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722B1 -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722B1
KR102337722B1 KR1020210030906A KR20210030906A KR102337722B1 KR 102337722 B1 KR102337722 B1 KR 102337722B1 KR 1020210030906 A KR1020210030906 A KR 1020210030906A KR 20210030906 A KR20210030906 A KR 20210030906A KR 102337722 B1 KR102337722 B1 KR 102337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user
upper body
exercise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석
Original Assignee
김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석 filed Critical 김범석
Priority to KR102021003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42Lying down
    • A63B2208/0257Lying down pr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체 및 복근 운동 위주의 벤치형 제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하체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체의 허용 범위 내 젖힘과 숙임을 반복 유도 내지 안내함에 따라 기립근과 둔근, 하지근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인 자극 유발로 인해 해당 부위가 교정 및 강화되고, 나아가 운동의 난이도를 설정할 수 있는 보조 수단과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에 기인하여 다양한 신체 조건의 사용자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어 다양성과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 아니라 극히 간소화된 구성만으로도 광범위한 운동이 가능하여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양 무릎이 지지되는 제1패드(10);와, 제1패드 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양다리가 구속되는 고정부(20);와, 제1패드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체나 양팔이 지지되는 제2패드(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Multipurpose physical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신체의 국소 부위에 대한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운동기구 및 운동방법에 관하여 개시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상체 및 복근 운동 위주의 벤치형 제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하체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체의 허용 범위 내 젖힘과 숙임을 반복 유도 내지 안내함에 따라 기립근과 둔근, 하지근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인 자극 유발로 인해 해당 부위가 교정 및 강화되고, 나아가 운동의 난이도를 설정할 수 있는 보조 수단과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에 기인하여 다양한 신체 조건의 사용자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어 다양성과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 아니라 극히 간소화된 구성만으로도 광범위한 운동이 가능하여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근육은 질긴 힘줄로 뼈와 연결되어 있으며, 근육이 오므라들면 뼈를 잡아당기고 근육이 늘어나면 뼈를 놓기 때문에 신체를 움직이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근육은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단단하게 강화되면서 근력이 향상되므로 신체의 움직임을 수월하게 함과 동시에 뼈와 내장기관들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근육은 점차 퇴화하여 해당 부위의 면역력을 저하시키거나 피부 노화, 움직임 저하 등 신체의 악영향을 유발하므로 대다수 국소적 근육 발달을 도모하는 기구를 활용하여 이를 보충하고 있다.
전술한 기구는 운동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고, 대체로 크기가 크고 무거우며 고가의 가격으로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과 설치를 위한 공간적 여유가 요구되었는바, 최근에는 하나의 운동기구만으로도 다양한 부위를 자극할 수 있는 다용도 및 다기능의 운동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0867117호 "다용도 헬스기구"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메인프레임의 일측에서 직교되게 형성된 지지바와 메인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메인프레임의 타측과 힌지축에 의해 힌지 연결되며 일측으로 연장되어 발고정부를 형성한 벤치와, 상기 벤치의 회동 시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프레임의 눕힌 상태 또는 세운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운동이 가능한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 운동기구는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운 운동기구를 눕혔다가 세우는 등의 행위를 통해서만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상 많은 불편함이 동반되었다.
