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572B1 -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 Google Patents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572B1
KR102178572B1 KR1020190102391A KR20190102391A KR102178572B1 KR 102178572 B1 KR102178572 B1 KR 102178572B1 KR 1020190102391 A KR1020190102391 A KR 1020190102391A KR 20190102391 A KR20190102391 A KR 20190102391A KR 102178572 B1 KR102178572 B1 KR 102178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lever
plate
exercise device
rehabilitation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환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정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환 filed Critical 정부환
Priority to KR1020190102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69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 A61H2201/1276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by the other leg or a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중앙에 베이스(22)가 형성되고 양쪽에 풀리(80)를 갖는 인너 케이스(20); 상기 양쪽 풀리(80)를 지나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로프(70); 상기 베이스(22)의 상측에 배치되고 승강 운동하는 플레이트(30);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70)가 통과하며, 상기 플레이트(30)의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로프(70)를 붙잡거나 놓도록 하는 클램 크리트(40); 한쪽은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베이스(22)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50); 및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30)가 상기 베이스(22)한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30)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Sling bar of the rehabilitation device}
본 발명은 물리 치료 또는 재활 치료할 때 사용자가 체중을 떠받치거나 재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링 바는 물리 치료 또는 재활 치료를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알려진 슬링 바는 단순하게 팔, 다리, 허리 등 특정 신체 부위를 떠받치는 형태로 제공될 뿐이고, 이처럼 떠받친 상태에서는 단순하게 좌우로 움직이는 등의 극히 단순한 움직임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알려진 슬링을 이용한 재활 치료는 로프에 환자의 체중 일부를 싣고 의지하여 중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동작의 난이도를 조절하며 보행 연습을 할 수 있다.
한편으로, 종래에 운동기구로서 로프를 풀리에 감아 설치하고, 로프의 양쪽 끝을 양손을 잡은 상태에서 왼손과 오른손을 번갈아 가며 잡아당기는 운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은 단조로운 문제점 있다.
KR 10-1261650 B1 KR 10-2010-0101714 A KR 10-1781495 B1 KR 10-1952030 B1 KR 10-2018-0042820 A KR 10-2019-0051421 A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의지에 따라 로프의 이동을 제한하여 슬링 운동을 할 수 있게 하고, 또는 사용자 의지에 따라 로프를 이동 가능한 상태를 구현하여 양손을 번갈아 가며 잡아당기는 운동하거나 엎드린 상태에서 양팔을 번갈아 뻗으며 풀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프를 이동 제한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작용을 사용자가 쉽게 조작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중앙에 베이스(22)가 형성되고 양쪽에 풀리(80)를 갖는 인너 케이스(20); 상기 양쪽 풀리(80)를 지나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로프(70); 상기 베이스(22)의 상측에 배치되고 승강 운동하는 플레이트(30);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70)가 통과하며, 상기 플레이트(30)의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로프(70)를 붙잡거나 놓도록 하는 클램 크리트(40); 한쪽은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베이스(22)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50); 및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30)가 상기 베이스(22)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30)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의 상기 베이스(22)는, 상기 레버(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레버 웨이(24); 및 상기 레버 웨이(24)의 한쪽에서 상기 레버 웨이(2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스루 홀(26);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버(50)는, 상기 레버 웨이(2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 부분(93); 및 상기 제1 부분(93)의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 웨이(24)를 통과할 수 없지만, 상기 스루 홀(26)은 통과할 수 있는 제2 부분(9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의 상기 베이스(22)는, 상기 인너 케이스(20)에 설치된 고정핀(28); 및 상기 플레이트(30)에 닫힌 도형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캠 웨이(34);를 포함하고, 상기 캠 웨이(34)에 상기 고정 핀(28)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플레이트(30)는 2개로 제공되고, 상기 2개의 플레이트(30)는 상기 레버(50)와 핀 샤프트(52)로 연결되어 상기 레버(50)의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핀 샤프트(52)를 중심으로 상기 2개의 플레이트(30)가 기울어지며 오르내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2개의 플레이트(30)에 각각 상기 클램 크리트(4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로프(70)는 상기 2개의 클램 크리트(40)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의 상기 클램 크리트(40)는 상기 로프(70)를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 홈이 형성되고, 상기 U자 형상 홈 내부에 돌출한 형태로 빗살무늬가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은 다른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레버(50)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조인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의 상기 클램 크리트(40)는 상기 로프(70)를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7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클램 크리트(40)의 양쪽은 상기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플레이트(30)에 2개의 클램 