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75Y1 - 재활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재활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75Y1
KR200484175Y1 KR2020170002552U KR20170002552U KR200484175Y1 KR 200484175 Y1 KR200484175 Y1 KR 200484175Y1 KR 2020170002552 U KR2020170002552 U KR 2020170002552U KR 20170002552 U KR20170002552 U KR 20170002552U KR 200484175 Y1 KR200484175 Y1 KR 200484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vertical member
user
height
upp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자
이종만
Original Assignee
김금자
이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금자, 이종만 filed Critical 김금자
Priority to KR2020170002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각종 신체부위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고, 재활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헬스장이나 의료기관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는, 내부에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설치틀, 상기 설치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짐볼부, 상기 설치틀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짐볼부를 이용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운동기구{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운동 및 재활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관절은 하루에 6시간 이상을 움직여야 그 기능을 상실하지 않는데, 수술 후 통증이 심한 환자인 경우는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하고 원활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점차 신체의 근육이 약해지고 관절은 뻣뻣해지면서 굳어진다.
따라서, 수술 후 환자는 관절의 변형을 방지하고 운동범위를 정상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본인이 느끼는 관절 가동 범위 내에서 운동을 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에 CPM(Critical Path Method)을 사용하여 운동한다면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회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수술 후유증 또한 줄일 수 있다. 여기에서, CPM은 제한된 시간 내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각종 작업 또는 활동(Activity)들을 찾아서 그들의 상 관관계를 계획하는 데 사용하는 스케줄링 이론의 하나로서,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에 의한 운동 재활 기구는 신체 일부분의 재활에만 적용될 수 있고 전신의 재활에는 적용될 수 없으며, 기구의 자체 크기가 커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가격도 고가여서 기구가 설치 될 공간 및 설치 예산을 구비한 병원, 보건소, 의원 등 의료 기관 내가 아니면 사용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50060호(2010.03.22.)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신체부위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고, 재활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헬스장이나 의료기관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는, 내부에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설치틀, 상기 설치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짐볼부, 상기 설치틀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짐볼부를 이용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틀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상,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개의 상부 수평부재와 하부 수평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제1손잡이부, 상기 상부 수평부재에 고정되고, 양측이 설치틀의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제1손잡이부, 상기 상부 수평부재에 상부에 위치되는 제2손잡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손잡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상부 수평부재에 좌,우 간격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승강홀이 형성된 높낮이 조절가이드, 상기 제2손잡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홀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상기 높낮이 조절가이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에는 상기 체결부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 또는 상부 수평부재에 설치되는 제1근력강화부 및 제2근력강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치틀의 공간에 배치되고 탄성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점핑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는, 강도를 조절하면서 신체부위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재활시 단계별로 치료가 가능하며, 헬스장이나 의료 기관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된 높낮이 조절부와 제2손잡이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정밀 폐활량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된 높낮이 조절부와 제2손잡이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1)는 상체 및 하체의 근력을 강화하고자 할 경우, 재활치료를 하는 경우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틀(10), 짐볼부(20), 손잡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틀(10)은 사용자에게 운동공간을 제공하고, 본 고안을 구성하는 각 구성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수직부재(11)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수직부재(11)들의 상,하측에 다수개의 상부 수평부재(12)와 하부 수평부(13)재를 결합하여 사각틀 형상이 되도록 하므로서 완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설치틀(10)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후술되는 짐볼부(20), 제1근력강화부(50), 제2근력강화부(60) 및 점핑가이드부(70)를 통해 다양한 운동 및 재활치료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틀(10)은 사각틀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틀(10)은 사용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수직부재(11) 또는 상부 수평부재(12)에는 사용자의 어깨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근력강화부(50) 및 제2근력강화부(60)가 설치된다.
상기 제1근력강화부(50)는 핀이나 볼트 등을 통해 상기 수직부재(11) 및 상부 수평부재(12)에 고정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밴드(51) 및 상기 밴드(51)의 끝단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제3손잡이부(52)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3손잡이부(52)를 파지한 다음 팔이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을 반복할 경우, 밴드(51)의 탄성력에 의해 팔과 어깨 근력을 강화하거나 재활치료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근력강화부(50)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재(11) 및 상부 수평부재(12)에 다수개로 설치된다.
