통로(P17)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4)와 제 2 공기토출구(11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팬(240)은 제 1 통로(P11)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 1 팬(20)과 제 1 공기토출구(11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팬(240)은 제 2 통로(P12)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 2 공기흡입구(114)와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통로(P11)는 제 1 통로(P1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1 팬(30) 사이의 제 1 팬 흡입유로(P13)와, 제 1 팬(30)과 제 2 팬(240) 사이의 팬 연결유로(P14)와, 제 2 팬(240)과 제 1 공기토출구(116) 사이의 공용 토출유로(P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로(P12)는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8)와 응축기(4) 및 제 1 팬(30)을 통과하지 않고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통로(P12)는 제 2 통로(P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2 공기흡입구(114)와 제 2 팬(240) 사이의 제 2 팬 흡입유로(P16)와, 제 2 팬(240)과 제 1 공기토출구(16) 사이의 공용 토출유로(P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통로(P17)는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가 제 2 팬(240)을 통과하지 않고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될 수 있다. 제 3 통로(P17)는 제 3 통로(P17)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1 팬(30) 사이의 제 1 팬 흡입유로(P13)와, 제 1 팬(30)과 제 2 공기토출구(118) 사이의 독립 토출유로(P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로(P11)와 제 3 통로(P17)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고, 제 1 통로(P11)와 제 2 통로(P12)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합지될 수 있다. 제 2 통로(P12)는 제 1 팬(30)과 제 2 팬(240) 사이에서 제 1 통로(P11)와 합쳐질 수 있고, 제 3 통로(P17)는 제 1 팬(30)과 제 2 팬(240) 사이에서 제 1 통로(P11)와 분리될 수 있다.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 흡입유로(P13)와, 팬 연결유로(P14)와, 공용 토출유로(P1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거나 제 1 팬 흡입유로(P13)와 독립 토출유로(P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제 2 팬 흡입유로(P16)와, 공용 토출유로(P1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제 2 팬(240)을 통과한 공기가 제 1 팬(30)으로 유동될 수 있는 연통구(246)가 형성될 수 있다. 연통구(246)는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1 팬(30)과 제 2 팬(24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연통구(246)는 팬 연결유로(P14)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연통구(246)는 제 1 팬(30)의 팬하우징(33)과 케이싱(1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연통구(246)는 제 1 팬(30)의 팬하우징(33)과 후술하는 제 2 공기토출구 에어 가이드(24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습기는 제습기 내부의 유로를 조절할 수 있는 유로조절기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는 유로조절부재(262)와, 유로조절부재(262)를 작동시키는 작동기구(264)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는 연통구(246)를 개폐하게 설치될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는 연통구(246)를 개폐하는 것에 의해 제습기 내부의 유로를 조절할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는 제 2 공기토출구(118)를 개폐하게 설치될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는 제 2 공기토출구(118)를 개폐하는 것에 의해 제습기 내부의 유로를 조절할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는 연통구(246)를 개폐하는 연통구 유로조절기구와, 제 2 공기토출구(118)를 개폐하는 제 2 공기토출구 유로조절기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통구 유로조절기구와 제 2 공기토출구 유로조절기구 각각은 유로조절부재와 작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구 유로조절기구가 연통구(246)를 개방할 때, 제 2 공기토출구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118)를 막을 수 있고, 연통구 유로조절기구가 연통구(246)를 막을 때, 제 2 공기토출구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118)를 개방할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는 연통구(246)와 제 2 공기토출구(118) 별로 각각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유로조절기구가 연통구(246)를 개방하면서 제 2 공기토출구(118)를 막고, 연통구(246)를 막으면서 제 2 공기토출구(118)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하나의 유로조절부재(262)는 연통구(246)를 개방하는 위치일 때 제 2 공기토출구(118)를 막을 수 있고, 연통구(246)를 막는 위치일 때 제 2 공기토출구(118)를 개방할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는 제 1 팬(30)과 제 2 팬(240) 사이의 연통구(246)를 개방하는 제1모드와, 제 1 팬(30)과 제 2 팬(240) 사이의 연통구(246)를 막는 제2모드를 갖을 수 있다. 제1모드는 연통구 개방모드일 수 있고, 제2모드는 연통구 밀폐모드일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는 제1모드시 제 2 공기토출구(118)를 개방하는 제 2 공기토출구 개방모드일 수 있고, 유로조절기구(260)는 제2모드시 제 2 공기토출구(118)를 막는 제 2 공기토출구 차폐모드일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의 제1모드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30)에서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지 않고 제 2 팬(240)으로 송풍될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의 제2모드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30)에서 제 2 팬(240)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제2공기토출구(118)를 향해 송풍될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의 제1모드는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가 제 1 공기토출구(116)으로 토출되는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수 있다. 유로조절기구(260)의 제2모드는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가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는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수 있다.
