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024A - 악력완력기 - Google Patents

악력완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024A
KR20140103024A KR1020130146660A KR20130146660A KR20140103024A KR 20140103024 A KR20140103024 A KR 20140103024A KR 1020130146660 A KR1020130146660 A KR 1020130146660A KR 20130146660 A KR20130146660 A KR 20130146660A KR 20140103024 A KR20140103024 A KR 20140103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force
pressing
guid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1020140017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3073A/ko
Publication of KR2014010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63B21/00043Exercising devices consisting of a pair of user interfaces connected by flexible elements, e.g. two handles connected by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63B23/1254Rotation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e.g. butterfly-type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운동시 운동 강도의 세기가 연속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별도의 운동 강도 조절기구 및 조절작업이 불필요하며, 운동기구 자체의 휴대성과 조립성 및 다양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근력운동을 용이하게 실시함으로써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악력완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력완력기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가이드부재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를 갖고 외력이 가해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운동력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악력완력기{GRIP EXPANDER}
본 발명은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악력완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과 팔의 근육을 단련하는 운동기구로 악력기와 완력기를 사용하였다. 악력기는 악력을 단련하는데 유용하고, 완력기는 제한된 방향으로 반복적인 왕복을 하여 팔의 근육을 단련하는 데는 유용하다. 이러한 이유로 근력을 단련하려는 사용자들은 여러 가지 운동기구를 직접 구입하거나 다양한 운동기구가 구비된 헬스클럽과 같은 곳에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악력기와 완력기에 관련된 운동기구의 예를 들면, 한국공개실용 제1992-0020968호(압축 및 이완겸용 완력기, 1992년12월18일 공개)에 기재되어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1992-0020968호의 압축 및 이완겸용 완력기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한쌍의 손잡이를 구비한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악력기와 완력기의 형상 및 사양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자유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양한 신체부위의 근육을 단련하기 위해서는 해당부위에 적절한 운동기구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부담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악력기와 완력기의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부가된 조절형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조절형 운동기구들은 별도의 기구적인 조절장치로 운동 강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운동 강도가 조절된다 하더라도 적절하지 못하게 조절된 운동 강도로 반복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 근육에 무리를 줄 수 있으며, 운동기구 자체의 제한된 운동효과를 개선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한 악력기와 완력기 이외에 아령, 덤벨 및 바벨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아령과 같은 중량물 운동기구들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무게의 중량물들을 구비해야 하는 점과 중량물의 무게에 대한 부담으로 보관 및 운반이 자유롭지 못하다. 이러한 중량물 운동기구들은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중량물의 사용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있다.
사용자가 운동시 운동 강도의 세기가 연속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별도의 운동 강도 조절기구 및 조절작업이 불필요하며, 운동기구 자체의 휴대성과 조립성 및 다양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근력운동을 용이하게 실시함으로써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악력완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력완력기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가이드부재,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가이드부재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 그리고 가이드부재의 단부측에 결합되어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이동부재는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려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운동력을 발생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한다.
이동부재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외력에 비례하여 가이드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점점 더 커지게 하고,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 결합되고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호 호환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는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1 단부; 길이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이동부재의 가압부와 접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경사 레일로 형성하며, 경사부는 제1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하부와 상부가 서로 대칭되는 하측 경사부와 상측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는 제1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걸림부는 제1 단부의 둘레보다 더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부재의 이탈을 제한하는 걸림턱, 및 걸림턱에 연장 형성되며 제1 단부의 둘레보다 더 작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부재가 제1 가이드부재에 결합시 장착방향을 안내하는 장착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양단이 상호 분리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연결 고정부재는 클립부재, 벨크로, 탄성 밴드, 고정블록, 체결부재의 군에서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는 제2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고정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고정 연결부는 제1 가이드부재의 제2 단부와 제2 가이드부재의 제2 단부가 서로 연결시 고정 연결부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서로 인접된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는 각각 2개가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2열 구조로 형성되며,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고정홈들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인접된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들을 각각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연결부, 및 보강 연결부들을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들에 각각 일체로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가이드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외력의 전달여부에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호 호환될 수 있다.
