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257A -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 Google Patents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257A
KR20210120257A KR1020200036713A KR20200036713A KR20210120257A KR 20210120257 A KR20210120257 A KR 20210120257A KR 1020200036713 A KR1020200036713 A KR 1020200036713A KR 20200036713 A KR20200036713 A KR 20200036713A KR 20210120257 A KR20210120257 A KR 20210120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wire
saddle
backrest
circulation pip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911B1 (ko
Inventor
장병성
Original Assignee
장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성 filed Critical 장병성
Priority to KR102020003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91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09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그립부를 당기는 동작에 따라 탄성와이어의 저항력을 이용하여 근력 치료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앉아서 쉽게 재활 치료를 행할 수 있고, 또한 그립부를 당기는 것만으로 근력 운동이 되고, 그립부를 놓게 되면 스트레칭 수단은 초기상태로 자동 복귀하게 됨으로서 비교적 조작이 간단하여 숙련자가 없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재활 치료를 할 수 있음은 물론, 거동이 가능한 환자들은 선 자세에서 상면 스트레칭 수단을 이용하여 근력운동을 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로 두 사람 이상이 동시에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A remedial exercise stretching device}
본 발명은 재활용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스트레칭을 하며 재활 치료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칭(stretching)은 건(腱) ·근육을 늘리어 펼치는 체조의 일종으로, 스트레치 체조(stretchgymnastics)라고도 한다.
이러한 스트레칭은 이제까지 준비운동으로 해왔던 유연체조를 개발한 것으로 탄력이나 반동을 주지 않고 근육을 가벼운 신장(伸長)이 느낄 때까지 서서히 뻗은 후, 각자의 능력에 따라 10∼30초 동안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트레치체조는 건이나 근육에 탄력을 주고, 관절의 가동범위를 넓혀 유연성이 붙게 하므로 모든 스포츠의 컨디셔닝과 상해방지의 준비운동으로 적당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또한, 각자의 능력에 따라 실시되므로 평소에 운동부족이 되기 쉬운 학생, 노인, 주부 등에게 알맞은 체조이다.
한편, 재활을 겸한 스트레칭 기구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84175 호(명칭: 재활운동기구)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설치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짐볼부, 상기 설치틀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짐볼부를 이용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제1손잡이부, 상기 상부 수평부재에 상부에 위치되는 제2손잡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손잡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상부 수평부재에 좌,우 간격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승강홀이 형성된 높낮이 조절가이드, 상기 제2손잡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홀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상기 높낮이 조절가이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환자들이 앉아서 사용하는 것이 아님에 따라 거동이 가능한 환자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할 뿐, 거동 자체가 불편한 중증 환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장치의 조작이 어려워 숙련자가 아닌 노인이나 어린이들이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과정에서 자칫 안전사고 등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84175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이 간편하고,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스트레칭을 하며 재활 치료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를 당겨주는 것만으로 스트레칭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노인이나 비숙련자들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면 스트레칭 수단을 이용하여 선자세에서도 근력 운동을 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로 두 사람 이상이 동시에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는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력조절수단을 이용하여 탄성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안장부, 상기 안장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상기 안장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부를 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지탱하는 안장프레임, 상기 등받이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프레임, 상기 안장프레임의 하단 및 외곽을 따라 순환 연결 설치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마련된 제 1순환파이프, 상기 제 1순환파이프와 연결하여 통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각각 순환 연결 설치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마련된 제 2순환파이프, 상기 제 1, 2순환파이프의 내부 공간을 경유하며 소정의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된 탄성와이어, 상기 제 1순환파이프의 공간을 순환하는 상기 탄성와이어를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노출된 상기 탄성와이어의 외경에 결합되는 결합관, 상기 결합관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한 그립부로 구성하여, 상기 안장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를 당겨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탄성와이어의 탄력적인 저항을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행하도록 한 복수개의 측면 스트레칭 수단, 상기 제 2순환파이프의 공간을 순환하는 상기 탄성와이어를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노출된 탄성와이어의 외경에 결합되는 결합관, 상기 결합관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한 그립부로 구성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를 당겨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탄성와이어의 탄력적인 저항을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행하도록 한 복수개의 상면 스트레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으로 구동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동력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을 타고 하강하며 상기 탄성와이어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가압롤러로 구성한 장력 조절수단이 포함되어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그립부를 당기는 동작에 따라 탄성와이어의 저항력을 이용하여 근력 치료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앉아서 쉽게 재활 치료를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그립부를 당기는 것만으로 근력 운동이 되고, 그립부를 놓게 되면 스트레칭 수단은 초기상태로 자동 복귀하게 됨으로서 비교적 조작이 간단하여 숙련자가 없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거동이 가능한 환자들은 선 자세에서 상면 스트레칭 수단을 이용하여 근력운동을 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로 두 사람 이상이 동시에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안장부와 등받이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후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제 1, 2순환파이프 및 탄성와이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탄성와이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서 측면 스트레칭 수단 및 탄성와이어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서 베어링유닛을 분해하여 확대한 도면.