유로조절부재(262)는 연통구(246)를 개방할 때, 제 1 팬(30)에서 송풍된 공기를 연통구(246)로 안내하는 제 1 에어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다.유로조절부재(262)는 연통구(246)를 차폐할 때, 제 1 팬(30)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안내하는 제 2 에어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다. 유로조절부재(262)는 양면 중 일면이 제 1 에어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고, 양면 중 타면이 제 2 에어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다.
유로조절부재(262)는 연통구(246)를 막을 때, 제 1 팬(30)과 제 2 공기토출구(118) 사이를 가로막지 않게 위치되어 제 1 팬(30)을 통과한 공기가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유로조절부재(262)는 연통구(246)를 개방할 때, 제 1 팬(30)과 제 2 공기토출구(118) 사이를 가로막게 위치되어 제 1 팬(30)을 통과한 공기가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유로조절기구(262)는 제 2 공기토출구(118)를 막는 제 2 공기토출구 차폐기구로 기능할 수 있다.
유로조절부재(262)는 제습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무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로조절부재(262)는 연통구(246)를 막고 제 2 공기토출구(118)를 개방하는 제 1 위치에 위치되거나 연통구(246)를 개방하고 제 2 공기토출구(118)를 막는 제 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연통구(246)가 제습기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개방될 수 있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제습기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조절부재(262)는 수직하게 배치되었을 때, 연통구(246)를 막으면서 제 2 공기토출구(118)를 개방하는 제 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유로조절부재(262)는 제 1 위치에 위치될 때, 제 1 팬(30)에서 유동된 공기가 상측 방향으로 토출되게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유로조절부재(262)는 수평하게 배치되었을 때, 제 2 공기토출구(118)를 막으면서 연통구(246)를 개방하는 제 2 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유로조절부재(262)는 제 2 위치에 위치될 때, 제 1 팬(30)에서 유동된 공기가 전방방향으로 토출되게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습기는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와, 제 1 공기토출구(116)와, 제 2 공기토출구(118)와, 제 1 통로(P11)와, 제 2 통로(P12)와, 제 3 통로(P17)와, 제 2 팬(240)과, 유로조절기구(260) 이외의 기타 구성이 작용이 본 발명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로조절기구(260)의 제 1 모드를 제 1 공기토출구 토출 모드로 칭하여 설명하고, 제 2 모드를 제 2 공기토출구 토출 모드로 칭하여 설명한다.
제습기는 적어도 2개의 운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의 복수개의 운전모드를 갖고, 복수개의 운전모드 중 선택된 운전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함께 구동되는 제 1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정지이고, 제 2 팬(40)이 구동되는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가 정지이고,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함께 구동되는 제 3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구동이고, 제 2 팬(40)이 정지인 제 4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 및 제 2 팬(40)이 정지이고, 제 1 팬(30)이 구동인 제 5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함께 구동되는 제 6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정지이고, 제 2 팬(40)이 구동되는 제 7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가 정지이고,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함께 구동되는 제 8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구동이고, 제 2 팬(40)이 정지인 제 9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운전 모드는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 및 제 2 팬(40)이 정지이고, 제 1 팬(30)이 구동인 제 10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제습기의 각 모드별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함께 구동되고,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제 1 모드와 같이, 증발기(8)를 통과하면서 제습될 수 있고, 이후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응축기(4)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승온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과 제 2 팬(240)의 흡입력에 의해 제 2 팬(240)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 1 팬(30)에서 제 2 팬(240)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연통구(246)를 통과하여 제 2 팬(24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제 1 모드와 같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팬(240)으로 흡인될 수 있고, 제 1 팬(30)에서 제 2 팬(240)으로 송풍된 공기와 합쳐질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2개의 팬(30)(240)에 의해 송풍되는 고풍량의 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고풍량 제습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함께 구동되면, 제습기는 프론트 고풍량 제습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정지이고, 제 2 팬(240)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제 2 모드와 같이,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팬(30)을 통과할 수 있고, 연통구(246)를 통과하여 제 2 팬(24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제 2 모드와 같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팬(240)으로 흡인될 수 있고, 제 1 팬(30)에서 제 2 팬(240)으로 흡입된 공기와 합쳐질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1개의 팬(24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 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정지이고, 제 2 팬(240)이 구동이면, 제습기는 프론트 선풍 모드일 수 있다. 