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221B1 - 멀티 헬스 머신 - Google Patents

멀티 헬스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221B1
KR101626221B1 KR1020140167844A KR20140167844A KR101626221B1 KR 101626221 B1 KR101626221 B1 KR 101626221B1 KR 1020140167844 A KR1020140167844 A KR 1020140167844A KR 20140167844 A KR20140167844 A KR 20140167844A KR 101626221 B1 KR101626221 B1 KR 10162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coupled
moving
guid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221B9 (ko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102014016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221B1/ko
Publication of KR10162622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22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whereby the resistance changes abruptly during the exercising movement, e.g. by using t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운동기구의 효과를 하나의 운동기구로 안전하게 구현함으로써 운동기구의 휴대성과 경제성 및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멀티 헬스 머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헬스 머신은 길이방향 양단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 경사부를 가압하며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를 포함하여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이동부재, 그리고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경사부의 경사도 보다 더 큰 경사도를 갖는 파워 경사부를 형성하는 강도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헬스 머신{MULTI HEALTH MACHINE}
본 발명은 여러 운동기구의 효과를 하나의 운동기구로 구현할 수 있는 멀티 헬스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근육을 단련하기 위해 여러 가지 근력 운동기구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아령, 악력기, 완력기, 그리고 케이블 크로스 오버(cable cross over) 기구가 있다. 아령은 팔 근육을 단련하고, 악력기는 악력을 단련하며, 완력기와 케이블 크로스 오버 기구는 가슴 근육을 단련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근력을 단련하려는 사용자들은 필요한 근력 운동기구들을 구입하여 운동을 하거나 다양한 운동기구들이 구비된 헬스클럽에서 운동을 하였다.
근력 운동기구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예를 들면, 한국공개실용 제1992-0020968호(압축 및 이완겸용 완력기, 1992년 12월18일 공개)에 공지되어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1992-0020968호의 압축 및 이완겸용 완력기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구비한 운동기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운동기구의 효과를 하나의 운동기구로 안전하게 구현함으로써 운동기구의 휴대성과 경제성 및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멀티 헬스 머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헬스 머신은 길이방향 양단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 경사부를 가압하며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를 포함하여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이동부재, 그리고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경사부의 경사도 보다 더 큰 경사도를 갖는 파워 경사부를 형성하는 강도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대향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을 갖는 제1열 가이드부재와 제2열 가이드부재, 고정홈에 결합되어 제1열 가이드부재와 제2열 가이드부재를 일체로 고정하는 보강 연결부, 그리고 보강 연결부에 결합되어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경사부는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강도 조절부재는 가이드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만 파워 경사부를 형성하는 파워 가이드부, 그리고 파워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보강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파워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의 제2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순방향 결합 또는 각각의 제1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역방향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 고정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가이드부재의 단부와 제2 가이드부재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서로 분리 결합되는 제1 고정 클램프와 제2 고정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를 갖는 프레임에 결합되며, 가이드부재의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경사부를 각각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그리고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양측에서 간격을 갖고 각각 결합되어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에 각각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기 위해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의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이동력이 발생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경사부를 점점 강하게 가압하고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멀티 헬스 머신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를 갖는 본체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재의 제2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갖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헬스 머신은 여러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효과를 하나의 운동기구로 구현할 수 있어 운동기구의 구입비용과 보관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멀티 헬스 머신은 휴대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품 또는 조립품의 다양한 형태로 운동기구를 재결합하여 사용자 맞춤형 운동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 헬스 머신은 사용자 스스로의 힘과 운동자세의 조절만으로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이드부재에 강도 조절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운동강도를 더 강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멀티 헬스 머신은 근력 운동의 강도를 점점 강하게 연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기존 근력 운동기구에서 문제점으로 발생되던 운동 시작점의 과부하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멀티 헬스 머신은 사용자의 부상 위험이 예상되는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헬스 머신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재와 강도 조절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서 가이드부재의 역방향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헬스 머신의 단품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지지부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좌우대칭 또는 상하대칭의 결합관계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표현은 한 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헬스 머신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헬스 머신(10)은 가이드부재(100), 이동부재(200), 강도 조절부재(30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분리 결합되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호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동부재(200)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를 포함한다.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호환될 수 있다.
