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820A - 다양한 자세 또는 위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도수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다양한 자세 또는 위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도수치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2820A KR20180042820A KR1020170135494A KR20170135494A KR20180042820A KR 20180042820 A KR20180042820 A KR 20180042820A KR 1020170135494 A KR1020170135494 A KR 1020170135494A KR 20170135494 A KR20170135494 A KR 20170135494A KR 20180042820 A KR20180042820 A KR 201800428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sling
- present
- rope
- groov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207 exercise therapy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965 rop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2219 manual therapy Methods 0.000 abstract 4
- 238000002169 hydr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980 postoper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4120 Athletic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8129 Cerebral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1092080 Hydrang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486 Hydrangea macrophy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34464 Peri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27 Rotator cuff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722 Scol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513 Spinal Cor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5198 Spinal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1738 Sports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8627 Thoracic outlet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603 frozen shoul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18 muscle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346 musculoskeletal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53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1000008482 osteo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874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34970 Corn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906 Hydrocephal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56 Skelet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35 hydrothermal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0 mo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 A61H2203/0487—Hanging uprigh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Abstract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의 일체화된 슬링구조 및 Wall Sling을 이용한 효과적인 Exercise Therapy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수치료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를 쉽게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도록 도수치료를 위한 로프를 다양한 각 도로 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wall bar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를 쉽게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도록 도수치료를 위한 로프를 다양한 각 도로 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wall bar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의 일체화된 슬링구조 및 Wall Sling을 이용한 효과적인 Exercise Therapy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를 쉽게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도록 도수치료를 위한 로프를 다양한 각 도로 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wall bar를 구성하여 천장 또는 내벽에 설치된 도수치료장치 또는/및 면에 부착하여 치료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잘못된 자세를 바르게 잡아주면서 운동 및 치료를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수치료는 신경, 근육, 골격을 복합적으로 다루는 것이며, 손으로 직접 관절을 자극하여 신경기능을 회복시키고, 허리 통증 치료 및 자세 교정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도수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도수치료를 위한 장치 등이 필요한데, 이러한 장치는 실내 천장 또는 내벽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도수치료장치는 실내 천장 또는 내벽에 앵커 볼트 등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넓은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과, 한번 설치하게 되면 보수가 어렵고, 특히, 이동을 할 수 없어 이동성에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치료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장소가 협소한 실내 공간에 설치 가능하며, 전체 무게를 최소화하여 쉽고 편리하게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도수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의 Wall Sling을 이용한 효과적인 Exercise Therapy 시스템”은 벽면에 부착하여 치료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잘못된 자세를 바르게 잡아주면서 운동 및 치료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를 쉽게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도록 도수치료를 위한 로프를 다양한 각 도로 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wall bar를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슬링장치와 wall bar 사이에 연결장치를 구성하고, 연결장치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치료부위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슬링장치를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는, 고정되거나 슬링되는 장치유닛 (3000);
고정되어 설치되는 월바 (1120)
상기 월바와 상기 장치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장치 (1200)를 포함하고,
상기 월바(1120)에는, 복수개의 홈(505)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로 형성된 홈(505)사이에는 갭(505)이 형성되어 걸림장치(540)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홈이 상하(505)로 병렬로 구비된 구성(500)과 복수개의 홈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된 다른 구성 (600) 사이에는 시스템의 사용에 따른 위치를 조조절하여 사용하기 위한 위치조절바(1300)가 고정되는 홀(5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되거나 슬링되는 장치유닛 (3000);
