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353B1 - 다목적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353B1
KR101964353B1 KR1020180059347A KR20180059347A KR101964353B1 KR 101964353 B1 KR101964353 B1 KR 101964353B1 KR 1020180059347 A KR1020180059347 A KR 1020180059347A KR 20180059347 A KR20180059347 A KR 20180059347A KR 101964353 B1 KR101964353 B1 KR 101964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elastic member
engaging
exercis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우
Original Assignee
엠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여 좌우, 우좌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움직임을 통하여 허리 위쪽의 상체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부에 상하좌우로 유연하게 휘어지는 탄성부재(200); 및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측에 결합되는 파지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되, 일측이 개방되는 장공(111)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110)와, 상기 가이드 부재(110) 내측에 스프링(150)이 내재되고, 그 외측에는 그립(140)이 구비되어, 상기 그립(140)을 파지한 상태에서 탄성부재(200) 측으로 좌우로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부재(200)를 하부로 가압하여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운동기구{Multipurpose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형태의 운동기구를 이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여 좌우, 우좌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움직임을 통하여 팔근육 뿐 아니라 등근육 및 활배근의 운동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앉은 자세에서 컴퓨터 자판을 오래 다루며, 동일한 근육을 반복해서 사용하는 일의 특성상 상체를 이루는 목, 어깨, 손목, 팔의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증상은 처음에는 어깨만 아프다가 점점 통증이 심해지면서 손목까지 아프게 된다.
이를 방치할 경우에 어깨 결림, 두통, 피로감이 지속 되어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이러한 증상을 없애기 위해서는 어깨가 아픈 동안은 팔을 사용하지 말고 안정을 취해야 하며, 지속적인 치료를 요하게 된다.
그러나 바쁜 일정과 일상에 의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거나 운동을 통하여 필요한 근력을 강화시키면서 통증이 있는 부위의 경직상태를 풀어주기 위한 운동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상체의 이상을 완화시키거나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한 목적 또는 상체의 몸매를 아름답고 건강하게 돋보이기 위해서 상체 운동기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6221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8706호
상기 특허문헌 1은 여러 운동기구의 효과를 하나의 운동기구로 안전하게 구현함으로써 운동기구의 휴대성과 경제성 및 다양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멀티 헬스 머신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멀티 헬스 머신은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들며, 특히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파지가 힘들고 이 때문에 삼각대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 번의 운동을 위해서는 운동자가 준비해야 되는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며, 운동을 마친 이후에도 보관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의 상체 운동기구는, 본체부에 대하여 유동고정부가 출입하도록 함으로서 회전운동에 의한 상체 근육의 비틀림과, 직선운동에 의한 상체 근육의 유산소운동을 유발시켜 상체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는 형태의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의 운동기구는 단순히 팔을 이용하여 일방향으로만 힘을 주어 운동을 할 수 밖에 없으며, 중간부가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부로 휘면서 운동은 할 수 있지만 효과적인 운동이 되기는 다소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여 좌우, 우좌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움직임을 통하여 허리 위쪽의 상체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파지부의 그립을 양손으로 파지하여 좌우 방향으로 운동하다가 우좌 방향으로 운동할 시 파지부를 분리하여 180도 회전하여 결합한 뒤 우좌로 운동할 수 있어 간편하게 운동방향을 바꿀 수 있는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부에 상하좌우로 유연하게 휘어지는 탄성부재(200); 및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측에 결합되는 2개의 파지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단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100)의 양단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20)에서 분리하여 180도 회전하여 상기 결합부재(220)에 반대방향으로 결합하여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파지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되, 일측이 개방되는 장공(111)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110), 상기 가이드 부재(110)의 양단에 결합하며 표면에 제2결합부로서의 너트(121)가 형성된 마감부재(120), 상기 가이드 부재(110) 내측에 삽입되는 스프링(150), 상기 가이드 부재(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150)의 일단부에 접하는 이동부재(130), 및 상기 이동부재(130)와 결합하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그립(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단에는 제1결합부로서의 볼트(221)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200)의 내측에는 강선(210)이 내재되되, 상기 강선(210)은 제1결합부의 이면부와 서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그립(140)과 상기 상기 마감부재(120)는 결합볼트(141)에 의해 결합하되, 상기 결합볼트(141)는 장공(111)을 관통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에 의하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중량체와 반동을 이용하여 운동 과정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하여 