크리트(40)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로프(70)는 상기 2개의 클램 크리트(40)에 통과되며, 상기 2개의 클램 크리트(40)는 상기 로프(70)를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 홈이 형성되고, 상기 U자 형상 홈 내부에 돌출한 형태로 빗살무늬가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은 다른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30)가 상승 이동하면 상기 로프(70)와 밀착하여 상기 로프(70)가 상기 클램 크리트(40) 간에 더욱 강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가드(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플레이트(30)의 상면과 상기 제1 가드(41)가 서로 마주 보는 쪽의 면에 톱니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 형상이 상기 클램 크리트(40)를 대체하여 상기 로프(70)를 붙잡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인너 케이스(20)에 설치된 제2 가드(42);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드(42)를 관통하는 가이드 샤프트(45);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45)의 상측에 설치된 제1 가드(4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샤프트(45)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로프(70)는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의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가 상기 클램 크리트(40)를 대체하여 상기 로프(70)를 붙잡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가 마주 보는 쪽의 면에 톱니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레버(50)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조인트(32); 영문 L자 형상으로 제1 가이드 웨이(56)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2)에 설치된 브래킷(54); 및 상기 레버(50)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 웨이(56)를 따라 이동하는 팔로워(5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레버(50)가 상기 플레이트(30)로부터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인트(32); 및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측면에 영문 L자 형상의 제2 가이드 웨이(12)를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10);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50)의 제1 부분(93)이 상기 제2 가이드 웨이(12)를 따라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로프를 이동 제한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작용을 사용자가 쉽게 조작하여 구현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슬링 운동과 풀리 운동을 할 수 있다.
특히 물리 치료 또는 재활 치료를 받는 환자라면 좀 더 다양한 근육을 사용하며 운동할 수 있어 치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부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부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부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부터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부터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부터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부터 도 2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별로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에 관해서 설명하고, 중복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 1부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인너 케이스(20), 로프(70), 플레이트(30), 클램 크리트(40), 레버(50) 및 스프링(6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20)는 중앙에 베이스(22)가 형성되고 양쪽에 풀리(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프(70)는 상기 양쪽 풀리(80)를 지나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로프(70)의 끝에는 손잡이(92)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인너 케이스(20)의 하부에는 고정 볼트(90)를 설치할 수 있고, 고정 볼트(90)에는 물리 치료에 필요한 다른 장비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케이스(20)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고정핀(2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30)는 상기 베이스(22)의 상측에 배치되고 승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0)는 도 2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에 닫힌 도형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게 캠 웨이(34)가 형성될 수 있다. 캠 웨이(34)는 단면 모양을 살펴보면 정면에서 볼 때 플레이트(30)의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캠 웨이(34)의 내부 높이는 상기 고정핀(28)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이고, 캠 웨이(34)의 내부 폭은 고정핀(28)의 지름에 1.2배에서 2배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캠 웨이(34)는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28)과 조립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플레이트(30)는 상기 고정핀(28)에 걸쳐져 움직임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30)의 움직임에 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울어질 수 있고, 캠 웨이(34)의 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클램 크리트(40)는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로프(70)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클램 크리트(40)는 상기 플레이트(30)의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로프(70)를 붙잡거나 놓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버(50)는 한쪽이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인너 케이스(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30)가 상기 베이스(22)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30)에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로프(70)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 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는 레버(50)를 잡고 레버(50)를 조작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30)를 밀어 올릴 수 있고, 이때 스프링(60)의 복원력으로 플레이트(30)가 상승하고, 이로써 클램 크리트(40)가 상승할 수 있다. 클램 크리트(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70)를 수용할 수 있다.