제습기의 풍량을 2 단계로 구분하면, 제습기는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을 3 단계로 구분하고, 제 2 팬(240)의 풍량이 제 1 팬(30)의 풍량 보다 크면, 제습기는 프론트 중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가 정지이고, 제 1 팬(30) 및 제 2 팬(240)이 함께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제 3 모드와 같이,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과 제 2 팬(240)의 흡입력에 의해 제 2 팬(240)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 1 팬(30)에서 제 2 팬(240)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연통구(246)를 통과하여 제 2 팬(24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제 3 모드와 같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팬(240)으로 흡인될 수 있고, 제 1 팬(30)에서 제 2 팬(240)으로 흡입된 공기와 합쳐질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2개의 팬(30)(240)에 의해 송풍되는 고풍량의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고풍량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가 정지이고, 제 1 팬(30) 및 제 2 팬(240)이 함께 구동되면, 제습기는 프론트 고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구동이고, 제 2 팬(240)이 정지이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되지 않고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제 4 모드와 같이, 증발기(8)에서 제습된 후 응축기(4)에서 가열되고 응축기(4)에서 제 1 팬(3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1 팬(30)으로 흡인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1 팬(30)에서 제 2 팬(240)으로 송풍될 수 있고, 연통구(246)를 통과하여 제 2 팬(240)으로 송풍될 수 있다. 제 2 팬(240)으로 송풍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1개의 팬(30)에 의해 송풍되는 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제습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구동이고, 제 2 팬(240)이 정지이면, 제습기는 프론트 저풍량 제습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 및 제 2 팬(240)이 정지이고, 제 1 팬(30)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되지 않고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제 5 모드와 같이,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1 팬(30)으로 흡인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1 팬(30)에서 제 2 팬(240)으로 송풍될 수 있고, 연통구(246)를 통과하여 제 2 팬(240)으로 송풍될 수 있다. 제 2 팬(240)으로 송풍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1개의 팬(3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 및 제 2 팬(240)이 정지이고, 제 1 팬(30)이 구동이면, 제습기는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 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240)이 함께 구동되고,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를 통과하면서 제습될 수 있고, 이후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응축기(4)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승온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2 공기토출구(118)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팬(240)으로 흡인될 수 있고, 제 2 팬(240)에 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 1 팬(30)에 의해 송풍되는 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고, 제 2 팬(24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함께 구동되면, 제습기는 리어 제습 및 프론트 선풍 모드일 수 있다. 제습기의 풍량을 2 단계로 구분하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제습 및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을 3 단계로 구분하고, 제 2 팬(240)의 풍량이 제 1 팬(30)의 풍량 보다 크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제습 및 프론트 중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와 제 1 팬(30)이 정지이고, 제 2 팬(240)이 구동되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되지 않고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될 수 있다.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팬(240)으로 흡인될 수 있고, 제 2 팬(240)에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 2 팬(24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와 제 1 팬(30)이 정지이며, 제 2 팬(40)이 구동되면, 제습기는 프론트 선풍 모드일 수 있다. 제습기의 풍량을 2 단계로 구분하면, 제습기는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을 3 단계로 구분하고, 제 2 팬(240)의 풍량이 제 1 팬(30)의 풍량 보다 크면, 제습기는 프론트 중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가 정지이고, 제 1 팬(30) 및 제 2 팬(240)이 함께 구동되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2 공기토출구(118)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팬(240)으로 흡인될 수 있고, 제 2 팬(240)에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 1 팬(3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고, 제 2 팬(24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가 정지이며, 제 1 팬(30) 및 제 2 팬(40)이 함께 구동되면, 제습기는 리어 선풍 및 프론트 선풍 모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습기는 하나의 기기가 여러 방향으로 비제습 공기를 송풍하는 멀티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습기의 풍량을 2 단계로 구분하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선풍 및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을 3 단계로 구분하고, 제 2 팬(240)의 풍량이 제 1 팬(30)의 풍량 보다 크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선풍 및 프론트 중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구동이고, 제 2 팬(240)이 정지이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되지 않고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에서 제습된 후 응축기(4)에서 가열되고 응축기(4)에서 제 1 팬(30)으로 흡인될 수 있다. 제 1 팬(30)으로 흡인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2 공기토출구(118)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 1 팬(30)에 의해 송풍되는 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구동이며, 제 2 팬(240)이 정지이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제습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 및 제 2 팬(240)이 정지이고, 제 1 팬(30)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되지 않고,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팬(30)으로 흡입된 공기는 제 1 팬(30)의 송풍력에 의해 제 2 공기토출구(118)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 1 팬(3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 및 제 2 팬(240)이 정지이고, 제 1 팬(30)이 구동이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4 실시예의 압축기와 팬이 구동이고,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4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4 실시예의 압축기와 팬이 구동이고,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4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팬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는 팬(330)이 제 1 임펠러(331)와, 제 2 임펠러(332)와, 제 1 임펠러(331) 및 제 2 임펠러(332)를 함께 회전시키는 공용 모터(333)를 포함할 수 있다.