벽 또는 천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월바 (1120)
상기 월바와 상기 장치유닛을 연결하며 메쉬 타입으로 형성된 연결장치 (1200)를 포함하고,
상기 월바(1120)에는, 복수개의 일자 홈(505)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로 형성된 홈(505)사이에는 홈이 아닌 상태로 상기 홈을 구분하는 갭(505)이 형성되어 걸림장치(540)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홈이 상하(505)로 병렬로 구비된 구성(500)과 복수개의 홈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된 다른 구성 (600) 사이에는 시스템의 사용에 따른 위치를 조조절하여 사용하기 위한 위치조절바(1300)가 고정되는 복수개의 홀(520)이 상하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메쉬 타입의 연결장치(1120)의 하부에 상기 연결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장치(700)의 일측이 접촉되어 구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장치의 타측은 상기 월바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고정장치(730)에 접촉되어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바(7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는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치료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장소가 협소한 실내 공간에 설치 가능하며, 전체 무게를 최소화하여 쉽고 편리하게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의 일체화된 슬링구조 또는/및 Wall Sling을 이용한 효과적인 Exercise Therapy 시스템”은 벽면에 부착하여 치료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잘못된 자세를 바르게 잡아주면서 운동 및 치료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를 쉽게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도록 도수치료를 위한 로프를 다양한 각 도로 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wall bar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링장치와 wall bar 사이에 연결장치(그물바_를 구성하고, 그물바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치료부위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슬링)장치유닛를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에 Wall Bar와 슬링이 결합된 형태로 wall bar에 튜빙밴드, 탄력로프 및 무게주머니를 걸어서 사용 하거나, 슬링에 다양한악세사리를 사용하여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all bar에 부착된 높낮이 조절 가능한 고리장치 및 슬링장비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Closed Kinetic Chain 또는 Open Kinetic Chain훈련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에 높낮이 조절 바와 위에 슬링시스템에 6개의 pulley 시스템이 부착되어 있고 wall bar에 연결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elastic과 non-elastic rope 및 무게부하장비를 걸어 open kinetic chain exercise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Manual & Therapeutic exercise 시 다양한 Accessary를 사용하여 치료사에게 helping hand를 제공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 수축에 능력에 따라 슬링 및 다양한 강도의 밴드 및 무게주머니를 이용하여 저난이도에서 고난이도까지 훈련을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뇌졸중 환자와 같이 균형능력이 감소된 환자에게 슬링장비와 하네스를 이용하여 체중지지부하를 감소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Open kinetic Chain/Closed kinetic Chain 및 Gait training 훈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Standing, Sitting, Prone, Supine 등 다양한 자세로 Mobilization, Relax, Traction, Open/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Static 또는 Dynamic stability exercise 등의 훈련을 적용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골격계, 신경계, 스포츠 손상, 수술 후 재활 운동 치료에 적용할 수 있으며, 건강유지, 근력강화, 유, 무산소 운동 등 각종 질환 예방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대상자에 따른 1:1 맞춤운동 프로그램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응증: 뇌졸중, 척수손상, 뇌성마비, 오십견, 경요부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퇴행성 관절염, 측만증, 후관절 증후군, 흉곽출구 증후군, 수술 전후 재활, 회전근개 파열, 산전산후 운동 등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도수치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수치료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수치료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수치료장치에서 가로대의 저면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수치료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를 위한 로프를 다양한 각도로 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Wall Bar를 구성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링장치와 wall bar 사이에 그물바를 구성하고, 그물바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치료부 위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슬링장치를 움직이면서 Wall Sling 을 이용한 Exercise Therapy
도 11은 본 발명에 의거 벽에 붇어있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걸림장치가 갭에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수치료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수치료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수치료장치에서 가로대의 저면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수치료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를 위한 로프를 다양한 각도로 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Wall Bar를 구성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링장치와 wall bar 사이에 그물바를 구성하고, 그물바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치료부 위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슬링장치를 움직이면서 Wall Sling 을 이용한 Exercise Therapy
도 11은 본 발명에 의거 벽에 붇어있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걸림장치가 갭에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로프는 하나의 실시 예이고, 다른 수단으로 대치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기에, 단지 로프로만 한정할 것이 아니기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도르래는 힘이나 동력을 전달하는 하나의 예이고, 다른 수단으로 대치가능하며 그런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 도 8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도울 수 있다.