클램 크리트(40)는 내부에 U자 형상 홈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양쪽 내벽에는 빗살무늬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로프(70)가 클램 크리트(40)에서 이동할 때, 빗살무늬의 순방향으로 이동하면 쉽게 이동될 수 있고, 반대 방향이라면 로프(70)가 이동하지 못하고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후, 로프(70)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자 할 땐, 레버(50)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프(70)의 이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베이스(22)는, 레버 웨이(24)와 스루 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웨이(24)는 상기 레버(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루 홀(26)은 상기 레버 웨이(24)의 한쪽에서 상기 레버 웨이(2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50)는, 제1, 2 부분(93, 9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93)은 상기 레버 웨이(2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94)은 상기 제1 부분(93)의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 웨이(24)를 통과할 수 없지만, 상기 스루 홀(26)은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레버(50)를 조작하여 어느 위치에 존재하느냐에 따라 플레이트(30)의 높낮이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레버(50)는 제2 부분(94)을 상기 스루 홀(26)에 통과시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6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플레이트(30)를 상승시킬 수 있고, 클램 크리트(40)가 함께 상승하여 로프(70)를 붙잡는다.
반대로, 레버(50)를 잡아당기면, 레버(50)의 제2 부분(94)이 스루 홀(26)을 벗어나고, 이후에, 레버(50)를 옆으로 젖히면 레버(50)의 제1 부분(93)이 레버 웨이(2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레버(50)의 제2 부분(94)는 상기 레버 웨이(24)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레버(5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레버(50)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면 플레이트(30)와 클램 크리트(40)는 하강 위치에 있고 이로써 로프(70)는 고정 해제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플레이트(30)는 상기 고정핀(28)에 조립된 것으로써 캠 웨이(34)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지만, 인너 케이스(20)로부터 완전하게 이탈하지 않는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플레이트(30)가 2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플레이트(30)는 상기 레버(50)와 핀 샤프트(52)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레버(50)의 자세와 높낮이 위치에 따라 상기 2개의 플레이트(30)가 상기 핀 샤프트(52)를 중심으로 기울어지며 승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레버(50)를 아래쪽으로 살짝 당긴 상태에서 자세를 전환하면 레버(50)가 베이스(22)에 걸치거나, 베이스(22)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러한 레버(50)의 조작은 무척 간편하고 쉬운 것으로 별도의 교육을 받지 않더라도 누구나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레버(50)가 베이스(22)를 통과하면 레버(50)는 상승 위치이므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로프(70)가 고정되어 로프(70)를 이동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50)가 베이스(22)에 걸치면 레버(50)는 하강 위치이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로프(70)가 고정 해제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플레이트(30)에 각각 상기 클램 크리트(40)가 설치될 수 있고,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프(70)는 상기 2개의 클램 크리트(40)를 통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2개의 클램 크리트(40)를 갖춤으로써 로프(70)를 고정하였을 때 고정 힘을 더욱 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특히 로프(70)의 이동 방향이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양 방향 모두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 크리트(40)는 상기 로프(70)를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U자 형상 홈 내부에 돌출한 형태로 빗살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은 다른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클램 크리트(40)는 빗살무늬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로프(70)가 클램 크리트(40)를 지날 때 빗살무늬 때문에 클램 크리트(40)의 깊이 방향 또는 바깥 방향으로 추력이 발생할 수 있다.