강도 조절부재(300)는 가이드부재(100)에 결합되어 이동부재(200)가 가이드부재(100)를 이동하는 이동력보다 더 큰 이동력으로 이동되게 이동강도를 조절한다. 강도 조절부재(300)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호환되는 제1 강도 조절부재(300a)와 제2 강도 조절부재(300b)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재와 강도 조절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부재(100a)는 제1열 가이드부재(100a1)와 제2열 가이드부재(100a2), 보강 연결부(130, 132, 134), 걸림부(120)를 포함한다.
제1열 가이드부재(100a1)와 제2열 가이드부재(100a2)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제1 가이드부재(100a)를 제1열 가이드부재(100a1)와 제2열 가이드부재(100a2)가 결합된 2열 구조로 형성하면 1열 구조에 비해 흔들림이 적고, 이동부재(200)의 회전부(210)와 접촉되는 면적이 실질적으로 증대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열 가이드부재(100a1)와 제2열 가이드부재(100a2)는 길이방향 양단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단부(102)와 제2 단부(104)가 형성된다. 제1 단부(102)의 크기는 제2 단부(104)의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제1열 가이드부재(100a1)와 제2열 가이드부재(100a2)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부(106)를 형성할 수 있다. 경사부(106)는 제1 가이드부재(100a)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제1 경사부(106a)와 제2 경사부(106b)를 포함한다. 한편, 제1열 가이드부재(100a1)와 제2열 가이드부재(100a2)는 대향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130a, 132a)을 갖는다. 고정홈(130a, 132a)은 제1열 가이드부재(100a1)와 제2열 가이드부재(100a2)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보강 연결부(130, 132, 134)는 고정홈(130a, 132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제1열 가이드부재(100a1)와 제2열 가이드부재(100a2)를 일체로 고정한다. 보강 연결부(130, 132, 134)는 체결부로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보강 연결부(130, 132, 134)는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 보강 연결부(132)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 보강 연결부(130, 134)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열 가이드부재(100a1)와 제2열 가이드부재(100a2) 커버(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6)에는 상표를 기재하여 제품 홍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3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상표명인 몬스터레일(MONSTER RAIL)을 표시할 수 있다.
걸림부(120)는 수평 보강 연결부(13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이동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걸림부(120)는 일측이 개구된 탄성체로 형성된다. 걸림부(120)는 수평 보강 연결부(1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단부(102)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멀티 헬스 머신(10)은 제1 단부(102)에 결합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는 제1 단부(102)에 끼워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부(102)에 보호부를 결합하면 제1 단부(102)의 좁은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더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다.
