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949B1 -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 - Google Patents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9949B1 KR102189949B1 KR1020190135972A KR20190135972A KR102189949B1 KR 102189949 B1 KR102189949 B1 KR 102189949B1 KR 1020190135972 A KR1020190135972 A KR 1020190135972A KR 20190135972 A KR20190135972 A KR 20190135972A KR 102189949 B1 KR102189949 B1 KR 102189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ler
- weight
- tea
- parts
- herbal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056 Antler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6
- 230000003042 antagnostic Effects 0.000 title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5000015092 herbal t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41000282994 Cervid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14063 licorice roo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4310 Cinnamomum zeylanic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0000001008 Dimocarpus longan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0235 Euphoria longa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10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5000001287 Guettarda specios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1000202807 Glycyrrhiz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0000008529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UIIMBOGNXHQVGW-UHFFFAOYSA-M NaHCO3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0000002045 Guettarda specios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1061264 Astraga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0456 talus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3
- 241001605888 Chaenomeles japonica Species 0.000 claims 1
- 240000005389 Glycyrrhiza glabr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8865 Angelica giga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1810 Angelica giga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588 toxic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0554 Glycyrrhiza uralens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0000008917 Glycyrrhiza uralens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591 charge neutraliz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1841 zingiber officina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533367 Cnidium officinal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83007 Cervus nippon Species 0.000 abstract 11
- 241001618264 Rubus coreanus Species 0.000 abstract 6
- 240000003803 Torilis japonica Species 0.000 abstract 6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abstract 2
- 241000045403 Astragalus propinquus Species 0.000 abstract 1
- 241000207901 Cuscut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0525 Dimocarpus longan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1001106041 Lycium Species 0.000 abstract 1
- 241000124501 Paeonia obovata var. japonica Species 0.000 abstract 1
- 241000405911 Rehmannia glutinosa Species 0.000 abstract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8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40000001992 Angelica archangel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6
- 240000001313 Lycium barb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5459 Lycium barb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5468 Lycium chin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5099 wheat br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01000008286 dia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8987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3584 Ziziphus jujub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319 bleed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486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56 t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1001513093 Aspergillus awamor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9233 Head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216 Hear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91 Uteru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215 Vagin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63 au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94 haemopoi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3
- SEOVTRFCIGRIMH-UHFFFAOYSA-N indole-3-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C(=O)O)=CNC2=C1 SEOVTRFCIGRI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07 kidne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56 organ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8212 Asperg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268 Citrus limo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68709 Dipterocarpus cost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848 Dysente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BJHIKXHVCXFQLS-UYFOZJQFSA-N Fructose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O)CO BJHIKXHVCXFQLS-UYFOZJQF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13 Gro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62717 Increased upper airway secre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2437 Insom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36 Intestin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71 col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271 drink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634 feeding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75 menstru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e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087 Abdominal pain upp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3409 Acaro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45 Amylo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WMGFVAGNIYUEEP-WUYNJSITSA-N Amylopec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C@@H]2[C@H]([C@H](O)[C@@H](O)[C@@H](O[C@@H]3[C@H](O[C@H](O)[C@H](O)[C@H]3O)CO)O2)O[C@@H]2[C@@H]([C@@H](O)[C@H](O)[C@@H](CO)O2)O)[C@H](O)[C@H]1O WMGFVAGNIYUEEP-WUYNJSIT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73 Ap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73366 Astragalus membranac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4110 Bacillus sp. (in: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47 Betacarot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8909 Bored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44203 Caenorhabditis eleg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DSSYKIVIOFKYAU-UHFFFAOYSA-N Camphor Chemical compound C1CC2(C)C(=O)CC1C2(C)C DSSYKIVIOFKY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846 Camph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87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01986 Cassia t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52 Cassia t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2722 Cest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479 Chest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346 Cinnamomum camph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67125 Cinnamomum japo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428 Cinnamomum japon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356 Congenital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782 Convolvul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D-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380450 Danaus melanip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QBDCOUHKEVYWLO-UHFFFAOYSA-N Decanoyl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O)CC=O QBDCOUHKEVYW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781 Dry mou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35 Dysmeno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485 Fab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256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41 Fragaria ves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51 Gastric Jui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665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18745 Growing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77 Hematopoietic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88 Hemi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454 Hyperhid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883 Join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80 Li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856 Lung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804 Marant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175 Memory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84 Me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51 Milk, Hum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8319 Oropharynge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36199 Paeo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98 Paeonia lact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600 Paeonia lact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84 Paeonia offic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77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48 Perilla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3557 Plantagi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37831 Polygonatum sibir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6607 Porphyra umbilic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855 Portulac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74 Portula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128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714 Quadriple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201 Ranuncul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05414 Rehman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497 Rubus ida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33 Sali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12118 Samolus valerand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687 Scab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47727 Scab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82 Se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063156 Squatina squat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GDQSFJPYSA-N Sucr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H](O)[C@@H](O)[C@@H](CO)O1 CZMRCDWAGMRECN-GDQSFJP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809 Thalia geni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19 Thalia genicu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205 Tinn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15 Toot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769 Vertigo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9055 Vulvovag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99 Zingib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94 advers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02 analges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96 appetite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6 astringent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VYAWBVGESA-N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VYAWBVGE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4 beta-carot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48 beta-caro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7890 camphor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48 cardiovascular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084 cerebr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5 che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06 childbir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15 coenzy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146 cys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542 functional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146 gastrointestinal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63 gonadal steroid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0 hep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49 herb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54 hormo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56 human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0000000018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10 lig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65 lobst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66 loss of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984 mast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0 m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45 menopau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5 pregnanc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3 rasp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2 straw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86 tinnit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85 urina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89 vertigo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2 vitamin 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69 warm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JLTXGRSLSA-N β-Carot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JLTXGRSL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β-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차 생약재에 포함된 잔류농약이나 약재 자체가 갖는 독성성분을 중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녹용차의 제조방법은, 당귀, 감초, 생강, 대추, 황정, 토사자, 구기자, 백작약, 숙지황, 천궁, 황기, 용안 헛씨껍질, 계피, 사상자, 복분자를 포함하는 한방차 생약재를 농약성분을 중화시키는 한방차 생약재 중화단계와; 상기 한방차 생약재 중에서 상기 당귀, 녹용과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탕기에서 달여 식힌 녹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녹용액을 미리 설정된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발효 녹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발효 녹용액에 포함된 신맛을 중화하기 위해 미리 준비된 중화액과 상기 발효 녹용액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탕기에서 달여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와; 상기 다수개의 약재 중에서 사상자, 복분자, 물을 1:1:8의 중량비로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달여 사상자 및 복분자액을 만드는 사상자 및 복분자 제조단계와; 상기 다수개의 한방차 생약재 중에서 상기 당귀, 감초, 생강, 대추, 사상자, 복분자를 제외한 나머지 한방차 생약재와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한방차 생약재 혼합물을 탕기에서 달이는 한방차 제조단계와; 상기 한방차, 상기 사상자 및 복분자액, 상기 발효 녹용액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하는 녹용차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녹용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용, 당귀, 감초, 생강, 대추, 황정, 토사자, 구기자, 사상자, 복분자, 백작약, 숙지황, 천궁, 황기, 용안 헛씨껍질, 계피, 벌꿀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단위별 포장하여 한방차의 변질없이도 오랜기간 보존하면서 필요시 음용할 수 있는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음료개발 동향에 의하면, 과거의 단순한 기호성 음료보다는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여러 형태의 기능성 건강 음료 및 차에 대하여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음료나 차의 경우 기능성에만 치중하다 보면 자칫 기호성이 떨어지게 되어 수요자들에게 호응을 얻지 못하게 되는 까닭에 기능성 음료의 개발 초점은 기능성과 기호성을 어떻게 적절히 조화시키는가에 있다 할 것이다.