한편, 동일한 목적을 가진 다른 사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0248606호 "다용도 헬스기구"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지면에 배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구동부와, 구동부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눕도록 유도하는 매트로 구성되고, 이 구성은 사용자가 매트에 누워 상체와 허리 및 하체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구동부를 작동시킴에 따라 매트의 각도 가변이 이루어지면서 각운동부터 물구나무 서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운동 효과를 발휘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해당 기술은 근력 운동과는 거리가 멀고, 단순히 각운동과 물구나무 서기와 같은 운동방법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다용도 운동기구라고 판단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취급과 사용 그리고 보관이 극히 용이하면서 별도의 추가 설치 및 구조적 변경 없이 최초 설치 상태 그대로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고, 이를 활용한 운동 시 전신의 근육을 자극하되, 특히 척추와 엉덩이, 허벅지 등 불특정 다수의 국소 부위를 집중적으로 자극하여 건강한 신체 유지를 도모되게 하는 운동기구를 개발하게 되었고, 이로부터 개발된 운동기구의 뛰어난 구조와 우수한 기능을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67117호 "다용도 헬스기구" 등록특허공보 제10-0248606호 "다용도 헬스기구"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운동 경력과 상관없이 사용법이 단조롭고 구조적으로 위험부담이 최소화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접근성이 뛰어난 벤치형 운동기구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되, 이의 제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누워서 하는 운동과 엎드려서 하는 운동이 하나의 운동기구에서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다용도의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대인의 생활방식에 따른 근육의 부재로 가장 많은 통증을 겪는 척추와 엉덩이, 허벅지 등의 주요 국소 부위를 집중적으로 자극 유도함에 따라 근육의 발달을 초래하여 사용자의 신체 개선에 효과적인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른 기구의 세부 구조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덧붙여 세부 구조 조절에 기인하여 운동의 난이도를 설정할 수 있는 맞춤형 운동기구의 제공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용도 운동기구는 사용자 양 무릎이 지지되는 제1패드(10);와, 제1패드 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양다리가 구속되는 고정부(20);와, 제1패드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체나 양팔이 지지되는 제2패드(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패드(1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하도록 사방위에 대한 위치 조절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패드(3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하도록 사방위에 대한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선택적인 각도 가변에 기인하여 기구의 이용 난이도가 순차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20)는 사용자의 상체 기립을 보조하는 보조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40)는 지면에서 수직 배치되는 입설대(41)와, 입설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리부재(42)와, 고리부재에 엮임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신축 소재의 밴드부재(43)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부(40)는 저면에서 수직 배치되는 입설대(41)와, 사용자의 양손 파지를 유도하는 그립부(44)와, 입설대 후방에서 다단 적층되며 선택적으로 무게가 조절되는 중량부(45)와, 입설대 상단에 설치되는 도르래(46)와, 중량부와 그립부 사이를 연결하며 도르래를 매개로 그립부에 중량부의 무게를 부여하는 케이블(47)을 포함한다.
상기 다용도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방법으로는 제1패드(10)에는 무릎을 지지하고 제2패드(30)에는 상체 및 양팔을 지지하며 고정부(20) 하측에 발 뒷꿈치를 밀착시켜 하체를 구속한 상태에서 무릎 또는 엉덩이를 기준으로 상체를 젖힘하여 기립근(起立筋과 둔근(臀筋) 및 하지근(下肢筋)의 수축 작용을 유도하고, 젖힘된 상체를 제2패드로 밀착시켜 수축된 근육의 이완 작용을 유도하되 상기 과정을 반복하며, 사용자는 신체 조건에 맞춰 상기 제2패드(30)의 틸트 각도 조절 내지 보조부(40)의 조작으로 운동의 난이도를 조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틸팅부재(50)는 메인프레임(a)과 제2패드(30)의 저부를 연결하는 제1지지대(51)와, 메인프레임(a)과 제1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지지대(5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51)는 일측단부가 메인프레임(a)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단부는 제2패드(30)의 저부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제2패드를 메인프레임에 밀착시키거나 제2패드를 메인프레임의 회동 범위 내에서 수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52)는 일측단부가 메인프레임(a)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52a)과, 일측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삽재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며 