도 1은 도수치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수치료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수치료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수치료장치에서 슬링유닛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도수치료장치에서 가로대의 저면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수치료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수치료장치(10)는 지지프레임(100), 고정프레임(200), 슬링 유닛(300) 및 락킹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도수치료장치(10)의 전체적인 무게를 지지하며, 도수치료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지주대(110), 제1가이드봉(120), 이동바(130) 및 제1도르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대(110)는 도수치료장치(10)의 하중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수평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111)의 중간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 수직프레임(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봉(120)은 일정 지름을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수직프레임(112)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며, 이동바(130)가 체결되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동바(130)는 제1가이드봉(120)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봉(12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131)와, 이동체(131)의 일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고정봉(1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동바(130)에 결합되는 제1도르래(140)가 상, 하 또는 좌, 우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도르래(140)는 이동바(130)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슬링 유닛(300)에 연결된 제1로프(340)가 경유되어 진행 방향을 바꾸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동바(130)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슬링 유닛(300)에 연결된 상기 제1로프(340)가 경유 되어 상기 제1로프(340)의 방향을 변경하여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된 상기 제1로프(340)의 일단 부분이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제1가이드봉(120)에 상, 하 또는 좌, 우로 이동되는 제1도르래(140)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제1도르래(140)에 연결되는 제1로프(340)를 환자의 치료 위치에 따라 도수치료사가 용이하게 적용하여 설정할 수 있고, 특히, 도수치료사가 제1로프(340)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당길 수 있도록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테이블에 누워있는 환자를 도수치료사가 제1로프(340)를 당겨 환자를 테이블에서 일정 높이 이격되게 공중부양을 시켜야 하는데, 이때, 도수치료사가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된 제1로프(340)를 제1도르래(140)에 연결하여 작은 힘으로도 환자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도르래(140)는 제1로프(34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바꾸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제1로프(340)를 제1도르래(140)에 연결한 상태에서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하여 도수치료사가 제1로프(340)를 당기게 되면, 환자의 발이 당겨지면서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는데, 이때, 이동바(130)에 구비된 이동체(131)가 제1가이드봉(120)을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동시에 제1도르래(14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도르래(140)의 이동에 따라 제1로프(340)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도르래(140)는 이동바(130)에 구비된 고정봉(13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는 환자에 연결된 제1로프(34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프레임(200)은 슬링 유닛()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312)에 끼워진 상태에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00) 사이에 설치 고정되고, 슬링 유닛(300)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200)은 가로대(210), 고정대(220) 및 제2가이드봉(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대(210)는 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주대(110) 사이에 설치 고정되며, 하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크랙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크랙홈(211)은 고정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슬링 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고정대(220)는 가로대(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고, 제2가이드봉(23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대(220)의 양측에 각가 체결되는 제2가이드봉(230)이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하기 위하여 슬링 유닛(3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봉(2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대(220)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대(2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제2가이드봉(230)은 슬링 유닛(300)이 지지하도록 결합 되고,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슬링 유닛(300)은 가로대(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가이드봉(230)에 결합하여 외력에 의해 제2가이드봉(2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며, 환자의 체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슬링 유닛(300)은 몸체(310), 지지대(320), 제2도르래(330) 및 제1로프(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에는 제2가이드봉(2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311)와, 상부 중앙에 고정프레임(200)이 끼움 고정되도록 삽입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홈(312)에 끼움 고정된 고정프레임(200)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고정프레임(200)의 하단면에 형성된 크랙홈(211)이 슬링 유닛(300) 내부에 설치된 락킹 유닛(400)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슬링 유닛(300)은 락킹 유닛(400)의 작동에 의해 락킹 유닛()에 구비된 회전부(410)가 크랙홈(211)에 걸리도록 하여 슬링 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몸체(310)는 전면 중앙에 개구부(313)가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 가슴, 허리 또는 다리 등 각 부위에 위치하도록 고정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개구부()는 몸체() 내부에 위치하는 제1로프()의 타단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320)는 몸체(310)의 내측 면에 설치 고정되고, 미리 정한 모양, 예를 들어 사각 형태의 얇은 판넬(321)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 판넬(321) 사이에 제2도르래(330)가 축 결합될 수 있다.
제2도르래(330)는 지지대(320)의 내부에 축 결합되어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제1로프(340)가 지지되며, 제1로프(34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바꾸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도르래(330)는 외측도르래(331) 및 내측도르래(33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도르래(331)는 판넬(321)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1로프(340)의 일단 부분을 지지하여 경유 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내측도르래(332)는 판넬(321)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지지편(322)에 축 결합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1로프(340)의 타단 부분이 경유 되어 판넬(321)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313)와 몸체(310)에 형성된 개구부(313)를 통해 몸체(310)의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몸체(310)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되는 제1로프(340)의 일단은 외측도르래(331)에 지지되고, 사용자, 예를 들어 도수치료사가 당기는 제1로프(340)의 타단에는 내측도르래(332)에 지지되도록 한다.
