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123A -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 Google Patents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123A
KR20190015123A KR1020180088824A KR20180088824A KR20190015123A KR 20190015123 A KR20190015123 A KR 20190015123A KR 1020180088824 A KR1020180088824 A KR 1020180088824A KR 20180088824 A KR20180088824 A KR 20180088824A KR 20190015123 A KR20190015123 A KR 20190015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inal cord
weight
cord injury
weight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569B1 (ko
Inventor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제이더블유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더블유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더블유글로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15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63B2071/0018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for wheelchair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수손상 장애인들의 재활에 필수적인 잔존근육 운동을 위하여 척수손상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신체를 고정한 채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도록 한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구는, 종방향 프레임(11),(12) 및, 종방향 프레임을 상호간에 접속하는 횡방향 프레임(13)을 가지는 베이스(10); 중량의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 스택(22),(32)을 수납하고 있는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 중간 프레임(40),(42); 중간 프레임(40),(42)에 양단이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50);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프레임부(54); 사용자의 골반과 맞닿는 패드(P)를 가지는 패드부(56); 운동부하부(20),(30) 내의 웨이트 스택(22),(32)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60),(62); 케이블(60),(62)의 인출위치 및 운동방향을 규정하는 도르래(70),(72); 및 케이블(60),(62)의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80),(8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본 발명은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척수손상 장애인들의 재활에 필수적인 잔존근육 운동을 위하여 척수손상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신체를 고정한 채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도록 한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척추는, 7개의 경추(Cervical), 12개의 흉추(Thoracic), 5개의 요추(Lumbar), 5개의 천추(sacral) 및 미추(coccyx)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문제로 되는 척수손상부위별 마비 증세는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① 경추 4번(C4)위: 사지마비 (목 부위까지의 마비)
② 경추 6번(C6)위: 사지마비 (어깨부위 또는 팔 윗부분까지의 마비)
③ 흉추 4번(T4)위: 하반신 마비 (가슴 하부의 마비로서 양팔 사용 가능)
④ 요추 1번(L1)위: 하반신 마비(허리 윗부분 사용가능, 복근 사용불가)
한편, 마비는 그의 양상에 따라 완전마비와 불완전 마비로 나눌 수 있으며, 완전마비는 근육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하고, 불완전마비는 척수신경이 완전히 손상되지는 않아서 일부의 근육에 있어서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척수손상 장애인들은 척수의 손상이 발생된 이후 병원에서의 급성기(急性期) 치료를 거쳐 아급성기(亞急性期) 때부터 재활훈련을 하게 되는데, 이 때 가장 중요한 훈련내용으로서는, 사용이 가능한 잔존기능 근육을 재활 및 강화시킴으로써 남은 생애를 살아가는데 있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이때에 습득한 운동을 계속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잔존기능 근육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이다.
대부분의 척수손상 장애인들은 척수 손상 장애의 발생 후 2년이 경과하게 되면, 지속적인 휠체어의 사용으로 인하여 체형 및 건강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휠체어를 미는 동작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척추전만 (Lordosis) 및 척추측만 (Scoliosis) 등의 증세가 나타나고, 또한 계속 앉아만 있게 되면서 어깨와 갈비뼈 (rib cage)가 내려앉게 되고, 체내에서는 횡경막이 내려감으로써 폐활량이 줄어들고, 하복부가 나오고 음식섭취량에 대비하여 운동량이 부족한 관계로 비만증세가 나타나면서 각종 성인병 등이 2차적 후유증으로서 발생하고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척수손상 장애인들은 평생을 휠체어에 의지하여 살아가야 하므로, 어깨, 목, 팔 부위 등의 근육을 계속적으로 훈련해야 하며, 척추의 형태를 최대한 현재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신체의 변형을 예방하고, 폐활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슴 및 등 부위의 훈련도 별도로 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척수손상 장애인들에게는, 이들에게 적합한 운동장비, 특히 다양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다양하게 행할 수 있는 기구의 사용이 필수적이지만, 기존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들은 척수손상 장애인들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일반적인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는, 거의 대부분 전면하부에 설치된 의자에 앉거나 혹은 벤치에 누워서 양쪽 손으로 중량물을 밀어 올리거나, 들어 올리거나 또는 웨이트 스택의 중량을 조절하고 그 웨이트 스택에 연결된 피벗 구조의 파이프 프레임 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상체와 팔 및 복부의 근력을 단련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한 종류의 것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 기구는 힘의 조절이 가능하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정상인을 위한 것일 뿐, 척수손상 장애인들에게는 별 효용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재 일부 시판되고 있는 장애인용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들은, 의자부위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가 들어갈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대책의 거의 전부이다. 