가압부는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경사부를 각각 가압하며, 한 쌍의 가압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를 포함하고, 회전부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는 하측 경사부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회전부, 및 제1 회전부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측 경사부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회전부를 포함하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는 회전부가 축결합되어 지지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프레임부는 회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가이드부들, 및 가이드부들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며, 악력이 전달되는 손잡이부들을 포함하며, 가이드부들은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을 따라 각각 장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가이드홈과 제2 가이드홈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제1 가이드부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을 따라 각각 장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가이드홈과 제2 가이드홈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회전부는 하측 경사부와 접하는 중공형의 제1 가압롤러, 및 제1 가압롤러에 축결합되어 제1 가압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며, 양단이 제1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제1 축을 포함하고, 제2 회전부는 상측 경사부와 접하는 중공형의 제2 가압롤러, 및 제2 가압롤러에 축결합되어 제2 가압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며, 제1 축과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양단이 제2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제2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롤러와 제2 가압롤러는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의 축에 동심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가압 접촉부들을 구비하며, 가이드부재는 복수의 가압 접촉부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가압 접촉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는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의 열로 구비되며, 제1 회전부들과 제2 회전부들을 각각 일체로 연결하는 판형상의 연결부들을 더 포함하고, 연결부들은 제1 회전부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길이방향 중심부에 힌지축이 형성되어 힌지 결합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회전부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길이방향 중심부에 힌지축이 형성되어 힌지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는 제1 연결부의 힌지축에 결합되는 연결돌기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이 원통형의 하우징형상을 갖는 제1 가압로드; 제2 연결부의 힌지축에 결합되는 연결돌기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이 원통형의 하우징형상을 갖는 제2 가압로드, 및 각각의 연결돌기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는 일단이 제1 가압로드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 가이드홈에 지지되는 제1 탄성부, 및 일단이 제2 가압로드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 가이드홈에 지지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고,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는 경사부를 회전 이동하는 회전부들의 간격에 따라 경사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가압부는 제1 가이드홈과 제2 가이드홈에 각각 결합되며,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가 제1 가이드홈과 제2 가이드홈에 각각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자석부재, 및 일부면이 개구된 반원통 형상으로 신장 형성되어 길이방향 양단부에 걸림구멍을 갖고 프레임부의 돌기부에 결합되며,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를 각각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롤러와 제2 가압롤러는 중심부가 오목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 경사부와 상측 경사부는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한 단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1 가압롤러와 제2 가압롤러의 오목한 곡률은 각각 하측 경사부와 상측 경사부의 볼록한 곡률과 같거나 더 크며, 제1 가압롤러와 제2 가압롤러의 재질은 하측 경사부와 상측 경사부의 재질에 비해 각각 상호 접촉되는 부분의 재질이 동일하거나 더 연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롤러와 제2 가압롤러는 각각 2개의 가압 접촉부가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가압 접촉부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곡률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경과 외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각각의 가압 접촉부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곡률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경 보다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제1 가압롤러와 제2 가압롤러의 외경 내부에는 베어링이 결합되어 제1 축과 제2 축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와 가이드부재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이동부재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악력완력기는 악력기와 완력기의 조립구조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운동기구를 조립할 수 있어 악력기와 완력기의 단품사용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복합구조로도 응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운동기구 제작이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는 별도의 운동 강도 조절기구가 불필요하며, 사용자 스스로의 힘만으로 악력 및 완력의 강도를 조절하여 악력과 완력의 강약 단계를 무단으로 연속 가변되도록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강도의 세기로 악력과 완력을 포함한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는 운동기구 자체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어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며,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므로 운동장소의 제약으로부터 보다 자유롭게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가이드부재의 역방향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품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좌우대칭 또는 상하대칭의 결합관계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표현은 한 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이동부재가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는 가이드부재(100), 이동부재(20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 결합되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호 호환되는 경사 레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동부재(200)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가이드부재(100)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210)를 갖고 외력이 가해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운동력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동부재(200)는 이동부재(200)를 이동시키려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운동력을 발생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외력은 악력과 완력은 물론 이동부재(200)를 이동시키려는 힘을 모두 포함하며, 이동저항력은 이동부재(200)와 가이드부재(100)의 표면 마찰저항 및 이동부재(200)의 이동을 방해하는 힘을 모두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부재(100a)는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1 단부(102); 길이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제2 단부(104), 및 제1 단부(102)와 제2 단부(104)를 일체로 연결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제1 이동부재(200a)의 가압부(210)와 접하는 경사부(106)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재(100a)는 길이 80cm, 제2 단부(104)의 높이 5cm, 제1 단부(102) 높이 2cm로 형성할 수 있다.
