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176B1 - 팔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팔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176B1
KR102369176B1 KR1020210178627A KR20210178627A KR102369176B1 KR 102369176 B1 KR102369176 B1 KR 102369176B1 KR 1020210178627 A KR1020210178627 A KR 1020210178627A KR 20210178627 A KR20210178627 A KR 20210178627A KR 102369176 B1 KR102369176 B1 KR 10236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handle
rotating body
screw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176B9 (ko
Inventor
진연창
Original Assignee
진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연창 filed Critical 진연창
Priority to KR102021017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176B1/ko
Publication of KR10236917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17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63B23/1272Rota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frontal body-plane of the user, i.e. moving the arms in the plane of the body, to and from the sid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having torsion or bending or flexio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4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기구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비틀리도록 힘을 가할 경우 스프링의 탄성작용에 의해 운동효과가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스프링은 뒤틀리지 않고 압축 인장되도록 하여 스프링의 꼬임 방지를 통한 내구성이 증가되도록 하고 팔과 어깨 등의 스트레칭과 뭉친 근육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는 팔 운동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가 중공되고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회전하는 형태의 스크류형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제1회전본체; 상기 제2손잡이부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직선형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본체; 상기 제2손잡이부의 중공으로 삽입되고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핀을 통해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의 회전시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중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형 가이드; 상기 중공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형 가이드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이동형 가이드의 이동시 압축되면서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의 회전시 저항이 발생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 상기 제2손잡이부의 끝단에 결합되어 내부에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개; 상기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외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팔 운동 기구{Arm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기구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비틀리도록 힘을 가할 경우 스프링의 탄성작용에 의해 운동효과가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스프링은 뒤틀리지 않고 압축 인장되도록 하여 스프링의 꼬임 방지를 통한 내구성이 증가되도록 하고 팔과 어깨 등의 스트레칭과 뭉친 근육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는 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경우, 각종 운동경기에서 아무런 준비운동을 하지 않고 운동을 할 경우, 근육에 무리를 주게 되고, 더욱 무리를 주게 되는 경우에는 큰 부상을 입게 된다.
특히, 골프, 테니스, 배드민턴, 스쿼시 등과 같은 운동의 경우는 팔 근육 강화가 필수적인데, 사전 준비운동 없이 운동하게 되면 테니스 엘보와 같은 잦은 부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테니스 엘보와 같은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평상시에 준비운동으로 전완근(forearm)의 회전근력의 단련이 필요하게 되며 운동 이후에도 근육을 풀어주어야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85816호 에서는 손잡이를 잡고 회전하면 토션스프링의 뒤틀림을 통해 운동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였으나 장시간 사용시 토션스프링이 꼬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토션스프링은 코일스프링 형태로서 이를 뒤틀어지게 하면 스프링의 회전간격이 변화된다거나 쉽게 꼬여버리는 문제점이 있어 내구성이 매우 저하된다.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85816호 등록특허번호 제10-1385353호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8613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비틀리도록 힘을 가할 경우 스프링의 탄성작용에 의해 운동효과가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스프링은 뒤틀리지 않고 압축 인장되도록 하여 스프링의 꼬임 방지를 통한 내구성이 증가되도록 하고 팔과 어깨 등의 스트레칭과 뭉친 근육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는 팔 운동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가 중공되고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회전하는 형태의 스크류형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제1회전본체; 상기 제2손잡이부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직선형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본체; 상기 제2손잡이부의 중공으로 삽입되고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핀을 통해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의 회전시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중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형 가이드; 상기 중공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형 가이드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이동형 가이드의 이동시 압축되면서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의 회전시 저항이 발생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 상기 제2손잡이부의 끝단에 결합되어 내부에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개; 상기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외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형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압축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스프링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스프링결합부와 직교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몸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 끼워지는 가이드핀; 상기 가이드핀의 양단에 결합되고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 걸려져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스크류형 가이드홀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하는 내측슬리브; 상기 직선형 가이드홀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하는 외측슬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본체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핀이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에 감겨지도록 