팬(330)은 공용 모터(333)의 일측으로 회전축이 돌출되고, 회전축에 제 1 임펠러(331)와 제 2 임펠러(332)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공용 모터(333)의 양측에 회전축이 각각 돌출되고, 제 1 임펠러(331)과 제 2 임펠러(332)가 공용 모터(333)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팬(330)은 제 1 임펠러(331)와 제 2 임펠러(332)가 종류가 상이한 임펠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종류가 동일한 임펠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팬(330)은 제 1 임펠러(331)가 터보팬(Turbo fan)과 시로코팬(Sirocco fan) 등의 원심팬 또는 믹스드 플로우 팬(Mixed flow fan)의 임펠러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팬(332)이 프로펠러팬, 관형 축류팬, 베인형 축류팬 등의 축류팬(Axial fan)의 임펠러로 구성될 수 있다.
팬(330)은 제 1 임펠러(331)와 제 2 임펠러(332)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W)을 포함할 수 있고, 격벽(W)은 제 1 임펠러(33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제 2 임펠러(33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서로 차단할 수 있다. 팬(330)은 제 1 임펠러(331)와 제 2 임펠러(332) 중 하나를 둘러싸는 팬 하우징(3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330)은 팬 하우징(334)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격벽(W)이 팬 하우징(334)과 별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팬 하우징(334)의 일부가 제 1 임펠러(33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제 2 임펠러(33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격벽(W)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임펠러(331)가 원심팬 또는 믹스드 플로우 팬(Mixed flow fan)의 임펠러이고, 제 2 임펠러(332)가 축류팬(Axial fan)의 임펠러일 경우, 팬 하우징(334)은 제 1 임펠러(331)을 둘러쌀 수 있고, 오리피스(335)는 제 1 임펠러(331)의 회전시 유동되는 공기를 팬 하우징(334)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제 1 임펠러(331)가 축류팬(Axial fan)의 임펠러이고, 제 2 임펠러(332)가 원심팬 또는 믹스드 플로우 팬(Mixed flow fan)의 임펠러일 경우, 팬 하우징(334)은 제 2 임펠러(331)를 둘러쌀 수 있고, 오리피스(335)는 제 2 임펠러(331)의 회전시 유동되는 공기를 팬 하우징(334)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습기는 팬(33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 중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나 제 2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공기토출구(16)(106)가 형성되고, 제 1 통로(P1)와 제 2 통로(P2)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와 제 1 공기토출구(116)와 제 2 공기토출구(118)와 연통구(246)가 형성되고, 제 1 통로(P11)와 제 2 통로(P12)와 제 3 통로(P17)와 유로조절기구(26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제습기에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와 제 1 공기토출구(116)와 제 2 공기토출구(118)와 연통구(246)가 형성되고, 제 1 통로(P11)와 제 2 통로(P12)와 제 3 통로(P17)와 유로조절기구(260)를 포함하며, 제 1 임펠러(331)와 제 2 임펠러(332)가 공용 모터(333)에 의해 회전되는 예를 설명한다.
제 1 통로(P11)는 공기가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되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임펠러(331)와 제 2 임펠러(33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통로(P12)는 공기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되어 제 2 임펠러(332)를 통과한 후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통로(P12)는 제 1 임펠러(331)와 제 2 임펠러(332) 사이에서 제 1 통로(P11)와 합쳐질 수 있다.
제 3 통로(P17)는 공기가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되어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임펠러(331)를 통과한 후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3 통로(P17)는 제 1 임펠러(331)와 제 2 임펠러(332) 사이에서 제 1 통로(P11)와 분리될 수 있다.