경사부(106)는 제1 가이드부재(100a)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하부와 상부가 서로 대칭되는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재(100a)는 제1 단부(102)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120)를 더 포함한다. 걸림부(120)는 걸림턱(124)과 장착 안내부(122)를 포함하며 삼각형상을 갖는다. 걸림턱(124)은 제1 단부(102)의 둘레보다 더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이동부재(200a)의 이탈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장착 안내부(122)는 걸림턱(124)에 연장 형성되며 제1 단부(102)의 둘레보다 더 작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이동부재(200a)가 제1 가이드부재(100a)에 결합시 장착방향을 안내한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양단이 상호 분리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 고정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고정부재(300)는 클립부재(140), 벨크로, 탄성 밴드, 고정블록, 체결부재의 군에서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클립부재(14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 인접된 보강 연결부(130)를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 클립 기능을 한다. 고정블록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가 각각 결합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제2 단부(104)에 연장 형성되는 고정 연결부(110)를 더 포함한다. 고정 연결부(11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의 제2 단부(104)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제2 단부(104)가 서로 연결시 고정 연결부(110)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서로 인접된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연결한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는 각각 2개가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2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2열 구조로 하면 1열 구조에 비해 흔들림이 적게 되고, 이동부재(200)들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2열 구조로 하면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강 연결부(130)와 체결부(134)를 포함한다.
보강 연결부(13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고정홈(132)들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인접된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들을 각각 연결한다. 보강 연결부(130)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성한다. 보강 연결부(13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형상 및 고정홈(132)들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134)는 보강 연결부(130)들을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들에 각각 일체로 연결하는 나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00)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분리 결합구조로 설명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이동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이동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부재(20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가이드부재(100)에 각각 결합되어 외력의 전달여부에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를 포함한다.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호 호환될 수 있다.
이동부재(200)의 가압부(210)는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경사부(106)를 각각 가압한다. 한 쌍의 가압부(210)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를 포함하고, 회전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회전한다.
가압부(210)는 하측 경사부(106a)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회전부(210a), 및 제1 회전부(210a)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측 경사부(106b)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회전부(210b)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한다.
제1 이동부재(200a)는 가압부(210)가 축결합되어 지지되는 프레임부(220)를 더 포함한다. 제1 이동부재(200a)는 제2 이동부재(200b)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호 호환될 수 있으므로, 제2 이동부재(200b)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부(220)는 가압부(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가이드부들(220a, 220b), 및 가이드부들(220a, 220b)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며, 악력이 전달되는 손잡이부들(240)을 포함한다.