한편, 한방 생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차류로서 인삼차, 구기자차, 오가피차, 결명자차 등의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그 종류는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한방 생약재류 차는 거의 단일 성분의 생약재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차의 주성분을 이루고 있는 생약재가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나름대로의 약리작용 및 그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일부 수요자들에게는 음용되고 있긴 하나 기호성 면에서 커피나 녹차 등에 비해 대중적이지 못하고 확실한 약리작용을 기대하고 음용하는 수요자는 그리 많치 않은 실정이다.
한편, 알려진 바와 같이 녹용은 저하된 부신호르몬의 분비를 늘려주기 때문에 질병이나 노환이 있는 사람, 만성피로증에 시달리는 사람에게 최대 효능을 볼 수 있다.
전문가에 따르면 “부신호르몬은 신체 장기를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질병이 있거나 나이가 들면 부신호르몬 분비량이 현저히 떨어진다. 녹용은 부신호르몬 분비를 늘린다. 자동차로 치면 슬슬 기어가던 차에 속력을 가하는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아이들도 부신호르몬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성장기 아동의 키를 키우는 핵심 물질도 부신호르몬”이라며 “비실비실하고 성장이 더딘 아이에게 녹용을 먹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한다. 어린아이의 경우는 녹용의 효능으로 발육을 촉진하고 저항력을 증강할 수 있다.
청장년층의 경우에는 건강유지에 좋고, 중년인 사람이 복용하면 강장과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그리고 노인에게는 신체의 약한 부분을 보(補)하고 전신을 온난(溫暖)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따라 녹용차에 이용된 약재의 효능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 항상 동일한 맛과 향을 가질 수 있고 마실 수 있는 차 형태로 음료 대용으로 이용될 수 있어 쉽게 섭취가 가능하면서 약이라는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녹용차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녹용차 생약재에 포함된 잔류농약이나 생약재 자체가 갖는 독성성분을 중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녹용액을 발효시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발효된 녹용액에 포함된 신맛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는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 녹용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한방차 생약재와 녹용을 별도의 공정으로 달인 후 상온에서 혼합하여 기존의 한방차의 고유한 맛과 향을 살리면서도 녹용의 고유한 맛과 향을 살릴 수 있는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 녹용차의 제조방법은, 당귀, 감초, 생강, 대추, 황정, 토사자, 구기자, 백작약, 숙지황, 천궁, 황기, 용안 헛씨껍질, 계피, 사상자, 복분자를 포함하는 한방차 생약재를 농약성분을 중화시키기 위한 세척수에 일정 시간 담근 후 세척하되, 상기 세척수는 쌀뜨물을 사용하거나 베이킹소다, 식초, 물을 1:1:8~10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 세척수를 사용하며, 상기 세척된 한방차 생약재를 미리 준비된 끓는 물에 일정 시간 담근 후 건져내고, 탕기에 녹용과 물을 넣고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인 후 건져내는 한방차 생약재 중화단계와; 상기 생약재 중화단계를 거친 생약재의 분해를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생약재와 미리 준비된 소맥피 분말효소를 45~55℃의 물에 넣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담근 후 건져내는 분해 촉진단계; 상기 분해 촉진단계를 거친 당귀, 녹용과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여 식힌 녹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녹용액 제조단계를 거친 녹용액의 비린맛을 중화하기 위해 미리 준비된 미역 및 다시마 발효액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발효 녹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상기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를 거친 발효 녹용액에 포함된 신맛을 중화하기 위해 미리 준비된 중화액과 상기 발효 녹용액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여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와; 상기 분해 촉진단계를 거친 사상자, 복분자,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달여 사상자 및 복분자액을 만드는 사상자 및 복분자 제조단계와; 상기 분해 촉진단계를 거친 당귀, 감초, 생강, 대추, 사상자, 복분자를 제외한 상기 분해 촉진단계를 거친 나머지 한방차 생약재와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한방차 생약재 혼합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달이는 한방차 제조단계와; 상기 한방차 제조단계를 거친 한방차, 상기 사상자 및 복분자 제조단계를 거친 사상자 및 복분자액, 상기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를 거친 발효 녹용액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달이는 녹용차 제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화액은 상기 감초, 대추와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제1 혼합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이고, 상기 생강과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제2 혼합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이고, 상기 제1 혼합물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화액은 상기 감초, 대추와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제1 혼합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이고, 상기 생강과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제2 혼합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이고, 상기 제1 혼합물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먼저 녹용차 생약재에 포함된 잔류농약이나 약재 자체가 갖는 독성성분을 중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어, 한방차 생약재 및 녹용의 안전성은 향상시키고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녹용액을 발효시켜 몸에 좋은 많은 성분들을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에 흡수를 높이면서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고, 발효된 녹용액에 포함된 신맛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어 발효 녹용액의 단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한방차 생약재와 녹용을 별도의 공정으로 달인 후 서로 혼합하여 기존의 한방차의 고유한 맛과 향을 살리면서도 녹용의 고유한 맛과 향도 살릴 수 있어, 한방차 생약재 자체가 갖는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남녀노소 누구나 특유한 한방차류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녹용차의 제조절차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녹용차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녹용차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약재 재료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1) 녹용
녹용은 신장, 간장, 심장, 심포에 작용해 허약함을 치료하고 건강한 사람이 복용하면 신체강장에 좋고 질병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아이가 복용하면 성장발육에 도움이 되며 청ㆍ장년층이 복용하면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한의학에서 녹용은 "오장육부에 작용해 인체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고 성질이 따뜻해서 손발이 찬 체질을 개선해주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정혈을 생성하는 작용이 있다" 라고 평가되고 있다. 그만큼 몸을 '보(補)'하는 기능이 있는 약재라고 할 수 있다.