정상인들의 시각에서 볼 때에는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장애인들이 운동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하체가 마비된 채로 휠체어를 타고 있는 장애인들은 마비된 하체를 지탱할 수 있는 힘이 없기 때문에, 양 손으로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동작에 대한 반작용으로 신체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에, 이들 장애인의 상체가 정상적이라고 해도 웨이트 트레이닝을 제대로 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애인들이 운동을 할 때, 케이블에 연결된 핸들을 쥐고, 잡아당기거나 또는 미는 등의 동작을 반복하게 되지만, 이들이 앉아 있는 휠체어가 약간이라도 움직이게 되거나 전도될 기미를 느끼게 되면, 장애인들은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웨이트 트레이닝을 전혀 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미국특허 제5,807,219호에 개시된 운동기구를 들 수 있다. 이 장비는 일명 컴비네이션 세트 (combination set)로 불리는 것으로서, 장비의 기능성 자체는 별로 우수하지 않지만,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상/하지 웨이트 트레이닝이 가능하며, 그다지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제작된 것이다. 이 기구에는 추가적으로, 휠체어를 탄 척수손상 장애인의 허벅지를 고정하여 신체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지지 않게 할 수 있는 패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돌아앉아서 운동할 때 밀리지 않도록 휠체어의 등받이를 막아주는 패드부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 기구는, 웨이트 스택에 연결된 케이블이 하나뿐이며, 또한 케이블에 연결된 손잡이를 양 손으로 잡고 운동해야 하는 관계로, 운동의 양태가 매우 단순하며, 케이블의 인출방향이 거의 고정되어 있어서, 운동하고자 하는 근육의 부위를 정확히 자극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고 있지는 못하며, 또한 척수 장애 및 척추의 변화로 인한 좌/우 근력의 편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좌/우가 분리된 훈련중량의 제어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척수손상 장애인은 휠체어로부터 내릴 수가 없기 때문에, 장애인 혼자의 힘으로 트레이닝 기구를 조작하고, 휠체어의 고정이 용이해야만 재활 및 생활체육으로서의 근육운동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서 척수손상 장애인이 혼자의 힘으로 운동기구의 설정 및 운동중량의 제어가 가능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출원인의 판단으로는, 상기 선행기술의 기구는 허리와 몸통까지 스스로의 힘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정도의 장애, 즉 상기에서 언급한 요추 1번의 손상으로 인하여 하반신은 마비되었지만 허리 윗부분은 사용 가능한 척추손상 장애인의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특허 제5,807,21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수 장애인들의 잔존근육운동을 위해서 필수적인, 확실한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고, 또한 운동하고자 하는 근육을 정확히 자극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척추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애 및 척추의 상태변화로 인한 좌측과 우측의 근력 편차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좌/우의 분리 훈련에 대한 중량 제어가 가능한 척추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인의 조력이 없이 척수손상 장애인 혼자만의 힘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전체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중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운동시에 휠체어에 앉아 있는 척수손상 장애인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척추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좌우의 종방향 프레임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을 상호간에 접속하는 횡방향 프레임을 가지는 베이스; 상기 좌우의 종방향 프레임 상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채로 좌측 또는 우측 팔을 이용하여 중량의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 스택을 수납하고 있는 좌우의 운동부하부;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를 상부 및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중간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부 둘레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프레임부;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내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쪽 끝단에 사용자의 골반과 맞닿는 패드를 가지는 패드부;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 내의 웨이트 스택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운동부하부로부터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내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사용자가 앉은 휠체어의 근방에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밖으로 인출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인출위치 및 운동방향을 규정하며,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는 