상체의 근력을 강화하면서 유산소운동이 병행되도록 함으로서 상체의 지방을 연소시켜 탄력 있는 몸매를 만들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용자들이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고서도 짧은 시간 내에 운동량을 극대화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으면서 가족이나 친구 또는 동료들과 놀이를 통하여 즐기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팔근육 뿐 아니라, 등근육 및 활배근의 균형있는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효과를 하나의 운동기구로 구현할 수 있어 운동기구의 구입비용과 보관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품 또는 조립품의 다양한 형태로 운동기구를 재결합하여 사용자 맞춤형 운동기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는 크게 중앙부에 상하좌우로 유연하게 휘어지는 바(bar) 형상의 탄성부재(200)와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측에 결합되는 2개의 파지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200)의 양단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파지부(100)의 양단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20)에서 분리하여 180도 회전하여 상기 결합부재(220)에 반대방향으로 결합하여 운동할 수 있다.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공지된 다양한 결합 분리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볼트, 너트 구조를 사용한다. 이하에서의 설명은 볼트, 너트 구조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먼저, 파지부(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파지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되, 일측이 개방되는 장공(111)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110)는 그 양측단부에 결합되며, 표면에 너트(121)가 함몰형성되어 상기 볼트(221)에 결합되는 마감부재(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110)와 마감부재(120)는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부재(110) 내측에 스프링(150)이 내재(도 3의 일점쇄선 참조)되고, 그 외측에는 그립(14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140)을 파지한 상태에서 탄성부재(200) 측으로 좌우로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부재(200)를 하부로 가압하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부재(110)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스프링(150)의 일단부와 접하도록 구성되고, 그 외측에 그립(140)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그립(140)을 파지한 상태에서 가압하면 상기 장공(11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부재(13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그립(140)과 이동부재(130)는 결합볼트(141)가 그립(140)을 관통하여 이동부재(130)에 결합된다(도 3의 이점쇄선 참조). 따라서 그립(140)이 움직이게 되면 이동부재(130)도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한 마감부재(120)의 일부분은 그립(14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마감부재(120)가 가이드 부재(110)와 결합되는 부분을 숨기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지부(100)는 상기 결합부재(220)에서 분리하여 180도 회전하여 상기 결합부재(22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00)는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측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볼트(221)가 돌출형성되는 결합부재(22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운동자의 운동 의도에 따라 적절히 파지부(100)를 180도 돌려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탄성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200)의 내측에는 강선(210)이 내재되되, 상기 강선(210)은 결합부재(220)의 볼트(221) 이면부와 서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즉, 강선(210)은 탄성부재(200)가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강선(210)을 탄성부재(200)에 내재시키는 것은 강선(210)에 의해 탄성부재(200)가 무한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선(210)에서 탄성력이 있어 사용자가 하부로 가압할 때 보다 운동 효과를 높이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탄성부재(200)가 굵은 와이어로 형성되는 스프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내측에 강선(210)이 없어도 된다. 이는 상기한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200)의 탄성력만으로도 탄성부재(200)가 무한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제1 변형예 외에 제2 및 제3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는 상기한 실시예와 모든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다만, 그립(140)을 가이드 부재(110)의 중간부에 위치시킨 뒤 상기 그립(140)의 양측에 스프링(150)을 가이드 부재(110)의 내측에 삽입하여 운동자가 그립을 파지한 채 양측으로 힘을 주어 그립(140)을 이동시킴으로서 상체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는 상기한 실시예와 모든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다만, 상기 너트(121)에는 연결봉(310)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봉(310)에 웨이트(300)를 삽입한 뒤 웨이트 고정구(311)를 통해 상기 웨이트(300)가 연결봉(31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결합한다. 이를 위해 연결봉(310)의 일단부에는 볼트(미도시)가 돌출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그립(140)을 파지한 채 팔을 굽혔다 폈다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덤벨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등 뒤로 거치시킨 뒤 스쿼트 운동도 가능하여 상, 하체 운동 모두가 가능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다목적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운동자는 파지부(100)의 그립(140) 위치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부재(220)에 결합하고 그립(140)을 파지한 채 탄성부(200) 측 즉, 신체의 안쪽으로 가압하여 운동을 하게 된다.