녹용은 기력이 부족하고 원기가 약한 사람에게 처방되므로 주로 당귀와 녹용으로 구성된 귀용탕으로 이용된다. 또한 증상에 따라서 숙지황, 당귀 등의 보혈약이나,백출, 산사, 사인 같은 건비소식양, 용안육, 백복령 같은 안신약 등을 배합해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성장통을 호소하는 아이들을 위해 육미지황환이나 사육탕에 녹용을 첨가해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녹용은 효능만큼 반드시 주의해서 먹어야하는 약재기도 한데, 출혈관련 질환이나 과거 관련 질환을 앓았던 사람, 심혈관 및 뇌혈관계 질환이 있거나 과거에 앓았던 사람, 성호르몬이 질환이 있거나 과거에 앓았던 사람, 임산부, 모유 수유 중인 산모, 영유아, 노인, 수술 직후 등 신체가 상대적으로 약한 자는 반드시 상담을 하고 녹용을 복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당귀
당귀(Angelica gigas)의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고 쓴데, 방향성 정유와 서당·비타민 E 등이 함유하며, 약리작용으로는 혈액 및 조혈계통에 대한 작용, 자궁에 대한 작용, 심혈관 계통에 대한 작용, 면역계에 대한 작용, 진통작용, 소염작용, 항균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항암작용 및 조혈작용을 하는데 사용되는 반면, 당귀는 자궁을 수축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임산부는 당귀의 복용을 자제 해야 하며, 장이 선천적으로 좋지 않거나 소화가 잘 되지않아 설사나 묽은 변을 보는 분들은 복용을 자제해야 한다. 당귀를 대추와 함께 다릴 때 대추씨가 들어있는 상태로 함께 우리게 되면 강한 신맛을 내면서 수면제 효과를 내게 되며, 당귀를 차로 드시려면 대추를 넣고 같이 달이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3) 감초
감초는, 학명은 glycyrrhiza uralensis FISCH.이다. 뿌리는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 한다.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없애주고 모든 약물과 배합이 잘 되어 중화작용을 하므로 한약재, 한방재료가 사용되는 것에는 함께 사용되어져 약재를 조화시키고 그 기능과 효과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설탕 당도의 50배에 달하는 당 성분 때문에 한때는 감미료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뿌리를 씹거나 빨아 먹으면 목의 통증이 완화되고 감기 징후가 낫는다고 해서 감기약으로도 유용하게 쓰이며, 변비에도 효과가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4) 생강
열대아시아 원산의 생강과(Zingiberaceae)의 다년생 야채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뿌리로, 온난지를 중심으로 널리 재배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약재로 쓰는데,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어 끓는물에 생강을 달여서 차로 마시기도 한다.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주 치료증으로서는 감기에 의한 오한.발열.해담, 건구·구토, 복통·설사, 식욕부진·식중독 등이 있다. 건강(乾薑)은 덥게는 작용이 강하고 생강의 효용 이외, 허리와 다리의 냉증을 치료하고, 추울 때 소변이 자주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5) 대추
대추는,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오장을 보호하고 12경맥을 도와주며, 여러 약재의 조화를 도와준다. 조(棗) 또는 목밀(木蜜)이라고도 한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2.5cm에 달하며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대추씨는 신경을 이완시켜 잠을 잘오게 하여 천연 수면제로 사용되며, 식이성섬유가 발암물질을 흡착 몸 밖으로 배출해주며, 대추에 함유되어 있는 베타카로틴이라는 성분이 체내 유해 활성산소의 독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계를 튼튼하게 하여 내장기능을 회복시켜 주어 속이 편안하게 하고 위장의 기운을 복돋워주어 식욕을 돋구며, 대추는 성질이 따뜻한 음식으로 여자의 냉증 치료에 좋으며, 혈액순환을 도와 손, 발이 차가운 사람이 먹으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6) 황정
황정(黃精)은 백합과 식물인 낚시둥굴레 Polygonatum sibiricum Rehd.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으로서, 봄이나 가을에 뿌리줄기를 캐서 물에 씻어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증기에 쪄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비경(脾經)과 폐경(肺經)에 작용한다.
비위(脾胃)와 폐(肺)를 보호하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정수(精髓)를 불려준다. 약리 실험에서 혈압강하 작용, 혈당량강하 작용, 항동맥경화 작용, 간지방 침착방지 작용 등이 밝혀졌다. 몸이 허약하고 기운이 없는데, 병후에 쓴다. 또한 비위(脾胃)가 허약한데, 마른기침, 폐결핵, 당뇨병 등에도 쓴다. 하루 9~15g을 탕제 고제(膏劑) · 산제 · 환약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7) 토사자
토사자 (兎絲子)는 요약메꽃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인 새삼의 씨앗이다. 새삼은 칡이나 쑥 등에 기생하여 양분을 흡수하므로 땅속의 뿌리가 없어지고 전체에 엽록소가 없다. 누런 색이나 누런 밤색의 덩굴이 다른식물을 감고 올라가며 자란다. 줄기는 직경이 1.5㎜로 황갈색이고 흔히 자갈색반점이 있다. 잎은 길이 2㎜ 이하이고 비늘 모양이다. 흰색의 작은 꽃이 8~10월에이삭 모양으로 여러 개 모여서 핀다. 열매는 들깨 크기만하고 빛깔은 갈색이다.
토사자의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平)하다. 주로 간과 신장을 보호하며 눈을밝게 해주고, 양기(陽氣)를 도우며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해주는 약재로 알려져있다. 신장이 허약하여 생긴 남성의 성교불능증, 저절로 정액이 흐르는 경우, 몽정(夢精) 등에 효과가 있다.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허리 힘을 세게 해주며, 신장기능이 허약하여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오줌소태와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질병과 설사를 낫게 하며 당뇨병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8) 구기자
구기자(枸杞子)는 가시가 헛개나무(구: 枸)와 비슷하고 줄기는 버드나무(기: 杞)와 비슷하여 두글자를 합쳐서 枸杞(구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구기자는 냄새가 거의 없고 수렴성이며 약성은 약간 달고 차다.[甘寒] 어지럽고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으며 남자가 유정(遺精)하고, 임신을 못 시킬 때 사용한다. 음혈이 허약해져 얼굴이 누렇고 머리털이 희어지며 잠을 못 이룰 때나 소갈증에 효과가 있다. 폐기 허약으로 인한 오랜 해수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비특이성면역증강 작용, 조혈작용, 콜레스테롤강하작용, 항지방간작용, 혈압강하, 혈당강하, 생장촉진, 항암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9) 백작약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양혈유간, 완중지통, 렴음수한의 효능이 있으며, 흉복협특동통, 사리복통, 자한도한, 음허발열, 월경부조, 붕루, 대하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10) 숙지황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지황( Rehmannia glutinasa LIBOSCH)의 뿌리줄기를 가공증쇄한 것으로 자음보혈, 익정진수의 효능이 있으며, 간신음허, 요슬산연, 골증조열, 도한유정, 내열소갈, 혈허위황, 심계정충, 월경부조, 붕루하열, 현훈, 이명, 빈발조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11) 천궁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천궁( Cnidium officinale MAKINO)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활형행기, 거풍지통의 효능이 있으며, 월경부조, 징가복통, 흉협자통, 질박종통, 두통, 풍습비통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12) 황기
콩과(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익위고표, 이수소종, 탁독, 생기의 효능이 있으며, 자한, 도한, 혈비, 부종, 옹저불궤, 유구불렴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13) 용안 헛씨껍질
용안은 말그대로 용의 눈이란 뜻으로 열매가 동물의 눈처럼 생겼고 열매의 껍질에 해당하는 가종피가 두터워서 붙여진 이름이다. 질감이 연하면서 점착성이 있고 맛이 달고 독특한 향이 있어 술안주로도 사용한다. 중국, 일본, 대만, 인도 등 아열대지역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한다.
이 약은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달고 성질은 따듯하다.[甘溫] 용안육은 지나치게 생각을 많이하여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건망증, 불면증, 소화불량 그리고 묽은 변을 볼 때 사용한다. 병후 기운 없고 빈혈, 권태, 땀을 제어할 수 없을 때, 산후 기혈이 허약하고 부종이 생길 때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는 옴균억제, 강장작용, 항산화작용, 면역 기능활성화작용 등이 있다.
생김새는 세로로 파열된 불규칙한 박편이 있으며 보통 여러 개가 끈끈하게 붙어 있다. 바깥 면은 짙은 적갈색이나 흑갈색이며 반투명하다. 한 면은 주름이 지어 고르지 않고 다른 면은 윤기가 있으며 세로로 주름이 있다. 질은 부드럽고 점착성이며 물에 담가 두면 3~4 조각의 꽃잎모양을 이루고 엷은 황갈색으로 육질을 나타낸다.
