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390B1 - 압출기 - Google Patents

압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390B1
KR102179390B1 KR1020167025731A KR20167025731A KR102179390B1 KR 102179390 B1 KR102179390 B1 KR 102179390B1 KR 1020167025731 A KR1020167025731 A KR 1020167025731A KR 20167025731 A KR20167025731 A KR 20167025731A KR 102179390 B1 KR102179390 B1 KR 10217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shaft
head
shee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039A (ko
Inventor
시게아키 노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6Exchangeable extruder parts
    • B29C48/2566Di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6Exchangeable extruder parts
    • B29C48/2562Mounting or handling of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압출기 헤드와 다이스 사이로부터의 소성재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헤드 선단의 다이스 시트의 장착부 내에 다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헤드 내의 고무가 다이스의 압출구로부터 전방으로 압출된다. 다이스 시트 및 헤드의 제1공 내에는 제1샤프트가 삽입된다. 상기 다이스 시트 상에는 설치부재가 배치된다. 설치부재의 볼트 공에는 조임 볼트가 나사 삽입되어, 볼트를 다이스 상의 지지판 상에 조임으로써, 다이스가 다이스 시트의 장착부 내측 저면에 압접된다. 설치부재 및 다이스 시트의 제2공에는 제2샤프트가 삽입된다.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의 캠면이 당접된다. 볼트가 조여지고, 그 반력에 의해 제1샤프트의 캠면과 제2샤프트의 캠면이 압접되어 이들 캠 작용에 의해 제1샤프트가 헤드 측으로 인입되어, 다이스가 헤드의 앞면에 압접된다. 이 때문에, 헤드의 앞면과 다이스 사이로부터의 고무의 누출방지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출기{EXTRUSION MACHINE}
본 발명은, 고무 등의 소성재료를 압출하기 위한 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압출기가 개시된다. 이들 압출기의 헤드 선단에는 다이스가 구비된다. 이 다이스에는 소성재료의 압출 형상을 규정하기 위한 압출구가 형성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3-26651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8-946호 공보
소성재료의 압출 형상 등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다이스를 압출구의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것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다이스를 압출기 헤드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렇게 구성하면, 압출기 헤드와 다이스와의 사이의 경계로부터 소성재료가 누출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스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압출기라도, 압출기 헤드와 다이스 사이로부터의 소성재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헤드 본체의 앞면에 설치되는 다이스 시트와, 이 다이스 시트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헤드 본체의 소성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개구와 연통하는 압출구를 갖는 다이스와, 이 다이스의 앞면에 당접하는 누름부재, 및 이 누름부재를 다이스의 앞면에 압접시키는 압접기구를 구비하는 압출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압접기구에 의해 누름부재를 통하여 다이스가 헤드의 앞면에 압접되어, 헤드와 다이스 사이의 소성재료의 누출이 적절히 방지된다.