가이드부들(220a, 220b)은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을 따라 각각 장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가이드홈(222)과 제2 가이드홈(224)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220a), 및 제1 가이드부(220a)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을 따라 각각 장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가이드홈(222)과 제2 가이드홈(224)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2 가이드부(220b)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220a)와 제2 가이드부(220b)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제1 회전부(210a)는 하측 경사부(106a)와 접하는 중공형의 제1 가압롤러(212a), 및 제1 가압롤러(212a)에 축결합되어 제1 가압롤러(212a)의 회전을 지지하며, 양단이 제1 가이드홈(222)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제1 축(214a)을 포함한다.
제2 회전부(210b)는 상측 경사부(106b)와 접하는 중공형의 제2 가압롤러(212b), 및 제2 가압롤러(212b)에 축결합되어 제2 가압롤러(212b)의 회전을 지지하며, 제1 축(214a)과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양단이 제2 가이드홈(224)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제2 축(214b)을 포함한다.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는 프레임부(220)에 연결되는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의 축에 동심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가압 접촉부(20)들을 구비하며, 가이드부재(100)는 복수의 가압 접촉부(20)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가압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00)의 피가압 접촉부들은 실질적으로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에 각각 접촉하는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의 열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회전부(210a)와 제2 회전부(2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각각 2열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1 회전부들과 제2 회전부들을 각각 일체로 연결하는 판형상의 연결부들을 더 포함한다. 연결부들은 제1 회전부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길이방향 중심부에 힌지축(217a)이 형성되어 힌지 결합되는 제1 연결부(225a), 및 제2 회전부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길이방향 중심부에 힌지축(217b)이 형성되어 힌지 결합되는 제2 연결부(225b)를 포함한다.
가압부(210)는 제1 연결부(225a)의 힌지축(217a)에 결합되는 연결돌기(215a)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이 원통형의 하우징형상을 갖는 제1 가압로드(218a); 제2 연결부(225b)의 힌지축(217b)에 결합되는 연결돌기(215b)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이 원통형의 하우징형상을 갖는 제2 가압로드(218b), 및 각각의 연결돌기(215a, 215b)에 결합되는 베어링(213)을 더 포함한다. 베어링(213)은 가압부(210)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베어링(213)의 결합구조로 제1 가압로드(218a)와 제2 가압로드(218b)의 이동을 더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다.
가압부(210)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비례하여 경사부(106)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점점 더 커지게 하고,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어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탄성부는 일단이 제1 가압로드(218a)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 가이드홈(222)에 지지되는 제1 탄성부(226), 및 일단이 제2 가압로드(218b)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 가이드홈(224)에 지지되는 제2 탄성부(228)를 포함한다.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는 경사부(106)를 회전 이동하는 회전부들의 간격에 따라 경사부(106)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조절되는 금형 스프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는 다양한 형태와 강도를 갖는 탄성체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악력완력기의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강도 조절부를 별도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가압부(210)는 제1 가이드홈(222)과 제2 가이드홈(224)에 각각 결합되며,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가 제1 가이드홈(222)과 제2 가이드홈(224)에 각각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자석부재(223), 및 일부면이 개구된 반원통 형상으로 신장 형성되어 길이방향 양단부에 걸림구멍(232)을 갖고 프레임부(220)의 돌기부(242)에 결합되며,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를 각각 보호하는 보호커버(230)를 더 포함한다. 자석부재(223)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가 제1 가이드홈(222)과 제2 가이드홈(224)에 각각 결합시 정확하게 제 위치로 장착되도록 안내한다. 보호커버(230)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의 움직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230)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가 제1 가이드홈(222)과 제2 가이드홈(224)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는 중심부가 오목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한 단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의 오목한 곡률은 각각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의 볼록한 곡률과 같거나 더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는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에 각각 접촉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더 작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의 오목한 곡면 접촉부에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의 볼록한 곡면 접촉부가 안착되어 이동됨에 따라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가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에 각각 밀착되어 이동하는 것을 더 확실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의 재질은 하측 경사부(106a)와 상측 경사부(106b)의 재질에 비해 각각 상호 접촉되는 부분의 재질이 동일하거나 더 연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는 내마모성을 갖는 재질 또는 강화 플라스틱(FRP ;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재질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는 접촉부가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내마모성 재질로 코팅 처리되어 회전마찰 효율과 슬라이딩 효율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는 각각 2개의 가압 접촉부(20)가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가압 접촉부(20)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곡률의 중심(22)을 기준으로 내경(24)과 외경(26)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각각의 가압 접촉부(20)들은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곡률의 중심(22)을 기준으로 내경(24) 보다 외경(26)이 더 크게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된 상태로 가이드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의 외경(26) 내부에는 베어링(250)이 결합되어 제1 축(214a)과 제2 축(214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250)은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의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베어링(250)의 결합구조로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의 회전 이동을 더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는 서로 대향되는 배치 구조에 따라 가이드부재(100)를 가압하는 가압공간을 형성한다.