타측이 제1지지대(5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축부(52b)와, 하우징으로 인출 또는 인입된 축부의 위치를 구속되게 하는 고정부재(52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팅부재(50)는 하우징(52a) 내부로 축부(52b)의 인입출 정도에 따라 제1지지대(51)의 각도가 변이되고, 제1지지대와 연계되는 제2패드(30)의 높낮이와 각도가 순차 변경되면서 사용자의 상체 숙임 범위가 조절되어 운동의 난이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방법으로는 제1패드(10)와 고정부(20) 및 제2패드(30)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춰 세팅하는 기구 세팅단계(S10);와, 제1패드에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상체가 기립되게 위치되고 고정부를 통해 하체를 구속하는 기구 착석단계(S20);와, 하체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상체를 제2패드로 밀착시키는 상체 지지단계(S30);와, 제2패드에 허벅지 또는 엉덩이 또는 허리의 힘을 이용하여 밀착된 상체를 서서히 기립시키는 상체 기립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 지지단계(S30)와 상체 기립단계(S40)의 반복적인 수행으로 기립근(起立筋과 둔근(臀筋) 및 하지근(下肢筋)의 이완과 수축 작용을 유도하여 신체 국소 부위를 강화 및 개선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기구 세팅단계(S10)는 제1패드(10)를 지면으로부터 원하는 높이로 이격시키면서 제2패드(30)와의 수평 상태를 맞추는 제1패드 세팅단계(S11)와, 제2패드(30)를 제1패드와 수평 상태를 맞추고 신체조건에 따라 제1패드와 거리 간격을 수정하는 제2패드 세팅단계(S12)와, 고정부(20)를 제1패드로부터 원하는 높이로 이격시켜 발목 진입의 수월 여부를 판단하고 신체조건에 따라 제1패드와 거리 간격을 수정하는 고정부 세팅단계(S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구 착석단계(S20)는 사용자의 양 무릎을 제1패드(10)에 각각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는 제1패드 착석단계(S21)와, 제1패드에 양 무릎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양쪽 발을 제1패드와 고정부(20) 사이로 진입시켜 발 뒷목을 고정부 하단에 밀착 고정시키는 하체 고정단계(S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체 지지단계(S30)는 고정부(20)에 하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허벅지와 엉덩이 및 허리의 힘을 이용하여 상체를 제2패드(30)에 서서히 접근시켜 밀착되게 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 강도에 따라 양팔은 허리 뒷쪽으로 위치시키거나 상체 앞쪽 어깨넓이로 위치시킴으로써 운동의 강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체 지지단계(S30)는 제1패드(10)와 제2패드(30)를 서로 수평하게 배치함으로써 0°~ 90°의 숙임 및 젖힘 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해당 조건으로 운동 수행이 불가능할 경우 틸팅부재(50)의 고정부재(52c)를 구속 해제하는 고정부재 해제단계(S31)와, 파지부(53)를 이용하여 제2패드(30)을 들어올려 하우징(52a)으로부터 축부(52b)를 인출시켜 제2패드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틸팅부재 조작단계(S32)와, 각도가 변경된 제2패드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고정부재를 다시 구속시키는 각도 결정단계(S3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체 기립단계(S40)는 고리부재(42)에 밴드부재(43)를 설치하는 밴드 설치단계(S41)와, 양팔을 뒤로 젖혀 밴드부재를 파지하는 밴드 파지단계(S42)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밴드부재로도 상체 기립이 어려울 경우 중량부(45)의 무게를 선정하는 무게 선정단계(S43)와, 양팔을 뒤로 젖혀 그립부(44)를 파지하는 그립부 파지단계(S4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패드와 고정부의 조합으로 사용자의 하체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구속시킨 상태에서 무릎이나 엉덩이 또는 척추의 힘을 이용하여 상체를 기립시키는 단순 행위만으로 전신은 물론 일상생활로는 발달 및 개선이 어려운 기립근, 둔근, 하지근의 국소 부위를 집중 자극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패드에 착석하여 하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체를 상측으로 서서히 기립시킴에 따라 기립근, 둔근, 하지근의 국소 부위를 자극하는 운동 외에도 전반적으로 기존의 벤치형 운동기구의 구조로 이루어져 기존의 벤치형에서 시도하던 모든 종류의 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또 다른 운동기구를 보유할 필요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운동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패드와 고정부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한 사방위로의 위치 선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에 대한 제한성이 적극 타개되며, 나아가 제2패드의 각도 조절 기능으로 운동 난이도의 선택적 변경에 기인하여 사용자의 컨티션에 따른 맞춤형 운동으로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5와 도 6은 하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패드의 도움으로 상체의 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7과 도 8은 하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보조부의 도움으로 상체의 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용도 운동기구를 활용한 운동방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플로차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신체의 국소 부위에 대한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운동기구 