제1로프(340)는 제2도르래(330)에 경유하도록 연결되고, 일단에는 환자가 착용한 보조 벨트에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 클립 등이 고정될 수 있다. 제1로프(340)는 테이블에 누워있는 환자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환자가 서서 걸을 수 있도록 환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환자의 다리에 착용한 보조 벨트에 제1로프(340)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도수치료사가 제1로프(340)의 타단을 당기게 되면, 도수치료사는 제2도르래(330)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환자를 들어올릴 수 있고, 환자의 다리가 일정 높이 올려진 상태에서 제1로프(340)의 타단 부분을 고정시켜 환자의 다리가 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몸체(310) 내부에 위치하는 제1로프(340)의 일단은 몸체(3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제1로프(340)의 타단은 몸체(31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313)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락킹 유닛(400)은 외력에 의해 제2가이드봉(230)을 따라 이동되는 슬링 유닛(30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락킹 유닛(400)은 몸체(310)의 내부에 축 결합되는 회전부(410)와, 회전부(410)에 연결되는 제2로프(4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410)는 몸체(310) 내부에 축 결합되는 회전축(411)과,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몸체()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연결바(412)와, 회전축(411)의 타측에 연결되고 고정프레임(200)에 형성된 크랙홈(211)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바(4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로프()는 회전부(410)의 외측에 연결되고, 회전부(410)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부(410)의 외측에 고정된 제2로프(420)를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부(410)는 회전축(4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연결바(412)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 되고, 고정바(413)는 상부 방향으로 회동 되며, 고정바(413)의 끝단이 크랙홈(211)에 걸려 슬링 유닛(30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고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를 위한 로프를 다양한 각도로 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Wall Bar를 구성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링장치와 wall bar 사이에 그물바를 구성하고, 그물바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치료부 위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슬링장치를 움직이면서 Wall Sling 을 이용한 Exercise Therapy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거 벽에 붇어있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걸림장치가 갭에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되거나 슬링되는 (슬링)장치유닛 (3000);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벽이나 천정등에 설치되는 월바 (1120)에 있어서, 도면과는 다르게 형태 (예를 들어 둥근형태등)로 가능하다.
상기 월바와 상기 (슬링)장치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장치 (1200)를 포함하고, 상기 월바(1120)에는, 복수개의 홈(505)(수직 일자 형태/수평일자형태, 등근형태등), 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로 형성된 홈(505)사이에는 걸 수 ㅇ있는 공간인 갭(505)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장치(540)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홈이 상하(505)로 병렬로 구비된 구성(500)과 복수개의 홈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된 다른 구성 (600) 사이에는 시스템의 사용에 따른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하기 위한 위치조절바(1300)가 고정되는 다른 홀(5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연설명하면, 고정되거나 슬링되는 장치유닛 (3000); 벽 또는 천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월바 (1120); 상기 월바와 상기 장치유닛을 연결하며 메쉬 타입으로 형성된 연결장치 (1200)를 포함하고, 상기 월바(1120)에는, 복수개의 일자 홈(505)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로 형성된 홈(505)사이에는 홈이 아닌 상태로 상기 홈을 구분하는 갭(505)이 형성되어 걸림장치(540)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홈이 상하(505)로 병렬로 구비된 구성(500)과 복수개의 홈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된 다른 구성 (600) 사이에는 시스템의 사용에 따른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하기 위한 위치조절바(1300)가 고정되는 복수개의 홀(520)이 상하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메쉬 타입의 연결장치(1120)의 하부에 상기 연결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장치(700)의 일측이 접촉되어 구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장치의 타측은 상기 