로프(70)가 클램 크리트(40)의 깊이 방향으로 추력을 받으면 로프(70)의 이동이 고정될 수 있다. 반면, 로프(70)가 클램 크리트(40)의 바깥 방향으로 추력을 받으면 로프(70)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클램 크리트(40)에 형성된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이 서로 대칭되도록, 2개의 클램 크리트(40)를 배치함으로써 로프(70)가 2개의 클램 크리트(40)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려고 할 때 양방향 모두에서 이동에 제한을 받는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로프(70)의 이동을 제한하고자 할 때 양방향 모두를 이동 제한함으로써 좀 더 확실하게 로프(70)를 고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부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도 6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레버(50)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조인트(3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레버(50)는 조인트(32)의 구조에 따라 특정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레버(50)가 로프(70)가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는 레버 웨이(24)가 슬링 바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사용자 자세로 보면 앞뒤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며, 레버 웨이(24)의 한쪽 끝에 스루 홀(26)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머리 위쪽에 레버(50)를 붙잡은 상태에서 앞뒤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실시예의 상기 클램 크리트(4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로프(70)를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로프(7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도 6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램 크리트(40)의 양쪽은 상기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즉, 하나의 클램 크리트(40)에 양방향 빗살무늬가 돌출한 형태로 형성된 것이고, 이로써 로프(70)의 이동을 제한하고자 할 때 양방향 모두를 이동 제한함으로써 좀 더 확실하게 로프(7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클램 크리트(40)에 양방향 빗살무늬를 한꺼번에 형성함으로써 1개 슬링 바에 1개의 클램 크리트(4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 요소를 간소화할 수 있어 생산과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제3 실시예>
도 9부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플레이트(30)에 2개의 클램 크리트(40)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로프(70)는 상기 2개의 클램 크리트(40)에 통과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클램 크리트(40)는 상기 로프(70)를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U자 형상 홈 내부에 돌출한 형태로 빗살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어느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은 다른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일 수 있다. 2개의 클램 크리트(40)를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결국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제3 실시예는 로프(70)의 이동을 제한하고자 할 때 양방향 모두를 이동 제한함으로써 좀 더 확실하게 로프(7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플레이트(30)에 2개의 클램 크리트(40)를 설치함으로써 1개 슬링 바에 1개의 플레이트(3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 요소를 간소화할 수 있어 생산과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도 10부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드(4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드(41)는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30)가 상승 이동하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프(70)와 밀착하여 상기 로프(70)가 상기 클램 크리트(40) 간에 더욱 강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3 실시예의 제1 가드(41)는 로프(70)를 고정하고자 할 때 더욱 강한 힘으로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로프(7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3부터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0)의 상면과 상기 제1 가드(41)가 서로 마주 보는 쪽의 면에 톱니 형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톱니 형상이 상기 클램 크리트(40)를 대체하여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프(70)를 붙잡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플레이트(30)는 두께가 얇고 평평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슬링 바의 전체적인 높이를 얇게 제조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17부터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가드(41, 42) 및 가이드 샤프트(4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드(42)는 상기 인너 케이스(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45)는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가드(42)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가드(41)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샤프트(45)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샤프트(4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프(70)는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가 상기 클램 크리트(40)를 대체하여 상기 로프(70)를 붙잡을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50)를 조작하여 레버(50)가 베이스(22)에 걸쳐진 상태이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드(41)가 하강 위치일 수 있고, 이로써 로프(70)는 제1 가드(41)와 제2 가드(42)의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레버(50)를 조작하여 레버(50)가 스루 홀(26)을 통과하면 스프링(60)은 제1 가드(41)가 제2 가드(42)로부터 멀어 짐으로써 로프(70)의 고정을 고정 해제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가 마주 보는 쪽의 면에 톱니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톱니 형상은 상기 로프(70)를 더욱 강한 힘으로 고정할 수 있고, 이로써 로프(70)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로프(70)를 잡아당기더라도 고정된 상태를 더욱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21부터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6 실시예는, 조인트(32), 브래킷(54) 및 팔로워(5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32)는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레버(50)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32)는 제6 실시예에서 로프(7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 즉, 슬링 바의 길이방향으로, 사용자 입장에서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브래킷(54)은, 영문 L자 형상으로 제1 가이드 웨이(56)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2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팔로워(58)는 상기 레버(50)에 형성될 수 있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 웨이(5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레버(50)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웨이(56)의 상승 위치에 고정되면 클램 크리트(40)가 상승하여 로프(70)가 클램 크리트(40)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로프(70)는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레버(50)는 사용자가 잡아 당겨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웨이(56)의 하강 위치에 고정하면 로프(70)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 25부터 도 2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7 실시예는, 조인트(32) 및 아웃터 케이스(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32)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고, 도 2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50)가 플레이트(30)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케이스(10)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바깥 쪽에 배치될 수 있고, 측면에 영문 L자 형상의 제2 가이드 웨이(1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레버(50)는 레버(50)의 제1 부분(93)이 상기 제2 가이드 웨이(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레버(50)가 수직 방향으로 상승한 위치이면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60)으로 플레이트(30)와 클램 크리트(40)가 상승하여 로프(70)를 고정할 수 있다.
