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073A - 악력완력기 - Google Patents

악력완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073A
KR20140103073A KR1020140017218A KR20140017218A KR20140103073A KR 20140103073 A KR20140103073 A KR 20140103073A KR 1020140017218 A KR1020140017218 A KR 1020140017218A KR 20140017218 A KR20140017218 A KR 20140017218A KR 20140103073 A KR20140103073 A KR 20140103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force
pressing
mov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ublication of KR2014010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63B21/00043Exercising devices consisting of a pair of user interfaces connected by flexible elements, e.g. two handles connected by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63B23/1254Rotation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e.g. butterfly-type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여러 가지 운동기구를 하나의 운동기구로 안전하게 구현함으로써 운동기구의 휴대성과 경제성 및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악력완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력완력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피가압부를 갖는 가이드부재,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로 피가압부를 가압하며 이동하는 가압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 그리고 가이드부재의 단부측에 결합되어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이동부재는 가해지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운동력을 발생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록 피가압부를 점점 세게 가압하고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한다.

Description

악력완력기{GRIP EXPANDER}
본 발명은 다양한 운동기구를 하나의 운동기구로 구현할 수 있는 악력완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근육을 단련하기 위해 여러 가지 근력 운동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근력 운동기구들 가운데 휴대용 근력 운동기구의 예를 들면, 아령, 악력기, 완력기 및 케이블 크로스 오버(cable cross over) 등이 있다. 아령은 팔 근육을 단련하고, 악력기는 악력을 단련하며, 완력기와 케이블 크로스 오버는 가슴 근육을 단련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이유로 근력을 단련하려는 사용자들은 필요한 근력 운동기구들을 직접 구입하여 가정에서 사용하거나 다양한 운동기구들이 구비된 헬스클럽에서 운동을 하였다.
이와 같은 근력 운동기구의 예를 들면, 한국공개실용 제1992-0020968호(압축 및 이완겸용 완력기, 1992년12월18일 공개)에 기재되어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1992-0020968호의 압축 및 이완겸용 완력기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구비한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여러 가지 운동기구를 하나의 운동기구로 안전하게 구현함으로써 운동기구의 휴대성과 경제성 및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악력완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력완력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피가압부를 갖는 가이드부재,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로 피가압부를 가압하며 이동하는 가압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 그리고 가이드부재의 단부측에 결합되어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이동부재는 가해지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운동력을 발생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록 피가압부를 점점 세게 가압하고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한다.
가이드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 결합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호 호환되는 경사 레일로 형성하고, 제1 가이드부재는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1 단부와 길이방향 타단에서 제1 단부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고, 경사부는 제1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하부와 상부가 서로 대칭되는 하측 경사부와 상측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주변의 경사부에서 각각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의 연결된 상태를 일체로 유지하는 연결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연결 고정부재는 고정 연결부가 내부에 결합되고 체결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제1 고정 클램프와 제2 고정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는 각각 2개가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2열 구조로 형성되며,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고정홈들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인접된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들을 각각 연결하는 보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는 걸림턱과 장착 안내부를 포함하며 일측이 개구된 탄성체로 형성되어 보강 연결부에 결합되고, 걸림턱은 가이드부재의 높이방향 상하로 배치되는 가압부간의 간격보다 더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부재의 이탈을 제한하며, 장착 안내부는 걸림턱에 연장 형성되며 양방향으로 각각 신장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의 연결된 상태를 일체로 유지하는 연결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연결 고정부재는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의 연결부를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결합하는 제1 고정 클램프와 제2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고, 제1 고정 클램프와 제2 고정 클램프는 체결부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외력의 전달여부에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는 가이드부재의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경사부를 각각 가압하며, 가압부는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경사부에 각각 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부는 경사부와 접하는 중공형의 가압롤러, 가압롤러에 축결합되어 가압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는 축, 그리고 가압롤러의 내부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비례하여 경사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점점 더 커지게 하고,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어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탄성부는 지지축에 결합되어 제1 회전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1 탄성부와 제2 회전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악력완력기는 여러 가지 근력 운동기구인 아령, 악력기, 완력기 및 케이블 크로스 오버 등을 하나의 운동기구로 구현하여 보관 및 유지비용의 부담으로부터 보다 자유롭게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품 또는 조립품의 다양한 형태로 운동기구를 재결합하여 사용자 맞춤형 운동기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는 사용자 스스로의 힘과 운동자세의 조절만으로도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는 근력 운동의 강도를 점점 강하게 연속적으로 가변되도록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근력 운동기구에서 문제점으로 발생되던 운동 시작점의 과부하로 인한 부상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는 기존의 근력 운동기구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스프링과 