월바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고정장치(730)에 접촉되어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바(7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수치료장치는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치료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장소가 협소한 실내 공간에 설치 가능하며, 전체 무게를 최소화하여 쉽고 편리하게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의 일체화된 슬링구조 또는/및 Wall Sling을 이용한 효과적인 Exercise Therapy 시스템”은 벽면에 부착하여 치료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잘못된 자세를 바르게 잡아주면서 운동 및 치료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수치료장치를 쉽게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도록 도수치료를 위한 로프를 다양한 각 도로 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wall bar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링장치와 wall bar 사이에 연결장치(그물바_를 구성하고, 그물바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치료부위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슬링)장치유닛를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에 Wall Bar와 슬링이 결합된 형태로 wall bar에 튜빙밴드, 탄력로프 및 무게주머니를 걸어서 사용 하거나, 슬링에 다양한악세사리를 사용하여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all bar에 부착된 높낮이 조절 가능한 고리장치 및 슬링장비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Closed Kinetic Chain 또는 Open Kinetic Chain훈련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에 높낮이 조절 바와 위에 슬링시스템에 6개의 pulley 시스템이 부착되어 있고 wall bar에 연결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elastic과 non-elastic rope 및 무게부하장비를 걸어 open kinetic chain exercise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Manual & Therapeutic exercise 시 다양한 Accessary를 사용하여 치료사에게 helping hand를 제공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 수축에 능력에 따라 슬링 및 다양한 강도의 밴드 및 무게주머니를 이용하여 저난이도에서 고난이도까지 훈련을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뇌졸중 환자와 같이 균형능력이 감소된 환자에게 슬링장비와 하네스를 이용하여 체중지지부하를 감소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Open kinetic Chain/Closed kinetic Chain 및 Gait training 훈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Standing, Sitting, Prone, Supine 등 다양한 자세로 Mobilization, Relax, Traction, Open/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Static 또는 Dynamic stability exercise 등의 훈련을 적용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골격계, 신경계, 스포츠 손상, 수술 후 재활 운동 치료에 적용할 수 있으며, 건강유지, 근력강화, 유, 무산소 운동 등 각종 질환 예방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대상자에 따른 1:1 맞춤운동 프로그램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응증: 뇌졸중, 척수손상, 뇌성마비, 오십견, 경요부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퇴행성 관절염, 측만증, 후관절 증후군, 흉곽출구 증후군, 수술 전후 재활, 회전근개 파열, 산전산후 운동 등에 효과적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도수치료장치
100; 지지프레임
110; 지주대 111; 수평프레임
112; 수직프레임 120; 제1가이드봉
130; 이동바 131; 이동체
132; 고정봉 140; 제1도르래
200; 고정프레임 210; 가로대
211; 크랙홈 220; 고정대
230; 제2가이드봉 300; 슬링 유닛
310; 몸체 311; 가이드부
312; 삽입홈 313; 개구부
320; 지지대 321; 판넬
322; 지지편 330; 제2도르래
331; 외측도르래 332; 내측도르래
340; 제1로프 400; 락킹 유닛
410; 회전부 411; 회전축
412; 연결바 413; 고정바
420; 제2로프
110; 지주대 111; 수평프레임
112; 수직프레임 120; 제1가이드봉
130; 이동바 131; 이동체
132; 고정봉 140; 제1도르래
200; 고정프레임 210; 가로대
211; 크랙홈 220; 고정대
230; 제2가이드봉 300; 슬링 유닛
310; 몸체 311; 가이드부
312; 삽입홈 313; 개구부
320; 지지대 321; 판넬
322; 지지편 330; 제2도르래
331; 외측도르래 332; 내측도르래
340; 제1로프 400; 락킹 유닛
410; 회전부 411; 회전축
412; 연결바 413; 고정바
420; 제2로프
Claims (2)
- 고정되거나 슬링되는 장치유닛 (3000);
고정되어 설치되는 월바 (1120);
상기 월바와 상기 장치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장치 (1200)를 포함하고,
상기 월바(1120)에는, 복수개의 홈(505)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로 형성된 홈(505)사이에는 갭(505)이 형성되어 걸림장치(540)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홈이 상하(505)로 병렬로 구비된 구성(500)과 복수개의 홈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된 다른 구성 (600) 사이에는 시스템의 사용에 따른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하기 위한 위치조절바(1300)가 고정되는 홀(5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치료장치.