및 운동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상체 및 복근 운동 위주의 벤치형 제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하체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체의 허용 범위 내 젖힘과 숙임을 반복 유도 내지 안내함에 따라 기립근과 둔근, 하지근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인 자극 유발로 인해 해당 부위가 교정 및 강화되고, 나아가 운동의 난이도를 설정할 수 있는 보조 수단과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에 기인하여 다양한 신체 조건의 사용자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어 다양성과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 아니라 극히 간소화된 구성만으로도 광범위한 운동이 가능하여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양 무릎이 지지되는 제1패드(10);와, 사용자의 양다리가 구속되는 고정부(20);와, 사용자의 숙임 범위를 제한하면서 상체 또는 양팔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패드(3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0)는 사용자의 기립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보조부(40);가 더 포함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패드(10)와 제2패드(30)는 각 상단이 쿠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재질의 제1, 2패드는 사용자의 착석 및 피부와 접촉시 소정의 완충 작용이 발휘되어 편안한 착석감을 부여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완화시킨다. 또한, 상기 제1패드(10)와 제2패드(30)는 바닥에 배치된 메인프레임(a)상에서 각각 용접되어 일체로 구성되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됨에 따라 사용자의 안락한 착석 도모와 바닥의 한기로부터 회피된다.
상기 제1패드(10)와 제2패드(3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하도록 사방위에 대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방위 위치 조절은 메인프레임(a)과 제1 또는 2패드(10, 30)의 연결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예시로 슬롯 조절방식, 핀 조절방식, 실린더 조절방식, LM가이드 조절방식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슬롯 조절방식은 메인프레임(a)과 제1패드(10) 또는 메인프레임과 제2패드(30)의 상호 연결부위에 각각 슬롯과 1개소의 홀을 형성하고, 서로 동심원상에 배치시킨 후 중길이볼트와 너트로 구속 조립한다. 예컨대 메인프레임(a)에 슬롯이 마련되고 제1패드(10) 또는 제2패드(30)에 1개소의 홀이 마련된 형태일 경우, 너트를 풀어 제1패드 또는 제2패드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제1패드 또는 제2패드를 메인프레임의 슬롯이 허용하는 범위 내 위치 이동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서 너트를 조임하는 방식이다.
상기 슬롯 조절방식은 메인프레임(a) 또는 제1, 2패드(10, 30)의 상호 연결 부위에 슬롯 또는 홀을 서로 대응 형성하여 중길이볼트와 너트로 서로 구속 조립한다.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a)의 연결 부위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제1, 2패드(10, 30)의 연결 부위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과 홀을 동일선상에 배치시킨 후 중길이볼트로 슬롯과 홀을 관통시켜 너트로 고정한다. 그리고 필요시 너트를 풀어 제1, 2패드(10, 30)를 자유롭게 하며 메인프레임(a)의 슬롯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승강 또는 하강시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다시 너트로 구속하여 위치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핀 조절방식은 메인프레임(a)은 홀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기설정 간격 복수 형성되고, 제1패드(10) 또는 제2패드(30)에는 1개소의 홀이 형성되어 메인프레임의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의 홀과 동심원상에서 중길이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체화 구속 조립된다. 그리고 필요시 너트를 풀어 중길이볼트를 제거한 후 제1패드(10) 또는 제2패드(30)의 홀을 메인프레임(a)의 원하는 홀에 위치 변경시켜 다시 중길이볼트와 너트로 구속함에 따라 수직이나 수평방향에 대한 위치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 조절방식은 메인프레임(a)과 제1패드(10) 또는 메인프레임과 제2패드(30)에 각각 실린더바디와 로드를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서로 일체화 조립되며, 필요에 따라 실린더를 작동시켜 사방위로의 위치를 조절되게 한다. 예컨대 제1 또는 제2패드(10, 30)의 승하강을 위해 실린더를 메인프레임(a)과 제1, 2패드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제1 또는 제2패드의 수평 이동을 위해 메인프레임과 제1, 2패드 사이에 로드레스실린더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LM가이드 조절방식은 메인프레임(a)과 제1패드(10) 또는 메인프레임과 제2패드(30)에 각각 LM레일 또는 LM블록이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서로 일체화 조립되며, LM레일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제1패드 또는 제2패드를 자유롭게 위치 이동시킨 후 별도의 스토퍼나 고정수단으로 선택된 위치를 구속시킨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용도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이나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메인프레임(a)과 제2패드(30)간에 틸팅부재(50)가 마련되어 제2패드의 각도 조절 기능이 부여된다.