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의 간격은 내측 간격(d3)보다 외측 간격(d2)이 더 작게 형성된다. 내측 간격(d3)은 외측 간격(d2)보다 d1의 2배 만큼 더 크다. 따라서, 이동부재(200)가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 제1 가압롤러(212a)와 제2 가압롤러(212b)의 외측방향에서 내측 중심방향으로 힘을 더 전달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0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가 1조로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구조가 2열로 배치되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이동부재(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가압부(210)는 가이드부재(100)에 각각 접하여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각각 2개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2개의 가압롤러가 연결부를 통해 2개 1쌍의 수평배치 구조를 형성하며 일체로 회전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동부재(200)의 가압부(210)는 가이드부재(100)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어 가이드부재(100)를 상하좌우 4군데에서 가압하는 구조를 갖는다.
악력완력기(10)는 한 번의 완력이동으로 가압부(210)와 서로 대응하는 가이드부재(100)의 접촉면적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2열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00)와 이에 상하 방향 가압력을 발생하며 회전하는 가압부(210)들의 결합으로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가압부(210)가 가이드부재(100)에 각각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악력완력기(10)는 가압부(210)와 가이드부재(100)의 밀착 이동을 더 확실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의 운동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의 다른 운동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부재(200)는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를 포함한다. 이동부재(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가압부(210)들은 가이드부재(100)에 각각 접하여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2개의 가압롤러가 일체로 회전되는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부재(10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가 상호 결합되어 2개가 1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가 2열로 배치된다.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00)는 일단의 크기가 타단의 크기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00)는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부(102)보다 큰 제2 단부(104)가 서로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는 제1 단부(102)가 서로 대응하여 연결 고정부재(300)를 매개체로 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의 제2 단부(104)가 서로 결합된 상태이면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운데부분의 크기(높이)가 크고, 양단으로 갈수록 작은 크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악력완력 운동시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중심부로 이동부재(200)를 이동하게 되면 경사진 부분을 올라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저항력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이동저항력은 사용자가 이동부재(200)를 쥐는 악력과 유사하게 작용하며, 이동부재(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악력완력 운동에 필요한 힘이 더 필요하므로 악력완력 운동의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100)의 제2 단부(104)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부재(200)가 가이드부재(100)의 중심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올라가는 악력완력운동을 하게 되면 이동저항력이 점점 더 커지게 되므로 가슴을 모아주는 운동의 효과가 더 커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가 가이드부재(100)의 양측에서 서로 벌려진 초기상태에서 가이드부재(100)의 중심을 향해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가 각각 경사부(106)를 올라가는 경사 오름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호 대칭되는 경사부(106)에 회전 접촉한 상태로 오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에는 경사부(106)에 대한 이동저항력이 상호 대칭적으로 균등하게 작용하므로 좌우측 힘의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좌우측 운동 밸런스를 보다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 운동자라 하더라도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좌우측 운동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별도로 연습할 필요가 없으며, 좌우측 균형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며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경사진 가이드부재(100)가 아닌 평행한 파이프형상의 가이드 레일에 이동부재(200)를 장착해서 동일한 운동을 실시해본 결과 평행한 구조의 가이드 레일은 이동저항력의 차이가 없으므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좌우측 이동이 불균형한 상태로 발생하였다. 따라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좌우측 운동 밸런스를 유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전수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중심으로 이동부재(200)가 이동된 상태에서 이동부재(2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이동부재(2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내려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가압부(210)를 구성하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의 복원력이 작용함으로써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가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내려가는 이동 움직임을 보다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가 가이드부재(100)의 경사부(106)를 내려가는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제1 탄성부(226)와 제2 탄성부(228)의 복원력이 작용함에 따라 큰 힘이 필요 없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제2 단부(104)에는 걸림돌기(104a)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04a)는 제1 가이드부재(100a)와 제2 가이드부재(100b)의 제2 단부(104)에서 각각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이동부재(200a)와 제2 이동부재(200b)의 이탈을 제한한다.