제1열 가이드부재(100a1)와 제2열 가이드부재(100a2)는 제2 단부(104) 주변의 경사부(106)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연결부(110)를 더 포함한다. 고정 연결부(110)는 연결 고정부재(140)에 결합시 걸림 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연결 고정부재(14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강도 조절부재(300a)는 파워 가이드부(300a1), 파워 결합부(300a2)를 포함한다. 파워 가이드부(300a1)는 제1 가이드부재(100a)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만 파워 경사부를 형성한다. 파워 경사부의 경사도는 가이드부재에 형성되는 경사부(106)의 경사도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 가이드부재(100a)에 강도 조절부재(300a)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운동강도를 더 강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파워 결합부(300a2)는 파워 가이드부(300a1)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수직 보강 연결부(130, 134)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 헬스 머신(10)은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가압하며 이동하는 이동부재(200)와 강도 조절부재(300)의 강도 조절기능을 통해 무단변속의 연속적인 운동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멀티 헬스 머신(10)은 사용자의 힘과 운동자세의 변화만으로도 근력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운동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멀티 헬스 머신(10)으로 운동을 하면서 불필요한 강도조절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운동에 더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멀티 헬스 머신(10)은 연결 고정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고정부재(140)는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분리 결합되는 제1 고정 클램프(140a)와 제2 고정 클램프(14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고정 클램프(140a)와 제2 고정 클램프(140b)는 체결부(142)를 통해 결합된다. 제1 고정 클램프(140a)와 제2 고정 클램프(140b)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제1 단부(102) 또는 제2 단부(104)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삽입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 고정 클램프(140a)와 제2 고정 클램프(140b)에 각각 구비되는 삽입부는 가이드부재(100)의 순방향 결합과 역방향 결합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는 순방향 결합용 삽입부(148)와 역방향 결합용 삽입부(146)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제1 단부(102) 또는 제2 단부(104)가 제1 고정 클램프(140a)와 제2 고정 클램프(140b)의 삽입부로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제1 고정 클램프(140a)와 제2 고정 클램프(140b)를 체결부(142)로 고정 결합한다. 연결 고정부재(140)는 보강판(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연결 고정부재(140)를 통해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단품 또는 조립품의 다양한 형태로 운동기구를 재결합하여 사용자 맞춤형 운동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동부재(200a)는 경사부(106)를 가압하며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210)를 포함하여 제1 가이드부재(100a)에 결합된다.
제1 이동부재(200a)는 외력이 가해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력을 발생한다. 제1 이동부재(200a)는 제1 이동부재(200a)를 이동시키려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이동력을 발생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록 경사부(106)를 점점 세게 가압한다. 그리고 제1 이동부재(200a)에 가해지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한다.
제1 이동부재(200a)의 회전부(210)는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경사부(106)를 각각 가압한다.
회전부(210)는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210a)는 제1 경사부(106a)와 접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롤러(212)를 포함한다.
제2 회전부(210b)는 제1 회전부(210a)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2 경사부(106b)와 접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롤러(212)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롤러(21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롤러(212)는 축(214)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복수개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롤러(212)는 복수개가 개별로 구분되어 축(214)에 결합될 수도 있다. 가압롤러(212)의 내부에는 베어링(215)이 결합되어 축(214)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215)은 가압롤러(212)의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 이동부재(200a)는 회전부(210)가 축(214)결합되어 지지되는 프레임부(220)와 탄성부(226, 228)를 더 포함한다.
프레임부(220)는 제1 손잡이부(240a)와 제2 손잡이부(240b)를 포함하며,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의 움직임을 지지한다. 프레임부(220)의 양측에서 제1 손잡이부(240a)와 제2 손잡이부(240b)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2인 1조로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부 또는 연인들이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제1 손잡이부(240a)와 제2 손잡이부(240b)를 각각 잡은 상태에서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체조건이 서로 다른 사용자들도 보조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짝을 이루어 함께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헬스 머신(10)은 운동기구뿐만 아니라 병원 등의 재활환자를 위한 재활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부(220)는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을 따라 각각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222)와 제2 가이드부(224)를 더 포함한다.