14) 계피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생달나무(天竹桂, Cinnamomum japonicum SIEB.)의 나무껍질로 만든 약재로, 약의 맛은 맵고 단맛이 나며 약성은 열성이다.
효능은 비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소화기가 차서 소화장애가 있거나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복통 설사 등에 널리 이용된다. 뿐만 아니라 배가 차서 일어나는 구토에도 신속한 반응을 일으킨다. 그리고 풍습성(風濕性)으로 인한 사지마비와 동통을 그치게 하고, 허리나 무릎이 차고 시리면서 아픈 신경통과 관절 질환에도 널리 응용된다.
또한, 산후에 출혈이 계속되거나 오래된 이질과 대변시에 출혈되는 증상을 개선시키기도 한다. 이외에도 콩팥기능 감퇴증상에도 효력이 높고 하복부가 차면서 방광염이 자주 발생하는 질환에도 활용되고 있다.
15) 사상자
사상자는 특유한 향기가 있고 맛은 약간 맵고 혀를 자극한다. 부인의 음부가 부어서 아픈 것과 남자의 음위증(陰?證), 사타구니가 축축하고 가려운 데 쓴다. 속을 덥히고 기를 내린다. 자궁을 덥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한다. 남녀의 생식기를 씻으면 풍랭(風冷)을 없앤다. 성욕을 세게 하며 허리가 아픈 것, 사타구니에 땀이 나는 것, 진버짐이 생긴 것 등을 낫게 한다. 오줌이 많은 것을 줄이며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한방 약미(藥味)와 약성(藥性) :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한방 효능은 습사를 없애고 풍(風)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고, 신양(腎陽)을 보하고 양기(陽氣)를 강건하게 하고, 음부가 습하여 가려운 것을 치료하고, 회충 구제 효과가 있고, 성호르몬 유사작용이 있다.
16) 복분자
복분자는 다소 붉은빛이 도는 줄기에 가시가 나 있다. 잎은 3~7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어긋나며, 잎가장자리에는 겹톱니가 있다. 5~6월에 연한 붉은색의 꽃이 산방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꽃잎은 5장이고 꽃받침잎보다 짧다. 열매는 7~8월에 붉은색으로 익기 시작하여 딸기처럼 점점 검붉게 된다. 키는 대개 3m 정도까지 자라지만, 재배를 할 경우에는 열매 채취를 위해 그보다 낮은 높이에서 키운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대에 자생한다.
복분자는 일반 산딸기에 비해 열매가 크고 신맛이 적으며 당도가 높다. 동양의학에서는 열매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맛은 달고 시며 약성은 따뜻하고 신장에 작용하여 강장효과가 있으며 눈을 밝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대개 술을 담가 먹는다.
17) 꿀
꿀은, 일반적으로 수분 17%, 비중 1.41이다. 고형분의 대부분(83%)은 당분으로서 거의 같은 양의 과당과 포도당으로 되어 있으며 슈크로스는 약 2%이다.
빈혈증환자의 조혈작용과 변비증에 효과가 있으며, 담해, 감기, 위장병, 변비, 산모의 젖분비량이 적은 경우, 빈혈증, 폐병, 심장병, 신경쇠약, 촌충구제 내복약으로서 유효하다.
또한, 꿀은 소아과 약재의 첨미료 및 기타 약재의 첨미료로서 사용되고 비만증이나 노약자들에 대한 영양보조제로서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18) 어성초
어성초란 한자 이름이 붙을 정도로 냄새가 상당히 안 좋다. 특히 잎을 비비면 나는 냄새가 꼭 물고기 비린내 같다고 '어성초'란 이름이 붙었다. 본래 한의학에서의 용도는 주로 피부나 비뇨기, 호흡기 등의 염증질환에 응용하는, 일종의 소염제라고 보면 된다. 실제로 유효성분에도 향균성분이 많이 함유하였다. 다만 원래는 그렇게까지 선호도가 높은 약재는 아니며, 한약재로는 지상부만 쓸 뿐 뿌리는 캐지 않고, 꽃이 달리는 여름에 채취한다. 어성초보다 생명력이 훨씬 질기고 약효가 강한 쇠비름을 어성초 대용으로 쓰기도 한다. 이쪽은 냄새도 어성초보다는 덜 괴로운 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효 녹용차의 제조절차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한방차 생약재 중화단계] (도 1 101단계)
먼저, 당귀, 감초, 생강, 대추, 황정, 토사자, 구기자, 백작약, 숙지황, 천궁, 황기, 용안 헛씨껍질, 계피, 사상자, 복분자를 포함하는 한방차 생약재를 농약성분을 중화시키기 위한 세척수에 10~20분 동안 담근 후 세척한다.
여기서, 세척수는 쌀뜨물을 사용하거나 베이킹소다, 식초, 물을 1:1:8~10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 세척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쌀뜨물은 쌀을 씻으면서 추출한 자연 추출물이라 베이킹소다나 식초를 포함하는 혼합 세척수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수는 한방차 생약재의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성분이나 독성물질을 어느정도 중화시킨다.
그러나, 한방차 생약재를 단순히 세척수에 담그고 세척하는 것 만으로는 한방차 생약재에 포함된 강한 향과 독성물질을 감소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세척된 한방차 생약재를 미리 준비된 끓는 물에 10~20분 동안 담근 후 건져내어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한방차 생약재를 달이지 않고 끓는 물에 일정 시간 담근 후 건저내는 이유는 한방차 생약재가 미리 잘게 썰어져 있기 때문에 달일 경우 강한 향과 독성성분과 함께 약재 자체의 성분이 함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녹용은 동물성 약재이기 때문에 한방차 생약재와 함께 끓이지 않고 별도의 탕기에 녹용과 물을 1:9의 중량비로 110~120℃의 온도로 1~2 시간 동안 달인 후 건져내어 사용한다.
[한방약재 분해촉진 단계]
한편, 선택적으로 세척된 생약재와 미리 준비된 소맥피 분말효소을 따듯한 물(45~55℃)에 넣고 일정 시간(1~ 2시간) 동안 담근 후 건져내어 생약재 성분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맥피(밀기울) 분말효소는 소맥피를 일정 시간 찐 다음 Aspergillus 속의 국균인 Aspergillus awamori vas usami를 접종하여 건조한 분말효소이다.
이와 같이 소맥피 분말효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식물체가 중심인 약재를 구성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일반성분인 탄수화물(Carbohydrate)중 열에 의해 가용이 가능한 환원당과 전분(anylose 및 amylopectin)을 포함하는 전분형탄수화물(Starch-like polysaccharide) 뿐만 아니라 리그닌(Lignin), 헤미셀룰로오즈(Hemicellulose), 왁스(Wax)층 등과 같은 비용해성 섬유소를 포함하는 비전분형탄수화물(Non-Starch polysaccharide)을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많은 종류의 약리성분은 정유성분도 있으나 극성이 있는 당류의 경우도 많이 있는데 이들 약효성분의 당류 또한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시키고, 약효가 증진되고 근본적으로는 약물을 가둬놓는 역할을 하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약효성분의 추출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Aspergillus awamori vas usami를 소맥피에 접종하여 소맥피 분말 효소를 얻을 수 있었는데, Aspergillus속의 국균으로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oryzae 등이나, Rhizopus 속의 국균인 Rhizopus japonicus, Rhizopus delemar, Rhizopus oryzae 등이 사용될 수 도 있다. 이들 곰팡이 국균은 단일종으로 소맥피와 같은 원료에 접종되어 전분형탄수화물, 비전분형탄수화물, 단백질 등을 분해하는 다양한 효소를 생산하며, 단일 또는 혼합한 형태의 조효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 (도 1 102단계)
이어서, 한방차 생약재 중에서 녹용과 상보관계에 있는 당귀와 녹용을 미세통공의 한약재 주머니에 넣은 다음 미리 설정된 중량비의 물과 함께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4~5시간 동안 달인 후 상온까지 식힌 녹용액을 제조한다.