도 8은 도 1에서 상면 스트레칭 수단 및 탄성와이어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안장부와 등받이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후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제 1, 2순환파이프 및 탄성와이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서 탄성와이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활용 스트레칭 장치는 크게 안장부(10)와 등받이(20)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장부(1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고, 상기 등받이(20)는 상기 안장부(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게 된다.
상기 안장부(10)의 하단에는 상기 안장부(10)를 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지탱하는 안장프레임(12)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등받이(20)의 후면에는 상기 등받이(20)를 지지하는 등받이프레임(2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장프레임(12)의 하단 및 양측에는 제 1순환파이프(3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의 후방에는 상기 제 1순환파이프(30)와 연결하여 통하는 제 2순환파이프(4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 1, 2순환파이프(30, 40)의 내부에는 공간(32, 4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간(32, 42)으로는 하나의 탄성와이어(90)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통과한다. 상기 탄성와이어(90)는 자체 텐션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당겨주는 동작을 수행하면 탄력적으로 저항하며 근력 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안장프레임(12)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 1순환파이프(30)에는 측면스트레칭기구(50)가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의 후방 양측에 배치되는 제 2순환파이프(40)에는 상면스트레칭기구(70)가 각각 설치된다.
도 6은 도 1에서 측면 스트레칭 수단(50) 및 탄성와이어(90)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서 베어링유닛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측면스트레칭수단(50)은 제 1순환파이프(30)를 통과하는 탄성와이어(90)의 외경에 결합되는 결합관(52), 상기 결합관(52)에서 홀더(54)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그립부(56)로 구성한다.
상기 측면스트레칭수단(50)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안장부(10)에 착석한 상태에서 한손으로 그립부(56)를 잡고 당기는 동작에 따라 탄성와이어(90)의 탄력성을 통한 저항력으로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측면스트레칭수단(50)은 동일한 구조로 하여 안장부(10)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측면스트레칭수단(50)을 탄성와이어(9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 1순환파이프(30)의 내부 공간(32)을 순환하는 탄성와이어(90)를 노출시켜야 하며, 따라서 측면스트레칭수단(50)이 설치되는 곳의 제 1순환파이프(30)를 절개하여 탄성와이어(90)를 노출하고, 노출된 탄성와이어(90)의 외경에 측면스트레칭수단(50)의 결합관(56)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개된 제 1순환파이프(30)를 통과하는 탄성와이어(90)는 꺽여져 표면이 손상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제 1순환파이프(30)의 절개된 단부에 베어링유닛(60)을 설치하여, 탄성와이어(90)의 꺽임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베어링유닛(60)은 탄성와이어의 꺽임을 방지하면서도 당김 및 오무려짐 동작시 꺽임부위에서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유닛이다.
도 7은 베어링유닛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베어링유닛(60)은 하단으로 제 1순환파이프(30)의 절개된 단부에 끼워지는 끼움구(61)가 마련된 본체(62), 상기 본체(62)의 상면에 올려지는 베어링(63), 상기 베어링(63) 위에 올려지는 롤러 거치대(64) 및 상기 롤러 거치대(6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축 결합되며 탄성와이어(90)의 외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와이어(90)의 당김 및 오무려짐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66), 상기 롤러(66)와 롤러거치대(64) 및 베어링(63)을 감싸는 커버(68)로 구성한다.
이러한 베어링유닛(60)은 중앙으로 탄성와이어(90)가 관통하게 되는 데, 이때 탄성와이어(90)의 당김 및 오무려짐이 발생하며 베어링(63)의 수평방향 회전 및 롤러의 가이드를 통해 마찰이나 걸리적거림없이 탄성와이어의 당김 및 오무려짐 동작이 안정적으로 진행된다.
상기 롤러(66)는 4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롤러(66) 사이로 탄성와이어(90)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한다.
상기 상면 스트레칭 수단(70)은 동일한 구조로 하여 등받이프레임(22)의 후방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한다.