반대로 파지부(100)의 그립(140) 위치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00) 측에 위치하도록 180도 회전시켜 결합부재(220)에 결합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40)을 파지한 채 가장자리 쪽 즉, 바깥방향으로 가압하여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두 가지 운동방법에서 가이드 부재(110)의 내측에는 스프링(150)이 내재되어 운동자가 가압을 하고 나면 탄성력에 의해 그립(140)은 원위치로 복원되므로 그립(140)을 파지한 상태에서 안쪽으로 모으도록 운동을 하거나 바깥쪽으로 밀도록 하여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00)의 그립(140) 위치를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부재(220)에 결합한 뒤 하부로 가압하여 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에서는 파지부(100)를 하부로 가압하여 탄성부재(200)를 V자 형으로 휘어지게 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대로 상부로 가압하면서 운동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복합적인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립(140)을 파지하여 V자 형태로 하부로 가압하는 동시에 그립(140)을 이용하여 도 9 및 도 10과 같이 이동시킴으로서 복합적인 운동효과를 낼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신체의 다양한 부분을 단련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도 7의 제3 변형예와 달리 가이드 부재(110)를 중량물로 구성하여 덤벨 또는 스쿼트 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를 통하여 상체 근육운동 외에 하체 근육운동까지도 가능하고, 이를 통해 하나의 운동기구를 통해 신체 전반적인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중앙부에 상하좌우로 우연하게 휘어지는 탄성부재(200) 및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측에 결합되는 2개의 파지부(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단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100)의 양단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2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재(200)는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20), 상기 결합부재(220)의 양단에 상기 제1결합부로서 돌출 형성되는 볼트(221),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재(220)의 볼트(221)의 이면부와 서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강선(210)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되, 일측이 개방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110), 상기 가이드 부재(110)의 양단 표면에 제2결합부로서의 너트(121)가 동일하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볼트(221)에 결합되는 마감부재(120), 상기 가이드 부재(110)의 내측에 삽입되는 스프링(150), 상기 가이드 부재(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150)의 일단부에 접하고 그립(140)을 잡고 파지하면 상기 장공(11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부재(130), 및 상기 이동부재(130)와 결합볼트(141)에 의해 결합하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그립(140)을 포함한다.
또한, 운동자는 상기 그립(140)이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그립(140)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너트(121)를 상기 결합부재(220)의 볼트(221)에 결합하여 신체의 안쪽방향으로 가압하여 운동하거나, 반대로 상기 그립(140)이 상기 탄성부재(200)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지부(100)를 상기 결합부재(220)에서 분리하고 180도 회전시켜 상기 그립(140) 방향의 너트(121)와 상기 결합부재(220)의 볼트(221)를 결합하여 신체의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운동함과 동시에, 상기 파지부(100)를 상부 또는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탄성부재(200)를 V자 형으로 휘어지게 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파지부 110 : 가이드 부재
111 : 장공 120 : 마감부재
121 : 너트 130 : 이동부재
140 : 그립 141 : 결합볼트
150 : 스프링 200 : 탄성부재
210 : 강선 220 : 결합부재
221 : 볼트 300 : 웨이트
310 : 연결봉 311 : 웨이트 고정구

Claims (5)

  1. 중앙부에 상하좌우로 우연하게 휘어지는 탄성부재(200); 및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측에 결합되는 2개의 파지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단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100)의 양단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2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재(200)는
    상기 탄성부재(200)의 양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20);
    상기 결합부재(220)의 양단에 상기 제1결합부로서 돌출 형성되는 볼트(221);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재(220)의 볼트(221)의 이면부와 서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강선(210);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되, 일측이 개방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110);