여기서, 녹용과 당귀는 녹용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녹용 0.53~0.55중량부, 당귀 0.74~0.76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녹용액에 Bacillus속 균주나 미역 및 다시마 발효액을 첨가하고 발효용기에서 10~2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녹용액을 제조한다.
여기서, Bacilus 속 균주를 사용하며, 또한 미역 및 다시마 발효액은 녹용액 특유의 비린맛을 줄이기 위하여, 물기를 뺀 미역 및 다시마와 황설탕 또는 흑설탕을 1:1의 중량비로 발효 용기에 넣어 미리 설정된 시간(바람직하게는 50~60일) 동안 절인 후, 다시마 및 미역을 걸러내어 얻은 발효액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녹용액을 발효시키는 경우, 녹용액의 추출 수율이 적어도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발효되지 않을 경우 보다 열에 의해 가용되지 않는 다양한 성분들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몸에 흡수를 높이면서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발효된 녹용액은 녹용액에 포함된 유산균으로 인해 신맛을 갖게 되는데, 한방차 생약재가 갖는 고유한 생약재의 맛과 향에 신맛이 더해져 학생들이나 여성들에게는 아직도 맛과 향에 있어서 음용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발효 녹용액에 포함된 신맛을 중화하기 위해 미리 준비된 중화액과 발효 녹용액을 1:9의 중량비로 탕기에서 100~11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인 후 상온까지 식힌다.
여기서, 중화액은 감초, 대추와 물을 1:1:4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1 혼합물을 탕기에서 100~11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인 후 상온까지 식히고, 생강과 물을 1:4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2 혼합물을 탕기에서 100~11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인 후 상온까지 식히고, 상온까지 식힌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발효된 녹용액에 포함된 신맛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어 발효 녹용액의 단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사상자 및 복분자액 제조단계] (도 1 103단계)
다수개의 약재 중에서 사상자, 복분자, 물을 1:1:8의 중량비로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달인 후 상온까지 식힌 사상자 및 복분자액을 제조하는데, 사상자와 복분자는 녹용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상자 0.53~.055중량부, 복분자 1.08~1.10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방차 제조단계] (도 1 104단계)
다수개의 한방차 생약재 중에서 당귀, 감초, 생강, 대추, 사상자, 복분자를제외한 나머지 한방차 생약재를 미세통공의 한약재 주머니에 넣은 다음, 한방차 생약재와 물을 1.5~2:7.5~8의 중량비로 혼합한 한방차 약재 혼합물을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이면서, 필요시 8~10분씩 3~4회 김빼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김빼기 공정을 통해 생약재 혼합물 속의 각각의 약재에 포함된 불순물을 김과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각각의 한방차 생약재는 녹용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정 0.53~0.55중량부, 토사자 0.53~0.55중량부, 구기자 0.53~0.55중량부, 백작약 0.74~0.76중량부, 숙지황 0.74~0.76중량부, 천궁 0.35~0.37중량부, 황기 0.35~0.37중량부, 용안 헛씨껍질 2.71~2.73중량부, 계피 1.17~1.19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방차 생약재가 상기 정해진 비율보다 적게 첨가되면, 각각의 약재의 효능이 우러나오지 않아 약재의 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맛과 향이 떨어져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한방차 생약재를 상기 정해진 비율보다 많게 첨가되면 각각의 약재의 효능이 어울리지 못하고, 특정 약재의 성분이 강하게 우러나와 하나의 약재 효능은 우수할 수 있으나 그 맛과 향이 어우러지지 못해 소비자가 약으로서의 느낌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부감을 가지는 등 역효과를 초래할 수 도 있다.
[어성초 추가 단계]
한편, 한방차 생약재에 약재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2.0 중량부의 건조된 어성초나 어성초 분말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어성초의 어성초의 알카리 성분은 레몬의 10배, 포도주의 12배에 달하기 때문에 약산성의 한방차를 중성에 가깝게 만들기 위함이다.
이때, 어성초는 데카노일 아세트 알데히드가 함유되어 있어 특유의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30℃의 방이나 건조대에서 48시간 이상 건조한 후 함수율 14% 미만인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방차와 발효 녹용차 혼합단계] (도 1 105단계)
이어서,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102 단계)에서 걸러서 제조된 발효 녹용액과 한방차 제조단계(104 단계)에서 걸러서 제조된 한방차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인다.
이때, 혼합물을 달이는 시간은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의 달임 온도와 시간 보다 상대적으로 온도도 낮고 시간도 짧은데, 발효 녹용액과 한방차의 약리효능을 최대화하면서 서로 혼합하기 위함이다.
또한,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인 혼합물을 상온까지 식히는 과정에 전체 녹용차의 중량 대비 10중량부의 꿀을 추가할 수 있다.
[숙성 단계] (도 1 106단계)
이어, 발효 녹용차의 맛과 향을 더욱 풍성하게 하고 약성이 깊게 배일 수 있도록 숙성용기에 담아 숙성실에서 13 내지 16℃ 온도로 1~2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숙성 단계를 통해 녹용차 생약재의 약리 효능을 보다 풍성하게 하며, 혹시 있을지 모르는 쓰고 떫은 맛과 독성을 제거함과 동시에, 남녀노소 누구나 선호하는 깊은 맛과 향이 우러나오게 하는 전처리 과정을 가지게 된다.
이때, 숙성온도를 13 내지 16℃ 온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13℃미만의 온도로 숙성하는 경우, 약재 특유의 쓰고 떫은 맛과 쓴 맛이 잔존해 있을 우려가 있고 깊은 맛과 향이 충분히 유발되지 않을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숙성 기간을 길게 할 수 밖에 없고, 숙성 온도를 16℃ 온도를 초과하여 숙성하는 경우, 인체에 유익한 재료의 일부 유효성분이 파괴 또는 손실될 수 도 있다.
[여과 및 포장 단계] (도 1 107단계)
여과 및 포장 단계는, 숙성단계를 거친 발효 녹용차를 적어도 800 mesh 정도의 여과기로 2~3 차례 여과시키고 포장하여 제품으로 가공하는 단계인데, 포장방법으로는 파우치포장, 비닐팩포장, PET병포장, 유리병포장 등 통상의 액체물 포장방법 중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포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한번에 마시기 편하고 몸에 의한 약재 성분의 흡수력이 최대화될 수 있는 양으로 100~120 ㎖ 의 양으로 포장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의 양으로 1포씩 포장한다.
이때, 숙성된 발효 녹용차의 포장량을 100 ㎖ 미만으로 포장시에는 음료 대용으로 차를 마신다는 느낌을 받기 어려우며 한번에 섭취할 수 있는 약재 성분이 적은 느낌을 갖을 수 있으며, 120 ㎖ 이상으로 포장시에는 음료 대용으로 마시는 차의 양이 많아 음용자가 부담을 갖을 수 있다.