상기 제2패드(30)는 메인프레임(a)과 틸팅부재(50)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제2패드는 틸팅부재의 조작에 의해 설정 범위내에서 각도가 조절되고, 이로부터 사용자의 상체 숙임 범위가 조절되어 운동의 난이도가 제어된다.
상기 틸팅부재(50)는 메인프레임(a)과 제2패드(30)의 저부를 연결하는 제1지지대(51)와, 메인프레임(a)과 제1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지지대(52)와, 제2패드를 인력으로 조작되게 하는 파지부(53)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대(51)는 일측단부가 메인프레임(a)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단부는 제2패드(30)의 저부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제2패드를 메인프레임에 밀착시키거나 제2패드를 메인프레임의 회동 범위 내에서 수직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지대(52)는 일측단부가 메인프레임(a)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52a)과, 일측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삽재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며 타측이 제1지지대(5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축부(52b)와, 하우징으로 인출 또는 인입된 축부의 위치를 구속되게 하는 고정부재(52c)로 구성된다.
상기 파지부(53)는 제2패드(30) 저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고, 설정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손잡이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틸팅부재(50)는 하우징(52a) 내부로 축부(52b)의 인출 또는 인입 정도에 따라 제1지지대(51)의 각도가 변이되고, 결과적으로 제2패드(30)의 높낮이와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 숙임 범위가 조절되어 운동의 난이도가 제어된다.
상기 고정부(20)는 제1패드(10)의 후방에 설치되며, 메인프레임(a)으로부터 수직 형성되는 입설대(41)에 일체화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0)는 표면이 쿠션 재질로 이루어져 제1패드(10) 또는 제2패드(3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신체 접촉시 완충효과에 대한 안락함과 스트레칭에 의해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고정부(20)는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입설대(41)의 양측에 각각 한쌍이 설치되며, 설치 높이는 제1패드(10)보다 다소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목 부위를 거치되게 한다.
도 5와 도 6은 하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패드의 도움으로 상체의 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또는 6과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운동기구는 제1패드(10)와 고정부(20) 및 제2패드(30)가 메인프레임(a)이 허용하는 공간 내에 모두 설치되어 일체화된 구성을 가진다. 사용자는 제1패드(10)에 양측 무릎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1패드와 고정부(20)의 사이공간으로 양발을 진입시켜 발 뒷목을 고정부에 안착시킨 후 상체를 서서히 숙여 제2패드(30)에 밀착시킨다. 