제 1 임펠러(331)는 제 1 통로(P11)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4)와 제 2 임펠러(3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임펠러(331)는 제 3 통로(P17)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3)와 제 2 공기토출구(11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임펠러(332)는 제 1 통로(P11)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 1 임펠러(331)과 제 1 공기토출구(11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임펠러(332)는 제 2 통로(P12)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 2 공기흡입구(114)와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연통구(246)는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1 임펠러(331)와 제 2 임펠러(33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2)와 팬(330)이 구동이고,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를 통과하면서 제습될 수 있고, 이후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응축기(4)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승온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된 공기는 연통구(246)를 통과할 수 있고, 제 2 임펠러(332)로 유동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임펠러(331)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임펠러(332)로 흡인될 수 있고, 제 1 임펠러(331)에서 제 2 임펠러(332)로 유동된 공기와 합쳐질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2개의 임펠러(331)(332)에 의해 송풍되는 고풍량의 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고풍량 제습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와 팬(330)이 구동되면, 제습기는 프론트 고풍량 제습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가 정지이고, 팬(330)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를 열교환없이 통과하고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된 공기는 연통구(246)를 통과할 수 있고, 제 2 임펠러(332)로 유동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임펠러(331)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임펠러(332)로 흡인될 수 있고, 제 1 임펠러(331)에서 제 2 임펠러(332)로 유동된 공기와 합쳐질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2개의 임펠러(331)(332)에 의해 송풍되는 고풍량의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고풍량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1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와 팬(330)이 구동되면, 제습기는 프론트 고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와 팬(330)이 구동이고,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를 통과하면서 제습될 수 있고, 이후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응축기(4)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승온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된 공기는 제 2 공기토출구(118)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공기토출구(118)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임펠러(331)을 바이패스 하여 제 2 임펠러(332)로 흡인될 수 있고, 제 2 임펠러(332)에 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로 송풍될 수 있고, 제 1 공기토출구(116)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고,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와 팬(330)이 구동되면, 제습기는 리어 제습 및 프론트 선풍 모드일 수 있다. 제습기의 풍량을 2 단계로 구분하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제습 및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을 3 단계로 구분하고,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보다 크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제습 및 프론트 중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가 정지이고, 팬(330)이 구동이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를 열교환없이 통과하고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된 공기는 제 2 공기토출구(118)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공기토출구(118)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임펠러(331)를 바이패스 하여 제 2 임펠러(332)로 흡인될 수 있고, 제 2 임펠러(332)에 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로 송풍될 수 있고, 제 1 공기토출구(116)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비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고,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유로조절기구(260)가 제 2 공기토출구 토출모드이고, 압축기(2)와 팬(330)이 구동되면, 제습기는 리어 선풍 및 프론트 선풍 모드일 수 있다. 제습기의 풍량을 2 단계로 구분하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선풍 및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을 3 단계로 구분하고,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보다 크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선풍 및 프론트 중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5 실시예의 압축기 및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5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임펠러(331)(332)가 하나의 공용 모터(333)에 의해 회전되는 팬(330)이 설치되고, 제습 통로(P21)와 선풍 통로(P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팬(330)의 제 1 임펠러(331)는 제습 통로(P21)에 위치될 수 있다. 팬(330)의 제 1 임펠러(331)는 제습 통로(P21)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4)와 제 2 공기토출구(11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팬(330)의 제 2 임펠러(332)는 선풍 통로(P22)에 위치될 수 있다. 팬(330)의 제 2 임펠러(332)는 선풍 통로(P22)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 2 공기흡입구(114)와 제 1 공기토출구(11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습 통로(P21)는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임펠러(331)를 통과하여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습 통로(P21)는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1 임펠러(331) 사이의 제습 흡입유로(P23)와, 제 1 임펠러(331)와 제 2 공기토출구(118) 사이의 제습 토출유로(P24)를 포함할 수 있다.
선풍 통로(P22)는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통과하지 않고 제 2 임펠러(332)를 통과하여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선풍 통로(P22)는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2 공기흡입구(114)와 제 2 임펠러(332) 사이의 선풍 흡입유로(P25)와, 제 2 임펠러(332)와 제 1 공기토출구(116) 사이의 선풍 토출유로(P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 통로(P21)와 선풍 통로(P22)는 그 사이에 위치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격벽은 제 1 임펠러(33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제 2 임펠러(33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서로 차단할 수 있다. 격벽은 일면이 제습 통로(P21)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고 타면이 선풍 통로(P22)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다. 팬(330)은 제 1 임펠러(331)와 제 2 임펠러(332) 중 하나를 둘러싸는 팬 하우징(3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330)은 팬 하우징(334)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하우징(334)은 일부가 제 1 임펠러(33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제 2 임펠러(33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격벽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2)와 팬(330)이 구동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를 통과하면서 제습될 수 있고, 이후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응축기(4)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승온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된 공기는 제 2 공기토출구(118)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공기토출구(118)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임펠러(331)를 바이패스 하여 제 2 임펠러(332)로 흡인될 수 있고, 제 2 임펠러(332)에 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로 송풍될 수 있고, 제 1 공기토출구(116)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고,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압축기(2)와 팬(330)이 구동되면, 제습기는 리어 제습 및 프론트 선풍 모드일 수 있다. 