고무밴드 및 케이블 등의 위험요소들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는 여러 가지 운동기구를 하나의 운동기구로 구현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므로 운동장소의 제약으로부터 보다 자유롭게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의 다양한 운동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서 가이드부재의 역방향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품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품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의 다양한 응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좌우대칭 또는 상하대칭의 결합관계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표현은 한 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는 가이드부재(100), 이동부재(20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 결합되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호 호환되는 경사 레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0a)는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1 단부(102), 길이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제2 단부(104), 및 제1 단부(102)와 제2 단부(104)를 일체로 연결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제1 이동부재(200a)의 가압부(210)와 접하는 경사부(106)를 포함한다. 경사부(106)는 제1 가이드부재(100a)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하부와 상부가 서로 대칭되는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재(100a)의 길이는 50cm 내지 80cm의 범위, 제2 단부(104)의 높이는 4cm 내지 6cm의 범위, 제1 단부(102)의 높이는 2cm 내지 3cm의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0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분리 결합구조로 설명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동부재(200)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가이드부재(100)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210)를 갖고 외력이 가해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운동력을 발생한다. 이동부재(200)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동부재(200)는 이동부재(200)를 이동시키려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운동력을 발생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록 경사부(106)를 점점 세게 가압하고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외력은 사용자의 악력과 완력을 포함하며, 이동부재(200)를 이동시키려는 이동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저항력은 이동부재(200)와 가이드부재(100)의 결합에 따른 이동력 및 가압력 전달시 발생하는 표면 마찰저항 및 이동부재(200)의 이동을 방해하는 힘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양단이 상호 분리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제2 단부(104) 주변의 경사부(106)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연결부(110)를 더 포함한다. 고정 연결부(11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의 제2 단부(104)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제2 단부(104)가 고정 클램프(140)에 서로 연결시 걸림면적이 증대되고, 걸림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서로 인접된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제1 단부(102) 주변의 경사부(106)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연결부(110a, 미도시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연결된 상태를 일체로 유지하는 연결 고정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고정부재는 고정 클램프, 벨크로, 탄성 밴드, 클립부재, 체결부재의 군에서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연결 고정부재(14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가 연결된 상태에서 일체로 고정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연결 고정부재(14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연결부를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결합하는 제1 고정 클램프(140a)와 제2 고정 클램프(140b)를 포함한다. 제1 고정 클램프(140a)와 제2 고정 클램프(140b)는 각각의 고정 연결부(100, 110a)가 내부에 결합되도록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체결부(142)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각각 2개가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2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2열 구조로 하면 1열 구조에 비해 흔들림이 적게 되고, 이동부재(200)들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2열 구조로 하면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강 연결부(130)와 체결부(134)를 포함한다.
보강 연결부(13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고정홈(132)들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인접된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들을 각각 연결한다. 보강 연결부(130)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성한다. 보강 연결부(13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형상 및 고정홈(132)들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134)는 보강 연결부(130)들을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들에 각각 일체로 연결하는 나사를 포함한다. 참조번호 (136)은 커버이다. 커버(136)에는 상표를 기재하여 제품 홍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3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상표명인 몬스터레일(MONSTER RAIL)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보강 연결부(130)에 결합되는 걸림부(120)를 더 포함한다. 걸림부(120)는 걸림턱(122)과 장착 안내부(124)를 포함하며 일측이 개구된 탄성체로 형성된다. 걸림턱(122)은 제1 가이드부재(100a) 또는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상하로 배치되는 가압부(210)간의 간격보다 더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부재(200)의 이탈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제1 가이드부재(100a) 또는 제2 가이드부재(100b)의 높이방향 상하로 배치되는 가압부(210)간의 간격은 제1 단부(102)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크고 제2 단부(104)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안내부(124)는 일단이 걸림턱(122)에 연장 형성되며 양방향으로 각각 신장되는 제1 장착부(124a)와 제2 장착부(124b)를 포함한다. 제1 장착부(124a)와 제2 장착부(124b)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서로 이격된다. 제1 장착부(124a)의 길이는 제2 장착부(124b)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제1 장착부(124a)와 제2 장착부(124b)의 타단은 서로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1 장착부(124a)와 제2 장착부(124b)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보강 연결부(130)들 가운데 제1 단부(102)측에 결합되는 보강 연결부(130a)에 개구부를 통해 장착된다. 제1 장착부(124a)에는 보강 연결부(130a)와의 결합된 상태를 더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걸림단턱(1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20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가이드부재(100)에 각각 결합되어 외력의 전달여부에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를 포함한다.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호 호환될 수 있다.