- 고정되거나 슬링되는 장치유닛 (3000);
벽 또는 천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월바 (1120);
상기 월바와 상기 장치유닛을 연결하며 메쉬 타입으로 형성된 연결장치 (1200)를 포함하고,
상기 월바(1120)에는, 복수개의 일자 홈(505)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로 형성된 홈(505)사이에는 홈이 아닌 상태로 상기 홈을 구분하는 갭(505)이 형성되어 걸림장치(540)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홈이 상하(505)로 병렬로 구비된 구성(500)과 복수개의 홈이 상하로 병렬로 구비된 다른 구성 (600) 사이에는 시스템의 사용에 따른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하기 위한 위치조절바(1300)가 고정되는 복수개의 홀(520)이 상하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메쉬 타입의 연결장치(1120)의 하부에 상기 연결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장치(700)의 일측이 접촉되어 구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장치의 타측은 상기 월바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고정장치(730)에 접촉되어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바(7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4756 | 2016-10-18 | ||
KR20160134756 | 2016-10-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2820A true KR20180042820A (ko) | 2018-04-26 |
Family
ID=6208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5494A KR20180042820A (ko) | 2016-10-18 | 2017-10-18 | 다양한 자세 또는 위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도수치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42820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39112A1 (es) * | 2018-08-23 | 2020-02-27 | Marquez De La Vega Francisco | Kit de tratamiento terapéutico |
KR102178572B1 (ko) | 2019-08-21 | 2020-11-13 | 정부환 |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
KR102225060B1 (ko) * | 2019-10-16 | 2021-03-09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
KR102225063B1 (ko) * | 2019-10-16 | 2021-03-09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
-
2017
- 2017-10-18 KR KR1020170135494A patent/KR201800428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39112A1 (es) * | 2018-08-23 | 2020-02-27 | Marquez De La Vega Francisco | Kit de tratamiento terapéutico |
EP3842023A4 (en) * | 2018-08-23 | 2022-05-18 | Francisco Màrquez de la Vega | THERAPEUTIC TREATMENT KIT |
KR102178572B1 (ko) | 2019-08-21 | 2020-11-13 | 정부환 |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
KR102225060B1 (ko) * | 2019-10-16 | 2021-03-09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
KR102225063B1 (ko) * | 2019-10-16 | 2021-03-09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전자동 보행 재활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14003B2 (en) | Monocolumn unweighting systems | |
KR20180042820A (ko) | 다양한 자세 또는 위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도수치료장치 | |
US10232209B2 (en) | Postural dynamics exercise system | |
US20070219069A1 (en) | Apparatus for assisting a person to stand and walk | |
US5577984A (en) | Frame for a variable impact therapy system | |
KR101330532B1 (ko) | 고관절 재활훈련장치 | |
KR101781495B1 (ko) | 도수치료장치 | |
US8096922B2 (en) | Training apparatus | |
US20100144504A1 (en) | Exercise apparatus | |
KR200484175Y1 (ko) | 재활운동기구 | |
US20210169724A1 (en) |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 |
KR200446186Y1 (ko) | 재활치료용 자가현수보행장치 | |
US9427370B2 (en) | Kit for rehabilitation apparatus | |
EP3560472B1 (en) | Multi-functional therapeutic hospital bed convertible into a standing aid | |
KR100603746B1 (ko) | 신체를 상하 양측으로 동시 견인하는 스트레칭운동 및 물리치료용 장치 | |
KR101404053B1 (ko) | 굴림식 운동기구 | |
KR200477537Y1 (ko) | 휴대용 도수치료 보조기구 | |
CN109009874A (zh) | 多功能医用肩关节康复训练器 | |
JP2004305718A (ja) | 全身運動用ツイストマシン | |
KR101419187B1 (ko) | 회선근개 운동기구 | |
KR100942618B1 (ko) | 재활 운동기구 | |
KR20100012180A (ko) | 척추 운동 기구 | |
CN204379677U (zh) | 一种多功能康复床 | |
RU2201738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билитации позвоночника | |
KR101575980B1 (ko) | 관절 인장 운동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