제습기의 풍량을 2 단계로 구분하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제습 및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을 3 단계로 구분하고,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보다 크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제습 및 프론트 중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가 정지이고, 팬(330)이 구동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를 열교환없이 통과하고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기(4)를 통과한 후 제 1 임펠러(331)로 흡입된 공기는 제 2 공기토출구(118)로 송풍될 수 있고, 제 2 공기토출구(118)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임펠러(331)를 바이패스 하여 제 2 임펠러(332)로 흡인될 수 있고, 제 2 임펠러(332)에 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로 송풍될 수 있고, 제 1 공기토출구(116)를 통해 제습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비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고,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압축기(2)와 팬(330)이 구동되면, 제습기는 리어 선풍 및 프론트 선풍 모드일 수 있다. 제습기의 풍량을 2 단계로 구분하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선풍 및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을 3 단계로 구분하고,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보다 크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선풍 및 프론트 중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6 실시예의 압축기와 제 1 팬 및 제 2 팬이 모두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6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정지이고, 제 2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6 실시예의 압축기가 정지이고, 제 1 팬 및 제 2 팬이 함께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6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1 팬이 구동이고, 제 2 팬이 정지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제 6 실시예의 압축기 및 제 2 팬이 정지이고, 제 1 팬이 구동일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와 같이 제습 통로(P21)와 선풍 통로(P22)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 제 5 실시예의 팬(330) 대신에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제 1 팬(30) 및 제 2 팬(140)이 사용되거나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제 1 팬(30) 및 제 2 팬(240)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팬 및 제 2 팬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5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팬(30)은 제습 통로(P21)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4)와 제 2 공기토출구(11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팬(240)은 선풍 통로(P22)에 위치될 수 있고,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2 공기흡입구(114)와 제 1 공기토출구(11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습기는 제습 통로(P21)와 선풍 통로(P22)는 그 사이에 위치되는 격벽(W)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격벽(W)은 제 1 팬(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제 2 팬(24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서로 차단할 수 있다. 격벽(W)은 일면이 제습 통로(P21)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고 타면이 선풍 통로(P22)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다. 제 1 팬(30)은 제 1 임펠러(31)와, 제 1 임펠러(31)를 회전시키는 모터(32)와, 제 1 임펠러(31)를 둘러싸는 팬 하우징(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팬(30)은 팬 하우징(33)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격벽(W)이 팬 하우징(33)과 별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팬 하우징(33)의 일부가 제 1 팬(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제 2 팬(24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서로 차단하는 격벽(W)으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2)와 제 1 팬(30) 및 제 2 팬(240)이 함께 구동되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에서 제습되고 응축기(4)에서 가열된 후 제 1 팬(30)을 통과하여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통과하지 않고, 제 2 팬(240)에 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 1 팬(30)에 의해 송풍되는 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고, 제 2 팬(24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으며, 제습기는 리어 제습 및 프론트 선풍 모드일 수 있다. 제습기의 풍량을 2 단계로 구분하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제습 및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을 3 단계로 구분하고, 제 2 팬(240)의 풍량이 제 1 팬(30)의 풍량 보다 크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제습 및 프론트 중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와 제 1 팬(30)이 정지이고, 제 2 팬(240)이 구동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되지 않고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될 수 있다.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통과하지 않고, 제 2 팬(240)에 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 2 팬(24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고, 제습기는 프론트 선풍 모드일 수 있다. 제습기의 풍량을 2 단계로 구분하면, 제습기는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을 3 단계로 구분하고, 제 2 팬(240)의 풍량이 제 1 팬(30)의 풍량 보다 크면, 제습기는 프론트 중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가 정지이고, 제 1 팬(30) 및 제 2 팬(240)이 함께 구동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흡입구(112)와 제 2 공기흡입구(114)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팬(30)에 의해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될 수 있고,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와 응축기(4)와 제 1 팬(30)을 통과하지 않고, 제 2 팬(240)에 의해 제 1 공기토출구(116)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 1 팬(3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고, 제 2 팬(24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공기를 제 1 공기토출구(116)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으며, 제습기는 리어 선풍 및 프론트 선풍 모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습기는 하나의 기기가 여러 방향으로 비제습 공기를 송풍하는 멀티 선풍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습기의 풍량을 2 단계로 구분하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선풍 및 프론트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고, 제습기의 풍량을 3 단계로 구분하고, 제 2 팬(240)의 풍량이 제 1 팬(30)의 풍량 보다 크면,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선풍 및 프론트 중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 및 제 1 팬(30)이 구동이고, 제 2 팬(240)이 정지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되지 않고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에서 제습되고 응축기(4)에서 가열된 후 제 1 팬(30)을 통과하여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 1 팬(30)에 의해 송풍되는 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고,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제습모드일 수 있다.