한편,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의 제1 단부(102)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하여 악력완력운동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운데부분의 크기가 작고, 양단으로 갈수록 큰 크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악력완력 운동시 가이드부재(100)의 양단부분으로 이동부재(200)를 이동하게 되면 경사진 부분을 올라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저항력이 생기게 된다. 즉, 가이드부재(100)의 제1 단부(10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악력완력운동을 하게 되면 가슴을 펴주는 운동(등운동)의 효과가 더 크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0)의 크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경사지는 구조는 가이드부재(100)가 복수개로 결합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일체형 구조에서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a)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a)는 가이드부재(1100)가 경사지지 않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부 구성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와 공유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재(1100)가 수평한 상태이므로 경사진 형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압 운동력과 복원력이 약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장력부재(130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다소 상이한 차이점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는 이동부재(1200)와 가이드부재(110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이동부재(1200)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부재(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부재(1300)는 탄성 밴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1100)와 이동부재(1200)를 상호 연결하여 이동부재(1200)의 이동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장력부재(1300)는 탄성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력부재(1300)는 태엽스프링에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감기고 풀리는 구성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장력부재(1300)의 안전한 연결을 위해 제1 가이드부재(1100a)와 제2 가이드부재(1100b)의 양단에 각각 장력 연결부(1400)를 결합한다. 장력 연결부(1400)는 양측으로 고정구멍(1420)을 갖는다. 장력 연결부(1400)를 제1 가이드부재(1100a)와 제2 가이드부재(1100b)의 양단에 각각 고정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체결 고정부(14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10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이동부재(1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150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는 조립형으로 형성되어 기본형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맞춤형 운동기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기존의 악력기는 손잡이부에 직접 악력을 발생하는 탄성부가 장착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손잡이부(240)와 이격된 부분에 탄성부가 구비되고 간접적으로 악력을 발생하는 구조적인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200)는 탄성부의 가압력을 극복할 수 있는 악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악력기와 완력기를 단품으로 이용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악력기와 완력기가 서로 융합된 복합구조의 운동기구로도 응용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를 역방향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 한 개의 이동부재를 결합하여 단품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한 개의 이동부재에 해당되는 보조 손잡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손잡이부는 사용자의 복부에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10)는 악력 및 완력 조절기능을 통해 무단변속의 연속적인 운동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악력완력기(10)는 별도의 조절기구 조작 없이 사용자 힘만으로 악력과 완력의 강약을 동시에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운동을 유지할 수 있으며, 운동을 하면서 불필요한 강도조절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운동에 더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240)가 양측에서 제1 손잡이부(240a)와 제2 손잡이부(240b)로 각각 형성됨에 따라 2인 1조로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부 또는 연인들이 이동부재(200)의 제1 손잡이부(240a)와 제2 손잡이부(240b)를 각각 잡은 상태에서 함께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운동력이 서로 다른 사용자들도 보조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짝을 이루어 함께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운동기구 뿐만 아니라 병원 등의 재활환자를 위한 재활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악력완력기(10)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사용자의 악력에 이은 완력으로 자신의 힘을 배합한 스피드를 적절히 조절하여 펌핑하는 다목적 전신운동기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를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a)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악력완력기(10)는 악력과 완력을 조합하여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필요한 부위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원하는 부위의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10)는 이동이 편리한 휴대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운동기구를 구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악력완력기(10)는 휴대형 및 조립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시간, 장소, 공간 소음, 무게의 부담이 없어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운동기구를 구비한 효과가 있다. 