도 8은 도 1에서 상면 스트레칭 수단(70) 및 탄성와이어(90)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하나의 상면 스트레칭 수단을 대표하여 기술하면 상기 상면 스트레칭 수단(70)은 제 2순환파이프(40)를 통과하는 탄성와이어(90)의 외경에 결합되는 결합관(72), 상기 결합관(72)에서 홀더(74)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그립부(76)로 구성한다.
상기 상면 스트레칭 수단(70)을 탄성와이어(9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 2순환파이프(40)의 내부공간(42)을 순환하는 탄성와이어(90)를 제 2순환파이프(40) 외부로 노출시켜야 하며, 따라서 상면 스트레칭 수단(70)이 설치되는 곳의 제 2순환파이프(40)를 절개하여 탄성와이어(90)를 노출하고, 노출된 탄성와이어(90)의 외경에 측면스트레칭수단(50)의 결합관(52)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개된 제 2순환파이프(40)의 단부에는 전술한 제 1순환파이프(30)에 설치되어 지는 베어링유닛(60)을 설치하여, 상기 제 2순환파이프(40) 외부로 노출된 탄성와이어(90)의 꺽임부위에 베어링유닛을 설치하여 타성와이어의 꺽임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의 후면 하단에는 제 1, 2순환파이프(30, 40)를 경유하는 탄성와이어(9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100)이 설치된다.
상기 장력조절수단(100)은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의 후면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02), 상기 지지플레이트(102)에 지지되며 레버(104)를 돌려주는 동작에 따라 정,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리드스크류(106),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외경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나사산(106a)을 타고 상, 하 이동하는 왕복대(108), 상기 왕복대(108)에 고정 설치되어 상, 하 이동하는 연결링크(110), 상기 연결링크(11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링크(110)의 동작으로 탄성와이어(90)를 가압하는 가압롤러(112)로 구성한다. 즉, 상기 가압롤러(112)의 외경에는 전술한 탄성와이어(90)가 경유하게 되는 데, 이때 가압롤러(112)의 상, 하 이동 동작에 따라 탄성와이어(90)는 장력이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도 어려움 없이 안장부(10)에 앉은 상태에서 근력 운동 등의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다.
즉, 환자는 안장부(10)에 앉은 상태에서 안장부(10)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측면 스트레칭 수단(50)인 그립부(56)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위로 당겨주면 제 1순환파이프(30)를 통과하고 있는 탄성와이어(90)는 상기 그립부(56)의 결합관(5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56)의 당김 동작에 따라 자체 텐션력으로 탄력적으로 저항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근력 운동효과가 발휘되어 환자의 재활 치료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스트레칭 수단(50) 외에 등받이 프레임(22)의 후방에는 상면 스트레칭 수단(70)이 별도로 더 마련되어 있어, 거동이 가능한 환자도 기다릴 필요없이 선 자세에서 상면 스트레칭 수단(70)의 그립부(76)를 잡아 당겨가며 근력 운동을 함께 할 수 있다.
한편, 탄성와이어(9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력이 서서히 느슨해져 당김에 따른 저항이 점차적으로 떨어져 운동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이때에는 장력조절수단(100)인 레버를 돌려 왕복대(108)를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왕복대(108)와 연결링크(110)로 연결되어 있는 가압롤러(108)는 하강하며 탄성와이어(90)를 아래로 눌러주게 되며, 이때의 누름 압력만큼 탄성와이어(90)는 눌러지며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10: 안장부 12: 안장프레임
20: 등받이 22: 등받이프레임
30: 제 1순환파이프 40: 제 2순환파이프
50: 측면 스트레칭 수단 52: 결합관
56: 그립부 60: 베어링유닛
70: 상면 스트레칭 수단 72: 결합관
76: 그립부 90: 탄성와이어
100: 장력조절수단 104: 실린더
108: 가압롤러

Claims (2)

  1.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안장부(10);
    상기 안장부(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20);
    상기 안장부(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부(10)를 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지탱하는 안장프레임(12);
    상기 등받이(2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20)를 지지하는 등받이프레임(22);
    상기 안장프레임(12)의 하단 및 외곽을 따라 순환 연결 설치되며 내부에는 공간(32)이 마련된 제 1순환파이프(30);
    상기 제 1순환파이프(30)와 연결하여 통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의 후방 양측에 각각 순환 연결 설치되며 내부에는 공간(42)이 마련된 제 2순환파이프(40);
    상기 제 1, 2순환파이프(30, 40)의 내부 공간(32, 42)을 경유하며 소정의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된 탄성와이어(90);
    상기 제 1순환파이프(30)의 공간(32)을 순환하는 상기 탄성와이어(90)를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노출된 상기 탄성와이어(90)의 외경에 결합되는 결합관(52);
    상기 결합관(52)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한 그립부(56)로 구성하여, 상기 안장프레임(1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56)를 당겨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탄성와이어(90)의 탄력적인 저항을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행하도록 한 복수개의 측면 스트레칭 수단(50);