인출도르래; 및 상기 케이블의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출도르래는 그의 외부 케이싱이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 내에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부 둘레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지지핸들을 가지는 지지핸들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핸들 프레임부는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상부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높이조절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핀공 및 상기 돌출 프레임을 상기 핀공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부의 길이조절은, 상기 패드부에 그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핀공 및 상기 패드부를 상기 돌출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핸들 프레임부의 높이조절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핀공 및 상기 지지핸들 프레임을 상기 핀공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프레임부의 내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쪽 끝단에 사용자의 골반과 맞닿는 패드를 가지는 패드부가 휠체어 및 그에 앉아있는 장애인을 고정하도록 형성되었기 때문에, 척수손상 장애인들의 잔존근육운동을 위해서 필수적인 확실한 휠체어 고정수단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척수손상 장애인 별로, 혹은 장애인의 장애 정도에 따라서 운동하고자 하는 목표근육을 정확히 자극할 수 있도록, 특정 근육에 대한 운동을 유발하는 케이블의 인출위치 및 운동방향을 사용자 스스로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의 운동부하부는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채로 좌측 또는 우측 팔을 이용하여 중량의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 스택을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장애 및 척추의 상태 변화로 인한 좌측과 우측의 근력 편차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좌/우의 분리 훈련에 대한 중량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인의 조력이 없이 척수손상 장애인 혼자만의 힘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전체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웨이트 스택의 중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이 양팔로 케이블 측면 들어올리기 (cable lateral raise)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이 한쪽 팔로는 본원 발명에 따른 지지핸들 프레임부의 지지핸들을 붙잡고 다른 한쪽 팔로는 케이블 측면 들어올리기 (cable lateral raise)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이 양팔로 쇼울더 프레스 (shoulder press)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이 한쪽 팔로는 지지핸들 프레임부의 지지핸들을 붙잡고 한쪽 팔로는 쇼울더 프레스 (shoulder press)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도 5a 및 도 5b는 측면사진, 도 5c 및 도 5d는 배면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이 양팔로 업라이트 로우 (upright row)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이 한쪽 팔로는 지지핸들 프레임부의 지지핸들을 붙잡고 한쪽 팔로는 업라이트 로우 (upright row)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이 양팔로 지지핸들 프레임부의 지지핸들을 붙잡고 양팔 및 등근육의 스트레칭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이 한쪽 팔로는 패드를 잡고, 다른 한쪽 팔로는 지지핸들 프레임부의 지지핸들을 붙잡고 한쪽 팔 및 등 근육의 스트레칭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는, 장애인이 앉아 있는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좌우로 배치된 종방향 프레임(11),(12)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11),(12)을 대략 중간부에서 상호간에 접속하는 횡방향 프레임(13)으로 구성되는 베이스(10)를 가지며, 따라서 베이스(10)는 대략 H자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2개의 좌우 종방향 프레임(11),(12)의 한쪽 끝단에는 대략 45도 정도로 비스듬하게 직립하여 세워진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의 내부에는 중량물인 웨이트 스택(22),(32)이 수납되며, 사용자는 웨이트 스택(22),(32)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각종 웨이트의 중량을 선택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웨이트 스택은 척수손상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전방으로 팔을 뻗어 운동부하부(20),(30) 내의 웨이트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웨이트 스택의 상부에는 케이블(60),(62)이 연결되어 있고, 이 케이블(60)은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의 상부에 설치된 도르래(도시않됨)를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운동부하부(20),(30)로부터 상기 종방향 프레임(11),(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연장되고, 사용자가 앉은 휠체어의 근방에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11),(12)에 뚫려 있는 구멍에 설치된 각 인출 도르래(70),(72)를 통하여 종방향 프레임(11),(12)의 바깥쪽으로 인출된다.
이들 인출 도르래(70),(72)는 케이블(60),(62)이 인출되는 인출위치와, 사용자가 실시하고자 하는 운동의 방향 및 궤적 등을 규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60),(62)의 끝단에는 척수손상 장애인이 손으로 잡고 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80),(82)가 구비된다.
운동부하부(20),(30) 내의 웨이트 스택(22), (32) 및 케이블(60),(62) 또는 도르래에 대한 구성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내용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언급은 생략한다.