상기 제2근력강화부(60)는 상기 상부 수평부재(12)에 설치되는 것으로, 핀이나 볼트 등을 통해 상기 상부 수평부재(12)에 고정되며,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끈이나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연결부(61) 및 상기 연결부(61)의 하단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제4손잡이부(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근력강화부(60)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2개 한 쌍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근력강화부(60)를 양손으로 파지하여 매달린 상태에서 턱걸이를 하는 것 처럼 팔의 힘으로 신체를 반복적으로 올렸다 내렸다 하는 방식으로 운동을 하므로서, 팔과 어깨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근력강화부(50) 및 제2근력강화부(60)는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틀(10)에 다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짐볼부(20)는 상기 설치틀(10)의 내부공간 또는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짐볼부(20)는 대략 구 형태의 PVC 재질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내부에 공기를 채워 넣어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 탄성 스트레칭, 재활치료 등을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짐볼부(20) 중 지면과 접촉되는 저면은 사용자가 사용시 굴러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접착제 등을 통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짐볼부(20)에는 일반적인 짐볼에 구비되는 공기 출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출입구를 통해 내부에 공기를 주입되거나 또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공기가 채워진 짐볼부(20)의 상부에 올라 간 다음, 수직부재(11)에 설치된 제1손잡이부(31)를 잡고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므로서, 무릎, 발목, 허리 등 각종 신체부위의 근력을 강화하거나 재활치료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짐볼부(20)는 사용자의 압력이 가해지면 수축되고, 압력이 완화되거나 해제되면 팽창되면서 사용자의 하중을 완충 지지하므로, 짐볼부(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즉, 짐볼부(20)의 상부에 올라가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을 통해 무릎, 발목, 허리 등 전신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전방 십자인대, 후방 십자인대 및 반원판 손상에 따른 재활치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을 통해 무릎, 발목, 허리 등 각종 신체부위의 근력과 고유감각 및 허리 코어 근육을 향상 및 증진시키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운동방식은 운동강도를 약하게 하거나 재활운동에 있어서 초기나 중기에 사용하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수직부재(11)에 설치되는 제1손잡이부(31), 상기 상부 수평부재(12)에 설치되는 제2손잡이부(3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손잡이부(31)는 사용자가 상기 짐볼부(20) 및 점핑가이드를 이용시 균형을 잡기 위해 파지하는 구성으로, 파지하기 용이하게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형 막대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손잡이부(31)는 각각의 수직부재(11)에 1:1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짐볼부(20) 및 점핑가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손잡이부(31)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수직부재(11)에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부재(11)에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체결부(11a)가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31)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부(11a)에 체결되는 결합부(5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a)는 홈 또는 홀로 구성되며 내주연에는 나선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50)의 외주연에는 상기 체결부(11a)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50)가 상기 체결부(11a)에 체결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제1손잡이부(31)를 상기 수직부재(11)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신장에 맞게 제1손잡이부(3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짐볼부(20) 및 점핑가이드를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손잡이부(32,32')는 사용자가 상기 짐볼부(20)를 이용시 균형을 잡기 위해 파지하는 구성으로, 파지하기 용이하게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형 막대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부(32,3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상부 수평부재(12)의 상단 및 이와 평행하는 다른 상부 수평부재(12)의 상단에 용접 또는 볼팅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제2손잡이부(32,32')는 수평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2손잡이부(32,32')는 각각 중앙부분이 상기 상부 수평부재(12)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일측이 설치틀(1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설치틀(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짐볼부(20)의 상부에 올라선 다음 왼손으로 제2손잡이부(32)를 파지하고, 오른손으로 제2손잡이부(32')를 파지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점핑하는 방식으로 운동하므로서, 전신운동 및 재활치료를 할 수 있으며, 특히, 무릎, 발목, 허리 등 신체부위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운동방식은 운동강도를 강하게 하거나 재활운동에 있어서 후기에 사용하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2손잡이부(32,32')는 양측이 상기 설치틀(10)의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2손잡이부(32,32') 중 어느 하나의 양측을 양손으로 파지하여 매달린 상태에서 턱걸이를 하는 것 처럼 팔의 힘으로 신체를 반복적으로 올렸다 내렸다 하는 방식으로 운동을 하므로서, 팔과 어깨 근력을 강화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제1손잡이부(31) 및 제2손잡이부(32,32')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돌기 또는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상부 수평부재(12)에서 제2손잡이부(32,3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40)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낮이 조절부(40)는 높낮이 조절가이드(41), 승강부(42), 고정부(43)를 포함한다.