상기 압접기구는, 상기 다이스를 상기 다이스 시트 상에 압접시키는 볼트와, 상기 누름부재와 연결되는 제1부재와, 상기 볼트에 작용하는 상기 압접 반력에 의해 일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부재에 가해지는 일방향으로의 힘을 상기 누름부재에 대하여 다이스 측으로의 힘으로서 작용시키는 캠면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에 의해 다이스를 조이면, 그 반력에 의해 캠면의 캠 작용에 의해 제2부재를 통하여 누름부재에 다이스 측으로의 힘이 작용하여, 다이스가 헤드에 압접된다. 이 때문에, 1개의 볼트에 의해 다이스를 다이스 시트 상에 압접시키고, 헤드의 앞면에 압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다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으며, 다이스의 고정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볼트의 조임 이동이 캠면을 통하여 누름부재의 누름압력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볼트를 돌리는 가벼운 힘으로 다이스를 헤드에 대하여 강하게 압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소성재료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압출기 헤드와 다이스 사이로부터의 소성재료의 누설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압출기 헤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압출기 헤드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압출기 헤드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2샤프트 및 제1샤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5-5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압출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압출기의 헤드(11)(헤드 본체)의 선단에는 고무 토출용 개구(12)가 형성된다. 또한, 헤드(11) 내에는 고무를 압송하기 위한 스크류가 설치되나, 실시형태의 도면에서는 이 스크류의 도시는 생략된다. 헤드(11)의 선단에는 다이스(ダイス; dies) 시트(13)가 고정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스 시트(13)에는, 전방 및 상방을 향하여 개방된 장착부(14)가 형성된다. 이 장착부(14) 내에는 상하 다이스 피스(15, 16)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스(17)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이스 피스(15, 16) 사이에는 상기 개구(12)와 연통하는 압출구(18)가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11) 내의 고무가 상기 개구(12)를 통하여 압출구(18)로부터 전방으로 압출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14)의 양측에서 다이스 시트(13) 및 헤드(11)에는 횡방향을 향한 제1공(21)이 관통 설치된다. 제1공(21) 내에는 머리부(23)를 갖는 제1샤프트(24)가 삽입된다. 제1공(21)의 심부(22) 내에는 스프링(25)이 수용되고, 이 스프링(25)에 의해 제1샤프트(24)가 전방을 향하여 힘을 받는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샤프트(24)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는 요부(26)가 형성되고, 이 요부(26) 내측에는 경사진 형태의 캠면(27)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다이스 시트(13) 상에는 설치부재(31)가 배치된다. 이 설치부재(31)의 양단부에는 제2상부공(3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설치되고, 양 제2상부공(32) 사이의 위치에는 볼트공(3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설치된다. 볼트공(33)에는 조임볼트(34)가 나사 삽입되고, 그 선단이 상기 다이스(17) 상의, 다이스(17)과는 별개의 지지판(35)의 상면에 당접한다. 그리고, 볼트(34)를 지지판(35) 상에 조임으로써, 다이스 피스(15, 16)가 서로 압접되고, 다이스(17)가 다이스 시트(13)의 장착부(14)의 내측 저면에 압접된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다이스 시트(13)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2상부공(32)과 대향하는 제2하부공(4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설치된다. 이 제2하부공(41)은 다이스 시트(13)의 제1공(21)과 교차된다. 제2상부공(32) 및 제2하부공(41)에는 제2샤프트(40)가 삽입되고, 그 상단의 머리부(42)가 설치부재(31)의 상면에 위치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샤프트(40)의 상하방향의 중간부에는 경사 형태의 캠면(45)이 형성된다. 이 캠면(45)에는 상기 스프링(25)의 힘에 의해 상기 제1샤프트(24)의 캠면(27)이 당접된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샤프트(24)의 머리부(23)와 상기 다이스(17)와의 사이에는 판 형태의 누름부재(51)가 배치된다. 이 누름부재(51)는 그 양단부의 요부(52)에서 제1샤프트(24)로 상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제1샤프트(24)와 누름부재(51)가 연결된다. 누름부재(51)의 중앙부에는 상기 압출구(18)과 대향하는 개구(53)이 형성된다. 그리고, 다이스(17)의 압출구(18)로부터 토출되는 고무가 전방을 향하여 개구(53) 내를 통과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샤프트(24), 캠면(27), 설치부재(31), 볼트(34), 제2샤프트(40), 캠면(45)에 의해 압접기구가 구성된다. 또한, 제1샤프트(24)에 의해 제1부재가 구성되고, 설치부재(31), 제2샤프트(40)에 의해 제2부재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압출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압출기가 가동 가능한 상태가 도시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11) 내부의 스크류(미도시)의 회동에 의해, 압출구(18)로부터, 압출구(18)의 형상이나 크기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의 고무가 압출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볼트(34)의 하단부가 하방으로 크게 돌출된다. 이 때문에, 볼트(34)의 하단이 지지판(35)의 상면에 닿아 지지판(35)이 조여지고, 이에 의해 볼트(34)에 반력이 작용하여 설치부재(31)에 상승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고, 이 설치부재(31)에 의해 제1샤프트(24)가 끌어 올려진다.