이동부재(200)의 가압부(210)는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경사부(106)를 각각 가압한다. 한 쌍의 가압부(210)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를 포함하고, 회전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회전한다.
가압부(210)는 하측 경사부(106a)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회전부(210a), 및 제1 회전부(210a)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측 경사부(106b)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회전부(210b)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가압롤러(212a)를 포함한다.
제1 이동부재(200a)는 가압부(210)가 축결합되어 지지되는 프레임부(220)를 더 포함한다. 제1 이동부재(200a)는 제2 이동부재(200b)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호 호환될 수 있으므로, 제2 이동부재(200b)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부(220)는 가압부(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며, 악력이 전달되는 제1 손잡이부(240a)와 제2 손잡이부(240b)를 포함한다.
프레임부(220)는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을 따라 각각 장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가이드홈(222)과 제2 가이드홈(224)이 상호 이격 배치된다.
제1 회전부(210a)는 하측 경사부(106a)와 접하는 중공형의 가압롤러(212a), 및 가압롤러(212a)에 축결합되어 가압롤러(212a)의 회전을 지지하며, 양단이 제1 가이드홈(222)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축(214a)을 포함한다. 가압롤러(212a)의 외경 내부에는 베어링(213)이 결합되어 축(214a)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213)은 가압롤러(212a)의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베어링(213)의 결합구조로 가압롤러(212a)의 회전 이동을 더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다.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호 호환될 수 있다.
가압롤러(212a)는 프레임부(220)에 연결되는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의 축에 동심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가압 접촉부들을 구비하며, 가이드부재(100)는 복수의 가압 접촉부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가압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00)의 피가압 접촉부들은 실질적으로 가압롤러에 각각 접촉하는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의 열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각각 2열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210)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비례하여 경사부(106)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점점 더 커지게 하고,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어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탄성부는 지지축(227)에 결합되어 제1 회전부(210a)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회전부(210b)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2 탄성부(228)를 포함한다.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는 경사부(106)를 회전 이동하는 회전부들의 간격에 따라 경사부(106)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조절되는 금형 스프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는 다양한 형태와 강도를 갖는 탄성체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악력완력기의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강도 조절부를 별도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가압부(210)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를 각각 보호하는 보호커버(230)를 더 포함한다. 보호커버(230)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의 움직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230)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가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압롤러(212a) 중심부가 오목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한 단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가압롤러(212a)의 오목한 곡률은 각각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의 볼록한 곡률과 같거나 더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롤러(212a)는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에 각각 접촉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더 작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가압롤러(212a)의 오목한 곡면 접촉부에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의 볼록한 곡면 접촉부가 안착되어 이동됨에 따라 가압롤러(212a)가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에 각각 밀착되어 이동하는 것을 더 확실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롤러(212a)의 재질은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의 재질에 비해 각각 상호 접촉되는 부분의 재질이 동일하거나 더 연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롤러(212a)는 내마모성을 갖는 재질 또는 강화 플라스틱(FRP ;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재질로 구현할 수 있다. 즉, 가압롤러(212a)는 접촉부가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내마모성 재질로 코팅 처리되어 회전마찰 효율과 슬라이딩 효율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가압롤러(212a)는 2개의 가압 접촉부가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가압 접촉부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곡률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경과 외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각각의 가압 접촉부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곡률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경 보다 외경이 더 크게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된 상태로 가이드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0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가 1조로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구조가 2열로 배치되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이동부재(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가압부(210)는 가이드부재(100)에 각각 접하여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각각 2개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2개의 가압롤러(212a)가 연결부를 통해 2개 1쌍의 수평배치 구조를 형성하며 일체로 회전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동부재(200)의 가압부(210)는 가이드부재(100)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가이드부재(100)를 상하좌우 4군데에서 가압하는 구조를 갖는다.