악력완력기(10)는 전문적인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운전이나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직장인, 학생,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운동하기 힘든 사용자들에게도 필요한 다목적 운동기구이다. 또한 악력완력기(10)는 케이블(또는 와이어)을 별도의 크레들에 연결하거나, 분리형 바벨, 덤벨 및 케틀벨 결합부에 각각 결합하여 다양한 동작을 응용해서 원하는 운동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악력완력기(10)는 헬스장에서 가장 많이 하는 케이블 크로스오버 가슴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이 운동은 남성들에게도 좋지만 여성들한테 더 좋은 운동이다. 하지만 헬스장에서 여성이 케이블 크로스오버 가슴운동을 하기엔 주위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케이블 크로스오버 가슴운동은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많아서 순서를 기다려야 할 정도로 자리 나기가 힘들다. 하지만 악력완력기(10)는 눈치 볼 필요 없이 어디서든 편하게 휴대하면서 케이블 크로스오버 운동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동작들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완력기는 운동 시작 포인트가 일괄적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완력기 자체의 형상제약으로 인해 사실상 좁게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력완력기(10)는 운동 시작 포인트를 사용자 스스로 조절하여 적당한 포인트를 찾아 완력 운동을 보다 강하고 디테일하게 펌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팔을 전부 벌린 상태에서부터 가슴근육을 모아주기 때문에 동일한 운동시간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운동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10)는 단순히 드는 동작만 하는 운동보다는 악력을 가하면서 가이드부재(100)를 따라 회전부를 롤링시키고, 필요에 따라 케이블을 당기는 복합적인 재미가 더해져 보다 즐겁게 펌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악력완력기(10)는 자체 무게가 가벼워서 이동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손목에도 무리 없이 장시간 펌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운동기구들은 5kg~15kg 정도 되는 기구들을 사용자가 직접 들고 다니기도 힘들고 펌핑할 때도 손목에 무리가 많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손목보호대나 붕대, 아대 및 기타 보호장구를 착용해야하는 불편함도 있지만 악력완력기(10)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부재(200)는 가이드부재(100)를 가압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부가 회전(롤링 ; rolling)되며 이동하거나 슬라이딩(sliding)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동부재(200)와 가이드부재(100)의 이동 결합구조를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동부재(200)와 가이드부재(100)는 기어 연결구조(미도시함)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동부재(200)와 가이드부재(100)는 래크와 피니언 결합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동부재(200)의 회전부에 피니언 기어의 치형을 형성하고, 가이드부재(100)에는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래크 기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부재(200)와 가이드부재(100)를 기어 연결구조로 구현함에 따라 이동부재(200)의 급격한 슬라이딩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마찰현상을 감소하여 이동부재(200)와 가이드부재(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부와 가이드부재(100)는 각각의 접촉부가 상호 접촉되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이드부재(100)의 접촉부 단면형상으로 볼록한 곡면을 설명하였지만, 가이드부재(100)의 접촉부 단면형상은 사각형구조를 포함한 다각형 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00)의 접촉부 단면형상은 H빔(또는 I빔) 구조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부의 접촉부 형상도 가이드부재(100)의 접촉부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00)의 접촉부 단면 형상이 H빔 및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회전부의 접촉부는 적어도 가이드부재(100)의 접촉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가이드부재(100)의 접촉부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00)는 필요에 따라 이동부재(200)의 크기에 대응하는 짧은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부재(200)는 가이드부재(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악력기로 사용할 수 있다.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 가이드부재 100a ; 제1 가이드부재
100b ; 제2 가이드부재 106 ; 경사부
200 ; 이동부재 200a ; 제1 이동부재
200b ; 제2 이동부재 210 ; 가압부

Claims (1)

  1.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가압력을 전달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단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동부재의 가압부와 접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가해지는 외력이 이동저항력보다 크면 운동력을 발생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외력이 상기 이동저항력보다 작으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악력완력기.