도 1로 돌아가면,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의 사이에는 이들 운동부하부(20),(3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40),(42)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된다. 이 중간 프레임(40),(42)들은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를 연결할 뿐 아니라,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척수손상 장애인과 휠체어를 웨이트 트레이닝 시에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척수손상 장애인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의 기본적이며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장애인이 혼자서 사용하기가 쉽고, 스스로 운동의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즉,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고자 하는 장애인이 타인의 도움이 없이 부하의 무게, 좌/우 중량의 밸런스 설정 및, 휠체어 및 자신의 신체의 고정 등을 혼자서 하게 된다. 척추손상 장애인을 위한 재활 리프트 트레이닝은 좌/우 분리된 중량의 조절을 통해 필요한 부하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운동부하부는 반드시 좌우가 분리되어야만 함과 동시에, 좌/우측 밸런스도 설정 및 조절이 가능해야만 한다.
또한,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장비들은 손잡이가 피벗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밀거나 당길 때 그 궤적이 변하게 되어 있는데, 일반인들이 근육운동을 하는 경우 주동근, 보조근이 복합적으로 쓰여서 큰 문제가 없지만, 척수손상 장애인들의 경우, 일부 잔존기능 근육만을 사용할 수 있을 뿐이며, 또한 잔존기능 근육의 훈련목적상, 정확한 근육에 정확한 운동을 유발해야 하며, 따라서 운동의 방향과 움직임을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운동의 방향 및 궤적을 임의로 조정하면서도 정확하게 케이블을 인출하기 위하여 인출 도르래(70),(72)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인출도르래(70),(72)는 그의 외부 케이싱이 종방향 프레임(11),(12)에 형성된 구멍 내에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11),(12)의 폭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의도하는 근육에 대한 정확한 운동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인출위치 및 인출각도와 운동방향 등이 정확하게 규정되어야 하며, 케이블의 전/후방향 인출위치는 휠체어의 이동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지만, 케이블이 인출되는 각도는 도르래가 좌우방향으로 요동가능한 것이어야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본적인 운동부하부(20),(30) 및 그에 연결된 케이블(60),(62)을 이용하여 운동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애인의 신체 및 휠체어가 확실하게 고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휠체어 고정은 단순히 휠체어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의 고정이 아니라, 골반부위를 최대한 몸의 안쪽으로, 그리고 90도 각도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신체와 휠체어를 동시에 고정시켜야만 장애인이 안심할 수 있고, 또한 근력의 발휘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중간 프레임(40),(42)에 양단이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50)의 외부 둘레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프레임부(54)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 프레임부(54)의 내부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쪽 끝단에 사용자의 골반과 맞닿는 원기둥 형상의 패드(P)를 가지는 패드부(56)를 구성하였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상하방향 표면에는 다수 개의 핀공(5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 프레임부(54)에는 상기 핀공(51)에 고정되는 고정핀(532)이 구비되어 있어서, 지지 프레임(50) 외부에서 돌출 프레임부(54)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 또한, 척수손상 장애인이 혼자서 행할 수 있는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한편, 돌출 프레임부(54)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패드(P)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패드부(56)의 표면에도 다수 개의 핀공(도시않됨)이 형성되며, 돌출 프레임부(54)에 구비된 고정핀(534)에 의하여 전후 방향의 길이를 사용자 본인이 임의로 조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는, 상기 지지 프레임(50)의 외부 둘레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지지핸들(H)을 가지는 지지핸들 프레임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핸들 프레임부(52)는 상기 돌출 프레임부(54)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척수손상 장애인은 상기 지지핸들 프레임부(52)에 설치된 지지핸들(H)을 양손으로 잡고 스트레칭 운동을 하거나, 혹은 좌/우 어느 한쪽의 팔만으로 손잡이(80),(82)를 잡고 운동을 할 때 다른 한 손으로 상기 지지핸들(H)을 잡음으로써 신체 및 휠체어를 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 및 양태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쓰고자 하는 장애인은, 휠체어를 탄 채로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의 웨이트 스택의 중량을 조정한 후, 베이스(10)의 횡방향 프레임(13)의 앞쪽까지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양쪽 어깨의 수직 하방 위치가 케이블(60),(62)의 인출위치와 동일선상에 오도록 휠체어를 앞뒤로 움직여서 최종위치를 정한 후, 휠체어의 바퀴에 달린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지지프레임(50) 상에 설치된 지지핸들 프레임부(52)의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핀(530)을 지지프레임(50) 상의 핀공(51)에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돌출프레임(54)의 내부에 삽입된 패드부(56)의 길이를 조절하여, 패드(P)가 골반 안쪽의 깊숙한 위치에 오도록 한 후, 지지프레임(50) 상에 설치된 돌출프레임부(54)를 최대한 내려누른 후, 고정핀을 핀공(5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끝내면 사용자는 휠체어와 몸통부위가 완전히 고정되어 안정적인 운동이 가능해진다.