악력완력기(10)는 한 번의 완력이동으로 가압부(210)와 서로 대응하는 가이드부재(100)의 접촉면적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2열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00)와 이에 상하 방향 가압력을 발생하며 회전하는 가압부(210)들의 결합으로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가압부(210)가 가이드부재(100)에 각각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악력완력기(10)는 가압부(210)와 가이드부재(100)의 밀착 이동을 더 확실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동부재(200)는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를 포함한다. 이동부재(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가압부(210)들은 가이드부재(100)에 각각 접하여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2개의 가압롤러가 일체로 회전되는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부재(10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가 상호 결합되어 2개가 1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가 2열로 배치된다.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00)는 일단의 크기가 타단의 크기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00)는 제1 단부(102)보다 큰 제2 단부(104)가 서로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가이드부재(100)는 제1 단부(102)가 서로 대응하여 연결 고정부재를 매개체로 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먼저, 가이드부재(100)의 제2 단부(104)가 서로 결합된 상태이면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운데부분의 크기(높이)가 크고, 양단으로 갈수록 작은 크기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가슴을 모아주는 근력 운동시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중심부로 이동부재(200)를 이동하게 되면 경사진 부분을 올라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저항력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이동저항력은 사용자가 이동부재(200)를 잡는 악력과 유사하게 작용하며, 이동부재(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악력완력 운동에 필요한 힘이 더 필요함으로 악력완력 운동의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100)의 제2 단부(104)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부재(200)가 가이드부재(100)의 중심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올라가는 악력완력운동을 하게 되면 이동저항력이 점점 더 커지게 되므로 가슴을 모아주는 운동의 효과가 더 커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가 가이드부재(100)의 양측에서 서로 벌려진 초기상태에서 가이드부재(100)의 중심을 향해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가 각각 경사부(106)를 올라가는 경사 오름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호 대칭되는 경사부(106)에 회전 접촉한 상태로 오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에는 경사부(106)에 대한 이동저항력이 상호 대칭적으로 균등하게 작용함으로 좌우측 힘의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좌우측 운동 밸런스를 보다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 운동자라 하더라도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좌우측 운동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별도로 연습할 필요가 없으며, 좌우측 균형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며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경사진 가이드부재(100)가 아닌 평행한 파이프형상의 가이드 레일에 이동부재(200)를 장착해서 동일한 운동을 실시해본 결과 평행한 구조의 가이드 레일은 이동저항력의 차이가 없으므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좌우측 이동이 불균형한 상태로 발생하였다. 따라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좌우측 운동 밸런스를 유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중심으로 이동부재(200)가 이동된 상태에서 이동부재(2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이동부재(200)는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내려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가압부(210)를 구성하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의 복원력이 작용함으로써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가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내려가는 이동 움직임을 보다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가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내려가는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의 복원력이 작용함에 따라 큰 힘이 필요없다.
한편, 가이드부재(100)의 제1 단부(102)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하여 악력완력운동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운데부분의 크기가 작고, 양단으로 갈수록 큰 크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악력완력 운동시 가이드부재(100)의 양단부분으로 이동부재(200)를 이동하게 되면 경사진 부분을 올라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저항력이 생기게 된다. 즉, 가이드부재(100)의 제1 단부(10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악력완력운동을 하게 되면 가슴을 펴주는 운동(등운동)의 효과가 더 크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의 크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경사지는 구조는 가이드부재(100)가 복수개로 결합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일체형 구조에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는 조립형으로 형성되어 기본형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맞춤형 운동기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악력기와 완력기를 단품으로 이용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근력 운동기구로 구현할 수 있는 운동들을 하나의 운동기구로 응용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재를 역방향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이드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 한 개의 이동부재를 결합하여 단품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한 개의 이동부재 형상과 유사한 보조 손잡이부(200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손잡이부(200c)는 이동부재의 이동 및 가압과 관련된 별도의 기능적인 부분을 생략한 것이며, 손잡이 기능과 지지기능을 중심으로 설계 변경한 것이다. 보조 손잡이부(200c)는 가이드부재(100a)의 일측과 끼움 결합형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체결부(142)로 가이드부재(100a)와 일체로 결합된다. 