한편, 압축기(2) 및 제 2 팬(240)이 정지이고, 제 1 팬(30)이 구동이면, 제습기 외부 공기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공기흡입구(114)로 흡입되지 않고,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될 수 있다. 제습기의 외부에서 제 1 공기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8) 및 응축기(4)를 열교환 없이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팬(30)에 의해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토출구(116)가 프론트 공기토출구이고, 제 2 공기토출구(118)가 리어 공기토출구일 경우, 제습기는 제 1 팬(30)에 의해 송풍되는 비제습공기를 제 2 공기토출구(118)로 토출할 수 있고, 제습기는 리어 저풍량 선풍 모드일 수 있다.
2: 압축기 4: 응축기
8: 증발기 10: 케이싱
12,14: 공기흡입구 16: 공기토출구
28: 유로 가이드 30: 제 1 팬
40: 제 2 팬 50: 청정유닛
112: 제 1 공기흡입구 114: 제 2 공기흡입구
116: 제 1 공기토출구 118: 제 2 공기토출구
140: 제 2 팬 240: 제 2 팬
246: 연통구 260: 유로조절기구
330: 팬 331: 제 1 임펠러
332: 제 2 임펠러 333: 공용 모터
P1: 제 1 통로 P2: 제 2 통로
P11: 제 1 통로 P12: 제 2 통로
P17: 제 3 통로

Claims (3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제 1 공기흡입구와 제 2 공기흡입구와 제 1 공기토출구 및 제 2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 1 팬과 제 2 팬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 1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1 통로와,
    공기가 상기 제 2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제 2 팬을 통과한 후 상기 제 1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2 통로와,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 1 팬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3 통로를 포함하는 제습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팬은 상기 제 1 통로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응축기와 제 2 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팬은 제 1 통로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 1 팬과 제 1 공기토출구 사이에 위치되는 제습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팬은 상기 제 3 통로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응축기와 제 2 공기토출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팬은 상기 제 2 통로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 2 공기흡입구와 제 1 공기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습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제 1 팬과 제 2 팬 사이에서 상기 제 1 통로와 합쳐지고,
    상기 제 3 통로는 상기 제 1 팬과 제 2 팬 사이에서 상기 제 1 통로와 분리되는 제습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1 팬과 제 2 팬의 사이에 위치되는 연통구를 포함하는 제습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를 개폐하는 유로조절기구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유로조절기구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를 개방하면서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를 막고, 상기 연통구를 막으면서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를 개방하는 유로조절기구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팬은 원심팬 또는 믹스드 플로우 팬이고,
    상기 제 2 팬은 축류팬을 포함하는 제습기.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와 제 2 통로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게 설치된 청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제습기.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팬은 상기 제 1 팬의 회전 중심과 나란한 회전 중심을 갖고,
    상기 제 1 공기토출구는 상기 케이싱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는 상기 케이싱에 상기 제 1 공기토출구와 상이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형성된 제습기.
  24.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제 1 공기흡입구와 제 2 공기흡입구와 제 1 공기토출구 및 제 2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제 1 임펠러와 제 2 임펠러가 하나의 공용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과;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 1 임펠러과 제 2 임펠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 1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1 통로와,
    공기가 상기 제 2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제 2 임펠러를 통과한 후 상기 제 1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2 통로와,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와 제 1 임펠러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3 통로를 포함하는 제습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펠러와 제 2 임펠러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제습기.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펠러는 상기 제 1 통로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응축기와 제 2 임펠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임펠러는 제 1 통로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 1 임펠러와 제 1 공기토출구 사이에 위치되는 제습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펠러는 상기 제 3 통로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응축기와 제 2 공기토출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임펠러는 상기 제 2 통로의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 2 공기흡입구와 제 1 공기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습기.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제 1 임펠러와 제 2 임펠러 사이에서 상기 제 1 통로와 합쳐지고,
    상기 제 3 통로는 상기 제 1 임펠러와 제 2 임펠러 사이에서 상기 제 1 통로와 분리되는 제습기.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 1 임펠러와 제 2 임펠러의 사이에 위치되는 연통구를 포함하는 제습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를 개방하면서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를 막고, 상기 연통구를 막으면서 상기 제 2 공기토출구를 개방하는 유로조절기구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130154062A 2013-09-05 2013-12-11 제습기 KR102193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732 2013-09-05