상기 높낮이 조절가이드(4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측에 장착홀(41b)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상부 수평부재(12) 및 이와 평행하는 다른 상부 수평부재(12)에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가이드(41)는 저면이 개방된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후술되는 승강부(42)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승강홀(41a)이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가이드(41)에는 제2손잡이부(32,32')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고정홀(41c)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41c)은 상기 높낮이 조절가이드(41)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홀(41a)과 직교한다.
상기 승강부(42)는 상기 제2손잡이부(32,32')의 중앙부분 상측에 수직 형성되며,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승강부(42)는 상기 승강홀(41a)을 따라 자유롭게 승강되어 제2손잡이부(32,32')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4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고정홀(41c)과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높낮이 조절홀(42a)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3)는 상기 높낮이 조절가이드(41)에 승강부(42)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공지의 볼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3)는 상기 높낮이 조절가이드(41)의 고정홀(41c)과 승강홀(41a)의 내부에 위치된 승강부(42)의 높낮이 조절홀(42a)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부(42)를 상기 높낮이 조절가이드(4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높낮이 조절가이드(41)의 높낮이 고정홀(41c)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고정부(43)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부(42)가 높낮이 조절가이드(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너트(N)가 체결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1)는 이와 같이 상기 높낮이 조절부(40)를 통해 제2손잡이부(32,32')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신장에 맞게 제2손잡이부(32,32')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짐볼부(20)를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점핑가이드부(70)는 사용자의 순발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발목, 무릎, 허리 등 각종 신체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략 직사각형 판 형태이며 상기 설치틀(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탄성부(7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71)는 공지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총 4개로 적용되고, 각각의 상측이 상기 점핑가이드부(70)의 저면 모서리에 부분에 결합되고, 하측이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점핑가이드부(70)를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점핑가이드부(70)의 상부에 올라선 다음 양손으로 상기 수직부재(11)에 설치된 제1손잡이부(31)를 파지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점핑하는 방식으로 운동하므로서, 순발력을 향상하고 발목, 무릎, 허리 등 각종 신체부위를 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1)는 상부 수직부재(111)와 하부 수직부재(112)로 분할 형성되고, 상부 수직부재(111)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 수직부재(112)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 수직부재(111)의 저면에서 빈 공간에 인입되는 결합편(112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수직부재(111)의 하측과 결합편(1121)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며 서로 연결되는 결합홀(111a,1121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직부재(111)와 하부 수직부재(112)는 상기 결합홀(111a,1121a)에 관통되는 볼트(B) 및 상기 볼트(B)의 끝부분에 체결되는 너트(B)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B) 및 너트(N)를 해체하여 상부 수직부재(111)와 하부 수직부재(112)를 분리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창고에 보관하거나 택배로 발송할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운동기구 10 : 설치틀
11 : 수직부재 11a : 체결부
111 : 상부 수직부재 111a,1121a : 결합홀
112 : 하부 수직부재 12 : 상부 수평부재
13 : 하부 수평부 20 : 짐볼부
30 : 손잡이부 31 : 제1손잡이부
311 : 결합부 32,32' : 제2손잡이부
40 : 높낮이 조절부 41 : 높낮이 조절가이드
41a : 고정홀 41b : 장착홀
41c : 높낮이 조절홀 42 : 승강부
42a : 승강홀 43 : 고정부
50 : 제1근력강화부 51 : 밴드
52 : 제3손잡이부 60 : 제2근력강화부
61 : 연결부 62 : 제4손잡이부
70 : 점핑가이드부 71 : 탄성부

Claims (7)

  1.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상,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개의 상부 수평부재와 하부 수평부재로 구성되며, 내부에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설치틀,
    상기 설치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짐볼부,
    상기 설치틀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짐볼부를 이용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제1손잡이부,
    상기 상부 수평부재에 상부에 위치되는 제2손잡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손잡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상부 수평부재에 좌,우 간격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승강홀이 형성된 높낮이 조절가이드,