이로써, 제1샤프트(24)의 캠면(27)과 제2샤프트(40)의 캠면(45)이 압접되어, 이들의 캠 작용에 의해 제1샤프트(24)가 헤드(11) 측으로 끌려 들어간다. 이 때문에, 제1샤프트(24)의 머리부(23)에 의해 누름부재(51)에 대하여 헤드(11) 측으로 이동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누름부재(51)에 의해 다이스(17)가 헤드(11)의 앞면에 압접된다. 이상과 같이, 캠면(27, 45)에 의해 제1샤프트(24)에 가해지는 일방향으로의 힘이 누름부재(51)에 대하여 다이스(17) 측으로의 힘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헤드(11)의 앞면과 다이스(17)의 사이로부터의 고무 누출방지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2샤프트(40)는 그 캠면(45)과 제1샤프트(24)의 캠면(27)과의 압접상태에서 상승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설치부재(31)는 제2샤프트(40)의 머리부(42)에 압접된 상태에서 상승이 방지된다. 그 결과, 선단부가 하방 이동되는 볼트(34)에 의해 지지판(35)의 상면이 조여진다. 따라서, 다이스(17)가 다이스 시트(13)의 장착부(14)의 내측 저면에 압접되고, 다이스 피스(15, 16)가 서로 압접된다. 따라서, 다이스 피스(15, 16) 사이로부터의 고무 누출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이스(17)를 압출구(18) 형상을 다른 것으로 변경할 경우나, 다이스(17)를 청소할 경우에는, 다이스(17)가 압출기로부터 분리된다. 즉, 지지판(35)을 조이고 있는 볼트(34)가 풀어지면, 볼트(34)의 하단의 하방으로의 돌출량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지지판(35)을 통하여 다이스(17)에 작용하던 조이는 힘이 약해지고, 다이스 시트(13)의 장착부(14) 내측 저면에 대한 다이스(17)의 압접력과 다이스 피스(15, 16) 상호간의 압접력이 약해진다.
또한, 볼트(34)와 지지판(35)과의 압접력이 약해짐으로써 설치부재(31)를 통하여 제2샤프트(40)에 작용하는, 끌어올리는 힘이 완화된다. 이 때문에, 캠면(27, 45) 서로의 압접상태가 해제되고, 제1샤프트(24)의 전방이동이 허용된다. 따라서, 제1샤프트(24)가 스프링(25)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누름부재(51)에 대한 제1샤프트(24)의 머리부(23)의 압접이 해제되고, 누름부재(51)의 다이스(17)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고, 이 누름부재(51)를 제1샤프트(24)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리하여, 다이스(17)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고, 다이스(17)를 압출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른 다이스(17)를 압출기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리시와 역순의 작업을 행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작용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트(34)의 나사 작용을 이용하여 캠면(27, 45)끼리 서로 압접되고, 그 결과 누름부재(51)에 의해 다이스(17)가 헤드(11)의 앞면에 압접되어, 헤드(11)와 다이스(17) 사이의 고무의 누출이 적절히 방지된다. 또한, 다이스(17)의 다이스 피스(15, 16)끼리도 서로 압접되어, 다이스 피스(15, 16) 사이의 고무 누출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적절히 방지된다.
또한, 1개의 볼트(34)를 조이면, 이 조임 압력에 의해 다이스(17)의 다이스 피스(15, 16)끼리 서로 압접되고, 캠면(27, 45)의 작용에 따라 누름부재(51)에 의해 다이스(17)가 헤드(11)의 앞면에 압접된다. 이상과 같이 1개의 볼트(34)를 조이면 되기에, 구성이 간단하고 작업이 용이하다. 따라서, 다이스(17)의 교환이나 청소에 따른 다이스(17)의 착탈작업을 단시간에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추가로, 볼트(34)의 나사 조임 이동이 캠면(27, 45)을 통하여 누름부재(51)의 다이스(17)에 대한 누름 압력으로 변환된다. 이로써, 볼트(34)를 돌리는 가벼운 힘으로 다이스(17)를 헤드(11)에 대하여 강하게 압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무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 가능하다.