KR20130106732 2013-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171A KR20150028171A (ko) 2015-03-13
KR102193872B1 true KR102193872B1 (ko) 2020-12-22

Family

ID=5262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062A KR102193872B1 (ko) 2013-09-05 2013-12-11 제습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89269B2 (ko)
JP (1) JP6272489B2 (ko)
KR (1) KR102193872B1 (ko)
CN (1) CN104713165B (ko)
WO (1) WO2015034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44A (ko) * 2015-07-15 201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102435202B1 (ko) * 2015-09-30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101828885B1 (ko) * 2016-03-02 201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장치
CN106196286B (zh) * 2016-07-29 2019-03-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及混风方法
CN108375177B (zh) * 2016-11-02 2021-03-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的恒温除湿方法
KR102115906B1 (ko) * 2017-02-20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WO2018154838A1 (ja) * 2017-02-23 2018-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CN110701696B (zh) * 2018-07-09 2021-09-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多功能除湿机及其使用方法
CN109301109B (zh) * 2018-09-06 2021-05-14 绍兴市慧融臻合新能源科技有限公司 稳定型新能源电池箱
WO2022104672A1 (en) * 2020-11-20 2022-05-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ehumidifier appliance having an extended water conduit
WO2023218564A1 (ja) * 2022-05-11 2023-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0466A (ja) * 2004-11-09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JP5228336B2 (ja) * 2007-02-23 2013-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型除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4247A (en) * 1953-09-22 1955-11-22 Gen Electric Multi-purpose air conditioner
US3938348A (en) * 1974-10-15 1976-02-17 Rickert Glenn E Ventilating and/or cooling dehumidifier
JPS5358149A (en) 1976-11-04 1978-05-25 Hitachi Ltd Moisture conditioner
SE462583B (sv) * 1988-11-25 1990-07-23 Corroventa Ab Saett och anordning foer avfuktning av luft
JP2820186B2 (ja) 1993-03-04 1998-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装置
JP2937090B2 (ja) 1995-09-29 1999-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JP2000028159A (ja) 1998-07-14 2000-01-25 Corona Corp 除湿機のドレンタンク
JP3627091B2 (ja) 1999-02-15 2005-03-09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KR20020018337A (ko) * 2000-09-01 2002-03-08 구자홍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제습기
JP2002188827A (ja) 2000-12-20 2002-07-05 Fujitsu General Ltd 除湿機
US6494681B2 (en) * 2000-12-29 2002-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ined axial flow and centrifugal fan in an electrical motor
JP2004028382A (ja) 2002-06-24 2004-01-29 Sanyo Electric Co Ltd 除湿機
CN100465541C (zh) 2003-08-25 2009-03-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机冷凝水排出切断装置
CN1699851A (zh) 2004-05-19 2005-11-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机
JP4975019B2 (ja) * 2007-01-12 2012-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JP2008200615A (ja) 2007-02-21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JP4492630B2 (ja) * 2007-03-27 2010-06-3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除湿装置
JP4781384B2 (ja) * 2008-04-11 2011-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装置
CN102135296B (zh) 2010-01-22 2014-06-11 江门金羚日用电器有限公司 移动式空气除湿机
JP2013148446A (ja) 2012-01-19 2013-08-01 Konica Minolta Inc レーザレーダの製造方法及びレーザレー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0466A (ja) * 2004-11-09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JP5228336B2 (ja) * 2007-02-23 2013-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型除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36556A (ja) 2016-11-24
US20150082827A1 (en) 2015-03-26
KR20150028171A (ko) 2015-03-13
JP6272489B2 (ja) 2018-01-31
US9989269B2 (en) 2018-06-05
WO2015034332A4 (en) 2015-04-30
CN104713165A (zh) 2015-06-17
WO2015034332A1 (en) 2015-03-12
CN104713165B (zh)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872B1 (ko) 제습기
KR102119541B1 (ko) 제습기
JP6488409B2 (ja) 空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57028A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EP2169325A1 (en) Humidity adjusting device
KR20200119576A (ko) 공기조화기
KR20160044998A (ko)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190010395A (ko) 공기조화기
KR102362390B1 (ko) 공기조화기
CN108291727B (zh) 空调的室内机
KR20150077776A (ko) 제습기
CN111886456B (zh) 扇叶、空气调节机以及除湿机
KR102193840B1 (ko) 천장형 공기순환기
US10935273B2 (en) Air conditioner
CN213272899U (zh) 空气处理模块及空调室内机
KR102392267B1 (ko) 제습기
JP2018151081A (ja) 空気調和機
KR20180044650A (ko) 공기조화기
KR102362387B1 (ko) 공기조화기
KR102193841B1 (ko) 천장형 공기순환기
KR20140143856A (ko) 제습기
KR102362389B1 (ko) 공기조화기
KR20240057085A (ko) 환기 장치
JP3222954U (ja) 通風路可変な空調除湿両用装置
CN110476019B (zh) 调湿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