보조 손잡이부(200c)는 사용자의 복부에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10)는 악력 및 완력 조절기능을 통해 무단변속의 연속적인 운동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악력완력기(10)는 별도의 조절기구 조작 없이 사용자 힘과 운동자세의 변화만으로도 근력 운동의 강약을 동시에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운동을 유지할 수 있으며, 운동을 하면서 불필요한 강도조절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운동에 더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240)가 양측에서 제1 손잡이부(240a)와 제2 손잡이부(240b)로 각각 형성됨에 따라 2인 1조로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부 또는 연인들이 이동부재(200)의 제1 손잡이부(240a)와 제2 손잡이부(240b)를 각각 잡은 상태에서 함께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운동력이 서로 다른 사용자들도 보조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짝을 이루어 함께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운동기구 뿐만 아니라 병원 등의 재활환자를 위한 재활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악력완력기(10)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사용자의 악력에 이은 완력으로 자신의 힘을 배합한 스피드를 적절히 조절하여 펌핑하는 다목적 전신운동기구이다. 악력완력기(10)는 악력과 완력을 조합하여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필요한 부위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원하는 부위의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10)는 이동이 편리한 휴대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운동기구를 구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악력완력기(10)는 휴대형 및 조립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시간, 장소, 공간 소음, 무게의 부담이 없어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운동이 가능함으로 다양한 운동기구를 구비한 효과가 있다. 악력완력기(10)는 전문적인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운전이나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직장인, 학생,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운동하기 힘든 사용자들에게도 필요한 다목적 운동기구이다. 또한 악력완력기(10)는 케이블(또는 와이어)을 별도의 크레들에 연결하거나, 분리형 바벨, 덤벨 및 케틀벨 결합부에 각각 결합하여 다양한 동작을 응용해서 원하는 운동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악력완력기(10)는 헬스장에서 가장 많이 하는 케이블 크로스 오버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크로스 오버를 이용한 가슴 운동은 남성들에게도 좋지만 여성들한테도 좋은 운동이다. 그러나 헬스장에서 여성이 케이블 크로스 오버로 가슴 운동을 하기엔 주위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케이블 크로스 오버를 이용한 가슴 운동은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많아서 순서를 기다려야 할 정도로 자리 나기가 힘들다. 이와는 달리 악력완력기(10)는 다른 사용자들의 눈치를 볼 필요 없이 어디서든 편하게 휴대하면서 케이블 크로스 오버 효과의 가슴 운동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동작들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완력기는 운동 시작점이 일괄적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완력기 자체의 형상제약으로 인해 사실상 좁게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는 운동 시작점을 사용자 스스로 조절하여 적당한 위치를 찾아 근력 운동을 보다 강하고 디테일하게 펌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팔을 전부 벌린 상태에서부터 가슴근육을 모아주기 때문에 동일한 운동시간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운동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10)는 단순히 드는 동작만 하는 운동보다는 악력을 가하면서 가이드부재(100)를 따라 회전부를 롤링시키고, 필요에 따라 케이블을 당기는 효과의 복합적인 재미가 더해져 보다 즐겁게 펌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10)는 자체 무게가 가벼워서 이동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손목에도 무리 없이 장시간 펌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운동기구들은 5kg~15kg 정도 되는 기구들을 사용자가 직접 들고 다니기도 힘들고 펌핑할 때도 손목에 무리가 많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손목보호대나 붕대, 아대 및 기타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지만 악력완력기(10)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는 회전이동이 가능한 가압부를 구비한 손잡이부로 경사진 레일을 가압하며 왕복 회전 이동하는 운동기구인데, 손잡이부의 왕복운동시 발생하는 가압부의 회전력을 이용한 자가 발전기능을 추가하여 악력완력기에 부가되는 기능의 전원으로 활용하는 자가발전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왕복 이동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기능, 타이머 기능, 카운트된 회수를 표시하는 표시기능, 램프기능(야광), 진동기능, 게임기능(온라인으로 연결되어 1:1 또는 팀 대결) 등의 부가기능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기본적인 왕복 운동기구 기능에 다른 분야의 부가기능을 적용하여 새로운 개념의 악력완력기로 개선시킬 수 있다.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 가이드부재 100a ; 제1 가이드부재
100b ; 제2 가이드부재 106 ; 경사부
200 ; 이동부재 200a ; 제1 이동부재
200b ; 제2 이동부재 210 ; 가압부

Claims (11)

  1. 길이방향을 따라 피가압부를 갖는 가이드부재,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로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며 이동하는 가압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단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가해지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운동력을 발생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록 상기 피가압부를 점점 세게 가압하고 상기 외력이 상기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악력완력기.
  2.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 결합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호 호환되는 경사 레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1 단부와 길이방향 타단에서 상기 제1 단부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하부와 상부가 서로 대칭되는 하측 경사부와 상측 경사부를 포함하는 악력완력기.
  3. 제2항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주변의 경사부에서 각각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악력완력기.
  4. 제3항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의 연결된 상태를 일체로 유지하는 연결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 연결부가 내부에 결합되고 체결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제1 고정 클램프와 제2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는 악력완력기.
  5. 제2항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각각 2개가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2열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고정홈들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인접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들을 각각 연결하는 보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악력완력기.