레버(50)가 하강한 후 수평 방향으로 선회한 위치이면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크리트(40)가 로프(70)를 고정하지 않을 수 있고, 이로써 로프(70)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의지에 따라 로프(70)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고, 특히 로프(70)를 고정하면 로프(70)가 좌우 어느 한쪽으로도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로프(70)를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슬링 재활 치료와 풀리 형태의 재활 치료 등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풀리 형태의 재활 치료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로프(70)는 고정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 손잡이(92)를 잡고 신체 또는 팔을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의자 등에 앉은 상태 또는 서 있는 상태에서 왼손과 오른손을 번갈아 가며 잡아당겨 팔을 펼치고 오므리는 동작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옆구리 운동, 어깨 운동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를 보행 재활 치료 장치에 설치하면 로프(7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의지하여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보행 재활 치료 장치에 적용한 상태라면 옆으로 걷거나 멈추는 등의 걷는 동작하면서 동시에 팔을 좌우로 또는 상하로 움직이며 운동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는, 슬링 운동과 풀리 운동하며 물리 치료 또는 재활치료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아웃터 케이스 12: 제2 가이드 웨이
20: 인너 케이스 22: 베이스
24: 레버 웨이 26: 스루 홀
28: 고정핀
30: 플레이트 32: 조인트
34: 캠 웨이
40: 클램 크리트 41, 42: 제1, 2 가드
45: 가이드 샤프트 50: 레버
52: 핀 샤프트 54: 브래킷
56: 제1 가이드 웨이 58: 팔로워
60: 스프링 70: 로프
80: 풀리 90: 고정 볼트
92: 손잡이

Claims (15)

  1. 중앙에 베이스(22)가 형성되고 양쪽에 풀리(80)를 갖는 인너 케이스(20);
    상기 양쪽 풀리(80)를 지나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로프(70);
    상기 베이스(22)의 상측에 배치되고 승강 운동하는 플레이트(30);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70)가 통과하며, 상기 플레이트(30)의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로프(70)를 붙잡거나 놓도록 하는 클램 크리트(40);
    한쪽은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베이스(22)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50); 및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30)가 상기 베이스(22)한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30)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60);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2)는,
    상기 레버(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레버 웨이(24); 및
    상기 레버 웨이(24)의 한쪽에서 상기 레버 웨이(2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스루 홀(26);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50)는,
    상기 레버 웨이(2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 부분(93); 및
    상기 제1 부분(93)의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 웨이(24)를 통과할 수 없지만, 상기 스루 홀(26)은 통과할 수 있는 제2 부분(94);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20)에 설치된 고정 핀(28); 및
    상기 플레이트(30)에 닫힌 도형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캠 웨이(34);를 포함하고,
    상기 캠 웨이(34)에 상기 고정핀(28)이 수용되는 것;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는 2개로 제공되고,
    상기 2개의 플레이트(30)는 상기 레버(50)와 핀 샤프트(52)로 연결되어 상기 레버(50)의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핀 샤프트(52)를 중심으로 상기 2개의 플레이트(30)가 기울어지며 승강하는 것;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플레이트(30)에 각각 상기 클램 크리트(40)가 설치되고,
    상기 로프(70)는 상기 2개의 클램 크리트(40)를 통과하는 것;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 크리트(40)는 상기 로프(70)를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 홈이 형성되고,
    상기 U자 형상 홈 내부에 돌출한 형태로 빗살무늬가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은 다른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인 것;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레버(50)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조인트(32);