[살균단계] (도 1 108단계)
한편, 포장을 마친 발효 녹용차는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110~120℃의 온도에서 대략 60초 정도 고온 살균작업을 더 거치게 하다.
이러한 살균공정을 실행함으로써, 포장제품의 내부에 남아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뿐만 아니라 포장단계에서 침투된 나쁜 성분을 살균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살균공정은 고온에서 너무 오랫 동안 실행하면, 각각의 약재의 성분의 파괴 및 변화에 따른 맛의 변화가 있어 그 녹용차 자체의 풍미를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너무 낮은 온도에서 살균을 실행하게 되면 살균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보관중 제품에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갈용액 제조단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미리 세척된 0.53~0.55중량부의 갈용순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 및 자연 건조시키고, 팬에 중불 또는 약불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덖고 식히는 덖음공정을 다수회 반복하여 건조된 갈용차를 만든고, 상기 건조된 갈용차와 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끓인 후 상온까지 식힌 갈용액를 만드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만든 갈용액을 발효 녹용차 제조단계에서, 한방차, 발효 녹용액, 및 갈용액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달여서 발효 녹용차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만들어진 갈용액을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에서 녹용액과 갈용액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미리 설정된 균주나 발효액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발효 갈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용차의 제조방법은 이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될 수 없다.
실시예 1
약재의 전체 중량대비 일정 크기로 절단된 각각의 당귀 0.75중량부, 황정 0.54중량부, 토사자 0.54중량부, 구기자 0.54중량부, 사상자 0.54중량부, 복분자 1.09중량부, 백작약 0.75중량부, 숙지황 0.75중량부, 천궁 0.36중량부, 황기 0.36중량부, 용안 헛씨껍질 2.72중량부, 계피 1.18중량부, 생강 0.68중량부, 사상자 0.54중량부, 복분자 1.09중량부를 포함하는 한방 생약재를 농약성분을 중화시키기 위한 세척수에 1~2 시간 동안 담근 후 물에 세척하고, 세척된 생약재를 미리 준비된 끓는 물에 1~2 시간 동안 담근 후 건져내어 건조하되, 각각의 한방 생약재의 함수율이 적어도 14%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동물성 생약재인 녹용과 물을 1:9의 중량비로 탕기에 넣고 100~120℃의 온도로 1~2 시간 동안 끓인 후 건져내고 끊인 물은 버린다. 이어, 건져낸 녹용(0.54 중량부)과 당귀(0.54 중량부)와 물을 1.29:10 중량비로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4~5시간 동안 달인 후 상온까지 식혀 녹용액을 제조한다.
이어, 이와 같이 제조된 녹용액에 Bacillus속 균주나 미역 및 다시마 발효액을 녹용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4~6 중량부를 첨가하고 발효용기에서 10~2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녹용액을 제조한다.
이어, 다수개의 생약재 중에서 사상자(0.54 중량부)와 복분자(1.09 중량부)와 물을 1.63 : 10중량부의 비율로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달인 후 상온까지 식힌 사상자 및 복분자액을 제조한다.
이어, 다수개의 한방차 생약재 중에서 당귀, 감초, 생강, 대추, 사상자 및 복분자를 제외한 나머지 한방차 생약재를 미세통공의 한약재 주머니에 넣은 다음, 한방차 생약재와 물을 1.5~2:7.5~8의 중량비로 혼합한 한방차 약재 혼합물을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여 한방차를 제조한다.
이어, 한방차와 사상자 및 복분자액 그리고 발효 녹용액을 전체 녹용차의 중량 대비 10.05 : 1.63 : 1.29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탕기에서 100~11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이고, 상온까지 식히는 공정에서 전체 녹용차의 중량대비 10중량부의 꿀을 첨가하여 녹용차를 제조한다.
이어, 상온까지 식힌 녹용차를 적어도 800 mesh 정도의 여과기로 2~3 차례 여과시키고, 숙성실에서 13 내지 16℃ 온도로 1~2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킨다.
이어, 완성된 녹용차를 파우치, 비닐팩, PET병, 유리병 등 통상의 액체물 포장방법 중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110 ㎖ 단위로 포장한다.
이어, 포장을 마친 녹용차를 110~120℃의 온도에서 대략 60초 정도 고온 살균작업을 실행한다.
실시예2
약재의 전체 중량대비 일정 크기로 절단된 각각의 당귀 0.75중량부, 갈근 0.54중량부, 황정 0.54중량부, 토사자 0.54중량부, 구기자 0.54중량부, 사상자 0.54중량부, 복분자 1.09중량부, 백작약 0.75중량부, 숙지황 0.75중량부, 천궁 0.36중량부, 황기 0.36중량부, 용안 헛씨껍질 2.72중량부, 계피 1.18중량부, 생강 0.68중량부, 사상자 0.54중량부, 복분자 1.09중량부, 어성초 2중량부를 포함하는 한방 생약재를 농약성분을 중화시키기 위한 세척수에 1~2 시간 동안 담근 후 물에 세척하고, 세척된 생약재를 미리 준비된 끓는 물에 1~2 시간 동안 담근 후 건져내어 건조하되, 각각의 한방 생약재의 함수율이 적어도 14%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다수개의 생약재 중에서 사상자(0.54 중량부)와 복분자(1.09 중량부)와 물을 1.63 : 10중량부의 비율로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달인 후 상온까지 식힌 사상자 및 복분자액을 제조한다.
이어, 다수개의 한방차 생약재 중에서 갈용, 당귀, 감초, 생강, 대추, 사상자 및 복분자를 제외한 나머지 한방차 생약재를 미세통공의 한약재 주머니에 넣은 다음, 한방차 생약재와 물을 1.5~2:7.5~8의 중량비로 혼합한 한방차 약재 혼합물을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여 한방차를 제조한다.
한편, 갈용 0.54중량부, 당귀 0.75 중량부를 팬에 중불 또는 약불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덖고 식히는 덖음 공정을 다수회 반복하여 건조시키고, 상기 건조된 갈용과 물을 1.29:10 중량비로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4~5시간 동안 달인 후 상온까지 식혀 갈용액을 제조한다.
이어, 한방차와 사상자 및 복분자액 그리고 갈용액을 전체 녹용차의 중량 대비 10.05 : 1.63 : 1.29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탕기에서 100~11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이고, 상온까지 식히는 공정에서 전체 녹용차의 중량대비 10중량부의 꿀을 첨가하여 녹용차를 제조한다.
이어, 상온까지 식힌 녹용차를 적어도 800 mesh 정도의 여과기로 2~3 차례 여과시키고, 숙성실에서 13 내지 16℃ 온도로 1~2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킨다.
이어, 완성된 녹용차를 파우치, 비닐팩, PET병, 유리병 등 통상의 액체물 포장방법 중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110 ㎖ 단위로 포장한다.
이어, 포장을 마친 녹용차를 110~120℃의 온도에서 대략 60초 정도 고온 살균작업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서는 동물성 약재인 녹용 대신에 식물성 생약재인 갈용순을 이용하여 만든 갈용액을 사용하여 녹용액을 발효시키지 않더라도 녹용액의 특유의 비린맛을 잡을 수 가 있었다.