    상기 제2손잡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홀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상기 높낮이 조절가이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에는 상기 체결부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 또는 상부 수평부재에 설치되는 제1근력강화부 및 제2근력강화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틀의 공간에 배치되고 탄성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점핑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
KR2020170002552U 2017-05-24 2017-05-24 재활운동기구 KR200484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52U KR200484175Y1 (ko) 2017-05-24 2017-05-24 재활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52U KR200484175Y1 (ko) 2017-05-24 2017-05-24 재활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75Y1 true KR200484175Y1 (ko) 2017-08-09

Family

ID=6062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552U KR200484175Y1 (ko) 2017-05-24 2017-05-24 재활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7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257A (ko) 2020-03-26 2021-10-07 장병성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KR20210120258A (ko) 2020-03-26 2021-10-07 장병성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KR20210144376A (ko) 2020-05-22 2021-11-30 이재익 장력조절수단이 포함된 전신 근력 운동 기구
KR20210145021A (ko) 2020-05-22 2021-12-01 이재익 운동량측정수단이 포함된 전신 근력 운동 기구
KR102476518B1 (ko) * 2022-04-16 2022-12-12 서민관 필라테스 도구 보관용 선반
KR20230001674U (ko) 2022-02-10 2023-08-17 (주)와플 짐볼 운동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7871A (en) * 1987-07-10 1989-02-28 Bryson Eric C Side kick machine
KR100933266B1 (ko) * 2009-02-18 2009-12-22 이용환 스프링을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100950060B1 (ko) 2007-08-30 2010-04-02 한정수 복합 관절 운동용 재활기구
US20110124476A1 (en) * 2009-11-24 2011-05-26 Terry Reed Holley Whole body exercise apparatus for use with elastic spherical ball
CN106075823A (zh) * 2016-07-07 2016-11-09 江苏大学 一种可自由调控的健身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7871A (en) * 1987-07-10 1989-02-28 Bryson Eric C Side kick machine
KR100950060B1 (ko) 2007-08-30 2010-04-02 한정수 복합 관절 운동용 재활기구
KR100933266B1 (ko) * 2009-02-18 2009-12-22 이용환 스프링을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US20110124476A1 (en) * 2009-11-24 2011-05-26 Terry Reed Holley Whole body exercise apparatus for use with elastic spherical ball
CN106075823A (zh) * 2016-07-07 2016-11-09 江苏大学 一种可自由调控的健身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257A (ko) 2020-03-26 2021-10-07 장병성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KR20210120258A (ko) 2020-03-26 2021-10-07 장병성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KR20210144376A (ko) 2020-05-22 2021-11-30 이재익 장력조절수단이 포함된 전신 근력 운동 기구
KR20210145021A (ko) 2020-05-22 2021-12-01 이재익 운동량측정수단이 포함된 전신 근력 운동 기구
KR20230001674U (ko) 2022-02-10 2023-08-17 (주)와플 짐볼 운동기구
KR102476518B1 (ko) * 2022-04-16 2022-12-12 서민관 필라테스 도구 보관용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175Y1 (ko) 재활운동기구
US7998040B2 (en) Force assistance device for walking rehabilitation therapy
Norris Abdominal muscle training in sport.
CN101415387B (zh) 用于理疗的锻炼器械
JP5903431B2 (ja) 方向可変マシ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方法
US9950211B2 (en) Weight stack pushup exercise device
US9259612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US8083654B1 (e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US6821262B1 (en) Self operable knee extension therapy device
CN112791352A (zh) 一种骨科患者用腿部锻炼装置
KR101730089B1 (ko) 괄약근 및 골반저근 운동기구
US8425381B2 (en) Exerciser and rehabilitative device
KR200451767Y1 (ko) 휴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
JP2012192107A (ja)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US4979732A (en) Exercise and rehabilitative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ing
JP2016168337A (ja) 足圧連動トレーニング器具
EP2768462B1 (en)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US5060937A (en) Exercise and rehabilitative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ing
KR100603746B1 (ko) 신체를 상하 양측으로 동시 견인하는 스트레칭운동 및 물리치료용 장치
Siff The functional mechanics of abdominal exercise
JP3640072B2 (ja) 管状シャフト両端に球状ウェイトを螺着した健康器具
CN215136540U (zh) 一种骨科患者用腿部锻炼装置
RU64918U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вес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