이때 양손은 뒷짐을 지는 것이 운동 효과가 좋으나 해당 자세에 무리가 있을 경우 양팔로 제2패드(30)를 지탱하여 운동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제2패드(30)가 최초의 수평일 경우 상체의 숙임 정도가 0°에서 90°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조건 내지 컨디션에 따라 틸팅부재(50)를 조작함으로써 상체의 숙임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하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보조부의 도움으로 상체의 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상기 고정부(20)는 사용자의 상체 기립을 보조하는 보조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부(40)는 지면에서 수직 배치되는 입설대(41)와, 입설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리부재(42)와, 고리부재에 엮임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신축 소재의 밴드부재(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성과 같이 사용자는 상체를 자력으로 기립시키지 못할 경우 팔을 뒤로 하여 고리부재(42)에 연결된 밴드부재(43)를 한팔 또는 양팔에 각각 파지한 후 이를 잡아당겨 기립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밴드부재는 신축 소재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보다 수월하게 상체를 기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부(40)는 사용자의 양손 파지를 유도하는 그립부(44)와, 입설대 후방에서 다단 적층되며 선택적으로 무게가 조절되는 중량부(45)와, 입설대 상단에 설치되는 도르래(46)와, 중량부와 그립부 사이를 연결하며 도르래를 매개로 그립부에 중량부의 무게를 부여하는 케이블(4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입설대(41)와, 그립부(44)와, 중량부(45)와, 도르래(46)와, 케이블(47)의 조합은 시티드로우, 렛플다운, 크로스오버 등의 운동기구와 대응하는 구조로써, 사용자는 사용자는 상체를 자력으로 기립시키지 못할 경우 팔을 뒤로 하여 중량부와 케이블를 매개로 연결된 그립부를 파지한 후 이를 잡아당겨 기립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신체조건과 그날 컨디션에 따라 중량부(45)의 무게를 조절함으로써 상체를 더욱 수월하게 기립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용도 운동기구를 활용한 운동방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다용도 운공기구를 이용한 운동방법은 운동기구의 제1패드(10)와 고정부(20) 및 제2패드(30)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춰 세팅하는 기구 세팅단계(S10);와, 제1패드에 양 무릎을 지지한 상태로 운동기구에 착석하고 고정부를 통해 하체를 구속하는 기구 착석단계(S20);와, 하체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상체를 서서히 제2패드로 밀착시키는 상체 지지단계(S30);와, 제2패드에 허벅지 또는 엉덩이 또는 허리의 힘을 이용하여 밀착된 상체를 서서히 기립시키는 상체 기립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구 세팅단계(S10)는 제1패드(10)를 지면으로부터 원하는 높이로 이격시키면서 제2패드(30)와의 수평 상태를 맞추는 제1패드 세팅단계(S11)와, 제2패드(30)를 제1패드와 수평 상태를 맞추고 신체조건에 따라 제1패드와 거리 간격을 수정하는 제2패드 세팅단계(S12)와, 고정부(20)를 제1패드로부터 원하는 높이로 이격시켜 발목 진입의 수월 여부를 판단하고 신체조건에 따라 제1패드와 거리 간격을 수정하는 고정부 세팅단계(S13)로 구성된다.
상기 기구 착석단계(S20)는 사용자의 양 무릎을 제1패드(10)에 각각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는 제1패드 착석단계(S21)와, 제1패드에 양 무릎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양쪽 발을 제1패드와 고정부(20) 사이로 진입시켜 발 뒷목을 고정부 하단에 밀착 고정시키는 하체 고정단계(S22)로 구성된다.
상기 상체 지지단계(S30)는 고정부(20)에 하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허벅지와 엉덩이 및 허리의 힘을 이용하여 상체를 제2패드(30)에 서서히 접근시켜 밀착되게 하는 과정이다. 이때 원하는 운동 강도에 따라 양팔은 허리 뒷쪽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운동의 강도를 향상시키거나 상체 앞쪽 어깨넓이로 위치시킴으로써 운동의 강도를 낮출수 도 있다.