또한, 녹용차의 pH를 알카리화시키기 위하여 레몬의 10배, 포도주의 12배에 달하는 건조된 어성초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3
약재의 전체 중량대비 일정 크기로 절단된 각각의 당귀 0.75중량부, 황정 0.54중량부, 토사자 0.54중량부, 구기자 0.54중량부, 사상자 0.54중량부, 복분자 1.09중량부, 백작약 0.75중량부, 숙지황 0.75중량부, 천궁 0.36중량부, 황기 0.36중량부, 용안 헛씨껍질 2.72중량부, 계피 1.18중량부, 생강 0.68중량부, 사상자 0.54중량부, 복분자 1.09중량부를 포함하는 한방 생약재를 농약성분을 중화시키기 위한 세척수에 1~2 시간 동안 담근 후 물에 세척하고, 약재 100중량부당 소맥피 분말효소 4중량부를 45~55℃ (바람직하게는 50 ℃)의 물에 1~2시간 동안 담근 후 건저낸다.
여기서, 소맥피(밀기울) 분말효소는 소맥피를 일정 시간 찐 다음 Aspergillus 속의 국균인 Aspergillus awamori vas usami를 접종하여 건조한 분말효소이다.
이어, 동물성 생약재인 녹용과 물을 1:9의 중량비로 탕기에 넣고 100~120℃의 온도로 1~2 시간 동안 끓인 후 건져내고 끊인 물은 버린다. 이어, 건져낸 녹용(0.54 중량부)과 당귀(0.54 중량부)와 물을 1.29:10 중량비로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4~5시간 동안 달인 후 상온까지 식혀 녹용액을 제조한다.
이어, 이와 같이 제조된 녹용액에 Bacillus속 균주나 미역 및 다시마 발효액을 전체 녹용차의 중량 대비 4~6 중량부를 첨가하고 발효용기에서 10~2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녹용액을 제조한다.
이어, 다수개의 생약재 중에서 사상자(0.54 중량부)와 복분자(1.09 중량부)와 물을 1.63 : 10중량부의 비율로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달인 후 상온까지 식힌 사상자 및 복분자액을 제조한다.
이어, 다수개의 한방차 생약재 중에서 당귀, 감초, 생강, 대추, 사상자 및 복분자를 제외한 나머지 한방차 생약재를 미세통공의 한약재 주머니에 넣은 다음, 한방차 생약재와 물을 1.5~2:7.5~8의 중량비로 혼합한 한방차 약재 혼합물을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여 한방차를 제조한다.
이어, 한방차와 사상자 및 복분자액 그리고 발효 녹용액을 전체 녹용차의 중량 대비 10.05 : 1.63 : 1.29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탕기에서 100~11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이고, 상온까지 식히는 공정에서 전체 녹용차의 중량대비 10중량부의 꿀을 첨가하여 녹용차를 제조한다.
이어, 상온까지 식힌 녹용차를 적어도 800 mesh 정도의 여과기로 2~3 차례 여과시키고, 숙성실에서 13 내지 16℃ 온도로 1~2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킨다.
이어, 완성된 녹용차를 파우치, 비닐팩, PET병, 유리병 등 통상의 액체물 포장방법 중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110 ㎖ 단위로 포장한다.
이어, 포장을 마친 녹용차를 110~120℃의 온도에서 대략 60초 정도 고온 살균작업을 실행한다.
이어, 이와 같이 제조된 녹용액에 Bacillus속 균주나 미역 및 다시마 발효액을 첨가하고 발효용기에서 10~2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녹용액을 제조한다.
이어, 다수개의 생약재 중에서 전체 녹용차의 중량 대비 0.54 중량부의 사상자, 1.09 중량부의 복분자, 20중량부의 물을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달인 후 상온까지 식힌 사상자 및 복분자액을 제조한다.
이어, 다수개의 한방차 생약재 중에서 사상자 및 복분자를 제외한 나머지 한방차 생약재를 미세통공의 한약재 주머니에 넣은 다음, 한방차 생약재와 물을 1.5~2:7.5~8의 중량비로 혼합한 한방차 약재 혼합물을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여 한방차를 제조한다.
이어, 한방차와 사상자 및 복분자액 그리고 발효 녹용액을 전체 녹용차의 중량 대비 11.32 : 1.63 : 1.29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탕기에서 100~11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달이고, 상온까지 식히는 공정에서 전체 녹용차의 중량대비 10중량부의 꿀을 첨가하여 녹용차를 제조한다.
이어, 상온까지 식힌 녹용차를 적어도 800 mesh 정도의 여과기로 2~3 차례 여과시키고, 숙성실에서 13 내지 16℃ 온도로 1~2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킨다.
이어, 완성된 녹용차를 파우치, 비닐팩, PET병, 유리병 등 통상의 액체물 포장방법 중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110 ㎖ 단위로 포장한다.
이어, 포장을 마친 녹용차를 110~120℃의 온도에서 대략 60초 정도 고온 살균작업을 실행한다.
<비교예>
약재의 전체 중량대비 일정 크기로 절단된 각각의 황정 0.54중량부, 토사자 0.54중량부, 구기자 0.54중량부, 사상자 0.54중량부, 복분자 1.09중량부, 백작약 0.75중량부, 숙지황 0.75중량부, 천궁 0.36중량부, 황기 0.36중량부, 용안 헛씨껍질 2.72중량부, 계피 1.18중량부, 생강 0.68중량부, 사상자 0.54중량부, 복분자 1.09중량부, 녹용 0.54중량부, 당귀 0.7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방 생약재와 물을 2:8의 중량비로 혼합한 약재 혼합물을 탕기에서 110~120℃의 온도로 4~5시간 동안 달인다.
이어, 상온까지 식힌 녹용차를 적어도 800 mesh 정도의 여과기로 2~3 차례 여과시키고, 숙성실에서 13 내지 16℃ 온도로 1~2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킨다.
이어, 완성된 녹용차를 파우치, 비닐팩, PET병, 유리병 등 통상의 액체물 포장방법 중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110 ㎖ 단위로 포장한다.
이어, 포장을 마친 녹용차를 110~120℃의 온도에서 대략 60초 정도 고온 살균작업을 실행한다.