다이스(17)를 다이스 피스(15, 16)로 구성하지 않고, 다이스(17) 전체를 하나의 블록으로 일체화 할 수 있다.
누름부재(51)를 나사로 압출기의 헤드(11)에 설치하고, 나사를 조임으로써 다이스(17)가 헤드(11)의 앞면에 압접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샤프트(24), 제2샤프트(40)의 경사 형태의 캠면(27, 45)은 제1샤프트(24) 및 제2샤프트(40)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면 된다.
11: 헤드
13: 다이스 시트
15: 다이스 피스
16: 다이스 피스
17: 다이스
24: 제1샤프트
27: 캠면
31: 설치부재
34: 볼트
40: 제2샤프트
45: 캠면
51: 누름부재

Claims (5)

  1. 헤드 본체;
    헤드 본체의 앞면에 설치되는 다이스(ダイス; dies) 시트;
    이 다이스 시트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헤드 본체 내의 소성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개구와 연통하는 압출구를 갖는 다이스;
    이 다이스의 앞면에 당접하는 누름부재; 및
    이 누름부재를 다이스의 앞면에 압접시키는 압접기구;를 구비하는 압출기로서,
    상기 압접기구는,
    상기 다이스를 상기 다이스 시트 상에 압접시키는 볼트;
    상기 누름부재와 연결되는 제1부재;
    상기 볼트에 작용하는 압접의 반력(reacting force)에 의해 일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부재에 가해지는 일방향으로의 힘을 상기 누름부재에 대하여 다이스 측으로의 힘으로서 작용시키는 캠면;을 구비하는,
    압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부재는,
    상기 다이스 시트에 형성되는 제1공에 삽입되며, 상기 누름부재에 당접하는 머리부를 갖는 제1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다이스 시트 상에 설치되는 설치부재; 및
    이 설치부재 및 다이스 시트의 제2공에 삽입되며, 설치부재에 당접하는 머리부를 갖는 제2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샤프트, 제2샤프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샤프트는 타방의 샤프트에 당접하는 캠면을 구비하는,
    압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는, 적층된 한 쌍의 다이스 피스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 압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에 의해 다이스 피스가 서로 압접되는,
    압출기.
  4. 제 2 항에 있어서,
    헤드 본체에는 상기 제1샤프트를 그 머리부가 누름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압출기.
  5. 삭제
KR1020167025731A 2014-02-26 2014-02-26 압출기 KR102179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4607 WO2015128949A1 (ja) 2014-02-26 2014-02-26 押出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039A KR20160127039A (ko) 2016-11-02
KR102179390B1 true KR102179390B1 (ko) 2020-11-16

Family

ID=5400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731A KR102179390B1 (ko) 2014-02-26 2014-02-26 압출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79529B2 (ko)
JP (1) JP6254252B2 (ko)
KR (1) KR102179390B1 (ko)
CN (1) CN106029335B (ko)
DE (1) DE112014006412B4 (ko)
PH (1) PH12016501681A1 (ko)
RU (1) RU2660127C2 (ko)
WO (1) WO201512894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982A (ja) * 2001-10-10 2003-04-23 Chuetsu Tec Kk 線状ラミネート加工装置
KR101071652B1 (ko) 2004-07-20 2011-10-10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압출 헤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8807A (en) * 1967-05-02 1970-01-13 Uniroyal Englebert Ag Extruder with openable die head structure and die locking means
US4124346A (en) 1976-04-07 1978-11-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xtruder die arrangement
DE3427022A1 (de) * 1984-07-21 1986-01-23 Paul Troester Maschinenfabrik, 3000 Hannover Strangpresskopf
KR880001399A (ko) * 1986-07-08 1988-04-23 문박 압출기의 헤드(head)
SU1761530A1 (ru) * 1989-04-11 1992-09-15 Ленинград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Ленсовета Экструзионна головка дл формовани полимер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с магнитным наполнителем
JPH05192981A (ja) * 1992-01-22 1993-08-03 Mitsubishi Heavy Ind Ltd 押出機の口金交換装置