이후, 손잡이(80),(82)를 양 손 또는 한 손으로 파지한 후 운동을 시작한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이 양팔로 케이블 측면 들어올리기 (cable lateral raise)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이러한 측면 들어올리기 운동은 어깨의 삼각근만을 자극하여 발달시키기 위한 운동이며, 도 2a에서 내려져 있던 양 팔을 그대로 들어올려 도 2b의 위치까지 오도록 한다. 사용자의 지면에 대한 손의 위치는 운동 전에는 종방향 프레임(11),(12)의 바로 상방에 위치하지만, 들어올린 후에는 종방향 프레임(11),(12)의 바깥 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한쪽 팔로는 본 발명의 지지핸들 프레임부(52)의 지지핸들(H)을 붙잡고 다른 한쪽 팔로는 손잡이(82)를 받은 채로 래터럴 레이즈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나타내고 있는 도 3a 및 도 3b로 부터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있어서의 인출 도르래(70),(72)는, 척수손상 장애인의 재활을 위하여 잔존기능 근육을 정확하게 운동시키기 위한 케이블(60),(62)의 인출위치 및 인출각도와 운동방향 등을 규정하는 작용을 함을 알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원발명의 기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이 양팔로 쇼울더 프레스 (shoulder press)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쇼울더 프레스 운동은 운동 부위가 어깨이며, 주운동 근육 부위는 삼각근 (deltoid), 부운동 근육 부위는 상완 삼두근 (triceps), 승모근 상부 (upper trapezius) 등이다.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가 한쪽 팔로는 본원 발명의 지지핸들 프레임부(52)의 지지핸들(H)을 붙잡고 한쪽 팔로는 쇼울더 프레스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도 5a 및 도 5b는 측면사진, 도 5c 및 도 5d는 배면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도 5c 및 도 5d에 보다 분명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운동시작 전의 팔의 위치가 운동 후에는 좀 더 사용자의 몸통 쪽에 가깝게 위치됨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도, 본 발명의 인출 도르래(70),(72)가 케이블(60),(62)의 인출위치 및 인출각도와 운동방향 등을 규정함을 알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기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이 양팔로 업라이트 로우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 동작은 승모근과 전면 및 측면 삼각근을 발달시키기 위한 운동으로서, 프레스 운동과 레이즈 운동의 중간 타입의 운동이라 할 수 있으며, 주운동 근육 부위는 삼각근 (deltoid), 부운동 근육 부위는 승모근 상부 (upper trapezius)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한쪽 팔로는 지지핸들 프레임부의 지지핸들을 잡고 한쪽 팔로만 업라이트 로우 운동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사용자가 양팔로 지지핸들 프레임부(52)의 지지핸들(H)을 붙잡고 양팔 및 등근육의 스트레칭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9a 및 도 9b는 사용자가 한쪽 팔로는 패드(P)를 잡고 다른 한쪽 팔로는 지지핸들 프레임부의 지지핸들을 붙잡은 상태로 한쪽 팔 및 등 근육의 스트레칭을 하는 경우의 동작 전 및 동작 후 자세를 각각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에 의하면, 척수손상에 의하여 모든 근육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장애인이, 재활에 필수적인 잔존근육 운동을 위하여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혼자의 힘으로 편리하고 확실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특정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동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Claims (6)

  1.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좌우의 종방향 프레임(11),(12)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을 상호간에 접속하는 횡방향 프레임(13)을 가지는 베이스(10);
    상기 좌우의 종방향 프레임(11),(12) 상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채로 좌측 또는 우측 팔을 이용하여 중량의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 스택(22),(32)을 수납하고 있는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를 상부 및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40),(42);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중간 프레임(40),(42)에 양단이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50);
    상기 지지 프레임(50)의 외부 둘레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프레임부(54);
    상기 돌출 프레임부(54)의 내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쪽 끝단에 사용자의 골반과 맞닿는 패드(P)를 가지는 패드부(56);
    상기 좌우의 운동부하부(20),(30) 내의 웨이트 스택(22),(32)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운동부하부(20),(30)로부터 상기 종방향 프레임(11),(12)의 내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사용자가 앉은 휠체어의 근방에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11),(12)의 밖으로 인출되는 케이블(60),(62);
    상기 케이블(60),(62)의 인출위치 및 운동방향을 규정하는 도르래(70),(72); 및
    상기 케이블(60),(62)의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80),(82);