한편,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의 열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각각 2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2열 구조를 지지하는 제1 연결부재(216)와 제2 연결부재(2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26, 228)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비례하여 경사부(106)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점점 더 커지게 한다. 그리고, 탄성부(226, 228)는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어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한다. 탄성부(226, 228)는 지지축(227)에 결합되어 제1 회전부(210a)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회전부(210b)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2 탄성부(228)를 포함한다.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는 경사부(106)를 회전 이동하는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의 간격에 따라 경사부(106)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한다. 탄성부(226, 228)는 금형 스프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200a)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를 각각 보호하는 보호커버(230)를 더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헬스 머신의 순방향 결합상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제2 단부(104)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연결 고정부재(140)로 결합된 상태이면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에서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는 경사도를 형성한다.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가 가이드부재(100)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팔을 이용하여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중심부로 이동부재(200)를 이동시키는 외력을 가하면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는 경사부(106)를 올라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는 가이드부재(100)의 중심부분을 향해 계속해서 경사부(106)를 올라가는 이동을 하기 때문에 가슴 모으기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호 대칭되는 경사부(106)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에는 경사부(106)에 대한 이동력이 상호 대칭적으로 균등하게 작용함으로 좌우 힘의 쏠림 현상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좌우 운동 밸런스를 보다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중심부분으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가 이동된 상태에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는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내려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경사부(106)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의 복원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가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내려가는 이동시 별도의 외력이 불필요하다. 또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복원력을 보다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서 가이드부재의 역방향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제1 단부(102)가 서로 마주보는 역방향 결합상태로 하여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분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는 경사도를 형성한다. 즉,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중심부분에서 양단으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를 이동하면 경사부(106)를 올라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의 역방향 결합상태에서 사용자가 운동을 하면 가슴이 펴지는 운동과 등 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헬스 머신(1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운동기구를 구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헬스 머신(10)은 도 1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방향 결합상태 또는 역방향 결합상태의 조립형으로 결합하여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멀티 헬스 머신(10)은 단품으로 분리되어 사용자 맞춤형 운동기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멀티 헬스 머신(10)이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단품으로 분리하여 여러 가지 근력 운동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헬스 머신의 단품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100)를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로 분리한 상태에서 제1 가이드부재(100a)에 제1 이동부재(200a)가 결합된 단품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 헬스 머신(10)은 제1 이동부재(200a)의 형상과 유사한 지지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00)는 제1 이동부재(200a)의 이동 및 가압과 관련된 별도의 기능적인 부분을 생략한 것이며, 손잡이 기능과 지지기능을 중심으로 설계 변경한 것이다. 지지부재(40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의 제2 단부(104)가 끼움 결합형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부로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재(100a)의 제2 단부(104)에 위치되는 수직 보강 연결부(134)에는 체결부가 결합되는 나사구멍(134a)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지지부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멀티 헬스 머신(10)은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 가 연결 고정부재(140)로 연결된 상태에서 카메라 삼각대(60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 헬스 머신(10)은 연결 고정부재(140)와 카메라 삼각대(600)를 서로 연결시키는 보조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500)의 하부(510)에는 카메라 삼각대(600)의 체결나사에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보조 지지부(500)의 상부(520)에는 4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보조 지지부(500)의 상부(520)에 형성되는 4개의 걸림돌기는 연결 고정부재(140)의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지지부(500)는 카메라 삼각대(6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 고정부재(140)에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으로 멀티 헬스 머신(10)을 지지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헬스 머신(10)은 회전이동이 가능한 가압부를 구비한 손잡이부로 경사진 레일을 가압하며 왕복 회전 이동하는 운동기구인데, 손잡이부의 왕복운동시 발생하는 가압부의 회전력을 이용한 자가 발전기능을 추가하여 멀티 헬스 머신(10)에 부가되는 기능의 전원으로 활용하는 자가발전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왕복 이동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기능, 타이머 기능, 카운트된 회수를 표시하는 표시기능, 램프기능(야광), 진동기능, 게임기능(온라인으로 연결되어 1:1 또는 팀 대결) 등의 부가기능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기본적인 왕복 운동기구 기능에 다른 분야의 부가기능을 적용하여 새로운 개념의 멀티 헬스 머신(10)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 가이드부재 100a ; 제1 가이드부재
100b ; 제2 가이드부재 106 ; 경사부
200 ; 이동부재 200a ; 제1 이동부재
200b ; 제2 이동부재 210 ; 회전부

Claims (9)

  1. 길이방향 양단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경사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부를 가압하며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경사부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경사부의 경사도 보다 더 큰 경사도를 갖는 파워 경사부를 형성하는 강도 조절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를 갖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양측이 결합되어 회전 지지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경사부를 각각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그리고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의 양측에서 간격을 갖고 상기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에 각각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이동부재의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이동력이 발생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경사부를 점점 강하게 가압하고, 상기 외력이 상기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멀티 헬스 머신.