상기 상체 기립단계(S40)는 제2패드(30)에 상체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허벅지의 힘만을 이용하여 상체를 기립시키는 하지근 운동법과, 제2패드(30)에 상체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엉덩이의 힘만을 이용하여 상체를 기립시키는 둔근 운동법과, 제2패드(30)에 상체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허리의 힘만을 이용하여 상체를 기립시키는 기립근 운동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체 지지단계(S30)와 상체 기립단계(S4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과 그날의 컨디션에 따라 보조부(40)의 조작으로 운동의 단계가 소정 변경 및 추가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체 지지단계(S30)는 제1패드(10)와 제2패드(30)를 서로 수평하게 배치함으로써 0°~ 90°의 숙임 및 젖힘 운동이 가능하지만, 사용자는 해당 조건으로 운동 수행이 불가능하게 될 경우 사용자가 틸팅부재(50)의 고정부재(52c)를 구속 해제하는 고정부재 해제단계(S31)와, 파지부(53)를 이용하여 제2패드(30)을 들어올림에 따라 하우징(52a)으로부터 축부(52b)를 인출시켜 제2패드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틸팅부재 조작단계(S32)와, 각도가 변경된 제2패드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고정부재를 다시 구속시키는 각도 결정단계(S33)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상체 기립단계(S40)는 고리부재(42)에 밴드부재(43)를 설치하는 밴드 설치단계(S41)와, 양팔을 뒤로 젖혀 밴드부재를 파지하는 밴드 파지단계(S42)가 추가될 수도 있고, 밴드부재로도 상체 기립이 어려울 경우 중량부(45)의 무게를 선정하는 무게 선정단계(S43)와, 양팔을 뒤로 젖혀 그립부(44)를 파지하는 그립부 파지단계(S44)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패드(10)와 고정부(20)의 조합으로 사용자의 하체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구속시킨 상태에서 무릎이나 엉덩이 또는 척추의 힘을 이용하여 상체를 기립시키는 단순 행위만으로 전신은 물론 일상생활로는 발달 및 개선이 어려운 기립근, 둔근, 하지근의 국소 부위를 집중 자극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패드와 고정부를 통해 하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체를 상측으로 서서히 기립시킴에 따라 기립근, 둔근, 하지근의 국소 부위를 자극하는 운동 외에도 전반적으로 기존의 벤치형 운동기구의 구조로 이루어져 기존의 벤치형에서 시도하던 모든 종류의 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또 다른 운동기구를 보유할 필요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운동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1패드(10)와 고정부(20)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한 사방위로의 위치 선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성별과 연령에 대한 제한성이 적극 타개되며, 나아가 제2패드(20)의 각도 조절 기능으로 운동 난이도의 선택적 변경에 기인하여 사용자의 컨티션에 따른 맞춤형 운동으로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패드 20. 고정부
30. 제2패드 40. 보조부
50. 틸팅부재
S10. 기구 세팅단계 S20. 기구 착석단계
S30. 상체 지지단계 S40. 상체 기립단계

Claims (6)

  1. 사용자의 양 무릎이 지지되는 제1패드(10);와, 제1패드 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양다리가 구속되는 고정부(20);와, 제1패드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체나 양팔이 지지되는 제2패드(30);로 이루어지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사용자의 상체 기립을 보조하는 보조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40)는,
    지면에서 수직 배치되는 입설대(41);
    입설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리부재(42);
    고리부재에 엮임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신축 소재의 밴드부재(43);
    사용자의 양손 파지를 유도하는 그립부(44);
    입설대 후방에서 다단 적층되며 선택적으로 무게가 조절되는 중량부(45);
    입설대 상단에 설치되는 도르래(46);
    중량부와 그립부 사이를 연결하며 도르래를 매개로 그립부에 중량부의 무게를 부여하는 케이블(47);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1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하도록 사방위에 대한 위치 조절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용도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드(3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대응하도록 사방위에 대한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선택적인 각도 가변에 기인하여 기구의 이용 난이도가 순차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용도 운동기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의해 구성되는 운동기구를 이용하되, 제1패드(10)와 고정부(20) 및 제2패드(30)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춰 세팅하는 기구 세팅단계(S10);와, 제1패드에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상체가 기립되게 위치되고 고정부를 통해 하체를 구속하는 기구 착석단계(S20);와, 하체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상체를 제2패드로 밀착시키는 상체 지지단계(S30);와, 제2패드에 허벅지 또는 엉덩이 또는 허리의 힘을 이용하여 밀착된 상체를 서서히 기립시키는 상체 기립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 지지단계(S30)는 제1패드(10)와 제2패드(30)를 서로 수평하게 배치함으로써 0°~ 90°의 숙임 및 젖힘 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해당 각도로 운동 수행이 불가능할 경우 틸팅부재(50)의 고정부재(52c)를 구속 해제하는 고정부재 해제단계(S31)와, 파지부(53)를 이용하여 제2패드(30)을 들어올려 하우징(52a)으로부터 축부(52b)를 인출시켜 제2패드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틸팅부재 조작단계(S32)와, 각도가 변경된 제2패드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고정부재를 다시 구속시키는 각도 결정단계(S33)가 포함되고,