    를 포함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70),(72)는 그의 외부 케이싱이 상기 종방향 프레임(11),(12)에 형성된 구멍내에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11),(12)의 폭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50)의 외부 둘레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지지핸들(H)을 가지는 지지핸들 프레임부(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핸들 프레임부(52)는 상기 돌출 프레임부(54)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프레임부(54)의 높이조절은, 상기 지지프레임(50)에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핀공(51) 및 상기 돌출 프레임(54)을 상기 핀공(51)에 고정시키는 고정핀(532)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56)의 길이조절은, 상기 패드부(56)에 그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핀공 및 상기 패드부(56)를 상기 돌출 프레임(54)에 고정시키는 고정핀(534)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핸들 프레임부(52)의 높이조절은, 상기 지지프레임(50)에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핀공(51) 및 상기 지지핸들 프레임(52)을 상기 핀공(51)에 고정시키는 고정핀(53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1020180088824A 2017-08-04 2018-07-30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102022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99128 2017-08-04
KR1020170099128 2017-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123A true KR20190015123A (ko) 2019-02-13
KR102022569B1 KR102022569B1 (ko) 2019-11-04

Family

ID=6536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824A KR102022569B1 (ko) 2017-08-04 2018-07-30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414B1 (ko) * 2021-12-02 2024-03-12 대한민국 몸통 운동 보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7685A (en) * 1992-02-11 1994-01-11 Phillip Gonzales Wheelchair occupant motion stabilizer for exercise machines
JPH09512469A (ja) * 1994-05-09 1997-12-16 シー ウィットリー ネビル 身体障害者用の運動練習器具
US5807219A (en) 1995-12-28 1998-09-15 Webber; Randall T. Exercise apparatus adaptable for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users
US20090017997A1 (en) * 2006-02-15 2009-01-15 Darren Piggins Compact Gym
JP5009731B2 (ja) * 2007-09-13 2012-08-22 近鉄スマイルサプライ株式会社 自力歩行訓練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7685A (en) * 1992-02-11 1994-01-11 Phillip Gonzales Wheelchair occupant motion stabilizer for exercise machines
JPH09512469A (ja) * 1994-05-09 1997-12-16 シー ウィットリー ネビル 身体障害者用の運動練習器具
US5807219A (en) 1995-12-28 1998-09-15 Webber; Randall T. Exercise apparatus adaptable for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users
US20090017997A1 (en) * 2006-02-15 2009-01-15 Darren Piggins Compact Gym
JP5009731B2 (ja) * 2007-09-13 2012-08-22 近鉄スマイルサプライ株式会社 自力歩行訓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569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0045B2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synchronized body motions of a user
US10143606B2 (en) Sit-to-stand apparatus and method
US7597656B2 (en) Therapeutic exercise device
EP3265043B1 (en) Patient transfer and training aid
US5397171A (en) Gait assistance harness apparatus
KR102022567B1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US6422982B1 (en) Chiropractic exerciser
KR20100041707A (ko) 균형 및 신체 방향 지지 장치
US7976446B2 (en) Exercise apparatus
US6592501B1 (en) Back rehab exercise table
KR101739686B1 (ko)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
US10130835B1 (en) Three exercise combination device to alleviate sciatica and low back pain
KR102054767B1 (ko) 운동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건강침대 시스템
CN204246289U (zh) 多功能颈肩腰背痛防治仪
KR102022569B1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US11395755B2 (en) Method for applying spinal traction
EP2768462B1 (en)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KR102337722B1 (ko)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CN105616051A (zh) 多功能颈肩腰背痛防治仪
US20100311554A1 (en) Upper torso exercise apparatus
JP3107948U (ja) 指圧健康器具兼運動器具
CN109771903A (zh) 一种神经外科术后护理康复装置
KR20110058166A (ko) 재활운동기구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