설치하여 운동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사용자에 팔에 감겨지도록 설치되고 발열 작용을 통해 사용자의 근육에 온열자극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발열패드; 상기 제1손잡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패드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 상기 제1손잡이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발열패드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 상기 전원단자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발열패드에 연결되어 발열패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패드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케이블은 상기 전원단자에 연결되는 메인케이블과 상기 메인케이블에서 각각의 발열패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확장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에 설치되고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표시빔을 발산하는 레이저조사기 및 상기 전원단자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조사기를 온오프시켜주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두손으로 파지한 후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팔의 운동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사용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 의해 이동형 가이드가 수평하게 이동하게 됨으로써 압축스프링이 압축되거나 인장되는 작용을 반복하게 됨으로서 스프링이 꼬이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착탈가능한 발열부를 추가적으로 설치한 후 발열패드를 팔에 감아 발열을 통한 근육에 온열 자극효과를 발생시켜줌으로써 근육의 운동이나 뭉친 근육의 풀림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열부의 착탈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필요에 따라 누구나 쉽게 착탈할 수 있어 사용성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트위스트 형태의 팔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트위스트 형태의 팔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과 이동형 가이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 및 스프링과 이동형 가이드의 상호 결합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가이드가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 가이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팔 운동 기구에 발열부를 더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발열부의 배터리와 전원단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발열패드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트위스트 형태의 팔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트위스트 형태의 팔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과 이동형 가이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 및 스프링과 이동형 가이드의 상호 결합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가이드가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 가이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손잡이부(110)와 상기 제1손잡이부(1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가 중공(121)되고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회전하는 형태의 스크류형 가이드홀(122)이 형성되어 있는 제2손잡이부(120)로 이루어진 제1회전본체(100)와, 상기 제2손잡이부(120)의 외부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직선형 가이드홀(210)이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본체(200)와, 상기 제2손잡이부의 중공으로 삽입되고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핀을 통해 스크류형 가이드홀(122)과 직선형 가이드홀(210)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제1회전본체(100)와 제2회전본체(200)의 회전시 스크류형 가이드홀(122)과 직선형 가이드홀(210)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중공(1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형 가이드(300)와, 상기 중공(121)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형 가이드(30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이동형 가이드(300)의 이동시 압축되면서 제1회전본체(100)와 제2회전본체(200)의 회전시 저항이 발생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400)과, 상기 제2손잡이부(120)의 끝단에 결합되어 내부에 압축스프링(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개(500)와, 상기 제1회전본체(100)와 제2회전본체(200)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외부커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본체(10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손잡이부(120)의 직경은 상기 제2회전본체(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손잡이부(1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회전본체(100)의 외경중심에는 상기 제2손잡이부(120)의 외부로 결합되는 제2회전본체(200)가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단턱(130)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형 가이드홀(122)은 제2손잡이부(120)의 중공(121) 내측에서 외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제2손잡이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류 형태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회전본체(200)는 상기 제2손잡이부(120)의 외측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230)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공(230)의 내측에서 외부로 관통되도록 직선형 가이드홀(2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본체(200)의 외경에는 후술되는 이탈방지커버(700)가 끼워져 걸려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단턱부(2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형 가이드(300)는 상기 한 쌍의 압축스프링(4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스프링결합부(311)가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스프링결합부(311)의 돌출방향과 직교되도록 관통홀(312)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몸체(310)와, 상기 이동몸체(310)에 형성된 관통홀(312)에 삽입되어 양단이 관통홀(31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이드핀(320)과, 상기 가이드핀(320)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형 가이드홀(122)과 직선형 가이드홀(210)에 걸린 상태로 가이드핀(320)이 용이하게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리브(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330)는 상기 스크류형 가이드홀(122)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하는 내측슬리브(331)와, 상기 직선형 가이드홀(210)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하는 외측슬리브(332)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50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회전본체(200)의 내경에도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마개(50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커버(600)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외면에 다수의 돌기(도시없음)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잡고 운동하는 과정에서 손바닥에 지압 