    를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 크리트(40)는 상기 로프(70)를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7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클램 크리트(40)의 양쪽은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에 2개의 클램 크리트(40)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로프(70)는 상기 2개의 클램 크리트(40)에 통과되며,
    상기 2개의 클램 크리트(40)는 상기 로프(70)를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 홈이 형성되고,
    상기 U자 형상 홈 내부에 돌출한 형태로 빗살무늬가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은 다른 하나의 클램 크리트(40) 빗살무늬의 경사 방향과 서로 반대인 것;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30)가 상승 이동하면 상기 로프(70)와 밀착하여 상기 로프(70)가 상기 클램 크리트(40) 간에 더욱 강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가드(41);
    를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의 상면과 상기 제1 가드(41)가 서로 마주 보는 쪽의 면에 톱니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 형상이 상기 클램 크리트(40)를 대체하여 상기 로프(70)를 붙잡는 것;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20)에 설치된 제2 가드(42);
    상기 플레이트(30)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드(42)를 관통하는 가이드 샤프트(45);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45)의 상측에 설치된 제1 가드(41);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샤프트(45)에 설치되며,
    상기 로프(70)는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의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가 상기 클램 크리트(40)를 대체하여 상기 로프(70)를 붙잡는 것;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드(41)와 상기 제2 가드(42)가 마주 보는 쪽의 면에 톱니 형상이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에서 상기 레버(50)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조인트(32);
    영문 L자 형상으로 제1 가이드 웨이(56)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2)에 설치된 브래킷(54); 및
    상기 레버(50)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 웨이(56)를 따라 이동하는 팔로워(58);
    를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50)가 상기 플레이트(30)로부터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인트(32); 및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측면에 영문 L자 형상의 제2 가이드 웨이(12)를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10);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50)의 제1 부분(93)이 상기 제2 가이드 웨이(12)를 따라 이동하는 것;
    을 포함하는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KR1020190102391A 2019-08-21 2019-08-21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KR102178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391A KR102178572B1 (ko) 2019-08-21 2019-08-21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391A KR102178572B1 (ko) 2019-08-21 2019-08-21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572B1 true KR102178572B1 (ko) 2020-11-13

Family

ID=7339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391A KR102178572B1 (ko) 2019-08-21 2019-08-21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102A (ko) * 2021-06-07 2022-12-14 정부환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KR20230018269A (ko) 2021-07-29 2023-02-07 (주)위니즈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006A (ja) * 1998-05-11 1999-11-24 Kikuchiseisakusho Co Ltd 腕運動機能回復補助装置
KR200324275Y1 (ko) * 2003-05-06 2003-08-21 (주)세우 로우프를 구비한 근육운동장치
KR20070099563A (ko) * 2004-11-26 2007-10-09 노르디스크 테라피 에이에스 운동 장치
KR20100101714A (ko) 2009-03-10 2010-09-20 정부환 안전레일이 구비된 보행운동용 평행봉
KR101057316B1 (ko) * 2010-02-23 2011-08-17 (유)메리츠이엔지 줄 당기기 운동기구
JP2011217993A (ja) * 2010-04-12 2011-11-04 Kazusuke Abe リハビリ機器