  6. 제5항에서,
    상기 걸림부는 걸림턱과 장착 안내부를 포함하며 일측이 개구된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높이방향 상하로 배치되는 가압부간의 간격보다 더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탈을 제한하며, 상기 장착 안내부는 상기 걸림턱에 연장 형성되며 양방향으로 각각 신장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악력완력기.
  7. 제2항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의 연결된 상태를 일체로 유지하는 연결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고정부재는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의 연결부를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결합하는 제1 고정 클램프와 제2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클램프와 제2 고정 클램프는 체결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악력완력기.
  8. 제2항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외력의 전달여부에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악력완력기.
  9. 제8항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경사부를 각각 가압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부에 각각 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악력완력기.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경사부와 접하는 중공형의 가압롤러,
    상기 가압롤러에 축결합되어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는 축, 그리고
    상기 가압롤러의 내부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악력완력기.
  11. 제9항에서,
    상기 가압부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비례하여 상기 경사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점점 더 커지게 하고,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어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지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회전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악력완력기.
KR1020140017218A 2013-02-15 2014-02-14 악력완력기 KR20140103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6572 2013-02-15
KR1020130016572 2013-02-15
KR1020130146660A KR20140103024A (ko) 2013-02-15 2013-11-28 악력완력기
KR1020130146660 2013-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073A true KR20140103073A (ko) 2014-08-25

Family

ID=492198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128A KR101292937B1 (ko) 2013-02-15 2013-04-29 악력완력기
KR1020130146660A KR20140103024A (ko) 2013-02-15 2013-11-28 악력완력기
KR1020140017218A KR20140103073A (ko) 2013-02-15 2014-02-14 악력완력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128A KR101292937B1 (ko) 2013-02-15 2013-04-29 악력완력기
KR1020130146660A KR20140103024A (ko) 2013-02-15 2013-11-28 악력완력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1292937B1 (ko)
CN (1) CN205198796U (ko)
WO (1) WO2014126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221B1 (ko) 2014-11-27 2016-05-31 이영철 멀티 헬스 머신
KR101964353B1 (ko) * 2018-05-25 2019-04-01 엠비텍 주식회사 다목적 운동기구
CN114225303B (zh) * 2021-12-30 2022-10-25 哈尔滨职业技术学院 一种上肢锻炼健身设备及使用方法
CN114849139B (zh) * 2022-06-15 2023-12-26 西安航空学院 一种体育专业用安全性能好的臂力训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725A (ja) 2003-10-02 2005-04-28 Fumio Suai トレーニング装置
US7695413B1 (en) * 2007-05-10 2010-04-13 Christian Cruz Pre-tensioned resistance exercise band
KR101076847B1 (ko) 2009-02-03 2011-10-25 김의근 전신운동기구
KR101239994B1 (ko) * 2011-06-10 2013-03-11 배수원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6316A1 (ko) 2014-08-21
KR101292937B1 (ko) 2013-08-02
CN205198796U (zh) 2016-05-04
KR20140103024A (ko) 201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4395A (en) Adjustable asymmetric-resistance upper body exerciser
US5005832A (en) Portable abdominal exerciser
US10737139B2 (en) Rotational and linear resistance force exercise apparatus
US7494450B2 (en) Variable unweighting and resistance training and stretching apparatus for use with a cardiovascular or other exercise device
US9114277B2 (en) Exercise brace
US9205295B2 (en) Exercise device
US9950211B2 (en) Weight stack pushup exercise device
KR20140060130A (ko) 악력완력기
US20190060700A1 (en) Multifunctional Therapeutic Workout Enhancement Brace
JP5939647B2 (ja) 特に腕の運動のための携帯型訓練装置
JP2009502262A (ja) 運動装置及び運動方法
US20170028245A1 (en) Resistance band having hand adapters and handles
US9468789B2 (en) Resistance band having hand adapters and handles
KR20150117618A (ko) 벨트 당김 운동 장치
KR20140103073A (ko) 악력완력기
US20200054917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with Wearable Anchor Arrangement
US3068003A (en) Exerciser
US9968817B2 (en) Unibody fitness system
CN109289154A (zh) 一种转盘式拉力健身器
US10625109B1 (en) Isotonic/isometric portable/wearable exerciser with movable/rotatable straps and exercise method
EP4245380A1 (en) Fitness device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101626221B1 (ko) 멀티 헬스 머신
WO2012071061A1 (en) Exercise apparatus
US6210303B1 (en) Golf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