작용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2회전본체(200)의 단턱부(22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핀(320)과 슬리브(330)가 스크류형 가이드홀(122)과 직선형 가이드홀(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커버(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커버(70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되, 폐합되지 않도록 절개부(7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개부(710)를 통해 제2회전본체(200)의 외부에 삽입되어 가이드핀(3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회전본체(100)의 제1손잡이부(11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에 감겨지도록 설치하여 발열을 통한 운동효과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열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열부(800)는, 사용자에 팔에 감겨지도록 설치되고 발열 작용을 통해 사용자의 근육에 온열 자극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발열패드(810)와, 상기 제1손잡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패드(810)의 발열 작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820)와, 상기 제1손잡이부(1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820)의 전원이 발열패드(8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전원커넥터(831)가 구비된 전원단자(830)와, 상기 전원단자(83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발열패드(810)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패드(8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케이블(8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열패드(81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이때 상기 전원공급케이블(840)은 상기 전원단자(830)에 연결되는 메인케이블(841)과 상기 메인케이블(841)에서 분배기(843)를 통해 각각의 발열패드(810)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확장케이블(842)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패드(810)는 상기 전원공급케이블(840)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연결부(812)가 형성되는 패드몸체(811)와, 상기 패드몸체(811)의 일측단에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팔에 감겨져 패드몸체(811)에 벨크로 (816)타입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제1결속띠(814)와, 상기 패드몸체(811)의 타측단 중심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결속띠(814) 사이로 사용자의 팔에 감겨져 상기 패드몸체에 벨크로(816) 타입으로 부착되는 제2결속띠(8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드몸체(811)는 온오프 스위치(813)가 더 구비되어 전원공급케이블(840)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열작용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결속띠(814)와 제2결속띠(815)는, 한 쌍의 제1결속띠(814) 사이로 제2결속띠(815)가 교차되면서 사용자의 팔을 감아주게 됨으로써 운동하는 과정에서 쉽게 풀어지거나 위치치가 이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발열부(800)는 사용자가 제1회전본체(100)와 제2회전본체(200)를 잡고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근육에 온열 작용효과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운동 및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를 극대화 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손잡이부(110)와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됨으로써 필요시에만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 및 사용성 또한 매우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원단자(830)에 설치되고 배터리(8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표시빔을 발산하는 레이저조사기(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830)에는 상기 레이저조사기(900)를 온오프 시켜주는 스위치(910)를 더 구비하여 레이저조사기(900)를 필요시에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레이저조사기(900)는 레이저포인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팔 운동기구를 잡고 골프 스윙 연습을 수행할 수 도 있는데 이때 레이저조사기(900)가 바닥면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팔 운동 기구를 잡고 스윙연습을 수행할 경우 레이저조사기(900)에서 발산되는 표시빔을 통해 스윙궤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올바른 스윙 폼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팔 운동 기구를 통해 근육을 풀어주거나 운동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제1회전본체(100)와 제2회전본체(200)에 끼워진 외부커버를 잡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축 회전시켜주게 되면 제1회전본체(100)와 제2회전본체(20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형 가이드(300)는 가이드핀(320)이 제2회전본체(200)의 직선형 가이드홀(210)에 가이드되면서 제1회전본체(100)의 제2손잡이부(120)에 형성된 스크류형 가이드홀(122)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한 압축스프링(400)이 이동몸체(31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저항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팔 근육에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바꿀 경우에는 이동형 가이드(300)는 직선형 가이드홀(210)과 스크류형 가이드홀(122)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최초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한 다른 압축스프링(400)이 가압됨으로써 저항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팔 근육에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는 제1회전본체(100)와 제2회전본체(20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팔 근육에 연속적인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크류형 가이드홀(122)과 직선형 가이드홀(210)의 구조를 통해 이동형 가이드(300)가 이동하게 됨으로써 압축스프링(400)이 압축과 인장을 반복하여 뒤틀리지 않게 되어 스프링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근육에 온열 자극효과를 발생시켜줄 수 있도록 한 쌍의 발열패드(810)를 사용자의 팔에 각각 감아 주고 발열패드(810)의 전원연결부(812)와 전원단자(830)의 전원커넥터(831)를 전원공급케이블(840)로 연결한 후 발열패드(810)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813)를 눌러주면 제1손잡이부(11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820)의 전원으로 발열패드(810)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발열패드(810)를 부착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팔을 패드몸체(811)의 일측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제1결속띠(814)와 제2결속띠(815)를 패드몸체 방향으로 감아 벨크로(816)를 이용하여 패드몸체(811)의 타측면에 부착함으로서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발열패드(810)를 더 설치하여 사용자의 팔에 온열 자극효과를 받으면서 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운동 및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제1회전본체 (110) : 제1손잡이부
(120) : 제2손잡이부 (121) : 중공
(122) : 스크류형 가이드홀 (130) : 걸림단턱
(200) : 제2회전본체 (210) : 직선형 가이드홀
(220) : 단턱부 (300) : 이동형 가이드
(310) : 이동몸체 (311) : 스프링결합부
(312) : 관통홀 (320) : 가이드핀
(330) : 슬리브 (331) : 내측슬리브
(332) : 외측슬리브 (400) : 압축스프링
(500) : 마개 (600) : 외부커버
(700) : 이탈방지커버 (710) : 절개부
(800) : 발열부 (810) : 발열패드