US20160015591A1 (en) * 2014-06-05 2016-01-21 Louis J. Amer Overhead standing and ambulation assistive exercise device
KR20160017429A (ko) * 2014-08-06 2016-02-16 최철수 운동장치
KR20160025538A (ko) * 2016-02-12 2016-03-08 주식회사 프로메디 좌.우 견인력을 각각 측정 및 표시하는 슬링 장치
KR20160115263A (ko) * 2015-03-26 2016-10-06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보행 재활 훈련 장치
KR101781495B1 (ko) 2016-03-16 2017-09-27 주식회사 마르페 도수치료장치
KR20180042820A (ko)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마르페 다양한 자세 또는 위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도수치료장치
KR101952030B1 (ko) 2017-09-11 2019-02-25 김세곤 다축 이동이 가능한 슬링 구조물 장치
KR20190051421A (ko) 2017-11-07 2019-05-15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자세 교정용 슬링바를 구비한 보행 재활 훈련 장치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006A (ja) * 1998-05-11 1999-11-24 Kikuchiseisakusho Co Ltd 腕運動機能回復補助装置
KR200324275Y1 (ko) * 2003-05-06 2003-08-21 (주)세우 로우프를 구비한 근육운동장치
KR101261650B1 (ko) 2004-11-26 2013-05-06 노르디스크 테라피 에이에스 운동 장치
KR20070099563A (ko) * 2004-11-26 2007-10-09 노르디스크 테라피 에이에스 운동 장치
KR20100101714A (ko) 2009-03-10 2010-09-20 정부환 안전레일이 구비된 보행운동용 평행봉
KR101057316B1 (ko) * 2010-02-23 2011-08-17 (유)메리츠이엔지 줄 당기기 운동기구
JP2011217993A (ja) * 2010-04-12 2011-11-04 Kazusuke Abe リハビリ機器
US20160015591A1 (en) * 2014-06-05 2016-01-21 Louis J. Amer Overhead standing and ambulation assistive exercise device
KR20160017429A (ko) * 2014-08-06 2016-02-16 최철수 운동장치
KR20160115263A (ko) * 2015-03-26 2016-10-06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보행 재활 훈련 장치
KR20160025538A (ko) * 2016-02-12 2016-03-08 주식회사 프로메디 좌.우 견인력을 각각 측정 및 표시하는 슬링 장치
KR101781495B1 (ko) 2016-03-16 2017-09-27 주식회사 마르페 도수치료장치
KR20180042820A (ko)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마르페 다양한 자세 또는 위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도수치료장치
KR101952030B1 (ko) 2017-09-11 2019-02-25 김세곤 다축 이동이 가능한 슬링 구조물 장치
KR20190051421A (ko) 2017-11-07 2019-05-15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자세 교정용 슬링바를 구비한 보행 재활 훈련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102A (ko) * 2021-06-07 2022-12-14 정부환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KR102547128B1 (ko) 2021-06-07 2023-06-22 정부환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KR20230018269A (ko) 2021-07-29 2023-02-07 (주)위니즈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KR102602122B1 (ko) 2021-07-29 2023-11-14 (주)위니즈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1424A (en) Weight lifting exercise apparatus
KR102178572B1 (ko)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US9265986B1 (en) Full body exercise equipment
EP2162195B1 (en) Gym machine
KR200360382Y1 (ko) 벤치 프레스
EP1790390B1 (en) Gymnastic machine
KR20150111346A (ko) 슬라이드 가능한 웨이트 바 조립체를 갖는 운동 기구
US9211430B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130165298A1 (en) Portable therapeutic stretching, strengthening, and spinal traction device
JP2017511738A (ja) 首運動のための首運動支持体を備えた椅子
KR101952030B1 (ko) 다축 이동이 가능한 슬링 구조물 장치
WO2017146549A1 (ko) 하체 운동기구의 가변 중량체
KR20220025480A (ko) 운동기구의 수평 이동 장치
US11931615B2 (en) Exercise machine resistance selection system
KR200453843Y1 (ko) 보행운동용 평행봉
KR100673581B1 (ko) 완력기
KR102602122B1 (ko)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JP6162957B2 (ja) 運動用器具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JP2010207324A (ja) 運動補助装置
KR101626221B1 (ko) 멀티 헬스 머신
KR20150132658A (ko) 운동 기구
JP2022070826A (ja) 腕力器
CN113367939A (zh) 骨盆辅助步行训练机构
TWM605115U (zh) 伏地挺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