    상기 제 2순환파이프(40)의 공간(42)을 순환하는 상기 탄성와이어(90)를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노출된 탄성와이어(90)의 외경에 결합되는 결합관(72);
    상기 결합관(72)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한 그립부(76)로 구성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의 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76)를 당겨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탄성와이어(90)의 탄력적인 저항을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행하도록 한 복수개의 상면 스트레칭 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의 후면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02);
    상기 지지플레이트(102)에 지지되며 레버(104)를 돌려주는 동작에 따라 정,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리드스크류(106);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외경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나사산(106a)을 타고 상, 하 이동하는 왕복대(108);
    상기 왕복대(108)에 고정 설치되어 상, 하 이동하는 연결링크(110) 및 ;
    상기 연결링크(11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링크(110)의 동작으로 탄성와이어(90)를 가압하는 가압롤러(11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KR1020200036713A 2020-03-26 2020-03-26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KR10233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13A KR102331911B1 (ko) 2020-03-26 2020-03-26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13A KR102331911B1 (ko) 2020-03-26 2020-03-26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257A true KR20210120257A (ko) 2021-10-07
KR102331911B1 KR102331911B1 (ko) 2021-11-25

Family

ID=7860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713A KR102331911B1 (ko) 2020-03-26 2020-03-26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9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2307A (zh) * 2022-03-29 2022-08-02 苏州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医院护理用腿部康复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70A (ja) * 1998-12-14 2000-06-27 Toshiba Tec Corp ストレッチ機能を有する椅子
JP2004024339A (ja) * 2002-06-21 2004-01-29 Atex:Kk 身体引き伸ばし用の椅子
KR200484175Y1 (ko) 2017-05-24 2017-08-09 김금자 재활운동기구
CN207286540U (zh) * 2017-09-22 2018-05-01 赵明泽 一种多功能健身椅
US20190175975A1 (en) * 2015-04-08 2019-06-13 Aorte Fitness Inc. Kinetic resistance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70A (ja) * 1998-12-14 2000-06-27 Toshiba Tec Corp ストレッチ機能を有する椅子
JP2004024339A (ja) * 2002-06-21 2004-01-29 Atex:Kk 身体引き伸ばし用の椅子
US20190175975A1 (en) * 2015-04-08 2019-06-13 Aorte Fitness Inc. Kinetic resistance apparatus
KR200484175Y1 (ko) 2017-05-24 2017-08-09 김금자 재활운동기구
CN207286540U (zh) * 2017-09-22 2018-05-01 赵明泽 一种多功能健身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2307A (zh) * 2022-03-29 2022-08-02 苏州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医院护理用腿部康复装置
CN114832307B (zh) * 2022-03-29 2024-02-09 苏州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医院护理用腿部康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911B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899B1 (ko) 스트레치치료기
KR101506419B1 (ko) 다리 찢기 운동기구
KR20190134425A (ko) 기능성을 향상시킨 안마의자
KR200437905Y1 (ko) 전신운동장치
KR102331911B1 (ko)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US7481750B2 (en) Exercise machine
JP5391245B2 (ja) 運動補助器具
KR102331912B1 (ko)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KR101775147B1 (ko) 하체 운동 기구
WO2019098625A2 (ko) 스트레칭 기능성을 향상시킨 안마의자
KR101488502B1 (ko) 안마기능을 갖는 야외용 벤치
CN111888125B (zh) 一种辅助病人下肢康复训练的护理床
CN214105731U (zh) 一种康复锻炼用腰部拉伸装置
EP1499399B1 (en) Improved bath and apparatus therefor
KR102254963B1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102054870B1 (ko) 등척성 목근력 운동장치
CN213911220U (zh) 一种神经内科康复训练装置
JPH04174666A (ja) 運動機能回復用訓練装置
KR20200066912A (ko)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KR101908842B1 (ko) 레그 프레스 운동기구
CN201175425Y (zh) 腿部臂部保健屈伸器
KR20160003937U (ko) 다운타입 사이클 운동기구
JP2008061807A (ja) 受動式腱伸ばし運動器材構造
KR102361857B1 (ko) 슬라이딩 전신운동기
KR20190015123A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