  2.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대향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을 갖는 제1열 가이드부재와 제2열 가이드부재,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열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열 가이드부재를 일체로 고정하는 보강 연결부, 그리고
    일측이 개구된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높이방향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멀티 헬스 머신.
  3. 제2항에서,
    상기 강도 조절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만 상기 파워 경사부를 형성하는 파워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파워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어 상기 보강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파워 결합부를 포함하는 멀티 헬스 머신.
  4. 제2항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각각의 제2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는 순방향 결합 또는 상기 각각의 제1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는 역방향 결합으로 연결되는 멀티 헬스 머신.
  5. 제4항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연결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고정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서로 분리 결합되는 제1 고정 클램프와 제2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는 멀티 헬스 머신.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멀티 헬스 머신.
  9. 제4항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제2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갖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멀티 헬스 머신.
KR1020140167844A 2014-11-27 2014-11-27 멀티 헬스 머신 KR10162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844A KR101626221B1 (ko) 2014-11-27 2014-11-27 멀티 헬스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844A KR101626221B1 (ko) 2014-11-27 2014-11-27 멀티 헬스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221B1 true KR101626221B1 (ko) 2016-05-31
KR101626221B9 KR101626221B9 (ko) 2016-05-31

Family

ID=5609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844A KR101626221B1 (ko) 2014-11-27 2014-11-27 멀티 헬스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353B1 (ko) 2018-05-25 2019-04-01 엠비텍 주식회사 다목적 운동기구
WO2019182204A1 (ko) * 2018-03-22 2019-09-26 김정원 운동기구용 멀티그립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0214A (en) 1979-06-18 1982-07-20 Schuetzer Bjoern E Training apparatus for skaters
WO2009146353A2 (en) 2008-05-31 2009-12-03 Potok Paul S Exercise apparatus for performing an armless push-up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292937B1 (ko) 2013-02-15 2013-08-02 이영철 악력완력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0214A (en) 1979-06-18 1982-07-20 Schuetzer Bjoern E Training apparatus for skaters
WO2009146353A2 (en) 2008-05-31 2009-12-03 Potok Paul S Exercise apparatus for performing an armless push-up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292937B1 (ko) 2013-02-15 2013-08-02 이영철 악력완력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204A1 (ko) * 2018-03-22 2019-09-26 김정원 운동기구용 멀티그립조립체
KR101964353B1 (ko) 2018-05-25 2019-04-01 엠비텍 주식회사 다목적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221B9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864B2 (en) Arm exercising device
US8870723B2 (en) Variable resistance pulley for body-weight rotation exercise
US20070219074A1 (en) Wearable resistanc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110183819A1 (en) Body gym
US20170050078A1 (en) Weight stack pushup exercise device
US20100227744A1 (en) Asymmetric physical exercise system
KR20140060130A (ko) 악력완력기
KR20150117618A (ko) 벨트 당김 운동 장치
KR101626221B1 (ko) 멀티 헬스 머신
US20130040791A1 (en) Portable Personal Exercise System
US9968817B2 (en) Unibody fitness system
KR20140103073A (ko) 악력완력기
US11331536B1 (en) Isokinetic rotational testing, evaluation and training system
EP4245380A1 (en) Fitness device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EP3544696B1 (en) Exercise device
KR20170001582U (ko) 코어 근육 강화 및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장치
EP3162412B1 (en) Training module
KR101741375B1 (ko) 척추재활 및 복근 운동기구
KR101871053B1 (ko) 아령 기능을 구비하는 악력기
ES2628034B2 (es) Dispositivo magnético para el entrenamiento simultáneo de la fuerza de músculos agonistas y antagonistas
US20220161087A1 (en) Device for using dumb-bells
CN211025007U (zh) 一种健美操力量训练器
KR101791455B1 (ko) 진동 근막이완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2126893B1 (ko) 운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