DE19504119C2 (de) * 1995-02-08 2000-07-13 S Rockstedt Gmbh Maschf Am Ausgang eines Extruders angebrachter Düsenkopf
JP3213514B2 (ja) * 1995-07-13 2001-10-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エラストマ押出し装置
KR19990011582A (ko) * 1997-07-24 1999-02-18 장윤테 나사머리 헤더
US6244849B1 (en) * 1999-03-26 2001-06-12 Entek Manufacturing Inc. Extruder die assembly
US6589454B1 (en) * 2000-05-18 2003-07-08 Albert Santelli, Jr. Method for making extruded test specimens usable in evaluating mechanical and other material properties of plastic used in the manufacture of extruded products
JP4007543B2 (ja) 2002-03-18 2007-11-1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ストリップゴム連続押出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を用いた方法
JP2005219274A (ja) * 2004-02-04 2005-08-18 Bridgestone Corp 押出機の口金交換方法および装置
US20060090322A1 (en) * 2004-10-29 2006-05-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ting die having quick assembly features
JP4939122B2 (ja) 2006-06-21 2012-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導電性弾性体ローラの製造方法
JP5192981B2 (ja) * 2008-10-22 2013-05-08 ピジョン株式会社 不織布および衛生用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982A (ja) * 2001-10-10 2003-04-23 Chuetsu Tec Kk 線状ラミネート加工装置
KR101071652B1 (ko) 2004-07-20 2011-10-10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압출 헤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6412T5 (de) 2016-12-15
CN106029335B (zh) 2019-01-11
DE112014006412B4 (de) 2022-12-08
WO2015128949A1 (ja) 2015-09-03
US10279529B2 (en) 2019-05-07
KR20160127039A (ko) 2016-11-02
JP6254252B2 (ja) 2017-12-27
RU2016137491A (ru) 2018-03-27
PH12016501681B1 (en) 2016-10-03
RU2660127C2 (ru) 2018-07-05
US20170008213A1 (en) 2017-01-12
RU2016137491A3 (ko) 2018-03-27
PH12016501681A1 (en) 2016-10-03
CN106029335A (zh) 2016-10-12
JPWO2015128949A1 (ja)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8219B2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用の取付部材
BRPI0515420A (pt) ferramenta de moldagem sob pressão 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uma peça por meio de moldagem sob pressão
KR101000626B1 (ko) 사출 성형기의 분리형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형판
KR102179390B1 (ko) 압출기
JP6672177B2 (ja) 射出成形用の成形工具
TW200637705A (en) Arrangement for receiving a mould
US10722036B2 (en) Saddle chair
DE502008002815D1 (de) Vorrichtung zum portionieren von lebensmitteln
DE502004001952D1 (de) Drucksteife Antriebskette für eine Stellvorrichtung
CN210415392U (zh) 模具二次顶出工装
WO2008081613A1 (ja) 抜き型
CN104105555A (zh) 弯板机的模具支架
EP2883679A1 (en) Process and device for locking an extrusion head
KR101745911B1 (ko) 엘엠가이드용 스토퍼
JP4107509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KR101624579B1 (ko) 프레스기용 안전장치
US11590679B2 (en) Injection molding mold
WO2019123541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4417969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KR101458201B1 (ko) 케이블케리어용 커버 결합구조
TH17415C3 (th) เครื่องปฏิบัติการสำหรับแป้นเกลียวป้องกันการหลวม
KR101934922B1 (ko) 사출성형장치
JP2006335017A (ja) 帯状ゴムの押出し方法および装置
CN105834723A (zh) 箱门限位器壳体压装螺母装置
EP1713108A3 (de) Tastenanordnung für ein elektrisches oder elektronisches Gerät in einem Kraftfahr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