KR1020130146660A 2013-02-15 2013-11-28 악력완력기 KR20140103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18A KR20140103073A (ko) 2013-02-15 2014-02-14 악력완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6572 2013-02-15
KR1020130016572 2013-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024A true KR20140103024A (ko) 2014-08-25

Family

ID=492198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128A KR101292937B1 (ko) 2013-02-15 2013-04-29 악력완력기
KR1020130146660A KR20140103024A (ko) 2013-02-15 2013-11-28 악력완력기
KR1020140017218A KR20140103073A (ko) 2013-02-15 2014-02-14 악력완력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128A KR101292937B1 (ko) 2013-02-15 2013-04-29 악력완력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218A KR20140103073A (ko) 2013-02-15 2014-02-14 악력완력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1292937B1 (ko)
CN (1) CN205198796U (ko)
WO (1) WO2014126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221B1 (ko) 2014-11-27 2016-05-31 이영철 멀티 헬스 머신
KR101964353B1 (ko) * 2018-05-25 2019-04-01 엠비텍 주식회사 다목적 운동기구
CN114225303B (zh) * 2021-12-30 2022-10-25 哈尔滨职业技术学院 一种上肢锻炼健身设备及使用方法
CN114849139B (zh) * 2022-06-15 2023-12-26 西安航空学院 一种体育专业用安全性能好的臂力训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725A (ja) 2003-10-02 2005-04-28 Fumio Suai トレーニング装置
US7695413B1 (en) * 2007-05-10 2010-04-13 Christian Cruz Pre-tensioned resistance exercise band
KR101076847B1 (ko) 2009-02-03 2011-10-25 김의근 전신운동기구
KR101239994B1 (ko) * 2011-06-10 2013-03-11 배수원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6316A1 (ko) 2014-08-21
KR20140103073A (ko) 2014-08-25
CN205198796U (zh) 2016-05-04
KR101292937B1 (ko) 201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4395A (en) Adjustable asymmetric-resistance upper body exerciser
KR20140060130A (ko) 악력완력기
US758526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6280365B1 (en) Adjustable asymmetric-resistance upper body exerciser
JP5995878B2 (ja) 改良型エクササイズ装置
US5653664A (en) Variable weight exercise stick
US9259612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US20140179498A1 (en) Abdominal track exercise device
US9278247B2 (en) Ergonomic pull handle and associated exercise methods
US7887463B2 (en) Apparatus for multiaxial independent leg exercise against separately and conveniently adjustable resistances
KR101292937B1 (ko) 악력완력기
CA2917533C (en) Training device
US20100227744A1 (en) Asymmetric physical exercise system
AU2009320359A1 (en) Ergonomic pull handle and associated exercise methods
US20170157457A1 (en) Exercise device with dual-axis rotation and method of use
US20160151657A1 (en) Dynamic weight training apparatus
US5529552A (en) Exercise machine for training both muscle strength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US20130040791A1 (en) Portable Personal Exercise System
US20220265010A1 (en) Mobility assist device including exercising component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NO146264B (no) Gymnastikk/mosjonsutstyr.
KR101626221B1 (ko) 멀티 헬스 머신
US20210260436A1 (en) Glide handle training device
KR101396084B1 (ko) 악력완력기
KR101476989B1 (ko) 하체운동기구
US8083656B2 (en)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with adjustable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