<실험예1> 녹용차의 단점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녹용차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녹용차에 대한 단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관능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실험은 9점 척도 (9-point hedonic scale)법을 사용하여 기호도를 평가하였다(9점 : 매우 강하다, 7점 : 강하다, 5점 : 보통이다, 3점 : 약하다, 1점 : 매우 약하다) 평가항목은 쓴맛, 매스꺼운 맛, 아린맛, 매운맛으로 하고, 관능검사 대상인원은 20~50대 남녀 100명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검사 결과의 평균값을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온에서 120 ㎖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녹용차의 pH를 pH측정기를 사용하여 10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 ||||
쓴맛 | 매스꺼운맛 | 비린맛 | pH | |
실시예 1 | 3.7 | 3.9 | 3.7 | 4.35 |
실시예 2 | 3.2 | 2.8 | 3.9 | 4.58 |
실시예 3 | 2.9 | 2.9 | 3.2 | 4.82 |
비교예 | 5.2 | 5.4 | 5.1 | 3.82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맥피 분말효소를 사용한 실시예 3의 녹용차와 발효시킨 갈용액을 사용한 실시예 2의 녹용차가 실시예 1의 녹용차 보다 쓴맛, 매스꺼운맛, 비린 맛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나며, 반면 실시예1의 녹용차는 비교예 1의 종래의 녹용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녹용차 보다 쓴맛, 매스꺼운맛, 비린맛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상기[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성초 분말을 사용한 실시예 2의 pH가 상대적으로 알카리에 가까운 약산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2> 녹용차의 기호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녹용차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녹용차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관능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실험은 9점 척도 (9-point hedonic scale)법을 사용하여 기호도를 평가하였다(9점 : 매우 좋다, 7점 : 좋다, 5점 : 보통이다, 3점 : 나쁘다, 1점 : 매우 나쁘다) 평가항목은 향미, 맛, 색상, 전체 만족도로 하고, 관능검사 대상인원은 실험예1과 동일하게 20~50대 남녀 100명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검사 결과의 평균값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 ||||
향미 | 맛 | 색상 | 전체적인 만족도 | |
실시예 1 | 7.1 | 7.5 | 7.1 | 7.6 |
실시예 2 | 7.3 | 7.0 | 7.1 | 7.2 |
실시예 3 | 7.6 | 7.9 | 7.5 | 7.7 |
비교예 | 6.3 | 6.2 | 7.3 | 6.2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녹용액을 발효시킨 실시예 1과 소맥피 분말효소를 사용한 실시예 3이 갈용액을 사용한 실시예 2 보다 상대적인 만족도가 높았으며, 갈용액을 사용한 실시 예 2도 종래 기술을 사용한 비교예 1의 녹용차 보다 향미, 맛, 색상, 및 전체적인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한방약재 분해촉진 단계, 어성초 추가단계, 녹용액 발효 단계 및 발효 녹용액 중화단계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 내지 3에 선택적인 조합으로 반영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실시 예에 모두 적용될 수 도 있고, 하나 이상의 처리공정만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 당귀, 감초, 생강, 대추, 황정, 토사자, 구기자, 백작약, 숙지황, 천궁, 황기, 용안 헛씨껍질, 계피, 사상자, 복분자를 포함하는 한방차 생약재를 농약성분을 중화시키기 위한 세척수에 일정 시간 담근 후 세척하되, 상기 세척수는 쌀뜨물을 사용하거나 베이킹소다, 식초, 물을 1:1:8~10의 중량비로 섞은 혼합 세척수를 사용하며, 상기 세척된 한방차 생약재를 미리 준비된 끓는 물에 일정 시간 담근 후 건져내고, 탕기에 녹용과 물을 넣고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인 후 건져내는 한방차 생약재 중화단계와;
상기 생약재 중화단계를 거친 생약재의 분해를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생약재와 미리 준비된 소맥피 분말효소를 45~55℃의 물에 넣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담근 후 건져내는 분해 촉진단계;
상기 분해 촉진단계를 거친 당귀, 녹용과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여 식힌 녹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녹용액 제조단계를 거친 녹용액의 비린맛을 중화하기 위해 미리 준비된 미역 및 다시마 발효액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발효 녹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를 거친 발효 녹용액에 포함된 신맛을 중화하기 위해 미리 준비된 중화액과 상기 발효 녹용액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여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와;
상기 분해 촉진단계를 거친 사상자, 복분자,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달여 사상자 및 복분자액을 만드는 사상자 및 복분자 제조단계와;
상기 분해 촉진단계를 거친 당귀, 감초, 생강, 대추, 사상자, 복분자를 제외한 상기 분해 촉진단계를 거친 나머지 한방차 생약재와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한방차 생약재 혼합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달이는 한방차 제조단계와;
상기 한방차 제조단계를 거친 한방차, 상기 사상자 및 복분자 제조단계를 거친 사상자 및 복분자액, 상기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를 거친 발효 녹용액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달이는 녹용차 제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화액은 상기 감초, 대추와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제1 혼합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이고, 상기 생강과 물을 미리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제2 혼합물을 탕기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달이고, 상기 제1 혼합물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차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녹용액 제조단계에서 상기 녹용과 당귀는 상기 녹용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녹용 0.53~0.55중량부, 당귀 0.74~0.76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사상자 및 복분자 제조단계에서 상기 사상자 및 복분자는 상기 녹용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사상자 0.53~0.55중량부 및 복분자 1.08~1.10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한방차 제조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한방차 생약재는 상기 녹용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정 0.53~0.55중량부, 토사자 0.53~0.55중량부, 구기자 0.53~0.55중량부, 백작약 0.74~0.76중량부, 숙지황 0.74~0.76중량부, 천궁 0.35~0.37중량부, 황기 0.35~0.37중량부, 용안 헛씨껍질 2.71~2.73중량부, 계피 1.17~1.19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차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1 내지 2중 임의의 어느 한항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5972A KR102189949B1 (ko) | 2019-10-29 | 2019-10-29 |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5972A KR102189949B1 (ko) | 2019-10-29 | 2019-10-29 |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9949B1 true KR102189949B1 (ko) | 2020-12-11 |
Family
ID=7378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5972A KR102189949B1 (ko) | 2019-10-29 | 2019-10-29 |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994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9365B1 (ko) * | 1998-09-23 | 2002-09-25 | 이연수 | 계내금으로발효시킨녹용제제및그제조방법 |
KR20100088797A (ko) * | 2009-02-02 | 2010-08-11 | 이경섭 | 녹용추출물이 함유된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
KR20100090514A (ko) * | 2009-02-06 | 2010-08-16 | (주)아모레퍼시픽 | 성장 촉진용 식품 조성물 |
KR20160013227A (ko) | 2016-01-14 | 2016-02-03 | 김득수 | 녹용차 제조방법 |
-
2019
- 2019-10-29 KR KR1020190135972A patent/KR1021899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9365B1 (ko) * | 1998-09-23 | 2002-09-25 | 이연수 | 계내금으로발효시킨녹용제제및그제조방법 |
KR20100088797A (ko) * | 2009-02-02 | 2010-08-11 | 이경섭 | 녹용추출물이 함유된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
KR20100090514A (ko) * | 2009-02-06 | 2010-08-16 | (주)아모레퍼시픽 | 성장 촉진용 식품 조성물 |
KR20160013227A (ko) | 2016-01-14 | 2016-02-03 | 김득수 | 녹용차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0284B1 (ko) |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30109687A (ko) | 민물고기 어죽(魚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민물고기 어죽 | |
KR20150040392A (ko) |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 |
KR20090127970A (ko) | 생식환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20030267A (ko) | 한약재를 이용한 약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48006B1 (ko) | 인삼 및 해삼을 포함하는 양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양삼계탕 | |
CN104383412A (zh) | 解郁养生中药酒及制备方法 | |
KR102202852B1 (ko) | 전통 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 쌍화차 | |
KR102151925B1 (ko) | 총명 쿠키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쿠키 | |
CN104397717A (zh) | 玉米抗便秘减肥健康食品及其生产方法 | |
KR102189949B1 (ko) |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 | |
CN107114520A (zh) | 一种益生元奶茶及其制备方法 | |
CN106222012A (zh) | 一种缓解风湿的无花果酒 | |
KR20160013229A (ko) |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33135B1 (ko) | 발효 녹용 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 쌍화차 | |
KR102218990B1 (ko) | 총명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총명쌍화차 | |
KR102218991B1 (ko) | 총명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총명차 | |
KR20130047158A (ko) | 시래기의 제조방법 | |
CN106889390A (zh) | 一种养胃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9486598A (zh) | 一种补肝益肾发酵中草药保健酒 | |
CN107198002A (zh) | 一种砂仁山楂代用 | |
KR102240938B1 (ko) | 환성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000237A (ko) | 백숙용 한방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06616697A (zh) | 一种栝楼番荔枝果酱 | |
CN106472744A (zh) | 一种玫瑰姜枣通经专用饮料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