    상기 상체 기립단계(S40)는 고리부재(42)에 밴드부재(43)를 설치하는 밴드 설치단계(S41)와, 양팔을 뒤로 젖혀 밴드부재를 파지하는 밴드 파지단계(S42)와, 사용자가 상기 밴드부재로도 상체 기립이 어려울 경우 중량부(45)의 무게를 선정하는 무게 선정단계(S43)와, 양팔을 뒤로 젖혀 그립부(44)를 파지하는 그립부 파지단계(S44)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 지지단계(S30)와 상체 기립단계(S40)의 반복적인 수행으로 기립근(起立筋과 둔근(臀筋) 및 하지근(下肢筋)의 이완과 수축 작용을 유도하여 신체 국소 부위를 강화 및 개선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운동기구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KR1020210030906A 2021-03-09 2021-03-09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KR102337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906A KR102337722B1 (ko) 2021-03-09 2021-03-09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906A KR102337722B1 (ko) 2021-03-09 2021-03-09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722B1 true KR102337722B1 (ko) 2021-12-08

Family

ID=7886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906A KR102337722B1 (ko) 2021-03-09 2021-03-09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985A (ko) 2022-08-03 2024-02-14 주식회사 모티 운동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606B1 (ko) 1998-03-27 2000-04-01 조시대 다용도 헬스기구
KR100867117B1 (ko) 2007-07-25 2008-11-06 홍성준 다용도 헬스기구
US20110237406A1 (en) * 2010-03-25 2011-09-29 Gil Reyes Lower back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EP3124085A1 (fr) * 2015-07-31 2017-02-01 Jean-Patrick Giacomo Machine d'effort des muscles ischio-jambiers
WO2018090222A1 (zh) * 2016-11-16 2018-05-24 南通跨速易电子商务服务有限公司 一种仰卧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606B1 (ko) 1998-03-27 2000-04-01 조시대 다용도 헬스기구
KR100867117B1 (ko) 2007-07-25 2008-11-06 홍성준 다용도 헬스기구
US20110237406A1 (en) * 2010-03-25 2011-09-29 Gil Reyes Lower back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EP3124085A1 (fr) * 2015-07-31 2017-02-01 Jean-Patrick Giacomo Machine d'effort des muscles ischio-jambiers
WO2018090222A1 (zh) * 2016-11-16 2018-05-24 南通跨速易电子商务服务有限公司 一种仰卧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985A (ko) 2022-08-03 2024-02-14 주식회사 모티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8473B1 (en) Traction extension table
US4635926A (en) Weight lifting type exercising device
US7678033B2 (en) Exercise equipment with system to position elastic bands to assist or oppose one another
US8235876B2 (en) Abdominal training apparatus
US5840001A (en) Therapy exercise table
KR101518197B1 (ko) 웨이트 운동기구
US10675502B2 (e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US201201651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 back exercise
US9199111B2 (en) Exercise apparatus
US20080058172A1 (en) Exercise machine with manually operated pivoting rocker and with counterbalance arm configurable to assist or oppose movement of rocker
US20160082301A1 (en) Functional training equipment with multiple movement planes used for pull exercises
EP2537564B1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US5518487A (en) Exercise apparatus
KR102337722B1 (ko) 다용도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신 운동방법
KR101875338B1 (ko)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안전 스쿼트 운동기구
US7507191B2 (en) Dual rotation rotary torso exercise bench
US7481750B2 (en) Exercise machine
US7134989B2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US6309330B1 (en) Inverted AB cruncher
KR102012192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의자 어셈블리
US7083556B1 (en) Exercise apparatus
US20040097333A1 (en) Fitness apparatus
US11648435B2 (en) Exercise machine and methods of use for strengthening the lumbopelvic complex
US20040259703A1 (en) Exercise apparatus
US7083558B2 (en) Combination abdominal/pectoral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