    상기 가이드 부재(110)의 양단 표면에 제2결합부로서의 너트(121)가 동일하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볼트(221)에 결합되는 마감부재(120);
    상기 가이드 부재(110)의 내측에 삽입되는 스프링(150);
    상기 가이드 부재(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150)의 일단부에 접하고 그립(140)을 잡고 파지하면 상기 장공(11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부재(130), 및
    상기 이동부재(130)와 결합볼트(141)에 의해 결합하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그립(140);을 포함하며,
    운동자는 상기 그립(140)이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그립(140)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너트(121)를 상기 결합부재(220)의 볼트(221)에 결합하여 신체의 안쪽방향으로 가압하여 운동하거나,
    반대로 상기 그립(140)이 상기 탄성부재(200)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지부(100)를 상기 결합부재(220)에서 분리하고 180도 회전시켜 상기 그립(140) 방향의 너트(121)와 상기 결합부재(220)의 볼트(221)를 결합하여 신체의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운동함과 동시에,
    상기 파지부(100)를 상부 또는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탄성부재(200)를 V자 형으로 휘어지게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59347A 2018-05-25 2018-05-25 다목적 운동기구 KR101964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47A KR101964353B1 (ko) 2018-05-25 2018-05-25 다목적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47A KR101964353B1 (ko) 2018-05-25 2018-05-25 다목적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353B1 true KR101964353B1 (ko) 2019-04-01

Family

ID=6610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347A KR101964353B1 (ko) 2018-05-25 2018-05-25 다목적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176B1 (ko) * 2021-12-14 2022-03-03 진연창 팔 운동 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818Y1 (ko) * 1996-12-31 1999-08-16 이준엽 비틀기 운동구
JP2000176044A (ja) * 1998-12-11 2000-06-27 Shirasawa Kikaku:Kk 健康用具
KR101292937B1 (ko) * 2013-02-15 2013-08-02 이영철 악력완력기
KR20130138706A (ko) 2013-09-25 2013-12-19 이종애 상체 운동기구
KR101626221B1 (ko) 2014-11-27 2016-05-31 이영철 멀티 헬스 머신
JP2017079854A (ja) * 2015-10-23 2017-05-18 忠仁 廣川 トレーニング器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818Y1 (ko) * 1996-12-31 1999-08-16 이준엽 비틀기 운동구
JP2000176044A (ja) * 1998-12-11 2000-06-27 Shirasawa Kikaku:Kk 健康用具
KR101292937B1 (ko) * 2013-02-15 2013-08-02 이영철 악력완력기
KR20130138706A (ko) 2013-09-25 2013-12-19 이종애 상체 운동기구
KR101626221B1 (ko) 2014-11-27 2016-05-31 이영철 멀티 헬스 머신
JP2017079854A (ja) * 2015-10-23 2017-05-18 忠仁 廣川 トレーニング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176B1 (ko) * 2021-12-14 2022-03-03 진연창 팔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14672A1 (en) Ergonomic Handle for an Exercise Machine
US8128541B2 (en) Exercise grip device
US4591151A (en) Torsional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0909190B1 (ko) 어깨 운동용 기구
US20090197742A1 (en) Exercise Grip Device
US5472400A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US20080081746A1 (en) Elastic exercise device
US20170216650A1 (en) Plate loaded abduction-adduction press bar
WO2019014368A1 (en) EXERCISE DEVICE
US20120208683A1 (en) Exercise Grip Device
US20100075811A1 (en) Multi-dimensional arm and wrist train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weight
US4756522A (en) Compact adjustable chest exercise device
US11439860B2 (en) Exercise apparatus
KR101964353B1 (ko) 다목적 운동기구
US6007460A (en) Hand exercising device
US20090111662A1 (en) Hand and forearm strengthen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JP2003047671A (ja) フィットネス用具
US20160346594A1 (en) Forearm workout device
US20200289864A1 (en) Multifunctional fitness device with grip strength training mode
JP3221499U (ja) 握力訓練に用いる多機能健康器
JPH09239066A (ja) 健康器具
US699401A (en) Exercising device.
JP2015112224A (ja) 関節リハビリテーション器具
KR200249819Y1 (ko) 아령
JPH09192262A (ja) 脱臼防止兼握力強化ア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