(811) : 패드몸체 (812) : 전원연결부
(813) : 온오프 스위치 (814) : 제1결속띠
(815) : 제2결속띠 (816) : 벨크로
(820) : 배터리 (830) : 전원단자
(831) : 전원커넥터 (840) : 전원공급케이블
(841) : 메인케이블 (842) : 확장케이블
(900) : 레이저 조사기 (910) : 스위치

Claims (8)

  1.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가 중공되고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회전하는 형태의 스크류형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제1회전본체;
    상기 제2손잡이부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직선형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본체;
    상기 제2손잡이부의 중공으로 삽입되고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핀을 통해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의 회전시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중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형 가이드;
    상기 중공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형 가이드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이동형 가이드의 이동시 압축되면서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의 회전시 저항이 발생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
    상기 제2손잡이부의 끝단에 결합되어 내부에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개;
    상기 제1회전본체와 제2회전본체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외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운동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압축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스프링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스프링결합부와 직교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몸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 끼워지는 가이드핀;
    상기 가이드핀의 양단에 결합되고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 걸려져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운동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스크류형 가이드홀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하는 내측슬리브;
    상기 직선형 가이드홀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하는 외측슬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운동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본체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핀이 스크류형 가이드홀과 직선형 가이드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운동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에 감겨지도록 설치하여 운동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운동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사용자에 팔에 감겨지도록 설치되고 발열 작용을 통해 사용자의 근육에 온열자극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발열패드;
    상기 제1손잡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패드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
    상기 제1손잡이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발열패드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
    상기 전원단자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발열패드에 연결되어 발열패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운동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패드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케이블은 상기 전원단자에 연결되는 메인케이블과 상기 메인케이블에서 각각의 발열패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확장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운동 기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에 설치되고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표시빔을 발산하는 레이저조사기 및 상기 전원단자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조사기를 온오프시켜주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운동 기구.










KR1020210178627A 2021-12-14 2021-12-14 팔 운동 기구 KR10236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627A KR102369176B1 (ko) 2021-12-14 2021-12-14 팔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627A KR102369176B1 (ko) 2021-12-14 2021-12-14 팔 운동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176B1 true KR102369176B1 (ko) 2022-03-03
KR102369176B9 KR102369176B9 (ko) 2022-04-14

Family

ID=8081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627A KR102369176B1 (ko) 2021-12-14 2021-12-14 팔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1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816Y1 (ko) 2005-03-23 2005-06-02 김태길 손목운동구
KR101385353B1 (ko) 2013-09-25 2014-04-14 이종애 상체 운동기구
KR200486138Y1 (ko) 2016-09-06 2018-04-09 김시철 손목운동기구
KR101964353B1 (ko) * 2018-05-25 2019-04-01 엠비텍 주식회사 다목적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816Y1 (ko) 2005-03-23 2005-06-02 김태길 손목운동구
KR101385353B1 (ko) 2013-09-25 2014-04-14 이종애 상체 운동기구
KR200486138Y1 (ko) 2016-09-06 2018-04-09 김시철 손목운동기구
KR101964353B1 (ko) * 2018-05-25 2019-04-01 엠비텍 주식회사 다목적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176B9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3211A (en) Combination jump rope and flexible exerciser
US4026549A (en) Adjustable elastic type exercising device
US5167596A (en) Hand-held exerciser
US4852874A (en) Portable isokinetic exercising device
US4257591A (en) Elongated exercising device of variable length
KR100909190B1 (ko) 어깨 운동용 기구
US5090691A (en) Active and passive handle for exercise device
JP2012523892A (ja) 手、手首及び前腕を複数の運動平面内で調節可能な抵抗で運動させるための改良された汎用多方向運動器具
US6786849B1 (en) Adjustable hand grip exerciser
US2837334A (en) Grip exerciser
US20060073952A1 (en) Swinging exerciser having movable weight
KR102369176B1 (ko) 팔 운동 기구
US9610470B1 (en) Resistance torque bar system
CN209004590U (zh) 用于人体手腕关节运动康复辅助训练的装置
KR102183481B1 (ko) 핸드 운동기구
US6210303B1 (en) Golf exercise device
KR101984128B1 (ko) 기능성 전문 손목 운동기구
US3583394A (en) Exercising device and tension reliever
KR20200093478A (ko) 줄넘기용 줄의 손잡이
CN219023165U (zh) 一种手指关节训练器及康复设备
JP6675815B1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200184403Y1 (ko) 고무줄을 이용한 완력기
KR101300228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줄 돌리기 운동기구
AU20032538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elbow
US11896864B2 (en) Rotation resistant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